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267B1 - 인삼 내부조직에 황칠나무 추출물이 함침된 황칠인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삼 내부조직에 황칠나무 추출물이 함침된 황칠인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267B1
KR101598267B1 KR1020140003321A KR20140003321A KR101598267B1 KR 101598267 B1 KR101598267 B1 KR 101598267B1 KR 1020140003321 A KR1020140003321 A KR 1020140003321A KR 20140003321 A KR20140003321 A KR 20140003321A KR 101598267 B1 KR101598267 B1 KR 101598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extract
black
torr
wh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3595A (ko
Inventor
김유관
이희숙
Original Assignee
김유관
이희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관, 이희숙 filed Critical 김유관
Priority to KR1020140003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267B1/ko
Publication of KR20150083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 내부조직에 황칠나무 추출물이 함침된 황칠인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의 내부조직에 함침시켜 인삼 및 황칠의 고유의 활성성분 및 기능이 극대화되도록 한 인삼 내부조직에 황칠나무 추출물이 함침된 황칠인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삼 내부조직에 황칠나무 추출물이 함침된 황칠인삼 및 그 제조방법{omitted}
본 발명은 인삼 내부조직에 황칠나무 추출물이 함침된 황칠인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의 내부조직에 함침시켜 인삼 및 황칠의 고유의 활성성분 및 기능이 극대화되도록 한 인삼 내부조직에 황칠나무 추출물이 함침된 황칠인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황칠나무 (Dendropanax morbiferaLev)는 우리나라 남해안의 일부 도서지역에만 자생하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으로, 수피에 상처를 내면 황색의 액이 나오는데 이것을 황칠(黃漆)이라 하며 오래전부터 가구 등에 칠로서 사용되어 왔다.(이창복,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1982)
또한, 황칠나무는 중국 당태종이 백제에 사신을 보내어 구할 정도로 귀하게 사용되었고, 명나라 이시진이 저술한 본초강목 (本草綱目)에는 황칠나무가 번열 (몸에 열이 몹시나고 가슴속이 답답하며 괴로운 증세) 제거, 술해독, 안질 및 황달 치료, 화상 치료, 나병 치료 등에 효과가 있음이 기술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공개특허 10-2003-0075999(경조직 재생 및 증식 효과를 가지는 황칠 추출물, 황칠 분획물 및 이를 함유한 약학 조성물)에서는 황칠나무 성분이 뼈와 치아 재상에 효능이 있어, 골다공증, 치주질환, 관절염에 도움을 준다고 개시하고 있다.
아울러, "황칠성분의 분리 및 분석에 관한 연구"(최용환, 2003, p13)의 논문에서는 황칠의 활성성분과 효능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여 개시하고 있다.
① 알파-큐버빈(α-cubebene) : 간질, 신경장애, 불면증, 히스테리, 편두통, 현기증에 효과가 있고, 위 통증이나 헛배부름과 같은 소장의 질환과 함께 소화기계통에도 작용하여 열항진, 혈액순환을 위해 이용됨.
② 베타-엘리민(β-elemene) : 이뇨제, 두통 해소, bed-wetting(잠결에 싸는 오줌)을 조절하고, 중앙신경계와 호르몬계를 자극하여 남성 호르몬계에 좋을 뿐만 아니라 우울증 치료에도 사용됨.
③ 알파-뮤로린(α-muurolene) : 소화기질환, 강장제, 발한제, 감정완화와 진정제, 류마티스 관절염에 효과
④ 게르마크린 디(germacrene D) : 신경통, 월경불순, 두통, 혈뇨치료 및 지혈제로 이용
⑤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염, 신경성전립선 질환, 전립선 수술 전후 방광 기능장애(배뇨장애, 야뇨증, 요실금증, 빈뇨증 등) 치료제로 사용되는 전립선비대증 치료제에 사용.
한편, 인삼은 식물분류에서 오가피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학명은 재배 인삼과 산삼이 마찬가지로 Panax ginseng C.A. Meyer이다.
