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1226A -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1226A
KR20060061226A KR1020050110399A KR20050110399A KR20060061226A KR 20060061226 A KR20060061226 A KR 20060061226A KR 1020050110399 A KR1020050110399 A KR 1020050110399A KR 20050110399 A KR20050110399 A KR 20050110399A KR 20060061226 A KR20060061226 A KR 20060061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valve
closing
pipe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2862B1 (ko
Inventor
최영수
Original Assignee
최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수 filed Critical 최영수
Priority to KR1020050110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862B1/ko
Publication of KR20060061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1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26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 B65D88/28Construction or shape of discharge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저장탱크내에 개구부 및 급유밸브, 부구, 에어콤프레셔가 설치된 탱크로리에 있어서, 상기 부구에 연동되어 승강작동하며, 일측에 에어콤프레셔가 연결된 제1개폐밸브와, 상기 제1개폐밸브로부터 유입된 에어압력에 의해 승강되는 제2개폐밸브로 구성된 자동개폐장치와; 상기 제2개폐밸브의 에어압력에 의해 승강되는 개폐구와, 상기 개폐구에 연동하여 승강하는 절환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에어콤프레셔로부터 유입되는 에어를 급유밸브로 공급 및 차단하는 주개폐장치와; 상기 에어콤프레셔와 연결되며, 에어압력에 의해 상기 제2개폐밸브를 수동으로 승강시키는 수동스위치와; 상기 에어콤프레셔와 연결되며, 상기 자동개폐장치의 제2개폐밸브에 대한 에어유입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3개폐밸브와, 상기 제3개폐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스위치로 구성된 하역용 개폐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탱크로리, 적재, 에어, 승강, 밸브

Description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 TANK LORRY'S VALVE CONTROL SYSTEM }
도 1은 종래 기술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에서 급유밸브를 개방하여 적재물을 적재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에서 급유밸브가 차단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에서 급유밸브를 개방하여 하역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에서 수동으로 급유밸브를 차단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상기 도 2 및 도 3에서 절환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개폐밸브 12 ; 외통체
14 : 스프링 16 : 플런져
20 : 제2개폐밸브 30 : 제3개폐밸브
40 : 케이스 42 ; 개폐구
44 : 절환부재 48 : 유입관
49 : 유출관 50 : 수동스위치
60 : 조작스위치 71~75 : 제1 내지 제5공급관
81~85 : 제1 내지 제5배출관 B ; 자동개폐장치
M : 주개폐장치 T : 하역용 개폐장치
본 발명은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탱크로리에 탑재된 저장탱크에 적재물을 적재 또는 하역시 급유밸브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어 적재 및 하역작업을 무인화할 수 있고, 또한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탱크로리는 유류 또는 화공약품(이하 적재물이라 함) 등을 대량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저장탱크를 갖춘 화물 자동차를 의미한다.
첨부된 도 1은 탱크로리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를 살펴보면,
적재물을 수송하는 탱크로리는 관련 법규에 따라 탑재된 저장탱크(1')의 내부를 다수의 격벽(2')으로 구획하는 바, 상기 구획된 저장탱크(1')의 내부공간에는 각각 개구부(3')가 형성되고, 저장탱크(1')의 내측 상부에는 최대 적재용량을 감지하는 부구(4')가 형성되고, 각 내부공간의 바닥면에는 급유밸브(6')가 형성되어 급유파이프(5')로부터 적재물을 공급받도록 형성되며, 상기 각 급유밸브(6')는 저장 탱크(1')의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해당 제어스위치(7')의 작동에 따라 공기압에 의하여 개폐되는 한편, 저장탱크(1')의 상부에는 통기파이프(8')가 각 내부공간마다 연통됨과 아울러 상기 통기파이프(8')에는 다수의 통기밸브(9a',9b')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탱크로리에 있어 적재물의 공급과정을 살펴보면, 운전자가 탱크로리의 상부에 올라가 전체 또는 일부 제어스위치(7')를 작동하여 에어콤프레셔(미도시)의 공기압에 의해 해당 급유밸브(6')를 개방함으로써 적재물을 주입하되, 이때 저장탱크(1')의 내부공기를 배기하여 적재물이 원활히 주입될 수 있도록 통기밸브(9a',9b')를 개방하는 바, 상기 통기밸브(9a',9b')는 통기파이프(8')의 최종단에 형성되어 노상(路上)에서 개폐하는 주밸브(9a')와 구획된 각 내부공간마다 형성되어 탱크로리의 상부에서 개폐하는 다수의 보조밸브(9b')를 모두 개방한다.
