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 1 실시형태를 도 1∼도 29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자 (11) 는 고리형의 코어 (12) 와, 코어 (12) 의 내주에 복수 배열된 티스 (121) 사이의 슬롯 (122) 에 실시된 코일 (13) 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티스 (121) 및 슬롯 (122) 의 개수는, 18개이다. 슬롯 (122) 은, 고리형의 고정자 (11) 의 둘레 방향에 등피치 (등각도 피치) 로 배열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어 (12) 는, 자성체 (강판) 제의 복수매의 코어판 (14) 을 적층하여 구성되어 있다. 슬롯 (122) 에 실시된 코일 (13) 은, 파권으로 감겨 있다.
일반적으로, 극수 (極數) 를 p (정수), 상수를 m (정수), 매극 매상당 슬롯수를 q (q=0.5, 1, 1.5, 2, 2.5… 와 같이 0.5 간격), 고정자의 슬롯수를 K 로 한 경우, 하기의 관계식이 성립한다.
K=q×p×m
예를 들어, 3 상, q=1 인 경우에는, 슬롯수 (K) 와 극수 (p) 의 관계는, 4 극 12 슬롯, 6 극 18 슬롯, 8 극 24 슬롯 등이 된다. 예를 들어, 3 상, q=1.5 인 경우에는 슬롯수 (K) 와 극수 (p) 의 관계는, 4 극 18 슬롯, 6 극 27 슬롯, 8 극 36 슬롯 등이 된다.
상기 예시 중에서, 6 극 18 슬롯을 갖는 파권을 들어 도 3, 도 4 에서 설명한다. 고정자 (11) 에 있어서의 파권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버터 (10) 의 U 상의 단자 (101) 에 접속되는 U 상 코일선 (부호 13U 로 나타낸다) 은, 제 1 슬롯 (부호 122U 로 나타낸다) 의 군에 통해 있다. 인버터 (10) 의 V 상의 단자 (102) 에 접속되는 U 상 코일선 (부호 13V 로 나타낸다) 은, 제 2 슬롯 (부호 122V 로 나타낸다) 의 군에 통해 있고, 인버터 (100) 의 W 상 단자 (103) 에 접속되는 W 상 코일선 (부호 13W 으로 나타낸다) 은, 제 3 슬롯 (부호 122W 로 나타낸다) 의 군에 통해 있다. 각 코일선 (13U, 13V, 13W) 의 실선 부분은, 도 4 의 지면에 대하여 고정자 (11) 의 앞측의 단면에 배선된 부분이고, 각 코일선 (13U, 13V, 13W) 의 파선 부분은, 도 4 의 지면에 대하여 고정자 (11) 의 맞은편의 단면에 배선된 부분이다. 각 코일선 (13U, 13V, 13W) 의 실선 부분과 파선 부분의 이음 부분은, 슬롯 (122U, 122V, 122W) 을 통해 있다. 부호 N 은, 각 코일선 (13U, 13V, 13W) 의 종단을 결선한 중성점을 나타낸다.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 회전자 (15) 는, 코어 (16) 와, 코어 (16) 내에 매설된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6 개) 의 평판 형상의 영구 자석 (17A, 17B) 으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영구 자석 (17A, 17B) 은 전부 동일 형태 동일 크기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어 (16) 는, 자성체 (강판) 제의 복수매의 코어판 (18) 을 적층하여 구성되어 있다. 코어 (16) 의 중심부에는 축공 (161) 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축공 (161) 에는 출력축 (도시 생략) 이 통과되어 코어 (16) 에 고정된다.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조의 제 1 영구 자석 (17A) 과 제 2 영구 자석 (17B) 은 각각 축공 (161) 이 연신하는 방향을 따라 코어 (16) 에 관설된 복수의 수용공 (162) 에 끼워 넣어져 있고, 영구 자석 (17A , 17B) 은 실시 회전자 (15) 의 둘레 방향에 인접하도록 코어 (16) 내에 자극으로서 매설되어 있다. 실시 회전자 (15) 의 둘레 방향에 인접하는 한 쌍의 영구 자석 (17A, 17B) 의 자극은 서로 다르다. 즉, 복수의 영구 자석 (17A, 17B) 은 둘레 방향에 교대로 다른 극성이 되도록 매설되어 있다.
각 영구 자석 (17A, 17B) 은 제 1 자극단 (171) 과, 제 2 자극단 (172) 과, 제 1 자극단 (171) 과 제 2 자극단 (172) 사이의 중간 위치에 있는 자극 중심부 (173) 를 갖는다. 영구 자석 (17A) 의 자극 중심부 (17) 를 통하는 실시 회전자 (15) 의 반직경선 (151A) 은, 평판 형상의 영구 자석 (17A) 에 대하여 직교한다. 마찬가지로, 영구 자석 (17B) 의 자극 중심부 (173) 를 통과하는 실시 회전자 (15) 의 반직경선 (151B) 은, 평판 형상의 영구 자석 (17B) 에 대하여 직교한다. 실시 회전자 (15) 의 회전 중심 축선 (C) 에 연결되는 반직경선 (151A, 151B) 은 회전 중심 축선 (C) 을 중심으로서 등각도 간격 (60°) 이다. 영구 자석 (17A, 17B) 은 실시 회전자 (15) 의 회전 중심선 (C) 으로부터 등거리의 위치에 있고, 영구 자석 (17A, 17B) 은 실시 회전자 (15) 의 둘레 방향에 등피치로 배열되어 있다.
수용공 (162) 의 양단 (자극단 (171, 172) 의 근방) 에는 공간 (163) 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공 (162) 에 영구 자석 (17A, 17B) 이 수용된 상태에서는, 영구 자석 (17A, 17B) 의 양단에, 자로 단락 방지용 공간 (163) 이 남겨진다.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직경선 (151A, 151B) 을 중심으로 한 각도폭 (A) 에 상당하는 실시 회전자 (15) 의 외주의 부분은, 회전 중심 축선 (C) 을 중심으로 하는 반직경 (R) 의 원주부 (19A, 19B) 로서 형성되어 있다. 반직경선 (151A) 은 원주부 (19A) 의 둘레 방향 중심 (191) 에 교차하고 있고, 반직경선 (151B) 은 원주부 (19B) 의 둘레 방향 중심 (191) 에 교차하고 있다. 즉, 원주부 (19A, 19B) 의 제 1 단 가장자리 (192) 를 통하는 반직경선 (152) 과 반직경선 (151A, 151B) 사이의 각도폭은, 원주부 (19A, 19B) 의 제 2 단 가장자리 (193) 를 통하는 반직경선 (153) 과 반직경선 (151A, 151B) 사이의 각도폭과 동일하다. 회전 중심 축선 (C) 을 중심으로 하여 제 1 단 가장자리 (192) 와 제 2 단 가장자리 (193) 를 통하는 원주면을, 가상 원주면 E 라고 부른다.
원주부 (19A, 19B) 의 둘레 방향 중심 (191) 은 반직경선 (151A, 151B) 상에 있고, 반직경선 (151A, 151B) 은 회전 중심 축선 (C) 을 중심으로 하여 등각도 간격 (60°) 이다. 즉, 원주부 (19A, 19B) 는 둘레 방향에 등피치에 배열되어 있고, 원주부 (19A, 19B) 는 영구 자석 (17A, 17B) 의 자극 중심부 (173) 에 대응하고 있다.
영구 자석 (17A) 에 대응하는 원주부 (19A) 와, 영구 자석 (17B) 에 대응하는 원주부 (19B) 는 서로 이간되어 있다. 원주부 (19A) 는, 실시 회전자 (15) 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볼록인 볼록 형상부 (20) 에 의해서, 인접하는 원주부 (19B) 에 이어져 있다.
원주부 (19A) 의 제 2 단 가장자리 (193; 또는 제 1 단 가장자리 (192)) 와 원주부 (19B) 의 제 1 단 가장자리 (192; 또는 제 2 단 가장자리 (193)) 와 연결되는 볼록 형상부 (20) 는, 제 1 평면 (H1) 과, 제 2 평면 (H2) 과, 제 3 평면 (H3) 을 연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1 평면 (H1) 은, 제 1 단 가장자리 (192) 와 제 2 단 가장자리 (193) 를 잇는 평면 (H) 에 대하여 평행하다. 제 2 평면 (H2) 은, 제 1 평면 (H1)의 제 1 가장자리와, 제 1 단 가장자리 (192) 를 잇는다. 제 3 평면 (H3) 은, 제 1 평면 (H1) 의 제 2 가장자리와, 제 2 단 가장자리 (193) 를 잇는다. 도 1b 에서는, 평면 (H), 제 1 평면 (H1), 제 2 평면 (H2) 및 제 3 평면 (H3) 은 각각, 회전 중심 축선 (C) 에 대하여 직교하는 가상 평면 (도 1b 의 지면) 의 교차부로서, 즉 직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하에 있어서는, 평면 (H) 을 직선 (H) 에, 제 1 평면 (H1) 을 제 1 직선 (H1) 에, 제 2 평면 (H2) 을 제 2 직선 (H2) 에, 제 3 평면 (H3) 을 제 3 직선 (H3) 으로 바꾸어 놓고 기재할 수도 있다.
인접하는 제 1 직선 (H1) 과 제 2 직선 (H2) 은, 실시 회전자 (15) 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볼록한 둔각 형상의 모서리부 (H11) 를 형성하고, 인접하는 제 1 직선 (H1) 과 제 3 직선 (H3) 은, 실시 회전자 (15) 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볼록한 둔각 형상의 모서리부 (H12) 를 형성한다.
볼록 형상부 (20) 의 제 1 직선 (H1) 의 중앙은, 제 1 영구 자석 (17A) 과 제 2 영구 자석 (17B) 사이에 위치하는 자극 교체부 (164) 에 대응한다. 즉, 티스 (121) 와 실시 회전자 (15) 의 외주 사이의 공극의 크기 (즉, 원주면 (E) 과 실시 회전자 (15) 의 외주 사이의 간격) 는, 인접하는 한 쌍의 영구 자석 (17A, 17B) 사이에 위치하는 자극 교체부 (164) 에 대응하는 공극 (G) 이 가장 크다. 즉, 실시 회전자 (15) 의 반직경은, 공극 (G) 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최소이다.
도 5 에는, 회전 중심선 (C) 과, 볼록 형상부 (20) 의 중간 위치 (201) 를 잇는 볼록 형상부 반직경선 (154) 이 나타나 있다. 중간 위치 (201) 는, 원주부 (19A, 19B) 의 제 1 단 가장자리 (192) 와 제 2 단 가장자리 (193) 사이의 볼록 형상부 (20) 상의 한가운데의 위치이다. 즉, 볼록 형상부 반직경선 (154) 은, 볼록 형상부 (20) 를 둘레 방향으로 2 등분할하도록 볼록 형상부 (20) 에 위치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볼록 형상부 반직경선 (154) 을 2 등분할선 (154) 으로 기재할 수도 있다.
볼록 형상부 반직경선 (154) 의 길이는, 볼록 형상부 (20) 와 회전 중심 축선 (C) 과의 최소거리이다. 이하, 볼록 형상부 (20) 와 회전 중심 축선 (C) 과의 최소거리 (즉, 볼록 형상부 반직경선 (154) 의 길이) 를 최소 거리 (Rmin) 라고 적는다. Dh 는, 원주면 (E) 의 중간 위치 (190) 와, 중간 위치 (201) 사이의 직선 거리를 나타낸다. 중간 위치 (190) 는, 제 1 단 가장자리 (192) 및 제 2 단 가장자리 (193) 사이의 원주면 (E) 을 2 등분할하고, 볼록 형상부 반직경선 (154) 의 연장선 형상 상으로 있다. Dh 는, 원주부 (19A, 19B) 의 반직경 (R) 과, 최소 거리 (Rmin) 의 차를 나타낸다.
제 1 직선 (H1) 은, 볼록 형상부 반직경선 (154) 에 상기 가상 평면 (도 1b 의 지면) 내에서 직교하고, 또한, 중간 위치 (190) 로부터 직경 방향에 관하여 차 (Dh) 만큼 떨어져 있다. 이하, Dh 를 깊이 (Dh) 로 기재한다. 제 1 직선 (H1) 의 중간 위치 (201) 로부터 제 1 직선 (H1) 의 제 1 단 가장자리 (제 1 모서리부 (Hl1)) 에 이르는 거리와, 제 2 단 가장자리 (제 2 모서리부 (H12)) 에 이르는 거리는 동일하다. 따라서, 회전 중심 축선 (C) 을 중심으로 한 제 2 직선 (H2) 의 각도폭과, 회전 중심 축선 (C) 을 중심으로 한 제 3 직선 (H3) 의 각도폭은 동일 크기의 각도폭 (θc) 이 된다.
