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9214B1 - 흑삼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흑삼 - Google Patents

흑삼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흑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9214B1
KR100729214B1 KR1020060109320A KR20060109320A KR100729214B1 KR 100729214 B1 KR100729214 B1 KR 100729214B1 KR 1020060109320 A KR1020060109320 A KR 1020060109320A KR 20060109320 A KR20060109320 A KR 20060109320A KR 100729214 B1 KR100729214 B1 KR 100729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drying
steaming
hours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철민
Original Assignee
(주)고려바이오홍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고려바이오홍삼 filed Critical (주)고려바이오홍삼
Priority to KR1020060109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92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9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9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3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sisting of whole pieces or fragments without mashing the original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5Preserving b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을 이용하여 흑삼을 제조하는 흑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확된 인삼을 세척한 후 반복적인 건조과정과 증숙과정으로 사포닌 성분을 증가시킨 흑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수확된 인삼을 세척하는 세척단계(S10)와;
상기 세척단계에서 세척된 인삼을 건조실에서 적외선을 방사하여 수분함량을 45~55%로 건조하는 건조과정(S20)과;
상기 건조과정(S20)을 통하여 건조된 인삼을 증삼기에 투입하여 93~97℃로 5시간을 유지시키는 증숙과정(S30)과;
상기 증숙과정(S30)을 통하여 획득한 인삼을 60~70시간 숙성건조시키는 건조과정(S40)과;
상기 건조과정(S40)을 통하여 건조된 인삼을 증삼기에 투입하여 93~97℃로 5시간을 유지시키는 증숙과정(S50)과;
상기 증숙과정(S50)을 통하여 획득한 인삼을 43~47℃의 건조실에서 11~13시간 건조하는 건조과정(S60)과;
상기 증숙과정(S50)과 건조과정(S60)을 연속하여 4~7회 반복실시하고,
상기 건조과정(S60)을 통하여 건조된 인삼을 95~99℃로 가열되어 있는 증삼기에 투입하여 3시간 동안 증숙하는 증숙과정(S70)과;
상기 증숙과정을 통하여 획득한 인삼을 100시간 숙성건조시키는 건조과정(S80)과;
상기 건조과정을 통하여 건조된 인삼을 증삼기에 투입하여 95~99℃로 2시간을 유지시키는 증숙과정(S90)과;
상기 증숙과정을 통하여 획득한 인삼을 280~300시간 숙성건조시키는 건조과정(S100)으로 이루어진다.
인삼, 흑삼, 건조, 증숙, 진세로이드 Rg3

Description

흑삼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흑삼{Making manufacture of black ginseng}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흑삼의 제조단계를 나타낸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흑삼의 시험성적서
본 발명은 인삼을 이용하여 흑삼을 제조하는 흑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확된 인삼을 세척한 후 반복적인 건조과정과 증숙과정으로 조사포닌과 진세로이드 Rg3 성분이 다량 함유된 흑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인삼을 이용한 가공식품이 많이 제시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인삼을 건조과정과 증숙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제조되는 홍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많이 제시되었다.
인삼은 보통 수삼, 백삼, 홍삼과 같은 형태로 판매되고 있다.
수삼(水蔘) : 인삼밭에서 채굴한 후 가공하지 않은 원형 그대로의 생것을 말한다.
백삼(白蔘) : 수삼의 세미를 제거한 후 물에 세척하여 표피를 벗기고 대미를 두고 건조한 것을 직삼이라고 하며, 이 직삼의 대미를 물에 불구어서 그 끝을 말아서 말린 것을 곡삼이라 한다.
홍삼(紅蔘) : 수삼을 물에 세척한 후 표피를 벗기지 아니하고 습포화증기(100도)로 약 2시간 증숙하여 건조한 후 중미 및 대미를 절단하여 제조한다.
인삼은 증숙과정과 건조과정을 반복 실시하게 되면 인삼이 가지고 있지 않은 사포닌과 진사포닌 및 진세노이드 Rg3 성분을 함유하게 되며, 이렇게 제조되는 것이 홍삼 또는 흑삼이다.
