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6317B1 - 연료전지시스템의 이상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시스템의 이상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6317B1
KR100776317B1 KR1020067007729A KR20067007729A KR100776317B1 KR 100776317 B1 KR100776317 B1 KR 100776317B1 KR 1020067007729 A KR1020067007729 A KR 1020067007729A KR 20067007729 A KR20067007729 A KR 20067007729A KR 100776317 B1 KR100776317 B1 KR 100776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hydrogen
abnormality
discharge valve
fuel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7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8737A (ko
Inventor
노부오 후지타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8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8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6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6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8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 H01M8/04402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of anode exhaus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097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recycling of the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H01M8/04156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with product water removal
    • H01M8/04164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with product water removal by condensers, gas-liquid separators or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23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during start-up or shut-down; Depolarisation or activation, e.g. purging; Means for short-circuiting defective fuel cells
    • H01M8/04246Short circuiting means for defective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2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 H01M8/04343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of anode exhaus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634Other electric variables, e.g. resistance or imped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664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62Treatment of gaseous reactants or gaseous residues, e.g. clea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664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686Failure or abnormal function of auxiliary devices, e.g. batteries,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시스템의 이상검출장치는, 연료전지(20)로부터 배출되는 수소 오프-가스를 다시 애노드(22)로 유동시키는 수소 오프-가스 순환통로(32); 상기 수소 오프-가스 순환통로(32)로부터, 상기 수소 오프-가스 순환통로(32)를 통해 순환되는 상기 수소 오프-가스의 일부를 배출시키는 배출통로(33); 상기 배출통로(33) 내에 제공되는 수소배출밸브(A3); 상기 수소배출밸브(A3)의 개폐 시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이상판정수단(90); 및 상기 수소 오프-가스의 가스상태량을 검출하기 위한 가스상태량 검출수단(S1)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상태량 검출수단(S1)은 상기 수소배출밸브(A3)로부터 하류 위치에 있는 배출통로(33) 내에 제공된다. 상기 이상판정수단(90)은 상기 수소배출밸브(A3)의 개폐 시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상기 수소 오프-가스의 가스상태량을 토대로 판정한다.

Description

연료전지시스템의 이상검출장치{ABNORMALITY DETECTING DEVICE OF FUEL CELL SYSTEM}
본 명세서에서는 명세서, 도면 및 요약서를 포함하여 2003년 10월 24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03-364524호의 내용 전문을 인용참조한다.
본 발명은 연료전지시스템에 제공되는 수소배출밸브의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전지들을 일렬로 쌓아 이루어진 연료전지스택에 연료가스와 산화가스를 공급하여 전력을 발생하는 연료전지시스템에 있어서, 애노드 가스채널로부터 배출되는 수소 오프-가스(애노드 오프-가스)를 다시 애노드로 유동시킴으로써, 미반응 수소가스를 전지반응에 재사용하는 구조가 공지되어 있다. 수소 오프-가스의 일부를 배출시키는 수소배출밸브가 수소 오프-가스 순환통로 내에 제공된다. 수소 오프-가스 내에 함유된 수소 이외의 성분들의 농도가 높아질 때에 수소배출밸브를 규칙적으로 개방함으로써, 애노드로 공급될 수소의 농도가 적절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수소배출밸브에 이상이 발생하여 상기 밸브의 개폐동작이 적절하게 수행될 수 없다면, 전지작동에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이에 따라, 일본특허공보 제2003-92125호에는 수소배출밸브에 대한 수소배출명령을 검출하고, 연료전지스택의 연료공급부 의 목표압력과 실제 검출된 값을 토대로 수소배출밸브에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판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수소배출밸브에서 고장이 발생하였는지에 대한 판정은, 연료전지가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을 때에만 이루어진다. 따라서, 연료전지가 전이상태에 있을 때, 예컨대 액셀레이터 페달이 급가속될 때에는, 적절한 고장 판정이 이루어질 수 없다.
