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217A -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한 철도차량용 휠체어 승하차장치 - Google Patents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한 철도차량용 휠체어 승하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217A
KR20100004217A KR1020080064267A KR20080064267A KR20100004217A KR 20100004217 A KR20100004217 A KR 20100004217A KR 1020080064267 A KR1020080064267 A KR 1020080064267A KR 20080064267 A KR20080064267 A KR 20080064267A KR 20100004217 A KR20100004217 A KR 20100004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frame
railway vehicle
easy
g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9560B1 (ko
Inventor
김욱
남학기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4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560B1/ko
Publication of KR20100004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61D23/02Folding steps for railway vehicles, e.g. hand or mechanically actu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1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r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20/00Adaptations of particular transporting means
    • A61G2220/12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4Wheelcha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출입구 내 측에 설치되어 휠체어의 용이한 승하차를 돕는 휠체어 승하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정설치되는 홀더 프레임과 접힘과 펼침이 자유롭도록 회전가능한 발판 프레임을 신축 동작하는 슬라이더로 연결하여 보관 및 휠체어의 이동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한 철도차량용 휠체어 승하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철도차량의 출입문 일 측에 설치되어 휠체어의 용이한 이동을 돕는 휠체어 승하차장치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 승하차장치는 일 측은 철도차량의 출입구 내측 바닥에 고정되는 홀더 프레임과; 상기 홀더 프레임의 양측으로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신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에 힌지 결합 되어 미사용시에는 접혀져 상기 홀더 프레임에 안착 고정되고, 사용시에는 펼쳐져 철도차량의 출입구를 거쳐 일단이 승강장 바닥에 지지 되어 휠체어의 원활하고 용이한 승하차를 이루도록 발판 프레임;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철도차량, 휠체어, 승하강장치

