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543B1 -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광폭화물 보조적재장치 - Google Patents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광폭화물 보조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543B1
KR100898543B1 KR1020070133413A KR20070133413A KR100898543B1 KR 100898543 B1 KR100898543 B1 KR 100898543B1 KR 1020070133413 A KR1020070133413 A KR 1020070133413A KR 20070133413 A KR20070133413 A KR 20070133413A KR 100898543 B1 KR100898543 B1 KR 100898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ide cargo
shaft
loading frame
tra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3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하
송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성물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성물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성물류
Priority to KR1020070133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5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6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ailboards or side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4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long loads, e.g. with separate wheeled load suppor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송차량의 트레일러 샷시보다 폭이 넓고 길이가 긴 광폭화물의 경우에도 광폭화물을 운송차량의 트레일러 샷시 상면에 경사적재시킨 다음 운송하고자 할 때 트레일러 샷시 뒷쪽으로 돌출되는 광폭화물의 울렁거림없이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광폭화물의 안전한 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과제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운송차량의 트레일러 샷시 배면에 별도의 보조적재장치를 조립식으로 구성한 다음 트레일러 샷시 상면에 설치된 적재프레임에 운송하고자 하는 광폭화물을 적재시키게 되면 트레일러 샷시 배면에 조립식으로 설치된 보조적재프레임이 트레일러 샷시 배면으로 길게 돌출되는 광폭화물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광폭화물 보조적재장치{SUPPLEMENTARY LOADING DEVICE OF A TRUCK FOR DOUBLE WIDTH GOODS TRANSPORT}
본 발명은 폭이 넓고 길이가 긴 철판과 같은 광폭화물을 적재프레임을 이용하여 운송용 차량의 트레일러 상에 경사적재시킨 다음 도로를 통하여 목적하는 장소로 안전하고 합법적인 운송이 가능토록 한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적재프레임을 구성함에 있어서, 특히 운송차량의 트레일러 샷시 배면에 별도의 보조프레임을 장치하여 트레일러 샷시 배면으로 돌출되는 광폭화물을 지지할 수 있게 하므로서 운송도중 배면으로 돌출된 광폭화물의 울렁거림없이 안정되고 정숙한 상태로 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폭이 넓고 길이가 긴 철판과 같은 광폭화물을 운송용 차량의 트레일러 상에 경사적재되게 한 다음 안전하고 합법적인 도로운송이 가능토록 한 광폭화물 운송용 차량의 적재프레임 장치에 대하여서는 여러구성의 장치들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들의 장치들은 주로 운송차량의 트레일러 샷시 상면에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간혹 운송차량의 트레일러 샷시 길이보다 긴 광폭화물을 적재운송하 고자 할 경우에는 광폭화물의 후단부가 트레일러 샷시 뒷쪽으로 길게 돌출되므로 운송시 트레일러 샷시 뒷쪽으로 길게 돌출된 광폭화물의 후단부가 울렁거리게 되므로 안전주행 및 안전운송에 장애의 요인이 될 뿐 아니라 후방차량의 안전주행에도 장애의 요인이 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운송차량의 트레일러 샷시보다 폭이 넓고 길이가 긴 광폭화물의 경우에도 광폭화물을 운송차량의 트레일러 샷시 상면에 경사적재시킨 다음 운송하고자 할 때 트레일러 샷시 뒷쪽으로 돌출되는 광폭화물의 울렁거림없이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광폭화물의 안전한 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과제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운송차량의 트레일러 샷시 배면에 별도의 보조적재장치를 조립식으로 구성한 다음 트레일러 샷시 상면에 설치된 적재프레임에 운송하고자 하는 광폭화물을 적재시키게 되면 트레일러 샷시 배면에 조립식으로 설치된 보조적재프레임이 트레일러 샷시 배면으로 길게 돌출되는 광폭화물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운송차량의 트레일러 샷시 배면에 보조적재장치를 조립식으로 설치하여 광폭화물을 지지할 수 있는 적재프레임이 트레일러 샷시 뒷쪽으로 연장구성되게 하므로서, 운송하고자 하는 광폭화물의 길이가 운송차량의 트레일러 샷시보다 긴 광폭화물의 경우에도 트레일러 샷시 뒷쪽으로 돌출되는 광폭화물의 후단부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하여 광폭화물의 운송시 울렁거림없이 안전한 운송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때 중앙지주대(111)와 좌우측 지주대(112)(113)는 고정대(110) 상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게 하지 않고, 트레일러 샷시(200) 상면에 조립식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보조적재장치(100)의 사시도로서, 보조적재장치(100)는 운송차량의 트레일러 샷시(200) 후단부에 구성된 고정판(202) 상에 별도의 고정대(110)를 조립식으로 체결고정하되, 상기 고정대(110) 중앙과 양측부에 중앙지주대(111)와 좌우측지주대(112)(113)을 각각 직립설치하되, 중앙지주대(111)와 좌측지주대(112)의 높이는 서로 유사하게 구성하고, 우측지주대(113)의 높이는 중앙지주대(111)의 높이보다 낮게 구성한다.