상기 사포닌이란 식물계에 널리 존재하는 배당체의 비(非)당부분이 여러 고리 화합물로 이루어진 것의 총칭이며, 당부분은 D-글루코오스·D-갈락토오스·L-아라비노오스가 잘 알려져 있으나, 메틸펜토오스·우론산·디옥시당 등의 경우도 있고, 비당부분(애글리콘)은 트리테르페노이드계인 것과 스테로이드계인 것의 두 가지로 분류된다. 전자의 예로는 감초의 뿌리나 줄기에 있는 글리시리딘이 있고, 후자의 예로는 디기탈리스의 잎에서 추출하는 디기토닌이 있다.
사포닌 성분은 식물의 뿌리·줄기·잎·껍질·씨 등에 있는데, 강심제나 이뇨제로서 강한 작용이 있어 옛날부터 한방약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어느 것이나 세포에 대해서는 표면 활성제로서 작용하여, 세포막의 구조를 파괴하거나, 물질의 투과성을 높이기도 한다.
인삼을 여러 번 증숙과정과 건조과정을 통하면 적색의 홍삼이 제조되며, 홍삼보다 더 많은 건조과정과 증숙과정을 통하면 적색의 홍삼에서 검은색의 흑삼으로 제조된다. 상기 증숙과정과 건조과정을 통하면 인삼에 없던 성분인 사포닌과 조사 포닌 및 진세노이드 Rg3이 생성되며 홍삼보다 증숙과정과 건조과정이 많은 흑삼이 다량함유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홍삼보다 흑삼이 인체에 유용한 성분을 많이 함유함에도 불구하고 홍삼을 제조하여 판매하는 이유는 인삼의 증숙과정과 건조과정 중에 인삼이 갈라지고 영양분이 파괴되는 좋지 않은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고자 본 발명은 안출된 것으로 인삼을 이용하여 안정정으로 흑삼을 제조하되 다량의 사포닌과 조사포닌 및 진세노사이드 Rg3을 함유한 흑삼을 제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이 첨부된 도 1를 참고하여 인삼을 이용한 흑삼의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수확된 4년근 이상의 인삼을 세정수를 이용하세 깨끗하게 세척한다(S10).
상기 인삼은 수분함량이 적은 10월에서 12월 사이에 수확된 인삼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또한 6년근 인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세척된 인삼을 건조실에서 투입하고, 적외선을 방사하여 수분함량이 45~55%가 되도록 건조를 한다(S20).
상기의 건조실은 방사된 적외선에 의한 공명, 공진, 흡수작용 등으로 신선도 유지가 유지되도록 맥반석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맥반석으로 형성된 건조실에서 적외선을 방사하여 건조한 경우에는 식품의 선도 유지뿐만 아니라 맛이 좋고, 탁월한 건조효과가 있었다.
상기 건조된 인삼을 증삼기에 투입하고, 증삼기의 온도를 93~97℃로 유지하여 5시간을 증숙하되, 1시간 간격으로 증삼기내의 증기를 배출시키면서 증숙을 한다(S30).
상기 증삼기 안의 증기를 시간 단위로 배출시킴으로써 인삼의 엑기스 배출을 방지하고 사포닌 함량을 증가시킨다.
상기 증숙된 인삼을 60~70시간 숙성건조시키는 건조를 하되, 자연태양광이 조사되는 곳에서 자연숙성건조시키는 것이 좋다(S40).
상기 숙성건조된 인삼은 다시 온도가 93~97℃로 유지시킨 증삼기에 투입하고, 5시간을 증숙하되, 1시간 간격으로 증삼기내의 증기를 배출시키면서 증숙을 한다(S50).
상기 증숙된 인삼은 맥반석으로 형성되어 온도 43~47℃로 유지시킨 건조실에서 11~13시간 건조를 한다(S60).
상기 온도가 93~97℃로 유지시킨 증삼기내에서 5시간을 증숙하되, 1시간 간격으로 증삼기내의 증기를 배출시키는 증숙과정(S50)과, 상기 증숙된 인삼을 온도 43~47℃로 유지시킨 맥반석으로 형성된 건조실에서 11~13시간 건조하는 건조과정(S60)을 4회 내지 7회 반복 실시한다.
즉, 증숙→건조→증숙→건조 과정 식으로 증숙과정(S50)과 건조과정(S60)을 연속하여 4회 내지 7회 반복 실시한다.
