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3334B1 - 벌브 홀더 - Google Patents

벌브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3334B1
KR100823334B1 KR1020060088701A KR20060088701A KR100823334B1 KR 100823334 B1 KR100823334 B1 KR 100823334B1 KR 1020060088701 A KR1020060088701 A KR 1020060088701A KR 20060088701 A KR20060088701 A KR 20060088701A KR 100823334 B1 KR100823334 B1 KR 100823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amp
housing
bulb holder
free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8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4397A (ko
Inventor
천진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8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3334B1/ko
Publication of KR20080024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4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3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3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9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baseless lamp bul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46Two-pole devices for bayonet type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46Two-pole devices for bayonet type base
    • H01R33/465Two-pole devices for bayonet type base secured to structure or printed circuit 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자동차에 사용되는 벌브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벌브홀더는, 램프(30)가 삽입될 수 있는 램프수납부(12)를 구비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의 램프수납부 하단부에 설치되고, 램프를 향하여 탄성을 가지도록 벤딩된 단자(20);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램프수납부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단자의 자유단이 걸쳐지는 지지돌기(14)를 포함한다. 상기 단자의 자유단에는 슬롯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의 상단에는 상기 슬롯부와 결합되는 보스(16)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의 자유단이 지지돌기(14)에 의하여 지지되고, 보스(16)와 슬롯부(24)가 결합되기 때문에 단자는 하방으로 처지는 변형이 방지됨과 동시에 정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벌브, 벌브홀더, 터미널, 단자

Description

벌브 홀더{Bulb holder}
도 1은 본 발명 벌브 홀더의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 벌브 홀더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벌브 홀더 내부의 터미널과 지지돌기의 예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12 ..... 램프수납부
14 ..... 지지돌기 16 ..... 보스
20 ..... 단자 22 ..... 상부
24 ..... 슬롯부 30 ..... 램프
본 발명은 벌브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램프의 가압 및 발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터미널을 구비하는 벌브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벌브 홀더는, 램프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단자를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의 전면 은 개구되어 램프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의 내부 저면에는 금속제로 성형되는 단자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램프의 전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하우징의 내부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단자는, 하우징에 램프가 삽입되어 체결된 상태에서 램프의 접촉에 의한 가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램프가 점등되면 발열하게 되는 바, 상기와 같은 가압상태에서 고온의 열이 발생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단자가 변형된다.
이와 같은 단자의 변형은 실질적으로 램프에 대한 전기적 접촉 불량을 야기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예를 들어 자동차용 후미등 또는 브레이크등의 고장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접촉 불량에 의하여 발생하는 일이 많다. 이와 같은 접촉불량은 실질적으로 단자의 변형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램프와 신뢰성 있는 접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벌브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램프가 결합되어 점등 가능한 벌브홀더로써; 램프가 삽입될 수 있는 램프수납부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램프수납부 하단부에 설치되고, 램프를 향하여 탄성을 가지도록 벤딩된 단자;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램프수납부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단자의 자유단이 걸쳐 지는 지지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단자의 자유단이 지지돌기의 걸쳐지는 상태로 지지되기 때문에, 램프와 접촉하는 단자의 상부가 하방으로 처지는 변형을 일으키지 않게 되어, 램프와의 전기적 접촉이 항상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의 상부는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이, 램프와의 접촉성을 확보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자의 자유단에는 슬롯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의 상단에는 상기 슬롯부와 결합되는 보스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롯부와 보스의 구성에 의하여, 단자는 항상 정확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는, 예를 들면, 그 중간부분이 이중 벤딩되는 것에 의하여 탄성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벌브홀더는, 램프(30)를 끼워서 고정하고 있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전기적 접점을 제공하는 단자(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도면을 기준으로)에는 개구되어 있으며, 개구된 단부와 연통되어 램프(30)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인 램프수납부(12)가 마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하우징(10)은 사출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20)는, 상기 램프(30)의 하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부 분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판상의 금속재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측면, 즉 상기 램프수납부(12)의 측면에도 상기 램프와 접촉하는 단자가 설치되나, 본 발명의 요지와는 무관한 것이어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단자(20)의 하단부는 하우징(10)의 내부에 결합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고, 상단부는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20)의 중간부분은 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이중 벤딩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측면에서 볼 때 S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자(20)의 중간부분은 자체적으로 탄성을 발휘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으로 변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20)의 상부(22)는 램프(30)의 하단부와 접촉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단자(20)의 상부(22)는 램프(30) 하단부와의 접촉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상부로 약간 볼록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22)를 상방으로 약간 볼록하게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램프(3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접점부와의 접촉이 더욱 확실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20)의 자유단은, 하우징(10)의 수납부(12)의 내측면에서 돌출 성형된 지지돌기(14)에 걸쳐진 상태로 지지된다. 상기 지지돌기(14)는 하우징(1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자(20)의 자유단이 상기 지지돌기(14)의 상면에 걸쳐지는 상태로 지지되는 것에 의하여, 램프(30)와 접촉하는 단자(20)의 상부(22)이 하방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상기 단자(20)는, 램프(30)의 가압에 의한 피로하중과 램프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변형되었다. 여기서 상기 단자(20)의 변형은 실질적으로 램프(30)와 접촉하는 부분이 하방으로 처지는 변형을 의미하고, 이러한 변형에 의하여 램프(30)와 접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단자(20)의 자유단이 상기 지지돌기(14)에 걸쳐진 상태로 지지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기 단자(20)의 상부(22)가 하방으로 처지는 변형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자(20)와 램프(30)의 접촉불량 현상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14)는 램프수납부(12)의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 성형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될 수 없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단자(20)의 자유단이 걸쳐질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기 하우징(10)의 램프수납부(12) 내측면에 어떠한 형상의 돌기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단자(20)의 자유단의 일부분이 절개된 슬롯부(2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20)의 자유단이 걸쳐지는 지지돌기(14)의 상면에는 보스(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자(20)가 상기 지지돌기(14)에 걸쳐지면, 상기 보스(16)는 슬롯부(24)와 결합된다. 상기 보스(16)와 슬롯부(24)가 결합되면, 상기 단자(20)가 측면 방향으로의 유동이 규제될 수 있다. 상기 단자(20)의 측면 방향의 유동이 규제되는 것은 실질적으로 상기 단자(20)의 상부(22)를 정확한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보스(16)와 슬롯부(24)의 구성은, 상기 단자(20)의 상부와 램프(3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접촉부와의 정확한 상대 위치를 항상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상기 램프(30)가 하우징(10)의 램프수납부(12)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램프의 점등으로 발열하여도, 단자(20)의 위치 변형이 없다. 상기 단자의 위치변형이 없다는 것은, 램프의 결합에 의한 피로하중과 램프의 발열에 의한 열변형에 대하여 단자(20)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20)의 자유단을 지지돌기(14) 상에 걸쳐지는 상태로 지지함으로써, 단자가 하방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돌기(14) 상에는 보스(16)를 형성하여, 단자(20)의 자유단에 형성된 슬롯부(24)와 결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외력에 의한 단자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20)의 자유단이 하우징 내부의 지지돌기(14)에 걸쳐진 상태로 지지된다. 따라서 램프에 의한 하중과 발열에 의한 열변형 등을 포함하는 외력에 대하여, 상기 단자의 상부(22)는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램프(30)와 접촉하는 단자(20)의 상부(22)가 정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램프의 하단부와의 접촉성을 항상 유지할 수 있다 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보스(16)와 슬롯부(24)의 구성은 임의의 외력에 대하여 단자의 상부(22)가 위치 변화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하면, 단자와 램프와의 전기적 접촉불량이 없는 신뢰도 높은 벌브홀더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4)