볼록 형상부 (20) 는, 원주면 (E) 보다 내측, 또한 직선 (H) 보다 외측의 범위 내에서, 실시 회전자 (15) 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원주면 (E) 은 원주부 (19A, 19B) 를 포함하고, 반직경 (R) 을 갖는다. 직선 (H) 은 제 1 단 가장자리 (192) 과 제 2 단 가장자리 (193) 를 잇는다. 즉, 볼록 형상부 (20) 는, 원주면 (E) 과 직선 (H) 사이의 영역 내 (원주면 (E) 상 및 직선 (H) 상을 제외한 영역에서 실시 회전자 (15) 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즉, 모서리부 (H11, H12; 제 1 직선 (H1) 의 양단 가장자리) 는 원주면 (E) 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또한 직선 (H) 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 2 직선 (H2) 과 제 3 직선 (H3) 은, 볼록 형상부 (20) 를 둘레 방향으로 2 등분할하는 2 등분할선 (154) 에 관하여 경영(鏡映) 대칭 (좌우 대칭) 의 관계에 있고, 한 쌍의 모서리부 (H11, H12) 는 2 등분할선 (154) 에 관해서 경영(鏡映) 대칭 (좌우 대칭) 의 관계에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선 (H2, H3) 을 모서리부 (H11, H12) 로부터, 원주면 (E) 에 교차하는 위치 (E2, E3) 까지 연장한 연장선을 H21, H31 이라고 부른다. 3 개의 직선 (H1, H2, H3) 중 양측의 직선 (H2, H3) 의 길이는, 연장선 (H21, H31) 보다 길다.
각 볼록 형상부 (20) 는, 제 1 직선 (H1), 제 2 직선 (H2) 및 제 3 직선 (H3) 을 연결하여 형성되고, 각 볼록 형상부 (20) 는 모두 동일 형태 동일 크기이다. 이하 직선 (H) 과 회전 중심 축선 (C) 과의 최소 거리를, 최소 거리 (Hr) [도 5 로 도시] 로 기재한다.
도 6 에 나타내는 Dmax 는, 중간 위치 (Ho) 와 중간 위치 (190) 의 직선 거리를 나타내고, 반직경 (R) 과 최소 거리 (Rmin) 의 차를 나타낸다. 이하, Dmax 를 가상 최대차 (Dmax) 로 기재한다. 가상 최대차 (Dmax)=R×{1-cos (〔(360°/p)-A〕/2)} 이고, 깊이 (Dh)는 가상 최대차 (Dmax) 보다 작다. A 는, 각 원주부 (19A, 19B) 의 각도폭이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중심 축선 (C) 으로부터, 제 1 영구 자석 (17A) 을 수용하는 수용공 (162) 의 일부인 단락 방지 공간 (163) 의 구획 벽면과 교차하여 제 1 직선 (H1) 에 이르는 직선은, 단락 방지 공간 (163) 의 구획 벽면 상에 있는 점 (165) 과, 제 1 직선 (H1) 상의 점 (204) 을 잇는 선분 (Br1) 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회전 중심 축선 (C) 으로부터 제 2 영구 자석 (17B) 을 수용하는 수용공 (162) 의 일부인 단락 방지 공간 (163) 의 구획 벽면과 교차하여 제 1 직선 (H1) 에 도달하는 직선은, 단락 방지 공간 (163) 의 구획 벽면 상에 있는 점 (166) 과, 제 1 직선 (H1) 상의 점 (205) 을 잇는 선분 (Br2) 을 포함한다. 도 6 은, 제 1 직선 H1, 제 2 직선 H2, 및 제 3 직선 H3 을 각각 평행 이동하여 얻어진 2 점 쇄선을 나타낸다.
Bmin1 은, 점 (165) 과 점 (204) 의 직선 거리를 나타내고, Bmin2 는, 점 (166) 과 점 (205) 의 직선 거리를 나타내고, Bmin1=Bmin2 이다.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Θb 는, 회전 중심 축선 (C) 과 기점 (165) 을 잇는 반직경선 (155) 과, 회전 중심 축선 (C) 과 기점 (166) 을 잇는 반직경선 (156) 사이의 각도폭을 나타낸다. 즉, Θb 는 기점 (165) 과 기점 (166) 이 회전 중심 축선 (C) 을 중심으로 하여 이루는 각도폭을 나타낸다. 기점 (165) 은, 인접하는 한 쌍의 수용공 (162) 중의 일방과 볼록 형상부 (20) 사이의 선분 (Br1) 의, 상기 일방의 수용공 (162) 에 있어서의 기점이다. 기점 (166) 은, 인접하는 한 쌍의 수용공 (162) 중의 타방과 볼록 형상부 (20) 사이의 선분 (Br2) 의 상기 타방의 수용공 (162) 에 있어서의 기점이다. 이하, Θb 를 브리지간 각도 (Θb) 로 기재한다.
브리지간 각도 (Θb) 를 특정하는 기점 (165, 166) 은 아래와 같이 규정된다. 직선 (H1) 을 평행 이동하여, 제 1 영구 자석 (17A) 을 수용하는 수용공 (162) 의 구획 벽면에 접하는 점을, 임시로 H01 으로 기재하고, 직선 (H3) 을 평행 이동하여, 제 1 영구 자석 (17A) 을 수용하는 수용공 (162) 의 구획 벽면과 접하는 점을, 임시로 H30 으로 기재한다. 이들의 2 점 (H01, H30) 중, 직선 (H1) 과 점 (H01) 사이의 거리와, 직선 (H3) 과 점 (H30) 사이의 거리 중 짧은 쪽의 점이 기점 (165) 으로서 채용된다. 직선 (H1) 을 평행 이동하여, 제 2 영구 자석 (17B) 을 수용하는 수용공 (162) 의 구획 벽면과 접하는 점을, 임시로 H02 로 기재하고, 직선 (H2) 을 평행 이동하여, 제 2 영구 자석 (17B) 을 수용하는 수용공 (162) 의 구획 벽면과 접하는 점을, 임시로 H20 으로 기재한다. 이들의 2 점 (H02, H20) 중 직선 (H1) 과 점 (H02) 사이의 거리와, 직선 (H2) 과 점 (H20) 사이의 거리 중 짧은 쪽의 점이, 기점 (166) 으로서 채용된다.
수용공 (162) (공간 (163)) 의 형상에 따라서는, 상기의 점 (H01, H30, H02 또는 H20) 이, 복수 혹은 무수(無數)로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각도폭 (Θb) 이 복수 또는 무수로 존재한다. 상기 브리지 사이의 각도 (Θb) 라는 것은, 선분 (Br1) 에 대응하는 기점 (165) 과, 선분 (Br2) 에 대응하는 기점 (166) 이, 회전중심축선 (C) 을 중심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각도폭 중, 최대의 각도폭을 나타낸다.
도 7a 의 막대 그래프는, 실시 회전자 (15) 의 토크 정수와, 비교예로서 도 21a∼도 21d 에 나타내는 제 1 비교 회전자 (21)∼제 4 비교 회전자 (24) 의 토크 정수를 FEM (유한 요소법) 해석에 의해서 구한 예를 나타낸다. 토크 정수란, 회전 전기 기기의 출력 토크의 평균치를, 전류의 실효치로 나눈 값인 것이다. 도 7b 의 막대 그래프는, 실시 회전자 (15) 의 토크 리플과, 제 1∼제 4 비교 회전자 (21∼24) 의 토크 리플의 FEM 해석예를 나타낸다. 토크 리플이란, 출력 토크의 변동폭의 크기인 것이다. 실시 회전자 (15) 및 제 1∼제 4 비교 회전자 (21∼24) 는, 모두 동일한 고정자 (11) 에 삽입된다. 영구 자석 (17A, 17B) 의 배치 및 크기는, 제 1∼제 4 비교 회전자 (21∼24) 중 어느 경우도, 실시 회전자 (15) 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들의 FEM 해석예에 있어서의 공통적인 조건은,
ㆍ영구 자석 (17A, 17B) 의 폭 (17W; 도 5 에 도시) 이 코어 (16; 실시 회전자 (15)) 의 원주부 (19A, 19B) 의 반직경 (R)보다 작은 것,
ㆍ에어갭 g〔원주부 (19A, 19B) 와 티스 (121) 사이의 공극의 크기, 도 5 에 도시〕=0.5mm,
ㆍ극수 (p)=6,
ㆍ슬롯 (122) 의 개수=p×3=18 이다.
도 2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비교 회전자 (21) 의 외주는, 반직경 (R) 의 원주면 (E) 이다. 도 2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비교 회전자 (22) 의 외주는, 반직경 (R) 의 원주부 (19A, 19B) 와, 인접하는 원주부 (19A) 와 원주부 (19B) 를 잇는 평면 (H; 직선 (H)) 으로 이루어진다. 도 21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비교 회전자 (23) 의 외주는, 반직경 (R) 의 원주부 (19A, 19B) 와, 인접하는 원주부 (19A) 와 원주부 (19B) 를 잇는 오목 형상부 (231) 로 이루어진다. 오목 형상부 (231) 는, 평면 (H) 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오목한 원호면이다. 도 21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비교 회전자 (24) 의 외주는, 인접하는 영구 자석 (17A, 17B) 사이의 자극 교체부 (164) 에서 제 4 비교 회전자 (24) 의 반직경이 최소가 되고, 또한 자극단 (171, 172) 사이의 자극 중심부 (173) 에서 제 4 비교 회전자 (24) 의 반직경이 최대가 되도록, 정현파 형상의 주면 (정현파 형상부 (241)) 으로 하고 있다. 제 4 비교 회전자 (24) 의 반직경 선 (151A, 151B) 의 길이는 R 이다. 제 4 비교 회전자 (24) 의 정현파 형상부 (241) 와 회전중심축선 (C) 과의 최소거리는, 제 2 비교회전자 (22) 의 직선 (H) 과 회전중심축선 (C) 과의 최소거리보다도 크며, 실시회전자 (15) 의 오목 형상부 (231) 와 회전중심축선 (C) 과의 최소거리보다도 작다.
도 7a 의 그래프에 있어서의 막대 (B1) 는, 도 21a 에 있어서의 제 1 비교 회전자 (21) 의 경우의 토크 정수를 1 로서 나타내고 있다. 도 7a 의 그래프에 있어서의 막대 (Bo) 는, 실시 회전자 (15) 의 토크 정수를, 막대 (B1) 에 대한 비율로서 나타내고 있다. 막대 (B2) 는, 도 21b 에 있어서의 제 2 비교 회전자 (22) 의 토크 정수를, 막대 (B1) 에 대한 비율로서 나타내고 있다. 막대 (B3) 는, 도 21c 에서의 제 3 비교 회전자 (23) 의 토크 정수를, 막대 (B1) 에 대한 비율로서 나타내고 있다. 막대 (B4) 는, 도 21d 에서의 제 4 비교 회전자 (24) 의 토크 정수를, 막대 (B1) 에 대한 비율로서 나타내고 있다.
도 7b 의 그래프에 있어서의 막대 (D1) 는, 제 1 비교 회전자 (21) 의 토크 리플을 1 로서 나타내고 있다. 막대 (Do) 는, 실시 회전자 (15) 의 토크 리플을, 막대 (D1) 에 대한 비율로서 나타내고 있다. 막대 (D2) 는, 제 2 비교 회전자 (22) 의 토크 리플을, 막대 (D1) 에 대한 비율로서 나타내고 있다. 막대 (D3) 는, 제 3 비교 회전자 (23) 의 토크 정수를, 막대 (D1) 에 대한 비율로서 나타내고 있다. 막대 (D4) 는, 제 4 비교 회전자 (24) 의 토크 정수를 막대 (D1) 에 대한 비율로서 나타내고 있다.
도 8a 의 그래프는, 회전자의 회전 위치와, 임의의 1 개의 티스 (121) 에 작 용하는 힘의 관계를 나타낸다. 파형 (Δ) 은, 이상적인 예를 나타낸다. 파형 (Δ) 과 가로축은 2 등변 삼각형을 형성하고 있고, 이 2 등변 삼각형의 저변은, 가로축 상의 시단과 종단의 각도 간격이 40°인 것을 나타낸다. 모든 티스 (121) 에 관한 이러한 파형 (Δ) 을 합성하면, 도 8b 의 그래프에 있어서의 수평인 직선 (TΔ) 이 얻어진다. 즉, 1 개의 티스 (121) 에 작용하는 힘의 파형이 파형 (Δ) 이면, 출력 토크는 일정 (TΔ) 해지고, 토크 리플은 0 이 된다.
