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1757B1 - 혼합주출장치 - Google Patents

혼합주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1757B1
KR100791757B1 KR1020037013165A KR20037013165A KR100791757B1 KR 100791757 B1 KR100791757 B1 KR 100791757B1 KR 1020037013165 A KR1020037013165 A KR 1020037013165A KR 20037013165 A KR20037013165 A KR 20037013165A KR 100791757 B1 KR100791757 B1 KR 100791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unit
pair
plate
edg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3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9287A (ko
Inventor
진보게이지
하마다도모미
이시카와게이코
아오키요시에
가쿠타요시유키
도마도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가네보케쇼힝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가네보케쇼힝,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가네보케쇼힝
Publication of KR20040019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1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1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28Nozzles, nozzle fitt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5D83/285Nozzles, nozzle fitt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applying the contents, e.g. brushes, rollers, pads, spoons, razors,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8Dispensing two or more contents, e.g. sequential dispensing or simultaneous dispensing of two or more products without mixing them

Abstract

좌우에 병렬로 인접하여 배치된 한 쌍의 용기의 주출노즐을, 용기를 잡은 한쪽 손의 손가락 끝의 조작에 의해, 동시에 밀어내려, 혼합하면서 외부에 주출하는 혼합주출장치에 있어서, 혼합주출장치를, 용기(33)의 상단부에 단단히 끼워맞춤되는 장착체(26)와, 주출노즐(35)이 끼워맞춤되는 한 쌍의 단차구멍(23)을 하면 양측부에 형성함과 동시에, 상면 중앙에 주출통(19)을 세워 설치하여, 이 주출통(19)이 형성하는 주출구와 상기 단차구멍(23)을 연이어 통하게 하는 주출통로(21)를 내부에 형성한 통로블록체(17)를 갖고, 주출노즐(35)에 착탈이 자유롭게 끼워맞춤되는 캡 유니트(8)로 구성하는 것, 장착체(26) 및 캡 유니트(8) 중 어느 한쪽에 수직으로 설치한 한 쌍의 조작판(55)과, 다른쪽의, 이 조작판(55)에 대향하는 부분과의 사이에, 조작판(55)의 가로방향으로의 누름조작에 의해, 캡 유니트(8)에 끌어내리는 힘을 작용시키는 작용기구를 형성함으로써, 한 쌍의 주출노즐을 동시에 밀어내리는 부분을, 간단히 또한 안정하게 하강변위시킬 수 있도록, 또한 사용후, 주출통로형성부분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씻어 낼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혼합주출장치{MIXER/EXTRACTOR}
본 발명은 주출노즐을 가진 한 쌍의 용기로부터 동시에 내용물을 분출시킴과 동시에, 이 양 분출내용물을 혼합하여, 주출하는 혼합주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떤 종류의 염색제와 같이, 2종의 약액을 사용시에 주출하는 타입의 장치로서, 일본 특허공개 1992-102516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약액을 개개에 에어러졸 용기(aerosol container)에 수납하여, 사용시에, 이 한 쌍의 에어러졸 용기로부터 내용물인 약액을 동시에 분출시킴과 동시에, 이 분출한 약액을 공통의 구멍으로부터 주출하는 용기, 및 이것을 혼합하여 브러시를 이용하여 두발 등에 도포하는 것이다.
이 종래기술의 장치는 약액을 수납한 한 쌍의 에어러졸 용기와, 상기 두 개의 에어러졸 용기를 병렬로 인접하여 수납하는 바닥을 가지는 용기 케이스와, 이 용기케이스의 상단개구부를 막는 형태로 힌지결합되어, 하면에 각 에어러졸 용기의 주출노즐이 끼워맞춤되어 맞부딪치는 단차구멍과, 상면에 주출구와, 그리고 양 단차구멍과 주출구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한 가이드부재 및 수납케이스의 외측의 앞에 매달린 누름동작레버를 가지는 가동커버로 구성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용기를 잡은 한쪽 손의 손가락으로 누름동작레버를 용기케이스측에 누르는 것에 의해, 힌지결합부를 축으로 하여 가이드부재를 아래쪽으로 기울여 이동시킨다. 이 움직임에 따라 한 쌍의 에어러졸 용기의 주출노즐을 동시에 밀어내려 개방하여, 양 에어러졸 용기의 약액을, 단차구멍과 통로을 통해 내보내지고, 주출구를 지나서 함께 바깥쪽으로 주출된다. 따라서, 이 종래기술은 1개의 누름동작레버에 대한 간단한 누름조작에 의해, 2개의 에어러졸 용기의 내용물을, 동시에 또한 일체로 혼합한 상태, 즉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토출하여, 그대로 브러시를 이용하여 도포한다고 하는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주출구를 설치한 가동커버를 용기케이스에 힌지결합해야 한다. 이 부착구조는 간결하지 않고, 또 한쪽에 대한 힘의 작용에 의한 가동커버를 아래쪽으로 기울여 누르므로써, 각 에어러졸 용기의 주출노즐을 개방된다. 이 때문에, 상기 종래기술은 두 개의 에어러졸 용기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의 양이 불균등하게 되어, 사용자는 이 불균등을 인식하지 않고 부적절한 혼합비로 사용하여 버리는 등의 우려가 있었다.
마찬가지로, 가동커버를 아래쪽으로 기울여 누르므로써 에어러졸 용기의 주출노즐을 개방하기 때문에, 상기 주출노즐과 가동커버의 단차구멍과의 사이의 시일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또 하나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누름동작레버는 휨변형 하지 않은 경질구조물이고, 이 경질인 누름동작레버가 용기의 앞쪽으로 돌출위치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용기의 취급시 및 저장시에, 돌출한 누름동작레버가 방해가 된다고 하는 또 하나의 문제가 있었다.
이 힌지결합 때문에, 내용물의 주출통로를 형성하는 부분, 및 브러시 부분 을, 주출노즐을 갖은 용기에의 부착부분과 간단히 분리시킬 수 없다. 이 때문에 반복하여 사용하는 것에 있어서의 주출통로형성부분 및 브러시부분의 세정을 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주출통로형성부분은 가동커버와 가이드부재와의 조합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구성으로부터는, 양 부분의 분리가 용이하다고는 생각하기 어렵다. 상기 가동커버와 가이드부재는 오히려 확실한 시일성을 얻기 위한 고정이 되어 있기 때문에, 가령 주출통로형성부분을 주출노즐을 갖은 용기에의 조립부분과 분리시키더라도, 통로내를 세정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용기를 잡은 한쪽 손의 손가락의 조작에 의해, 에어러졸 용기, 펌프식 용기 등의 주출노즐을 곧장 아래쪽으로 내릴 수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 부품사이의 분해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그리고 상시 적절하게 사용할 수가 있고, 또한 세정 가능한 혼합주출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용기의 주출노즐을 밀어 내리는 부분을, 간단하게 또한 안정하게 하강변위시키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그리고 내용물을 주출하는 부분의 자세를 일정하게 하는 동시에, 강고하고 안정한 시일성을 확보하여, 더욱 양호하고 안전한 취급성을 갖은 혼합주출장치를 얻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에어러졸식, 펌프식 등의 주출노즐을 갖은 용기안의 내용물의 주출통 로를 형성하는 부분 및 브러시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그리고 사용후, 주출통로 형성부분 및 브러시부분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충분히 씻어 낼 수 있는 혼합주출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중,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좌우에 병렬로 인접하며, 개폐기능을 가지는 주출노즐이 각각 마련된 한 쌍의 용기와,
한 쌍의 용기 몸체의 상단부에 단단히 끼워맞춤되는 타원형 실린더, 상기 타원형 실린더의 상단에 배치되는 내향의 첨단 테두리(top inward brim) 및, 상기 주출노즐이 돌출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용기 몸체의 상단부에 단단히 끼워맞춤되는 장착체와,
상기 주출노즐에 착탈이 자유롭게 조립 고정되며, 통로블록체가 마련된 캡 유니트로서, 상기 주출노즐이 아래쪽으로부터 기밀하게 끼워 넣어지며 양측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단차구멍과, 이 유니트의 상면 중앙에 배치되어 주출구를 형성하는 주출통과, 상기 단차구멍을 이 주출구에 연결하는 주출통로를 구비하는 캡 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통로블록체(17)의 앞뒷면의 중앙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타원형 실린더(27)의 앞뒷벽을 따라 달아매어지는 한 쌍의 매달림판(51)와, 상기 한쌍의 매달림판(51) 또는 타원형 실린더(27) 중 어느 한 쪽의 하단부로부터 연장하는 한 쌍의 조작판(55)와, 이 조작판(55)상에 경사가이드면(16a)을 각각 마련하고, 경사가이드면(16a)의 첨단이 상기 타원형 실린더(27)의 하단부이하의 높이에서 상기 한쌍의 용기(33) 몸체의 인접부에 형성되는 골짜기 형상부에 반대부분에 배치되는 하강가능한 돌출부(16) 및, 상기 매달림판(51) 또는 타원형 실린더(27)의 다른 한쪽에, 상기 경사가이드면(16a)에 반대위치에 배치되는 한쌍의 접촉에지(57)를 더욱 구비하며, 조작판(55)을 가로방향으로 누름에 의한, 경사가이드면(16a)과 접촉에지 (57)와의 미끄럼운동에 의해, 캡 유니트(8)에 끌러내리는 힘을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청구항 1의 상기 구성에 의해, 혼합주출장치의 조립은 병렬로 인접배치된 한쌍의 용기의 상단부에 장착체를 기밀하게 끼워맞춤하고, 상기 장착체를 걸치는 자세로 이 장착체에 캡 유니트를 끼워맞춤하는 것에 완료된다. 상기 주출노즐은 캡 유니트의 끼워맞춤에 의해, 타원형 실린더의 내향의 첨단 테두리의 개구부의 돌출부분을 가지고, 상기 노즐은 캡 유니트의 단차구멍에 기밀하게 끼워맞춤된다. 한쌍의 조작판은 매달림판 또는 타원형 실린더의 어느 한쪽의 하단부로부터 연장하고, 한쌍의 하강가능한 돌출부를 마련한다. 상기 접촉에지는 상기 매달림판 또는 타원형의 다른 한쪽에 배치되고, 하강가능한 돌출부상에 각 경사가이드면과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한쌍의 조작판은 상기 혼합주출장치의 앞뒤에 위치된다. 장치를 잡는 엄지와 검지의 손가락으로, 이 한 쌍의 조작판을 가로방향으로 누르면, 접촉에지에 접하는 하강가능한 돌출부상의 경사가이드면의 작용에 의해, 캡 유니트가 통로블록체와 함께 양 용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끌어내려진다. 이에 따라 양 용기의 주출노즐이 같이 밀어 내려진다.
