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8209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8209A
KR20070058209A KR1020050116557A KR20050116557A KR20070058209A KR 20070058209 A KR20070058209 A KR 20070058209A KR 1020050116557 A KR1020050116557 A KR 1020050116557A KR 20050116557 A KR20050116557 A KR 20050116557A KR 20070058209 A KR20070058209 A KR 20070058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nsing
sensor
sensing unit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6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6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8209A/ko
Priority to EP06077017A priority patent/EP1806642A2/en
Priority to US11/603,098 priority patent/US20070126713A1/en
Priority to CNA2006101630348A priority patent/CN1975514A/zh
Publication of KR20070058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2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propagating acoustic waves
    • G06F3/043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propagating acoustic waves in which the acoustic waves are either generated by a movable member and propagated within a surface layer or propagated within a surface layer and captured by a movable memb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화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면이 노출되는 표시면개구를 가지며, 전면에 관통 형성된 복수 개의 센서장착개구를 갖는 본체 케이싱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광 및 초음파를 방출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을 감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도록 상기 본체 케이싱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감지위치와 상기 감지위치로부터 후퇴한 장착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 케이싱의 장착개구에 장착된 감지센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미관이 향상되며, 손상이 예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타블릿 감지센서의 분해사시도,
도 4는 타블릿 감지센서가 장착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d는 감지센서유닛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타블릿 기능의 제어블록도,
도 8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디스플레이 장치 15 : 디스플레이 패널
17 : 보호판
20 : 입력수단 21 : 펜본체
23 : 펜촉 25 : 광발생부
27 : 초음파발생부
30 : 본체케이싱 31 : 전방커버
33 : 표시면개구 35 : 센서장착개구
37 : 보호판지지부 39 : 후방커버
40 : 감지센서유닛 50 : 감지부
51 : 센서조립체 53 : 센서
55 : 센서실드 57 : 감지부하우징
59 : 하우징본체 61 : 하우징상부커버
63 : 하우징하부커버 65 : 안내돌기
67 : 물림부 69 : 걸림턱
70 : 유닛케이싱 71 : 걸림턱돌기
73 : 안내돌기수용부 75 : 탄성부재
80 : 록킹부 81 : 미니래치
83 : 걸림부
90 : 제어부 95 : 화상신호제어장치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블릿 기능을 수행하는 감지센서의 구조를 개선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TV나 모니터 등과 같이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 설치공간을 줄이기 위해 LCD(Liquid Crystal Dsisplay)나 PDP(Plasma Display Panel)와 같은 박막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일반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는 화면에 전자펜 등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타블릿(tablet) 기능을 갖춘 것도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타블릿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가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3-0065713호 및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20-0301821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타블릿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로써 주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으로 마련되며, 이러한 터치스크린 상에 전자펜 등을 이용하여 가압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타블릿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반 디스플레이 장치에 들어가는 화상용 디스플레이 패널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싼 터치스크린을 장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격이 상당히 증가는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새로운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입력수단을 감지하는 센서가 돌출되어 있는 것보다 센서가 입력수단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돌출되며 센서가 입력수단을 감지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본체의 판면과 같은 높이를 갖도록 삽입되는 것이 편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타블릿 기능을 수행하는 감지센서의 구조를 개선하여 미관을 향상시키며,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화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면이 노출되는 표시면개구를 가지며, 전면에 관통 형성된 복수 개의 센서장착개구를 갖는 본체 케이싱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광 및 초음파를 방출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을 감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도록 상기 본체 케이싱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감지위치와 상기 감지위치로부터 후퇴한 장착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 케이싱의 장착개구에 장착된 