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1102B1 -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1102B1
KR100831102B1 KR1020067015566A KR20067015566A KR100831102B1 KR 100831102 B1 KR100831102 B1 KR 100831102B1 KR 1020067015566 A KR1020067015566 A KR 1020067015566A KR 20067015566 A KR20067015566 A KR 20067015566A KR 100831102 B1 KR100831102 B1 KR 100831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ody
slider
shock absorber
sliding door
coupl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5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4042A (ko
Inventor
히로아키 토오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Publication of KR20060134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4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 E05D13/04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sliding wings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05F3/221Mechanical power-locks, e.g. for holding the wing open or for free-moving z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4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 E05Y2201/41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for closing
    • E05Y2201/412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for closing for the final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6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0Combinations of elements
    • E05Y2800/23Combinations of elements of elements of different categories
    • E05Y2800/24Combinations of elements of elements of different categories of springs and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Abstract

미닫이의 속도에 따라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는 완충장치를 제공한다. 미닫이(2)의 결합핀(3)을 케이스체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훅체(61)의 유지오목부(67)의 접촉력에 따라서 훅체(61)의 결합단부(71)가 압박부재(44)를 밀어붙여서, 압박부재(44)의 브레이크패드(47) 및 슬라이더(31)의 브레이크패드(39)가 브레이크 플레이트(28)에 접촉 슬라이딩한다.
Figure 112006055381282-pct00001
완충장치, 댐퍼, 슬라이딩 도어, 미닫이

Description

완충장치{DAMPING DEVICE}
본 발명은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상대적인 이동을 완충시키는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완충장치로서, 미닫이(sliding door)의 거친 닫힘을 방지하기 위한 미닫이용 완충 스토퍼가 있다. 그리고 이 미닫이용 완충스토퍼는 미닫이용 홈 레일에 고정된 기판을 갖추고 있다. 이 기판에는 길이 방향에서의 중앙부를 두깨 방향으로 향해서 만곡시킨 스프링판으로 구성된 스프링 강도조정 수단이 설치된 구성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참조).
기타 완충장치로서 케이싱과 케이싱 내에 배치된 드럼을 가지며, 케이싱 내에 실리콘 오일이 채워진 로터리 댐퍼가, 인출레일에 고정된 캐리어에 지지되며, 로터리 댐퍼의 회동축에 피니언 기어가 고정되어 있으며, 캐리어의 홈 안에 슬라이더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슬라이더는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랙을 가지고 있으며, 인장스프링의 일단이 슬라이더에 고정되고, 타단이 캐리어에 고정된 완충장치를 사용하여 로터리 댐퍼의 완충 작동중, 드럼이 케이싱의 외주의 리테이닝 슈(retaining shoe)에 눌려지도록 구성된 것이 있다.(특허문헌2참조).
특허문헌1: 특개평7-286474호공보(제2-4페이지, 도3 및 도6)
특허문헌2: 미국 특허 제6,666,306호 명세서(제2칼럼, 제3칼럼 도1 내지 도10)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러나, 상술한 미닫이용 완충스토퍼는 스프링판의 탄성력으로, 이동부 재료로서의 미닫이를 신뢰가능하게 닫는 구성이기 때문에, 이 미닫이를 닫을 때의 속도, 즉 닫히는 속도가 일정한 경우를 전제한 것이다. 따라서, 이 미닫이의 닫히는 속도가 다른 경우에는 이 미닫이의 닫히는 속도에 대응한 완충 효과를 얻을 수 없다. 구체적으로, 미닫이의 닫히는 속도가 고속일 경우에는 이 미닫이가 갖는 관성에 의해, 이 미닫이가 튕겨나올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이 미닫이의 닫히는 속도가 저속일 경우는 이 미닫이가 완전히 폐쇄하기 전에 정지해버리는 문제가 있다. 또 서랍용의 공지의 완충장치는 오로지 로터리 댐퍼에 의해 완충 효과를 얻고 있는 것으로 미닫이와 같이 중량이 있는 물체의 완충을 행하기 위해서는 장치 전체가 커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 것으로,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어느 한 쪽의 이동 속도에 따른 완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완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청구항1항에 기재된 완충장치는 제1부재와 제1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케이스체와 케이스체 내에, 케이스체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또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완충부재를 구비하고, 제1부재와 완충부재와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한 접촉(맞닿음)에 의해 완충부재는 케이스체 또는 케이스체에 고정된 부재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누르는 동시에 이 누름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부재 또는 케이스체의 이동과 함께 이동하고, 제1부재와 케이스체와의 상대적 이동을 완충하도록 한 것이다.
케이스체 내에, 케이스체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고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완충부재는 제1부재와 완충부재의 상대적 이동에 의한 접촉에 의해, 완충부재는 케이스체 또는 케이스체에 고정된 부재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누르고, 누르는 힘에 따라 상대이동에 대한 마찰 저항력이 증대하고, 제1부재와 케이스체의 상대이동 속도에 따른 완충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완충장치는 제1부재 및 케이스체의 어느 한 쪽의 이동에 의한 제1부재와 완충부재와의 접촉을 대기하는 대기자세로부터 제1부재를 유지하는 유지자세로 변화하는 완충부재를 갖고 있다.
케이스체와 제1부재와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한 접촉에 의해, 접촉력이 증가함에 따라서 완충부재는 대기자세로부터 제1부재를 확실하게 유지하는 유지자세로 이행하여, 완충 동작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청구항 제3항에 기재된 완충장치는 케이스체 내에 케이스체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더가 설치되어 있고, 슬라이더에 완충부재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고, 슬라이더와 케이스와의 사이에 슬라이더를 이동시키기 위한 탄성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제1부재 및 케이스체의 어느 한 쪽의 이동에 의한 접촉력이 탄성수단의 탄성력이하의 소정값에 달하면 슬라이더에 설치된 완충부재의 회동운동에 의해, 완충부재의 유지자세로의 자세변화 후 자동적으로 슬라이더를 탄성수단에 의해 이동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청구항 제4항에 기재된 완충장치는 케이스체가 제1부재가 상대적으로 진퇴 이동가능한, 케이스체 의 세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홈를 구비하고, 케이스체의 세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더는 제1부재가 상대적으로 진퇴 이동 가능한 사이끼움홈을 구비하고, 결합홈과 사이끼움홈은 일부가 수직 방향으로 서로 겹치고, 또한, 관통해서 위치하고 있으며, 완충부재가 사이끼움홈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결합홈와 사이끼움홈 중에 제1부재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제1부재는 완충부재와 접촉해서 제1부재의 케이스체에 대한 상대적 이동을 완충하면서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제5항에 기재된 완충장치는 슬라이더에 고정된 로터리 댐퍼와 로터리 댐퍼의 회동축에 고정된 피니언 기어와 케이스체에 고정된 랙을 구비하고 있어, 피니언 기어와 랙이 맞물리도록 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로터리 댐퍼의 제동 작용 및 피니언 기어와 랙에 의한 맞물림 저항력에 의거하는 완충 작용이, 완충부재의 케이스체 또는 케이스체에 고정된 부재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누름으로써 발생하는 완충 작용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제1부재와 완충부재와의 상대이동 속도가 늦고, 제1부재 및 케이스체의 어느 한 쪽의 이동에 의한 접촉력이 탄성수단의 탄성력 이하일 경우는 슬라이더는 탄성수단에 의해 힘이가해진다. 그 때 로터리 댐퍼는 탄성수단의 가세력에 제동을 걸음으로써 인해 완충 작용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제6항에 기재된 완충장치는 슬라이더에 고정된 랙과 케이스체에 고정된 로터리 댐퍼와 로터리 댐퍼의 회동축에 고정된 피니언 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피니언 기어와 상기 랙이 맞물리도록 한 것이다.
이 구성은 청구항 제5항에 기재된 완충장치를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로터리 댐퍼와 랙의 배치를 반대로 한 것으로 청구항5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완충장치의 제1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완충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완충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은 도 1에 도시된 완충장치의 완충부재에 접촉하기 전의 대기자세의 상태를 내보이는 설명도이다.