상기 건조된 인삼은 다시 95~99℃로 가열되어 있는 증삼기에 투입하여 3시간 을 동안 증숙을 한다(S70).
상기 증숙시 증삼기에 열을 서서히 가열할 경우에는 인삼의 엑기스 유출이 있어 사포닌 함유량이 줄어드는 단점이 있으며, 증삼기를 가열한 후에 건조된 인삼을 투입하여 증숙하게 되면 인삼 엑기스 유출을 방지하여 사포닌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증숙된 인삼을 자연태양광이 조사되는 곳에서 100시간 숙성건조시키는 건조를 하되, 자연태양광이 조사되는 곳에서 자연숙성건조시키는 것이 좋다(S80).
상기 자연숙성건조된 인삼은 다시 온도가 95~99℃로 유지된 증삼기에 투입하고, 3시간 동안 증숙한다(S90).
상기 증숙된 인삼은 280~300시간 숙성건조시키는 건조를 하되, 자연태양광이 조사되는 곳에서 자연숙성건조시키는 것이 좋다(S100).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사포닌과 조사포닌 및 진세로이드 Rg3가 다량 함유된 흑삼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4년근 이상의 인삼을 11월에 수확하여 세정수로 세척한다.
상기 세척된 인삼을 맥반석으로 형성된 건조실에서 투입한 후 적외선을 방사하여 수분함량이 50%가 되도록 1차 건조를 한다.
1차 건조된 인삼을 증삼기에 투입하고, 증삼기의 온도를 95℃로 5시간을 유지시키되 1시간 간격으로 증삼기의 증기를 배출시켜 1차 증숙을 한다.
상기 1차 증숙된 인삼을 자연태양광이 조사되는 곳에서 60시간 자연숙성건조시켜 2차 건조를 한다.
상기 2차 건조된 인삼을 증삼기에 투입하고, 증삼기의 온도를 95℃로 5시간을 유지시키되 1시간 간격으로 증삼기의 증기를 배출시켜 2차 증숙을 한다.
상기 2차 증숙된 인삼을 맥반석으로 형성되어 온도 45℃로 유지시킨 건조실에서 12시간 3차 건조를 한다.
상기 3차 건조된 인삼을 증삼기에 투입하고, 증삼기의 온도를 95℃로 5시간을 유지시키되 1시간 간격으로 증삼기의 증기를 배출시켜 3차 증숙을 한다.
상기 3차 증숙된 인삼을 맥반석으로 형성되어 온도 45℃로 유지시킨 건조실에서 12시간 4차 건조를 한다.
상기 4차 건조된 인삼을 증삼기에 투입하고, 증삼기의 온도를 95℃로 5시간을 유지시키되 1시간 간격으로 증삼기의 증기를 배출시켜 4차 증숙을 한다.
상기 4차 증숙된 인삼을 맥반석으로 형성되어 온도 45℃로 유지시킨 건조실에서 12시간 5차 건조를 한다.
상기 5차 건조된 인삼을 증삼기에 투입하고, 증삼기의 온도를 95℃로 5시간을 유지시키되 1시간 간격으로 증삼기의 증기를 배출시켜 5차 증숙을 한다.
상기 5차 증숙된 인삼을 맥반석으로 형성되어 온도 45℃로 유지시킨 건조실에서 12시간 6차 건조를 한다.
상기 6차 건조된 인삼을 증삼기에 투입하고, 증삼기의 온도를 95℃로 5시간을 유지시키되 1시간 간격으로 증삼기의 증기를 배출시켜 6차 증숙을 한다.
상기 6차 증숙된 인삼을 맥반석으로 형성되어 온도 45℃로 유지시킨 건조실에서 12시간 7차 건조를 한다.
상기 7차 건조된 인삼을 증삼기에 투입하고, 증삼기의 온도를 95℃로 5시간을 유지시키되 1시간 간격으로 증삼기의 증기를 배출시켜 7차 증숙을 한다.
상기 7차 증숙된 인삼을 맥반석으로 형성되어 온도 45℃로 유지시킨 건조실에서 12시간 8차 건조를 한다.
상기 8차 건조된 인삼을 96℃로 가열되어 있는 증삼기에 투입하여 3시간을 동안 8차 증숙을 한다.
