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2489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2489A
KR20150102489A KR1020140024428A KR20140024428A KR20150102489A KR 20150102489 A KR20150102489 A KR 20150102489A KR 1020140024428 A KR1020140024428 A KR 1020140024428A KR 20140024428 A KR20140024428 A KR 20140024428A KR 20150102489 A KR20150102489 A KR 20150102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unit
slider
positions
display device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영
김고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4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2489A/ko
Priority to US15/112,016 priority patent/US10216282B2/en
Priority to EP14883704.0A priority patent/EP3079358B1/en
Priority to PCT/KR2014/012974 priority patent/WO2015130004A1/ko
Publication of KR20150102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489A/ko
Priority to US16/246,809 priority patent/US2019014659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Abstract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본체; 사용자의 제스처 감지를 위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촬영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내에 상기 촬영 유닛이 수납되는 제1 위치와, 촬영 시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외부로 돌출되는 제2 위치 또는 제3 위치로 상기 촬영 유닛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및 제3 위치 사이의 구간 중 어느 한 지점에서 상기 촬영 유닛을 고정 상태로 유지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마트 인터렉티브 기능의 확대에 따라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제품들이 등장하고 있다. 사용자 인터렉션이란 사용자의 동작이나 음성 등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촬영 유닛이나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소형 마이크가 구비된다.
이 경우, 촬영 유닛은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단에 장착된 상태로 사용되었다. 그런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단부에 항상 노출되어 있는 촬영 유닛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노출된 촬영 유닛으로 인해 사용자가 자신의 일상을 감시당하고 있다는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촬영 유닛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촬영 유닛이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상부에서 촬영 유닛을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한 예가 있다.
이 경우, 촬영 유닛을 예로써 설명하면, 촬영 유닛의 촬영시에는 촬영 유닛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상부에서 위쪽으로 돌출되며, 촬영 유닛의 비촬영시에는 돌출된 촬영 유닛이 아래로 슬라이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이러한 촬영 유닛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두께만큼 뒤에 위치한다. 따라서, 보다 큰 카메라 화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촬영 유닛이 더 위쪽으로 돌출되는 것이 요구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카메라 화각을 조절하기 위해 촬영 유닛 내부에 카메라 모듈을 상하 각도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각도조절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예가 있다. 이 경우 각도조절부재는 사용자가 각도 조작을 할 수 있도록 일부분이 촬영 유닛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촬영 유닛은 물리적으로 각도조절부재의 일부분이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관통구멍을 통해 주변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촬영 유닛 내부로 유입되어 카메라 모듈의 렌즈나 렌즈 전방에 배치된 윈도우가 오염됨에 따라, 촬영 유닛의 화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촬영 유닛의 내부에 각도조절유닛이 설치됨에 따라 촬영 유닛의 크리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었고, 다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각도조절유닛을 구비해야 하고 이를 조립하기 위한 공정이 추가됨에 따라, 제품의 단가를 증가하고 생산성이 저감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보다 큰 카메라 화각을 확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메라 화각 조절을 위한 심플한 구조를 촬영 유닛 외부에 구비하여 촬영 유닛 내부로 먼지 등의 이물질 유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촬영 유닛을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본체; 사용자의 제스처 감지를 위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촬영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내에 상기 촬영 유닛이 수납되는 제1 위치와, 촬영 시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외부로 돌출되는 제2 위치 또는 제3 위치로 상기 촬영 유닛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및 제3 위치 사이의 구간 중 어느 한 지점에서 상기 촬영 유닛을 고정 상태로 유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 시 이동 속도를 제어하고, 상기 제2 및 제3 위치 사이에서 설정된 각도로 상기 촬영 유닛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촬영 유닛에 힌지 연결된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에 구비되어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 유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위치를 고정하는 록킹부재;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슬라이더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 시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속도를 감속하고, 상기 제2 및 제3 위치 사이의 구간에서 설정된 상기 촬영 유닛의 각도를 유지하는 감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슬라이더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구간이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 구간일 수 있다.
