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5395B1 - 알콕시-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 및 그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알콕시-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 및 그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395B1
KR100785395B1 KR1020067002250A KR20067002250A KR100785395B1 KR 100785395 B1 KR100785395 B1 KR 100785395B1 KR 1020067002250 A KR1020067002250 A KR 1020067002250A KR 20067002250 A KR20067002250 A KR 20067002250A KR 100785395 B1 KR100785395 B1 KR 100785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enyl
tetrazole
alkoxy
formula
tetraz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2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9994A (ko
Inventor
가즈타케 하기야
야스히로 사토
Original Assignee
도요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9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9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3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5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four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5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four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57/04Five-membered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1]
Figure 112006007653719-pct00035
(식 중, A1은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A2는 수소 원자, 알킬기 또는 불소로 치환된 알킬기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1-(알콕시-페닐)-1H-테트라졸 화합물을, 설폰산 용매에서 헥사메틸렌테트라민과 반응시킨 다음 가수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 (2);
[화학식 2]
Figure 112006007653719-pct00036
(식 중, A1 및 A2는 상기와 같음)
로 표시되는 알콕시-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1-(알콕시-페닐)-1H-테트라졸 화합물을 포르밀화하고, 알콕시-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알콕시-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 포르밀화 반응

Description

알콕시-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ALKOXYTETRAZOL-1-YLBENZALDEHYDE COMPOUND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한 알콕시-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콕시-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은, 의약 중간체로서 이용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예를 들면, 2-메톡시-5-(5-메틸-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는 주로 진통제나 항염증제로서 유용한 의약품의 중요 중간체로서 유용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EP 0829480A2). 또한, 2-메톡시-5-(5-트리플루오로메틸-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는 주로 진통약으로서 유용한 의약품의 중요 중간체로서 유용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WO 96/29326).
한편, 방향족 화합물의 포르밀화 반응은 이전부터 연구되어 여러가지 방법이 보고되어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1) 디메틸포름아미드와 옥시염화인을 사용하는 방법(Org. Synth., Coll. Vol.), 제4판, 1963년, p.539), (2) 디메틸포름아미드와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무수물을 사용하는 방법(저널 어브 케미컬 소사이어티 케 미칼 커뮤니케이션즈(J. Chem. Soc., Chem. Commun.), 1990년, p.1571), (3) 헥사메틸렌테트라민(Hexamethylenetetramine)과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을 사용하는 방법(저널 어브 오가닉 케미스트리(J. Org. Chem.), 제37판, 1972년, p.3972), (4) 이미다졸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을 사용하는 방법(테트라헤드론(Tetrahedron.), 제36판, 1980년, p.2505), (5) 일산화탄소와 염산과 염화알루미늄(Ⅲ)을 사용하는 방법(오가닉 리액션즈(Org. React.), 제5판, 1960년, p.290), (6) 시안화 아연(Ⅱ)과 염산과 염화알루미늄(Ⅲ)을 사용하는 방법(케미컬 리뷰(Chem. Rev.), 제63판, 1963년, p.526)을 들 수 있다.
그러나, 1-(알콕시-페닐)-1H-테트라졸 화합물의 포르밀화 반응은, 상기 (1)~(4)의 방법을 사용해도 거의 진행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5)의 방법에서는 유독한 일산화탄소를 사용하고, 상기 (6)의 방법에서는 반응계 내에서 시안화수소가 생성되기 때문에 공업적으로 위험이 따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공지의 방법을 이용한 1-(알콕시-페닐)-1H-테트라졸 화합물의 포르밀화 반응은, 반응이 진행하지 않거나 위험이 따르기 때문에 공업적으로는 불리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1-(알콕시-페닐)-1H-테트라졸 화합물을 포르밀화하고, 알콕시-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은, 이하의 기재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1-(알콕시-페닐)-1H-테트라졸 화합물을, 설폰산 용매에서 헥사메틸렌테트라민(Hexamethylenetetramine)과 반응시킨 다음 가수분해함으로써, 알콕시-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알콕시-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1. 하기 화학식 (1);
Figure 112006007653719-pct00001
(식 중, A1은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A2는 수소 원자, 알킬기 또는 불소로 치환된 알킬기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1-(알콕시-페닐)-1H-테트라졸 화합물을, 설폰산 용매에서 헥사메틸렌테트라민과 반응시킨 다음 가수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 (2);
Figure 112006007653719-pct00002
(식 중, A1 및 A2는 상기와 같음)
로 표시되는 알콕시-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2. 설폰산 용매가 메탄설폰산과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의 혼합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항 1에 기재된 방법.
3. 1-(알콕시-페닐)-1H-테트라졸 화합물 1 몰에 대하여, 헥사메틸렌테트라민을 1.0~3.0 몰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방법.
4. A1이 메톡시기를 나타내고, A2가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항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5. 하기 화학식 (3);
Figure 112006007653719-pct00003
(식 중, A1은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A2는 수소 원자, 알킬기 또는 불소로 치환된 알킬기를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1-(2-알콕시-페닐)-1H-테트라졸 화합물을, 설폰산 용매에서 헥사메틸렌테트라민과 반응시킨 다음 가수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 (4);
Figure 112006007653719-pct00004
(식 중, A1 및 A2는 상기와 같음)
로 표시되는 4-알콕시-3-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6. 하기 화학식(5);
Figure 112006007653719-pct00005
(식 중, A1은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A2는 수소 원자, 알킬기 또는 불소로 치 환된 알킬기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1-(3-알콕시-페닐)-1H-테트라졸 화합물을, 설폰산 용매에서 헥사메틸렌테트라민과 반응시킨 다음 가수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 (6);
Figure 112006007653719-pct00006
(식 중, A1 및 A2는 상기와 같음)
으로 표시되는 2-알콕시-4-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7. 하기 화학식 (7);
Figure 112006007653719-pct00007
(식 중, A1은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A2는 수소 원자, 알킬기 또는 불소로 치환된 알킬기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1-(4-알콕시-페닐)-1H-테트라졸 화합물을, 설폰산 용매에서 헥사메틸렌테트라민과 반응시킨 다음 가수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 (8);
Figure 112006007653719-pct00008
(식 중, A1 및 A2는 상기와 같음)
로 표시되는 2-알콕시-5-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8. 하기 화학식 (2);
[화학식 2]
Figure 112006007653719-pct00009
(식 중, A1은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A2는 수소 원자, 알킬기 또는 불소로 치환된 알킬기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알콕시-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단, 하기 화학식 (8);
[화학식 8]
Figure 112006007653719-pct00010
(식 중, A1 및 A2는 상기와 같음)
로 표시되는 2-알콕시-5-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을 제외함).
