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992B1 - 비상시 유턴기능이 수행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 - Google Patents

비상시 유턴기능이 수행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8992B1
KR100828992B1 KR1020080009155A KR20080009155A KR100828992B1 KR 100828992 B1 KR100828992 B1 KR 100828992B1 KR 1020080009155 A KR1020080009155 A KR 1020080009155A KR 20080009155 A KR20080009155 A KR 20080009155A KR 100828992 B1 KR100828992 B1 KR 100828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member
road
turn
median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택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9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89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1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and having means for providing occasional passage, e.g. for emergenc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E01F15/081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material
    • E01F15/083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material using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비상시 유턴기능이 수행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도로 중앙을 따라 길게 시설되는 중앙분리대의 일정거리 간격마다 일정한 폭(차량이 유턴할 수 있는 정도의 충분한 넓이)만큼씩 일시적으로 개방 및 폐쇄가능한 도로개방부를 설치하고, 상기 도로개방부는 평상시 중앙분리대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이트부재를 설치하여 비상시 운전자 스스로 게이트부재를 개방하면서 반대쪽 차로로 신속하게 차선 변경(U 턴)이 가능하여 긴급한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것이며, 중앙분리대에는 반대쪽 도로의 차선을 따라 주행하는 운전자에게 그 사실을 알려주거나 인식할 수 있는 별도의 식별수단이 함께 구비되어 허가받지 않은 유턴으로 인해 비롯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게 된다.
Figure R1020080009155
중앙분리대, 유턴, 긴급자동차, 도로, 게이트부재

Description

비상시 유턴기능이 수행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Possible median strip for U-turn}
본 발명은 도로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도로 중앙분리대의 주된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폭설이나 사고 등과 같은 긴급 상황시 중앙분리대에 형성되는 도로개방부를 이용하여 비상시 앰뷸런스와 같은 비상차량이 유턴할 수 있하여 긴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비상시 유턴기능이 수행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중앙분리대는 4차선 이상의 도로에서 고속으로 주행할 때 차도 방향을 분리 구획하여 서로 상반되게 주행하는 자동차가 반대쪽 차도로 진입하려는 것을 차단할 목적으로 설치된다.
도로의 중앙분리대는 블럭 형태로 구성되어 차도 보다 높게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이 일반적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그 상측으로 가이드레일 등을 별도로 설치하는 경우도 있을 뿐만 아니라 대향차(對向車)의 전조등 빛이 운전자에게 해가 되지 않도록 차광용(遮光用)의 식목 또는 펜스 등을 설치하기도 한다.
그러나, 도로에 설치되는 중앙분리대는 대부분 중량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되고 있어 도로상에서 발생하는 사고 또는 예상치 못한 폭설 등으로 인해 도로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 중앙분리대가 건너편 차선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중앙분리대가 설치된 도로에서는 차선 변경이 허락된 특정구간내에서만 유턴이 가능하게 되므로 인명사고나 폭설 등과 같은 유사시에는 앰뷸런스와 같이 분초를 다투는 긴급차량의 경우 반대쪽 차선을 이용할 경우 긴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긴급차량의 경우라도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은 중량물로 구성되는 중앙분리대는 별도의 중장비에 의존하지 아니하고서는 반대차로로 넘어갈 수 없어 유턴 가능한 지역까지 먼 거리를 돌아가야만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은 중앙분리대가 긴급 상황시 차로를 변경하는 장애물로 전락함으로써 야기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도로 중앙에 중앙분리대가 설치되더라도 위급한 상황의 경우에는 별도의 장비나 도구 없이도 반대쪽 차선으로 차량이 진입할 수 있도록 중앙분리대의 일부를 부분 개방될 수 있게 하여 앰뷸런스와 같은 비상차량이 먼 거리를 돌아가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급 상황시 