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0276B1 -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 - Google Patents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0276B1
KR101340276B1 KR1020120065114A KR20120065114A KR101340276B1 KR 101340276 B1 KR101340276 B1 KR 101340276B1 KR 1020120065114 A KR1020120065114 A KR 1020120065114A KR 20120065114 A KR20120065114 A KR 20120065114A KR 101340276 B1 KR101340276 B1 KR 101340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torage tank
rod
head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7619A (ko
Inventor
최영수
손영수
Original Assignee
손영수
최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영수, 최영수 filed Critical 손영수
Publication of KR20130097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5Adaptations for pumps o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5/00Details relating to contact between valve members and seats
    • F16K25/04Arrangements for preventing eros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류 또는 약품을 적재하는 탱크의 밸브 개폐작동이 공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어 전기장치를 사용하지 않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하부에 장착구가 형성된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 내에 위치되며, 에어 공급에 의해 상기 장착구를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장착구와 통하도록 저장탱크의 내측 하부에 장착되며 일측에 제1에어공급구와 제2에어공급구가 형성되고 중앙에 급유통공이 형성된 장착대; 상기 장착대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주입구가 형성된 헤드; 상기 장착대의 상면에 다수로 설치되어 헤드를 지지하는 체결관체; 상기 장착대의 상면에 설치되어 헤드를 지지하며 제1주입유로 및 제2주입유로가 형성된 격벽체; 상기 헤드 내에 삽입되며 공압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일정 길이의 로드; 상기 로드의 하단에 결합되어 승강작동되며 급유통공을 개폐시키는 밸브디스크; 상기 로드의 외측에 결합되어 부식성 액체가 상기 로드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Tank Lorry's Storage Tank Apparatus}
본 발명은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류 또는 약품을 적재하는 탱크의 밸브 개폐작동이 공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어 전기장치를 사용하지 않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류 또는 화공약품을 수송하는 탱크로리는 저장탱크의 내부공간에 개구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개구부의 안쪽에는 최대 적재용량을 표시하는 한계표시점을 형성하고, 각 내부공간의 바닥면에 형성한 장착구에는 급유밸브가 설치된다.
따라서 저장탱크 하측의 급유파이프로부터 유류를 공급받거나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며, 급유밸브는 저장탱크의 상부에 형성한 제어밸브의 작동에 따라 탱크로리에 구비된 동력발생수단에 의하여 개폐작동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탱크로리의 경우, 유류 또는 화공약품을 적재함에 있어 적재물을 공급하는 공급설비(미도시)측의 계량기 구비 여부와 관계없이 운전자가 탱크로리의 상부에 직접 올라가서 각 개구부의 덮개를 열고 그 내부에 형성된 게이지바까지 내용물이 공급됨을 육안으로 확인한 다음 제어스위치 및 통기밸브)를 조작함에 따라 그 작업이 불편하였음은 물론이고 유류와 같은 인화성 물질을 적재할 경우 폭발 및 화재의 위험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유독성 화공약품의 경우 기화된 화공약품이 대기로 방출되어 환경오염을 유발함과 아울러 작업자가 유독성 물질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한편으론 게이지바가 최대 적재용량만을 표시함으로써 소량적재시 정확한 적재량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 또한 있었다.
