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4253B1 - 용융금속 공급 시스템, 용기 및 차량 - Google Patents

용융금속 공급 시스템, 용기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4253B1
KR100784253B1 KR1020067010556A KR20067010556A KR100784253B1 KR 100784253 B1 KR100784253 B1 KR 100784253B1 KR 1020067010556 A KR1020067010556 A KR 1020067010556A KR 20067010556 A KR20067010556 A KR 20067010556A KR 100784253 B1 KR100784253 B1 KR 100784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olten metal
container
wire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6449A (ko
Inventor
히토시 미즈노
도시오 사이토
다케오 이마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호에이 쇼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1468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03523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40714A external-priority patent/JP460215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호에이 쇼카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호에이 쇼카이
Publication of KR20060086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6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4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4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35/00Equipment for conveying molten metal into beds or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1/00Casting non-ferrous metals or metallic compounds so far as their metallurgical properties are of importance for the casting procedure; Selection of compositions therefor
    • B22D21/02Casting exceedingly oxidisable non-ferrous metals, e.g. in inert atmosphere
    • B22D21/04Casting aluminium or magnes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39/00Equipment for supplying molten metal in rations
    • B22D39/06Equipment for supplying molten metal in ration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molten metal by controlling the pressure above the molten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6/00Controlling, supervising, not restricted to casting covered by a single main group, e.g. for safety reas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융금속의 공급정지 직후에 배관에 잔존하는 용융금속이 배관으로부터 흘러내려 떨어지는 일이 없는 용융금속 공급 시스템 등을 제고하자 하는 것으로서, 용융금속을 저장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가압기체를 유입하기 위한 통로를 구비하는 밀폐형의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 내에 저장된 용융금속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배출구가 하방을 향하는 배관과, 배관의 배출구의 하방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한 용융금속의 수용반과, 배관에 지점을 구비하고, 수용반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일단이 수용반 또는 지지부재에 접속된 와이어와, 용기 본체의 저면에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설치된 한 쌍의 채널 부재를 구비하는 용기와, 채널 부재에 대하여 넣거나 빼는 것이 가능한 포크와, 포크가 부착된 캐리지와, 캐리지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캐리지에 부착되어 와이어의 타단에서 와이어를 당기거나 되돌리는 기구를 구비하는 차량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용융금속 공급 시스템, 용기 및 차량{SYSTEM FOR SUPPLYING MOLTEN METAL, CONTAINER AND A VEHICL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용융(熔融)된 알루미늄의 공급에 사용되는 용융금속 공급 시스템(熔融金屬 供給 system), 용기(容器) 및 차량(車輛)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다이캐스팅 머신(die casting machine)을 사용하여 알루미늄의 성형(成形)이 이루어지는 공장에서는, 공장 내 뿐만 아니라 공장 외부로부터 알루미늄 재료의 공급을 받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 용융된 상태의 알루미늄을 수용한 용기를 재료공급 측의 공장으로부터 성형 측의 공장으로 반송하고, 용융된 상태 그대로의 재료를 각 다이캐스팅 머신에 공급하는 것이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용기는, 용융금속이 저장되는 용기 본체의 측벽에 공급용의 배관을 부착한, 이른바 주전자와 같은 구조를 하고 있다. 이 용기를 기울임으로써 배관으로부터 성형 측의 저장로(貯藏爐)에 용 융금속이 공급된다.
이에 대하여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평3-31063호 공보에는, 이러한 용융 알루미늄의 공급을 가압식(加壓式)으로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 :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평3-31063호 공보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가압식의 용기의 경우에, 용융 알루미늄의 공급을 정지한 직후에는 배관에 용융 알루미늄이 아직 남아 있으므로, 이 용기를 다른 곳으로 반송할 때에 잔존(殘存)하는 이 용융 알루미늄이 배관으로부터 흘러내려 떨어진다라고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에 대처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융금속의 공급 정지 직후에 배관에 잔존하는 용융금속이 배관으로부터 흘러내려 떨어지는 일이 없는 용융금속 공급 시스템, 용기 및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과제에 대처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관의 개구로부터 흘러내려 떨어지는 용융금속을 받는 수용반을, 적절한 타이밍에 또한 확실하게 적당한 곳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용융금속 공급 시스템은, (1)가반성(可搬性)을 구비하고, 용융금속(熔融金屬)을 저장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가압기체(加壓氣體)를 유입하기 위한 통로를 구비하는 밀폐형의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저장된 용융금속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출구가 하방을 향하는 배관(配管)과, 상기 배관의 배출구의 하방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한 용융금속의 수용반(受容盤)과, 상기 배관에 지점(支點)을 구비하여 상기 수용반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일단(一端)이 상기 수용반 또는 지지부재에 접속된 와이어와, 상기 용기 본체의 하면(下面)에 제1방향을 따라 설치된 한 쌍의 채널 부재를 구비하는 용기와,
(2)상기 채널 부재에 대하여 삽입되거나 빠지는 포크(fork)와, 상기 포크가 부착된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상기 캐리지에 부착되어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서 상기 와이어를 당기거나 되돌리는 와이어 조작기구를
구비하는 차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용기는, 가반성을 구비하고, 용융금속을 저장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가압기체를 유입하기 위한 통로를 구비하는 밀폐형의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저장된 용융금속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출구가 하방을 향하는 배관과, 상기 배관의 배출구의 하방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한 용융금속의 수용반과, 상기 배관에 지점을 구비하여 상기 수용반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차량은, 포크와, 포크가 부착된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상기 캐리지에 부착되어 와이어를 당기거나 되돌리는 와이어 조작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용융금속의 공급정지 직후에 수용반을 배관의 배출구의 하방에 위치시킴으로써 배관의 배출구로부터 흘러 나오는 용융금속을 수용반으로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여 용융금속의 공급정지 직후에 배관에 잔존하는 용융금속이 배관으로부터 흘러내려 떨어지는 일은 없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수용반의 회전이동을, 와이어를 통하여 차량 측에 설치된 와이어 조작기구에 의하여 구현하고 있다. 용융금속을 저장하는 용기는 매우 고온이기 때문에 수용반을 회전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를 용기 측에 설치하는 때에는, 그러한 고온에 견딜 수 있는 것으로 하여야 한다. 이것은 매우 비용이 들고, 현실적이지 않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차량 측에 이러한 기구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저비용으로 수용반의 회전이동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그러한 와이어 조작기구를 포크와 동시에 승강하는 캐리지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와이어 조작기구가 용기의 승강과 동기하여 승강한다. 따라서 와이어를 통하여 수용반의 회전이동을 간단한 기구에 의하여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배관은,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과는 다른 제2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와이어 조작기구는, 상기 제2방향과 대략 반대 측의 제3방향의 위치에서 상기 캐리지에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차량에 탄 작업자가 예를 들면 배관의 배출구, 알루미늄의 배출상태 등을 확인할 때에, 와이어 조작기구가 시야에 들어오는 일이 없다.
