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4758B1 - 원형 홍 피부직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한원형 홍 피부직삼 - Google Patents

원형 홍 피부직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한원형 홍 피부직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4758B1
KR100784758B1 KR1020070092113A KR20070092113A KR100784758B1 KR 100784758 B1 KR100784758 B1 KR 100784758B1 KR 1020070092113 A KR1020070092113 A KR 1020070092113A KR 20070092113 A KR20070092113 A KR 20070092113A KR 100784758 B1 KR100784758 B1 KR 100784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drying
red
dried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복명희
황광보
Original Assignee
복명희
황광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복명희, 황광보 filed Critical 복명희
Priority to KR1020070092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47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4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4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using irradiation or electrical treatment, e.g. ult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 홍 피부직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한 원형 홍피부직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피부백삼용 인삼을 이용한 홍 피부직삼을 제조함에 있어서, 4년근 이상의 인삼을 1차, 2차에 걸쳐 세척한 후 피부에 반점이나 상처가 없는 품질이 양호한 것 가공용도별로 선별하는 단계; 상기 선별된 인삼을 80∼100℃의 스팀에서 증기를 이용하여 45∼90분간 증숙시키는 단계; 상기 증숙된 인삼을 습식 건조실에서 건조실 내부 습도를 포화상태로 유지시키며 50~60℃에서 16∼20시간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습식 건조실에서 나온 인삼을 직삼의 형태로 정형한 다음, 다시 건식건조실에서 45∼55℃에서 8~12시간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식건조실을 거친 인삼을 자연건조장에서 50여일 건조하여 수분함량을 15% 이하로 유지할 수 있도록 건조시키는 단계; 및 건조된 홍 피부직삼을 통상의 방법으로 선별 포장하여 상품으로 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홍 피부직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인삼, 홍피부직삼, 습식건조, 건식건조, 증숙, 증기

Description

원형 홍 피부직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한 원형 홍 피부직삼{PRODUCING METHOD OF GINSENG DRIED IN ITS ORIGINALSHAPE WITH RED CUTICLE}
본 발명은 원형 홍 피부직삼의 제조방법 및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한 원형 홍 피부직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허등록번호 제522913호에 개시된 홍 피부직삼 제조방법에 의한 증숙, 진공건조, 냉동건조와 같은 방식을 채용함에 따른 인삼의 유효 성분이 유출되는 문제점을 개선함은 물론, 인삼의 조직이 치밀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인삼의 맛과 향이 상대적으로 더욱 향상되도록 함은 물론 인삼의 조직이 치밀하면서 인삼의 유효 성분의 유출을 최대한 억제한 원형 홍 피부직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한 원형 홍 피부직삼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인삼은 채취 및 가공 상태에 따라 수삼, 백삼, 피부 백삼, 태극삼 및 홍삼으로 분류된다.
여기서, 상기 수삼은 밭에서 캐내어 아직 건조되지 않은 상태의 인삼 즉, 보통 4~6년 재배 후 밭에서 캐내는데, 이렇게 바로 채굴한 상태의 인삼을 수삼(水蔘)이라고 하며, 건조하지 않았기 때문에 생삼(生蔘)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수삼(水蔘)은 보통 75%내외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채굴된 상태 그 대로는 1주일 이상의 저장이 어렵고, 특히 유통과정 중에 부패하거나 손상이 일어나기 쉽다.
그러므로 장기간 저장하기 위하여 건조하게 되는데 수삼을 껍질을 벗기고 건조한 것을 백삼(白蔘)이라고 한다.
즉, 백삼은 인삼 뿌리에 반점이 있거나 상처가 있는 것을 잔뿌리(세미)를 제거하고 껍질(표피)을 벗기거나 절편한 다음 볕에 말린 인삼으로, 껍질(표피)을 벗기는데 많은 수공이 들어 품질에 비해 값이 비싸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백삼에는 수삼의 세미를 제거하고 표피를 벗기고 원뿌리(대미)를 곧게 펴서 건조시킨 것을 직삼(直蔘)이라 하며, 이 직삼의 대미를 물에 불리거나 습포화 증기로 연화시켜 그 끝을 말아서 말린 것을 곡삼(曲蔘)이라 한다.
