KR100832676B1 -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2676B1
KR100832676B1 KR1020077011720A KR20077011720A KR100832676B1 KR 100832676 B1 KR100832676 B1 KR 100832676B1 KR 1020077011720 A KR1020077011720 A KR 1020077011720A KR 20077011720 A KR20077011720 A KR 20077011720A KR 100832676 B1 KR100832676 B1 KR 100832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focusing
confocal
portable terminal
monitor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1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4515A (ko
Inventor
미나꼬 마스부찌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4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4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36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using image sharpness techniques, e.g. im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generating autofocus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34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using different areas in a pupil pla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3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contrast or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image signals, e.g. hill climbing metho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5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comprising setting of focusing regions

Abstract

통상의 오토 포커스 기능에서는, 피사체가 렌즈 중앙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소위 초점 흐려짐으로 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카메라로 포착하는 촬영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어, 사용자가 합초시키고자 하는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된 영역에 자동적으로 합초하도록 하는 초점 조절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특히 카메라를 갖는 휴대 전화와 같이 한쪽 손으로 조작하는 소형의 단말기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들어가는, 소위 손 떨림이 일어나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가 포착한 피사체를 모니터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는 모니터 화면을 보면서 합초하는 영역을 선택, 결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사용자는 영역을 선택한 후에 다시 버튼을 누르거나 하여 결정함으로써, 손 떨림 등의 문제를 경감시킬 수 있다.
피사체, 합초, 사용자, 단말기, 초점 조절 장치

Description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FOCUSING AREA ADJUSTING CAMERA-CARRYING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복수의 피사체로부터 초점을 맞출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역을 선택, 결정하고, 결정된 영역에 자동적으로 초점을 맞추는 것이 가능한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휴대 전화나 디지탈 카메라로 대표되는 촬영 기능을 갖는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는, 오토 포커스(자동 합초) 기능을 갖고 있는 것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오토 포커스 기능은 렌즈의 중앙에 맞춘 피사체에 초점이 맞게 되어 있기 때문에, 초점을 맞추려는 피사체가 렌즈 중앙 이외에 위치하도록 휴대 단말기를 준비시킨 경우에는 초점이 맞지 않아, 소위 초점이 흐려진 상태로 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특허 문헌1에서는, 카메라로 포착한 촬영 영역에 복수의 합초 영역이 포함되고, 카메라의 사용자에게 복수의 합초 영역으로부터 초점을 맞출 영역을 선택시키는 수단을 갖고, 선택된 영역에 자동적으로 초점을 맞추기 위한 신호를 형성하는 초점 조절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1: 일본 특허2768469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특허 문헌1의 발명에서는, 촬영 기능을 주로 한 기기에 있어서는 유효하지만 촬영 기능 이외의 기능을 갖는 복합 기기에서, 특히 휴대 전화와 같은 소형의 전자 기기에서는 한쪽 손으로 조작하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가 초점을 맞추는 영역을 선택하기만 해도 선택한 영역에 자동적으로 초점을 맞추게 되어 있으면, 사용자의 손가락이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들어가는, 소위 손 떨림이 일어나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서는,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초점을 맞추려는 영역을 선택하고, 또한 선택한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를 제안한다.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개요를 도시한다. 여기에서의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0100)는 휴대 전화와 같은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이것은 일례이다.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0100)는, 카메라(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로서, 모니터 화면(0110)에 카메라로 포착하고 있는 피사체를 표시한다. 모니터 화면(0110)은 복수의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모니터 화면을 보면서 어느 영역에 초점을 맞출지를 선택하고, 결정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도 1에서는, 모니터 화면(0110)은 참조 부호 0111부터 참조 부호 0119의 9개의 영역으로 동등하게 나뉘어져 있지만 이것은 일례 이다. 몇개로 나뉘어 있든 상관없으며, 각 영역의 형태나 넓이가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0100)는 영역을 선택, 결정하기 위한 버튼을 구비할 필요가 있지만, 도 1과 같이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0100)가 휴대 전화와 같은 것이면 이미 텐키(0120)나 십자키(0130) 등의 버튼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들을 선택, 결정을 위한 버튼으로서 이용하면 조작성도 좋아, 편리하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서는, 카메라가 포착한 피사체를 모니터 화면에 표시하고, 복수의 피사체에 대하여 초점을 맞출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역을 선택한다고 하는 프로세스 외에, 상기 선택의 프로세스에서 선택된 영역을 실제로 초점을 맞출 영역으로서 결정한다고 하는 기능을 더 갖는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모니터 화면을 보면서 초점을 맞추려는 피사체가 포함되어 있는 영역을 선택,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건 발명에서는 결정 프로세스가 있으므로, 단순히 영역 선택이 이루어지기만 해도 합초를 위한 기계적 구동 프로세스로 이행한다고 하는 무의미한 동작이 없어졌다. 특히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가 휴대 전화와 같은 소형의 단말기인 경우에는 한쪽 손으로 조작하는 경우도 많아, 버튼을 조작할 때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들어가는, 소위 손 떨림이 일어나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선택 프로세스만으로 합초를 위한 기계적 구동이 행해진다고 하면, 무의미한 초점 맞추기가 발생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영역을 선택한 후에 다시 버튼을 누르거나 하여 최종적으로 영역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그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양태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이하의 실시 형태와 청구항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실시 형태1은, 주로 청구항1, 9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2는, 주로 청구항2, 6, 10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3은, 주로 청구항3, 7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4는, 주로 청구항4, 8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5는, 주로 청구항5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1)
(실시 형태1:개요)
본 실시 형태는, 복수의 피사체에 대하여 초점을 맞출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역을 선택, 결정함으로써 초점 조절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는, 본체에 부속된 카메라에 의해 포착한 피사체를 모니터 화면 등에 표시하고,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초점을 맞추려는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역을 선택하고, 결정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실시 형태1:구성)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 블록을 도 2에 예시한다.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0200)는, 「모니터 화면」(0210)과, 「선택부」(0220)와, 「결정 입력부」(0230)와, 「합초 촬영부」(0240)로 이루어진다.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0200)는, 갖고 다니기 가능한 휴대형의 단말기이면 되지만, 특히 소형이면서 한쪽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크기의 휴대 단말기를 상정하고 있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 등이 해당한다.