부분 개방되는 도로개방부에 의한 어떤 간섭도 유발하지 않으면서 평상시에는 중앙분리대의 목적과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게이트부재로 차폐되는 중앙분리대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해결 수단은, 도로의 중앙을 따라 길게 시설되는 중앙분리대의 일정거리 간격마다 일정한 폭(차량이 유턴할 수 있는 정도의 충분한 넓이)만큼씩 개방되는 도로개방부를 설치하고, 상기 도로개방부는 평상시 차량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게이트부재를 설치하여 기존처럼 중앙분리대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비상시에만 도로개방부에 설치된 게이트부재를 일시 개방하여 반대쪽 차로로 신속하게 차선 변경(U 턴)이 가능 하도록 비상시 유턴기능이 수행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간격마다 게이트부재가 설치되는 중앙분리대에 반대쪽 도로의 차선을 따라 주행하는 운전자에게 그 사실을 인식시켜줄 수 있는 별도의 식별수단을 설치하여 반대쪽 차로를 이용하는 운전자가 사전에 대처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허가받지 않은 유턴으로 인해 비롯되는 또 다른 차량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비상시 유턴기능이 수행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도로(10)의 중앙을 따라 길게 중앙분리대(20)를 설치함에 있어서, 도로(10) 중앙분리대(20)의 일정한 거리간격마다 소정의 폭(b)(차량이 유턴할 수 있는 정도의 충분한 넓이)만큼씩 양쪽 도로(10)가 서로 연통되는 도로개방부(30)가 설치되고, 상기 도로개방부(30)를 단속하는 게이트부재(40)는 하부측에 다수의 구름바퀴(41)가 결합되고 그 내측 블록수용부(420)에 하나 이상의 중량블록(44)들이 삽입되는 하부몸체(42)와, 전면과 배면 중앙에는 별도의 표시부(453)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결합돌기(512)의 구멍(513)으로 조립되는 고정핀(515)을 갖는 고정부(51)가 고정되는 상부몸체(45)와, 하부몸체(42)와 상부몸체(45)를 조립하기 위해 조립부(421)(451) 구멍(422)(452)으로 끼워지는 체결부재(47)로 구성되고, 상대쪽 중앙분리대(22)의 상부측에 부설되는 잠금부재(55)의 고정브라켓(553)에 결합된 고정레버(551)를 상부몸체(45)의 고정부(51)에 고정되게 조립하여 도로개방부(30)를 차단하는 게이트부재(40)를 구속시키도록 되고, 상기 게이트부재(40)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62)가 구비된 식별수단(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비상시 유턴기능이 수행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비상시 유턴기능이 수행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는, 유사시 별도의 중장비 없이도 운전자가 중앙분리대의 도로개방부를 일시 개방할 수 있는 게이트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긴급 상황시 게이트부재를 통해서 도로 반대차선으로 차량이 유턴할 수 있게 되어 긴급차량이 먼 거리를 돌아가는 불편없이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중앙분리대의 게이트부재 개방시 반대쪽 차선을 따라 주행하는 운전자가 이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수단이 제공됨으로써 반대차선의 운전자도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어 허가받지 않은 유턴으로 인해 비롯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시 유턴기능이 수행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가 도로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시 유턴기능이 수행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의 게이트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10)의 중앙을 따라 길게 중앙분리대(20)를 설치함에 있어서, 도로(10)를 따라 설치되는 중앙분리대(20)의 일정한 거리간격마다 소정의 폭(b)(차량이 유턴할 수 있는 정도의 충분한 넓이)만큼씩 도로(10)의 양쪽이 서로 연통되는 도로개방부(30)를 형성하고, 상기 도로개방부(30)는 평상시 중앙분리대(20)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도록 한쪽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며 슬라이딩되는 게이트부재(40)가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시 유턴기능이 수행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시 유턴기능이 수행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의 일 요부를 발췌한 단면도이다.
중앙분리대(20)의 일정한 거리간격마다 설치되는 도로개방부(30)의 한쪽 중앙분리대(21)는 한쪽 전면이 개방되는 게이트수용부(21a)를 갖는 중공체로 형성되어 상기 게이트수용부(21a) 내측으로 게이트부재(40)가 끼워지도록 조립하여 상기 게이트부재(40)를 게이트수용부(21a)에서 입,출시킴에 따라 도로개방부(30)를 일시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하였다.
게이트부재(40)는 저면에 다수의 구름바퀴(41)가 결합되는 하부몸체(42)와, 그 상부측으로 조립되는 상부몸체(45)로 구성되고, 서로 마주하는 하부몸체(42)와 상부몸체(45)의 조립부(421)(451)와 상기 조립부(421)(451)에는 관통되는 다수의 구멍(422)(452)으로 관통되는 체결부재(47)를 매개로 상호 분해 조립되는 조립식으로 구성된다.
