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107B1 -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 Google Patents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107B1
KR100781107B1 KR1020060030882A KR20060030882A KR100781107B1 KR 100781107 B1 KR100781107 B1 KR 100781107B1 KR 1020060030882 A KR1020060030882 A KR 1020060030882A KR 20060030882 A KR20060030882 A KR 20060030882A KR 100781107 B1 KR100781107 B1 KR 100781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passage
double
introduction passag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0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4001A (ko
Inventor
미츠요 이시카와
쇼지 다케모토
도시유키 반노
준 곤도
다케시 아오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070014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4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09Distribution members
    • F04B27/1018Cylindrical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 F04B27/0878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45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54Actuating elements
    • F04B27/1063Actuating-element bearing means or driving-axis bear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81Casings,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9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과제) 축봉(軸封)장치의 윤활성을 유지하면서 회전축의 강도를 높일 수 있는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10) 에 있어서, 회전축 (21) 의 주위면을 따른 냉매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축봉장치 (22) 는, 프론트 하우징 (13) 에 형성한 수용실 (13b)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 (21) 내에는 공급통로 (21a) 가 형성되고, 이 공급통로 (21a) 에 의해 흡입실과 도입통로 (31) 가 연통하고 있다. 실린더 블록 (11) 및 프론트 하우징 (13) 에는, 수용실 (13b) 과 사판실을 연통하는 연통통로 (46) 가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 하우징 (13) 측의 실린더 블록 (11) 을 관통한 회전축 (21) 의 외주면에는, 도입통로 (31) 와 상기 수용실 (13b) 에 연통하는 연통 홈 (40)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급통로 (21a) 와 사판실은, 수용실 (13b) 을 개재한 연통통로 (46) 및 연통 홈 (40) 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Description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DOUBLE-HEADED PISTON TYPE COMPRESSOR}
도 1 은 실시형태의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 는 로터리 밸브의 도입통로 및 연통 홈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고, 도 2(b) 는 도 2(a) 의 2b-2b 선 단면도이고, (c) 는 로터리 밸브의 도입통로 및 연통 홈을 나타내는 부분 절결 단면도이다.
도 3(a) 는 양두 피스톤이 상사점측에 있을 때의 로터리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b) 는 도 3(a) 의 3b-3b 선 단면도이다.
도 4(a) 는 양두 피스톤이 하사점측에 있을 때의 로터리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b) 는 도 4(a) 의 4b-4b 선 단면도이다.
도 5 는 별도의 예의 연통 홈을 나타내는 로터리 밸브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6 은 배경기술의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 중심축
N: 이등분선
W: 개구폭
10: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11, 12: 실린더 블록
13: 프론트 하우징
13b: 수용실
14: 리어 하우징
14b: 흡입압 영역으로서의 흡입실
21: 회전축
21a: 공급통로
22: 축봉장치
23: 캠체로서의 사판
24: 캠실로서의 사판실
27, 28: 실린더 보어
27a, 28a: 압축실
29: 양두 피스톤
31, 32: 도입통로
31c: 코너부
31d: 개구 가장자리
33, 34: 흡입통로
35, 36: 로터리 밸브
40: 연통 홈
40a: 제 1 홈구
40b: 제 2 홈구
46: 연통통로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47486호
본 발명은, 흡입압 영역으로부터 압축실로 냉매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통로를 갖는 로터리 밸브를 회전축에 구비하고, 회전축의 주위면을 따른 냉매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축봉장치를 프론트 하우징과 회전축 사이에 형성한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도 6 에 배경기술의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C) 를 나타낸다. 또한, 도 6 에 있어서 좌측을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C) 의 프론트측 (앞측) 으로 하고, 우측을 리어측 (후방) 으로 한다.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C) 는, 한 쌍의 실린더 블록 (80) 의 프론트측에 프론트 하우징 (81) 이 접합되고, 리어측에 리어 하우징 (82) 이 접합되어 전체의 하우징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실린더 블록 (80) 사이에는 캠실 (83) 이 구획 형성되고, 이 캠실 (83) 에는 회전축 (84) 에 일체화된 사판 (85) 이 수용되어 있다. 이 사판 (85) 에는, 양두형 피스톤 (86) 이 계류되어 있고, 상기 사판 (85) 을 개재하여 회전축 (84) 의 회전에 피스톤 (86) 이 연동되어 있다. 또한,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80) 에 있어서, 각 실린더 블록 (80) 에 형성된 실린더 보어 (80a) 내에는, 피스톤 (86) 에 의해 압축실 (87) 이 구획 형성되고, 이 압축실 (87) 에 냉매를 도입하기 위해 로터리 밸브 (88) 가 채용되어 있다.
이 로터리 밸브 (88) 는 회전축 (84) 그 자체가 로터리 밸브 (88) 로 되어 있고, 각 실린더 블록 (80) 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로터리 밸브 (88) 의 축심에는 흡입실 (89) 과 연통하는 공급통로 (90) 가 형성되고, 로터리 밸브 (88) 에는 상기 압축실 (87) 과 공급통로 (90) 를 연통시켜, 압축실 (87) 에 냉매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통로 (91)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C) 에 있어서, 프론트 하우징 (81) 과 회전축 (84) 사이에는 축봉장치 (92)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축봉장치 (92) 는, 프론트 하우징 (81) 에 형성된 수용실 (81a) 내에 수용되어 있고, 냉매가 회전축 (84) 의 주위면을 따라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C)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축봉장치 (92) 는, 적절한 윤활유를 받지 않으면 조기에 열화되어, 시일성이 조기에 저하된다. 이 때문에,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C) 에 있어서는, 축봉장치 (92) 의 윤활성을 유지하기 위한 윤활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상기 윤활구조는, 프론트측의 실린더 블록 (80) 및 프론트 하우징 (81) 에 형성된 윤활용 유로 (93) 와, 상기 수용실 (81a) 과, 회전축 (84) 에 형성된 연통구멍 (94) 과, 상기 공급통로 (90) 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윤활용 유로 (93) 는, 상기 캠실 (83) 과 수용실 (81a) 을 연통하고 있다. 또한, 상기 연통구멍 (94) 은, 회전축 (84) 의 둘레벽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공급통로 (90) 와, 회전축 (84) 의 외주면측의 수용실 (81a) 을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토출 행정의 상태에 있는 실린더 보어 (80a) 에 있어서의 압축실 (87) 의 냉매의 압력은 캠실 (83) 의 압력보다 높다. 이 때문에, 압축실 (87) 의 냉매는, 피스톤 (86) 의 주위면과 실린더 보어 (80a) 의 주위면 사이의 약간의 틈으로부터 캠실 (83) 로 누출된다. 이 냉매 누출은, 캠실 (83) 의 압력을 공급통로 (90) 보다 높게 하여, 공급통로 (90) 와 캠실 (83) 사이에 압력차를 형성한다. 그 결과, 캠실 (83) 의 냉매가 윤활용 유로 (93), 수용실 (81a), 연통구멍 (94) 을 경유하여 공급통로 (90) 로 흘러 간다. 따라서, 수용실 (81a) 로 흐른 냉매에 포함되는 윤활유가 축봉장치 (92) 의 윤활에 기여하게 된다.
