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8893B1 -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8893B1
KR100778893B1 KR1020060079382A KR20060079382A KR100778893B1 KR 100778893 B1 KR100778893 B1 KR 100778893B1 KR 1020060079382 A KR1020060079382 A KR 1020060079382A KR 20060079382 A KR20060079382 A KR 20060079382A KR 100778893 B1 KR100778893 B1 KR 100778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disabled
lifting device
elevating
railwa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9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일
Original Assignee
신현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일 filed Critical 신현일
Priority to KR1020060079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88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7/00Loading or unloading devices combined with vehicles, e.g. loading platforms, doors convertible into loading and unloading r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1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r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20/00Adaptations of particular transporting means
    • A61G2220/12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휠체어 장애인이 편리하게 철도차량에 승하차할 수 있으며, 승강장치의 설치 및 보관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경량화시켜 용이하게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단순 구조의 승강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장치의 제작 및 유지관리에 필요한 비용을 최소화하며, 또한 작동 시간을 최소화하는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휠체어의 승강을 위하여 철도차량 플로어 하부의 보관부에 양측으로 입출 가능하게 구비된 장애인용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측면에 다수의 가이드롤러가 구비되는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의 가이드롤러와 마주보게 내측면에 다수의 가이드롤러가 구비되는 제2지지부재; 상기 제1,2지지부재의 가이드롤러에 각각 내측 상하단부가 지지되어 이동가능하게 제1가이드홈이 일측에 형성되며 타측에는 걸림구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구홈의 상부로 제1안착턱이 형성되며 내측면에 다수의 가이드롤러가 구비되는 한 쌍의 제1,2메인지지부재와, 상기 제1,2메인지지부재의 제1안착턱에 안착 고정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제1승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제1승강부; 및 상기 제1,2메인지지부재의 가이드롤러에 각각 내측 상하단부가 지지되어 이동가능하게 제2가이드홈이 일측에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2안착턱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2서브지지부재와, 상기 제1,2서브지지부재의 제2안착턱에 안착 고정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제2 승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제2승강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철도차량, 승강장치, 휠체어, 장애인

Description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THE ASSISTANT DEVICE OF TRAIN FOR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승강장치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부가 구비된 철도차량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승강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승강장치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승강장치의 제2승강판에 대한 배면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승강장치의 버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c 및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승강장치의 버팀부재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승강장치의 제2승강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승강장치의 제1승강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제1승강부 중 제1메인지지부재를 나타낸 측면도,
도 7c는 도 7a의 제1승강부 중 제2메인지지부재를 나타낸 측면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승강장치의 제1지지부재를 나타낸 측면도,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승강장치의 제2지지부재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승강장치의 결합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승강장치의 설치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승강장치가 보관되는 보관부의 개폐문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승강장치의 안내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승강장치의 안내부재를 나타낸 설치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210 : 제1,2지지부재
202, 212 : 가이드롤러 204, 205 : 제1,2스토퍼수단
206, 207 : 제3,4스토퍼수단
300 : 제1승강부
310, 320 : 제1,2메인지지부재
312, 322 : 제1가이드홈 312a, 312b : 제1,2걸림수단
313, 323 : 제1방지턱 314, 324 : 걸림구홈
314a, 324a : 제5,6스토퍼수단
316, 326 : 제1안착턱 318, 328 : 가이드롤러
319, 329 : 제1가이드라인 322a, 322b : 제3,4걸림수단
330 : 제1승강판
332 : 안내부재
332a : 고정편 332b : 사선편
400 : 제2승강부
410, 420 : 제1,2서브지지부재
412, 422 : 제2가이드홈 413, 423 : 제2방지턱
414, 424 : 제2안착턱 416, 426 : 제2가이드라인
418, 428 : 제5,6걸림수단
430 : 제2승강판
444 : 안내부재
444a : 고정편 444b : 사선편
500 : 미끄럼방지부
600 : 손잡이부재
610 : 와이어부
612 : 파지부 614 : 이탈방지구
620, 620' : 지지판부
622, 622' : 삽입원통부
700 : 버팀부재
710, 720 : 제1,2상판
730, 740 : 제1,2하판
732, 742 : 압축스프링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에 휠체어 장애인이 용이하게 승하차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장애인에 대한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장애인의 편이를 위한 설비가 의무화되거나 권장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한 방편으로 장애인이 쉽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장치가 철도차량에 설치되고 있다.