9. A1에 대하여 오르토(ortho) 위치 또는 파라(para) 위치에 알데히드기가 존재하는 상기 항 8에 기재된 알콕시-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
10. 하기 화학식(4);
[화학식 4]
Figure 112006007653719-pct00011
(식 중, A1은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A2는 수소 원자, 알킬기 또는 불소로 치환된 알킬기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4-알콕시-3-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
11. 하기 화학식(6);
Figure 112006007653719-pct00012
(식 중, A1은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A2는 수소 원자, 알킬기 또는 불소로 치환된 알킬기를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2-알콕시-4-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
이하,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상기 화학식 (1)~(8)에 있어서의 A1 및 A2에 관하여 설명한다.
A1에 있어서의 알콕시기의 알킬 부분은, 선형(linear)이나 분지형(branched)일 수 있다. 분지형인 경우, 분지 위치나 분지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반응이 진행하기 쉽다는 점에서, 탄소수 1~10의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1~4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알콕시기의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부톡시기, 부토-2-옥시기, 2-메틸프로프-1-옥시기, 2-메틸프로프-2-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A2에 있어서의 알킬기는, 선형이나 분지형일 수 있다. 분지형인 경우, 분지 위치나 분지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반응이 진행하기 쉽다는 점에 서, 탄소수 1~10의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1~3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등을 들 수 있다.
A2에 있어서의 수소가 불소로 치환된 알킬기는, 원료의 입수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선형이고 탄소수가 1~4이며 모든 수소가 불소로 치환된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1~2이고 모든 수소가 불소로 치환된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펜타플루오로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A1으로서는 메톡시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A2로서는,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1-(알콕시-페닐)-1H-테트라졸 화합물로서는,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1-(2-알콕시-페닐)-1H-테트라졸 화합물,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1-(3-알콕시-페닐)-1H-테트라졸 화합물, 상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1-(4-알콕시-페닐)-1H-테트라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 (3)의 1-(2-알콕시-페닐)-1H-테트라졸 화합물은, 어떤 방법으로 제조된 것이라도 좋다. 구체적인 예로는, 1-(2-메톡시-페닐)-1H-테트라졸, 1-(2-에톡시-페닐)-1H-테트라졸, 1-(2-프로폭시-페닐)-1H-테트라졸, 1-(2-이소프로폭시-페닐)-1H-테트라졸, 1-(2-부톡시-페닐)-1H-테트라졸, 1-[2-(부토-2-옥시)-페닐]-1H-테트라졸, 1-[2-(2-메틸프로프-1-옥시)-페닐]-1H-테트라졸, 1-[2-(2-메틸프로프-2-옥시)-페닐]-1H-테트라졸, 1-(2-메톡시-페닐)-5-메틸-1H-테트라졸, 1-(2-에톡시-페닐)-5-메틸-1H-테트라졸, 1-(2-프로폭시-페닐)-5-메틸-1H-테트라졸, 1-(2-이소 프로폭시-페닐)-5-메틸-1H-테트라졸, 1-(2-부톡시-페닐)-5-메틸-1H-테트라졸, 1-[2-(부토-2-옥시)-페닐]-5-메틸-1H-테트라졸, 1-[2-(2-메틸프로프-1-옥시)-페닐]-5-메틸-1H-테트라졸, 1-[2-(2-메틸프로프-2-옥시)-페닐]-5-메틸-1H-테트라졸, 1-(2-메톡시-페닐)-5-에틸-1H-테트라졸, 1-(2-에톡시-페닐)-5-에틸-1H-테트라졸, 1-(2-프로폭시-페닐)-5-에틸-1H-테트라졸, 1-(2-이소프로폭시-페닐)-5-에틸-1H-테트라졸, 1-(2-부톡시-페닐)-5-에틸-1H-테트라졸, 1-[2-(부토-2-옥시)-페닐]-5-에틸-1H-테트라졸, 1-[2-(2-메틸프로프-1-옥시)-페닐]-5-에틸-1H-테트라졸, 1-[2-(2-메틸프로프-2-옥시)-페닐]-5-에틸-1H-테트라졸, 1-(2-메톡시-페닐)-5-프로필-1H-테트라졸, 1-(2-에톡시-페닐)-5-프로필-1H-테트라졸, 1-(2-프로폭시-페닐)-5-프로필-1H-테트라졸, 1-(2-이소프로폭시-페닐)-5-프로필-1H-테트라졸, 1-(2-부톡시-페닐)-5-프로필-1H-테트라졸, 1-[2-(부토-2-옥시)-페닐]-5-프로필-1H-테트라졸, 1-[2-(2-메틸프로프-1-옥시)-페닐]-5-프로필-1H-테트라졸, 1-[2-(2-메틸프로프-2-옥시)-페닐]-5-프로필-1H-테트라졸, 1-(2-메톡시-페닐)-5-이소프로필-1H-테트라졸, 1-(2-에톡시-페닐)-5-이소프로필-1H-테트라졸, 1-(2-프로폭시-페닐)-5-이소프로필-1H-테트라졸, 1-(2-이소프로폭시-페닐)-5-이소프로필-1H-테트라졸, 1-(2-부톡시-페닐)-5-이소프로필-1H-테트라졸, 1-[2-(부토-2-옥시)-페닐]-5-이소프로필-1H-테트라졸, 1-[2-(2-메틸프로프-1-옥시)-페닐]-5-이소프로필-1H-테트라졸, 1-[2-(2-메틸프로프-2-옥시)-페닐]-5-이소프로필-1H-테트라졸, 1-(2-메톡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1-(2-에톡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1-(2-프로폭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1-(2-이소프로폭시-페닐)-5-트리플루오로 메틸-1H-테트라졸, 1-(2-부톡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1-[2-(부토-2-옥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1-[2-(2-메틸프로프-1-옥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1-[2-(2-메틸프로프-2-옥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1-(2-메톡시-페닐)-5-펜타플루오로에틸-1H-테트라졸, 1-(2-에톡시-페닐)-5-펜타플루오로에틸-1H-테트라졸, 1-(2-프로폭시-페닐)-5-펜타플루오로에틸-1H-테트라졸, 1-(2-이소프로폭시-페닐)-5-펜타플루오로에틸-1H-테트라졸, 1-(2-부톡시-페닐)-5-펜타플루오로에틸-1H-테트라졸, 