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2490B1 - 용지 배출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용지 배출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2490B1
KR100782490B1 KR1020060034601A KR20060034601A KR100782490B1 KR 100782490 B1 KR100782490 B1 KR 100782490B1 KR 1020060034601 A KR1020060034601 A KR 1020060034601A KR 20060034601 A KR20060034601 A KR 20060034601A KR 100782490 B1 KR100782490 B1 KR 100782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main body
sheet
discharge
apparatus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4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3198A (ko
Inventor
야스키 다나카
게이지 사네카타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13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3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38Construction of the 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assisting separation or preventing double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3Details of longitudinal profile
    • B65H2404/131Details of longitudinal profile shape
    • B65H2404/1316Details of longitudinal profile shape stepped or groo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Abstract

회전에 의해 용지를 배출하는 복수의 배출 롤러가 장치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 롤러의 외경(外俓)에 비하여 외경이 작으며, 또한 상기 배출 롤러의 측방에 소경부(小俓部)를 구비하고, 상기 소경부의 외경이 다른 부분의 외경에 비하여 작은 축부(軸部)가 상기 복수의 배출 롤러에 동축적(同軸的)으로 고착(固着)되며, 상기 장치 본체부의 일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가 설치되고, 그 선단부가 상기 소경부와 상기 축부의 다른 부분과의 단차(段差) 내에 배치되어 있는 용지 배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용지 배출 장치를 갖고 있으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고, 그 화상 형성된 용지를 상기 용지 배출 장치에 의해 배출하는 화상 형성 장치도 개시되어 있다.
배출 롤러, 소경부, 축부, 돌출부, 용지 배출 장치, 화상 형성 장치

Description

용지 배출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SHEET DISCHARG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용지 배출 장치가 부착된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낸 개요(槪要)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용지 배출 장치의 배출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용지 배출 장치의 배출 부분에 대해서, 구동 롤러용 샤프트의 축방향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측면시(側面視)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용지 배출 장치의 주요부에 대해서, 구동 롤러용 샤프트의 축방향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측면시 구성도.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용지 배출 장치의 배출 부분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용지 배출 장치의 배출 부분 일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구동 롤러용 샤프트의 축방향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측면시 구성도.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용지 배출 장치의 배출 부분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의 (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용지 배출 장치의 배출 부분 일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구동 롤러용 샤프트의 축방향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측면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상 형성 장치 P : 기록 용지
12 : 장치 본체 14 : 급지(給紙) 카세트
16 : 급지 롤러 18 : 반송 기구부
18A : 반송 경로 22 : 반송 롤러
24 : 감광 드럼 26 : 전사 롤러
30 : 배출 장치 32 : 가압 롤러
33 : 가열 롤러 34 : 정착 유닛
36 : 용지 배출구
38 : 아이들링 롤러(idling roller)
40 : 배지용 구동 롤러
본 발명은 배출 롤러에 의해 용지를 배출하는 용지 배출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용지 배출 장치에서는, 배지(排紙) 롤러에 의한 배지 후의 용지 말림을 방지 하기 위해, 말림 방지 도구를 배치하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어 일본국특허 제2613470호 공보 참조). 이러한 장치에서는 말림 방지 도구의 일부를 배지 롤러의 지지축에 느슨하게 끼워 용지가 말려드는 틈의 일부를 폐쇄한 상태로 하고 있다.