도 8a 의 그래프에 있어서의 파형 (EX) 은, 도 21a 의 제 1 비교 회전자 (21) 의 회전 위치와, 제 1 비교 회전자 (21) 의 임의의 1 개의 티스 (121) 에 작용하는 힘의 관계를 나타낸다. 제 1 비교 회전자 (21) 의 모든 티스 (121) 에 관한 이러한 파형 (Eλ) 을 합성하면, 도 8b 의 그래프에 있어서의 합성 파형 (Te) 이 얻어진다. 즉, 1 개의 티스 (121) 에 작용하는 힘이 파형 (EX) 으로 표시되는 힘이면, 토크 리플이 0 이 아닌 출력 토크가 발생된다. 즉, 파형 (EX) 의 형상을 파형 (Δ) 의 형상에 가까이 하면 가까이 할 수록, 회전 전기 기기의 토크 리플을 작게 할 수 있다.
실시 회전자 (15) 에 대해서, 상기한 공통의 해석 조건 및 브리지간 각도 (Θb)=5.2°의 조건 하에서 FEM 해석한 결과, 토크 리플률 (Ri) 을 산출한다. 토크 리플률이란, 토크 리플 (출력 토크의 변동폭의 크기) 을 출력 토크의 평균치로 나눈 값이다. 실시 회전자 (15) 의 해당 토크 리플률 (Ri) 은 도 21a 의 제 1 비교 회전자 (21) 에 대해서 상기한 공통의 해석 조건 및 브리지간 각도 (Θb)=10°의 조건 하의 FEM 해석 결과의 토크 리플률보다 작다. 이하, 도 21a 의 제 1 비교 회전자 (21) 를 사용하여 상기한 공통의 해석 조건 및 브리지간 각도 (Θb)=5.2°의 조건 하의 FEM 해석 결과의 토크 리플률 (Ri) 에 대한, 어떤 토크 리플률 (Rx) 의 비율 (Rx/Ri) 을 토크 리플률이라고 하는 것으로 한다. 토크 리플률비 (Rx/Ri) 는 토크 리플률 (Rx) 에 정비례한다.
도 9a 의 그래프에 있어서의 곡선 (Z1) 은, 각도폭 (A)=28°, 각도폭 (θc)=13°, 브리지간 각도 (Θb) 를 5.2°로 한 경우의, 실시 회전자 (15) 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자속 밀도의 분포를 나타낸다. 가로축은, 자극 교체부 (164) 에 대응하는 볼록 형상부 (20) 의 중간 위치 (201) 와, 이웃하는 볼록 형상부 (20) 의 중간 위치 (201) 사이의 각도 위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자속 밀도를 나타낸다. 중간 위치 (201) 의 각도 위치는, 0°또는 60°이다. 도 9c 의 그래프에 있어서의 EX1 는, 브리지간 각도 (Θb) 를 5.2°로 한 경우에, 실시 회전자 (15) 의 회전 위치와, 실시 회전자 (15) 의 1 개의 티스 (121) 에 작용하는 힘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9b 의 그래프에 있어서의 곡선 (Z2) 은, 각도폭 (A)=28°, 각도폭 (θc)=13, 브리지간 각도 (Θb) 를 12°로 한 경우의, 실시 회전자 (15) 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자속 밀도의 분포를 나타낸다. 가로축은, 자극 교체부 (164) 에 대응하는 볼록 형상부 (20) 의 중간 위치 (201) 와, 이웃하는 볼록 형상부 (20) 의 중간 위치 (201) 사이의 각도 위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자속 밀도를 나타낸다. 도 9d 의 그래프에 있어서의 Eλ2 는, 브리지간 각도 (Θb) 를 12°로 한 경우에, 실시 회전자 (15) 의 회전 위치와, 실시 회전자 (15) 의 1 개의 티스 (121) 에 작 용하는 힘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9a∼도 9d 는, 모두 FEM 해석에 의해서 얻은 결과이다. 도 9a 에서는, 자속 밀도가 0 이 되는 실시 회전자 (15) 의 외주면의 영역 (실시 회전자 (15) 의 외주면 위치를 나타내는 가로축 상에 있어서, 0 보다 큰 범위의 영역) 은 없지만, 도 9b 에서는, 자속 밀도가 0 이 되는 실시 회전자 (15) 의 외주면의 영역이 존재한다. 곡선 (Eλ1) 은, 곡선 (Eλ2) 에 비교하여 파형 (Δ) 의 형상에 가깝다. 즉, 자속 밀도의 분포에 있어서 0 이 되는 영역이 없는 경우 (이하, 보조 자극이 없는 상태라고 한다. 도 9a 및 도 9c 참조) 에서는, 자속 밀도의 분포에 있어서 0 이 되는 영역이 있는 경우 (이하, 보조 자극이 있는 상태라고 한다. 도 9b 및 도 9d 참조) 에 비교하여 토크 리플이 작아진다.
도 1b 에 도시하는 각도폭 (Φ) 은, 제 1 영구 자석 (17A) 에 인접하는 단락 방지 공간 (163) 과, 이것에 인접하는 제 2 영구 자석 (17B) 에 인접하는 단락 방지 공간 (163) 사이의, 회전 중심 축선 (C) 을 중심으로 한 각도폭이다. 즉, 각도폭 (Φ) 은, 인접하는 한 쌍의 단락 방지 공간 (163) 에 선접촉하는 반직경선 (157, 158; 회전 중심 축선 (C) 을 중심으로 하는 반직경선) 사이의 각도이다. 각도폭 (Φ) 의 크기는 브리지간 각도 (Θb) 의 크기 이하이다. 각도폭 (Φ) 을 10°로 한 경우에도, 보조 자극이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이 FEM 해석에 의해 확인되고 있다. 즉, 브리지간 각도 (Θb) 를 10°로 한 경우에도, 보조 자극이 없는 상태가 된다.
보조 자극이 있는 상태에서는, 출력 토크의 평균치에 대한 릴럭턴스 토크가 차지하는 비율 (이하, 릴럭턴스 토크 사용률이라고 한다) 은, 보조 자극이 없는 상태에 대하여 향상된다. 도 10 의 그래프에 있어서의 FEM 해석 결과에 의하면, 브리지간 각도 (Θb) 가 10°를 넘으면, 릴럭턴스 토크 사용률이 급경사를 이루며 상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0 의 그래프에 있어서의 흑점은 실데이터이다.
즉, 보조 자극이 있는 상태에서 릴럭턴스 토크를 유효하게 활용하는 구성 (예를 들어, 특허문헌 4 의 도 1 에 개시되어 있는 구성) 에서는, 1 개의 티스에 작용하는 힘 (Eλ) 이 비뚤어지고, 힘 (EX) 의 형상이 파형 (Δ) 의 형상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토크 리플이 악화되고 만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보조 자극이 없는 상태로 하고 있다 (도 9a 및 도 9c). 이에 따라서, 릴럭턴스 토크에 의한 출력 토크의 평균치의 향상을 적게 하여, 1 개의 티스에 작용하는 힘 (Eλ) 을 파형 (Δ) 에 가깝게 하여 토크 리플의 저감을 도모하고 있다.
도 11 의 그래프는, 브리지간 각도 (Θb) 에 따른 토크 리플률비 (Rx/Ri) 의 변화를 나타낸다. 각도폭 (Δ) 은 28°, 각도폭 (θc) 은 13°이다. 도 11 은, FEM 해석에 의해서 얻은 결과이고, 도 11 의 그래프에 있어서의 흑점은 실데이터이다. 도 11 의 그래프에서 보면, 브리지간 각도 (Θb) 를 10°이하로 하면, 토크 리플률비 (Rx/Ri) 는 1 이하가 된다.
브리지간 각도 (Θb) 를 10° 이하로 함으로써, 주자석폭을 크게 취할 수 있고, 출력 토크의 평균치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2a 는, 볼록 형상부 (20) 를 사용한 경우의 출력 토크를 푸리에 급수 전개하고, 그에 따라서 얻어지는 특정한 차수에 있어서의 토크 리플의 차수 성분비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브리지간 각도 (Θb) 는 5.2°로 설정되어 있고, 각도폭 (Δ) 은 28°로 설정되어 있다. 깊이 (Dh)는 0.3mm 로 설정되어 있고, 각도폭 (θc) 은 13°로 설정되어 있다.
도 12b 는, 도 17 에 나타나는 제 5 비교 회전자 (25) 의 출력 토크를 푸리에 급수 전개하여, 그에 따라 얻어지는 특정한 차수에 있어서의 토크 리플의 차수 성분비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브리지간 각도 (Θb) 는 5.2°로 설정되어 있고, 각도폭 (Δ) 은 26°로 설정되어 있다. 깊이 (Dh)는 0.5mm 로 설정되어 있다. 도 12a 및 도 12b 는, FEM 해석에 의해서 얻은 결과이다.
도 17 에 나타내는 제 5 비교 회전자 (25) 의 외주면은, 인접하는 원주부 (19A) 와 원주부 (19B) 를, 볼록 형상부 (26) 에 의해서 이어져 형성되어 있다. 볼록 형상부 (26) 는, 실시 회전자 (15) 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볼록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 1 원주부 (19A) 의 제 2 단 가장자리 (193; 또는 제 1 단 가장자리 (192)) 와 제 2 원주부 (19B) 의 제 1 단 가장자리 (192; 또는 제 2 단 가장자리 (193)) 와 연결되는 볼록 형상부 (26) 는, 원주부 (19A, 19B) 의 반직경 (R) 보다 큰 반직경의 원호 둘레면이다. 각 볼록 형상부 (26) 는, 어느 것이나 동일 형태 동일 크기이다. 따라서, 볼록 형상부 (26) 는 원주부 (19A, 19B) 를 포함하는 반직경 (R) 의 원주면 (E) 보다 직경 방향 내측, 그리고 제 1 단 가장자리 (192) 와 제 2 단 가장자리 (193) 를 잇는 평면 (H) 보다 직경 방향 외측의 범위 내에서, 실시 회전자 (15) 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즉, 볼록 형상부 (26) 는, 원주면 (E) 과 평면 (H) 사이의 영역내 (원주면 (E) 상 및 평면 (H) 상을 제외한다) 에서 실시 회전자 (15) 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볼록 형상부 (26) 의 돌출단 (261) 은, 제 1 영구 자석 (17A) 과 제 2 영구 자석 (17B) 사이에 위치하는 자극 교체부 (164) 에 대응한다. 즉, 티스 (121) 와 제 5 비교 회전자 (25) 의 외주 사이의 공극의 크기 (즉, 원주면 (E) 과 제 5 비교 회전자 (25) 의 외주와의 사이의 간격) 는, 자극 교체부 (164) 에 대응하는 공극 (G) 이 가장 크다. 즉, 제 5 비교 회전자 (25) 의 반직경은 공극 (G) 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최소이다.
도 12a 에 있어서의 막대 (L1) 는 기본 차수 (=18) 에 있어서의 토크 리플의 차수 성분비를 나타낸다. 막대 (L2) 는 기본 차수의 2 배의 차수 (=36) 에 있어서의 토크 리플의 차수 성분비를 나타내고, 막대 (L3) 는 기본 차수의 3 배의 차수 (=54) 에 있어서의 토크 리플의 차수 성분비를 나타낸다.
도 12b 에서의 막대 (L4) 는 기본 차수 (=18) 에 있어서의 토크 리플의 차수 성분비를 나타낸다. 막대 (L5) 는 기본 차수의 2 배의 차수 (=36) 에 있어서의 토크 리플의 차수 성분비를 나타내고, 막대 (L6) 는 기본 차수의 3 배의 차수 (=54)에 있어서의 토크 리플의 차수 성분비를 나타낸다. 또, 막대 (L4) 에 있어서의 토크 리플의 차수 성분비를 1 로 하고 있다.
도 12a 및 도 12b 의 FEM 해석 결과에 따르면, 토크 리플을 크게 좌우하는 기본 차수 (=18) 에 있어서의 차수 성분은, 볼록 형상부 (20) 를 갖는 실시 회전자 (15; 도 12a 의 막대 (L1)) 쪽이, 도 17 에 있어서의 제 5 비교 회전자 (25; 도 12b 의 막대 (L4)) 의 경우보다 작다.