상기 철도차량에 설치되는 장애인용 승강장치는 다양한 것들이 이용되고 있는데, 종래의 장애인용 승강장치는 일반적으로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승강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승강장치는 슬라이드식으로 전후진되는 승강판과, 이 승강판을 업다운시키는 유압실린더 및, 이 유압실린더를 작동제어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장애인이 승차할 경우 역무원이 철도차량의 승강부에 설치된 승강판을 펼쳐서 전진시킨 후 스위치를 조작하여 승강판을 다운시키고, 승강판이 다운된 상태에서 장애인이 승강판 위로 올라오면, 스위치를 조작하여 승강판을 업시킨 후 후진시켜서 장애인을 탑승시킨다.
상기 종래 유압실린더식 장애인용 승강장치는 수평이 되게 설치된 승강판을 이용하므로 안락감이 좋고,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승강판을 업다운하므로 별다른 노동력이 필요없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유압실린더식 장애인용 승강장치는 여러 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작동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사실상 정차시간 내에 장애인이 승하차 할 수 없게 됨에 따라 철도차량의 운행시간이 딜레이되어 많은 철도차량의 이용자가 불편을 감수해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별도의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승강장치를 기계식으로 작동함으로써, 설치비용이 과다하고 잦은 고장으로 인해 유지비가 증가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또한, 승강판이 쉽게 휨이 발생하여 이로 인한 잦은 고장과 교체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승강장치를 경량화시켜 무게감을 덜어 사용자가 쉽게 수동으로 승강장치의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며, 또한, 승강장치의 길이에 따른 휨 현상을 최소화하여 장애인과 휠체어가 쉽게 오르내리도록 해결했으며,승강장치의 제작 및 유지관리에 필요한 비용을 최소화하고, 특히 작동 시간을 최소화하여 열차 운행 시간을 단축하는 데 크게 기여하는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의 일 실시예로, 휠체어의 승강을 위하여 철도차량 플로어 하부의 보관부에 양측으로 입출 가능하게 구비된 장애인용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측면에 다수의 가이드롤러가 구비되는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의 가이드롤러와 마주보게 내측면에 다수의 가이드롤러가 구비되는 제2지지부재; 상기 제1,2지지부재의 가이드롤러에 각각 내측 상하단부가 지지되어 이동가능하게 제1가이드홈이 일측에 형성되며 타측에는 걸림구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구홈의 상부로 제1안착턱이 형성되며 내측면에 다수의 가이드롤러가 구비되는 한 쌍의 제1,2메인지지부재와, 상기 제1,2메인지지부재의 제1안착턱에 안착 고정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제1승강판로 이루어지는 제1승강부; 및 상기 제1,2메인지지부재의 가이드롤러에 각각 내측 상하단부가 지지되어 이동가능하게 제2가이드홈이 일측에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2안착턱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2서브지지부재와, 상기 제1,2서브지지부재의 제2안착턱에 안착 고정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제2승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제2승강부; 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의 다른 실시예로, 철도차량(10)에 승강하기 위하여 철도차량(10)의 플로어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승강판(330)을 갖는 제1승강부(300)와, 제2승강판(430)을 갖는 제2승강부(400)로 이루어져 상기 제1,2승강부(300, 400)가 슬라이드식으로 설치 및 보관되는 장애인용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승강부(400)의 제2승강판(430) 하부면에 설치되는 것 으로, 상기 제1승강판(330) 및 제2승강판(430)의 중량 및 그 상부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지면에 안착되어 상기 제2승강판(430)을 지지하는 버팀부재(700)가 구비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승강장치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부가 구비된 철도차량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승강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승강장치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승강장치의 제2승강판에 대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승강장치의 버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c 및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승강장치의 버팀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승강장치의 제2승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승강장치의 제1승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제1승강부 중 제1메인지지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7c는 도 7a의 제1승강부 중 제2메인지지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승강장치의 제1지지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승강장치의 제2지지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승강장치의 결합 정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 인용 승강장치의 설치 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승강장치가 보관되는 보관부의 개폐문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승강장치의 안내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승강장치의 안내부재를 나타낸 설치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는,
철도차량(10) 플로어(40) 하부에는 보관부(20)가 구비된다.