그런데,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윤활구조에 있어서는, 이 윤활구조를 구성하는 연통구멍 (94) 은, 회전축 (84) 내의 공급통로 (90) 와 회전축 (84) 의 외주측의 수용실 (81a) 을 연통시키기 위해, 회전축 (84) 의 둘레벽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축 (84) 에는 강도가 대단히 낮은 개소가 존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축봉장치의 윤활성을 유지하면서 회전축의 강도를 높일 수 있는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는,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 사이에 한 쌍의 실린더 블록을 형성하고, 이 한 쌍의 실린더 블록 사이에 형성된 캠실내에 회전축과 함께 움직이는 캠체를 배치함과 함께, 각 실린더 블록에서 상기 회전축의 주위에 복수 배열된 실린더 보어내에 양두 피스톤을 수용하고, 상기 실린더 블록에는 상기 실린더 보어와 축구멍을 연통하도록 흡입통로가 형성되고, 이 양두 피스톤에 의해 상기 실린더 보어내에 구획되는 압축실에 상기 흡입통로를 개재한 흡입압 영역으로부터 냉매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통로를 갖는 로터리 밸브를 회전축에 구비하고, 이 회전축의 주위면을 따른 냉매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축봉장치를 프론트 하우징과 회전축 사이에 형성한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축봉장치를 상기 프론트 하우징에 형성한 수용실내에 수용하고, 상기 회전축내에 상기 흡입압 영역에 연통하는 공급통로를 형성함과 함께 이 공급통로에 상기 도입통로를 연통시키고, 상기 수용실과 상기 캠실을 연통하는 연통통로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도입통로와 상기 수용실을 연통시키는 연통 홈을 상기 프론트 하우징측의 로터리 밸브를 형성하는 회전축의 외주면에 형성하고, 상기 공급통로와 상기 캠실을 상기 수용실을 개재한 연통통로 및 연통 홈에 의해 연통시켰다.
이것에 의하면, 캠실의 압력이 흡입압 영역의 압력보다도 높아지면, 캠실과 흡입압 영역 사이에 형성되는 압력차에 의해, 캠실의 냉매가 연통통로, 수용실, 연통 홈, 및 도입통로를 경유하여 공급통로로 흘러 간다. 따라서, 수용실로 흐른 냉매에 포함되는 윤활유가 축봉장치의 윤활에 기여하게 되어, 축봉장치의 윤활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 홈은, 수용실과 도입통로를 회전축의 외주면 상에서 연통시켜 수용실과 공급통로를 연통시키는 구성으로서, 수용실과 공급통로를 연통시키기 위해 회전축의 둘레벽을 관통시킨 구성과는 다르다. 즉, 회전축에는, 그 둘레벽을 관통시킨 부위가 존재하고 있지 않아, 회전축의 둘레벽을 관통 시켜 수용실과 공급통로를 연통시킨 구성에 비하여 회전축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 홈은, 제 1 홈구가 상기 도입통로에 연통하고, 제 2 홈구가 상기 수용실에 연통하고 있으며, 상기 양두 피스톤이 상기 압축실의 용적을 최소로 하는 상사점으로부터 압축실의 용적을 최대로 하는 하사점으로 이행함에 따라, 상기 도입통로는 회전축의 회전방향 선행측으로부터 후행측으로 상기 흡입통로에 연통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따른 도입통로의 개구폭을 이등분하는 가상선을 이등분선으로 하였을 때, 상기 연통 홈은, 적어도 상기 제 1 홈구가 도입통로에 있어서의 상기 이등분선보다 회전방향 후행측에 연통하고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양두 피스톤이 상사점으로부터 하사점측으로 이행한 직후에는, 도입통로의 회전방향 선행측이 흡입통로에 연통한다. 이 때, 압축실과 공급통로 사이에 압력차가 생겨 있기 때문에, 연통 홈의 제 1 홈구가 도입통로의 회전방향 선행측에 연통하고 있으면, 이 연통 홈을 개재하여 캠실의 냉매가 압축실로 급격히 유입되게 된다. 그 결과, 캠실에서 압축실로의 냉매의 유입 도중에 있는 수용실로도 냉매가 급격히 유입되게 된다.