상기 조작판상에 상기 하강가능한 돌출부는 간단한 구조로 접촉에지와 연결된다. 상기 조작판에의 가로방향의 누름에 의해, 접촉에지가 경사가이드면에 접촉, 이 경사가이드면상을 경사 위 혹은 경사 아래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조작판에의 가로방향의 누름동작을, 경사면의 작용에 의하여 확실하게 수직의 동작으로 변환하여, 캡 유니트를 용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끌어내리는 힘을 캡 유니트에 작용시킨다.
주출노즐이 밀어 내려지면, 양 용기내의 내용물이 주출노즐로부터 분출되어, 양 단차구멍으로부터 각 통로를 지나서 주출통내에 진입하여, 여기서 합류하면서 주출장치로부터 외부에 주출된다.
양 주출노즐의 끌어내림, 또는 캡 유니트의 통로블록체의 끌어내림은, 이 통로블록체의 전후면 중앙부로부터 수직 설치된 양 매달림판의 용기 및 장착체에 대한 상대적인 끌어내림에 의하여 달성되므로써, 통로블록체는 기울어짐 없이, 단차구멍과 주출노즐과의 사이에 시일을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양 주출노즐은 동시에 개방조작되는 것으로 되고, 또한 주출통은 그 자세를 경사 이동변화시키는 일이 없다.
캡 유니트의 통로블록체는, 양 조작판이 눌러지지 않는 한, 하강변위하지 않기 때문에, 본의 아니게 한 쪽의 조작판이 눌러졌다고 해도 하강변위하지 않고, 용기의 내용물을 불합리하게 주출하는 일이 없다.
또한, 캡 유니트는 착탈이 자유롭게 주출노즐에 끼워맞춤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후의 세정시에, 필요에 따라서 주출노즐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삭제
삭제
삭제
청구항 3의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반원형 연결가이드부 는 상기 타원형 실린더의 상기 내향의 첨단 테두리의 에지로부터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고, 가이드 슬릿은 상기 통로 블록체의 일부에서 개방되고 상기 가이드부가 가이드 슬릿를 통해 상하로 용이하게 활주될 수 있도록 상향의 반원형 연결가이드부가 끼워맞춤되는 것에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청구항3의 상기 구성에서, 상기 통로블록체 또는 캡 유니트는 연결가이드부에 따라 상하로 미끄럼운동하도록 한 가이드 슬릿에 의해, 상하운동을 안전하게 달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 또는, 3의 발명에 있어서, 용기는 에어러졸 용기를 사용하는 한 것에 있다.
청구항 4의 상기 구성에 의해, 양 조작판의 누름조작에 의해 용기의 주출노즐이 열린 상태가 되고, 내용물이 분출, 양 단차구멍으로부터 각 통로를 지나서 주출통내에 진입하여, 여기서 합류하고 혼합주출장치로부터 외부에 주출된다.
양 용기의 주출노즐이 통로블록체에 의해 기울어지는 일 없이, 동일하게 밀어내려지기 때문에, 고압으로 분출하는 에어러졸 용기에 있어서도 충분한 시일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양 용기의 내용물의 혼합을 균일하게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 3 또는 4 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매달림판의 하단부에 해당 매달림판의 연장부로서 각각 배치되는 조작판과,
타원형 실린더의 하면 가장자리의 일부인 하부 접촉에지로 하여 사용되는 접 촉에지와,
상기 조작판의 상기 하부 접촉에지에 대향하는 내면 부분에 배치되는 한 쌍의 하강가능한 돌출부로서, 상기 하강가능한 돌출부의 각각은 상기 하부 접촉에지와 미끄럼접촉하도록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가이드면을 가지는 한 쌍의 하강가능한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캡 유니트가 상기 주출노즐에 의해 밀어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경사가이드면은 하부 접촉에지와 접촉하는 높이로부터 적어도 상기 주출노즐을 개방할 수 있는 높이까지 위쪽으로 연장되는 것에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상기 구성에 의해, 장착체의 타원형 실린더의 하단부를 변형없는 접촉에지로 하여, 매달림판을 그대로 연장하여 조작판으로 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의 조작판을 형성할 수가 있다.
상기 조립된 혼합주출장치는 손으로 잡으며, 장치를 잡은 한쪽 손의 엄지와 검지로 장치의 앞뒷면에 양 조작판을 잡도록 누르면, 장착체를 안쪽아래방향으로 경사진 경사가이드면에 따라, 하부 접촉에지가 용기, 장착체와 동시에 일어나, 즉 캡 유니트가 통로블록체와 함께 용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내려지고, 이에 따라 양 용기의 주출노즐이 같이 충분히 밀어내려진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5의 발명의 구성에,
타원형 실린더의 앞뒤면의 각각에, 매달림판 및 조작판의 양쪽에 근접한 수직 위치에서, 상기 매달림판 및 조작판의 바깥면보다도 더 높은 위치로 가로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판이 설치되는 것에 있다.
청구항 6의 상기 구성에 의해, 캡 유니트의 매달림판 및 조작판을 장착체의 지지판이 좌우에서 지지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다른 물품의 매달림판 및 조작판에 대한 걸림에 의해, 캡 유니트의 자세가 경사이동변위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용기가 다른 물품에 앞뒤로부터 끼어진 상태가 되더라도, 기타의 물품에 대한 지지판의 충돌에 의해, 양 조작판이 동시에 눌러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조작판의 하단부에서 조작판의 폭을 넓힘으로써 각 조작판의 양측에 걸어멈춤단차(step latch)가 형성되고, 걸어멈춤단차가 지지판의 하부 에지를 타고 넘어가서 걸어멈춤되는 것에 있다.
청구항 7의 상기 구성에 의해, 걸어멈춤단차와 지지판 하부 에지의 타고넘는 걸어멈춤에 의해, 본의 아니게 캡 유니트의 떼어짐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에 있어서, 걸어멈춤단차가 지지판의 하부 에지를 타고 넘어갈 때에, 탄성복원변형에 의해 걸어멈춤소리가 발생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8의 상기 구성에 의해, 걸어멈춤단차와 지지판의 하부 에지의 타고넘는 걸어멈춤에 의해 캡 유니트의 용기 및 장착체에의 조립이 완료되지만, 이 조립상태를 타고 넘는 걸어멈춤시의 소리로 확인할 수가 있고, 안전성이 뛰어나서, 안심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 3 또는 4중 어느 한항의 발명에 있어서, 각 매달림판의 대략 중앙높이로부터 하단부에 걸친 부분에 양 매달림판에 형성된 창문형상의 개구부(window-like opening)와,
매달림판의 하단부로부터 바닥벽을 통해 위방향으로 연장되는 각 매달림판의 연장된 부분에 배치된 조작판과,
타원형 실린더의 하단부의 앞뒷면의 중앙부의 위치로부터 한 쌍의 외향 테두리(outward brim)와,
접촉에지를 상기 외향 테두리의 하부 가장자리의 일부인 하부 접촉에지로 하는 접촉에지와,
상기 하부 접촉에지가 매달림판의 개구부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각 조작판의 내부면에 배치되는 하강가능한 돌출부로서, 각 돌출부는 하부 접촉에지와 미끄럼접촉하도록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가이드면을 가지며, 용기와 장착체와 캡 유니트를 조립한 후, 캡 유니트가 상기 주출노즐로 밀어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면은 하부접촉에지와 접촉하는 높이로부터 적어도 주줄노즐을 충분히 개방할 수 있는 높이까지 위쪽으로 연장되는 하강가능한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상기 구성에 의해, 조작판을 매달림판의 하단부로부터 바닥벽을 통해 위방향으로 연장하고, 접촉에지를 상기 외향 테두리의 하부 가장자리로 하고 있기 때문에, 경사가이드면과 접촉에지와의 접촉을 타원형 실린더의 바깥벽에서 떨어진 위치에 배치할 수가 있고, 조작판의 누름동작에 있어서의, 변위폭을 크게 잡을 수 있어, 주출노즐의 밀어내림 거리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10의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 3 또는 4중 어느 한항의 발명에 있어서,
창문형상의 개구부를 가지며, 타원형 실린더의 앞뒷면의 중앙부의 하단부를 연장하여 바닥벽에 도달하는 한 쌍의 연장판과,
상기 연장판의 하부 에지로부터 바닥벽을 통해 윗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조작판과,
대략 중앙높이의 부분에 배치된 창문형상 개구부를 각각 가지는 한 쌍의 매달림판과,
접촉에지를 이 개구부의 전체의 바닥측의 일부인 상부 접촉에지로 하는 접촉에지로서, 바닥측 상의 상기 상부 접촉에지는 연장판의 개구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매달림판의 하부부분은 상기 연장판과 조작판 사이에 끼워지는 접촉에지와,
각 조작판의 내부면에 배치되는 하강가능한 돌출부로서, 상기 돌출부는 상부 접촉에지에 대향하고, 바닥측 상에서 상부 접촉에지와 미끄럼접촉하도록 상향으로 경사진 경사가이드면을 가지며, 용기와 장착체와 캡 유니트를 조립한 후, 캡 유니트가 상기 주출노즐로 밀어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면은 상부 접촉에지와 접촉하는 높이로부터 적어도 주줄노즐을 충분히 개방할 수 있는 높이까지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하강가능한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으로 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타원형 실린더에 조작판을 결합하여, 매달림판에 창문형상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부 접촉에지를 설치하는 구성이고, 조작판의 누름조작에 의해 캡 유니트가 끌어내려진다. 용기의 들어올림 동작을 따르지 않기 때문에, 주출동작을 안정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 3, 4, 5, 9 또는 10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조작판의 미끄럼짐가능한 돌출부에는 접촉에지에 걸어멈춤하는 잠금부(locking part)가 마련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1의 상기 구성에 의해, 잠금부와 접촉에지와의 걸어멈춤에 의해, 본의 아니게 캡 유니트의 떼어짐을 방지한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잠금부가 접촉에지의 아래쪽으로 미끄러져 들어가 고정될 때에 야기되는 탄성복원변형에 의해 걸어멈춤소리가 발생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2의 상기 구성에 의해, 잠금부가 접촉에지의 아래쪽으로 미끄러져 들어가 고정될 때에, 캡 유니트의 용기 및 장착체에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 조립상태를 타고넘는 걸어멈춤시의 소리로 확인할 수가 있어, 안전성이 뛰어나고, 안심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다수의 얇은 브러시편이 설치되고 캡 유니트에 끼워맞춤되는 브러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한 쌍의 용기로부터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브러시로 보내고, 내용물이 상기 브러시의 상단면에 그 안쪽으로부터 주출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3의 상기 구성에 의해, 한 쌍의 용기의 내용물을 혼합한 상태에서, 직접 브러시상에 주출할 수가 있고, 용이한 조작으로 두발 등에 도포할 수가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3의 발명에 있어서, 블록본체 (main block body)와 바닥판(bottom plate)을 구비하며, 캡 유니트에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통로블록체로서, 상기 블록본체는, 그 중앙부의 상단에 배치되며 혼 합막대(mixing rod)가 관통하여 세워 설치되는 주출통과, 아래쪽으로 개방하도록 상기 블록본체의 아래에 형성되는 통로벽(passage wall)을 가지며, 상기 바닥판은 상기 블록본체의 뒤쪽 하부 에지에 힌지에 의해 연결되며, 주출노즐이 단단히 끼워맞춤되는 한 쌍의 단차구멍과, 아래쪽으로부터 통로벽으로 단단히 끼워맞춤되어 주출통로를 형성하는 돌출 통로부재(projected passage member)와, 바닥판의 중앙부분으로부터 매어 달린 탭(tab)이 상기 바닥판에 설치되는 통로블록체와,
타원형의 메인 조작통(main operating cylinder)과, 메인 조작통의 상단부분에 연결된 정상판과, 정상판의 내향 테두리(inward brim)로부터 세워설치되는 타원형의 끼워맞춤 가이드부(elliptic fitting guide)와, 정상판의 중앙으로부터 매어 달려지고 타원형의 끼워맞춤 가이드부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영역으로의 출구를 가지는 수직의 통로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혼합막대를 수직의 통로통에 삽입하고 주출통을 수직의 통로통에 단단히 끼워맞춤하여 통로블록체를 메인 조작통에 착탈가능하게 조립하는 캡 유니트와,
정상판을 덮는 돔형상 부착부(dome attachment)와, 돔형상 부착부 안쪽에 배치되며 타원형 끼워맞춤 가이드부에 단단히 끼워맞춤되는 기밀끼워맞춤 통벽(tight -fitting cylindrical wall)과, 돔 공간을 기밀끼워맞춤 통벽 내에서 해당 브러시의 바깥쪽에 연결하는 슬릿형상 주출구(slit-like discharge port)와, 돔형상 부착부의 상단판 위에 주출구 주위에 세워 위치되는 다수의 얇은 브러시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캡 유니트에 끼워맞춤되는 브러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이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혼합주출장치는, 브러시와 캡 유니트와 통로블록체와의 조합물인 도포체, 즉 내용물의 주출통로형성부분과 브러시로 구성되는 부분과, 장착체, 즉 용기에의 조립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브러시는, 상기 기밀끼워맞춤 통벽을 캡 유니트의 타원형 끼워맞춤 가이드부에 끼워맞춤에 의해, 캡 유니트에 끼워맞춤되고, 또한 캡 유니트에 대하여 통로블록체는, 탭을 잡아 끌어내리는 것에 의해, 간단히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의 주출노즐에 대하여 통로블록체는 도포체를 장착체로부터 위쪽으로 분리시키는 것과 함께 분리한다.
