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3887B1 - 장애인 객차 승하차용 슬라이딩 발판 - Google Patents

장애인 객차 승하차용 슬라이딩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887B1
KR101423887B1 KR1020130131994A KR20130131994A KR101423887B1 KR 101423887 B1 KR101423887 B1 KR 101423887B1 KR 1020130131994 A KR1020130131994 A KR 1020130131994A KR 20130131994 A KR20130131994 A KR 20130131994A KR 101423887 B1 KR101423887 B1 KR 101423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footrest
rail
footplat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1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3887B9 (ko
Inventor
오은섭
Original Assignee
오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은섭 filed Critical 오은섭
Priority to KR1020130131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38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887B1/ko
Publication of KR101423887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887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61D23/02Folding steps for railway vehicles, e.g. hand or mechan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입출구 계단의 최상층 플로어에 장착되는 장애인 객차 승하차용 슬라이딩 발판에 관한 것으로, 장착틀에 외측발판과 내측발판을 삽입하여 양방향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장착틀에 삽입되는 외측발판과 외측발판에 삽입되는 내측발판이 레일장치와 슬라이드 작동을 유도하는 가이드장치에 의하여 슬라이드작동이 제어되도록 하면서 외측발판의 가이드장치에는 기울어짐 가능하게 각도조절수단을 마련함으로써 슬라이드 발판을 간편하게 인출가능하게 하면서 철도차량의 입출구 계단의 한정된 공간에 슬라이딩 발판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슬라이딩 발판을 사용한 후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장애인 객차 승하차용 슬라이딩 발판{AN WHEEL CHAIR RAMP OF RAILWAY VEHICLE}
본 발명은 장애인 객차 승하차용 슬라이딩 발판에 관한 것으로, 철도차량의 입출구에 계단이 형성되는 플로어 하부에 양방향으로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는 발판을 장착하여 휠체어 등을 이용한 승하차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은 탑승객이 이동하는 플로어의 높이가 철도 역사의 플랫폼의 바닥면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므로 모든 철도차량은 탑승객의 승하차를 위하여 입출구측에 계단이 형성된다.
따라서 장애인이나 부상자가 휠체어를 타고 철도차량의 객차에 탑승하는 경우 또는 무거운 짐을 실은 캐리어 등을 운반하고자 하는 경우를 위하여 별도의 승하강 수단이 장착된다.
승하강 수단은 전동식 리프트 또는 슬라이딩 발판이 장착될 수 있는데, 전동식 리프트의 경우에는 별도의 설치공간이 필요하므로 협소한 철도차량 내부에 설치가 곤란하고, 또한 설치비용이 매우 고가(高價)일 뿐만 아니라, 조작이 어려워서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대부분의 철도차량에는 수동으로 작동하는 슬라이딩 발판을 장착하여 사용자 또는 승무원이 직접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슬라이딩 발판은 철도차량의 공간활용을 위하여 현재 설치되어 있는 대부분이 계단이 형성된 플로어 하부에 내장되어 양방향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슬라이딩 발판의 구조는 특허등록 제10-0250608호 및 특허등록 제10-0778893호에 개시되어 있다.
철도차량은 입출구의 크기 및 플로어의 높이, 계단의 폭과 높이 등 모든 부분이 규격화되어 있고, 그 규격화된 범위 내에서 설치되어야 하며, 또한 철도차량의 입출구는 양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슬라이딩 발판이 양방향으로 인출 가능하여야 하며, 이러한 모든 요건을 충적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딩 발판의 크기나 높이 등 사양이 매우 제한된다.
따라서 한정된 공간(계단 최상층의 플로어 하부 공간)에 슬라이딩 발판을 설치하기 위해서 발판이 외측발판과 내측발판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레일이 롤러를 타고 슬라이딩 작동하면서 인출되거나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렇게 롤러를 타고 이동하는 구조는 발판을 완전히 인출시킨 상태에서 경사지게 세우면 모든 하중이 최단부에 장착된 롤러 한 개에 집중되는 문제가 있다.
