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1523B1 - 램프 홀더 조립체 - Google Patents

램프 홀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1523B1
KR100971523B1 KR1020080052387A KR20080052387A KR100971523B1 KR 100971523 B1 KR100971523 B1 KR 100971523B1 KR 1020080052387 A KR1020080052387 A KR 1020080052387A KR 20080052387 A KR20080052387 A KR 20080052387A KR 100971523 B1 KR100971523 B1 KR 100971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body
lamp
cover part
termina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6351A (ko
Inventor
최병찬
조용우
Original Assignee
티.비텔레콤(주)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비텔레콤(주),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비텔레콤(주)
Priority to KR1020080052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1523B1/ko
Publication of KR20090126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6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1/192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8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the elements having apertures, ducts or channels, e.g. heat radiation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홀더 몸체; 상기 홀더 몸체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프론트 소켓; 상기 홀더 몸체의 후단에 형성된 손잡이; 상기 홀더 몸체에 안착되는 포지티브 터미널과 어스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소켓은, 상기 홀더 몸체의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채 커버부의 선단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몰딩되며 중심에는 램프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된 슬리이브;로 구성된 램프 홀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벌브 홀더, 램프 홀더, 소켓

Description

램프 홀더 조립체 {lamp holder assembly}
본 발명은 램프 홀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열성이 우수하고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램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램프 홀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각종 차량이나 조명용으로 사용되는 램프 홀더는 제조 및 조립이 간편하여야 하고 램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533681호에는 서로 대응되는 단자의 접촉이 보다 정확하도록 구성된 단자 접촉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 따른 단자 접촉 구조는 몸체가 되는 램프 홀더와, 상기 램프 홀더의 선단에 조립되는 프론트 어댑터를 포함한다. 램프가 삽입되는 프론트 어댑터는 상기 램프 홀더의 몸체 내에 삽입되도록 조립된다.
그런데, 자동차의 헤드 램프 등에 사용되는 램프 홀더의 경우에는 벌브의 위치가 설계 조건에 맞도록 적정 위치에 놓여져야 하는데, 특히 램프 홀더의 몸체로부터 필라멘트가 위치한 벌브가 전방으로 이격되어야 할 상황이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에 따른 램프 홀더 구조에서는 프론트 어댑터가 램프 홀더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벌브가 선단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경우에는 램프를 제대로 지지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램프 홀더에 있어서 또 하나의 고려 사항은 램프 점등시 다량으로 발생하는 열을 방출시키는 수단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램프 홀더 몸체 또는 프론트 어댑터의 측벽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이를 통해 벌브를 냉각시키는 구성들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램프 홀더를 이러한 구조로 만들기 위해서는 제조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터미널 등의 조립이 여간 곤란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홀더 몸체와 프론트 소켓을 분리 구성하여, 벌브가 선단으로 이격되는 설계에 있어서도 램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램프 홀더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홀더 몸체와 프론트 소켓의 측벽에 개구부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방열 통로를 통해서 램프를 냉각시킬 수 있는 램프 홀더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대적으로 고온에 노출되는 프론트 소켓을 홀더 몸체와 다른 내열성 소재로 제작함으로써 열적 안정성과 동작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램프 홀더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램프 홀더 조립체는, 개구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홀더 몸체; 상기 홀더 몸체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프론트 소켓; 상기 홀더 몸체의 후단에 형성된 손잡이; 상기 홀더 몸체에 안착되는 포지티브 터미널과 어스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소켓은, 상기 홀더 몸체의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채 커버부의 선단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몰딩되며 중심에는 램프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된 슬리이브;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삽입구의 내주면에는 상기 슬리이브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방열 통로와 한 쌍의 단자 삽입홈이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방열 통로는 상기 단자 삽입홈 보다 크기가 작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방열 통로와 단자 삽입홈은 그 모양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단자 삽입홈의 입구 모서리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론트 소켓은 상기 홀더 몸체와 서로 다른 소재로 제작될 수 있는데, 특히 상기 프론트 소켓은 듀퐁사(Dupont)의 자이텔 HTN 51G35HSL 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지티브 터미널은, 외부 단자 및 복수개의 안착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지그재그로 연장되어 있는 접속 단자로 구성되고, 상기 홀더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포지티브 터미널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 안착 돌기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어스 터미널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 몸체 내부에는 상기 어스 터미널의 안착홈에 삽입되어 어스 터미널을 지지하는 제3 안착 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램프 홀더 조립체는 프론트 소켓이 홀더 몸체 내부에 삽입되지 않고 선단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램프 설계시 벌브의 위치를 이격시키더라도 램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램프 홀더 조립체는 열적 안정성이 우수한 소재로 제작될 뿐만 아니라 소켓에 형성된 방열 통로를 통해 열을 방출시키게 되므로 측벽에 개구부를 형성시킬 필요가 없으며, 이로 인해 제품의 동작 신뢰성을 보장하면서도 제작 및 조립이 매우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보다 세부적인 효과들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상세한 실시예를 통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램프 홀더 조립체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램프 홀더 조립체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주요 구성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램프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램프 홀더 조립체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램프 홀더 조립체는 원통형의 홀더 몸체(100)와, 상기 홀더 몸체(100)의 선단에 결합되는 프론트 소켓(200)을 포함한다.
