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801B1 -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801B1
KR100693801B1 KR1020050097294A KR20050097294A KR100693801B1 KR 100693801 B1 KR100693801 B1 KR 100693801B1 KR 1020050097294 A KR1020050097294 A KR 1020050097294A KR 20050097294 A KR20050097294 A KR 20050097294A KR 100693801 B1 KR100693801 B1 KR 100693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pipe
air
cylinder
rotating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7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수
Original Assignee
최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수 filed Critical 최영수
Priority to KR1020050097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8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5Adaptations for pumps or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fluids, e.g. having direct contact between fluid and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6Silo or fluid transport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3Materials or fluids with special properties
    • B60Y2410/132Magnetic, e.g. permanent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44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Regu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저장탱크에 설치된 다수개의 케이스와; 상기 저장탱크의 일측에 설치된 에어콤프레셔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부구의 상승작동에 의해 밀어올려져 회전작동하는 회전자석과; 상기 회전자석에 대응되는 작동봉이 수직되게 설치된 부구와; 상기 회전자석의 회전반경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콤프레셔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급유밸브로 이송시키는 제1스위치와; 상기 제1제어스위치로부터 공급된 에어에 의해 작동하며, 상기 급유밸브를 개폐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회전자석의 회전반경 내에 배치되도록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콤프레셔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상승작동하여 회전자석을 회전작동시키도록 한 복귀장치와; 상기 회전자석의 회전반경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자석과; 상기 에어콤프레셔와 연결되며, 상기 복귀장치에 대한 에어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2스위치와; 상기 에어콤프레셔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자석에 직접적인 에어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3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탱크로리, 적재, 에어, 승강, 밸브

Description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TANK LORRY'S VALVE CONTROL SYSTEM}
도 1은 종래 기술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장치를 설비한 탱크로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적재물을 공급할때부터 차단시킬때까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적재물을 배출시킬때 본 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저장탱크에 소량의 적재물을 적재시킬 때 본 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에서 제1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저장탱크 2 : 격벽
3 : 개구부 8 : 통기파이프
9a, 9b : 통기밸브 10 : 부구
20 : 케이스 30 : 제1스위치
40 : 복귀장치 50 : 제2스위치
60 : 제3스위치 70 : 회전자석
80 : 에어콤프레셔 90 : 고정자석
100 : 실린더
본 발명은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탱크로리에 탑재된 저장탱크에 유류 또는 화공약품을 적재함에 있어 적재 완료와 동시에 저장탱크에 형성된 급유밸브를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 적재작업을 무인화 할 수 있고, 안전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한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탱크로리는 유류 또는 화공약품(이하 적재물이라 함) 등을 대량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저장탱크를 갖춘 화물 자동차를 의미한다.
첨부된 도 1은 탱크로리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를 살펴보면,
적재물을 수송하는 탱크로리는 관련 법규에 따라 탑재된 저장탱크(1)의 내부를 다수의 격벽(2)으로 구획하는 바, 상기 구획된 저장탱크(1)의 내부공간에는 각각 개구부(3)가 형성됨과 아울러 각 개구부(3)의 안쪽에는 최대 적재용량을 표시하는 게이지바(4)가 형성되고, 각 내부공간의 바닥면에는 급유밸브(6)가 형성되어 급유파이프(5)로부터 적재물을 공급받도록 형성되며, 상기 각 급유밸브(6)는 저장탱 크(1)의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해당 제어스위치(7)의 작동에 따라 공기압에 의하여 개폐되는 한편, 저장탱크(1)의 상부에는 통기파이프(8)가 각 내부공간마다 연통됨과 아울러 상기 통기파이프(8)에는 다수의 통기밸브(9a,9b)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탱크로리에 있어 적재물의 공급과정을 살펴보면,
운전자가 탱크로리의 상부에 올라가 전체 또는 일부 제어스위치(7)를 작동하여 에어콤프레셔(미도시)의 공기압에 의해 해당 급유밸브(6)를 개방함으로써 적재물을 주입하되, 이때 저장탱크(1)의 내부공기를 배기하여 적재물이 원활히 주입될 수 있도록 통기밸브(9a,9b)를 개방하는 바, 상기 통기밸브(9a,9b)는 통기파이프(8)의 최종단에 형성되어 노상(路上)에서 개폐하는 주밸브(9a)와 구획된 각 내부공간마다 형성되어 탱크로리의 상부에서 개폐하는 다수의 보조밸브(9b)를 모두 개방한다.