또한, 피부백삼은 외관상 상처나 반점이 없이 품질이 좋은 인삼을 잔뿌리만 제거하고 껍질을 제거하지 않은 채 그대로 볕에 말린 인삼으로 백삼보다는 품질 및 약효가 양호하지만 홍삼의 효능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홍삼(紅蔘)이란 4~6년근 수삼을 정선(精選)하여 껍질을 벗기지 않은 채 증기(蒸氣)로 쪄서 건조시킨 담황갈색 또는 담적갈색의 인삼을 말한다.
이러한 홍삼은 단순히 인삼을 장기(長期)간 보관하기 위하여 제조하는 것은 아니며, 제조공정 중에 우리 몸에 유익한 여러 가지 새로운 생리활성성분들이 생성된다.
즉, 홍삼제조과정에서는 진세노사이드의 열분해에 의한 부분적인 분자구조의 변화로 화학적인 성분이 변화되어 유익한 특수 성분이 생기게 되는데, 홍삼에는 수 삼이나 백삼 등 다른 인삼에서는 들어있지 않은 홍삼만의 특수성분인 말톨(Maltol)과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Re3)를 비롯한 8종의 특수성분이 들어 있으며, 이 중 말톨 (Maltol)은 노화억제 기능을 갖고,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Re3)는 암세포증식억제 및 항종양의 기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입증되고 있다.
한편, 홍삼은 그 품질에 따라 고급 홍삼인 천삼(天參)과 지삼(地參) 그리고 보통 홍삼인 양삼(良參)으로 구분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분은 수삼을 증기를 이용하여 찔 때 동체균열이나 백피, 내공 내백 등의 발생 여부에 따라 분류되므로 증삼기술에 의해 홍삼의 품질과 가격이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인 홍삼의 제조공정의 경우 수삼의 잔뿌리를 제거한 상태에서 세척과정을 거친 후 이를 증삼기 내에 넣고 수증기를 사용하여 94~100℃, 특히 96℃ 정도로 증삼하고 건조시켜 제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홍삼 제조 방법에서는 수삼을 증삼기 내에 놓고 수중기를 주입하여 증삼기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증삼온도인 94~100℃, 특히 96℃로 되도록 함으로써 증삼기 내부의 대류열에 의하여 수삼이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어 증삼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인삼은 크게 주근과 중미 그리고 잔뿌리로 나눌 수 있는데 주근과 중미의 경우 병리치료성분으로 분류되는 비사포닌계 수용성 다당체 성분이 많고, 잔뿌리에는 사포닌 성분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 방법에 따르면, 수삼의 잔뿌리를 제거한 상태에서 홍삼을 제조공정이 진행되므로 잔뿌리에 주로 함유되는 성분인 사포닌의 손실을 가져오 게 된다.
또한 잔뿌리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종래의 방법으로 증삼과정을 진행하는 경우 주근과 잔뿌리와는 그 굵기가 달라 증삼과정에서 서로 다른 수축율로 인해 잔뿌리가 파손되어 홍삼의 등급이 낮아지게 된다.
상기 태극삼은 백삼용 재료를 물에 익혀서 말린 것으로, 백삼보다 제조하기는 용이하지만 물에 익힐 때 많은 유효성분이 손실되기 때문에 약효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홍삼은 인삼제품 중에서 사포닌을 가장 많이 함유하여 약효가 좋아 전통적으로 가장 고귀한 인삼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홍삼은 반점과 상처가 없는 최상품의 인삼을 선별하여 세척하고 미삼을 분리한 후 쪄서 말리는 공정을 5-9회 반복함으로서 인삼에 함유된 사포닌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것이므로 그 제조 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제조 단가가 고가인 단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 상기와 같은 홍삼 제조공정의 복잡성과 제조 단가가 고가인 단점을 개선하고자 상기한 여러 가지 인삼 가공 방법 중에서 백삼 제조용 인삼을 이용하여 간단한 가공 공정으로 홍삼에 버금가는 약효를 갖는 홍 피부 직삼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즉, 종래의 피부직삼 보다 부가가치를 높이고 향이 더욱 진하며 맛이 부드러우면서 홍삼이 지니는 효과를 갖는 인삼을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홍 피부 직삼의 제조방법이 연구되어 개시된 바 있는 것이다.