「모니터 화면」(0210)은, 피사체를 모니터시키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피사체」란,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본체에 부속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하는 경우에, 촬영의 대상으로 되는 물체를 의미한다. 「모니터시킨다」란, 사용자가 카메라로 포착된 피사체를 보는 것이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는, 카메라로 포착한 피사체를 포함시킨 촬영 영역 전체가 표시된다. 또한, 모니터 화면의 전체 영역은 복수의 합초 에리어로 분할되어 있다. 「합초 에리어」란, 모니터 화면에서 표시되는 피사체를 포함시킨 영역을 복수로 분할한 영역을 의미한다. 몇개의 합초 에리어로 분할될지는 특별히 상관없다. 또한, 각 합초 에리어의 넓이나 형태는 서로 달라도 된다. 또한, 합초 에리어의 경계는 경계선에 의해 명시되어도 되고 명시되지 않아도 된다. 모니터 화면의 실시예로서는, 휴대 전화의 표시 화면 등이 해당한다.
「선택부」(0220)는, 상기 모니터 화면(0210)에서 합초 에리어를 선택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는, 초점을 맞추려는 피사체를 포함하는 합초 에리어를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선택부의 실시예로서는, 휴대 전화 등의 십자키(도 1의 참조 부호 0130과 같은 표시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커서를 상하좌우로 움직이게 하기 위한 키)나 텐키(도 1의 참조 부호 0120과 같은 숫자, 히라가나, 영자 등이 기재되어 있는 버튼) 등에 선택부의 기능을 갖게 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면 편리하지만, 별도로, 선택용의 버튼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터치 패널 등을 통하여 상기 모니터 화면(0210)에 접촉함으로써, 합초 에리어를 선택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결정 입력부」(0230)는, 상기 선택부(0220)에서 선택된 합초 에리어를 촬영에 이용하는 합초 에리어인 촬영 합초 에리어로서 결정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촬영에 이용한다」란, 예를 들면, 촬영을 위하여 합초 에리어에 포함되어 있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는 것 등을 의미한다. 결정 입력부의 실시예로서, 휴대 전화의 텐키 등에 결정 입력부의 기능을 갖게 해도 되고, 별도로, 결정용의 버튼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텐키 등을 1회 누르면 합초 에리어를 선택하고, 2회 누르면 결정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선택, 결정을 위해 손가락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이 용이해지고, 잘못 누름 등을 방지할 수도 있어 편리하다. 또한, 버튼을 3회 누르면 셔터를 누를 수 있게 되어 보다 편리하다. 또한, 사용자가 합초 에리어를 결정하면 자동적으로 셔터가 눌러지게 되어 있어도 된다.
도 3은, 모니터 화면의 구체예를 도시한다. 도 3은,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0300)의 모니터 화면(0310)을 확대한 도면이며, 참조 부호 0311부터 참조 부호 0319까지의 9개의 합초 에리어로 분할되어 있다. 합초 에리어는, 도 3과 같이 파선으로 둘러싸인 직사각형을 모니터 화면에 표시하거나 하여 사용자에게 명시되어도 되고, 명시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선택부가 터치 패널로 되어 있으면, 사용자는 초점을 맞추려는 피사체의 위치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간접적으로 합초 에리어를 선택하게 되어 있으면 되고, 이러한 경우에는 합초 에리어는 명시될 필요는 없다고 생각된다. 또한, 각 합초 에리어에 텐키에 대응한 숫자가 표시되게 되어, 사용자는 텐키를 누름으로써 원하는 합초 에리어를 선택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예에서는 모니터 화면이 9개의 합초 에리어로 분할되어 있지만, 보다 세세하게 분할되어 있어도 되며, 보다 대략적으로 분할되어 있어도 된다.
「합초 촬영부」(0240)는, 상기 결정 입력부(0230)에서 결정된 촬영 합초 에리어 내에 모니터되는 피사체에 합초 동작을 하여 촬영하는 기능을 갖는다. 「합초 동작」이란,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기 위한 동작이다. 예를 들면, 일반적인 디지탈 카메라의 오토 포커스 기능으로 채용되어 있는, 소위 콘트라스트 검출 방식(카메라 내부에서 렌즈를 움직이게 하여, 콘트라스트가 높은 위치를 초점이 맞는 위치라고 판단하는 방식)이면, 렌즈를 움직이게 하여 콘트라스트가 높은 위치를 검출하고, 그 위치에 렌즈를 맞추는 것 등이 해당한다. 「촬영」이란, 카메라의 렌즈를 통과시켜 입사된 광을 화상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합초 촬영부는, 실제로는 오토 포커스의 기구부터 촬영하기 위한 기구까지 포함한다.
(실시 형태1 : 처리의 흐름)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도를 예시한다. (A)는 사용자가 셔터를 누르는 행위를 행하는 경우의 플로우도이며, (B)는 자동적으로 셔터가 눌러진 경우의 플로우도이다. (A)와 (B)의 차이는, 후술하는 셔터 누름 스텝(S0450)이 실행되는지의 여부이다. 처음에,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로 포착된 피사체를 모니터 화면에 표시한다. 이 처리는 모니터 화면에 의해 실행된다(피사체 표시 스텝 S0410). 다음으로, 상기 피사체 표시 스텝(S0410)에서 표시된 피사체에 의해 합초 에리어를 선택한다. 이 처리는 선택부에 의해 실행된다(합초 에리어 선택 스텝 S0420). 다음으로, 상기 합초 에리어 선택 스텝(S0420)에서 선택된 합초 에리어를 촬영 합초 에리어로서 결정한다. 이 처리는 결정 입력부에 의해 실행된다(결정 입력 스텝 S0430). 다음으로, 상기 결정 입력 스텝(S0430)에서 결정된 촬영 합초 에리어 내에 모니터되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춘다. 이 처리는 합초 촬영부에 의해 실행된다(피사체 합초 스텝 S0440). 다음으로, 셔터를 누른다((A)의 경우만). 이 처리는 합초 촬영부에 의해 실행된다(셔터 누름 스텝 S0450). 마지막으로, 상기 피사체 합초 스텝(S0440)에서 합초된 피사체를 촬영한다. 이 처리는 합초 촬영부에 의해 실행된다(피사체 촬영 스텝 S0460).
또한,이상의 처리는, 계산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실행할 수 있으며, 또한, 이 프로그램을 계산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본 명세서의 전체를 통해 마찬가지임).
(실시 형태1:효과)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카메라에 의해 포착한 피사체를 모니터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합초 에리어를 선택, 결정시키고, 결정된 촬영 합초 에리어에 합초하여 촬영하는 기능을 갖는다. 사용자는 합초 에리어를 선택한 후에 재차 결정 버튼 등을 누름으로써 촬영 합초 에리어를 확정시킬 수 있으므로, 촬영시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들어가거나, 휴대 단말기가 흔들리는, 소위 손 떨림이 일어나거나 하는 문제가 없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면서 촬영 합초 에리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합초 에리어를 결정한 후에 셔터를 누르지 않아도 촬영할 수 있다.