즉, 와이어 조작기구가 캐리지에 대하여 상기와는 역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면, 작업자가 예를 들면 배관의 배출구 등을 확인할 때에, 와이어 조작기구가 시야에 들어와서 방해가 되어 작업성이 나쁜 데에 반하여, 본 발명에 관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작업성이 양호해진다. 이것은, 고온의 용융금속을 취급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는 매우 중요한 점이다.
상기 차량은, 가압기체를 용기 본체 내에 공급하기 위한 기체 압축기 및/또는 기체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 조작기구는, 상기 기체 압축기 및/또는 기체 탱크로부터의 가압기체에 의하여 구동되는 에어 실린더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원래 용기 내에 공급하기 위한 기체 압축기 및/또는 기체 탱크의 가압기체를 와이어 조작기구의 구동원으로서 겸용함으로써 모터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에너지 효율도 좋고 또한 부품수도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알루미늄의 가압원(加壓源)으로서 가압기체의 저장 탱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에어 실린더를 문제 없이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상기 에어 실린더의 구동 샤프트의 위치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검출된 위치에 따라 상기 기체 압축기 및/또는 기체 탱크로부터 용기 본체 내에 대한 기체의 공급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구동 샤프트의 위치가, 수용반이 배관의 배출구의 하방에 위치하는 때에, 기체 압축기 및/또는 기체 탱크로부터 용기 본체 내에 대한 기체의 공급을 제한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수용반이 배관의 배출구의 하방에 위치할 때에 배관으로부터 용융금속이 배출하는 것 같은 일을 확실하게 피할 수 있다.
또, 배관이 배출구방향의 바로 아래로 연장되고 있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배관이 배출구 방향을 향함에 따라 용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것 같은 경우에는, 배관에 지점용의 부재를 별도로 부착하고, 지지부재의 지점을 예를 들면 배출구의 위쪽에 오도록 하여도 좋다. 그 경우에는, 지점용의 부재 상에서 지지부재의 지점을 평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지지부재의 지점의 위치와 배출구의 위치의 조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수용반은, 지지부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도 좋다. 이에 따라 수용반으로 받은 용융금속이 수용반으로부터 흘러내려 떨어지는 것 같은 일은 없어진다.
또한 와이어의 접속위치는, 지지부재의 지점에 가능한 한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에어 실린더의 스트로크를 작게 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 관한 본 발명의 용기는, 가반성을 구비하고, 용융금속을 저장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가압기체를 유입하기 위한 통로를 구비하는 밀폐형의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저장된 용융금속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출구가 하방을 향하는 배관과, 상기 배관의 배출구의 하방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한 용융금속의 수용반과, 상기 배관에 지점을 구비하여 상기 수용반을 상기 배관의 배출구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1위치와 상기 배관의 배출구의 하방으로부터 벗어난 제2위치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일단이 상기 수용반 또는 상기 지지부재에 접속된 와이어와, 상기 용기 본체의 통로와 통하는 제1밸브 개구, 가감압용 배관과 통하는 제2밸브 개구 및 대기 개방부와 통하는 제3밸브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밸브 개구와 상기 제3밸브 개구의 사이에서 기체를 유통 가능하게 하는 제1모드와 상기 제1밸브 개구와 상기 제2밸브 개구의 사이에서 기체를 유통 가능하게 하는 제2모드로 전환될 수 있는 밸브와,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밸브와 연결되어 제1조작위치와 제2조작위치의 사이를 수동으로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1조작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밸브를 상기 제1모드로 함과 아울러 상기 수용반을 상기 제1위치로 설정하고, 상기 제2조작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밸브를 상기 제2모드로 함과 아울러 상기 수용반을 상기 제2위치로 설정하는 조작 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용기 내에 대한 접속처를 가감압용 배관과 대기의 사이에서 전환하는 밸브의 조작, 즉 조작 레버의 수동 회전조작에 연동시켜, 수용반을, 배관의 배출구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1위치와 배출구의 하방으로부터 벗어난 제2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했으므로, 인간의 관리에 의하지 않고, 수용반을 적절한 타이밍에서 또한 확실하게 적당한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수용반은, 지지부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수용반은 항상 소정의 자세를 유지하여 수용반으로 받은 용융 알루미늄이 수용반으로부터 흘러내려 떨어지지 않는다.
밸브의 제3밸브 개구와 대기 개방부의 사이에, 기체의 유통을 허용하고 또한 용융금속의 유통을 제한하는 유통 제한부를 배치하더라도 좋다. 이 유통 제한부는, 용융금속이 유통하려고 할을 때에 용융금속의 열을 빼앗아서 그 점성을 높이거나 또는 고화시키는 제한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 형태이다. 이러한 유통 제한부를 부가함으로써 기체의 팽창이나 수분의 증발 등에 의하여 상승한 용기의 내압을 유통 제한부를 통하여 용기 밖으로 개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용기 내의 용융금속 바로 그 자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에 나타낸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3은, 도1에 나타낸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포크리프트(차량)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5는, 도4에 나타낸 포크리프트의 정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용융금속 공급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9는, 도8에 나타낸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10은, 도8에 나타낸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11은, 도8에 나타낸 3구 밸브의 제1모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는, 도8에 나타낸 3구 밸브의 제2모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은, 도8에 나타낸 용기로부터 용융 알루미늄을 공급할 때에 이용되는 포크리프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3구 밸브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용기 2 용기 본체
4 배관 31 배출구
40 수용반 41 지점
42 지지부재 44 와이어
44b 조인트 50 포크리프트
51 포크 52 포크
53 승강기구 55 저장 탱크
56 공기 압축기 59 와이어 조작기구
60 에어 실린더 61 구동 샤프트
101 용기 102 용기 본체
104 배관 119 내압 조정용 통로
122 가감압용 배관 131 배출구
140 수용반 141 지점(支點)
142 지지부재 144 와이어
160 3구 밸브 162 제1밸브 개구
163 제2밸브 개구 164 제3밸브 개구
165 밸브 부품 166 조작 레버
170 환기장치(breather)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용기의 구성)
도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2는 그 정면도, 도3은 그 평면도이다.
용기1은, 뚜껑3을 구비하는 용기 본체2와, 배관4를 구비한다.