특히, 국내특허등록번호 제522913호(2005.10.13. 등록)에 개시된 홍 피부 직 삼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피부백삼용 인삼을 이용한 홍 피부직삼을 제조함에 있어서, 4년근 이상의 인삼을 세척한 후 피부에 반점이나 상처가 없는 품질이 양호한 것을 선별하는 단계; 선별된 인삼에서 몸체부분에 붙어 있는 잔뿌리는 제거하고 인삼 하체부분의 잔뿌리 중 6mm 이상으로 긴 것은 남겨두는 단계; 상기한 잔뿌리가 제거된 인삼을 80∼100℃의 뜨거운 물에서 20∼30분간 증숙시키는 단계; 증숙된 인삼을 진공 건조기에서 15∼24시간 건조시키는 단계; 진공 건조기에서 나온 인삼을 다시 냉동건조기에서 10∼12시간 건조시키는 단계; 냉동건조기를 거친 인삼을 양건장에서 48∼55시간 건조하여 수분함량을 14% 이하로 건조시키는 단계; 및 건조된 홍 피부직삼을 통상의 방법으로 포장하여 상품으로 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홍 피부직삼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특허등록번호 제522913호에 개시된 홍 피부 직삼 제조방법에 의한 증숙, 진공건조, 냉동건조와 같은 방식을 채용함에 따른 인삼의 유효 성분이 유출되는 문제점을 개선함은 물론, 인삼의 조직이 치밀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한다.
즉, 상기 특허등록번호 제522913호에 개시된 홍 피부 직삼 제조방법은 잔뿌리를 제거하는 치미공정 후에 뜨거운 물에 열탕 처리하는 증숙방법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잔뿌리가 떨어진 부분에서 인삼의 유효성분이 유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인삼의 고유의 맛과 향이 떨어지게 되는 하나의 이유로 작용하게 된 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제조방법은 인삼의 잔뿌리(세미)를 제거하여 가공, 유통함에 따라 인삼 성분의 균형적인 섭취 측면에서도 불리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삼의 맛과 향이 상대적으로 더욱 향상되도록 함은 물론 인삼의 조직이 치밀하면서 인삼의 유효 성분의 유출을 최대한 억제한 원형 홍 피부 직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원형 홍 피부직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부백삼용 인삼을 이용한 홍 피부직삼을 제조함에 있어서, 4년근 이상의 인삼을 1차, 2차에 걸쳐 세척한 후 피부에 반점이나 상처가 없는 품질이 양호한 것 가공용도별로 선별하는 단계; 상기 선별된 인삼을 80∼100℃의 스팀에서 45∼90분간 증숙시키는 단계; 상기 증숙된 인삼을 습식 건조실에서 건조실 내부 습도를 포화상태로 유지시키며 50~60℃에서 16∼20시간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습식 건조실에서 나온 인삼을 직삼의 형태로 정형한 다음, 다시 건식건조실에서 45∼55℃에서 8~12시간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식건조실을 거친 인삼을 자연건조장에서 50여일 건조하여 수분함량을 15% 이하로 유지할 수 있도록 건조시키는 단계; 및 건조된 홍 피부직삼을 통상의 방법으로 선별 포장하여 상품으로 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홍 피부직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건식건조실에서의 건조방식은 맥반석이 배치된 맥반석 건조시스템을 갖춘 건조실에서 원적외선 열을 이용하는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원형 홍 피부직삼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홍 피부 직삼 제조방법에 의한 증숙, 진공건조, 냉동건조와 같은 방식을 채용함에 따른 인삼의 유효 성분이 유출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삼의 조직이 치밀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인삼의 맛과 향이 상대적으로 더욱 향상되도록 함은 물론 인삼의 조직이 치밀하면서 인삼의 유효 성분의 유출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잔뿌리(세미)를 제거하지 않고 원형 그대로를 살린 원형 홍 피부직삼을 제공하기 때문에 인삼 한 뿌리를 통째로 공급할 수 있어 소비자에게 균형있는 인삼 성분의 복용이 가능케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원형 홍 피부직삼의 제조방법에 대해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홍 피부직삼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공정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홍 피부직삼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홍 피부 직삼을 보여주는 사진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홍 피부직삼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홍 피부직삼의 단면을 보여주는 사진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식건조실에 적용되는 맥반석 건조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맥반석 가열을 통해 인삼을 건조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홍 피부직삼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홍 피부직삼의 성분 함량을 보여주는 시험성적서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피부 백삼용 인삼을 이용한 홍 피부직삼을 제조함에 있어서 그 공정을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
인삼 밭에서 채굴한 상태의 인삼을 수삼이라 하며, 수삼은 가공 인삼의 원료가 된다.
