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758B1 - 이송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송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758B1
KR102135758B1 KR1020180116341A KR20180116341A KR102135758B1 KR 102135758 B1 KR102135758 B1 KR 102135758B1 KR 1020180116341 A KR1020180116341 A KR 1020180116341A KR 20180116341 A KR20180116341 A KR 20180116341A KR 102135758 B1 KR102135758 B1 KR 102135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melt
container
coupling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6556A (ko
Inventor
신기항
김영태
정우원
박태수
조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16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758B1/ko
Publication of KR20200036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00Treatment of fused masses in the ladle or the supply runners before casting
    • B22D1/002Treatment with gases
    • B22D1/005Injection assembl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2Travelling ladles or similar containers; Cars for la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1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transporting la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융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측면에 돌기부를 구비하는 용기부, 제1처리 설비에서 제2처리 설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돌기부를 지지할 수 있는 후크부를 구비하는 이송부, 용기부와 이송부에 각각 장착되며 상호 접속될 수 있는 복수의 파트를 구비하는 가스 공급부, 용기부의 내부 공간에 가스를 주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가스 공급부와 연결되는 노즐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파트는 돌기부와 후크부에 커플링들을 각각 구비하고, 커플링들을 통하여 상호 접속되는 이송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이송 방법으로서, 제1처리 설비에서 제2처리 설비로 용융물을 운반하는 중에 용융물의 성분 및 온도를 균질화시킬 수 있는 이송 장치 및 방법이 제시된다.

Description

이송 장치 및 방법{TRANSPORT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이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1처리 설비에서 제2처리 설비로 용융물을 운반하는 중에 용융물의 성분 및 온도를 균질화시킬 수 있는 이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강 공정은 예비 처리, 전로 정련, 2차 정련 및 연속 주조의 순서로 진행된다. 그중 2차 정련에서는 밥(BAP, Bubbling Aluminum Powder) 공정, 엘에프(LF, Ladle Furnace) 공정, 및 알에이치(RH, Rheinstahl Heraus) 공정 등이 선택적으로 진행된다. 2차 정련 공정 시 용강은 래들에 담겨 천장크레인에 의해 각 공정으로 운반된다.
예컨대 용강은 전로 정련 공정에서 밥 공정으로 운반되고, 밥 공정에서 성분과 온도가 균질화된다. 이후, 용강은 연속 주조 공정으로 바로 운반되거나, 엘에프 공정 및 알에이치 공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을 거쳐 연속 주조 공정으로 운반된다. 이때, 용강은 엘에프 공정에서 성분 함량이 미세 조정되고, 불순물이 부상 분리된다. 또한, 용강은 알에이치 공정에서 가스 성분이 제거되고, 성분 함량이 미세 조정된다. 그런데 상술한 밥 공정, 엘에프 공정 또는 알에이치 공정에서 용강의 처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용강 온도가 과도하게 높거나, 용강에 성분 격외가 발생한다.
용강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으면 용강을 적정 온도까지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제를 용강이 담긴 래들에 다량 투입해야 한다. 이에, 전체 공정이 지연되고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강에 성분 격외가 발생하면 다음 공정을 진행하지 못하고 해당 공정을 반복한다. 이에, 용강의 물류가 정체되어 전체 공정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하기의 특허문헌에 게재되어 있다.
KR 10-2016-0073017 A KR 10-2017-0106073 A
본 발명은 용융물을 운반하는 동안 용융물의 성분 및 온도를 균질화시킬 수 있는 이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용융물의 이송경로, 강종 및 성분 함량별로 정해진 가스 주입 조건에 따라 용융물에 가스를 주입할 수 있는 이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이송 장치는, 용융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측면에 돌기부를 구비하는 용기부; 제1처리 설비에서 제2처리 설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후크부를 구비하는 이송부; 상기 용기부와 상기 이송부에 각각 장착되어 상호 접속될 수 있는 복수의 파트를 구비하는 가스 공급부; 및 상기 용기부의 내부 공간에 가스를 주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스 공급부와 연결되는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파트는 상기 돌기부와 상기 후크부에 커플링들을 각기 구비하고, 상기 커플링들을 통하여 상호 접속된다.
상기 커플링들 중 제1커플링은 상기 후크부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제2커플링은 상기 돌기부의 하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들은 상기 돌기부와 상기 후크부의 접촉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분리에 의해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레일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차체; 상기 차체에 설치되고, 상기 후크부를 승강시키는 구동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파트 중 제1파트는 상기 차체에 지지되고, 상기 후크부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파트는, 상기 차체에 지지되고, 내부에 가스가 충전되는 저장용기; 상기 저장용기와 상기 제1커플링을 연결시키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내부에 가스 유로가 구비되는 제1케이블; 및 상기 제1케이블에 장착되는 유량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파트 중 제2파트는 상기 용기부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파트는, 상기 제2커플링와 상기 노즐부를 연결시키는 제2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 공급부는, 상기 제1커플링에 연결되는 제1유량 검출기; 상기 제2커플링에 연결되는 제2유량 검출기; 미리 설정된 가스 주입 조건, 상기 제1유량 검출기의 검출값 및 상기 제2유량 검출기의 검출값을 활용하여 상기 유량 제어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량 조절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융물의 이송경로, 강종 및 성분 함량별로 미리 설정된 가스 주입 조건을 활용하여 상기 가스 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이송 방법은, 제1처리 공정에서 처리된 용융물을 제2처리 공정으로 운반하는 과정; 용융물의 이송경로, 강종 및 성분 함량별로 미리 설정된 가스 주입 조건을 활용하여, 상기 용융물을 운반하는 중에, 상기 용융물에 가스를 주입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1처리 공정은 밥 공정, 엘에프 공정, 및 알에이치 공정 중 선택되는 공정이고, 상기 제2처리 공정은 엘에프 공정, 알에이치 공정 및 연속 주조 공정 중 선택되는 공정이며, 상기 제1처리 공정과 다른 공정일 수 있다.