(실시형태2)
(실시형태2 : 개요)
본 실시 형태는, 실시 형태1의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 외에, 텐키를 조작하여 합초 에리어를 선택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실시형태2 : 구성)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 블록을 도 5에 예시한다.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0500)는, 「모니터 화면」(0510)과, 「선택부」(0520)와, 「결정 입력부」(0530)와, 「합초 촬영부(0540)와, 「텐키 조작부」(055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선택부(0520)는, 「텐키 심볼 표시 수단」(0521)과, 「텐키 심볼 선택 수단」(0522)을 갖는다. 상기 텐키 조작부(0550)와 상기 텐키 심볼 표시 수단(0521)과 상기 텐키 심볼 선택 수단(0522)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실시 형태1에 따른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텐키 조작부」(0550)는, 텐키 등을 조작하는 기능을 갖는다. 텐키뿐만 아니라, 메일 버튼(메일 기능을 기동하기 위한 버튼)이나 메모 버튼(메모 기능을 기동하기 위한 버튼) 등이어도 된다. 텐키 조작부의 실시예로서는, 휴대 전화의 텐키, 메일 버튼, 메모 버튼 등이 해당한다. 또한, 텐키 조작부는 본체를 한쪽 손의 손바닥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한쪽 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조작성이 좋기 때문에, 버튼을 누를 때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들어가는, 손 떨림의 발생 등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생각되어진다.
「텐키 심볼 표시 수단」(0521)은, 상기 모니터 화면(0510)을 복수로 분할하여 각각에 텐키 심볼을 할당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모니터 화면을 복수로 분할」이란, 모니터 화면 전체의 영역을 합초 에리어로 하여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다고 하는 의미이다. 몇개의 합초 에리어로 분할되는지는 특별히 상관없다. 또한, 각 합초 에리어의 넓이나 형태는 서로 달라도 된다. 「텐키 심볼」이란, 각 합초 에리어가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어느 텐키 등에 대응할지를 나타내는 심볼이다. 텐키 심볼의 할당 방법은 여러가지 생각되어지지만, 예를 들면,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가 휴대 전화이면 휴대 전화의 텐키 등의 배치와 합초 에리어에 할당된 텐키 심볼의 배치가 동일하게 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합초 에리어를 선택할 때에 감각적으로 선택하기 쉬워지므로 편 리하다. 또한, 카메라가 포착하는 피사체에 의해 합초 에리어가 변화되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텐키 심볼은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촬영 기능이 기동됨과 동시에 피사체와 함께 상기 모니터 화면(0510)에 표시되게 되어 있어도 되고, 사용자가 심볼 표시를 위한 버튼을 누르거나 하여 표시, 비표시의 절환을 할 수 있게 되어 있어도 된다.
도 6은, 텐키 심볼 표시 수단의 구체예를 도시한다. 참조 부호 0600은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 참조 부호 0610은 모니터 화면이다. (A)는 모니터 화면(0610)이 12개의 합초 에리어로 등분할되어 있는 경우이다. 각 합초 에리어의 경계가 파선으로 표시되며, 동시에 숫자나 기호가 표시된다. 숫자나 기호는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0600)의 텐키에 대응하고 있으며, 예를 들면, 6의 합초 에리어를 선택하려면 「6」의 키를 누르면 된다. 또한,#의 합초 에리어를 선택하려면 「#」의 키를 누르면 된다. (B)는 모니터 화면(0610)이 16개의 합초 에리어로 등분할되어 있는 경우이다. (A)와 마찬가지로 각 합초 에리어의 경계가 파선으로 표시되지만, 각 합초 에리어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각 합초 에리어에 표시되는 숫자를 텐키에서 1자리씩 누른다. 예를 들면, 14의 합초 에리어를 선택하려면, 「1」 「4」의 키를 순서대로 누른다. (C)는 모니터 화면(0610)이 7개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지만 각 영역의 넓이나 형태가 서로 다른 경우이다. 또한,이상의 (A)부터 (C)는 일례이며, 이들 이외의 텐키 심볼의 표시 방법이어도 된다.
「텐키 심볼 선택 수단」(0522)은, 상기 텐키 조작부(0550)를 조작함으로써, 텐키 심볼이 할당된 상기 모니터 화면(0510)의 영역을 촬영 합초 에리어로서 선택하는 기능을 갖는다.
(실시 형태2 : 처리의 흐름)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도를 예시한다. 스텝 S0710과 스텝 S0740로부터 스텝 S0770은 각각, 실시 형태1의 도 4의 (A)에 예시한 플로우도의 스텝 S0410, 스텝 S0430부터 스텝 S0460과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스텝 S0760은 없어도 된다. 처음에,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로 포착된 피사체를 모니터 화면에 표시한다(피사체 표시 스텝 S0710). 다음으로, 상기 피사체 표시 스텝(S0710)에서 피사체가 표시된 모니터 화면에 텐키 심볼을 표시한다. 이 처리는 텐키 심볼 표시 수단에 의해 실행된다(텐키 심볼 표시 스텝 S0720). 다음으로, 상기 텐키 심볼 표시 스텝(S0720)에서 표시된 텐키 심볼이 할당된 합초 에리어를 선택한다. 이 처리는 텐키 심볼 선택 수단에 의해 실행된다(텐키 심볼 합초 에리어 선택 스텝 S0730). 다음으로, 상기 텐키 심볼 합초 에리어 선택 스텝(S0730)에서 선택된 합초 에리어를 촬영 합초 에리어로서 결정한다(결정 입력 스텝 S0740). 다음으로, 상기 결정 입력 스텝(S0740)에서 결정된 촬영 합초 에리어 내에 모니터되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춘다(피사체 합초 스텝 S0750). 다음으로, 셔터를 누른다(셔터 누름 스텝 S0760). 마지막으로, 상기 피사체 합초 스텝(S0750)에서 합초된 피사체를 촬영한다(피사체 촬영 스텝 S0770).
(실시 형태2 : 효과)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실시 형태1의 효과 외에, 텐키 심볼을 모니터 화면의 합초 에리어에 표시하여 텐키 등을 조작하여 합초 에리어를 선택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에 의해,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텐키 등에 합초 에리어를 선택하기 위한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조작성이 좋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들어가거나, 휴대 단말기가 흔들리는, 소위 손 떨림이 생기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특히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가 휴대 전화 등과 같이 통상 한쪽 손으로 지지하는 소형의 휴대 단말기인 경우에, 텐키 등은 엄지 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도 많아, 더욱 조작성이 향상된다.