용기 본체2는, 저면을 구비하고 상부에 개구를 구비하는 금속제로서 대략 원통형상의 프레임 본체6과, 프레임 본체6의 내벽에 부설(敷設)된 탄성을 구비하는 단열층(斷熱層)7과, 내화층(耐火層)8을 구비한다. 그리고 내화층8의 내측에는 용융 알루미늄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9가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본체6의 개구의 외주에는 플랜지10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본체6의 하면(下面)에는 한 쌍의 채널 부재11이 부착되어 있다. 이 채널 부재11은, 이 용기1을 반송하기 위한 포크리프트의 포크를 넣거나 빼는 것 가능하게 되어 있다.
내화층8의 내주벽에는, 저장부9 측으로 돌출하는 융기부12가 상하방향 으로 이 내화층8과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융기부12의 내부에는 융기의 연장방향을 따라 용융 알루미늄을 외부와의 사이에서 유통하기 위한 유로(流路)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유로13은, 저장부9의 저면(底面)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저장부9의 상면까지 관통하고 있다.
유로13에는, 예를 들면 세라믹제의 배관14가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저장부9의 가압 시에 유로13 내에 대한 기체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뚜껑3은, 큰 뚜껑15와 해치(작은 뚜껑)16으로 구성된다. 큰 뚜껑15의 외주에는 플랜지16a가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16a와 프레임 본체6의 개구의 외주에 형성된 플랜지10을 볼트17로 조임으로써 뚜껑3이 고정되어, 용기 본체2 내가 밀폐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큰 뚜껑15에는 개구부18이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18에는 손잡이19A가 부착된 해치(작은 뚜껑)16이 배치되어 있다. 해치16은 큰 뚜껑15 상면보다 조금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해치16의 외주의 한 곳에는 힌지20이 설치되어 이 힌지20을 통하여 해치16이 뚜껑15에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해치16은 큰 뚜껑15의 개구부18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해치16의 외주의 4곳에는, 해치16을 큰 뚜껑15에 고정하기 위한 핸들부가 부착된 볼트21이 부착되어 있다. 큰 뚜껑15의 개구부18을 해치16으로 닫고 핸들부가 부착된 볼트21을 회전함으로써 해치16이 큰 뚜껑15에 고정된다. 또한 핸들부가 부착된 볼트21을 역회전 시켜서 체결을 해방 하여 해치16을 큰 뚜껑15의 개구부18로부터 열 수 있다. 그리고 해치16이 열린 상태에서 개구부18을 통하여 용기1 내부의 유지보수나 예열 시의 가스 버너의 삽입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또한 해치16의 중앙 또는 중앙으로부터 조금 벗어난 위치에는, 용기1 내의 감압 및 가압을 하기 위한 내압 조정용 통로19가 형성되어 있다. 이 통로19에는 가감압용 배관22가 접속되게 되어 있다. 이 배관22는, 통로19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소정의 높이에서 구부러져 거기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이 배관22에 있어서 통로19에 대한 삽입 부분의 표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한편 통로19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이에 따라 배관22가 통로19에 대하여 나사 체결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해치16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진 4곳에는, 액체 표면 검출용의 전극 막대23이 삽입되어 있다. 큰 뚜껑15 및 해치16은, 금속제의 프레임 내측에 라이닝(단열층과 내화층을 적층)을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큰 뚜껑15에 있어서 유로13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개구24가 형성되어 있다. 그 외주가 융기하고, 융기 선단의 외주에는 플랜지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25는, 배관4에 형성된 플랜지26과 볼트27에 의하여 체결되어, 배관4가 용기 본체2에 고정되게 된다.
배관4는, 용기 본체2 상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하는 제1부위28과, 이 제1부위28에 연속하여 용기 본체2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방으로 향하는 경사를 구비하는 제2부위29와, 이 제2부위29에 연속하여 하방을 향하는 제3 부위30을 구비한다. 제3부위30의 선단에는, 용융 알루미늄을 배출하기 위하여 하방을 향하는 배출구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관4는, 용기 본체2의 외주까지 연장하고 있다.
여기에서 한 쌍의 채널 부재11이 설치된 방향을 제1방향으로 하고, 배관4의 연장방향을 제2방향으로 하였을 때에, 예를 들면 제1방향과 제2방향이 대략 45°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포크리프트의 포크를 채널 부재11에 삽입했을 때에, 포크리프트에 탄 작업자로부터 보면 배관4가 포크리프트의 승강기구가 있는 정면이 아니라 경사방향으로 돌출하고 있어, 예를 들어 배관4의 배출구31 등의 상태를 확인하는 데에 있어서 시계(視界)가 방해받지 않는다.
또, 이 배출구31로부터 배관4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용기 본체2 내로 용융 알루미늄을 유입하더라도 상관없다. 그 경우에는, 배출구31을 예를 들면 외부 저장조의 용융 알루미늄의 탕면(湯面) 이하에 위치시켜, 용기 본체2내의 압력을 내리면 좋다. 배출구31의 높이는, 이 외부 저장조의 용융 알루미늄의 탕면과의 사이에서 결정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그 때문에 배출구31이 용기 본체2의 대략 중간 높이까지 오도록 배관4의 제3부위30의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수용반40은, 배관4의 배출구31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수용반40은, 예를 들면 배관4의 제3부위30의 상부에 지점(支點)41을 구비하는 지지부재42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부재42는, 배관4를 협지(挾持)하도록 배관4의 양측에 2개 배치되어 있다. 수용반40은, 지지부재4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도 좋다. 이에 따라 수용반40은 항상 소정의 자세를 유지함으로써 수용반40으로 받은 용융 알루미늄이 수용반40으로부터 흘러내려 떨어지는 일이 없어진다.
수용반40은, 예를 들면 수용면이 소정의 곡면을 구비함으로써 용융 알루미늄이 수용반40으로부터 흘러내려 떨어지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2개의 지지부재42의 사이는, 반 링 모양의 스토퍼 부재43에 의하여 예를 들면 2곳에서 연결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43은, 배관4의 지지부재42가 회전하는 쪽에서 지지부재42 사이에 걸쳐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 부재43에 의하여 수용반40을 배관4의 배출구31의 하방에 확실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지지부재42의 소정의 위치에는 와이어44가 접속되어 있다. 이 와이어44는 큰 뚜껑15의 플랜지16 상의 예를 들면 3곳에 설치된 안내부재45를 통하여, 예를 들면 배관4의 연장방향과는 대략 반대방향의 제3방향을 향하여 용기 본체2의 외주의 외측으로 연장하고 있다. 와이어44는 지지부재42의 지점41에 가능한 한 가까운 위치에서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후술하는 에어 실린더의 스트로크를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부재42의 지점41에서 멀어도 무방하여, 예를 들면 수용반40에 접속하더라도 물론 상관없다.