감지센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위치에서 상기 감지센서유닛이 상기 입력수단을 감지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수단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유닛은, 상기 입력수단을 감지하며, 상기 감지위치와 상기 장착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를 수용하여 상기 감지부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본체 케이싱에 결합된 유닛케이싱과; 상기 유닛케이싱과 상기 감지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감지부가 상기 장착위치로 돌출되도록 상기 감지부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의 가압에 의해 상기 장착위치에서 상기 감지부가 록킹 및 록킹해제되도록 상기 유닛케이싱 및 상기 감지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록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입력수단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감지센서를 커버하는 감지센서실드를 갖는 센서조립체와; 상기 센서조립체를 수용하여 상기 센서조립체를 상기 감지위치와 상기 장착위치 사이에서 상기 본체 케이싱을 따라 이동 안내하는 감지부 하우징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지부 하우징이 상기 유닛케이싱을 따라 이동 안내되도록 상기 감지부 하우징 및 유닛케이싱 중 어느 하나에 이동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내돌기와, 상기 감지부 하우징 및 상기 유닛케이싱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안내돌기와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돌기 수용부를 포함하여 안정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유닛케이싱에 지지되어 상기 감지부 하우징의 가압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어 상기 감지부 하우징을 록킹유지 및 록킹해제시키는 걸림부를 갖는 미니래치와; 상기 걸림부에 맞물리도록 상기 감지부 하우징에 마련된 물림부를 포함하여 록킹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 하우징이 상기 감지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유닛케이싱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걸림턱돌기와, 상기 걸림턱돌기에 걸리도록 상기 감지부 하우징에 마련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 이, 화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5)과; 디스플레이 패널(15)을 지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5)의 표시면이 노출되는 표시면개구(33)를 가지며, 전면에 관통 형성된 복수 개의 센서장착개구(35)를 갖는 본체케이싱(30)과; 디스플레이 패널(15) 상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광 및 초음파를 방출하는 입력수단(20)과; 입력수단(20)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5) 상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도록 본체케이싱(30)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감지위치(A)와 감지위치(A)로부터 후퇴한 장착위치(B)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본체 케이싱(30)의 센서장착개구(35)에 장착된 감지센서유닛(40)을 갖는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입력수단(20) 및 감지센서유닛(40)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입력수단(20)의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감지부(50)의 가압에 의해 장착위치(B)에서 감지부(50)가 록킹 및 록킹해제되도록 유닛케이싱(70) 및 감지부(5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록킹부(80)를 더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PDP(Plasma Display Panel)와 같은 박막형 디스플레이 패널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 패널(15)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5)을 구동하는 구동회로(미도시)가 마련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5)의 화상면에는 후술할 펜유닛과 같은 입력수단(20)의 펜촉(23)과의 접촉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5)을 보호하도록 보호판(17)이 부착될 수 있다.
보호판(17)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5)에서 표시되는 화상을 그대로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비닐류와 같이 투명한 재질의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판(17)은 전방커버(31)에 마련된 보호판지지부(37)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지지된다.
입력수단(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펜유닛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펜 형상으로 마련된 펜본체(21)와, 펜본체(21)의 일측에 디스플레이 패널(15)와 접촉가능하도록 돌출된 펜촉(23)과, 펜촉(23)의 상측에 광발생부(25) 및 초음파발생부(27)를 갖는다.
광발생부(25)는 적외선을 방출하게 되며, 초음파발생부(27)에는 초음파를 각각 방출하여 후술한 센서(53)가 입력수단(20) 위치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보호판지지부(37)는 전방커버(31)의 판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5)의 중심방향으로 소정 영역 연장되어 보호판(17)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한다. 보호판지지부(37)는 전방커버(31)의 표시면개구(33)의 각 변에서 적어도 하나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표시면개구(33)의 각 변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보호판(17)을 용이하게 착탈하기 위하여 보호판지지부(37)가 마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사용자는 타블릿 기능을 사용할 경우에는 보호판(17)을 디스플레이 패널(15)과 보호판지지부(37) 사이로 삽입하여 보호판(17)을 디스플레이 패널(15)의 전방에 부착할 수 있으며, 타블릿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보호판(17)을 보호판지지부(37)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체 케이싱(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5)의 전방에 마련되며, 표시면개구(33)를 갖는 전방커버(31)와, 전방커버(31)와 결합되는 후 방커버(39)를 갖는다. 본체 케이싱(30)은 표시면개구(33)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15)과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외관을 형성한다.
