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173B1 - 광폭화물 운송용 차량의 적재프레임 가변장치 - Google Patents

광폭화물 운송용 차량의 적재프레임 가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4173B1
KR100794173B1 KR1020070005247A KR20070005247A KR100794173B1 KR 100794173 B1 KR100794173 B1 KR 100794173B1 KR 1020070005247 A KR1020070005247 A KR 1020070005247A KR 20070005247 A KR20070005247 A KR 20070005247A KR 100794173 B1 KR100794173 B1 KR 100794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frame
loading frame
load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하
송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성물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성물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성물류
Priority to KR1020070005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41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8Tipping body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폭화물 운송용 차량의 적재프레임 가변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적재프레임의 가변장치와는 또다른 구성으로 적재프레임이 수평설치되게 하거나 경사설치되게 하되, 적재프레임 상에 광폭화물을 싣거나 내릴때, 혹은 이동할때에 적재프레임에 적재된 적재물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운송용 차량의 적재함 상에 적재프레임 가변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가변장치의 적재프레임 상에 광폭화물을 적재한 다음 승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광폭화물의 적재폭이 조정되게 하여 합법적인 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적재프레임 가변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고정프레임(140) 상에 포스트(160)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포스트(160) 상에 긴 레버(121)와 짧은 레버(122)로 구성된 작동레버(120)를 축핀(161)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상기 작동레버(120)에는 적재프레임(110)이 고정설치되게 하되, 적재프레임(110)이 수평상태로 위치할때에는 작동레버(120)의 짧은 레버(122)가 수직설치되게 하고, 적재프레임(110)이 경사설치된 상태로 위치할때에는 작동레버(120)의 긴 레버(121)가 수직설치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광폭화물 운송용 차량의 적재프레임 가변장치{CARRYING FRAME VARIABLE DEVICE OF A TRUCK FOR DOUBLE WIDTH GOODS TRANSPORT}
도 1 : 본 발명 장치의 개략구성도로서 적재프레임이 수평인 상태도
도 2 : 본 발명 장치의 개략구성도로서 적재프레임이 경사진 상태도
도 3 : 본 발명 장치에 사용되는 걸림편에 안내홈이 형성되게 한 상태도
도 4 : 본 발명 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작동레버를 지지하는 포스트의 위치를 일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도
도 5 : 도 4의 상태에서 적재프레임을 경사설치한 상태도
도 6 :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짧은 레버 양측에 긴 레버가 대칭형으로 구성되게 한 상태도
도 7 : 도 6의 상태에서 적재프레임을 경사지게 설치한 상태도
도 8 : 도 6에 구성된 지지편 부분의 단면구성도
도 9 : 도 6에 구성된 지지편의 구성도
도 10 : 본 발명 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작동레버와 적재프레임의 연결상태를 축핀으로 연결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가변장치 (110)--적재프레임
(111)--가동프레임 (112)--축공
(113)--스토퍼 (114)--돌출편
(120)--작동레버 (121)(121')--긴 레버
(122)--짧은 레버 (123)(124)--고정판
(125)--체결볼트 (130)--운송용 차량
(131)--적재함 (140)--고정프레임
(150)--고정판 (151)--좌측걸림편
(151')--경사면 (152)--우측걸림편
(152')--경사면 (153)--스토퍼걸림편
(155)--지지편 (156)--삽입홈
(160)--포스트 (170)--승강실린더
(171)--실린더브라켓 (172)(173)--연결핀
(173)--연결브라켓 (175)--실린더축봉
본 발명은 광폭화물 운송용 차량의 적재프레임 가변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적재프레임의 가변장치와는 또다른 구성으로 적재프레임이 수평설치되게 하거나 경사설치되게 하되, 적재프레임 상에 광폭화물을 싣거나 내릴때, 혹은 이동할때에 적재프레임에 적재된 적재물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광폭화물 운송용 차량의 적재프레임 가변장치에 대하여서는 본 발명의 출원이 특허로 선등록된 것이 있다.