상기 운반하는 과정은, 상기 제1처리 공정에서 처리된 용융물이 담긴 용기를 준비하는 과정; 상기 제1처리 공정이 수행되는 일 위치에서 상기 제2처리 공정이 수행되는 타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이송 장치의 후크부에 상기 용기의 돌기부를 삽입시키는 과정; 상기 이송 장치를 상기 일 위치에서 상기 타 위치로 주행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용융물에 가스를 주입할 때, 상기 후크부와 상기 돌기부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용기측으로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용기의 무게를 이용하여 상기 후크부와 상기 돌기부의 접촉부위를 외기로부터 밀봉시킬 수 있다.
가스를 주입하는 과정은, 상기 가스 주입 조건을 활용하여 상기 가스의 주입 유량 및 주입 시간을 정하는 과정; 상기 주입 유량 및 주입 시간에 맞춰, 상기 가스를 상기 용융물의 하부에 주입하며 상기 용융물을 버블링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를 주입하는 과정은 미리 설정된 온도와 상기 용융물의 온도의 대비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크레인과 용기를 이용하여, 제1처리 설비에서 제2처리 설비로 용융물을 운반하는 동안, 용융물에 가스를 주입하여 용융물의 성분 및 온도를 균질화시킬 수 있다. 이때, 용융물의 이송경로, 강종 및 성분 함량별로 정해진 가스 주입 조건에 따라 용융물에 가스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크레인과 용기의 접촉부위를 통하여, 크레인측에서 용기측으로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용기의 무게를 이용하여 크레인과 용기의 접촉부위에 마련된 커플링들을 기밀하게 밀봉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 장치 및 처리 설비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블링 조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부의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 장치 및 방법은 크레인 및 용기를 이용하여, 제1처리 설비에서 제2처리 설비로 용융물을 운반하는 중에 용융물의 성분과 온도를 균질화시킬 수 있다. 이하, 제철소의 2차 정련 공정을 기준으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 장치 및 방법은 각종 공정에서 다양한 처리물의 이송 작업에도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 장치 및 처리 설비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블링 조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 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부의 확대도이다. 이때, 도 4의 (a)는 제1커플링의 개략도이고, 도 4의 (b)는 후크부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 장치는, 용융물(M)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측면에 돌기부(222)를 구비하는 용기부(220), 제1처리 설비(100)에서 제2처리 설비(300)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돌기부(222)를 지지할 수 있도록 후크부(218)를 구비하는 이송부(210), 용기부(220)와 이송부(210)에 각각 장착되며 상호 접속될 수 있는 복수의 파트를 구비하는 가스 공급부(230), 용기부(220)의 내부 공간에 가스(g)를 주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가스 공급부(230)와 연결되는 노즐부(240)를 포함한다. 이때, 복수의 파트는 돌기부(222)와 후크부(218)의 접촉부위에 커플링들(236, 237)을 각기 구비하고, 커플링들(236, 237)을 통하여 복수의 파트가 상호 접속된다.
용융물(M)은 용강을 포함할 수 있고, 더욱 상세하게는, 밥 공정, 엘에프 공정, 또는 알에이치 공정에서 제조된 용강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용융물(M)을 상술한 바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용융물(M)은 용강 외에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용융물(M)은 용선일 수도 있고, 그 외의 각종 액상 물질일 수도 있다.
밥 공정은, 예컨대 랜스를 용강의 상측에 위치시키고, 랜스를 이용하여 용강에 가스를 불어 넣어 용강을 버블링 처리하는 공정이다. 밥 공정을 수행하는 설비를 밥 공정 설비라고 한다.
엘에프 공정은, 예컨대 용강의 상측에 전극봉을 배치시키고, 전극봉을 이용하여 아크를 발생시키며, 용강의 하부에 가스를 주입하여, 용강에서 불순물 예컨대 비금속 개재물을 부상 분리시키고, 용강 중의 합금원소의 성분 함량을 미세조정 하며, 용강 온도를 균일하게 승온시키는 공정이다. 엘에프 공정을 수행하는 설비를 엘에프 공정 설비라고 한다.
알에이치 공정은, 용강을 진공조에 환류시키며 용강 중의 불순 가스를 제거하고, 합금원소의 성분 함량을 미세 조정하는 공정이다. 알에이치 공정의 다음 공정으로는 연속 주조 공정이 있다. 알에이치 공정을 수행하는 설비를 알에이치 공정 설비라고 한다.
용강은 전로 정련 공정에서 밥 공정으로 운반되고, 밥 공정에서 성분과 온도가 균질화된다. 이후, 용강은 바로 연속 주조 공정으로 운반되거나, 엘에프 공정 및 알에이치 공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정을 거쳐 연속 주조 공정으로 운반된다.
그런데 밥 공정, 엘에프 공정 또는 알에이치 공정에서 용강의 처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용강 온도가 과도하게 높거나, 용강에 성분 격외가 발생한다.
