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8905B1 - 조인트 박스 - Google Patents

조인트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8905B1
KR100778905B1 KR1020060034192A KR20060034192A KR100778905B1 KR 100778905 B1 KR100778905 B1 KR 100778905B1 KR 1020060034192 A KR1020060034192 A KR 1020060034192A KR 20060034192 A KR20060034192 A KR 20060034192A KR 100778905 B1 KR100778905 B1 KR 100778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ain body
wire insertion
display
f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4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9349A (ko
Inventor
다쓰야 다카기
마스오 기타무라
시게오 이다
고지 히가시데
사토루 사쿠라이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9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2Intermediate parts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in parallel, e.g. splitte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귀 스프링의 영구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조인트 박스를 제공한다. 하우징(1)의 내면에 있어서 표시 본체부(4)의 아래쪽에, 표시 본체부(4)의 하단에 접촉함으로써 표시 본체부(4)의 아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돌기(18)가 설치된다. 표시 본체부(4)의 표시부(42)가 하우징(1)의 바깥쪽으로부터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은 하향력을 받았을 경우에도, 표시 본체부(4)의 하방 즉 스프링부(53)의 스프링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은, 표시 본체부(4)의 하단이 규제 돌기(18)에 접촉함으로써 규제된다. 따라서, 복귀 스프링(5)의 스프링부(53)의 과잉 변형이 방지되어, 영구 변형이 방지된다
하우징, 포크 수납부, 단자판, 잠금 스프링, 표시 본체부, 복귀 스프링, 규제부, 조인트 박스, 포크 삽입공, 전선 삽입공.

Description

조인트 박스{JOINT BOX}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와 (b)는 각각 다른 단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 도면, (c)는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a)와 (b)는 각각 다른 단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주요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주요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우측면도이다.
도 9는 종래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하우징 2: 단자판
3: 잠금 스프링 4: 표시 본체부
5: 복귀 스프링 12: 전선 접속부
12b: 전선 삽입공 13: 플러그 접속부
일본국 특개 2003-308929호 공보
본 발명은 조인트 박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하니스(harness) 플러그가 접속되는 플러그 접속부 및 전선이 접속되는 전선 접속부가 설치된 조인트 박스가 제공되었다. 이러한 종류의 조인트 박스는, 전원에 접속되는 전선을 1개의 전선 접속부에 접속시키고, 다른 플러그 접속부나 전선 접속부에 각각 부하에 접속되는 하니스 플러그나 전선을 접속시킴으로써, 전원선을 분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조인트 박스로서, 전선이 접속되는 부위에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있다. 이하, 상하 좌우는 도 9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조인트 박스는, 예를 들면 접지선을 포함하는 3선의 전원선을 구성하는 전선(도시하지 않음)이 좌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전선 삽입공(12b)이 설치된 하우징(1)을 구비한다. 박스는, 단자판(2), 잠금 스프링(3)을 구비한다. 단자판(2)은 금속판으로 구성되고, 하우징(1)에 수납된다. 잠금 스프링(3)은, 금속판으로 구성되고, 하우징(1) 내에 있어서 전선 삽입공(12b)에 면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전선 삽입공(12b)으로부터 삽입된 전선을 단자판(2)과의 사이에 고정한다. 단자판(2)과 잠금 스프링(3)은 소위 신속 결합 단자 구조를 구성한다. 전선 접속의 완료를 표시하기 위한 예를 들면 합성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표시 본체부(4)가 설치되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표시 본체부(4)는, 하우징(1) 내에서 잠금 스프링(3)의 우측에 위치하는 본체부(41) 및 본체부(41)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일부가 하우징(1)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표시부(42)를 가진다. 본체부(41)의 좌측 단부의 상면은 우측으로 갈수록(즉, 전선 삽입공(12b)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위쪽으로 경사진 경사면(41a)이다. 단자판(2)에는 본체부(41)의 우측 단면에 접촉하여 표시 본체부(4)의 우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가이드 돌기(26)가 도 9에서의 지면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표시 본체부(4)를 위쪽으로 가압하는 복귀 스프링으로서의 코일 스프링(CS)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종래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잠금 스프링(3)에 고정되는 위치보다 깊게 전선 삽입공에 삽입된 전선에 의해 경사면(41a)이 가압되면, 표시 본체부(4)는 코일 스프링(CS)의 스프링력에 저항해서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표시부(42)의 돌출량이 감소됨으로써, 전선을 삽입한 작업자는 전선의 접속의 완료 여부를 알 수 있다. 또, 전선을 뽑으면, 표시 본체부(4)는 코일 스프링(CS)의 스프링력에 의해 복귀되고, 표시부(42)의 돌출량은 전선 삽입 전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표시부(42) 의 돌출량은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부(42)의 상태를 들여다보는 것이 어려운 좁은 장소에 하우징(1)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전선의 삽입 및 뽑기의 완료를 확인하기 쉬워졌다.
