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5046B1 -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적재프레임 각도가변을 위한 전방승강실린더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적재프레임 각도가변을 위한 전방승강실린더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5046B1
KR100885046B1 KR1020070093143A KR20070093143A KR100885046B1 KR 100885046 B1 KR100885046 B1 KR 100885046B1 KR 1020070093143 A KR1020070093143 A KR 1020070093143A KR 20070093143 A KR20070093143 A KR 20070093143A KR 100885046 B1 KR100885046 B1 KR 100885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fting cylinder
loading frame
bracket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하
송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성물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성물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성물류
Priority to KR1020070093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50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4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of adjustable length or 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폭화물을 적재운송할 수 있도록 한 적재프레임 가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송차량의 트레일러 샷시 전방부, 즉 운전석이 위치한 트랙터와 트레일러 샷시를 연결하는 부분에 이상적인 구조로 승강실린더를 설치사용토록 하므로서 적재프레임의 가변이 안정적이면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트렉터와 연결되는 트레일러 샷시의 전방 보조프레임 전면 적절한 위치에 별도의 브라켓을 일체형으로 결합고정하고, 상기 브라켓의 결합부에 승강실린더를 굴대설치하고, 상기 승강실린더의 축봉 단부는 각도가변케 설치된 적재프레임에 연결되게 하므로서 승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적재프레임의 각도가 가변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적재프레임 각도가변을 위한 전방 승강실린더의 결합구조{JOINING STRUCTURE OF FORWARD ASCENT/DESCENT CYLINDER FOR CARRYING FRAME ANGLE VARIABLE OF A TRUCK FOR DOUBLE WIDTH GOODS TRANSPORT}
본 발명은 광폭화물을 적재운송할 수 있도록 한 적재프레임 가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송차량의 트레일러 샷시 전방부, 즉 운전석이 위치한 트랙터와 트레일러 샷시를 연결하는 부분에 이상적인 구조로 승강실린더를 설치사용토록 하므로서 적재프레임의 가변이 안정적이면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대형철판과 같은 광폭화물을 적재프레임 상에 경사적재시킨 다음 합법적인 운송이 가능토록 한 운송차량의 적재프레임 가변장치에 대하여서는 여러구성의 장치들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적재프레임 가변장치는 운송차량의 트레일러 샷시 상면에 별도의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프레임 상에 다시 광폭철판적재를 위한 적재프레임을 설치한 다음 승강실린더에 의해 적재프레임이 가변되게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장치는 운송차량의 트레일러 샷시 상면에 적재프레임 설치를 위한 별도의 프레임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차량의 중량이 증가하게 될 뿐 아니라 적재프레임의 위치가 높아지고, 또한 제작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운송차량의 트레일러 샷시 상면에 평판형 적재프레임을 바로 설치하여 승강실린더로 평판형 적재프레임의 각도가 가변되게 하므로서 차량의 중량을 줄이고, 위치를 낮게 할 수 있고, 또한 제작비용을 절감케 할 뿐 아니라 특히 평판형 적재프레임 상에 광폭철판 뿐만 아니라 코일밴드나 일반화물등 다양한 형태의 화물을 운송할 수 있도록 한 장치에 대하여 본 발명자가 선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운송차량의 트레일러 샷시 상면에 직접 평판형 적재프레임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도 다음과 같은 어려움이 있는 것이었다.
