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715B1 - 탱크로리용 유증기 회수밸브 - Google Patents

탱크로리용 유증기 회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715B1
KR101466715B1 KR1020130029854A KR20130029854A KR101466715B1 KR 101466715 B1 KR101466715 B1 KR 101466715B1 KR 1020130029854 A KR1020130029854 A KR 1020130029854A KR 20130029854 A KR20130029854 A KR 20130029854A KR 101466715 B1 KR101466715 B1 KR 101466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por
tank
valve body
valv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9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5136A (ko
Inventor
곽경민
이중형
박대규
조순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정밸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정밸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정밸브
Priority to KR1020130029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715B1/ko
Publication of KR20140115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30Recovery of escaped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fluid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를 충진하고 배출하는 과정에서 유체로부터 발생하는 유증기 터미널과 저장탱크를 순환하고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환경오염을 방지하면서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게 하여 쾌적한 작업환경을 유지할 수 있고 유증기 의 유출 또는 누출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탱크로리의 상부에 설치되는 탑로딩파이프와 연결되어 터미널에서 저장탱크로 또는 저장탱크에서 터미널로 유증기를 순환시키는 탱크로리용 유증기 회수밸브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회수밸브는, 후미에는 탱크로리의 상부에 설치되는 탑로딩파이프와 연결할 수 있는 플랜지를 형성하고 선측에는 커플러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링을 형성하여 구비되는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에 커플러를 결합함으로써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와 탑로딩파이프를 연통시켜 유증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밸브유닛과, 상기 밸브바디에 유증기가 이동되는 것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확인수단으로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탱크로리용 유증기 회수밸브{RECOVERY VALVE FOR TANK LORRY}
본 발명은 탱크로리용 유증기 회수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탱크로리에 적재된 저장탱크의 상부에 설치되어 터미널로부터 유체를 저장탱크로 상차할때 또는 저장탱크의 유체를 터미널로 하차할 때 유증기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회수밸브를 개선하여 유증기의 회수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유류 또는 화공약품과 같은 유체를 수송하는 탱크로리(자동차와 기차를 포함한다)는 유체의 종류별로 탑재하기 위하여 저장탱크의 내부가 다수의 칸막이로 구획되어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저장공간의 상측에는 내부확인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탱크로리로의 유체를 적하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탱크로리의 상측을 통하는 적하하는 탑로딩(상부적하)와 탱크로리의 하측(또는 바닥)을 통하여 적하하는 바톰로딩(하부적하)이 있으나, 현재에는 유체로부터 발생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이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관련 법규로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바톰로딩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바톰로딩 방식을 살펴보면, 탱크로리를 구성하는 저장탱크의 하부에는 터미널로부터 유체를 저장탱크의 내부에 주입하여 충진하거나 또는 저장탱크의 유체를 터미널로 공급하기 위한 바텀로딩파이프가 설치되고,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에는 저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증기를 터미널로 환원시키기 위한 탑로딩파이프가 설치된다.
종래에는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의 상부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주행시 내부 화물의 유동 및 온도상승에 따른 부피팽창과 이에 따른 압력으로 인한 공기압에 의해서 탱크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안전밸브가 설치된다.