이때 중앙지주대(111)와 좌우측지주대(112)(113)는 고정대(110) 상에 연결되면서 일측 단부가 고정대(110)로부터 돌출되게 구성하여 걸림단턱(117)이 각각 구성되게 하고, 상기 걸림단턱(117)이 운송차량의 트레일러 샷시(200) 후단부(200')에 걸려지게 구성하므로서 보조적재장치(100)의 하중을 견고히 지탱할 수 있게 한다.(도 12참조)
또한 상기 중앙지주대(111)와 좌우측지주대(112)(113)를 고정대(110)로부터 완전분리되게 한 다음 운송차량의 트레일러 샷시(200) 상면에 독립적으로 직립설치되게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중앙지주대(111) 상에 축봉(120)을 위치시킨 다음 브라켓(121)을 통하 여 중앙지주대(111) 상면에 설치되게 하되, 상기 축봉(120)의 위치는 트레일러(200)의 포스트(210) 상부에 적재프레임(220)을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는 축핀(도시안됨)의 높이와 동일하게 구성한다.
중앙지주대(111) 상면에 설치된 축봉(120) 뒷쪽에는 또다른 브라켓(121)을 설치하되, 상기 브라켓(121)을 고정대(110)에 후방으로 길게 돌출설치된 중앙상부보강대(122) 및 중앙하부보강대(123)와 연결되게 하므로서 중앙지주대(111) 상면에 설치된 축봉(120)이 수평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되게 한다.
좌측지주대(112) 상면에도 중앙지주대(111) 상면에서와 같이 수평지지축(130)을 위치시킨 다음 브라켓(131)을 통하여 좌측지주대(112) 상면에 설치되게 하되, 뒷쪽에는 또다른 브라켓(131)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131)은 후방으로 길게 돌출설치된 좌측상부보강대(132) 및 좌측하부보강대(133)와 연결되게 하므로서 좌측지주대(112) 상면에 설치된 수평지지축(130)이 수평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우측지주대(113) 상면에 역시 경사지지축(140)을 위치시킨 다음 브라켓(141)을 통하여 우측지주대(113) 상면에 설치되게 하되, 뒷쪽에는 또다른 브라켓(141)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141)은 후방으로 길게 돌출설치된 우측 상부보강대(142) 및 우측 하부보강대(143)와 연결되게 하므로서 우측지주대(113) 상면에 설치된 경사지지축(140)이 수평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상기 각 지주대(111)(112)(113) 상면에 수평설치된 축봉(120)과 수평지지축(130) 및 경사지지축(140) 단부와 중앙부에는 연결간(114)을 일체형으로 연결설치하여 각 지주대(111)(112)(113) 상면에 수평설치된 축봉(120)과 수평지지축(130) 및 경사지지축(140)이 서로 유동하지 않고 견고히 지탱되게 한다.
이때 수평지지축(112)이나 경사지지축(113)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봉체나 파이프로 구성되게 할 수도 있으나 각파이프나 C형강, 소형H빔등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보조적재장치(100)에 사용되는 각 지주대(111)(112) (113), 보강대, 연결간(114) 및 고정대(110) 역시 각파이프나 H빔, C형강등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중앙지주대(111) 상면에 수평설치된 축봉(120)에는 보조적재프레임(160)을 굴대설치하여 축봉(120)을 축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구성하되, 보조적재프레임(160)이 수평설치된 상태에서는 좌측에 위치한 수평지지축(130)에 지탱되면서 보조적재프레임(160)이 수평상태를 유지케 하고, 보조적재프레임(160)이 경사설치된 상태에서는 우측에 위치한 경사지지축(140)에 의해 경사진 상태를 유지케 한다.