(포크리프트의 구성)
도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포크리프트(차량)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5는 그 정면도이다.
포크리프트50은, 포크51, 포크51이 부착된 캐리지52와, 캐리지52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53을 구비한다.
포크리프트50의 운전석54의 상부에는, 용기1에 대하여 가압용의 기체, 예를 들면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가압기체 저장 탱크로서의 저장 탱크55와,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한 발전기에 의하여 발전된 전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공기 압축기56과, 발전기에 의하여 구동되는 진공 펌프57을 구비한다.
이들 저장 탱크55 및 진공 펌프57은, 에어 호스58을 통하여 용기1의 배관22에 접속되게 되어 있다. 에어 호스58과 배관22는, 예를 들면 커플러를 구성하는 플러그와 소켓이 각각의 선단의 접속부에 부착되어 착탈하도록 되어 있다. 용기1의 가압, 감압의 전환은,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한 조작반에 의하여 조작이 가능하고, 전환 밸브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와이어44도, 복수의 용기1을 1대의 포크리프트에 대응시키도록 유지하기 위하여, 조인트44b에 의하여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에어 호스58도 착탈 가능함과 아울러 1대의 포크리프트50으로 복수의 용기1을 교환 가능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다이캐스팅 머신이 놓여져 있는 공장과 같이, 용기1의 수가 포크리프트50의 수보다 많은 경우에도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캐리지52에 있어서 배관4의 연장방향과는 대략 반대방향의 제3방향의 지주에는, 와이어44를 당기거나 되돌리는 와이어 조작기구5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와이어 조작기구59는, 예를 들면 저장 탱크55로부터의 가압기체에 의하여 구동하는 에어 실린더60을 구비한다. 에어 실린더60의 구동 샤프트61의 선단에는 와이어44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샤프트61을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와이어44가 당겨지거나 되돌려지거나 한다.
와이어44가 당겨짐으로써 지지부재42는, 도2의 (A)로 나타나 있는 위치에서 지점41을 중심으로 하여 용기 본체1 측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수용반40의 위치는, 배관4의 배출구31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배관4의 배출구31로부터 외부로 용융 알루미늄의 배출이 가능하게 되고, 또 배관4의 배출구31로부터 용기1 내로 용융 알루미늄의 유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와이어44가 되돌려지면, 지지부재42는 지점41을 중심으로 하여 용기 본체1 측으로부터 배관4의 배출구31 측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수용반40은, 도2의 (B)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회전하여 배관4의 배출구31의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배관4의 배출구31로부터 흘러 나오는 용융 알루미늄은 수용반40으로 받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배관4의 배출구31로부터 외부로 용융 알루미늄이 흘러내려 떨어지는 것 같은 일은 없어진다.
이러한 수용반40의 이동조작은, 예를 들면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한 조작반에 배치된 스위치에 의하여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와이어 조작기구59에는, 에어 실린더60의 구동 샤프트61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기(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스위치를 사용하여 이러한 검출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구동 샤프트61의 위치가, 수용반40이 배관4의 배출구31의 하방에 위치하는 때에는, 저장 탱크55 및 진공 펌프57에 의한 용기1 내의 가감압이 제한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구동 샤프트61의 위치가, 수용반40이 배관4의 배출구31의 하방에 위치하지 않을 때에는, 저장 탱크55 및 진공 펌프57에 의한 용기1 내의 가감압이 가능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저장 탱크55 및 진공 펌프57과 에어 호스58의 사이에 온·오프 전자 밸브를 설치하고, 이것을 수용반40의 이동조작을 하기 위한 스위치의 조작과 연동시킴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1)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지점41이 지지부재42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었지만,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관4의 제3부위30이 바로 아래를 향하는 것은 아니고, 비스듬하게 설치되는 경우에는, 배관4에 지점용의 부재61A를 별도로 부착하고, 지지부재42의 지점41을 예를 들면 배출구31의 위 쪽에 오도록 조정하더라도 좋다. 그 경우에는, 지점용의 부재61A 상에서 지지부재42의 지점41을 평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지지부재 42의 지점41의 위치와 배출구31의 위치의 조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캐리지52에 있어서 배관4의 연장방향과는 대략 반대방향의 제3방향의 지주에 와이어 조작기구59를 설치하고 있었지만,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캐리지52에 있어서 배관4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측의 지주에 와이어 조작기구59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와이어44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 에어 실린더는, 캐리지의 측면 뿐만 아니라 캐리지의 상면에 가로방향으로 부착하여도 좋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와이어 조작기구59의 구동원(驅動源)으로서 에어 실린더를 사용하고 있었지만, 예를 들면 모터 등의 다른 구동수단을 사용하여도 물론 상관없다.
(다른 실시예2)
도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용융금속 공급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9는 그 정면도, 도10은 그 평면도이다.
용융금속 공급용기(이하, 「용기」라고 한다)101은, 뚜껑103을 구비하는 용기 본체102와, 배관104를 구비한다.
용기 본체102는, 저면을 구비하고 상부에 개구를 구비하는 금속제로서 대략 원통형상의 프레임 본체106과, 프레임 본체106의 내벽에 부설된 탄성을 구비하는 단열층107과, 내화층108을 구비한다. 내화층108의 내측에는, 용융 알루미늄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09가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본체106의 개구의 외주에는 플랜지110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본체106의 하면(下面) 에는, 예를 들면 포크리프트의 포크(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를 삽입하거나 뺄 수 있는 단면이 개구(開口)한 형상이고 소정의 길이의 다리부로서의 채널 부재111이 예를 들면 평행하게 2개 배치되어 있다.
내화층108의 내주벽에는, 저장부109 측으로 돌출하는 융기부112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이 내화층108과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융기부112의 내부에는 융기의 신장방향을 따라 용융 알루미늄을 외부와의 사이에서 유통하기 위한 유로1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유로113은, 저장부109 저면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저장부109의 상면까지 관통하고 있다.
