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095B1 -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 - Google Patents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095B1
KR101317095B1 KR1020110043531A KR20110043531A KR101317095B1 KR 101317095 B1 KR101317095 B1 KR 101317095B1 KR 1020110043531 A KR1020110043531 A KR 1020110043531A KR 20110043531 A KR20110043531 A KR 20110043531A KR 101317095 B1 KR101317095 B1 KR 101317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tank
valve
coupled
guid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5842A (ko
Inventor
최영수
Original Assignee
최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수 filed Critical 최영수
Priority to KR1020110043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7095B1/ko
Publication of KR20120125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5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5Adaptations for pumps or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fluids, e.g. having direct contact between fluid and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05Constructional features
    • B60P3/2215Mounting of tanks to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65Arrangements for hoses, tubes, or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6Silo or fluid transport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44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Regu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548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by pneuma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류 또는 약품을 적재하는 탱크의 밸브 개폐작동이 공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어 전기장치를 사용하지 않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는 하부에 급유구(22)가 형성되고, 상기 급유구(22)와 대칭되도록 상부에 장착부(24)가 형성된 저장탱크(2); 상기 장착부(24)에 장착되며 에어 공급호스가 연결되는 작동부(4); 상기 저장탱크(2) 내에 위치되며, 상기 급유구(22)를 개폐하는 밸브(7); 상기 저장탱크(2) 내에 수직되게 삽입되며 하부는 상기 밸브(7)에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장착부(24)를 통과하여 작동부(4)에 연결된 가이드봉(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Tank lorry's storage tank apparatus}
본 발명은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류 또는 약품을 적재하는 탱크의 밸브 개폐작동이 공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어 전기장치를 사용하지 않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류 또는 화공약품을 수송하는 탱크로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100)의 내부공간에 개구부(120)를 형성함과 아울러 개구부(120)의 안쪽에는 최대 적재용량을 표시하는 한계표시점(130)을 형성하고, 각 내부공간의 바닥면에 형성한 급유구(140)에는 급유밸브(160)가 설치된다.
따라서 저장탱크(100) 하측의 급유파이프(150)로부터 적재물을 공급받거나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급유밸브(160)는 저장탱크(100)의 상부에 형성한 제어밸브(170)의 작동에 따라 탱크로리에 구비된 압축공기통(T)의 공기압력에 의하여 개폐된다.
그리고 저장탱크(100)의 상부에는 통기파이프(180)가 각 내부공간마다 연통하도록 하되, 각 내부공간에 해당하는 다수의 통기밸브(181)를 통기파이프(180)에 형성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저장탱크의 상부에 에어 실린더장치를 구비하고, 이 에어 실린더장치에 공기압을 공급함으로써 저장탱크 내에 장착된 가이드봉 및 밸브가 승강작동하면서 급유구를 개폐하도록 함으로써 작동이 정확하고 신속하며 공압에 의한 자동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가이드봉이 소정 각도 내에서 굴절이 가능하여 잦은 사용에 따른 가이드봉의 휨 변형을 능동적으로 수용할 수 있어 작동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에 급유구가 형성되고, 상기 급유구와 대칭되도록 상부에 장착부가 형성된 저장탱크;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며 에어 공급호스가 연결되는 작동부; 상기 저장탱크 내에 위치되며, 상기 급유구를 개폐하는 밸브; 상기 저장탱크 내에 수직되게 삽입되며 하부는 상기 밸브에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장착부를 통과하여 작동부에 연결된 가이드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봉은 상부 및 하부 가이드로 분할되며, 상기 상,하부 가이드는 굴절부가 장착되어 굴절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굴절부는 상부 가이드와 연결되는 제1축이 형성된 구체; 상기 구체가 삽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며 하부 가이드와 연결되는 결합구;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며, 구체의 상,하부에 지지되는 곡면을 갖는 제1 및 제2지지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의 