상기 홀더 몸체(100)는 본 발명의 램프 홀더 조립체를 구성하는 외장으로서, 예를 들어, 결합 브라켓(300)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 브라켓(300)은 자동차의 내장 또는 기타 램프가 결합되는 구조체에 구비되는 결속 부분이다.
도 2에서 미설명된 참조번호 310번과 320번은 결합 브라켓(300)에 결합되는 외부 터미널이다.
도 5에는 상기 홀더 몸체(100)의 구성이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홀더 몸체(100)는 상기 프론트 소켓(200)이 결합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공간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록킹 돌기(10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록킹 돌기(102)를 결합 브라켓(300)에 형성된 그루브(302)에 삽입한 다음, 홀더 몸체(100)를 회전시키면 록킹 돌기(102)가 상기 결합 브라켓(300)의 내주면에 형성된 턱(304)에 걸려서 지지됨으로써 램프 홀더 조립체가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홀더 몸체(100)의 후단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고 회전할 수 있도록 손잡이(10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더 몸체(100)의 측벽에는 터미널을 결합할 수 있도록 단자용 절개부(106)(108)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단자용 절개부(106)에는 도 6에 도시된 포지티브 터미널(400)이 안착된다. 상기 포지티브 터미널(400)은, 외부 단자(402)가 형성된 플레이트(404)와 상기 플레이트(404)로부터 지그재그로 연장되어 있는 접속 단자(406)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 단자(402)는 외부 전원이 접속되는 부위이며, 상기 접속 단자(406)는 램프(도 2의 L)와 접촉하는 부분이다.
상기 포지티브 터미널(400)의 플레이트(404)에는 복수개의 안착홈(408)(41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홀더 몸체(100)의 내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안착 돌기(도 5의 110)(112)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즉, 홀더 몸체(100)의 내부에는 포지티 브 터미널(400)을 지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 안착 돌기(110)(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 단자(402)가 상기 제1 단자용 절개부(106)에 노출된 상태에서, 플레이트(404)의 안착홈(408)(410)으로 상기 제1 및 제2 안착 돌기(110)(112)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포지티브 터미널(400)은 홀더 몸체(100)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제2 단자용 절개부(108)에는 도 7에 도시된 어스(Earth) 터미널(500)이 결합되며, 홀더 몸체(100)에는 어스 터미널(500)에 형성된 안착홈(502)에 삽입되어 어스 터미널(500)을 지지하도록 제3 안착 돌기(1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홀더 몸체(100)의 측벽에는 상기 프론트 소켓(200)을 조립할 때, 프론트 소켓(200)에 형성된 결합 돌기(202)가 삽입되는 결합홈(116)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홀더 몸체(100)의 측벽 내주면에는 프론트 소켓(200)의 결합 돌기(202)가 제 위치로 결합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가이드홈(118)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소켓(200)은 램프(L)가 직접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그 상세한 구성이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 소켓(200)은, 상기 홀더 몸체(100)의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커버부(210)와, 상기 커버부(210)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채 커버부(210)의 중심에서 선단으로 돌출 연장되어 있는 슬리이브(22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210)에는 상기 홀더 몸체(100)와 결합하기 위한 복수개의 결합 돌기(202)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결합 돌기(202)는 전술한 홀더 몸 체(100)의 결합홈(116)에 삽입된다.