상기 감속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와 기어 연결되는 로터리 댐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1 및 제2 위치 사이의 구간에 상기 로터리 댐퍼와 기어 연결되는 결합부; 및 상기 제2 및 제3 위치 사이의 구간에 상기 로터리 댐퍼와 기어 연결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부에 상기 촬영 유닛의 양측에 돌출된 제1 및 제2 힌지돌기가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및 제2 장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장공은 서로 대칭 형성되며 일측으로 경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촬영 유닛에 힌지 연결된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에 구비되어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 유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위치를 고정하는 록킹부재;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슬라이더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 시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속도를 감속하는 감속부재; 및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2 및 제3 위치 사이에서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기 위한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제2 및 제3 위치 사이 구간에서 상기 슬라이더의 일부를 탄력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의 상부 일면에 면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가 마찰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마찰부재는 고무 또는 탄성력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최상한 설정위치이고, 상기 제3 위치는 최하한 설정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촬영 유닛은 상기 촬영 유닛의 선회 조절이 용이하도록 상기 촬영 유닛의 외주면에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메인 케이싱과 메인 케이싱 후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조 케이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보조 케이싱 내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제스처 감지를 위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촬영 유닛; 및 상기 보조 케이싱 내에 배치되어 상기 촬영 유닛과 연동하도록 연결된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촬영 유닛은 상기 구동부와 연동하여 상기 보조 케이싱 내에 수납되는 제1 위치와, 촬영 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외부로 돌출되는 제2 위치 또는 제3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제2 및 제3 위치 사이의 구간 중 어느 한 지점에서 고정 상태로 유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촬영 유닛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촬영 유닛을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보조 케이싱에 탄력적으로 지지된 슬라이더; 및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 시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속도를 감속하고, 상기 제2 및 제3 위치 사이의 구간에서 설정된 상기 촬영 유닛의 각도를 유지하는 감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속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과 기어 연결되는 로터리 댐퍼이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1 및 제2 위치 사이의 구간에 상기 로터리 댐퍼와 기어 연결되는 결합부와, 상기 제2 및 제3 위치 사이의 구간에 상기 로터리 댐퍼와 기어 연결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촬영 유닛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촬영 유닛을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보조 케이싱에 탄력적으로 지지된 슬라이더;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 시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속도를 감속하는 감속부재; 및 상기 보조 케이싱에 고정되며,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2 및 제3 위치 사이에서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일부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촬영 유닛이 제1 위치에 배치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촬영 유닛이 제2 위치에 배치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조 케이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보조 케이싱으로부터 촬영 유닛이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보조 케이싱의 후면 케이싱을 생략한 것으로, 촬영 유닛이 제1 위치에 설정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표시된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7은 보조 케이싱의 후면 케이싱을 생략한 것으로, 촬영 유닛이 제2 위치에 설정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표시된 B-B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표시된 C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0은 보조 케이싱의 후면 케이싱을 생략한 것으로, 촬영 유닛이 제3 위치에 설정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표시된 E-E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표시된 F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케이싱과, 촬영 유닛의 카메라 화각 조절을 위한 마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마찰부재가 전면 케이싱에 결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표시된 G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표시된 H-H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촬영 유닛이 제1 위치에 배치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촬영 유닛이 제2 위치에 배치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조 케이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보조 케이싱으로부터 촬영 유닛이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보조 케이싱의 후면 케이싱을 생략한 것으로, 촬영 유닛이 제1 위치에 설정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표시된 A부분(촬영 유닛과 슬라이더 간 힌지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통해 다양한 사용자의 제스처나 음성 등을 감지하여 이에 따른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동작은 예를 들어, 채널의 변경, 사운드의 볼륨 업이나 다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등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평판 디스플레이로서, LCD 텔레비젼, LED 텔레비젼이나 OLED 텔레비젼이 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른 디스플레이 방식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될 수도 있으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아닌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텔레비젼이 아닌 컴퓨터용 모니터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본체(120) 및 촬영 유닛(50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본체(120)는 메인 케이싱(200)과 보조 케이싱(300)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본체(120) 내부에 배치됨에 따라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패널, 제어 보드 및 파워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케이싱(200)은 상술한 디스플레이 패널, 제어 보드 및 파워 보드 등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종 부품들이 수용된다.
메인 케이싱(300)은, 도 2와 같이, 소정 두께(D1)를 가진다. 이러한 메인 케이싱(300)의 두께(D1)는 촬영 유닛(500)이 보조 케이싱(300)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촬영 유닛(500)의 선단면(501)이 메인 케이싱(30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영상 표시면(220) 보다 소정 거리(D2)만큼 약간 뒤에 배치되도록 고려하여 제작된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체적인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촬영 유닛(500)의 보다 큰 카메라 화각을 확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영상을 표시하는 부품으로서,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 표시면(220)을 갖는다. 사용자는 영상 표시면(220)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컨텐츠들을 시청할 수 있다.