상기 보조적재프레임(160) 단부에는 필요에 따라 도 9에서와 같이 통상의 스토퍼(161)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축봉(120) 단부에 설치된 연결간(114) 내측 단부에는 고정지지대(170)를 고정설치하되, 상기 고정지지대(170)는 양측판(171) 사이를 지지판(172)으로 연결되게 하여, 일측이 개방되게 하고, 측판(171) 하단에는 밑판(173)이 구성되게 하며, 밑판(173) 상에는 쟉키(174)를 설치하고, 쟉키(174) 축봉(175) 단부에는 승강판(176)을 설치하여 쟉키(174)의 작동에 의해 축봉(175)을 따라 승강케 구성한다.
축봉(120) 단부에 설치된 보조적재프레임(160)의 좌측 하단에 연결편(163)을 구성하고, 상기 연결편(163)에 승강지지대(164)를 축핀(165)으로 연결되게 하고, 상기 승강지지대(164)는 보조적재프레임(160)이 경사설치되면 승강지지대(164)가 고정지지대(170)에 설치된 쟉키(174)의 축봉(175)에 연결된 승강판(176) 상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쟉키(174)를 작동시켜 필요한만큼 승강판(176)이 상승하여 승강지지대(164)를 지지케 하므로서 보조적재프레임(160)이 경사진 상태에서 견고히 지지되게 한다.
또한 고정지지대(170)와 승강지지대(164) 측면에는 체결공(168)(178)을 각각 뚫어 구성한 다음 승강지지대(164)가 고정지지대(170)에 끼워진 상태에서 각 체결공(168)(178)이 일치되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고정핀(179)을 끼워 고정지지대(170) 상에 승강지지대(164)가 고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트레일러 샷시(200) 상면에 설치된 포스트(210)와 적재프레임(220)은 본 발명자가 사용하고 있는 구성으로서 트레일러 샷시(200) 앞쪽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다수개의 포스트와 적재프레임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적재프레임(220)은 통상의 승강실린더(도시안됨)에 의해 수평설치되거나 경사설치되게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300)은 광폭화물, (302)는 스토퍼, (304)는 실린더축봉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주로 철판과 같이 폭이 넓고 길이가 긴 광폭화물(300)의 운송시 사용하게 되며, 특히 운송차량의 트레일러 샷시(200)보다 길이가 긴 광폭화물(300)의 적재운송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운송하고자 하는 광폭화물(300)의 길이가 트레일러 샷시(200)의 길이보다 긴 광폭화물(300)을 적재하고자 할 때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운송차량의 트레 일러 샷시(200) 상면에 설치된 적재프레임(220)과 보조적재장치(100)에 설치된 보조적재프레임(160)을 수평으로 위치되게 한다.