(실시 형태3)
(실시 형태3 : 개요)
본 실시 형태는, 실시 형태1의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 외에, 십자키를 조작하여 합초 에리어를 선택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실시 형태3 : 구성)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 블록을 도 8에 예시한다.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0800)는, 「모니터 화면」(0810)과, 「선택부」(0820)와, 「결정 입력부」(0830)와, 「합초 촬영부」(0840)와, 「십자키 조작부」(085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선택 부(0820)는, 「십자키 심볼 표시 수단」(0821)과, 「십자키 심볼 선택 수단」(0822)을 갖는다. 상기 십자키 조작부(0850)와 상기 십자키 심볼 표시 수단(0821)과 상기 십자키 심볼 선택 수단(0822)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실시 형태1에 따른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십자키 조작부」(0850)는, 십자키 등을 조작하는 기능을 갖는다. 「십자키」란, 도 1의 0130과 같은 표시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커서를 상하좌우로 움직이게 하기 위한 키를 의미한다. 주로, 상하좌우의 4방향으로 누를 수 있게 되어 있는 경우가 상정되지만, 다른 방향으로 누를 수 있게 되어 있어도 된다. 십자키 조작부의 실시예로서는, 휴대 전화의 십자키 등이 해당한다. 또한, 십자키 조작부는 본체를 한쪽 손의 손바닥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한쪽 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조작성이 좋기 때문에, 버튼을 누를 때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들어가는, 손 떨림의 발생 등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생각되어진다.
「십자키 심볼 표시 수단」(0821)은, 상기 모니터 화면(0810)에 상기 십자키로 조작 가능한 십자키 심볼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십자키 심볼」이란, 현재 선택되어 있는 합초 에리어를 나타내는 심볼이다. 카메라가 포착한 피사체에 의해 합초 에리어가 변화되게 되어 있어도 되고, 그러한 경우에는 합초 에리어의 변화에 맞추어 십자키 심볼의 형태나 위치 등도 변화된다. 또한, 사용자가 십자키 등을 누를 때마다 십자키 심볼이 인접하는 합초 에리어로 이동하는 것은 아니고, 합초 에리어가 조금씩, 어긋나도록 하여 변화되어 감으로써 십자키 심볼도 조금씩, 어긋나도록 이동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십자키 심볼의 표시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생각되어진다. 예를 들면, 합초 에리어를 파선으로 둘러싸 표시하게 되어 있어도 되고, 합초 에리어의 중심을 작은 × 등으로 나타내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십자키 심볼은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촬영 기능이 기동됨과 동시에 피사체와 함께 상기 모니터 화면(0810)에 표시되게 되어 있어도 되고, 사용자가 심볼 표시를 위한 버튼을 누르거나 하여 표시, 비표시의 절환을 할 수 있게 되어 있어도 된다.
도 9는, 십자키 심볼 표시 수단의 구체예를 도시한다. 참조 부호 0900은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 참조 부호 0910은 모니터 화면, 참조 부호 0920은 선택되어 있는 합초 에리어이다. (A)는 모니터 화면(0910)이 12개의 합초 에리어로 등분할되어 있는 경우이다. 각 합초 에리어의 경계가 파선으로 표시되고, 십자키 심볼은 합초 에리어의 4개의 구석만을 태선으로 강조하여 표시된다. 또한, 합초 에리어의 경계는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게 되어 있어도 된다. (B)는 모니터 화면(0910)이 12개의 합초 에리어로 등분할되어 있지만, 각 합초 에리어의 경계가 파선으로 표시되고, 십자키 심볼은 합초 에리어의 중심을 작은 ×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십자키 심볼의 중심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합초 에리어의 경계가 표시되지 않으면 합초 에리어의 크기를 사용자가 모르므로, 합초 에리어의 경계는 파선 등으로 표시되어 있었던 편이 낫다고 생각된다. (C)는 합초 에리어의 경계는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고, 십자키 심볼만이 사선으로 전부 칠해진 사각형으 로 표시된 경우이다. 또한,이상의 (A)부터 (C)는 일례이며, 이들 이외의 십자키 심볼의 표시 방법이어도 된다.
「십자키 심볼 선택 수단」(0822)은, 상기 십자키 심볼 표시 수단(0821)에 의해 표시된 십자키 심볼을 상기 십자키 조작부(0850)에 의해 조작하여 상기 모니터 화면(0810) 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그 십자키 심볼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을 촬영 합초 에리어로서 선택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 십자키 심볼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이란, 예를 들면, 도 9의 (B)와 같은 경우이면, 작은 ×로 표시되는 십자키를 포함하는 0920의 영역을 의미한다.
(실시 형태3 : 처리의 흐름)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도를 예시한다. 스텝 S1010과 스텝 S1040부터 스텝 S1070은 각각, 실시 형태1의 도 4의 (A)에 예시한 플로우도의 스텝 S0410, 스텝 S0430부터 스텝 S0460과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스텝 S1060은 없어도 된다. 처음에,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로 포착된 피사체를 모니터 화면에 표시한다(피사체 표시 스텝 S1010). 다음으로, 상기 피사체 표시 스텝(S1010)에서 피사체가 표시된 모니터 화면에 십자키 심볼을 표시한다. 이 처리는 십자키 심볼 표시 수단에 의해 실행된다(십자키 심볼 표시 스텝 S1020). 다음으로, 상기 십자키 심볼 표시 스텝(S1020)에서 표시된 십자키 심볼을 포함하는 합초 에리어를 선택한다. 이 처리는 십자키 심볼 선택 수단에 의해 실행된다(십자키 심볼 합초 에리어 선택 스텝 S1030). 다음으로, 상기 십 자키 심볼 합초 에리어 선택 스텝(S1030)에서 선택된 합초 에리어를 촬영 합초 에리어로서 결정한다(결정 입력 스텝 S1040). 다음으로, 상기 결정 입력 스텝(S1040)에서 결정된 촬영 합초 에리어 내에 모니터되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춘다(피사체 합초 스텝 S1050). 다음으로, 셔터를 누른다(셔터 누름 스텝 S1060). 마지막으로, 상기 피사체 합초 스텝(S1050)에서 합초된 피사체를 촬영한다(피사체 촬영 스텝 S1070).
(실시 형태3 : 효과)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실시 형태1의 효과 외에, 십자키 심볼을 모니터 화면의 합초 에리어에 표시하여 십자키 등을 조작하여 합초 에리어를 선택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에 의해,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십자키 등에 합초 에리어를 선택하기 위한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조작성이 좋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들어가거나, 휴대 단말기가 흔들리는, 소위 손 떨림이 일어나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특히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가 휴대 전화 등과 같이 통상 한쪽 손으로 지지하는 소형의 휴대 단말기인 경우에, 십자키 등은 엄지 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도 많아, 더욱 조작성이 향상된다.