도 5은 도1에 도시된 완충장치의 완충부재로 유지한 유지자세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완충장치의 완충부재로 끌어 들인 유지자세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완충장치의 접촉력이 작을 경우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완충장치의 제2부재의 접촉력이 클 경우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완충장치의 제2의 실시의 형상의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완충장치에 있어서, 케이스체 내에 위치조정 가능한 고정부재를 완충부재로부터 이간 거리를 크게 한 상태로 고정해서 내보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완충장치에 있어서 케이스체 내에 위치조정 가능한 고정부재를 완충부재로부터의 이간 거리를 작게 한 상태로 고정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완충장치의 제3의 실시의 형상의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완충장치의 제4의 실시의 형태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완충장치의 제5의 실시의 형상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완충장치를 미닫이에 적용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완충장치를 서랍에 적용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완충장치를 여는 문에 적용한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완충장치를 여는 문에 적용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완충장치를 미닫이에 적용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완충장치를 미닫이에 적용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완충장치를 미닫이에 적용한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완충장치의 실시예의 제1부재를 대기하는 상태로 나타내는 평면약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완충장치의, 제1부재를 유지한 상태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완충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제1부재를 대기하는 상태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1부재를 유지한 상태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도에 있어서 기능적으로 동일유사한 작용을 하는 부분에 동일참조 번호가 붙여 있다. 또 도1~14 및 도23~26에 있어서 위 뚜껑은 떼어서 나타내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완충장치의 제1의 실시의 형상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1 내지 도8에 있어서, (1)은 개폐체 장치로서의 미닫이 장치로, 이 미닫이 장치(1)은 도시되지 않은 구형형상의 위쪽 및 아래쪽의 개구 가장자리에 단면이 대략 “コ”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가늘고 긴 도시되지 않은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은 이들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에 따른 횡단면이 오목홈 형상의 슬라이딩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고, 서로의 슬라이딩 오목부를 평행하게 대향시킨 상태로, 개구부의 개구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한 쌍의 가이드 레일에는 문체(門體)로서의 구형 평판 형상의 미닫이(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들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이 설치된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한다. 즉, 이 미닫이(2)의 상단 가장자리는 개구부의 위쪽의 열린 쪽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의 슬라이딩 오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 또한, 이 미닫이(2)의 하단 가장자리는 개구부의 아래쪽의 개구 가장자리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의 슬라이딩 오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
또한, 이 미닫이(2)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면인 상단면에는 이 미닫이의 위쪽을 향해서 돌출한 제1부재로서의 가늘고 긴 원통형상의 결합핀(3)이 부착되어 있다. 이 결합핀(3)은 축방향을 미닫이(2)의 높이 방향으로 돌출시켜서 설치된 결합체에서 있어, 이 미닫이의 상단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한, 이 결합핀(3)은 미닫이(2)의 상단면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일단부이며, 또한 이 미닫이(2)의 상단면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결합핀(3)은 미닫이(2)의 상단면에 설치된 설치부재료로서, 대략 구형 평판 형상의 설치 플 레이트(4)의 상단면에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한편, 개구부의 위쪽의 개구 가장자리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의 슬라이딩 오목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에는 가늘고 긴 대략 구형 평판 형상의 미닫이클로져(11)가 부착되어 있다. 이 미닫이 클로져(11)는 미닫이의 거친 닫힘을 방지하는 완충장치로서의 거친 닫힘 방지장치다. 그리고, 이 미닫이 클로져(11)는 가늘고 긴 대략 구형 평판 형상의 케이스체(12)를 갗추고 있다. 이 케이스체(12)의 상면측에는 이 케이스체(12)의 길이 방향으로 단면이 오목 형상의 설치오목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설치오목부(13)의 저면을 구성하는 저면부(14)에는 케이스체(12)의 길이 방향에 따른 가늘고 긴 홈 형상의 결합홈(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홈(15)은 미닫이(2)의 결합핀(3)이 길이 방향으로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이 결합핀(3)의 지름보다 약간 큰 폭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 결합홈(15)은 저면부(14)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로부터, 케이스체(12)의 길이 방향으로 전단측까지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이 결합홈(15)는 케이스체(12) 전단 측까지 상하로 관통하고 있어, 이 케이스체(12) 전단 면에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케이스체(12) 전단면으로부터 설치오목부(13)까지의 사이에 결합홈(15)은 이 케이스체(12)의 저면부(14)에 설치된 슬롯 형상의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결합홈(15) 전단 측의 개구 가장자리에는 이 결합홈(15) 전단 측으로 향해서 테이퍼 형상으로 열린 안내면부(1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면부(16)는 미닫이(2)의 이동에 의한 결합핀(3)의 결합홈(15)에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안 내면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케이스체(12)의 설치오목부(13)의 저면부(14)에는 가늘고 긴 홈 형상의 슬라이딩홈부(1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딩홈부(17)은 설치오목부(13)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홈부(18)를 구비하고 있다. 이 이동홈부(18)는 결합홈(15)에 평행하게 병설되어 있다. 또한, 이 이동홈부(18)는 설치오목부(13)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중앙부로부터 이 설치오목부(13) 전단부까지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이동홈부(18) 전단부에는 설치오목부(13)의 폭방향을 향하는 가늘고 긴 홈 형상의 회동홈부(19)가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회동홈부(19)은 케이스체(12) 전단측에서 원호 형상으로 만곡한 형상를 갖는다. 또한, 이 회동홈부(19)는 설치오목부(13)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로부터 이 설치오목부(13)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일측 가장자리부 까지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회동홈부(19)는 이 회동홈부(19)의 일단 가장자리가 이동홈부(18) 전단측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케이스체(12)의 설치오목부(13)의 저면부(14)에는 이 저면부(14)로부터 수직하게 돌출한 원주형상의 스프링 고정부(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 고정부(21)는 설치오목부(13)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 즉 후단부에 위치한다. 즉, 이 본체부(22)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이 본체부(22)보다도 지름이 큰 원반형상의 확대부분(23)이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체(12)의 설치오목부(13)의 저면부(14)에 있어서의 후단측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이 저면부(14)보다도 위쪽을 향해서 돌출한 돌출부(24)가 일체적 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24)는 저면부(14)의 후단 가장자리 및 일측 가장자리에 연속하고 있고, 이 저면부(14)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거의 중앙부에 도달하고 있다. 또한, 이 돌출부(24)에 있어서의 케이스체(12)의 일측에 위치하는 폭방향에 있어서의 측면은 케이스체(12)의 길이 방향 및 상하 방향의 각각 따른 평탄한 평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돌출부(24)의 타측면에는 케이스체(12)의 길이 방향으로 이(25)를 갖는 랙(2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케이스체(12)의 설치오목부(13)의 전단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일측부에는 고정홈(27)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홈(27)은 설치오목부(13)보다도 케이스체(12) 전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 고정홈(27)은 설치오목부(13)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케이스체(12) 전단측으로 향해서 뻗은 후, 이 케이스체(12)의 다른 측을 향해서 직각으로 구부러져서 뻗어있고, 위에서 보았을 때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정홈(27)에는 가늘고 긴 구형형상의 평판체의 선단 측을 L자 형태로 구부린 형상의 브레이크 플레이트(28)의 선단 가장자리가 끼워맞추어져서 고정되어 있다.
이 브레이크 플레이트(28)는 예를 들면 금속 등으로 구성된 접촉부재료로서 작용한다. 또한, 이 브레이크 플레이트(28)는 선단 가장자리를 케이스체(12)의 고정홈(27)에 고정한 상태에서 이 케이스체(12)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오목부(13)안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이 브레이크 플레이트(28)는 이 브레이크 플레이트(28)의 기단 가장자리가 케이스체(12)의 돌출부(24) 전단 측면에 접촉하는 길이를 갖는다. 그러나 그 길이는 접촉하는 길이보다 짧아도 상관없다. 또한, 이 브레이크 플레이 트(28)는 케이스체(12)의 설치오목부(13) 내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일측면으로부터 이간된 상태로, 이 설치오목부(13)안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체(12)의 설치오목부(13)에는 이 설치오목부(13)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더(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31)는 케이스체(1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슬라이더(31)는 설치오목부(13)의 폭과 거의 같은 폭을 갖는 대략 구형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더(31) 앞끝에는 이 슬라이더(31)의 길이 방향으로 확장되는 사이끼움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사이끼움홈(32)은 미닫이(2)의 상단면에 부착된 결합핀(3)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홈이며, 이 결합핀(3)의 폭보다 약간 큰 폭을 갖는다. 또한, 이 사이끼움홈(32)는 슬라이더(31)의 일단측을 향해서 열려 있고, 이 슬라이더(31)의 두께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사이끼움홈(32)은 슬라이더(31)를 케이스체(12)의 설치오목부(1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이 케이스체(12)의 결합홈(15)의 길이 방향에 따라 결합홈과 상하 방향으로 연통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31)의 전단 코너부에는 이 슬라이더(31)의 하면에 수직하게 돌출한 원주형상의 스프링 고정부(3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스프링 고정부(33)는 원주형상의 본체부분(34)을 구비하고 있다. 이 본체부(34)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이 본체부(34)보다도 지름이 큰 원판형상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 스프링 고정부(33)의 본체부(34)에는 강선을 나선형태로 감아서 형성된 탄성수단으로서의 스프링부재인 코일스프링(36)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이 코일스프링(36)은 이 코일스프링(36)의 길이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다. 또한, 이 코일스프링(36)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는 케이스체(12)의 스프링 고정부(21)의 본체부(22)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코일스프링(36)은 후술하는 훅체(61)의 끌어들이는 자세로의 자세변화에 의해 슬라이더(31)와 케이스체(12)와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으로 향해서 밀어붙인다.
또한, 슬라이더(31)의 하면에 있어서의 일측단에는 이 슬라이더(31)의 길이 방향으로 존재하는 접촉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부(37)의 높이 방향면, 즉 폭의 면은 슬라이더(31)를 케이스체(12)의 설치오목부(13)에 설치한 상태로, 이 설치오목부(13)에 설치된 브레이크 플레이트(28)의 일측면에 슬라이딩 접촉되는 평탄한 접촉면(3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면(38)은 슬라이더(31)의 길이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뻗어 있다. 또한, 이 접촉면(38)에는 예를 들면 마찰 재료 등으로 구성된 가늘고 긴 평판 형상의 브레이크패드(39)가 부착되어 있다. 이 브레이크패드(39)는 접촉면(38)의 길이 방향 및 폭방향으로, 이 접촉면(38)을 덮고 있다.