게이트부재(40)의 하부몸체(42)는 그 내측으로 콘크리트소재와 같은 하나 이상의 중량물이 수용되는 블록수용부(420)가 설치되어 상기 블록수용부(420)에 하나 이상의 중량블록(44)들을 삽입하여 게이트부재(40)가 일정한 중량감을 유지함과 동시에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차량과 가벼운 접촉시 게이트부재(40)가 쉽게 밀려나 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부몸체(45)의 전면과 배면 중앙에는 별도의 표시부(453)가 부설되고, 상기 표시부(453)는 비상시 유턴 가능하다는 것을 운전자들이 이를 식별할 수 있는 특정문자나 도형 또는 기호 등이 인쇄되는 인쇄면 또는 별도의 스티커 등으로 구성된다.
상부몸체(45)의 상면 일측에는 한 쌍의 결합돌기(512)의 구멍(513)으로 조립되는 고정핀(515)을 갖는 고정부(51)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51)는 다수의 체결부재17)를 매개로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51)와 상호 분해 조립되는 잠금부재(55)는 게이트부재(40)와 마주하는 상대쪽 중앙분리대(22)의 상부측에 체결구(555)를 매개로 고정된다.
잠금부재(55)는 길이가 긴 고정레버(551)와 상기 고정레버(551)의 한쪽 선단을 지지 고정하는 고정브라켓(553)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브라켓(553)은 상대쪽 중앙분리대(22)의 상면부에 다수의 체결구(555)를 매개로 고정된다. 상기 고정브라켓(553)은 한 쌍의 레버조립부(554)의 핀구멍으로 관통되는 고정핀(556)에 의해 고정레버(551)의 한쪽 선단을 고정되게 조립하고 고정레버(551)의 타단부는 게이트부재(40)의 상부몸체(45)에 부설되는 고정부(51)의 고정핀(515)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도로개방부(30)를 일시 개방하는 게이트부재(40)를 구속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게이트부재(40)의 개방 여부를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전기가 연결되는 점멸등으로 구성되는 식별수단(60)이 함께 설치된다. 상기 식별수단(60)은 중앙분리대(21)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게이트부재(40)의 상면에 설치되 는 리미트스위치 또는 감지센서(62)에 의해 동작하도록 한다.
식별수단(60)은 필요시 잠금부재(55)의 고정레버(551)를 고정부(51)에 해지시 동작하도록 구성하거나 게이트부재(40)가 중앙분리대(21)의 게이트수용부(21a) 내측으로 완전히 수용되었을 때 고정부(51)의 고정브라켓(516)이 감지센서(62)와 접점을 이루며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식별수단(60)은 반대쪽 도로의 차선을 따라 주행하는 운전자에게 인식시켜줄 수 있도록 중앙분리대(20)에 설치된다. 상기 식별수단(60)은 반대쪽 차로를 이용하는 운전자들이 사전에 대비할 수 있는 여유 즉, 허가받지 않은 장소에서의 유턴으로 인한 사고 방지를 위해 도로의 여건에 따라 그 위치를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수단(60)은 고속도로의 경우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전방 100~150m이내에 설치하고, 자동차 전용도로의 경우에는 전방 70~120m이내, 일반도로의 경우에는 전방 50~100m이내에 설치하여 상대방 운전자들이 사전에 대비할 수 있는 거리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비상시 유턴기능이 수행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시 유턴기능이 수행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동작 상태도이다.
도로 주행차선을 주행중에 예기치 못한 사고나 폭설 등으로 인해 차량이 더 이상주행할 수 없게 되거나 이들 사고로 인해 야기되는 긴급한 환자 수송을 위한 긴급차량의 경우 반대쪽 차선을 이용하는 것이 훨씬 유리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먼저, 도로(10)의 중앙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중앙분리대(20)의 양쪽 도로(10)가 서로 연통되는 도로개방부(30)가 구비된 게이트부재(40)가 설치된 위치까지 차량을 이동한다.