유로113에는, 예를 들면 세라믹제의 배관114가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저장부109의 가압 시에 유로113 내에 대한 기체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뚜껑103은, 큰 뚜껑115와 해치(작은 뚜껑)116으로 구성된다. 큰 뚜껑115의 외주에는 플랜지116a가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116a와 프레임 본체106의 개구의 외주에 형성된 플랜지110을 볼트117로 조임으로써 뚜껑103이 고정되어, 용기 본체102 내가 밀폐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큰 뚜껑115에는 개구부118이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118에는 손잡이119A가 부착된 해치(작은 뚜껑)116이 배치되어 있다. 해치116은 큰 뚜껑115 상면보다 조금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해치116의 외주의 한 곳에는 힌지120이 설치되어 이 힌지120을 통하여 큰 뚜껑115에 해치116이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해치116은 큰 뚜껑115의 개구부118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해치116의 2곳에는, 해치116을 큰 뚜껑115에 고정하기 위한 핸들부가 부착된 볼트121이 부착되어 있다. 큰 뚜껑115의 개구부118을 해치116으로 닫아서 핸들부가 부착된 볼트121을 회전함으로써 해치116이 큰 뚜껑115에 고정된다. 또한 핸들부가 부착된 볼트121을 역회전 시켜서 체결을 해방하여 해치116을 큰 뚜껑115의 개구부118로부터 열 수 있다. 그리고 해치116이 열린 상태에서 개구부118을 통하여 용기101 내부의 유지보수나 예열 시의 가스 버너의 삽입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또한 해치116의 중앙 또는 중앙으로부터 조금 벗어난 위치에는, 용기101 내의 내압 조정용 통로119가 형성되어 있다. 이 통로119의 일단은 용기101 내의 저장부109로 개구하고, 타단은 해치116의 상면에 도달하여 3구 밸브(3口 valve)160을 통하여 가감압용의 배관122에 연결되어 있다.
가감압용 배관122는, 3구 밸브160과 직접 연결된 하부 배관122A와, 이 하부 배관122A에 스위블 조인트(swivel joint)146을 통하여 연결된 상부 배관122B로 구성된다. 스위블 조인트146은, 상부 배관122B가 360도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부 배관122B의 선단의 개구를 360도 전 방향을 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해치116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 떨어진 2곳에는, 액체 표면 검출용의 전극 막대123이 삽입되어 있다. 큰 뚜껑115 및 해치116은, 금속제의 프레임 내측에 라이닝(단열층과 내화층을 적층)을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큰 뚜껑115에 있어서 유로113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개구124가 형성되 어 있고, 이 개구124에 배관104가 접속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개구124의 외주는 융기하고 있고, 이 융기한 부분의 선단의 외주에는 배관104의 플랜지126과 맞물리는 플랜지125가 형성되어 각 플랜지125, 126은 볼트127에 의하여 체결되어 있다.
배관104는, 용기 본체102 상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하는 제1부위128과, 이 제1부위128에 연속하여 용기 본체102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방으로 향하는 경사를 구비하는 제2부위129와, 이 제2부위129에 연속하여 하방을 향하는 제3부위130을 구비한다. 제3부위130의 선단에는, 용융 알루미늄을 배출하기 위하여 하방을 향하는 배출구1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관104는 용기 본체102의 외주까지 연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한 쌍의 채널 부재111이 설치된 방향을 제1방향이라고 하고, 배관104의 연장방향을 제2방향이라고 했을 때에, 예를 들면 제1방향과 제2방향이 대략 45°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포크리프트의 포크를 채널 부재111에 삽입했을 때에, 포크리프트에 탄 작업자로부터 보면 배관104가 포크리프트의 승강기구가 있는 정면이 아니라 경사방향으로 돌출하고 있어, 예를 들면 배관104의 배출구131 등의 상태를 확인하는 데에 있어서 시계(視界)를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이 배출구131로부터 배관104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용기 본체102 내로 용융 알루미늄을 유입하더라도 상관없다. 그 경우에는, 배출구131을 예를 들면 외부 저장조의 용융 알루미늄의 탕면 이하에 위치시키고 용기 본체102 내의 압력을 내리면 좋다. 배출구131의 높이는, 이 외부 저장조의 용융 알루미늄의 탕면과의 사이에서 결정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그 때문에 배출구131이 용기 본체102의 대략 중간 높이까지 오도록 배관104의 제3부위130의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수용반140은, 배관104의 배출구131의 하방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수용반140은, 예를 들면 배관104의 제3부위130의 상부에 지점141을 가지는 지지부재142의 하단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부재142는, 배관104를 협지하도록 배관104의 양측에 2개 배치되어 있다. 수용반140은, 지지부재14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도 좋다. 이에 따라 수용반140은 항상 소정의 자세를 유지하여 수용반140으로 받은 용융 알루미늄이 수용반140으로부터 흘러내려 떨어지는 것 같은 일은 없어진다.
수용반140은, 예를 들면 수용면이 소정의 곡면을 구비함으로써 용융 알루미늄이 수용반140으로부터 흘러내려 떨어지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2개의 지지부재142는, 반 링 모양의 스토퍼 부재143에 의하여 예를 들면 2곳에서 연결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143은, 배관104의 지지부재142가 회전하는 쪽에서 지지부재142 사이에 걸쳐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 부재143에 의하여 수용반140을 배관104의 배출구131의 하방으로 확실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지지부재142는, 예를 들면 배관104의 제3부위130의 상부에 고정된 지 점14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용반140이 배관104의 배출구131의 하방에 오는 위치(제1위치)와, 배출구131의 하방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제2위치)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142의 가동범위가 설정되어 있다. 지지부재142의 소정의 위치에는 와이어144가 접속되어 있다. 이 와이어144는 제1부위128과 제2부위129의 연결부에 설치된 안내부재145를 통하여 3구 밸브160의 조작 레버166에 접속되어 있다. 즉 3구 밸브160의 조작 레버166의 회전조작과 지지부재142의 회전이 연동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이 3구 밸브160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1 및 도12는 3구 밸브16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3구 밸브160은, 용기101의 내압 조정용 통로119와 통하는 제1밸브 개구162와, 가감압용 배관122와 통하는 제2밸브 개구163과, 대기 개방부와 통하는 제3밸브 개구164를 구비한다. 3구 밸브160은, 조작 레버166의 수동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밸브 부품165를 구비하고, 이 밸브 부품165의 회전위치에 의하여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밸브 개구162와 제3밸브 개구164의 사이에서 기체를 유통 가능하게 하는 제1모드와,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밸브 개구162와 제2밸브 개구163의 사이에서 기체를 유통 가능하게 하는 제2모드의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166을 제1조작위치인 「0시」 방향으로 함으로써 제1모드로 설정되어서 용기101 내가 대기에 접속되고,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166을 제2조작위치인 「9시」 방향으로 함으로써 제2모드로 설정되어서 용기101 내가 가감압용 배관122와 접속되게 되어 있다.