이 종래의 용지 배출 장치에서는 별체(別體)의 말림 방지 도구가 필요하기 때문에, 부품 수가 증가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부품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배출 롤러에 의한 용지의 말림을 방지하는 용지 배출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장치 본체부와, 상기 장치 본체부에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용지를 배출하는 배출 롤러와, 복수의 상기 배출 롤러에 동축적(同軸的)으로 고착(固着)되고, 상기 배출 롤러의 외경(外徑)에 비하여 외경이 작으며, 또한 상기 배출 롤러의 측방(側方)에 소경부(小俓部)를 구비하고, 상기 소경부의 외경이 다른 부분의 외경에 비하여 작은 축부(軸部)와, 상기 장치 본체부의 일부로부터 돌출되고, 선단부(先端部)가 상기 소경부와 상기 축부의 다른 부분과의 단차(段差) 내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갖는 용지 배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장치 본체부와, 상기 장치 본체부에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용지를 배출하는 배출 롤러와, 복수의 상기 배출 롤러에 동축적으로 고착되고, 상기 배출 롤러의 외경에 비하여 외경이 작으며, 또한 상기 배출 롤러의 측방에 소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소경부의 외경이 다른 부분의 외경에 비하여 작은 축부와, 상기 장치 본체부의 일부로부터 돌출되고, 선단부가 상기 소경부와 상기 축부의 다른 부분과의 단차 내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갖는 용지 배출 장치를 가지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고, 화상 형성된 상기 용지를 상기 용지 배출 장치에 의해 배출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용지 배출 장치가 부착된 화상 형성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용지 배출 장치는 정착 유닛을 구비한 용지 배출 장치이다.
(제 1 실시예)
도 1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10)는 기록 용지(P)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고, 토너 화상이 형성된 기록 용지(P)를 용지 배출 장치(30)에 의해 배출하는 장치로서, 장치 본체(12)를 구비한다. 장치 본체(12)의 하부에는 착탈(着脫) 가능한 급지(給紙) 카세트(14)가 장착되고, 급지 카세트(14) 내에는 복수매의 기록 용지(P)가 적재(積載)되어 있다. 급지 카세트(14)의 상방(上方)에는 급지 롤러(16)가 배치되어 있고, 이 급지 롤러(16)가 회전함으로써, 기록 용지(P)가 1매씩 상방으로 급지된다.
급지 롤러(16)의 용지 배출 측에는 반송 기구부(18)가 설치된다. 반송 기구부(18)는 대략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송 경로(18A)를 획정(畵定)하기 위한 부품(가이드 판(guide plate), 반송 롤러(22) 등)을 구비하며, 기록 용지(P)를 배출 측을 향하여 반송하는 기구부이다. 여기서, 반송 경로(18A)는 기록 용지 통로로 되고, 반송 기구부(18)에 배치되는 반송 롤러(22)는 반송 경로(18A)를 따라 기록 용지(P)를 반송하게 되어 있다.
반송 기구부(18)의 중간에는 감광 드럼(24)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감광 드럼(24) 위에서는 대전(帶電) 처리, 노광 처리, 현상 처리가 실행되어 감광 드럼(24) 위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게 되어 있다. 감광 드럼(24)에 대향한 위치에는 전사 롤러(26)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전사 롤러(26)는 감광 드럼(24) 위의 토너 화상을 기록 용지(P)에 전사하게 되어 있다.
감광 드럼(24) 및 전사 롤러(26)의 반송 하류(下流) 측(도 1의 상방)에는 장치 본체(12)에 부착된 용지 배출 장치(30)가 배치된다. 용지 배출 장치(30)는 장치 본체부(31)에 가압 롤러(32)와 가열 롤러(33)로 구성되는 정착 유닛(34)을 구비한다. 정착 유닛(34)은 전사 롤러(26)에 의해 토너 화상이 전사된 기록 용지(P)를 사이에 끼워 반송하면서 열정착(熱定着)시키게 되어 있다.
용지 배출 장치(30)의 장치 본체부(31)에서, 정착 유닛(34)의 반송 하류 측에는 용지 배출구(36)가 형성되는 동시에, 배지용 아이들링 롤러(idling roller)(38)와 배출 롤러로서의 배지용 구동 롤러(40)가 상하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지용 구동 롤러(40)가 배지용 아이들링 롤러(38)의 하방(下方)에 배치된다.