즉 특허 제370536호 "광폭화물 운송용 차량의 적재프레임 가변장치"로서, 광폭화물을 운송용 차량의 적재함 상에 경사지게 적재하여 합법적인 운송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상기 특허내용을 요약하면 철판등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적재함 상부에 분해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 적재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적재함의 고정프레임 상에 포스트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포스트 상에 적재프레임을 축핀으로 각운동가능케 설치하고, 상기 적재프레임 일측 하단에는 스토퍼를 설치하되, 타측 하단에는 승강실린더를 설치하여 승강실린더를 작동하면 적재프레임이 축핀으로 축으로 각운동하여 경사설치되게 하고, 상기 적재프레임 상에 광폭화물이 경사적재되게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광폭화물 이송수단은 운송차량의 적재함 상부에 분리설치할 수 있는 적재장치를 구비하여 평상시에는 트레일러와 같은 용도로 사용하고, 철판등과 같은 광폭화물을 이송할 경우에는 적재함 상부의 컨테이너와 같은 적재수단을 분리한 다음 상기 적재장치를 장착하여 철판등과 같은 광폭화물의 적재운송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적재함 상부포스트 상에 축핀을 축으로 각운동가능케 설치된 적재프레임 상에 광폭화물을 적재하고자 할때 적재프레임 일측에 설치된 승강실린더를 작동시켜 적재프레임이 수평상태가 되게 한 다음 상기 적재프레임 상에 광폭 화물을 적재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승강실린더를 위와는 반대로 작동시켜 들어올리면 적재프레임이 포스트의 축핀을 축으로 각운동하여 적재프레임이 경사설치되게 하므로서 광폭화물 역시 적재프레임 상에서 경사적재되게 하여 광폭화물의 적재폭이 합법적인 크기로 적재되어 광폭화물을 적재한 운송용 차량의 도로주행에 아무런 문제가 없도록 한 것이다.
위와 같은 광폭화물 적재장치의 경우 운송차량의 적재함 폭보다 넓은 광폭화물을 경사지게 적재하여 합법적인 운송이 가능토록 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적재프레임의 작동을 또다른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하여 보다 다양한 수단으로 적재프레임이 가변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적재프레임의 작동방법과는 다른 새로운 광폭화물 운송용 차량의 적재프레임 가변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재함 상에 고정프레임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 포스트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포스트 상에 길고 짧은 레버로 구성된 작동레버를 축핀으로 설치하고, 작동레버 상부에는 일측에 스토퍼가 설치된 적재프레임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적재프레임은 일측에 설치된 승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수평 혹은 경사설치되게 하되, 적재프레임이 수평상태로 위치되게 할 경우에는 작동레버의 짧은 레버의 높이로 적재프레임이 위치되게 하고, 적재프레임이 경사설치되게 할 경우에는 긴 레버의 높이로 적재프레임이 경사설치되게 하 여 필요충분한 경사각이 유지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적재프레임 가변장치(100)를 배면에서 본 상태로서, 적재프레임(110)이 수평상태로 위치되게 한 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적재프레임(100)이 경사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운송용 차량(130)의 적재함(131) 상에 고정프레임(140)을 분해조립가능케 고정설치하고, 상기 고정프레임(140)에 상에 지지편(141)을 통하여 고정판(150)이 고정설치되게 하고, 상기 고정프레임(140) 상에 포스트(160)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포스트(160) 상에 작동레버(120)를 축핀(161)으로 연결설치하여 작동레버(120)가 축핀(161)을 축으로 회전작동가능케 구성한다.
포스트(160)에 축핀(161)으로 연결설치된 작동레버(120)는 V형으로 구성되게 하되, 일측에는 긴 레버(121)가 구성되게 하고 타측에는 짧은 레버(122)가 구성되게 한다.
포스트(160) 좌우측 고정판(150) 상에는 좌측 걸림편(151)과 우측 걸림편(152)이 고정설치되게 하고, 상기 좌우측 걸림편(151)(152)에는 좌측경사면(151')과 우측경사면(152')가 각각 구성되게 한 다음 작동레버(120)의 긴 레버(121)와 짧은 레버(122)의 측면과 접촉지지되게 하며 고정판(150) 우측 단부에는 스토퍼걸림편(153)이 구성되게 한다.