제어 보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른 코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파워 보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요구하는 적정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보조 케이싱(300)은 메인 케이싱(200)의 대략 후면 상부에 장착되며, 내부에 촬영 유닛(500)을 수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케이싱(300)이 메인 케이싱(200)의 후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로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보조 케이싱(300)이 메인 케이싱(200)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메인 케이싱(200)과 함께 디스플레이 본체를 이루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보조 케이싱(300)은 전면 케이싱(310)과 후면 케이싱(330)을 포함한다.
전면 케이싱(3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메인 케이싱(200) 후면 상부에 결합된다. 전면 케이싱(310)은 상부면(320)에 촬영 유닛(500)이 통과하는 개구(321)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촬영 유닛(500)은 개구(321)를 통해 보조 케이싱(300) 외부로 돌출되거나(도 4 참조) 반대로 보조 케이싱(300) 내부로 수용된다(도 3 참조).
이러한 개구(321)는 이물질이 개구(321)를 통해 보조 케이싱(30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대략 촬영 유닛(500)의 외곽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전면 케이싱(310)은 후면에 촬영 유닛(500)을 보조 케이싱(300) 내부로 인입하거나 보조 케이싱(300) 외부로 돌출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구비된다. 이 경우, 구동부는 후술하는 슬라이더(400), 슬라이더(400)의 이동을 감속하기 위한 감속부재로의 로터리 댐퍼(450), 슬라이더(4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토션 스프링(470) 및 록킹부재(4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케이싱(310)은 슬라이더(400)가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311,313)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311,313)은 전면 케이싱(310)의 후면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1 가이드레일(311)은 슬라이더(400)의 일측단부(40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며, 제2 가이드레일(313)은 슬라이더(400)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부(403)에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삽입된다.
전면 케이싱(310)은 후면 양측에 각각 제1 및 제2 마이크(601,603)가 삽입되는 제1 및 제2 장착홈(314,315)이 형성된다.
후면 케이싱(330)은 전면 케이싱(310)의 후방에 결합되어 보조 케이싱(300)의 후면을 형성한다.
후면 케이싱(330)은 후면 양측에 상술한 제1 및 제2 장착홈(314,315) 또는 제1 및 제2 마이크(601,602)과 대응하는 제1 및 제2 타공부(331,333)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외부 사운드(예를 들면, 사용자가 코맨드에 해당하는 목소리 등)가 제1 및 제2 타공부(331,333)를 통해 제1 및 제2 마이크(601,603)에 효과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후면 케이싱(330)은 슬라이더(400)에 설치된 록킹부재(490)의 후크(491)가 록킹되는 록킹돌기(335, 도 3 참조)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전면 케이싱(310)과 후면 케이싱(33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에 촬영 유닛(50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촬영 유닛(500), 제1 및 제2 마이크(601,603), 촬영 유닛(500) 및 제1 및 제2 마이크(601,603)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코맨드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렉션용 제어 보드(700) 등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렉션을 위한 각종 부품들이 수용된다.
구동부는 슬라이더(400), 로터리 댐퍼(450), 토션 스프링(470) 및 록킹부재(49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400)는 상부가 촬영 유닛(500)과 힌지 연결되며,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311,313)을 따라 직선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면서 촬영 유닛(500)을 제1 내지 제3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위치는 촬영 유닛(500)이 보조 케이싱(300) 내에 수납되는 위치(도 5 참조)이고, 제2 위치는 촬영 유닛(500)이 보조 케이싱(300) 외부로 돌출된 위치(도 7 및 도 8 참조)이고, 제3 위치는 촬영 유닛(500)이 제2 위치에서 촬영 유닛(500)의 선단부가 하향한 위치(도 10 및 도 11 참조)로 각각 정의한다.
또한, 상기 제2 위치는 촬영 유닛(500)이 보조 케이싱(300)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는 최상한 설정위치이고, 상기 제3 위치는 촬영 유닛(500)이 보조 케이싱(300)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는 최하한 설정위치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슬라이더(400)의 상부 양측에는 제1 및 제2 연결부(411,413)가 간격을 두고 대칭 형성되며, 제1 및 제2 연결부(411,413)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을 따라 각각 제1 및 제2 장공(412,414)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장공(412,414)에는 촬영 유닛(500)의 하단 양측에 돌출된 제1 및 제2 슬라이딩 돌기(501,503)가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및 제2 장공(412,414)은 슬라이더(4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다. 즉, 도 8을 참조하면, 제1 장공(412)이 슬라이더(400)의 전방으로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 경우, 제2 장공(414)에 대한 측단면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장공(414)은 제1 장공(412)에 대칭으로 형성됨에 따라 제1 장공(412)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 배치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슬라이더(400)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 시 이동 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로터리 댐퍼(450)와 기어 연결된다. 이를 위해, 슬라이더(400)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부(403)는 로터리 댐퍼(450)의 기어부(451)와 치합되도록 결합부(403)의 외측을 따라 다수의 기어치(404)가 동일 간격으로 형성된다.