여기에서, 복귀 스프링으로서 코일 스프링(CS)을 이용하면, 표시 본체부(4)마다 복귀 스프링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표시 본체부(4)의 복귀 스프링을 1개의 판 스프링으로 구성함으로써 부품 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3-308929호 공보 참조).
그러나, 복귀 스프링으로서 판 스프링을 이용한 경우에, 표시부(42)가 하우징(1)의 바깥쪽으로부터 누르는 힘을 받았을 때에 복귀 스프링이 과잉 변형되어 영구 변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복귀 스프링의 영구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조인트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제1항의 발명은, 조인트 박스로서, 하우징, 복수개의 포크(fork) 수납부, 복수개의 단자판, 복수개의 잠금 스프링, 복수개의 표시 본체부, 복귀 스프링, 및 규제부를 구비한다. 하우징에, 복수개의 포크 삽입공 및 복수개의 전선 삽입공이 형성된다. 복수개의 포크 삽입공에, 각각 하니스 플러그의 포크가 삽입되고, 복수개의 전선 삽입공에, 각각 전선이 삽입된다. 복수개의 포크 수납부는, 각각 하우징에 수납되고, 포크 삽입공에 삽입된 포크에 접촉되어 도통된다. 복수개의 단자판은, 각각 하우징내에 수납되고, 어느 하나의 포크 수납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복수개의 잠금 스프링은 각각 하우징 내에 있어서 전선 삽입공에 면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전선 삽입공에 삽입된 전선을 단자판 사이에 고정한다. 복수개의 표시 본체부는, 각각 일부가 하우징 밖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하우징에 유지되어, 전선 삽입공에 일대일로 대응하고, 대응하는 전선 삽입공에 적어도 잠금 스프링에 의해 고정되는 위치보다 깊이 삽입된 전선으로부터 가압력을 받아 하우징에 대하여 돌출 치수를 변화시키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복귀 스프링은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단자판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복수개의 표시 본체부를 각각 하우징에 대하여 전선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에 변위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한다. 규제부는 하우징에 설치되고, 전선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에 변위되는 방향으로의 표시 본체부의 변위량을, 표시 본체부와 복귀 스프링 중 적어도 한 쪽에 접촉됨으로써 규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귀 스프링으로서 판 스프링을 이용함으로써 복수개의 표시 본체부에 대하여 복귀 스프링을 1개로 하여 부품 수를 감소시키면서도, 표시 본체부의 변위량이 규제부에 의해 규제됨으로써 복귀 스프링의 변형량이 제한되기 때문에, 복귀 스프링의 영구 변형이 방지된다.