또한, 슬라이더(31)의 하면에는 이 슬라이더(31)의 접촉부(37)의 접촉면(38)에 마주보고 간격을 두고 걸림부(41)가 설치되어 있다. 이 걸림부(41)는 이 접촉면(38)의 후단부에 마주보고 위치하고 있다. 이 걸림부(41)에 인접하여 슬라이더(31)의 폭방향으로 뻗어있는 걸림홈(4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31)의 걸림홈(42)보다 전단측에 인접하여, 걸림홈(42)의 후단측에 위치하는 계단 형상의 걸림부(41)의 선단보다 선단면이 후퇴해서 위치하고 있는 걸림계단부(4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걸림홈(42) 및 걸림계단부(43)에는 예를 들면 금속 등으로 구성된 압박부재(4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압박부재(44)는 가늘고 긴 구형 평판체를 L자 형상으로 구부려서 구성되고, 한쪽의 다리부(45) 및 다른 쪽의 다리부(46)를 갖는다. 또한, 이 압박부재(44)는 이 압박부재(44)의 한쪽의 다리부(45)의 내측면이 걸림계단부(43)에 접촉하도록 또한 이 압박부재(44)의 다른 쪽의 다리부(46)가 걸림홈(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서 걸려 있다. 즉, 이 압박부재(44)의 다른 쪽의 다리부(46)는 슬라이더(31)의 걸림홈(42)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이 압박부재(44)의 한쪽의 다리부(45)의 외측면에는 예를 들어, 마찰재 등으로 구성된 평판 형상의 브레이크패드(4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브레이크패드(47)는 압박부재(44)의 다리부(45)의 외측면을 덮고 있다. 이 브레이크패드(47)와 슬라이더(31)의 접촉면(38)에 설치된 브레이크패드(39)에 의해, 브레이크 플레이트(28)를 사이에 끼워넣어서 슬라이딩 접촉하는 구성으로 된다.
또한, 슬라이더(31)의 폭방향에 있어서 일측부와 후단부 코너부에는 이 코나부를 슬라이더(31)의 길이 방향 및 폭방향으로 절결한 노치부(48)가 설치되어 있다. 이 노치부(48)에는 하면에 피니언 기어(51)가 수평방향을 향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로터리 댐퍼(50)의 댐퍼플레이트(5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댐퍼플레이트(52)는 슬라이더(31)를 케이스체(12)의 설치오목부(13)에 설치한 상태로, 피니언 기어(51)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으로 걸쳐서 설치된 이(53)가 케이스체(12)의 랙(26)의 이(25)에 회동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로터리 댐퍼(50)는 피니언 기어(51)의 회동에 저항해서 슬라이더(31)의 이동에 대하여 완충 작용한다.
또한, 이 슬라이더(31)의 전단측에는 이 슬라이더(31)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 축받이 구멍(54)이 뚫어져 설치되어 있다. 이 축받이 구멍(54)은 걸림홈(42) 보다 전단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사이끼움홈(32)과 슬라이더의 길이 방향측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축받이 구멍(54)은 사이끼움홈(32)보다 후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축받이 구멍(54)에는 완충부재로서 작용하는 훅체(61)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훅체(61)는 미닫이(2)의 이동에 의한 결합핀(3)에 의해 케이스체(12)를 누르는 동시에, 이 케이스체(12)의 누른 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더(31)와 함께 케이스체(12) 내를 슬라이딩하고, 이 슬라이더(31)와 케이스체(12)와의 상대적인 이동을 완충시킨다. 구체적으로, 이 훅체(61)는 미닫이(2)의 이동에 의한 결합핀(3)에의 접촉에 의해, 이 접촉을 대기하는 대기 위치로부터 회동하여 결합핀(3)을 유지하는 유지자세인 끌어 들이는 자세로 자세변화한다. 또한, 이 훅체(61)는 평판형상의 본체부(62)을 구비하고 있다. 이 본체부(62)의 표면에는 슬라이더(31)의 축받이 구멍(54)에 회동가능하게 축받이되는 원주형상의 단축(63)이 설치되어 있다. 이 단축(63)은 본체부(62)의 후단측의 일측부의 코너부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본체부(62)의 이면에는 케이스체(12)의 슬라이딩홈부(17)의 이동홈부(18) 및 회동홈부(19)의 각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출부(6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돌출부(64)는 슬라이딩홈부(17)의 이동홈부(18)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사이에 끼워지는 길이방향 치수를 갖고 있는 동시에, 이 슬라이딩홈 부(17)의 회동홈부(19)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폭방향 치수를 갖는다. 따라서, 이 결합돌출부(64)의 양측 가장자리의 각각은 슬라이딩홈부(17)의 회동홈부(19)에 따른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훅체(61)의 본체부(62)의 일측부에는 이 훅체(61)의 단축(63)의 가장자리로부터 결합돌출부(64)의 가장지리부에로 폭방향에서 경사진 경사면부(65)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부(65)의 반대측인 본체부(62)의 다른 측부의 후단측에는 이 경사면부(65)와 평행하게 경사한 경사면부(6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부(66) 전단측에는 본체부(62)의 다른측 가장자리로부터 한쪽측 가장자리로 오목형상으로 형성된 유지오목부(6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유지오목부(67)는 이 본체부(62)의 폭방향의 중앙부에서 기타측을 향해서 입을 열고 있다. 또한, 이 유지오목부(67)는 본체부(62)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또한, 본체부(62)의 유지오목부(67)보다 앞끝의 가까운 쪽에는 요(凹)형상의 조작오목부(6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오목부(68)와 유지오목부(67)와의 사이에는 돌출면부(6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62)의 후단부의 코너부에는 이 본체부(62)의 후단측을 향해서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단부(7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단부(71)는 훅체(61)의 단축(63)을 슬라이더(31)의 축받이 구멍(54)에 회동 가능하게 끼운 상태로, 압박부재(44)의 한 방향의 다리부(45)의 안쪽면에 삽입되어 누른다. 다시 말해, 이 결합단부(71)는 이 결합단부(71)에 의한 압박부재(44)의 누름에 의해, 이 압박부재(44)의 한 쪽의 다리부(45)의 외측면에 설치된 브레이크패드(47)를 브레이크 플레이트(28)의 측면에 접촉시킨다.
그 다음에, 상기 제1의 실시의 형상의 미닫이 클로져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미닫이(2)를 닫는 동작을 하고,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미닫이(2)의 상단면에 부착된 결합핀(3)을 미닫이클로져(11) 측으로 향하게 해서 이동시킨다.
이 때, 이 미닫이(2) 위의 결합핀(3)이, 미닫이 클로져(11)의 케이스체(12)의 결합홈(15) 및 슬라이더(31)의 사이끼움홈(32)의 각각에 삽입되어, 이 결합홈(15) 및 사이끼움홈(32) 안을 슬라이딩 하고, 훅체(61)의 유지오목부(67)에 접촉해서 삽입된다.
그리고, 이 결합핀(3)에 의한 훅체(61)의 유지오목부(67)로의 접촉에 의해, 이 훅체(61)의 후단측이 눌러진다. 이 결과 이 훅체(61) 전단측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이 훅체(61)의 유지오목부(67)에 결합핀(3)이 삽입 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 이 훅체(61)는 이 훅체(61)의 결합돌출부(64)가 케이스체(12)의 슬라이딩홈부(17)의 회동홈부(19)에 안내되면서, 슬라이더(31)의 축받이 구멍(54)에 끼워맞춰진 단축(63)을 회동 중심으로 해서 회동한 후, 이 훅체(61)의 결합돌출부(64)가 케이스체(12)의 슬라이딩홈부(17)의 이동홈부(18)로 이동한다.
이 결과 결합돌출부(64)와 회동홈부(19)가 결합이 해제되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훅체(61), 결합핀(3) 및 슬라이더(31)의 각각이 인장스프링으로서 작용하는 코일스프링(36)의 탄성력에 의해 케이스체(12)의 후단부로 이동한다.
이때, 슬라이더(31)에 설치된 로터리 댐퍼(50)의 피니언 기어(51)의 이(53) 가 케이스체(12)의 랙(26)의 이(25)에 맞물린다. 따라서, 훅체(61), 결합핀(3) 및 슬라이더(31)의 이동에 따라 랙(26)에 대하여 피니언 기어(51)가 회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1)의 후단측이 케이스체(12)의 설치오목부(13)의 후단측에 접촉할 때까지, 이 슬라이더(31)과 함께 훅체(61) 및 결합핀(3)의 각각이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한다.
여기서, 미닫이(2)의 닫히는 속도가 비교적 늦고, 이 미닫이(2)의 결합핀(3)의 훅체(61)의 유지오목부(67)로의 접촉력이 코일스프링(36)의 탄성력보다 작을 경우나 로터리 댐퍼(50)에 의한 완충 작용이 랙(26)에 부여되어, 이 로터리 댐퍼(50)의 피니언 기어(51)에 대한 회동 저항력과 랙(26)과 피니언 기어(51)에 의한 맞물림 저항력과 코일스프링(36)의 탄성력과의 합력보다 작을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훅체(61)의 유지오목부(67)의 안쪽면에서 결합핀(3)이 눌러져서, 이 결합핀(3)이 소정의 위치까지 확실하게 이동한다.
이에 대하여, 미닫이(2)의 닫히는 속도가 비교적 빠르고, 이 미닫이(2)의 결합핀(3)의 훅체(61)의 유지오목부(67)로의 접촉력이 코일스프링(36)의 탄성력보다 클 경우나, 로터리 댐퍼(50)에 의한 완충 작용이 생기고, 이 로터리 댐퍼(50)의 피니언 기어(51)에 의한 회동 저항력이 훅(26)과 피니언 기어(51)와의 맞물림에 의한 저항력과 코일스프링(36)의 탄성력과의 합력보다 클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훅체(61)의 결합단부(71)로 압박부재(44)의 한 방향의 다리부(45)의 안쪽면이 눌러져서, 이 압박부재(44)의 브레이크패드(47)이 브레이크 플레이트(28)의 타측면을 압박 동시에, 이 브레이크패드(28)의 일측면이 슬라이더(31)의 접촉 면(38)에 설치된 브레이크패드(39)을 단단히 누른다.