결합부(403)는 슬라이더(400)의 하단으로부터 결합부(403)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부(403)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부(403a)를 포함한다. 연장부(403a)는 결합부(403)와 마찬가지로 연장부(403a)의 외측을 따라 다수의 기어치(404)가 형성된다.
로터리 댐퍼(450)는 전면 케이싱(310)에 설치되며, 토션 스프링(470)에 의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 측으로 가압되도록 탄력 지지된 슬라이더(400)의 이동 속도를 감속시킨다.
또한, 로터리 댐퍼(450)는 기어부(451)가 연장부(403a)에 형성된 기어치(404)와 치합됨에 따라, 촬영 유닛(500)이 상기 제2 위치와 제3 위치 사이의 어느 한 지점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각도를 그대로 유지시키는 역할도 겸한다.
이 경우, 상기 다수의 기어치(404)와 기어부(451)의 크기를 작게 형성할 수록 기어부(451)의 회전 각도에 따른 슬라이더(400)의 이동 거리가 짧아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 및 제3 위치 사이의 구간에서 촬영 유닛(500)의 설정 각도를 보다 더 미세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토션 스프링(470)은 전면 케이싱(310)에 형성된 고정돌기(316)에 고정되며 토션 스프링(470)의 제1 리드(471)는 슬라이더(400)에 형성된 제1 걸림부(405)에 고정되고, 토션 스프링(470)의 제2 리드(473)는 전면 케이싱(310)에 형성된 제2 걸림부(317)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토션 스프링(470)의 제1 리드(471)는 슬라이더(400)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탄력 가압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400)는 제1 위치에서의 록킹이 해제되면 제1 리드(471)의 탄성력에 의해 제2 위치로 이동한다.
이 경우, 제1 리드(471)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더(400)가 이동하는 지점은 대략 제2 위치까지이다. 이는 제1 리드(471)가 전면 케이싱(310)에 형성된 걸림돌기(318)에 간섭됨에 따라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 리드(471)가 슬라이더(400)에 미치는 탄성력의 범위는 제1 위치에서부터 제2 위치까지의 구간이다.
한편, 슬라이더(400)는 제2 위치와 제3 위치 사이에서는 토션 스프링(470)의 탄성력에 의해 제어되지 않고, 로터리 댐퍼(450)의 토크에 의해 제어된다. 이에 따라, 촬영 유닛(500)은 로터리 댐퍼(450)와 슬라이더(400)의 연장부(403a) 간의 기어 연결을 통해, 상기 제2 위치 및 제3 위치 사이의 어느 한 지점에 설정될 수 있다.
록킹부재(490)는 슬라이더(400)에 결합되며, 슬라이더(400)가 제1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록킹돌기(335, 도 3 참조)에 분리 가능하게 록킹되는 후크(491)를 구비한다.
이러한 록킹부재(490)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사용자가 촬영 유닛(500)의 선단면(501)을 촬영 유닛(500)의 인입 방향(촬영 유닛(500)이 보조 케이싱(300)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눌렀다가 떼면 후크(491)가 록킹돌기(335)로부터 록킹 해제된다. 록킹부재(490)는 상술한 록킹 및 록킹 해제 동작을 구현하도록 통상의 푸시 록킹구조를 가질 수 있다.
촬영 유닛(500)은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보조 케이싱(300)에 배치된다.
촬영 유닛(500)은, 도 8과 같이, 내부에 카메라 모듈(507)이 구비되며, 카메라 모듈(507)의 전방에는 윈도우(508)가 배치된다. 카메라 모듈(507)은 촬영 유닛(500) 내부를 거쳐 인터렉션용 제어 보드(700)에 접속되는 플렉서블 신호 케이블(미도시)을 통해 인터렉션용 제어 보드(7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비 촬영시, 촬영 유닛(500)은 상기 제1 위치 즉, 보조 케이싱(300) 내부에 수용된다. 이때, 촬영 유닛(500)의 선단면(501)은 대략 전면 케이싱(310)의 상부면(320) 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상부면(320)과 대략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제1 위치에서 촬영 유닛(500)의 일부가 상부면(320)으로부터 돌출됨에 따라 전체적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심미감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촬영 유닛(5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400)와 힌지 연결됨에 따라 슬라이더(400)와 연동하여 상기 제1 위치 내지 제3 위치 중 어느 한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촬영 유닛(500)은 상기 제2 위치와 제3 위치 사이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R1 방향 또는 R2 방향으로 상하 각도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촬영 유닛(500)의 외측면에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진 미끄럼방지부(505, 도 4 참조)를 형성한다.