통로블록체는 캡 유니트 및 용기의 주출노즐로부터 분리되어, 혼합막대가 개방되고, 또한 그 블록본체에 대하여 바닥판을 회전운동개방함에 의해, 주출통로를 형성하는 주출통내와 상부 접촉에지와 돌출 통로부재와 양 단차구멍내를 개방하여, 그 주출통로형성부분의 전부를 개방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용이하게 또는 충분히 씻어 낼 수 있다.
브러시는 캡 유니트에 단단히 끼워맞춤된다. 양자를, 착탈이 자유롭게 하거나 또는 분리불가능하게 하는가는 목적에 따라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적어도 캡 유니트를 장착체로부터 떼어내서, 통로블록체를 분리한 상태에서, 브러시와 캡 유니트의 조합물을 세정할 수가 있고, 잔존하는 내용물을 충분히 씻어 낼 수 있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4의 발명에 있어서, 브러시는 캡 유니트에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있다.
브러시와 캡 유니트는 단단히 끼워맞춤된 상태라도 충분히 세정이 가능하다. 청구항 15의 상기 구성에서, 브러시와 캡 유니트를 분리할 수가 있어, 높은 세정효과를 얻을 수 있어, 잔존하는 내용물을 용이하게 또한 충분히 씻어 낼 수 있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4의 발명에 있어서, 브러시는 캡 유니트에 착탈이 불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상기 구성에 의해, 브러시와 캡 유니트의 조합물은, 주출통로 형성부분의 전부를 개방하는 것은 아니지만, 캡 유니트를 장착체로부터 떼어내어, 통로블록체를 분리한 상태에서, 브러시와 캡 유니트의 조합물을 세정할 수가 있고, 또한 구조가 간단한 형상이기 때문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씻어낼 수 있다.
또한, 캡 유니트에 대한 브러시의 끼워맞춤이 강고하게 확보되기 때문에, 브러시의 안정한 사용상태와 확실한 시일성을 얻을 수 있다. 브러시와 작동 유니트를 분리시키지 않는 만큼, 분해취급 및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4, 15 또는 16의 발명에 있어서, 용기를 에어러졸 용기로 하는 것에 있다.
통상, 에어러졸 용기의 주출노즐을 손가락으로 누르면, 상당한 누르는 힘을 필요로 한다. 또한 그 밀어내림의 스트로크가 짧기 때문에 주출량의 가감을 하기 어렵지만, 청구항 17의 상기 구성은 캡 유니트에 의해 통로블록체를 통해 주출노즐에 밀어내리는 힘을 작용시키는 것으로, 비교적 작은 힘으로, 주출량을 가감하면서 내용물을 주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18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4, 15, 16 또는 17의 발명에 있 어서, 혼합막대는 끝이 무딘 첨단(blunt-headed tip)으로 하는 것에 있다.
통로블록체를 캡 유니트에 끼워맞춤할 때에 혼합막대를 캡 유니트의 수직의 통로통에 삽입하지만, 청구항 18의 상기 구성에 의해, 혼합막대의 앞 끝단을 걸지 않고 원활하게 삽입할 수가 있고, 조립시에 있어서의 혼합막대의 파손을 방지할 수가 있다.
청구항 19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4, 15, 16, 17 또는 18의 발명에 있어서, 보강리브(reinforcing rib)가, 수직의 혼합막대의 하단부를 보강하기 위하여 마련되고, 리브가 유체유로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서 주출통의 주둥이 부분에 위치되는 것에 있다.
통로블록체와 캡 유니트와의 끼워맞춤, 또는 떼어낼 때에 있어서, 다른 부재에 거는 등으로, 본의 아니게 혼합막대에 힘이 걸리면, 수직의 혼합막대의 하단부에 응력집중이 발생하지만, 청구항 19에 기재된 보강리브에 의해, 이 응력집중을 완화하여 혼합막대의 파손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의, 장착체와 캡 유니트를 반종단한 정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의, 오른쪽은 용기 중심부, 좌측은 혼합주출장치 중심부에서 장착체와 캡 유니트를 반종단한 측면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예의, 전체평면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예의 장착체와 캡 유니트와의 조합물의 저면도이다.
삭제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타고넘는 걸어멈춤의 상태를 종단면으로 나타낸 주요부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타고넘는 걸어멈춤의 상태를 부분적인 사시도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는 제 5 실시예의 우측은 용기 중심부, 좌측은 혼합주출장치 중심부에서 장착체와 캡 유니트를 반종단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제 6 실시예의, 우측은 용기 중심부, 좌측은 혼합주출장치 중심부에서 장착체와 캡 유니트를 반종단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실시예의, 일부를 남긴 종단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나타낸 실시예의 불규칙 종단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나타낸 실시예의 브러시의 종단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브러시의 종단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1에 나타낸 실시예의 캡 유니트의 종단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캡 유니트의 반종단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1에 나타낸 실시예의 통로블록체 개방상태의 일부를 남긴 종단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1에 나타낸 실시예의, 장착체의 반종단정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캡 유니트와 브러시의 끼워맞춤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한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21은 장착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한 정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의 결합체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통로블록체의 다른 실시예의, 개방상태의 일부를 남긴 종단측면도이다.
도 24는 도 23 중 A-A선을 따라 절단 화살 표시한 평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다. 용기(33)는 폐쇄된 끝단을 가지며, 긴 원통형상을 한 에어러졸, 금속제 용기이다. 각 용기는 용기의 원통체의 지름이 줄어든 입구부를 가진다. 밸브에 의한 개폐기능부를 구비한 주출노즐(35)를 갖는 금속제 또는 경질수지제의 캡을 코킹고정하여 머리부(34)를 상기 입구부에 끼워맞춤한다. 주출노즐(35)은 이 머리부(34)상면에 일어선 상태로 되어 있다.
장착체(26)(도 1, 도 2, 도 3, 도 5 참조)는, 좌우에 병렬로 인접 배치된 한 쌍의 용기(33)의 상단부에 주위에 단단히 끼워맞춤되는 타원형 실린더(27)를 구비한다. 내향의 첨단 테두리(28)는 타원형 실린더(27)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이 테두리는 장착체(26)에 개구부(29)를 형성한다. 이 내향의 첨단 테두리(28)의 하면의 좌우 양단부에, 원호 형상의 하향끼워맞춤 가이드부(downward fitting guide)를 매달아 설치한다. 이 가이드부(31)는 머리부(34) 바로 아래의 원형홈부(circular groove)(34a)에 언더커트결합(undercut engagement)에 의해 용기(33)의 머리부(34)에 바깥 반원형에서 끼워맞춤된다. 내향의 첨단 테두리(28)의 상면의 개구부(29) 좌우개구 가장자리에, 반원형 연결가이드부(30)을 세워 설치한다. 또한 타원형 실린더(27)의 앞뒤 표면의 중앙부에, 세로돌출조형상의 지지판(32)을 간격을 두고 1쌍씩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장착체(26)는 병렬로 인접 배치된 한 쌍의 용기(33)에 위쪽으로부터 끼워지는 형상으로 조립함으로써, 양 하향끼워맞춤 가이드부(31)이 용기(33)의 머리부 (34)에 강고하게 또한 부동하게 결합하고, 주출노즐(35)은 개구부(29)로부터 돌출한 상태가 된다.
장착체(26)의 메인 본체는 타원형 실린더(27)를 구비한다. 장착체(26)은 한 쌍의 용기(33)에 바깥에서 끼운 상태에서는, 장착체의 앞뒤벽의 중앙부분과 양 용기(33)와의 사이에, 양 용기(33)의 인접부에 형성되는 골짜기형상부에 의해, 공간이 형성된다.
캡 유니트(8)(도 1, 도 2, 도 3, 도 4 참조)는 통로블록체(17)와 한 쌍의 매달림판(51)을 구비하다. 이 통로블록체(17)은 원형의 단차구멍(23)을 마련하고, 주출노즐(35)이 하면에 단단히 끼워맞춤되어, 맞부딪치는 단차구멍(23)을 형성한다. 주출통(19)은 상면의 중앙에 배치되며, 주출구를 형성하는 이 캡 유니트(8)의 상면에 세워 설치한다. 통로블록체(17)는 원형의 단차구멍(23)과 주출구를 연결하는 주출통로(21)를 또한 형성한다. 가이드 슬릿(17a)은 통로블록체(17)의 일부내 에 개방되고, 반원형 연결가이드부(30)는 상하로 미끄럼운동 쉽게 가이드 슬릿(17a )에 끼워맞춤된다. 한 쌍의 매달림판(51)은 통로블록체(17)의 앞뒤표면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며, 타원형 실린더(27)의 앞뒤벽에 아래쪽으로 매달리고, 조작판(55)은 이 매달림판(51)을 연장하여 마련된다.
