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532B1 -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532B1
KR101465532B1 KR20130142738A KR20130142738A KR101465532B1 KR 101465532 B1 KR101465532 B1 KR 101465532B1 KR 20130142738 A KR20130142738 A KR 20130142738A KR 20130142738 A KR20130142738 A KR 20130142738A KR 101465532 B1 KR101465532 B1 KR 101465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adder
fixed
emergency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2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열
이상복
박재홍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42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5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61D23/02Folding steps for railway vehicles, e.g. hand or mechan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7Removable steps or ladders, e.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5/24Dismounting ladders from vehicles or support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양측으로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에 발판이 형성되어 일단부 및 타단부가 접고 펼쳐지는 사다리본체; 상기 일단부 및 타단부의 지주 전면에 각각 탈착수단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조차량으로 건너는 승객이 밟고 지나도록 상기 사다리본체의 전면을 덮는 제1 및 제2 도보플레이트; 상기 일단부의 지주 후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일단부의 지주를 따라 이동하거나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일단부의 지주에 고정되는 이동브래킷; 및 상기 이동브래킷의 전방에 연결수단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장차량이나 구조차량의 측면 출입문 바닥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비상시 승객이 고장차량 전방 및 후방의 비상구뿐만 아니라 고장차량의 측면의 출입문으로도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음에 따라, 승객의 탈출소요시간이 종래보다 단축되고, 또 고장차량의 출입문과 구조차량의 출입문 사이에 놓일 경우, 사다리본체와 제1 및 제2 도보플레이트가 승객이 건널 수 있는 다리역할도 함에 따라,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나 노약자도 다른 승객의 도움없이 구조차량으로 안전하게 탈출하게 할 수 있는 특출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EMERGENCY LADDER FOR RAILWAY VECHICLES}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상시 승객을 고장차량의 출입문을 통해 지상으로 내려오게 하거나 옆 선로의 구조차량의 출입문으로 건너게 하기 위한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은 선로 위를 주행하며 승객 등을 실어 나르는 대규모 수송량을 갖는 대중교통수단으로써, 승객의 안전에 최우선을 두고 운행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철도차량에는 승객의 안전을 위해, 차량이 고장 등으로 더 이상 주행할 수 없는 경우, 승객을 신속히 고장차량 밖으로 탈출시키기 위한 비상탈출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비상탈출장치에 대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2145호에 공지되어있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철도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되는 비상구의 하부에 일단이 힌지 결합하여 상기비상구의 내측에 접혀져 수용되며 비상시 미는 힘에 의해 철도차량 밖으로 펼쳐져 타단이 지면에 도달하는 비상램프와, 상기 비상구의 상부에 상단이 힌지 결합하여 상기 비상구를 폐쇄하며 비상시 미는 힘에 의해 펼쳐지는 상기 비상램프에 밀려 상부로 회전하여 상기 비상구를 개방하는 비상도어와, 상기 비상구 및 비상도어 사이에 설치되어 비상시 펼쳐지는 상기 비상램프에 의해 열리는 상기 비상도어를 들어올리는 가스 스프링으로 이루어졌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고장차량이 플랫폼이 없는 곳에 정차하여 승객이 옆 선로의 구조차량으로 탈출할 경우, 승객이 고장차량 전방 및 후방의 비상구로 이동하여 비상램프를 통해 지상으로 탈출한 다음, 다시 옆 선로의 구조차량으로 옮겨타야 하므로,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승객 모두가 고장차량 전방 및 후방의 비상구로 이동하여 탈출하여야하므로, 비상구 쪽에 병목현상이 발생하여 승객의 탈출소요시간이 많이 지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나 노약자는 상기 서술한 탈출과정이 쉽지 않아 다른 승객의 도움 없이는 고장차량에서 쉽게 탈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2145호 (2013, 03, 05)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상시 승객이 고장차량 전방 및 후방의 비상구뿐만 아니라 고장차량의 측면 출입문을 통해서도 탈출할 수 있게 하되,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나 