따라서, 이 훅체(61), 결합핀(3) 및 슬라이더(31)의 이동에 따라, 압박부재(44)의 브레이크패드(47) 및 슬라이더(31)의 브레이크패드(39)의 각각이 브레이크 플레이트(28)를 사이에 끼우면서 슬라이딩접촉되어, 이 결합핀(3)의 후단측으로의 이동이 완충된다.
또한, 미닫이(2)에서 개구부를 닫은 상태로부터, 이 미닫이(2)를 개방 동작하여, 이 미닫이(2) 위의 결합핀(3)을 미닫이클로져(11)의 전단측을 향해서 이동시킨다.
이 때, 이 결합핀(3)의 전단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훅체(61)를 통하여 슬라이더(31)가 케이스체(12) 전단측으로 이동에 의해, 코일스프링(36)이 신장되어 간다.
동시에, 이 결합핀(3)의 전단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이 결합핀(3)이 훅체(61)의 유지오목부(67)안의 전단측을 누르고, 이 훅체(61)가 오른쪽으로 회동한다.
이 결과 이 훅체(61)의 오른쪽으로 회전에 의해, 이 훅체(61)의 결합단부(71)에 의한 압박부재(44)을 통한 브레이크 플레이트(28)의 압박이 해제된다. 따라서, 이 브레이크 플레이트(28)에의 압박부재(44)의 압박에 의한 완충 작용이 해제된 상태로, 미닫이(2)를 개방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미닫이(2)의 개방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더욱 미닫이(2)를 개방 동작하면, 이 미닫이(2)위의 결합핀(3) 에 의해 훅체(61)가 눌러져서, 이 훅체(61)의 결합돌출부(64)가 케이스체(12)의 슬라이딩홈부(17)의 이동홈부(18)로부터 회동홈부(19)로 안내된다.
이 결과 이 훅체(61)가 오른쪽 회전으로 회전하여 대기 위치 자세로 자세변화하여, 이 훅체(61)의 유지오목부(67)에 의한 결합핀(3)의 결합의 유지상태가 해제되는 동시에, 이 훅체(61)의 결합돌출부(64)가 케이스체(12)의 슬라이딩홈부(17)의 회동홈부(19)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코일스프링(36)이 신장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미닫이(2)의 닫히는 속도가 비교적 늦고, 이 미닫이(2)의 결합핀(3)에 의한 훅체(61)의 유지오목부(67)로의 접촉력이 코일스프링(36)의 탄성력보다 작을 경우나, 로터리 댐퍼(50)에 의한 완충 작용이 부여되어, 이 로터리 댐퍼(50)의 피니언 기어(51)의 랙(26)에 대한 회동 저항력 및 마찰력과 코일스프링(36)의 탄성력과의 합력보다 작을 경우에는 이 코일스프링(36)의 탄성력에 의해 훅체(61)의 유지오목부(67)의 안쪽면에서 결합핀(3)이 눌러지기 때문에, 이 결합핀(3)을 소정의 위치까지 확실하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미닫이(2)의 닫히는 속도가 늦고, 이 미닫이(2)으로 개구부가 완전히 닫히기 전에, 이 미닫이(2)이 정지해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미닫이(2)를 개방 동작할 때에, 결합핀(3)이 훅체(61)의 유지오목부(67)안의 전단측을 누르고, 이 훅체(61)가 회동함으로써, 이 훅체(61)에 의한 압박부재(44)의 브레이크 플레이트(28)로의 압박이 해제되므로, 미닫이(2)를 원활하게 개방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이 미닫이(2)의 닫히는 속도가 비교적 빠르고, 이 미닫이(2)의 결합핀(3)에 의한 훅체(61)의 유지오목부(67)로의 접촉력이 코일스프링(36)의 탄성력보다 클 경우나, 로터리 댐퍼(50)에 의한 완충 작용이 부여되어, 이 로터리 댐퍼(50) 피니언 기어(51)의 랙(26)에 대한 회동 저항력 및 마찰력과 코일스프링(36)의 탄성력과의 합력보다 클 경우에는 이 훅체(61)가 이동할 때에, 이 훅체(61)의 결합단부(71)가 압박부재(44)를 누르고, 이 압박부재(44)의 브레이크패드(47) 및 슬라이더(31)의 브레이크패드(39)에서 브레이크 플레이트(28)를 사이에 끼우면서 슬라이딩 접촉한다.
따라서, 압박부재(44)의 브레이크패드(47) 및 슬라이더(31)의 브레이크패드(39)의 각각의 누름에 의한 브레이크 플레이트(28)의 마찰력이, 코일스프링(36)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작용하고, 결합핀(3)의 후단측으로의 이동을 확실하게 완충한다. 이 결과 이 미닫이(2)의 닫히는 속도가 빠를 경우에, 이 미닫이(2)이 소유하는 관성에 의해, 이 미닫이(2)이 튀어 올라서 개구부가 완전히 닫아지지 않게 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미닫이(2)의 닫히는 속도의 차이에 의한 결합핀(3)의 훅체(61)의 유지오목부(67)에 접촉하는 힘에 반응하여, 이 훅체(61)에 의한 결합핀(3)의 누르는 힘이 변화된다. 이 때문에, 이 결합핀(3)이 부착된 미닫이(2)의 이동 속도에 따른 완충을 확실하게 얻을 수 있으므로, 미닫이(2)를 어떤 닫히는 속도로 닫아도 이 미닫이(2)로 개구부를 확실하게 닫을 수 있기 때문에, 이 미닫이(2)의 거친 닫힘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결합핀(3)에 의한 훅체(61)의 유지오목부(67)로의 접촉에 의해, 이 훅체(61)가 좌회전 방향으로 회전함으러써, 이 훅체(61)가 결합핀(3)의 접촉을 대기하는 대기 위치 자세로부터, 이 결합핀(3)을 끌어 들여서 유지하는 끌어 들이는 자세로 자세변화한다. 이 결과 훅체(61)의 회동에 의한 대기 위치 자세로부터 끌어 들이는 자세로의 자세변화에 의해, 결합핀(3)의 출구가 훅체(61)의 유지오목부(67)의 안쪽면에서 완전히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이 훅체(61)의 유지오목부(67)로의 결합핀(3)의 접촉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이 훅체(61)의 역방향의 회동에 의해, 이 훅체(61)을 끌어 들이는 자세로부터 대기 위치 자세로 되돌릴 수 있다.
또한, 이 훅체(61)의 유지오목부(67)에 결합핀(3)이 갑합된 상태로, 이 훅체(61) 이 회동해서 끌어 들이는 자세로 자세변화한 후, 이 훅체(61)가 이동하는 이동 방향을 따라, 이 훅체(61)를 코일스프링(36)의 탄성력으로 밀어붙인다. 이 결과 결합핀(3)의 훅체(61)의 유지오목부(67)로의 접촉력이, 코일스프링(36)의 탄성력이하의 경우나, 로터리 댐퍼(50)에 의한 완충 작용이 부여되어 로터리 댐퍼(50)의 회동 저항력 및 마찰력과 코일스프링(36)의 탄성력과의 합력이하의 경우이면, 이 코일스프링(36)의 탄성력으로 훅체(61)를 자동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 훅체(61) 및 슬라이더(31)의 각각을 케이스체(12)의 설치오목부(13)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시키는 동시에, 이 케이스체(12)의 설치오목부(13)안에 브레이크 플레이트(28)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케이스체(12)를 가이드 레일의 슬라이딩 오목부 내에 설치함으로써, 훅체(61), 슬라이더(31) 및 브레이 크 플레이트(28)의 제 각기를 기존의 미닫이가나 미닫이장치등에 달 수 있다. 따라서, 이 훅체(61), 슬라이더(31) 및 브레이크 플레이트(28)를 구비한 미닫이클로져(11)를 뒤에 다는 것이 가능해 지기 때문에, 이 미닫이클로져(11)의 사용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결합핀(3)에 의한 훅체(61)의 유지오목부(67)로의 접촉력이, 코일스프링(36)의 탄성력보다 클 경우나, 로터리 댐퍼(50)에 의한 완충 작용이 부여되어 로터리 댐퍼(50)의 회동 저항력 및 마찰력과 코일스프링(36)의 탄성력과의 합력보다 클 경우에는 이 훅체(61)의 결합단부(71)가 압박부재(44)를 누르고, 이 압박부재(44)의 브레이크패드(47) 및 슬라이더(31)의 브레이크패드(39)로 브레이크 플레이트(28)를 사이에 끼우면서 슬라이딩 접촉하는 브레이크 기구가 작용한다. 따라서, 압박부재(44)의 브레이크패드(47) 및 슬라이더(31)의 브레이크패드(39)의 각각의 누름에 의한 브레이크 플레이트(28)의 마찰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로터리 댐퍼(50)의 피니언기어(51)가 랙(26)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것에 의한 마찰력 및 저항력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 때문에, 이 로터리 댐퍼(50) 및 랙(26) 각각을 소형화할 수 있다.