그런 다음 도로개방부(30)가 구비되는 게이트부재(40)의 고정부(51)에 결합된 고정핀(515)을 분리하여 중앙분리대(22) 상면에 고정되는 잠금부재(55)의 결합상태를 해지한 다음 게이트부재(40)를 중앙분리대(21)의 게이트수용부(21a) 내측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한쪽방향으로 밀어젖힌다. 그리하면 게이트부재(40)는 하부몸체(42)에 구비된 구름바퀴(41)에 의해 중앙분리대(21)의 내측으로 서서히 밀려 들어가면서 반대쪽 도로 차선과 연통되는 도로개방부(30)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잠금부재(55)의 잠금 상태가 해지 또는 게이트부재(40)의 상부측에 고정되는 고정부(51)의 고정브라켓(516)이 식별수단(60)의 감지센서(62)를 작동시킴에 따라 도로 전방에 설치되는 식별수단(60)을 점등하게 되어 반대쪽 차선을 주행하는 운전자는 식별수단(60)의 신호에 따라 차량 속도를 감속시키거나 차선 변경을 통해 반대쪽 차선으로 유턴하려는 차량이 안전하게 유턴할 수 있도록 방어운전을 유도할 수 있다.
이처럼 게이트부재(40)로 차단된 도로개방부(30)를 개방한 후에는 주행차선에 정차되어 있던 차량을 도로개방부(30)를 통해 신속하게 유턴이 가능하므로 차량 사고시나 폭설 등으로 인한 유사시 별도의 중장비 등을 동원하지 않고도 운전자는 단시간 내에 건너편 차선으로 차선을 변경할 수 있어 위급한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긴급 상황이 종료된 후에는 중앙분리대(21)의 게이트수용부(21a)에서 게이트부재(40)를 인출시켜 상대쪽 중앙분리대(22)와 맞닿게 하여 도로개방부(30)를 폐쇄시킨 후 잠금부재(55)와 고정부(51)를 이용하여 고정하면 게이트부재(40)는 기존의 중앙분리대와 동일한 기능과 역활을 수행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시 유턴기능이 수행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가 도로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시 유턴기능이 수행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의 게이트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시 유턴기능이 수행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시 유턴기능이 수행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의 일 요부를 발췌한 단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시 유턴기능이 수행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도로 20,21,22: 중앙분리대
21a: 게이트수용부 30: 도로개방부
40: 게이트부재 41: 구름바퀴
42: 하부몸체 44: 중량블록
45: 상부몸체 47,517: 체결부재
51: 고정부 55: 잠금부재
60: 식별수단 62: 감지센서
420: 블록수용부
421,451: 조립부 422, 452: 구멍
453: 표시부 512: 결합돌기
513: 구멍 515: 고정핀
516,553: 고정브라켓 551: 고정레버
556: 고정핀

Claims (1)

  1. 도로(10)의 중앙을 따라 길게 중앙분리대(20)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도로(10)에 설치되는 중앙분리대(20)의 일정한 거리간격마다 소정의 폭(b)(차량이 유턴할 수 있는 정도의 충분한 넓이)만큼씩 양쪽 도로(10)가 서로 연통되는 도로개방부(30)가 설치되고, 상기 도로개방부(30)를 단속하는 게이트부재(40)는 하부측에 다수의 구름바퀴(41)가 결합되고 그 내측 블록수용부(420)에 하나 이상의 중량블록(44)들이 삽입되는 하부몸체(42)와, 전면과 배면 중앙에는 별도의 표시부(453)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결합돌기(512)의 구멍(513)으로 조립되는 고정핀(515)을 갖는 고정부(51)가 고정되는 상부몸체(45)와, 하부몸체(42)와 상부몸체(45)를 조립하기 위해 조립부(421)(451) 구멍(422)(452)으로 끼워지는 체결부재(47)로 구성되고, 상대쪽 중앙분리대(22)의 상부측에 부설되는 잠금부재(55)의 고정브라켓(553)에 결합된 고정레버(551)를 상부몸체(45)의 고정부(51)에 고정되게 조립하여 도로개방부(30)를 차단하는 게이트부재(40)를 구속시키도록 되고, 상기 게이트부재(40)가 개방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62)가 구비된 식별수단(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시 유턴기능이 수행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
KR1020080009155A 2008-01-29 2008-01-29 비상시 유턴기능이 수행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 KR100828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155A KR100828992B1 (ko) 2008-01-29 2008-01-29 비상시 유턴기능이 수행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155A KR100828992B1 (ko) 2008-01-29 2008-01-29 비상시 유턴기능이 수행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8992B1 true KR100828992B1 (ko) 2008-05-14