상기 8차 증숙된 인삼을 자연태양광이 조사되는 곳에서 100시간 자연숙성건조시켜 9차 건조를 한다.
상기 9차 건조된 인삼을 증삼기에 투입하고, 증삼기의 온도를 96℃로 유지시켜 2시간을 동안 9차 증숙을 한다.
상기 9차 증숙된 인삼을 자연태양광이 조사되는 곳에서 290시간 자연숙성건조시켜 10차 건조를 하여 흑삼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흑삼은 아래 첨부된 표 1과 같이 몸에 유용한 조사포닌과 진세로이드 Rg3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
[표 1]
검사항목 결과 비고
조사포닌(㎎/g) 57.03
진세로이드 Rg3(㎎/100g) 163.01
상기 진세로이드 Rg3은 암세포 전이 억제작용,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 혈관 확장작용 및 항암제의 내성 억제작용이 있는 생리활성 물질이다.
상기와 같은 인삼을 이용한 흑삼의 제조방법으로 인체에 유용한 사포닌과 조사포닌 및 진세로이드 Rg3가 다량함유되어 있는 흑삼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맥반석으로 형성된 건조실에서 적외선을 이용하여 건조함으로써 흑삼의 제조과정 시 인삼의 갈라짐으로 인하여 훼손되는 불량 흑삼을 줄일 수 있으며, 선도유지를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4년근 이상의 인삼을 이용하여 흑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확된 인삼을 세척하는 세척단계(S10)와;
    상기 세척단계에서 세척된 인삼을 건조실에서 적외선을 방사하여 수분함량을 45~55%로 건조하는 건조과정(S20)과;
    상기 건조과정(S20)을 통하여 건조된 인삼을 증삼기에 투입하여 93~97℃로 5시간을 유지시키는 증숙과정(S30)과;
    상기 증숙과정(S30)을 통하여 획득한 인삼을 60~70시간 숙성건조시키는 건조과정(S40)과;
    상기 건조과정(S40)을 통하여 건조된 인삼을 증삼기에 투입하여 93~97℃로 5시간을 유지시키는 증숙과정(S50)과;
    상기 증숙과정(S50)을 통하여 획득한 인삼을 43~47℃의 건조실에서 11~13시간 건조하는 건조과정(S60)과;
    상기 증숙과정(S50)과 건조과정(S60)을 연속하여 4~7회 반복실시하고,
    상기 건조과정(S60)을 통하여 건조된 인삼을 95~99℃로 가열되어 있는 증삼기에 투입하여 3시간 동안 증숙하는 증숙과정(S70)과;
    상기 증숙과정을 통하여 획득한 인삼을 100시간 숙성건조시키는 건조과정(S80)과;
    상기 건조과정을 통하여 건조된 인삼을 증삼기에 투입하여 95~99℃로 2시간을 유지시키는 증숙과정(S90)과;
    상기 증숙과정을 통하여 획득한 인삼을 280~300시간 숙성건조시키는 건조과정(S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4년근 이상의 인삼은 10월에서 12월 사이에 수확된 인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삼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숙과정(S30, S50)에서는 1시간 간격으로 증삼기의 증기를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삼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과정(S40, S80, S100)에서는 자연태양광을 조사하여 자연숙성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삼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과정(S20, S60)에서 사용되는 건조실은 맥반석으로 형성됨을 특징 으로 하는 흑삼의 제조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흑삼.