전방커버(31)는 디스플레이 패널(15)의 전방에 마련되며, 디스플레이 패널(15)의 화상면이 노출되도록 표시면개구(33)가 마련된다. 전방커버(31)는 디스플레이 패널(15) 및 후방커버(39)와 스크루 등에 의해 결합된다. 전방커버(31)에는 감지센서유닛(40)를 수용하도록 센서장착개구(35)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감지센서유닛(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수단(20)을 감지하며, 감지위치(A)와 장착위치(B) 사이를 이동하는 감지부(50)와, 감지부(50)를 수용하여 감지부(5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본체 케이싱(30)에 결합된 유닛케이싱(70)과, 감지부하우징(57)과 감지부(50) 사이에 개재되어 감지부(50)가 장착위치(B)로 돌출되도록 감지부(50)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75)를 갖는다.
감지부(50)는 입력수단(20)을 감지하도록 감지위치(A)와 장착위치(B) 사이를 이동한다. 감지부(50)는 입력수단(20)을 감지하는 센서(53)와, 소정의 전자파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센서(53)를 커버하는 센서실드(55)를 갖는 센서조립체(51)와, 센서조립체(51)를 수용하여 센서조립체(51)를 감지위치(A)와 장착위치(B) 간을 이동 안내하는 감지부하우징(57)을 갖는다. 이에, 감지부(50)는 입력수단(20)을 감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장착위치(B)로 삽입되어 본체 케이싱(30)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며, 운반 등의 경우에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센서(53)는 입력수단(20)의 광발생부(25)로부터 방출되는 광센서(미도시)와, 초음파발생부(27)로부터 방출된 초음파를 감지하는 초음파센서(미도시)를 갖는다. 광센서는 하나로 마련되며, 본 발명의 일예로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고 있으나, 적외선 센서 외의 다양한 광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광센서에는 광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광센서구동기판(미도시)이 장착되며, 광센서구동기판은 감지부하우징(57)에 지지될 수 있다. 초음파센서는 입력수단(20)의 초음파발생부(27)로부터 방출된 초음파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호 감지 시간차를 이용하여 입력수단(20)과의 상대적인 거리차를 측정하도록 복수 개로 마련된다. 즉, 초음파센서는 전방커버(31)의 상측 좌우에 마련된 감지부하우징(57)에 각각 수용된다. 초음파센서에는 초음파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초음파센서구동기판(미도시)이 장착된다.
감지부하우징(57)은 센서조립체(51)를 수용하여 센서조립체(51)를 감지위치(A)와 장착위치(B) 간을 이동 안내한다. 감지부하우징(57)은 하우징본체(59)와, 하우징본체(59)의 일측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가압할 수 있도록 아크릴과 같이 외관이 미려한 재질로 마련되어 하우징본체(59)에 결합되는 하우징상부커버(61)와, 하우징본체(59)의 타측에 마련되어 센서조립체(51)를 지지하도록 하우징본체(59)에 결합되는 하우징 하부커버(63)를 갖는다.
안내돌기(6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하우징(57)의 외주면으로부터 이동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유닛케이싱(70)의 안내돌기수용부(73)와 맞물려 감지위치(A)와 장착위치(B) 사이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안내돌기(65)는 감지부하우징(57)의 크기 등에 따라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물림부(6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하부커버(63)의 판면으로부 터 돌출되어 후술할 미니래치(81)의 걸림부(83)와 맞물려 감지부하우징(57)을 록킹유지 및 록킹해제시킬 수 있다.
걸림턱(69)은 감지부하우징(57)이 감지위치(A)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감지부하우징(57)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유닛케이싱(70)의 걸림턱돌기(71)에 걸린다.
유닛케이싱(7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50)를 수용하여 감지부(5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본체 케이싱(30)에 결합된다. 유닛케이싱(70)은 후술한 안내돌기(65)와 맞물리려 감지부하우징(57)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내부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된 안내돌기수용부(73)를 갖는다. 유닛케이싱(70)은 감지부하우징(57)이 감지위치(A)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유닛케이싱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걸림턱돌기(71)를 가져 감지부하우징(57)의 걸림턱(69)과 맞물린다.