도 13 은, 단일 티스 (121) 에 관한 릴럭턴스 토크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곡선 (Qr11) 은, 볼록 형상부 (20) 를 갖는 실시 회전자 (15) 를 사용한 경우의 릴럭턴스 토크의 변화를 나타내고, 곡선 (Qr21) 은 도 17 에 있어서의 제 5 비교 회전자 (25) 를 사용한 경우의 릴럭턴스 토크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14a 의 그래프에 있어서의 곡선 (Qr12) 은, 실시 회전자 (15) 의 개개의 티스 (121; 18 개) 에 관한 도 13 의 곡선 (Qrl1) 을 합성하여 얻어진 합성 릴럭턴스 토크의 변화를 나타낸다. 곡선 (Qr22) 은, 제 5 비교 회전자 (25) 의 개개의 티스 (121; 18 개) 에 관한 도 13 의 곡선 (Qr21) 을 합성하여 얻어진 합성 릴럭턴스 토크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14b 의 그래프에 있어서의 곡선 (Qm1) 은, 실시 회전자 (15) 를 사용한 경우의 영구 자석 (17A, 17B) 에 관한 토크 (이하, 자석 토크라고 한다) 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곡선 (Qm2) 은, 제 5 비교 회전자 (25) 를 사용한 경우의 영구 자석 (17A, 17B) 에 관한 자석 토크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c 의 그래프에 있어서의 곡선 (Q1rm) 은, 도 14a 의 곡선 (Qr12) 과, 도 14b 의 곡선 (Qm1) 을 합성한 토크 파형이다. 도 14c 의 그래프에 있어서의 곡선 (Q2rm) 은, 도 14a 의 곡선 (Qr22) 과, 도 14b 의 곡선 (Qm2) 을 합성한 토크 파형이다. 즉, 곡선 (Q1rm) 은, 볼록 형상부 (20) 를 갖는 실시 회전자 (15) 를 사용한 경우에 FEM 해석에 의해서 얻어지는 토크 파형이고, 곡선 (Q2rm) 은, 도 17 의 제 5 비교 회전자 (25) 를 사용한 경우에 FEM 해석에 의해서 얻어지는 토크 파형이다. 도 16 의 그래프에 있어서의 곡선 (Θ) 은, 도 21a 의 제 1 비교 회전자 (21) 를 사용한 경우에 FEM 해석에 의해서 얻어지는 토크 파형이다. 토크 파형의 곡선 (Q1rm) 에 있어서의 토크 리플과, 토크 파형의 곡선 (Z) 에 있어서의 토크 리플의 차이는 명백하다.
곡선 (Q1rm, Q2rm) 을 비교하여 보면, 곡선 (Q1rm) 에 의해서 표시되는 토크 리플이 곡선 (Q2rm) 에 의해서 표시되는 토크 리플보다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이 차이는, 도 14a 의 곡선 (Qr12) 에 있어서의 고조부 (Qro12) 의 고조 정도와, 곡선 (Qr22) 에 있어서의 고조부 (Qro22) 의 고조 정도의 차이에 기초한다. 고조부 (Qro12, Qro22) 의 고조 정도의 차이는 에어갭 (gh1; 볼록 형상부 (20) 와 티스 (121) 사이의 공극의 크기로서 도 6 에 도시) 의 변화와, 에어갭 (gh2; 볼록 형상부 (26) 와 티스 (121) 사이의 공극의 크기로서 도 17 에 도시) 의 변화의 차이에 주로 기인한다.
도 15a 의 그래프에 있어서의 곡선 (Gh1) 은 에어갭 (gh1) 의 변화를 나타내고, 도 15b 의 그래프에 있어서의 곡선 (Gh2) 은 에어갭 (gh2) 의 변화를 나타낸다. 곡선 (Gh2) 으로 표시되는 에어갭 (gh2) 의 변화는, 단조 증대로부터 극대로 이행한 후에 단조 감소로 이행하는 패턴이다. 곡선 (Gh1) 으로 표시되는 에어갭 (gh1) 의 변화는, 단조 감소로부터 단조 증대로 급격히 반전하는 한 쌍의 반 전부 (ho) 를 갖는 패턴이다. 한 쌍의 반전부 (ho) 는, 모서리부 (H11, H12) 의 존재에 의해서 발생된다. 즉, 모서리부 (H11, H12) 의 존재가 곡선 (Qr12) 에 있어서의 고조부 (Qro12) 의 고조를 크게 한다.
이러한 고조부 (Qro12) 를 갖는 합성 릴럭턴스 토크의 곡선 (Qr12) 과, 자석 토크의 곡선 (Qm1) 의 합성은, 도 14c 에 곡선 (Q1rm) 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크 리플을 저감시킨다. 고조부 (Qro22) 를 갖는 합성 릴럭턴스 토크의 곡선 (Qr22) 과, 자석 토크의 곡선 (Qm2) 의 합성도, 도 14c 에 곡선 (Q2rm) 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크 리플을 저감시킨다. 그러나, 도 14c 에 곡선 (Q1rm) 으로 표시되는 토크 리플의 저감 정도는, 도 14c 에 곡선 (Q2rm) 으로 표시되는 토크 리플의 저감 정도에 비교하여 작다.
곡선 (Q1rm) 에 있어서의 토크 리플과 곡선 (Q2rm) 에 있어서의 토크 리플의 차이에 대해서, 도 18∼도 20 에 기초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곡선 (Q1rm) 에 있어서의 토크 리플과 곡선 (Q2rm) 에 있어서의 토크 리플이 다른 이유는, 이하의 2 점이다.
〈1〉릴럭턴스 토크에 있어서의 기본 차수 (18 차) 의 성분의 진폭과, 자석 토크에 있어서의 기본 차수 (18 차) 의 성분의 진폭의 차는, 곡선 (Q1rm) 쪽이 곡선 (Q2rm) 보다 작다.
〈2〉릴럭턴스 토크에 있어서의 기본 차수 (18 차) 의 성분의 위상과, 자석 토크에 있어서의 기본 차수 (18 차) 의 성분의 위상의 차는, 곡선 (Q1rm) 쪽이 곡선 (Q2rm) 보다 역위상에 가깝다.
도 18a 의 그래프에 있어서의 곡선 (Π1) 은, 실시 회전자 (15) 를 사용한 경우의 자석 토크에 있어서의 기본 차수 (18 차) 의 성분의 파형을 나타내고, 곡선 (Π2) 은 실시 회전자 (15) 를 사용한 경우의 릴럭턴스 토크에 있어서의 기본 차수 (18 차) 의 성분의 파형을 나타낸다. 곡선 (Π1) 은, 가로축 (회전 위치) 과 좌측의 세로축 (TL; 토크의 크기) 에 의해서 표시되는 좌표 상에 있고, 곡선 (Π2) 은, 가로축 (회전 위치) 과 우측의 세로축 (TR; 토크의 크기) 에 의해서 표시되는 좌표 상에 있다.
도 18b 의 그래프에 있어서의 곡선 (Ω1) 은, 제 5 비교 회전자 (25; 도 17 참조) 를 사용한 경우의 자석 토크에 있어서의 기본 차수 (18 차) 의 성분의 파형을 나타내고, 곡선 (Ω2) 은 제 5 비교 회전자 (25) 를 사용한 경우의 릴럭턴스 토크에 있어서의 기본 차수 (18 차) 의 성분의 파형을 나타낸다. 곡선 (Ω1) 은, 가로축 (회전 위치) 과 좌측의 세로축 (TL; 토크의 크기) 에 의해서 표시되는 좌표 상에 있고, 곡선 (Ω2) 은 가로축 (회전 위치) 과 우측의 세로축 (TR; 토크의 크기) 에 기초하여 나타나는 좌표 상에 있다.
상기한 〈1〉,〈2〉의 이유 (특징) 는, 실시 회전자 (15) 를 사용한 경우의 도 18a 의 곡선 (Π1, Π2) 과, 제 5 비교 회전자 (25) 를 사용한 경우의 도 18b 의 곡선 (Ω1, Ω2) 을 비교하면 분명하다.
실시 회전자 (15) 를 사용한 경우의 합성 릴럭턴스 토크의 파형 (Qr12; 도 14a 참조) 인 경우, 상기한 (1), (2) 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합성 릴럭턴스 토크의 파형 (Qr12) 과 자석 토크의 곡선 (Qm1) 을 합성하면, 기본 차 수 (18 차) 성분이 없어지고 36 차 성분이 남아, 고차수화가 현저히 이루어지고 있다.
제 5 비교 회전자 (25) 를 사용한 경우의 합성 릴럭턴스 토크의 파형 (Qr22; 도 14a 참조) 의 경우, 상기한 〈1〉,〈2〉의 특징에 의해, 합성 릴럭턴스 토크의 파형 (Qr22) 과 자석 토크의 곡선 (Qm2) 을 합성하면, 기본 차수 (18 차) 성분의 없어짐 정도가 작고, 곡선 (Q2rm) 의 토크 리플이 곡선 (Q1rm) 에 비교하여 커져 버린다.
상기한 이유 〈1〉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5 비교 회전자 (25) 를 사용한 경우에는, 에어갭 변화는 도 1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끄러운 변화가 된다. 밖으로 볼록한 원호로 극간부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릴럭턴스 토크 변동은 매끄럽고 작아지고, 파장의 기조가 되는 회전 18 차 성분은, 자석 토크 파형의 회전 기본 차수 (18 차) 의 성분 파형의 진폭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작아진다. 모서리부 (H11, H12) 를 구비한 실시 회전자 (15) 를 사용한 경우에는, 모서리부 (H11, H12) 가 존재함으로써 에어갭 (gh1) 이 도 15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이러한 에어갭 변화가 합성 릴럭턴스 토크의 18 차 성분 및 36 차 성분을 현저하게 한다.
도 19a 에 있어서의 막대 그래프는, 곡선 (Qr12) 의 푸리에 급수 전개의 결과를 나타내고, 도 19b 에 있어서의 막대 그래프는, 곡선 (Qr22) 의 푸리에 급수 전개의 결과를 나타낸다. 막대 (Bo1) 는, 곡선 (Qr12) 을 푸리에 급수 전개하여 얻어진 18 차 성분의 크기를 나타내고, 막대 (Bo2) 는 곡선 (Qr12) 을 푸리에 급수 전개하여 얻어진 36 차 성분의 크기를 나타낸다. 막대 (B51) 는, 곡선 (Qr22) 을 푸리에 급수 전개하여 얻어진 18 차 성분의 크기를 나타내고, 막대 (B52) 는, 곡선 (Qr22) 을 푸리에 급수 전개하여 얻어진 36 차 성분의 크기를 나타낸다. 도 19a 및 도 19b 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곡선 (Qr12) 에 있어서의 18 차 성분은 곡선 (Qr22) 에 있어서의 18 차 성분보다 크고, 곡선 (Qr12) 에 있어서의 36 차 성분은 곡선 (Qr22) 에 있어서의 36 차 성분보다 크다. 이 결과는, 릴럭턴스 토크에 있어서의 기본 차수 (18 차) 의 성분의 진폭이, 자석 토크에 있어서의 기본 차수 (18 차) 의 성분의 진폭과 동등해지는데 유리하게 작용한다.
다음으로, 상기한 이유 〈2〉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릴럭턴스 토크에 있어서의 18 차 성분의 파형의 위상은, 고조부 (Qro12) 의 발생 위치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d 에 있어서의 파형 (Π6) 과 도 20e 에 있어서의 파형 (Π7) 을 생각한다. 파형 (Π6) 은, 도 20a 의 정현파 (Π3) 에 도 20b 의 파형 (Π4) 을 더하여 생성한 모델 파형이고, 파형 (Π7) 은, 도 20a 의 정현파 (Π3) 에 도 20c 의 파형 (Π5) 을 더하여 생성한 생성한 모델 파형이다. 도 20d, 도 20e 에 있어서의 파형 (Π6, Π7) 은 동일한 정현파 (Π3) 에 대하여 발생 위치가 다른 고조부 (Qro) 를 갖는 파형이다.
도 20f 에 있어서의 파형 (Π8) 은, 도 20d 의 파형 (Π6) 으로부터 추출한 18 차 성분 파형이고, 도 20f 에 있어서의 파형 (Π9) 은, 도 20e 의 파형 (Π7) 으로부터 추출한 18 차 성분 파형이다. 도 20f 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18 차 성분파형 (Π8) 의 위상과 18 차 성분 파형 (Π9) 의 위상은 다르다. 즉, 고조 부 (Qro) 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18 차 성분 파형 (Π8, Π9) 의 위상을 조정할 수 있다. 즉, 모서리부 (H11, H12) 의 위치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릴럭턴스 토크의 18 차 성분을 자석 토크의 18 차 성분의 역위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서리부 (H11, H12) 를 갖지 않는 제 5 비교 회전자 (25) 에서는, 18 차 성분 및 36 차 성분을 현저히 할 수 없고, 또한, 릴럭턴스 토크의 18 차 성분의 위상을 조정할 수는 없다. 따라서, 제 5 비교 회전자 (25) 에서는, 실시 회전자 (15) 의 경우와 다르고, 현저한 고차수화는 달성할 수 없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1) 도 7a 의 그래프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 회전자 (15) 의 경우에 있어서의 토크 정수는, 외주가 반직경 일정 (=R) 의 제 1 비교 회전자 (21) 인 경우에 있어서의 토크 정수와 거의 변함이 없다. 실시 회전자 (15) 의 경우에 있어서의 토크 정수는, 제 2∼제 4 비교 회전자 (22∼24) 의 각 경우에 있어서의 토크 정수보다 크다. 즉, 제 2∼제 4 비교 회전자 (22∼24) 의 각 경우에 있어서의 토크의 저하는, 실시 회전자 (15) 의 경우보다 크고, 특히 제 3∼제 4 비교 회전자 (23∼24) 의 각 경우에 있어서의 토크의 저하가 현저하다.