상기 좌우측 걸림편(151)(152)의 좌우측 경사면(151')(152')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안내홈(151-1)(152-1)을 구성하여 작동레버(120)의 길고 짧은 레버(121)(122)의 일측이 끼워질 수 있게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작동레버(120)를 구성하는 긴 레버(121)와 짧은 레버(122) 선단부에는 고정판(123)(124)을 각각 구성하고, 상기 고정판(123)(124) 상에 적재프레임(110)을 위치시킨 다음 용접하거나 체결볼트(125)로 고정되게 하므로서 작동레버(120) 상에 적재프레임(120)이 고정되게 한다.
상기 적재프레임(110)의 우측단부에는 스토퍼(113)가 구성된 통상의 가동프레임(111)을 연결설치하되, 상기 가동프레임(111)은 축공(112)을 통하여 길이가 조정가능케 구성되며, 또한 적재프레임(110) 우측 하단에는 돌출편(114)을 구성하여 고정판(150) 우측 단부에 설치된 스토퍼걸림편(153)과 걸림이 이루어지게 한다.
고정프레임(140) 좌측 단부에 실린더브라켓(171)을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브라켓(171)에 승강실린더(170)를 연결핀(172)으로 연결하고, 상기 승강실린더(170)의 실린더축봉(175)은 적재프레임(110) 좌측 하단에 설치된 연결브라켓(174)에 연결핀(173)으로 연결구성되게 한다.
따라서 승강실린더(170)를 작동시켜 실린더축봉(175)이 길게 돌출되게 하면 적재프레임(110)은 포스트(160)의 축핀(161)을 축으로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2에서와 같이 위치되고, 상기와는 반대로 승강실린더(170)의 실린더축봉(175)이 승강실린더(170) 내로 진입되게 하면 도 1에서와 같이 적재프레임(110)이 수평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고정프레임(140) 상에 설치된 포스트(160)의 위 치를 도 4에서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설치할 경우에는 작동레버(120)를 구성하는 긴 레버(121)와 짧은 레버(122)의 길이가 좀더 짧게 구성할 수 있게 되므로 승강실린더(170)에 의해 적재프레임(110)을 수평상태로 유지시킬 경우 적재프레임(110)의 수평상태 위치를 좀더 낮게 위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서와 같이 구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도 6은 포스트(160)의 축핀(161) 상에 작동레버(120)를 회전가능케 설치하되, 짧은 레버(122)를 기준으로 양측에 긴 레버(121)(121')가 대칭형으로 구성되게 한 것이다.
상기 작동레버(120)의 경우에는 적재프레임(110)을 경사지게 설치할 경우 우측에 구성된 긴 레버(121')가 도 7에서와 같이 고정판(150)의 바닥면과 접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적재프레임(110)에 적재된 광폭화물의 안정된 지지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경우에는 우측걸림편(152)이나 스토퍼걸림편(153) 및 돌출편(114)과 같은 지지수단은 필요없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작동레버(120)의 우측레버(121')가 접하는 고정판(150) 양측에 도 9에서와 같이 한쌍의 지지편(155)을 고정설치하여 그 사이에 삽입홈(156)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삽입홈(156)에 작동레버(120)의 우측 긴 레버(121')가 끼워져 결합되게 하므로서 적재프레임(110)을 경사지게 설치할 경우 운송차량의 주행방향으로 흔들림없이 견고하게 지탱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작동레버(120)의 우측 긴 레버(121')와 지지편(155)에 통공(K)(K')을 뚫어 구성할 경우에는 적재프레임(110)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우측 긴 레버(121')가 지지편(155) 사이의 삽입홈(156)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양측 통공(K)(K')이 일치되게 한 다음 도 8에서와 같이 축핀(H)을 끼워 이탈되지 않게 하면, 적재프레임(11)이 경사설치된 상태에서 전후상하 이동하지 않고 견고한 지지력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축핀(H)을 이용하지 않고 양측 지지편(155)을 결속밴드(도시안됨)로 결속하여 지지편(155) 사이에 끼워진 우측 긴 레버(121')가 체결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포스트(160)에 축핀(161)으로 회전가능케 설치된 작동레버(120) 상에 적재프레임(110)을 고정설치함에 있어서 도 10에서와 같이 적재프레임(110) 하단에 고정브라켓(116)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고정브라켓(116)에 축핀(117)으로 작동레버(120)가 