배지용 구동 롤러(40) 및 배지용 아이들링 롤러(38)는 마찰계수가 높은 고무제로 되며, 기록 용지(P)의 배출 시에는, 회전에 의해 기록 용지(P)를 사이에 끼워 반송하여 용지 배출구(36)로부터 배출하게 되어 있다. 용지 배출구(36)의 하방에는 장치 본체부(31)에 배지 트레이(catch tray)(41)가 부착되어 있으며, 배지용 구 동 롤러(40) 및 배지용 아이들링 롤러(38)에 의해 배출된 기록 용지(P)가 적재되게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배지용 아이들링 롤러(38)에는 원기둥 형상의 아이들링 롤러용 샤프트(39)가 동축적으로 고착되어 있으며, 이 아이들링 롤러용 샤프트(39)는 수지제로서, 도 1에 도시된 장치 본체부(31)의 장치 프레임(31A)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배지용 구동 롤러(40)에는 축부로서의 원기둥 형상의 구동 롤러용 샤프트(42)가 동축적으로 고착되어 있으며, 이 구동 롤러용 샤프트(42)는 아이들링 롤러용 샤프트(39)와 동일하게 수지제로서, 도 1에 도시된 장치 본체부(31)의 장치 프레임(31A)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아이들링 롤러용 샤프트(39), 구동 롤러용 샤프트(42)를 수지제로 함으로써, 고무제의 배지용 아이들링 롤러(38), 배지용 구동 롤러(40)의 빠짐 방지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고, 비용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아이들링 롤러는 여기에 예시한 바와 같은 마찰계수가 높은 고무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수지제일 수도 있다. 또한, 아이들링 롤러는 복수개가 샤프트(39)에 동축으로 고착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개별적으로 독립된 구성일 수도 있다.
구동 롤러용 샤프트(42)에는 기어(gear) 기구(도시 생략)가 연결된다. 이 기어 기구의 기어(도시 생략)는, 도 1에 도시된 용지 배출 장치(30)가 화상 형성 장치(10)의 장치 본체(12)에 부착됨으로써, 장치 본체(12)에 설치된 기어 기구의 기어(도시 생략)와 맞물리게 되어 있으며, 장치 본체(12)에 설치된 기어 기구의 기어는 장치 본체(12)의 컨트롤러(도시 생략)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회전 구동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용지 배출 장치(30)가 장치 본체(12)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장치 본체(12)의 컨트롤러(도시 생략)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기어 기구(도시 생략)를 통하여 도 2에 도시된 구동 롤러용 샤프트(42) 및 배지용 구동 롤러(40)가 회전하게 되어 있다.
구동 롤러용 샤프트(42)는 그 외경이 배지용 구동 롤러(40)의 외경에 비하여 작고, 또한 배지용 구동 롤러(40)의 측방(측면부(40A)에 근접하는 부분)에 소경부(42A)가 형성되어 있다. 소경부(42A) 외경은 구동 롤러용 샤프트(42)에서의 다른 부분으로서의 대경부(42B) 외경에 비하여 작게 되어 있다.
이 소경부(42A)는 배지용 구동 롤러(40)의 측방에만 형성되기 때문에, 구동 롤러용 샤프트(42)에서의 강도나 진동에 대한 영향은 매우 작다.
소경부(42A)와 대경부(42B)의 단차 내(홈 내)에는 격벽으로서의 장치 커버(46)로부터 돌출된 돌출부(48)의 선단부(48A)가 배치되고, 이것에 의해, 기록 용지(P)가 말려드는 틈의 일부가 폐쇄된다.
장치 커버(46)는 장치 본체부(31)(도 1 참조)에 설치되어 구동 롤러용 샤프트(42)의 하방에 배치되고, 장치 본체부(31)의 내외를 분리하는 동시에 배출되는 기록 용지(P)의 후단(後端)을 위치 결정하게 되어 있다. 장치 커버(46)에는 용지 배출 방향(화살표 A 방향) 측(외측)으로 되는 커버 외면부(46A)에 리브(rib)(50)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50)는 설치된 상태에서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배출된 기록 용지(P)의 후단부(BP)(도 3 참조)와 장치 커버(46)의 저항을 작게 하여 수용성을 양호하게 하고 있다. 이 리브(50)의 상부는 돌출부(48)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돌출부(48)를 장치 커버(46)에 형성할 경우, 재료나 형상에 대한 제약이 작다는 이점(利點)이 있다. 이 이점을 살려 배출된 기록 용지(P)를 낙하시키기 쉽게 하기 위해, 돌출부(48)의 마찰계수는 낮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의 사용 중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부(48)의 선단부(48A)는 예리하게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도 3 및 도 4에는 구동 롤러용 샤프트(42)의 축방향에서 본 측면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48)에서의 용지 배출 방향(화살표 A 방향) 측의 부분인 용지 배출 방향 측부(이하 「배출 방향 측부」라고 함)(48X)와 배지용 구동 롤러(40)의 외주면(40B)과의 교차점(X)은 구동 롤러용 샤프트(42)의 축심(軸心)(C)에 비하여 하방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돌출부(48)에서의 배출 방향 측부(48X)와 배지용 구동 롤러(40)의 외주면(40B) 교차점(X)에서의 접선(L)이 이루는 각(Z)은 둔각(鈍角)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배출 후의 기록 용지(P)의 후단부(BP)가 배지용 구동 롤러(40)에 접하여 배지용 구동 롤러(40)에 의한 회전력(화살표 K 방향의 힘)을 받은 경우에도, 기록 용지(P)는 낙하 방향으로의 분력(分力)이 크기 때문에, 돌출부(48)에 후단부(BP)가 닿은 후, 그대로 하방으로 낙하하기 쉬워진다.