노약자도 안전하고 신속하게 옆 선로의 구조차량으로 옮겨 탈수 있게 하는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상시 승객을 고장차량의 측면 출입문을 통해 지상으로 내려오게 하거나 옆 선로의 구조차량의 측면 출입문으로 건너게 하기 위해 설치되는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로서,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양측으로 지주와 상기 자주 사이에 발판이 형성되어 일단부 및 타단부가 접고 펼쳐지는 사다리본체; 상기 일단부 및 타단부의 지주 전면에 각각 탈착수단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조차량으로 건너는 승객이 밟고 지나도록 상기 사다리본체의 전면을 덮는 제1 및 제2 도보플레이트; 상기 일단부의 지주 후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일단부의 지주를 따라 이동하거나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일단부의 지주에 고정되는 이동브래킷; 및 상기 이동브래킷의 전방에 연결수단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장차량이나 구조차량의 측면 출입문 바닥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및 제2 보도플레이트의 맞닿는 단부에는 회전가능하게 개재되어 상기 제1 및 제2 보도플레이트의 접고 펼침을 가능하게 하는 경첩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브래킷의 후면에는 양측으로 고정되어 상기 일단부의 지주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더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고장차량이나 구조차량의 측면 출입문 바닥프레임 상부에 안착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후단에 하부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고장차량이나 구조차량의 측면 출입문의 바닥프레임 전방에 안착하는 하판; 및 상기 상판의 전단 내측에 끝단이 입출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고장차량이나 구조차량의 측면 출입문의 바닥프레임 상부에 끼워지는 고정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장차량 및 구조차량의 출입문 바닥프레임의 상부에는 각각 고정되어 상기 상판을 안착시키는 제1 및 제2 안착부가 각각 더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안착부의 상면에는 각각 오목하게 파여 상기 고정핀이 끼워지는 제1 및 제2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하방으로 돌출되는 걸쇠; 및 상기 걸쇠에 대응하는 상기 일단부 및 타단부의 지주 내측에 각각 탄성을 갖도록 돌출되어 입출하며 상기 걸쇠를 걸리게 하는 잠금쇠;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일단부의 지주 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측에 끝단이 입출가능하게 삽입되는 멈춤핀; 및 상기 슬라이더부의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멈춤핀이 끼워지는 걸이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이동브래킷의 전방 양측에 돌출되도록 고정되며 측면에 관통되는 제1 핀공을 구비하는 제1 연결편; 상기 고정브래킷의 상판 양측에 돌출되도록 고정되어 상기 제1 연결편에 삽입되며 측면에 개방되는 제2 핀공을 구비하는 제2 연결편; 상기 제1 핀공 및 제2 핀공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브래킷에서 상기 고정브래킷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연결하는 힌지핀; 및 상기 제2 힌지편의 상부 내측에 끝단이 입출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이동브래킷 및 고정브래킷을 연결하거나 분리되게 하는 연결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상시 승객이 고장차량 전방 및 후방의 비상구뿐만 아니라 고장차량의 측면의 출입문으로도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음에 따라, 승객의 탈출소요시간이 종래보다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고장차량의 출입문과 구조차량의 출입문 사이에 놓일 경우, 사다리본체와 제1 및 제2 도보플레이트가 승객이 건널 수 있는 다리역할도 함에 따라,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나 노약자도 다른 승객의 도움없이 구조차량으로 안전하게 탈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다리본체가 접히고 사다리본체에서 제1 및 제2 도보플레이트와 고정브래킷도 각각 분리됨에 따라 평상시 차량 내부에 보관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의 세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의 눕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의 고정브래킷과 제1 및 제2 안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의 고정브래킷과 이동브래킷 과 고정수단 및 연결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의 탈착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상시 승객을 고장차량(10)의 측면 출입문(11)을 통해 지상으로 내려오게 하거나, 옆 선로의 구조차량(20)의 측면 출입문(21)으로 건너게 하기 위해 설치되는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로서, 그 구성은 사다리본체(100)와, 제1 및 제2 도보플레이트(210, 220)와, 이동브래(300)킷과, 고정브래킷(400)으로 대별된다.