상기 슬리이브(220)에는 램프(L)가 삽입되는 삽입구(230)가 커버부(2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리이브(220)는 커버부(210)와 일체로 몰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측벽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슬리이브(220)는 커버부(21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연장된 채로, 램프(L)를 둘러싸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벌브의 위치가 전방에 놓이도록 요구되는 설계에 있어서도, 램프(L)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슬리이브(220)에 형성된 삽입구(230)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방열 통로(232)가 형성된다. 상기 방열 통로(232)는 슬리이브(22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커버부(210)를 관통하여 홀더 몸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열 통로(232)를 통해 외부 공기가 홀더 몸체(100) 내부로 순환되면서 램프(L)의 점등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이브(220)의 삽입구(230) 내주면에는 램프(L)를 삽입할 때 램프(L)에 형성된 돌출 단자(미도시)가 삽입되도록 한 쌍의 단자 삽입홈(234)(236)이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램프(L)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돌출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램프(L)를 장착하는 방향을 설정하는 기준이 되며, 램프(L) 장착시 걸림턱에 걸려서 램프(L)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자 삽입홈(234)(236)은 상기 램프(L)의 돌출 단자 가 삽입되기에 적정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방열 통로(232)는 상기 단자 삽입홈(234)(236) 보다 크기가 작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조립시에 작업자로 실수로 램프(L)의 돌출 단자가 상기 방열 통로(232)로 삽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단자 삽입홈(234)(236)과 방열 통로(232)는 그 모양을 서로 상이하게 설정함으로써 작업자가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 단면의 단자 삽입홈(234)(236)과 원호형 단면의 방열 통로(232)가 각각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자 삽입홈(234)(236)의 입구 모서리에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램프(L)의 돌출 단자가 용이하게 미끄러져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위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작업자가 굳이 단자 삽입홈(234)(236)과 방열 통로(232)를 구분하지 않더라도, 램프(L)를 상기 삽입구(230)에 갖다 대고 회전시키면 돌출 단자가 자연스럽게 단자 삽입홈(234)(236)으로 삽입되도록 하기 때문에 램프 장착이 매우 편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론트 소켓(200)은 홀더 몸체(100)와 서로 다른 소재로 제작된다. 상기 홀더 몸체(100)는 폴리아미드 66 나일론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으나, 상기 프론트 소켓(200)은 램프를 둘러싸고 있어서 직접적으로 고온에 노출되기 때문에 내열성이 요구되는 소재로 제작될 필요성이 있 다.
본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상기 프론트 소켓(200)이 듀퐁사(Dupont)의 자이텔 HTN 51시리즈(Zytel® HTN)을 사용하여 제작된 경우에 충분한 내열성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이텔 HTN 51G35HSL 의 경우에는 융점이 300℃ 이상이므로 가장 바람직하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램프 홀더 조립체의 조립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홀더 몸체(100)의 제1 단자용 절개부(106)에는 포지티브 터미널(400)이 안착되고, 프론트 소켓(200)에는 어스 터미널(500)이 결합된다.
그런 다음, 프론트 소켓(200)에 형성된 결합 돌기(202)를 홀더 몸체(100)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18)을 따라 밀어 넣어 결합 돌기(202)가 결합홈(116)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포지티브 터미널(400)은 제1 및 제2 안착 돌기(110)(112)가 안착홈(408)(410)에 삽입된 상태로 외부 단자(402)가 제1 단자용 절개부(106)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되고, 상기 어스 터미널(500)은 제3 안착 돌기(114)가 안착홈(도 7의 502)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 단자(504)가 제2 단자용 절개부(108)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동시에, 프론트 소켓(200)의 커버부(210)에 형성된 누름부재(도 8의 212, 214)가 제1 및 제2 단자용 절개부(108)을 따라 삽입되면서 상기 포지티브 터미널(400)과 어스 터미널(500)을 눌러서 고정시키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램프 홀더 조립체의 조립은 간단하게 완료되고, 이어서 램프(L)를 상기 프론트 소켓(200)에 형성된 삽입구(230)에 장착한다.