또한, 돌출부(48)에서의 배출 방향 측부(48X)와 소경부(42A)의 최단거리 L1이 돌출부(48)와 소경부(42A)의 최단거리 L2에 비하여 길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구동 롤러용 샤프트(42)의 진동에 의해 돌출부(48)가 구동 롤러용 샤프트(42)와 간섭(干涉)하는 경우가 있어도, 돌출부(48)에서의 배출 방향 측부(48X)보다도 먼저 돌출부(48)에서 소경부(42A)와의 거리가 가까운 부분이 먼저 간섭하고, 돌출부(48)에서의 용지 배출 방향 측부(48X)가 마모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도 기록 용지(P)가 말려드는 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돌출부(48)의 형성은 이형(mold-releasing) 방향으로 제약을 받기 어렵고, 형(mold)의 간소화 및 이것에 따른 비용 삭감을 실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배지용 구동 롤러(40)의 외경에 대해서는 진동 0.5㎜, 위치 공차(公差) 0.1㎜를 고려하여 설계하고 있다. 돌출부(48)는 위치 공차(0.1㎜)를 고려한 배지용 구동 롤러(40)의 외경으로부터 0.5㎜ 더 내측에 위치한 원의 내측에 배치하고 있다. 구동 롤러용 샤프트(42)의 외경에 대해서는 진동 0.5㎜, 위치 공차 0.1㎜를 고려하고 있으며, 돌출부(48)는 치수 공차 0.3㎜를 고려하여 설계하고 있다.
다음으로, 제 1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 카세트(14)에 적재된 기록 용지(P)는 급지 롤러(16)에 의해 반송 기구부(18)에 급지된다. 반송 기구부(18)에서는 반송 롤러 (22)가 반송 경로(18A)를 따라 기록 용지(P)를 반송하고, 전사 롤러(26)가 감광 드럼(24) 위의 토너 화상을 기록 용지(P)에 전사한다. 다음으로, 정착 유닛(34)이 기록 용지(P) 위의 토너 화상을 열정착시킨 후, 배지용 구동 롤러(40) 및 배지용 아이들링 롤러(38)가 기록 용지(P)를 배지 트레이(41)에 배출한다.
배출된 후의 기록 용지(P)는, 후단부(BP)(도 4 참조)가 도 2에 도시된 배지용 구동 롤러(40)에 접하여 배지용 구동 롤러(40)에 의한 회전력(화살표 K 방향의 힘)을 받아도, 돌출부(48)에 맞닿아 하방의 배지 트레이(41)(도 3 참조)로 낙하하게 되기 때문에, 배지용 구동 롤러(40)에 의한 말림이 저지된다.