탄성부재(75)는 유닛케이싱(70)과 감지부하우징(57) 사이에 개재되어 감지부하우징(57)가 장착위치(B)로 돌출되도록 감지부하우징(57)를 탄성 가압한다. 탄성부재(75)는 감지부하우징(57)을 장착위치(B)로 탄성 가압하는 압축스프링으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감지부하우징(57)은 유닛케이싱(70)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록킹부(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케이싱(70)에 결합되어 유닛케이싱(70)의 가압에 의해 장착위치(B)에서 감지부하우징(57)이 록킹 및 록킹해제되도록 한다. 록킹부(80)는 유닛케이싱(70)에 지지되어 감지부하우징(57)의 가압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어 감지부하우징(57)을 록킹유지 및 록킹해제시키는 후크 형상의 걸림부(83)를 갖는 미니래치(81)와, 걸림부(83)에 맞물리도록 감지부하우징(57)에 형성된 물림부(67)를 갖는다.
미니래치(81)는 본체(미도시)와, 본체의 단부에 후크 형상의 걸림부(83)을 갖는다. 본체의 구조는 걸림부(83)를 소정의 힘으로 가압하면 걸림부(83)가 승강되면서 동시에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미니래치(81)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공지된 종류를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다.
이에, 감지부하우징(57)이 안정적으로 록킹유지 및 록킹해제될 수 있다.
제어부(9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위치(A)에서 감지센서유닛(40)이 입력수단(20)을 감지한 결과에 기초하여 광센서 및 어느 하나의 초음파센서로부터 입력수단(20)과 유닛케이싱(70)과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어느 하나의 초음파센서 및 다른 하나의 초음파센서로부터 입력수단(20)과 각 유닛케이싱(70) 사이의 상대적인 거리비를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계산한 상대적인 거리비 및 일정한 각 유닛케이싱(70)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5) 상의 입력수단(20)의 2차원적인 위치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본 발명의 일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에 내장된다. 그러나, 이러한 제어부(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로 화상신호를 제공하는 컴퓨터본체와 같은 화상신호제어장치(95)에 마련될 수도 있다.
화상신호제어장치(9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90)로부터 검출된 입력수단(20)의 위치정보 전달받아 디스플레이 패널(15) 상에서 입력수단(20)의 이동을 디스플레이 패널(15)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5)의 화상신호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이러한 화상신호제어장치(95)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장치로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화상신호제어장치(95)는 예를 들어 문서작성 프로그램이나 그리기 프로그램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프로그램에 입력수단(20)의 위치정보를 전달하여 입력수단(20)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 패널(15) 상에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착위치(B)에 록킹유지된 감지부하우징(57)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하면, 미니래치(81)의 걸림부(83)는 하강하면서 동시에 회동되어 감지부하우징(57)의 물림부(67)와 록킹해제된다. 그런 후 감지부하우징(57)의 가압을 해제하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하우징(57)은 탄성부재(75)의 의해 유닛케이싱(70)의 안내돌기수용부(73)를 따라 감지위치(A)로 이동되어 본체 케이싱(30)으로부터 돌출된다. 감지부하우징(57)이 장착위치(B)로 삽입되는 과정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위치(A)로 돌출되는 과정과 반대로 이루어진다.