1-[2-(부토-2-옥시)-페닐]-5-펜타플루오로에틸-1H-테트라졸, 1-[2-(2-메틸프로프-1-옥시)-페닐]-5-펜타플루오로에틸-1H-테트라졸, 1-[2-(2-메틸프로프-2-옥시)-페닐]-5-펜타플루오로에틸-1H-테트라졸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특히 1-(2-메톡시-페닐)-1H-테트라졸, 1-(2-메톡시-페닐)-5-메틸-1H-테트라졸, 1-(2-메톡시-페닐)-5-에틸-1H-테트라졸, 1-(2-메톡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5)의 1-(3-알콕시-페닐)-1H-테트라졸 화합물은, 어떠한 방법으로 제조된 것이라도 좋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1-(3-메톡시-페닐)-1H-테트라졸, 1-(3-에톡시-페닐)-1H-테트라졸, 1-(3-프로폭시-페닐)-1H-테트라졸, 1-(3-이소프로폭시-페닐)-1H-테트라졸, 1-(3-부톡시-페닐)-1H-테트라졸, 1-[3-(부토-2-옥시)-페닐]-1H-테트라졸, 1-[3-(2-메틸프로프-1-옥시)-페닐]-1H-테트라졸, 1-[3-(2-메틸프로프-2-옥시)-페닐]-1H-테트라졸, 1-(3-메톡시-페닐)-5-메틸-1H-테트라졸, 1-(3-에톡시-페닐)-5-메틸-1H-테트라졸, 1-(3-프로폭시-페닐)-5-메틸-1H-테트라졸, 1-(3-이소프로폭시-페닐)-5-메틸-1H-테트라졸, 1-(3-부톡시-페닐)-5-메틸-1H-테트라졸, 1-[3-(부토-2-옥시)-페닐]-5-메틸-1H-테트라졸, 1-[3-(2-메틸프로프-1-옥시)-페닐]-5-메틸-1H-테트라졸, 1-[3-(2-메틸프로프-2-옥시)-페닐]-5-메틸-1H-테트라졸, 1- (3-메톡시-페닐)-5-에틸-1H-테트라졸, 1-(3-에톡시-페닐)-5-에틸-1H-테트라졸, 1- (3-프로폭시-페닐)-5-에틸-1H-테트라졸, 1-(3-이소프로폭시-페닐)-5-에틸-1H-테트라졸, 1-(3-부톡시-페닐)-5-에틸-1H-테트라졸, 1-[3-(부토-2-옥시)-페닐]-5-에틸-1H-테트라졸, 1-[3-(2-메틸프로프-1-옥시)-페닐]-5-에틸-1H-테트라졸, 1-[3-(2-메틸프로프-2-옥시)-페닐]-5-에틸-1H-테트라졸, 1-(3-메톡시-페닐)-5-프로필-1H-테트라졸, 1-(3-에톡시-페닐)-5-프로필-1H-테트라졸, 1-(3-프로폭시-페닐)-5-프로필-1H-테트라졸, 1-(3-이소프로폭시-페닐)-5-프로필-1H-테트라졸, 1-(3-부톡시-페닐)-5-프로필-1H-테트라졸, 1-[3-(부토-2-옥시)-페닐]-5-프로필-1H-테트라졸, 1-[3-(2-메틸프로프-1-옥시)-페닐]-5-프로필-1H-테트라졸, 1-[3-(2-메틸프로프-2-옥시)-페닐]-5-프로필-1H-테트라졸, 1-(3-메톡시-페닐)-5-이소프로필-1H-테트라졸, 1-(3-에톡시-페닐)-5-이소프로필-1H-테트라졸, 1-(3-프로폭시-페닐)-5-이소프로필-1H-테트라졸, 1-(3-이소프로폭시-페닐)-5-이소프로필-1H-테트라졸, 1-(3-부톡시-페닐)-5-이소프로필-1H-테트라졸, 1-[3-(부토-2-옥시)-페닐]-5-이소프로필-1H-테트라졸, 1-[3-(2-메틸프로프-1-옥시)-페닐]-5-이소프로필-1H-테트라졸, 1-[3-(2-메틸프로프-2-옥시)-페닐]-5-이소프로필-1H-테트라졸, 1-(3-메톡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1-(3-에톡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1-(3-프로폭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1-(3-이소프로폭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1-(3-부톡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1-[3-(부 토-2-옥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1-[3-(2-메틸프로프-1-옥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1-[3-(2-메틸프로프-2-옥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1-(3-메톡시-페닐)-5-펜타플루오로에틸-1H-테트라졸, 1-(3-에톡시-페닐)-5-펜타플루오로에틸-1H-테트라졸, 1-(3-프로폭시-페닐)-5-펜타플루오로에틸-1H-테트라졸, 1-(3-이소프로폭시-페닐)-5-펜타플루오로에틸-1H-테트라졸, 1-(3-부톡시-페닐)-5-펜타플루오로에틸-1H-테트라졸, 1-[3-(부토-2-옥시)-페닐]-5-펜타플루오로에틸-1H-테트라졸, 1-[3-(2-메틸프로프-1-옥시)-페닐]-5-펜타플루오로에틸-1H-테트라졸, 1-[3-(2-메틸프로프-2-옥시)-페닐]-5-펜타플루오로에틸-1H-테트라졸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 특히 1-(3-메톡시-페닐)-1H-테트라졸, 1- (3-메톡시-페닐)-5-메틸-1H-테트라졸, 1-(3-메톡시-페닐)-5-에틸-1H-테트라졸, 1-(3-메톡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7)의 1-(4-알콕시-페닐)-1H-테트라졸 화합물은, 어떠한 방법으로 제조된 것이라도 좋다. 구체적인 예로는, 1-(4-메톡시-페닐)-1H-테트라졸, 1-(4-에톡시-페닐)-1H-테트라졸, 1-(4-프로폭시-페닐)-1H-테트라졸, 1-(4-이소프로폭시-페닐)-1H-테트라졸, 1-(4-부톡시-페닐)-1H-테트라졸, 1-[4-(부토-2-옥시)-페닐]-1H-테트라졸, 1-[4-(2-메틸프로프-1-옥시)-페닐]-1H-테트라졸, 1-[4-(2-메틸프로프-2-옥시)-페닐]-1H-테트라졸, 1-(4-메톡시-페닐)-5-메틸-1H-테트라졸, 1-(4-에톡시-페닐)-5-메틸-1H-테트라졸, 1-(4-프로폭시-페닐)-5-메틸-1H-테트라졸, 1-(4-이소프로폭시-페닐)-5-메틸-1H-테트라졸, 1-(4-부톡시-페닐)-5-메틸-1H-테트라졸, 1-[4-(부토-2-옥시)-페닐]-5-메틸-1H-테트라졸, 1-[4-(2-메틸프로프-1-옥시)-페닐]- 5-메틸-1H-테트라졸, 1-[4-(2-메틸프로프-2-옥시)-페닐]-5-메틸-1H-테트라졸, 1- (4-메톡시-페닐)-5-에틸-1H-테트라졸, 1-(4-에톡시-페닐)-5-에틸-1H-테트라졸, 1-(4-프로폭시-페닐)-5-에틸-1H-테트라졸, 1-(4-이소프로폭시-페닐)-5-에틸-1H-테트라졸, 1-(4-부톡시-페닐)-5-에틸-1H-테트라졸, 1-[4-(부토-2-옥시)-페닐]-5-에틸-1H-테트라졸, 1-[4-(2-메틸프로프-1-옥시)-페닐]-5-에틸-1H-테트라졸, 1-[4-(2-메틸프로프-2-옥시)-페닐]-5-에틸-1H-테트라졸, 1-(4-메톡시-페닐)-5-프로필-1H-테트라졸, 1-(4-에톡시-페닐)-5-프로필-1H-테트라졸, 1-(4-프로폭시-페닐)-5-프로필-1H-테트라졸, 1-(4-이소프로폭시-페닐)-5-프로필-1H-테트라졸, 1-(4-부톡시-페닐)-5-프로필-1H-테트라졸, 1-[4-(부토-2-옥시)-페닐]-5-프로필-1H-테트라졸, 1-[4-(2-메틸프로프-1-옥시)-페닐]-5-프로필-1H-테트라졸, 1-[4-(2-메틸프로프-2-옥시)-페닐]-5-프로필-1H-테트라졸, 1-(4-메톡시-페닐)-5-이소프로필-1H-테트라졸, 1-(4-에톡시-페닐)-5-이소프로필-1H-테트라졸, 1-(4-프로폭시-페닐)-5-이소프로필-1H-테트라졸, 1-(4-이소프로폭시-페닐)-5-이소프로필-1H-테트라졸, 1-(4-부톡시-페닐)-5-이소프로필-1H-테트라졸, 1-[4-(부토-2-옥시)-페닐]-5-이소프로필-1H-테트라졸, 1-[4-(2-메틸프로프-1-옥시)-페닐]-5-이소프로필-1H-테트라졸, 1-[4-(2-메틸프로프-2-옥시)-페닐]-5-이소프로필-1H-테트라졸, 