상기 보관부(20)는 양측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입출구에는 비사용시 승강장치의 유동을 방지하고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개폐가 가능한 개폐문(30)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개폐문(30)은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보관부(20) 상단에 결합되고 손잡이(32)가 구비되며 하단부에는 보관부(20)에 수동으로 고정/해제시킬 수 있는 잠금부재(34)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보관부(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승강장치는 크게 제1,2지지부재(200, 210)와, 제1승강부(300)와, 제2승강부(400)로 나누어진다.
상기 제1지지부재(200)는, 내측면에 다수의 가이드롤러(202)가 구비되어 상기 보관부(20)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지지부재(210)는, 상기 제1지지부재(200)의 가이드롤러(202) 와 마주보게 내측면에 다수의 가이드롤러(212)가 구비되어 상기 보관부(20)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승강부(300)는, 상기 제1,2지지부재(200, 210)의 가이드롤러(202, 212)에 각각 내측 상하단부가 지지되어 이동가능하게 제1가이드홈(312, 322)이 일측에 형성되며 타측에는 걸림구홈(314, 324)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구홈(314, 324)의 상부로 제1안착턱(316, 326)이 형성되며 내측면에 다수의 가이드롤러(318, 328)가 구비되는 한 쌍의 제1,2메인지지부재(310, 320)와, 상기 제1,2메인지지부재(300, 310)의 제1안착턱(316, 326)에 안착 고정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제1승강판(33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승강부(400)는, 상기 제1,2메인지지부재(310, 320)의 가이드롤러(318, 328)에 각각 내측 상하단부가 지지되어 이동가능하게 제2가이드홈(412, 422)이 일측에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2안착턱(414, 424)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2서브지지부재(410, 420)와, 상기 제1,2서브지지부재(410, 420)의 제2안착턱(414, 424)에 안착 고정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제2승강판(430)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지지부재(200)의 내측 양끝단부에는 상기 제1승강부(30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제1,2스토퍼수단(204, 205)이 구비되며, 상기 제2지지부 재(210)의 내측 양끝단부에는 상기 제1승강부(30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제3,4스토퍼수단(206, 207)이 구비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200)의 제1,2스토퍼수단(204, 205)에 걸려 멈추어지도록 상기 제1메인지지부재(310)의 제1가이드홈(312) 내측 양끝단부에는 제1,2걸림수단(312a, 312b)이 구비되며, 상기 제2지지부재(210)의 제3,4스토퍼수단(206, 207)에 걸려 멈추어지도록 상기 제2메인지지부재(320)의 제1가이드홈(322) 내측 양끝단부에는 제3,4걸림수단(322a, 322b)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3스토퍼수단(204, 206)은 각각 상기 제1,2메인지지부재(310, 320)의 제1가이드홈(312, 322) 내측면에 간섭받지 않도록 소정의 길이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부가 일체로 돌출된 상돌출구(204a, 206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3걸림수단(312a, 322a)은 상기 제1,3스토퍼수단(204, 206)의 상돌출구(204a, 206a)에 간섭받지 않고 통과되도록 하며, 상기 제2,4스토퍼수단(205, 207)에 걸려 멈추어지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2,4스토퍼수단(205, 207)은 각각 상기 제1,2메인지지부재(310, 320)의 제1가이드홈(312, 322) 내측면에 간섭받지 않도록 소정의 길이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부가 일체로 돌출된 하돌출구(205a, 207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4걸림수단(312b, 322b)은 상기 제2,4스토퍼수단(205, 207)의 하돌출구(205a, 207a)에 간섭받지 않고 통과되도록 하며, 상기 제1,3스토퍼수 단(204. 206)에 걸려 멈추어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2메인지지부재(310, 320)의 제1가이드홈(312, 322) 상하단부에는 각각 상기 제1,2지지부재(200, 210)의 가이드롤러(202, 212)에 안착 지지되어 원활한 이동을 위한 제1가이드라인(319, 329)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2서브지지부재(410, 420)의 제2가이드홈(412, 422) 상하단부에는 각각 상기 제1,2메인지지부재(310, 320)의 가이드롤러(318, 328)에 안착 지지되어 원활한 이동을 위한 제2가이드라인(416, 426)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메인지지부재(310)의 내측 일끝단부에는 상기 제2승강부(40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제5스토퍼수단(314a)이 구비되며, 상기 제2메인지지부재(320)의 내측 타끝단부에는 상기 제2승강부(40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제6스토퍼수단(324a)이 구비되고, 상기 제1메인지지부재(310)의 제5스토퍼수단(314a)에 걸려 멈추어지도록 상기 제1서브지지부재(410)의 제2가이드홈(412) 내측 타끝단부에는 제5걸림수단(418)이 구비되며, 상기 제2메인지지부재(320)의 제6스토퍼수단(324a)에 걸려 멈추어지도록 상기 제2서브지지부재(420)의 제2가이드홈(422) 내측 일끝단부에는 제6걸림수단(428)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5,6스토퍼수단(314a, 324a)은 상기 제1,2서브지지부재(410, 420)의 제2가이드홈(412, 422) 내측면에 간섭받지 않도록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어 상기 제5,6걸림수단(418, 428)에 걸려 멈추어지도록 각각 보조돌출구(418a, 428a) 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승강부(300)의 제1승강판(330) 및 제2승강부(400)의 제2승강판(430)은, 경량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니컴 형상으로 구성된다. 