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7736B1 - 램프작동장치 - Google Patents
램프작동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7736B1 KR101157736B1 KR1020100016510A KR20100016510A KR101157736B1 KR 101157736 B1 KR101157736 B1 KR 101157736B1 KR 1020100016510 A KR1020100016510 A KR 1020100016510A KR 20100016510 A KR20100016510 A KR 20100016510A KR 101157736 B1 KR101157736 B1 KR 1011577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lamp
- guide
- lamp unit
- guide ra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2—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lifts connected to the vehic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8—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in combination with folding stai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7—Removable steps or ladders, e.g. fold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휠체어나 유모차와 함께 차량에 용이하게 승, 하차가 가능한 램프작동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램프작동장치는 램프부. 차량의 출입구에 장착되어 상기 램프부의 슬라이딩 움직임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 상기 램프부와 연결되어 상기 램프부를 상기 출입구 내외로 출입시키되, 상기 램프부가 상기 출입구의 외부로 배출될 때, 상기 램프부와 상기 출입구의 바닥면 사이의 단차를 보상하는 보상부, 그리고 상기 보상부를 가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상부는 상기 램프부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보상부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램프부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램프부와 상기 출입구의 바닥면 사이에 발생하는 단차를 제거할 수 있어 단차의 발생으로 인한 부차적인 불편함 및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장애우가 휠체어를 탄 채 차량에 탑승하거나, 유모차등과 함께 차량을 이용할 때, 용이하게 승차하거나 하차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버스와 같은 교통수단의 승, 하차장치의 구조를 보면 승, 하차를 위하여 차량의 전위 또는 중간에 계단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승, 하차구조는 일반인들이 이용하는 경우에는 별 불편함이 없으나 유모차나,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우의 경우 다른 사람의 도움이 없이는 차량에 승, 하차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 승, 하차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대책의 일환으로 버스의 최저 지상고를 400mm 이하로 설계하는 초저상 버스가 크게 증가되고 있는바, 이러한 초저상 버스에는 장애우의 휠체어 등이 출입할 수 있도록 버스의 바닥면에서 도로까지 인출되는 슬라이딩램프가 설치된다.
하지만, 슬라이딩램프를 수입하여 국내의 버스와 같은 교통수단에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수입품과 국내도로환경이 잘 맞지 않는 이유로 인해 슬라이딩램프에 잦은 고장을 야기한다. 이러한 고장은 버스와 같은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장애우 등이 인명피해를 입는 부차적인 문제점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슬라이딩램프의 경우에는 차량의 바닥면과 램프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기 때문에 슬라이딩램프 위를 이동함에 있어서 불편함이 초래된다. 이러한 불편함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라이딩램프와 차량의 바닥면 사이에 보조스텝과 같은 부차적인 구조를 더 부가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슬라이딩램프 구조를 복잡하게 만들고 별도로 보조스텝의 고장위험 등을 염두 해야 하는바 보다 간단하고 상기와 같은 단차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슬라이딩램프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램프부와 차량 출입구의 바닥면 사이에 발생하는 단차를 보상할 수 있는 램프작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초저상 버스에 용이하게 적용되도록 제작되어 도로환경에 적합한 램프작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램프부의 지면과 닿는 일측에 바퀴와 같은 구름수단을 제공하여 램프부의 반복적인 사용에 따른 파손을 최대한 방지하는 램프작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램프작동장치는 램프부, 차량의 출입구에 장착되어 상기 램프부의 슬라이딩 움직임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 상기 램프부와 연결되어 상기 램프부를 상기 출입구 내외로 출입시키되 상기 램프부가 상기 출입구의 외부로 배출될 때, 상기 램프부와 상기 출입구의 바닥면 사이의 단차를 보상하는 보상부, 그리고 상기 보상부를 가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상부는 상기 램프부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보상부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램프부의 높이가 조절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는 제 1 가이드레일, 그리고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가이드레일과의 사이에 상기 보상부가 이동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가이드레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일측이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의 출구쪽 일측과 힌지 연결되되, 복원력을 구비하도록 연결된 보조레일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보상부는 옆면이 뒤집힌 T자 형상으로, 세 모서리를 포함하는 가이드부재, 제 1 모서리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을 따라 주행 가능한 제 1 가이드롤러, 그리고 제 2 모서리에 구비되어 상기 제 2 가이드레일을 따라 주행 가능한 제 2 가이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부가 상기 출입구 밖으로 배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램프부의 후단과 상기 가이드부재의 제 3 모서리가 힌지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 2 가이드레일상에서 상기 램프부가 출입하는 출입구 방향의 일측에는 상기 제 2 가이드부재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롤러가 지지되는 지지홈이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램프부는 평판의 형상이다. 