단차구멍(23)을 주출노즐(35)에 장착한 상태에서, 타원형 실린더(27)의 앞뒤의 하면가장자리인 하부 접촉에지(57a)에 대향하는 양 조작판(55)의 하단부의 안쪽면에는, 상면을 경사가이드면(16a)로 한 삼각판형상을 한 좌우 한 쌍의 하강가능한 돌기부(16)이, 그 경사가이드면(16a)의 하단부를, 타원형 실린더(27)의 하부 접촉에지(57a)에 가볍게 접촉시켜서 설치되어 있고, 이 하강가능한 돌기부(16)이 설치된 조작판(55)의 하단부의 바깥쪽에는, 두꺼운 누름버튼(52)이 형성되어 있다.
양 매달림판(51) 및 조작판(55)은 캡 유니트(8)가 한 쌍의 용기(33)와 장착체(26)와의 조합물에 조립되면, 한 쌍의 지지판(32)의 사이에 위치하여, 타원형 실린더(27)에 앞뒤표면에 따라 아래로 매달려 위치한다. 이 매달림판(51) 및 조작판 (55)의 외면은 양측의 지지판(32)보다도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한 쌍의 용기(33)와 장착체(26)의 조합물에 대하여 캡 유니트(8)가 끼워맞춤된 상태로, 하강가능한 돌기부(16)의 경사가이드면(16a)의 하단부를 타원형 실린더(27)의 하부 접촉에지(57a)에 가볍게 접촉시켜, 이 하부 접촉에지(57a)에 가볍게 걸린 상태가 되어 있기 때문에, 이 걸어멈춤힘이 캡 유니트(8)의 끼워맞춤을 유지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양 조작판(55)의 하강가능한 돌기부(16)은 타원형 실린더(27)과 한 쌍의 용기(33)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앞 뒤쪽의 중앙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에, 양 조작판(55)이 엄지와 손가락으로 누름버튼을 앞뒤로 잡는 형상으로 누름조작 되었을 때에, 용기(33)에 맞부딪치는 일없이 안쪽에 변위하여, 양 매달림판(55)을 확실히 끌어내린다.
또, 본 실시예의 경우, 통로블록체(17)는 주출통로(21)의 형성의 형편으로부터, 위뚜껑형상의 블록본체와, 바닥판(22a)를 구비한다. 바닥판(22a)은 이 블록본체의 하면측에 기밀하게 끼워 넣어지고, 두 개의 반대측에 개방된 한 쌍의 단차구멍(23)을 형성한다.
또한, 주출통(19)은 짧은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이 주출통(19)의 구조는 짧은 원통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가늘고 타원형 실린더이더라도 좋고, 나아가서는 각 빗살편에 주출구를 설치한 브러시를 부착하더라도 좋다.
삭제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하강가능한 돌기부(16)앞끝단에 타원형 실린더(27)의 하부 접촉에지(57a)에 타고넘어 걸어멈춤하는 잠금부(59)를 형성한다. 이 잠금부와 하부 접촉에지는 본의 아니 게 캡 유니트의 떼어짐을 방지한다.
도 7의 구성에 있어서, 타고넘는 걸어멈춤시의 탄성적인 복원변형에 의해, 하강가능한 돌기부(16)의 경사가이드면과 하부 접촉에지(57a)와의 충돌음을 발생시키는 구성한다. 이 소리에 의해 조립완료를 확인할 수가 있어, 취급성, 안전성이 뛰어나 안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판(55)의 하단부 근방의 폭을 넓히는 것에 의해, 이 조작판(55)의 측단면에 걸어멈춤단차(55a)를 형성하여, 이 걸어멈춤단차(55a)가 지지판(32)의 하단면에 타고넘는 걸어멈춤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에서, 걸어멈춤단차(55a)와 지지판(32) 하단면의 타고넘는 걸어멈춤에 의해, 본의가 아닌 캡 유니트의 떼어짐을 방지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걸어멈춤단차(55a)이외의 하강가능한 돌기부(16), 경사가이드면(16a), 하부 접촉에지(57a) 등의 구성은 제 1 실시예(도3 참조)와 같다. 걸어멈춤단차(55a)의 지지판(32)하단면에의 타고넘는 걸어멈춤시의 탄성적인 복원변형에 의해, 하강가능한 돌기부(16)의 경사가이드면(16a)과 하부 접촉에지 (57a)와의 충돌음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이 소리에 의해 조립완료를 확인할 수가 있어, 취급성, 안전성이 뛰어나 안심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매달림판(51)과 조작판(55)의 설치위치를 바꾼 예이다.
이 실시예에서, 타원형 실린더(27)의 하단면, 앞뒷면의 중앙부의 위치로부터 한 쌍의 외향 테두리(58)를 형성하여, 접촉에지(57)를 이 외향 테두리(58)의 하면 가장자리의 일부인 하부 접촉에지(57c)로 한다. 창문형상의 개구부(60)는 매달림판(51)의 대략 중앙높이로부터 하단부에 걸친 부분내에 양 매달림판(51)에 끼워넣어진다. 조작판(55)은 각 매달림판(51)의 하단면에서 바닥벽을 통해 위방향으로 연장한 부분내에 형성한다. 하강가능한 돌기부(16)는 각 조작판(55)의 안쪽면에 배치되고, 이 돌기부는 하부 접촉에지(57c)에 미끄럼접촉시키도록 아래방향으로 경사진 경사가이드면(16a)을 가진다.
용기(33)에 장착체(26) 또는 캡 유니트(8)를 장착한 상태에서, 외향 테두리 (58)가 매달림판(51)의 개구부(60)에 대향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경사가이드면 (16a)의 하단부에, 하부 접촉에지(57c)가 가볍게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조작판(55)은 바닥벽을 통해 매달림판(51)의 하단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고, 접촉에지(57)를 외향 테두리(58)의 하부 에지로 한다. 이 테두리는 경사가이드면(16a)과 접촉에지(57)와의 접촉을 타원형 실린더 (27)의 바깥둘레면에서 떨어진 위치에 배치할 수가 있다. 조작판(55)의 누름동작에 있어서의, 변위폭을 크게 하여, 주출노즐(35)의 밀어내린 거리를 크게 할 수 있어, 비교적 큰 밀어내린 거리를 필요로 하는 펌프식 주출용기도 용이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 1 실시예와는 반대로 타원형 실린더(27)에 조작판(55)을, 매달림판(51)에 접촉에지(57)를 설치한 예이다.
이 구성에서, 각 매달림판(51)의 대략 중앙높이의 부분에 창문형상 개구부 (61)를 형성한다. 접촉에지(57)를 이 개구부(61)의 전체의 바닥측 일부인 상부 접촉에지(57b)로 한다. 한쌍의 연장판(56)은 창문형상 개구부(61)를 가지고, 타원형 실린더(27)의 앞뒷면의 중앙부의 하단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하여, 바닥벽에 도달한다. 한쌍의 조작판(55)은 이 연장판(56)의 하단면에 바닥벽을 통해 위방향으로 연장한다. 하강가능한 돌기부(16)는 각 조작판(55)의 안쪽면에 배치되고, 이 돌기부는 바닥측에 상부 접촉에지(57b)와 미끄럼접촉시키도록 위방향으로 경사진 경사가이드면(16a)을 가진다. 잠금부(59)는 상기 경사가이드면(16a)의 첨단에 배치된다.
용기(33)에 장착체(26) 및 캡 유니트(8)를 조립한 상태에서, 매달림판(51)의 하부가 연장판(56)과 조작판(55)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창문형상 개구부(61)내에 상부 접촉에지(57b)는 연장판(56)의 개구부(62)에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하고, 경사가이드면(16a)의 상단부에, 가볍게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타원형 실린더(27)에 조작판(55)을 연결하고, 조작판(55)의 누름조작에 의해 캡 유니트(8)가 아래쪽으로 끌어 내려지는 작용이 되어, 용기(33)의 들어올림 동작을 따르지 않기 때문에, 주출조작을 안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낸다. 용기(33)는 폐쇄된 끝단을 가지며, 긴 원통형상의 에어러졸 용기, 금속제 용기이다. 각 용기는 용기의 원통체의 지름이 줄어든 입구부를 가진다. 밸브에 의한 개폐기능부를 구비한 주출노즐(35)을 갖는 금속제 캡을 코킹고정하여 머리부(34)를 상기 입구부에 끼워 맞춤한다. 주출노즐(35)은 이 머리부 상면에 일어선 상태로 되어 있다.
장착체(26)(도 19 참조)는, 좌우에 병렬로 인접 배치된 한 쌍의 용기(33)의 상단부에 주위에 단단히 끼워맞춤되는 타원형 실린더(27)를 구비한다. 내향의 첨단 테두리(28)는 타원형 실린더(27)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이 테두리는 장착체(26)에 개구부(29)를 형성한다. 이 내향의 첨단 테두리(28)의 하면의 좌우 양단부에, 원호 형상의 하향끼워맞춤 가이드부를 매달아 설치한다. 이 가이드부(31)는 머리부(34)바로 아래의 원형홈부에 언더커트결합에 의해 용기(33)의 머리부(34)에 바깥 반원형에서 끼워맞춤된다. 내향의 첨단 테두리(28)의 상면의 개구부(29)좌우개구 가장자리에, 반원형 연결가이드부(30)를 세워 설치한다. 또한 타원형 실린더(27)의 앞뒤 표면의 중앙부에, 세로돌출조형상의 지지판(32)을 간격을 두고 1쌍씩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장착체(26)는 병렬로 인접 배치된 한 쌍의 용기(33)에 위쪽으로부터 끼워지는 형상으로 조립함으로써, 양 하향끼워맞춤 가이드부(31)가 용기(33)의 머리부 (34)에 강고하게 또한 부동하게 결합하고, 주출노즐(35)은 개구부(29)로부터 돌출한 상태가 된다.
장착체(26)의 메인 본체는 타원형 실린더(27)를 구비한다. 장착체(26)는 한 쌍의 용기(33)에 바깥에서 끼운 상태에서는, 장착체의 앞뒤벽의 중앙부분과 양 용기(33)와의 사이에, 양 용기(33)의 인접부에 형성되는 골짜기형상부에 의해, 공간이 형성된다.
