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490B1 - 신경 보호 7-베타-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 Google Patents

신경 보호 7-베타-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490B1
KR100829490B1 KR1020027017897A KR20027017897A KR100829490B1 KR 100829490 B1 KR100829490 B1 KR 100829490B1 KR 1020027017897 A KR1020027017897 A KR 1020027017897A KR 20027017897 A KR20027017897 A KR 20027017897A KR 100829490 B1 KR100829490 B1 KR 100829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arbon atoms
groups
hydroxy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7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4112A (ko
Inventor
윌퍼트언스트
프링글애슬리커
선드스트롬라스에릭
Original Assignee
헌터-플레밍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헌터-플레밍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헌터-플레밍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34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4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2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peripheral neuropath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3-하이드록시-7β-하이드록시 스테로이드와 3-옥소-7β-하이드록시 스테로이드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신경 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를 위해 유용하였다.
3-하이드록시-7β-하이드록시 스테로이드, 3-옥소-7β-하이드록시 스테로이드, 신경 보호

Description

신경 보호 7-베타-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NEUROPROTECTIVE 7-BETA-HYDROXYSTEROIDS}
본 발명은 신경 세포사로부터의 보호를 위한, 일련의 3-하이드록시-7β-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화합물과 그의 특정 케톤 유도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고, 따라서 이들은 알츠하이머병, 파킨스씨병, 인지 장애 비 치매(Cognitive Impairment No Dementia, CIND), 뇌졸중, 뇌손상, 척수 손상 및 말초 신경 손상 등과 같은 증상 또는 그러한 증상의 후유증의 치료 및 방지에 유용하며, 또한 인지 기능의 향상에도 유용하다.
생체 내에서 디하이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dehydroepiandrosterone, DHEA)의 7α 위치가 하이드록시화된 대사 산물의 생산은, 소변에서 7α-하이드록시-DHEA가 동정된 1959년 이래 공지되어 왔다[J J Schneider, M L Lewbart, Recent Progr. Horm. Res. 15(1959) 201-230; L Starka et al, Clin. Chim. Acta. 7(1961) 309-316]. 그 이후, DHEA 및 에피안드로스테론-EPIA을 포함하는 3β-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물질의 광범위한 7α-하이드록시화는, 성인과 태아의 간, 정소, 부정소, 피 부, 유선 조직, 전립선, 지방질 세포 및 편도선을 포함하는 다수의 인체 기관으로부터의 조직 표본에서 보고되어왔다. 또한, DHEA의 7-위치의 하이드록시화는 쥐의 간과 다양한 쥐의 조직 및 기관에서도 입증되었다. 그러나, 7β-등가물에는 거의 또는 전혀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이들 모두의 연구에서, 7α-하이드록시-DHEA가 주 대사산물로 월등하게 생산되었다. 실제로, 두스짜데(Doostzadeh)씨 등은 쥐의 간 미립체(microsomes)에 의한 7α-하이드록시-DHEA의 생산 속도가 7β-하이드록시-DHEA의 생산 속도보다 15배 빠르다는 것을 보고하였다[Steroids 63(1998) 608-614].
또한, EPIA, DHEA 및 프레그네놀론(pregnenolone)은, 쥐의 뇌에서, 그들에 상응하는 7α-하이드록시 대사 산물로 급속하고 광범위하게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J M Guiraud et al, Steroids 34(1979) 241-248; M Warner et al, Endocrinology 124(1989) 2699-2706; Y Akwa et al, Biochem. J. 288(1992) 959-964].
WO 97/37664 호는, 신경 정신적, 면역 또는 내분비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7α-하이드록시-치환 스테로이드를 포함하는 다양한 화합물의 사용을 개시한다. 이들 화합물이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WO 97/37664 호에서 제시된 질환들 중에는, 알츠하이머병이 포함된다. 그러나, 이러한 작용을 위해 제시된 메커니즘은, 상기 질환이 뇌에서의 7α-하이드록시-치환 스테로이드의 결핍에 의한 것으로 가정되고, 따라서 WO 97/37664 호에서 제시된 치료는 이러한 결핍을 7α-하이드록시-치환 스테로이드를 투여하여 손실된 화합물을 대체하는 것으로 교정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WO 97/37664 호에 기술된 과정은, 상기 상태를 방지하거나 또는 부가적인 신경 세포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상태의 악화를 방지하는 것보다, 현 상태를 치료하는 것이다. 즉, WO 97/37664 호는, 신경 보호 효과를 서술하고 있지 않다. 그것은 또한, 활성 물질이 7α 화합물이고, 7β 화합물이 만약 존재한다면, 불활성이라는 믿음에 기초를 둔다.
WO 94/20111 호는 또한, 내피 세포(endothelial cells)에의 호중구(neutrophils)의 접착에 의해 야기되는 조직 생존력의 손실을 방지하거나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다수의 DHEA 유도체의 사용을 개시한다. 그러나, 이것은 본 발명에 의해 치료되는 상기 질병을 유발하는 메커니즘이 아니다.
WO 97/37664 호에 개시된 화합물의 7β-하이드록시 유사체가 생체 내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공지되었지만, 5% 미만의 양이 생산되는 것에 비해, 7α-이성질체는 95%를 초과한 양이 생산된다. 또한, 3-하이드록시 스테로이드를 그것에 상응하는 7β-하이드록시 유도체로 전환하는데 관여하는 어떤 효소 시스템도 없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모든 이유와 상기에 요약된 연구의 견지에서, 문헌으로부터, 7β-이성질체가 비활성일 것이라는 일반적인 예상은 확실하다. 그 결과, 상기에 요약된 문헌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그리고 훨씬 더, 7β 화합물의 가능한 생물학적 활성의 조사는 본질적으로 전혀 행해지지 않았다는 것이 분명하다.
이러한 예상과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7β-하이드록시-치환 스테로이드가 생물학적 활성을 가지며, 이 활성은 WO 97/37664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7α-하이드록시 치환 스테로이드에 대한 활성이 아니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오히려 그것은, 비록 다른 계열의 화합물이기는 하지만, 종래 WO 99/31049 호에서 입증된 바와 같은 신경 보호 활성이다.
저혈당증과 관련이 있거나 혹은 없는, 장기간에 걸친 저산소증 및 허혈과 같은 경우에는, 신경 세포 손상이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발생된다.
허혈은 전형적으로 심장 마비시에 발생하지만, 이때 초래된 손상은 실질적으로 심장 조직에 국한되어 있고, 특정 치료법이 개발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련하여, 우리는 뇌졸중 환자들에게서 일어나는 것 또는 두부 손상의 결과로서와 같은, 뇌에서의 단기 허혈 및 보다 장기의 허혈 양자의 효과를 염두에 두고 있으며, 또한 만성 역치하 수준의 허혈 및/또는 보상 에너지 공급이 관찰된 뇌 퇴행성 변화에 영향을 줄 수도 있는 노화에 따라 서서히 진행되는 신경퇴행성 질환을 염두에 두고 있다. 허혈의 심각성은 뇌졸중 또는 상해의 본질에 따라 다르지만, 반드시 뇌 손상이 있으며, 그것이 본 발명이 주지하는 바이다.
뇌 손상 문제를 완화하고자 하는 다양한 신경 보호제가 종래에 공지되었지만, 최근에 이들 모두가 부작용과 연관된 경향이 있다는 것이 공지되었다. 예를 들면, MK801(다이조실핀 말레이트(dizocilpine maleate))은 매우 단순한 분자이고, 허혈 환자에게 어느 수준의 신경 보호를 제공하는 것으로 공지된다. 그러나, MK801은 또한 반대의 운동 효과 뿐만 아니라, "불안 향정신성 효과(alarming psychotropic effects)"(Martindale)와도 관련이 있다. 상기 신경 보호 효과는 여기서 참조로 포함시키는, 문헌 「Brain Research 755(1997) 36-46, Pringle, A. K., et al」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이 저자들과 동일한 저자들은, 또한 초기 논문에 코노톡신(conotoxin)의 신경 보호 효과를 서술하였지만, 이 화합물의 신경 보호 효과에도 불구하고, 체내에서 부작용이 관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3-하이드록시-7β-하이드록시 스테로이드 또는 3-옥소-7β-하이드록시 스테로이드와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에스테르의 신경 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용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용도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 특히 중요한 7β-하이드록시 스테로이드의 특정 계열은, 3β,7β-디하이드록시 스테로이드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에스테르이다.
바람직한 에스테르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3β,7β-디하이드록시 스테로이드와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에스테르 및 기타 그의 유도체의 일예는, 하기 화학식 1
Figure 112002043420144-pct00001
(식 중, R1과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각각 수소 원자,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기,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케닐기,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키닐기, 6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아릴기, 포르밀기, 2 내지 7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카르보닐기, 3 내지 7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케닐카르보닐기, 3 내지 7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키닐카르보닐기, 7 내지 11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아릴카르보닐기, 8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아랄킬카르보닐기, 9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아랄케닐카르보닐기, 또는 하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헤테로사이클릭-카르보닐기를 나타내고;
Ra 및 Rb 중 하나는 바람직하게는 β 구조인 식 -Rc 의 기를 나타내고, 나머지 하나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거나, 또는 Ra 및 Rb가 둘다 옥소기를 나타내고;
Rc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카노일기, 아릴부분이 6 내지 10개의 링 탄소 원자를 가지는 방향족 카르보사이클릭기인 아릴-카르보닐기, 하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헤테로사이클릭-카르보닐기, 또는 식 -OR4기(여기서 R4는 R1과 R2에 대해 상기 언급한 기 및 원자 중 어느 하나를 나타냄)를 나타내고;
링 A,
Figure 112002043420144-pct00002
는 벤젠 또는 사이클로헥산 링이고;
링 A가 사이클로헥산 링인 경우, 링 B에서의 점선은, 단일 또는 이중 탄소-탄소 결합을 나타내고, n은 1이며; 또는 링 A가 벤젠 링인 경우, 링 B에서의 점선 은 탄소-탄소 단일 결합을 나타내고, n은 0이며;
상기 헤테로사이클릭-카르보닐기는 R3-CO기(여기서 R3는 3 내지 7개의 링 원자를 가지는 헤테로사이클릭기)를 나타내고, 여기서 1 내지 3개는 질소 원자, 산소 원자 및 황 원자에서 선택된 헤테로 원자이고, 적어도 하나의 남아있는 원자는 탄소 원자이며;
상기 알킬, 알케닐 및 알키닐기와, 치환되지 않거나 또는 하기의 치환체 ψ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상기 알킬카르보닐. 알케닐카르보닐 및 알키닐카르보닐 기의 알킬, 알케닐 및 알키닐 부분:
치환체 ψ: 하이드록시기, 머캅토기, 할로겐 원자, 아미노기,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아미노기, 각각의 알킬기가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디알킬아미노기, 카르바모일기, 니트로기,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콕시기,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티오기, 카르복시기, 알콕시카르보닐기 및 6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치환되지 않은 아릴기;
상기 아릴기, 상기 헤테로 사이클릭기 및 치환되지 않거나 또는 하기의 치환체 ξ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상기 아릴카르보닐기 및 상기 아랄킬카르보닐기의 아릴 부분:
치환체 ξ: 치환체 ψ중 어느 것과,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기,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하이드록시알킬기 및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할로알킬기임)의 화합물;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에스테르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1)의 상기 화합물에서:
R1과 R2는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하며, 각각은 수소 원자,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기, 치환되어도 좋은 페닐기, 포르밀기, 2 내지 5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카르보닐기, 7 내지 11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아릴카르보닐기, 8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아랄킬카르보닐기 또는 하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헤테로사이클릭-카르보닐기를 나타내고;
Ra 및 Rb 중 하나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카노일기 또는 β 구조의 화학식 -OR4 기(여기서, R4는 상기의 R1 과 R2에 대해 정의된 기 및 원자 중 어느 하나를 나타냄)를 나타내고, 나머지 하나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거나, 또는 Ra 및 Rb가 둘다 옥소기를 나타내며;
상기 헤테로사이클릭-카르보닐기는 화학식 R3-CO기, 식중 R3는 3 내지 7개의 링 원자를 가지는 헤테로사이클릭기를 나타내고, 여기서 1 내지 3개는 질소 원자, 산소 원자 및 황 원자에서 선택된 헤테로 원자이며, 적어도 하나의 남아있는 원자는 탄소 원자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3-옥소-7β-하이드록시 스테로이드의 일예는, 하기 화학식 2
Figure 112002043420144-pct00003