Family

ID=39650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155A KR100828992B1 (ko) 2008-01-29 2008-01-29 비상시 유턴기능이 수행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89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854B1 (ko) 2010-09-10 2010-12-17 (주) 충청에스엔지 측량용 기준점을 가지는 도로 중앙분리대용 비상유턴장치
KR101042168B1 (ko) 2009-06-24 2011-06-16 김해명 접이식 개폐타입의 중앙분리장치
CN113550252A (zh) * 2021-06-04 2021-10-26 中铁十九局集团有限公司 用于公路隧道的防护装置及公路隧道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445A (ja) * 1990-05-10 1992-01-20 Mitsubishi Heavy Ind Ltd 多室型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H0585818A (ja) * 1991-09-30 1993-04-06 Ngk Insulators Ltd アルミニウムチタネートセラミツクス及びその製造法
JP2008007011A (ja) * 2006-06-30 2008-01-17 Nippon Seiki Co Ltd 車両用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445A (ja) * 1990-05-10 1992-01-20 Mitsubishi Heavy Ind Ltd 多室型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H0585818A (ja) * 1991-09-30 1993-04-06 Ngk Insulators Ltd アルミニウムチタネートセラミツクス及びその製造法
JP2008007011A (ja) * 2006-06-30 2008-01-17 Nippon Seiki Co Ltd 車両用表示装置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07-0110459호
국내등록실용신안 제0415445호
국내등록특허 제0585818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3-90453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4-69951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168B1 (ko) 2009-06-24 2011-06-16 김해명 접이식 개폐타입의 중앙분리장치
KR101001854B1 (ko) 2010-09-10 2010-12-17 (주) 충청에스엔지 측량용 기준점을 가지는 도로 중앙분리대용 비상유턴장치
CN113550252A (zh) * 2021-06-04 2021-10-26 中铁十九局集团有限公司 用于公路隧道的防护装置及公路隧道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8992B1 (ko) 비상시 유턴기능이 수행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
KR20160029044A (ko) 횡단보도 발광시스템
KR100915336B1 (ko) 보행자 보호용 방호장치
CN110816680B (zh) 挡泥板组件和车辆
KR100619807B1 (ko) 교통시설물 보호용 전기시설
KR100977609B1 (ko) 중앙분리대의 엘이디 제어방법
KR20130129913A (ko) 주차 공간에서 주행 방향으로 멀티-트랙 차량을 배향시키기 위한 장치
KR200464251Y1 (ko) 사고발생 표시장치
KR200457930Y1 (ko) 차량사고예방용 유도비상등 시스템
KR200230067Y1 (ko) 커브길 교통사고 방지장치
KR102165367B1 (ko) 추돌방지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보호장치
KR100673306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100728119B1 (ko) 도로의 중앙분리대
KR20160004125U (ko) 도로 작업장용 에어 방호벽
KR102411348B1 (ko) 사고 다발지역 노면 상태 표시용 디지털 전광판
KR101835095B1 (ko) 양방향 시선유도 표지판
KR101061936B1 (ko) 자동차의 주행 유도 장치
KR102068695B1 (ko) 차량의 긴급상황 알림장치
KR200353316Y1 (ko) 도로용 차량 급제동 시설
KR100599243B1 (ko) 차량 유도장치가 구비된 도로의 가드레일
KR20130014704A (ko) 스쿨존 횡단보도의 보행자 보호용 차단장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31676A (ko) 보행자 안내용 지시기
BR102015030575A2 (pt) sistema de segurança veicular de detecção de aproximação paralelamente lateral, com alerta sonoro e visual e ação automática sobre trava das portas, para inibição de acidentes causados a terceiros por abertura indevida de portas em automóveis estacionados
KR960006184Y1 (ko) 커브길 안전표시등 작동장치
KR101852882B1 (ko) 차량의 역주행 방지를 위한 중앙분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