도포체(1)를 구성하는 브러시(2)와 캡 유니트(8)와 통로블록체(17) 중, 통로 블록체(17)(도 18 참조)는 주출통(19)을 상면 중앙에 마련하는 블록본체(18)을 구비한다. 혼합막대(20)는 주출통(19)의 안쪽으로부터 연장하여 세워설치되고, 다수의 경사진 날(plural slanted blades)(20a)을 가진다. 타원형상의 통로벽(21a)은 아래쪽 공간을 개방한다. 이 블록본체(18)와 바닥판(22)은 힌지결합한다. 바닥판 (22)은 한쌍의 단차구멍(23)을 마련하며, 용기(33)의 주출노즐(35)이 구멍을 통해 노즐의 부딪쳐 빠짐을 방지하도록 단단히 끼워맞춰진다. 돌출 통로부재(24)는 바닥판(22)의 상면에 형성되고, 주출통로를 형성하는 부분에 상면으로부터 통로벽 (21a)에 단단히 끼워맞추고, 통로에 한쌍의 단차구멍(23)을 연결한다. 바닥판(22)은 상면 중앙에 탭(25)을 마련한다. 블록본체(18)의 앞끝단 가장자리부에 닫힌 상태가 된 바닥판(22)의 앞끝단 가장자리에 타고넘는 걸어멈춤하여, 이 바닥판(22)의 닫힌 상태를 확보하는 걸어멈춤기능부분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포체(1)를 구성하는 브러시(2)와 캡 유니트(8)와 통로블록체(17) 중, 캡 유니트(8)(도 16과 도 17 참조)는, 원통형상의 메인 조작통(9)을 구비한다. 끼움단차(fitting step)(10)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20∼40°, 바람직하게는 30°의 각도로 하강경사로 메인 조작통(9)상에 배치된다. 끼움단차(fitting step)(10)상에 정상판(11)이 있다. 이 정상판(11)에 타원형 끼워맞춤 가이드부(12)를 장착한다. 끼워맞춤 가이드부(12)내에 개구하는 수직의 통로통(13)을 수직으로 설치한다. 또한 앞뒤중앙부의 메인 조작통(9)으로부터 끼움단차(10)에 걸친 부분에, 한쌍의 장금구멍(locking aperture)(14)을 형성한다. 조작판(55)은 메인 조작통(9)의 각 측면 중앙에 배치되며, 하단부로부터 아래로 매달려지고, 캡 유니트(8)를 밀 어내려지는 각 판의 내면에 한쌍의 하강가능한 돌기부(16)을 돌출설치한다.
이 캡 유니트(8)는 통로블록체(17)을 끼워맞춤한 상태에서, 통로블록체(17)의 단차구멍(23)을 주출노즐(35)에 단단히 맞춤한 상태에서, 장착체(26)에, 그 양 조작판(55)으로 걸친 자세로 탑재부착되었을 때에, 장착체(26)의 타원형 실린더 (27)의 하단부의 일부인 하부 접촉에지에 대향하는 양 조작판(55)의 하단부의 안쪽면 부분에 하강가능한 돌기부(16)이 위치하고 있다. 이 하강가능한 돌기부(16)의 안쪽에 하강경사진 상면이 타원형 실린더(27)의 하부 접촉에지에 가볍게 접촉하고 있다.
그러므로, 양 조작판(55)의 하단부를 손끝에서 잡도록 하여 누르면, 타원형 실린더(27)의 하부 접촉에지에 가볍게 접촉하고 있는 하강가능한 돌기부(16)의 경사면의 작용에 의해, 캡 유니트(8)는 통로블록체(17)와 함께 끌어내려져서, 주출노즐(35)을 밀어내리는 것으로 한다.
또, 제 7 실시예에서는 용기(33)는 에어러졸의 용기를 사용하고 있지만, 조작판(55)의 누름조작에 의해, 주출노즐(35)을 밀어내리는 구성이고, 펌프식의 용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양 조작판(55)은 캡 유니트(8)가 한 쌍의 용기(33)와 장착체(26)의 조합물에 끼워맞춤되면, 한 쌍의 지지판(32)의 사이에 위치하여, 타원형 실린더(27)의 앞뒤표면에 따라 수직형상으로 위치하지만, 이 조작판(55)의 바깥면은 양쪽의 지지판 (32)보다도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일은 없다.
또한, 양 조작판(55)은 한 쌍의 용기(33)와 장착체(26)와의 조합물에 대하여 캡 유니트(8)가 끼워맞춤된 상태에서, 하강가능한 돌기부(16)을 타원형 실린더(27)의 하부 접촉에지에 가볍게 접촉시키고, 이 타원형 실린더(27)의 하부 접촉에지에 가볍게 걸어멈춤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걸어멈춤력이 캡 유니트(8)의 끼워맞춤을 유지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양 조작판(55)의 하강가능한 돌기부(16)은 타원형 실린더(27)과 용기(33)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앞 뒤쪽의 중앙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에, 양 조작판(55)을 엄지와 손가락으로 앞뒤 판을 잡는형상으로 누름조작하였을 때에, 하강가능한 돌기부(16)은 용기(33)에 맞부딪치는 일없이 안쪽으로 변위하여, 양 조작판(55)을 확실히 끌어내린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판(55)을 캡 유니트(8)로부터 수직으로 설치하여, 타원형 실린더(27)의 하부 접촉에지에 접촉시켜, 엄지와 손가락으로 양 조작판(55)을 잡는형상으로 누름조작 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캡 유니트(8) 또는 타원형 실린더(27) 중 어느 한쪽에, 타원형 실린더(27)의 앞뒷면의 중앙부에 대향하는 위치가 되도록 한 쌍의 조작판(55)을 연이어 접하여, 캡 유니트(8) 또는 타원형 실린더의 다른 한쪽에 하부 접촉에지에 해당하는 부분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캡 유니트(8)에 대한 통로블록체(17)의 끼워맞춤은 메인 조작통(9)내에, 수직의 통로통(13)에 혼합막대(20)을 삽입하고 또한 주출통(19)을 단단히 끼워맞춤한 상태에서, 통로블록체(17)를 끼워 넣으므로써 구성된다. 이 상태에서는, 수직의 통로통(13)내를 통과하는 2종의 내용물은, 혼합막대(20)의 다수의 날(20a)에 의 해 교반되어, 충분히 혼합되는 것이 된다.
또한, 캡 유니트(8)에 통로블록체(17)를 끼워맞춤한 상태에서는, 좌우의 메인 조작통(9)과 통로블록체(17)와의 사이에, 장착체(26)의 반원형 연결가이드부 (30)가 승강자유자재로 헐겁게 끼우는 빈틈이 형성되고, 이 빈틈에 대한 반원형 연결가이드부(30)의 헐겁게 끼움에 의해, 장착체(26)에 대한 캡 유니트(8)의 탑재부착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도포체(1)를 구성하는 브러시(2)와 캡 유니트(8)와 통로블록체(17) 중, 브러시(2)(도 14와 도 15 참조)는, 제 7 실시예에 있어서는 캡 유니트(8)에 착탈이 자유롭게 끼워맞춤되어 있고, 캡 유니트(8)의 끼움단차(10)에 주위에 끼워맞춤된 돔형상 부착부(3)의 내면에, 끼워맞춤 가이드부(12)에 단단히 끼워맞춤되는 기밀끼워맞춤 통벽(4)을 수직형상으로 설치하여, 이 기밀끼워맞춤 통벽(4)의 내부를 위쪽으로 개방하는 좌우에 가늘고 길게 늘어진 슬릿형상의 슬릿형상 주출구(5)을, 돔형상 부착부(3)의 상면부분에 형성하여, 이 슬릿형상 주출구(5)의 주위의 돔형상 부착부 (3)상면에 다수의 브러시편(6)을 세워 설치하여, 돔형상 부착부(3)의 앞 뒤벽 중앙으로부터, 캡 유니트(8)의 걸어멈춤 구멍(14)에 침입하여 걸어멈춤하는 한쌍의 부착다리(attaching leg)(7)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구성되고 있다.
이 브러시(2)의 부착다리(7)은, 도 13에서 명백하듯이, 그 일부를 바깥쪽으로 팽출시키고 있기 때문에, 손끝에 의해 잡는 형상으로 누르기 쉽고, 이 때문에 브러시(2)의 캡 유니트(8)로부터의 분리를 하기 쉽다.
또, 도 12로부터 명백하듯이, 브러시(2)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20∼40°, 바람직하게는 30°기울고 있기 때문에, 용기를 잡고, 브러시(2)의 브러시편(6) 사이에 혼합주출된 내용물을, 두발 등의 목적부분에 도포할 때에, 이 브러시(2)를 목적부분에 따른 자세로 하는 것이 용이하고, 이에 따라 주출한 내용물의 도포조작을 하기 쉽게 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브러시(2)를 캡 유니트 (8)에 분리 불가능하게 끼워맞춤한 구성이다. 이 브러시(2)와 캡 유니트(8) 이외의 부분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같다.
브러시(2)와 캡 유니트(8)는 브러시(2)의 기밀끼워맞춤 통벽(4)을, 캡 유니트(8)의 타원형 끼워맞춤 가이드부(12)에 끼워맞춤하는 동시에, 부동하게 언더커트 결합시킴으로써, 분리 불가능하게 조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8 실시예에서, 착탈이 자유로운 조립을 달성하기 위한 구조부분인 브러시(2)의 부착다리(7) 및 캡 유니트(8)의 걸어멈춤 구멍(14)은 설치되지 않는다.
브러시(2)와 캡 유니트(8)의 분리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주출통로 형성부분의 전부를 개방하는 것은 아니지만, 캡 유니트(8)를 장착체(26)로부터 떼어내, 통로블록체와 분리함에 의해, 그 아래쪽은 크게 개방되어 있고, 주출통로 형성부분인 수직의 통로통(13), 타원형 끼워맞춤 가이드부(12), 기밀끼워맞춤 통벽(4)등의 구조가 비교적 크고 간단한 형상이기 때문에, 그 세정은 충분히 가능하다.
캡 유니트에 대한 브러시의 끼워맞춤이 강고하게 확보되기 때문에, 브러시 (2)의 안정한 사용상태와 확실한 시일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브러시(2)와 캡 유니트(8)를 분리시키지 않는 만큼, 분해취급 및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도 21 및 도 22는 장착체(26)의 다른 구조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장착체(26)의 메인 본체으로부터, 끼워맞춤 가이드부(fitting guide)(31)만을 분리시킨 구조로, 끼워맞춤 가이드부(31)을 제외하는 장착체(26)의 다른 부분의 구조에는 변함이 없고, 끼워맞춤 가이드부(31)은 장착체(26)와는 별개로 또한 장착체(26)에 언더커트 결합하는 결합체(36)에 설치되어 있다.