그러나, 연통 홈은, 그 제 1 홈구가 도입통로의 회전방향 후행측에서 연통하고 있다. 이 때문에, 양두 피스톤이 상사점으로부터 하사점측으로 이행한 직후에는, 연통 홈이 흡입통로에 직접 연통하지 않고, 캠실의 냉매가 압축실로 급격히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캠실에서 압축실로의 냉매의 유입 도중에 있는 수용실로 냉매가 급격히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도입통로가 회전방향 후행측에서 흡입통로에 연통하고, 연통 홈이 흡입통로에 직접 연통하였을 때에는, 양두 피스톤은 하사점에 가까운 위치까지 이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캠실과 공급통로의 압력차만으로 캠실의 냉매를 연통통로, 수용실, 연통 홈, 및 도입통로를 경유하여 공급통로로 흐르게 할 수 있고, 수용실로는 냉매를 완만하게 흐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 홈은, 상기 제 2 홈구가 도입통로의 회전방향 후행측에 위치하고, 연통 홈은 회전축의 중심축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예를 들어, 연통 홈을 회전축의 중심축에 대하여 비스듬히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연통 홈에 의한 수용실과 도입통로의 연통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즉, 회전축의 외주면에 형성하는 연통 홈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연통 홈의 가공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도입통로에 있어서의 회전축의 외주면측 개구는 다각 형상을 이루고, 상기 연통 홈의 제 1 홈구는, 상기 외주면측 개구에서 상기 수용실측의 코너부를 회피한 직선 형상의 개구 가장자리에 연통하고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도입통로에 있어서의 회전축의 외주면측 개구의 코너부는, 이 외주면측 개구를 형성하는 직선 형상의 개구 가장자리에 비하여 강도가 낮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홈구가 직선 형상의 개구 가장자리에 연통하고 있음으로써, 예를 들어, 회전축에 구부러짐이나 비틀어짐이 작용하더라도, 도입통로의 상기 외주면측 개구가 손상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의 일실시형태를 도 1∼도 4 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도 1 은, 본 실시형태의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10) (이하, 간단히 압축기 (10) 라 기재한다) 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 에 있어서 좌측을 압축기의 프론트측 (앞측) 으로 하고, 우측을 압축기 (10) 의 리어측 (후방) 으로 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기 (10) 의 전체 하우징은, 접합된 한 쌍의 실린더 블록 (11, 12) 과, 프론트측 (도 1 에서는 좌측) 의 실린더 블록 (11) 에 접합된 프론트 하우징 (13) 과, 리어측 (도 1 에서는 우측) 의 실린더 블록 (12) 에 접합된 리어 하우징 (14) 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 (11, 12),프론트 하우징 (13) 및 리어 하우징 (14) 은, 복수개의 볼트 (B) (본 실시형태에서는 5개. 도 1 에서는 1개의 볼트 (B) 만 도시) 에 의해 함께 조여져 있다. 프론트 하우징 (13) 에는 토출실 (13a) 이 형성되고, 리어 하우징 (14) 에는 토출실 (14a) 및 흡입실 (14b)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실 (14b) 은, 압축기 (10) 에 있어서의 흡입압 영역을 구성하고 있다.
프론트 하우징 (13) 과, 프론트측의 실린더 블록 (11) 사이에는, 밸브 플레이트 (15), 밸브 형성 플레이트 (16) 및 리테이너 형성 플레이트 (17) 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리어 하우징 (14) 과, 리어측의 실린더 블록 (12) 사이에는, 밸브 플레이트 (18), 밸브 형성 플레이트 (19) 및 리테이너 형성 플레이트 (20) 가 개재되어 있다. 밸브 플레이트 (15, 18) 에는 토출 포트 (15a, 18a) 가 형성되어 있고, 밸브 형성 플레이트 (16, 19) 에는 토출 밸브 (16a, 19a) 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 밸브 (16a, 19a) 는, 토출 포트 (15a, 18a) 를 개폐한다. 리테이너 형성 플레이트 (17, 20) 에는 리테이너 (17a, 20a) 가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 (17a, 20a) 는, 토출 밸브 (16a, 19a) 의 개방도를 규제한다.
실린더 블록 (11, 12) 에는 회전축 (21) 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 (21) 은, 실린더 블록 (11, 12) 에 관통 형성된 축구멍 (11a, 12a) 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 (21) 은, 밸브 플레이트 (15) 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 통과 구멍 (15b) 을 관통하도록 삽입 통과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 (21) 의 외주면과 삽입 통과 구멍 (15b)의 내주면은 회전축 (21) 의 접동부를 구성하고 있다. 회전축 (21) 은, 축구멍 (11a, 12a) 을 개재하여 실린더 블록 (11, 12) 에 의해 직접 지지되어 있다. 프론트 하우징 (13) 과 회전축 (21) 사이에는 립 시일형 축봉장치 (22) 가 개재되어 있다. 축봉장치 (22) 는, 프론트 하우징 (13) 에 형성된 수용실 (13b) 내에 수용되어 있다. 프론트 하우징 (13) 측의 토출실 (13a) 은, 상기 수용실 (13b) 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 (21) 에는, 이 회전축 (21) 과 함께 움직이는 캠체로서의 사판 (23) 이 고착되어 있다. 사판 (23) 은, 상기 한 쌍의 실린더 블록 (11, 12) 사이에 구획 형성된 캠실로서의 사판실 (24) 내에 배치되어 있다. 프론트측의 실린더 블록 (11) 의 단면과 사판 (23) 의 원환 형상의 기부 (23a)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 (25) 이 개재되어 있다. 리어측의 실린더 블록 (12) 의 단면과 사판 (23) 의 기부 (23a)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 (26) 이 개재되어 있다. 스러스트 베어링 (25, 26) 은, 사판 (23) 을 협지하여 회전축 (21) 의 중심축 (L) 방향을 따른 이동을 규제한다.
프론트측의 실린더 블록 (11) 에는 복수의 실린더 보어 (27)(본 실시형태에서는 5개. 도 1 에서는 1개의 실린더 보어 (27) 만 도시) 가 회전축 (21) 의 주위에 배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어측의 실린더 블록 (12) 에는 복수의 실린더 보어 (28)(본 실시형태에서는 5개. 도 1 에서는 1개의 실린더 보어 (28) 만 도시) 가 회전축 (21) 의 주위에 배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앞뒤로 쌍이 되는 실린더 보어 (27, 28) 에는 양두형 피스톤으로서의 양두 피스톤 (29) 이 수용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 (11, 12) 은, 상기 양두 피스톤 (29) 용 실린더를 구성한다.