연결설치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적재프레임(110) 좌측 단부에 구성되는 가동프레임(111)은 도면에 도시된 구성 이외에도 여러구성으로 제작사용할 수 있으며, 승강실린더(170) 부근에는 별도의 지지대(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여 적재프레임(110)이 경사설치된 상태에서 지지토록 하므로서 적재프레임(110)의 안정된 지지상태를 유지케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요지는 운송용 차량(130)의 적재함(131) 상에 고정프레임(140)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고정프레임(140)에 포스트(160)를 설치하고, 상기 포스트(160) 상에 길고 짧은 레버(121)(122)로 구성된 작동레버(120)를 축핀(161)으로 고정설치하고, 상기 작동레버(120) 상에 적재프레임(110)을 설치 하여 승강실린더(170)에 의해 회전작동되게 하므로서 적재프레임(110)이 경사설치된 상태에서는 작동레버(120)의 긴 레버(121)가 수직상태로 위치하면서 필요한 경사각이 유지되게 하고, 적재프레임(110)을 수평상태로 유지되게 할 경우에는 짧은 레버(122)가 수직상태로 위치하면서 적재프레임(110)이 지지되게 하여 광폭화물을 싣고 내리는 작업과 이송작업이 원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180)은 광폭화물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고정프레임(140) 상에 축핀(161)으로 설치된 적재프레임(110)을 승강실린더(170)의 승강작동에 의해 경사설치되게 하거나 수평설치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적재프레임(110) 상에 광폭화물(180)을 적재하여 광폭화물의 합법적인 이송이 가능토록 한다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적재프레임 가변장치(100)는 적재프레임(110)과 포스트(160)를 연결하는 작동레버(120)가 긴 레버(121)와 짧은 레버(122)로 구성되게 하되, 적재프레임(110)을 수평상태로 위치되게 할 경우에는 짧은 레버(122)가 수직설치되면서 적재프레임(110)의 높이가 결정되게 하고, 적재프레임(110)을 경사설치되게 할 경우에는 긴 레버(121)가 수직설치되면서 적재프레임(110)이 경사설치되게 한다.
따라서 적재프레임(110) 상에 광폭화물(180)을 싣고 내리기가 용이하게 될 뿐 아니라 이동시에는 광폭화물(180)이 경사설치되게 하여 도로주행이 합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가변장치(100)를 통하여 광폭화물(180)을 싣고 내리는 작업과 이 동수단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적재프레임(110) 상에 광폭화물(180)을 싣는 작업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즉 고정프레임(140) 좌측 단부에 설치된 승강실린더(170)를 작동시켜 실린더축봉(175)이 승강실린더(170) 내로 진입되게 하면 승강실린더(170)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므로 적재프레임(110) 하단에 설치된 작동레버(120)는 포스트(160)의 축핀(161)을 축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긴 레버(121)는 경사위치되게 하고, 짧은 레버(122)는 수직설치되므로 적재프레임(110)은 짧은 레버(122)와 승강실린더(170)를 기준으로 수평설치된다.
이때 작동레버(120)를 구성하는 긴 레버(121)의 하단 일측면이 좌측걸림편(151)의 경사면(151')과 접하게 되면서 긴 레버(121)를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되므로 적재프레임(110) 상에 광폭화물(180)을 적재하여 무게중심이 좌측으로 조금 편중되더라도 적재프레임(110)의 위치가 변형되지 않고 견고히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적재프레임(110) 상에 이송하고자 하는 광폭화물(180)을 지게차나 크레인등으로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서와 같이 적재프레임(110) 상에 광폭화물(180)의 적재가 완료되면 상기 광폭화물(180)을 경사설치되게 하여 적재물의 적재폭이 도로주행에 문제가 되지 않을 정도의 합법적인 폭 내로 위치되게 한 다음 이송하게 된다.
즉 승강실린더(170)를 작동시키면 실린더축봉(175)이 길게 돌출구성되고, 따 라서 적재프레임(110)은 포스트(160)의 축핀(161)을 축으로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축핀(161)을 축으로 적재프레임(110)이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적재프레임(110)이 적절한 경사각도로 위치하게 되면 도 2에서와 같이 작동레버(120)의 긴 레버(121)가 수직상태로 위치되고, 동시에 짧은 레버(122)의 측부가 고정판(150)에 설치된 우측걸림편(152)의 경사면(152')과 접하게 된다.