즉 운전석이 있는 트렉터와 트레일러 샷시를 연결하는 연결부위에는 트레일러 샷시 부분의 킹핀(king pin)과 트렉터 부분의 떡판(coupler)이 닿는 부분이 필요로 하게 되므로 트레일러 샷시의 위치가 다른 부분보다 조금 높게 돌출구성되어 있어, 트레일러 샷시 상면에 설치되는 평판형 적재프레임 사이에 공간이 좁게 형성될 뿐 아니라, 트레일러 샷시와 트렉터 사이에도 공간이 협소하여 적재프레임을 경사지게 작동시키는 승강실린더의 설치공간이 확보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좁은 설치공간에 적재프레임 가변을 위한 승강실린더의 설치가 원활치 못하게 되므로 다른 부분을 제외한 트레일러 샷시의 연결부위에는 다단 실린더를 결합사용하거나 포스트와 축핀이 있는 내측 샷시 프레임쪽에 치우쳐서 설치할 수 밖에 없는 관계로 승강실린더의 꺾임 현상과 하중에 취약할 뿐 아니라 편하중 발생으로 인한 적재물의 불안정등 여러가지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시정하고자 운전석이 있는 트렉터와 트레일러 샷시의 연결부분에 위치하는 적재프레임의 각도가변을 위한 승강실린더를 설치하되, 승강실린더의 꺾임현상이 없도록 할 뿐 아니라 적재프레임 가변시 적재물의 하중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게 하며, 또한 편하중현상을 최소화하여 적재프레임의 각도가변이 안정적이면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트렉터와 연결되는 트레일러 샷시의 전방 보조프레임 전면 적절한 위치에 별도의 브라켓을 일체형으로 결합고정하고, 상기 브라켓의 결합부에 승강실린더를 굴대설치하고, 상기 승강실린더의 축봉 단부는 각도가변케 설치된 적재프레임에 연결되게 하므로서 승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적재프레임의 각도가 가변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운송용 차량의 적재프레임 상에 광폭화물을 적재시킨 다음 적재프레임이 경사설치되게 하여 광폭화물을 적재폭을 줄여 합법적인 운송이 가능토록 하는 광폭화물 이송장치를 가능토록 하는 광폭화물 이송장치를 구성하되, 트렉터와 트레일러 샷시의 연결부, 즉 적재프레임 각도가변을 위한 승강실린더의 설치공간이 협소한 상태에서도 트레일러 샷시를 구성하는 전방 보조프레임 전면 적절한 위치에 별도의 브라켓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브라켓에 구성된 결합부가 전방 보조프레임 전방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 결합부에 승강실린더 하단부를 축결합함과 동시에 축봉 단부를 적재프레임에 연결되게 하므로서 승강실린더를 이용한 적재프레임의 각도가변작동시 안정되고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적재프레임 각도가변을 위한 전방 승강실린더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상태도로서, 적재프레임(10)이 운송차량의 트레일러 샷시(20) 상에 수평상태로 나란히 위치한 상태도이고, 도 2는 승강실린더(30)에 의해 적재프레임(10)이 경사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승강실린더(20)의 결합구조는 운전석이 위치한 트렉터(도시안됨)와 트레일러 샷시(20)가 연결되는 연결부위에 위치하는 승강실린더(20)의 결합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트랙터와 트레일러 샷시(20)가 연결되는 연결부위에는 구조적으로 승강실린더(20)를 결합할 수 있는 공간확보가 곤란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하여 승강실린더(30)의 설치 및 작동이 가능토록 하였다.
즉 트레일러 샷시(20)의 주프레임(21) 선단부, 즉 트렉터와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한 전방 보조프레임(40) 전면 적절한 위치에 브라켓(50)을 일체형으로 결합고정하되, 브라켓(50) 일측에 결합부(51)를 구성하여 상기 결합부(51)가 전방 보조프레임(40)의 전면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 브라켓(50)의 결합부(51)에 승강실린 더(30)를 고정하고 상기 승강실린더(30)의 축봉(31) 단부는 적재프레임(10)에 연결고정되게 한다.
상기 적재프레임(10)은 전방 보조프레임(40) 타측 단부에 결합된 포스트(60)에 적재프레임(10) 일측 단부 하단에 구성된 연결간(11)을 위치시킨 다음 축핀(61)으로 연결하여 적재프레임(10)이 포스트(60)의 축핀(61)을 축으로 각도가 가변되게 장치한다.
트레일러 샷시(20)의 전방 보조프레임(40) 전면에 설치되어 승강실린더(30)를 결합하는 브라켓(50)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도 4에서와 같이 브라켓(50) 일측에 상하고정판(52)으로 구성된 삽입부(53)가 구성되게 하고, 상기 삽입부(53)를 이용하여 브라켓(50)이 트레일러 샷시(20)의 전방 보조프레임(40) 전면에 끼워지게 한 다음 상하고정판(52)에 체결볼트(54)로 체결하여 브라켓(50)이 전방 보조프레임(40) 전면에 일체형으로 고정되게 하고, 고정판(52) 일측에는 핀공(56)이 형성된 측판(55)을 구성하여 그 사이에 결합부(51)가 형성되게 한다.