회전축 (21) 과 함께 움직이는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사판 (23) 의 회전운동은, 사판 (23) 을 협지하여 형성된 한 쌍의 슈 (30) 를 개재하여 양두 피스톤 (29) 에 전해져, 양두 피스톤 (29) 이 실린더 보어 (27, 28) 내를 앞뒤로 왕복이동한다. 그리고, 실린더 보어 (27, 28) 내에는, 양두 피스톤 (29) 에 의해 압축실 (27a, 28a) 이 구획된다. 회전축 (21) 이 삽입 통과된 상기 축구멍 (11a, 12a) 의 내주면에는 시일 주위면 (11b, 12b) 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 (21) 은, 시일 주위면 (11b, 12b) 을 개재하여 실린더 블록 (11, 12) 에 의해 직접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 (21) 내에는 공급통로 (21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급통로 (21a) 의 일단은 리어 하우징 (14) 내의 상기 흡입실 (14b) 에 개구하고 있다. 회전축 (21) 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측의 실린더 블록 (11) 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도입통로 (31) 가, 리어측의 실린더 블록 (12) 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도입통로 (32) 가, 각각 공급통로 (21a) 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입통로 (31, 32) 에 있어서의 회전축 (21) 의 외주면측 개구를 도입통로 (31, 32) 의 출구 (31b, 32b) 로 한다. 그리고,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입통로 (31, 32) 의 출구 (31b, 32b) 는 (도 2(a) 에서는 출구 (31b) 만 도시), 회전축 (21) 의 중심축 (L) 방향으로 단변이 연장되고, 이 중심축 (L) 에 직행하는 방향으로 장변이 연장되는 사각 형상 (직사각 형상) 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출구 (31b, 32b) 의 네개의 코너부 (31c) (도 2(a) 에서는 출구 (31b) 의 코너부 (31c) 만 도시) 는 각각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측의 실린더 블록 (11) 에는 흡입통로 (33) 가 실린더 보어 (27) 와 축구멍 (11a) 을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흡입통로 (33) 의 입구 (33a) 는, 시일 주위면 (11b) 상에 개구하고, 출구 (33b) 는, 실린더 보어 (27) 의 압축실 (27a) 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또한, 리어측의 실린더 블록 (12) 에는 흡입통로 (34) 가 실린더 보어 (28) 와 축구멍 (12a) 을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흡입통로 (34) 의 입구 (34a) 는, 시일 주위면 (12b) 상에 개구하고, 출구 (34b) 는, 실린더 보어 (28) 의 압축실 (28a) 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회전축 (21) 의 회전에 수반하여, 도입통로 (31, 32) 의 출구 (31b, 32b) 는, 흡입통로 (33, 34) 의 입구 (33a, 34a) 에 간헐적으로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시일 주위면 (11b, 12b) 에 의해 포위되는 회전축 (21) 의 부분은, 회전축 (21) 에 일체 형성된 로터리 밸브 (35, 36) 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압축기 (10) 에 있어서는, 프론트측의 실린더 보어 (27) 가 흡입 행정의 상태 (즉, 양두 피스톤 (29) 이 도 1 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행하는 행정) 에 있을 때에는, 도입통로 (31) 의 출구 (31b) 와 흡입통로 (33) 의 입구 (33a) 가 연통한다. 실린더 보어 (27) 가 흡입 행정의 상태에 있을 때에는, 흡입실 (14b) 에 연통하는 공급통로 (21a) 내의 냉매가, 도입통로 (31) 및 흡입통로 (33) 를 경유하여 실린더 보어 (27) 의 압축실 (27a) 에 흡입된다. 그리고, 실린더 보어 (27) 에서 압축실 (27a) 의 용적이 최대가 되는 위치를 양두 피스톤 (29) 의 하사점으로 한다.
한편, 실린더 보어 (27) 가 토출 행정의 상태 (즉, 양두 피스톤 (29) 이 도 1 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행하는 행정) 에 있을 때에는, 도입통로 (31) 의 출구 (31b) 와 흡입통로 (33) 의 입구 (33a) 의 연통이 차단된다. 실린더 보어 (27) 가 토출 행정의 상태에 있을 때에는, 압축실 (27a) 내의 냉매가 토출 포트 (15a) 로부터 토출 밸브 (16a) 를 밀어내어 토출실 (13a) 로 토출된다. 그리고, 실린더 보어 (27) 에서 압축실 (27a) 의 용적이 최소가 되는 위치를 양두 피스톤 (29) 의 상사점으로 한다. 토출실 (13a) 로 토출된 냉매는, 도시하지 않는 외부 냉매회로로 유출된다. 또한, 압축기 (10) 및 외부 냉매회로로 이루어지는 회로내에는 윤활유가 들어가 있고, 이 윤활유는 냉매와 함께 유동한다.
또한, 리어측의 실린더 보어 (28) 가 흡입 행정의 상태 (즉, 양두 피스톤 (29) 이 도 1 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행하는 행정) 에 있을 때에는, 도입통로 (32) 의 출구 (32b) 와 흡입통로 (34) 의 입구 (34a) 가 연통한다. 실린더 보 어 (28) 가 흡입 행정의 상태에 있을 때에는, 회전축 (21) 의 공급통로 (21a) 내의 냉매가 도입통로 (32) 및 흡입통로 (34) 를 경유하여 실린더 보어 (28) 의 압축실 (28a) 에 흡입된다. 그리고, 실린더 보어 (28) 에서 압축실 (28a) 의 용적이 최대가 되는 위치를 양두 피스톤 (29) 의 하사점으로 한다.
한편, 실린더 보어 (28) 가 토출 행정의 상태 (즉, 양두 피스톤 (29) 이 도 1 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행하는 행정) 에 있을 때에는, 도입통로 (32) 의 출구 (32b) 와 흡입통로 (34) 의 입구 (34a) 의 연통이 차단된다. 실린더 보어 (28) 가 토출 행정의 상태에 있을 때에는, 압축실 (28a) 내의 냉매가 토출 포트 (18a) 로부터 토출밸브 (19a) 를 밀어내어 토출실 (14a) 로 토출된다. 그리고, 실린더 보어 (28) 에서 압축실 (28a) 의 용적이 최대가 되는 위치를 양두 피스톤 (29) 의 하사점으로 한다. 토출실 (14a) 로 토출된 냉매는, 외부 냉매회로로 유출된다. 외부 냉매회로로 유출된 냉매는, 흡입실 (14b) 로 환류된다.