(식 중, Ra, Rb 및 R2는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고, 바람직하게는 모두 옥소기를 나타냄)의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에서, R1, R2, R4 또는 치환체 ξ가 알킬기인 경우, 이것은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이어도 되고, 그 일예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부틸, 펜틸, 1-메틸부틸, 2-메틸부틸, 3-메틸부틸, 1-에틸프로필, 2-에틸프로필, 1,1-디메틸프로필, 헥실, 1-메틸펜틸, 2-메틸펜틸, 3-메틸펜틸, 4-메틸펜틸, 1-에틸부틸, 2-에틸부틸, 3-에틸부틸, t-헥실 및 1,1-디메틸펜틸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기가 바람직하고, 메틸과 에틸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R1, R2 또는 R4는 알케닐기를 나타내는 경우, 이것은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케닐기이어도 되고, 그 일예는, 비닐, 1-프로페닐, 알릴, 이소프로페닐, 메탈릴, 1-,2-,3-부테닐, 이소부테닐, 1-,2-,3-,4-펜테닐 및 1-,2-,3-,4-,5-헥세닐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2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케닐기가 바람직하고, 비닐 및 알릴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R1, R2 또는 R4는 알키닐기를 나타내는 경우, 이것은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키닐기이어도 되고, 그 일예는, 에티닐, 1-,2-프로피닐, 1-,2-,3-부티닐, 이소부티닐, 1-,2-,3-,4-펜티닐 및 1-,2-,3-,4-,5-헥시닐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2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키닐기가 바람직하다.
R1, R2, R4 또는 치환체 ψ는 아릴기를 나타내는 경우, 이것은 6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방향족 카르보사이클릭기이다. 상기 기의 일예는, 페닐, 1-나프틸, 2-나프틸 및 인데닐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페닐기가 바람직하다. 치환체 α의 경우를 제외하고, 이들 기는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아도 된다. 상기 기가 치환되는 경우, 치환체의 개수는 단지 치환 가능한 위치의 개수 및 아마도 몇몇 예에서는, 입체적 제약(steric constraints)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페닐기의 경우에서는, 치환체의 최대 개수가 5개 이고, 나프틸기의 경우에서는, 치환체의 최대 개수가 7개 등이다. 그러나, 바람직한 치환체의 개수는 1 내지 3개이고, 이후에 치환체를 설명한다.
R1, R2 또는 R4가 알킬카르보닐기를 나타내는 경우, 이것은 2 내지 7개의 탄소 원자(예를 들면 알킬부분에서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기이어도 되고, 그 일예는,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이소부티릴, 발레릴, 이소발레릴, 피발로일(pivaloyl), 헥사노일 및 헵타노일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2 내지 5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기가 바람직하고, 아세틸 및 프로피오닐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의 알킬 부분은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아도 되고, 치환되는 경우, 치환체는 치환체 α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치환된 기의 일예는, 알라닐, β-알라닐, 페닐알라닐, 아스파라기닐, 시스테닐, 글리콜로일(glycoloyl), 글리실(glycyl), 메티오닐, 오르니틸(ornithyl), 글리세로일, 트로포일, 글루타미닐, 글루타밀, 호모시스테이닐, 세릴, 호모세릴, 트레오닐, 락토일, 루실(leucyl), 이소루실, 노르루실, 리실(lysyl), 발릴, 노르발릴 및 사르코실(sarcosyl)기를 포함한다.
R1, R2 또는 R4가 알케닐카르보닐기를 나타내는 경우, 이것은 3 내지 7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케닐카르보닐기이어도 되고, 그 일예는, 아크릴로일, 메타크릴로일, 크로토노일, 이소크로토노일, 3-부테노일, 펜테노일 및 헥세노일기를 나타내며, 여기서 3 내지 5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케닐카르보닐기가 바람직하고, 아크릴로일 및 메타크릴로일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R1, R2 또는 R4가 알키닐카르보닐기를 나타내는 경우, 이것은 3 내지 7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키닐카르보닐기이어도 되고, 그 일예는 프로피올로일(propioloyl), 3-부티닐카르보닐, 펜티닐카르보닐 및 헥시닐카르보닐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3 내지 5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키닐카르보닐기가 바람직하다.
Rc, R1, R2 또는 R4가 아릴카르보닐기를 나타내는 경우, 이것의 아릴 부분은 상기에서 정의되고 예시된 바와 같은 아릴기 중 어느 하나이어도 된다. 바람직한 아릴카르보닐기는 벤조일, o-,m- 또는 p-톨루오일(toluoyl), o-,m- 또는 p-아니소일(anisoyl), o-,m- 또는 p-하이드록시벤조일, 피크릴(picryl), 갈로일(galloyl), 프로토카테쿠오일(protocatechuoyl), 바닐로일(vanilloyl), 베라트로일(veratroyl), 안트라닐로일(anthraniloyl), 1-나프토일(naphthoyl) 및 2-나프토일기를 포함한다.
R1, R2 또는 R4가 아랄킬카르보닐 또는 아랄케닐카르보닐기를 나타내는 경우, 아릴 및 경우에 따라서, 알킬 또는 알케닐기는 상기에서 정의되고 예시된 기들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상기 기의 구체적인 예는, 페닐아세틸, 3-페닐프로피오닐, 벤질로일, 타이로실, 아트로포일(atropoyl), 하이드라트로포일(hydratropoyl) 및 시나모일(cinnamoyl)기를 포함한다.
Rc, R1, R2 또는 R4가 헤테로사이클릭-카르보닐기를 나타내는 경우, 이것은 화학식 R3-CO-기 이고, 식 중 R3는, 3 내지 7개의 링 원자를 가지는 헤테로사이클릭기를 나타내고, 여기서 1 내지 3개는 질소, 산소 또는 황 원자이며 나머지는 탄소 원자이다. 링 원자의 적어도 하나는 탄소 원자이어야 한다. 3개의 헤테로-원자가 존재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는 질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의 일예는, 2- 및 3-푸로일(furoyl), 2- 및 3-테노일(thenoyl), 2-피리딘카르보닐, 니코티노일, 이소니코티노일, 프롤릴(prolyl), 피페리딘카르보닐, 피페라진카르보닐 및 모르폴리노카르보닐(morpholinocarbonyl)기를 포함한다.
Rc가 알카노일기를 나타내는 경우, 이것은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기이어도 되고, 그 일예는, 포르밀,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이소부티릴, 발레릴, 이소발레릴, 피발로일, 헥사노일 및 헵타노일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2 내지 5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기가 바람직하고, 아세틸 및 프로피오닐기가 보다 바람직하며, 아세틸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치환체 ψ또는 치환체 ξ가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아미노기인 경우, 알킬 부분은 상기에 정의되고 예시된 알킬기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상기 알킬아미노기의 바람직한 일예는,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프로필아미노, 이소프로필아미노, 부틸아미노, 이소부틸아미노, sec-부틸아미노, t-부틸아미노, 펜틸아미노, 이소펜틸아미노, 네오펜틸아미노, t-펜틸아미노, 헥실아미노 및 이소헥실 아미노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기가 바람직하며, 메틸아미노 및 에틸아미노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치환체 ψ또는 치환체 ψ가 디알킬아미노기인 경우, 각 알킬 부분은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고, 두개의 알킬기는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상이하여도 된다. 알킬기는 상기에 정의되고 예시된 알킬기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상기 디알킬아미노기의 바람직한 일예는, 디메틸아미노, 메틸에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메틸프로필아미노, 디프로필아미노, 디이소프로필아미노, 에틸부틸아미노, 디부틸아미노, 디-t-부틸아미노, 메틸펜틸아미노, 디펜틸아미노, 디이소펜틸아미노 및 디헥실아미노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각 알킬기에서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기가 바람직하고, 디메틸아미노 및 디에틸아미노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치환체 ψ또는 치환체 ξ가 알콕시기인 경우, 이것은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콕시기이어도 되고, 그 일예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이소부톡시, sec-부톡시, t-부톡시, 펜틸옥시, 이소펜틸옥시, 네오펜틸옥시, t-펜틸옥시, 헥실옥시 및 이소헥실옥시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기가 바람직하며, 메톡시 및 에톡시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치환체 ψ또는 치환체 ζ가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티오기인 경우, 알킬 부분은 상기에 정의되고 예시된 알킬기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상기 알킬티오기의 바람직한 일예는, 메틸티오, 에틸티오, 프로필티오, 이소프로필티오, 부틸티오, 이소부틸티오, sec-부틸티오, t-부틸티오, 펜틸티오, 이소펜틸티오, 네오펜틸티오, t-펜틸티오, 헥실티오 및 이소헥실티오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기가 바람직하며, 메틸티오 및 에틸티오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치환체 ψ또는 치환체 ξ가 알콕시카르보닐기인 경우, 이것은 2 내지 7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콕시카르보닐기이어도 되고, 그 일예는,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프로폭시카르보닐,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 부톡시카르보닐, 이소부톡시카르보닐, sec-부톡시카르보닐, t-부톡시카르보닐, 펜틸옥시카르보닐, 이소펜틸옥시카르보닐, 네오펜틸옥시카르보닐, t-펜틸옥시카르보닐, 헥실옥시카르보닐 및 이소헥실옥시카르보닐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기가 바람직하며, 메톡시카르보닐 및 에톡시카르보닐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치환체 ξ가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하이드록시알킬기인 경우, 알킬 부분은 상기에 정의되고 예시된 알킬기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상기 하이드록시알킬기의 바람직한 일예는, 하이드록시메틸, 1- 및 2-하이드록시에틸, 1-,2- 및 3-하이드록시프로필, 1,2-디하이드록시에틸, 1,2,3-트리하이드록시프로필, 4-하이드록시부틸, 5-하이드록시펜틸 및 6-하이드록시헥실기를 포함한다.
치환체 ξ가 1 내지 6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할로알킬기인 경우, 알킬 부분은 상기에 정의되고 예시된 바와 같아도 되고, 할로겐 원자는 바람직하게는 염소, 불소, 브롬 또는 요오드이다. 상기 기의 일예는, 플루오로메틸, 클로로메틸, 브로모메틸, 아이오도메틸, 디클로로메틸, 디플루오로메틸, 트리클로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2,2,2-트리클로로에틸, 2-클로로에틸, 2-플루오로에틸, 2-브로모에틸, 2-아이오도에틸, 2,2-디브로모에틸, 2,2,2-트리브로모에틸, 3-플루오로프로필, 3-클로로프로필, 4-브로모부틸, 4-플루오로부틸, 5-플루오로펜틸 및 6-플루오로헥실기를 포함한다.
화합물이 화학식 -OR 기(여기서 R은 R1 등에 대해 상기에서 정의한 기 및 원자 중 어느 것임)를 포함하는 경우, 활성종은 유리된 하이드록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일 것이라고 인식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생체 내에서 하이드록시기로 전환될 수 있는 기는 하이드록시기의 위치에 사용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구체적인 일예는, 하기 화학식 3 내지 7의 화합물
Figure 112002043420144-pct00004