(실시형태4)
(실시 형태4 : 개요)
본 실시 형태는, 실시 형태1부터 3의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 외에, 터치 패널을 조작하여 합초 에리어를 선택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실시 형태4 : 구성)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 블록을 도 11에 예시한다.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1100)는, 「모니터 화면」(1110)과, 「선택부」(1120)와, 「결정 입력부」(1130)와, 「합초 촬영부」(1140)와, 「텐키 조작부」(1150)와, 「터치 패널 조작부」(116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선택부(1120)는, 「텐키 심볼 표시 수단」(1121)과, 「텐키 심볼 선택 수단」(1122)과, 「터치 영역 선택 수단」(1123)을 갖는다. 상기 터치 패널 조작부(1160)와 상기 터치 영역 선택 수단(1123)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실시 형태2에 따른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텐키 조작부(1150), 상기 텐키 심볼 표시 수단(1121), 상기 텐키 심볼 선택 수단(1122)이, 각각 십자키 조작부, 십자키 심볼 표시 수단, 십자키 심볼 선택 수단이어도 된다. 즉, 실시 형태3에 따른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에 상기 터치 패널 조작부(1160)와 상기 터치 영역 선택 수단(1123)을 더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 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텐키 조작부(1150), 상기 텐키 심볼 표시 수단(1121), 상기 텐키 심볼 선택 수단(1122)이 없어도 된다. 즉, 실시 형태1에 따른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에 상기 터치 패널 조작부(1160)와 상기 터치 영역 선택 수단(1123)을 더한 구성이어도 된다.
「터치 패널 조작부」(1160)는, 터치 패널을 조작하는 기능을 갖는다. 터치 패널은 패널에의 접촉을 감지하는 대표적인 방식으로서, 광식, 초음파식, 정전 용량식, 저항막식 등이 있지만, 어떤 방식이 이용되어도 된다. 또한, 터치 패널 조작부는 본체를 한쪽 손의 손바닥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한쪽 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조작성이 좋기 때문에, 터치 패널을 조작할 때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카메라의 촬영 영역에 들어가는, 손 떨림의 발생 등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생각된다.
「터치 영역 선택 수단」(1123)은, 상기 터치 패널 조작부(1160)에 의해 터치된 모니터 화면의 영역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을 촬영 합초 에리어로서 선택하는 기능을 갖는다. 「터치된 모니터 화면의 영역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이란,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터치 패널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모니터 화면에 접촉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합초 에리어를 의미한다. 또한, 합초 에리어는 파선 등으로 상기 모니터 화면(1110)에 명시되어도 되고, 명시되지 않아도 된다. 명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예를 들면,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초점을 맞추려는 피사체를 터치 패널에 접촉하여 지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접촉한 영역을 포함하는 합초 에리어가 자동적으로 선택되게 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카메라가 포착하는 피사체에 의해 합초 에리어가 변화되게 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사용자가 터치 패널에 접촉한 위치가 중심으로 되도록 변화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 형태4 : 처리의 흐름)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도를 예시한다. 스텝 S1210과 스텝 S1220과 스텝 S1240부터 스텝 S1280은 각각, 실시 형태2의 도 7에 예시한 플로우도의 스텝 S0710, 스텝 S0720, 스텝 S0730부터 스텝 S0770과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스텝 S1270은 없어도 된다. 처음에,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로 포착된 피사체를 모니터 화면에 표시한다(피사체 표시 스텝 S1210). 다음으로, 상기 피사체 표시 스텝(S1210)에서 피사체가 표시된 모니터 화면에 텐키 심볼을 표시한다(텐키 심볼 표시 스텝 S1220). 다음으로, 터치 패널에 의해 합초 에리어의 선택이 행하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터치 패널 합초 에리어 선택 스텝 S1230). 터치 패널에 의해 합초 에리어의 선택이 행해졌다고 하는 판단인 경우에는, 후술하는 결정 입력 스텝(S1250)으로 이행한다. 터치 패널에 의해 합초 에리어의 선택은 행해지지 않는다고 하는 판단인 경우에는, 후술하는 텐키 심볼 합초 에리어 선택 스텝(S1240)으로 이행한다. 상기 터치 패널 합초 에리어 선택 스텝(S1230)에서의 판단이, 터치 패널에 의해 합초 에리어의 선택이 행해지지 않는다고 하는 판단인 경우에는, 상기 텐키 심볼 표시 스텝(S1220)에서 표시된 텐키 심볼이 할당된 합초 에리어를 선택한다(텐키 심볼 합초 에리어 선택 스텝 S1240). 다음으로, 상기 터치 패널 합초 에리어 선택 스텝(S1230), 또는 상기 텐키 심볼 합초 에리어 선택 스텝(S1240)에서 선택된 합초 에리어를 촬영 합초 에리어로서 결정한다(결정 입력 스텝 S1250). 다음으로, 상기 결정 입력 스텝(S1250)에서 결정된 촬영 합초 에리어 내에 모니터되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춘다 (피사체 합초 스텝 S1260). 다음으로, 셔터를 누른다(셔터 누름 스텝 S1270). 마지막으로, 상기 피사체 합초 스텝(S1260)에서 합초된 피사체를 촬영한다(피사체 촬영 스텝 S1280).
또한,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상기 텐키 조작부(1150), 상기 텐키 심볼 표시 수단(1121), 상기 텐키 심볼 선택 수단(1122)이, 각각 십자키 조작부, 십자키 심볼 표시 수단, 십자키 심볼 선택 수단인 경우에는, 상기 텐키 심볼 표시 스텝(S1220)에서는 모니터 화면에 십자키 심볼을 표시하고, 상기 텐키 심볼 합초 에리어 선택 스텝(S1240)에서는 십자키 심볼이 할당된 합초 에리어를 선택한다. 또한,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상기 텐키 조작부(1150), 상기 텐키 심볼 표시 수단(1121), 상기 텐키 심볼 선택 수단(1122)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텐키 심볼 표시 스텝(S1220), 상기 텐키 심볼 합초 에리어 선택 스텝(S1240)의 처리는 행해지지 않아, 상기 터치 패널 합초 에리어 선택 스텝(S1230)에서 터치 패널에 의해 합초 에리어의 선택이 행해진다.
(실시형태4 : 효과)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따르면, 실시 형태1부터 3의 효과 외에, 터치 패널에 의해 합초 에리어를 선택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에 의해,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는, 터치 패널을 통하여 모니터 화면에 접촉하여 합초 에리어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초점을 맞추려는 피사체를 보다 직접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 또한, 특히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가 휴대 전화 등과 같이 통상 한쪽 손으 로 지지하는 소형의 휴대 단말기인 경우에, 터치 패널이 비치된 모니터 화면은 엄지 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도 많아, 조작성이 향상된다.