즉, 슬라이딩 발판의 사양은 대부분 300kg 이상까지 버틸 수 있는 내구성이 요구되는데, 모든 하중이 샤프트로 작동하는 롤러 한 개에 집중되므로 상기 요건을 충족시키기가 매우 어렵고,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롤러방식으로 작동하는 슬라이딩 발판은 사용한 후에 발판을 끼워 넣기가 매우 어려워서 사용이 불편하고, 발판을 끼워 넣는 과정에서 부품이 파손되는 등의 여러 문제가 있다.
즉, 레일이 롤러를 타고 작동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발판을 삽입하기 위해서는 끼워넣고자 하는 차체의 장착틀과 수평상태를 맞춘 상태에서 삽입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사용자가 이러한 수평상태를 정확하게 맞춰서 끼워 넣기가 어려우며, 또한 좌,우 삽입되는 밸런스를 정확하게 맞춰야만 삽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발판이 잘 들어가지 않으면 열차 운행시간에 쫓기어 힘을 주어 강제로 삽입하게 되면서 부품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현재 철도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대부분의 슬라이딩 발판이 고장나거나 손상된 상태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대한 대안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250608호(2000.01.05)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78893호(2007.11.16)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43665호(2013.03.08)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46164호(2001.08.30)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20791호(1998.07.15)
따라서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입출구 계단의 한정된 공간에 슬라이딩 발판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발판을 양방향으로 인출가능하면서도 내구성을 향상시켜 쉽게 손상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한 철도차량의 슬라이딩 발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슬라이딩 발판을 사용한 후 삽입할 때 발판의 수평조절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되고, 발판이 좌,우측으로 치우쳐 지지않고 자동으로 균형을 유지하여 삽입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철도차량(1)의 입출구 계단(2)의 플로어(3) 하부에 장착되어 양방향으로 인출되는 장애인 객차 승하차용 슬라이딩 발판에 있어서, 플로어(3)의 하단에 장착되는 장착틀(100)과, 장착틀(100)에 삽입되는 외측발판(200)과, 장착틀(100)와 외측발판(200)에 서로 대응되게 레일이 형성되어 외측발판(200)의 슬라이딩 작동을 유도하는 제1레일수단(300)와, 외측발판(200)의 인출범위를 제한하면서 외측발판(200)을 기울일 수 있게 유도하는 제1가이드장치(400)와, 외측발판(200)에 삽입되는 내측발판(500)과, 외측발판(200)과 내측발판(500)에 서로 대응되게 레일이 형성되어 내측발판(500)의 슬라이딩 작동을 유도하는 제2레일수단(600)과, 내측발판(500)의 인출범위를 제한토록 되는 제2가이드장치(70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철도차량 내부에 별도의 공간을 마련할 필요없이 입출구 계단에 형성되는 플로어 하부에 내장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사용자가 쉽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철도차량의 짧은 승강장 정차시간 내에 최소한의 보조자 도움만으로도 신속하고 안전하게 철도차량의 승,하차를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라이딩 발판을 사용한 후에도 수평이나 좌,우 균형을 맞출필요가 없이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으므로 시간이 지체되지 않으므로 열차를 정확한 시간에 운행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슬라이딩 발판의 부품이 파손될 우려가 없으므로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며, 여러 번 반복 사용할 경우에도 고장비율을 줄이고 유지보수비용 및 관리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 발판이 철도차량에 장착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 발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 발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슬라이딩 발판의 세부구조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 발판이 인출되어 펼쳐짐 되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제1가이드장치의 스토퍼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가이드장치의 스토퍼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스토퍼의 작동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가이드장치의 스토퍼 장착구조를 나탄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스토퍼에 의하여 내측발판의 인출범위가 제한되는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레일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스토퍼에 내장되는 베어링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외측발판에 걸림요소가 형성된 상태의 측단면 구조도
도 1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슬라이딩 발판이 철도차량(1)의 입출구 계단(2)의 플로어(3) 하부에 장착되어 양방향으로 인출되도록 한 것으로, 플로어(3)의 하단에 장착틀(100)이 구비되고, 장착틀(100)에는 외측발판(200)이 장착되며, 외측발판(200)에는 다시 내측발판(500)이 장착되어 외측발판(200)과 내측발판(500)이 2단으로 인출되어 슬라이딩 발판이 펼쳐지게 된다.