Figure 112002043420144-pct00005
Figure 112002043420144-pct00006

Figure 112002043420144-pct00007

Figure 112002043420144-pct00008
를 포함한다.
또한, 하기 화학식 8의 7α-하이드록시 화합물
Figure 112002043420144-pct00009

도 동일한 방식으로 활성적일 것이라 생각된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이러한 화합물들이, 지주막하 출혈에 의해 유도되거나, 또는 심장 혈관 이식 수술 동안에 발생하는 등의 뇌졸중, 뇌손상 및 대뇌 허혈로 유발되는 급성 및 만성 신경 세포 손상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은, 근원 스테로이드(parent steroids)로부터 출발하여, 본래 잘 알려진 많은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것은 7β와 상응하는 7α화합물의 혼합물을 제공하고, 잘 알려진 기술로 이후에 분리하여도 되는, 상기에 언급한 문헌에서 설명된 방법에 의해 제조하여도 된다.
일예로서, 종래의 방법을 사용하여 3β-하이드록시기와 17-케톤기의 반응기 를 보호한 후, 알릴 산화과정(allylic oxidation)에 의해 DHEA로부터 7β-하이드록시 EPIA를 수득하여도 된다. 이어서 상기 산물을 가용성 금속 화합물 촉매(수소화나트륨 등)로 환원시키고, 3β-하이드록시 및 17-케톤기의 반응기를 노출시킨다. 그 후, 7α-하이드록시 및 7β-하이드록시 에피머(epimers)를 종래의 수단, 예를 들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시켜도 되고, 7β-하이드록시 EPIA를 순수하게 결정화하여도 된다.
또 다른 합성법을 하기 반응식 1에 도시한다:
Figure 112002043420144-pct00010

상기 반응식에서, TBDMSO는 t-부틸디메틸실릴옥시(t-butyldimethylsilyloxy)를 나타내고, Ac는 아세틸을 나타낸다.
상기 반응식의 제 1 단계에서, 화학식(Ⅲ)의 화합물인 에스트론은 종래의 방식에서 t-부틸디메틸실릴옥시기에 의해 보호되어, 보호된 화학식(Ⅳ)의 화합물이 제공된다. 이어서 이것은 산 촉매(p-톨루엔술폰산 등)의 존재하에서 에틸렌 글리콜과 반응하여 17 위치의 케토기를 보호하고, 화학식(Ⅴ)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하이드록시기는 이 후의 실시예 3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6-위치에 도입되어 화학식(Ⅵ)의 화합물을 제공할 수 있고, 그 후 탈수되어 화학식(Ⅶ)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이것은 에폭시화 되어, 화학식(Ⅷ)의 화합물을 제공하고, 이 후 환원되어 7α-하이드록시기를 가지는 화학식(Ⅸ)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t-부틸디메틸실릴 보호기가 제거되어 화학식(Ⅹ)의 화합물을 제공하고, 이것은 산 촉매량과 함께 가열되어 7α-하이드록시-에스트론(ⅩⅠ)을 제공한다. 이것이, 예를 들면, 크롬산/황산에 의해 산화되어 7-케토-에스트론(ⅩⅡ)을 제공하고, 이 후 무수 아세트산과 반응하여 화학식(ⅩⅢ)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이 화합물은 팔라디움 촉매의 존재하에서 수소에 의해 수소화되어, 화학식(ⅩⅣ)의 화합물을 제공하고, 최종적으로 아세틸기가 제거되어, 본 발명의 화합물인 7β-하이드록시-에스트론(ⅩⅤ)을 제공한다. 원하는 경우, 이것을 환원시켜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인 7β-하이드록시-에스트라디올(ⅩⅥ)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7β-하이드록시-화합물을, 예를 들면, 7β-하이드록시-DHEA는 하기의 반응식 2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하여도 된다.
Figure 112002043420144-pct00011