인삼은 인삼밭에서 인위적으로 기른 재배 인삼(흔히 인삼으로 불리는), 인위적으로 인삼씨(장뇌삼씨)를 깊은 산중에 뿌려 산삼과 같이 자연 그대로 재배한 인삼인 장뇌삼(산양삼), 자연상태로 자생한 인삼인 산삼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인삼의 성분은 인삼 사포닌(Ginseng Saponins)성분 외에도 다당체성분 폴리아세틸렌성분, 정유성분, 폐놀계화합물, 알카로이드, 비타민, 질소화합물 등으로서 수용성 단백질, 펩티드, 파이로글루타민산(Pyroglutamic acid), 아데노신 등이 존재하고 있다. 그 밖에 약리효능보다 특징적으로 고려인삼 고유의 방향(芳香) 성분인 정유성분은 탄소 15개로 이루어진 세스키테르펜(sesquiterpene)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수용성 비타민과 망간, 구리, 게르마늄, 인, 알루미늄, 니켈 등의 무기질을 포함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인삼은 유효성분의 약효, 건위, 항종양, 이뇨, 강장, 항피로, 정상화 작용(Normalization), 적응효능(Adaptation), 항상성(恒常性)효과(Homeostasis) 등의 효과가 밝혀지면서, 인삼이 신체 면역력을 높여 주고 각종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한다는 것이 과학적으로 증명되고 있다.
인삼은 가공 상태에 따라, 뿌리를 채취한 그대로의 수삼과, 수삼의 껍질을 벗겨 건조한 백삼, 수삼을 증기로 쪄서 건조한 홍삼, 수삼의 구증구포 흑삼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홍삼의 중요 성분으로는 백삼과 같이 배당체(glycosides), 다당류(Polysaccarides), 인삼향성분(panacen), 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 함질소성분, 플라보노이드, 비타민(B군), 미량원소, 효소, 항산화물질과 유기산 및 아미노산 등이 있다.
홍삼은 중추신경에 대해서 진정작용과 흥분작용이 있으며, 순환계에 작용하여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의 예방효과가 있으며, 조혈작용(造血作用)과 혈당치(血糖値)를 저하시켜 주고, 간을 보호하며, 내분비계에 작용하여 성행동(性行動)이나 생식효과에 간접적으로 유효하게 작용하며, 항염(抗炎) 및 항종양작용(抗腫瘍作用)이 있고, 방사선에 대한 방어효과, 피부를 보호하며 부드럽게 하는 작용도 있다.
흑삼은 수삼을 구증구포(九蒸九曝)의 증숙 및 건조의 증포과정을 거쳐 제조한 검은 색으로 변한 삼으로 구증구포의 과정을 거치면서 인삼의 아주 유용한 활성성분인 인삼사포닌(Ginsenoside)이 빠져나가지 않아 인삼 및 홍삼에 비하여 그 활성성분의 함량이 탁월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황칠의 활성성분과 인삼의 활성성분이 모두 함유되어 각각의 기능을 모두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한국등록특허 10-1125544호에는 수삼을 게르마늄 용액에 담그는 침지처리 단계, 수삼을 용기에 넣고 외부 수증기의 공급이 없이, 70℃±5℃의 온도범위에서의 5시간 이상의 저온 증숙 실시를 포함하여 30℃ 이상 75℃ 이하의 온도에서 수삼 자체의 효소 성분을 이용하여 30시간 내지 35시간 발효를 실시하는 발효단계와, 상기 발효단계를 통해 수삼으로부터 얻어진 홍삼의 표면에 황칠 코팅층을 도포하는 코팅단계를 포함하는 발효 홍삼 제조 방법이 공지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발효 홍삼 제조 방법은 발효과정을 거쳐 제조하여 제조시간이 길고, 황칠 코팅도 표면에만 코팅되어 황칠의 활성성분이 미미한 문제점이 있었으므로, 이에 본 발명자는 인삼에 황칠의 활성성분을 다량 함유시킨 황칠인삼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황칠나무 추출물을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의 내부조직에 함침시켜 인삼 및 황칠의 고유의 활성성분 및 기능이 극대화되도록 한 인삼 내부조직에 황칠나무 추출물이 함침된 황칠인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황칠나무 추출물이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의 내부조직에 함침된 황칠인삼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은 황칠나무의 수피에 상처를 내어 얻은 황칠 원액을 여과하고 일정량의 물에 희석하여 일정농도로 맞춘 추출액인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은 황칠나무 가지 또는 잎을 세절한 후, 물 또는 알코올에 넣고 가열하여 얻은 추출액을 상온으로 냉각하고 여과한 다음, 여과액을 감압하여 물 또는 알코올을 제거하여 농축하고 일정량의 물에 희석하여 일정농도로 맞춘 추출액인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황칠나무 추출물을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의 내부조직에 함침시켜 황칠인삼을 제조하는 황칠인삼 제조방법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은 황칠나무의 수피에 상처를 내어 얻은 황칠 원액을 여과하고 일정량의 물에 희석하여 일정농도로 맞춘 추출액인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은 황칠나무 가지 또는 잎을 세절한 후, 물 또는 알코올에 넣고 가열하여 얻은 추출액을 상온으로 냉각하고 여과한 다음, 여과액을 감압하여 물 또는 알코올을 제거하여 농축하고 일정량의 물에 희석하여 일정농도로 맞춘 추출액인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함침은 세척 또는 이물질 제거된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을 함침기 내부에 넣고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함침기 내부를 40torr~400torr의 진공상태로 1~20분간 유지하는 단계; 상기 진공상태의 함침기 내부의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이 잠길 때까지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에 잠긴 상태로 1-20분간 유지하여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을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의 내부조직에 함침시키는 단계;를 거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함침기 내부를 