또한, 압축기 (10) 에 있어서, 프론트 하우징 (13)(밸브 플레이트 (15), 밸브 형성 플레이트 (16) 및 리테이너 형성 플레이트 (17)) 및 프론트측의 실린더 블록 (11) 에는, 그것들을 관통하는 연통통로 (46) 가 형성되어 있다. 연통통로 (46) 는, 실린더 블록 (11) 의 하측에 위치하고, 인접하는 2개의 실린더 보어 (27, 27) 의 좁은 사이를 통과하고 있다. 연통통로 (46) 의 입구 (46a) 는, 사판실 (24) 에 개구하고 있고, 연통통로 (46) 의 출구 (46b) 는, 수용실 (13b) 에 개구하고 있다. 즉, 연통통로 (46) 는, 수용실 (13b) 과 사판실 (24) 을 연통하고 있다.
프론트측의 실린더 블록 (11) 에 대응하는 로터리 밸브 (35) 에 있어서, 이 로터리 밸브 (35) 를 구성하는 회전축 (21) 의 외주면에는, 도 2(a)∼(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통 홈 (40) 이 형성되어 있다.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연통 홈 (40) 은, 회전축 (21) 의 외주면에 있어서, 상기 도입통로 (31) 의 출구 (31b) 로부터 수용실 (13b) 에 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도 2(a)∼(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통 홈 (40) 은, 회전축 (21) 의 둘레벽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회전축 (21) 의 둘레벽의 두께 내에서 외주면을 오목하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연통 홈 (40) 은, 제 1 홈구 (40a) 가 도입통로 (31) 의 출구 (31b) 에 연통하고 있고, 제 2 홈구 (40b) 가 수용실 (13b) 내를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연통 홈 (40) 은, 출구 (31b) 를 개재한 도입통로 (31) 에 의해 공급통로 (21a) 에 연통하고, 이 공급통로 (21a) 를 개재하여 흡입압 영역인 흡입실 (14b) 에 연통하고 있게 된다. 그 결과, 수용실 (13b) 과 공급통로 (21a) 는 연통 홈 (40) 및 도입통로 (31) 를 개재하여 연통하고 있다. 또한, 연통 홈 (40) 에 의해 수용실 (13b) 과 도입통로 (31) 가 연통함으로써, 연통통로 (46) 에 의해 수용실 (13b) 과 연통하는 사판실 (24) 과, 공급통로 (21a) 는 연통되어 있다.
상기 제 1 홈구 (40a) 는, 도입통로 (31) 의 출구 (31b) 에 있어서 수용실 (13b) 측의 코너부 (31c) 에 연통하고 있지 않고, 코너부 (31c) 를 회피한 직선 형상을 이루는 개구 가장자리 (31d) 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통 홈 (40) 은, 회전축 (21) 의 중심축 (L) 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 Y 로 나타내는 방향을 회전축 (21) 의 회전방향으로 한다. 도입통로 (31) 의 출구 (31b) 에 있어서, 회전축 (21) 의 회전방향을 따른 폭을 개구폭 (W) 으로 하고, 도입통로 (31) 의 출구 (31b) 의 개구폭 (W) 을 이등분하는 가상선을 이등분선 (N) 으로 한다. 또한, 도입통로 (31) 에서 이등분선 (N) 에 의해 이등분된 영역 중, 회전축 (21) 의 회전에 수반하여 흡입통로 (33) 의 입구 (33a) 에 먼저 연통하는 측 (연통하는 타이밍이 빠른 측) 을 회전축 (21) 의 회전방향 선행측으로 하고, 나중에 연통하는 측 (연통하는 타이밍이 느린 측) 을 회전방향 후행측으로 한다.
도 3(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보어 (27) 에 있어서, 양두 피스톤 (29) 이 흡입 행정을 개시한 직후, 즉 양두 피스톤 (29) 이 상사점으로부터하사점측을 향하여 이행하기 시작한 직후에, 도입통로 (31) 의 출구 (31b) 에서 상기 회전방향 선행측이 흡입통로 (33) 의 입구 (33a) 에 직접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4(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보어 (27) 에 있어서, 양두 피스톤 (29) 이 흡입 행정 도중에 있고, 양두 피스톤 (29) 이 하사점에 가까운 위치까지 이행하였을 때에, 도입통로 (31) 의 출구 (31b) 에서 상기 회전방향 후행측이 흡입통로 (33) 의 입구 (33a) 에 직접 연통한다.
그리고, 연통 홈 (40) 은, 도입통로 (31) 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방향 후행측, 바꿔 말하면 하사점측에 형성되어 있다. 즉, 연통 홈 (40) 의 제 1 홈구 (40a) 는, 도입통로 (31) 의 출구 (31b) 에 대하여 상기 회전방향 후행측에서 연통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양두 피스톤 (29) 이 상사점에 가까운 위치에 있을 때, 도입통로 (31) 의 출구 (31b) 가 흡입통로 (33) 의 입구 (33a) 에 연통하고 있더라도 연통 홈 (40) 은 흡입통로 (33) 의 입구 (33a) 에 직접 연통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한편, 양두 피스톤 (29) 이 하사점에 가까운 위치에 있고, 도입통로 (31) 의 출구 (31b) 가 하사점측에서 흡입통로 (33) 의 입구 (33a) 에 연통하였을 때, 연통 홈 (40) 은 흡입통로 (33) 에 직접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연통 홈 (40) 은, 사판 (23) 에서 양두 피스톤 (29) 을 상사점에 위치시키는 톱부와 대응한 회전축 (21) 의 외주면이 아니라, 상기 톱부보다 회전축 (21) 의 회전방향 후행측 (하사점측) 으로 어긋난 회전축 (21) 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구성의 압축기 (10) 에 있어서, 토출 행정의 상태에 있는 실린더 보어 (27, 28) 에 있어서의 압축실 (27a, 28a) 의 냉매의 압력 (토출압) 은, 사판실 (24) 의 압력보다 높다. 그 때문에, 토출 행정의 상태에 있는 실린더 보어 (27, 28) 에 있어서의 압축실 (27a, 28a) 의 냉매는, 양두 피스톤 (29) 의 주위면과 실린더 보어 (27, 28) 의 주위면 사이의 약간의 틈으로부터 사판실 (24) 로 조금이지만 누출된다. 이러한 냉매 누출은, 사판실 (24) 의 압력을 공급통로 (21a) 및 흡입실 (14b) 의 압력보다 조금이기는 하나 높게 하여, 공급통로 (21a) 와 사판실 (24) 사이에 압력차가 생긴다.