여기서, 로터리 댐퍼(50)는 미닫이(2)의 닫히는 속도가 늦게, 이 미닫이(2)이 코일스프링(36)에 의해 끌려들어갈 때나, 이 미닫이(2)의 닫히는 속도가 빠르고, 이 미닫이(2)에의 미닫이클로져(11)에 의한 완충 작용에 의해, 이 미닫이(2)의 닫히는 속도가 결과적으로 늦어져서, 이 미닫이(2)이 코일스프링(36)에 의해 끌어 들여질 때에, 특히 효과를 발휘한다. 다시 말해, 이 로터리 댐퍼(50)는 코일스프 링(36)의 밀어붙이는 힘에 제동을 걸면서 미닫이(2)를 닫도록 작용한다.
한편, 상기 제1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압박부재(44)를 통하여 브레이크 플레이트(28)에 훅체(61)을 슬라이딩 접촉시켰지만, 압박부재(44)를 직접 케이스체(12)이나 고정부재로서의 가이드 레일등에 슬라이딩 접촉시켜도 좋다. 또한, 훅체(61)와 압박부재(44)를 별체에 형성했지만, 이 압박부재(44)를 훅체(61)의 일부로서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이 훅체(61)을 직접, 브레이크 플레이트(28)이나 케이스체(12) 및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접촉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9 내지 도11에 나타내는 제2의 실시의 형태와 같이, 케이스체(12)의 설치오목부(13)안의 브레이크 플레이트(28)를 케이스체(12)의 폭방향에 있어서 조정 가능하게 하는 조정기구(80)를 케이스체(12) 안에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조정기구(80)는 훅체(61)과 브레이크 플레이트(28) 혹은 케이스체(12)와의 사이의 이간거리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이 브레이크 플레이트(28)와 압박부재(44)의 브레이크 패드(47)과 사이의 거리를 조정한다.
구체적으로, 이 조정기구(80)는 브레이크 플레이트(28)의 상면 및 하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복수, 예를 들면 총 4개의 원주형상의 돌부(81)를 구비하고 있다. 이 돌부(81)는 브레이크 플레이트(28)의 상면 및 하면의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브레이크 플레이트(28)의 하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측의 돌부(81)는 케이스체(12)의 설치오목부(13)의 저면부(14)에 설치된 긴 구멍 형상의 긴구멍홈(8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긴구멍홈(82)은 케이스체(1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는다. 또한, 이 긴구멍홈(82)은 결합돌부(81)의 지름보다 약간 큰 치수의 폭을 갖는다.
또한, 브레이크 플레이트(28)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인 후단에는 결합요부(83)가 열린 김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요부(83)는 브레이크 플레이트(28)의 일측면측을 향해서 열려 있다. 또한, 이 결합요부(83)의 저면부의 내주 가장자리에 이 결합요부(83)의 내주면에서도 직경이 큰 이탈방지홈(8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결합요부(83)에는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원주형상의 나사(85)가 부착되어 있다. 이 나사(85)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선단부에는 브레이크 플레이트(28)의 결합요부(83)에 결합되는 결합돌부(8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돌부(86)의 선단가장자리에는 브레이크 플레이트(28)의 결합요부(83)의 이탈방지홈(84)에 결합되어 이 결합요부(83)에 대하여 나사(85)의 선단부를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이탈방지부(87)가 둘레 방향에 따라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나사(85)의 축방향 있어서의 바닥 기단부에는 제1베벨기어(91)가 회동 가능하게 케이스체(12)에 부착되어 있다. 이 제1베벨기어(91)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있어, 내주면에 암컷 나사가 형성된 나사구멍(9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구멍(92)의 바닥 끝측에는 나사(85)의 바닥 끝단부가 회전가능하게 나사로 맞추어져 있다. 또한, 이 제1베벨기어(91)의 선단측의 외주면에는 이 제1베벨기어(91)의 선단측을 향하는 테이퍼(tapered) 형상의 베벨기어면(9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1베벨기어(91)의 베벨기어면(93)에는 케이스체(12)의 설치오목부(13)안에 수용된 제2베벨기어(94)의 베벨기어면(95)이 회동 가능하게 맞물려져 있다. 그리고, 이 제2베벨기어(94)의 베벨기어면(95)은 이 제2베벨기어(94)의 축방향에 있어서 하단의 위쪽에 선단측을 향해서 지름이 축소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2베벨기어(94)의 바닥 끝면에는 십자형상의 조작홈(9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홈(96)에는 도시되지 않은 십자 드라이버의 선단부가 갑합되어, 이 십자 드라이버에서 제2베벨기어(94)를 회동 조작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2베벨기어(94)는 케이스체(12)의 설치오목부(13)의 저면부(14)에 설치된 원형형상의 삽입통과구멍(97)으로부터 이 제2베벨기어(94)의 조작홈(96)를 케이스체(12)의 하면에 노출시킨 상태로, 이 케이스체(12)의 설치오목부(13)안에 회동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십자 드라이버의 선단부를 케이스체(12)의 삽입통과구멍(97)에 통과시키게 해서, 제2베벨기어(94)가 조작홈(96)에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이 십자 드라이버에서 제2베벨기어(94)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이 제2베벨기어(94)의 회전에 따라 제1베벨기어(91)이 회전하고, 나사(85)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이 나사체(85)의 이동에 의해, 브레이크 플레이트(28)의 결합돌부(81)의 각각은 케이스체(12)의 긴구멍홈(82)에 안내되면서, 이 브레이크 플레이트(28)가 케이스체(12)의 폭방향을 향해서 이동하고, 이 브레이크 플레이트(28)과 압박부재(44)의 브레이크패드(47)와의 틈(간격)이 조정된다.
이 결과 이 브레이크 플레이트(28)와 압박부재(44)의 브레이크패드(47)와의 틈(간격)을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중량이 있는 미닫이(2)이나 경량인 미닫이(2)라도 대응해서 조정할 수 있는 동시에, 미닫이클로져(11)를 가이드 레일의 슬라이딩 오목부내에 부착한 상태로, 브레이크 플레이트(28)와 압박부재(44)의 브레이크패드(47)와의 틈(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이 미닫이클로져(11)의 사용 편리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도12에 도시된 제3의 실시 형태와 같이 , 브레이크 플레이트(28)의 위치를 케이스체(12)의 설치오목부(13)의 일측에서 조정할 수 있게 조정기구(80)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 조정기구(80)은 케이스체(12)의 폭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는 긴구멍홈(8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케이스체(12)의 설치오목부(13)의 일측면에는 이 설치오목부(13)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아래 쪽을 향해서 오목 형상으로 절결한 절결오목부(10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오목부(101)에는 나사(85)의 제거방지편(87)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브레이크 플레이트(28)의 폭방향의 일측면에는 나사가 형성된 나사구멍(10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구멍(102)에는 나사(85)의 바닥 끝단측이 회동가능하게 나사 결합 되어있다.
따라서, 케이스체(12)의 측부에서 이 케이스체(12)의 절결오목부(101)에 끼워맞춰진 나사(85)를 회전시킴으로써 브레이크 플레이트(28)의 돌부(81) 각각이 케이스체(12)의 긴구멍홈(82)에 안내되면서, 이 브레이크 플레이트(28)이 케이스체(12)의 폭방향을 향해서 이동하고 이 브레이크 플레이트(28)와 압박부재(44)의 브레이크패드(47)와의 틈(간격)이 조정된다. 이 결과 이 브레이크 플레이트(28)과 압박부재(44)의 브레이크패드(47)와의 문틈을 조정함으로써, 중량이 있는 미닫이(2)이나 경량한 미닫이(2)라도 대응해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미닫이 클로져의 사용 편리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도13에 도시된 제4의 실시의 형태와 같이, 훅체(61)를 결합핀(3)의 이동과 함께 슬라이딩 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훅체(61)의 유지오목부(67)는 케이스체(12)의 길이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있는 동시에, 슬라이더(31)의 사이끼움홈(32)에 연통해서 열려 있다. 또한, 이 훅체(61)의 유지오목부(67)의 안쪽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 각각에는 이 유지오목부(67)에서 결합핀(3)을 걸거나 벗김이 가능한 잠금돌출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유지오목부(67)의 잠금돌출부(103)보다 열린 쪽의 안쪽면에는 선단측을 향해서 열린 안내면부(10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훅체(61)은 예를 들면 합성 수지등으로 성형되어서 탄성변형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압박부재(44)의 브레이크패드(47)는 훅체(61)의 결합단부(71)에 의한 누름에 의해 케이스체(12)의 설치오목부(13)의 일측의 안쪽면에 슬라이딩 접촉된다.
이 결과 케이스체(12)에 대한 슬라이더(31)의 슬라이딩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 즉, 훅체(61)의 회동이 슬라이더(31)의 이동과 함께 행하여지므로, 이 훅체(61)을 다시 완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위치에 이동할 수 있다. 이 실시의 형태는 케이스체와 슬라이더와의 사이에 매설되는 코일 스프링, 로터리 댐퍼, 피니언 기어 및 랙을 사용하지 않는 형식인 것이다.