한편, 제2 위치 및 제3 위치 사이에서 촬영 유닛(500)의 카메라 화각을 조정하기 위해 촬영 유닛(500)을 상하 각도 조절 시, 미끄럼방지부(505)를 통해 촬영 유닛(500)을 과도하게 제2 위치를 넘어 제1 위치측으로 밀어 회전시키면, 촬영 유닛(500)과 함께 슬라이더(40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슬라이더(400)의 제1 걸림부(405)가 제1 리드(471)에 의해 탄력 지지되면서 촬영 유닛(500)은 제2 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촬영 유닛(500)을 상기 제2 위치와 제3 위치 사이에서 적절한 지점에 위치시킴으로써, 원하는 카메라 화각을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는 보조 케이싱의 후면 케이싱을 생략한 것으로, 촬영 유닛이 제1 위치에 설정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표시된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7은 보조 케이싱의 후면 케이싱을 생략한 것으로, 촬영 유닛이 제2 위치에 설정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표시된 B-B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에 표시된 C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10은 보조 케이싱의 후면 케이싱을 생략한 것으로, 촬영 유닛이 제3 위치에 설정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 표시된 E-E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에 표시된 F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비 촬영 시 록킹부재(490)의 후크(491)가 록킹돌기(335)에 록킹됨에 따라, 슬라이더(400)와 힌지 연결된 촬영 유닛(500)은 보조 케이싱(300) 내부로 수납되는 제1 위치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촬영 유닛(500)을 통해 사용자의 제스처를 촬영하기 위해 촬영 유닛(500)을 보조 케이싱(300) 외부로 돌출되는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촬영 유닛(500)의 선단면(501)을 촬영 유닛(500)의 인입 방향(촬영 유닛(500)이 보조 케이싱(300)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눌러 록킹돌기(335)에 록킹되어 있는 후크(491)가 록킹 해제된다.
그 후, 촬영 유닛(500)의 선단면(501)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면, 도 7과 같이, 슬라이더(400)는 토션 스프링(473)의 제1 리드(471) 탄성력에 의해 전면 케이싱(310)의 상부면(320)을 향해 상승한다.
이에 따라, 촬영 유닛(500)은, 도 8과 같이, 슬라이더(400)와 연동하여 소정의 곡선 궤적을 그리면서 상부면(320)의 개구(321, 도 3 참조)를 통해 보조 케이싱(300) 외부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촬영 유닛(500)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로터리 댐퍼(450)와 기어 연결된 슬라이더(400)는 그 상승 속도가 늦춰짐에 따라 부드럽게 동작된다.
제2 위치에서는, 토션 스프링(470)의 제1 리드(471)가 걸림돌기(318)에 의해 간섭됨에 따라 더 이상 슬라이더(400)에 탄성력을 가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하지만, 슬라이더(400)는 로터리 댐퍼(450)의 토크에 여전히 영향을 받는 상태로 유지된다.
촬영 유닛(500)은 보조 케이싱(300) 외부로 돌출된 제2 위치와 제3 위치 사이에서 촬영 유닛(500)을 상하 소정 각도로 설정하여 카메라 화각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촬영 유닛(500)의 설정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도 4와 같이, 촬영 유닛(500)에 형성된 미끄럼방지부(505)를 화살표 R1 방향 또는 R2 방향으로 밀어 촬영 유닛(500)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슬라이더(400)가 연장부(403a)를 통해 로터리 댐퍼(450)의 토크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촬영 유닛(500)은 상기 제2 위치와 제3 위치 사이의 어느 한 지점에서 그 설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고정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3 위치는 보조 케이싱(300) 외부로 돌출된 촬영 유닛(500)이 하향 회전할 수 있는 최하단에 대응할 수 있다. 이 경우, 촬영 유닛(500)은 전면 케이싱(310)의 상부면 내측에 위치한 촬영 유닛(500)의 일부분이 전면 케이싱(310)에 간섭되어 제3 위치에서부터 더 하향 회전할 수 없도록 제한된다.