밥 공정, 엘에프 공정 또는 알에이치 공정이 종료된 용강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으면, 다음 공정으로 용강을 이송하기 전에 용강에 냉각제를 투입하여 용강의 온도를 낮춰줘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송 장치(200)가 용강을 이송하는 중에 용강에 가스 예컨대 아르곤 가스를 주입하여 버블링 처리할 수 있다. 이에, 용강의 물류 정체 없이, 버블링 처리에 의해 적정 온도로 조절된 용강을 다음 공정으로 운반해줄 수 있다. 따라서, 냉각제의 사용을 줄이거나, 혹은, 냉각제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밥 공정, 엘에프 공정 또는 알에이치 공정 중에 용강의 교반이 충분하지 않으면 용강 내의 합금철이 제대로 용해되지 않고, 용강 내의 탈산제 및 탈류제 등이 용강과 충분히 접촉하지 못한다. 이때, 용강 중의 황 성분 혹은 알루미늄 성분 등 각종 용강 내 성분 원소의 함량이 과도하게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송 장치(200)가 용강을 이송하는 중에 용강에 가스를 주입하여 버블링 처리할 수 있고, 용강을 균질화시킬 수 있다. 이에, 용강의 물류 정체 없이, 합금철이 모두 용해될 수 있고, 탈산제 및 탈류제 등이 용강과 충분히 접촉할 수 있도록 충분히 교반된 용강을 다음 공정으로 운반해줄 수 있다. 따라서, 다음 공정에서 용강의 성분 함량의 조절이 원활할 수 있고, 다음 공정의 공정 효율 및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제1처리 설비(100)는 밥 공정 설비, 엘에프 공정 설비, 및 알에이치 공정 설비 중 선택되는 공정 설비일 수 있다. 제2처리 설비(200)는 엘에프 공정 설비, 알에이치 공정 설비 및 연속 주조 공정 설비 중 선택되는 공정 설비이고, 제1처리 설비(100)와 다른 공정 설비일 수 있다.
예컨대 제1처리 설비('일 처리 설비'라고도 한다)가 밥 공정 설비이면, 제2처리 설비('타 처리 설비'라고도 한다)는 엘에프 공정 설비, 알에이치 공정 설비 또는 연속 주조 공정 설비일 수 있다.
이처럼, 제1처리 설비와 제2처리 설비는 서로 중복되지 않으며, 용강 물류상으로 제1처리 설비가 선행하는 처리 설비이고, 제2처리 설비가 후행하는 처리 설비이다. 한편, 이하에서 제1처리 설비(100)와 제2처리 설비(300)를 특별히 구분할 필요가 없을 경우, 처리 설비로 통칭한다.
이송부(210)는 제1처리 설비(100)에서 제2처리 설비(300)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송부(210)를 크레인 또는 천장크레인이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이송부(210)는 차체(211), 휠(212), 레일(213), 구동기(214), 로프(215), 로프 풀리(216), 승강기(217) 및 후크부(218)를 포함할 수 있다.
차체(211)는 이송부(210)의 몸체로서, 그 크기와 형상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차체(211)는 지상 혹은 처리 설비의 작업장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설치되고, 레일(212)을 따라 주행할 수 있다. 차체(211)는 하부에 휠(213)이 설치될 수 있다. 물론, 휠(213)의 설치 위치는 예컨대 차체(211)의 측면 등을 포함하여 다양할 수 있다. 차체(211)에 구동기(214)가 장착될 수 있다. 차체(211)의 하측에 로프 풀리(216), 승강기(217) 및 후크부(218)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기(214)에 로프(215)가 지지될 수 있다. 승강기(217)는 로프 풀리(216)를 매개로 로프(215)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기(217)에 후크부(218)가 설치될 수 있다.
레일(213)은 제1처리 설비(100)가 설치된 작업장과, 제2처리 설비(300)가 설치된 작업장을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레일(213)은 이들 작업장의 상측으로 소정 높이 이격된다. 레일(213)에 휠(213)이 주행 가능하게 설치된다. 차체(211)는 휠(213)에 의하여 레일(213)을 따라 주행할 수 있다. 레일(213)은 두 개가 한 쌍을 이루어 설치될 수 있다. 물론, 레일(213)은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의 레일이 한 쌍을 이루어 설치될 수도 있다.
구동기(214)는 차체(211)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구동기(214)는 차체(211)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물론, 구동기(214)의 장착 위치는 이 외에도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구동기(214)가 차체(211)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구동기(214)는 후크부(218)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동기(214)는 예컨대 호이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214)는 외주면에 로프(215)가 지지되는 드럼,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미도시) 및 드럼과 모터를 연결시키는 기어박스(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물론, 구동기(214)의 구성은 다양할 수 있다.
구동기(214)는 로프(215) 예컨대 와이어 로프를 드럼의 외주면에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리는 방식으로, 로프(215)에 지지된 로프 풀리(216), 승강기(217) 및 후크부(218)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구동기(214)가 로프(215)를 풀어 내리면 로프 풀리(216)가 하강하고, 로프 풀리(216)에 지지된 승강기(217) 예컨대 거더도 하강할 수 있다. 구동기(214)가 로프(215)를 감아 올리면 로프 풀리(216)가 상승하고, 로프 풀리(216)에 지지된 승강기(217)도 상승할 수 있다.
로프(215)는 구동기(214)에 감기거나 구동기(214)에서 풀리면서 로프(215)에 지지된 승강기(217)를 승강시킬 수 있다. 로프(215)는 이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범주 내에서, 와이어 로프 외에도 그 종류가 다양할 수 있다.