이때 트레일러 샷시(200) 상면, 즉 포스트(210) 상면에 설치된 적재프레임(220)은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보조적재프레임(160)은 수평지지축(130)이 무겁게 하여 수평상태가 유지되게 하거나 작업자의 수동조작이나 기타 다른 수단에 의해 수평상태를 유지케 하면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적재프레임(220)과 보조적재프레임(160)이 수평으로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운송하고자 하는 광폭화물(300)를 들어 적재시키게 되면 트레일러샷시(200)의 길이 내에 위치하는 광폭화물은 통상의 적재프레임(220) 상에 적재되고, 트레일러 샷시(200) 보다 길어 뒷쪽으로 돌출되는 광폭화물은 보조적재프레임(160) 상에 적재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트레일러 샷시(200)보다 길이가 긴 광폭화물을 적재하더라도 트레일러 샷시(200)의 길이를 벗어난 광폭화물(300)의 후단부가 허공에 떠있지 않고 보조적재프레임(160) 상에 지지된다.(도 10 참조)
상기한 상태에서 승강실린더(도시안됨)를 상승시키면 승강실린더 축봉(304)이 상승하면서 트레일러 샷시(200) 상면에 위치한 적재프레임(220)이 포스트(210)축핀을 축으로 도면상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경사설치된다.(도 11참조)
상기에서와 같이 승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적재프레임(220)이 회전하면서 경사설치되면 적재프레임(220) 상면에 적재된 광폭화물(300)도 경사적재되므로 광폭화물(300)을 지지하고 있던 보조적재프레임(160)도 축봉(120)을 축으로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보조적재프레임(160)의 회전축이 되는 축봉(120)의 위치가 포스트(210)와 적재프레임(220)을 연결하는 축핀의 높이와 동일선상에 있어 보조적재프레임(160)이 회전하더라도 광폭화물(300)의 안정된 적재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적재프레임(220)을 따라 보조적재프레임(160)이 도 11에서와 같이 경사설치 완료되면 보조적재프레임(160)의 하단부가 우측지주대(113)에 수평설치된 경사지지축(140)과 접하면서 지지되므로 보조적재프레임(160)을 보다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적재프레임(220) 및 보조적재프레임(160)에 적재된 광폭화물(300)이 경사적재 완료되면 보조적재프레임(160) 하단에 설치된 승강지지대(164)를 이용하여 보조적재프레임(160)이 고정되게 하므로서 보다 안정적인 적재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즉 보조적재프레임(220)이 경사설치완료되면 승강지지대(164)는 자중에 의해 연결편(163)의 축핀(165)을 축으로 직립하면서 고정지지대(170)에 설치된 쟉키(174)의 승강판(176) 상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한 상태에서 레버를 이용하여 쟉키(174)를 작동시키면 승강판(176)이 상승하면서 승강지지대(164)를 밀어올리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쟉키(174)를 적당히 작동시켜 승강판(176)이 승강지지대(164)를 적절한 힘으로 지탱되게 한 상태에서 쟉키(174)의 작동을 멈추고 고정지지대(170)와 승강지지대(164)에 뚫린 체결공(168)(178)이 일치되게 한 다음 고정 핀(179)을 끼워 고정되게 하므로서 보조적재프레임(160)의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보조적재프레임(160) 상에 적재된 광폭화물(300)의 안전한 적재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운송차량을 운행하게 되면 트레일러 샷시(200) 후방으로 길게 돌출된 광폭화물(300)이 보조적재프레임(160)에 지지되므로 운행중 광폭화물(300) 후단부가 울렁거리지 않게 되므로 안전한 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보조적재프레임(160)에는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광폭화물(300) 대부분의 중량이 트레일러 샷시(200)에 위치한 적재프레임(220)의 스토퍼(302)에 의해 지지되므로 문제가 되지 아니할 뿐 아니라 필요한 경우에는 도 9에서와 같이 스토퍼(302)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광폭화물(300)의 운송이 완료되면 필요한 장소에 하치하게 되며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즉 고정지지대(170)와 승강지지대(164)를 고정하고 있던 고정핀(179)을 분리시킨 다음 승강지지대(164)가 고정지지대(170)로부터 이탈되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승강실린더를 작동시켜 축봉(304)이 하강되게 하면 포스트(210)의 축핀을 축으로 적재프레임(160)이 시계회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때 보조적재프레임(16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적재프레임(220)과 보조적재프레임(160)이 수평설치되면 그 위에 적재된 광폭화물(300)도 수평적재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지게차등의 하치수단을 이용하여 광폭화물(300)을 하치하게 되면 운송이 완료된다.