상기한 구성의 브라켓(50)과 승강실린더(30)의 결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3에서와 같이 브라켓(50)의 일측 결합부(51)에 승강실린더(30) 하단에 구성된 연결편(32)을 끼워 연결편(32)에 구성된 연결공(33)과, 측판(55)과 삽입부(53) 측벽에 뚫린 핀공(56)이 일치되게 한 다음 축핀(57)을 끼워 승강실린더(30)가 브라켓(50) 상에 연결고정되게 한다.
승강실린더(30)의 축봉(31)은 적재프레임(10)에 연결된다.
즉 적재프레임(10)에 핀공(12)이 뚫린 연결브라켓(13)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연결브라켓(13)의 핀공(12)에 실린더 축봉(31) 단부에 구성된 연결편(34)의 연결공(35)을 일치시킨 다음 연결핀(36)으로 연결되게 하므로서 승강실린더(30)의 축봉(31)이 적재프레임(10)에 연결이 완료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트레일러 샷시(20)의 전방 보조프레임(40)에 고정설치된 브라켓(50)에 승강실린더(30)를 결합구성할 수도 있다.
즉 승강실린더(30) 외면에 결합핀(38)을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결합핀(38)이 브라켓(50)의 핀공(56)에 끼워져 결합되게 하므로서 승강실린더(30)가 브라켓(50)에 연결되게 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브라켓(50)의 결합부(51) 바닥면은 도 10에서와 같이 일부가 개방되게 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트레일러에 샷시(20)를 구성하는 전방 보조프레임(40) 전면에 브라켓(50)을 고정설치함에 있어서, 도 11에서와 같이 전방 보조프레임(40) 단부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설치사용할 수도 있으며, 도 12에서와 같이 브라켓(50)을 대체로 전방 보조프레임(40)의 전면 중앙에 설치되게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2의 경우에는 브라켓(50)에 결합된 승강실린더(30)의 축봉(31) 단부가 적재프레임(10)의 가변축이 되는 축핀(60) 반대편에 연결되게 한다.
본 발명에서 승강실린더(30)를 연결하기 위한 브라켓(50)의 고정위치는 트레일러 샷시(20)를 구성하는 전방 보조프레임(40) 전면 어느 위치든 결합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승강실린더(30)의 축봉(31)이 결합되는 적재프레임(10)은 승강실린더(30)의 축봉(31)과 연결되게 하기 위하여 적재프레임(10)의 길이를 승강실린더(30)의 축봉(31)이 위치하는 거리만큼 전방으로 연장되게 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적재프레임(10)의 길이를 전방으로 연장하지 않고, 적재프레임(10)의 길이를 트레일러 샷시(20)의 전방 보조프레임(40)의 위치와 동일선 상에 위치되게 한 다음, 적재프레임(10) 전면에 별도의 돌출편(도시안됨)을 연결설치하고, 상기 돌출편에 승강실린더(30)의 축봉(31) 연결을 위한 연결브라켓(13)을 연결하여 승강실린더(30)와 연결되게 할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70)은 스토퍼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적재프레임(10) 상에 철판과 같은 광폭화물을 적재시킨 다음 트레일러 샷시(20)와 적재프레임(10)을 연결하는 주승강실린더(도시안됨)의 작동에 의해 적재프레임(10)이 경사설치되게 하므로서 광폭화물인 경우에도 도로를 통한 합법적인 운송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요지는 트렉터와 트레일러 샷시(20)가 연결되는 연결부, 즉 승강실린더의 설치공간이 충분하지 못한 위치에 이상적인 구조로 승강실린더(30)를 장치하여 다른 승강실린더(도시안됨)와 함께 승강작동케 하므로서 적재프레임(10)의 각도가변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 이다.