도 7b 의 그래프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 회전자 (15) 의 경우에 있어서의 토크 리플은, 외주가 반직경 일정 (=R) 의 제 1 비교 회전자 (21) 인 경우에 있어서의 토크 리플에 비교하여 크게 저하되어 있다. 제 2∼제 4 비교 회전자 (22∼24) 의 각 경우에 있어서의 토크 리플도, 제 1 비교 회전자 (21) 의 경우에 있어서의 토크 리플에 비교하여 작지만, 실시 회전자 (15) 의 경우에 있어서의 토 크 리플은, 제 2∼제 3 비교 회전자 (22∼23) 의 각 경우에 있어서의 토크 리플과 비교해도 작다. 제 4 비교 회전자 (24) 에 있어서의 토크 리플은, 실시 회전자 (15) 의 경우에 있어서의 토크 리플과 동일한 정도의 크기이지만, 도 7a 의 그래프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제 4 비교 회전자 (24) 의 경우에 있어서의 토크는, 실시 회전자 (15) 의 경우에 비교하여 크게 떨어진다.
도 7a 및 도 7b 에 나타내는 FEM 해석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 회전자 (15) 는, 토크의 크기 및 토크 리플의 억제에 관해서, 다른 제 1∼제 4 비교 회전자 (21∼24) 보다 우수하다. 고정자 (11) 의 티스 (121) 와 실시 회전자 (15) 의 외주 사이의 공극을 원주부 (19A, 19B) 의 전체에 걸쳐 최소가 되는 구성은, 토크의 저하의 회피에 기여한다. 실시 회전자 (15) 의 외주면에서의 자속 변동을 매끄럽게 하는 볼록 형상부 (20) 는, 토크 리플의 억제에 기여함과 함께, 토크의 저하의 회피에도 기여한다. 즉, 토크의 크기 및 토크 리플의 억제에 관해서, 실시 회전자 (15) 가 다른 제 1∼제 4 비교 회전자 (21∼24) 보다 우수하다는 결과는, 떨어져 인접하는 원주부 (19A, 19B) 를 볼록 형상부 (20) 에 의해서 잇는다는 구성에 의해서 발생된다.
(2) 볼록 형상부 (20) 는, 3 개의 직선 (H1, H2, H3) 을 연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7b 의 FEM 해석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모서리부 (H11, H12) 가 형성되도록 3 개의 직선 (H1, H2, H3) 을 연결하여 형성된 볼록 형상부 (20) 는 토크 리플의 억제에 바람직하다.
(3) 도 14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서리부 (H11, H12) 를 갖는 볼록 형상 부 (20) 를 구비한 실시 회전자 (15) 와, 원호 형상의 볼록 형상부 (26) 를 구비한 제 5 비교 회전자 (25) 는, 모두 자석 토크와 합성 릴럭턴스 토크의 합성에 의해서, 출력 토크의 파형의 고차수화를 초래하고 있다. 그러나, 출력 토크의 고차수화에 의한 토크 리플의 저감 효과는, 모서리부 (H11, H12) 를 갖는 볼록 형상부 (20) 를 구비한 실시 회전자 (15) 쪽이 원호 형상의 볼록 형상부 (26) 를 구비한 제 5 비교 회전자 (25) 보다 높다.
즉, 출력 토크를 푸리에 급수 전개한 경우, 도 12a 및 도 12b 의 그래프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3 개의 직선 (H1, H2, H3) 을 연결하여 형성된 볼록 형상부 (20) 를 갖는 실시 회전자 (15) 의 출력 토크의 기본 차수 성분에 있어서의 토크 리플은, 원호 형상의 볼록 형상부 (26) 를 갖는 제 5 비교 회전자 (25) 의 그것보다 작다. 즉, 한 쌍의 모서리부 (H11, H12) 를 갖는 볼록 형상부 (20) 는, 실시 회전자 (15) 의 외주면에서의 자속 변동을 매끄러운 모양으로 하는 것에 기여하여, 토크 리플이 억제된다.
(4) 3 개의 직선 (H1, H2, H3) 중 양측의 직선 (H2, H3) 의 길이는, 연장선 (H21, H31; 도 6 에 도시) 보다 길다. 이러한 구성이, 도 15a 에 곡선 (Gh1) 으로 나타내는 에어갭 (gh1) 의 변화를 가져온다. 직선 (H2, H3) 을 연장선 (H21, H31) 보다 길게 한 구성은, 출력 토크의 기본 차수 성분의 토크 리플을 저감하도록 출력 토크를 고차수화하는 데에 있어서 유리하다.
(5) 브리지간 각도 (Θb) 를 0<Θb≤10°의 범위로 설정하는 구성에서는, 보조 자극이 없는 상태가 되고, 토크 리플률비 (Rx/Ri) 가 1 이하가 된다. 따 라서, 토크 리플 (출력 토크의 변동폭의 크기) 을 출력 토크의 평균치로 나눈 값 (토크 리플률) 이 작아진다. 즉, 브리지간 각도 (Θb) 를 0<Θb≤10°의 범위로 설정하는 구성은, 보조 자극이 없는 상태를 초래하여 토크 리플 (출력 토크의 변동폭의 크기) 을 억제하는 데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6) 도 7a 및 도 7b 의 해석 결과는 원주부 (19A, 19B) 가 둘레 방향에 등피치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하여 얻어지고 있다. 즉, 복수의 원주부 (19A, 19B) 를 등피치로 배치한 구성은, 토크의 저하 방지 및 토크 리플을 억제하는데 바람직한 구성이다.
(7) 티스 (121) 와 실시 회전자 (15) 의 외주 사이의 최대의 공극은, 인접하는 한 쌍의 영구 자석 (17A, 17B) 사이에 위치하는 자극 전환부 (164) 에 대응하는 공극 (G) 이다. 자극 교체부 (164) 에 대응하는 공극 (G) 을 가장 크게 한 구성은, 급격한 자속 밀도 변동을 완화하여 토크 리플의 억제에 기여한다.
(8) 고정자 (11) 의 권선 방식을 3상의 파권으로 한 구성은, 진동 억제에 유리하다.
(9) 브리지간 각도 (Θb)=5.2°는 토크 리플률의 저감 효과를 충분히 끌어 내고, 또한 자극간의 강도를 확보하는 데에 있어서 가장 적합하다.
다음으로, 토크 리플률비 (Rx/Ri) 가 1 이하가 되는 각도폭 (A) 및 각도폭 (θc) 의 범위에 대해서 도 22a∼도 24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4 의 그래프는, 실시 회전자 (15) 를 사용하여 각도폭 (θc) 을 변화시킨 경우의 토크 리플률비 (Rx/Ri) 의 변화의 FEM 해석예를 나타낸다. 도 24 의 그래프의 가로축은 각도폭 (θc) 의 값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토크 리플률비 (Rx/Ri) 의 값을 나타낸다. 그래프 중의 흑점은, FEM 해석에 의해서 얻어진 실데이터이다.
도 24 의 그래프에 있어서의 실데이터 Γ1(1) 및 실데이터군 Γ1(2), Γ1(3), Γ1(4), Γ1(6), Γ1(10), Γ1(13) 은
ㆍ이 순서대로 각도폭 A=14°, 16°, 18°, 20°, 24°, 28°, 32°로 한 조건,
ㆍ상기 공통적인 해석 조건, 및
ㆍ반직경 (R) 에 대한 깊이 (Dh)=0.7mm 의 비율 Dh/R=0.028〔=0.7/R=0.7mm/25.5mm〕로 한 조건
의 기초로 얻어진 데이터이다.
도 23a 의 그래프는, 도 24 의 그래프에 기초하여 각도폭 (A) 및 각도폭 (θc) 의 적정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서 준비된 설명도이다. 도 23a 에 있어서의 가로축은 각도폭 (A) 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각도폭 (θc) 을 나타낸다. 도 23a 에 흑점으로 나타내는 실데이터군은, 실데이터 Γ1(1) 및 실데이터군 Γ1(2), Γ1(3), Γ1(4), Γ1(6), Γ1(10), Γ1(13) 중, 토크 리플률비 (Rx/Ri) 가 1 이하가 되는 실데이터만을 나타내고 있다. 직선 (J4) 은, 반직경 (R) 에 대한 깊이 (Dh)의 비율로서의 Dh/R=0.028〔=0.7/R〕과 직선 (H; 평면 (H)) 에 의해서 특정되는 각도폭 (A) 의 최대치 Amax (4) 를 나타낸다. 최대치 Amax (4) 는, 이것보다 작은 각도폭 (A) 과, 비율 Dh/R=0.028〔=0.7/R〕에 의해 볼록 형상부 (20) 를 형성할 수 있지만, 이 이상의 크기의 각도폭 (A) 과, 비율 Dh/R=0.028〔=0.7/R〕에 의해서는, 볼록 형상부 (20) 를 형성할 수 없다는 각도폭 (A) 의 상한을 나타낸다.
직선 (α) 은, 각도폭 (A) 에 의해서 특정되는 각도폭 (θc) 의 상한을 나타낸다. 즉, 직선 (α) 은, 직선 (α) 을 포함하는 상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각도폭 (θc) 에 의해서는 볼록 형상부 (20) 를 형성할 수 없다는 각도폭 (θc) 의 상한을 나타낸다. 이하, 직선 (α) 을 상한선 (α) 으로 기재한다. 상한선 (α) 은 다음 식 (3) 에 의해서 표시된다.
θc=(60-A)°/2 ㆍㆍㆍ (3)
도 22a∼도 22c 및 도 23b∼도 23c 의 그래프는, 각도폭 (θc) 을 변화시킨 경우의 토크 리플률비 (Rx/Ri) 의 변화를 FEM 해석에 의해서 구한 데이터 (도 24 의 그래프에 상당하는 데이터이고, 도시는 생략하지만 확인되어 있는 데이터) 에 기초하여 각도폭 (A) 및 각도폭 (θc) 의 적정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서 준비된 설명도이다. 도 22a 의 그래프는, 깊이 (Dh)=0.1mm 인 경우에 대응하고, 도 22b 의 그래프는, 깊이 (Dh)=0.3mm 인 경우에 대응한다. 도 22c 의 그래프는, 깊이 (Dh)=0.5mm 인 경우에 대응한다. 도 23b 의 그래프는, 깊이 (Dh)=1.0mm 인 경우에 대응하고, 도 23c 의 그래프는 깊이 (Dh)=1.2mm 인 경우에 대응한다. 반직경 (R) 은, 모두 25.5mm 이다.
도 22a 에 있어서의 직선 (J1) 은, 반직경 (R) 에 대한 깊이 (Dh) 의 비율 Dh/R=0.004〔=0.1/R〕와 직선 (H; 평면 (H)) 에 의해서 특정되는 각도폭 (A) 의 최대치 Amax (1) 를 나타낸다. 도 22b 에 있어서의 직선 (J2) 은, 반직경 (R) 에 대한 깊이 (Dh)의 비율 Dh/R=0.012〔=0.3/R〕와 직선 (H; 평면 (H)) 에 의해서 특정되는 각도폭 (A) 의 최대치 Amax (2) 를 나타낸다. 도 22c 에 있어서의 직선 (J3) 은 반직경 (R) 에 대한 깊이 (Dh)의 비율 Dh/R=0.02〔=0.5/R〕과 직선 (H; 평면 (H)) 에 의해서 특정되는 각도폭 (A) 의 최대치 Amax (3) 를 나타낸다.