다음,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판(17)을 디스플레이 패널(15)의 전면에 부착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입력수단(20)으로 보호판(17) 상에 소정의 정보를 작성하게 된다. 이때, 입력수단(20)의 광발생부(25) 및 초음파발생부(27)로 부터 광 및 초음파가 발생되어 광센서 및 초음파센서에 감지된다. 이에, 감지된 신호들이 제어부(90)로 전달되어 제어부(90)에 의해 입력수단(20)의 위치정보로 계산된다. 제어부(90)에 의해 검출된 위치정보는 화상신호제어장치(95) 등으로 전달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5) 상에 표시되게 된다. 입력수단(20)으로 입력을 완료하면,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감지부하우징(57)을 가압하면 물림부(67)가 미니래치(81)의 걸림부(83)에 맞물려 록킹유지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블릿 기능을 수행하는 감지센서의 구조를 이동 가능하게 개선하여 미관을 향상시키며, 운반 등에 따른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미관이 향상되며, 손상이 예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8)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화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면이 노출되는 표시면개구를 가지며, 전면에 관통 형성된 복수 개의 센서장착개구를 갖는 본체 케이싱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광 및 초음파를 방출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을 감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도록 상기 본체 케이싱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감지위치와 상기 감지위치로부터 후퇴한 장착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 케이싱의 장착개구에 장착된 감지센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위치에서 상기 감지센서유닛이 상기 입력수단을 감지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수단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유닛은,
    상기 입력수단을 감지하며, 상기 감지위치와 상기 장착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를 수용하여 상기 감지부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본체 케이싱에 결합된 유닛케이싱과;
    상기 유닛케이싱과 상기 감지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감지부가 상기 장착위치로 돌출되도록 상기 감지부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의 가압에 의해 상기 장착위치에서 상기 감지부가 록킹 및 록킹해제되도록 상기 유닛케이싱 및 상기 감지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록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입력수단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감지센서를 커버하는 감지센서실드를 갖는 센서조립체와;
    상기 센서조립체를 수용하여 상기 센서조립체를 상기 감지위치와 상기 장착위치 사이에서 상기 본체 케이싱을 따라 이동 안내하는 감지부 하우징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 하우징이 상기 유닛케이싱을 따라 이동 안내되도록 상기 감지부 하우징 및 유닛케이싱 중 어느 하나에 이동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내돌기와,
    상기 감지부 하우징 및 상기 유닛케이싱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안내돌기와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돌기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유닛케이싱에 지지되어 상기 감지부 하우징의 가압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어 상기 감지부 하우징을 록킹유지 및 록킹해제시키는 걸림부를 갖는 미니래치와;
    상기 걸림부에 맞물리도록 상기 감지부 하우징에 마련된 물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 하우징이 상기 감지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유닛케이싱 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걸림턱돌기와,
    상기 걸림턱돌기에 걸리도록 상기 감지부 하우징에 마련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50116557A 2005-12-01 2005-12-01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5820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557A KR20070058209A (ko) 2005-12-01 2005-12-01 디스플레이 장치
EP06077017A EP1806642A2 (en) 2005-12-01 2006-11-14 Retractable sensors for a display apparatus
US11/603,098 US20070126713A1 (en) 2005-12-01 2006-11-22 Display apparatus
CNA2006101630348A CN1975514A (zh) 2005-12-01 2006-11-27 显示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557A KR20070058209A (ko) 2005-12-01 2005-12-01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209A true KR20070058209A (ko) 2007-06-08

Family

ID=37607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6557A KR20070058209A (ko) 2005-12-01 2005-12-01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126713A1 (ko)
EP (1) EP1806642A2 (ko)
KR (1) KR20070058209A (ko)
CN (1) CN19755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0529A (ko) * 2010-01-06 2011-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
KR20140126036A (ko) * 2013-04-22 2014-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1442A (ko) * 2008-02-25 2009-08-28 (주)펜앤프리 입력 신호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 시스템 및 방법
KR101222173B1 (ko) * 2011-10-07 2013-01-17 (주)펜앤프리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 및 태블릿 피씨 케이스
US9728145B2 (en) * 2012-01-27 2017-08-08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of enhancing moving graphical elemen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0529A (ko) * 2010-01-06 2011-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
KR20140126036A (ko) * 2013-04-22 2014-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26713A1 (en) 2007-06-07
EP1806642A2 (en) 2007-07-11
CN1975514A (zh) 2007-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01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0429900B1 (en) Coupled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KR20070058209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6192702B2 (ja) 電子機器
US8358038B2 (en) Electronic apparatus
KR20060097962A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2120772B1 (ko) 전자칠판용 영상 지우개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전자칠판 시스템
KR20170133918A (ko) 실링 수단을 갖는 전자 장치
US1159269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N101446854A (zh) 电子设备
US7843433B2 (en) Cordless pointing device and information terminal device
US2023003923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9910462B2 (en)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08193B1 (ko) 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38201A (ko) 디스플레이용 버튼장치
KR20150144134A (ko) 이동단말기
KR100693343B1 (ko) 사이버 전자칠판
US20130176671A1 (en) Input receiver and electronic device
JP6731505B1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システム
KR10209754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213276620U (zh) 红外触摸屏和显示设备
KR10159783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36894B1 (ko) 디스플레이장치
JP7247750B2 (ja) 押釦構造および電子機器
JP2023168819A (ja) 機能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