청구항 제2항의 발명은, 제1항의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의 규제부가 결합되는 결합 오목부가 단자판에 설치되고, 결합 오목부에 규제부가 결합됨으로써 단자판 하우징에 대한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판의 위치가 결정됨으로써, 단자판에 결합 오목부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조인트 박스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제3항의 발명은, 제1항 또는 제2항의 발명에 있어서, 복귀 스프링의 일부가 수납되는 위치 결정용 오목부가 표시 본체부에 설치되고, 위치 결정용 오목부에 복귀 스프링의 일부가 수납됨으로써 복귀 스프링에 대한 표시 본체부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 본체부의 위치가 결정됨으로써, 표시 본체부에 위치 결정용 오목부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조인트 박스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제4항, 제5항 또는 제6항의 발명은, 각각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의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측면에 각각 전선 삽입공을 가지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측면에 설치된 2개의 전선 삽입공에 대응하는 각 표시 본체부를 각각 가압하는 복귀 스프링이, 상기 2개의 전선 삽입공에 면하는 2개의 잠금 스프링에 협지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잠금 스프링에 협지된 공간이 유효하게 이용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복귀 스프링으로서 판 스프링을 이용함으로써 복수개의 표시 본체부에 대하여 복귀 스프링을 1개로 하여 부품 수를 감소시키면서도, 전선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에 변위되는 방향으로의 표시 본체부의 변위량을 표시 본체부와 복귀 스프링 중 적어도 한 쪽에 접촉됨으로써 규제하는 규제부를 하우징에 설치하기 때문에, 표시 본체부의 변위량이 규제부에 의해 규제됨으로써 복귀 스프링의 변형량이 제한되어, 복귀 스프링의 영구 변형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 여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도 2의 (a) 내지 (c)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을 구비하고, 이것에,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부(11), 2개의 전선 접속부(12), 및 2개의 플러그 접속부(13)가 설치된다. 2개의 전선 접속부(12)에는, 각각 단상 3선이나 접지선을 포함하는 3선의 전원선이 접속된다. 2개의 플러그 접속부(13)에는, 각각 하니스 플러그(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된다. 이하, 상하 좌우는 도 2의 (b)를 기준으로 하고, 도 2의 (a)의 아래 방향을 전방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본체부(11)의 중앙에는 관통공(11a)이 상하로 관통되어, 예를 들면 관통공(11a)에 삽입되어 결합 대상물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와 같은 고정 부재에 의해, 하우징(1)은 결합 대상물에 고정된다.
전선 접속부(12)끼리 및 플러그 접속부(l3)끼리, 각각 본체부(11)의 좌우의 서로 반대인 위치에 돌출된다.
전선 접속부(12)의 선단면에는, 오목부(12a)가 형성되고, 오목부(12a)에는, 전원선의 케이블을 유지하는 홀더(도시하지 않음)가 삽입된다. 오목부(12a)의 바닥면에는, 3선의 전원선을 구성하는 전선이 각각 삽입되는 전선 삽입공(12b)이, 전후로 나란히 3개 설치된다.
플러그 접속부(13)에는, 하니스 플러그(도시하지 않음)의 포크(fork)가 삽입되는 포크 삽입공(13a)이 전후로 나란히 3개 설치된다. 플러그 접속부(13)의 상면 에는, 좌우로 긴 2개의 홈(13b)이 설치되고, 홈(13b)의 사이에 걸쳐 고정 홈(13c)이 설치된다. 하니스 플러그는, 플러그 접속부(13)가 삽입되는 오목부를 가지고, 이 오목부 내에는 플러그 접속부(13)의 홈(13b)에 삽입되는 돌출부, 및 잠금 홈(13c)에 결합되어 하니스 플러그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 부재가 설치된다. 하니스 플러그의 돌출부가 플러그 접속부(13)의 홈(13b)에 들어가는 방향으로 향하지 않으면 하니스 플러그의 오목부에 플러그 접속부(13)를 삽입할 수 없으므로, 잘못된 방향으로의 하니스 플러그의 접속이 방지된다.
또한, 하우징(1)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의 하반부를 구성하는 본체(1a), 및 하우징(1)의 상반부를 구성하는 커버(1b)로 이루어진다. 본체(1a)와 커버(lb)는 각각 예를 들면 합성 수지 성형품으로 구성되고, 본체(1a)와 커버(lb)에 각각 상하로 관통하여 설치된 핀 삽통공(14a, 14b)에 삽통된 리벳 핀(R)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본체(1a)의 상면에, 본체(1a)와 커버(1b)가 결합되었을 때에 하우징(1) 내의 공간을 형성하는 오목부(15)가 설치된다.
하우징(1) 내에 있어서, 포크 삽입공(13a)에 면하는 위치에, 각각 탄성을 가져 포크 삽입공(13a)으로부터 삽입된 포크가 전후에서 끼워져서 고정되는 포크 수납부(81)가 배치된다. 플러그 접속부(13)의 선단면 측에서 보아, 서로 대응하는 위치(예를 들면 플러그 접속부(13)의 선단면을 향해서 우측의 포크 삽입공(l3a)끼리)의 포크 삽입공(13a)에 면하는 포크 수납부(81)끼리, 각각 연결부(82)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어, 합계 3개의 포크 수납 블록(8)이 구성된다. 연결부(82)는, 포크 수납 블록(8)끼리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적절하게 굽혀진다. 오목부(15)의 바닥면 에는, 전후로 인접하는 포크 수납부(81) 사이에 위치되어 절연을 확보하는 절연벽(16)이 돌출된다.