그리고, 탱크로리의 상부에서 운전자가 개구부(3')의 덮개를 열고 상기 내부공간에 형성된 적재물이 주입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되, 최대 적재량에 도달하여 부구(4')가 상승하면 제어스위치(7')를 조작하여 해당 급유밸브(6')를 폐쇄함과 아울러 개구부(3')의 덮개를 폐쇄함으로써 각 내부공간에 대한 적재를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탱크로리의 경우, 적재물을 적재함에 있어 적재물을 공급하는 공급설비(미도시)측의 계량기 구비 여부와 관계없이 운전자가 탱크로리의 상부에 직접 올라가서 각 개구부의 덮개를 열고 그 내부에 형성된 게이지 바까지 적재물이 공급됨을 육안으로 확인한 다음 제어스위치 및 통기밸브를 조작함에 따라 그 작업이 불편하였음은 물론이고 유류와 같은 인화성 물질을 적재할 경우 폭발 및 화재의 위험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유독성 화공약품의 경우 기화된 화공약품이 대기로 방출되어 환경오염을 유발함과 아울러 작업자가 유독성 물질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한편으로 게이지바가 최대 적재용량만을 표시함으로써 소량적재시 정확한 적재량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탱크로리에 적재물을 적재시 부구의 작동에 연동하여 급유밸브를 개폐시킬 수 있어 작업간에 운전자가 탱크로리에 대기하고 있을 필요가 없이 무인화할 수 있도록 한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저장탱크내에 개구부 및 급유밸브, 부구, 에어콤프레셔가 설치된 탱크로리에 있어서, 상기 부구에 연동되어 승강작동하며, 일측에 에어콤프레셔가 연결된 제1개폐밸브와, 상기 제1개폐밸브로부터 유입된 에어압력에 의해 승강되는 제2개폐밸브로 구성된 자동개폐장치와; 상기 제2개폐밸브의 에어압력에 의해 승강되는 개폐구와, 상기 개폐구에 연동하여 승강하는 절환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에어콤프레셔로부 터 유입되는 에어를 급유밸브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주개폐장치와; 상기 에어콤프레셔와 연결되며, 에어압력에 의해 상기 제2개폐밸브를 수동으로 승강시키는 수동스위치와; 상기 에어콤프레셔와 연결되며, 상기 자동개폐장치의 제2개폐밸브에 대한 에어유입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3개폐밸브와, 상기 제3개폐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스위치로 구성된 하역용 개폐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에서 급유밸브를 개방하여 적재물을 적재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탱크로리의 개폐장치(A)는, 저장탱크(1)의 상부에 개구부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급유밸브(6)가 설치되며, 내측 상부에 부구(100)가 수직되게 설치되며, 외부 일측에는 에어콤프레셔(200)가 설치된 탱크로리에 설치된다.
즉, 본 발명은, 저장탱크(1)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부구(100)에 연동되어 승강작동하며, 일측에 에어콤프레셔(200)가 연결된 제1개폐밸브(10)와, 상기 제1개폐밸브(10)로부터 유입된 에어압력에 의해 승강되는 제2개폐밸브(20)로 구성된 자동개폐장치(B)와; 상기 제2개폐밸브(20)의 에어압력에 의해 승강되는 개폐구(42)와, 상기 개폐구(42)에 연동하여 승강하는 절환부재(44)로 구성되어 상기 에어콤프레셔(200)로부터 유입되는 에어를 급유밸브(6)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주개폐장치 (M)와; 상기 에어콤프레셔(200)와 연결되며, 에어압력에 의해 상기 제2개폐밸브(20)를 수동으로 승강시키는 수동스위치(50)와; 상기 에어콤프레셔(200)와 연결되며, 상기 자동개폐장치(B)의 제2개폐밸브(20)에 대한 에어유입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3개폐밸브(30)와, 상기 제3개폐밸브(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스위치(60)로 구성된 하역용 개폐장치(T);로 구성된다.