이 반응식에서, DHEA(ⅩⅦ)은 아세틸화 되어, 화학식(ⅩⅧ)의 상응하는 아세테이트를 제공하고, 그 후 에틸렌 글리콜과 반응하여 화학식(ⅩⅨ)의 케탈을 제공한다. 이어서 케탈(ⅩⅨ)은 실시예 16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산화되어 상응하는 7-케토 화합물(ⅩⅩ)을 제공하고, 디아세틸화 되어, 화학식(ⅩⅩⅠ)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이것은 환원되어 화학식(ⅩⅩⅡ)의 7-하이드록시-17-케탈-EPIA를 제공하고, 산 처리로 케탈기를 제거하여 7-하이드록시-EPIA를 제공하며, 최종적으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7β- 및 7α- 이성질체로 분리되어 7α-하이드록시-EPIA(ⅩⅩⅣ) 및 7β-하이드록시-EPIA(ⅩⅩ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들은, 환자가 허혈, 특히 뇌졸중 또는 두부 손상의 위험에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경우, 환자에 적용하여도 된다. 그러한 예방적인 적용이 매우 유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화합물이 또한, 허혈이 발생한 이후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유용한 활성을 가지는 것이 입증되었지만, 가능한 한 많은 신경 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빨리 상기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일부 경우에서, 특히 환자가 계속해서 허혈의 위험에 있을 경우, 반복적인 약의 투여가 바람직하다.
투여의 적절한 방법은, 일반적으로, 가능한 한 빨리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주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맥 주사가 특히 바람직하지만, 일부 경우에서는 뇌척수액에 직접적으로 상기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의 투여량은, 투여의 방법, 빈도 및 경로 뿐만 아니라, 환자의 나이, 체중 및 일반적인 상태를 포함하는 많은 요인에 의존하여 변화할 것이다. 그러나, 체중 Kg 당 0.01 내지 50mg의 투여량이 일반적으로 권장되고, 체중 Kg 당 0.05 내지 20mg의 투여량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을 단번에 투여하거나 또는 나누어서 투여하여도 된다.
본 발명은 하기로 제한되지 않는 실시예에 의해 부가적으로 설명되고, 여기서 실시예 1 내지 20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고, 실시예 21 및 22는 그것의 활성을 설명한다. 실시예 1 내지 20에서, 로마 숫자는 상기 도시한 반응식에서의 화학식을 나타낸다.
들쥐에서의 광범위한 대뇌 허혈 이후 7일이 경과된 들쥐에서, 형태가 온전한 해마의 CA1 원추 세포의 개수
도 1a의 데이터는 400㎛ 길이의 CA1 영역 당 온전한 신경의 평균 개수±SEM을 나타낸다.
도 1b의 데이터는 겉보기 수술된 동물(100%로 설정)과 비교하여, 400㎛ 길이의 CA1 영역 당 온전한 신경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도 1c의 데이터는 허혈군에서의 생존 신경의 개수가 0이고 겉보기 수술된 군을 100%로 설정한 경우의 신경 보호의 절대 백분율을 나타낸다.
실시예 1
3-t-부틸디메틸실릴-에스트론(Ⅳ)
4.25g의 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28.2mmol, 3eq.)를 100ml 3구 플라스크(three-necked flask) 내에 2.54g의 에스트론(Ⅲ)(9.41mmol, 1eq.)와 3.84g의 이 미다졸(56.5mmol, 6eq.)을 함유하는 50ml 디메틸포름아미드(DMF) 용액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하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방치하였다. 10% w/v 탄산 칼륨 수용액을 반응 중간물에 첨가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organic phase)을 물로 세정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물기가 없는 상태로 증발시켰다. 3.76g 의 3-t-부틸디메틸실릴-에스트론 2(9.41mmol, 100%)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17-케탈-3-t-부틸디메틸실릴-에스트론(Ⅴ)
3g의 3-t-부틸디메틸실릴-에스트론(Ⅳ)(7.50mmol), 3ml의 에틸렌 글리콜 및 p-톨루엔술폰산의 촉매량을 함유한 60ml의 톨루엔 용액을 딘스타크(Dean-Stark) 장치를 이용하여 수증기 증류에 의해 24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이어서, 반응 중간물을 50ml의 10% w/v 탄산 칼륨 수용액에 붓고, 유기 상을 따로 옮겨두었다. 수성 상은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 상을 화합시켜 물기가 없는 상태로 증발시켰다. 3.16g의 17-케탈-3-t-부틸디메틸실릴-에스트론(Ⅴ)(7.12mmol, 95%)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
6α-하이드록시-17-케탈-3-t-부틸디메틸실릴-에스트론(Ⅴ)
1ℓ 3구 플라스크 내의 100ml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 용액을 질소 수 세하여 가스를 제거한 후, -80℃로 냉각시켰다. 디이소프로필아민(20ml, 143.30mmol)을 반응 중간물에 첨가하고, 사이클로헥산(89.9ml, 143.30mmol) 내의 15% w/v 부틸 리튬 용액을 반응 중간물에 한방울씩 첨가하였다. 10분 후, 미리 가스를 제거해 둔, 17.5g의 칼륨 t-부틸레이트를 함유하는 100ml 무수 THF 용액을 반응 중간물에 한방울씩 첨가하였다. 15분이 더욱 지난 후, 미리 가스를 제거해 둔, 12.27g의 17-케탈-3-t-부틸디메틸실릴-에스트론(Ⅴ)(27.63mmol)을 함유하는 50ml의 무수 THF 용액을 반응 중간물에 한방울씩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그 이후에, 48ml의 트리메틸보레이트(429.90mmol)를 -80℃에서 반응 중간물에 한방울씩 첨가하고, 0℃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이어서, 100ml의 30% v/v 과산화수소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실온에 방치시킨 후, 500ml의 물을 첨가하였다. 반응 중간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10% w/v 티오황산 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물로 세정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물기가 없는 상태로 증발시켰다. 잔여물은 속성 크로마토그래피(flash chromatography)(SiO2/에틸 아세테이트 : 사이클로헥산 1/9 이후 2/8)로 정제하였다. 6.35g의 6α-하이드록시-17-케탈-3-t-부틸디메틸실릴-에스트론 4(13.81mmol, 50%)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4
17-케탈-3-tert-부틸디메틸실릴-6-디하이드로에스트론(7)
1.54g의 6α-하이드록시-17-케탈-3-t-부틸디메틸실릴-에스트론(Ⅵ) (3.35mmol), 4ml의 에틸렌 글리콜 및 p-톨루엔술폰산의 촉매량을 함유하는 40ml의 톨루엔 용액을 딘스타크 장치를 이용하여 수증기 증류에 의해 24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 중간물을 50ml의 10% w/v 탄산 칼륨 수용액에 붓고, 유기 상을 따로 옮겨두었다. 수성 상은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 상을 화합시켜 물기가 없는 상태로 증발시켰다. 1.48g의 17-케탈-3-t-부틸디메틸실릴-6-디하이드로에스트론(Ⅶ)(3.35mmol, 100%)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5
17-케탈-3-tert-부틸디메틸실릴-6α,7α-에폭시에스트론(Ⅷ)
1.16g의 m-클로로벤조산(55%, 3.69mmol, 1.1 eq.)을 함유하는 20ml의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1.85g의 17-케탈-3-t-부틸디메틸실릴-6-디하이드로에스트론(Ⅶ) (3.36mmol, 1eq.)을 함유하는 20ml 디클로로메탄 용액에 0℃에서 한방울씩 첨가하였다. 2시간이 경과한 후, 중간 반응물을 10% w/v 탄산 수소 나트륨 수용액에 붓고, 이어서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시켰다. 유기 상은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물기가 없는 상태로 증발시키고, 잔여물은 속성 크로마토그래피(SiO2/에틸 아세테이트 : 사이클로헥산 1/9)로 정제하였다. 769mg의 17-케탈-3-t-부틸디메틸 실릴-6α,7α-에폭시에스트론 6(1.68mmol, 50%)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6
7α-하이드록시-17-케탈-3-tert-부틸디메틸실릴-에스트론(Ⅸ)
200mg의 수소화 알루미늄 리튬(5.40mmol, 2eq.)을 1.13g의 17-케탈-3-t-부틸디메틸실릴-6α,7α-에폭시에스트론 6(2.60mmol, 1eq.)을 함유하는 50ml의 무수 THF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중간물을 2시간 동안 가열하여 환류시킨 후, 냉각하고, 얼음에 붓고, 셀리트(Celite, 상품명) 필터를 통해 여과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물기가 없는 상태로 증발시켰다. 잔여물은 속성 크로마토그래피(SiO2/에틸 아세테이트 : 사이클로헥산 1/9)로 정제하였다. 837mg의 7α-하이드록시-17-케탈-3-t-부틸디메틸실릴-에스트론(Ⅸ)(1.82mmol, 70%)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7
7α-하이드록시-17-케탈-에스트론(Ⅹ)
1.5g의 테트라부틸암모늄 클로라이드(4.78mmol, 1.10 eq.)를 함유하는 20ml의 THF 용액을, 실온에서 2g의 7α-하이드록시-17-케탈-3-t-부틸디메틸실릴-에스트론(Ⅸ)(4.35mmol, 1eq.)을 함유하는 50ml의 THF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중간물을 70ml의 10% w/v 탄산 나트륨 수용액에 붓고, 상기 반응 중간물을 에틸 아세테이 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물기가 없는 상태로 증발시켰다. 1.39g의 7α-하이드록시-17-케탈-에스트론(Ⅹ)(4.22mmol, 97%)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8
7α-하이드록시-에스트론(ⅩⅠ)
1ml의 물, 1.0g의 7α-하이드록시-17-케탈-에스트론(Ⅹ)(3.03mmol) 및 p-톨루엔술폰산 촉매량을 함유하는 50ml의 아세톤 용액을 2시간 동안 가열하여 환류시켰다. 반응 중간물을 70ml의 10% w/v 탄산 나트륨 수용액에 붓고, 상기 반응 중간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증발시킨 후, 물기가 없는 상태로 증발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된 814mg의 7α-하이드록시-에스트론(ⅩⅠ)(2.85mmol, 94%)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9
7-케토에스트론(ⅩⅡ)
황산 내 8N의 크롬산 용액을, 노랑색 색상이 지속될 때 까지, 300mg의 7α-하이드록시 에스트론(ⅩⅠ)(1.05mmol)을 함유하는 0℃로 냉각된 40ml의 아세톤 용액에 한방울씩 첨가하였다. 반응 중간물을 50ml의 물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탄산 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물기가 없는 상태로 증발시켰다. 잔여물은 속성 크로마토그래피(SiO2/에틸 아세테이트 : 사이클로헥산 3/7)로 정제하였다. 200mg의 7-케토-에스트론 10(0.70mmol, 67%)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0