또한 상기 램프부는 미끄럼방지돌기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미끄럼방지돌기를 구비함으로 인하여 휠체어나 유모차가 미끄러지지 않고 경사면을 안전하게 올라가거나 내려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램프부가 상기 출입구를 통해 배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지면과 닿는 상기 램프부의 선단은 구름수단을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구동부는 전기모터 구동 유압실린더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램프부에 구동 중 비정상적인 압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램프부의 작동이 멈춘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이 불가능하거나 기계적으로 이상이 생긴 경우 이를 알리는 알람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보상부의 추가적인 구동에 의하여 램프부와 차량 출입구의 바닥면 높이가 맞춰지는바, 램프부와 차량 출입구의 바닥면 사이에 발생하는 단차를 제거할 수 있어 단차의 발생으로 인한 부차적인 불편함 및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램프부의 작동높이를 조절하여 최근 도입이 활발한 초저상 버스에 맞고, 도로환경에 적합한 휠체어 램프 작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어, 휠체어 램프 작동장치의 고장 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셋째, 램프부가 지면과 맞닿는 부분에 구름수단을 구비하여 램프부의 반복적 작동으로 인한 지면으로부터 램프부가 받는 마찰외력을 최소화 할 수 있어 램프부의 고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넷째, 돌발적인 상황이 발생하여 램프작동장치의 계속적인 구동이 이용자나 기계 자체에 피해를 줄 수 있는 경우에 램프부의 작동이 멈추거나 알람수단에 의해 이상을 알릴 수 있는바, 안전한 램프작동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램프작동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램프작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그리고,
도 4 내지 도 7은 램프작동장치의 작동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램프작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그리고,
도 4 내지 도 7은 램프작동장치의 작동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작동장치(1)가 차량에 장착되어 구동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램프작동장치(1)는 주로 버스(10)의 승, 하차를 위한 입구 또는 출구에 장착되며, 특히 초저상 버스에 적용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램프의 작동이 필요한 다양한 출입장소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램프작동장치(1)의 상단면이 되는 덮개부(20)는 차량의 출입구의 바닥면일 수 있고, 또는 별도의 덮개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램프작동장치(1)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램프작동장치(1)는 차량의 바닥면 상단에 장착될 수도 있고, 바닥면 내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램프작동장치(1)는 램프부(100), 가이드부(200), 보상부(300), 그리고 구동부(400)를 포함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을 위해 도 2를 제시한다. 도 2는 상기 램프작동장치(1)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램프부(100)는 상기 램프작동장치(1)가 구동하는 경우에 가이드부(200)상에서 슬라이딩 움직임을 통하여 차량의 출입구의 바닥면과 지면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램프부(100)는 바람직하게는 휠체어나 유모차등 계단 형식의 출입구로는 이동이 제한되는 이동수단들이 커다란 제약 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평판의 형상을 취한 것으로 예시한다. 하지만 상기 램프부(100)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공간의 활용을 위해 다양한 형상이 가능할 것이다. 재료의 절감을 위해 상기 램프부(100)에 다수의 홀이 뚫리는 실시예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램프부(100)는 차량의 이동 중에는, 즉 램프작동장치(1)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부(200) 내부에 수용되어 있어 밖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상기 램프작동장치(1)의 작동 시 상기 램프부(100)는 상기 가이드부(20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외부로 나오면 지면과 차량의 출입구의 바닥면을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램프부(100)의 일측은 상기 보상부(300)와 힌지 결합되어 있다. 자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상기 램프부(100)의 타측, 즉, 생기 램프부(100)가 출입구 밖으로 배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지면과 닿는 상기 램프부(100)의 선단은, 도 3의 도시와 같이, 구름수단(110)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램프부(100)가 밖으로 배출되어 지면과 닿는 경우에 상기 램프부(100)가 직접 닿는 것이 아니라, 상기 구름수단(110)이 지면과 닿게 된다. 따라서 상기 램프부(100)가 지면상에서 슬라이딩이 용이해지고, 지면으로부터 받는 마찰력 또한 감소한다.