한편, 위와 같은 일반적인 탱크로리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실용신안등록 제365399호(2004.10.22.공고) 및 제378860호(2005.3.16.공고)와 같은 탱크로리용 게이지의 구성이 앞서 제안된바 있으나, 상기의 경우에도 운전자가 탱크로리의 상부에 올라가서 적재량을 확인하고 제어스위치를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은 해소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저장탱크 내에 장착된 밸브가 에어공급에 의해 승강작동하면서 장착구를 개폐하도록 함으로써 작동이 정확하고 신속하며 공압에 의한 자동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에 장착구가 형성된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 내에 위치되며, 에어 공급에 의해 상기 장착구를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장착구와 통하도록 저장탱크의 내측 하부에 장착되며 일측에 제1에어공급구와 제2에어공급구가 형성되고 중앙에 급유통공이 형성된 장착대; 상기 장착대의 상부로부터 이격되어 결합되며 내측 중심부에 피스톤이 삽입되는 작동공간이 형성되고 벽면 내측에 상기 제1에어공급구 및 제2에어공급구와 통하는 제1 및 제2주입구가 형성된 헤드; 상기 장착대의 상면에 다수로 설치되어 헤드를 지지하며 내측으로 볼트가 관통 결합되는 체결관체; 상기 장착대의 상면에 설치되어 헤드를 지지하며 내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주입구와 통하며 상기 제1에어공급구 및 제2에어공급구와 통하는 제1주입유로 및 제2주입유로가 형성된 격벽체; 상기 헤드 내에 삽입되며 공압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일정 길이의 로드; 상기 로드의 하단에 결합되어 승강작동되며 급유통공을 개폐시키는 밸브디스크; 상기 로드의 외측에 결합되어 부식성 액체가 상기 로드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밀봉부재는 내부식성의 테프론 수지 재질인 것이며, 상단은 상기 커버에 기밀되게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밸브디스크의 상부에 기밀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탱크 내에 장착된 밸브가 에어공급에 의해 승강작동하면서 장착구를 개폐하도록 함으로써 작동이 정확하고 신속하며 공압에 의한 자동제어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본 발명에 따른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의 '밸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의 '밸브'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본 발명에 따른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의 '밸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의 '밸브'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1실시예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T)는, 하부에 장착구(22)가 형성된 저장탱크(2); 상기 저장탱크(2) 내에 위치되며, 에어 공급에 의해 상기 장착구(22)를 개폐하는 밸브(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탱크(2)는 내부에 물이나 유류와 같은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외부의 급유관(미도시)이 연결되도록 장착구(22)가 형성된다.
상기 밸브(A)는, 장착구(22)와 통하도록 저장탱크(2)의 내측 하부에 장착되며 일측에 제1에어공급구(AR1)와 제2에어공급구(AR2)가 형성되고 중앙에 급유통공(40)이 형성된 장착대(41)와; 상기 장착대(41)의 상부로부터 이격되어 결합되며 내측 중심부에 피스톤(43)이 삽입되는 작동공간(S)이 형성되고 벽면 내측에 상기 제1에어공급구(AR1) 및 제2에어공급구(AR2)와 통하는 제1 및 제2주입구(47)(48)가 형성된 헤드(42)와; 상기 장착대(41)의 상면에 다수로 설치되어 헤드(42)를 지지하며 내측으로 볼트(591)가 관통 결합되는 체결관체(59)와; 상기 장착대(41)의 상면에 설치되어 헤드(42)를 지지하며 내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주입구(47)(48)와 통하며 상기 제1에어공급구(AR1) 및 제2에어공급구(AR2)와 통하는 제1주입유로(51) 및 제2주입유로(52)가 형성된 격벽체(5)와; 상기 헤드(42) 내에 삽입되며 공압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피스톤(43)과; 상기 피스톤(43)에 연결된 일정 길이의 로드(44)와; 상기 로드(44)의 하단에 결합되어 승강작동되며 급유통공(40)을 개폐시키는 밸브디스크(45)와; 상기 로드(44)의 외측에 결합되어 부식성 액체가 상기 로드(44)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밀봉부재(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피스톤(43)은 헤드(42)의 내주면에 형성된 작동공간(S)에 내접되는 것으로, 외주에 기밀 오링이 장착되고, 제1주입구(47) 및 제2주입구(48)를 통해 에어 공급시 상승 또는 하강 작동하게 된다.
로드(44)는 피스톤(43)에 결합된 일정 길이의 봉체이며, 그 하부에 밸브디스크(45)가 결합된다.
헤드(42)의 하부 개구부에는 커버(26)가 결합되어 작동공간(S)이 밀봉되도록 하고, 커버(26)의 중심부에 부싱(27)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부싱(27)의 통공(270)에 로드(44)가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로드(44)가 기밀성을 갖도록 결합시키기 위해 부싱(27)의 내주면에 다수의 씰(275)이 형성된다.
따라서 피스톤(43)의 승강 작동에 연동하여 로드(44)가 기밀된 상태로 승강 작동하게 되고, 이에 종동되어 장착구의 개폐가 제어된다.
즉 로드(44)의 하강에 의해 밸브디스크(45)가 하강하여 장착구를 폐쇄하게 되고, 반대로 로드(44)의 상승에 의해 밸브디스크(45)가 상승하여 장착구를 개방시키게 된다.