(실시 형태5)
(실시 형태5 : 개요)
본 실시 형태는, 실시 형태1부터 4의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 외에, 합초 에리어의 모니터 화면 내에서의 크기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실시형태5 : 구성)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 블록을 도 13에 예시한다.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1300)는, 「모니터 화면」(1310)와, 「선택부」(1320)와, 「결정 입력부」(1330)와, 「합초 촬영부」(1340)와, 「텐키 조작부」(1350)와, 「터치 패널 조작부」(136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선택부(1320)는, 「텐키 심볼 표시 수단」(1321)과, 「텐키 심볼 선택 수단」(1322)과, 「터치 영역 선택 수단」(1323)과, 「합초 에리어 면적 설정 수단」(1324)을 갖는다. 상기 합초 에리어 면적 설정 수단(1324)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실시 형태4에 따른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텐키 조작부(1350), 상기 텐키 심볼 표시 수단(1321), 상기 텐키 심볼 선택 수단(1322)이, 각각 십자키 조작부, 십자키 심볼 표시 수단, 십자키 심볼 선택 수단 이어도 된다. 또 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터치 패널 조작부(1360), 상기 터치 영역 선택 수단(1323)이 없어도 된다. 또 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터치 패널 조작부(1360), 상기 터치 영역 선택 수단(1323), 상기 텐키 조작부(1350), 상기 텐키 심볼 표시 수단(1321), 상기 텐키 심볼 선택 수단(1322)이 없어도 된다.
「합초 에리어 면적 설정 수단」(1324)은, 합초 에리어의 모니터 화면 내에서의 크기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즉, 합초 에리어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작게 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합초 에리어의 크기를 바꾸는 경우, 어디를 중심으로 할지는 여러가지 생각되어진다. 예를 들면, 원래의 합초 에리어의 한가운데를 중심으로 해도 되고, 합초 에리어가 사각형이면 하변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 좌, 우의 변의 위치를 움직이게 함으로써 크기를 바꾸어도 된다. 또한, 합초 에리어의 크기를 바꾸는 경우의 배율도, 여러가지 생각되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모니터 화면(1310)을 등분할로 할 수 있는 크기로만 변경할 수 있게 되어도 되고, 보다 세세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합초 에리어의 크기가 변경된 경우에, 변경된 합초 에리어의 크기에 맞추어 다른 합초 에리어의 크기나 레이아웃이 바뀌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사용자가 터치 패널 위에 손가락을 둔 상태로 하면 손가락을 놓은 합초 에리어의 면적이 커지거나 작아지거나 하도록 되어 있으면 편리하다. 또한, 합초 에리어의 면적이 변경되고 나서 합초 에리어가 결정되어도 되고, 합초 에리어가 결정된 후에 합초 에리어의 면적이 변경되게 되어 있어도 된다.
도 14에 합초 에리어 면적 설정 수단의 구체예를 도시한다. 참조 부호 1400 은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이고, 참조 부호 1410은 모니터 화면이고, 참조 부호 1420은 선택되어 있는 합초 에리어이다. (A)는 모니터 화면(1410)이 12개의 합초 에리어로 등분할되어 있고, 텐키「5」에 의해 1420의 합초 에리어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이다. (B)는 (A)의 상태에서 합초 에리어의 크기를 합초 에리어 면적 설정 수단에 의해 1단계 크게 한 경우를 예시한다. 이 때, 예를 들면, 1420의 영역이 세로로 커져 모니터 화면(1410)을 9개의 합초 에리어로 분할한 크기로 된다. (C)는 또한 (B)의 상태로부터 합초 에리어의 크기를 합초 에리어 면적 설정 수단에 의해 1단계 크게 한 경우를 예시한다. 이 때, 예를 들면, 참조 부호 1420의 영역이 세로와 가로로 커져 1420 이외의 합초 에리어의 크기와 레이아웃이 바뀌고, 할당되어 있는 텐키 심볼도 변경하게 된다. 또한,참조 부호 1420의 영역만이 세로와 가로로 커져 1420 이외의 합초 에리어의 크기는 바뀌지 않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예는 일례이며, 이들 이외의 합초 에리어 면적의 변경 방법이어도 된다.
(실시 형태5 : 처리의 흐름)
도 1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도를 예시한다. 스텝 S1510부터 스텝 S1540과 스텝 S1560부터 스텝 S1590은 각각, 실시 형태4의 도 12에 예시한 플로우도의 스텝 S1210부터 스텝 S1240, 스텝 S1250부터 스텝 S1280과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스텝 S1580은 없어도 된다. 처음에,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로 포착된 피사체를 모니터 화면에 표시한다 (피사체 표시 스텝 S1510). 다음으로, 상기 피사체 표시 스텝(S1510)에서 피사체가 표시된 모니터 화면에 텐키 심볼을 표시한다(텐키 심볼 표시 스텝 S1520). 다음으로, 터치 패널에 의해 합초 에리어의 선택이 행하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터치 패널 합초 에리어 선택 스텝 S1530). 상기 터치 패널 합초 에리어 선택 스텝(S1530)에서의 판단이, 터치 패널에 의해 합초 에리어의 선택이 행해지지 않는다고 하는 판단인 경우에는, 상기 텐키 심볼 표시 스텝(S1520)에서 표시된 텐키 심볼이 할당된 합초 에리어를 선택한다(텐키 심볼 합초 에리어 선택 스텝 S1540). 다음으로, 상기 터치 패널 합초 에리어 선택 스텝(S1530), 또는 상기 텐키 심볼 합초 에리어 선택 스텝(S1540)에서 선택된 합초 에리어의 크기를 설정한다. 이 처리는 합초 에리어 면적 설정 수단에 의해 실행된다(합초 에리어 면적 설정 스텝 S1550). 다음으로, 상기 합초 에리어 면적 설정 스텝(S1550)에서 면적이 설정된 합초 에리어를 촬영 합초 에리어로서 결정한다(결정 입력 스텝 S1560). 다음으로, 상기 결정 입력 스텝(S1560)에서 결정된 촬영 합초 에리어 내에 모니터되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춘다(피사체 합초 스텝 S1570). 다음으로, 셔터를 누른다(셔터 누름 스텝 S1580). 마지막으로, 상기 피사체 합초 스텝(S1570)에서 합초된 피사체를 촬영한다(피사체 촬영 스텝 S1590). 또한, 상기 합초 에리어 면적 설정 스텝(S1550)과 상기 결정 입력 스텝(S1560)은 순서가 반대이어도 된다. 즉, 합초 에리어가 결정된 후에 합초 에리어의 면적이 변경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형태5 : 효과)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의하 면, 실시 형태1부터 4의 효과 외에, 선택된 합초 에리어의 모니터 화면 내에서의 크기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이에 의해, 초점을 맞추려는 피사체의 크기에 따라 합초 에리어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발명의 개요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실시 형태1에 따른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 블럭도.