1-(4-메톡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1-(4-에톡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1-(4-프로폭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1-(4-이소프로폭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1-(4-부톡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1-[4-(부토-2-옥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1-[4-(2-메틸프로프-1-옥시)- 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1-[4-(2-메틸프로프-2-옥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1-(4-메톡시-페닐)-5-펜타플루오로에틸-1H-테트라졸, 1-(4-에톡시-페닐)-5-펜타플루오로에틸-1H-테트라졸, 1-(4-프로폭시-페닐)-5-펜타플루오로에틸-1H-테트라졸, 1-(4-이소프로폭시-페닐)-5-펜타플루오로에틸-1H-테트라졸, 1-(4-부톡시-페닐)-5-펜타플루오로에틸-1H-테트라졸, 1-[4-(부토-2-옥시)-페닐]-5-펜타플루오로에틸-1H-테트라졸, 1-[4-(2-메틸프로프-1-옥시)-페닐]-5-펜타플루오로에틸-1H-테트라졸, 1-[4-(2-메틸프로프-2-옥시)-페닐]-5-펜타플루오로에틸-1H-테트라졸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 특히 1-(4-메톡시-페닐)-1H-테트라졸, 1-(4-메톡시-페닐)-5-메틸-1H-테트라졸, 1-(4-메톡시-페닐)-5-에틸-1H-테트라졸, 1-(4-메톡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알콕시-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헥사메틸렌테트라민의 사용량은, 상기 화학식 (1)의 1-(알콕시-페닐)-1H-테트라졸 화합물 1 몰에 대하여 1.0~3.0 몰이 바람직하고, 1.2~2.0 몰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설폰산 용매는, 물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화학식 (1)의 1-(알콕시-페닐)-1H-테트라졸 화합물을 용해하는 설폰산 용매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펜타플루오로에탄설폰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일 용매로 사용하거나 적당한 혼합 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설폰산 용매 중에서, 메탄설폰산 :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 1 : 0.6~1.5(용량비)의 혼합 용매가 특히 바람직하다. 설폰산 용매의 사용량은, 상기 화학식 (1)의 1-(알콕시-페닐)-1H-테 트라졸 화합물 1 g에 대하여 1~15 ml인 것이 바람직하고, 5~10 ml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1)의 1-(알콕시-페닐)-1H-테트라졸 화합물과 헥사메틸렌테트라민과의 반응은, 설폰산 용매에서 가열함으로써 행해진다. 반응온도는, 너무 낮으면 반응속도가 낮아지고, 너무 높으면 부생성물(副生成物)이 많아지기 때문에, 50~150℃ 정도가 바람직하고, 80~100℃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시간은, 1~8시간 정도가 바람직하고, 2~5시간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의 종료 후 실온까지 냉각한 다음, 물을 계 내에 가하거나 물에 반응 용액을 가하여 가수분해를 한다. 물의 사용량은, 상기 화학식 (1)의 1-(알콕시-페닐)-1H-테트라졸 화합물 1 g에 대하여 1~15 ml인 것이 바람직하고, 5~15 ml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수분해 온도는, 0~30℃ 정도가 바람직하고, 0~15℃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가수분해 시간은, 15분간~2시간 정도가 바람직하고, 30분간~1시간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어서, 추출(extraction), 분액조작(separation), 탈습(drying), 용매 증류제거(solvent evaporation) 등의 통상의 방법으로 조생성물을 얻은 다음, 결정화(crystallization), 재결정(recrystallization),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등의 정제에 의해,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콕시-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콕시-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로서는,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4-알콕시-3-테트라졸-1-일-벤 즈알데히드 화합물, 상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2-알콕시-4-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 상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2-알콕시-5-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콕시-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에 있어서는, A1에 대하여 오르토(ortho) 위치 또는 파라(para) 위치에 알데히드기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1-(알콕시-페닐)-1H-테트라졸 화합물을 포르밀화하여, 알콕시-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의 형태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4- 메톡시 -3- 테트라졸 -1-일-벤즈알데히드
Figure 112006007653719-pct00013
100 ml 플라스크에 1-(2-메톡시-페닐)-1H-테트라졸 3 g(17.0 mmol), 메탄설폰산 15 ml,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15 ml 및 헥사메틸렌테트라민 4.77 g(34.0 mmol)을 가하고, 100℃까지 가열하여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실온까지 냉각한 다음, 얼음조(ice bath)에서 냉각한 물 30 ml에 반응 용액을 가하고 5℃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디클로로메탄(60 ml×3)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유기층을 1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90 ml×1), 물(90 ml×1)로 세정한 후에, 무수 황산마그네슘에서 1시간 탈습하였다. 탈습한 후에 여과, 용매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조생성물(crude product)을 얼음조에서 냉각하면서 디클로로메탄 6 ml과 이소프로필 알코올 9 ml의 혼합 용매를 이용하여 결정화(crystallization)한 다음, 여과하고 건조하여, 백색 고체로서 4-메톡시-3-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0.97 g을 얻었다(수율 27.9%).