로드(44)의 외측에는 밀봉부재(46)가 결합되어 유독성 또는 부식성 액체가 씰(275)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부식시키는 폐단을 방지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밸브(A)가 저장탱크(2) 내에 설치되므로 내부의 저장된 액체에 잠기게 된다.
따라서 유독성 또는 부식성의 액체가 부싱(27)의 통공(270)과 로드(44)의 틈새를 통해 유입되면 씰(275)이 부식되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렇게 씰(275)이 부식될 경우 로드(44)의 작동이 불량하게 되며, 작동공간(S)까지 액체가 유입되어 피스톤(43)의 작동불량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게 위해 내부식성의 테프론 수지재질로 된 밀봉부재(46)를 부싱(27)의 외주면에 결합시키고, 하단 및 상단이 기밀되게 결합된다.
즉 밀봉부재(46)의 하단이 밸브디스크(45)의 상부 단턱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단은 커버(26)의 저부에 밀착되도록 한 후 상,하부에 밴드를 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기밀성을 갖도록 하였다.
밀봉부재(46)는 연질인 테프론 수지이므로 밸브디스크(45)가 상승하여 개방된 상태에서는 압축되면서 찌그러지게 되나 여전히 기밀성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헤드(42)의 하부 개구부에는 커버(26)가 결합되어 작동공간(S)이 밀봉되도록 하고, 상기 커버(26)의 중심부에 부싱(27)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부싱(27)의 통공(270)에 로드(44)가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부싱(27)의 외주에 밀봉부재(46)가 결합된다.
또한 부싱(27)의 외주에 스프링(미도시)이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의 외부에 밀봉부재(46)가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밸브(A)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에어공급구(AR2)를 통해 에어가 공급되면, 제2주입유로(52)를 통해 제2주입구(48)로 공급되어 피스톤(43) 및 로드(44)을 상승시킴으로써 밸브디스크(45)가 열리게 된다.
따라서 밸브디스크(45)가 열림으로써 급유통공(40)을 통해 유류 또는 액상의 저장물이 유입될 수 있어 저장탱크(2) 내에 충진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에어공급구(AR1)를 통해 에어가 공급되면, 제1주입유로(51)를 통해 제1주입구(47)로 공급되어 피스톤(43) 및 로드(44)를 하강시켜 밸브디스크(45)가 닫히게 된다.
제2실시예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T)는, 하부에 장착구(22)가 형성된 저장탱크(2); 상기 저장탱크(2) 내에 위치되며, 에어 공급에 의해 상기 장착구(22)를 개폐하는 밸브(A-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밸브(A-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체(5)를 사용하지 않고 제1에어공급구(AR1) 및 제2에어공급구(AR2)와 통하는 제1주입유로(51) 및 제2주입유로(52)가 형성된 제1 및 제2관체(5a,5b)가 적용된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밸브(A-2)는, 장착구(22)와 통하도록 저장탱크(2)의 내측 하부에 장착되며 일측에 제1에어공급구(AR1)와 제2에어공급구(AR2)가 형성되고 중앙에 급유통공(40)이 형성된 장착대(41); 상기 장착대(41)의 상부로부터 이격되어 결합되며 내측 중심부에 피스톤(43)이 삽입되는 작동공간(S)이 형성되고 벽면 내측에 상기 제1에어공급구(AR1) 및 제2에어공급구(AR2)와 통하는 제1 및 제2주입구(47)(48)가 형성된 헤드(42); 상기 장착대(41)의 상면에 다수로 설치되어 헤드(42)를 지지하며 내측으로 볼트(591)가 관통 결합되는 체결관체(59); 상기 장착대(41)의 상면에 설치되어 헤드(42)를 지지하며 내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주입구(47)(48)와 통하며 상기 제1에어공급구(AR1) 및 제2에어공급구(AR2)와 통하는 제1주입유로(51) 및 제2주입유로(52)가 형성된 제1 및 제2관체(5a,5b); 상기 헤드(42) 내에 삽입되며 공압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피스톤(43); 상기 피스톤(43)에 연결된 일정 길이의 로드(44); 상기 로드(44)의 하단에 결합되어 승강작동되며 급유통공(40)을 개폐시키는 밸브디스크(45); 상기 로드(44)의 외측에 결합되어 부식성 액체가 상기 로드(44)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밀봉부재(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헤드(42)의 하부 개구부에는 커버(26)가 결합되어 작동공간(S)이 밀봉되도록 하고, 상기 커버(26)의 중심부에 부싱(27)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부싱(27)의 통공(270)에 로드(44)가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부싱(27)의 외주에 밀봉부재(46)가 결합된다.