KR1020060109320A 2006-11-07 2006-11-07 흑삼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흑삼 KR100729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320A KR100729214B1 (ko) 2006-11-07 2006-11-07 흑삼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흑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320A KR100729214B1 (ko) 2006-11-07 2006-11-07 흑삼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흑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9214B1 true KR100729214B1 (ko) 2007-06-19

Family

ID=38372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320A KR100729214B1 (ko) 2006-11-07 2006-11-07 흑삼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흑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9214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852B1 (ko) 2007-02-21 2008-06-09 우신산업(주) 곡삼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950426B1 (ko) 2009-06-16 2010-03-29 윤건상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된 인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1015630B1 (ko) 2008-06-18 2011-02-23 (주)삼흥 원형 홍삼의 제조 방법
WO2011043564A2 (ko) * 2009-10-07 2011-04-14 Kim Hang Jong 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35463B1 (ko) * 2007-12-31 2011-05-1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흑삼 가공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71851B1 (ko) 2009-02-27 2011-10-1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Rg3 및 Rh2의 함량이 증가된 흑삼추출물의 제조방법
WO2012074159A1 (ko) * 2010-12-03 2012-06-07 An Jun Min 흑삼 제조방법
KR101152827B1 (ko) 2008-10-13 2012-06-12 안준민 자외선 조사 단계를 포함하는 흑삼 제조방법
CN102579538A (zh) * 2012-03-22 2012-07-18 金昭珺 一种富含人参皂甙Rg3的人参的炮制方法
WO2013009137A2 (ko) * 2011-07-14 2013-01-17 Ko Sang Wha 진세노사이드 Rh2 성분의 함량이 증가된 흑삼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흑삼제품
WO2017217731A1 (ko) * 2016-06-15 2017-12-21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유효 진세노사이드의 손실이 없는 흑삼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흑삼
KR101852168B1 (ko) 2017-12-28 2018-06-04 오경희 저온 발효식 홍삼 또는 흑삼 제조기 및 그를 이용한 홍삼 또는 흑삼의 제조방법
KR20200007333A (ko) * 2018-07-12 2020-01-22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백제삼마을 원적외선 조사를 이용한 인삼의 가공 방법
KR20240039791A (ko) 2022-09-20 2024-03-27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수삼을 이용한 흑삼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136A (ko) * 1998-05-30 1998-08-17 박명규 열처리 조건을 이용한 고급 홍삼 수율 증대방법
KR20020005089A (ko) * 2000-07-07 2002-01-17 박효순 유도 가열 고데기
KR20030089649A (ko) * 2003-05-28 2003-11-22 주식회사 정문물산 사포닌 고함유 홍삼과 그 제조방법
KR20040023185A (ko) * 2002-09-11 2004-03-18 한국홍삼제조 주식회사 흑미삼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흑미삼
KR20040103148A (ko) * 2003-05-31 2004-12-08 엔티앤비티(주) 흑홍삼 제조방법 및 흑홍삼 가공품
KR20060130519A (ko) * 2005-06-14 2006-12-19 김원규 9회 증숙, 9회 동결건조에 의하여 진세노사이드 류의함량을 증가시킨 홍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제조된 홍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136A (ko) * 1998-05-30 1998-08-17 박명규 열처리 조건을 이용한 고급 홍삼 수율 증대방법
KR20020005089A (ko) * 2000-07-07 2002-01-17 박효순 유도 가열 고데기
KR20040023185A (ko) * 2002-09-11 2004-03-18 한국홍삼제조 주식회사 흑미삼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흑미삼
KR20030089649A (ko) * 2003-05-28 2003-11-22 주식회사 정문물산 사포닌 고함유 홍삼과 그 제조방법
KR20040103148A (ko) * 2003-05-31 2004-12-08 엔티앤비티(주) 흑홍삼 제조방법 및 흑홍삼 가공품
KR20060130519A (ko) * 2005-06-14 2006-12-19 김원규 9회 증숙, 9회 동결건조에 의하여 진세노사이드 류의함량을 증가시킨 홍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제조된 홍삼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852B1 (ko) 2007-02-21 2008-06-09 우신산업(주) 곡삼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035463B1 (ko) * 2007-12-31 2011-05-1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흑삼 가공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15630B1 (ko) 2008-06-18 2011-02-23 (주)삼흥 원형 홍삼의 제조 방법