하니컴 형상은 상부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뛰어나며, 무게를 경량화시켜 사용자가 용이하게 보관 및 설치가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승강부(300)의 제1승강판(330) 및 제2승강부(400)의 제2승강판(430) 상부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500)가 더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승강판(330) 및 제2승강판(430) 상부로 승하차하는 사용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휠체어의 승하차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승강부(400)의 제2승강판(430) 하부면 양끝단부에는, 사용자가 쉽게 잡아당겨 설치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재(600)가 구비되되, 상기 손잡이부재(600)는, 소정의 길이를 갖으며 중심부에 원통형상의 파지부(612)가 구비되고 양끝단부에는 이탈방지구(614)가 구비되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의 와이어부(610)와, 상기 제2승강부(400)의 제2승강판(430) 하부면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부(610)의 양단이 각각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삽입원통부(622, 622')가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판부(620, 620')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재(600)는, 상기 보관부(20) 입출구에 설치된 개폐 문(30)을 열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승강장치를 꺼내어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승강부(400)의 제2승강판(430) 하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승강판(330) 및 제2승강판(430)의 중량 및 그 상부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지면에 안착되어 상기 제2승강판(430)을 지지하는 버팀부재(700)가 구비되되, 상기 버팀부재(700)는, 상기 제2승강부(400)의 제2승강판(430) 하부면에 형성되는 힌지축(미도시)와, 상기 힌지축에 일단이 각각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2상판(710, 720)와, 상기 제1,2상판(710, 720)의 타단에 일단이 각각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각의 타단도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2하판(730, 740)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버팀부재(700)의 제1,2하판(730, 740) 일측면에는, 상기 제1,2상판(710, 720)에 접철된 상태의 제1,2하판(730, 740)이 탄성적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각각에 압축스프링(732, 742)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버팀부재(700)를 제2승강판(430)의 하부면에 설치함으로써, 펼쳐진 상태(승하차를 위해 지면에 설치된 상태)의 상기 제1승강부(300)의 제1승강판(330)과 보고승강부(400)의 제2승강판(430)에서, 중앙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하게 되어, 사용자 및 휠체어가 안전하게 승하차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버팀부재(700)의 제1,2상판(710, 720) 및 제1,2하판(730, 740)은 환형 형상으로 상호 접철 연결되어, 보관부(20)에 보관시에는 보관부(20)의 하부턱에 걸리면서 자동으로 접히면서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설치시에는 상기 손잡이부재(600)를 잡아당기게 되면서, 상기 보관부(20)의 하부턱을 지나면서 접철된 상기 제1,2상판(710, 720)과 상기 제1,2하판(730, 740)이 압축스프링(732, 742)에 의해 자동으로 펼쳐지게 된다. 펼쳐진 상태로 상기 제1하판(730)과 제2하판(740)이 상호 접철되도록 결합된 부분이 지면에 닿으면서 트라이앵글 형상으로 설치가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승강부(300)의 제1,2메인지지부재(310, 320) 상부 일측에는 각각 낙상을 방지하는 제1방지턱(313, 323)이 소정 높이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2승강부(400)의 제1,2서브지지부재(410, 420) 상부 일측에는 각각 낙상을 방지하는 제2방지턱(413, 423)이 소정 높이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는, 승하차하는 휠체어가 낙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1,2지지부재(200,210)의 가이드롤러(202,212) 및 제1,2메인지지부재(310, 320)의 가이드롤러(318, 328)는,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일직선상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된다.