40torr~400torr의 진공상태로 1~20분간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함침기 내부를 40torr~400torr의 진공상태로 1~20분간 유지한 후, 대기압으로 복원하는 단계를 1~3회 거친 다음 실시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에 잠긴 상태로 1-20분간 유지하여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을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의 내부조직에 함침시키는 단계는 가압펌프를 이용하여 1,500tor~15,000torr로 가압하여 실시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인삼 내부조직에 황칠나무 추출물이 함침된 황칠인삼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황칠나무 추출물을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의 내부까지 침투되도록 함침 가공함으로써 인삼에 황칠의 활성성분을 다량 함유되도록 하여 인삼 및 황칠의 고유의 활성성분 및 기능이 극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황칠인삼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함침기를 나타내는 개략도
본 발명은, 황칠나무 추출물이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의 내부조직에 함침된 황칠인삼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은 황칠나무의 수피에 상처를 내어 얻은 황칠 원액을 여과하고 일정량의 물에 희석하여 일정농도로 맞춘 추출액인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은 황칠나무 가지 또는 잎을 세절한 후, 물 또는 알코올에 넣고 가열하여 얻은 추출액을 상온으로 냉각하고 여과한 다음, 여과액을 감압하여 물 또는 알코올을 제거하여 농축하고 일정량의 물에 희석하여 일정농도로 맞춘 추출액인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황칠나무 추출물을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의 내부조직에 함침시켜 황칠인삼을 제조하는 황칠인삼 제조방법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은 황칠나무의 수피에 상처를 내어 얻은 황칠 원액을 여과하고 일정량의 물에 희석하여 일정농도로 맞춘 추출액인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은 황칠나무 가지 또는 잎을 세절한 후, 물 또는 알코올에 넣고 가열하여 얻은 추출액을 상온으로 냉각하고 여과한 다음, 여과액을 감압하여 물 또는 알코올을 제거하여 농축하고 일정량의 물에 희석하여 일정농도로 맞춘 추출액인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침은 세척 또는 이물질 제거된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을 함침기 내부에 넣고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함침기 내부를 40torr~400torr의 진공상태로 1~20분간 유지하는 단계; 상기 진공상태의 함침기 내부의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이 잠길 때까지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에 잠긴 상태로 1-20분간 유지하여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을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의 내부조직에 함침시키는 단계;를 거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침기 내부를 40torr~400torr의 진공상태로 1~20분간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함침기 내부를 40torr~400torr의 진공상태로 1~20분간 유지한 후, 대기압으로 복원하는 단계를 1~3회 거친 다음 실시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에 잠긴 상태로 1-20분간 유지하여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을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의 내부조직에 함침시키는 단계는 가압펌프를 이용하여 1,500tor~15,000torr로 가압하여 실시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우선, 본 발명은 황칠나무 추출물이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의 내부조직에 함침된 황칠인삼을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황칠인삼은 황칠나무 추출물을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의 내부조직에 함침시켜 제조하는데, 이때,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은 황칠나무의 수피에 상처를 내어 얻은 황칠 원액을 여과하고 일정량의 물에 희석하여 일정농도로 맞추어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황칠나무 가지 또는 잎을 세절한 후, 물 또는 알코올에 넣고 가열하여 얻은 추출액을 상온으로 냉각하고 여과한 다음, 여과액을 감압하여 물 또는 알코올을 제거하여 농축하고 일정량의 물에 희석하여 일정농도로 맞추어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황칠나무 추출물을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의 내부조직에 함침시켜 황칠인삼을 제조하는 구체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함침기(10)는 황칠나무 추출물 저장탱크(40), 가압펌프(12), 진공펌프(16)와 연결되고, 상기 함침기(10)의 상부에는 압력게이지(11)와 진공게이지(14)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 저장탱크(40)는 적정한 농도로 맞춘 황칠나무 추출물 용액을 수용하는 탱크로서, 상기 함침기(10)와 연결되어 함침기(10)에 황칠나무 추출물을 투입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순환펌프(41) 및 밸브(82)를 구비하며, 상기 순환펌프(41)의 작동으로 황칠나무 추출물을을 상기 함침기(10) 내부로 투입 및 배출시킨다.