승강기(217)는 용기부(22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면의 중심부에 로프 풀리(216)가 설치될 수 있다. 물론, 로프 풀리(216)의 설치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 후크부(218)는 승강기(217)에 장착될 수 있다. 후크부(218)는 승강기(217)의 하면 양측 가장자리에 상하 방향으로 각각 장착될 수 있다. 후크부(218)를 주권 후크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후크부(218)는 수직 부재 및 후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승강기(217)에 수직 부재가 장착되고, 수직 부재의 하단에 후크 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수직 부재와 후크 부재는 일체형이거나, 분리형으로 마련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후크 부재는 일부가 상방으로 절곡되어 일측이 개구된 고리 형상일 수 있다. 이 같은 형상에 의하여, 후크 부재는 돌기부(222)가 진입 및 안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가질 수 있다. 후크 부재의 외부면 중 수용 공간을 마주보면서 돌기부(222)가 안착될 수 있는 면을 내측면이라고 한다. 이처럼 후크 부재는 돌기부(222)가 걸릴 수 있게 형성되며, 이에, 후크 부재에 돌기부(222)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용기부(220)는 용융물(M)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용기부(220)는 용기 본체(221), 돌기부(222), 및 걸림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용기부(220)를 래들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용기 본체(221)는 소정 면적을 가지는 바닥판, 및 바닥판의 가장자리 둘레에서 상측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는 측벽을 구비할 수 있다. 바닥판은 원판 형상이고, 측벽은 중공형의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형상은 상술한 바에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용기 본체(221)를 용기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용기 본체(221)는 전체 형상이 원통체 형상일 수 있고, 내부에 용융물(M)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221)는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용기 본체(221)는 내부면에 내화물이 구축될 수 있다. 용기 본체(221)의 측면에 돌기부(22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222)를 트리니언이라 지칭할 수 있다. 돌기부(222)는 용기 본체(221)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222)는 후크부(218)에 체결될 수 있다. 후크부(218)가 상승하면, 돌기부(222)가 후크부(218)에 지지되어 후크부(218)와 함께 상승하고, 이에, 용기 본체(221)가 상승할 수 있다.
걸림부(223)는 용기 본체(221)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걸림부(223)는 이송부(210)의 보권 후크(미도시)에 걸릴 수 있다. 걸림부(223)는 예컨대 경동암, 보권걸이 및 탈착바를 포함할 수 있다. 경동암은 용기 본체(221)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보권걸이는 용기 본체(221)의 측면을 마주보도록 경동암에 장착되며, 탈착바는 용기 본체(221)의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탈착바에 보권걸이가 안착될 수 있다.
가스 공급부(230)는 복수의 파트를 포함한다. 복수의 파트는 용기부(220)와 이송부(210)에 각각 장착되고, 상호 접속될 수 있다. 복수의 파트는 돌기부(222)와 후크부(218)가 접촉하는 부위('접촉부위'라고 한다)에 커플링들(236, 237)을 각각 구비한다. 커플링들(236, 237)은 상호 결합 및 해제 가능하다. 커플링들(236, 237)들을 통하여 복수의 파트가 상호 접속될 수 있다.
복수의 파트 중 제1파트는 차체(211)에 지지되고, 후크부(218)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제1파트는, 저장용기(231), 유량 제어기(232), 제1케이블(233A), 복수의 밸브(234A, 234B), 복수의 릴(235A, 235B) 및 제1커플링(236)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용기(231)는 내부에 가스가 충전 및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가스는 아르곤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가스는 용융물(M)에 취입할 수 있는 종류이면 어떠한 가스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저장용기(231)는 예컨대 가스 탱크일 수 있다. 저장용기(231)는 차체(211)의 상부면에 장착될 수 있으나, 차체(211)에 지지될 수 있는 위치이면 그 장착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 저장용기(231)의 가스(g) 저장량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후술하는 강 버블링 조건에서 20분간 버블링을 지속할 수 있고, 후술하는 약 버블링 조건에서 최대 60분간 버블링을 지속할 수 있는 가스(g)의 양이 저장 용기(231)에 저장될 수 있다.
유량 제어기(232)는 예컨대 엠에프씨(MFC, Mass Flow Contoller)일 수 있다. 물론, 유량 제어기(232)는 엠에프씨 외에도 가스(g)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만족하는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를테면, 제어 보드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유량 제어기(232)로 사용될 수도 있다.
유량 제어기(232)는 차체(211)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고, 제1케이블(233A)에 장착될 수 있다. 유량 제어기(232)는 제1케이블(233A)의 내부를 통과하는 가스(g)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1케이블(233A)은 저장용기(231)와 제1커플링(236)을 연결시킬 수 있다. 제1케이블(233)은 복수의 릴(235A, 235B)에 감기거나 풀리며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케이블(233)은 내부에 가스 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케이블(233A)을 제1호스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복수의 릴(235A, 235B)은 제1케이블(233A)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이송부(210)에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릴은 제1릴(235A) 및 제2릴(23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릴(235A)은 차체(211)의 하면에 장착되고, 그 외주면에 제1케이블(233A)의 일부가 감겨서 지지될 수 있다. 제2릴(235B)은 승강기(217)에 장착되고, 그 외주면에 제1케이블(233A)의 일부가 감겨서 지지될 수 있다. 물론, 복수의 릴이 아니라, 하나의 릴이 구비될 수도 있고, 그 위치도 제1케이블(233A)을 지지하면서 제1케이블(233A)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위치이면,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릴을 복수의 풀리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복수의 풀리 대신에 하나의 풀리가 이송부(210)에 장착되어 제1케이블(233A)을 지지하고, 제1케이블(233A)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케이블(233A)의 가스 유로를 통하여 저장용기(231)에서 제1커플링(236)으로 가스(g)가 공급될 수 있다. 가스 유로는 유랑 제어기(232)에 연통하고, 유량 제어기(232)의 작동에 의해 가스(g)의 유량과 유속이 조절될 수 있다.