광폭화물(300)의 운송이 완료되어 보조적재장치가 더이상 필요없게 되면 트레일러 샷시(200)의 고정판(210)으로부터 고정대(110)를 분리시켜 별도보관하였다가 필요시 재결합하여 사용하거나 분리시키지 않고 그대로 운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보조적재장치(100)를 구성하는 축봉(120)과 수평지지축(130) 및 경사지지축(140)은 여러개의 상하부 보강대가 이를 지탱하고 있고, 또한 다수개의 연결간(114)을 통하여 이들을 일체형으로 지지케 하므로서 견고한 지탱력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중앙지주대(111)와 좌우측지주대(112)(113)의 하단 일측에 구성된 걸림단턱(117)이 운송차량의 트레일러 샷시(200) 후단부(200')에 걸려 고정되므로 보조적재장치(100) 및 광폭화물(300)의 하중을 견고히 지탱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운송하고자 하는 철판과 같은 광폭화물이 트레일러 샷시의 길이보다 길더라도 트레일러 샷시 배면에 설치된 보조적재장치를 통하여 광폭화물의 후단부를 지지케 하므로서 운송차량의 운행중 울렁거림없이 안전하고 정숙한 운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 장치의 사시도
도 2 : 도 1의 반대쪽에서 본 상태도
도 3 : 도 1의 측면구성도
도 4 : 도 1의 배면구성도
도 5 : 도 1의 상태에서 보조적재프레임을 가변시킨 상태도
도 6 : 도 5의 반대쪽에서 본 상태도
도 7 : 도 5의 측면구성도
도 8 : 도 5의 배면구성도
도 9 : 본 발명 보조적재프레임에 스토퍼를 설치한 상태도
도 10 : 도 1의 상태에서 광폭화물을 적재한 상태도
도 11 : 도 10의 상태에서 광폭화물을 경사적재시킨 상태도
도 12 : 본 발명의 적재장치를 트레일러 샷시로부터 분리시킨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보조적재장치 (110)--고정대
(111)--중앙지주대 (112)--좌측지주대
(113)--우측지주대 (114)--연결간
(117)--걸림단턱 (120)--축봉
(121)--브라켓 (122)--중앙상부보강대
(123)--중앙하부보강대 (130)--수평지지축
(131)--브라켓 (132)--중앙상부보강대
(133)--중앙하부보강대 (140)--경사지지축
(141)--브라켓 (142)--우측상부보강대
(143)--우측하부보강대 (160)--보조적재프레임
(161)--스토퍼 (163)--연결편
(164)--승강지지대 (165)--축핀
(168)--체결공 (170)--고정지지대
(171)--측판 (172)--지지판
(173)--밑판 (174)--쟉키
(175)--축봉 (176)--승강판
(178)--체결공 (179)--고정핀
(200)--트레일러 샷시 (202)--고정판
(210)--포스트 (220)--적재프레임

Claims (5)

  1. 운송차량의 트레일러 샷시(200) 상면에 포스트(210)를 설치하고, 상기 포스트(210) 상에 적재프레임(220)을 승강실린더로 각도가변케 구성한 통상의 광폭화물 운송적재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트레일러 샷시(200) 배면에 고정대(110)를 결합구성하고, 상기 고정대(110) 상에 중앙 상하부보강대(122)(123)와 중앙지주대(111)를 설치하고, 상기 중앙 상하부보강대(122)(123)와 중앙지주대(111) 상에 축봉(120)을 설치하고, 상기 축봉(120)에 보조적재프레임(160)을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므로서 광폭화물(300) 적재시 트레일러 샷시(200) 후방으로 돌출되는 광폭화물이 보조적재프레임(160)에 적재되어 지지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광폭화물 보조적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중앙지주대(111) 좌우측에 좌측지주대(112)와 우측지주대(113)를 직립설치하고, 상기 좌우측 지주대(112)(113) 상에 수평지지축(130)과 경사지지축(140)이 수평설치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광폭화물 보조적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중앙지주대(111) 하단 일측에 걸림단턱(117)이 구성되게 하고, 상기 걸림단턱(117)이 트레일러 샷시(200) 후단부(200')에 걸려 고정되게 하므로서 보조적재장치(100)의 하중을 견고히 지탱할 수 있게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 로 하는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광폭화물 보조적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축봉(120) 후단부에 연결간(114)을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연결간(114) 일측 단부에 고정지지대(170)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고정지지대(170)의 밑판(173) 상에 쟉키(174)를 설치하고, 상기 쟉키(174)의 축봉에 승강판(176)을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광폭화물 보조적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보조적재프레임(160) 일측 단부에 연결편(163)을 구성하고, 상기 연결편(163)에 승강지지대(164)를 축핀(165)으로 연결구성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광폭화물 보조적재장치.