하우징(1) 내에 있어서 전선 접속부(12) 내의 공간은, 각각 오목부(15)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좌우로 긴 2개의 칸막이 벽(17)에 의해, 각각 2개의 전선 접속부(12)의 1개씩의 전선 삽입공(12b)에 연통된 3개의 공간으로 분할된다. 이들 3개의 공간에는, 단자판(2)이 1개씩 배치된다. 즉, 칸막이 벽(17)에 의해 단자판(2) 사이의 절연이 확보된다.
단자판(2)은 본체부(21)를 가지며, 이 본체부는, 예를 들면 금속판에 굽힘 가공 또는 타발 가공이 실시되어, 좌우로 길고 두께 방향이 전후 방향이 된다. 본체부(21)의 좌우 양단부에서는, 각각, 하단으로부터 지지부(22)가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단으로부터는 접촉부(23)가 전방으로 돌출된다. 본체부(21)에, 지지부(22)의 위쪽에 틈새를 두고 근접하는 유지부(24)가, 예를 들면 꺾어 세우기에 의해 설치된다. 본체부(21)에서의 2개의 접촉부(23)의 사이로부터, 가이드부(25)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가이드부(25), 접촉부(23)와 함께, 후술하는 표시 본체부(4)를 가이드한다. 각 단자판(2)은, 각각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연결판(9)을 통하여, 포크 수납 블록(8)에 일대일로 기계적 또한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각 연결판(9)은, 예를 들면 연결판(9)에 설치된 관통공에, 포크 수납 블록(8)의 연결부(82), 또는 단자판(2)의 접촉부(23) 또는 가이드부(25)에 설치된 돌기가 삽통되어 코킹됨으로써, 각각 포크 수납 블록(8)이나 단자판(2)에 결합된다. 각 연결판(9)은 연결판(9)끼리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적절하게 굽혀진다.
각 전선 삽입공(12b)에 면하는 위치에, 각각 잠금 스프링(3)이 설치된다. 잠금 스프링(3)은 금속판으로 구성되고, 기부(31), 잠금부(32), 및 가압부(33)로 이루어진다. 기부(3l)는, 단자판(2)의 지지부(22)와 유지부(24) 사이에 끼워진다. 잠금부(32)는, 기부(31)의 좌우측 방향의 일단으로서, 전선 삽입공(12b)에 가까운 측의 일단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어, 상단에 가까울수록 전선 삽입공(12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가압부(33)는, 기부(31)의 타단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어, 기부(31)와 함께 S자 형상이 된다. 전선 삽입공(12b)으로부터 삽입된 전선은, 가압부(33)에 의해 단자판(2)의 접촉부(23)에 눌려짐으로써 단자판(2)에 접촉되어 도통되고, 잠금부(32)의 선단이 들어감으로써 탈락이 방지된다. 여기에서, 서로 등진 위치의 전선 삽입공(12b)에 접속된 전선끼리, 단자판(2)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잠금 스프링(3)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 버튼(6)이, 각 전선 접속부(12)에 1개씩 설치된다. 해제 버튼(6)은, 예를 들면 합성 수지 성형품으로 구성되고, 조작부(61), 칼라부(62), 및 가압부(63)로 이루어진다. 조작부(61)는 커버(lb)에 있어서 잠금 스프링(3)의 위쪽에 접촉하는 부위에 상하로 관통 설치된 해제 구멍(1lb)에 아래쪽으로부터 삽통되고, 상단부가 하우징(1)의 위쪽으로 돌출된다. 칼라부(62)는 조작부(61)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상방으로부터 본 치수가 해제 구멍(1lb)보다 크다. 가압부(63)는 칼라부(62)의 아래쪽에 전후로 나란히 3개 설치된다. 가압부(63)는 잠금 스프링(3)에 일대일로 대응하고, 대응하는 잠금 스프링(3)의 잠금부(32)에 전선을 피해서 상방으로부터 접촉하도록 위치 및 치수가 설 계된다. 조작부(61)를 하우징(1)의 상방으로부터 가압하면, 대응하는 전선 접속부(12)의 3개의 잠금 스프링(3)의 잠금부(32)가 각각 가압부(63)에 의해 가압되어서 탄성 변형되고, 이들 3개의 잠금 스프링(3)에 의한 고정이 동시에 해제된다.