도 3은 모니터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실시 형태1에 따른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도.
도 5는 실시 형태2에 따른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 블럭도.
도 6은 텐키 심볼 표시 수단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실시 형태2에 따른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도.
도 8은 실시 형태3에 따른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 블럭도.
도 9는 십자키 심볼 표시 수단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실시 형태3에 따른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도.
도 11은 실시 형태4에 따른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 블럭도.
도 12는 실시 형태4에 따른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도.
도 13은 실시 형태5에 따른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 블럭도.
도 14는 합초 에리어 면적 설정 수단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실시 형태5에 따른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도.
부호의 설명
O100 :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
0110 : 모니터 화면
O111, 0112, 0113, 0114, 0115, 0116, 0117, 0118, 0119 : 모니터 화면을 분할한 영역
0120 : 텐키
0130 : 십자키

Claims (11)

  1. 피사체를 모니터시키기 위한 모니터 화면과,
    상기 모니터 화면 내에서 합초 에리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와,
    상기 선택부에서 선택된 합초 에리어를 촬영에 이용하는 합초 에리어인 촬영 합초 에리어로서 결정하기 위한 결정 입력부와,
    상기 결정 입력부에 의해 결정된 촬영 합초 에리어 내에 모니터되는 피사체에 합초 동작을 하여 촬영하는 합초 활영부
    로 이루어지는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는, 텐키 조작부를 갖고,
    상기 선택부는,
    모니터 화면을 복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각에 텐키 심볼을 할당하여 표시하는 텐키 심볼 표시 수단과,
    상기 텐키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텐키 심볼이 할당된 상기 모니터 화면의 영역을 촬영 합초 에리어로서 선택하는 텐키 심볼 선택 수단
    을 갖는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는, 십자키 조작부를 갖고,
    상기 선택부는,
    모니터 화면에 상기 십자키 조작부로 조작 가능한 십자키 심볼을 표시하는 십자키 심볼 표시 수단과,
    상기 십자키 심볼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된 십자키 심볼을 상기 십자키 조작부에 의해 조작하여 모니터 화면 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그 십자키 심볼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을 촬영 합초 에리어로서 선택하는 십자키 심볼 선택 수단
    을 갖는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는, 터치 패널 조작부를 갖고,
    상기 선택부는,
    상기 터치 패널 조작부에 의해 터치된 모니터 화면의 영역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을 촬영 합초 에리어로서 선택하는 터치 영역 선택 수단
    을 갖는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합초 에리어의 모니터 화면 내에서의 크기를 설정하기 위한 합초 에리어 면적 설정 수단을 갖는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텐키 조작부는, 본체를 한쪽 손의 손바닥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한쪽 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키 조작부는, 본체를 한쪽 손의 손바닥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한쪽 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 조작부는, 본체를 한쪽 손의 손바닥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한쪽 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
  9. 피사체를 표시하는 표시 스텝과,
    상기 표시 스텝에서 피사체가 표시된 화면 상에서 합초 에리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스텝과,
    상기 선택 스텝에서 선택된 합초 에리어를 촬영에 이용하는 합초 에리어인 촬영 합초 에리어로서 결정하기 위한 결정 입력 스텝과,
    상기 결정 입력 스텝에서 결정된 촬영 합초 에리어 내에 모니터되는 피사체에 합초 동작을 하여 촬영하는 합초 촬영 스텝
    으로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스텝은,
    상기 모니터 스텝에서 모니터 화면을 복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각에 텐키 심볼을 할당하여 표시하는 텐키 심볼 표시 스텝과,
    텐키를 조작함으로써, 텐키 심볼이 할당된 상기 모니터 화면의 영역을 촬영 합초 에리어로서 선택하는 텐키 심볼 선택 스텝
    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합초 에리어의 모니터 화면 내에서의 크기를 설정하기 위한 합초 에리어 면적 설정 수단을 갖는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
KR1020077011720A 2004-11-25 2005-09-20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 KR1008326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40939 2004-11-25
JP2004340939A JP3829144B2 (ja) 2004-11-25 2004-11-25 合焦エリア調節カメラ付携帯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4515A KR20070084515A (ko) 2007-08-24
KR100832676B1 true KR100832676B1 (ko) 2008-05-27

Family

ID=36497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1720A KR100832676B1 (ko) 2004-11-25 2005-09-20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079837A1 (ko)
EP (1) EP1830564A4 (ko)
JP (1) JP3829144B2 (ko)
KR (1) KR100832676B1 (ko)
CN (1) CN101065956B (ko)
WO (1) WO20060571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13734B2 (en) 2006-07-07 2012-07-0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ctive autofocus window
JP2008245055A (ja) * 2007-03-28 2008-10-09 Fujifilm Corp 画像表示装置、撮影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US8497928B2 (en) * 2007-07-31 2013-07-30 Palm, Inc. Techniques to automatically focus a digital camera
TW200928544A (en) * 2007-12-19 2009-07-01 Altek Corp Method of automatically adjusting the depth of field
US20100257489A1 (en) * 2007-12-25 2010-10-07 Takayuki Sakanab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446772B1 (ko) 2008-02-04 2014-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1360189B (zh) * 2008-07-03 2011-01-19 明基电通有限公司 拍照控制方法及其拍照装置
US8237807B2 (en) 2008-07-24 2012-08-07 Apple Inc. Image capturing device with touch screen for adjusting camera settings
US7844174B2 (en) * 2008-07-31 2010-11-30 Fuji Xerox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manual selection of multiple evaluation points for camera control
KR101505681B1 (ko) * 2008-09-05 2015-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촬상 방법
US20100166404A1 (en) * 2008-12-31 2010-07-01 Lombardi Michael J Device and Method Using a Touch-Detecting Surface
KR101451129B1 (ko) 2009-02-18 2014-10-1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CN101848333B (zh) * 2009-03-25 2011-09-28 佛山普立华科技有限公司 成像装置及其对焦方法
CN101710936A (zh) * 2009-12-16 2010-05-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机顶盒的iptv截图实现方法及装置
US8379134B2 (en) * 2010-02-26 2013-02-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Object detection and selection using gesture recognition
CN102572253A (zh) * 2010-12-27 2012-07-11 杜彦宏 局部感光值设定装置及方法
KR101905408B1 (ko) * 2012-01-17 2018-10-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그의 오토 포커스 방법 및 오토 포커스 캘리브레이션하는 방법
CN102629140A (zh) * 2012-03-22 2012-08-08 圆展科技股份有限公司 摄影机定位系统及其控制方法