상기 자동개폐장치(B)의 제1개폐밸브(10)는,
일측에 마련된 제1공급관(71)을 통해 에어콤프레셔(200)와 연결되고, 타측에 마련된 제1배출관(81)을 통해 제2개폐밸브(20)와 연결된 외통체(12)와; 상기 외통체(12) 내에 삽입되는 스프링(14)과; 상기 외통체(12) 내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14)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내측에는 통로(160)가 형성되고 부구(100)의 수직봉(162)에 연결된 플런져(1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통체(12)에 설치된 제1공급관(71) 및 제1배출관(81)은 대향되는 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플런져(16)의 통로(160)는 상기 제1공급관(71) 및 제1배출관(81)을 연결하도록 직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자동개폐장치(B)의 제2개폐밸브(20)는,
하부에는 전술한 제1개폐밸브(10)의 제1배출관(81)이 연결되고, 일측에는 후술된 제3개폐밸브(30)와 통하는 제2공급관(72)이 연결되며, 타측에는 주개폐장치(M)와 통하는 제2배출관(82)이 연결된 것으로, 그 구조는 전술한 제1개폐밸브(10) 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주개폐장치(M)는,
일측에는 에어콤프레셔(200)와 통하는 유입관(48)이 연결되고, 타측에는 급유밸브(6)와 통하는 유출관(49)이 연결되며, 또다른 타측에는 드레인관(446)이 형성된 케이스(40)와;
상기 케이스(40) 내에 삽입되어 상기 제2개폐밸브(20)의 에어압력에 의해 승강되며, 하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개폐구(42)와;
상기 개폐구(42)에 연동하여 승강하되, 내부에는 상기 유입관(48)과 유출관(49)을 연결하는 하부통로(444)와, 상기 유출관(49)과 드레인관(446)을 연결하는 상부통로(442)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돌부가 형성된 절환부재(44)와;
상기 절환부재(44)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케이스(40) 내부에 개재되는 스프링(4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환부재(44)에 대해 첨부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절환부재(44)의 하부통로(444)가 유입관(48)과 유출관(49)에 통하는 위치에 놓이게 되면, 상기 에어콤프레셔(200)로부터 유입되는 에어에 의해 급유밸브(6)를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도시되지 않은 급유구를 통해 적재물을 주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게 된다(도 2 및 도 6a 참조).
역으로, 상기 절환부재(44)의 상부통로(442)가 유출관(49)과 드레인관(446) 에 통하는 위치에 놓이면, 유출관(49)에 차있던 에어가 드레인관(44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급유밸브(6)가 닫히게 된다(도 3 및 도 6b 참조).
상기 수동스위치(50)는, 운전자가 적재물이 저장탱크(1) 내로 유입되는 양을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일측에는 소정의 제3공급관(73)을 통해 에어콤프레셔(200)와 연결되며, 타측에는 제3배출관(83)을 통해 전술한 제2개폐밸브(20)에 연결된 제1배출관(81)에 연결되며, 또다른 타측에는 상기 제3공급관(73) 보다 낮은 위치에 소정의 드레인관(51)이 형성된 외통체(52)와; 상기 외통체(52) 내에 삽입되는 스프링(54)과; 상기 제3공급관(73)과 제3배출관(83)을 연통하는 상부통로(560)와, 상기 제3배출관(83)과 드레인관(51)을 연통하는 하부통로(562)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부에 보턴이 형성되어 상기 외통체(52)에 삽입되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플런져(56)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플런져(56)를 눌러 하강시키면 상기 상부통로(560)와 제3공급관(73) 및 제3배출관(83)이 통하게 됨에 따라, 에어가 주입되어 상기 제2개폐밸브(20)의 플런져(26)를 상승시키게 되고, 상기 플런져(26)가 원상태로 상승되면 상기 제3배출관(83)에 차있던 에어가 하부통로(562) 및 드레인관(51)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준비상태에 놓이게 된다.
상기 하역용 개폐장치(T)는, 목적지에 도착하여 저장탱크(1)에 적재된 적재물을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자동개폐장치(B)의 제2개폐밸브(20)에 대한 에어유입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3개폐밸브(30)와, 상기 제3개폐밸브(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스위치(60)로 구성된다.