그리고, 탱크로리의 상부에서 운전자가 개구부(3)의 덮개를 열고 상기 내부공간에 형성된 게이지바(4)까지 적재물이 주입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되, 최대 적재량에 도달한 내부공간의 제어스위치(7)부터 차단하여 해당 급유밸브(6)를 폐쇄함과 아울러 해당 보조밸브(9b)를 차단한 다음 개구부(3)의 덮개를 폐쇄함으로써 각 내부공간에 대한 적재를 마치는 한편, 모든 내부공간에 대한 적재가 완료되면 운전자는 최종적으로 통기파이프(8)의 주밸브(9a)를 폐쇄하는 것으로 적재를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탱크로리의 경우, 적재물을 적재함에 있어 적재물을 공급하는 공급설비(미도시)측의 계량기 구비 여부와 관계없이 운전자가 탱크로리의 상부에 직접 올라가서 각 개구부의 덮개를 열고 그 내부에 형성된 게이지바까지 내용물이 공급됨을 육안으로 확인한 다음 제어스위치 및 통기밸브를 조작함에 따라 그 작업이 불편하였음은 물론이고 유류와 같은 인화성 물질을 적재할 경우 폭발 및 화재의 위험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유독성 화공약품의 경우 기화된 화공약품이 대기로 방출되어 환경오염을 유발함과 아울러 작업자가 유독성 물질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한편으로 게이지바가 최대 적재용량만을 표시함으로써 소량적재시 정확한 적재량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탱크로리의 적재물의 적재 또는 유출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가 전기식인 경우 탱크로리가 화재 또는 폭팔이 일어날 수 있는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탱크로리에 적재물을 적재함에 있어 적재 완료와 동시에 급유밸브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고, 자동으로 개방하여 적재물을 이송할 수 있는 개폐장치를 제공하여 작업간 운전자가 탱크로리에 대기하고 있을 필요가 없이 무인화할 수 있도록 한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구획된 저장탱크의 각 내부공간마다 개구부 및 급유밸브가 형성됨과 아울러 통기파이프가 연통되어 구성된 탱크로리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공간마다 설치된 다수개의 케이스와; 상기 저장탱크의 일측에 설치된 에어콤프레셔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부구의 상승작동에 의해 밀어올려져 회전작동하는 회전자석과; 상기 회전자석에 대응되는 작동봉이 수직되게 설치된 부구와; 상기 회전자석의 회전반경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콤프레셔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급유밸브로 이송시키는 제1스위치와; 상기 제1제어스위치로부터 공급된 에어에 의해 작동하며, 상기 급유밸브를 개폐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회전자석의 회전반경 내에 배치되도록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콤프레셔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상승작동하여 회전자석을 회전작동시키도록 한 복귀장치와; 상기 회전자석의 회전반경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자석과; 상기 에어콤프레셔와 연결되며, 상기 복귀장치에 대한 에어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2스위치와; 상기 에어콤프레셔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자석에 직접적인 에어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3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장치를 설비한 탱크로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5는 적재물을 공급할때부터 차단시킬때까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한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탱크로리의 개폐장치는, 저장탱크(1)의 내부공간마다 설치된 다수개의 케이스(20)와; 상기 저장탱크(1)의 일측에 설치된 에어콤프레셔(80)와; 상기 케이스(20) 내부에 설치되며, 부구(10)의 상승작동에 의해 밀어올려져 회전작동하는 회전자석(70)과; 상기 회전자석(70)에 대응되는 작동봉(14)이 수직되게 설치된 부구(10)와; 상기 회전자석(70)의 회전반경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스(2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콤프레셔(8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급유밸브(6)로 이송시키는 제1스위치(30)와; 상기 제1스위치(30)로부터 공급된 에어에 의해 작동하며, 상기 급유밸브(6)를 개폐시키는 실린더(100)와; 상기 회전자석(70)의 회전반경 내에 배치되도록 케이스(2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콤프레셔(8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상승작동하여 회전자석(70)을 회전작동시키도록 한 복귀장치(40)와; 상기 회전자석(70)의 회전반경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스(20)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자석(90)과; 상기 에어콤프레셔(80)와 연결되며, 상기 복귀장치(40)에 대한 에어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2스위치(50)와; 상기 에어콤프레셔(80)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자석(70)에 직접적인 에어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3스위치(60);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자석(70)은 일단부가 힌지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 장방형의 편체로써, 그 타단부는 후술될 부구(10)의 작동봉(14)의 끝단과 접하도록 설치 된 것으로, 상기 부구(10)가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작동봉(14)이 상승함에 의해 밀어 올려짐으로써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구(10)는 저장탱크(1)의 상부벽면의 저부에 수직되게 설치된 관체(12) 내에 삽입된 소정 길이의 작동봉(14)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적재물이 차오르면 부력에 의해 상승된다.