또한, 상기 램프부(100)의 겉 표면에는 복수개의 미끄럼방지돌기(120)가 형성된다. 이러한 미끄럼방지돌기(120)의 형상은 제한하지 않으며, 휠체어나 유모차가 경사진 램프부(100)상에서 이동하는 경우에 미끄러지지 않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부(200)는 램프작동장치(1)의 몸체가 되는 부분으로서, 더욱 자세하기는 상기 램프작동장치(1)의 장착이 필요 되는 차량 등의 출입구에 장착되어 상기 램프부(100)의 슬라이딩 움직임을 가이드 한다. 이러한 가이드부(200)는 평판을 구비한 형상으로 상기 램프부(100)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며, 이러한 형상 외에도 단순히 상기 램프부(100)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레일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가이드부(200)는 제 1 가이드레일(210), 그리고 제 2 가이드레일(220)을 포함한다.
제 1 가이드레일(210)은 램프작동장치(1)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보상부(300)가 이동할 수 있는 레일을 형성한다. 즉, 상기 제 1 가이드레일(210)은 상기 램프작동장치(1)에 있어서 램프부(100)의 이동을 위한 베이스가 된다. 이러한 제 1 가이드레일(210)로 상기 보상부(300)가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보상부(300)에 힌지 결합된 상기 램프부(100) 또한 슬라이딩 이동한다.
제 2 가이드레일(220)은 상기 제 1 가이드레일(210)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가이드레일과 사이에 상기 보상부(300)와 상기 램프부(100)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 2 가이드레일(220)은 별도의 레일일 수 있고, 평판의 내부에 길게 홈이 형성된 형상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제 2 가이드레일(220)과 제 1 가이드레일(210)에 상기 보상부(300)가 접촉하면서 슬라이딩 이동을 하는 것으로 예시한다. 하지만 상기 보상부(300)의 슬라이딩 이동은 제 1 가이드레일(210)만 구비된 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가이드부(200)는 제 1 가이드레일(210)의 출구쪽 일측에 보조레일(23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레일(230)의 일측이 상기 제 1 가이드레일(210)의 출구쪽 일측과 탄성력을 힌지 연결되되, 복원력을 구비하도록 연결된 것으로 예시한다. 따라서, 상기 보조레일(230)은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데 복원력에 의해 램프부(100)가 가이드부(20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항상 상기 보조레일(230)의 타측이 가이드부(200)에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부(200)의 출입구를 막는다. 이러한 보조레일(230)은 보상부(300)가 슬라이딩 이동 후 회전시 보조적인 공간을 제공하는 받침 역할을 하는데 그 구동은 후술한다. 다만, 제 1 가이드레일(21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보조레일(230)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보상부(300)는 상기 램프부(100)와 연결되어 상기 램프부(100)를 상기 가이드부(200)의 내외로 출입시키면서, 상기 램프부(100)가 상기 가이드부(200)의 외부로 배출된 경우에 상기 램프부(100)와 출입구의 바닥면 사이에 발생하는 단차를 보상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상부(300)는 상기 램프부(100)의 일측, 즉 상기 램프부(100)가 상기 출입구 밖으로 배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램프부(100)의 후단과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하나, 상기 램프부(100)가 상기 보상부(3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한 다양한 구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보상부(300)는 상기 가이드부(200)의 내부에 위치된다. 보다 자세하게, 보상부(300)는 가이드부재(310), 그리고 가이드롤러(32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재(310)는 상기 보상부(300)의 몸체가 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310)의 일측은 램프부(100)가 출입구 밖으로 배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램프부(100)의 후단과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즉, 가이드부재(310)는 T자를 뒤집어 놓은 형상으로 세 모서리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 하는데 그 중 출입구 방향으로 위치한 모서리가 램프부(100)와 힌지 결합되는 것이다. 힌지 결합 이외에도 상기 램프부(10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요소를 갖는 다양한 결합요소를 통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보상부(300)가 가이드부(20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하여 램프부(100)가 상기 가이드부(200) 밖으로 배출된 후에, 상기 가이드부재(310)가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부재(310)와 그 일측이 힌지 결합된 상기 램프부(100)의 일측의 높이가 조절된다. 이러한 높이 조절은 램프부(100)와 차량의 바닥면 사이에 발생하는 단차를 제거해준다.