결합체(36)는 좌우로 연장하는 타원형상의 연결판(37)을 마련하고, 타원의 양측단에 두개의 끼워맞춤 가이드부(31)을 수직형상으로 설치한다. 양 끼워맞춤 가이드(31)의 바깥둘레면에, 장착체(26)와 언더커트 결합하기 위한 걸어멈춤돌출조 (stop ridge)(39)를 설치한다. 또한 각 끼워맞춤 가이드부의 안쪽이 되는 연결판 (37)부분에, 용기(33)의 주출노즐(35)이 돌출하기 위한 개구(38)가 형성되어 있다. 또, 연결판(37)의 중앙에는, 통로블록체(17)의 탭(25)이 관통하는 도피구멍(escape slit)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결합체(36)는 한 쌍의 용기(33)의 머리부(34) 주위에서 끼워맞춤하는 것에 의해, 이 한 쌍의 용기(33)의 인접한 병렬 조립자세를 안정하게 확보하여, 이에 따라 용기(33)에 대한 장착체(26)의 끼워맞춤에 앞서서, 한 쌍의 용기(33)에 대한 슈링크 라벨(shrink label)의 장착을, 양호한 상태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23 및 도 24는 통로블록체(17)의 다른 구조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혼합막대(20)은 끝이 무딘 첨단(blunt-headed tip)(41)을 형성한다. 주출통(19)의 상단면에, 액체유로를 막지 않는 대략 같은 각도의 위치에 4부분에서 보강리브(42)을 세워 설치하고, 혼합막대(20)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날(20a)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제 7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끝이 무딘 첨단(41)의 형성에 의해, 캡 유니트(8)와의 끼워맞춤조작시에 있어서의 혼합막대(20)의 수직의 통로통(13)에의 삽입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 이 형상내에 첨단은 날(20a)이 수직의 통로통의 하단면에 걸려 혼합막대(20)이 변형,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통로 블록체(17)와 캡 유니트(8)와의 끼워맞춤 혹은 떼어냄 조작 등에 있어서, 다른 부재에 걸려 본의 아니게 혼합막대(20)에 힘이 걸리면, 수직의 혼합막대의 하단부에 응력집중이 발생하지만, 보강리브(42)에 의해 이 응력집중을 완화하여 혼합막대(20)의 파손을 방지할 수가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혼합주출장치는 캡 유니트에의 끌어내리는 힘에 의해 주출노즐을 밀어내리는 구성을 가진다. 용기의 주출노즐에 대한 통로 블록체의 자세가 내용물의 주출시에 변화하는 일이 없다. 한 쌍의 주출노즐은 바로 아래쪽으로 밀어 내려지고, 단차구멍과 주출노즐와의 사이의 시일을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양 주출노즐은 동시에 개방조작되는 것으로 되고, 이 때문에 양 용기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의 양이 균등하게 되어, 사용자는 상시 적정한 조건으로 사용할 수 있다.
조작판에 형성한 하강가능한 돌기부와 접촉에지에 의해 간단한 구조로 작용기구를 형성할 수가 있다. 조작판에의 가로방향의 누름동작을, 경사가이드면의 작용에 의해서 확실히 상하방향의 동작으로 변환할 수 있다.
장착체와 캡 유니트는 한쌍의 용기에 용이하게 조립된다. 따라서, 조립된 장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캡 유니트는 착탈이 자유롭게 주출노즐에 끼워맞춤되기 때문에, 사용후의 세정시에, 필요에 따라서 주출노즐 또는 장착체로부터 간단히 떼어낼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통로블록체는 가이드 슬릿을 통하여 상하로 미끄럼운동하는 연결가이드부에 의해 상하운동을 안전하게 달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고압력에서도 충분한 시일성을 확보할 수 있고, 양 용기의 내용물의 혼합을 균일하게 달성하는 것이 가능한 에어러졸식 혼합주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장착체의 타원형 실린더의 하단부를 그대로 접촉에지로 하여, 타원형 실린더에 바깥에서 끼우는 매달림판을 그대로 연장하여 조작판으로 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조작하는 부분을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주출노즐의 개폐를 하는 조작판은,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일이 없고, 용기의 표면에 따라 위치하기 때문에, 다른 물품에 걸리는 일이 적고 또한 양 조작판이 동시에 눌러지지 않으면, 주출노즐을 끌어내릴 수 없기 때문에, 한쪽의 조작판이 본의 아니게 눌러지더라도, 내용물은 주출되지 않고, 이에 따라 안전한 취급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지지판이 양 조작판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동시에, 다른 물품에 앞뒤에서 끼워진 상태가 되더라도, 이 밖의 물품에 맞부딪치는 것에 의해, 양 조작판이 동시에 눌러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여, 내용물의 부정주출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걸어멈춤단차가 지지판의 하단면에 타고 넘는 걸어멈춤을 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본의 아니게 캡 유니트의 떼어짐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걸어멈춤단차가 지지판 하단면에의 타고넘는 걸어멈춤동작에 있어서의 탄성적인 복원변형에 의해 소리가 발생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취급성, 안전성이 뛰어나 안심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 혼합주출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경사가이드면과 접촉에지와의 접촉을 타원형 실린더의 바깥둘레면에서 떨어진 위치에 배치할 수가 있고, 조작판의 누름동작에 있어서의, 변위폭을 크게 잡을 수 있어, 주출노즐의 밀어내린 거리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비교적 큰 밀어내린 거리를 필요로 하는 펌프식 주출용 기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타원형 실린더에 조작판을 연결한다. 이 구성에서, 조작판의 누름조작에 의해 캡 유니트가 아래쪽으로 끌어 내려지는 작용에 의해, 용기의 들어올린 동작을 따르지 않기 때문에, 주출조작을 안정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잠금부와 접촉에지의 걸어멈춤에 의해, 본의 아니게 캡 유니트의 떼어짐을 보다 확실히 방지한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잠금부가 접촉에지에의 해당 타고넘는 걸어멈춤동작에 있어서의 탄성적인 복원변형에 의해 소리가 발생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취급성, 안전성이 뛰어나 안심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 혼합주출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캡 유니트상에 끼워맞춤된 브러시에 한 쌍의 용기의 내용물을 혼합추출하는 구성이고, 두발 등에 용이한 조작으로 혼합주출물을 도포할 수가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내용물의 주출통로를 형성하는 도포체를 구성하는, 브러시와 캡 유니트와 통로블록체 중, 적어도 통로블록체를 단독으로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하고 있다. 복잡한 유로를 형성하는 통로블록체의 주출통로의 전부를 노출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하였기 때문에, 주출통로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용이하게 또한 충분히 씻어낼 수 있어, 내용물의 도포사용을 바람직한 상태로 반복할 수 있다.
또한, 브러시와 캡 유니트를 분리 불가능하게 하거나, 착탈이 자유롭게 하는가는 목적에 따라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어도 캡 유니트를 장착체로부터 떼어내어, 통로블록체를 분리한 상태에서, 브러시와 캡 유니트의 조합물을 세정할 수 있고, 잔존하는 내용물을 충분히 씻어낼 수 있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브러시와 캡 유니트를 분리할수 있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높은 세정효과를 얻을 수 있고, 잔존하는 내용물을 용이하게 또한 충분하게 씻어낼 수 있다.
청구항 16의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브러시와 캡 유니트를 분리 불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브러시와 캡 유니트의 조합물은, 주출 통로 형성부분의 전부를 개방하는 것은 아니지만, 구조가 간단한 형상이기때문에, 그 세정은 충분히 가능하고 잔존하는 내용물을 충분 씻어낼 수 있다. 또한, 캡 유니트에 대한 브러시의 끼워맞춤이 강고히 확보되기 때문에, 브러시의 안정한 사용상태와 확실한 시일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브러시와 캡 유니트를 분리시키지 않는 만큼, 분해취급 및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캡 유니트에 의해 통로블록체를 통해 주출노즐에 밀어 내리는 힘을 작용시키는 것으로, 에어러졸 용기에 대해서도 비교적 작은 힘으로, 주출량을 가감하면서 내용물을 주출시킬 수 있다.
청구항 18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혼합막대는 끝이 무딘 첨단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부품의 끼워맞춤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가 있고, 또한 혼합막대의 파손을 방지할 수가 있다.
청구항 19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혼합막대에 보강리브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혼합막대의 파손을 방지한다.