마지막으로, 도 12 내지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승강부(300)의 제1승강판(330)과 상기 제2승강부(400)의 제2승강판(430) 상부면 일단에는 휠체어가 원활히 오르고 내리도록 안내부재(332, 444)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안내부 재(332, 444)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각각 제1승강판(330)과 제2승강판(430)의 좌우측 끝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1승강판(330)과 제2승강판(430)의 상부면에 체결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편(332a, 444a)과, 상기 고정편(332a, 444a)에 일체로 연장되어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사선편(332b, 444b)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안내부재(332, 444)는 휠체어의 바퀴 폭에 맞게 설치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장치를 경량화시켜 무게감을 덜어 사용자가 쉽게 수동으로 승강장치의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승강장치의 제작 및 유지관리에 필요한 비용을 최소화하고, 특히 작동시간을 최소화하여 철도차량의 정차시간에 구애받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열차 운행 시간을 단축하는 데 크게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휠체어(1)의 승강을 위하여 철도차량(10) 플로어(40) 하부의 보관부(20)에 양측으로 입출 가능하게 구비된 장애인용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측면에 다수의 가이드롤러(202)가 구비되는 제1지지부재(200)와, 상기 제1지지부재(200)의 가이드롤러(202)와 마주보게 내측면에 다수의 가이드롤러(212)가 구비되는 제2지지부재(210);
    상기 제1,2지지부재(200, 210)의 가이드롤러(202, 212)에 각각 내측 상하단부가 지지되어 이동가능하게 제1가이드홈(312, 322)이 일측에 형성되며 타측에는 걸림구홈(314, 324)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구홈(314, 324)의 상부로 제1안착턱(316, 326)이 형성되며 내측면에 다수의 가이드롤러(318, 328)가 구비되는 한 쌍의 제1,2메인지지부재(310, 320)와, 상기 제1,2메인지지부재(310, 320)의 제1안착턱(316, 326)에 안착 고정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제1승강판(330)으로 이루어지는 제1승강부(300); 및
    상기 제1,2메인지지부재(310, 320)의 가이드롤러(318, 328)에 각각 내측 상하단부가 지지되어 이동가능하게 제2가이드홈(412, 422)이 일측에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2안착턱(414, 424)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2서브지지부재(410, 420)와, 상기 제1,2서브지지부재(410, 420)의 제2안착턱(414, 424)에 안착 고정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제2승강판(430)으로 이루어지는 제2승강부(4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200)의 내측 양끝단부에는 상기 제1승강부(30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제1,2스토퍼수단(204, 205)이 구비되며;
    상기 제2지지부재(210)의 내측 양끝단부에는 상기 제1승강부(30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제3,4스토퍼수단(206, 207)이 구비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200)의 제1,2스토퍼수단(204, 205)에 걸려 멈추어지도록 상기 제1메인지지부재(310)의 제1가이드홈(312) 내측 양끝단부에는 제1,2걸림수단(312a, 312b)이 구비되며;
    상기 제2지지부재(210)의 제3,4스토퍼수단(206, 207)에 걸려 멈추어지도록 상기 제2메인지지부재(320)의 제1가이드홈(322) 내측 양끝단부에는 제3,4걸림수단(322a, 322b)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3스토퍼수단(204, 206)은 각각 상기 제1,2메인지지부재(310, 320)의 제1가이드홈(312, 322) 내측면에 간섭받지 않도록 소정의 길이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부가 일체로 돌출된 상돌출구(204a, 206a)가 형성 되고;
    상기 제1,3걸림수단(312a, 322a)은 상기 제1,3스토퍼수단(204, 206)의 상돌출구(204a, 206a)에 간섭받지 않고 통과되도록 하며, 상기 제2,4스토퍼수단(205, 207)에 걸려 멈추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4스토퍼수단(205, 207)은 각각 상기 제1,2메인지지부재(310, 320)의 제1가이드홈(312, 322) 내측면에 간섭받지 않도록 소정의 길이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부가 일체로 돌출된 하돌출구(205a, 207a)가 형성되고;