첨부된 도 9 및 도 10은 제1스위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자석(70)의 회전반경 내에 제1스위치(30)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1스위치(30)는, 외측면 일측에 에어콤프레셔(80)와 연결된 유입관(35)이 설치되고, 타측에 급유밸브측의 실린더(100)와 연결된 유출관(36)이 설치되며, 또다른 타측에는 배출관(33)이 설치된 외통체(32)와; 내측의 하부에는 전술한 유입관(35) 및 유출관(36)과 통하는 제1유로(311)가 형성되고, 내측의 상부에는 전술한 유출관(36) 및 배출관(33)과 통하는 제2유로(312)가 형성되며, 상면에 소정의 보턴(200)이 형성된 내통체(31)와; 상기 외통체(32)의 내측에 개재되어 상기 내통체(3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34);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외통체(32) 내에 스프링(34) 및 내통체(31)가 삽입되어 구성되는데, 급유밸브(6)를 개방하기 위해서 상기 제1유로(311)와 유입관(35) 및 유출관(36)이 일치된 상태가 되면, 에어가 급유밸브측의 실린더(100)에 공급될 수 있어 급유밸브(6)를 개방시켜줌으로써 적재물이 저장탱크(1) 내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자석(70)이 회전되어 상기 보턴(200)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내통체(31)를 누르면, 상기 제2유로(312)와 유출관(36) 및 배출관(33)이 일치되므 로, 에어의 유입은 차단되고, 유출관(36)에 차있던 에어가 배출관(33)으로 배출됨으로써 급유밸브측의 실린더(100)가 역으로 작동하여 급유밸브(6)를 차단함으로써 적재물의 유입이 중단된다.
한편, 상기 회전자석(70)은 양극 또는 음극의 자성을 띄도록 하고, 이와 상반되는 극성을 갖는 고정자석(90)을 상기 회전자석(70)의 회전반경 내에 설치함으로써 전술한 동작에 의해 회전된 회전자석(70)이 자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자착된 회전자석(70)과 고정자석(90) 사이에 소정의 틈새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자석(90)은 회전자석(70)의 저면보다 낮은 위치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린더(100)는 전술한 제1스위치(30)로부터 공급된 에어에 의해 작동되어 급유밸브(6)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이는 공급된 에어에 의해 로드(미도시)가 돌출하면 급유밸브(6)의 디스크를 개방시키게 되고, 에어의 공급이 중단되면 인입되어 급유밸브(6)의 디스크가 폐쇄되는 구조이며, 이는 통상의 구조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회전자석(70)의 회전반경 내에는 복귀장치(40)가 설치되고, 상기 복귀장치(40)의 작동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되었던 회전자석(70)이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어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복귀장치(40)는, 전술한 제1스위치(30)의 일측에 설치되되 비스듬하게 설치되며 하단부에는 후술될 제2스위치(50)와 연결된 연결관(56)이 설치된 수용관체(42)와, 상기 수용관체(42) 내에 삽입되며 하단에는 블럭(48)이 형성된 소정 길이의 작동핀(44)과, 상기 수용관체(42) 내에 개재되어 상기 작동핀(44)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46)으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핀(44)은 수용관체(42) 내에 삽입되어 비스듬하게 설치되는데, 이때 경사방향은 상단부가 상기 회전자석(70)의 힌지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정함으로써 에어가 공급되면, 상기 작동핀(44)이 상승하여 회전자석(70)의 저면을 밀쳐내게 되어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스위치(50)는 에어콤프레셔(8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전술한 복귀장치(40)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내측에 유로(512)가 형성되고 상부에 보턴(200)이 형성된 내통체(51)와, 상기 내통체(51) 및 스프링(54)을 수용하는 외통체(52)로 구성되며, 작업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차체의 외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외통체(52)에는 에어콤프레셔(80)와 통하는 인입관(53)이 일측 상부에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상기 유출관(55)이 설치되어 있으며, 타측면에는 상기 복귀장치(40)와 연결되되 상기 인입관(53) 및 유출관(55)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통공(514)과 연결된 연결관(56)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내통체(51)는 전술한 제1스위치(30)와 동일하게 스프링(54)에 의해 탄성적으로 승강작동될 수 있도록 하며, 내통체(51)를 1차로 하강시키면 상기 유로(512)와 인입관(53) 및 연결관(56)이 통하게 되어 에어가 복귀장치(40)로 공급됨으 로써 작동핀(44)이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통체(51)를 2차로 더 하강시키면 상기 유로(512)와 유출관(55) 및 연결관(56)이 통하게 되어 에어의 유입은 차단되고, 연결관(56) 내에 차있던 에어가 유출관(55)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복귀장치(40)의 작동핀(44)이 인입되어 원상태로 복귀된다.