또한, 도14에 도시된 제5의 실시 형태와 같이, 유지오목부(67)를 마련하는 대신에 훅체(61)에 자석(105)을 부착하는 동시에, 결합핀(3)을 금속등의 자성체로서 구성하는 동시에, 훅체(61)의 자석(105)으로 결합핀(3)을 결합 유지할 수 있고, 훅체(61)가 결합핀(3)의 이동과 함께 회동하고, 또한, 슬라이딩 하는 구성으로 되기 때문에, 상기 제4의 실시 형태로 같은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훅체(61) 및 결합핀(3)의 적어도 어느 한 쪽을 자석으로 구성하면 좋다. 또한 이 실시 형태는 코일 스프링, 로터리 댐퍼, 피니언 기어 및 랙을 사용하지 않는 형식인 것이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미닫이(2)에 사용하는 미닫이클로져(11)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미닫이(2) 이외의 서랍이나, 여닫이문, 접는 문 등의 이동부 재료도 대응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미닫이(2)를 닫는 방향의 이동을 미닫이클로져(11)로 완충시켰지만, 이 미닫이(2)를 개방하는 방향의 이동을 미닫이클로져(11)로 완충시킬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완충장치를 적용한 적용 예를 도시한다. 도에 있어서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중 위쪽의 가이드레일(106)을 2단으로 구성하고, 그 상단 가이드 레일내에 케이스체(12)가 설치되고, 미닫이(2)이 지지축(107)을 통하여 하단의 가이드 레일내를 주행하는 4륜 운반차(108)에 지지되어 있다. 이 4륜 운반차(108)의 기대의 미닫이(2)의 폭방향으로 돌출한 연장부(109)에 결합핀(3)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미닫이(2)은 4륜 운반차(108)에 의해 가이드레일(106)안을 미닫이(2)이 닫히는 방향으로 힘있게 주행해도, 미닫이(2)의 결합핀(3)이 케이스체(12)가운데에 진입하면, 그 이동 속도에 따라서 완충 작용이 생기므로 튀어 오름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6은 본 발명의 완충장치를 서랍에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즉 캐비 넷(111)의 측벽의 안쪽에 케이스체(12)를 내장하고, 서랍(112)의 측벽에 결합핀(3)을 달고, 서랍(112)을 닫았을 때의 튀어 오름을 방지하도록 본 발명의 완충장치가 적용되어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완충장치를 문에 적용했을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여닫이문(115)은 힌지(116)을 통하여 여닫이 여닫이문설치 프레임(117)에 설치되어 있다. 결합핀(3)은 가이드레일(106) 안을 주행하는 운반차(108)의 바닥 연장부(109)에 설치되어 있다. 운반차(108)에는 링크암(118)의 일단이 설치되고, 타단은 여닫이문설치 프레임(117)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문을 닫는 즈음, 결합핀(3)과 케이스체(12)와의 사이에서 완충 작용이 생기고, 문을 닫히는 속도가 감속되어, 문의 튀어 오르기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7에는 문(115)을 90도로 연 상태로부터 문을 닫는 도중 위치 및 완전히 닫힌 위치의 상태변화가 도시되어 있다. 그 즈음 결합핀(3)은 문(115)이 닫히는 도중에 케이스체(12)의 결합홈(15) 안에 진입하고, 닫힌 위치로 근접함에 따라서 닫히는 이동 속도를 감퇴시키는 완충 효과가 생긴다. 따라서 문(115)을 강한 힘으로서 닫는 방향으로 조작하더라도 튀어올라오지 않도록 닫을 수 있다. 게다가 종래의 피스톤식 문 클로져에 비해서 염가로 제조할 수 있어, 난폭한 조작을 해도 고장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18은 도 17의 문을 개방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완충장치를 문에 적용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 경우 케이스체(12)는 수납 케이스의 상판(120)에 내장되어 있다. 또 결합핀(3)은 문(115)의 안쪽의 상부 코너부에 고정된 앵글 플레이트(121)에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완충장치는 도 17, 도 18에 나타낸 완충장치보다 한층 염가에 제조할 수 있다.
도 20은 미닫이(2)에 본 발명의 완충장치가 적용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미닫이(2)의 표면에서 차축(123)이 밀어붙여 돌출하고 있다. 이 차축위로 위쪽 가이드레일(106)의 상단 가이드 레일의 열린 쪽 가장자리에 접촉해서 안내되는 안내고리(124)를 회동가능하게 달 수 있으며, 이 안내고리(124)의 상단부에는 결합핀(3)이 뚫고나와 있고, 이 결합핀(3)은 상단 가이드 레일 내를 이동할 수 있다. 또 미닫이(2)에는 아래쪽 가이드레일(125)위에서 미닫이(2)를 지지해서 주행하는 주행체(1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미닫이(2)은 주행체(126)를 통하여 유지할 수 있어서 아래쪽 가이드레일(125) 위를 주행하고, 결합핀(3)은 위쪽 가이드레일(106)의 상단 가이드 레일의 열린 쪽에 접촉해서 안내되는 안내 바퀴에 의하여 안내되어, 케이스체의 결합홈 안에 진입과 동시에 후퇴할 수 있고, 양호한 완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주행체(126)에 미닫이(2)의 상하 조정 기구가 구비되어 있을 경우에 있어서, 상하 조정 조작을 시행하고, 미닫이(2)의 표면과 위쪽 가이드 레일과의 틈이 변동하더라도, 차축(123)이 밀려서 안내 바퀴는 항상 상단 가이드 레일의 열린 쪽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결합핀의 상단 가이드 레일 내에 있어서의 돌출량은 항상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미닫이(2)의 상하 조정을 했다고 하더라도 결합핀(3)과 훅체와의 접촉량이 상하로 변동이 없기 때문에 안정한 완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쪽 가이드레일(106)은 상단 가이드 레일과 하단 가이드 레일로 구성하고 있으나, 하단 가이드 레일은 미닫이의 상면과 상 단 가이드 레일의 틈을 폐쇄하는 의장효과가 강하기 때문에, 하단 가이드 레일이 없는 경우라도 좋다.
도21은 미닫이(2)에 본 발명의 완충장치를 적용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케이스체(12)이 미닫이(2)의 상면과 면이 동일하게 되로록 미닫이(2)에 설치되어 있으며, 위쪽 가이드레일(106)에 결합핀(3)이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완충부재로서의 훅체는 케이스체 또는 케이스체에 고정된 부재를 눌러서 제1부재와 케이스체의 상대이동을 완충하는 동시에, 슬라이더 또는 케이스체에 설치된 로터리댐퍼, 피니언 기어 및 랙에 의한 제1부재와 케이스체의 상대이동을 완충함으로써 완충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훅체가 케이스체의 한 쪽의 안쪽 벽 또는 그 안쪽 벽에 인접해서 케이스체에 고정된 부재에 훅체의 회동에 의해 훅체로부터 누르는 힘을 가하는 실시예 이외에 케이스체의 양측의 안쪽벽에 또는 양 내측벽에 인접해서 케이스체에 고정된 부재에 훅체의 회동에 의해, 훅체로부터의 누르는 힘이 가해지도록 하여 완충 작용이 양쪽으로 생기도록 할 수 있다.
도 22는 미닫이(2)에 본 발명의 완충장치를 적용한 더욱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케이스체(12)는 아래쪽 가이드레일(125)의 아래쪽에 매설되고 있고, 미닫이(2)은 위쪽의 가이드레일(106) 안을 운반차(108)에 의해 매달려서 주행하고, 미닫이(2)의 하면으로부터 아래쪽 가이드레일(125)에 결합되는 결합핀(3)을 돌출되게 설치해 가이드 기능과 함께 완충장치의 결합핀(3)의 역할도 하고 있다.
도23 및 도24는 본 발명의 완충장치의 제6의 실시의 형상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훅체(61)가 결합핀(3)을 대기하는 대기 자세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 실시의 형태는 도1 내지 도8에 도시된 제1의 실시의 형태와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차이가 있다. 우선 랙(26)이 케이스체(12)의 아래쪽으로 도시된 쪽의 저부로부터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고, 잡아 당겨진 코일스프링(36)의 우단부의 잘록한 부분이 케이스체(12)의 저부로부터 랙(26)보다 윗쪽에 돌출한 협지(挾持)부(130)에 사이에 끼워져서 고정되고, 인장 코일스프링(36)의 좌단부의 잘록한 부분이 슬라이더(31)의 저부로부터 돌출해서 형성된 협지부(131)에 의해 사이에 끼워져 있는 점이 다르다.
더욱 훅체(61)가 조작오목부(68)를 갖지 않으며, 결합단부(71) 대신에 캠형상융기부(72)을 소유하고 있는 점이 다르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고 있는 윗 뚜껑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케이스체 저부로부터 돌출해서 형성된 핀 돌기가 (132) 및 (133)으로 표기되어 있다. 도 23에 있어서, 완충장치는 예를 들면 미닫이를 닫을 때, 제1부재로서의 결합핀(3)이 좌단으로부터 결합홈(15)에 진입하고, 훅체(61)의 유지오목부(67)의 오른쪽에 접촉하고, 이어서 강하게 밀어서, 훅체(61)을 좌회전으로 선회시켜, 훅체(61)의 캠형상융기부(72)이 압박부재(44)의 다리부(46)에 설치된 브레이크패드(47)를 브레이크 플레이트(28)를 향해서 강하게 민다. 그와 더불어 결합핀(3)을 유지오목부(67)안에 확실하게 유지하며, 훅체(61)의 결합돌출부(64)이 슬라이딩홈부(17)의 회동홈부(19)로부터 이동홈(18)에 이동한다.