커버(1b)의 전선 접속부(12)에 상당하는 부위에는, 창 개구(12c)가 상하로 관통되고, 창 개구(12c)는,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와 같은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져 창 개구에 삽입된 창 본체(7)에 의해 폐쇄된다. 창 개구(12c)의 전후의 폭 치수는, 전선 접속부(12)에 접속되는 3개의 전선에 상방으로부터 보아서 걸치는 정도로 크게 되어, 전선 삽입공(12b)에 삽입된 각 전선의 피복의 색을 창 본체(7)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도록 된다.
전선의 접속 완료를 표시하는 표시 본체부(4)가 각 전선 삽입공(12b)에 대하여 1개씩 설치된다. 표시 본체부(4)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41) 및 표시부(42)를 가진다. 본체부(41)는 하우징(1) 내에서 전선 삽입공(12b)에 대하여 잠금 스프링(3)을 협지하여 반대쪽에 있고, 단자판(2)의 접촉부(22)의 아래쪽에 위치된다. 표시부(42)는 본체부(41)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단자판(2)의 접촉부(22)와 가이드부(25) 사이에 끼워지고, 하우징(l)에 설치된 표시 구멍(1lc)에 삽입된다. 본체부(41)에 있어서 좌우의 단부이며 전선 삽입공(12b)에 가까운 쪽의 단부의 상면은, 전선 삽입공(12b)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방으로 경사진 경사면(41a)이다. 단자판(2)의 본체부(21)에, 가이드 돌기(26)가 예를 들면 꺾어 세우기에 의해 전방으로 돌출되고, 가이드 돌기(2)는 본체부(41)의 좌우의 단부면 중 전선 삽입공(12b)으로부터 멀어진 쪽의 단부면에 접촉하여, 표시 본체부(4)의 우측으로의 이 동을 규제한다. 표시 본체부(4)는 표시 구멍(11c)의 내면, 단자판(2)의 접촉부(22), 가이드부(25), 및 가이드 돌기(26)에 의해 안내되어, 하우징(1)에 대하여 상하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 내에 있어서 잠금 스프링(3)의 사이에, 표시 본체부(4)에 복귀력을 부여하는 복귀 스프링(5)이 배치된다. 복귀 스프링(5)은, 예를 들면 금속판을 굽힘 가공이나 타발 가공하여 형성된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고정부(51), 연결부(62), 및 스프링부(53)를 가진다. 고정부(51)는 단자판(2)의 본체부(21)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고정된다. 연결부(52)는 고정부(51)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다. 스프링부(53)는 연결부(52)의 좌우 양단부로부터 각각 좌우로 돌출되어, 연결부(52)로부터 떨어질수록 위쪽으로 경사지고, 상하로 탄성을 가진다. 고정부(51)는, 예를 들면 고정부(51)에 설치된 관통공에, 단자판(2)의 본체부(21)에 설치된 돌기가 삽통되어 코킹됨으로써, 단자판(2)에 결합된다. 스프링부(53)의 선단부는, 선단이 하방을 향해서 뒤집힌 U자 형상으로 굽혀짐으로써 상면이 곡면으로 되고, 이 곡면이 표시 본체부(4)의 본체부(41)의 하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됨으로써, 표시 본체부(4)를 위쪽으로 가압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잠금 스프링(3)의 사이에 위치하여 쓸데없게 되기 쉬운 공간이, 복귀 스프링(5)을 수납하는 공간으로서 유효하게 이용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본체부(4)의 본체부(4l)의 하면에는, 좌우로 길게 전선 삽입공(12b)으로부터 멀어진 쪽의 단부가 개방된 위치결정용 오목부(41b)가 형성되고, 스프링부(53)의 상단부는 위치결정용 오목부(41b)에 수납되어 위치결정용 오목부(41b)의 바닥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위치결정용 오목부(41b)의 전후의 폭 치수는 스프링부(53)의 상단부의 전후의 폭 치수보다 약간 커서, 스프링부(53)의 상단부가 위치결정용 오목부(41b)에 수납됨으로써, 복귀 스프링(5)에 대한 표시 본체부(4)의 위치가 결정되며, 즉, 단자판(2)에 대한 표시 본체부(4)의 위치가 결정된다. 따라서, 도 6의 (b)에 화살표 A2로 나타낸 방향의 힘이 표시 본체부(4)에 가해져도 표시 본체부(4)가 단자판(2)로부터 탈락하기 어렵게 되어, 2개의 전선 삽입공(12b)에 대응하는 1개의 단자판(2) 및 복귀 스프링(5)과 2개의 잠금 스프링 및 표시 본체부(4)를 1개의 블록으로서 취급할 수 있어, 조인트 박스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표시 본체부(4)는, 대응하는 전선 삽입공(12b)에 전선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표시부(42)의 상단부를 하우징(l)의 상방으로 돌출시킨다. 전선 삽입공(l2b)에 전선이 삽입되고, 잠금 스프링(3)에 고정되는 위치보다 깊게 밀어 넣어지면, 전선의 선단으로부터의 가압력을 표시 본체부(4)의 경사면(41a)이 받음으로써, 표시 본체부(4)는 스프링부(53)의 스프링 힘에 저항해서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표시부(42)의 하우징(1)으로부터의 돌출량이 감소됨으로써, 전선의 접속이 완료된 것을 작업자는 손으로 더듬어서도 알 수 있다. 잠금 스프링(3)에 의한 고정이 해제되어 전선이 인출되면, 표시 본체부(4)는 스프링부(53)의 스프링 힘에 의해 복귀되고, 표시부(42)의 하우징(1)으로부터의 돌출량은 전선 삽입 전의 양으로 복귀된다.
도 1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의 내면에 있어서 표시 본 체부(4)의 아래쪽에는, 표시 본체부(4)의 아래쪽으로의 가동범위를 규제하는 규제부로서의 규제 돌기(18)가 돌출된다. 규제 돌기(18)는 복귀 스프링(5)의 스프링부(53)를 피하여, 좌우 방향으로부터 보아 스프링부(53)의 전후 양쪽에 각각 설치된다.