KR1020070133413A 2007-12-18 2007-12-18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광폭화물 보조적재장치 KR100898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413A KR100898543B1 (ko) 2007-12-18 2007-12-18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광폭화물 보조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413A KR100898543B1 (ko) 2007-12-18 2007-12-18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광폭화물 보조적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8543B1 true KR100898543B1 (ko) 2009-05-20

Family

ID=40862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3413A KR100898543B1 (ko) 2007-12-18 2007-12-18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광폭화물 보조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54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829B1 (ko) 2010-03-29 2011-10-25 주식회사 동화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보조적재프레임 장치
KR101092284B1 (ko) 2010-06-21 2011-12-13 주식회사 동화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적재프레임장치
KR101092283B1 (ko) 2009-06-15 2011-12-13 주식회사 동화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적재프레임 각도가변장치
KR200458191Y1 (ko) * 2009-10-22 2012-01-30 주식회사 동화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보조적재프레임 장치
KR101128582B1 (ko) * 2009-10-20 2012-03-26 정주영 광폭 화물 운송용 차량의 적재 프레임 가변 장치
KR101303913B1 (ko) 2012-06-19 2013-09-05 주식회사 동화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보조적재프레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141B1 (ko) 2005-04-12 2006-01-24 (주)동연물류 광폭 판체 적재용 각도 가변 장치
KR100556063B1 (ko) 2004-09-18 2006-03-07 주식회사 삼성물류 광폭화물 운송용 차량의 적재프레임 가변장치
JP2007050830A (ja) 2005-08-19 2007-03-01 Tokyu Car Corp トレー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063B1 (ko) 2004-09-18 2006-03-07 주식회사 삼성물류 광폭화물 운송용 차량의 적재프레임 가변장치
KR100545141B1 (ko) 2005-04-12 2006-01-24 (주)동연물류 광폭 판체 적재용 각도 가변 장치
JP2007050830A (ja) 2005-08-19 2007-03-01 Tokyu Car Corp トレーラ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283B1 (ko) 2009-06-15 2011-12-13 주식회사 동화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적재프레임 각도가변장치
KR101128582B1 (ko) * 2009-10-20 2012-03-26 정주영 광폭 화물 운송용 차량의 적재 프레임 가변 장치
KR200458191Y1 (ko) * 2009-10-22 2012-01-30 주식회사 동화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보조적재프레임 장치
KR101075829B1 (ko) 2010-03-29 2011-10-25 주식회사 동화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보조적재프레임 장치
KR101092284B1 (ko) 2010-06-21 2011-12-13 주식회사 동화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적재프레임장치
KR101303913B1 (ko) 2012-06-19 2013-09-05 주식회사 동화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보조적재프레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8543B1 (ko)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광폭화물 보조적재장치
JP5234692B2 (ja) 運搬車両
KR101712189B1 (ko) 지게차를 이용한 거푸집 운반 지그
JPS591625B2 (ja) ヘイコウシヤリヨウヨウノツリアイオモリトリツケクミタテタイ
JP2012515273A (ja) 無避譲型立体駐車ガレージの駐車デッキ構造
KR200380856Y1 (ko) 트레일러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적재프레임의 구조
US20140231067A1 (en) Base beam and self-propelled derrick rig assembly
JP7023581B2 (ja) 杭打機
US20140231098A1 (en) Methods of supporting a self-propelled derrick rig
US20140232094A1 (en) Counterweight assembly for a self-propelled derrick rig assembly
KR200458191Y1 (ko)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보조적재프레임 장치
KR101303913B1 (ko)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보조적재프레임장치
KR101075829B1 (ko)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보조적재프레임 장치
KR100885046B1 (ko)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적재프레임 각도가변을 위한 전방승강실린더의 결합구조
JP4121023B2 (ja) ステップ一体型荷受台昇降装置
JP4401919B2 (ja) 仮設道路
JP4567759B2 (ja) コンテナによる自動車輸送用の支持台
KR100807183B1 (ko)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적재프레임 지지장치
CN214215566U (zh) 自卸车厢
JP4914130B2 (ja) クライミングクレーン
KR200449916Y1 (ko) 트레일러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적재프레임의 구조
KR100807173B1 (ko)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적재프레임 지지장치
CN210793341U (zh) 一种适用于工业车辆的车架连接加强结构
JP2007326712A (ja) トラック用簡易型クレーン
KR20080097804A (ko)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평판형 적재프레임 및 그 가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