상기 제3개폐밸브(30)는,
일측면에 연결된 제4공급관(74)을 통해 에어콤프레셔(200)와 연결되고, 타측면에 연결된 제2공급관(72)을 통해 제2개폐밸브(20)와 연결되며, 상기 제4공급관(74) 보다 낮은 위치에 소정의 드레인관(38)이 형성되고, 저부에는 후술될 조작스위치(60)와 연결되는 제5배출관(85)이 설치된 외통체(32)와; 상기 외통체(32) 내에 삽입되는 스프링(34)과; 내부에는 상기 제4공급관(74)과 제2공급관(72)을 연결하는 상부통로(362)와, 상기 제2공급관(72)과 드레인관(38)을 연결하는 하부통로(364)가 형성된 플런져(3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통체(32)에 설치된 제4공급관(74) 및 제2공급관(72)은 대향되는 위치에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플런져(32)의 상부통로(362)는 상기 제4공급관(74) 및 제2공급관(72)을 연결하도록 직선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통체(32)에 설치된 드레인관(38)은 전술한 제4공급관(74)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플런져(32)의 하부통로(364)는 상기 제2공급관(72) 및 드레인관(38)을 연결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작스위치(60)는,
상기 제3개폐밸브(30)와 연결된 제5배출관(85)이 일측에 설치되고, 소정의 제5공급관(75)에 의해 에어콤프레셔(200)와 연결된 외통체(62)와; 상기 외통체(62) 내에 삽입되는 스프링(64)과; 상기 외통체(62) 내에 삽입되며, 상기 제5공급관(75)과 제5배출관(85)을 연통시키는 상부통로(662)와, 제5배출관(85)과 드레인관(61)을 연통시키는 하부통로(664)가 형성된 플런져(6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플런져(66)의 상부 및 하부통로(662,664)는 전술한 수동스위치(50)와 동일한 형상이고,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설치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자동개폐장치(B)의 제1개폐밸브(10)는, 그 내부의 플런져(16)가 부구(100)의 수직봉(162)에 연결되도록 하여 저장탱크(1)의 상부에 설치되며, 제1공급관(71)에 의해 에어콤프레셔(200)와 연결된다.
또한, 저장탱크(1)의 일측에는 전술한 주개폐장치(M)를 설치하고, 소정의 유입관(48)에 의해 에어콤프레셔(200)와 연결되고, 유출관(49)에 의해 급유밸브(6)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급유밸브(6)는 에어가 공급되면 디스크(미도시)가 개방되고, 에어 공급이 중단되면 디스크가 폐쇄되는 구조로써, 이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개폐밸브(20)는 제2배출관(82)에 의해 주개폐장치(M)와 연결되고, 제2공급관(72)에 의해 제3개폐밸브(30)와 연결되며, 그 하부에 설치된 제1배출관(81)에 의해 상기 제1개폐밸브(1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배출관(81)의 도중에는 제3배출관(83)이 연결되고, 상기 제3배출관(83)에 수동스위치(50)가 설치되며, 상기 수동스위치(50)는 제3공급관(73)에 의해 에어콤프레셔(200)와 연결된다.
상기 제2공급관(72)에 연결된 제3개폐밸브(30)의 타측에는 제4공급관(74)이 설치되며, 상기 제4공급관(74)은 에어콤프레셔(20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3개폐밸브(30)의 하부에는 제5배출관(85)이 연결되며, 상기 제5배출관(85)은 조작스위치(60)와 연결되며, 상기 조작스위치(60)의 타측에 설치된 제5공급관(75)에 의해 에어콤프레셔(200)와 연결된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탱크로리의 개폐장치(A)의 설치가 완료된 후, 에어콤프레셔(200)를 가동시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가 유입관(48)을 통해 유입되어 주개폐장치(M)로 유입된 후 유출관(49)으로 유출되어 급유밸브(6)에 공급됨으로써, 급유밸브(6)가 개방되므로 적재물을 저장탱크(1) 내로 주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주개폐장치(M)의 절환부재(44)가 스프링(46)의 탄력에 의해 상승된 상태이므로, 그 하부통로(444)가 유입관(48)과 유출관(49)에 일치되어 통하게 되므로 에어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개폐밸브(10,20)와 수동스위치(50) 및 조작스위치(60)는 폐쇄상태이고, 제3개폐밸브(30)는 개방상태이므로 제4공급관(74)을 통해 유입된 에어가 제3개폐밸브(30)를 통과한 채 제2공급관(72)에 체류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후, 적재물이 차올라 부구(100)가 상승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개폐밸브(10)의 플런져(16)가 상승하고, 그 내부의 통로(160)에 의해 제1공급관(71) 및 제1배출관(81)이 통하게 되어 에어콤프레셔(200)의 에어가 제1개폐밸브(10)를 통과하여 제2개폐밸브(20)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개폐밸브(20)의 플런져(26)가 상승하여, 그 내부의 통로(260)에 의해 제2공급관(72)과 제2배출관(82)이 통하게 되어 에어가 제2개폐밸브(20)를 통과하여 주개폐장치(M)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주개폐장치(M)의 개폐구(42)가 에어압력에 의해 하강하고, 그에 연동하여 절환부재(44)가 하강하므로, 그 내부의 상부통로(442)에 의해 유출관(49)과 드레인관(446)이 일치됨으로써 유출관(49)에 차있던 에어가 드레인관(446)을 통해 배출되고, 이로 인해 급유밸브(6)가 닫히게 되어 적재물의 주입작업이 종료된다.