제1케이블(233A)은 차체(211)와 승강기(217)와 후크부(218)를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제1케이블(233A)은 제1커플링(236)과 연결된 부분이 수직 부재와 후크 부재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1케이블(233A)이 외부의 고온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복수의 밸브는 유량 제어기(232)의 양측에서 제1케이블(233A)에 각각 장착되는 제1수동밸브(234A) 및 제2수동밸브(23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수동밸브(234A)는 유량 제어기(232)와 저장용기(231) 사이에서 제1케이블(233A)에 장착되고, 제2수동밸브(234B)는 유량 제어기(232)와 제1커플링(236) 사이에서 제1케이블(233A)에 장착될 수 있다. 물론, 복수의 밸브 외에 하나의 밸브가 제1케이블(233A)에 장착될 수도 있고, 그 장착 위치도 다양할 수 있다.
제2파트는 용기부(220)에 설치되고, 노즐부(24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파트는 제2케이블(233B), 및 제2커플링(237)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케이블(233B)은 제2커플링(237)과 노즐부(24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제2케이블(233B)은 내부에 가스 유로가 구비되며, 일측이 돌기부(222) 내에 배치되고, 타측이 용기 본체(22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커플링(236) 및 제2커플링(237)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1커플링(236)과 제2커플링(237)의 구조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이다. 이들 커플링의 구조는 예컨대 제1케이블(233A)과 제2케이블(223B)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시킬 수 있고, 또한, 서로 탈착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제1케이블(233A)에서 제2케이블(223B)로 가스를 유입시킬 수 있는 것을 만족하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유체 커플링 구조로 대체 적용될 수도 있다.
제1커플링(236)은 후크 부재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후크 부재의 내측면은 앞서 설명한 것처럼, 돌기부(222)의 하부면을 접촉 및 지지할 수 있는 면으로서, 그 형상은 곡면 형상으로 오목할 수 있다.
제1커플링(236)은 하우징(263A), 마운트(236B), 실린더(236C), 로드(236D), 접속 단자(236E), 탄성부재(236F), 제2개구부(236G), 및 실링부재(236H)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36A)은 후크 부재의 내측면을 관통하도록 장착될 수 있고,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마운트(236B)은 하우징(236A)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마운트(236B)에 실린더(236C)가 설치될 수 있다. 마운트(236B)는 하우징(236A)과 실린더(236C) 사이에서 진동을 절연시킬 수 있다. 하우징(236A)과 실린더(236C)의 형상은 예컨대 원통 형상일 수 있으나, 이 외에도 사각통 형상 등 다양할 수 있다.
실린더(236C)는 하우징(236A)의 내부에 설치되고, 마운트(236B)에 지지될 수 있다. 실린더(236C)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로드(236D)가 높이 방향 예컨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들 로드의 상단에 접속 단자(236E)가 지지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로드(236D)는 실린더(236C)의 하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접속 단자(236E)는 상면이 하우징(236A)의 상부 개구부 내에 위치하거나, 그 위로 돌출될 수 있다. 이를테면, 접속 단차(236E)는 후크 부재의 내측면과 동일 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접속 단자(236E)를 제1블록이라 지칭할 수 있다.
복수개의 로드(236D)의 승강에 의해 접속 단자(236E)가 승강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236F)가 복수개의 로드(236D)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접속 단자(236E)의 승강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236F)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개구부(236G)는 접속 단자(236E)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일 수 있다. 제2개구부(236G)는 상단이 접속 단자(236E)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하단에 제1케이블(233A)이 연결될 수 있다. 실링부재(236H)는 내열 섬유 혹은 내열 수지 혹은 내열 고무 재질의 오링을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236H)는 제2개구부(236G)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접속 단자(236E)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2커플링(237)은 돌기부의 하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2커플링(237)은, 제2블록(237A) 및 제2개구부(23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블록(237A)은 돌기부(222)의 하부면을 관통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제2개구부(237B)는 제2블록(237A)의 하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구일 수 있다. 제2개구부(237B)는 제2케이블(233B)에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2개구부(237B)는 하단이 제2블록(237A)의 하부면에 위치하고, 상단이 제2케이블(233B)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커플링(236)의 구조는 이 외에도 다양할 수 있다.
이하, 커플링들(236, 237)의 작동을 설명한다.
돌기부(222)가 후크 부재에 삽입되고, 돌기부(222)와 후크 부재가 상호 밀착되면, 제1커플링(236)과 제2커플링(237)도 상하 방향으로 밀착된다. 이때, 용기 본체(221)의 무게가 돌기부(222)를 통하여 후크 부재에 전달되면서, 돌기부(222)가 후크 부재에 강하게 밀착된다. 이에 의하여 제1커플링(236)과 제2커플링(237)이 상하 방향으로 강하게 상호 밀착되고, 접속 단자(236E)와 제2블록(237A)이 서로 강하게 밀착되며, 이때, 실링부재(236H)에 의해 접속 단자(236E)와 제2블록(237A)의 사이가 외기로부터 밀봉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개구부(236G)가 제2개구부(237B)에 접속하고, 이에 의해, 제1파트의 가스 유로와 제2파트의 가스 유로가 서로 연통하여 가스(g)가 노즐부(240)에 공급될 수 있다.
이처럼 커플링들(236, 237)은 돌기부(222)와 후크부(218)의 접촉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물론, 돌기부(222)와 후크부(218)가 서로 분리되면, 그에 따라 커플링들(236, 237)의 결합이 서로 해제될 수 있다.