작업자는 램프(L)를 상기 삽입구(230)에 대고 회전시키면서 램프(L)의 측면에 형성된 돌출 단자(미도시)가 상기 단자 삽입홈(234)(236)으로 삽입되도록 위치 설정한 다음 램프(L)를 충분히 밀어 넣는다. 그런 다음, 그 상태에서 다시 램프(L)를 회전시켜 상기 돌출 단자가 상기 프론트 소켓(200)의 삽입구(230)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미도시)에 걸리도록 한다.
그러면, 포지티브 터미널(400)의 접속 단자(406)와 어스 터미널(500)의 접속 단자(506)가 각각 램프(L)의 접속 단자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램프(L)가 장착된 램프(L) 홀더 조립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동차 또는 기타 구조체에 구비된 결합 브라켓(300)에 삽입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포지티브 터미널(400)의 외부 단자(402)와 어스 터미널(500)의 외부 단자(504)는 상기 외부 터미널(310)(320)과 접속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이때 결합 브라켓(300)과 램프 홀더 조립체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서 고무링과 같은 실링부재(600)가 더 개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되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램프 홀더 조립체의 외관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램프 홀더 조립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램프 홀더 조립체에 램프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램프 홀더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램프 홀더 조립체의 홀더 몸체에 대한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램프 홀더 조립체의 포지티브 터미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램프 홀더 조립체의 어스 터미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램프 홀더 조립체의 프론트 소켓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램프 홀더 조립체의 프론트 소켓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램프 홀더 조립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번호의 설명>
100: 홀더 몸체 102: 록킹 돌기
104: 손잡이 106: 제1 단자용 절개부
108: 제2 단자용 절개부 110: 제1 안착 돌기
112: 제2 안착 돌기 114: 제3 안착 돌기
116: 결합홈 118: 가이드 홈
200: 프론트 소켓 202: 결합 돌기
210: 커버부 212,214: 누름부재
220: 슬리이브 230: 삽입구
232: 방열 통로 234,236: 단자 삽입홈
300: 결합 브라켓 310,320: 외부터미널
400: 포지티브 터미널 402: 외부 단자
404: 플레이트 406: 접속 단자
408,410: 안착홈 500: 어스 터미널
502: 안착홈 504: 외부 단자
506: 접속 단자 600: 실링부재
L: 램프

Claims (9)

  1. 삭제
  2. 개구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홀더 몸체;
    상기 홀더 몸체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프론트 소켓;
    상기 홀더 몸체의 후단에 형성된 손잡이;
    상기 홀더 몸체에 안착되는 포지티브 터미널과 어스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소켓은,
    상기 홀더 몸체의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채 커버부로부터 전방(前方)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커버부와 일체로 몰딩되며 중심에는 램프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된 슬리이브;로 구성되며,
    상기 삽입구의 내주면에는 상기 슬리이브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방열 통로와 한 쌍의 단자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홀더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통로는 상기 단자 삽입홈 보다 크기가 작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램프 홀더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통로와 단자 삽입홈은 그 모양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홀더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삽입홈의 입구 모서리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홀더 조립체.
  6. 삭제
  7. 개구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홀더 몸체;
    상기 홀더 몸체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프론트 소켓;
    상기 홀더 몸체의 후단에 형성된 손잡이;
    상기 홀더 몸체에 안착되는 포지티브 터미널과 어스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소켓은,
    상기 홀더 몸체의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채 커버부로부터 전방(前方)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커버부와 일체로 몰딩되며 중심에는 램프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된 슬리이브;로 구성되며,
    상기 프론트 소켓은 상기 홀더 몸체와 서로 다른 소재인 듀퐁사(Dupont)의 자이텔 HTN 51G35HSL 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홀더 조립체.
  8. 개구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홀더 몸체;
    상기 홀더 몸체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프론트 소켓;
    상기 홀더 몸체의 후단에 형성된 손잡이;
    상기 홀더 몸체에 안착되는 포지티브 터미널과 어스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소켓은,
    상기 홀더 몸체의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채 커버부로부터 전방(前方)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커버부와 일체로 몰딩되며 중심에는 램프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된 슬리이브;로 구성되며,
    상기 포지티브 터미널은,
    외부 단자 및 복수개의 안착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지그재그로 연장되어 있는 접속 단자로 구성되고,
    상기 홀더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포지티브 터미널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 안착 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홀더 조립체.