그러면, 사판실 (24) 의 냉매는, 연통통로 (46), 수용실 (13b) 및 연통 홈 (40) 을 경유하여 공급통로 (21a) 로 흘러 간다. 그 결과, 냉매의 일부는, 수 용실 (13b) 에 도달한다. 수용실 (13b) 에 도달하는 냉매와 함께 유동하는 윤활유의 일부는 수용실 (13b) 에 들어가 축봉장치 (22) 의 윤활에 기여한다. 또한, 실린더 보어 (27) 의 압축실 (27a) 에 있어서, 양두 피스톤 (29) 이 토출 행정으로부터 흡입행정으로 이행하고, 양두 피스톤 (29) 이 상사점으로부터 하사점측으로 이행하였을 때, 압축실 (27a) 의 압력은 공급통로 (21a)(흡입압 영역) 의 압력보다 낮아진다.
여기서, 도 3(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통 홈 (40) 의 제 1 홈구 (40a) 는, 도입통로 (31) 의 출구 (31b) 에 있어서의 회전축 (21) 의 회전방향 후행측에서 연통하고 있고, 양두 피스톤 (29) 이 상사점에 가까운 위치에 있을 때는, 연통 홈 (40) 은 흡입통로 (33) 의 입구 (33a) 에 직접 연통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흡입통로 (33) 로는 공급통로 (21a) 내의 냉매가 흡입되기 쉽게 되어 있고, 이 냉매의 흡입에 의해 연통 홈 (40) 을 개재한 사판실 (24) 로부터 공급통로 (21a) 로의 냉매의 다량의 흡입이 억제되어 있다. 그 결과, 연통 홈 (40) 을 개재하여 사판실 (24) 의 냉매가 압축실 (27a) 로 급격히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사판실 (24) 로부터 압축실 (27a) 로의 냉매의 유입 도중에 있는 수용실 (13b) 로도 냉매가 급격히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도 4(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두 피스톤 (29) 이 더욱 하사점에 가까운 위치까지 이행하여, 실린더 보어 (27) 로의 냉매의 흡입이, 압축실 (27a) 과 공급통로 (21a) 의 압력차가 아니라 양두 피스톤 (29) 의 이행에 수반하는 흡입만으로 행해지는 상태가 되면, 흡입통로 (33) 의 입구 (33a) 에 도입통로 (31) 의 회전방향 후행측이 연통한다. 즉, 도입통로 (31) 의 회전방향 후행측에 연통한 연통 홈 (40) 이, 흡입통로 (33) 의 입구 (33a) 에 직접 연통한다. 그러면, 사판실 (24) 의 냉매가 연통통로 (46), 수용실 (13b) 및 연통 홈 (40) 을 경유하여 공급통로 (21a) 로 완만히 흘러 간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회전축 (21) 의 외주면에 도입통로 (31) 와 수용실 (13b) 을 연통하는 연통 홈 (40) 을 형성하고, 공급통로 (21a) 와 사판실 (24) 을 수용실 (13b) 을 개재한 연통통로 (46) 및 연통 홈 (40) 에 의해 연통시켰다. 이 때문에, 사판실 (24) 과 공급통로 (21a) 사이에 형성되는 압력차에 의해, 윤활유를 포함한 냉매를 사판실 (24) 로부터 연통통로 (46), 수용실 (13b), 연통 홈 (40) 을 경유하여 공급통로 (21a) 로 흐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실 (13b) 로 흐른 냉매에 포함되는 윤활유에 의해, 수용실 (13b) 내의 축봉장치 (22) 를 윤활 상태로 할 수 있어, 축봉장치 (22) 의 윤활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연통 홈 (40) 은, 회전축 (21) 의 둘레벽의 두께 내에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수용실 (13b) 과 공급통로 (21a) 를 연통시키고 있다. 따라서, 회전축 (21) 의 둘레벽을 관통시켜 수용실 (13b) 과 공급통로 (21a) 를 연통시키는 구성과 달리, 회전축 (21) 에는 둘레벽을 관통시킴으로써 강도가 극단적으로 저하된 개소가 존재하지 않아, 회전축 (21) 에 관통구멍을 형성한 경우에 비하여 강도를 높일 수 있다.