먼저, 일단부(110) 및 타단부(120)에 각각 양측으로 지주(111, 121)와 상기 자주(111, 121)에 각각 등 간격으로 발판(112, 122)이 형성되어 일단부(110) 및 타단부(120)가 접고 펼쳐지도록 사다리본체(100)가 형성된다.
상기 일단부(110) 및 타단부(120)의 지주(111, 121) 전면에는 각각 탈착수단(500)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조차량(20)으로 건너는 승객이 밟고 지나도록 상기 사다리본체(100)의 전면을 덮는 제1 및 제2 도보플레이트(210, 220) 각각 형성된다.
상기 일단부(110)의 지주(111) 후면에는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일단부(110)의 지주(111)을 따라 이동하거나 고정수단(600)에 의해 상기 일단부(110)의 지주(111)에 고정되는 이동브래킷(300)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브래킷(300)의 전방에는 연결수단(700)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장차량(10)의 측면 출입문(11) 바닥프레임(12)이나 상기 구조차량(20)의 측면 출입문(21) 바닥프레임(22)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40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보도플레이트(210, 220)는 사각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및 제2 보도플레이트(210,220)의 맞닿는 단부에는 회전가능하게 개재되어 상기 제1 및 제2 보도플레이트(210, 220)의 접고 펼침을 가능하게 하는 경첩(230)이 형성된다.
또, 상기 이동브래킷(300)의 후면에는 상기 일단부(110)의 지주(111) 후면에는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브래킷(300)이 양측으로 고정되어 상기 비상사다리(100)에 일단부(110)의 지주(111)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더부(3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브래킷(400)은 상기 고장차량(10)의 측면 출입문(11) 바닥프레임(12)이나 상기 구조차량(20)의 측면 출입문(21) 바닥프레임(22)의 상부에 안착하는 상판(410)과, 상기 상판(410)의 후단에 하부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고장차량(10)의 측면 출입문(11) 바닥프레임(12)이나 상기 구조차량(20)의 측면 출입문(21) 바닥프레임(22)의 전방에 안착하는 하판(420)과, 상기 상판(410)의 전단 내측에 끝단이 입출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고장차량(10)의 측면 출입문(11) 바닥프레임(12)이나 상기 구조차량(20)의 측면 출입문(21) 바닥프레임(22)의 상부 끼워지는 고정핀(430)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고장차량(10)이나 구조차량(20)의 측면 출입문(11, 21) 바닥프레임(12, 22)의 상부에는 각각 고정되어 상기 상판(410)을 안착시키는 제1 및 제2 안착부(810, 820)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안착부(810, 820)의 상면에는 각각 오목하게 파여 상기 고정핀(430)이 끼워지는 제1 및 제2 고정홈(811, 821)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탈착수단(500)은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210, 220)의 양측에 각각 하방으로 돌출되어 "ㄴ"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걸쇠(510)와, 상기 걸쇠(510)에 대응하는 상기 일단부(110)의 지주(111) 및 타단부(120)의 지주(121) 내측에 각각 탄성을 갖도록 돌출되어 상기 일단부(110)의 지주(111) 및 타단부(120)의 지주(121) 내측으로 입출하며 상기 걸쇠(510)를 잠그거나 잠금 해제하는 잠금쇠(5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잠금쇠(520)는 일단이 각각 상기 일단부(110)의 지주(111) 및 타단부(120)의 지주(121)에 고정되고, 상기 잠금쇠(520)의 중앙은 상기 걸쇠(510)의 하부가 