상기 안전밸브는, 밸브몸체(1)의 배출구(12) 측에 캡(21)을 갖는 밸브시트(2)가 나선결합되고, 상기 밸브시트(2) 내부의 배출구(12)의 부싱(3)에는 고무패킹(41)이 개재된 스프링시트(4)가 개폐가능하게 삽입 형성되며, 이의 상부측에 스프링(5)이 밸브시트(2)에 나선결합된 밸브체(6)로 가압된 상태로 탄력 설치됨에 있어서,
상기 밸브시트(2)의 상부 측에 에어배출공(22)을 형성하고, 캡(21)의 하단부를 상기 에어배출공(22)의 외부를 차단할 수 있게 하향 연장시켜 차단벽(70)을 형성하되, 에어배출공(22)과 거리를 두고 형성한 이중차폐부(7)와;
상기 밸브시트(2)의 상부 일측에 삽입공(81)을 형성하고, 밸브체(6)에는 상기 삽입공(81)과 일치되게 체결공(82)을 형성하여 세트스크류(83)의 체결에 의해서 상기 밸브체(6)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세팅부(8)가 구비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 20 - 0195743 - 0000 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안전밸브는, 터미널에서 탱크로리의 저장탱크로 유체를 싣거나, 저장탱크에 실려진 유체를 터미널로 하역하는 과정에서 유체로부터 발생하는 유증기를 저장탱크 또는 터미널로 회수하는 형태가 아니라 안전밸브를 통하여 대기중으로 방출하는 형태로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안전밸브는 외부의 이물질이 안전밸브를 통하여 저장탱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나, 유증기가 안전밸브를 통하여 대기중으로 방출하게 됨으로써 대기를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체로부터 발생하는 유증기에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러한 휘발성유지화합물의 경우 피부접촉이나 호흡기 흡입을 통해 신경계에 장애를 일으키는 발암물질로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인체에 유해함을 주는 원인과 더불어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에 의하여 최근에는 환경보호와 더불어 작업장 또는 작업장 인근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도적으로 유체를 상,하차하는 과정에서 유증기가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물로서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의 상부와 터미널 사이에 탑로딩파이프를 설치하여 유증기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근자에 들어서는 탑로딩파이프에 회수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회수밸브에 시각적인 확인을 위한 확인창을 형성하여 유증기의 회수상태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유증기의 특성상 작업자가 확인창을 통하여 확인하여도 흐름 상태(회수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특히 확인창의 다른 용도로는 탱크로리는 열팽창 등의 이유로 유류 적재시 적재 공간에 일정부분 빈공간을 허용해야 하는데, 만약 탱크로리 상부에 탑재된 수위계 등이 문제가 생기면 적재공간에서 액체가 범람할 가능이 있기 때문에 액체상태가 흐르는지를 확인하기 위함이나, 액체 및 기체 상태의 확실한 구별이 어렵고, 아울러 외부환경 노출 등에 의해 관측창이 오염되면 더 더욱 구분하기가 어렵게 된다.
또한 차량에 탑재되는 관계로 진동, 외부충격 등에 의해 확인창이 내구성의 문제로 손상될 경우에는 탱크로리 내부의 유증기는 물론 유체까지 외부로 누출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은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탱크로리의 상부에 설치되는 탑로딩파이프와 연결되어 터미널에서 저장탱크로 또는 저장탱크에서 터미널로 유증기를 순환시키는 탱크로리용 유증기 회수밸브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회수밸브는, 후미에는 탱크로리의 상부에 설치되는 탑로딩파이프와 연결할 수 있는 플랜지를 형성하고 선측에는 커플러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링을 형성하여 구비되는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에 커플러를 결합함으로써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와 탑로딩파이프를 연통시켜 유증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밸브유닛과, 상기 밸브바디에 유증기가 이동되는 것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확인수단으로 구성하여;
유체를 충진하고 배출하는 과정에서 유체로부터 발생하는 유증기 터미널과 저장탱크를 순환하고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환경오염을 방지하면서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게 하여 쾌적한 작업환경을 유지할 수 있고 유증기 등의 유출 또는 누출로 인한 폭발과 같은 안전사고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터미널로부터 탱크로리로 유체를 충진하고 탱크로리의 유체를 터미널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유증기가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탱크로리에 설치되는 탑로딩파이프에 설치되는 회수밸브를 개선하여 회수밸브를 통하여 유증기가 회수되는 상태를 작업자 등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유체의 상,하차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면서 유증기가 누출되는 근본적인 원인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인체에 해가 없도록 하면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탱크로리용 유증기 회수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탱크로리용 유증기 회수밸브의 확인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탱크로리용 유증기 회수밸브의 확인수단 작동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탱크로리용 밸브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탱크로리용 유증기 회수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탱크로리용 유증기 회수밸브의 확인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탱크로리용 유증기 회수밸브의 확인수단 작동상태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탱크로리용 유증기 회수밸브(100)는, 개략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밸브바디(101)의 후미에는 탱크로리의 상부에 설치되는 탑로딩파이프와 연결할 수 있는 플랜지(102)를 형성하고, 상기 밸브바디(101)의 선측에는 커플러를 연결할 수 있도록 커플러링(103)을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밸브바디(101)의 내부에는 커플러를 결합함으로써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와 탑로딩파이프를 연통시켜 유증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밸브유닛(104)을 내장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밸브바디(101)에 유증기가 이동(회수)되는 것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확인수단(105)을 더 가지도록 한다.