  9. 개구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홀더 몸체;
    상기 홀더 몸체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프론트 소켓;
    상기 홀더 몸체의 후단에 형성된 손잡이;
    상기 홀더 몸체에 안착되는 포지티브 터미널과 어스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소켓은,
    상기 홀더 몸체의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채 커버부로부터 전방(前方)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커버부와 일체로 몰딩되며 중심에는 램프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된 슬리이브;로 구성되며,
    상기 어스 터미널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 몸체 내부에는 상기 어스 터미널의 안착홈에 삽입되어 어스 터미널을 지지하는 제3 안착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홀더 조립체.
KR1020080052387A 2008-06-04 2008-06-04 램프 홀더 조립체 KR100971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387A KR100971523B1 (ko) 2008-06-04 2008-06-04 램프 홀더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387A KR100971523B1 (ko) 2008-06-04 2008-06-04 램프 홀더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351A KR20090126351A (ko) 2009-12-09
KR100971523B1 true KR100971523B1 (ko) 2010-07-21

Family

ID=41687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387A KR100971523B1 (ko) 2008-06-04 2008-06-04 램프 홀더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15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38815B1 (en) * 2016-11-09 2022-04-13 Lumileds LLC Lighting arrangement with an exchangeable lighting cap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1536A (ko) * 1997-02-21 1998-10-26 조셉 에스. 로마나우 차량 헤드램프 시스템
KR200251797Y1 (ko) 2001-07-24 2001-11-22 상 택 임 갓 부착용 소켓
KR20020051797A (ko) * 2000-12-23 2002-06-29 구자홍 에이티엠 셀의 오버플로우 제어방법
KR20080024397A (ko) * 2006-09-13 2008-03-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벌브 홀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1536A (ko) * 1997-02-21 1998-10-26 조셉 에스. 로마나우 차량 헤드램프 시스템
KR20020051797A (ko) * 2000-12-23 2002-06-29 구자홍 에이티엠 셀의 오버플로우 제어방법
KR200251797Y1 (ko) 2001-07-24 2001-11-22 상 택 임 갓 부착용 소켓
KR20080024397A (ko) * 2006-09-13 2008-03-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벌브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351A (ko) 200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30923B2 (ja) ランプ及び周囲にロッキング手段を有するランプホルダー
US8616744B2 (en) Vehicle headlamp
JP2011515004A (ja) 照明システム及びそのような照明システムのための口金
JP2009516896A (ja) 高温プラスチックから作られるソケットを有するランプアセンブリ
US6976776B2 (en) Bulb insertion structure of vehicular lamp
JP4746386B2 (ja) くさび形ベースランプのためのセンタリングリングを備えるソケット
JP4698683B2 (ja) シガーライターの発熱ユニット用取り付けユニット及びノブ
US8562193B2 (en) Wedge-base bulb socket and automotive light for motor vehicles and similar provided with said socket
KR100971523B1 (ko) 램프 홀더 조립체
TW589768B (en) High-voltage lamp holder
JP2005505113A (ja) ヘッドライトランプ
JP4261808B2 (ja) 照明器具
KR200412155Y1 (ko) 와이어레스 타입 포지션 램프
JP4205011B2 (ja) 片口金ランプソケットおよび照明器具
US20050095895A1 (en) Light bulb socket for motor vehicle lamps
JP4283828B2 (ja) 照明器具
JP4283827B2 (ja) 照明器具
JP4068124B2 (ja) 改良された熱伝導を備えるランプソケット
JP4565645B2 (ja) バルブアライメント機構
KR20100002298U (ko) 램프 홀더
US11817661B2 (en) Lamp socket with ventilation channel
JP3748102B2 (ja) 蛍光ランプ用ソケットおよび照明器具
EP2267360A1 (en) Wedge-base bulb socket and automotive light for motor vehicles and similar provided with said socket
KR100339617B1 (ko) 벌브 소켓
KR101430100B1 (ko) 기능성 조명등 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