걸리도록 돌출되고, 상기 잠금쇠(520)의 타단이 상기 일단부(110)의 지주(111) 및 타단부(120)의 지주(121)를 관통하고 외부로 돌출되어 손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고정수단(600)은 상기 일단부(110) 지주(111)의 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몸체(610)와, 상기 몸체(610)의 내측에 끝단이 입출가능하게 삽입되는 멈춤핀(620)과, 상기 슬라이더부(310)의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멈춤핀(620)의 끝단이 끼워지는 걸이구(63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700)은 상기 이동브래킷(300)의 전방 양측에 돌출되도록 고정되며 측면에 관통되는 제1 핀공(711)을 구비하는 제1 연결편(710)과, 상기 고정브래킷(400)의 상판(410) 양측에 돌출되도록 고정되어 상기 제1 연결편(710)에 삽입되며 측면에 개방되는 제2 핀공(721)을 구비하는 제2 연결편(720)과, 상기 제1 핀공 및 제2 핀공(711, 721)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브래킷(300)에서 상기 고정브래킷(400)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연결하는 힌지핀(730)과, 상기 제2 힌지편(720)의 상부 내측에 끝단이 입출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이동브래킷(300) 및 고정브래킷(400)을 연결하거나 분리되게 하는 연결핀(740)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장차량(10)이 플랫폼이 없는 곳에 정차하여 승객이 고장차량(10)의 측면 출입문(11)을 통해 지상으로 탈출하게 할 경우, 승무원은 사다리본체(100)의 일단부(110) 및 타단부(120)를 양쪽으로 펼치고, 분리된 고정브래킷(400) 및 이동브래킷(300)을 사다리본체(100)를 결합하여 고장차량(10)의 측면 출입문(11) 쪽으로 비상사다리를 세워 설치하면, 승객은 고장차량(10)의 측면 출입문(11)에 통해 지상으로 신속하게 탈 출할 수 있다.
즉, 승무원은 고정브래킷(400)의 상판(410)에 형성된 고정핀(430)을 고장차량(10)의 측면 출입문(11) 바닥프레임(12)에 고정된 제1 안착부(810)의 제1 고정홈(811)에 끼워, 고정브래킷(400)의 상판(410)이 고장차량(10)의 측면 출입문(11) 바닥프레임(12)에 고정되게 한다.
이때, 고정브래킷(400)의 상판(410)이 제1 안착부(810)에 고정핀(430)으로 고정되면, 고정브래킷(400)의 하판(420)도 고정차량(10)의 측면 출입문(11) 바닥프레임(12)의 전방에 안착함에 따라, 고정브래킷(400)은 고정차량(10)의 측면 출입문 (11) 바닥프레임(12)에 흔들림 없이 견고히 고정된다.
이후, 승무원은 고정브래킷(400)에 이동브래킷(300)을 연결수단(700)으로 결합하면 되는데, 우선, 이동브래킷(300)의 전방 양측에 고정된 제1 연결편(710) 내에 각각 상기 고정브래킷(400)의 상판(410) 양측에 고정된 제2 연결편(720)을 삽입시켜, 제1 연결편(710)의 제1 핀공(711)과 제2 연결편(720)의 제2 핀공(721)에 힌지핀(730)을 끼우면 된다.
이때, 제2 연결편(720)의 제2 핀공(721)은 고정브래킷(400)과 이동브래킷(300)을 분리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됨에 따라, 승무원은 제1 및 제2 연결편(710, 720)에 끼워진 힌지핀(730)이 개방된 제2 핀공(721)에서 빠지지않도록, 제2 연결편(720)의 상부에 고정된 연결핀(740)을 제2 힌지편(720)의 내측으로 밀어, 연결핀(740)의 끝단이 힌지핀(730)의 측면을 막게 한다.
따라서 힌지핀(730)이 연결핀(740)에 막혀 제2 핀공(721)의 개방된 일측으로 빠지지 않게 되므로, 제1 연결편(710)과 제2 연결편(720)은 힌지핀(730)으로 연결되고, 연결수단(700)인 제1 및 제2 연결편(710, 720)의 연결에 의해 이동브래킷(300)에서 고정브래킷(400)도 힌지핀(730)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러므로 승무원은 사다리본체(100)의 일단부(110)가 고장차량(10)의 측면 출입문(11) 바닥프레임(1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사다리본체(100)의 타단부(120)가 지면에 닿도록 사다리본체(100)를 하방으로 회전시켜 세우면 된다.