7-하이드록시-6-디하이드로에스트론 3,7-디아세테이트(ⅩⅢ)
5g의 무수 아세트산 나트륨과 1g의 7-케토-에스트론(ⅩⅡ)(3.52mmol)을 함유하는 10ml의 무수 초산 용액을 1시간 동안 가열하여 환류시켰다. 이어서, 반응 중간물을 냉각시킨 후, 물에 붓고 디에틸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탄산 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 황상 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물기가 없는 상태로 증발시켰다. 잔여물은 속성 크로마토그래피(SiO2/에틸 아세테이트 : 사이클로헥산 1/9)로 정제하였다. 1.25g의 7-하이드록시-6-디하이드로에스트론-3,7-디아세테이트(ⅩⅢ)(3.41mmol, 97%)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1
7-하이드록시에스트론 3,7-디아세테이트(ⅩⅣ)
1.0g의 7-하이드록시-6-디하이드로에스트론-3,7-디아세테이트(ⅩⅢ)(2.72mmol)을 함유한 80ml의 빙초산 용액을 1 바(bar)의 수소 압력 하에서, 목탄 촉매 상의 10% 팔라듐 200mg으로 수소화하였다. 2시간이 지난 후 반응 중간물을 여과하고, 물기가 없는 상태로 증발시켰다. 잔여물은 속성 크로마토그래피(SiO2/에틸 아세테이트 : 사이클로헥산 1/9)로 정제하였다. 855mg의 7-하이드록시에스트론 3,7-디아세테이트(ⅩⅣ)(2.31mmol, 85%)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2
7β-하이드록시에스트론(ⅩⅤ)
1%의 수산화 칼륨과 1g의 7-하이드록시에스트론-3,7-디아세테이트 12(2.70mmol)를 함유한 50ml의 메탄올 용액을 2시간 동안 가열하여 환류시켰다. 이어서 반응 중간물을 냉각시키고, 중화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물기가 없는 상태로 증발시켰다. 메탄올로부터 재결정된 695mg의 7β-하이드록시에스트론(ⅩⅤ)(2.43mmol, 90%)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3
7β-하이드록시에스트라디올(ⅩⅥ)
264mg의 수산화 보론 나트륨(7.00mmol, 2eq.)을 1.0g의 7β-하이드록시에스트론 13(3.50mmol)을 함유하는 50ml의 메탄올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중간물을 물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 시킨 후, 물기가 없는 상태로 증발시켰다. 메탄올로부터 재결정된 917mg의 7β-하이드록시에스트라디올 14(3.18mmol, 91%)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4
DHEA-3-아세테이트(ⅩⅧ)
10g의 DHEA(ⅩⅦ)(34.72mmol)를 함유하는 50ml의 무수 초산과 50ml의 피리딘을 4시간 동안 가열하여 환류시켰다. 반응 중간물을 냉각시키고, 물에 부은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물기가 없는 상태로 증발시켰다. 에탄올로부터 재결정된 11.0g의 DHEA-3-아세테이트(ⅩⅧ)(33.33mmol, 96%)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5
17-케탈-DHEA-3-아세테이트(ⅩⅨ)
5g의 DHEA-3-아세테이트(ⅩⅧ)(15.15mmol), 5ml의 에틸렌 글리콜 및 p-톨루엔술폰산의 촉매량을 함유하는 100ml의 톨루엔 용액을 딘스타크 장치를 이용하여 수증기 증류에 의해 24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 중간물을 100ml의 10% w/v 탄산 칼륨 수용액에 붓고, 유기 상을 따로 옮겨두었다. 수성 상은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상기 유기 상을 화합시켜 물기가 없는 상태로 증발시켰다. 에탄올로부터 재결정된 5.10g의 17-케탈-3-DHEA-아세테이트(ⅩⅨ)(13.64mmol, 90%)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6
7-케토-17-케탈-DHEA-3-아세테이트(ⅩⅩ)
5g의 17-케탈-DHEA-3-아세테이트(ⅩⅨ)(13.37mmol)와 벵갈 로즈(Bengal Rose)의 촉매량을 함유하는 70ml의 피리딘 용액을 중압 수은등(medium-pressure mercury vapour lamp)을 사용하여 산소를 살포하면서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24시간 후, 구리 아세테이트의 촉매량을 반응 중간물에 첨가하였다. 24시간 후에, 반응 중간물을 물기가 없는 상태로 증발시키고, 잔여물을 속성 크로마토그래피(SiO2/에틸 아세테이트 : 사이클로헥산 3/7)로 정제하였다. 3.11g의 7-케토-17-케탈-DHEA-3-아세테이트(ⅩⅩ)(8.02mmol, 60%)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7
7-케토-17-케탈-DHEA(ⅩⅩⅠ)
1%의 수산화 칼륨과 1g의 7-케토-17-케탈-DHEA-3-아세테이트(ⅩⅩ)(2.58mmol)를 함유하는 50ml의 메탄올 용액을 2시간 동안 가열하여 환류시켰다. 이어서, 반응 중간물을 냉각시키고, 중화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물기가 없는 상태로 증발시켰다. 메탄올로부터 재결정된 802mg의 7-케토-17-케탈-DHEA 5(2.32mmol, 90%)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8
7-하이드록시-17-케탈-EPIA(ⅩⅩⅡ)
10g의 7-케토-17-케탈-DHEA(ⅩⅩⅠ)(28.90mmol)을 -33℃에서 2.65g의 나트륨을 함유한 액체 암모늄 용액에 첨가하였다. 4시간 경과 후, 파란 색상이 사라질때 까지 염화암모늄을 첨가하고, 이어서 2.65g의 나트륨을 첨가하였다. 4시간 후, 파란 색상이 사라질때 까지 다시 염화 암모늄을 첨가하였다. 물을 첨가하고, 암모니아를 증발시켰다. 반응 중간물은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 상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물기가 없는 상태로 증발시켰다. 6.07g의 7-하이드록시-17-케탈-EPIA(ⅩⅩⅡ)(17.34mmol, 60%)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9
7-하이드록시-EPIA(ⅩⅩⅢ)
5ml의 물, 10g의 7-하이드록시-17-케탈-EPIA(ⅩⅩⅡ)(28.57mmol, 50%) 및 파라톨루엔술폰산의 촉매량을 함유한 100ml의 아세톤 용액을 4시간 동안 가열하여 환류시켰다. 반응 중간물을 냉각시키고, 100ml의 10% w/v 탄산 나트륨 수용액에 부은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무수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물기가 없는 상태로 증발시켰다. 잔여물은 속성 크로마토그래피(SiO2/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였다. 5.24g의 7-하이드록시-EPIA(ⅩⅩⅢ)(17.14mmol, 60%)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0
7α-하이드록시-EPIA(ⅩⅩⅣ) & 7β-하이드록시-EPIA(ⅩⅩⅤ)
7α 및 7β에피머를 65/35의 비율로 함유하는 7-하이드록시-EPIA(ⅩⅩⅢ)(5g)를 속성 크로마토그래피(Al2O3/CHCl3)로 정제하였다. 7α-하이드록시-EPIA(ⅩⅩⅣ)(1.34g) 이전에, 먼저, 7β-하이드록시-EPIA(ⅩⅩⅤ)(2.5g)를 수득하였다. 7β-하이드록시-EPIA(ⅩⅩⅤ)와 7α-하이드록시-EPIA(ⅩⅩⅣ)가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되었다.
실시예 21
저산소증 신경 세포 손상의 연구용 프로토콜
하기로 국한된 프링글씨 등(Pringle et al, 1996, 1997)의 기본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기관형성 해마 절편(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배양물을 준비하였다:
생후 8 내지 11일 된 위스타 들쥐 새끼(Wistar rat pups)의 두부를 잘라내고, 4.5mg/ml의 글루코오스를 보충한 차가운 게이의 평형 식염액(Gey's balanced salt solution) 중에서 신속히 해마를 해부하였다. 단편들을 분리하고, 웰 당 4개의 밀리셀 씨엠 배양기(Millicell CM culture inserts)에 도포한 후, 14일 동안 5%의 이산화탄소 분위기 하에서 37℃로 유지시켰다. 보존 배지는 25%의 열-불활성화된 말 혈청, 25%의 행크의 평형 식염액(Hank's balanced salt solution, HBSS) 및 1mM의 글루타민과 4.5mg/ml의 글루코오스를 보충한 얼의 염(Earle's salts, MEM)이 첨가된 50%의 최소 필수 배지로 이루어졌다. 배지를 매 3 내지 4일 마다 교환하였다.
저산소증 실험은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행하였다(Pringle et al., 1996; 1997). 간단하게 설명하면, 배양물을 5㎍/ml의 형광이 배재된 프로피디움 요오드화물(PI) 염색액을 함유하는 무혈청 배지(SFM - 75%의 MEM, 1mM 글루타민과 4.5mg/ml 글루코오스를 보충한 25%의 HBSS)에 옮겨담았다. 이미징을 실시하기 전에, 60분간 SFM 에서 배양물의 평형을 유지시켰다. PI 형광은 로다민 필터 세트에 끼워진 레이카 역상 현미경(Leica inverted microscope)을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이 단계에서 PI 형광이 검출된 일부 배양물을 이후의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저산소증은 95%의 N2와 5%의 CO2로 포화된 SFM(+PI)에 배양물을 옮기는 것으로 유도하였다. 이어서, 덮개가 없는 배양 용기를 밀봉하기 이전에, 10분 동안 10L/분의 속도로 계속해서 기체를 송풍하는 것에 의해 공기가 95%의 N2와 5%의 CO2로 포화된 밀폐된 챔버 내에서 밀봉하고, 인큐베이터에 170분 동안 배치하였다(따라서 저산소증의 총 시간은 180분임). 마지막으로, 저산소증 기간 배양물을 PI 함유 정상 산소의 SFM으로 다시 옮기고, 인큐베이터에 다시 24시간 동안 배치하였다.
운용 중인 애플 Ⅱsi 컴퓨터의 NIH Image 1.60 또는 운용 중인 매킨토시 G4/400의 오픈랩(OpenLab) 2.1(Improvision)을 사용하여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Pringle et al., 1996; 1997) 신경 세포 손상을 평가하였다. 이미지는 모노 크롬 카메라를 사용하여 포착하였고, 오프라인 분석을 위해 광학 디스크에 저장시켰다. 약물을 첨가하기 이전에 광선 투과 이미지를 포착하고, 24시간 경과-저산소증 회복 기간의 끝무렵에 PI 형광 이미지를 녹화하였다. CA1 세포층 영역을 투과 이미지에서 판정하였다. CA1에서 PI 형광 영역은 NIH 이미지 또는 오픈랩 내부의 밀도 간격(density slice) 기능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상기 배경에서 검출된 PI 형광에서의 CA1 백분율로 신경 세포 손상을 표현하였다.
에탄올 중에서 초기 1mg/ml 용액을 제조하고, 부가적으로 SFM 중에서 희석시킴으로써 스테로이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저산소증 이전, 저산소증 증상 동안 및 저산소증 이후 회복 기간 동안 45분에 걸쳐 화합물들을 배양물에 첨가하였다. 대조군은 비히클만 단독으로 처리한 배양물들로 이루어진다.
결과
실험 1:
초기 실험을 행하여 7αOH-EPIA와 7βOH- EPIA가 100nM의 고농도에서 신경을 보호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였다. 저산소증은 CA1의 25.5±6.4% 에 손상을 유발하였다. 이러한 손상은, 저산소증 이전, 저산소증 동안 및 저산소증 이후에 7αOH-EPIA 및 7βOH-EPIA 양자에 의해, 현저하게 감소된다(표 1 참조).
Figure 112002043420144-pct00012