도 22a 에 있어서의 최대치 Amax (1) 는, 이것보다 작은 각도폭 (A) 과, 비율 Dh/R=0.004〔=0.1/R〕에 의해서 볼록 형상부 (20) 를 형성할 수 있지만, 이 이상의 크기의 각도폭 (A) 과, 비율 Dh/R=0.004〔=0.1/R〕 에 의해서는 볼록 형상부 (20) 를 형성할 수 없다는 각도폭 (A) 의 상한을 나타낸다. 도 22b 에서의 최대치 Amax (2) 는, 이것보다 작은 각도폭 (A) 과, 비율 Dh/R=0.006〔=0.3/R〕에 의해서 볼록 형상부 (20) 를 형성할 수 있지만, 이 이상의 크기의 각도폭 (A) 와, 비율 Dh/R=0.012〔=0.3/R〕에 의해서는 볼록 형상부 (20) 를 형성할 수 없다는 각도폭 (A) 의 상한을 나타낸다. 도 22c 에 있어서의 최대치 Amax (3) 는, 이것보다 작은 각도폭 (A) 과, 비율 Dh/R=0.02〔=0.5/R〕에 의해서 볼록 형상부 (20) 를 형성할 수 있지만, 이 이상의 크기의 각도폭 (A) 과, 비율 Dh/R=0.02〔=0.5/R〕 에 의해서는 볼록 형상부 (20) 를 형성할 수 없다는 각도폭 (A) 의 상한을 나타낸다.
도 23a 에 있어서의 최대치 Amax (4) 는 이것보다 작은 각도폭 (A) 과, 비율 Dh/R=0.028〔=0.7/R〕에 의해서 볼록 형상부 (20) 를 형성할 수 있지만, 이 이 상의 크기의 각도폭 (A) 과, 비율 Dh/R=0.028〔=0.7/R〕에 의해서는 볼록 형상부 (20) 를 형성할 수 없다는 각도폭 (A) 의 상한을 나타낸다. 도 23b 에 있어서의 최대치 Amax (5) 는, 이것보다 작은 각도폭 (A) 과, 비율 Dh/R=0.039〔=1/R〕에 의해서 볼록 형상부 (20) 를 형성할 수 있지만, 이 이상의 크기의 각도폭 (A) 과, 비율 Dh/R=0.039〔=1/R〕에 의해서는 볼록 형상부 (20) 를 형성할 수 없다는 각도폭 (A) 의 상한을 나타낸다. 도 23c 에 있어서의 최대치 Amax (6) 는, 이것보다 작은 각도폭 (A) 과, 비율 Dh/R=0.047〔=1.2/R〕에 의해서 볼록 형상부 (20) 를 형성할 수 있지만, 이 이상의 크기의 각도폭 (A) 과, 비율 Dh/R=0.047〔=1.2/R〕에 의해서는 볼록 형상부 (20) 를 형성할 수 없다는 각도폭 (A) 의 상한을 나타낸다.
최대치 Amax (1), Amax (2), Amax (3), Amax (4), Amax (5), Amax (6) 를 최대치 Amax 라고 총칭하면, 최대치 Amax 는, 다음 식 (4) 으로 표시된다.
Amax=〔60-2×arccos (1-Dh/R)〕° ㆍㆍㆍ (4)
최대치 Amax 는, 비율 Dh/R=0.004〔=0.1/R〕일 때에 최대치 Amax (1) 를 나타내고, 비율 Dh/R=0.012〔=0.3/R〕일 때에 최대치 Amax (2) 를 나타낸다. 최대치 Amax 는, 비율 Dh/R=0.02〔=0.5/R〕일 때에 최대치 Amax (3) 를 나타내고, 비율 Dh/R=0.028〔=0.7/R〕일 때에 최대치 Amax (4) 를 나타낸다. 최대치 Amax 는, 비율 Dh/R=0.039〔=1/R〕일 때에 최대치 Amax (5) 를 나타내고, 비율 Dh/R=0.047〔=1.2/R〕일 때에 최대치 Amax (6) 를 나타낸다.
도 22a 에 있어서의 직선 (β1) 은, 반직경 (R) 에 대한 깊이 (Dh)의 비율 Dh/R=0.004〔=0.1/R〕과 각도폭 (A) 에 의해서 특정되는 각도폭 (θc) 의 하한을 나타낸다. 즉, 직선 (β1) 은, 직선 (β1) 을 포함하는 하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각도폭 (θc) 에 의해서는 볼록 형상부 (20) 를 형성할 수 없다는 각도폭 (θc) 의 하한을 나타낸다. 도 22a 에 나타내는 직선 (ξ1) 은, 직선 (β1) 보다 상측에 있다.
도 22b 에 있어서의 직선 (β2) 은, 반직경 (R) 에 대한 깊이 (Dh)의 비율 Dh/R=0.0126〔=0.3/R〕과 각도폭 (A) 에 의해서 특정되는 각도폭 (θc) 의 하한을 나타낸다. 즉, 직선 (β2) 은, 직선 (β2) 을 포함하는 하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각도폭 (θc) 에 의해서는 볼록 형상부 (20) 을 형성할 수 없다는 각도폭 (θc) 의 하한을 나타낸다. 도 22b 에 나타내는 직선 (ξ3) 은, 직선 (β3) 보다 상측에 있다.
도 22c 에 있어서의 직선 (β3) 은, 반직경 (R) 에 대한 깊이 (Dh)의 비율 Dh/R=0.02〔=0.5/R〕과 각도폭 (A) 에 의해서 특정되는 각도폭 (θC) 의 하한을 나타낸다. 즉, 직선 (β3) 은 직선 (β3) 을 포함하는 하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각도폭 (θc) 에 의해서는 볼록 형상부 (20) 를 형성할 수 없다는 각도폭 (θc) 의 하한을 나타낸다. 도 22c 에 나타내는 직선 (ξ3) 은, 직선 (β3) 보다 상측에 있다.
도 23a 에 있어서의 직선 (β4) 은, 반직경 (R) 에 대한 깊이 (Dh)의 비율 Dh/R=0.028〔=0.7/R〕과 각도폭 (A) 에 의해서 특정되는 각도폭 (θc) 의 하한을 나타낸다. 즉, 직선 (β4) 은 직선 (β4) 을 포함하는 하측의 영역에 있어 서의 각도폭 (θc) 에 의해서는 볼록 형상부 (20) 를 형성할 수 없다는 각도폭 (θc) 의 하한을 나타낸다. 도 23a 에 나타내는 직선 (ξ4) 은, 직선 (β4) 보다 상측에 있다.
도 23b 에 있어서의 직선 (β5) 은, 반직경 (R) 에 대한 깊이 (Dh)의 비율 Dh/R=0.039〔=1/R〕과 각도폭 (A) 에 의해서 특정되는 각도폭 (θC) 의 하한을 나타낸다. 즉, 직선 (β5) 은, 직선 (β5) 을 포함하는 하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각도폭 (θc) 에 의해서는 볼록 형상부 (20) 를 형성할 수 없다는 각도폭 (θc) 의 하한을 나타낸다. 도 23b 에 나타내는 직선 (ξ5) 은, 직선 (β5) 보다 하측에 있다.
도 23c 에 있어서의 직선 (β6) 은, 반직경 (R) 에 대한 깊이 (Dh)의 비율 Dh/R=0.047〔=1.2/R〕과 각도폭 (A) 에 의해서 특정되는 각도폭 (θc) 의 하한을 나타낸다. 즉, 직선 (β6) 은, 직선 (β6) 을 포함하는 하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각도폭 (θc) 에 의해서는 볼록 형상부 (20) 를 형성할 수 없다는 각도폭 (θc) 의 하한을 나타낸다. 도 23c 에 나타내는 직선부 (ξ6) 는, 직선 (β6) 보다 하측에 있다.
이하, 직선 (β1, β2, β3, β4, β5, β6) 을 하한선 (β1, β2, β3, β4, β5, β6) 으로 기재한다. 하한선 (β1, β2, β3, β4, β5, β6) 은, 이하의 식 (5) 에 의해서 표시된다.
θc=〔60-A-2×arccos(1-Dh/R)〕°/2 ㆍㆍㆍ (5)
arccos (1-Dh/R) 는, (1-Dh/R) 이라는 값을 가져오는 cosσ 에 있어서의 각도 σ 를 나타낸다. 식 (5) 는, 비율 Dh/R=0.004〔=0.1/R〕일 때에 하한선 (β1) 을 나타내고, 비율 Dh/R=0.012〔=0.3/R〕일 때에 하한선 (β2) 을 나타내고, 비율 Dh/R=0.02〔=0.5/R〕일 때에 하한선 (β3) 을 나타낸다. 식 (5) 는, 비율 Dh/R=0.028〔=0.7/R〕일 때에 하한선 (β4) 을 나타내고, 비율 Dh/R=0.039〔=1/R〕일 때에 하한선 (β5) 을 나타내고, 비율 Dh/R=0.047〔=1.2/R〕일 때에 하한선 (β6) 을 나타낸다.
직선 (ξ1, ξ2, ξ3, ξ4, ξ5, ξ6) 은, 이하의 식 (6) 에 의해서 표시된다.
θc=〔-0.5×A+(-14.1×Dh+26.7)〕°ㆍㆍㆍ (6)
식 (6) 은, 비율 Dh/R=0.004〔=0.1/R〕일 때에 직선 (ξ1) 을 나타내고, 비율 Dh/R=0.012〔=0.3/R〕일 때에 직선 (ξ2) 을 나타내고, 비율 Dh/R=0.02〔=0.5/R〕일 때에 직선 (ξ3) 을 나타낸다. 식 (6) 은, 비율 Dh/R=0.028〔=0.7/R〕일 때에 직선 (ξ4) 을 나타내고, 비율 Dh/R=0.039〔=1/R〕일 때에 직선 (ξ5) 을 나타내고, 비율 Dh/R=0.047〔=1.2/R〕일 때에 직선 (ξ6) 을 나타낸다.
도 22a 에서는, 사선 영역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율 Dh/R=0.004〔=0.1/R〕인 경우에 있어서의 각도폭 (A) 을, 직선 (δo) 과 직선 (ε1) 사이 (직선 (δo) 보다 우측, 그리고 직선 (ε1) 보다 좌측의 영역) 으로 제한하고, 그리고 각도폭 (θc) 을, 상한선 (α) 과 하한선 (β1) 사이 (상한선 (α) 보다 하측, 그리고 하한선 (β1) 보다 상측의 영역) 으로 제한하면, 토크 리플률비 (Rx/Ri) 는, 1 이하가 된다.
도 22b 에서는, 사선 영역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율 Dh/R=0.012〔=0.3/R〕의 경우에 있어서의 각도폭 (A) 을, 직선 (δo) 과 직선 (ε2) 사이 (직선 (δo) 보다 우측, 또한 직선 (ε2) 보다 좌측의 영역) 으로 제한하고, 또한 각도폭 (θc) 을, 상한선 (α) 과 하한선 (β2) 사이 (상한선 (α) 보다 하측, 그리고 하한선 (β2) 보다 상측의 영역) 으로 제한하면, 토크 리플률비 (Rx/Ri) 는, 1 이하가 된다.
도 22c 에서는, 사선 영역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율 Dh/R=0.02〔=0.5/R〕의 경우에 있어서의 각도폭 (A) 을, 직선 (δo) 과 직선 (ε3) 사이 (직선 (δo) 보다 우측, 그리고 직선 (ε3) 보다 좌측의 영역) 으로 제한하고, 또한 각도폭 (θc) 을, 상한선 (α) 과 하한선 (β3) 사이 (상한선 (α) 보다 하측, 그리고 하한선 (β3) 보다 상측의 영역) 으로 제한하면, 토크 리플률비 (Rx/Ri) 는 1 이하가 된다.
직선 (z1) 이 있는 도 23a 에서는, 사선 영역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율 Dh/R=0.028〔=0.7/R〕인 경우에 있어서의 각도폭 (A) 을, 직선 (δo) 과 직선 (ε4) 사이 (직선 (δo) 보다 우측, 그리고 직선 (ε4) 보다 좌측의 영역) 으로 제한하고, 또한 각도폭 (θc) 을 상한선 (α) 과 하한선 (β4) 사이 (상한선 (α) 보다 하측, 또한 하한선 (β4) 보다 상측의 영역) 으로 제한하면, 토크 리플률비 (Rx/Ri) 는 1 이하가 된다. 직선 (zo) 은 다음 식 (7-1) 로 표시되고, 직선 (δo) 은 다음 식 (7-2) 로 표시된다.
θc=10°ㆍㆍㆍ(7-1)
θc=(2.5×A-30)°ㆍㆍㆍ(7-2)
직선 (zo, z1) 이 있는 도 23b 에서는, 사선 영역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율 Dh/R=0.039〔=1/R〕인 경우에 있어서의 각도폭 (A) 을, 직선 (δo) 과 직선 (J5) 사이 (직선 (δo) 보다 우측, 그리고 직선 (J5) 보다 좌측의 영역) 으로 제한하고, 또한 각도폭 (θc) 을, 상한선 (α) 과 단선 (ξ5) 을 포함하는 상측의 영역) 으로 제한하면, 토크 리플률비 (Rx/Ri) 는 1 이하가 된다. 직선 (z1) 은, 다음 식 (8) 로 표시된다.