만약, 사다리본체(100)의 타단부(120)가 지면에 닿지 않거나, 고장차량(10)의 측면 출입문(11) 세워진 사다리본체(100)에 경사각도 조절이 필요한 경우, 승무원은 사다리본체(100)의 일단부(110)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수단(600)의 멈춤핀(620)을 걸이구(630)에서 빠지게 한다.
이때, 멈춤핀(620)을 걸이구(630)에서 빠지게 하면, 사다리본체(100)의 일단부(110)와 이동브래킷(300)의 고정력이 해제되어 사다리본체(100)의 일단부(110)가 슬라이더부(310)를 통해 이동브래킷(300)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승무원이 사다리본체(100)를 내려 사다리본체(100)의 타단부(120)가 지면에 닿거나 사다리본체(100)를 회전시켜 경사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면, 승무원은 고정수단(600)의 멈춤핀(620)을 다시 걸이구(630)에서 끼워 넣어, 이동브래킷(300)에서 사다리본체(100)를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면 된다.
그러므로 비상시 고장차량(10)의 측면 출입문(11)에 위치한 승객은 고장차량(10)의 측면 출입문(11)에서 비상사다리를 통해 내려와 지상으로 탈출하면 되고, 고장차량(10)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한 승객은 고장차량(10)의 전방 및 후방 비상구로 탈출하면 되므로, 승객의 탈출소요시간을 종래보다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장차량(10)의 측면 출입문(11)에서 옆 선로의 구조차량(20)의 측면 출입문(21)으로 탈출할 경우, 승무원은 사다리본체(100)의 일단부(110) 및 타단부(120)를 양쪽으로 펼쳐, 사다리본체(100)의 일단부(110)를 구조차량(20)의 측면 출입문(21)의 바닥프레임(22)에 고정되게 하고, 사다리본체(100)의 타단부(120)를 고장차량(10)의 측면 출입문(11) 바닥프레임(12)에 지지되도록 사다리본체(100)를 눕힌 다음, 눕혀진 사다리본체(100)의 일단부(110) 및 타단부(120)의 전면에 제1 및 제2 도보플레이트(210, 220)를 각각 부착하면, 사다리본체(100)가 고장차량(10)과 구조차량(20) 사이에서 다리역할을 함에 따라, 승객은 제1 및 제2 도보플레이트(210, 220)를 밟고 고장차량(10)의 측면 출입문(11)에서 옆 선로의 구조차량(20)의 측면 출입문(21)으로 건너 옮겨타면 비상탈출 할 수 있다.
즉, 승무원은 고정브래킷(400)의 상판(410)에 형성된 고정핀(430)을 구조차량(20)의 측면 출입문(21) 바닥프레임(22)에 고정된 제2 안착부(820)의 제2 고정홈(821)에 끼워, 고정브래킷(400)의 상판(410)이 제2 안착부(820)에 고정되게 하면, 고정브래킷(400)의 하판(420)도 구조차량(20)의 측면 출입문(21) 바닥프레임(22)의 전방에 안착함에 따라, 고정브래킷(400)은 구조차량(20)의 측면 출입문(21) 바닥프레임(22)에 흔들림 없이 견고히 고정된다.
이후, 승무원은 고정브래킷(400)에 이동브래킷(300)을 연결수단(700)으로 결합하면 되는데, 우선, 이동브래킷(300)의 전방 양측에 고정된 제1 연결편(710) 내에 각각 상기 고정브래킷(400)의 상판(410) 양측에 고정된 제2 연결편(720)을 삽입시켜, 제1 연결편(710)의 제1 핀공(711)과 제2 연결편(720)의 제2 핀공(721)에 힌지핀(730)을 끼우면 된다.