통상적으로는 상기 수삼에 붙어 있는 잔뿌리를 손으로 떼어내는 치미단계를 거치지만, 본 발명에서는 원형 그대로를 살린 원형 홍 피부직삼을 제조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기 때문에, 상기 치미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세척기에서 수삼에 붙어있는 흙 또는 기타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세척기는 바람직하게는 원통 회전식 세척기(일명, 텀블러;Tumbler 라고 한다)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원통 회전식 세척기의 구성 및 동작 원리는 당업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즉, 4년근 이상의 인삼을 1차적으로 텀블러(Tumbler: 원통 회전식)에서 2회 정도 세척하여 수삼에 붙어 있는 흙 또는 기타 이물질을 제거(세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을 제거한 후 세척이 덜된 부분을 고압세척기로 재세척하게 되며, 이는 세척이 덜된 부분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재세척하는 공정으로 위생적인 인삼의 생산을 목적으로 하기 위함이다.
(제2공정)
상기 2차 세척단계를 거친 후 원료삼을 선별하는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이는 농산물의 특성상 균일하지 못하므로 품질에 따라 적정한 제품을 공정으로 투입하기 위해 선별하는 공정인 것이다.
즉, 피부에 반점이나 상처가 없는 품질이 양호한 것을 선별하는 선별공정을 거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원료삼은 농산물의 특성상 균일하지 못하므로 형태, 품질에 따라 적정한 수준으로 선별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이때, 육안에 의해 피부에 반점이나 상처가 있는 것은 상품가치가 저하되고, 건조시에 부러지기 쉬우므로 직삼 제조에는 부적합한 것이기에 이를 선별하게 되는 바, 원료 선별은 가공 용도별로 선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선별되는 인삼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치미단계를 거치지 않은 몸체부분에 붙어 있는 잔뿌리(세미)는 제거하지 않고 원형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분에 잔뿌리가 많으면 인삼의 모양에 가치가 없어 보일 수 있으나, 잔뿌리에는 인삼의 유효한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원형 그대로를 살리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는 바, 하체부분의 잔뿌리를 유지시키는 것은 인삼 원형 형태의 미려함은 물론 인삼의 증량효과로 수익의 증대를 위한 것이다.
(제3공정)
제2공정을 거쳐 선별된 원료삼은 증숙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증숙과정은 종래에 인삼(원료삼)을 물에 담가 열탕처리하여 증숙하는 방식이 아닌 인삼을 증기(스팀)을 이용하여 증숙시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즉, 증기(스팀)을 이용하여 45∼90분간 증숙시켜 인삼의 내부조직 및 잔뿌리 부분을 익히는 공정을 실시하게 된다.
이는 종래 뜨거운 물을 이용하여 증숙시키는 것에 비해 인삼의 유효성분이 증숙과정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인삼의 특성상 증숙 시에는 인체에 유용한 사포닌 함량이 증가하여 색상의 변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상기한 증기(스팀)을 통한 증숙 과정을 거치게 되면, 사포닌 증가 현상이 가장 활발하며, 증숙 시간도 45분 미만이거나 90분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공정에서 인삼의 색상이 갈색으로 변하게 되어 홍삼과 유사한 색상을 띄게 되는 것이다.
또한, 증숙 공정에서는 인삼의 쓴맛과 아린 맛이 제거되면서 그 향이 부드러 워지는 효과도 부수적으로 얻게 되는 것이다.
(제4공정)
상기와 같이 증기(스팀)을 통해 증숙된 인삼을 습식 건조실(습식 사우나)에서 50~60℃의 온도로 16∼20시간 건조시킨다.