상기 외측발판(200)은 장착틀(100)과 제1레일수단(300)과 제1가이드장치(400)에 의하여 연결되어 외측발판(200)이 장착틀(100)로부터 슬라이딩 작동되어 삽입되거나 인출되고, 상기 내측발판(500)은 외측발판(200)과 제2레일수단(600)과 제2가이드장치(700)에 의하여 연결되어 내측발판(500)이 외측발판(200)으로부터 슬라이딩 작동되어 삽입되거나 인출된다.
외측발판(200)의 작동을 위한 제1레일수단(300)은 장착틀(100)과 외측발판(200)에 서로 대응되게 레일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레일의 구조는 장착틀(100)과 외측발판(200)에 각각 암레일바(310)와 수레일바(320)가 대응되게 형성되어 수레일바(320)가 암레일바(310)에 얹혀진 상태에서 슬라이드 작동된다.
그리고 내측발판(500)의 작동을 위한 제2레일수단(600)은 외측발판(200)과 내측발판(500)에 서로 대응되게 레일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레일의 구조는 장착틀(200)과 외측발판(500)에 각각 암레일바(610)와 수레일바(620)가 대응되게 형성되어 수레일바(620)가 암레일바(610)에 얹혀진 상태에서 슬라이드 작동된다.
제1레일수단(300)과 제2레일수단(600)에 형성되는 암레일바(310,610)와 수레일바(320,620)의 맞물림 구조는 다양한 구조의 레일바를 사용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암레일바(310,610)는 중앙부가 하측으로 내입되면서 양측이 경사지게 받침면(312,612)이 형성되도록 하고, 수레일바(320,620)는 암레일바(310,610)의 받침면(312,612)과 대응되게 안착면(322,622)이 형성되어 안정적인 슬아이딩 작동이 유도되며, 외측발판(200) 또는 내측발판(500)의 자체 무게에 의하여 수레일바(320,620)가 암레일바(310,6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좌,우로 이탈되지 않게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외측발판(200)과 내측발판(500)을 인출한 상태에서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 외측발판(200) 또는 내측발판(500)을 들면 암레일바(310,610)와 수레일바(320,620)가 하중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맞물림되면서 레일작동을 유도하게 되며, 수평 또는 좌,우 균형을 별도로 맞춰서 삽입할 필요가 없이 사용자가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암레일바(310,610)와 수레일바(320,620)는 금속재로 제작하면서 암레일바(310,610)와 수레일바(320,620) 중의 어느 일측, 또는 암레일바(310,610)와 수레일바(320,620)에 모두에 도 11과 같이 카본도트(330,630)를 형성하면 암레일바(310,610)와 수레일바(320,620) 사이의 마찰력을 줄이면서도 마찰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외측발판(200)과 내측발판(500)의 윤활작용을 위한 별도의 윤활유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오일레스로 레일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카본 자체의 특성상 반복 마찰할수록 표면이 매끄럽게 변형되면서 마찰력을 더 줄일 수 있게 되고 슬라이드 작동이 더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외측발판(200)와 내측발판(500)에 장착되는 제1가이드장치(400)와 제2가이드장치(700)는 외측발판(200)과 내측발판(500)의 슬라이드 작동범위를 제한하여 인출되는 길이를 설정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제1가이드장치(400)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인출범위를 제한함과 동시에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외측발판(200)을 장착틀(100)로부터 기울여 슬라이딩 발판을 플랫폼에 펼쳐 세울 수 있도록 하면서 제2가이드장치(700)는 내측발판(500)의 인출범위만을 제한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가이드장치(400)와 제2가이드장치(700)는 각각 샤프트(410,710)에 스토퍼(420,720)가 장착되어 외측발판(200)과 내측발판(500)의 슬라이드 작동범위를 각각 제한토록 되고, 스토퍼(420,720)에는 관통홀(421,721)이 형성되고 관통홀(421,721)에 베어링(421a,721a)이 끼워져 샤프트(410,710)와 마찰력을 줄이면서 슬라이드 작동된다.