가스 공급부(230)는, 제1케이블(233A)을 통하여 제1커플링(236)에 연결되는 제1유량 검출기(238A), 제2케이블(233B)을 통하여 제2커플링(237)에 연결되는 제2유량 검출기(238B), 미리 설정된 가스 주입 조건, 제1유량 검출기(238A)의 검출값 및 제2유량 검출기(238B)의 검출값을 활용하여, 저장용기(231)에서 제1커플링(236)으로 공급되는 가스(g)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기(238C)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를테면, 실링부재(236H)가 마모되거나, 실링부재(236H)에 이물이 부착되는 등의 이유에 의하여, 접속 단자(236E)와 제2블록(237A)의 사이가 외기에 노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스(g)가 누출되고, 제1유량 검출기(238A)의 검출값과 제2유량 검출기(238B)의 검출값이 차이를 가진다. 유량 조절기(238C)는 이 차이값이 발생하여 소정의 크기를 넘어서면, 가스(g)가 누출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그 차이값만큼 저장용기(231)에서 제1커플링(236)으로 공급되는 가스(g)의 유량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제어는 제2유량 검출기(238B)의 검출값이 미리 설정된 가스 주입 조건에 부합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이에, 가스(g) 누출이 발생하더라도, 제2커플링(237)으로 공급되는 실제의 가스(g) 공급량이 미리 설정된 가스 주입 조건을 정확하게 추종할 수 있다.
노즐부(240)는 용기부(220)의 내부 공간에 가스(g)를 주입할 수 있도록 용기부(220)의 하부에 설치되며 가스 공급부(230)와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노즐부(240)는 용기 본체(221)의 바닥판을 관통하도록 장착될 수 있고, 가스 공급부(230)의 제2파트에 연결될 수 있다. 노즐부(240)는 포러스 재질의 내화물 노즐일 수 있으나, 이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 장치(200)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용융물의 이송경로, 강종 및 성분 함량별로 미리 설정된 가스 주입 조건을 활용하여 가스 공급부(2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유량 제어기(23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1처리 공정이 종료된 용융물(M)의 온도를 입력받을 수 있고, 입력받은 용융물(M)의 온도를 미리 설정한 온도와 대비하여 그 결과에 따라 가스 공급부(230)의 작동 여부를 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는 용융물(M)의 온도가 미리 설정한 온도보다 수 ℃ 정도 높을 때 가스 공급부(230)를 작동시켜 용융물(M)로의 가스(g) 주입을 수행할 수 있다.
미리 설정한 온도('기준 온도'라고도 한다)는 이전 회차의 제2차 정련 공정의 실적이나, 혹은, 실험을 통하여 알아낸 온도이다. 미리 설정한 온도는 용융물의 강종, 이송경로에 따라 각기 정해질 수 있다. 예컨대 용융물의 온도가 미리 설정한 온도일 때 용융물의 이송이 개시되면, 용융물이 제2처리 공정에 도착했을 때 제2처리 공정을 수행하기 적합한 온도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용융물의 온도가 미리 설정한 온도보다 높을 때 용융물의 이송이 개시되면, 용융물이 제2처리 공정에 도착했을 때 제2처리 공정을 수행하기 적합하지 않은 온도가 될 수 있다.
반면, 용융물(M)의 온도는 제1처리 공정이 종료된 용융물(M)을 제2처리 공정으로 이송할 때 이송 시작 시점에서 용융물(M)로부터 측정된 온도일 수 있다. 용융물(M)의 온도는 제1처리 공정 이후에 샘플링 작업을 수행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 장치(200)의 작동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 장치(200)가 용강의 2차 정련 공정에 적용되면, 이송부(220)와 용기부(210)을 이용하여 제1처리 공정에서 제2처리 공정으로 용강을 운반하며, 용강에 가스(g)를 주입하여 용강의 성분 및 온도를 균질화시킬 수 있다. 이에, 제2처리 공정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용강의 이송경로, 강종 및 성분 함량별로 정해진 가스 주입 조건('버블링 조건'이라고도 한다)에 따라 용강에 가스를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처리 공정에 적합한 온도와 성분 함량의 용강을 공급하여, 제2처리 공정의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송부(220)와 용기부(210)의 접촉부위를 통하여 용기부(210)측으로 가스(g)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용강을 운반하는 중에, 가스(g)를 용강에 주입하여 용강을 버블링시켜 용강의 성분 및 온도를 신속하게 균질화시킬 수 있다.
이때, 용기부(210)의 무게를 이용하여 이송부(220)와 용기부(210)의 접촉부위에 마련된 커플링들(236, 237)을 외기로부터 기밀하게 밀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용강에 가스를 원하는 주입량으로 원활하게 주입할 수 있고, 용강의 성분 및 온도를 효율적으로 균질화시킬 수 있다.
이하, 아래의 표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 주입 조건을 설명한다.
강종 성분 함량 (wt%) 이송경로1 이송경로2 이송경로3
BAP → LF BAP → RH BAP,LF,RH → Casting
주입여부 주입조건 주입여부 주입조건 주입여부 주입조건
W강 [C] 0.03~0.08
[Mn] 0.15~0.25
× - × - 10~20Nm3/h, 5min
[C] 0.10~0.21
[Mn] 0.10~0.50
60Nm3/h, 1min 60Nm3/h, 2min 10~20Nm3/h, 3min
P,V강 [S]
0.015 이하
60Nm3/h, 1min 60Nm3/h, 2min 10~20Nm3/h, 2min
상술한 표 1은 미리 설정된 가스 주입 조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테이블이다. 표 1을 보면, W강은 Al-Killed 강으로서, 열연재 및 냉연재 등으로 주조되는 강종이다. P,V강은 Si-killed 강으로서 후판재 및 열연재 등으로 주조되는 강종이다.