또한, 구동 롤러용 샤프트(42) 및 배지용 구동 롤러(40)가 회전에 따라 약간 진동하여도, 돌출부(48)는 구동 롤러용 샤프트(42)에서의 소경부(42A)와 대경부(42B)의 단차 내(홈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록 용지(P)가 말려드는 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말림 방지용 부재를 별체(別體)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부품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구동 롤러용 샤프트(42)에 의한 기록 용지(P)의 말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비용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소경부(42A)와 대경부(42B)의 단차 내(홈 내)에 돌출부(48)의 선단부(48A)를 배치함으로써, 돌출부(48)와 구동 롤러용 샤프트(42) 사이의 간격을 넓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구동 롤러용 샤프트(42)의 진동이나 부착에 기인하는 공차 등이 발생하여도, 돌출부(48)와 구동 롤러용 샤프트(42)가 간섭하기 어려운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다음으로, 용지 배출 장치가 부착된 화상 형성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커버(46)에는 커버 외면부(46A)의 반대측으로 되는 커버 내면부(46B)에 리브(52)가 형성된다. 리브(52)는 설치된 상태에서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 리브(52)의 상부는 돌출부(54)를 형성하고 있다. 소경부(42A)와 대경부(42B)의 단차 내(홈 내)에는 장치 커버(46)로부터 돌출된 돌출부(54)의 선단부(54A)가 배치되고, 이것에 의해, 기록 용지(P)가 말려드는 틈의 일부가 폐쇄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돌출부(54)를 형성하는 리브(52)의 대부분이 장치 커버(46)에 의해 표측(表側)으로부터는 보이지 않게 되기 때문에, 커버 외면부(46A)의 디자인에 영향을 주지 않고, 배지용 구동 롤러(40)에 의한 기록 용지(P)의 말림을 방지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다음으로, 용지 배출 장치가 부착된 화상 형성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 롤러용 샤프트(4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 본체부(31)의 장치 프레임(31A)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도 6 의 (a) 및 (b)에는, 이 장치 프레임(31A)에서의 정착 유닛용 리브부(56)가 장치 커버(46)의 커버 내면부(46B) 측에 도시되어 있다.
정착 유닛용 리브부(56)의 선단 부분은 분기(分岐)된 만곡(彎曲) 형상을 하고 있으며, 만곡 하부가 돌출부(58)를 형성하고 있다. 정착 유닛용 리브부(56)로부터 돌출된 돌출부(58)의 선단부(58A)는 소경부(42A)와 대경부(42B)의 단차 내(홈 내)에 배치되고, 이것에 의해, 기록 용지(P)가 말려드는 틈의 일부가 폐쇄된다.
이렇게, 구동 롤러용 샤프트(42)를 축 지지하는 장치 프레임(31A)의 일부에 돌출부(58)를 형성함으로써, 구동 롤러용 샤프트(42)와 돌출부(58)의 상대 위치 정밀도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게, 커버 외면부(46A)의 디자인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배출 장치(30)가 화상 형성 장치(10)의 표준 기구의 일부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용지 배출 장치(30)는 표준 구성의 화상 형성 장치(10)와는 별체(別體)로 구성된, Hi-Capacity-Stacker, Stapler 등의 옵션 기기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용지 배출 장치(30)가 정착 유닛(34)을 구비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용지 배출 장치는 정착 유닛을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부품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배출 롤러에 의한 용지 말림을 방지하는 용지 배출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 다.

Claims (22)

  1. 장치 본체부와,
    상기 장치 본체부에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용지를 배출하는 배출 롤러와,
    복수의 상기 배출 롤러에 동축적(同軸的)으로 고착(固着)되고, 상기 배출 롤러의 외경(外俓)에 비하여 외경이 작으며, 또한 상기 배출 롤러의 측방(側方)에 소경부(小俓部)를 구비하고, 상기 소경부의 외경이 다른 부분의 외경에 비하여 작은 축부(軸部)와,
    상기 장치 본체부의 일부로부터 돌출되고, 선단부(先端部)가 상기 소경부와 상기 축부의 다른 부분과의 단차(段差) 내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갖는 용지 배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의 축방향에서 본 측면시(側面視)에서, 상기 돌출부에서의 용지 배출 방향 측부(側部)와 상기 배출 롤러의 외주면과의 교차점이 상기 축부의 축심(軸心)에 비하여 하방에 있으며, 상기 돌출부에서의 용지 배출 방향 측부와 상기 배출 롤러 외주면의 상기 교차점에서의 접선이 이루는 각이 둔각(鈍角)인 용지 배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의 축방향에서 본 측면시에서, 상기 돌출부에서의 용지 배출 방향 측부와 상기 소경부의 최단거리가 상기 돌출부와 상기 소경부의 최단거리에 비하여 긴 용지 배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의 축방향에서 본 측면시에서, 상기 돌출부에서의 용지 배출 방향 측부와 상기 소경부의 최단거리가 상기 돌출부와 상기 소경부의 최단거리에 비하여 긴 용지 배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장치 본체부의 내외를 분리하는 동시에 배출되는 용지의 후단(後端)을 위치 결정하는 격벽을 갖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용지 배출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장치 본체부의 내외를 분리하는 동시에 배출되는 용지의 후단을 위치 결정하는 격벽을 갖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용지 배출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장치 본체부의 내외를 분리하는 동시에 배출되는 용지의 후단을 위치 결정하는 격벽을 갖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용지 배출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장치 