상기 함침기(10)를 이용하여 황칠나무 추출물을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의 내부조직에 함침시켜 황칠인삼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세척 또는 이물질 제거된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을 함침기(10) 내부에 넣고 진공펌프(16)를 이용하여 함침기 내부를 40torr~400torr의 진공상태로 1~20분간 유지하는 단계; 상기 진공상태의 함침기(10) 내부의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이 잠길 때까지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 저장탱크(40)로 부터 황칠나무 추출물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에 잠긴 상태로 1-20분간 유지하여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을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의 내부조직에 함침시키는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상기 함침기(10) 내부를 40torr~400torr의 진공상태로 1~20분간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함침기 내부를 40torr~400torr의 진공상태로 1~20분간 유지한 후, 대기압으로 복원하는 단계를 1~3회 거친 다음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진공 및 대기압으로 복원하는 단계를 1~3회 거치는 이유는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의 내부조직에 황칠나무 추출물이 충분히 함침되도록 조직을 팽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조직을 보아 가며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진공상태의 함침기(10) 내부의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이 잠길 때까지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 저장탱크(40)로 부터 황칠나무 추출물을 투입한 후,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에 잠긴 상태로 1-20분간 유지하여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을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의 내부조직에 함침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에 잠긴 상태로 1-20분간 유지하여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을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의 내부조직에 함침시킬 경우에는 가압펌프를 이용하여 함침기 내부를 1,500tor~15,000torr로 가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가압하는 이유는 황칠나무 추출물이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의 내부조직으로 더욱 신속히 스며들어 함침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함침기(10) 내부의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이 황칠나무 추출물에 의해 충분히 함침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함침기(10) 내부를 대기압 상태로 유지시킨 후 상기 황칠나무 천연추출물을 밸브(82)를 통해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 저장탱크(40)로 배출시킨 다음, 상기 함침기(10)를 개방하여 상기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을 건조시킴으로써 함침과정을 완료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함침기 11 : 압력게이지 12 : 가압펌프
14 : 진공게이지 16 : 진공펌프
40 : 황칠나무 추출물 저장탱크 41 : 순환펌프
82 : 밸브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세척 또는 이물질 제거된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을 함침기 내부에 넣고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함침기 내부를 40torr~400torr의 진공상태로 1~20분간 유지하는 단계; 상기 진공상태의 함침기 내부의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이 잠길 때까지 황칠나무 추출물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에 잠긴 상태로 1-20분간 유지하여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을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의 내부조직에 함침시키는 단계;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의 내부조직에 함침시킨 황칠인삼 제조방법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은 황칠나무의 수피에 상처를 내어 얻은 황칠 원액을 여과하고 일정량의 물에 희석하여 일정농도로 맞춘 추출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의 내부조직에 함침시킨 황칠인삼 제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은 황칠나무 가지 또는 잎을 세절한 후, 물 또는 알코올에 넣고 가열하여 얻은 추출액을 상온으로 냉각하고 여과한 다음, 여과액을 감압하여 물 또는 알코올을 제거하여 농축하고 일정량의 물에 희석하여 일정농도로 일정농도로 맞춘 추출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의 내부조직에 함침시킨 황칠인삼 제조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기 내부를 40torr~400torr의 진공상태로 1~20분간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함침기 내부를 40torr~400torr의 진공상태로 1~20분간 유지한 후, 대기압으로 복원하는 단계를 1~3회 거친 다음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의 내부조직에 함침시킨 황칠인삼 제조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에 잠긴 상태로 1-20분간 유지하여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을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의 내부조직에 함침시키는 단계는 가압펌프를 이용하여 1,500tor~15,000torr로 가압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의 내부조직에 함침시킨 황칠인삼 제조방법