한편, 제2 위치와 제3 위치 사이의 구간은 사용자가 촬영 유닛(500)의 카메라 화각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범위에 해당한다. 슬라이더(400)는 상술한 조절범위에 대응하여 도 9에 도시된 P1 부터 도 12에 도시된 P2 까지의 구간에서 승강 이동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촬영 유닛(500)을 보조 케이싱(300) 외부로 돌출시키거나 보조 케이싱(300) 내부로 인입시키기 위한 구성들을 이용하여 촬영 유닛(500)의 카메라 화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종래와 같이, 촬영 유닛(500)의 카메라 화각을 조절하기 위해 촬영 유닛(500) 내부에 별도로 조립되는 복잡한 조절구조를 생략할 수 있다. 아울러, 별도의 복잡한 조절구조가 생략됨에 따라 촬영 유닛(500)의 내부가 밀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각종 이물질이 촬영 유닛(5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케이싱과, 촬영 유닛의 카메라 화각 조절을 위한 마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마찰부재가 전면 케이싱에 결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에 표시된 G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표시된 H-H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디스플에 장치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다만, 구성부에서 다소 차이가 있다. 즉, 제2 실시예는 제2 위치와 제3 위치에서 촬영 유닛(500)을 소정 각도로 설정 유지할 수 있는 구성(즉, 제1 실시예의 슬라이더(400)의 연장부(403a)와 로터리 댐퍼(450) 간 기어 연결 구성)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구성에 한하여 설명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마찰부재(800)는 전방 케이스(300)의 제1 가이드레일(311)의 상단에 연장 형성된 제1 돌출부(311a)와, 제1 돌출부(311a)에 직각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311b)와, 전면 케이싱(310)의 내주면 일부(310a)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S, 도 13 참조)에 배치된다.
이 경우, 마찰부재(800)는 제1 돌출부(311a), 제2 돌출부(311b) 및 전면 케이싱(310)의 내주면 일부(310a)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찰부재(800)는 마찰력과 함께 소정의 탄성력을 구비하는 재질 예를 들면, 고무 또는 합성수지(우레탄 수지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찰부재(800)는 촬영 유닛(500)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제1 돌출벽(311a)과 슬라이더(1400)의 제1 연결부(1411) 사이에 끼이게 된다. 이때, 슬라이더(1400)는 마찰부재(800)의 탄성력과 마찰부재(800)와 접하는 제1 연결부(1411)의 외측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소정의 고정력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화살표 R1 또는 화살표 R2 방향(도 4 참조)으로 촬영 유닛(500)의 각도를 설정하는 경우, 슬라이더(400)는 마찰부재(800)에 의해 고정력이 부여됨에 따라 촬영 유닛(500)은 사용자가 설정한 각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는 마찰부재(800)를 통해 제2 및 제3 위치 사이에서 촬영 유닛(500)의 상하로 설정된 각도가 유지되므로, 도 14와 같이, 슬라이더(1400)는 제1 실시예에서 슬라이더(400)에 형성된 연장부(403a, 도 10 참조)를 생략할 수 있다.
300: 보조 케이스 310: 전면 케이스
311: 제1 가이드레일 313: 제2 가이드레일
311a: 제1 돌출벽 311b: 제2 돌출벽
320: 상부면 321: 개구
330: 후면 케이스 335: 록킹돌기
400,1400: 슬라이더 403: 결합부
403a: 연장부 450: 로터리 댐퍼
470: 토션 스프링 490: 록킹부재
500: 촬영 유닛 505: 미끄럼방지부

Claims (20)

  1.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본체;
    사용자의 제스처 감지를 위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촬영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내에 상기 촬영 유닛이 수납되는 제1 위치와, 촬영 시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외부로 돌출되는 제2 위치 또는 제3 위치로 상기 촬영 유닛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및 제3 위치 사이의 구간 중 어느 한 지점에서 상기 촬영 유닛을 고정 상태로 유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 시 이동 속도를 제어하고, 상기 제2 및 제3 위치 사이에서 설정된 각도로 상기 촬영 유닛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촬영 유닛에 힌지 연결된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에 구비되어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 유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위치를 고정하는 록킹부재;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슬라이더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 시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속도를 감속하고, 상기 제2 및 제3 위치 사이의 구간에서 설정된 상기 촬영 유닛의 각도를 유지하는 감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슬라이더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구간이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와 기어 연결되는 로터리 댐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1 및 제2 위치 사이의 구간에 상기 로터리 댐퍼와 기어 연결되는 결합부; 및
    상기 제2 및 제3 위치 사이의 구간에 상기 로터리 댐퍼와 기어 연결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부에 상기 촬영 유닛의 양측에 돌출된 제1 및 제2 힌지돌기가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및 제2 장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장공은 서로 대칭 형성되며 일측으로 경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토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촬영 유닛에 힌지 연결된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에 구비되어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 유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위치를 고정하는 록킹부재;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슬라이더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 