상기 확인수단(105)은, 밸브바디(101)의 내부 일측에 스크류 또는 볼트 등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고정바(106)를 고정하고, 상기 고정바(106)에는 유체 또는 유증기의 압력에 따라 가변 되는 가변체(107)를 결합한다.
상기 가변체(107)는 밸브바디(101)의 외부에 설치되는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타입의 게이지(108)와 연결하여 가변체(107)의 가변상태(또는 가변정도)를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변체(107)는 밸브바디(101)의 내부에 유체 또는 유증기의 압력을 전달받도록 다이어프램(109)을 설치하고, 상기 다이어프램(109)과 고정바(106) 사이에는 다이어프램(109)의 힘을 전달받아 변위가 달라지도록 하는 스프링(110)을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 스프링(109)의 변위량은 밸브바디(101) 외부에 설치되는 게이지(108)와 연결하여 변위량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예로서는 다이어프램(109)의 변위량을 바로 게이지(108)로 전달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게이지(108)에는 유증기가 이동하는 것인지 또는 유체가 이동(오버플로어)하는 것인지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유증기표시와 유체표시를 함께 가지도록 한다.
상기 유증기표시와 유체표시는, 탄성을 가지는 고무 또는 우레탄 재질의 다이어프램(109)에 압력이 작용하면 스프링(110) 방향으로 힘을 전달하게 되어 스프링(110)의 변위가 달라 지게 되므로 유증기 또는 유체 흐름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유체의 압력강하는 기체보다 액체상태에서 크기 때문에 다이어프램(109)에 가해지는 압력은 액체상태가 기체상태보다 작아지고 이로부터 스프링(110)의 변위는 액체상태가 기체상태보다 작아지게 되므로 기체상태인 유증기 상태의 변위 값보다 액체인 유체상태의 변위 값이 작으므로 내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지 않고서도 간접적으로 확인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탱크로리용 유증기 회수밸브(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탱크로리용 유증기 회수밸브(100)를 탱크로리의 상부에 설치되는 탑로딩파이프와 장착하면, 탱크로리가 운행중일 때에는 밸브바디(101) 내부에 설치되는 밸브유닛(104)에 의하여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에 저장된 유체 또는 유증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터미널로부터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에 유체를 충진하거나 또는 저장탱크의 유체를 터미널로 배출하는 과정에서는 터미널과 연결된 커플러를 밸브바디(101)의 커플러링(103)과 결합함으로써 커플러에 구비되는 작동핀이 밸브유닛(104)을 밀어 개방시키게 되므로 저장탱크의 유증기가 터미널로 이동하고 또는 터미널의 유증기가 저장탱크로 이동하는 순환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증기가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유증기의 압력에 의하여 밸브바디(101) 내부에 설치되는 가변체(107)로 전달되어 감지되고, 이러한 가변체(107)의 감지값은 밸브바디(101) 외부에 설치되는 게이지(108)를 통하여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형태로 표시하게 되므로 작업자는 유증기 또는 유체의 흐름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즉, 유증기의 순환에 따른 압력이 밸브바디(101) 내부에 설치되는 다이어프램(109)으로 전달되어 다이어프램(109)이 변화하게 되고, 상기 다이어프램(109)의 변화값은 밸브바디(101)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바(106)에 유지되는 스프링(110)을 통하여 전달되므로 스프링(110)의 변위 값을 게이지(108)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유체가 오버플로어 될 경우에는 유체의 압력이 기체상태인 유증기보다 압력이 낮기 때문에 다이어프램(109)을 통하여 스프링(110)이 변위 되는 값이 작게 되므로 게이지(108)를 통하여 표시되는 값 또한 유증기가 순환되는 때보다 작게 표시되므로 작업자는 쉽게 유체 또는 유증기 상태에서 흐르고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유체를 충진하고 배출하는 과정에서 유체로부터 발생하는 유증기 터미널과 저장탱크를 순환하고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환경오염을 방지하면서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게 하여 쾌적한 작업환경을 유지할 수 있고 유증기 등의 유출 또는 누출로 인한 폭발과 같은 안전사고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게 된다.