또한 부싱(27)의 외주에 스프링(미도시)이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의 외부에 밀봉부재(46)가 결합될 수도 있다.
제3실시예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T)는, 하부에 장착구(22)가 형성된 저장탱크(2); 상기 저장탱크(2) 내에 위치되며, 에어 공급에 의해 상기 장착구(22)를 개폐하는 밸브(A-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밸브(A-3)는, 장착구(22)와 통하도록 저장탱크(2)의 내측 하부에 장착되며 일측에 제1에어공급구(AR1)와 제2에어공급구(AR2)가 형성되고 중앙에 급유통공(40)이 형성된 장착대(41)와; 상기 장착대(41)의 상부로부터 이격되어 결합되며 내측 중심부에 피스톤(43)이 삽입되는 작동공간(S)이 형성되고 벽면 내측에 상기 제1에어공급구(AR1) 및 제2에어공급구(AR2)와 통하는 제1 및 제2주입구(47)(48)가 형성된 헤드(42)와; 상기 장착대(41)의 상면에 다수로 설치되어 헤드(42)를 지지하며 내측으로 볼트(591)가 관통 결합되는 체결관체(59)와; 상기 장착대(41)의 상면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에어공급구(AR1,AR2)와 통하는 제3피팅구(130)와, 상기 제3피팅구(130)에 하단이 결합된 제1 및 제2에어주입관(P1,P2)과, 상기 제1 및 제2에어주입관(P1,P2)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2피팅구(120)와, 상기 제2피팅구(120)에 결합되며 헤드(42)의 내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주입구(47,48)와 통하도록 헤드(42)의 일측에 결합된 제1피팅구(110)로 구성된 제1 및 제2에어관체(P1,P2)와; 상기 헤드(42) 내에 삽입되며 공압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피스톤(43); 상기 피스톤(43)에 연결된 일정 길이의 로드(44); 상기 로드(44)의 하단에 결합되어 승강작동되며 급유통공(40)을 개폐시키는 밸브디스크(45); 상기 로드(44)의 외측에 결합되어 부식성 액체가 상기 로드(44)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밀봉부재(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피팅구(110)는 도 6과 같이 "ㄱ"자 형 피팅구가 적용되거나 또는 도 7과 같이 일자형 피팅구(110')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42)의 하부 개구부에는 커버(26)가 결합되어 작동공간(S)이 밀봉되도록 하고, 상기 커버(26)의 중심부에 부싱(27)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부싱(27)의 통공(270)에 로드(44)가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부싱(27)의 외주에 밀봉부재(46)가 결합된다.