단자판(2)의 본체부(21)의 하단에는, 규제 돌기(18)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전후 방향으로부터 본 치수가 규제 돌기(18)보다 약간 큰 결합 오목부(27)가 형성되어, 규제 돌기(18)가 결합 오목부(27)에 결합됨으로써 하우징(1)에 대한 단자판(2)의 위치가 결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결합 오목부(27)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표시 본체부(4)의 표시부(42)가 하우징(1)의 바깥쪽으로부터 도 1의 (b)에 화살표 Al로 나타낸 바와 같은 하향력을 받는 경우에도, 표시 본체부(4)의 아래쪽 즉 전선에 의해 가압되어서 이동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은, 표시 본체부(4)의 하단이 규제 돌기(18)에 접촉함으로써 규제된다. 따라서, 복귀 스프링(5)의 스프링부(53)의 과잉 변형이 방지되어, 영구 변형이 방지된다.
한편, 전선 접속부(12) 또는 플러그 접속부(13)의 배치 및 개수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 접속부(13)를 각 전선 접속부(12)의 양쪽에 각각 설치하고, 4개로 하여 5분기 가능하게 하여도 된다. 전선 접속부(12)의 방향과 플러그 접속부(13)의 방향을 다르게 하여,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1)에 있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측면의 한쪽 조에는 전선 접속부(12)를 설치하고, 다른 쪽의 조에는 플러그 접속부(13)를 설 치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기술했지만, 본 발명의 본래의 정신 및 범위를 이탈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여러 가지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인트 박스에 의하면, 복귀 스프링의 영구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하우징, 복수개의 포크 수납부, 복수개의 단자판, 복수개의 잠금 스프링, 복수개의 표시 본체부, 복귀 스프링, 및 규제부를 구비하는 조인트 박스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복수개의 포크 삽입공 및 복수개의 전선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포크 삽입공에 각각 하니스 플러그의 포크가 삽입되며, 상기 복수개의 전선 삽입공에 각각 전선이 삽입되고,
    상기 복수개의 포크 수납부는, 각각 상기 하우징에 수납되며, 상기 포크 삽입공에 삽입된 상기 포크에 접촉되어 도통되고,
    상기 복수개의 단자판은 각각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되고, 어느 하나의 상기 포크 수납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복수개의 잠금 스프링은 각각 상기 하우징내에 있어서 상기 전선 삽입공에 면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전선 삽입공에 삽입된 전선을 상기 단자판 사이에 고정하며,
    상기 복수개의 표시 본체부는 각각 일부가 상기 하우징 밖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어, 상기 전선 삽입공에 일대일로 대응하고, 대응하는 상기 전선 삽입공에 적어도 상기 잠금 스프링에 의해 고정되는 위치보다 깊이 삽입된 전선으로부터 가압력을 받아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돌출 치수를 변화시키는 방향으로 변위되며,
    상기 복귀 스프링은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단자판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복수개의 표시 본체부를 각각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전선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에 변위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전선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에 변위되는 방향으로의 상기 표시 본체부의 변위량을, 상기 표시 본체부와 상기 복귀 스프링 중 적어도 한 쪽에 접촉됨으로써 규제하고,
    상기 복귀 스프링의 일부가 수납되는 위치결정용 오목부가 상기 표시 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용 오목부에 상기 복귀 스프링의 일부가 수납됨으로써 상기 복귀 스프링에 대한 상기 표시 본체부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규제부가 결합되는 결합 오목부가 상기 단자판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 오목부에 상기 규제부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단자판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박스.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측면에 각각 상기 전선 삽입공을 가지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측면에 설치된 상기 2개의 전선 삽입공에 대응하는 각 표시 본체부를 각각 가압하는 상기 복귀 스프링이, 상기 2개의 전선 삽입공에 면하는 상기 2개의 잠금 스프링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박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측면에 각각 상기 전선 삽입공을 가지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측면에 설치된 상기 2개의 전선 삽입공에 대응하는 각 표시 본체부를 각각 가압하는 상기 복귀 스프링이, 상기 2개의 전선 삽입공에 면하는 상기 2개의 잠금 스프링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박스.