본체부의 내외를 분리하는 동시에 배출되는 용지의 후단을 위치 결정하는 격벽을 갖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용지 배출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외측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rib)를 구비하고, 상기 리브의 상부가 상기 돌출부인 용지 배출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외측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리브의 상부가 상기 돌출부인 용지 배출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외측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리브의 상부가 상기 돌출부인 용지 배출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외측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리브의 상부가 상기 돌출부인 용지 배출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축부를 지지하는 장치 프레임을 갖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장치 프레임에 형성되는 용지 배출 장치.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축부를 지지하는 장치 프레임을 갖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장치 프레임에 형성되는 용지 배출 장치.
  1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축부를 지지하는 장치 프레임을 갖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장치 프레임에 형성되는 용지 배출 장치.
  1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축부를 지지하는 장치 프레임을 갖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장치 프레임에 형성되는 용지 배출 장치.
  17. 제 1 항에 기재된 용지 배출장치를 가지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고, 화상 형성된 상기 용지를 상기 용지 배출 장치에 의해 배출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 2 항에 기재된 용지 배출장치를 가지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고, 화상 형성된 상기 용지를 상기 용지 배출 장치에 의해 배출하는 화상 형성 장치.
  19. 제 3 항에 기재된 용지 배출장치를 가지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고, 화상 형성된 상기 용지를 상기 용지 배출 장치에 의해 배출하는 화상 형성 장치.
  20. 제 5 항에 기재된 용지 배출장치를 가지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고, 화상 형성된 상기 용지를 상기 용지 배출 장치에 의해 배출하는 화상 형성 장치.
  21. 제 9 항에 기재된 용지 배출장치를 가지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고, 화상 형성된 상기 용지를 상기 용지 배출 장치에 의해 배출하는 화상 형성 장치.
  22. 제 13 항에 기재된 용지 배출장치를 가지며,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고, 화상 형성된 상기 용지를 상기 용지 배출 장치에 의해 배출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60034601A 2005-07-25 2006-04-17 용지 배출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07824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15029A JP4415911B2 (ja) 2005-07-25 2005-07-25 用紙排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05-00215029 2005-07-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198A KR20070013198A (ko) 2007-01-30
KR100782490B1 true KR100782490B1 (ko) 2007-12-05

Family

ID=37674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601A KR100782490B1 (ko) 2005-07-25 2006-04-17 용지 배출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61841B2 (ko)
JP (1) JP4415911B2 (ko)
KR (1) KR100782490B1 (ko)
CN (1) CN10058761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25405B (en) * 2007-01-05 2010-06-01 Avision Inc Separating roller and sheet separating mechanism using the same
JP6136306B2 (ja) 2013-01-31 2017-05-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排出装置
JP6758857B2 (ja) 2016-02-25 2020-09-23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8179A (en) * 1987-06-29 1989-01-12 Toshiba Corp Image forming device
KR20000018668U (ko) * 1999-03-25 2000-10-25 우석형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JP2000351512A (ja) 1999-06-14 2000-12-19 Seiko Epson Corp 排紙装置
JP2002128389A (ja) 2000-10-20 2002-05-09 Ricoh Co Ltd 用紙積載装置
KR20050040686A (ko) * 2003-10-29 2005-05-03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프린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7477A (en) * 1877-11-27 kneeland
US2857161A (en) * 1956-08-16 1958-10-21 Harris Intertype Corp Sheet feeder
GB1546378A (en) * 1975-05-15 1979-05-23 Norprint Ltd Dispensing of labels
GB1549285A (en) * 1976-06-25 1979-08-01 Xerox Corp Sheet handling apparatus
GB1549282A (en) * 1976-06-25 1979-08-01 Xerox Corp Document handling apparatus
US4767114A (en) * 1985-07-30 1988-08-30 Kabushiki Kaisha Toshiba Sheet feeder