녹는점: 156.8~158.7℃
IR(KBR, cm-1): 3155, 1688, 1607, 1516, 1468, 1439, 1292, 1258, 1221, 1180, 1153, 1088, 1009, 901, 820, 671, 662, 640
1H-NMR(CDCl3): δ=9.98(s, 1H), 9.17(s, 1H), 8.36(d, J=2.0 Hz, 1H), 8.04(dd, J=8.6 Hz, 2.0 Hz, 1H), 7.27(d, J=8.6 Hz, 1H), 4.06(s, 3H)
13C-NMR(CDCl3): δ=188.91, 154.89, 142.78, 132.13, 130.32, 126.38, 123.62, 112.64, 56.97
원소분석
계산값(C9H8N4O2): C 52.94%, H 3.95%, N 27.44%
실측값: C 52.92%, H 3.57%, N 26.91%
[실시예 2]
4-메톡시-3-(5-메틸-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Figure 112006007653719-pct00014
10 ml 플라스크에 1-(2-메톡시-페닐)-5-메틸-1H-테트라졸 100 mg(0.526 mmol), 메탄설폰산 0.5 ml,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0.5 ml 및 헥사메틸렌테트라민 111 mg(0.789 mmol)을 가하고, 100℃ 까지 가열하여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실온까지 냉각한 다음, 얼음조에서 냉각한 물 1 ml에 반응 용액을 가하고 5℃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디클로로메탄(5 ml×3)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유기층을 10%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10 ml×1), 물(10 ml×1)로 세정한 후에, 무수 황산마그네슘에서 1시간 탈습하였다. 탈습한 후에 여과, 용매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디클로로메탄)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4-메톡시-3-(5-메틸-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68 mg을 얻었다(수율 59.3%).
녹는점: 156.9~157.4℃
IR(KBr, cm-1): 2998, 2805, 1689, 1605, 1508, 1290, 1271, 1252, 1180, 1011, 824
1H-NMR(CDCl3): δ=9.94(s, 1H), 8.10(dd, J=8.5 Hz, 2.0 Hz, 1H), 7.91(d, J=2.0 Hz, 1H), 7.25(d, J=8.5 Hz, 1H), 3.93(s, 3H), 2.45(s, 3H)
13C-NMR(CDCl3): δ=188.90, 158.16, 153.15, 134.09, 130.04, 129.42, 123.11, 112.56, 56.67, 9.12
원소분석
계산값(C10H10N4O2): C 55.04%, H 4.62%, N 25.68%
실측값: C 55.11%, H 4.45%, N 25.41%
[실시예 3]
4-메톡시-3-(5-트리플루오로메틸-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Figure 112006007653719-pct00015
100 ml 플라스크에 1-(2-메톡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3 g(12.3 mmol), 메탄설폰산 15 ml,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15 ml 및 헥사메틸렌테트라민 3.45 g(24.6 mmol)을 가하고, 100℃까지 가열하여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실온까지 냉각한 다음, 얼음조에서 냉각한 물 30 ml에 반응 용액을 가하고 5℃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디클로로메탄(60 ml×3)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유기층을 10%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90 ml×1), 물(90 ml×1)로 세정한 후에, 무수 황산마그네슘에서 1시간 탈습하였다. 탈습한 후에 여과, 용매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얼음조에서 냉각하면서 이소프로필 알코올 9 ml와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9 ml의 혼합 용매를 이용하여 결정화한 다음, 여과하고(濾取) 건조하여, 백색 고체로서 4-메톡시-3-(5-트리플루오로메틸-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2.14 g을 얻었다(수율 62.2%).
녹는점: 78.5~79.6℃
IR(KBr, cm-1): 1699, 1611, 1530, 1512, 1460, 1304, 1287, 1256, 1177, 1144, 1105, 1045, 1030, 1011, 901, 826, 756, 679, 638
1H-NMR(CDCl3): δ=9.95(s, 1H), 8.15(dd, J=8.5 Hz, 2.0 Hz, 1H), 7.94(s, 1H), 7.26(d, J=8.5 Hz, 1H), 3.92(s, 3H)
13C-NMR(CDCl3): δ=188.43, 158.08, 147.72, 147.30, 146.88, 146.46, 135.11, 129.66, 128.54, 122.05, 121.61, 118.90, 116.21, 113.50, 112.48, 56.70
원소분석
계산값(C10H7F3N4O2): C 44.13%, H 2.59%, N 20.58%
실측값: C 43.82%, H 2.56%, N 20.41%
[실시예 4]
2-메톡시-4-(5-메틸-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Figure 112006007653719-pct00016
20 ml 플라스크에 1-(3-메톡시-페닐)-5-메틸-1H-테트라졸 1 g(5.26 mmol), 메탄설폰산 5 ml,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5 ml 및 헥사메틸렌테트라민 1.12 g(7.89 mmol)을 가하고, 100℃까지 가열하여 3.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실온까지 냉각한 다음, 얼음조에서 냉각한 물 15 ml에 반응 용액을 가하고, 5℃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디클로로메탄(20 ml×3)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유기층을 10%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20 ml×1), 물(20 ml×1)로 세정한 후에, 무수 황산마그네슘에서 1시간 탈습하였다. 탈습한 뒤에 여과, 용매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 0.5 ml과 톨루엔 1 ml의 혼합 용매를 이용하여 재결정한 다음, 여과하고 건조하여, 백색 고체로서 2-메톡시-4-(5-메틸-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171 mg을 얻었다(수율 14.9%).