이송경로1은 밥 공정에서 엘에프 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이고, 이송경로2는 밥 공정에서 알에이치 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이고, 이송경로3은 밥 공정, 엘에프 공정 또는 알에이치 공정에서 연속 주조 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이를테면 이송경로는 용강의 출발지와 행선지가 조합된 정보이다.
가스 공급량이 10~20 Nm3/h 혹은 표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20~30Nm3/h 인 조건을 약 버블링 조건이라고 지칭하고, 가스 공급량이 60Nm3/h 인 조건을 강 버블링 조건이라고 칭한다.
상술한 표의 수치 및 성분 함량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일 뿐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참고로, 테이블에는 모든 가스 주입 조건을 기재하지 않았고, 가스 주입 조건의 일부만 기재한 것이다.
한편, 용융물의 성분 함량은 각 공정 중에 혹은 공정이 종료된 후 샘플링 작업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표 1 및 가스 주입 조건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여, 제어부의 작동을 설명한다.
제어부는 용융물의 이송경로, 강종 및 성분 함량별로 강 버블링 조건과 약 버블링 조건을 선택하여 해당 조건으로 설정된 시간만큼 버블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는 현재 처리되는 용융물(M)의 강종과 이송경로 정보를 입력받고, 제1처리 공정이 종료되면, 용융물로부터 성분 함량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후 입력된 정보들을 상술한 테이블과 대비하여, 그 결과에 따라, 해당하는 조건의 가스 공급량과 가스 공급 시간을 가지고 가스 공급부(230)의 유량 조절기(238C)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처리 공정에서 처리가 종료된 용융물이 W강이고, 이송경로가 밥 공정에서 연속 주조 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이송경로3)이고, 용융물의 샘플링 결과, 탄소[C]의 성분 함량이 용융물의 전체 중량 대비 0.03~0.08wt% 이고, 망간[Mn]의 성분 함량이 용융물의 전체 중량 대비 0.15~0.25wt%이면, 10~20의 유량의 가스(g)를 5min 간 용융물에 주입하여 버블링 처리를 한다. 이에, 용기부(220) 내에 담긴 용융물(M)을 제2처리 공정으로 운반하는 중에, 용융물에서 개재물을 부상 분리시키고, 용융물의 온도를 적정 온도로 하강시키고, 용융물 중의 원하는 성분의 함량을 원하는 값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용융물의 청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 장치(200)의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을 간단히 설명하거나,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 방법은, 제1처리 공정에서 처리된 용융물을 제2처리 공정으로 운반하는 과정, 용융물의 이송경로, 강종 및 성분 함량별로 미리 설정된 가스 주입 조건을 활용하여, 용융물을 운반하는 중에, 용융물에 가스를 주입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때, 제1처리 공정은 밥 공정, 엘에프 공정, 및 알에이치 공정 중 선택되는 어느 한 공정이고, 제2처리 공정은 엘에프 공정, 알에이치 공정 및 연속 주조 공정 중 선택되는 다른 한 공정일 수 있다.
먼저, 제1처리 공정에서 처리된 용융물(M)을 제2처리 공정으로 운반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제1처리 공정에서 처리된 용융물이 담긴 용기부(220)를 준비하고, 제1처리 공정이 수행되는 일 위치에서 제2처리 공정이 수행되는 타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이송 장치(200)의 후크부(218)에 용기(220)의 돌기부(222)를 삽입시킨다. 이후, 후크부(218)를 상승시키고, 차체(210)를 주행시켜 이송 장치(200)를 일 위치에서 타 위치로 주행시킨다.
이때, 후크부(218)를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후크부(218)와 돌기부(222)의 접촉부위에 마련된 커플링들(236, 237)들이 서로 접속되고, 용기부(220)의 무게를 이용하여 이들의 접속면을 외기로부터 기밀하게 밀봉시킬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수행하는 것과 함께 혹은 동시에 가스를 주입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우선, 가스 주입 조건을 활용하여 가스의 주입 유량 및 주입 시간을 정하고, 후크부(218)와 돌기부(222)의 접촉을 이용하여 용기부(220)측으로 가스를 공급하며, 정해진 주입 유량 및 주입 시간에 맞춰, 가스(g)를 용융물(M)의 하부에 주입하며 용융물을 버블링시킨다.
한편, 상술한 가스를 주입하는 과정은 미리 설정된 온도와 상기 용융물의 온도의 대비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제1처리 공정에서 처리된 용융물이 담긴 용기부(220)를 준비하고, 이때, 샘플링 작업을 수행하여 용융물의 온도를 획득한다. 용융물의 온도를 미리 설정한 온도와 대비하여, 용융물의 온도가 미리 설정한 온도 예컨대 기준 온도보다 수 ℃ 정도 높을 때 용융물(M)로의 가스(g) 주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한 온도는 예컨대 용강의 강종 및 이송경로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용융물을 제2처리 공정으로 운반하면, 이어서, 제2처리 공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에 개시된 구성과 방식은 서로 결합하거나 교차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것이고, 이 같은 변형 예들도 본 발명의 범주로 볼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제1처리 설비 200: 이송 장치
210: 이송부 220: 용기부
230: 가스 공급부 240: 노즐부
300: 제2처리 설비

Claims (15)

  1. 용융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측면에 돌기부를 구비하는 용기부;
    제1처리 설비에서 제2처리 설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후크부를 구비하는 이송부;
    상기 용기부와 상기 이송부에 각각 장착되어 상호 접속될 수 있는 복수의 파트를 구비하는 가스 공급부; 및
    상기 용기부의 내부 공간에 가스를 주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스 공급부와 연결되는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파트는 상기 돌기부와 상기 후크부에 커플링들을 각기 구비하고, 상기 커플링들을 통하여 상호 접속되고,
    상기 커플링들 중 제1커플링은 상기 후크부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제2커플링은 상기 돌기부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이송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들은 상기 돌기부와 상기 후크부의 접촉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분리에 의해 결합이 해제되는 이송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레일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차체;
    상기 차체에 설치되고, 상기 후크부를 승강시키는 구동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파트 중 제1파트는 상기 차체에 지지되고, 상기 후크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이송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파트는,
    상기 차체에 지지되고, 내부에 가스가 충전되는 저장용기;
    상기 저장용기와 상기 제1커플링을 연결시키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내부에 가스 유로가 구비되는 제1케이블; 및
    상기 제1케이블에 장착되는 유량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이송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트 중 제2파트는 상기 용기부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부와 연결되는 이송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파트는,
    상기 제2커플링와 상기 노즐부를 연결시키는 제2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이송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부는,
    상기 제1커플링에 연결되는 제1유량 검출기;
    상기 제2커플링에 연결되는 제2유량 검출기;
    미리 설정된 가스 주입 조건, 상기 제1유량 검출기의 검출값 및 상기 제2유량 검출기의 검출값을 활용하여 상기 유량 제어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량 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이송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용융물의 이송경로, 강종 및 성분 함량별로 미리 설정된 가스 주입 조건을 활용하여 상기 가스 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이송 장치.