  1. 램프가 결합되어 점등 가능한 벌브홀더로써;
    램프가 삽입될 수 있는 램프수납부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램프수납부 하단부에 설치되고, 램프를 향하여 탄성을 가지도록 벤딩된 단자;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램프수납부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단자의 자유단이 걸쳐지는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브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상부는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벌브홀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자유단에는 슬롯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의 상단에는 상기 슬롯부와 결합되는 보스가 형성되는 벌브홀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그 중간부분이 이중 벤딩되는 것에 의하여 탄성을 구비하는 벌브홀더.
KR1020060088701A 2006-09-13 2006-09-13 벌브 홀더 KR100823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701A KR100823334B1 (ko) 2006-09-13 2006-09-13 벌브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701A KR100823334B1 (ko) 2006-09-13 2006-09-13 벌브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4397A KR20080024397A (ko) 2008-03-18
KR100823334B1 true KR100823334B1 (ko) 2008-04-28

Family

ID=39412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8701A KR100823334B1 (ko) 2006-09-13 2006-09-13 벌브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33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523B1 (ko) * 2008-06-04 2010-07-21 티.비텔레콤(주) 램프 홀더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0867A (ja) * 1994-02-18 1995-08-29 Sumitomo Wiring Syst Ltd バルブソケット
JPH11317267A (ja) * 1998-02-25 1999-11-16 Trw Automot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電気接点要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0867A (ja) * 1994-02-18 1995-08-29 Sumitomo Wiring Syst Ltd バルブソケット
JPH11317267A (ja) * 1998-02-25 1999-11-16 Trw Automot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電気接点要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4397A (ko) 2008-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15080B (zh) 驅動裝置及其安裝構造
JP6664152B2 (ja) 照明装置
KR100823334B1 (ko) 벌브 홀더
JP2008262723A (ja) 蛍光灯用差込式ソケット
JP2009173163A (ja) 車載用室内照明装置のバルブソケット構造
KR200467486Y1 (ko) 리셉터클 터미널
JP2016141250A (ja) 車両用灯具
JPWO2006115101A1 (ja) 電気接続箱
JP6558953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装置
US11545798B2 (en) Power supply rail system
JP5286044B2 (ja) 電気接続箱のハーネス経路規制構造
JP6241603B2 (ja) 照明装置
US20150064981A1 (en)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same
JP2007080686A (ja) 端子台
JP6241604B2 (ja) 端子金具の係止構造、バルブソケットおよび照明装置
KR20130018290A (ko) 차량용 룸 램프
JP4966844B2 (ja) 車載用室内照明装置
KR20090006791U (ko) 벌브홀더
JP6695138B2 (ja) 照明装置及び光源ユニット
JP6650747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装置
JP2008034144A (ja) 照明器具用取付ばね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JP2006166616A (ja) ハーネスプロテクタ
KR20090006346U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0955051B1 (ko) 벌브홀더
JP5909819B2 (ja) 車両室内照明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