실험 2:
7OH-EPIA의 α- 및 β- 이성질체가 둘 다 신경을 보호한다고 판정한 후,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효과의 농도-의존성을 평가하였다. 대조 저산소증은 CA1의 31.9±4.7%에 신경 세포 손상을 야기하였다. 하기의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7βOH-EPIA는 10nM과 100nM에서 현저하게 신경을 보호하였지만, 농도가 1nM로 감소된 경우, 활성을 잃었다.
Figure 112002043420144-pct00013
실험 3:
7βOH-EPIA의 신경 보호 활성을 관찰하고, 다음에 본 발명자들은 7βOH-DHEA가 신경을 보호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저산소증 이전, 저산소증 동안 및 저산소증 이후에서, 100nM 7βOH-DHEA 또는 비히클로 배양물을 배양하였다. 저산소증은 CA1의 29.0±6.2%에 손상을 유발하였다. 하기의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7βOH-DHEA를 처리한 배양물에서는 신경 세포 손상의 매우 현저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Figure 112002043420144-pct00014

실시예 22
들쥐에서의 광범위한 대뇌 허혈(4개 혈관 폐색)
수컷 위스타 들쥐(250 내지 280g)에서 4개의 혈관을 폐색(4VO)하여 대뇌 허혈을 유도하였다. 양 척추 동맥은 펜토바르비탈 마취(pentobarbital anesthesia)(60mg/kg i.p.) 중에 전기 소작술(electrocauterization)로 폐색시켰다. 24시간 동안 음식을 제외한 물을 공급하여 상기 동물을 회복시켰다. 다음날 경동맥을 30%의 산소와 70%의 산화 질소 마취 중 2% 할로세인(halothane) 하에 노출시키고, 미세혈관 크램프를 사용하여 10분간 폐색시켰다. 다음에, 두개의 클램프를 제거하고, 양 동맥에서 일시적인 재관류를 점검하였다. 작업하는 동안 및 이후 3시간 동안 상기 동물의 정상 체온(37.5±0.5℃)은 직장 온도계와 연결된 자동 온도 제어 가열 블랭킷으로 유지된다. 대조를 위해 겉보기 수술된 동물에서는, 양 척추 동맥을 펜토바르비탈 마취 중에 소작하고, 다음날 총경동맥을 30%의 산소와 70%의 산화 질소 마취 중 2% 할로세인(halothane) 하에 노출시켰지만 클램프를 사용하지 않았다. 상처를 리도카인 겔(lidocaine gel)로 치료한 후, 봉합하였다. 상기 동물이 의식을 회복할 때까지, 가열 램프 하에서 30℃ 환경 온도로 유지시켰다.
7개 군의 동물을 조사하였다:
1.(n=8) 스테로이드 화합물, 7β-OH EPIA(0.1mg/kg, i.v. 꼬리 혈관을 통해 세번 주사: 허혈 유도 15분 전, 허혈 중 및 재관류 5분 후);
2.(n=8) 스테로이드 화합물, 7β-OH EPIA(0.3mg/kg, i.v. 1항에 기재한 바와 같이 세번 주사);
3.(n=8) 스테로이드 화합물, 7β-OH EPIA(1mg/kg, i.v. 1항에 기재한 바와 같이 세번 주사);
4.(n=8) 참조 물질로서 NBQX(디소디움염, 보다 가용성이기 때문) 및 양성 대조군(TOCRIS, 독일, 30mg/kg, i.p., 1항에 기재한 바와 같이 세번 주사);
5. (n=8) 표준 비히클(100㎕ 에탄올을 함유하는 0.9% NaCl, 1항에 기재한 바와 같이 세 번 주사);
6. (n=8) 허혈 단독;
7. (n=8) 겉보기 수술된 대조군.
NBQX는 2,3-디하이드록시-6-니트로-7-술파모일-벤조(F)퀴녹살린이고, 신경 보호 활성을 갖는 것으로 공지되었다[Grill, R, Nordholm, L., Lodge D.: 들쥐 병소 허혈 모델에서의 2,3-디하이드록시-6-니트로-7-술파모일-벤조(F)퀴노크살린(NBQX)의 신경 보호 작용. Brain Res. 580, 35-43, 1992].
7β-OH EPIA는 본 발명의 화합물인, 7β-하이드록시에피안드로스테론이다.
상기 물질을 100㎕의 에탄올에 녹이고, 0.9% NaCl로 최종 희석하였다.
허혈 이후에 7일의 생존 기간이 경과한 후, 모든 동물을 4% 파라포름알데히드로 심장을 경유하여 관류시켰다. 이어서, 두부를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동일한 고정액으로 2시간 동안 고정시켰다. 30% 수크로오스 중에서 동결을 방지한 후, 상기 두부를 이소펜탄 중에서 재빨리 동결시키고, -80℃로 저장하였다. 해마 형태를 포함하는 20㎛의 저온 항온조를 톨루이딘 블루 또는 뉴로트레이스(NeuroTrace) 형광으로 니슬(Nissl) 염색하였다.
데이터 분석:
허혈 이후 해마의 CA1 영역에서의 신경 세포 손상의 심각성을 니슬 염색을 사용한 생존 신경의 개수에 의해 평가하였다. 400㎛ 길이 당 형태가 온전한 신경 의 평균 개수를 각 군에 대해 CA1 영역에서 계산하였다. 세포의 개수 측정은 20배율의 대물 렌즈가 장착된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여, 동물 당 3 내지 5개의 연속 구역과 구역 당 400㎛ CA1 영역을 6회 행하였다. 데이터는 t-검정(paired Student's t-test)에 의해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데이터는 평균 ±SEM으로서 표시되었다.
결과 및 토론
상기 결과를 첨부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었다.
해마의 형태가 온전한 CA1 신경은 니슬 염색(톨루이딘 블루 및 뉴로트레이스, 도 2)에 의해 하기의 특징을 가지는 것으로 특징지워진다:
신경 핵주위부의 뚜렷한 형상, 양성 표지된 인을 가진 큰 핵, 리보좀의 조면 소포체가 온전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따라서 단백질 생성 장소가 온전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양성 니슬 염색된 핵 주위의 작은 세포질 영역.
10분 간의 광범위한 허혈(가벼운 허혈)과 7일의 생존 기간은 해마의 CA1 영역에서 선택적으로 원추 세포의 신경 퇴행을 유도한다(도 1A 내지 도 1C). 겉보기 실험된 동물의 CA1에서 원추 세포의 평균 개수는 121.5±4.3(100%로 설정함)이었다. 따라서, 광범위한 허혈이 10분 경과되었을때 CA1 신경의 60%가 사멸하였다(도 1B). 실험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적용한 허혈 동물군과 비히클(NaCl + 100㎕ 에탄올)의 i.v. 주사한 동물군에서의 뉴런의 개수를 허혈군 단독에서의 그것과 비교하였다(도 1A, 도 1B). NBQX(30mg/kg, i.v., 실험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세번 주사)는 허혈군과 비교하여 CA1 원추 세포에서 현저한(p=0.03) 신경 보호를 나타내었다. 허혈 단독과 비교하면 NBQX는 47.5%의 신경보호를 이끌어내는 것에 반해, 겉보기 수술된 동물과 비교하면 신경 보호 효과가 68.5% 이었다. NBQX에 의해 유발되는 상기 신경 보호는, 본 발명자들이 본 실험에서 사용한 광범위한 허혈 모델의 타당함을 입증하는 1992년 길씨(Gill et al.) 등과 1994년 길씨(Gill)에 의해 동조되었다. 7β-OH EPIA는 10분 간의 광범위한 허혈과 7일 간의 생존 기간 이후에, 해마의 CA1 원추 세포의 농도 의존적 신경 보호를 유도하였다(도 1A). t-검정 분석은 0.1mg/kg(p=0.01)과 0.3mg/kg(p=0.0008) 농도에서 7β-OH EPIA의 매우 현저한 신경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7β-OH EPIA의 겉보기 수술된 군과의 비교는, CA1 원추 세포에 대해, 각각 74.8%(0.1mg/kg) 및 83.9%(0.3mg/kg) 신경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도 1C). 1.0mg/kg의 농도에서 7β-OH EPIA는 신경 보호 경향만을 나타었고, 그 효과는 현저하지 않았다.
허혈 이전, 허혈 동안 및 허혈 이후에 i.v. 주사된 7β-OH EPIA에 의한 모든 실험에서, 본 발명자들은 동물에서 행동의 이상은 관찰하지 못했다.