이때, 제2 연결편(720)의 제2 핀공(721)은 고정브래킷(400)과 이동브래킷(300)을 분리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됨에 따라, 승무원은 제1 및 제2 연결편(710, 720)에 끼워진 힌지핀(730)이 개방된 제2 핀공(721)에서 빠지지않도록, 제2 연결편(720)의 상부에 고정된 연결핀(740)을 제2 힌지편(720)의 내측으로 밀어, 연결핀(740)의 끝단이 힌지핀(730)의 측면을 막게 한다.
따라서 힌지핀(730)이 연결핀(740)에 막혀 제2 핀공(721)의 개방된 일측으로 빠지지 않게 되므로, 연결수단(700)인 제1 및 제2 연결편(710, 720)의 연결에 의해 이동브래킷(300)과 고정브래킷(400)도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승무원은 눕혀진 사다리본체(100)의 일단부(110)가 고정브래킷(4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사다리본체(100)의 타단부(120)를 고장차량(10)의 측면 출입문(11) 바닥프레임(12)의 상부에 지지되도록 올려놓으면 된다.
이때, 눕혀진 사다리본체(100)의 일단부(110)가 구조차량(20) 쪽으로 너무 많이 이동하여 사다리본체(100)의 타단부(120)가 고장차량(10)의 측면 출입문(11) 바닥프레임(12)에 길이가 모자라 올려지지 않는 경우,
승무원은 사다리본체(100)의 일단부(110)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수단(600)의 멈춤핀(620)을 걸이구(630)에서 빠지게 한다.
이때, 멈춤핀(620)을 걸이구(630)에서 빠지게 하면, 사다리본체(100)의 일단부(110)와 이동브래킷(300)의 고정력이 해제되어 사다리본체(100)의 일단부(110)가 슬라이더부(310)를 통해 이동브래킷(300)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승무원이 눕혀진 사다리본체(100)를 당겨 사다리본체(100)의 타단부(120)가 고장차량(10)의 측면 출입문(11) 바닥프레임(12)에 올려지면, 승무원은 고정수단(600)의 멈춤핀(620)을 다시 걸이구(630)에서 끼워 넣어, 이동브래킷(300)에 사다리본체(100)를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면 된다.
이후, 승무원은 고장차량(10)의 측면 출입문(11)과 구조차량(20)의 측면 출입문(21) 사이에 놓인 사다리본체(100)의 일단부(110) 및 타단부(120) 전면에 각각 제1 및 제2 도보플레이트(210, 220)를 탈착수단(500)으로 결합하면 된다.
상기 제1 및 제2 도보플레이트(210, 220)의 결합은 제1 및 제2 플레이트(210, 220)의 양측에 각각 하방으로 돌출되는 "ㄴ"자 형상의 걸쇠(510)를 사다리본체(100)의 일단부(110)의 지주(111) 및 타단부(120)의 지주(121) 내측으로 각각 입출가능하게 형성된 잠금쇠(520)에 끼우면, 잠금쇠(520)가 걸쇠(510)의 절곡된 하부에 밀려 후퇴하다가, 걸쇠(510)의 절곡된 하단이 잠금쇠(520)의 하부에 벗어나면, 잠금쇠(520)가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돌출되어 걸쇠(510)의 절곡된 하부를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걸리게 한다. 따라서 잠금쇠(520)에 걸린 걸쇠(510)에 의해 제1 및 제2 도보플레이트(210, 220)는 사다리본체(100)의 일단부(110) 및 타단부(120)에 각각 고정된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 도보플레이트(210, 220)가 사다리본체(100)의 일단부(110) 및 타단부(120)에 각각 고정되면, 일반 승객뿐만 아니라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나 노약자도 다른 승객의 도움없이 고장차량(10)의 측면 출입문(11)에서 구조차량(20)의 측면 출입문(21)로 건너며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다.