θc=(-0.5×A+16)°ㆍㆍㆍ(8)
직선 (zo, z1) 이 있는 도 23c 에서는, 사선 영역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율 Dh/R=0.047〔=1.2/R〕인 경우에 있어서의 각도폭 (A) 을, 직선 (δo) 과 직선 (J6) 사이 직선 (δo) 보다 우측, 그리고 직선 (J6) 보다 좌측의 영역) 으로 제한하고, 또한 각도폭 (θc) 을 상한선 (α) 과 직선 (ξ6) 사이 (상한선 (α) 보다 하측, 그리고 직선 (ξ6) 을 포함하는 상측의 영역) 으로 제한하면, 토크 리플률비 (Rx/Ri) 는 1 이하가 된다.
도 22a∼도 22c 및 도 23a 에서는, 직선 (ε1, ε2, ε3, ε4) 로 표시되는 각도 A(ε1), A(ε2), A(ε3), A(ε4) 를 각도 A(ε) 로서 총칭하면, 각도 A(ε) 는, 다음 식 (9) 로 표시된다.
A(ε)=〔60-2×arccos (1-Dh/R) -(-18.9×Dh+12.7)〕°
=〔Amax-(-18.9×Dh+12.7)〕°ㆍㆍㆍ(9)
각도 A(ε) 는, 비율 Dh/R=0.004〔=0.1/R〕일 때에 각도 A(ε1) 를 나타내고, 비율 Dh/R=0.012〔=0.3/R〕일 때에 각도 A(ε2) 를 나타내고, 비율 Dh/R=0.02〔=0.5/R〕일 때에 각도 A(ε3) 를 나타내고, 비율 Dh/R=0.028〔=0.7/R〕일 때에 각도 A(ε4) 를 나타낸다.
각도 A(ε) 가 각도 A(ε4) 를 나타내는 경우, (-18.9×Dh+12.7) 가 음의 값이 되고, Amax-(-18.9×Dh+12.7) 의 값이 Amax 보다 커진다. 그래서, Amax-(-18.9×Dh+12.7) 의 값이 Amax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각도폭 (A) 은, Amax 미만으로 한다. 즉, Amax-(-18.9×Dh+12.7) 의 값이 Amax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식 (9) 는, 다음 식 (9-1) 로 치환된다.
A(ε)=Amax ㆍㆍㆍ (9-1)
즉, 각도폭 (A) 이 다음 식 (10) 을 만족하고, 또한 각도폭 (θc) 이 다음 식 (11) 을 만족시키면, 토크 리플률비 (Rx/Ri) 가 1 이하가 된다.
A≤〔60-2×arccos (1-Dh/R)-(-18.9×Dh+12.7)〕°
=〔Amax-(-18.9×Dh+12.7)〕°
또한,
A<〔60-2×arccos(1-Dh/R)〕°=Amax ㆍㆍㆍ (10)
〔60-A-2×arccos(1-Dh/R)〕°/2
=(Amax-A)°/2<θc<(60-A)°/2ㆍㆍㆍ(11)
이상의 식 (3)∼(6), (7-1), (7-2), (8), (9), (9-1), (10), (11) 로부터 종합하면, 하기의 조건 (1-0) 으로 표시되는 범위로 각도폭 (A) 을 설정함과 함께, 하기의 조건 (2-0) 으로 표시되는 범위로 각도폭 (θc) 을 설정하면, 토크 리플률비 (Rx/Ri) 를 1 이하로 할 수 있다.
조건 (1-0) :
A≤〔60-2×arccos(1-Dh/R)-(-18.9×Dh+12.7)〕°
또한,
A<〔60-2×arccos(1-Dh/R)〕°
조건 (2-0) :
각도폭 (A) 이 상기 (1-0) 식으로 표시되는 범위 내에 있어서,
하기 식 (i)∼(iii) 중 하나가 만족되고, (iv)∼(vi) 의 전부가 만족된다.
θc≤10°ㆍㆍㆍ (i)
θc≤(-0.5×A+16)°ㆍㆍㆍ(ii)
θc≤(2.5×A-30)°ㆍㆍㆍ(iii)
〔60-A-2×arccos(1-Dh/R)〕°/2<θc ㆍㆍㆍ(iv)
〔-0.5×A+(-14.1×Dh+26.7)〕°≤θcㆍㆍㆍ(v)
θc<(60-A)°/2ㆍㆍㆍ(vi)
조건 (1-0), (2-0) 은, R=25.5mm 및 극수 p=6 의 경우에 대응하는 것이지만, 반직경 (R) 이 25.5mm 가 아닌 경우, 또는 극수 (p) 가 6 이 아닌 경우에도, Dhr=Dh×25.5/R 로 함으로써, 조건 (1-0), (2-0) 을 다음 조건 (1), (2), (ex1), (ex2) 로 확장할 수 있다.
조건 (1) :
Ao≤〔60-2×arccos(1-Dhr/25.5)-(-18.9×Dhr+12.7)〕°
또한,
Ao<〔60-2×arccos(1-Dhr/25.5)〕°
조건 (2) :
각도폭 (A) 이 상기 (1) 식으로 표시되는 범위 내에 있어서,
하기 (i)∼(iii) 중 하나가 만족되고, (iv)∼(vi) 의 전부가 만족된다.
θco≤10°ㆍㆍㆍ(i)
θco≤(-0.5×Ao+16)°ㆍㆍㆍ(ii)
θco≤(2.5×Ao-30)°ㆍㆍㆍ(iii)
〔60-Ao-2×arccos(1-Dhr/25.5)〕°/2<θcoㆍㆍㆍ(iv)
〔-0.5×Ao+(-14.1×Dhr+26.7)〕°≤θcoㆍㆍㆍ(v)
θco<(60-Ao)°/2ㆍㆍㆍ(vi)
(ex1) : A=Ao×6/p
(ex2) : θc=θco×6/p
식 (ex1), (ex2) 은, p≠6 인 경우에는, 조건 (1), (2) 로 설정되는 각도폭 (Ao, θco) 의 범위에 대하여, 각도폭 (A) 및 각도폭 (θc) 로 설정하기 위한 환산식이다. 즉, p=6 이외의 경우, 조건 (1), (2) 에 있어서의 Ao, θco 는, 식 (ex1), (ex2) 에 의해서, A×p/6, θc×p/6 로 바뀐다. 즉, 식 (ex1), (ex2) 의 환산을 하고, A, θC 를 설정 각도폭으로서 사용한다.
다음으로, 도 22a ~ 도 24 의 범위에 있어서, 기본 차수 (18 차) 성분이 제 1 비교 회전자 (21) 의 경우에 비교하여 0.7 배 이하가 되는 각도폭 (A) 및 각도폭 (θc) 의 범위에 대해서, 도 25∼도 27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6, 27 에 있어서, 도 22, 23 의 경우와 동일한 직선에는 동일 부호가 사용된다.
도 25 의 그래프는, 실시 회전자 (15) 를 사용하여 각도폭 (θc) 을 변화시킨 경우의 토크 리플률비 (Rx/Ri) 의 변화의 FEM 해석예를 도시한다. 그래프 중의 흑점은, FEM 해석에 의해서 얻어진 실데이터이다.
도 25 의 그래프에 있어서의 실데이터 Γ2(2) 및 실데이터군 Γ2(3), Γ2(4), Γ2(5), Γ2(6), Γ2(10), Γ2(12), Γ2(13) 은,
ㆍ이 순서대로 각도폭 (A)= 16°, 18°, 20°, 22°, 24°, 28°, 30°, 32°로 한 조건,
ㆍ상기 공통의 해석 조건, 및
ㆍ반직경(R) 에 대한 깊이 (Dh)=0.7mm 의 비율 Dh/R=0.028〔=0.7/R=0.7mm/25.5mm〕로 한 조건
하에 얻어진 데이터이다.
도 27a 의 그래프는, 도 25 의 그래프에 기초하여 각도폭 (A) 및 각도폭 (θc) 의 적정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서 준비된 설명도이다. 도 27a 에 흑점으로 나타내는 실데이터군은, 실데이터 Γ2(2) 및 실데이터군 Γ2(3), Γ2(4), Γ2(5), Γ2(6), Γ2(10), Γ2(12), Γ2(13) 중, 기본 차수 (18 차) 성분이 제 1 비교 회전자 (21) 의 경우에 비교하여 0.7 배 이하가 되는 실데이터만을 나타내고 있다. 직선 (x4, y4, z2) 은 기본 차수 (18 차) 성분을 제 1 비교 회전자 (21) 의 경우에 비교하여 0.7 배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서 설정된 직선이다.
도 26a∼도 26c, 도 27b 및 도 27c 의 그래프는, 각도폭 (θc) 을 변화시킨 경우의 토크 리플률비 (Rx/Ri) 의 변화를 FEM 해석에 의해서 구한 데이터 (도 25 의 그래프에 상당하는 데이터로서, 도시는 하지 않지만, 확인되어 있는 데이터) 에 기초하여 각도폭 (A) 및 각도폭 (θc) 의 적정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서 준비된 설명도이다. 도 26a 의 그래프는, 깊이 (Dh)=0.1mm 인 경우에 대응하고, 도 26b 의 그래프는, 깊이 (Dh)=0.3mm 인 경우에 대응한다. 도 26c 의 그래프는, 깊이 (Dh)=0.5mm 인 경우에 대응한다. 도 27b 의 그래프는, 깊이 (Dh)=1.0mm 인 경우에 대응하고, 도 27c 의 그래프는 깊이 (Dh)=1.2mm 인 경우에 대응한다. 반직경 (R) 은 모두 25.5mm 가다.
도 26a 에 나타내는 직선 (x1, y1), 도 26b 에 나타내는 직선 (x1, y2), 도 26c 에 나타내는 직선 (x1, y3), 도 27b 에 나타내는 직선 (x5, y5), 및 도 27c 에 나타내는 직선 (y6) 은, 기본 차수 (18 차) 성분을 제 1 비교 회전자 (21) 의 경우에 비교하여 0.7 배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 설정된 직선이다. 도 26a∼도 26c 및 도 27a∼도 27c 에 있어서의 사선 영역은, 기본 차수 (18 차) 성분이 제 1 비교 회전자 (21) 의 경우에 비교하여 0.7 배 이하가 되는 영역이다.
직선 (x1) 은, 다음 식 (12) 에 의해서 표시된다.
A=22°(Dh≤0.5 인 경우) ㆍㆍㆍ(12)
직선 (x4) 은, 다음 식 (13) 에 의해서 표시된다.
A=(-21.4×Dh+32.8)°(0.5<Dh≤0.8 인 경우)ㆍㆍㆍ(13)
직선 (x5) 은, 다음 식 (14) 에 의해서 표시된다.
A=(-38.75×Dh+46.5)°(0.8<Dh 인 경우) ㆍㆍㆍ(14)
직선 (y1, y2, y3, y4) 은, 다음 식 (15) 에 의해서 표시된다.
A=(-10×Dh+37)°(Dh≤0.8 인 경우) ㆍㆍㆍ(15)
직선 (y5, y6) 은, 다음 식 (16) 에 의해서 표시된다.
A=(-27.5×Dh+51)°(0.8<Dh 인 경우) ㆍㆍㆍ(16)
직선 (z2, z3, z4) 은 다음 식 (17) 으로 표시된다.
θc=〔(-2.5×Dh+2.5)×(A-16)+ 10〕°ㆍㆍㆍ(17)
이상의 식 (12)∼(17) 로부터 종합하면, 하기의 조건 (1-1-0) 으로 표시되는 범위로 각도폭 (A) 을 설정함과 함께, 하기의 조건 (2-1-0) 으로 표시되는 범위로 각도폭 (θc) 을 설정하면, 기본 차수 (18 차) 성분을 제 1 비교 회전자 (21) 의 경우에 비교하여 0.7 배 이하로 할 수 있다.
조건 (1-1-0) :
Dh≤1.2mm 의 범위에 있어서,
22°≤A≤(-10×Dh+37)°(Dh≤0.5 인 경우)
(-21.4×Dh+32.8)°≤A≤(-10×Dh+37)°(0.5<Dh≤0.8 인 경우)
(-38.75×Dh+46.5)°≤A≤(-27.5×Dh+51)°(0.8<Dh 인 경우)
조건 (2-1-0) :
상기 조건 (2-0) 을 만족하고, 또한, 하기 식 (vii) 를 만족한다.