녹는점: 131.7~132.0℃
IR(KBr, cm-1): 3072, 2876, 1684, 1609, 1470, 1396, 1306, 1283, 1240, 1011, 881
1H-NMR(CDCl3): δ=10.05(s, 1H), 8.02(d, J=8.1 Hz, 1H), 7.21(d, J=1.7 Hz,1H), 7.09(d, J=8.1 Hz, 1H), 4.01(s, 3H), 2.68(s, 3H)
13C-NMR(CDCl3): δ=187.90, 162.22, 151.19, 139.19, 129.95, 125.48, 115.48, 108.30, 56.38, 10.38
원소분석
계산값(C10H10N4O2): C 55.04%, H 4.62%, N 25.68%
실측값: C 54.43%, H 4.21%, N 25.29%
[실시예 5]
2-메톡시-5-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Figure 112006007653719-pct00017
100 ml 플라스크에 1-(4-메톡시-페닐)-1H-테트라졸 3 g(17.0 mmmol), 메탄설폰산 15 ml,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15 ml 및 헥사메틸렌테트라민 4.78 g(34.0 mmol)을 가하고, 100℃까지 가열하여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실온까지 냉각한 다음, 얼음조에서 냉각한 물 30 ml에 반응 용액을 가하고 5℃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디클로로메탄(60 ml×3)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유기층을 10%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90 ml×1), 물(90 ml×1)로 세정한 후에, 무수 황산마그네슘에서 1시간 탈습하였다. 탈습한 뒤에 여과, 용매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얼음조에서 냉각하면서 디클로로메탄 5 ml과 톨루엔 5 ml의 혼합 용매를 이용하여 결정화한 다음, 여과하고 건조하여, 백색 고체로서 2-메톡시-5-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1.61 g을 얻었다(수율 46.3%).
녹는점: 170.7~171.7℃
IR(KBr, cm-1): 3125, 1674, 1611, 1506, 1468, 1398, 1281, 1260, 1217, 1186, 1096, 1009, 841
1H-NMR(CDCl3): δ=10.59(s, 1H), 8.97(s, 1H), 8.04(d, J=2.9 Hz, 1H), 7.98(dd, J=9.0 Hz, 2.9 Hz, 1H), 7.22(d, J=9.0 Hz, 1H), 4.04(s, 3H)
원소분석
계산값(C9H8N4O2): C 52.94%, H 3.95%, N 27.44%
실측값: C 52.69%, H 3.76%, N 27.37%
[실시예 6]
2-메톡시-5-(5-메틸-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Figure 112006007653719-pct00018
10 ml 플라스크에 1-(4-메톡시-페닐)-5-메틸-1H-테트라졸 500 mg(2.63 mmol), 메탄설폰산 2.5 ml,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2.5 ml 및 헥사메틸렌테트라민554 mg(3.94 mmol)을 가하고, 100℃까지 가열하여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실온까지 냉각한 다음, 얼음조에서 냉각한 물 5 ml에 반응 용액을 가하고 5℃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디클로로메탄(10 ml×3)으로 추출하고, 얻어진은 유기층을 10%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10 ml×1), 물(10 ml×1)로 세정한 후에, 무수 황산마그네슘에서 1시간 탈습하였다. 탈습한 뒤에 여과, 용매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아세트산 에틸:n-헥산=1:1)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2-메톡시-5-(5-메틸-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290 g을 얻었다(수율 50.6%).
IR(KBr, cm-1): 3010, 2870, 1683, 1616, 1523, 1502, 1393, 1279, 1184, 1018, 843, 633, 536
1H-NMR(CDCl3): δ=10.48(s, 1H), 7.87(d, J=2.9 Hz, 1H), 7.69(d, J=9.0 Hz, 2.9 Hz, 1H), 7.20(d, J=9.0 Hz, 1H), 4.04(s, 3H), 2.60(s, 3H)
13C-NMR(CDCl3): δ=187.80, 162.34, 151.52, 131.74, 126.90, 125.19, 124.01, 113.37, 56.39, 9.77
원소분석
계산값(C10H10N4O2 ): C 55.04%, H 4.62%, N 25.68%
실측값: C 55.06%, H 4.56%, N 24.97%
[실시예 7]
2-메톡시-5-(5-에틸-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Figure 112006007653719-pct00019
100 ml 플라스크에 1-(4-메톡시-페닐)-5-에틸-1H-테트라졸 3 g(14.7 mmol), 메탄설폰산 15 ml,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15 ml 및 헥사메틸렌테트라민 4.13 g(29.4 mmol)을 가하고, 100℃까지 가열하여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실온까지 냉각한 다음, 얼음조에서 냉각한 물 30 ml에 반응 용액을 가하고 5℃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디클로로메탄(60 ml×3)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유기층을 10%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90 ml×1), 물(90 ml×1)로 세정한 후에, 무수 황산마그네슘에서 1시간 탈습하였다. 탈습한 뒤에 여과, 용매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얼음조에서 냉각하면서 디클로로메탄 3 ml과 이소프로필 알코올 12 ml의 혼합 용매를 이용하여 결정화한 다음, 여과하고 건조하여, 백색 고체로서 2-메톡시-5-(5-에틸-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1.28 g을 얻었다(수율 37.5%).
녹는점: 137.5~138.4℃
IR(KBr, cm-1): 1682, 1612, 1501, 1452, 1396, 1279, 1246, 1182, 1173, 1117, 1055, 1015, 843, 652, 534
1H-NMR(CDCl3): δ=10.49(s, 1H), 7.85(d, J=2.7 Hz, 1H), 7.66(dd, J=9.0 Hz, 2.7 Hz, 1H), 7.19(d, J=9.0 Hz, 1H), 4.04(s, 3H), 2.88(q, J=7.6 Hz, 2H), 1.37(t, J=7.6 Hz, 3H)
13C-NMR(CDCl3): δ=187.54, 162.19, 155.86, 131.81, 126.59, 124.97, 124.16, 113.31, 56.36, 17.41, 11.51
원소분석
계산값(C11H12N4O2): C 56.89%, H 5.21%, N 24.12%
실측값: C 56.58%, H 5.26%, N 24.11%
[실시예 8]
2-메톡시-5-(5-트리플루오로메틸-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Figure 112006007653719-pct00020
50 ml 플라스크에 1-(4-메톡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2 g(8.19 mmol), 메탄설폰산 20 ml 및 헥사메틸렌테트라민 1.38 g(9.83 mmol)을 가하고, 100℃까지 가열하여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실온까지 냉각한 다음, 얼음조에서 냉각한 물 20 ml을 가하고 5℃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톨루엔(20 ml×2)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유기층을 10%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20 ml×1), 물(20 ml×1)로 세정한 후에, 무수 황산마그네슘에서 1시간 탈습하였다. 탈습한 뒤에 여과, 용매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아세트산 에틸 : n-헥산 = 1 : 1)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2-메톡시-5-(5-트리플루오로메틸-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0.61 g을 얻었다(수율 27.4%).