Claims (19)

  1. 좌우에 병렬로 인접하여 조합된 개폐기능을 가지는 주출노즐(35)을 가진 한 쌍의 용기(33)와,
    이 한 쌍의 용기(33)의 몸통부 상부에 바깥 끼움하는 타원통 형상의 실린더(27)의 상단에 연이어 설치된 첨단 테두리(28)의 중앙에 주출노즐(35)이 돌출하는 개구부(29)를 형성하고, 상기 주출노즐(35)을 위쪽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용기(33)의 상단부에 움직이지 않게 조립하여 부착하는 장착체(26)와,
    상기 주출노즐(35)이 기밀하게 끼워 넣어지는 한 쌍의 상기 단차구멍(23)을 하면 양측부에 형성함과 동시에, 상면 중앙에 주출통(19)을 세워 설치하고, 이 주출통(19)이 형성하는 주출구와 상기 단차구멍(23)을 연이어 통하게 한 주출통로(21)를 내부에 형성한 통로블록체(17)를 가지며, 상기 주출노즐(35)에 떼고 붙이기 자유롭게 조립 부착하여 고정하는 캡 유니트(8)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로블록체(17)의 앞뒷면의 중앙에, 상기 실린더(27)의 바깥 표면을 따라서 아래로 늘어뜨린 한 쌍의 매달림판(51)을 가지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한 쌍의 매달림판(51) 및 실린더(27)의 어느 한쪽의 하단부로부터 한 쌍의 조작판(55)을 연이어 설치하고, 이 조작판(55)에, 경사가이드면(16a)을 가지며, 선단부가 상기 실린더(27)의 하단 이하의 높이 위치에서 상기 양쪽 용기(33)의 몸통부의 인접부에 형성되는 골짜기 형상부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하강가능한 돌출부(16)를 붙여 설치하고, 다른 한쪽에 상기 경사가이드면(16a)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한 쌍의 접촉에지(57)를 붙여 설치하고, 상기 조작판(55)의 가로방향으로의 누름조작에 의한, 상기 경사가이드면(16a)과 접촉에지(57)의 미끄럼운동에 의해, 캡 유니트(8)에 끌어내리는 힘을 작용시키는 구성으로 한 혼합주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실린더(27)의 첨단 테두리(28)의 상면에 반원형 연결가이드부(30)를 세워 설치하고, 통로블록체(17)의 일부에, 상기 반원형 연결가이드부(30)가 상하로 미끄럼운동하여 위치변경할 수 있게 끼워 맞춤하는 가이드 슬릿(17a)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혼합주출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용기(33)는 에어러졸 용기인 혼합주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매달림판(51)의 하단부에 해당 매달림판의 연장부로서 각각 배치되는 조작판 (55)과,
    타원형 실린더(27)의 하면 가장자리의 일부인 하부 접촉에지(57a)로 하여 사용되는 접촉에지(57)와,
    상기 조작판(55)의 상기 하부 접촉에지(57a)에 대향하는 내면 부분에 배치되는 한 쌍의 하강가능한 돌출부로서, 상기 하강가능한 돌출부의 각각은 상기 하부 접촉에지(57a)와 미끄럼접촉하도록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가이드면(16a)을 가지는 한 쌍의 하강가능한 돌출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캡 유니트(8)가 상기 주출노즐(35)에 의해 밀어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경사가이드면(16a)은 하부 접촉에지(57a)와 접촉하는 높이로부터 적어도 상기 주출노즐 (35)을 개방할 수 있는 높이까지 위쪽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주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타원형 실린더(27)의 앞뒤면의 각각에, 매달림판(51) 및 조작판(55)의 양쪽에 근접한 수직 위치에서, 상기 매달림판(51) 및 조작판(55)의 바깥면보다도 더 높은 위치로 가로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판(32)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주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조작판의 하단부에서 조작판의 폭을 넓힘으로써 각 조작판(55)의 양측에 걸어멈춤단차(55a)가 형성되고, 걸어멈춤단차(55a)가 지지판(32)의 하부 에지를 타고 넘어가서 걸어멈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주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걸어멈춤단차(55a)가 지지판(32)의 하부 에지를 타고 넘어갈 때에, 탄성복원변형에 의해 걸어멈춤소리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주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각 매달림판(51)의 대략 중앙높이로부터 하단부에 걸친 부분에 양 매달림판에 형성된 창문형상의 개구부(60)와,
    매달림판(51)의 하단부로부터 바닥벽을 통해 위방향으로 연장되는 각 매달림판(51)의 연장된 부분에 배치된 조작판(55)과,
    타원형 실린더(27)의 하단부의 앞뒷면의 중앙부의 위치로부터 한 쌍의 외향 테두리(58)와,
    접촉에지를 상기 외향 테두리(58)의 하부 가장자리의 일부인 하부 접촉에지 (57c)로 하는 접촉에지(57)와,
    상기 하부 접촉에지(57c)가 매달림판(51)의 개구부(60)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각 조작판(55)의 내부면에 배치되는 하강가능한 돌출부로서, 각 돌출부는 하부 접촉에지(57c)와 미끄럼접촉하도록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가이드면(16a)을 가지며, 용기(33)와 장착체(26)와 캡 유니트(8)를 조립한 후, 캡 유니트(8)가 상기 주출노즐 (35)로 밀어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면(16a)은 하부접촉에지와 접촉하는 높이로부터 적어도 주줄노즐(35)을 충분히 개방할 수 있는 높이까지 위쪽으로 연장되는 하강가능한 돌출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주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창문형상의 개구부(62)를 가지며, 타원형 실린더(27)의 앞뒷면의 중앙부의 하단부를 연장하여 바닥벽에 도달하는 한 쌍의 연장판(56)과,
    상기 연장판(56)의 하부 에지로부터 바닥벽을 통해 윗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조작판(55)과,
    대략 중앙높이의 부분에 배치된 창문형상 개구부(61)를 각각 가지는 한 쌍의 매달림판(51)과,
    접촉에지를 이 개구부(61)의 전체의 바닥 측면의 일부인 상부 접촉에지(57b)로 하는 접촉에지로서, 바닥측 상의 상기 상부 접촉에지(57b)는 연장판의 개구부 (62)에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매달림판(51)의 하부부분은 상기 연장판 (56)과 조작판(55)사이에 협착되는 접촉에지(57)와,
    각 조작판(55)의 내부면에 배치되는 하강가능한 돌출부로서, 상기 돌출부는 상부 접촉에지(57b)에 대향하고, 창의 바닥측 상에서 상부 접촉에지(57b)와 미끄럼접촉하도록 상향으로 경사진 경사가이드면(16a)을 가지며, 용기(33)와 장착체(26)와 캡 유니트(8)를 조립한 후, 캡 유니트(8)가 상기 주출노즐(35)로 밀어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면(16a)은 상부 접촉에지(57b)와 접촉하는 높이로부터 적어도 주줄노즐(35)을 충분히 개방할 수 있는 높이까지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하강가능한 돌출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주출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조작판(55)의 하강가능한 돌출부(16)에는 접촉에지(57)에 걸어멈춤하는 잠금부 (59)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주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잠금부(59)가 접촉에지(57)의 아래쪽으로 미끄러져 들어가 고정될 때에 야기되는 탄성복원변형에 의해 걸어멈춤소리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주출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다수의 얇은 브러시편(6)이 설치되고 캡 유니트(8)에 끼워맞춤되는 브러시(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한 쌍의 용기(33)로부터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브러시(2)로 보내고, 내용물이 상기 브러시(2)의 상단면에 그 안쪽으로부터 주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주출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블록본체(18)와 바닥판(22)을 구비하며, 캡 유니트(8)에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통로블록체(17)로서, 상기 블록본체는, 그 중앙부의 상단에 배치되며 혼합막대(20)가 관통하여 세워 설치되는 주출통(19)과, 아래쪽으로 개방하도록 상기 블록본체(18)의 아래에 형성되는 상부 접촉에지(21a)를 가지며, 상기 바닥판(22)은 상기 블록본체(18)의 뒤쪽 하부 에지에 힌지에 의해 연결되며, 주출노즐(35)이 단단히 끼워맞춤되는 한 쌍의 단차구멍(23)과, 아래쪽으로부터 통로벽(21a)으로 단단히 끼워맞춤되어 주출통으로(21)를 형성하는 돌출 통로부재 (21b)와, 바닥판(22)의 중앙부분으로부터 매어 달린 탭(25)이 상기 바닥판에 설치되는 통로블록체와,
    타원형의 메인 조작통(9)과, 메인 조작통(9)의 상단부분에 연결된 정상판 (11)과, 정상판(11)의 내향 테두리로부터 세워설치되는 타원형의 끼워맞춤 가이드부(12)와, 정상판(11)의 중앙으로부터 매어 달려지고 타원형의 끼워맞춤 가이드부 (12)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영역으로의 출구를 가지는 수직의 통로통(1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혼합막대(20)를 수직의 통로통(13)에 삽입하고 주출통(9)을 수직의 통로통(13)에 단단히 끼워맞춤하여 통로블록체(17)를 메인 조작통에 착탈가능하게 조립하는 캡 유니트(8)와,
    정상판(11)을 덮는 돔형상 부착부(3)와, 돔형상 부착부(3)안쪽에 배치되며 타원형 끼워맞춤 가이드부(12)에 단단히 끼워맞춤되는 기밀끼워맞춤 통벽(4)과, 돔 공간을 기밀끼워맞춤 통벽(4)내에서 해당 브러시(2)의 바깥쪽에 연결하는 슬릿형상 주출구(5)와, 돔형상 부착부(3)의 상단판 위에 주출구(5)주위에 세워 위치되는 다수의 얇은 브러시편(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캡 유니트에 끼워맞춤되는 브러시 (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혼합주출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브러시(2)는 캡 유니트(8)에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주출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브러시(2)는 캡 유니트(8)에 착탈이 불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주출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용기(33)는 에어러졸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주출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혼합막대(20)는 끝이 무딘 형상의 첨단을 가지는 혼합주출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보강리브(42)가, 수직의 혼합막대(20)의 하단부를 보강하기 위하여 마련되고, 리브가 유체유로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서 주출통(19)의 주둥이 부분에 위치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혼합주출장치.
  19. 삭제
KR1020037013165A 2001-06-27 2002-01-31 혼합주출장치 KR1007917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93906 2001-06-27
JP2001193907 2001-06-27
JP2001193906 2001-06-27
JPJP-P-2001-00193907 2001-06-27
JP2001304105 2001-09-28
JPJP-P-2001-00304104 2001-09-28
JPJP-P-2001-00304105 2001-09-28
JP2001304104 2001-09-28
PCT/JP2002/000753 WO2003002426A1 (fr) 2001-06-27 2002-01-31 Melangeur/extract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287A KR20040019287A (ko) 2004-03-05
KR100791757B1 true KR100791757B1 (ko) 2008-01-04

Family

ID=27482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3165A KR100791757B1 (ko) 2001-06-27 2002-01-31 혼합주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34778B2 (ko)
JP (1) JP4051412B2 (ko)
KR (1) KR100791757B1 (ko)
CN (1) CN1225386C (ko)
TW (1) TWI221142B (ko)
WO (1) WO2003002426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917B1 (ko) * 2008-10-08 2009-07-02 (주) 아름다운 화장품 교반봉이 구비된 염색제 용기
KR100905918B1 (ko) * 2008-10-08 2009-07-02 (주) 아름다운 화장품 교반봉이 구비된 염색제 용기
KR200469449Y1 (ko) 2012-05-04 2013-10-15 (주)아모레퍼시픽 이종 염색약을 갖는 염색도구
KR101449451B1 (ko) * 2013-08-16 2014-10-13 (주)나산기업 염색제 용기
WO2018093035A1 (ko) * 2016-11-18 2018-05-24 (주)얼리스킨코리아 거품 분출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12718B2 (en) 2000-07-03 2013-08-20 Foamix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opical application
AU2003249301A1 (en) * 2002-07-16 2004-02-02 Mixtek System, Llc Aerosol mixing system with columns
US7906473B2 (en) * 2002-09-13 2011-03-15 Bissell Homecare, Inc. Manual spray cleaner
WO2004037225A2 (en) 2002-10-25 2004-05-06 Foamix Ltd. Cosmetic and pharmaceutical foam
IL152486A0 (en) 2002-10-25 2003-05-29 Meir Eini Alcohol-free cosmetic and pharmaceutical foam carrier
US20080138296A1 (en) 2002-10-25 2008-06-12 Foamix Ltd. Foam prepared from nanoemulsions and uses
US7704518B2 (en) 2003-08-04 2010-04-27 Foamix, Ltd. Foamable vehicl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US9668972B2 (en) 2002-10-25 2017-06-06 Foamix Pharmaceuticals Ltd. Nonsteroidal immunomodulating kit and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US8486376B2 (en) 2002-10-25 2013-07-16 Foamix Ltd. Moisturizing foam containing lanolin
US8900554B2 (en) 2002-10-25 2014-12-02 Foamix Pharmaceuticals Ltd. Foamable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US8119109B2 (en) 2002-10-25 2012-02-21 Foamix Ltd. Foamable compositions, kits and methods for hyperhidrosis
US9265725B2 (en) 2002-10-25 2016-02-23 Foamix Pharmaceuticals Ltd. Dicarboxylic acid foamable vehicl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US10117812B2 (en) 2002-10-25 2018-11-06 Foamix Pharmaceuticals Ltd. Foamable composition combining a polar solvent and a hydrophobic carrier