KR101152827B1 (ko) 2008-10-13 2012-06-12 안준민 자외선 조사 단계를 포함하는 흑삼 제조방법
KR101071851B1 (ko) 2009-02-27 2011-10-1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Rg3 및 Rh2의 함량이 증가된 흑삼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950426B1 (ko) 2009-06-16 2010-03-29 윤건상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된 인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CN102711779A (zh) * 2009-10-07 2012-10-03 金恒钟 用于预防或治疗肝癌的包含乌参提取物的组合物
WO2011043564A3 (ko) * 2009-10-07 2011-09-01 Kim Hang Jong 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1043564A2 (ko) * 2009-10-07 2011-04-14 Kim Hang Jong 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2074159A1 (ko) * 2010-12-03 2012-06-07 An Jun Min 흑삼 제조방법
CN103717092A (zh) * 2011-07-14 2014-04-09 高相和 能使人参皂苷Rh2成分的含量增加的黑参制造方法以及通过该制造方法制造的黑参产品
US9289458B2 (en) 2011-07-14 2016-03-22 Sang Wha Ko Method for producing black ginseng having increased ginsenoside RH2 component content, and black ginseng product produced by means of the production method
WO2013009137A2 (ko) * 2011-07-14 2013-01-17 Ko Sang Wha 진세노사이드 Rh2 성분의 함량이 증가된 흑삼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흑삼제품
WO2013009137A3 (ko) * 2011-07-14 2013-06-13 Ko Sang Wha 진세노사이드 Rh2 성분의 함량이 증가된 흑삼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흑삼제품
CN102579538B (zh) * 2012-03-22 2013-12-18 金昭珺 一种富含人参皂甙Rg3的人参的炮制方法
CN102579538A (zh) * 2012-03-22 2012-07-18 金昭珺 一种富含人参皂甙Rg3的人参的炮制方法
WO2017217731A1 (ko) * 2016-06-15 2017-12-21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유효 진세노사이드의 손실이 없는 흑삼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흑삼
KR101842610B1 (ko) * 2016-06-15 2018-03-28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유효 진세노사이드의 손실이 없는 흑삼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흑삼
KR101852168B1 (ko) 2017-12-28 2018-06-04 오경희 저온 발효식 홍삼 또는 흑삼 제조기 및 그를 이용한 홍삼 또는 흑삼의 제조방법
KR20200007333A (ko) * 2018-07-12 2020-01-22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백제삼마을 원적외선 조사를 이용한 인삼의 가공 방법
KR102085333B1 (ko) 2018-07-12 2020-04-23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백제삼마을 원적외선 조사를 이용한 인삼의 가공 방법
KR20240039791A (ko) 2022-09-20 2024-03-27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수삼을 이용한 흑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9214B1 (ko) 흑삼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흑삼
KR101050821B1 (ko) 발효효소를 이용한 발효흑홍삼 및 그 제조방법과 발효도라지와 발효생강
KR102054120B1 (ko) 법제, 발효 및 증숙 과정을 이용한 증숙 도라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103254B1 (ko) 저장성이 향상된 반건조 무화과의 제조방법
KR101598267B1 (ko) 인삼 내부조직에 황칠나무 추출물이 함침된 황칠인삼 및 그 제조방법
KR102074080B1 (ko) 땅콩새싹 추출물을 이용한 세정액 원료의 제조방법
KR20150083339A (ko) 천연 효소액과 효모 및 리보플라빈의 복합발효액을 이용한 흑삼 및 그 제조방법
KR100965907B1 (ko) 엠에스엠을 이용한 홍삼 또는 흑삼의 제조방법
CN105902620A (zh) 一种鲜品肉苁蓉饮片及其制备方法
KR100921266B1 (ko) 홍삼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1359078B1 (ko) 자주색 산삼배양근의 제조방법
KR20160007884A (ko) 고구마와 산야초 추출액이 함유된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
KR100920661B1 (ko) 사포닌 함량이 높은 흑삼 및 그 제조방법.
KR100753771B1 (ko) 흑삼 및 흑삼 농축액 제조방법
KR101413111B1 (ko) 홍삼순액의 제조방법
CN102784260A (zh) 一种姜半夏的炮制工艺
KR20140125204A (ko) 과일분말이 도포된 홍삼절편의 제조방법
KR101993623B1 (ko) 숙성인삼 제조방법
KR101312728B1 (ko) 야콘의 동결건조방법
KR100784758B1 (ko) 원형 홍 피부직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한원형 홍 피부직삼
KR20010018178A (ko) 인삼을 이용한 가공제품의 제조방법
KR101908766B1 (ko) 홍삼 절편의 제조방법
CN111166779A (zh) 一种西洋参的加工方法
KR101775684B1 (ko) 가시오가피 청국장 제조방법
CN108651906A (zh) 一种南瓜全粉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