상기 습식건조실에서의 건조는 습식건조 공정으로 인삼에서 발생하는 습기의 배출을 최대한 억제, 건조실 내부 습도를 포화상태로 유지시키며 건조하는 공정으로, 홍 피부직삼의 충분한 후숙(後熟)이 이루어져 인삼의 맛과 향이 풍부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습식건조실에서 건조시킴으로써, 인삼이 지니고 있는 향의 발산을 방지하여 인삼 고유의 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건조시간이 16시간 미만이면 원하는 정도의 건조 효과가 없으며, 20시간을 초과하면 과도한 건조로 인삼으로서의 가치가 저하되기 때문에 시간의 안배가 중요한 것이다.
(제5공정)
상기 습식 건조실에서 나온 인삼은 1차 건조 공정의 온도가 상온까지 떨어지기 전(인삼의 다리(支根)와 잔뿌리(細尾)가 부드러울 때) 직삼의 형태로 정형을 실시한다.
그리고, 정형이 된 직삼을 다시 건식건조실에서 45~55℃의 온도로 8∼12시간 2차로 건조시킨다.
이처럼, 건식건조실에서는 습식 건조 공정에서 완전한 수분을 제거할 수 없 으므로 서서히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건조상태를 촉진시키면서 생산수율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건식건조 시간은 8시간 미만이면 건조상태가 불량하며, 12시간을 초과하면 과도한 건조로 생산수율의 감소를 야기하기 때문이다.
특히, 습식건조와 건식건조를 시키는 것은 자연적인 인삼 자체의 즙을 내부에 품은 채로 마름질되기 때문에 인삼의 효능이 고스란히 보존되면서 변질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건식건조실은 맥반석을 배치하여 원적외선 열을 이용하는 맥반석 건조시스템을 갖춘 건조실을 이용하게 되는 바, 맥반석 건조시스템으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의 효능을 통해 홍 피부직삼을 서서히 건조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홍 피부직삼을 건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처럼 습식건조실을 거친 인삼을 건식건조실에서 48∼55시간 건조하면, 인삼의 중심부분부터 서서히 건조되어 인삼의 조직이 단단하고 내공(內空)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건조시간이 48시간 미만이면 제품에 수분함량이 많아서 장기간 보관시 품질이 변질될 염려가 있으며, 55시간을 초과하면 과도한 건조로 상품의 생산수율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제품 취급시에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제품이 부러지기 쉬운 단점이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한 건식건조실에 적용되는 맥반석 건조시스템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삼채반에 적재된 인삼(10)을 건조하기 위해서 원적외선 방출물질을 적재하고 있는 적재부(100)와, 상기 적재부(100)의 하측에 구성되어 적재부(100)에 적재된 원적외선방출물질(110)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200)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적재부(100)는 가열수단(200)에서 공급되는 열을 원적외선방출물질(110)에 원활히 공급하기 위해 망체(1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열수단(200)을 통해 방출되는 열로 가열수단(200) 상측에 구성된 적재부(100)에 적재된 원적외선방출물질(110)을 데우게 되어 원적외선방출물질(110)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으로 인삼(10)을 건조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원적외선방출물질(110)은 바람직하게는 맥반석을 적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맥반석은 열의 보존 능력이 탁월해 일정 온도 이상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인삼(10) 건조시 발생되는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수시로 배기구 혹은 배출문을 통해 환기를 시켜줘야 하므로, 이때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일정 온도 이하로 떨어지더라도 맥반석에 머금고 있는 열로 인하여 일정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되므로 이에 따른 별도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장치를 이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는 종래 건조 장치의 유류 연소를 통한 건조 방식의 단점인 제조원가 상승의 개선 및 건조 효율이 저하되는 점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맥반석을 통해 원적외선이 방출되므로 인삼(10)의 품질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제6공정)
상기와 같이 2차 건식건조를 거친 홍 피부직삼은 자연건조장에서 태양열을 통해 50여일 건조함으로써, 일정 수분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즉, 홍 피부직삼의 수분함량이 법적 기준치인 15% 이하로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품 가치가 우수한 홍 피부직삼이 최종적으로 생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태양열에 의한 자연건조를 위해서는 유리 온실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7공정)
이렇게 3차 자연건조된 홍 피부직삼을 통상의 방법으로 검사함과 아울러, 등급별, 크기별로 선별 포장하여 상품으로 출하한다.