동시에 적재프레임(110)의 우측 하단에 설치된 돌출편(114)은 고정판(150) 우측 선단부에 위치한 스토퍼걸림편(153)과 걸림이 되면서 지지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적재프레임(110)의 견고한 지탱을 기대할 수 있게 되며, 동시에 적재프레임(110)에 실린 광폭화물(180)은 경사설치되면서 적재폭이 좁아지게 되고, 따라서 광폭화물(180)을 적재한 상태에서도 합법적인 운송이 가능해 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작동레버(120)를 구성하는 짧은 레버(122)의 측부가 우측걸림편(152)의 경사면(152')과 접하여 지지되므로 적재프레임(110)을 지탱하는 작동레버(120)의 지지력을 보강케 하며 동시에 적재프레임(110) 우측 하단에 설치된 돌출편(114)이 스토퍼걸림편(153)과 접하여 적재프레임(110)의 버팀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적재프레임(110)에 적재된 광폭화물(180)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3에서와 같이 좌우측 걸림편(151)(152)의 좌우측 경사면(151')(152')에 안내홈(151-1)(152-1)이 구성되게 할 경우에는 작동레버(120)의 길고 짧은 레버(121)(122)의 일측이 끼워져 결합되므로 작동레버(120)를 상하, 전후로 지탱하게 되므로 적재물의 안정된 적재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적재프레임(110) 우측 단부에 설치된 가동프레임(111)의 길이는 광폭화물(180)의 적재폭에 따라 길이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스토퍼(113)는 적재프레임(110)에 적재된 광폭화물(18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작동은 종래 제공된 적재프레임의 가변장치와 동일하다.
상기에서와 같이 광폭화물(180)이 적재프레임(110) 상에 경사설치되게 한 다음 광폭화물을 아무런 문제없이 이송할 수 있게 되고, 광폭화물의 이송이 완료되면 다시 적재프레임(110)을 수평상태로 위치되게 한 다음 광폭화물(180)을 내리게 된다.
광폭화물(180)을 내리는 작업은 싣는 작업과 반대로 실시하면 되나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승강실린더(170)를 작동시켜 적재프레임(110)이 포스트(160)의 축핀(161)을 축으로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면 작동레버(120)의 긴 레버(121)는 경사지게 위치하고, 짧은 레버(122)는 수직상태로 위치하면서 적재프레임(110)의 높이가 짧은 레버(122)의 높이와 같은 위치로 조정됨과 동시에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적재프레임(110)이 수평상태가 되면 적재프레임(110)에 적재된 광폭화물(180)을 지게차나 크레인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적재물을 내릴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적재프레임(110)에 적재된 광폭화물(180)을 내린 다음 운송용 차량(130)을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적재프레임(110)을 경사설치되게 한 다음 이동하면 된다.