조작 레버166은, 상기한 제1조작위치와 제2조작위치 사이 만을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범위가 제한되어, 각각의 조작위치에서 조작 레버166을 정지 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조작 레버166은, 3구 밸브160의 밸브 부품165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동축(同軸)의 회전축167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166의 회전에 따라, 조작 레버166의 선단이 배관104를 향하여 직선적으로 진퇴하도록 조작 레버166의 회전조작의 방향이 설정되어 있다. 조작 레버166의 선단 근방에는, 웨이트(weight; 추)168과, 와이어144의 일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와이어 고정부169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작 레버166의 선단 근방에는 와이어144의 일단이 고정 되어 있고, 조작 레버166을 제1조작위치와 제2조작위치의 사이에서 회전조작 함으로써, 수용반140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부재142가 지점14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수용반140이 배관104의 배출구131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1위치와 배출구131의 하방으로부터 벗어난 제2위치의 사이를 이동하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조작 레버166을 제2조작위치인 「9시」의 위치로 하면, 가감압용 배관122와 용기101 내가 접속되는 동시에, 와이어144가 당겨짐으로써 수용반140이 배관104의 배출구131의 하방으로부터 벗어난 제2위치에 오도록 지지부재142가 용기101 측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배관104의 배출구131로부터 용융 알루미늄을 배출하거나, 용기101 내로 용융 알루미늄을 유입할 수 있다.
조작 레버166을 「9시」의 위치로부터 제1조작위치인 「0시」의 위치로 회전조작 하는 경우에는, 용기101 내가 대기에 접속된 상태가 되면서 와이어144가 지지부재142의 하중에 의하여 배관104 측으로 당겨져서 수용반140이 배관104의 배출구131의 하방의 위치에 오도록 지지부재142가 회전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용기101 내에서의 기체의 팽창이나 수분의 증발 등에 의하여 용기101의 내압이 상승해버린 경우에, 이 압력을 3구 밸브160을 통하여 대기로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내압에 의하여 용기101의 배관104로부터 갑자기 용융 알루미늄이 토출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배관104의 배출구131로부터 흘러내려 배출되는 용융 알루미늄을 수용반140으로 받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용기101은, 예를 들면 용융로에서 용융금속을 조정하는 제1의 공장에서 용기101 내로 용융 알루미늄이 공급되고, 포크리프트에 의하여 트럭에 탑재된다. 트럭은 노상을 주행하여 용융 알루미늄의 사용처(예를 들면 다이캐스팅 머신의 저장로)가 있는 제2의 공장으로 용기101이 반송된다. 이 때, 조작 레버166을 제1조작위치인 「0시」의 위치로 함으로써, 운반 중에서의 내압상승에 의하여 용기101의 배관104로부터 용융 알루미늄이 배출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고, 배관104의 배출구131로부터 흘러내리는 용융 알루미늄을 수용반140으로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용기101은 포크리프트에 의하여 트럭으로부터 내려지게 되고, 그대로 포크리프트에 의하여 사용처로 반송된다. 사용처에 도착한 후에, 조작 레버166을 제2조작위치, 즉 「9시」의 위치로 회전조작 하여 가감압용 배관122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가압용의 에어를 용기101 내로 유입함으로써, 포크리프트 상의 용기101로부터 사용처에 용융 알루미늄이 공급된다.
도13은 도8의 용기101로부터 용융 알루미늄을 공급할 때에 이용되는 포크리프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포크리프트150은, 포크151, 포크151이 부착된 캐리지152와, 캐리지152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153을 구비한다.
포크리프트150의 운전석154의 상부에는, 용기101에 대하여 가압용의 기체, 예를 들면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가압기체 저장 탱크로서의 저장 탱크155와,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한 발전기에 의하여 발전된 전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공기 압축기156과, 발전기에 의하여 구동되는 진공 펌프157을 구비한다. 이들 저장 탱크155 및 진공 펌프157은, 에어 호스158을 통하여 용기101의 배관122에 접속되게 되어 있다. 에어 호스158과 배관122는, 예를 들면 커플러를 구성하는 플러그와 소켓이 각각의 선단의 접속부에 부착되어 착탈하도록 되어 있다. 용기101의 가압, 감압의 전환은,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한 조작반에 의하여 조작이 가능하고, 전환 밸브에 의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포크리프트150의 발동(엔진)이 걸리면 발전기가 구동된다. 발전기의 구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력에 의하여 공기 압축기156이 작동하여 기체를 압축한다. 용기101로부터 외부로 용융 알루미늄을 공급할 때는, 용기101 내를 가압하도록 작동한다. 이 경우에, 공기 압축기156으로부터 공급되는 기체가 에어 호스158, 용기101의 배관122에 도달한다. 이 때에, 3구 밸브160의 조작 레버166을 제2조작위치인 「9시」의 위치로 하여 3구 밸브160을 제2모드로 설정하여 둠으로써 가감압용 배관122로부터 용기101 내에 기체가 유입되어 용기101 내가 가압된다.
이 때에, 예를 들면 용융 알루미늄을 받는 측에서 갑자기 용융 알루미늄이 넘칠 것 같은 경우 등의 긴급사태가 발생했을 때에는, 즉시 가압을 정지하고, 용융 알루미늄의 공급을 중단시킬 필요가 있다. 거기에서, 이 경우에는 조작 레버166을 수동으로 제1조작위치인 「0시」의 위치로 회전시켜서 3구 밸브160을 제1모드로 전환한다. 3구 밸브160을 제1모드로 전환하면, 가감압용 배관122와 통하는 제2밸브 개구163이 밸브 부품165에 의하여 막히므로 용기101 내에 대한 가압용 기체의 공급이 정지된다. 동시에, 용기101의 내압 조정용 통로119와 통하는 제1밸브 개구162와 대기 개방부로 통하는 제3밸브 개구164의 사이에서 기체의 유통이 가능하므로, 용기101 내가 대기로 해방됨으로써 가압상태이었던 용기101 내가 대기압으로 되돌려진다.
또한 외부로부터 용기101 내로 용융 알루미늄을 흡입할 때에는 용기 101 내의 압력을 내린다. 즉 진공 펌프157의 흡인에 의하여 가감압용의 배관122를 통하여 용기101 내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용기101 내의 압력을 내린다. 이 감압 시에도 긴급사태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조작 레버166을 수동으로 제1조작위치의 「0시」의 위치로 회전시켜서 3구 밸브160을 제1모드로 전환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용기에 의하면, 용기101 내에 대한 접속처를 가감압용 배관122와 대기의 사이에서 전환되는 3구 밸브160의 조작, 즉 조작 레버166의 수동 회전조작에 연동시켜, 수용반140을, 배관104의 배출구131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1위치와 배출구131의 하방으로부터 벗어난 제2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인간의 관리에 의하지 않고 수용반140을 적절한 타이밍에 또한 확실하게 적당한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기타 실시예3)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3구 밸브160의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3구 밸브160에 있어서 대기와 통하는 제3밸브 개구164의 앞에 유통 제한부로서의 환기장치(breather)170을 부착한 것이다.