한편, 사다리본체(100)의 일단부(110) 및 타단부(120)에 각각 결합된 제1 및 제2 도보플레이트(210, 220)를 분리할 경우, 승무원이 잠금쇠(520)의 타단을 잡아당기면, 걸쇠(510)의 하부을 걸리게 한 잠금쇠(520)의 돌출부위가 사다리본체(100)에 일단부(110)의 지주(111) 및 타단부(120)의 지주(121) 내측으로 각각 들어가게 되므로, 이때, 승무원이 제1 및 제2 도보플레이트(210, 220)를 들어올리면 걸쇠(510)가 잠금쇠(520)에서 빠지면서 제1 및 제2 도보플레이트(210, 220)가 사다리본체(100)의 일단부(110) 및 타단부(120)에서 분리된다.
또한, 사다리본체(100)에서 분리된 제1 및 제2 보도플레이트(210,220)는 맞닿는 단부에 개재된 경첩(230)에 의해 접을 수 있고, 사다리본체(100)도 일단부(110) 및 타단부(120)가 접히고, 고정브래킷(400)도 사다리본체(100)에서 연결수단(700)의 연결핀(740)에 의해 분리됨에 따라, 평상시 차량 내부에 비상사다리의 보관이 용이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고장차량 11: 측면 출입문
12: 바닥프레임 20: 구조차량
21: 측면 출입문 22: 바닥프레임
100: 사다리본체 110: 사다리의 일단부
111: 지주 112: 발판
120: 사다리 타단부 121: 지주
122: 발판 210: 제1 도보플레이트
220: 제2 도보플레이트 230: 경첩
300:이동브래킷 310: 슬라이더부
400: 고정브래킷 410: 상판
420: 하판 430: 고정핀
500: 탈착수단 510: 걸쇠
520: 잠금쇠 600: 고정수단
610: 몸체 620: 멈춤핀
630: 걸이구 700: 연결수단
710: 제1 연결편 711: 제1 핀공
720: 제2 연결편 721: 제2 핀공
730: 힌지핀 740:연결핀
810: 제1 안착부 811: 제1 고정홈
820: 제2 안착부 821: 제2 고정홈

Claims (8)

  1. 비상시 승객을 고장차량의 측면 출입문을 통해 지상으로 내려오게 하거나 옆 선로의 구조차량의 측면 출입문으로 건너게 하기 위해 설치되는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로서,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양측으로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에 발판이 형성되어 일단부 및 타단부가 접고 펼쳐지는 사다리본체;
    상기 일단부 및 타단부의 지주 전면에 각각 탈착수단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조차량으로 건너는 승객이 밟고 지나도록 상기 사다리본체의 전면을 덮는 제1 및 제2 도보플레이트;
    상기 일단부의 지주 후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일단부의 지주를 따라 이동하거나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일단부의 지주에 고정되는 이동브래킷; 및
    상기 이동브래킷의 전방에 연결수단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장차량이나 구조차량의 측면 출입문 바닥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도플레이트의 맞닿는 단부에는 회전가능하게 개재되어 상기 제1 및 제2 보도플레이트의 접고 펼침을 가능하게 하는 경첩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이동브래킷의 후면에는 양측으로 고정되어 상기 일단부의 지주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더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고장차량이나 구조차량의 측면 출입문 바닥프레임 상부에 안착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후단에 하부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고장차량이나 구조차량의 측면 출입문의 바닥프레임 전방에 안착하는 하판; 및
    상기 상판의 전단 내측에 끝단이 입출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고장차량이나 구조차량의 측면 출입문의 바닥프레임 상부에 끼워지는 고정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
  5.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고장차량 및 구조차량의 출입문 바닥프레임의 상부에는 각각 고정되어 상기 상판을 안착시키는 제1 및 제2 안착부가 각각 더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안착부의 상면에는 각각 오목하게 파여 상기 고정핀이 끼워지는 제1 및 제2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도보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하방으로 돌출되는 걸쇠; 및
    상기 걸쇠에 대응하는 상기 일단부 및 타단부의 지주 내측에 각각 탄성을 갖도록 돌출되어 입출하며 상기 걸쇠를 걸리게 하는 잠금쇠;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
  7.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일단부의 지주 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측에 끝단이 입출가능하게 삽입되는 멈춤핀; 및
    상기 슬라이더부의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멈춤핀이 끼워지는 걸이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
  8.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이동브래킷의 전방 양측에 돌출되도록 고정되며 측면에 관통되는 제1 핀공을 구비하는 제1 연결편;