본 발명의 가변장치(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작동레버(120)를 고정하는 포스트(160)의 위치를 우측, 즉 가동프레임(111)쪽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도 4에서와 같이 작동레버(120)를 구성하는 긴 레버(121)와 짧은 레버(122)의 길이를 더욱 줄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6에서와 같은 구성으로 가변장치(100)를 설치할 경우에는 적재프레임(110)의 지지를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즉 적재프레임(110)에 광폭화물(180)을 적재한 상태에서 승강실린더(170)를 작동시켜 적재프레임(110)이 경사지게 조작하면 작동레버(120)의 우측 긴 레버(121')가 고정판(150)의 바닥면과 접하게 되고, 동시에 우측 긴 레버(121')가 도 8에서와 같이 양측 지지편(155) 사이의 삽입홈(156)에 끼워져 결합되므로 광폭화물(180)이 적재된 적재프레임(110)은 상하방향이나 전후방향으로의 유동없이 견고한 지지력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작동레버(120)의 우측 긴 레버(121')와 지지편(155)에 통공(K)(K')을 뚫어 구성할 경우에는 적재프레임(110)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우측 긴 레버(121')가 지지편(155) 사이의 삽입홈(156)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양측 통공(K)(K')이 일치되게 한 다음 축핀(H)을 끼워 이탈되지 않게 하면 적재프레임(110)이 경사설치된 상태에서 전후, 상하로 유동하지 않고 견고한 지지력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적재프레임(110) 하단에 설치되는 작동레버(120)는 도 10에서와 같이 적재프레임(110) 하단에 고정브라켓(116)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브라켓(116)에 축핀(117)으로 연결되게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폭화물 운송용 차량의 적재프레임 가변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고정프레임 상에 포스트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포스트 상에 길고 짧은 레버로 구성된 작동레버를 축핀으로 회전가능케 설치하고 상기 작동레버 상에 적재프레임이 설치되게 한 다음 일측에 설치된 승강실린더에 의해 수평 혹은 경사설치되게 하되, 적재프레임이 수평상태를 유지할 때에는 짧은 작동레버에 의해 높이가 설정되게 하고, 경사상태로 위치할 때에는 수직설치되는 긴 작동레버에 의해 경사각이 유지되게 하므로서, 광폭화물을 싣고 내리는 작업이 용이할 뿐 아니라 운송시에는 광폭화물의 적재폭을 줄여 원활한 도로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운송용 차량의 적재함 상에 적재프레임 가변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가변장치의 적재프레임 상에 광폭화물을 적재시킨 다음 고정프레임 일측에 설치되어 적재프레임과 연결된 승강실린더를 작동시켜 승강실린더 축봉이 상승되게 하여 적재프레임이 포스트의 축핀을 축으로 회전, 경사설치되게 하고 따라서 적재프레임에 적재된 광폭화물역시 경사적재되게 하므로서 광폭화물의 적재폭이 조정되게 하여 합법적인 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적재프레임 가변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고정프레임(140) 상에 포스트(160)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포스트(160) 상에 긴 레버와 짧은 레버로 구성된 작동레버(120)를 축핀(161)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상기 작동레버(120) 선단부에 적재프레임(110)이 고정설치되게 하되, 적재프레임(110)이 수평상태로 위치할때에는 작동레버(120)의 짧은 레버가 수직설치되게 하고, 적재프레임(110)이 경사설치된 상태로 위치할때에는 작동레버(120)의 긴 레버가 수직설치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폭화물 운송용 차량의 적재프레임 가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작동레버(120)를 축핀(161)으로 연결하는 포스트(160) 좌우측에는 경사면(152')(152')이 형성된 좌우측 걸림편(151)(152)이 고정설치되게 하되, 좌측걸림편(151)의 경사면(151')에는 작동레버(120)의 긴 레버(121)가 접하여 지지되게 하고, 우측걸림편(152)의 경사면(152')에는 작동레버(120)의 짧은 레버(122)가 접하여 지지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폭화물 운송용 차량의 적재프레임 가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좌우측 걸림편(151)(152)의 경사면(151')(152')에 안내홈(151-1)(152-1)이 구성되게 하고, 상기 안내홈(151-1)(152-1)에 작동레버(120)의 길고 짧은 레버가 끼워져 결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폭화물 운송용 차량의 적재프레임 가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포스트(160)의 축핀(161)에 결합되는 작동레버(120)는 짧은 레버(122) 양측에 긴 레버(121)(121')가 대칭형으로 구성되게 하되, 적재프레임(110)이 경사지게 설치될때 우측 긴 레버(121')가 고정판(150)의 바닥면과 접하여 지지고정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폭화물 운송용 차량의 적재프레임 가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작동레버(120)의 우측 긴 레버(121')가 접하는 고정판(150)에 한쌍의 지지편(155)이 고정설치되게 하여 그 사이에 삽입홈(156)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삽입홈(156)에 작동레버(120)의 우측 긴 레버(121')가 끼워져 결합되게 하되, 작동레버(120)의 우측 긴 레버(121')와 지지편(155)에 통공(K)(K')을 뚫어 구성하고, 상기 통공(K)(K')에 축핀(H)을 끼워 이들이 일체형으로 체결고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폭화물 운송용 차량의 적재프레임 가변장치.