이때, 상기 베어링(421a,721a)은 도 12와 같이 베어링(421a,721a)에 카본도트를 형성하면 샤프트(410,710)와 스토퍼(420,720) 사이의 마찰력을 줄이면서도 마찰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윤활작용을 위한 별도의 윤활유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카본 자체의 특성상 반복 마찰할수록 표면이 매끄럽게 변형되면서 마찰력을 더 줄일 수 있게 되고 외측발판(200)과 내측발판(500)의 슬라이드 작동시 간섭을 줄이면서도 슬라이드 작동이 더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샤프트(410,710)는 장착틀(100)과 외측발판(200)과 내측발판(500)의 전,후면을 마감하는 가림막(100a,200a,500a)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게 장착된다.
외측발판(200)의 슬라이드 작동을 유도하게 되는 제1가이드장치(400)는 외측발판(200)의 좌,우측에 대칭되게 샤프트(410)가 형성되고, 좌,우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샤프트(410)는 각각 두 개씩 병렬로 구성되어 장착틀(100)과 외측발판(200)에 각각 샤프트(410)가 장착되며, 병렬로 구성된 샤프트(410)에는 스토퍼(420)가 장착되어 외측발판(200)이 슬라이드 작동될 때 스토퍼(420)에 의하여 외측발판(200)의 인출 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여기서 스토퍼(420)는 본체(422)와 작동체(424)로 분할되어 암,수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본체(422)와 작동체(424)를 각각 장착틀(100)에 장착된 샤프트(410)와 외측발판(200)에 장착된 샤프트(410)에 끼워지도록 하여 스토퍼(420)가 샤프트(410)를 타고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하며, 본체(422)와 작동체(424)가 서로 회전작동이 이루어지게 각도조절수단(426)을 형성함으로써 외측발판(200)이 최대로 인출된 상태에서 기울어짐이 가능케 된다.
즉, 상기 각도조절수단(426)은 일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틀(100)에 장착된 샤프트(410)에 끼워져 슬라이딩 작동하는 본체(422)에 내입홈(426a)을 형성하고, 외측발판(200)에 장착된 샤프트(410)에 끼워져 슬라이딩 작동하는 작동체(424)에는 돌축(426b)을 형성하여 본체(422)와 작동체(424)가 조립된 상태에서 회전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장착틀(100)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그 장착틀(100)에서 인출된 외측발판(200)을 기울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철도차량(1)이 플랫폼에 정차한 상태에서 외측발판(200)과 그 외측발판(200)에 삽입되어 있는 내측발판(500)을 인출하여 플랫폼의 지면에 닿도록 펼쳐 고정할 수 있게 되며, 슬라이딩 발판이 경사지게 펼쳐지게 된다.