가이드롤러(320)는 가이드부재(310)와 연결되어 가이드부(200)를 따라 주행이 가능하게 위치하는바, 이에 따라 보상부(300)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해진다. 가이드롤러(320)의 개수는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구름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롤러(320)는 제 1 가이드레일(210)을 따라 주행 가능한 제 1 가이드롤러(321), 그리고 제 2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주행 가능한 제 2 가이드롤러(322)를 포함한다.
제 1 가이드롤러(321)는 가이드부재(320)의 하단에 배치된다. 즉, 가이드부재(320) 상에서 출입구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 있는 모서리에 제 1 가이드롤러(321)가 배치된다. 또한, 제 2 가이드롤러(322)는 가이드부재(320)의 상단을 향한 모서리에 배치된다. 제 1 가이드롤러(321) 및 제 2 가이드롤러(322)는 복수개 채용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롤러(321)와 제 2 가이드롤러(322)가 각각 제 1 가이드레일(210)과 제 2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주행하는바 이러한 구조로 보상부(300)는 가이드부(20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 2 가이드레일(220)상에서 램프부(100)가 출입하는 출입구 방향의 일측에는 가이드부재(31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제 2 가이드롤러(322)가 지지되는 지지홈(221)이 형성된다. 즉, 가이드롤러(320)에 의해 램프부(100)의 일측과 힌지 결합된 보상부는 가이드부(20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램프부(100)가 밖으로 모두 배출된 경우에는 제 2 가이드롤러(322)가 상기 지지홈(221)에 지지되면서 더 이상 앞으로 굴러가지 못하고, 하지만 공급되는 구동력에 의해 보상부(300)의 가이드부재(310)는 제 2 가이드롤러(322)를 축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계적인 회전으로 인하여 램프부(100)의 높이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램프부(100)와 차량의 바닥면이 이루는 단차가 제거된다.
단차의 제거방법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 2 가이드롤러(322)가 구비되지 않고, 가이드부재(310)의 내부에 회전모터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모터의 동작을 통하여 상기 가이드부재(310)가 접히면서 상기 램프부(100)의 높이가 조절되는 변형예 또한 가능하다.
구동부(400)는 램프부(100)와 연결된 보상부(300)의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동부(400)는 가이드부(200)의 내부에 위치될 수도 있고, 가이드부(200)의 외부에 독립적으로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구동부(400)가 가이드부재(310)에 와이어 등으로 직접 연결되어 구동력의 전달이 가이드부재(310)에 전달될 수도 있고, 가이드롤러(320)에 직접 전달될 수도 있다. 구동부(400)는 전기모터 구동 유압실린더를 포함한다.
한편, 램프작동장치(1)가 작동하는 도중에 램프부(100)에 비정상적인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계속적인 작동이 기계에 무리를 가져올 수 있고, 사용자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바, 상기 램프부(100)의 작동이 멈춘다. 이러한 구동은 구동부(400)에서 구동력을 끊는 것으로 예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구동력을 중간에서 차단하는 장치가 더 채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구동부(400)의 구동이 불가능한 경우, 또는 기계적으로 이상이 생긴 경우에는 알람을 울려 주위에 이상을 알릴 수 있는 알람수단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알람수단은 이상을 알릴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채용되며 구동부(400)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구동부(400)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램프작동장치(1)의 작동관계를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다만, 램프부(100)가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가이드부(200) 밖으로 배출된 후 보상부(300)에 의하여 램프부(100)와 차량의 출입구의 바닥면 사이의 단차를 보상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보조레일(230)을 구비한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하나, 제 1 가이드레일(210)의 길이 조절을 통하여 상기 보조레일(230)은 생략될 수 있음은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다.
차량이 승, 하차 구간에서 정차하면 승객의 승, 하차를 위해 램프작동장치(1)가 구동되고, 구동부(40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은 보상부(300)는 가이드부(200)의 안에서 밖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한다. 보상부(300)의 슬라이딩 이동으로 인하여 보상부(300)에 힌지 연결된 램프부(100)가 상기 보상부(300)와 같이 구동부(200) 밖으로 배출되고, 도 4의 도시와 같이 램프부(100)는 구름수단(110)이 지면과 맞닿은 상태로 놓여진다.
한편, 보조레일(230)은 일측이 제 1 가이드레일(210)의 출구쪽 일측과 복원력을 갖도록 힌지 연결되어 램프부(100)가 밖으로 배출되는 경우 복원력에 의해 상기 보조레일(230)의 타측이 상기 램프부(100)의 하단면에 접촉한 상태로 있다가, 보상부(300)가 밖으로 배출되면서 제 1 가이드레일(210)과 평행하게 위치된다.