EP2933998A4 (en) * 2012-12-28 2016-08-24 Nubia Technology Co Ltd RECORDING DEVICE AND RECORDING METHOD
CN103997565A (zh) * 2014-04-17 2014-08-20 广东明创软件科技有限公司 基于移动终端的单手操作对焦方法及其移动终端
KR102206866B1 (ko) * 2014-05-02 2021-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촬영 방법
US10419658B1 (en) 2014-07-20 2019-09-17 Promanthan Brains LLC, Series Point only Camera optimizing for several directions of interest
CN104363378B (zh) * 2014-11-28 2018-01-1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相机对焦方法、装置及终端
CN104469167B (zh) * 2014-12-26 2017-10-1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自动对焦方法及装置
CN105573016B (zh) * 2015-12-21 2019-01-18 浙江大学 一种自动对焦窗口调整方法及系统
JP6829015B2 (ja) 2016-06-23 2021-02-10 マクセル株式会社 携帯端末
CN106231132B (zh) * 2016-09-20 2019-06-1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峰值对焦方法
US10469716B2 (en) * 2016-12-16 2019-11-05 Safe Rack Llc Pivotal gangway having container spotting system
CN106911897B (zh) * 2017-02-28 2019-05-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摄焦点的确定方法及移动终端
CN107483825B (zh) * 2017-09-08 2019-12-24 上海创功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自动调整焦距的方法和装置
CN109151312A (zh) * 2018-09-04 2019-01-04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对焦方法、装置以及视频展台
CN112313943A (zh) * 2019-08-20 2021-02-02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装置、摄像装置、移动体、方法以及程序
CN110636220A (zh) * 2019-09-20 2019-12-31 Tcl移动通信科技(宁波)有限公司 图像对焦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7723A (ja) * 2001-03-22 2002-09-25 Nidec Copal Corp 携帯情報端末機
JP2003169116A (ja) * 2001-11-29 2003-06-13 Nec Corp 携帯端末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9185A (en) * 1980-02-23 1981-09-18 Fujitsu Fanuc Ltd Picture display system
JP3259996B2 (ja) * 1992-12-03 2002-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
JPH07297891A (ja) * 1994-04-20 1995-11-10 Sony Corp 通信端末
JPH11136568A (ja) * 1997-10-31 1999-05-21 Fuji Photo Film Co Ltd タッチパネル操作式カメラ
US6775361B1 (en) * 1998-05-01 2004-08-10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playback apparatus with telephone and its control method, video camera with telephone and its control method, imag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6812968B1 (en) * 1998-12-31 2004-11-02 Lucent Technologies Inc. Camera with configurable focus area
US6684087B1 (en) * 1999-05-07 2004-01-27 Openwav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on mobile devices
US7046290B2 (en) * 2000-01-26 2006-05-16 Nikon Corporation Multi-point auto-focus digital camera including electronic zoom
JP2001208960A (ja) * 2000-01-26 2001-08-03 Nikon Corp カメラ
JP2001333174A (ja) * 2000-05-22 2001-11-30 Hitachi Ltd 携帯端末装置
JP4560173B2 (ja) * 2000-05-30 2010-10-13 キヤノン株式会社 焦点検出装置
JP2003032537A (ja) * 2001-07-13 2003-01-31 Miwa Engineering:Kk 撮像素子移動装置及び電子カメラ
JP2003078743A (ja) * 2001-08-30 2003-03-14 Minolta Co Ltd デジタル画像入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096541B2 (ja) * 2001-10-01 2008-06-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面表示方法
JP2004086160A (ja) * 2002-07-03 2004-03-18 Canon Inc 光学装置
JP2004117490A (ja) 2002-09-24 2004-04-15 Fuji Photo Optical Co Ltd オートフォーカスシステム
US20040085360A1 (en) * 2002-10-31 2004-05-06 Hallmark Interactive, Llc Icon-base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ext messaging
JP2004239965A (ja) * 2003-02-03 2004-08-26 Sharp Corp 焦点調節装置、カメラ並びに焦点調節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956861B2 (ja) * 2003-02-05 2007-08-08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4297751A (ja) * 2003-02-07 2004-10-21 Sharp Corp 合焦状態表示装置及び合焦状態表示方法
JP2004294873A (ja) * 2003-03-27 2004-10-21 Canon Inc 光学装置
US7417683B2 (en) * 2003-03-26 2008-08-26 Canon Kabushiki Kaisha Auto-focusing optical apparatus with focus detection area setting capability
JP4533593B2 (ja) * 2003-04-09 2010-09-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
US7471846B2 (en) * 2003-06-26 2008-12-30 Fotonation Vision Limited Perfecting the effect of flash within an image acquisition devices using face detection
US7231231B2 (en) * 2003-10-14 2007-06-1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king a mobile telephone touch screen
JP4513317B2 (ja) * 2003-12-10 2010-07-2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複合機器、合焦制御方法及び合焦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7723A (ja) * 2001-03-22 2002-09-25 Nidec Copal Corp 携帯情報端末機
JP2003169116A (ja) * 2001-11-29 2003-06-13 Nec Corp 携帯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57101A1 (ja) 2006-06-01
KR20070084515A (ko) 2007-08-24
EP1830564A1 (en) 2007-09-05
JP3829144B2 (ja) 2006-10-04
EP1830564A4 (en) 2009-06-17
JP2006157171A (ja) 2006-06-15
US20080079837A1 (en) 2008-04-03
CN101065956A (zh) 2007-10-31
CN101065956B (zh)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2676B1 (ko) 합초 에리어 조절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
CN101547313B (zh) 一种成像装置、成像方法和程序
US20060158426A1 (en) Display apparatus with input devices
JP6541690B2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8204402A (ja)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JP2005208194A (ja) 撮影装置
JP2013070303A (ja) 画面への押圧で撮影が可能な撮影装置、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028345A (ja) 条件変更装置、カメラ、携帯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186589A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5611600B2 (ja) 電子機器
JP2011060111A (ja) 表示装置
JP2003008964A (ja) 電子カメラ
JP2011141431A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KR101049873B1 (ko)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방법, 및 기록 매체
JP3956317B2 (ja) 合焦エリア調節カメラ付携帯端末
JP2003338954A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2006201466A (ja) 入力制御装置
JP5976166B2 (ja) 画面への押圧で撮影が可能な撮影装置、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183244A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07288449A (ja) 撮像装置
JP2009064132A (ja) 入力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撮像装置
JP2006197119A (ja) 表示制御装置
JP2016192230A (ja) 保持する手の左右に応じて表示が可変な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303714A (ja) 携帯型画像表示機器及び画像表示装置を有するカメラ
JP4274547B2 (ja) 電子機器の設定画面表示方法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