이 결과 결합돌출부(64)과 회동홈부(19)과의 결합이 해제되어, 슬라이더(31) 의 협지부(131)과 케이스체(12)의 협지부(132)와의 사이에 장착된 잡아 당겨진 스프링로서 작용하는 코일스프링(36)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더(31)의 오른쪽을 향해서 이동한다. 그 때 훅체(61)의 캠형상융기부(72)이 압박부재(44)의 다리부(45) 위의 브레이크패드(47)를 브레이크 플레이트(28)에 강하게 민다. 그 때 슬라이더(12)의 슬라이더 벽에 설치된 브레이크패드(39)과 압박부재(44)의 다리부에 설치된 브레이크패드(47)과에 의해 브레이크 플레이트가 샌드위치 형상으로 사이에 끼워져서 슬라이더(31)의 이동에 대하여 마찰에 의한 제동력이 가해져 슬라이더(33)의 이동이 완충되어 있다.
그 밖에 슬라이더(33)에는 로터리 댐퍼(50)가 고정되고 있어 이 로터리 댐퍼에 의한 완충 작용과 로터리 댐퍼(50)의 회동축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51)의 이(53)와 케이스체 저부 내면에 형성된 랙(26)의 이(25)와 맞물려 저항력에 의해 슬라이더(33)의 이동이 완충된다. 도 24는 슬라이더(33)가 마지막위치까지 이동한 상태에서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로부터 훅체(61)의 결합돌출부(64)은 슬라이딩홈부(17)의 이동홈부에 있고, 훅체의 캠형상융기부(72)에 의한 압박부재(44)의 브레이크 플레이트(28)에 누름상태가 명확하다.
도24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제1부재의 결합핀(3)이 유지오목부(67)의 좌측 가장자리에 접촉해서 누르면, 훅체(61)는 오른쪽 회전으로(시계방향으로) 선회력이 가해져 훅체(61)의 캠형상융기부(72)의 압박부재(44)의 다리부(46)에의 미는작용은 감소하고, 브레이크 플레이트(28)에 대한 제동력도 감쇠하고, 좌방향으로의 슬라이더의 이동에 대하여 코일스프링(36)의 인장력에 이겨내어 좌방향으로 이동하고, 슬 라이더(31)을 슬라이딩홈의 이동홈부가 왼쪽으로 슬라이딩 할 때, 결합돌출부(64)이 이동 홈의 좌단부에서 훅체(61)는 우방향으로 선회해 회동홈(18)에 끼워 넣는다.
이상 로터리 댐퍼(50) 및 피니언 기어(51)를 슬라이더(31)에 설치하고, 랙(26)을 케이스체(12)에 설치하였으나, 랙(26)을 슬라이더에 설치해 로터리 댐퍼(50) 및 피니언 기어(51)를 케이스체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25 및 도26은 본 발명의 완충장치의 제7의 실시의 형상의 평면도다. 이 실시의 형태는 도1 내지 도8에 도시된 제1의 실시의 형태와 탄성수단의 구성이 다르다. 다시 말해, 본 실 시의 형상의 탄성수단은 압축함으로써 스프링 에너지를 비축하는 압축 코일스프링(36)을 사용하고 있어, 이 압축 코일스프링(36)은 길이 방향의 한 방향의 끝단부를 케이스체(12) 앞끝단의 안쪽면에 안착시켜, 다른 방면의 단부를 슬라이더(31)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의 안쪽면에 안착시켜 있다. 따라서, 이 압축 코일스프링은 제1의 실시의 형태와 동일하게 슬라이더와 케이스체와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을 향해서 밀어붙인다.

Claims (10)

  1. 결합핀과,
    상기 결합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케이스체와,
    상기 케이스체 내에, 상기 케이스체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완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결합핀의 접촉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케이스체 또는 상기 케이스체에 고정된 부재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누르는 결합단부 또는 캠융기부를 가지며, 이 결합단부 또는 캠 융기부에 의한 누름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결합핀 또는 상기 케이스체의 이동과 함께 이동하여 상기 결합핀과 상기 케이스체와의 상대적 이동을 완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결합단부 또는 캠융기부는, 압박부재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케이스체 또는 케이스체에 고정된 부재를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완충부재는, 케이스체에 고정된 브레이크 플레이트를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플레이트는, 케이스체의 폭방향에 있어서, 위치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항에 기재된 완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슬라이더에는, 브레이크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슬라이딩 접촉되는 평탄한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슬라이더에 고정된 로터리 댐퍼와,
    로터리 댐퍼의 회전축에 고정된 피니언 기어와,
    케이스체에 고정된 랙을 구비하여,
    상기 피니언 기어와 상기 랙이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슬라이더에 고정된 랙과,
    케이스체에 고정된 로터리 댐퍼와,
    로터리 댐퍼의 회전축에 고정된 피니언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와 상기 랙이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완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슬라이더와 케이스체와의 사이에 슬라이더를 이동시키기 위한 탄성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결합핀을 유지하는 유지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유지오목부에 의해 상기 결합핀 또는 상기 케이스체의 이동과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핀은 자성체로 형성되어, 상기 자석이 상기 결합핀을 흡착 유지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장치.
KR1020067015566A 2004-01-13 2004-10-15 완충장치 KR1008311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05811 2004-01-13
JP2004005811 2004-0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4042A KR20060134042A (ko) 2006-12-27
KR100831102B1 true KR100831102B1 (ko) 2008-05-20

Family

ID=34792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5566A KR100831102B1 (ko) 2004-01-13 2004-10-15 완충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66003B2 (ko)
EP (1) EP1705330A1 (ko)
JP (1) JP4282666B2 (ko)
KR (1) KR100831102B1 (ko)
CN (1) CN1922380B (ko)
HK (1) HK1103114A1 (ko)
WO (1) WO20050687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9578A (ja) * 2005-04-19 2006-11-02 Meiko:Kk 引戸又は引出しの引込み装置
DE202005012954U1 (de) * 2005-08-15 2006-07-20 Cabinet Schranksysteme Ag Schiebetür
JP4791796B2 (ja) * 2005-10-27 2011-10-12 不二ラテックス株式会社 緩衝装置
DE102005061610A1 (de) * 2005-12-21 2007-07-0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der Schließbewegung eines Karosseriebauteils für Fahrzeuge
JP4836635B2 (ja) * 2006-04-03 2011-12-14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緩衝装置
JP2008093113A (ja) * 2006-10-10 2008-04-24 Fujinon Corp 内視鏡装置
JP2008133686A (ja) * 2006-11-29 2008-06-12 Ykk Ap株式会社 ブレーキ装置、及び、建具
ITVE20070007A1 (it) * 2007-02-02 2008-08-03 Cinetto F Lli S R L Dispositivo di chiusura frenata per ante di armadi.
FR2915225B1 (fr) * 2007-04-18 2012-06-01 Fermod Serrure coulissante
JP4936471B2 (ja) * 2008-02-26 2012-05-23 株式会社ニフコ 引込機構
JP5074214B2 (ja) * 2008-01-17 2012-11-14 株式会社ニフコ 引込機構
EP2383410B1 (en) * 2008-01-17 2014-07-16 Nifco Inc. Retraction mechanism
DE102008009046B4 (de) * 2008-02-13 2014-10-02 Günther Zimmer Beschleunigungs- und Verzögerungsvorrichtung mit zwei Mitnahmeelementen
JP5294714B2 (ja) * 2008-06-06 2013-09-18 株式会社ニフコ 摺動補助機構
DE202008008006U1 (de) 2008-06-14 2009-10-29 Gebr. Willach Gmbh Schiebetür
ITRM20080320A1 (it) * 2008-06-18 2009-12-19 Sliding S R L Dispositivo di richiamo e smorzamento per porte scorrevoli, cassetti e similari
CN104455187B (zh) * 2008-08-07 2018-02-27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粘滞带阻尼器组件
EP2157267A1 (de) * 2008-08-20 2010-02-24 Jeld Wen Türen GmbH Tür mit Einbaumechanik
US8060983B2 (en) * 2008-09-25 2011-11-22 Bortoluzzi Mobili S.R.L. Device for cushioning an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of sliding shutters
DE102008061728A1 (de) * 2008-12-12 2010-06-17 Dorma Gmbh + Co. Kg Schiebetür
DE202008017808U1 (de) * 2008-12-12 2010-09-02 Dorma Gmbh + Co. Kg Schiebetür
JP5368813B2 (ja) * 2009-01-29 2013-12-18 株式会社ニフコ 回動体の往動機構
FR2944309B1 (fr) * 2009-04-10 2014-12-05 S E E D Dispositif d'assistance a la fermeture d'un ouvrant comprenant au moins un aimant
JP2011006872A (ja) 2009-06-24 2011-01-13 Nifco Inc 摺動補助機構及び引込ユニット
DE102009053714A1 (de) * 2009-10-19 2011-04-28 Liebherr-Hausgeräte Lienz Gmbh Haushaltsgerät
US8205951B2 (en) * 2009-11-04 2012-06-26 Knape & Vogt Manufacturing Company Closing device for drawers
JP4895317B2 (ja) * 2010-02-24 2012-03-14 株式会社中尾製作所 引込装置
DK2372066T3 (en) * 2010-04-01 2017-01-16 Elfa Int Ab sliding Interior
EP2372064A1 (en) * 2010-04-01 2011-10-05 Elfa International AB Sliding door arrangement
CH703398A1 (de) * 2010-07-02 2012-01-13 Eku Ag Dämpfer- und Einziehanordnung.