상기 내입홈(426a)은 본체(422)의 상측으로 개방되어 돌축(426b)을 상부로부터 끼워서 조립할 수 있도록 하면서 내입홈(426a)과 돌출(426b)이 걸림턱에 의하여 빠지지 않도록 하면서 회전작동이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입홈(426a)과 돌축(426b)의 조립구조는 상술한 구조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미며, 내입홈(426a)을 본체(422) 또는 작동체(424) 중의 어느 하나에 형성하면서 다른 하나에는 내입홈(426a)에 삽입되게 돌축(426b)을 형성하여 본체(422)와 작동체(424)의 회전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다양한 공지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수단(426)은 도 7과 같이 내입홈(426a)의 상측으로 개구부(426c)가 형성되면서 스토퍼(420)의 슬라이드 작동방향을 따라서 전,후방으로 연장되게 연장홈(426d)을 형성하면 본체(422)와 작동체(424)가 조립된 상태에서 도 8과 같이 작동체(424)가 스토퍼(420)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케 된다.
따라서 외측발판(200)이 장착틀(100)로부터 더 인출될 수 있게 되면서도 각도조절수단(426)의 회전되는 축의 위치를 장착틀(100)로부터 더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외측발판(200)이 기울어질 때 장착틀(100) 또는 계단(2) 등에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내측발판(500)은 별도의 각도조절수단이 필요없이 단순히 외측발판(200)으로부터 수평으로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2레일수단(400)에 의하여 내측발판(500)이 슬라이딩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샤프트(710)에 스토퍼(720)를 장착하여 내측발판(500)의 인출 범위를 제한하도록 하는 제2가이드장치(700)를 더 형성하여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제2가이드장치(7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710)에 두 개 이상의 복수의 스토퍼(720)가 스페이서(730)에 의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장착되도록 하면 도 10과 같이 내측발판(500)이 스페이서(730)에 의하여 일정한 길이만큼 인출되지 않게 된다.
이때, 제2가이드장치(700)의 샤프트(710)는 내측발판(500)의 좌,우 양측에 대칭되게 장착하면서 양측에 대칭되게 장착되는 샤프트(710)를 외측발판(200)과 내측발판(500)에 각각 장착되도록 병렬로 장착된다.
따라서 외측발판(200)과 내측발판(500)에 병렬로 장착된 샤프트(710)에 복수의 스토퍼(710)가 스페이서(730)에 의하여 일정한 길이만큼 인출되지 않게 지지되므로 슬라이딩 발판이 인출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외측발판(200)과 내측발판(500)의 경계부분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외측발판(200)과 내측발판(500)은 상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발판블럭(210,510)을 장착하여 논슬립 기능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발판블럭(210,510)은 복수의 조립체로 분할 구성하여 각각의 조립체가 측면 끼움 구조로 조립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내측발판(500)의 하부에는 손잡이(미도시)를 형성하여 플로어(3)의 하부에 슬라이딩 발판이 내장된 상태에서 손잡이를 잡아서 외측발판(200)과 내측발판(500)을 인출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며, 손잡이의 구조는 단순히 파지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손잡이 자체가 탄성스프링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하여 사용시에만 외부로 노출되면서 사용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감춰지는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발판(20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발판(200)이 인출되어 기울어질 때 장착틀(100) 또는 플로어(3)의 내측에 밀착되는 부분에 서로 대응되게 걸림요소(220)를 형성하면 외측발판(200)이 장착틀(100)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외측발판(200)이 제1레일수단(300)으로부터 이탈되거나, 제1가이드장치(400)가 파손되는 경우에도 외측발판(200)이 장착틀(10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되므로 슬라이딩 발판을 사용하는 중에 고장이나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그로부터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 철도차량 2: 계단
3: 플로어
100: 장착틀
200: 외측발판 210: 발판블럭
220: 걸림요소
300: 제1레일수단 310: 암레일바