(2) 연통 홈 (40) 은, 회전축 (21) 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 에, 회전축 (21) 내의 공급통로 (21a) 와 회전축 (21) 의 외주면측을 연통 가능하게 하도록 회전축 (21) 에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연통 홈 (40) 의 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압축기 (10) 에 있어서는, 축봉장치 (22) 의 윤활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3) 연통 홈 (40) 은, 회전축 (21) 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회전축 (21) 내의 공급통로 (21a) 와 회전축 (21) 의 외주면측을 관통구멍에 의해 연통시키는 구성에 있어서, 회전축 (21) 의 강도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 상기 관통구멍의 길이를 최단으로 하기 위해서, 공급통로 (21a) 를 관통구멍 가까이까지 팔 필요가 없게 된다. 즉, 공급통로 (21a) 와 회전축 (21) 의 외주측을 관통구멍에 의해 연통시키는 구성에 비하여, 회전축 (21) 내에 공급통로 (21a) 를 파는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회전축 (21) 의 강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4) 도입통로 (31) 의 출구 (31b) 에 있어서, 이등분선 (N) 보다 회전축 (21) 의 회전방향 후행측에 연통 홈 (40) 의 제 1 홈구 (40a) 가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양두 피스톤 (29) 이 하사점에 가까운 위치까지 이행하고, 압축실 (27a) 과 공급통로 (21a) 가 균압 상태가 되었을 때에, 연통 홈 (40) 이 흡입통로 (33) 의 입구 (33a) 에 직접 연통한다. 이 때문에, 사판실 (24) 과 공급통로 (21a) 의 압력차만으로, 사판실 (24) 의 냉매를 연통통로 (46), 수용실 (13b) 및 연통 홈 (40) 을 경유하여 공급통로 (21a) 로 흐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양두 피스톤 (29) 이 상사점으로부터 하사점측으로 이행한 직후이고, 압축실 (27a) 과 공급통로 (21a) 사이에 압력차가 생긴 상태에서 연통 홈 (40) 과 흡입통로 (33) 의 입구 (33a) 가 연통하여, 사판실 (24) 의 냉매가 급격히 압축실 (27a) 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사판실 (24) 로부터 압축실 (27a) 로의 냉매의 유입 도중에 있는 수용실 (13b) 로, 냉매가 급격하고 또한 다량으로 유입되어, 이 냉매에 의해 축봉장치 (22) 가 손상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5) 연통 홈 (40) 은, 제 1 홈구 (40a) 및 제 2 홈구 (40b) 가 이등분선 (N) 보다 회전축 (21) 의 회전방향 후행측 (하사점측) 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연통 홈 (40) 은 회전축 (21) 의 중심축 (L) 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연통 홈 (40) 을 회전축 (21) 의 중심축 (L) 에 대하여 비스듬히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수용실 (13b) 과 도입통로 (31) 의 연통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즉, 회전축 (21) 의 외주면에 형성하는 연통 홈 (40) 의 길이를 짧게 억제할 수 있어, 연통 홈 (40) 의 가공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6) 도입통로 (31) 의 출구 (31b) 는 사각 형상을 이루고, 연통 홈 (40) 의 제 1 홈구 (40a) 는, 도입통로 (31) 의 출구 (31b) 에 있어서의 직선 형상의 개구 가장자리 (31d) 에 연통하고, 수용실 (13b) 측의 코너부 (31c) 를 회피한 위치에서 도입통로 (31) 에 연통하고 있다. 도입통로 (31) 의 출구 (31b) 에 있어서, 각 코너부 (31c) 는 출구 (31b) 의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 가장자리 (31d) 가 조합되어 형성되어 있고, 코너부 (31c) 의 강도는 직선 형상의 개구 가장자리 (31d) 의 강도보다 낮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연통 홈 (40) 은, 도입통로 (31) 의 출구 (31b) 에서 강도가 낮은 위치를 회피하여 출구 (31b) 에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회전축 (21) 에 구부러짐이나 비틀어짐이 작용하였을 때에, 연통 홈 (40) 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출구 (31b) 주연부가 용이하게 손상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7) 연통 홈 (40) 은, 사판 (23) 에서 양두 피스톤 (29) 을 상사점에 위치시키는 톱부와 대응한 회전축 (21) 의 외주면이 아니라, 상기 톱부보다 회전축 (21) 의 회전방향 후행측 (하사점측) 으로 어긋난 회전축 (21) 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양두 피스톤 (29) 이 상사점에 위치할 때는, 회전축 (21) 에서 사판 (23) 의 톱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큰 하중이 작용하는데, 이 하중이 연통 홈(40) 에 직접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8) 회전축 (21) 의 외주면에 연통 홈 (40) 을 형성하고, 이 연통 홈 (40) 을 윤활유를 포함한 냉매가 통과한다. 이 때문에, 연통 홈 (40) 이 형성된 회전축 (21) 의 외주면과, 밸브 플레이트 (15) 에서 회전축 (21) 이 삽입 통과된 삽입 통과 구멍 (15b) 의 내주면 사이에는 윤활유가 공급된다.
이 때문에, 회전축 (21) 의 외주면과 삽입 통과 구멍 (15b) 의 내주면 사이의 접동부의 윤활이 유지되어, 회전축 (21) 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해도 된다.
○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입통로 (31) 의 출구 (31b) 를 원구멍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통 홈 (40) 을 중심 축 (L) 에 대하여 비스듬히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또한, 이 때, 연통 홈 (40) 의 제 1 홈구 (40a) 는, 이등분선 (N) 보다 회전축 (21) 의 회전방향 후행측 (하사점측) 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통 홈 (40) 의 제 1 홈구 (40a) 를, 도입통로 (31) 의 출구 (31b) 에서 수용실 (13b) 측의 코너부 (31c) 에 연통시켜도 된다.
○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통 홈 (40) 은 회전축 (21) 의 외주면에서 이등분선 (N) 상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형태 및 별도의 예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에 관해서 이하에 추가로 기재한다.