DE102010017716A1 (de) * 2010-07-02 2012-01-05 Paul Hettich Gmbh & Co. Kg Kurvenführung
KR101786966B1 (ko) * 2010-08-06 2017-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2012136831A (ja) * 2010-12-24 2012-07-19 Nakao Seisakusho:Kk 引戸用クローザ装置
DE202011003758U1 (de) * 2011-03-10 2012-06-14 Hüppe GmbH Duschabtrennung sowie Duschkabine mit Bremsmechanismus
CN102587770B (zh) * 2012-03-09 2015-01-07 苏州升德精密电气有限公司 回归缓冲装置
JP6097021B2 (ja) * 2012-06-18 2017-03-15 株式会社中尾製作所 ドアストッパ
BR112015026198B1 (pt) * 2013-04-15 2021-09-28 Zhongshan Opike Hardware Product Co. Ltd Dispositivo de roda superior antissalto com amortecedores duplos
DK2792832T3 (en) * 2013-04-16 2016-06-06 Elfa Int Ab sliding
PL2792833T3 (pl) * 2013-04-16 2017-10-31 Elfa Int Ab Układ drzwi przesuwnych
CN105308250A (zh) * 2013-04-22 2016-02-03 哈多高级设计与技术有限公司 用于软关闭的系统及装置
JP6155150B2 (ja) * 2013-09-19 2017-06-28 株式会社Lixil 発電装置、開閉検知装置、および無線システム
JP6276579B2 (ja) * 2013-12-20 2018-02-07 日東工器株式会社 引戸開閉補助装置
KR20150102489A (ko) * 2014-02-28 201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3909269B (zh) * 2014-04-16 2015-08-12 刘贵平 一种粉末冶金闭门器活塞及其加工工艺
CN104265107B (zh) * 2014-09-26 2016-07-06 苏州升德精密电气有限公司 一种可提高回归力的回归缓冲装置
DE102014225291B3 (de) * 2014-12-09 2015-12-24 Geze Gmbh Vorrichtung zur Beeinflussung der Öffnungs- und/oder Schließbewegung eines Tür- oder Fensterflügels
US9388622B1 (en) 2015-02-05 2016-07-12 K.N. Crowder Mfg. Inc.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motion of a sliding door
CN105089406B (zh) * 2015-09-09 2017-11-21 广东坚朗五金制品股份有限公司 推拉门系统及其缓冲装置
JP2017141617A (ja) * 2016-02-12 2017-08-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引戸装置
CA169925S (en) 2016-02-17 2017-09-29 Hunter Douglas Head rail for a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US10697233B2 (en) 2016-02-17 2020-06-30 Hunter Douglas Inc. Rails for a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USD816373S1 (en) 2016-02-17 2018-05-01 Hunter Douglas Inc. Rail for a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KR101705483B1 (ko) * 2016-04-11 2017-02-14 (주) 진테크 충돌방지구조를 갖는 창호
KR101704586B1 (ko) * 2016-07-14 2017-02-08 이광재 슬라이딩 도어 정위치장치
US9920547B1 (en) * 2016-09-20 2018-03-20 Everlast Climbing Industries, Inc. Bicycle storage unit
RU171034U1 (ru) * 2017-01-09 2017-05-17 Владислав Владимирович Опацкий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оложением дверного полотна
US10138666B2 (en) * 2017-03-26 2018-11-27 Nan Juen International Co., Ltd. Anti-fall flip-up sliding mechanism
CN106930641B (zh) * 2017-05-19 2018-11-27 苏州升德精密电气有限公司 一种中间门缓冲装置
KR101880996B1 (ko) * 2018-02-26 2018-07-24 주식회사 씨쓰리 전후 방향 흔들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닫히는 양방향 여닫이문
US11118385B2 (en) * 2018-04-09 2021-09-14 ASSA ABLOY Accessories and Door Controls Group, Inc. Integrated guide system and door seal for a soft close sliding door
CN108505867A (zh) * 2018-06-21 2018-09-07 苏州升德精密电气有限公司 一种收缩式缓冲器
DE102018219571A1 (de) * 2018-11-15 2020-05-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chließ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Kraftfahrzeug
JP7264741B2 (ja) * 2019-03-29 2023-04-25 三協立山株式会社 引戸
US20200355004A1 (en) * 2019-05-06 2020-11-12 Schlage Lock Company Llc Sliding door systems
US11864651B2 (en) 2019-06-05 2024-01-09 Knape & Vogt Manufacturing Company Closing device for drawers
AU2020389479B2 (en) * 2020-04-17 2022-10-20 Foshan Ideal Co., Ltd. Shower door sliding mechanism for soft positioning
US11920401B2 (en) 2021-05-03 2024-03-05 Kohler Co. Slow close mechanism for sliding applications
EP4144945A1 (de) * 2021-09-07 2023-03-08 Hawa Sliding Solutions AG Schiebetürsystem, schiebetür und puffervorrichtung
CN115822409A (zh) * 2022-11-14 2023-03-21 福建西河卫浴科技有限公司 一种转轴门组件及其缓冲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7133A (ja) * 1992-05-15 1993-12-03 Sugatsune Ind Co Ltd 自動引き込み装置
JPH07269221A (ja) * 1994-04-01 1995-10-17 Daiwa House Ind Co Ltd 扉の戸当たり緩衝装置
JPH11264270A (ja) * 1998-03-17 1999-09-28 Nishi Seisakusho:Kk 引戸の構造及び引戸閉塞装置
JP2000220341A (ja) * 1999-02-03 2000-08-08 Nichiha Corp 戸の制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9134A (en) * 1978-07-26 1979-12-18 Atkinson Wallace E Removable trainer handle and brake for skateboard
US4872239A (en) * 1988-08-10 1989-10-10 The Chamberlain Group, Inc. Door closure with mechanical braking means
DE8810389U1 (ko) * 1988-08-17 1988-09-29 Gretsch-Unitas Gmbh Baubeschlaege, 7257 Ditzingen, De
US5448797A (en) * 1993-10-15 1995-09-12 Von Duprin, Inc. Selectable friction assisted door holder assembly
CN2366524Y (zh) * 1998-12-26 2000-03-01 林亚东 气弹簧闭门器
IL137708A0 (en) * 1999-03-16 2001-10-31 Hawa Ag Buffer device
US6253417B1 (en) * 1999-09-30 2001-07-03 Architectural Builders Hardware Mfg., Inc. Door holder and stop with retaining means for holding a door shut while in a closed position
AT412183B (de) * 2001-01-25 2004-11-25 Blum Gmbh Julius Dämpfeinrichtung für bewegbare möbelteile
US6848759B2 (en) * 2002-04-03 2005-02-01 Illinois Tool Works Inc. Self-closing slide mechanism with damping
JP4039672B2 (ja) * 2003-05-02 2008-01-30 サンウエーブ工業株式会社 ソフトクローザ機構
JP4459679B2 (ja) * 2004-03-30 2010-04-28 株式会社ニフコ 摺動補助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7133A (ja) * 1992-05-15 1993-12-03 Sugatsune Ind Co Ltd 自動引き込み装置
JPH07269221A (ja) * 1994-04-01 1995-10-17 Daiwa House Ind Co Ltd 扉の戸当たり緩衝装置
JPH11264270A (ja) * 1998-03-17 1999-09-28 Nishi Seisakusho:Kk 引戸の構造及び引戸閉塞装置
JP2000220341A (ja) * 1999-02-03 2000-08-08 Nichiha Corp 戸の制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22380A (zh) 2007-02-28
HK1103114A1 (en) 2007-12-14
JP4282666B2 (ja) 2009-06-24
US7866003B2 (en) 2011-01-11
US20080244862A1 (en) 2008-10-09
JPWO2005068760A1 (ja) 2008-04-17
EP1705330A1 (en) 2006-09-27
KR20060134042A (ko) 2006-12-27
CN1922380B (zh) 2011-10-12
WO2005068760A1 (ja) 200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1102B1 (ko) 완충장치
EP1829073B1 (en) Dampened movement mechanism and slide incorporating the same
JP3709153B2 (ja) 家具のスライド部用減速閉鎖装置
US6415477B1 (en) Original pressing plate hinge
EP2315896B1 (en) Door construction with self-closing pivot hinges integrated into the door panel
US6813811B2 (en) Door checker for automobile
EP0808408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a slidingly-separable connection between a movable barrier and a means for guiding the barrier
WO2006011294A1 (ja) 引戸の戸閉装置
US20110286689A1 (en) Elastic force adjustment device for slide assembly
JP6815004B2 (ja) 引戸の上部ガイド装置
CA2699212A1 (en) Auxiliary positioning device for slide assembly
EP3795790A1 (en) A snap hinge with a damper device
EP2389837B1 (en) Elastic force adjustment device for slide assembly
JP2927780B2 (ja) 戸の制動装置
JP6617943B2 (ja) 閉鎖機構付きピボットヒンジ
KR101936443B1 (ko) 자동차용 사이드 게이트 개폐 보조장치
KR101654926B1 (ko)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회전장치
JP4204161B2 (ja) 開閉体のヒンジ
CN211201510U (zh) 一种适用于中弯或大弯的缓冲铰链
FR2734308A1 (fr) Dispositif de fermeture automatique destine a une porte et porte equipee de ce dispositif
KR102536571B1 (ko) 태엽 방식의 창호 제동 장치
CN210563966U (zh) 一种家具的缓冲铰链
CA2704167C (en) Elastic force adjustment device for slide assembly
EP2327334B1 (en) Auxiliary positioning device for slide assembly
JPH08326409A (ja) 引き戸用ブレー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