이 경우 덮개부(20)를 차량의 바닥면이라고 예시하면 상기 램프부(100)와 상기 보상부(300)가 연결되는 부분과 차량의 바닥면 사이에 단차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단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보상부(3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램프부(100)가 가이드부(200) 밖으로 모두 배출되면 제 2 가이드롤러(322)는 지지홈(221)의 윗면에 지지되면서 더 이상 앞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이때, 구동부(400)로부터 구동력은 계속 전달되는바, 도 5의 도시와 같이, 제 2 가이드롤러(322)는 앞으로 더 이상 나아가지 못하여 살짝 위로 올라가게 되고, 제 1 가이드롤러(321)는 계속 제 1 가이드레일(210)을 따라 앞으로 주행한다. 따라서 가이드부재(310)는 제 2 가이드롤러(322)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 2 가이드롤러(322)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가이드부재(310)의 회전으로 램프부(100)와 보상부(300)가 연결된 부분이 최고 높이에 이를 때까지 지지홈(221) 안으로 들어가지 않는다. 제 1 가이드롤러(321)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310)가 제 1 가이드레일(210) 또는 보조레일(230)에 지지되기 때문이다. 이때, 차량의 종류에 따라서 램프부(100)와 차량의 바닥면 또는 덮개부(20) 사이의 단차가 제거된 경우에는 도 6의 도시와 같은 상태로 보상부(300)의 회전 구동이 멈출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가이드부재(310)가 조금 더 회전하게 되고, 제 1 가이드롤러(321)이 보조레일(230)상에서 좀더 진행방향으로 주행하게 되고, 이때 제 2 가이드롤러(322)가 지지홈(221)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램프부(100)와 보상부(300)가 연결된 부분이 최고 높이에서 다시 약간 낮아지면서, 덮개부(20) 또는 상기 덮개부(20)가 차량의 바닥면 이라고 예시하면 차량의 바닥면과 램프부(100)의 단차가 제거된다. 이때 구동부(400)로부터 제공되던 구동력은 차단된다.
승객이 램프부(100)를 이용하여 모두 탑승하면, 구동부(400)로부터 보상부(300)를 가이드부(200) 안쪽으로 당기는 구동력을 제공되고, 가이드부재(310)는 반대방향, 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도 6의 도시와 같이 제 2 가이드롤러(322)는 다시 지지홈(221)을 벗어나 위로 약간 올라가게 되고 제 1 가이드롤러(321)가 다시 보조레일(230)을 지나 제 1 가이드레일(210)상에서 가이드부(200) 안쪽으로 주행한다. 결국 가이드부재(310)는 다시 도 4의 도시와 같이 놓이게 되고 제 2 가이드롤러(322) 또한 제 2 가이드레일(220)상에서 가이드부(200) 안쪽으로 주행하는바 보상부(300)는 가이드부(200) 안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보상부(300)에 힌지 연결된 램프부(100) 또한 가이드부(200) 안쪽으로 들어간다. 램프부(100)가 모두 가이드부(200) 안쪽으로 삽입되면 보조레일(230)은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가이드부(200)의 출입구를 막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램프작동장치 100: 램프부
200: 가이드부 210: 제 1 가이드레일
220: 제 2 가이드레일 300: 보상부
310: 가이드부재 320: 가이드롤러
400: 구동부
200: 가이드부 210: 제 1 가이드레일
220: 제 2 가이드레일 300: 보상부
310: 가이드부재 320: 가이드롤러
400: 구동부
Claims (11)
- 램프부;
차량의 출입구에 장착되어 상기 램프부의 슬라이딩 움직임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
상기 램프부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램프부를 상기 가이드부의 내외로 출입시키되, 상기 램프부가 상기 가이드부의 외부로 배출될 때, 상기 램프부와 상기 출입구의 바닥면 사이의 단차를 보상하고 상기 램프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보상부; 및
상기 보상부를 가동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보상부는,
옆면이 뒤집힌 T자 형상으로, 세 모서리를 포함하는 가이드부재;
제 1 모서리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을 따라 주행 가능한 제 1 가이드롤러; 및
제 2 모서리에 구비되어 상기 제 2 가이드레일을 따라 주행 가능한 제 2 가이드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부가 상기 출입구 밖으로 배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램프부의 후단과 상기 가이드부재의 제 3 모서리가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작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제 1 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가이드레일과의 사이에 상기 보상부가 이동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가이드레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작동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일측이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의 출구쪽 일측과 힌지 연결되되, 복원력을 구비하도록 연결된 보조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작동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레일상에서 상기 램프부가 출입하는 출입구 방향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부재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가이드롤러가 지지되는 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작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는 평판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작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는 