시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속도를 감속하는 감속부재; 및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2 및 제3 위치 사이에서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기 위한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및 제3 위치 사이 구간에서 상기 슬라이더의 일부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의 상부 일면에 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고무 또는 탄성력을 가지는 합성수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최상한 설정위치이고, 상기 제3 위치는 최하한 설정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유닛은 외주면에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메인 케이싱과 메인 케이싱 후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조 케이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보조 케이싱 내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제스처 감지를 위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촬영 유닛; 및
    상기 보조 케이싱 내에 배치되어 상기 촬영 유닛과 연동하도록 연결된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촬영 유닛은 상기 구동부와 연동하여 상기 보조 케이싱 내에 수납되는 제1 위치와, 촬영 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 외부로 돌출되는 제2 위치 또는 제3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제2 및 제3 위치 사이의 구간 중 어느 한 지점에서 고정 상태로 유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촬영 유닛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촬영 유닛을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보조 케이싱에 탄력적으로 지지된 슬라이더; 및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 시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속도를 감속하고, 상기 제2 및 제3 위치 사이의 구간에서 설정된 상기 촬영 유닛의 각도를 유지하는 감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과 기어 연결되는 로터리 댐퍼이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1 및 제2 위치 사이의 구간에 상기 로터리 댐퍼와 기어 연결되는 결합부와, 상기 제2 및 제3 위치 사이의 구간에 상기 로터리 댐퍼와 기어 연결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촬영 유닛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촬영 유닛을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보조 케이싱에 탄력적으로 지지된 슬라이더;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 시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속도를 감속하는 감속부재; 및
    상기 보조 케이싱에 고정되며, 상기 촬영 유닛이 상기 제2 및 제3 위치 사이에서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일부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의 상부 일면에 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고무 또는 탄성력을 가지는 합성수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024428A 2014-02-28 2014-02-28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102489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428A KR20150102489A (ko) 2014-02-28 2014-02-28 디스플레이 장치
US15/112,016 US10216282B2 (en) 2014-02-28 2014-12-29 Display device with a moveable photographing assembly
EP14883704.0A EP3079358B1 (en) 2014-02-28 2014-12-29 Display device
PCT/KR2014/012974 WO2015130004A1 (ko) 2014-02-28 2014-12-29 디스플레이 장치
US16/246,809 US20190146592A1 (en) 2014-02-28 2019-01-14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428A KR20150102489A (ko) 2014-02-28 2014-02-28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489A true KR20150102489A (ko) 2015-09-07

Family

ID=54009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428A KR20150102489A (ko) 2014-02-28 2014-02-28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216282B2 (ko)
EP (1) EP3079358B1 (ko)
KR (1) KR20150102489A (ko)
WO (1) WO2015130004A1 (ko)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2059A (ja) 1985-10-26 1987-05-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除霜運転制御装置
JPS62102059U (ko) * 1985-12-18 1987-06-29
KR200154872Y1 (ko) 1996-10-25 1999-08-16 유기범 컴퓨터용 카메라 각도조절장치
JPH10301718A (ja) * 1997-04-30 1998-11-13 Toshiba Corp 情報検出装置
KR19990009159A (ko) 1997-07-08 1999-02-05 서경배 샴푸조성물
KR19990009159U (ko) * 1997-08-18 1999-03-15 윤종용 사용각도 조절가능한 카메라와 마이커를 가진 디스플레이장치
US6812958B1 (en) * 1998-09-10 2004-11-02 Intel Corporation Storable digital camera associated with a computer system
KR20000020511A (ko) * 1998-09-19 2000-04-15 구자홍 카메라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
US6970202B1 (en) * 2000-06-27 2005-11-29 Eastman Kodak Company Device for mounting a camera on a computer
JP2002107798A (ja) * 2000-07-25 2002-04-10 Olympus Optical Co Ltd 閃光発光装置およびカメラの移動装置
US20020093493A1 (en) * 2001-01-17 2002-07-18 E-Mobile Israel Ltd. Hand held internet access/personal digital assistant/cellular communication device
JP4192441B2 (ja) * 2001-05-28 2008-12-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のクレードル装置
KR100536939B1 (ko) * 2003-07-11 2005-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