    상기 고정브래킷의 상판 양측에 돌출되도록 고정되어 상기 제1 연결편에 삽입되며 측면에 개방되는 제2 핀공을 구비하는 제2 연결편;
    상기 제1 핀공 및 제2 핀공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브래킷에서 상기 고정브래킷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연결하는 힌지핀; 및
    상기 제2 힌지편의 상부 내측에 끝단이 입출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이동브래킷 및 고정브래킷을 연결하거나 분리되게 하는 연결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
KR20130142738A 2013-11-22 2013-11-22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 KR101465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2738A KR101465532B1 (ko) 2013-11-22 2013-11-22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2738A KR101465532B1 (ko) 2013-11-22 2013-11-22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5532B1 true KR101465532B1 (ko) 2014-12-10

Family

ID=52676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2738A KR101465532B1 (ko) 2013-11-22 2013-11-22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5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00091A (zh) * 2017-10-31 2018-01-19 中车资阳机车有限公司 一种机车车辆救援用逃生梯
CN108979518A (zh) * 2018-07-13 2018-12-11 南京康尼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轨道列车的紧急疏散梯、使用方法及轨道列车
WO2021048222A1 (en) * 2019-09-13 2021-03-18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Detrainment assembly for exiting a rail vehicle and associated rail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8879B2 (ja) * 2001-04-02 2005-04-13 京王電鉄株式会社 車輌用避難階段装置
JP3657573B2 (ja) * 2002-04-03 2005-06-0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鉄道車両の非常用折り畳み式階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8879B2 (ja) * 2001-04-02 2005-04-13 京王電鉄株式会社 車輌用避難階段装置
JP3657573B2 (ja) * 2002-04-03 2005-06-0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鉄道車両の非常用折り畳み式階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00091A (zh) * 2017-10-31 2018-01-19 中车资阳机车有限公司 一种机车车辆救援用逃生梯
CN108979518A (zh) * 2018-07-13 2018-12-11 南京康尼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轨道列车的紧急疏散梯、使用方法及轨道列车
WO2021048222A1 (en) * 2019-09-13 2021-03-18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Detrainment assembly for exiting a rail vehicle and associated rail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429B1 (ko) 철도차량용 비상탈출램프
CN107532450B (zh) 安全大门
CN204121291U (zh) 便于轮椅上下车的客车
KR101465532B1 (ko)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
US20190023399A1 (en) Lavatory Unit
KR101306104B1 (ko) 전동차용 접이식 휠체어 램프
KR101424388B1 (ko) 장애인 차량용 리프트 장치
JP6039125B1 (ja) 救護器具兼用看板立て
JP2014202037A (ja) 車両用非常梯子
JP3894319B2 (ja) 鉄道車両用非常はしご
KR200357968Y1 (ko) 피난용 난간
KR100969560B1 (ko)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한 철도차량용 휠체어 승하차장치
KR101921954B1 (ko) 차량 승하차용 리프트
JP3638879B2 (ja) 車輌用避難階段装置
KR20090121969A (ko) 전동차 탑승용 휠체어 발판
KR20130063909A (ko) 차량용 스탠드업 시트
KR200358087Y1 (ko) 난간용 사다리
CN105888505A (zh) 一种可变逃生的防盗窗
KR20200040322A (ko)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
US1605631A (en) Child's toilet seat
KR200276415Y1 (ko) 운구용 엘리베이터의 의자구조
CN220055965U (zh) 一种加装电梯辅助安全装置
CN220639821U (zh) 紧急疏散装置及车辆
KR102104278B1 (ko) 노약자 편의성을 갖춘 버스
JPH04114831U (ja) 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