미끄럼방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작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가 상기 출입구 밖으로 배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지면과 닿는 상기 램프부의 선단은 구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작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전기모터 구동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작동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에 구동 중 비정상적인 압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램프부의 작동이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작동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구동이 불가능하거나 기계적으로 이상이 생긴 경우 이를 알리는 알람수단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작동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6510A KR101157736B1 (ko) | 2010-02-24 | 2010-02-24 | 램프작동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6510A KR101157736B1 (ko) | 2010-02-24 | 2010-02-24 | 램프작동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6937A KR20110096937A (ko) | 2011-08-31 |
KR101157736B1 true KR101157736B1 (ko) | 2012-06-25 |
Family
ID=44932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16510A KR101157736B1 (ko) | 2010-02-24 | 2010-02-24 | 램프작동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5773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4306B1 (ko) * | 2022-12-28 | 2023-05-17 | 김용익 | 선체용 현문 개폐 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30003513Y1 (ko) * | 1991-05-15 | 1993-06-19 | 재단법인 한국기계연구소 | 전동기 구동식 미닫이형 휠체어 승하차 장치 |
WO2003018355A1 (en) | 2001-08-22 | 2003-03-06 | The Braun Corporation | Wheelchair ramp with side barriers |
JP2006281852A (ja) | 2005-03-31 | 2006-10-19 | Toshintec Kk | バスの車椅子乗降装置 |
-
2010
- 2010-02-24 KR KR1020100016510A patent/KR10115773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30003513Y1 (ko) * | 1991-05-15 | 1993-06-19 | 재단법인 한국기계연구소 | 전동기 구동식 미닫이형 휠체어 승하차 장치 |
WO2003018355A1 (en) | 2001-08-22 | 2003-03-06 | The Braun Corporation | Wheelchair ramp with side barriers |
JP2006281852A (ja) | 2005-03-31 | 2006-10-19 | Toshintec Kk | バスの車椅子乗降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6937A (ko) | 2011-08-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72262B1 (ko) | 휠체어용 승강장치 | |
ITTO20000607A1 (it) | Rampa a scomparsa per l'accesso di disabili su sedia a rotelle e carrozzine per bambini su veicoli a pianale ribassato. | |
US6821078B2 (en) | Motor vehicle chair system for physically disabled persons | |
WO2013090920A1 (en) | High level platform trapdoor with built in moving slide for railway platform gap bridging | |
RU2536516C2 (ru) | Пандус раздвижной (варианты) | |
JP2020522289A (ja) | 天井患者リフトシステムのための受入モジュール | |
KR20130058326A (ko) | 전동차용 접이식 휠체어 램프 | |
KR101157736B1 (ko) | 램프작동장치 | |
KR20120138912A (ko) |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장치 | |
KR101924515B1 (ko) | 주차타워의 승하강장치 | |
KR101889898B1 (ko) |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 |
KR101424388B1 (ko) | 장애인 차량용 리프트 장치 | |
JP2015120389A (ja) | 車輌用乗降ステップ装置 | |
JP2005526646A (ja) | リフト・ロック機構を備えたランプアセンブリ | |
KR20160037509A (ko) | 휠체어 리프트를 구비한 장애인용 버스 | |
KR100466446B1 (ko) |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 |
KR20100004217A (ko) |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한 철도차량용 휠체어 승하차장치 | |
RU175479U1 (ru) | 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садки и высадки пассажира в кресле-коляске, установленное в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м вагоне | |
KR100454007B1 (ko) | 휠체어 리프트장치 | |
KR101863339B1 (ko) |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 | |
CN107835781A (zh) | 电梯装置 | |
KR101423887B1 (ko) | 장애인 객차 승하차용 슬라이딩 발판 | |
US12109155B2 (en) | Wheelchair lift assembly for vehicles | |
JP2561781B2 (ja) | 車いす兼用エスカレーター | |
CN111115424B (zh) | 活动地坎爬梯组合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