Claims (15)

  1. 활성성분으로 3-하이드록시-7β-하이드록시 스테로이드 또는 3-옥소-7β-하이드록시 스테로이드,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카르복시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신경 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스테로이드는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1)
    Figure 112007083519625-pct00015
    (식 중, R1과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각각 수소 원자,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기,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케닐기,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키닐기, 6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아릴기, 포르밀기, 2 내지 7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카르보닐기, 3 내지 7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케닐카르보닐기, 3 내지 7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키닐카르보닐기, 7 내지 11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아릴카르보닐기, 8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아랄킬카르보닐기, 9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아랄케닐카르보닐기, 또는 하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헤테로사이클릭-카르보닐기를 나타내고;
    Ra 및 Rb 중 하나는 식 -Rc 의 기를 나타내고, 나머지 하나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거나, 또는 Ra 및 Rb가 둘다 옥소기를 나타내고;
    Rc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카노일기, 아릴부분이 6 내지 10개의 링 탄소 원자를 가지는 방향족 카르보사이클릭기인 아릴-카르보닐기, 하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헤테로사이클릭-카르보닐기, 또는 식 -OR4기(여기서 R4는 R1과 R2에 대해 상기 언급한 기 및 원자 중 어느 하나를 나타냄)를 나타내고;
    링 A,
    Figure 112007083519625-pct00016
    는 벤젠 또는 사이클로헥산 링이고;
    링 A가 사이클로헥산 링인 경우, 링 B에서의 점선은, 단일 또는 이중 탄소-탄소 결합을 나타내고, n은 1이며; 또는 링 A가 벤젠 링인 경우, 링 B에서의 점선은 단일 탄소-탄소 결합을 나타내고, n은 0이며;
    상기 R1, R2 및 Rc의 정의에 기재된 상기 헤테로사이클릭-카르보닐기는 R3-CO기, 식 중, R3는 3 내지 7개의 링 원자를 가지는 헤테로사이클릭기를 나타내고, 여기서 1 내지 3개는 질소 원자, 산소 원자 및 황 원자에서 선택된 헤테로 원자이고, 적어도 하나의 남아있는 원자는 탄소 원자이며;
    상기 R1 및 R2의 정의에 기재된 상기 알킬, 알케닐 및 알키닐기와, 상기 R1 및 R2의 정의에 기재된 상기 알킬카르보닐. 알케닐카르보닐 및 알키닐카르보닐 기의 알킬, 알케닐 및 알키닐 부분은 치환되지 않거나 또는 하기의 치환체 ψ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며:
    치환체 ψ: 하이드록시기, 머캅토기, 할로겐 원자, 아미노기,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아미노기, 각각의 알킬기가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디알킬아미노기, 칼바모일기, 니트로기,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콕시기,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티오기, 카르복시기, 알콕시카르보닐기 및 6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치환되지 않은 아릴기;
    상기 R1 및 R2의 정의에 기재된 상기 아릴기, 상기 R3의 정의에 기재된 상기 헤테로사이클릭기 및 상기 R1, R2 및 Rc의 정의에 기재된 상기 아릴카르보닐기 및 상기 아랄킬카르보닐기의 아릴 부분은 치환되지 않거나 또는 하기의 치환체 ξ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며:
    치환체 ξ: 치환체 ψ중 어느 것과,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기,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하이드록시알킬기 및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할로알킬기)의 화합물, 또는
    하기 화학식 2
    (화학식 2)
    Figure 112007083519625-pct00021
    (식 중, Ra 및 Rb 중 하나는 식 -Rc 의 기를 나타내고, 나머지 하나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거나, 또는 Ra 및 Rb가 둘다 옥소기를 나타내고; Rc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카노일기, 아릴부분이 6 내지 10개의 링 탄소 원자를 가지는 방향족 카르보사이클릭기인 아릴-카르보닐기,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헤테로사이클릭-카르보닐기, 또는 식 -OR4기(여기서 R4는 R1과 R2에 대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서 언급한 기 및 원자 중 어느 하나를 나타냄)를 나타냄)
    의 화합물인
    약학적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R1과 R2는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하며, 각각은 수소 원자,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기,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기, 포르밀기, 2 내지 5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카르보닐기, 7 내지 11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아릴카르보닐기, 8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아랄킬카르보닐기 또는 하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헤테로사이클릭-카르보닐기를 나타내고;
    Ra 및 Rb 중 하나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카노일기 또는 β 구조의 화학식 -OR4 기 - 여기서, R4는 상기의 R1 과 R2에 대해 정의된 기 및 원자 중 어느 하나를 나타냄 - 를 나타내고, 나머지 하나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거나, 또는 Ra 및 Rb가 둘다 옥소기를 나타내며;
    상기 헤테로사이클릭-카르보닐기는 화학식 R3-CO기, 식 중 R3는 3 내지 7개의 링 원자를 가지는 헤테로사이클릭기를 나타내고, 여기서 1 내지 3개는 질소 원자, 산소 원자 및 황 원자에서 선택된 헤테로 원자이며, 적어도 하나의 남아있는 원자는 탄소 원자인
    약학적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c 의 기는 β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로이드는 7β-하이드록시-에피안드로스테론인
    약학적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로이드는 7β-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인
    약학적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로이드는 7β-하이드록시-17β-에스트라디올인
    약학적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로이드는 7β-하이드록시-프레그네놀론인
    약학적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로이드는 7β-하이드록시-에스트론인
    약학적 조성물.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 세포 손상은 만성 질환에 의해 유발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만성 질환은 알츠하이머병, 파킨스씨병 또는 인지 장애 비 치매인
    약학적 조성물.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 세포 손상은 급성 질환인
    약학적 조성물.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급성 질환은 뇌졸중, 뇌손상, 척수 손상 또는 말초 신경 세포 손상인
    약학적 조성물.
  15. 삭제
KR1020027017897A 2000-06-29 2001-06-29 신경 보호 7-베타-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KR1008294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016027.5 2000-06-29
GB0016027A GB2363984A (en) 2000-06-29 2000-06-29 Protection against neuronal damage using 3-hydroxy-7 -hydroxy steroids and 3-oxo-7 -hydroxy steroids
PCT/GB2001/002929 WO2002000224A1 (en) 2000-06-29 2001-06-29 Neuroprotective 7-beta-hydroxysteroi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112A KR20030034112A (ko) 2003-05-01
KR100829490B1 true KR100829490B1 (ko) 2008-05-16