상기한 제2스위치(50)의 조작은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작동시키게 된다.
한편, 저장탱크(1) 내에 소량의 적재물을 저장하고자 할 경우, 필요한 양만큼 적재되었을 때 작업자가 제3스위치(60)를 조작하여 상기 회전자석(70)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스위치(30)에 대한 에어의 공급을 차단하여 급유밸브(6)를 닫을 수 있다.
상기 제3스위치(60)는 내측에 유로(612)가 형성된 내통체(61)와, 상기 내통체(61)가 수용되며 외측면 일측에는 에어콤프레셔(80)와 연결된 인입관(63)이 설치되고, 외측면 타측에는 전술한 회전자석(70)의 하부에 접하도록 케이스(20)에 형성된 통기관(67)과 연결된 연결관(66)이 설치된 외통체(62)와, 상기 외통체(62) 내에 개재되어 내통체(6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64)으로 구성된 것이며,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차체의 외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내통체(61)를 눌러 하강시키면 유로(612)와 인입관(63) 및 연결관(66)이 일치됨으로써 에어가 상기 통기관(67)으로 공급되어 회전자석(70)을 회전시키게 되고, 회전된 회전자석(70)에 의해 제1스위치(30)가 작동하여 실린더(100)에 대한 에어의 공급이 차단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급유밸브(6)를 닫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는 적재물을 공급할때부터 차단시킬때까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차체에 마련된 에어콤프레셔(80)를 가동하면, 이로부터 에어가 공급되어 상기 제1스위치(30)를 통해 급유밸브측의 실린더(100)에 공급되어 급유밸브(6)를 개방될 수 있어 적재물이 저장탱크(1)로 투입된다(도 3 참조).
점차로 수위가 차오르게 되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면이 상기 부구(10)에 닿게 되면 부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작동봉(14)이 상승하여 회전자석(70)을 밀어올림으로써 회전시키게 되고, 회전자석(70)이 반대편으로 회전하여 상기 고정자석(90)과 자착됨과 동시에 상기 제1스위치(30)를 누르게 된다(도 5 참조).
따라서, 상기 회전자석(70)이 회전되어 상기 제1스위치(30)의 보턴(200)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내통체(31)를 누르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유로(312)와 유출관(36) 및 배출관(33)이 일치되므로, 에어의 유입은 차단됨과 동시에 유출관(36)에 차있던 에어가 배출관(3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급유밸브측의 실린더(100)가 역으로 작동하여 급유밸브(6)를 차단하게 되므로 적재물의 유입이 중단된다.
상기한 개폐장치는 탱크로리의 저장탱크(1)의 각 내부공간마다 설치되므로 상술한 작동은 모든 내부공간에서 동시에 수행된다.
한편, 첨부된 도 6 및 도 7은 적재물을 배출시킬때 본 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착지에 도착하여 저장탱크 내에 적재된 적재물을 하역하기 위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제2스위치(50)를 1차로 눌러주면, 내통체(51)의 유로(512)와 인입관(53) 및 연결관(56)이 통하게 되어 에어가 상기 복귀장치(40)로 공급됨으로써 에어 압력에 의해 블럭(48)이 상승하게 되어 작동핀(44)이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작동핀(44)에 의해 회전자석(70)이 밀어올려져 회전되어 원상태로 복귀된다.
이에 연동하여 상기 제1스위치(30)의 내통체(31)가 스프링(34)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함에 의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유입관(35)과 제1유로(311) 및 유출관(36)이 통하게 되어 에어가 급유밸브측의 실린더(100)로 공급됨으로써 급유밸브(6)가 개방되어 적재물을 주밸브(9a)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 저장탱크(1) 내의 적재물의 하역작업이 완료되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제2스위치(50)를 더 눌러서 내통체(51)의 유로(512)와 유출관(55) 및 연결관(56)이 통하게 되어 에어의 유입은 차단되고, 연결관(56) 내에 차있던 에어가 유출관(55)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복귀장치(40)의 작동핀(44)은 스프링 (46)의 복원력에 의해 하강하여 수용관체(42) 내로 인입되어 원상태로 복귀된다.