(1) 상기 프론트 하우징과 실린더 블록 사이, 및 리어 하우징과 실린더 블록 사이에는 밸브 플레이트, 밸브 형성 플레이트 및 리테이너 형성 플레이트가 개재되고, 상기 회전축은, 프론트 하우징측의 밸브 플레이트에 형성된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되어 있고, 상기 연통 홈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과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의 내주면과의 접동부에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1∼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본 발명에 의하면, 축봉장치의 윤활성을 유지하면서 회전축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Claims (4)

  1.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 사이에 한 쌍의 실린더 블록을 형성하고, 이 한 쌍의 실린더 블록 사이에 형성된 캠실내에 회전축과 함께 움직이는 캠체를 배치함과 함께, 각 실린더 블록에서 상기 회전축의 주위에 복수 배열된 실린더 보어내에 양두 피스톤을 수용하고, 상기 실린더 블록에는 상기 실린더 보어와 축구멍을 연통하도록 흡입통로가 형성되고, 이 양두 피스톤에 의해 상기 실린더 보어내에 구획되는 압축실에 상기 흡입통로를 개재한 흡입압 영역으로부터 냉매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통로를 갖는 로터리 밸브를 회전축에 구비하고, 이 회전축의 주면을 따른 냉매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축봉장치를 프론트 하우징과 회전축 사이에 형성한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축봉장치를 상기 프론트 하우징에 형성한 수용실내에 수용하고, 상기 회전축내에 상기 흡입압 영역에 연통하는 공급통로를 형성함과 함께 이 공급통로에 상기 도입통로를 연통시키고, 상기 수용실과 상기 캠실을 연통하는 연통통로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도입통로와 상기 수용실을 연통시키는 연통 홈을 상기 프론트 하우징측의 로터리 밸브를 형성하는 회전축의 외주면에 형성하고, 상기 공급통로와 상기 캠실을 상기 수용실을 개재한 연통통로 및 연통 홈에 의해 연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홈은, 제 1 홈구가 상기 도입통로에 연통하고, 제 2 홈구가 상기 수용실에 연통하고 있으며, 상기 양두 피스톤이 상기 압축실의 용적을 최소로 하는 상사점으로부터 압축실의 용적을 최대로 하는 하사점으로 이행함에 따라, 상기 도입통로는 회전축의 회전방향 선행측으로부터 후행측으로 상기 흡입통로에 연통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따른 도입통로의 개구폭을 이등분하는 가상선을 이등분선으로 하였을 때, 상기 연통 홈은, 적어도 상기 제 1 홈구가 도입통로에 있어서의 상기 이등분선보다 회전방향 후행측에 연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홈은, 상기 제 2 홈구가 도입통로의 회전방향 후행측에 위치하고, 연통 홈은 회전축의 중심축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통로에 있어서의 회전축의 외주면측 개구는 다각 형상을 이루고, 상기 연통 홈의 제 1 홈구는, 상기 외주면측 개구에서 상기 수용실측의 코너부를 회피한 직선 형상의 개구 가장자리에 연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KR1020060030882A 2005-07-27 2006-04-05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KR1007811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17943 2005-07-27
JP2005217943A JP4513684B2 (ja) 2005-07-27 2005-07-27 両頭ピストン式圧縮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4001A KR20070014001A (ko) 2007-01-31
KR100781107B1 true KR100781107B1 (ko) 2007-11-30

Family

ID=37673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0882A KR100781107B1 (ko) 2005-07-27 2006-04-05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11066B2 (ko)
JP (1) JP4513684B2 (ko)
KR (1) KR100781107B1 (ko)
CN (1) CN10047620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812B1 (ko) * 2005-12-26 2011-04-29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
JP4730317B2 (ja) * 2007-02-02 2011-07-2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両頭ピストン式圧縮機
JP2008286109A (ja) * 2007-05-17 2008-11-27 Toyota Industries Corp 固定容量型ピストン式圧縮機における冷媒吸入構造
JP2009097379A (ja) * 2007-10-15 2009-05-07 Toyota Industries Corp 両頭ピストン式圧縮機における冷媒吸入構造
JP5045555B2 (ja) 2008-05-29 2012-10-1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両頭ピストン型斜板式圧縮機
JP5152007B2 (ja) * 2009-01-23 2013-02-2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ピストン式圧縮機における潤滑構造
US9163620B2 (en) 2011-02-04 2015-10-20 Halla Visteon Climate Control Corporation Oil management system for a compressor
CN105756900B (zh) * 2015-12-30 2018-02-06 上海光裕汽车空调压缩机股份有限公司 压缩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7486A (ja) * 2001-12-21 2003-09-05 Toyota Industries Corp ピストン式圧縮機における潤滑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5366A (ja) * 1985-05-20 1986-11-25 Diesel Kiki Co Ltd 回転斜板式圧縮機
US5181834A (en) * 1991-07-26 1993-01-26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ii Seisakusho Swash plate type compressor
US5478212A (en) * 1992-03-04 1995-12-26 Nippondenso Co., Ltd. Swash plate type compressor
JPH09209927A (ja) 1996-01-29 1997-08-1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圧縮機
JP4096703B2 (ja) * 2001-11-21 2008-06-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ピストン式圧縮機における冷媒吸入構造
JP3890966B2 (ja) * 2001-12-06 2007-03-0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固定容量型ピストン式圧縮機における潤滑構造
JP2004245197A (ja) * 2003-02-17 2004-09-02 Toyota Industries Corp ピストン式圧縮機
JP4003673B2 (ja) * 2003-03-13 2007-11-0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ピストン式圧縮機
JP2005002927A (ja) * 2003-06-12 2005-01-06 Toyota Industries Corp ピストン式圧縮機
JP2006291751A (ja) * 2005-04-06 2006-10-26 Toyota Industries Corp ピストン式圧縮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7486A (ja) * 2001-12-21 2003-09-05 Toyota Industries Corp ピストン式圧縮機における潤滑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76201C (zh) 2009-04-08
CN1904360A (zh) 2007-01-31
US20070031264A1 (en) 2007-02-08
KR20070014001A (ko) 2007-01-31
JP2007032445A (ja) 2007-02-08
US7811066B2 (en) 2010-10-12
JP4513684B2 (ja) 201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1107B1 (ko)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EP1884662B1 (en) Compressor
KR20130030743A (ko) 피스톤형 압축기
US20120237369A1 (en) Cylinder block of piston-type compres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594334B1 (ko) 고정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의 윤활구조
US8197229B2 (en) Double-headed piston type compressor
KR20070111967A (ko) 압축기
KR20030053428A (ko) 피스톤식 압축기의 윤활구조
KR100796543B1 (ko) 압축기의 오일 분리 구조
KR100235511B1 (ko)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JPS63280875A (ja) 斜板式圧縮機の吸入ガス案内機構
KR101386381B1 (ko) 피스톤형 압축기
KR100235513B1 (ko) 압축기의 피스톤
KR20100004046A (ko)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의 냉매 흡입 구조
JP5229667B2 (ja) ピストン型圧縮機
US20060140785A1 (en) Reciprocating compressor
JP2007002853A (ja) 固定容量型ピストン式圧縮機における潤滑構造
JP3137393U (ja) ピストン型圧縮機
JPH11230032A (ja) 斜板式圧縮機
JP2000249048A (ja) 斜板式圧縮機
JP3758237B2 (ja) 往復動型圧縮機の潤滑機構
JP2009002203A (ja) ピストン式圧縮機
JPS6042234Y2 (ja) 回転斜板式圧縮機
KR20030052969A (ko) 피스톤식 압축기의 윤활구조
JPH1089245A (ja) 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