  10. 제4항, 제6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황칠인삼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어 황칠나무 추출물을 수삼, 백삼, 홍삼 또는 흑삼의 내부조직에 함침시킨 황칠인삼

KR1020140003321A 2014-01-10 2014-01-10 인삼 내부조직에 황칠나무 추출물이 함침된 황칠인삼 및 그 제조방법 KR101598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321A KR101598267B1 (ko) 2014-01-10 2014-01-10 인삼 내부조직에 황칠나무 추출물이 함침된 황칠인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321A KR101598267B1 (ko) 2014-01-10 2014-01-10 인삼 내부조직에 황칠나무 추출물이 함침된 황칠인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595A KR20150083595A (ko) 2015-07-20
KR101598267B1 true KR101598267B1 (ko) 2016-02-26

Family

ID=53873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321A KR101598267B1 (ko) 2014-01-10 2014-01-10 인삼 내부조직에 황칠나무 추출물이 함침된 황칠인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2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0596A1 (ko) * 2019-09-24 2021-04-01 김미성 황칠나무 추출물 및 식이유황을 이용한 흑삼 및 홍삼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496B1 (ko) 2018-01-09 2020-04-28 (주)프라우텍 위치 기반의 관계 분석 방법 및 장치
KR102222491B1 (ko) * 2020-10-07 2021-03-04 (주)에프앤피 농산물 가공장치
KR102222492B1 (ko) * 2020-10-07 2021-03-04 (주)에프앤피 농산물 가공방법
KR102373671B1 (ko) * 2021-07-22 2022-03-16 유길곤 과일 및 과채류의 감미수 침투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7973A (ko) * 2004-10-26 2004-11-18 (주)에이지아이 옻나무 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쌀
KR101125544B1 (ko) * 2009-08-05 2012-03-16 한영채 발효 홍삼 제조 방법
KR101191495B1 (ko) * 2010-05-07 2012-10-15 최영범 저압 밀폐용기를 이용한 홍삼 제조방법 및 홍삼 정과/절편정과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0596A1 (ko) * 2019-09-24 2021-04-01 김미성 황칠나무 추출물 및 식이유황을 이용한 흑삼 및 홍삼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595A (ko) 201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8267B1 (ko) 인삼 내부조직에 황칠나무 추출물이 함침된 황칠인삼 및 그 제조방법
KR101050821B1 (ko) 발효효소를 이용한 발효흑홍삼 및 그 제조방법과 발효도라지와 발효생강
KR100695900B1 (ko) 발효·팽화 처리에 의해 풍미와 사포닌 함량이 우수한홍삼액의 제조방법
KR101670810B1 (ko) 황국균을 이용하여 미량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을 증진시킨 발효흑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흑삼
KR102305182B1 (ko)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흑도라지 복합 농축액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액상스틱 제조방법
US20190216123A1 (en) Preparation of mixed tea composition comprising aloeswood
CN111088127B (zh) 一种青蒿手工皂及其制备方法
KR101619410B1 (ko) 비타민과 생약재성분이 함유된 동결건조인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41884A (ko) 흑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흑삼
KR101563930B1 (ko) 마가목 조청과 그 제조방법 및 마가목 엿과 그 제조방법
KR100852138B1 (ko)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8066274B (zh) 黑发复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810509B1 (ko) 버섯튀김의 제조방법
KR100336086B1 (ko) 홍삼엑스 제조방법
KR20100132607A (ko) 원적외선 조사를 이용한 홍삼의 특유 성분이 증가된 인삼의 제조방법
KR101057226B1 (ko) 원적외선 조사를 이용한 향기성분이 감소된 인삼의 제조방법
CN111166779A (zh) 一种西洋参的加工方法
CN117599137A (zh) 天麻饮片加工方法
CN115444872B (zh) 一种野山参红参的制备方法
KR20210035541A (ko) 황칠나무 추출물 및 식이유황을 이용한 흑삼 및 홍삼의 제조 방법
KR102665525B1 (ko) 초고압처리를 이용하여 제조된 홍삼 또는 흑삼으로부터 고온고압수를 이용하여 진세노사이드를 추출하는 방법 및 그 추출물
WO2018066807A1 (ko) 전처리 공정에 의해 기능성 및 기호성이 개선된 팽화 인삼의 제조 방법
CN109105595A (zh) 一种老鼠簕根茶的制备方法
KR102015044B1 (ko) 효소 및 자외선 UVB를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홍삼 농축액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20664B1 (ko) 홍삼의 가공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홍삼 가공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