또한 부싱(27)의 외주에 스프링이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의 외부에 밀봉부재(46)가 결합될 수도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저장탱크 4 : 밸브
5 : 격벽체 41 : 장착대
42 : 헤드 43 : 피스톤
44 : 로드 45 : 밸브디스크
46 : 밀봉부재 59 : 체결관체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하부에 장착구(22)가 형성된 저장탱크(2); 상기 저장탱크(2) 내에 위치되며, 에어 공급에 의해 상기 장착구(22)를 개폐하는 밸브(A-3)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A-3)는,
    장착구(22)와 통하도록 저장탱크(2)의 내측 하부에 장착되며 일측에 제1에어공급구(AR1)와 제2에어공급구(AR2)가 형성되고 중앙에 급유통공(40)이 형성된 장착대(41)와;
    상기 장착대(41)의 상부로부터 이격되어 결합되며 내측 중심부에 피스톤(43)이 삽입되는 작동공간(S)이 형성되고 벽면 내측에 상기 제1에어공급구(AR1) 및 제2에어공급구(AR2)와 통하는 제1 및 제2주입구(47)(48)가 형성된 헤드(42)와;
    상기 장착대(41)의 상면에 다수로 설치되어 헤드(42)를 지지하며 내측으로 볼트(591)가 관통 결합되는 체결관체(59)와;
    상기 장착대(41)의 상면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에어공급구(AR1,AR2)와 통하는 제3피팅구(130)와, 상기 제3피팅구(130)에 하단이 결합된 제1 및 제2에어주입관(P1,P2)과, 상기 제1 및 제2에어주입관(P1,P2)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2피팅구(120)와, 상기 제2피팅구(120)에 결합되며 헤드(42)의 내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주입구(47,48)와 통하도록 헤드(42)의 일측에 결합된 제1피팅구(110)로 구성된 제1 및 제2에어관체(P1,P2)와;
    상기 헤드(42) 내에 삽입되며 공압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피스톤(43);
    상기 피스톤(43)에 연결된 일정 길이의 로드(44);
    상기 로드(44)의 하단에 결합되어 승강작동되며 급유통공(40)을 개폐시키는 밸브디스크(45);
    상기 로드(44)의 외측에 결합되어 부식성 액체가 상기 로드(44)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밀봉부재(4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
  4.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42)의 하부 개구부에 커버(26)가 결합되어 작동공간(S)이 밀봉되고,
    상기 커버(26)의 중심부에 부싱(27)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부싱(27)의 통공(270)에 로드(44)가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부싱(27)의 외주에 상기 밀봉부재(46)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27)의 외주에 스프링이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의 외부에 상기 밀봉부재(46)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46)는 내부식성의 테프론 수지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

KR1020120065114A 2012-02-24 2012-06-18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 KR1013402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378 2012-02-24
KR20120019378 2012-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619A KR20130097619A (ko) 2013-09-03
KR101340276B1 true KR101340276B1 (ko) 2013-12-10

Family

ID=49449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114A KR101340276B1 (ko) 2012-02-24 2012-06-18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02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584A (ko) 2020-06-16 2021-12-23 주식회사 알루포스 유체 공급/배출용 밸브장치
KR102405280B1 (ko) * 2021-01-12 2022-06-07 주식회사 알루포스 개량된 유체 공급/배출용 밸브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132B1 (ko) * 2006-11-09 2007-08-27 최영수 탱크로리용 급유밸브
KR20110042042A (ko) * 2011-03-30 2011-04-22 유홍규 오버풀 자동차단기능 및 유증기배출구 자동개폐기능이 구비된 급유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132B1 (ko) * 2006-11-09 2007-08-27 최영수 탱크로리용 급유밸브
KR20110042042A (ko) * 2011-03-30 2011-04-22 유홍규 오버풀 자동차단기능 및 유증기배출구 자동개폐기능이 구비된 급유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619A (ko) 201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2117B2 (ja) 高圧レギュレータ用安全弁
KR101340276B1 (ko)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
RU2466075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 срабатывающий при утечке аварийный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опасных химических веществ
CN201955205U (zh) 汽车部件密封性检测装置
US11312564B2 (en) Sustainable reservoir-based storage, transport, and delivery system
KR101317005B1 (ko)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
KR20150017482A (ko) 탱크로리의 유체공급장치
JP6621147B2 (ja) タンクローリー用オーバーフロー遮断装置
KR100904314B1 (ko) 탱크로리용 자동폐쇄밸브
KR200494817Y1 (ko) 온도센서 보호관용 누출 시험장치
CN210322197U (zh) 一种呼吸阀压力密封性检测装置
KR20210155584A (ko) 유체 공급/배출용 밸브장치
KR200385269Y1 (ko) 액체 밀봉식 압력 진공 밸브장치
KR101499411B1 (ko) 탱크로리용 오버플로우 차단장치
KR100515934B1 (ko) 오버플로우 방지장치
KR20050065865A (ko) 부압 안전밸브의 압력시험장비
KR101317095B1 (ko)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
KR100440013B1 (ko) 차량용 연료 탱크
KR101466715B1 (ko) 탱크로리용 유증기 회수밸브
CN108916431B (zh) 用于油田输油系统的升降式止回阀
CN217272801U (zh) 一种管道补漏放空装置
CN215985193U (zh) 一种热试燃油箱
RU6334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ливания агрессивных жидкостей
JP2559821Y2 (ja) 容器用弁の検知ピストン付キャップナット
CN216553893U (zh) 一种油气田加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