상,하부에 에어공급호스가 연결되는 제1 및 제2주입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삽입되며 공압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며 가이드봉의 상부에 연결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는 상기 가이드봉의 하단에 결합되어 급유구를 개폐시키는 밸브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탱크에는 내부의 유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유증기 배출장치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증기 배출장치는 일측에 배기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승강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개구가 형성되며, 타측에 에어공급호스가 연결되는 제3 및 제4주입구가 상,하부에 각기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며 공압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제2피스톤; 상기 제2피스톤에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 결합되어 하우징의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주입구는 작동부의 제2주입구의 에어공급호스와 연결되고, 상기 제4주입구는 작동부의 제1주입구의 에어공급호스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탱크의 상부에 에어 실린더장치를 구비하고, 이 에어 실린더장치에 공기압을 공급함으로써 저장탱크의 내부에 장착된 가이드봉 및 밸브가 승강작동되면서 급유구를 개폐할 수 있어 작동이 정확하고 신속하며 공압에 의한 자동제어가 가능하여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봉이 소정 각도 내에서 굴절이 가능하여 잦은 사용에 따른 가이드봉의 휨 변형을 능동적으로 수용할 수 있어 작동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상기 도 2에서 "굴절부"를 나타낸 분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상기 도 2에서 "굴절부"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A)는, 하부에 급유구(22)가 형성되고, 상기 급유구(22)와 대칭되도록 상부에 장착부(24)가 형성된 저장탱크(2); 상기 장착부(24)에 장착되는 작동부(4); 상기 저장탱크(2) 내에 위치되며 상기 급유구(22)를 개폐하는 밸브(7); 상기 저장탱크(2) 내에 수직되게 삽입되며 하부는 상기 밸브(7)에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장착부(24)를 통과하여 작동부(4)에 연결된 가이드봉(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저장탱크(2)는 내부에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외부의 급유관(미도시)이 연결되도록 급유구(22)가 형성된다.
상기 저장탱크(2)의 내측에는 급유구(22)에 대응되며 상기 밸브(7)가 결합되도록 반구형의 바디(26)가 장착되고, 상기 바디(26)의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봉(6)이 통공에 삽입된 채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봉(6)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봉체이다. 그러나 단일의 봉체로 된 가이드봉(6)은 잦은 작동에 의한 피로누적 및 가압에 의한 변형으로 인해 휨변형이 발생되며, 이러한 휨변형이 발생되면 밸브(7)의 개폐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폐단이 발생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봉(6)의 중간을 나누어서 상,하부 가이드(62,64)로 분할시키고, 상기 상,하부 가이드(62,64)는 굴절부(5)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상,하부 가이드(62,64)가 각기 소정 각도 내에서 굴절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 굴절부(5)는 상부 가이드(62)와 연결되는 제1축(521)이 형성된 구체(52); 상기 구체(52)가 삽입되는 하우징(54); 상기 하우징(54)의 하부에 결합되며 하부 가이드(64)와 연결되는 결합구(56); 상기 하우징(54) 내에 삽입되며, 구체(52)의 상,하부에 지지되는 곡면(c)을 갖는 제1 및 제2지지링(57,5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작동부(4)는 가이드봉(6)을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킴으로써 가이드봉(6)에 연결된 밸브(7)가 급유구(22)를 폐쇄 또는 개방시키는 작용을 유발하게 된다.
상기 작동부(4)는 상기 장착부(24)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의 상,하부에 에어공급호스(h1,h2)가 각기 연결되는 제1 및 제2주입구(47,48)가 형성된 본체(42); 상기 본체(42) 내에 삽입되며 공압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피스톤(44); 상기 피스톤(44)에 결합되며 가이드봉(6)의 상부에 연결되는 샤프트(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제1주입구(47)는 에어 공급에 의해 피스톤(44)을 하강시키는 기능을 하게 되고, 제2주입구(48)는 에어 공급에 의해 피스톤(44)을 상승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피스톤(44)은 외주면의 상,하부에 각기 제1주입구(47) 및 제2주입구(48)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에어 공급시 상,하부의 홈에 분사되어 하강 또는 상승시키는 힘을 발휘하도록 한다.
따라서 피스톤(44)의 하강은 급유구(22)의 폐쇄작동을 유발하고, 피스톤(44)의 상승은 급유구(22)의 개방작동을 유발하게 된다.
상기 밸브(7)는 급유구(22)의 내측에 결합된 반구형의 바디(26)의 통공에 결합된 하부 가이드(64)에 형성된다.
즉 상기 바디(26)의 통공에 부싱(262)이 형성되어 하부 가이드(64)가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부싱(262)의 외측에 결합되어 부식성 액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밀봉부재(9)가 구비된다.