환기장치170은, 환기장치 본체171의 내측에 제한부재로서의 철제 솔172를 채우고, 펀칭 메탈(punching metal)173으로 닫아서 구성된다. 174는 펀칭 메탈73을 고정시키기 위한 스톱 링이다. 제한부재는, 예를 들면 공기는 통 과시키지만 용융된 알루미늄을 통과시키지 않는 선택성을 구비하도록 선택되거나 또는 그렇게 구성된 부재로서, 예를 들면 용융금속이 유통하려고 할 때에 용융금속의 열을 빼앗아서 그 점성을 높이거나 또는 고화시키는 것이다. 제한부재로서는, 철제 솔의 이외에 예를 들면 철제 울(steel wool)이나 세라믹 파이버(ceramic fiber), 소결 금속의 성형품, 초벌구이 도자기, 메탈에 구멍을 형성한 부재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제한부재는, 기체를 통과시키고 또한 용융금속의 통과를 제한하는 안전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용기101의 배관104로부터 갑자기 용융금속이 토출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즉, 기체의 팽창이나 수분의 증발 등에 의하여 용기101의 내압이 상승해버린 경우에도, 이 압력을 용기101 밖으로 해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용융금속에 뜻하지 않게 가압력이 작용하여 고온의 용융금속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이 용기101이 쓰러졌을 경우에도 이 제한부재를 구비한 관통구멍 자체로부터도 용융금속이 누설되는 일은 없다. 이것은 소결 금속이나 세라믹 파이버의 성형품 등의 제한부재가, 기체는 통과시키지만, 용융 알루미늄 합금 등의 용융금속에 대하여는, 예를 들면 그 자체가 고화되어 충분히 큰 저항이 되기 때문에 통과시키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관의 배출구로부터 흘러 나오는 용융금속을 수 용반으로 받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용융금속의 공급정지 직후에 배관에 잔존하는 용융금속이 배관으로부터 흘러내려 떨어지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수용반의 회전이동을 와이어를 통하여 차량 측에 설치된 와이어 조작기구에 의하여 하고 있으므로, 저비용으로 수용반의 회전이동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조작기구가 용기의 승강과 동기하여 승강하기 때문에 와이어를 통하여 수용반의 회전이동을 간단한 기구에 의하여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관의 개구로부터 흘러내려 떨어지는 용융금속을 받는 수용반을, 인간의 관리에 의하지 않고, 적절한 타이밍에서 또한 확실하게 적당한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Claims (14)

  1. (1)용융금속(熔融金屬)을 저장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가압기체(加壓氣體)를 유입하기 위한 통로를 구비하는 밀폐형의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저장된 용융금속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출구가 하방을 향하는 배관(配管)과,
    상기 배관의 배출구의 하방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한 용융금속의 수용반(受容盤)과,
    상기 배관에 지점(支點)을 구비하여 상기 수용반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일단(一端)이 상기 수용반 또는 지지부재에 접속된 와이어와,
    상기 용기 본체의 하면(下面)에 제1방향을 따라 설치된 한 쌍의 채널 부재를
    구비하는 용기와,
    (2)상기 채널 부재에 대하여 삽입되거나 빠지는 포크(fork)와,
    상기 포크가 부착된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상기 캐리지에 부착되어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서 상기 와이어를 당기거나 되돌리는 와이어 조작기구를
    구비하는 차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금속 공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과는 다른 제2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와이어 조작기구는, 상기 제2방향과 반대 측의 제3방향의 위치에서 상기 캐리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금속 공급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가압기체를 상기 용기 본체 내로 공급하기 위한 기체 압축기 또는 기체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 조작기구는, 상기 기체 압축기 또는 기체 탱크로부터의 가압기체에 의하여 구동되는 에어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금속 공급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에어 실린더의 구동 샤프트의 위치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검출된 위치에 따라 상기 기체 압축기 또는 기체 탱크로부터 용기 본체 내에 대한 기체의 공급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금속 공급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67010556A 2004-07-22 2005-07-20 용융금속 공급 시스템, 용기 및 차량 KR1007842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14688 2004-07-22
JP2004214688A JP2006035238A (ja) 2004-07-22 2004-07-22 溶融金属供給システム、容器及び車両
JPJP-P-2005-00140714 2005-05-13
JP2005140714A JP4602153B2 (ja) 2005-05-13 2005-05-13 溶融金属供給容器および溶融金属供給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449A KR20060086449A (ko) 2006-07-31
KR100784253B1 true KR100784253B1 (ko) 2007-12-11

Family

ID=35785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556A KR100784253B1 (ko) 2004-07-22 2005-07-20 용융금속 공급 시스템, 용기 및 차량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481966B2 (ko)
KR (1) KR100784253B1 (ko)
CA (1) CA2536508A1 (ko)
CZ (1) CZ2005773A3 (ko)
DE (1) DE112005000045B4 (ko)
GB (1) GB2420733B (ko)
PL (1) PL379621A1 (ko)
WO (1) WO20060091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5282A (ja) * 2006-11-28 2008-07-10 Hoei Shokai:Kk 安全装置、溶融アルミニウム供給システム及び容器
US8337746B2 (en) 2007-06-21 2012-12-25 Cooper Paul V Transferring molten metal from one structure to another
US9410744B2 (en) 2010-05-12 2016-08-09 Molten Metal Equipment Innovations, Llc Vessel transfer insert and system
US9409232B2 (en) 2007-06-21 2016-08-09 Molten Metal Equipment Innovations, Llc Molten metal transfer vessel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9156087B2 (en) 2007-06-21 2015-10-13 Molten Metal Equipment Innovations, Llc Molten metal transfer system and rotor
US9205490B2 (en) 2007-06-21 2015-12-08 Molten Metal Equipment Innovations, Llc Transfer well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8366993B2 (en) 2007-06-21 2013-02-05 Cooper Paul V System and method for degassing molten metal
US10428821B2 (en) 2009-08-07 2019-10-01 Molten Metal Equipment Innovations, Llc Quick submergence molten metal pump
US8524146B2 (en) 2009-08-07 2013-09-03 Paul V. Cooper Rotary degassers and components therefor
US9108244B2 (en) 2009-09-09 2015-08-18 Paul V. Cooper Immersion heater for molten metal
US9267203B2 (en) * 2010-12-13 2016-02-23 Posco Continuous coating apparatus
US9903383B2 (en) 2013-03-13 2018-02-27 Molten Metal Equipment Innovations, Llc Molten metal rotor with hardened top