    상기 제2,4걸림수단(312b, 322b)은 상기 제2,4스토퍼수단(205, 207)의 하돌출구(205a, 207a)에 간섭받지 않고 통과되도록 하며, 상기 제1,3스토퍼수단(204. 206)에 걸려 멈추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메인지지부재(310, 320)의 제1가이드홈(312, 322) 상하단부에는 각각 상기 제1,2지지부재(200, 210)의 가이드롤러(202, 212)에 안착 지지되어 원활한 이동을 위한 제1가이드라인(319, 329)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서브지지부재(410, 420)의 제2가이드홈(412, 422) 상하단부에는 각각 상기 제1,2메인지지부재(310, 320)의 가이드롤러(318, 328)에 안착 지지되어 원활한 이동을 위한 제2가이드라인(416, 42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인지지부재(310)의 내측 일끝단부에는 상기 제2승강부(40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제5스토퍼수단(314a)이 구비되며;
    상기 제2메인지지부재(320)의 내측 타끝단부에는 상기 제2승강부(40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제6스토퍼수단(324a)이 구비되고;
    상기 제1메인지지부재(310)의 제5스토퍼수단(314a)에 걸려 멈추어지도록 상기 제1서브지지부재(410)의 제2가이드홈(412) 내측 타끝단부에는 제5걸림수단(418)이 구비되며;
    상기 제2메인지지부재(320)의 제6스토퍼수단(324a)에 걸려 멈추어지도록 상기 제2서브지지부재(420)의 제2가이드홈(422) 내측 일끝단부에는 제6걸림수단(42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5,6스토퍼수단(314a, 324a)은 상기 제1,2서브지지부재(410, 420)의 제2가이드홈(412, 422) 내측면에 간섭받지 않도록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어 상기 제5,6걸림수단(418, 428)에 걸려 멈추어지도록 각각 보조돌출구(418a, 428a)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부(300)의 제1승강판(330) 및 제2승강부(400)의 제2승강판(430)은,
    경량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니컴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
  10. 제 1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부(300)의 제1승강판(330) 및 제2승강부(400)의 제2승강판(430) 상부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5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승강부(400)의 제2승강판(430) 하부면 양끝단부에는,
    사용자가 쉽게 잡아당겨 설치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재(6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재(600)는,
    소정의 길이를 갖으며, 중심부에 원통형상의 파지부(612)가 구비되고, 양끝단부에는 이탈방지구(614)가 구비되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의 와이어부(610); 및
    상기 제2승강부(400)의 제2승강판(430) 하부면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부(610)의 양단이 각각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삽입원통부(622, 622')가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판부(620, 62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부(300)의 제1,2메인지지부재(310, 320) 상부 일측에는 각각 낙상을 방지하는 제1방지턱(313, 323)이 소정 높이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승강부(400)의 제1,2서브지지부재(410, 420) 상부 일측에는 각각 낙상을 방지하는 제2방지턱(413, 423)이 소정 높이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지지부재(200,210)의 가이드롤러(202,212) 및 제1,2메인지지부재(310, 320)의 가이드롤러(318, 328)는,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일직선상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부(300)의 제1승강판(330)과 상기 제2승강부(400)의 제2승강 판(430) 상부면 일단에는 휠체어가 원활히 오르고 내리도록 안내부재(332, 444)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332, 444)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각각 제1승강판(330)과 제2승강판(430)의 좌우측 끝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1승강판(330)과 제2승강판(430)의 상부면에 체결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편(332a, 444a)과, 상기 고정편(332a, 444a)에 일체로 연장되어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사선편(332b, 444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
  18. 철도차량(10)에 승강하기 위하여 철도차량(10)의 플로어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승강판(330)을 갖는 제1승강부(300)와, 제2승강판(430)을 갖는 제2승강부(400)로 이루어져 상기 제1,2승강부(300, 400)가 슬라이드식으로 설치 및 보관되는 장애인용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승강부(400)의 제2승강판(430) 하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승강판(330) 및 제2승강판(430)의 중량 및 그 상부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지면에 안착되어 상기 제2승강판(430)을 지지하는 버팀부재(7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부재(700)는,