JPS648179U (ko) 1987-07-01 1989-01-18
JPH02108943U (ko) * 1989-02-14 1990-08-30
JPH04312209A (ja) * 1991-04-09 1992-11-04 Yukiyoshi Murakami Oa機器等用シャフト部材及びその製造法
JP3432052B2 (ja) * 1994-09-02 2003-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5564688A (en) * 1994-10-14 1996-10-15 Hewlett-Packard Company Stripper roller manufacturing method
US5553842A (en) * 1994-10-17 1996-09-10 Hewlett-Packard Company Precision referencing/latching system for document separation and transport in a scanning unit
KR100225084B1 (ko) * 1997-11-24 1999-10-15 윤종용 복합기기의 매뉴얼/자동 겸용급지장치
US5951005A (en) * 1998-04-06 1999-09-14 Xerox Corporation Air corrugated stacking
KR20000018668A (ko) 1998-09-03 2000-04-06 구자홍 이동 통신시스템에서의 통신방법
JP2002003000A (ja) * 2000-06-23 2002-01-09 Fuji Photo Film Co Ltd シート状記録材料の搬送方法及び装置
JP2002241028A (ja) * 2001-02-15 2002-08-28 Ricoh Co Ltd 用紙排出装置
JP2002348027A (ja) * 2001-03-21 2002-12-04 Toshiba Tec Corp シート排出装置およびこのシート排出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2370860A (ja) * 2001-06-13 2002-12-24 Canon Inc 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370741B2 (ja) * 2001-08-13 2009-11-2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葉類集積機構
JP3973924B2 (ja) * 2002-02-20 2007-09-12 鈴鹿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排出装置
JP4090362B2 (ja) * 2002-03-20 2008-05-2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ローラと紙葉類繰出装置
JP2004025509A (ja) * 2002-06-21 2004-01-29 Seiko Epson Corp 排紙装置
JP4073008B2 (ja) * 2002-09-17 2008-04-09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2005096951A (ja) * 2003-09-25 2005-04-14 Murata Mach Ltd 画像読取装置
JP4218509B2 (ja) * 2003-11-26 2009-02-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材給送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8179A (en) * 1987-06-29 1989-01-12 Toshiba Corp Image forming device
KR20000018668U (ko) * 1999-03-25 2000-10-25 우석형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JP2000351512A (ja) 1999-06-14 2000-12-19 Seiko Epson Corp 排紙装置
JP2002128389A (ja) 2000-10-20 2002-05-09 Ricoh Co Ltd 用紙積載装置
KR20050040686A (ko) * 2003-10-29 2005-05-03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프린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031045A (ja) 2007-02-08
US20070018375A1 (en) 2007-01-25
KR20070013198A (ko) 2007-01-30
US7461841B2 (en) 2008-12-09
JP4415911B2 (ja) 2010-02-17
CN1904749A (zh) 2007-01-31
CN100587612C (zh) 201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6034B2 (ja) 画像形成装置
US20080138110A1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P2366646A2 (en) Separating device, fixing device, medium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3239779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7015889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and program
JP6632336B2 (ja) 給送装着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782490B1 (ko) 용지 배출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US8038146B2 (en) Post-proces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EP2738616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9950887B2 (en) Sheet detec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053564A (ja) 定着装置
JP2011057432A (ja) シート送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107874B2 (en) Printing medium guide device including rollers
US1064940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features that suppress deformation of door caused by counterforce from cartridge
JP2003040507A (ja) シート材排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768236B2 (en) Duplex image forming apparatus
JP5594072B2 (ja) 画像形成装置
EP2011752A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166403A (ja) 連続紙印刷装置
JP4050083B2 (ja) 定着装置
JP4963632B2 (ja) 画像形成装置
JP5131106B2 (ja) 画像形成装置
JP7443045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281411B2 (ja) シート検知装置、これを用いた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719638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