이후, 목적지에 도착하여 저장탱크(1) 내의 적재물을 하역할때의 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운전자가 상기 조작스위치(60)를 누르면, 그 내부의 상부통로(662)에 의해 제5공급관(75)과 제5배출관(85)이 일치되므로 에어가 제3개폐밸브(30)로 유입되며, 그 내부의 플런져(36)가 상승하여 하부통로(364)와 제2공급관(72)이 일치되어, 제2공급관(72)에 차있던 에어가 드레인관(38)을 통해 배출된다.
이에 따라, 주개폐장치(M)에 차있던 에어까지 모두 배출되므로, 주개폐장치 (M)의 개폐구(42)가 스프링(46)의 탄발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도 2에 도시된 상태로 전환되어 급유밸브(6)가 개방된 상태가 되므로 적재물을 하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5는 수동조작에 의해 적량의 적재물을 적재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먼저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적재물을 저장탱크(1) 내에 주입하다가 원하는 적정량에 도달하면, 운전자가 수동스위치(50)를 눌러 제3공급관(73)과 제3배출관(83)을 통하게 하여 에어가 제2개폐밸브(20)로 유입됨으로써, 제2개폐밸브(20)를 개방시키게 되어 주개폐장치(M)에 에어를 공급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절환부재(44)가 하강함에 따라, 유입관(48)을 통한 에어 공급이 차단됨과 동시에 유출관(49) 내의 에어가 드레인관(446)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이로인해 급유밸브(6)가 닫히게 되고 적재물의 주입이 차단된다.
이때, 상기 제1개폐밸브(10)는 부구(100)가 상승하지 않았으므로 폐쇄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수동스위치(50)를 눌렀던 힘을 해제하면 플런져(56)가 스프링(54)의 반발력에 의해 상승하여 하부통로(562)와 제3배출관(83)이 통하게 되므로, 상기 제3배출관(83)에 차있던 에어가 드레인관(51)을 통해 배출되고, 상기 수동스위치(50)는 준비상태에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에 따르면, 탱크로리에 적재물을 적재함에 있어 적재 완료와 동시에 급유밸브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고, 또한 급유밸브를 자동으로 개방하여 적재물을 배출할 수 있으므로 작업간 운전자가 탱크로리에 대기하고 있을 필요가 없이 무인화할 수 있는 장점이 제공된다.
아울러, 저장탱크 내에 소량의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제공된다.

Claims (6)

  1. 저장탱크내에 개구부 및 급유밸브, 부구, 에어콤프레셔가 설치된 탱크로리에 있어서,
    상기 부구에 연동되어 승강작동하며, 일측에 에어콤프레셔가 연결된 제1개폐밸브와, 상기 제1개폐밸브로부터 유입된 에어압력에 의해 승강되는 제2개폐밸브로 구성된 자동개폐장치와;
    상기 제2개폐밸브의 에어압력에 의해 승강되는 개폐구와, 상기 개폐구에 연동하여 승강하는 절환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에어콤프레셔로부터 유입되는 에어를 급유밸브로 공급 및 차단하는 주개폐장치와;
    상기 에어콤프레셔와 연결되며, 에어압력에 의해 상기 제2개폐밸브를 수동으로 승강시키는 수동스위치와;
    상기 에어콤프레셔와 연결되며, 상기 자동개폐장치의 제2개폐밸브에 대한 에어유입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3개폐밸브와, 상기 제3개폐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스위치로 구성된 하역용 개폐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개폐장치는,
    일측에 마련된 제1공급관을 통해 에어콤프레셔와 연결되고, 타측에 마련된 제1배출관을 통해 제2개폐밸브와 연결된 외통체와, 상기 외통체 내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외통체 내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내측에는 통로가 형성되고 부구의 수직봉에 연결된 플런져로 구성된 제1개폐밸브와;
    하부에는 상기 제1개폐밸브의 제1배출관이 연결되고, 일측에는 상기 제3개폐밸브와 통하는 제2공급관이 연결되며, 타측에는 주개폐장치와 통하는 제2배출관이 연결된 외통체와, 상기 외통체 내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외통체 내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내측에는 통로가 형성된 플런져로 구성된 제2개폐밸브;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개폐장치는,
    일측에는 에어콤프레셔와 통하는 유입관이 연결되고, 타측에는 급유밸브와 통하는 유출관이 연결되며, 또다른 타측에는 드레인관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삽입되며 하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개폐구와;
    상기 개폐구에 연동하여 승강하되, 내부에는 상기 유입관과 유출관을 연결하는 하부통로와, 상기 유출관과 드레인관을 연결하는 상부통로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돌부가 형성된 절환부재와;
    상기 절환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케이스 내부에 개재되는 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스위치는,