θc≤〔(-2.5×Dh+2.5)×(A-16)+10〕°ㆍㆍㆍ(vii)
조건 (1-1-0), (2-1-0) 은, R=25.5mm 및 극수 p=6 인 경우에 대응하는 것이지만, 반직경 (R) 이 25.5mm 가 아닌 경우, 또는 극수 (p) 가 6 이 아닌 경우에도, Dhr=Dh×25.5/R 로 함으로써, 조건 (1-1-0), (2-1-0) 을 다음 조건 (1-1), (2-1), (ex1), (ex2) 로 확장할 수 있다.
조건 (1-1) :
Dhr≤1.2mm 인 범위에 있어서,
22°≤Ao≤〔-10×Dhr+37〕°(Dhr≤0.5 인 경우)
(-21.4×Dhr+32.8)°≤Ao≤(-10×Dhr+37)°(0.5<Dhr≤0.8 인 경우)
(-38.75×Dhr+46.5)°≤Ao≤(-27.5×Dhr+51)°(0.8<Dhr 인 경우)
조건 (2-1) :
상기 (2) 식을 만족하고, 또한, 하기 식 (vii) 를 만족한다.
θco≤〔(-2.5×Dhr+2.5)×(Ao-16°)+10〕°ㆍㆍㆍ(vii)
식 (ex1), (ex2) 는, p≠6 인 경우에는, 조건 (1-1), (2-1) 로 설정되는 각도폭 (Ao, θco) 의 범위에 대하여, 각도폭 (A) 및 각도폭 (θc) 로 설정하기 위한 환산식이다. 즉, p=6 이외의 경우, 조건 (1-1), (2-1) 에 있어서의 Ao, θco 는, 식 (ex1), (ex2) 에 의해서, A×p/6, θc×p/6 로 바뀐다. 즉, 식 (ex1), (ex2) 의 환산을 하고, A, θc 를 설정 각도폭으로서 사용한다.
다음으로, 출력 토크의 토크 리플에 있어서의 기본 차수 (예를 들어, 6 극 18 슬롯이면 18 차) 성분의 크기를, 기본 차수의 배의 차수 (예를 들어, 6 극 18 슬롯이면 36 차) 성분 이하가 되는 각도폭 (A) 및 각도폭 (θc) 범위에 대해서 도 28 및 도 29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8 에 있어서 도 26, 27 의 경우와 동일한 직선에는 동일한 부호가 사용된다.
도 29 의 그래프는, 실시 회전자 (15) 를 사용하여 각도폭 (θc) 을 변화시킨 경우의 토크 리플의 18 차 성분에 있어서의 토크 리플률비 (Rx/Ri) 와, 토크 리플의 36 차 성분에 있어서의 토크 리플률비 (Rx/Ri) 의 차의 변화의 FEM 해석예를 나타낸다. 그래프 중의 흑점은, FEM 해석에 의해서 얻어진 실데이터이다.
도 29 의 그래프에 있어서의 실데이터군 Γ3(7), Γ3(8), Γ3(9), Γ3(10), Γ3(11), Γ3(12) 는,
ㆍ이 순서대로 각도폭 (A)=25°, 26°, 27°, 28°, 29°, 30°로 한 조건,
ㆍ상기 공통의 해석 조건, 및
ㆍ반직경 (R) 에 대한 깊이 (Dh)=0.5mm 의 비율 Dh/R=0.02〔=0.5/R=0.5mm/25.5mm〕로 한 조건 하에 얻어진 데이터이다.
도 28c 의 그래프는, 도 29 의 그래프에 기초하여 각도폭 (A) 및 각도폭 (θc) 의 적정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서 준비된 설명도이다. 도 28c 에 흑점으로 나타내는 실데이터군은, 실데이터군 Γ3(7), Γ3(8), Γ3(9), Γ3(10), Γ3(11), Γ3(12) 중, 토크 리플의 18 차 성분에 있어서의 토크 리플률비 (Rx/Ri) 가 토크 리플의 36 차 성분에 있어서의 토크 리플률비 (Rx/Ri) 이하가 되는 실데이터만을 나타내고 있다. 직선 (w31, w32, w33, w34) 은, 출력 토크의 토크 리플에 있어서의 기본 차수 (18 차 성분) 성분의 크기를 36 차 성분의 크기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서 설정된 직선이다.
도 28a 및 도 28b 의 그래프는, 토크 리플의 18 차 성분에 있어서의 토크 리플률비 (Rx/Ri) 와, 토크 리플의 36 차 성분에 있어서의 토크 리플률비 (Rx/Ri) 의 차의 변화를 FEM 해석에 의해서 구한 데이터 (도 29 의 그래프에 상당하는 데이터로서, 도시는 생략하지만, 확인되어 있는 데이터) 에 따라서 각도폭 (A) 및 각도폭 (θc) 의 적정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서 준비된 설명도이다. 도 28a 의 그래프는, 깊이 (Dh)=0.1mm 인 경우에 대응하고, 도 28b 의 그래프는, 깊이 (Dh)=0.3mm 인 경우에 대응한다. 반직경 (R) 은, 모두 25.5mm 이다.
도 28a 에 있어서의 직선 (w11, w12, w13, w14) 은 출력 토크의 토크 리플에 있어서의 기본 차수 (18 차 성분) 성분의 크기를 36 차 성분의 크기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서 설정된 직선이다. 도 28b 에 있어서의 직선 (w21, w22, w23, w24) 은, 출력 토크의 토크 리플에 있어서의 기본 차수 (18 차 성분) 성분의 크기를 36 차 성분의 크기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서 설정된 직선이다. 도 28a∼도 28c 에 있어서의 사선 영역은, 출력 토크의 토크 리플에 있어서의 18 차 성분의 크기가 36 차 성분의 크기 이하가 되는 영역이다.
직선 (w11, w21, w31) 은, 다음 식 (18) 로 표시된다.
A=(-2.5×Dh+27.25)°ㆍㆍㆍ(18)
직선 (w12, w22, w32) 은 다음 식 (19) 로 표시된다.
A=(-2.5×Dh+30.25)°ㆍㆍㆍ(19)
직선 (w13, w23, w33) 은, 다음 식 (20) 으로 표시된다.
θc=(-12.5×Dh+18.25)°ㆍㆍㆍ(20)
직선 (w14, w24, w34) 은 다음 식 (21) 로 표시된다.
θc=(-12.5×Dh+15.25)ㆍㆍㆍ(21)
이상의 식 (18)∼(21) 로부터 종합하면, 하기의 조건 (1-2-0) 으로 표시되는 범위에서 각도폭 (A) 를 설정함과 함께, 하기의 조건 (2-2-0) 으로 표시되는 범위로 각도폭 (θc) 을 설정하면, 출력 토크의 토크 리플에 있어서의 기본 차수 (예를 들어, 6 극 18 슬롯이면 18 차) 성분의 크기를 기본 차수의 배의 차수 (예를 들어, 6 극 18 슬롯이면 36 차) 성분 이하로 할 수 있다.
조건 (1-2-0) :
Dh≤0.5mm 의 범위에 있어서,
(-2.5×Dh+27.25)°≤A≤(-2.5×Dh+30.25)°
조건 (2-2-0) :
(-12.5×Dh+15.25)°≤θc≤(-12.5×Dh+18.25)°
또한,
θc<(60-A)°/2
조건 (1-2-0), (2-2-0) 은, R=25.5mm 및 극수 p=6 인 경우에 대응하는 것이지만, 반직경 (R) 이 25.5mm 가 아닌 경우, 또는 극수 (p) 가 6 이 아닌 경우에도, Dhr=Dh×25.5/R 로 함으로써, 조건 (1-2-0), (2-2-0) 을 다음 조건 (1-2), (2-2), (ex1), (ex2) 로 확장할 수 있다.
조건 (1-2) :
Dhr≤0.5mm 의 범위에 있어서,
(-2.5×Dhr+27.25)°≤Ao≤(-2.5×Dhr+30.25)°
조건 (2-2) :
(-12.5×Dhr+15.25)°≤θco≤(-12.5×Dhr+18.25) °
또한,
θco<(60-Ao)°/2
식 (ex1), (ex2) 는, p≠6 인 경우에는, 조건 (1-2), (2-2) 로 설정되는 각도폭 (Ao, θco) 의 범위에 대하여, 각도폭 (A) 및 각도폭 (θc) 으로 설정하기 위한 환산식이다. 즉, p=6 이외의 경우, 조건 (1-2), (2-2) 에 있어서의 Ao, θco 는, 식 (ex1), (ex2) 에 의해서, A×p/6, θc×p/6 로 바뀐다. 즉, 식 (ex1), (ex2) 의 환산을 하고, A, θc 를 설정 각도폭으로서 사용한다.
다음으로, 도 30a∼도 30c 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부에는 동일한 부호가 사용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인접하는 직선 (H1) 과 직선 (H2) 은, 실시 회전자 (15) 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볼록인 볼록 곡선 (Ψ) 으로 연결되어 있고, 인접하는 직선 (H1) 과 직선 (H3) 은, 실시 회전자 (15) 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볼록인 볼록 곡선 (Ψ) 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볼록 곡선 (Ψ) 은, 반직경이 가상 최대차 (Dmax) 이하의 원 (Ψo) 의 일부이다.
인접하는 한 쌍의 직선 (H1, H2) 을 볼록 곡선 (Ψ) 으로 연결하고, 인접하는 한 쌍의 직선 (H1, H3) 을 볼록 곡선 (Ψ) 으로 연결한 구성은, 실시 회전자 (15) 의 외주면에서의 자속 변동을 매끄럽게 하는 것에 기여하고, 토크 리플이 억 제된다.
상기 각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 가능하다.
(1) 볼록 형상부 (20) 의 형상을, 4 개 이상의 평면을 연결하여 형성한 볼록 다각형 형상으로 해도 된다.
(2) 영구 자석 (17A, 17B) 의 총수를 6 개 이외의 복수개로 해도 된다.
(3) 4 극 12 슬롯, 6 극 27 슬롯, 8 극 24 슬롯 등의 회전 전기 기기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되고, 이들의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4) 고정자 (15) 에 있어서의 권선 방식은, 분포(分布) 감기이어도 되고, 이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5) 6 극 9 슬롯 등의 집중권의 회전 전기 기기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되고, 이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6) 인접하는 영구 자석 (17A, 17B) 의 극성이 N-N-S-S-N-N-S-S-ㆍㆍㆍ가 되도록, 한 쌍의 영구 자석 (17A, 17B) 을 V 자형으로, 또한, 복수쌍의 영구 자석 (17A, 17B) 을 매립한 회전자 (15) 를 구비하는 회전 전기 기기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7) 도 3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폐형의 전동 압축기 (30) 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전동 압축기 (30) 는 스크롤형 전동 압축기이고, 회전 전기 기기 (M) 는 카에어컨용 모터로서 사용되고 있다. 회전 전기 기기 (M) 의 실시 회전자 (15) 는 회전축 (32) 에 지착(止着) 되어 있고, 회전 전기 기기 (M) 의 고정자 (11) 는 모터하우징 (35) 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전동 압축기 (30) 의 가동 스크롤 (31) 은, 회전 전기 기기 (M) 의 회전축 (32) 의 회전에 의해서 선회 (압축 동작) 한다. 이에 따라서, 압축 동작체로서의 가동 스크롤 (31) 과, 고정 스크롤 (33) 사이의 압축실 (34) 이 용적 감소된다. 도시 생략된 외부 냉매 회로로부터 모터하우징 (35) 내에 도입된 냉매는, 흡입 포트 (36) 를 경유하여 압축실 (34) 에 흡입된다. 압축실 (34) 내의 냉매는, 토출 포트 (37) 로부터 토출 밸브 (38) 를 밀어 젖혀 토출실 (39) 에 토출된다. 토출실 (39) 내의 냉매는, 외부 냉매 회로에 유출되고, 그리고 모터하우징 (35) 내로 환류한다. 또, 밀폐형의 압축기란, 회전 전기 기기 (M) 가, 압축기 (30) 와 함께 용접된 일체형의 용기에 밀폐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 타입의 압축기로서는, 동작 유체로 전동기를 냉각한다.
저맥동 (저진동) 이 우수한 본 발명의 회전 전기 기기 (M) 는, 밀폐형의 전동 압축기 (30) 로의 적용에 바람직하다. 즉, 차재용의 밀폐형 전동 압축기에서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하려 하고, 또한 출력 토크의 평균치를 내리지 않으려는 요구가 강하다. 영구 자석 매설형의 회전 전기 기기 (M) 는, 이들의 요구에 적합하다.
여기에서는, 복수의 실시형태만을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이 그 취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유의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분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 기재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의 범위 내에서 개량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