Description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한 철도차량용 휠체어 승하차장치{The railway car wheel chair getting on and off device for custody and use are easy}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출입구 내 측에 설치되어 휠체어의 용이한 승하차를 돕는 휠체어 승하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정설치되는 홀더 프레임과 접힘과 펼침이 자유롭도록 회전가능한 발판 프레임을 신축 동작하는 슬라이더로 연결하여 휠체어의 이동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한 철도차량용 휠체어 승하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과 승강장의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고, 또 철도차량 출입문 문지방과 승강장 사이에는 간격뿐만 아니라 높이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철도차량과 승강장 사이의 간격과 높이 차이는 정차역마다 상이하고, 또 상기 간격은 철도차량 운행시 승강장과의 마찰을 피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사항이다.
상기 철도차량과 승강장 사이에 형성된 간격과 높이 차이는 승객이 철도차량에 승·하차시 실수로 인한 실족사고로 이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휠체어의 이동을 매우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철도차량의 출입구 부분에 휠체어 이동장치를 설치하여 철도차량이 승강장에 정지시 출입문과 승강장을 이어주는 휠체어 이동장치가 다수 제안되어 휠체어의 용이한 이동을 돕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휠체어 이동장치는 예컨대, 대한민국공개특허 제90-0006192호(공개일 : 1990.05.07)에 승강구에 문을 갖는 열차의 각 차량 바닥 밑에 후진위치와 변화가능한 전진 위치 사이에 이동하는 보조발판을 형성하고, 상기 보조발판과 차량의 각 문 사이에 문의 개폐 작용에 대응하여 요동하는 종요동 아암, 상기 종요동 아암의 요동방향을 변화시키는 상기 종요동 아암의 기단부에 있는 베벨기어, 상기 종요동 아암의 요동에 대응하여 상기 베벨기어를 통해 요동하는 횡요동아암, 상기 횡요동 아암이 요동함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판으로 구성되어 승강구와 정거장 플랫폼(승강장) 사이의 틈 폭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보조발판 전진량을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보조발판을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해 종요동 아암, 베벨기어 횡요동 아암, 이동판 등의 복잡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설치상에 많은 제약을 받을 뿐만 아니라, 보조발판이 수평으로 전후진 하도록 되어 있어 플랫폼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곳에서는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번호 제95-0008363호(공고일자 : 1995.10.07)에는 걸고리와 회동지지판, 와이어 로프 등에 의해 보조발판을 승·하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는 플랫폼의 아래 측에서 보조발판이 승·하강됨으로 인해 전동차 출입구와 플랫폼 사이의 간격이 보조발판의 폭보다 좁을 경우, 보조발판이 플랫폼에 걸리게 되어 상승되지 않게 되어 실제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공통적인 사항은 출입문의 개폐와 동시에 보조발판을 승 하강시킴으로써 승객이 급하게 하차할 경우 보조발판이 오히려 걸림돌이 되어 넘어지거나 부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차량 내에 보관이 용이하고, 또 전동차 출입구와 승강장 사이의 높이와 간격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곳에서도 용이하게 설치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한 철도차량용 휠체어 승하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출입문 일 측에 설치되어 휠체어의 용이한 이동을 돕는 휠체어 승하차장치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 승하차장치는 일 측은 철도차량의 출입구 내측 바닥에 고정되는 홀더 프레임과; 상기 홀더 프레임의 양측으로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신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에 힌지 결합 되어 미사용시에는 접혀져 상기 홀더 프레임에 안착 고정되고, 사용시에는 펼쳐져 철도차량의 출입구를 거쳐 일단이 승강장 바닥에 지지 되어 휠체어의 원활하고 용이한 승하차를 이루도록 발판 프레임;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발판 프레임은 일 측 방향으로 휠체어 바퀴의 이탈 방지와 용이한 회전을 위해 힌지를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 편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편이 형성된 반대편 일단 부분으로는 발판 프레임의 사용시 견고한 지지를 위해 고정 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홀더 프레임의 양측부분으로는 상기 발판 프레임의 가이드 편을 수용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 편 수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 프레임은 미끄럼방지를 위해 요철형태의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신축 동작과 회전 동작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더를 통해 발판 프레임을 전동차 출입구와 승강장 사이의 높이 차이와 간격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곳에서도 용이하게 설치 및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철도차량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홀더 프레임의 양측부분으로 형성된 가이드 편 수용 홈을 통해 발판 프레임을 수용하여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 승하차장치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요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 승하차장치의 사용 상태도 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승하차장치(100)는 발판 프레임(110)과, 슬라이더(120) 및 홀더 프레임(130)으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발판 프레임(110)은 양측 가장자리부분으로 휠체어의 이동시 바퀴가 난간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용이한 회전을 지지하기 위해 힌지 결합 구멍(111a)을 일단에 형성한 한 쌍의 가이드 편(111)이 형성된다.
상기 발판 프레임(110)에는 미끄럼방지를 위해 요철형의 미끄럼방지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요철형은 삼각, 사각, 피라미드형 등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 상기 발판 프레임(110)의 내측 단부에는 펼침 동작시에 철도차량 출입문이 개폐되는 문지방(210)에 견고한 고정을 위해 고정 축(11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문지방(210)에는 상기 고정 축(113)을 수용하기 위한 홈(211) 이 동일 축 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더(120)는 외 측 고정편(121)과 이동편(122) 및 내측 고정편(123)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외 측 고정편(121)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 편(111)의 결합 구멍(111a)에 힌지 결합 되고, 상기 내측 고정편(123)의 일단은 상기 홀더 프레임(130)에 힌지 결합 된다.
상기 이동편(122)은 상기 외 측 고정편(121)과 내측 고정편(123) 사이에 일정 거리 이상 이동이 방지되도록 결합 형성된다.
이와 같은 슬라이더(120)는 통상의 서랍 등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홀더 프레임(130)은 양측 가장자리부분으로 상기 발판 프레임(110)의 가이드 편(111)과 상기 슬라이더(120)를 수용하도록 가이드 편 수용 홈(131)이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휠체어 승 하강장치(100)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시에는 상기 발판 프레임(110)을 상기 홀더 프레임(130)에 흔들림 없이 고정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잠금구(미도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발판 프레임(110)과 홀더 프레임(130)에는 각각 잠금구의 수놈과 암놈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시 용이한 고정을 이루고, 분리시에는 용이한 분리가 이루어지는 스냅식 등과 같은 잠금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홀더 프레임(130)에 상기 발판 프레임(110)이 상기 슬라이 더(120)를 매개로 신축 및 접힘과 펼침 동작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철도차량 출입구와 승강장 사이의 높이 차이 및 간격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곳에서도 슬라이더에 의해 발판 프레임이 신장 및 큰 회전동작으로 용이하게 설치되어 휠체어의 이동로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철도차량이 승강장에 도착한 후, 출입구가 열리면 철도차량의 실내 바닥에 고정 설치된 홀더 프레임(130)과 접힘 결합된 상기 발판 프레임(110)을 동행자나 승무원이 들어올려 펼친다.
이때, 상기 홀더 프레임(130)과 발판 프레임(110)에 각각 일단이 힌지 결합된 상기 슬라이더(120)가 신장한다.
계속해서 상기 분리된 발판 프레임(11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외측 단이 승강장 바닥과 접하도록 하고, 내측 단 부분에 형성된 고정 축(113)은 철도차량의 문지방(210)에 형성된 홈(211)에 끼워지도록 고정한다.
이에 따라 휠체어는 상기 발판 프레임(110)을 통해 용이하게 승하차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휠체어 승하차장치(100)의 사용 후에는 펼침 동작의 역순으로 동작시켜 철도차량의 실내 바닥에 고정함으로써, 사용과 보관을 편리하고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 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 승하차장치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은 도 3의 A-A선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휠체어 승하차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휠체어 승하차장치 110 : 발판 프레임
111 : 가이드 편 111a : 결합구멍
112 : 미끄럼방지부 113 : 고정 축
120 : 슬라이더 121 : 외측 고정편
122 : 이동편 123 : 내측 고정편
130 : 홀더 프레임 131 : 가이드 편 수용 홈