  6. 삭제
KR1020060034192A 2005-04-15 2006-04-14 조인트 박스 KR1007789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18645 2005-04-15
JP2005118645A JP2006302534A (ja) 2005-04-15 2005-04-15 ジョイントボック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349A KR20060109349A (ko) 2006-10-19
KR100778905B1 true KR100778905B1 (ko) 2007-11-22

Family

ID=37470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192A KR100778905B1 (ko) 2005-04-15 2006-04-14 조인트 박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6302534A (ko)
KR (1) KR10077890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5793A (ja) * 1992-01-27 1993-08-13 Tokyo Electric Co Ltd 電線接続装置
JPH07326399A (ja) * 1994-05-30 1995-12-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速結端子台
JPH1050367A (ja) 1996-08-02 1998-02-20 Nitto Kogyo Kk 端子装置
JP2003308929A (ja) * 2002-04-12 2003-10-3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用ジョイントボックス
JP2004087340A (ja) 2002-08-27 2004-03-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端末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5793A (ja) * 1992-01-27 1993-08-13 Tokyo Electric Co Ltd 電線接続装置
JPH07326399A (ja) * 1994-05-30 1995-12-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速結端子台
JPH1050367A (ja) 1996-08-02 1998-02-20 Nitto Kogyo Kk 端子装置
JP2003308929A (ja) * 2002-04-12 2003-10-3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用ジョイントボックス
JP2004087340A (ja) 2002-08-27 2004-03-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端末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공개특허 평15-308929호(2003.10.3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349A (ko) 2006-10-19
JP2006302534A (ja)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95707B (zh) 連接器
KR101532300B1 (ko) 커넥터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
TWI750343B (zh) 電連接器
JP5682997B2 (ja) 電気コネクタ
US1054712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separate releasing operation portion attached to the lock arm main body
US6716069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and a retainer held securely on the housing
EP1357640B1 (en) Electric wire connecting connector
US9984842B2 (en)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structure and electronic component
WO2018008384A1 (ja) 端子モジュール、およびコネクタ
JP5064933B2 (ja) 電気コネクタ
JP3232724U (ja) テープ部材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EP1143565A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778905B1 (ko) 조인트 박스
JP4085681B2 (ja) 配線用ジョイントボックス
JP2014056718A (ja) コネクタ
JP6568369B2 (ja) コネクター、電気機器
JP5107004B2 (ja) 合体コネクタ
JP2010118150A (ja) コネクタ
JP2012243562A (ja) コネクタ端子及びこのコネクタ端子を含むカードエッジ型コネクタ
JP7078990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
JP3671618B2 (ja) コンセント
KR102312421B1 (ko)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JP4576167B2 (ja) 配線接続器
CN117916959A (zh) 层叠连接器
CN117957728A (zh) 端子零件的连接构造以及接头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