상기 밀봉부재(9)는 내부식성의 테프론 수지재질이며 부싱(262)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하단 및 상단이 기밀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봉(6)의 하단, 즉 하부 가이드(62,64)의 하단에 밸브디스크(74)가 결합되어 급유구(22)를 개폐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저장탱크(2)에는 내부의 유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유증기 배출장치(8)가 더 설치된다.
상기 유증기 배출장치(8)는 급유구(22)의 개방시 폐쇄되고, 급유구(22)의 폐쇄시 개방되도록 밸브디스크(74)와 상반되게 작동되도록 한다.
즉 급유 중에는 배기구(85)를 차단시키게 되고, 급유 종료시 배기구(85)가 개방되도록 하였다.
상기 유증기 배출장치(8)는 일측에 배기구(85)가 형성되며 내부에 승강공간(810)이 형성되고 하부에 개구가 형성되며, 타측에 제3 및 제4에어공급호스(h3,h4)가 각기 연결되는 제3 및 제4주입구(83,84)가 상,하부에 각기 형성된 하우징(81); 상기 하우징(81) 내에 삽입되며 공압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제2피스톤(86); 상기 제2피스톤(86)에 결합되는 샤프트(87); 상기 샤프트(87)의 하단에 결합되어 하우징(81)의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판(8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3주입구(83)는 작동부(4)의 제2주입구(48)의 에어공급호스(h1)로부터 분기된 제3에어공급호스(h3)와 연결되고, 상기 제4주입구(84)는 작동부(4)의 제1주입구(47)의 에어공급호스(h2)로부터 분기된 제4에어공급호스(h4)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유증기 배출장치(8)는 급유구(22)의 개방시 폐쇄되고, 급유구(22)의 폐쇄시 개방되도록 밸브디스크(74)와 상반되게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공급호스(h1)를 통해 고압의 에어가 작동부(4)의 제2주입구(48)에 공급되면 피스톤(44)이 상승하게 되고, 이에 연동되어 가이드봉(6)이 상승하게 되며, 아울러 밸브디스크(74)가 상승하여 급유구(22)가 개방된다.
따라서 급유구(22)를 통해 유류 또는 액상의 저장물이 주입될 수 있어 저장탱크(2) 내에 충진된다.
이와 동시에 제3에어공급호스(h3)를 통해 고압의 에어가 제3주입구(83)로 공급되어 유증기 배출장치(8)의 제2피스톤(86)을 하강시키게 되므로 그에 종동된 개폐판(88)이 하강되어 하우징(81)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가 개방된다.
따라서 저장탱크(2) 내의 충진된 가스가 배기구(85)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저장탱크(2) 내에 주입이 완료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공급호스(h2)를 통해 고압의 에어가 작동부(4)의 제1주입구(47)를 통해 고압의 에어가 공급되고, 피스톤(44)이 하강되며, 이에 연동되어 가이드봉(6) 및 밸브디스크(74)가 하강하여 급유구(22)가 폐쇄된다.
이와 동시에 제4에어공급호스(h4)를 통해 고압의 에어가 제4주입구(84)로 공급되어 유증기 배출장치(8)의 제2피스톤(86)을 상승시키게 되므로 그에 종동된 개폐판(88)이 상승하여 하우징(81)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를 막아 폐쇄시킨다.