녹는점: 117.0~117.3℃
IR(KBr, cm-1): 1684, 1612, 1533, 1499, 1456, 1396, 1319, 1283, 1250, 1205, 1161, 1109, 1051, 1034, 1016, 839, 652
1H-NMR(CDCl3): δ=9.95(s, 1H), 8.15(dd, J=8.5 Hz, 2.0 Hz, 1H), 7.94(d, J=2.0 Hz, 1H), 7.25(d, J=8.5 Hz, 1H), 3.92(s, 3H)
13C-NMR(CDCl3): δ= 187.21, 163.08, 146.62, 146.19, 145.78, 145.36, 131.85, 125.34, 125.19, 125.16, 121.71, 119.01, 116.31, 113.61, 113.25, 56.52
원소분석
계산값(C10H7F3N4O2): C 44.13%, H 2.59%, N 20.58%
실측값: C 44.43%, H 2.59%, N 20.53%
[실시예 9]
2-메톡시-5-(5-트리플루오로메틸-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Figure 112006007653719-pct00021
300 ml 플라스크에 1-(4-메톡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15 g(61.4 mmol), 메탄설폰산 37.5 ml,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37.5 ml 및 헥사메틸렌테트라민 17.22 g(122.8 mmol)을 가하고, 100℃까지 가열하여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실온까지 냉각한 다음, 얼음조에서 냉각한 물 75 ml에 반응 용액을 가하고 5℃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클로로포름(150 ml×2)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유기층을 10%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150 ml×1), 물(150 ml×1)로 세정한 후에, 무수 황산마그네슘에서 1시간 탈습하였다. 탈습한 뒤에 여과, 용매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얼음조에서 냉각하면서 이소프로필 알코올 75 ml를 이용하여 결정화한 다음, 여과하고 건조하여, 백색 고체로서 2-메톡시-5-(5-트리플루오로메틸-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11.66 g을 얻었다(수율 69.7%).
녹는점: 117.0~117.3℃
IR(KBr, cm-1): 1684, 1612, 1533, 1499, 1456, 1396, 1319, 1283, 1250, 1205, 1161, 1109, 1051, 1034, 1016, 839, 652
1H-NMR(CDCl3): δ=9.95(s, 1H), 8.15(dd, J=8.5 Hz, 2.0 Hz, 1H), 7.94(d, J=2.0 Hz, 1H), 7.25(d, J=8.5 Hz, 1H), 3.92(s, 3H)
13C-NMR(CDCl3): δ=187.21, 163.08, 146.62, 146.19, 145.78, 145.36, 131.85, 125.34, 125.19, 125.16, 121.71, 119.01, 116.31, 113.61, 113.25, 56.52
원소분석
계산값(C10H7F3N4O2): C 44.13%, H 2.59%, N 20.58%
실측값: C 44.43%, H 2.59%, N 20.53%
[실시예 10]
2-에톡시-5-(5-트리플루오로메틸-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Figure 112006007653719-pct00022
100 ml 플라스크에 1-(4-에톡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테트라졸 4 g(15.5 mmol), 메탄설폰산 10 ml,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10 ml 및 헥사메틸렌테트라민 4.34 g(31.0 mmol)을 가하고, 100℃까지 가열하여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실온까지 냉각한 다음, 얼음조에서 냉각한 물 20 ml에 반응 용액을 가하고 5℃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클로로포름(50 ml×3)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유기층을 10%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80 ml×1), 물(80 ml×1)로 세정한 후에, 무수 황산마그네슘에서 1시간 탈습하였다. 탈습한 뒤에 여과, 용매 증류제거하여 얻어진 조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클로로포름)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2-에톡시-5-(5-트리플루오로메틸-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1.01 g을 얻었다(수율 22.8%).
녹는점: 87.9~88.4℃
IR(KBr, cm-1): 3075, 2941, 2889, 1692, 1609, 1533, 1501, 1447, 1389, 1321, 1285, 1271, 1246, 1211, 1171, 1155, 1118, 1038, 816, 669
1H-NMR(CDCl3): δ=10.51(s, 1H), 7.94(d, J=2.7 Hz, 1H), 7.66(dd, J=8.8 Hz, 2.7 Hz, 1H), 7.23(d, J=8.8 Hz, 1H), 4.30(q, J=7.0 Hz, 2H), 1.57(d, J=7.0 Hz, 3H)
13C-NMR(CDCl3): δ=187.66, 162.81, 146.79, 146.39, 145.97, 145.55, 131.91, 125.24, 121.84, 119.14, 116.44, 113.97, 113.73, 65.25, 14.43
원소분석
계산값(C11H9F3N4O2): C 46.16%, H 3.17%, N 19.58%
실측값: C 45.99%, H 3.05%, N 20.08%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1]
    Figure 112007059132382-pct00023
    (식 중, A1은 탄소수 1~10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A2는 수소 원자,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불소로 치환된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1-(알콕시-페닐)-1H-테트라졸 화합물을, 메탄설폰산과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의 혼합 용매에서 헥사메틸렌테트라민과 반응시킨 다음 가수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 (2);
    [화학식 2]
    Figure 112007059132382-pct00024
    (식 중, A1 및 A2는 상기와 같음)
    로 표시되는 알콕시-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1-(알콕시-페닐)-1H-테트라졸 화합물 1 몰에 대하여, 헥사메틸렌테트라민을 1.0~3.0 몰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A1이 메톡시기를 나타내고,
    A2가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하기 화학식 (3);
    [화학식 3]
    Figure 112007059132382-pct00025
    (식 중, A1은 탄소수 1~10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A2는 수소 원자,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불소로 치환된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1-(2-알콕시-페닐)-1H-테트라졸 화합물을, 설폰산 용매에서 헥사메틸렌테트라민과 반응시킨 다음 가수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 (4);
    [화학식 4]
    Figure 112007059132382-pct00026
    (식 중, A1 및 A2는 상기와 같음)
    로 표시되는 4-알콕시-3-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6. 하기 화학식(5);
    [화학식 5]
    Figure 112007059132382-pct00027
    (식 중, A1은 탄소수 1~10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A2는 수소 원자,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불소로 치환된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1-(3-알콕시-페닐)-1H-테트라졸 화합물을, 설폰산 용매에서 헥사메틸렌테트라민과 반응시킨 다음 가수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 (6);
    [화학식 6]
    Figure 112007059132382-pct00028
    (식 중, A1 및 A2는 상기와 같음)
    으로 표시되는 2-알콕시-4-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7. 하기 화학식 (7);
    [화학식 7]
    Figure 112007059132382-pct00029
    (식 중, A1은 탄소수 1~10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A2는 수소 원자,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불소로 치환된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1-(4-알콕시-페닐)-1H-테트라졸 화합물을, 메탄설폰산과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의 혼합 용매에서 헥사메틸렌테트라민과 반응시킨 다음 가수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 (8);
    [화학식 8]
    Figure 112007059132382-pct00030
    (식 중, A1 및 A2는 상기와 같음)
    로 표시되는 2-알콕시-5-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8. 하기 화학식 (2);
    [화학식 2]
    Figure 112007059132382-pct00031
    (식 중, A1은 탄소수 1~10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A2는 수소 원자,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불소로 치환된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알콕시-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단, 하기 화학식 (8);
    [화학식 8]
    Figure 112007059132382-pct00032
    (식 중, A1 및 A2는 상기와 같음)
    로 표시되는 2-알콕시-5-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을 제외함).