US20050014527A1 (en) 2003-07-18 2005-01-20 Agere Systems Incorporated Retractable rotatable camera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7866003B2 (en) * 2004-01-13 2011-01-11 K. K. Murakoshi Seikoh Damping device
US7593031B2 (en) * 2004-04-16 2009-09-22 Polycom, Inc. Integrated desktop videoconferencing system
KR101070631B1 (ko) * 2004-06-09 2011-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모듈이 장착된 휴대용 컴퓨터
US7717629B2 (en) * 2004-10-15 2010-05-18 Lifesize Communications, Inc. Coordinated camera pan tilt mechanism
CN2849797Y (zh) * 2005-11-14 2006-12-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摄像模组的电子装置
TWI316167B (en) * 2006-05-01 2009-10-21 Quanta Comp Inc Built-in webcam device
US8207936B2 (en) * 2006-06-30 2012-06-2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Voice remote control
TW200806006A (en) * 2006-07-14 2008-01-16 Compal Communications Inc Electrical apparatus with image-capturing device
US7677815B2 (en) * 2006-10-10 2010-03-16 Microsoft Corporation Photographic device with retractable lens
CN100584031C (zh) * 2006-12-22 2010-01-20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液晶显示器
US20080183932A1 (en) * 2007-01-26 2008-07-31 Wei Hsu Talking webcam
FR2946214A1 (fr) * 2009-05-29 2010-12-03 Guillemot Corp Camera du type webcam destinee a etre montee sur un ecran
CN101997940B (zh) * 2009-08-19 2014-07-1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TWI387429B (zh) * 2009-08-25 2013-02-21 Wistron Corp 具有可拆卸式攝影模組之可攜式電子系統
CN102576237B (zh) * 2009-12-10 2016-01-13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具有倾斜摄像机组件的便携式计算机
US8734031B2 (en) * 2011-12-23 2014-05-27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Camera barrel mechanism
JP4865886B2 (ja) * 2010-06-07 2012-02-01 三菱製鋼株式会社 スライドユニット機構
TWI416244B (zh) * 2010-11-16 2013-11-21 Kye Systems Corp Internet camera
US8542264B2 (en) * 2010-11-18 2013-09-24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ptics in a video environment
JP5066277B1 (ja) 2011-06-10 2012-11-07 株式会社東芝 テレビジョン受像機
CN103186165A (zh) * 2011-12-27 2013-07-03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摄像装置的电子设备
EP2610856A1 (en) * 2011-12-29 2013-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KR20130078301A (ko) * 2011-12-30 201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8641301B2 (en) * 2012-03-30 2014-02-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amera angle adjustment
US8681268B2 (en) 2012-05-24 2014-03-25 Abisee, Inc. Vision assistive devices and user interfaces
KR101947572B1 (ko) 2012-07-06 2019-02-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00184B1 (ko) * 2013-02-18 2020-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40288B1 (ko) * 2013-02-27 2019-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14336A (ko) * 2013-07-29 2015-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6318628B2 (ja) * 2013-08-14 2018-05-09 株式会社リコー 表示端末、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表示端末の制御方法、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KR102055204B1 (ko) * 2013-09-09 2019-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을 포함한 표시장치
US9635224B2 (en) * 2014-04-18 2017-04-25 Alarm.Com Incorporated Pan and tilt camera with robotic mov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79358A1 (en) 2016-10-12
US20190146592A1 (en) 2019-05-16
US10216282B2 (en) 2019-02-26
EP3079358A4 (en) 2018-04-25
EP3079358B1 (en) 2020-04-22
US20160334878A1 (en) 2016-11-17
WO2015130004A1 (ko) 2015-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9441B2 (en) Display apparatus
KR10204028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609612B2 (en) Foldable device
US7936278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amera
US20150378397A1 (en) Foldable device
KR101041936B1 (ko) 영상 프로젝터 기능이 구비된 침대시스템
KR20150014336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10248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58209A (ko) 디스플레이 장치
RU2633449C2 (ru) Проек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CN210034954U (zh) 用于冰箱的摄像头安装机构及冰箱
CN219312646U (zh) 一种360度视角行车记录仪
CN214045852U (zh) 具有指示灯雾化结构的电视盒子
CN111290201B (zh) 投影装置及其盖门组件
KR102061521B1 (ko) 힌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399688Y1 (ko) 프로젝션텔레비젼용 좌표인식 스캐너 장착장치
JP2008013952A (ja) 補助錠装置
KR20040033811A (ko) 테이프 레코더의 배터리 로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