US9211259B2 (en) 2002-11-29 2015-12-15 Foamix Pharmaceuticals Ltd. Antibiotic kit and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US7820145B2 (en) 2003-08-04 2010-10-26 Foamix Ltd. Oleaginous pharmaceutical and cosmetic foam
US7700076B2 (en) 2002-10-25 2010-04-20 Foamix, Ltd. Penetrating pharmaceutical foam
US8119150B2 (en) 2002-10-25 2012-02-21 Foamix Ltd. Non-flammable insecticide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US20040188473A1 (en) * 2003-03-25 2004-09-30 Groh David M. Hand-held product dispensers having pressurized delivery
US7575739B2 (en) 2003-04-28 2009-08-18 Foamix Ltd. Foamable iodine composition
US8486374B2 (en) 2003-08-04 2013-07-16 Foamix Ltd. Hydrophilic, non-aqueous pharmaceutical carriers and compositions and uses
US8795693B2 (en) 2003-08-04 2014-08-05 Foamix Ltd. Compositions with modulating agents
US20070069046A1 (en) * 2005-04-19 2007-03-29 Foamix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leasing a measure of content from a plurality of containers
US8028697B2 (en) * 2005-04-28 2011-10-04 Trudell Medical International Ventilator circuit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US20060272108A1 (en) * 2005-06-06 2006-12-07 Ruth Stern Method to apply a hair care preparation and kit for same
JP4609889B2 (ja) * 2005-09-30 2011-01-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連結式エアゾール容器
JP4737540B2 (ja) * 2006-05-31 2011-08-0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エアゾール式塗布等容器
US20080260655A1 (en) 2006-11-14 2008-10-23 Dov Tamarkin Substantially non-aqueous foamable petrolatum based pharmaceutical and cosmetic compositions and their uses
US8083103B2 (en) * 2007-03-14 2011-12-27 Sealed Air Corporation (Us) Dispenser with dual pump system
US20080267005A1 (en) * 2007-04-24 2008-10-30 Tyco Healthcare Group Lp Applicator system and method of use
US8636982B2 (en) 2007-08-07 2014-01-28 Foamix Ltd. Wax foamable vehicl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WO2009056991A2 (en) * 2007-09-04 2009-05-07 Foamix Ltd. Device for delivery of a foamable composition
US20100155422A1 (en) * 2007-09-19 2010-06-24 Hyoun Myoung Shin Dye Pressing Device
US9439857B2 (en) 2007-11-30 2016-09-13 Foamix Pharmaceuticals Ltd. Foam containing benzoyl peroxide
WO2009090495A2 (en) 2007-12-07 2009-07-23 Foamix Ltd. Oil and liquid silicone foamable carriers and formulations
US8518376B2 (en) 2007-12-07 2013-08-27 Foamix Ltd. Oil-based foamable carriers and formulations
EP2242476A2 (en) 2008-01-14 2010-10-27 Foamix Ltd. Poloxamer foam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with active agents and/or therapeutic cells and uses
US8197122B2 (en) * 2008-04-24 2012-06-12 Tyco Healthcare Group Lp Dynamic mixing applicator
KR200445142Y1 (ko) * 2008-10-08 2009-07-02 (주) 아름다운 화장품 염색용기 상부케이스
CN102186403B (zh) * 2008-10-17 2014-04-16 莎罗雅株式会社 流体容器单元
WO2010125470A2 (en) 2009-04-28 2010-11-04 Foamix Ltd. Foamable vehicl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aprotic polar solvents and uses thereof
CA2666080A1 (en) * 2009-05-14 2010-11-14 Colour Revolution Inc. Applicator
CA2769677A1 (en) 2009-07-29 2011-02-03 Foamix Ltd. Non surface active agent non polymeric agent hydro-alcoholic foamable compositions, breakable foams and their uses
CA2769625C (en) 2009-07-29 2017-04-11 Foamix Ltd. Non surfactant hydro-alcoholic foamable compositions, breakable foams and their uses
US9849142B2 (en) 2009-10-02 2017-12-26 Foamix Pharmaceuticals Ltd. Methods for accelerated return of skin integrity and for the treatment of impetigo
CN102686205A (zh) 2009-10-02 2012-09-19 弗艾米克斯有限公司 局部四环素组合物
US8174881B2 (en) 2009-11-24 2012-05-08 Micron Technology, Inc. Techniques for reducing disturbance in a semiconductor device
EP2534069B1 (en) * 2010-02-10 2015-08-26 S.C. Johnson & Son, Inc. Overcap for an aerosol container
US8978936B2 (en) 2010-07-12 2015-03-17 Foamix Pharmaceutical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leasing a unit dose of content from a container
JP5622556B2 (ja) * 2010-12-16 2014-11-12 株式会社ダイゾー 二液吐出装置
US20120192894A1 (en) * 2011-01-27 2012-08-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leaning and sealing solution applicator tool for surfaces such as stone, porous tile, or grout
FR2986517B1 (fr) * 2012-02-08 2015-07-03 Frederic Platel Actionneur pour distributeur de contenant de cosmetiques
JP5973365B2 (ja) * 2013-03-01 2016-08-23 株式会社ジーシー 歯科用ミキサー
US9279642B2 (en) * 2013-03-15 2016-03-08 Larry D. ROWLETT Portable multi-use self-defense device
JP5901565B2 (ja) * 2013-04-03 2016-04-13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エアゾール容器用吐出具
JP5901564B2 (ja) * 2013-04-03 2016-04-13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エアゾール容器用固定盤
JP2015231854A (ja) * 2014-06-09 2015-12-24 株式会社ダイゾー 噴射製品およびその噴射製品に用いられる噴射容器
DE102014017032A1 (de) 2014-11-19 2016-05-19 Henkel Ag & Co. Kgaa Abgabevorrichtung sowie zugehöriger Spender für fließfähige Produktzusammensetzungen
AU2015390917A1 (en) 2015-04-06 2017-10-12 S.C. Johnson & Son, Inc. Dispensing systems
US10300226B2 (en) * 2015-06-15 2019-05-28 Binyomin COHEN Rescue inhaler
EP3178756A1 (en) * 2015-12-11 2017-06-14 Kao Germany GmbH Actuation unit for a plurality of aerosol cans and use of an actuation unit
US10398641B2 (en) 2016-09-08 2019-09-03 Foamix Pharmaceuticals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rosacea and acne
JP6914139B2 (ja) * 2017-07-31 2021-08-0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内容物を計量して塗布する塗布容器
US11034507B2 (en) 2018-08-27 2021-06-15 S. C. Johnson & Son, Inc. Trigger overcap assembly
USD880298S1 (en) 2018-08-27 2020-04-07 S. C. Johnson & Son, Inc. Actua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2569A (ja) * 1990-08-08 1992-04-03 Kanebo Ltd 泡状液体の混合吐出装置
JP2523178Y2 (ja) 1990-09-04 1997-01-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エアゾール式二液混合容器
JPH11587A (ja) 1997-06-10 1999-01-06 Arimino Kagaku Kk エアゾール式二液混合噴出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39762A (ko) * 1962-11-16
US3236457A (en) * 1963-08-21 1966-02-22 John R Kennedy Composite spray container assembly
US3303970A (en) * 1964-07-14 1967-02-14 Jerome Marrow Device for simultaneously dispensing from plural sources
US3575319A (en) * 1968-07-11 1971-04-20 Upjohn Co Portable dispenser for polymer foams
DE3614515A1 (de) * 1986-04-29 1987-11-05 Pfeiffer Erich Gmbh & Co Kg Austragvorrichtung fuer medien
FR2598392B1 (fr) * 1986-05-09 1988-08-26 Oreal Conditionnement pour deux recipients pressurises
FR2603558B1 (fr) * 1986-09-04 1988-11-18 Oreal Tete de distribution d'un produit pateux resultant du melange de deux composants stockes separement et ensemble de conditionnement dote d'une telle tete de distribution
US4880143A (en) * 1988-10-20 1989-11-14 Insta-Foam Products Dispenser and components for high viscosity foam products
FR2662672B1 (fr) * 1990-05-31 1992-08-21 Aerosols & Bouchage Dispensateur de melange.
DE19541594A1 (de) * 1995-11-08 1997-05-15 Pfeiffer Erich Gmbh & Co Kg Austrag-Einheit für Medien
US5924599A (en) * 1998-01-16 1999-07-20 Flexible Products Company Dispensing system with unique container attachment
JP2002537107A (ja) * 1999-02-26 2002-11-05 ウエラ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別々の圧縮ガス容器からの液体を混合、発泡させ、放出するための装置
FR2815616B1 (fr) * 2000-10-20 2003-01-24 Oreal Ensemble de distribution destine a la distribution extemporanee de deux produi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2569A (ja) * 1990-08-08 1992-04-03 Kanebo Ltd 泡状液体の混合吐出装置
JP2523178Y2 (ja) 1990-09-04 1997-01-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エアゾール式二液混合容器
JPH11587A (ja) 1997-06-10 1999-01-06 Arimino Kagaku Kk エアゾール式二液混合噴出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917B1 (ko) * 2008-10-08 2009-07-02 (주) 아름다운 화장품 교반봉이 구비된 염색제 용기
KR100905918B1 (ko) * 2008-10-08 2009-07-02 (주) 아름다운 화장품 교반봉이 구비된 염색제 용기
KR200469449Y1 (ko) 2012-05-04 2013-10-15 (주)아모레퍼시픽 이종 염색약을 갖는 염색도구
KR101449451B1 (ko) * 2013-08-16 2014-10-13 (주)나산기업 염색제 용기
WO2018093035A1 (ko) * 2016-11-18 2018-05-24 (주)얼리스킨코리아 거품 분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34778B2 (en) 2004-12-28
TWI221142B (en) 2004-09-21
CN1225386C (zh) 2005-11-02
CN1512952A (zh) 2004-07-14
JPWO2003002426A1 (ja) 2005-01-27
JP4051412B2 (ja) 2008-02-27
US20040134931A1 (en) 2004-07-15
KR20040019287A (ko) 2004-03-05
WO2003002426A1 (fr) 200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1757B1 (ko) 혼합주출장치
US4346821A (en) Child-resistant closures for container mounted spray dispensers
KR101448701B1 (ko) 에어로졸 용기용 액추에이터
US6739481B2 (en) Spray dispensing device with nozzle closure
JP2001508696A (ja) 密閉装置を備えている、流体を分与する分与装置
JP2010052812A (ja) エアゾール容器用吐出装置
JP5401388B2 (ja) 二連式容器
EP3723910B1 (en) Trigger dispensing head with locking device
CN110234579B (zh) 喷嘴单元以及具有该喷嘴单元的二液型喷出器
JP2002326679A (ja) エアゾール缶スパウト
JP4019309B2 (ja) 注出容器
JP4681146B2 (ja) 二剤吐出容器
KR200463141Y1 (ko) 복수 개의 분사 노즐을 구비하는 분사장치
JP4061621B2 (ja) 注出容器
JP4257410B2 (ja) 注出容器
JP4071086B2 (ja) 注出容器
JP7072988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吐出具
JP7005114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吐出具
KR102333060B1 (ko) 노즐 유닛, 및 그것을 구비하는 2액 토출기
JP3954883B2 (ja) 注出容器
JP7150398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吐出具
JP4003930B2 (ja) 注出容器
JP6973909B2 (ja) 塗布容器
JP7154700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吐出具
JP6401031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押圧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