KR1020070005247A 2007-01-17 2007-01-17 광폭화물 운송용 차량의 적재프레임 가변장치 KR100794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247A KR100794173B1 (ko) 2007-01-17 2007-01-17 광폭화물 운송용 차량의 적재프레임 가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247A KR100794173B1 (ko) 2007-01-17 2007-01-17 광폭화물 운송용 차량의 적재프레임 가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4173B1 true KR100794173B1 (ko) 2008-01-22

Family

ID=39218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247A KR100794173B1 (ko) 2007-01-17 2007-01-17 광폭화물 운송용 차량의 적재프레임 가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41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685B1 (ko) * 2010-11-11 2011-08-23 (주)케이에스로지스 소폭 및 광폭 화물 적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적재방법
KR200464441Y1 (ko) * 2011-06-29 2013-01-02 주식회사 동화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적재프레임 지지장치
KR101303913B1 (ko) 2012-06-19 2013-09-05 주식회사 동화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보조적재프레임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544Y1 (ko) 1997-03-21 1999-08-16 서용우 트레일러의 중장비 적하장치
KR20000031033A (ko) * 1998-11-02 2000-06-05 최한식 3방향 덤프 트레일러
KR200357384Y1 (ko) 2002-08-28 2004-07-23 이천석 측면으로 상향 회전이동되는 적재함을 구비한 덤프트럭
KR100545141B1 (ko) 2005-04-12 2006-01-24 (주)동연물류 광폭 판체 적재용 각도 가변 장치
KR100556063B1 (ko) 2004-09-18 2006-03-07 주식회사 삼성물류 광폭화물 운송용 차량의 적재프레임 가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544Y1 (ko) 1997-03-21 1999-08-16 서용우 트레일러의 중장비 적하장치
KR20000031033A (ko) * 1998-11-02 2000-06-05 최한식 3방향 덤프 트레일러
KR200357384Y1 (ko) 2002-08-28 2004-07-23 이천석 측면으로 상향 회전이동되는 적재함을 구비한 덤프트럭
KR100556063B1 (ko) 2004-09-18 2006-03-07 주식회사 삼성물류 광폭화물 운송용 차량의 적재프레임 가변장치
KR100545141B1 (ko) 2005-04-12 2006-01-24 (주)동연물류 광폭 판체 적재용 각도 가변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685B1 (ko) * 2010-11-11 2011-08-23 (주)케이에스로지스 소폭 및 광폭 화물 적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적재방법
KR200464441Y1 (ko) * 2011-06-29 2013-01-02 주식회사 동화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적재프레임 지지장치
KR101303913B1 (ko) 2012-06-19 2013-09-05 주식회사 동화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보조적재프레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858B1 (ko) 컨테이너
US8286562B2 (en) Transportable load carrying platform
KR100794173B1 (ko) 광폭화물 운송용 차량의 적재프레임 가변장치
KR101464806B1 (ko) 판 형상 화물의 수송용 날개식 컨테이너 및 그것을 적재하는 트레일러
FI121747B (fi) Kuljetusteline
CN1242906C (zh) 货运集装箱
KR100898543B1 (ko)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광폭화물 보조적재장치
US89509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cking loads in vehicles
EP2724959B1 (en) Cargo transport unit
KR200380856Y1 (ko) 트레일러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적재프레임의 구조
US20180303236A1 (en) Swing arm hinge attached to guard plate
KR101183183B1 (ko) 화물 운반용 트롤리
WO2010053075A1 (ja) 板状体の積載装置及び運搬車両
KR101045466B1 (ko) 탈착이 가능한 적재함 덤프장치
JP2015116920A (ja) トラックに積載可能なダンプ装置
WO2021237938A1 (zh) 一种集装箱底架及集装箱
JP4866105B2 (ja) ラック貨物コンテナ
JP5041314B2 (ja) 傾斜式荷受台
KR101202064B1 (ko)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
JP2009018878A (ja) スライドパレットユニット及び貨物車
JP3153216U (ja) 規制標識積載装置
KR100807183B1 (ko)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적재프레임 지지장치
KR101052564B1 (ko) 고철운반장치
CN219362016U (zh) 一种组合式固定的港口集装箱
KR100885046B1 (ko)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적재프레임 각도가변을 위한 전방승강실린더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