  9. A1에 대하여 오르토 위치 또는 파라 위치에 알데히드기가 존재하는 상기 청구항 8에 따른 알콕시-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
  10. 하기 화학식(4);
    [화학식 4]
    Figure 112007059132382-pct00033
    (식 중, A1은 탄소수 1~10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A2는 수소 원자,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불소로 치환된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4-알콕시-3-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
  11. 하기 화학식(6);
    Figure 112007059132382-pct00034
    (식 중, A1은 탄소수 1~10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A2는 수소 원자,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불소로 치환된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2-알콕시-4-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
KR1020067002250A 2003-08-01 2004-07-15 알콕시-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 및 그의제조방법 KR1007853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85266 2003-08-01
JPJP-P-2003-00285266 2003-08-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994A KR20060059994A (ko) 2006-06-02
KR100785395B1 true KR100785395B1 (ko) 2007-12-13

Family

ID=34113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2250A KR100785395B1 (ko) 2003-08-01 2004-07-15 알콕시-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 및 그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79480B2 (ko)
EP (1) EP1650198A4 (ko)
JP (1) JP4710608B2 (ko)
KR (1) KR100785395B1 (ko)
CN (1) CN100402508C (ko)
CA (1) CA2531573C (ko)
WO (1) WO20050122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7691A (ja) * 2004-11-11 2006-06-01 Toyo Kasei Kogyo Co Ltd 2−アルコキシ−5−テトラゾリル−ベンズアルデヒド化合物の製造方法
US8326408B2 (en) * 2008-06-18 2012-12-04 Green George H Method and apparatus of neurological feedback systems to control physical objects for therapeutic and other reasons
JP6137197B2 (ja) 2012-12-17 2017-05-31 三菱化学株式会社 窒化ガリウム基板、および、窒化物半導体結晶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9803A (en) 1995-03-21 1999-07-06 Glaxo Group Limited 3-benzylamino-2-phenylpiperidines as neurokinin antagonists
EP1304328A1 (en) 2000-07-19 2003-04-23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benzofuran derivativ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11002A (en) * 1993-09-22 1998-09-24 Glaxo Group Ltd History of piperidine, their preparation and the pharmaceutical preparations containing them
AU4437896A (en) * 1995-01-12 1996-07-31 Glaxo Group Limited Piperidine derivatives having tachykinin antagonist activity
MX9706944A (es) * 1996-09-12 1998-08-30 Pfizer Quinuclidinas sustituidas con tetrazolilo como antagonistas de la sustancia p.
WO2000018403A1 (en) * 1998-09-29 2000-04-06 Merck & Co., Inc. Radiolabeled neurokinin-1 receptor antagonis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9803A (en) 1995-03-21 1999-07-06 Glaxo Group Limited 3-benzylamino-2-phenylpiperidines as neurokinin antagonists
EP1304328A1 (en) 2000-07-19 2003-04-23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benzofuran deriva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994A (ko) 2006-06-02
JPWO2005012267A1 (ja) 2006-09-14
CA2531573A1 (en) 2005-02-10
CN100402508C (zh) 2008-07-16
WO2005012267A1 (ja) 2005-02-10
JP4710608B2 (ja) 2011-06-29
EP1650198A4 (en) 2007-11-21
EP1650198A1 (en) 2006-04-26
CN1826329A (zh) 2006-08-30
CA2531573C (en) 2010-04-13
US7579480B2 (en) 2009-08-25
US20070060630A1 (en) 200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7702A (en) 1,4-Dioxane polycarboxylates
JP3670314B2 (ja) 1−置換−5(4h)−テトラゾリノン類の製造方法
JPH0489464A (ja) メトキシイミノアセトアミド化合物の製造法
KR100785395B1 (ko) 알콕시-테트라졸-1-일-벤즈알데히드 화합물 및 그의제조방법
BG107824A (bg) Метод за получаване на йопамидол и нови междинни съединения
JP3563643B2 (ja) イミダゾリン化合物、その中間体、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アゼピン化合物およびその塩の製造方法
CA2613689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1-[cyano (4-hydroxyphenyl)methyl]cyclohexanol compounds
JP2001513108A (ja) ニコチン酸の調製プロセス
JP3031279B2 (ja) 2−アルコキシ−6−(トリフルオロメチル)ピリミジン−4−オルの製造方法
WO2006115171A1 (ja) ニコチン酸誘導体又はその塩の製造方法
JP3810858B2 (ja) 4−トリフルオロメチルニコチン酸の製造方法
JP2005154420A (ja) アルコキシ−5−(5−トリフルオロメチル−テトラゾール−1−イル)ベンズアルデヒドの製造方法
JPS584698B2 (ja) 2−(3−ベンゾイルフエニル)プロピオン酸の製造方法
EP0183797B1 (en) 5-halo-4h-1,3-dioxin-4-one compound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in the preparation of alpha-halo-acetoacetic esters
US4172208A (en) 5-Bromo-5,5-dicarboxyethylvalaraldehyde diethyl acetal
KR100466797B1 (ko) 벤조아제핀 유도체 및 인듐을 이용하는 그의 제조방법
JP4518065B2 (ja) 新規ジアルコキシアミドオキシム誘導体及びその製法
JP3596262B2 (ja) 2,3,4−トリフルオロ−5−トリフルオロメチル安息香酸、そのエステル類及びその製造法
JP2006137691A (ja) 2−アルコキシ−5−テトラゾリル−ベンズアルデヒド化合物の製造方法
JP5902671B2 (ja) ベンジルピラゾール誘導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中間体
JPH0625156B2 (ja) フエニルピリミジン誘導体
JP2008538556A (ja) ヒドロキシル化イソフラボンの製造方法
JP2002265461A (ja) クロモン誘導体の製造方法
JPH07228556A (ja) 2−アミノベンジルアルコ−ル誘導体の製造方法
SK41297A3 (en) Method for preparing nitrobenzene derivat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