    일측에는 소정의 제3공급관을 통해 에어콤프레셔와 연결되며, 타측에는 제3배출관을 통해 제2개폐밸브에 연결된 제1배출관에 연결되며, 또다른 타측에는 드레인관이 형성된 외통체와;
    상기 외통체 내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제3공급관과 제3배출관을 연통시키는 상부통로와, 상기 제3배출관과 드레인관을 연통시키는 하부통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부에 보턴이 형성되어 상기 외통체에 삽입되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플런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개폐밸브는,
    일측면에 연결된 제4공급관을 통해 에어콤프레셔와 연결되고, 타측면에 연결된 제2공급관을 통해 제2개폐밸브와 연결되며, 또다른 타측에 소정의 드레인관이 형성되고, 저부에는 제5배출관이 설치된 외통체와;
    상기 외통체 내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제4공급관과 제2공급관을 연통시키는 상부통로와, 상기 제2공급관과 드레인관을 연통시키는 하부통로가 내부에 형성된 플런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스위치는,
    상기 제3개폐밸브와 연결된 제5배출관이 일측에 설치되고, 소정의 제5공급관에 의해 에어콤프레셔와 연결된 외통체와;
    상기 외통체 내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외통체 내에 삽입되며, 상기 제5공급관과 제5배출관을 연통시키는 상부통로와, 상기 제5배출관과 드레인관을 연통시키는 하부통로가 내부에 형성된 플런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KR1020050110399A 2005-11-17 2005-11-17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KR100652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399A KR100652862B1 (ko) 2005-11-17 2005-11-17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399A KR100652862B1 (ko) 2005-11-17 2005-11-17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226A true KR20060061226A (ko) 2006-06-07
KR100652862B1 KR100652862B1 (ko) 2006-12-04

Family

ID=37157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399A KR100652862B1 (ko) 2005-11-17 2005-11-17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28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129B1 (ko) * 2006-08-03 2007-08-27 최영수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398B1 (ko) * 2011-05-19 2013-05-22 탱크코리아(주) 탱크로리 밸브연동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1515B2 (ja) * 1988-12-06 1994-07-06 昭和機器工業株式会社 地下タンクへの過給油防止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129B1 (ko) * 2006-08-03 2007-08-27 최영수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2862B1 (ko) 2006-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6492B1 (ko) 탱크로리용 밸브제어장치
US7568494B2 (en) Electronic fuel tank fill limit control
JP4494572B2 (ja) 液体タンクの通気システム
KR100752132B1 (ko) 탱크로리용 급유밸브
CN104126109B (zh) 测试气体关断阀的方法
KR20170127094A (ko) 유체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US6874523B2 (en) Fluid cutoff valve device
CN103429452A (zh) 用于机动车的燃料箱通风装置
KR100652862B1 (ko)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JP2002181289A (ja) 高圧ガスタンクローリの過充填防止システム
JP6621147B2 (ja) タンクローリー用オーバーフロー遮断装置
US5224525A (en) Hose nozzle
KR100850301B1 (ko) 지게차의 유압시스템용 메인컨트롤밸브
KR100798017B1 (ko) 탱크로리용 유체 입출장치
KR20230155487A (ko) 연료 전지의 애노드 가스의 컨디셔닝을 위한 가스 관리 장치 및 방법
RU2728572C2 (ru) Система с удаленно управляемым давлением клапаном для резервуара
KR100685276B1 (ko) 탱크로리용 적재물 입출장치
KR101254221B1 (ko) 탱크 트럭의 오버 플로우 차단 시스템
JP3053840B2 (ja) ローリタンク用給液装置
JP3562920B2 (ja) 過充填防止機能付lpガス容器バルブ
KR20070023200A (ko)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JP4382907B2 (ja) 過充填防止装置
KR100693801B1 (ko)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KR200399507Y1 (ko) 탱크로리용 게이지
KR100752129B1 (ko)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