US9011761B2 (en) * 2013-03-14 2015-04-21 Paul V. Cooper Ladle with transfer conduit
US10052688B2 (en) 2013-03-15 2018-08-21 Molten Metal Equipment Innovations, Llc Transfer pump launder system
US10138892B2 (en) 2014-07-02 2018-11-27 Molten Metal Equipment Innovations, Llc Rotor and rotor shaft for molten metal
US10947980B2 (en) 2015-02-02 2021-03-16 Molten Metal Equipment Innovations, Llc Molten metal rotor with hardened blade tips
US10267314B2 (en) 2016-01-13 2019-04-23 Molten Metal Equipment Innovations, Llc Tensioned support shaft and other molten metal devices
CN106591883B (zh) * 2016-11-23 2018-10-12 中国铝业股份有限公司 一种少维护的出铝抬包
CN106435643B (zh) * 2016-11-23 2018-07-20 中国铝业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出铝抬包吸铝管开闭的装置
US11149747B2 (en) 2017-11-17 2021-10-19 Molten Metal Equipment Innovations, Llc Tensioned support post and other molten metal devices
US11358216B2 (en) 2019-05-17 2022-06-14 Molten Metal Equipment Innovations, Llc System for melting solid metal
US11873845B2 (en) 2021-05-28 2024-01-16 Molten Metal Equipment Innovations, Llc Molten metal transfer device
AT526082B1 (de) * 2022-05-10 2023-11-15 Fill Gmbh Schmelzetransportvorricht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5475A (ja) * 1995-03-24 1999-05-21 インジエニエール ラウヒ フエルテイグングステヒニク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鋳造機への溶湯供給方法及び装置
JP2004160538A (ja) * 2002-02-14 2004-06-10 Hoei Shokai:Kk 溶融金属供給用容器及び安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45571A1 (de) * 1972-09-16 1974-03-21 Krupp Gmbh Laufkran
JPS5737688A (en) 1980-08-18 1982-03-02 Azuma Steel Method of preventing possible attachment to upper rim of ladle when steel is received with ladle from electric furnace
JPH0331063U (ko) * 1989-07-28 1991-03-26
US6612516B1 (en) * 1991-01-16 2003-09-02 H. Norman Clarkson Method and apparatus for cable dispensing and placement
WO2001098004A1 (fr) * 2000-06-22 2001-12-27 Hoei Shokai Co., Ltd Procede et systeme d'alimentation de metal en fusion, procede de production d'aluminium en fusion, procede de production de piece d'aluminium moulee sous pression, procede de fabrication de voiture, vehicule de transport, cuve et dispositif d'alimentation de metal en fusion
CZ20031848A3 (cs) * 2000-12-27 2003-12-17 Hoei Shokai Co., Ltd. Kontejner k přepravě roztavených kovů
EP1361190B1 (en) * 2001-02-16 2010-04-14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Camera lifting device and load handling support device of industrial vehicle, and industrial vehicle
JP3768426B2 (ja) * 2001-10-17 2006-04-19 小松フォークリフト株式会社 バッテリ式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のバッテリ交換装置
WO2003068433A1 (fr) * 2002-02-14 2003-08-21 Hoei Shokai Co., Ltd. Recipient pour alimentation en metal fondu et dispositif de securite
US7514034B2 (en) * 2002-05-31 2009-04-07 Hoei Shokai Co., Ltd. Container capable of transporting molten metal received therein to separate factor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container
CZ2005236A3 (cs) * 2002-11-29 2005-09-14 Hoei Shokai Co., Ltd Zařízení pro regulaci tlaku, přepravní vozidlo a jednotka pro řízení tlakového rozdílu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5475A (ja) * 1995-03-24 1999-05-21 インジエニエール ラウヒ フエルテイグングステヒニク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鋳造機への溶湯供給方法及び装置
JP2004160538A (ja) * 2002-02-14 2004-06-10 Hoei Shokai:Kk 溶融金属供給用容器及び安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05000045T5 (de) 2006-07-13
US7481966B2 (en) 2009-01-27
DE112005000045B4 (de) 2008-08-21
PL379621A1 (pl) 2006-10-30
CZ2005773A3 (cs) 2006-05-17
WO2006009154A1 (ja) 2006-01-26
GB2420733A (en) 2006-06-07
US20080203629A1 (en) 2008-08-28
KR20060086449A (ko) 2006-07-31
GB0605765D0 (en) 2006-05-03
CA2536508A1 (en) 2006-01-26
GB2420733B (en) 200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4253B1 (ko) 용융금속 공급 시스템, 용기 및 차량
US5752729A (en) Vacuum lifting device
EP1793917A1 (en) A device for carbonating a liquid with pressurized gas
ZA200600074B (en) System for supplying molten metal, container and a vehicle
KR102220826B1 (ko) 수중에 위치된 컨테이너 벽에 대한 손상을 보수하는 방법 및 장치
JP5847885B2 (ja) 水素トレーラ
EP3102832A1 (en) Foot valve for submergible pumps
US8596344B2 (en) Handling device for pipes
CA2635447C (en) Crane return
US20170122665A1 (en) Station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 Metal Melt from a Melting Furnace to a Transport Crucible, and Arrangement Having Such a Station
US10677391B2 (en) Gas supply device
JP6001593B2 (ja) 燃料要素の搬送の為の搬送装置
JP2006231389A (ja) 容器
JP4602153B2 (ja) 溶融金属供給容器および溶融金属供給方法
AU2004291426B2 (en) Apparatus for carrying article, method of carrying article out from transportation container by using the apparatus, and method of carrying article into transportation container by using the apparatus
KR102325194B1 (ko) 화학물질 소분장치
JP2008229636A (ja) 容器保持装置
PL207928B1 (pl) Urządzenie regulujące ciśnienie, pojazd transportowy
KR102135758B1 (ko) 이송 장치 및 방법
JP6901174B1 (ja) 吸引作業車及び吸引作業車の真空ポンプの保護方法
KR101254221B1 (ko) 탱크 트럭의 오버 플로우 차단 시스템
KR200373079Y1 (ko) 래들의 가스 공급장치
US5358027A (en) Vacuum-assisted gravity pour casting apparatus
KR20060061226A (ko)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JP3621387B2 (ja) 溶融金属供給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