한편 밸브(7)의 개폐작동이 잦아지면 가이드봉(6)을 구성하는 상,하부 가이드(62,64)가 변형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굴절부(5)에 의해 상,하부 가이드(62,64)가 휘어지더라도 일정량의 변형각도를 수용할 수 있게 되어 밸브(7)의 개폐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변형률을 보정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저장탱크 4 : 작동부
5 : 굴절부 6 : 가이드봉
7 : 밸브 8 : 유증기 배출장치
24 : 장착부 26 : 바디
44 : 피스톤 46 : 샤프트
52 : 구체 54 : 하우징
57,58 : 제1 및 제2지지링 81 : 하우징
87 : 샤프트 88 : 개폐판

Claims (6)

  1. 하부에 급유구(22)가 형성되고, 상기 급유구(22)와 대칭되도록 작동부(4)가 형성된 저장탱크(2);
    상기 저장탱크(2) 내에 위치되며 상기 급유구(22)를 개폐하는 밸브(7);
    상기 저장탱크(2) 내에 수직되게 삽입되며 하부는 상기 밸브(7)에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작동부(4)에 연결된 가이드봉(6)으로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봉(6)은 상,하부 가이드(62,64)로 분할되고, 상기 상,하부 가이드(62,64)는 굴절부(5)에 의해 연결되어 굴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부(5)는
    상기 상부 가이드(62)와 연결되는 제1축(521)이 형성된 구체(52);
    상기 구체(52)가 삽입되는 하우징(54);
    상기 하우징(54)의 하부에 결합되며 하부 가이드(64)와 연결되는 결합구(56);
    상기 하우징(54) 내에 삽입되며, 구체(52)의 상,하부에 지지되는 곡면을 갖는 제1 및 제2지지링(57,58)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4)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의 상,하부에 에어공급호스(h1,h2)가 각기 연결되는 제1 및 제2주입구(47,48)가 형성된 본체(42);
    상기 본체(42) 내에 삽입되며 공압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피스톤(44);
    상기 피스톤(44)에 결합되며 가이드봉(6)의 상부에 연결되는 샤프트(4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7)는 상기 가이드봉(6)의 하단에 결합되어 급유구(22)를 개폐시키는 밸브디스크(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7)는 급유구(22)의 내측에 결합된 반구형의 바디(26)의 통공에 부싱(262)이 형성되고,
    상기 부싱(262)의 외측에 밀봉부재(9)가 결합되며,
    상기 밀봉부재(9)는 내부식성의 테프론 수지재질이며 부싱(262)의 외주면에 기밀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
  6. 삭제
KR1020110043531A 2011-05-09 2011-05-09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 KR101317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531A KR101317095B1 (ko) 2011-05-09 2011-05-09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531A KR101317095B1 (ko) 2011-05-09 2011-05-09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842A KR20120125842A (ko) 2012-11-19
KR101317095B1 true KR101317095B1 (ko) 2013-10-11

Family

ID=47511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531A KR101317095B1 (ko) 2011-05-09 2011-05-09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70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9567A (zh) * 2018-11-02 2019-01-29 张长轩 一种油罐车外置气缸内扣密封大盖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492B1 (ko) * 2007-01-03 2007-05-10 최영수 탱크로리용 밸브제어장치
KR100752132B1 (ko) * 2006-11-09 2007-08-27 최영수 탱크로리용 급유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132B1 (ko) * 2006-11-09 2007-08-27 최영수 탱크로리용 급유밸브
KR100716492B1 (ko) * 2007-01-03 2007-05-10 최영수 탱크로리용 밸브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842A (ko) 2012-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8369B1 (ko) 펌핑식 화장품용기
JP5279664B2 (ja) シリンダバレルの表面処理装置
JP6944100B2 (ja) 液圧シリンダ装置及び液圧シリンダ装置の作動液漏れ検出方法
CN105485038A (zh) 一种流体离心泵的双端面机械密封监测装置
KR102115006B1 (ko) 그리스 주입장치
KR101317005B1 (ko)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
KR101317095B1 (ko)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
KR101453479B1 (ko) 수몰식 리크 테스트 장치
KR20140029218A (ko) 가스 홀더
JP6621147B2 (ja) タンクローリー用オーバーフロー遮断装置
KR101184695B1 (ko) 파일럿 제어방식의 피스톤 밸브
WO2014205887A1 (zh) 一种低温储液罐的浮球限充装置
KR101551761B1 (ko) 버터플라이밸브 충격압력 시험장치
KR101340276B1 (ko) 탱크로리의 저장탱크장치
KR101279562B1 (ko) 극저온 유체용 솔레노이드 펌프
KR102206475B1 (ko) 자동차 정비용 에어실린더 오일펌핑장치
KR101210944B1 (ko) 누유 방지구조를 갖는 액 주입모듈
JP2015161410A (ja) 発電所用油圧アクチュエータアセンブリー
JP2015055225A (ja) 定量吐出ポンプ
EP2876338B1 (en) Check valve with back pressure relief
CN207093865U (zh) 一种用于高温工况的先导式安全阀
KR102476802B1 (ko) 액상 약품 주입기용 밸브
KR20070092381A (ko) 고속 전해액 주입 장치의 주액 헤드
KR100583470B1 (ko) 드럼용 기밀테스트 장치
KR20180049991A (ko) Lng 저장 탱크의 펌프 타워 및 이것의 비상시 운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