Family

ID=9894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7897A KR100829490B1 (ko) 2000-06-29 2001-06-29 신경 보호 7-베타-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2) US20030186953A1 (ko)
EP (1) EP1294381B1 (ko)
JP (1) JP2004501195A (ko)
KR (1) KR100829490B1 (ko)
CN (1) CN100441189C (ko)
AT (1) ATE303152T1 (ko)
AU (2) AU2001267705B2 (ko)
CA (1) CA2414583C (ko)
CY (1) CY1105371T1 (ko)
CZ (1) CZ305306B6 (ko)
DE (1) DE60113112T2 (ko)
DK (1) DK1294381T3 (ko)
ES (1) ES2247141T3 (ko)
GB (1) GB2363984A (ko)
HK (1) HK1052299B (ko)
HU (1) HU229265B1 (ko)
IL (2) IL153540A0 (ko)
NO (1) NO332089B1 (ko)
PL (1) PL200698B1 (ko)
RU (1) RU2258511C2 (ko)
SI (1) SI1294381T1 (ko)
WO (1) WO2002000224A1 (ko)
ZA (1) ZA2002102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63983A (en) 2000-06-29 2002-01-16 Hunter Fleming Ltd Protection against neuronal damage using 7-hydroxyepiandrosterone
GB2378898A (en) 2001-08-14 2003-02-26 Hunter Fleming Ltd Prophylactic and therapeutic use of hydroxysteroids
KR20050057086A (ko) * 2002-08-28 2005-06-16 홀리스-에덴 파마슈티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치료적 처치 방법
GB0409498D0 (en) * 2004-04-28 2004-06-02 Hunter Fleming Ltd Transdermal steroid formulation
US7910755B2 (en) * 2004-09-29 2011-03-22 Harbor Biosciences, Inc. Stem cell expansion and uses
CA2588558A1 (en) * 2004-11-23 2006-06-01 Celgene Corporation Jnk inhibitors for treatment of cns injury
ES2662500T3 (es) 2006-11-21 2018-04-06 Asarina Pharma Ab El uso de esteroides de pregnano y androstano para la preparación de una composición farmacéutica para el tratamiento de trastornos del sistema nervioso central
US20100137270A1 (en) * 2006-11-30 2010-06-03 Hunter-Fleming Limited Modulation of prostaglandin/cyclooxygenase metabolic pathways
GB0623971D0 (en) * 2006-11-30 2007-01-10 Hunter Fleming Ltd Modulation of prostaglandin/cyclooxygenase metabolic pathways
CZ2008434A3 (cs) * 2008-07-10 2009-12-09 Ústav organické chemie a biochemie Akademie ved CR, v. v. i. Pregnanové anionické slouceniny, zpusob jejich výroby a jejich použití
CU20110244A7 (es) 2011-12-27 2013-08-29 Ct De Investigación Y Desarrollo De Medicamentos Cidem Sistemas espiroesteroidales con efectos neuroactivos y anti-inflamatorios
DE102012001361A1 (de) 2012-01-24 2013-07-25 Lind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Kaltgasspritzen
US20160362442A1 (en) * 2015-06-10 2016-12-15 IronMag Labs Method For DHEA Enanthate Processing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2730A (en) * 1990-08-29 1994-03-08 Humanetics Corporation Modulation of immune system with Δ5-androstenes
FR2696934B1 (fr) * 1992-10-20 1995-06-02 Conservatoire Nal Arts Metiers Dérivés de stéroïdes naturels 3B hydroxyles ayant des propriétés de déclenchement et de stimulation de l'immunité, composition les contenant et procédé pour les obtenir.
SK103195A3 (en) * 1993-03-09 1996-12-04 Univ Utah Res Found Use of dehydroepiandrosterone derivative fo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produc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dehydroepiandrosterone derivative
ATE284895T1 (de) * 1995-06-06 2005-01-15 Euro Celtique Sa Neuroaktive steroide der androstan- und pregnanreihe
GB2317826B (en) * 1995-08-29 1999-12-15 Univ Edinburgh Regulation of intracellular glucocorticoid concentrations
US5985242A (en) * 1995-10-27 1999-11-16 Praecis Pharmaceuticals, Inc. Modulators of β-amyloid peptide aggregation comprising D-amino acids
EP0954317B1 (en) * 1996-04-09 2007-06-06 The University Of Edinburgh Use of 7 apha-substituted steroids to treat neuropsychiatric disorders
CN1222851A (zh) * 1996-04-09 1999-07-14 英国技术集团国际有限公司 7α-取代的类固醇用于治疗神经精神病、免疫或内分泌疾病的用途
EP1586584A1 (en) * 1996-08-27 2005-10-19 Praecis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Modulators of beta-amyloid peptide aggregation comprising D-amino acids
WO1999015179A1 (en) * 1997-09-25 1999-04-01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Methods of limiting apoptosis of cells
WO1999024400A1 (en) * 1997-11-10 1999-05-20 Vyrex Corporation Probucol esters and uses thereof
CA2309855A1 (en) * 1997-11-24 1999-06-03 Katherine D. Gordon Testosterone inhibitors and use for the protection of neurons
WO1999052532A1 (en) * 1998-04-14 1999-10-21 Pharmadigm, Inc. Method for reducing central nervous system impairment
US20030083231A1 (en) * 1998-11-24 2003-05-01 Ahlem Clarence N. Blood cell deficiency treatment method
US6667299B1 (en) * 2000-03-16 2003-12-23 Hollis-Eden Pharmaceutical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treatment methods
DE50014299D1 (de) * 1999-11-02 2007-06-14 Bayer Schering Pharma Ag 18-nor-steroide als selektiv wirksame estrogene
GB0003524D0 (en) * 2000-02-15 2000-04-05 Btg Int Ltd Cytoprotective steroids (II)
GB2363983A (en) * 2000-06-29 2002-01-16 Hunter Fleming Ltd Protection against neuronal damage using 7-hydroxyepiandroster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1294381T3 (da) 2005-10-31
PL359105A1 (en) 2004-08-23
CA2414583A1 (en) 2002-01-03
JP2004501195A (ja) 2004-01-15
AU2001267705B2 (en) 2005-08-18
RU2258511C2 (ru) 2005-08-20
HU229265B1 (en) 2013-10-28
AU6770501A (en) 2002-01-08
US20100130459A1 (en) 2010-05-27
HUP0301317A2 (hu) 2003-08-28
GB0016027D0 (en) 2000-08-23
ES2247141T3 (es) 2006-03-01
SI1294381T1 (sl) 2006-04-30
PL200698B1 (pl) 2009-01-30
CN100441189C (zh) 2008-12-10
NO332089B1 (no) 2012-06-18
EP1294381B1 (en) 2005-08-31
IL153540A (en) 2008-07-08
DE60113112T2 (de) 2006-07-13
CY1105371T1 (el) 2010-04-28
HK1052299B (zh) 2006-01-27
KR20030034112A (ko) 2003-05-01
CZ305306B6 (cs) 2015-07-22
GB2363984A (en) 2002-01-16
EP1294381A1 (en) 2003-03-26
US20030186953A1 (en) 2003-10-02
ATE303152T1 (de) 2005-09-15
HUP0301317A3 (en) 2006-06-28
WO2002000224A1 (en) 2002-01-03
NO20026244L (no) 2003-02-27
DE60113112D1 (de) 2005-10-06
CN1443071A (zh) 2003-09-17
NO20026244D0 (no) 2002-12-27
HK1052299A1 (en) 2003-09-11
ZA200210214B (en) 2004-03-17
IL153540A0 (en) 2003-07-06
CA2414583C (en) 201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30459A1 (en) Neuroprotective 7-beta-hydroxysteroids
US11911395B2 (en) Methods of treating obesity using antioxidant inflammation modulators
KR19990022640A (ko) 시상하부의 효과를 유도하기 위한 신규 노르-프레그난류
AU2001267705A1 (en) Neuroprotective 7-beta-hydroxysteroids
KR100895281B1 (ko) 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의 예방 및 치료용 용도
US4599331A (en) Etianic acids as antiangiogenics
AU2002321472A1 (en) Phophylactic and therapeutic use of hydroxysteroids
JP4942905B2 (ja) 神経保護活性を有する7−ヒドロキシエピアンドロステロ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