포장은 잡균이 침범할 수 없도록 진공 상태에서 포장하는 것이 좋으며, 한번 포장하면 약 2년간은 변질될 염려가 없는 고부가가치의 홍 피부직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각 공정으로 제조되는 본 발명의 홍 피부직삼은 종래의 피부백삼의 원료인 수삼을 이용하여 내부에 홍삼의 약효를 가지는 것이며, 백삼 제조시에 나타나는 인삼 엑기스의 손실을 방지하므로 귀중한 인삼의 약효를 갖는 제품을 간편한 공정과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에는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해 제조된 원형 홍 피부직삼의 효능을 검사한 시험성적서가 나타나 있는 바, 상기 시험성적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원형 홍 피부직삼이 종래 홍 피부직삼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홍 피부직삼에 비해 사포닌 함량이 더 많아 그 상품가치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홍 피부직삼의 경우, 사포닌의 총 함량이 28.42㎎/g인 데 비해, 종래의 본 발명과 다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홍 피부직삼의 사포닌 총 함량은 21.09㎎/g임을 알 수 있고, 홍삼, 태극삼, 곡삼의 사포닌 총 함량은 각각 12.18㎎/g, 8.28㎎/g, 3.67㎎/g으로 현격한 차이가 있음을 시험성적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본 발명의 홍 피부직삼은 6년근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본 발명과 비교되고 있는 홍삼, 태극삼, 곡삼의 경우에는 4년근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차이가 있음을 감안하더라도 분명히 본 발명에 따른 홍 피부직삼의 사포닌 함량은 종래의 다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홍 피부직삼이나 홍삼, 태극삼, 곡삼에 비해 더 증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바, 이처럼 인삼의 효능을 증진시킴에 따라 귀중한 인삼의 약효를 갖으면서 우수한 상품가치를 갖는 인삼 제품을 제공할 수 있음이 명백합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종래 홍 피부직삼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원형 홍 피부직삼의 단면을 비교할 때, 본 발명에 따른 홍 피부직삼의 단면 모두 고르게 갈색을 띄는 반면에, 종래의 홍 피부직삼은 단면이 고르 색을 띄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는 바, 육안으로도 본 발명의 홍 피부직삼이 상품적 가치가 우수함을 알 수 있는 것입니다.
도 1은 종래 홍 피부직삼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홍 피부직삼을 보여주는 사진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홍 피부직삼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홍 피부직삼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홍 피부직삼을 보여주는 사진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홍 피부직삼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홍 피부직삼의 단면을 보여주는 사진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식건조실에 적용되는 맥반석 건조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맥반석 가열을 통해 인삼을 건조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홍 피부직삼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홍 피부직삼의 성분 함량을 보여주는 시험성적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인삼, 100 : 적재부,
110 : 원적외선방출물질, 120 : 망체,
200 : 가열수단

Claims (3)

  1. 피부백삼용 인삼을 이용한 홍 피부직삼을 제조함에 있어서,
    4년근 이상의 인삼을 1차, 2차에 걸쳐 세척한 후 피부에 반점이나 상처가 없는 품질이 양호한 것 가공용도별로 선별하는 단계;
    상기 선별된 인삼을 80∼100℃의 스팀에서 증기를 이용하여 45∼90분간 증숙시키는 단계;
    상기 증숙된 인삼을 습식건조실에서 건조실 내부 습도를 포화상태로 유지시키며 50~60℃에서 16∼20시간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습식건조실에서 나온 인삼을 직삼의 형태로 정형한 다음, 다시 건식건조실에서 45∼55℃에서 8~12시간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식건조실을 거친 인삼을 자연건조장에서 50여일 건조하여 수분함량을 15% 이하로 유지할 수 있도록 건조시키는 단계; 및
    건조된 홍 피부직삼을 통상의 방법으로 선별 포장하여 상품으로 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홍 피부직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건조실에서의 건조방식은 맥반석이 배치된 맥반석 건조시스템을 갖춘 건조실에서 원적외선 열을 이용하는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홍 피부직삼의 제조방법.