    상기 제2승강부(400)의 제2승강판(430) 하부면에 형성되는 힌지축;
    상기 힌지축에 일단이 각각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2상판(710, 720); 및
    상기 제1,2상판(710, 720)의 타단에 일단이 각각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각의 타단도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2하판(730, 74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부재(700)의 제1,2하판(730, 740) 일측면에는,
    상기 제1,2상판(710, 720)에 접철된 상태의 제1,2하판(730, 740)이 탄성적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각각에 압축스프링(732, 74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
KR1020060079382A 2006-08-22 2006-08-22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 KR100778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382A KR100778893B1 (ko) 2006-08-22 2006-08-22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382A KR100778893B1 (ko) 2006-08-22 2006-08-22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8893B1 true KR100778893B1 (ko) 2007-11-22

Family

ID=39080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9382A KR100778893B1 (ko) 2006-08-22 2006-08-22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88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887B1 (ko) 2013-11-01 2014-07-28 오은섭 장애인 객차 승하차용 슬라이딩 발판
KR101507429B1 (ko) 2013-11-29 2015-03-31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비상탈출램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4335A (en) 1992-01-29 1993-09-14 Johns Jerry L Telescopic tailgate ramp
US5636399A (en) 1995-02-27 1997-06-10 Ricon Corporation Movable ramp assembly
JP2001347889A (ja) 2000-06-08 2001-12-18 Hino Motors Ltd 車両の乗降用スロープ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4335A (en) 1992-01-29 1993-09-14 Johns Jerry L Telescopic tailgate ramp
US5636399A (en) 1995-02-27 1997-06-10 Ricon Corporation Movable ramp assembly
JP2001347889A (ja) 2000-06-08 2001-12-18 Hino Motors Ltd 車両の乗降用スロープ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887B1 (ko) 2013-11-01 2014-07-28 오은섭 장애인 객차 승하차용 슬라이딩 발판
KR101507429B1 (ko) 2013-11-29 2015-03-31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비상탈출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10591T3 (es) Aparato de ejercicio &#34;reformer&#34; plegable.
AU747781B2 (en) Under floor wheelchair lift
TWI402193B (zh) 鐵道車輛用之門結構
HU205321B (en) Door-moving device with locking mechanism for elevators
KR100778893B1 (ko)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
KR101023520B1 (ko) 장애인용 차량
KR101058879B1 (ko) 도시철도차량의 안전발판
JP2001226057A (ja) いす式階段昇降装置のスライドレール
JPH11310377A (ja) 移動歩道用フロア
JPH07232585A (ja) 自動車の車椅子乗降装置
KR101144942B1 (ko) 철도차량의 비상도어용 핸드레일
KR101730520B1 (ko) 철도 차량의 다단식 승강 램프
JP3023975U (ja) 車両用移動・昇降装置
JP3605356B2 (ja) 舞台下格納式昇降台車
JP2019151275A (ja) 軌条車両の可動式保持具およびそれを備える軌条車両
CN112519898B (zh) 车辆的卧铺机构以及车辆
KR102104278B1 (ko) 노약자 편의성을 갖춘 버스
JP2000177490A (ja) 伸縮自在な渡り板
JPH08113073A (ja) 車両用昇降装置
KR20220155390A (ko) 개구 장치
KR200143079Y1 (ko) 철도 차량용 휠체어 램프
Gou et al. Vehicle Inboard Device for Wheelchair Storing
JP3844893B2 (ja) スライドドアトイレのドア装置
JPH08126664A (ja) 車椅子固定装置
JP4203794B2 (ja) 自閉戸体の開戸保持装置およびストッパ機能付きドアハンド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