312: 받침면 320: 수레일바
322: 안착면 330: 카본도트
400: 제1가이드장치 410: 샤프트
420: 스토퍼 421: 관통홀
421a: 베어링 422: 본체
424: 작동체 426: 각도조절수단
426a: 내입홈 426b: 돌축
426c: 개구부 426d: 연장홈
500: 내측발판 510: 발판블럭
600: 제2레일수단 610: 암레일바
612: 받침면 620: 수레일바
622: 안착면 630: 카본도트
700: 제2가이드장치 710: 샤프트
720: 스토퍼 721: 관통홀
721a: 베어링 730: 스페이서

Claims (8)

  1. 철도차량(1)의 입출구 계단(2)의 플로어(3) 하부에 장착되어 양방향으로 인출되는 장애인 객차 승하차용 슬라이딩 발판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3)의 하단에 장착되는 장착틀(100);
    장착틀(100)에 삽입되는 외측발판(200);
    장착틀(100)와 외측발판(200)에 서로 대응되게 레일이 형성되어 외측발판(200)의 슬라이딩 작동을 유도하는 제1레일수단(300);
    외측발판(200)의 인출범위를 제한하면서 외측발판(200)을 기울일 수 있게 유도하는 제1가이드장치(400);
    외측발판(200)에 삽입되는 내측발판(500);
    외측발판(200)과 내측발판(500)에 서로 대응되게 레일이 형성되어 내측발판(500)의 슬라이딩 작동을 유도하는 제2레일수단(600);
    내측발판(500)의 인출범위를 제한토록 되는 제2가이드장치(70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장치(400)는,
    장착틀(100)과 외측발판(200)의 양측에 각각 샤프트(410)가 장착되고, 장착틀의 샤프트와 외측발판의 샤프트를 현수 연결하면서 슬라이딩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스토퍼(420)가 장착되어 외측발판(200)의 슬라이드 작동범위를 제한토록 되고, 스토퍼(420)는 회전 가능한 구조로 조립되는 본체(422)와 작동체(424)로 분할되어 외측발판(200)의 기울어짐이 가능케 되는 장애인 객차 승하차용 슬라이딩 발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장치(700)는,
    외측발판(200)과 내측발판(500)의 양측에 각각 샤프트(710)가 장착되고, 외측발판의 샤프트와 내측발판의 샤프트를 현수 연결하면서 슬라이딩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스토퍼(720)가 장착되어 내측발판(500)의 슬라이드 작동범위를 제한토록 되는 장애인 객차 승하차용 슬라이딩 발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420)는 본체(422)와 작동체(424)로 분할되어 암,수 결합되면서 장착틀(100)과 외측발판(200)에 장착된 샤프트(410)에 본체(422)와 작동체(424)가 각각 끼워져 슬라이딩 작동되며, 본체(422)와 작동체(424)가 서로 회전작동이 이루어지게 각도조절수단(426)이 형성되어 외측발판(200)의 기울어짐이 가능케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객차 승하차용 슬라이딩 발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426)은 본체(422) 또는 작동체(424) 중의 어느 하나에 내입홈(426a)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내입홈(426a)에 삽입되게 돌축(426b)이 형성되어 본체(422)와 작동체(424)의 회전작동이 이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객차 승하차용 슬라이딩 발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426)은 내입홈(426a)의 상측으로 개구부(426c)가 형성되면서 스토퍼(420)의 슬라이드 작동방향을 따라서 전,후방으로 연장되게 연장홈(426d)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객차 승하차용 슬라이딩 발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장치(700)는 샤프트(710)에 복수의 스토퍼(720)가 스페이서(730)에 의하여 이격되게 장착되어 내측발판(500)의 슬라이딩 작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객차 승하차용 슬라이딩 발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일수단(300)와 제2레일수단(600)은 각각 암레일바(310,610)와 수레일바(320,620)가 대응되게 형성되고, 암레일바(310,610)는 중앙부가 하측으로 내입되면서 양측이 경사지게 받침면(312,612)이 형성되면서 수레일바(320,620)는 암레일바(310,610)의 받침면(312,612)과 대응되게 안착면(322,622)이 형성되어 안정적인 슬라이딩 작동을 유도하면서 좌,우로 이탈되지 않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객차 승하차용 슬라이딩 발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암레일바(310,610)와 수레일바(320,620)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암레일바(310,610)와 수레일바(320,620) 중의 어느 일측, 또는 암레일바(310,610)와 수레일바(320,620)에 모두 카본도트(330,630)가 형성되어 암레일바(310,610)와 수레일바(320,620) 사이의 마찰력을 줄이고 열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객차 승하차용 슬라이딩 발판.