100; 탱크로리용 유증기 회수밸브
101; 밸브바디
105; 확인수단
106; 고정바
107; 가변체
108; 게이지
109; 다이어프램
110; 스프링

Claims (3)

  1. 후미에는 탱크로리의 상부에 설치되는 탑로딩파이프와 연결할 수 있는 플랜지를 형성하고 선측에는 커플러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링을 형성하여 구비되는 밸브바디와;
    상기 커플러를 결합함으로써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와 탑로딩파이프를 연통시켜 유증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밸브바디 내부에 설치되는 밸브유닛과;
    유증기가 이동되는 것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밸브바디에 설치되는 확인수단으로 탱크로리용 유증기 회수밸브를 구성하고;
    상기 확인수단은, 밸브바디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 결합되어 유체 또는 유증기의 압력에 따라 가변되는 가변체와;
    상기 가변체는 밸브바디의 외부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게이지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로리용 유증기 회수밸브.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체는 밸브바디의 내부에 유체 또는 유증기의 압력을 전달받도록 설치하는 다이어프램과;
    상기 다이어프램과 고정바 사이에 연결하여 다이어프램의 힘을 전달받아 변위가 달라지도록 하는 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로리용 유증기 회수밸브.
KR1020130029854A 2013-03-20 2013-03-20 탱크로리용 유증기 회수밸브 KR101466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854A KR101466715B1 (ko) 2013-03-20 2013-03-20 탱크로리용 유증기 회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854A KR101466715B1 (ko) 2013-03-20 2013-03-20 탱크로리용 유증기 회수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136A KR20140115136A (ko) 2014-09-30
KR101466715B1 true KR101466715B1 (ko) 2014-12-01

Family

ID=51758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9854A KR101466715B1 (ko) 2013-03-20 2013-03-20 탱크로리용 유증기 회수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71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4187A (ja) * 1985-05-30 1986-12-04 Tokyo Tatsuno Co Ltd 弁機構の作動確認用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4187A (ja) * 1985-05-30 1986-12-04 Tokyo Tatsuno Co Ltd 弁機構の作動確認用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136A (ko) 2014-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0257B2 (en) Operating fluid reservoir having an integrated venting and/or air admission valve
JP4130893B2 (ja) 燃料タンク
EP2311756B1 (en) Leakage self-help container for stocking hazardous chemical products
KR101466715B1 (ko) 탱크로리용 유증기 회수밸브
CA2956828C (en) Breather check valve
JP6621147B2 (ja) タンクローリー用オーバーフロー遮断装置
KR101271332B1 (ko) 위험한 화학 물질의 누출용 회수 장치
EP2852505B1 (en) Vent valve
KR101340276B1 (ko)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
KR101352953B1 (ko) 내밀림 특성 테스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101062894B1 (ko) 유류 배출 밸브용 인디게이터
US9770978B2 (en) Tank and filler tube device with protective arrangement
CN103161624B (zh) 一种囊式油箱
US20160288640A1 (en) Valve Assembly for a Float Valve
CN203568255U (zh) 一种可显示液位的挥发性液体罐车封盖
CN206476334U (zh) 一种双层卧式储油罐
JP2008168939A (ja) 地下タンクの通気管設備
CN205555133U (zh) 带有视液管的储液罐
CN103419624B (zh) 无压受油控制方法和装置
AU2019283990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olant recycling
CN110589752A (zh) 带监测功能的加油枪
CN203428310U (zh) 腐蚀性液体运输车专用呼吸阀
KR20110011381U (ko) 안전인식수단이 설치된 맨홀덮개를 구비하는 압력탱크
KR20180080644A (ko) 거품 제거 장치
WO2014138072A1 (en) Fuel spill avoidance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