다시 설명하면 트레일러 샷시(20)의 전방 보조프레임(40) 전면에 별도의 브라켓(50)을 고정설치하되, 브라켓(50)에 구성된 결합부(51)가 전방 보조프레임(40) 전면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결합부(51)에 승강실린더(30)의 하단부가 고정설치되게 하므로서 전방 보조프레임(40)의 두께만큼 별도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게 하므로서 승강실린더(30)의 설치가 가능하게 될 뿐 아니라 승강실린더(30)를 작동시켜 적재프레임(10)의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전방 보조프레임(40)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50)의 위치는 전방 보조프레임(40)의 단부나 중앙부등 임의위치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적재프레임(10) 및 트레일러 샷시(20)의 구조에 맞게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적재프레임(10)의 각도를 가변시키기 위한 승강실린더는 본 발명에서 도시된 한개의 승강실린더(30)만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트렉터와 트레일러 샷시(20)의 연결부가 아닌 다른쪽, 즉 승강실린더의 설치공간이 충분한 쪽에 위치한 승강실린더(도시안됨)와 함께 작동을 하게 되므로 적재프레임(10)의 각도가변작동에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승강실린더(30)를 이용하여 적재프레임(10)이 원하는 경사각으로 가변되면 통상의 버팀대(도시안됨)를 이용하여 적재프레임(10)을 지지하여 주게 되므로 승강실린더(30)에는 광폭화물의 하중이 직접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에 문제가 없다.
상기에서와 같이 승강실린더(30)가 작동하여 적재프레임(10)이 경사설치된 상태에서도 승강실린더(30)의 하단부가 트레일러 샷시(20)의 전방 보조프레임(40) 하단으로 돌출되지 않거나 미미하게 돌출하게 되므로서 트렉터와 트레일러 샷시(20)가 연결되는 연결부위에 구조상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더라도 승강실린더(30)를 안정적으로 설치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 구조를 전면에서 본 개략구성도
도 2 : 도 1의 상태에서 적재프레임을 경사설치시킨 상태도
도 3 : 본 발명 구조의 일부사시도
도 4 : 본 발명 구조에 사용되는 브라켓의 사시도
도 5 : 본 발명 구조의 평면개략구성도
도 6 : 본 발명 구조의 측면개략구성도
도 7 : 본 발명 구조의 타실시예시도로서 전면에서 본 개략구성도
도 8 : 도 7의 상태에서 적재프레임을 경사설치시킨 상태도
도 9 : 본 발명 타실시예의 일부사시도
도 10 : 도 7에 사용된 브라켓의 사시도
도 11 : 본 발명 또다른 실시예의 개략구성도
도 12 : 본 발명 또다른 실시예의 개략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적재프레임 (11)--연결간
(12)--핀공 (13)--연결브라켓
(20)--트레일러샷시 (21)--주프레임
(30)--승강실린더 (31)--축봉
(32)(34)--연결편 (33)(35)--연결공
(36)--연결핀 (40)--전방보조프레임
(50)--브라켓 (51)--결합부
(52)--고정판 (53)--삽입부
(54)--체결볼트 (55)--측판
(56)--핀공 (57)--축핀

Claims (4)

  1. 적재프레임 상에 철판과 같은 광폭화물을 적재시킨 다음, 승강실린더를 작동시켜 적재프레임이 경사설치되게 함으로써 광폭화물의 경우에도 합법적인 운송이 가능토록 한 통상의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적재프레임 가변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트레일러 샷시(20)의 주프레임(21) 선단부(운전석이 위치한 트렉터와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한 전방 보조프레임(40) 상에 브라켓(50) 일측에 구성된 고정판(52)을 위치시킨 다음 전방 보조프레임(40)과 체결볼트(54)로 일체형으로 체결고정되게 하므로서, 전방 보조프레임(40)에 브라켓(50)이 일체형으로 조립구성되게 하고, 상기 브라켓(50)에 구성된 고정판(52) 측부에는 핀공(56)이 뚫린 측판(55)을 나란히 대향설치되게 하므로서 그 사이에 결합부(51)가 구성되게 하되, 상기 결합부(51)의 위치가 전방 보조프레임(40) 전면에 돌출구성되게 하고, 상기 결합부(51)에 승강실린더(30) 하단에 구성된 연결편(32)을 끼워 측판(55)에 뚫린 핀공(56)과 승강실린더(30)의 연결편(32)에 뚫린 연결공(33)이 일치되게 한 다음 축핀(57)으로 연결구성되게 하고, 상기 승강실린더(30)의 축봉(31) 선단부에 통상의 적재프레임(10)이 연결구성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적재프레임 각도가변을 위한 전방 승강실린더의 결합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70093143A 2007-09-13 2007-09-13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적재프레임 각도가변을 위한 전방승강실린더의 결합구조 KR100885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143A KR100885046B1 (ko) 2007-09-13 2007-09-13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적재프레임 각도가변을 위한 전방승강실린더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143A KR100885046B1 (ko) 2007-09-13 2007-09-13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적재프레임 각도가변을 위한 전방승강실린더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5046B1 true KR100885046B1 (ko) 2009-02-23