첨부된 도 8은 저장탱크에 소량의 적재물을 적재시킬 때 본 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저장탱크(1) 내로 적재물을 유입하는 작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콤프레셔(80)의 에어가 상기 제1스위치(30)로 공급되어 급유밸브를 개방시킴으로써 실시된다.
이후 작업자가 원하는 양만큼 적재물이 유입되었을 때, 상기 제3스위치(60)를 눌러 내통체(61)를 하강시키면 유로(612)와 인입관(63) 및 연결관(66)이 통하게 되어 에어가 상기 통기관(67)으로 공급되므로, 에어 압력에 의해 회전자석(70)을 회전시키게 되고, 회전된 회전자석(70)이 상기 제1스위치(30)를 눌러줌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급유밸브측의 실린더(100)에 대한 에어의 공급이 차단됨으로써 급유밸브(6)를 닫게 되어 적재물이 더이상 저장탱크(1)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차단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에 따르면, 탱크로리 에 적재물을 적재함에 있어 적재 완료와 동시에 급유밸브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고, 또한 급유밸브를 자동으로 개방하여 적재물을 배출할 수 있으므로 작업간 운전자가 탱크로리에 항상 대기하고 있을 필요가 없이 무인화할 수 있는 장점이 제공된다.
아울러, 저장탱크 내에 소량의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는 전기적 스위치를 원천적으로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전기적 스파크에 의한 탱크로리의 화재 또는 폭팔과 같은 위험이 없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내부공간이 구획된 저장탱크의 각 내부공간마다 개구부 및 급유밸브가 형성됨과 아울러 통기파이프가 연통되어 구성된 탱크로리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1)의 내부공간마다 설치된 다수개의 케이스(20)와;
    상기 저장탱크(1)의 일측에 설치된 에어콤프레셔(80)와;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에 힌지결합되며, 부구(10)의 상승작동에 의해 밀어올려져 회전작동하는 회전자석(70)과;
    상기 회전자석(70)에 대응되는 작동봉(14)이 수직되게 설치된 부구(10)와;
    상기 회전자석(70)의 회전반경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스(2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자석(70)의 회전에 의한 누름 및 해제조작에 의해 급유밸브(6)를 폐쇄 및 개방시키도록 하는 제1스위치(30)와;
    상기 제1스위치(30)로부터 공급된 에어에 의해 작동하며, 상기 급유밸브(6)를 개폐시키는 실린더(100)와;
    상기 회전자석(70)의 회전반경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스(2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콤프레셔(8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작동봉(14)이 상승하여 상기 회전자석(70)을 밀쳐서 회전작동시켜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장치(40)와;
    상기 회전자석(70)의 회전반경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스(20)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자석(90)과;
    상기 에어콤프레셔(80)와 연결되며, 상기 복귀장치(40)에 대한 에어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2스위치(50)와;
    상기 에어콤프레셔(80)와 연결되어, 에어분사력에 의해 상기 회전자석(70)을 밀어 회전시켜 상기 제1스위치(30)가 누름 조작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급유밸브(6)를 직접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한 제3스위치(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30)는,
    외측면 일측에 에어콤프레셔(80)와 연결된 유입관(35)이 설치되고, 타측에 급유밸브측의 실린더(100)와 연결된 유출관(36)이 설치되며, 또다른 타측에는 배출관(33)이 설치된 외통체(32)와;
    내측의 하부에는 상기 유입관(35) 및 유출관(36)과 통하는 제1유로(311)가 형성되고, 내측의 상부에는 상기 유출관(36) 및 배출관(33)과 통하는 제2유로(312)가 형성되며, 상면에 소정의 보턴(200)이 형성된 내통체(31)와;
    상기 외통체(32)의 내측에 개재되어 상기 내통체(3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34)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장치(40)는,
    상기 제1스위치(30)의 일측에 비스듬하게 설치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제2스위치(50)와 연결된 연결관(56)이 설치된 수용관체(42)와;
    상기 수용관체(42) 내에 삽입되고, 하단에는 블럭(48)이 형성된 소정 길이의 작동핀(44)과;
    상기 수용관체(42) 내에 개재되어 상기 작동핀(44)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46)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치(50)는,
    내측에 유로(512)가 형성되고 상부에 보턴(200)이 형성된 내통체(51)와;
    에어콤프레셔(80)와 통하는 인입관(53)이 일측 상부에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유출관(55)이 설치되며, 타측면에는 상기 복귀장치(40)와 연결되되 상기 인입관(53) 및 유출관(55)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통공(514)과 연결된 연결관(56)이 설치되어 구성된 외통체(52)와;