KR1020130131994A 2013-11-01 2013-11-01 장애인 객차 승하차용 슬라이딩 발판 KR101423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994A KR101423887B1 (ko) 2013-11-01 2013-11-01 장애인 객차 승하차용 슬라이딩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994A KR101423887B1 (ko) 2013-11-01 2013-11-01 장애인 객차 승하차용 슬라이딩 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3887B1 true KR101423887B1 (ko) 2014-07-28
KR101423887B9 KR101423887B9 (ko) 2023-09-19

Family

ID=51743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1994A KR101423887B1 (ko) 2013-11-01 2013-11-01 장애인 객차 승하차용 슬라이딩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38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75487A (zh) * 2022-07-12 2022-09-20 浪潮通信信息系统有限公司 一种机器人无障碍出入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0350A (ja) * 1996-03-05 1997-09-16 Fuji Heavy Ind Ltd バスの車椅子乗降装置
KR19980020791U (ko) * 1996-10-16 1998-07-15 추호석 이동식 휠체어 발판
JP2003226186A (ja) 2002-02-01 2003-08-12 Aisin Keikinzoku Co Ltd 車両用スロープ装置
KR100778893B1 (ko) 2006-08-22 2007-11-22 신현일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0350A (ja) * 1996-03-05 1997-09-16 Fuji Heavy Ind Ltd バスの車椅子乗降装置
KR19980020791U (ko) * 1996-10-16 1998-07-15 추호석 이동식 휠체어 발판
JP2003226186A (ja) 2002-02-01 2003-08-12 Aisin Keikinzoku Co Ltd 車両用スロープ装置
KR100778893B1 (ko) 2006-08-22 2007-11-22 신현일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75487A (zh) * 2022-07-12 2022-09-20 浪潮通信信息系统有限公司 一种机器人无障碍出入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3887B9 (ko) 202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89495B2 (ja) 移動能力の制約された乗客が出入りし易い鉄道車両客車
KR101582535B1 (ko) 이동 플랫폼 및 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
US9475407B2 (en) Folding vehicle seat
KR101626260B1 (ko) 승강장용 안전발판
WO2007091461A1 (ja) 乗降用車両
US11234873B2 (en) Height adjustable wheelchair docking system
SI25659A (sl) Dvigalo za teleskopsko potniško stopnišče za letala, ki omogoča vkrcanje potnikov na invalidskem vozičku
KR100936020B1 (ko) 저상식 휠체어 리프트
KR101423887B1 (ko) 장애인 객차 승하차용 슬라이딩 발판
KR101889898B1 (ko)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JP3148482U (ja) 多目的階段昇降機
JP2015182522A (ja) 避難用梯子
JP4742363B2 (ja) バス昇降床装置
KR101644622B1 (ko) 3.5 스텝구조의 장애인 탑승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
CN103015881B (zh) 工装梯
JP6714313B2 (ja) 車両構造
KR102271450B1 (ko) 휠체어용 리프트
KR100605541B1 (ko) 3단 슬라이딩 레일을 이용한 지하철 피난계단
KR101487403B1 (ko)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JP3023975U (ja) 車両用移動・昇降装置
KR101157736B1 (ko) 램프작동장치
KR20170122870A (ko) 철도차량용 휠체어 승, 하차 장치
KR101646652B1 (ko) 에스컬레이터의 휠체어 스토퍼 장치
KR200465695Y1 (ko) 휠체어용 리프팅시스템
WO2017127903A1 (pt) Mecanismo modular para movimentação de plataforma nos planos horizontal e vertic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6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