Family

ID=40681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143A KR100885046B1 (ko) 2007-09-13 2007-09-13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적재프레임 각도가변을 위한 전방승강실린더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50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829B1 (ko) 2010-03-29 2011-10-25 주식회사 동화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보조적재프레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856Y1 (ko) * 2005-01-24 2005-04-08 조현균 트레일러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적재프레임의 구조
KR20050040900A (ko) * 2005-04-12 2005-05-03 (주)동연물류 광폭 판체 적재용 각도 가변 장치
KR200429036Y1 (ko) 2006-07-14 2006-10-17 조현균 슬라이드 적재프레임 구조
KR100725528B1 (ko) 2006-04-13 2007-06-07 주식회사 엠엔티 대형물품 이송용 트레일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856Y1 (ko) * 2005-01-24 2005-04-08 조현균 트레일러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적재프레임의 구조
KR20050040900A (ko) * 2005-04-12 2005-05-03 (주)동연물류 광폭 판체 적재용 각도 가변 장치
KR100725528B1 (ko) 2006-04-13 2007-06-07 주식회사 엠엔티 대형물품 이송용 트레일러
KR200429036Y1 (ko) 2006-07-14 2006-10-17 조현균 슬라이드 적재프레임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829B1 (ko) 2010-03-29 2011-10-25 주식회사 동화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보조적재프레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1453B2 (en) Mortar buggy with stake bed assembly
US5368324A (en) Mounting system for fifth wheels
US6821066B2 (en) Precast concrete panel combination trailer and storage rack assembly
US9145176B1 (en) Vehicle box reinforcing brace
JP5058853B2 (ja) 板状貨物の輸送用ウイング式コンテナ及びそれを積載するトレーラ
US8376385B2 (en) Half round trailer with lower center of gravity
KR100898543B1 (ko)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광폭화물 보조적재장치
KR100885046B1 (ko)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적재프레임 각도가변을 위한 전방승강실린더의 결합구조
US5676065A (en) Flatracks and load-carrying systems
US8122551B2 (en) Four wheeler trailer loading ramps
US8231178B2 (en) Mobile base for reducing lateral pressure of the body lift cylinder of a dump body
KR200443831Y1 (ko) 판형 광폭 화물운반용 평판 트레일러
KR200380856Y1 (ko) 트레일러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적재프레임의 구조
KR200458191Y1 (ko)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보조적재프레임 장치
KR20120073620A (ko) 컨테이너용 하중 분산 및 자중 감소형 하부베이스 및 그의 제작방법
CN110329140A (zh) 用于支撑集装箱的横梁及具有其的车辆
KR101075829B1 (ko)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보조적재프레임 장치
US7175189B1 (en) Booster axle pivot mount
KR101303913B1 (ko)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보조적재프레임장치
JP2008511486A (ja) 部分昇降式荷積みプラットフォーム
JP2002362892A (ja) ロードスタビライザ付きフォークリフト
JP3629162B2 (ja) 車両に取り付ける荷受台昇降装置の取付装置
CN213831900U (zh) 车载泵护栏装置和车载泵
CN214215566U (zh) 自卸车厢
KR101349458B1 (ko)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