    상기 외통체(52) 내에 삽입되어 상기 내통체(5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54)으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내통체(51)를 1차로 하강시키면 상기 유로(512)와 인입관(53) 및 연결관(56)이 통하게 되어 에어가 복귀장치(40)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내통체(51)를 2차로 하강시키면 상기 유로(512)와 유출관(55) 및 연결관(56)이 통하게되어 에어의 유입은 차단되고, 상기 연결관(56) 내에 차있던 에어가 상기 유출관(55)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스위치(60)는,
    내측에 유로(612)가 형성된 내통체(61)와,
    상기 내통체(61)가 수용되며 외측면 일측에는 상기 에어콤프레셔(80)와 연결된 인입관(63)이 설치되고, 외측면 타측에는 상기 회전자석(70)의 하부에 접하도록 케이스(20)에 형성된 통기관(67)과 연결된 연결관(66)이 설치된 외통체(62)와,
    상기 외통체(62) 내에 개재되어 상기 내통체(6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64)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6. 삭제
KR1020050097294A 2005-10-17 2005-10-17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KR100693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294A KR100693801B1 (ko) 2005-10-17 2005-10-17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294A KR100693801B1 (ko) 2005-10-17 2005-10-17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3801B1 true KR100693801B1 (ko) 2007-03-12

Family

ID=38103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7294A KR100693801B1 (ko) 2005-10-17 2005-10-17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8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314B1 (ko) 2007-11-08 2009-06-23 최영수 탱크로리용 자동폐쇄밸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210A (ko) * 1998-09-09 2000-04-06 이구택 수소계가스 취입에 의한 동시 탈탄 및 탈질 방법
KR20030062680A (ko) * 2002-01-18 2003-07-28 주식회사 로보웰 위빙 구조를 갖는 용접토오치
KR20030078860A (ko) * 2000-10-19 2003-10-0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인산기함유 고체 고분자 전해질 (복합)막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210A (ko) * 1998-09-09 2000-04-06 이구택 수소계가스 취입에 의한 동시 탈탄 및 탈질 방법
KR20030078860A (ko) * 2000-10-19 2003-10-0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인산기함유 고체 고분자 전해질 (복합)막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62680A (ko) * 2002-01-18 2003-07-28 주식회사 로보웰 위빙 구조를 갖는 용접토오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3626800000
2003788600000
202000001921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314B1 (ko) 2007-11-08 2009-06-23 최영수 탱크로리용 자동폐쇄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6492B1 (ko) 탱크로리용 밸브제어장치
CN101219639A (zh) 电控制的加油蒸气通气切断装置
KR20070049660A (ko) 가스 저장 시스템, 가스 저장 시스템 이용 방법 및 가스저장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
KR100693801B1 (ko)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US3586015A (en) Fuel tank vapor separator system having magnetic attitude sensing means
CN2923663Y (zh) 液体物料运输车智能卸料控制器
KR20070023200A (ko)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KR100652862B1 (ko) 탱크로리용 밸브개폐장치
GB1563486A (en) Pumping apparatus
CN210773145U (zh) 铝制干燥工具箱
JP4889024B2 (ja) タンクローリの底弁異常動作検出装置
JP3875767B2 (ja) タンクローリ車における安全装置
US3949907A (en) Storage bin with liquid sealed discharge opening
JP4024079B2 (ja) エンジン発電機の燃料補給装置
JP4156165B2 (ja) タンクローリー車の荷受け・荷卸しシステム
JP3321434B2 (ja) オイルチェンジャー
JPH08319000A (ja) タンクローリ車の混油防止装置
JPH0842741A (ja) 磁気作動蒸気回収弁
JP3859117B2 (ja) 給液装置
JPS624317B2 (ko)
US5623251A (en) Device to verify the identity of a fluid for proper selection of storage vessel
JPS6110060Y2 (ko)
JP2001335092A (ja) タンクローリ車の底弁自動開閉装置
JP2001122400A (ja) タンクローリ車
JPS613458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