  10. 제1처리 공정에서 처리된 용융물을 제2처리 공정으로 운반하는 과정;
    용융물의 이송경로, 강종 및 성분 함량별로 미리 설정된 가스 주입 조건을 활용하여, 상기 용융물을 운반하는 중에, 상기 용융물에 가스를 주입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운반하는 과정은,
    상기 제1처리 공정에서 처리된 용융물이 담긴 용기를 준비하는 과정;
    상기 제1처리 공정이 수행되는 일 위치에서 상기 제2처리 공정이 수행되는 타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이송 장치의 후크부에 상기 용기의 돌기부를 삽입시키는 과정;
    상기 이송 장치를 상기 일 위치에서 상기 타 위치로 주행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용융물에 가스를 주입할 때, 상기 후크부와 상기 돌기부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용기측으로 가스를 공급하고,
    상기 용기의 무게를 이용하여 상기 후크부와 상기 돌기부의 접촉부위를 외기로부터 밀봉시키는 이송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처리 공정은 밥 공정, 엘에프 공정, 및 알에이치 공정 중 선택되는 공정이고,
    상기 제2처리 공정은 엘에프 공정, 알에이치 공정 및 연속 주조 공정 중 선택되는 공정이며, 상기 제1처리 공정과 다른 공정인 이송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가스를 주입하는 과정은,
    상기 가스 주입 조건을 활용하여 상기 가스의 주입 유량 및 주입 시간을 정하는 과정;
    상기 주입 유량 및 주입 시간에 맞춰, 상기 가스를 상기 용융물의 하부에 주입하며 상기 용융물을 버블링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송 방법.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가스를 주입하는 과정은 미리 설정된 온도와 상기 용융물의 온도의 대비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이송 방법.
KR1020180116341A 2018-09-28 2018-09-28 이송 장치 및 방법 KR102135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341A KR102135758B1 (ko) 2018-09-28 2018-09-28 이송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341A KR102135758B1 (ko) 2018-09-28 2018-09-28 이송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556A KR20200036556A (ko) 2020-04-07
KR102135758B1 true KR102135758B1 (ko) 2020-07-20

Family

ID=70291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341A KR102135758B1 (ko) 2018-09-28 2018-09-28 이송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75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003B1 (ko) * 2001-03-30 2008-02-20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용 보온커버와 교반기를 갖는 크레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017A (ko) 2014-12-16 2016-06-24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 온도 모니터링장치
KR20170106073A (ko) 2016-03-11 2017-09-20 주식회사 포스코 강의 정련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003B1 (ko) * 2001-03-30 2008-02-20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용 보온커버와 교반기를 갖는 크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556A (ko) 202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112015025465B1 (pt) Método de produção de aço fundido que contém manganês, forno de retenção de temperatura e equipamento de produção de aço fundido que contém manganês
KR102135758B1 (ko) 이송 장치 및 방법
EP4082689A1 (en) Molten material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1225228B1 (ko) 턴디쉬의 용강 개재물 제거장치
KR101207116B1 (ko) 용강의 재산화 방지 장치
EP3315615A1 (en) Manipulator for a ladle
JP5405717B2 (ja) 取鍋精錬装置および取鍋精錬方法
CN107745114B (zh) 转注装置及合金溶液的转注方法
KR102143123B1 (ko) 이송 장치 및 방법
KR101260059B1 (ko) 불활성 가스 퍼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
KR101485035B1 (ko) 가스 주입기 및 이를 구비하는 용탕 처리 장치
US20120298322A1 (en) Pour ladle for molten metal
KR101700877B1 (ko) 연속 주조용 스토퍼
KR101962379B1 (ko) 노즐 체결 설비
KR101356909B1 (ko) 고청정 용강 정련장치 및 고청정 용강 제조방법
KR102272322B1 (ko) 전자기 주조장치
JPH0510405B2 (ko)
KR101204436B1 (ko) Vtd용 대차의 씰링재 보호 장치
JPH0139859B2 (ko)
JP5076693B2 (ja) 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及び鋼の連続鋳造方法
KR20190139070A (ko) 작업장치
KR101545853B1 (ko) 부원료 투입지그
JPH09157730A (ja) 槽昇降方式の真空脱ガス設備
KR20210114210A (ko) 주조용 용탕주입장치
JP2007146206A (ja) 溶鉄搬送容器の保熱板および保熱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