  3.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홍 피부직삼.
KR1020070092113A 2007-09-11 2007-09-11 원형 홍 피부직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한원형 홍 피부직삼 KR100784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113A KR100784758B1 (ko) 2007-09-11 2007-09-11 원형 홍 피부직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한원형 홍 피부직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113A KR100784758B1 (ko) 2007-09-11 2007-09-11 원형 홍 피부직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한원형 홍 피부직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4758B1 true KR100784758B1 (ko) 2007-12-11

Family

ID=39140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113A KR100784758B1 (ko) 2007-09-11 2007-09-11 원형 홍 피부직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한원형 홍 피부직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47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205B1 (ko) 2012-03-15 2014-04-10 고려인삼제조 주식회사 습열살균처리된 인삼분말 및 그 제조방법
CN115487215A (zh) * 2022-09-27 2022-12-20 成都大学 一种同时提高人参皂苷Rb2、Rd、Rh4含量的红参加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180A (ko) * 2000-01-26 2000-06-05 김형극 홍삼성분을 함유하는 인삼 가공 방법
KR20010038802A (ko) * 1999-10-27 2001-05-15 박명규 고급홍삼의 제조방법
KR100522913B1 (ko) 2003-12-17 2005-10-24 김현순 홍 피부 직삼의 제조방법
KR100570790B1 (ko) 2003-05-26 2006-04-12 박규식 원형홍삼제조방법
KR100710695B1 (ko) 2006-05-08 2007-04-27 이용구 퍼핑 홍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홍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802A (ko) * 1999-10-27 2001-05-15 박명규 고급홍삼의 제조방법
KR20000030180A (ko) * 2000-01-26 2000-06-05 김형극 홍삼성분을 함유하는 인삼 가공 방법
KR100570790B1 (ko) 2003-05-26 2006-04-12 박규식 원형홍삼제조방법
KR100522913B1 (ko) 2003-12-17 2005-10-24 김현순 홍 피부 직삼의 제조방법
KR100710695B1 (ko) 2006-05-08 2007-04-27 이용구 퍼핑 홍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홍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205B1 (ko) 2012-03-15 2014-04-10 고려인삼제조 주식회사 습열살균처리된 인삼분말 및 그 제조방법
CN115487215A (zh) * 2022-09-27 2022-12-20 成都大学 一种同时提高人参皂苷Rb2、Rd、Rh4含量的红参加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12694B (zh) 一种云雾绿茶的制作工艺
KR100916743B1 (ko) 통대추 건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추채 제조 방법
KR100779257B1 (ko) 홍삼의 제조방법
KR100750789B1 (ko) 흑삼정과(黑蔘正果)제조방법
KR100729214B1 (ko) 흑삼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흑삼
CN103564072B (zh) 一种黑茶的加工方法
KR101103254B1 (ko) 저장성이 향상된 반건조 무화과의 제조방법
KR20110078550A (ko) 생강 분말 및 생강정의 제조 방법
KR100784758B1 (ko) 원형 홍 피부직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한원형 홍 피부직삼
KR101196166B1 (ko) 황칠차제조방법
KR101125544B1 (ko) 발효 홍삼 제조 방법
KR20130049649A (ko) 고진공 공법을 이용한 다공성 홍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홍삼
KR102659699B1 (ko) 닥나무잎을 함유하는 떡, 떡반죽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113967A (ko) 고구마 말랭이의 제조방법
KR101413111B1 (ko) 홍삼순액의 제조방법
KR101872181B1 (ko) 인삼 가공 방법
KR100522913B1 (ko) 홍 피부 직삼의 제조방법
KR100952877B1 (ko) 헛개차의 제조방법
KR101537634B1 (ko) 즉석조리용 건나물 제조방법
KR20130033594A (ko) 수리취떡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수리취떡
KR20130080507A (ko) 식감이 향상된 반건조 오디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반건조 오디
KR100520747B1 (ko) 콩나물 동결건조 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903976B (zh) 一种用于人参原液提取的人参原料的制备方法
KR102309560B1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무화과 건조칩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무화과 건조칩
KR101669262B1 (ko) 장기간 보존을 위한 황태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