Claims (4)

  1. 철도차량의 출입문 일 측에 설치되어 휠체어의 용이한 이동을 돕는 휠체어 승하차장치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 승하차장치는 일 측은 철도차량의 출입구 내측 바닥에 고정되는 홀더 프레임과;
    상기 홀더 프레임의 양측으로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신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에 힌지 결합 되어 미사용시에는 접혀져 상기 홀더 프레임에 안착 고정되고, 사용시에는 펼쳐져 철도차량의 출입구를 거쳐 일단이 승강장 바닥에 지지 되어 휠체어의 원활하고 용이한 승하차를 이루도록 발판 프레임;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한 철도차량용 휠체어 승하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프레임은 일 측 방향으로 휠체어 바퀴의 이탈 방지와 용이한 회전을 위해 힌지를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 편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편이 형성된 반대편 일단 부분으로는 발판 프레임의 사용시 견고한 지지를 위해 고정 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한 철도차량용 휠체어 승하차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프레임의 양측부분으로는 상기 발판 프레임의 가이드 편을 수용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 편 수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한 철도차량용 휠체어 승하차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프레임은 미끄럼방지를 위해 요철형태의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한 철도차량용 휠체어 승하차장치.
KR1020080064267A 2008-07-03 2008-07-03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한 철도차량용 휠체어 승하차장치 KR100969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267A KR100969560B1 (ko) 2008-07-03 2008-07-03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한 철도차량용 휠체어 승하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267A KR100969560B1 (ko) 2008-07-03 2008-07-03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한 철도차량용 휠체어 승하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217A true KR20100004217A (ko) 2010-01-13
KR100969560B1 KR100969560B1 (ko) 2010-07-12

Family

ID=41813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267A KR100969560B1 (ko) 2008-07-03 2008-07-03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한 철도차량용 휠체어 승하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5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632B1 (ko) * 2010-03-02 2012-04-17 나노씰(주) 철도 차량용 안전발판 장치
KR101306104B1 (ko) * 2011-11-25 2013-09-09 현대로템 주식회사 전동차용 접이식 휠체어 램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665B1 (ko) 2011-02-01 2013-03-14 극동정공(주)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휠체어 램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872A (ja) * 1989-06-14 1991-01-24 Hitachi Ltd 車両用補助ステップ装置
JP3745044B2 (ja) 1996-09-17 2006-02-15 株式会社オーテックジャパン 車両の車椅子用昇降装置
KR19980020791U (ko) * 1996-10-16 1998-07-15 추호석 이동식 휠체어 발판
US6698998B2 (en) * 2002-05-08 2004-03-02 Ricon Corp. Foldable ramp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632B1 (ko) * 2010-03-02 2012-04-17 나노씰(주) 철도 차량용 안전발판 장치
KR101306104B1 (ko) * 2011-11-25 2013-09-09 현대로템 주식회사 전동차용 접이식 휠체어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9560B1 (ko) 2010-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07844A (en) Self folding platform
US4273498A (en) Railway car trap door lift
TWI402193B (zh) 鐵道車輛用之門結構
KR101306104B1 (ko) 전동차용 접이식 휠체어 램프
KR102077249B1 (ko) 강당무대용 이동식 휠체어리프트
JP2014088678A (ja) 乗下船用タラップ装置
KR100969560B1 (ko)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한 철도차량용 휠체어 승하차장치
KR100814684B1 (ko) 수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KR101465532B1 (ko)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
USRE31157E (en) Self-folding platform
EP2631117A1 (en) Lift for a vehicle
KR20160037509A (ko) 휠체어 리프트를 구비한 장애인용 버스
JP4249557B2 (ja) 列車用車椅子渡り板
KR100727536B1 (ko) 차량용 휠체어 리프트
JP6105924B2 (ja) 車両用昇降装置におけるプラットホームの延長装置
KR102104278B1 (ko) 노약자 편의성을 갖춘 버스
EP2631118A1 (en) Lift for a vehicle
RU129058U1 (ru) Лестниц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0276415Y1 (ko) 운구용 엘리베이터의 의자구조
WO2007113501A1 (en) Improved lift
JP3350574B2 (ja) 階段昇降機
JP2005132320A (ja) 電車と駅のホーム間転落防止装置
JPH04331638A (ja) 車両用垂直昇降装置
JP2986657B2 (ja) 階段昇降機
RU120615U1 (ru) Складная секционная лестниц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