문헌 US 5,441,821에는 유체연료 스트림(stream)을 재순환시키는 조절식 진공이젝터를 구비한 전력발생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은 연료전지스택, 연료공급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제어밸브를 구비한 가압연료 공급부, 상기 연료 공급부와 스택연료 유입구 사이에 개재된 진공이젝터, 이젝터 배출구와 스택연료 유입구 사이에 개재된 압력변환기(pressure transducer), 및 압력변환기를 구비한 가압산화제(oxidant) 공급부를 포함한다. 이젝터 흡입구는 연료전지스택의 연료유출구에 유동적으로 연결된다. 연료 스트림 압력변환기는 신호를 압력제어밸브에 전송하여, 연료스트림의 검출된 압력이 소정의 값에서 벗어날 때에 연료 공급부의 압력을 조절하게 한다. 산화제 스트림 압력변환기는 신호를 압력제어밸브로 전송하여, 산화제 스트림의 검출된 압력이 변할 때에 상기 연료공급부의 압력을 조절하게 한다.
또한, 문헌 JP 09-209810에는 ECU에 구동수단제어부와 고장판정부를 구성하고 흡기제어밸브기구의 고장상태를 디스플레이 상에 외부적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구성 및 제어의 복잡성을 수반하지 않으면서도 흡기제어밸브기구의 고장상태를 쉽게 검출하고, 고장상태를 신속하면서도 확실하게 외부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엔진의 흡기제어밸브기구용 고장검출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검출기에는, 엔진운전상태가 정상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엔진운전상태 검출수단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압력센서는 흡기제어밸브가 개폐될 때에 통과하는 흡기의 압력을 검출한다. 개폐 주기별로 검출된 압력 간의 압력차가 소정 값 이상이면, ECU 내의 고장판정수단은 엔진운전상태가 정상이라고 판정하고, 압력차가 소정 값보다 작으면, 엔진운전상태가 고장상태에 있다고 판정한다. 디스플레이수단은 이들 판정을 토대로 엔진운전상태가 고장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외부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잠수정의 연료전지시스템이 문헌 US 3,748,180에 추가로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연료전지시스템은 상기 차량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연료전지모듈을 구비한다. 수소를 함유하고 있는 제1탱크가 연료전지모듈의 한 반응챔버에 연결되고, 산소를 함유하고 있는 제2탱크는 연료전지모듈의 다른 반응챔버에 연결되어 있다. 수소 반응챔버로부터 출력되는 수소 생성수(hydrogen product water)는 응축 및 분리되어 생성된 물이 수소를 함유하고 있는 제1탱크에 저장된다. 연료전지모듈은 질소로 가압되는 격납용기 내에 위치한다. 촉매반응장치가 격납용기 내에 제공되어 수소 및 산소 고압공급라인에서 동시에 누설되는 경우에 물을 형성하게 한다. 압력변환기가 또한 격납용기 내에 제공되어, 수소 또는 산소라인의 고압누설이 있는 경우 상기 시스템을 중지시킨다.
또한, 문헌 EP 1,223,631 A2에는 냉각제를 사이에 두고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전압계를 사용하여, 연료전지스택과 그라운드 스택 섀시(grounded stack chassis) 사이의 연료전지스택의 냉각제에서의 누설전류를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만일 냉각전압이 소정의 레벨 이하라면, 냉각제에는 과도한 레벨의 전도도가 존재하고, 누설전류의 존재가 보고된다.
또한, 문헌 US 2003/077487 A1에는 전기화학적 연료전지의 냉간시동능력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들이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연료전지 전력발생시스템들의 냉간시동능력을 개선하기 위해 온도의존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전력발생시스템의 작동을 중지하는 방법은, 스택의 통로들 내에 남아 있는 물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연료전지스택의 냉간시동능력 및 내동성(freeze tolerance)을 향상시킨다. 상기 방법은 연료전지스택이 물의 어는점 아래의 온도로 떨어지도록 하기 전에 운전중지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연료전지스택 산화제 및 연료 통로들을 퍼징(purging)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운전중지상태에서의 퍼징은 스택작동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동에 사용되는 또 다른 방법은, 물의 어는점 온도보다 높은 소정 온도를 초과한 후에만 냉각유체 스트림을 연료전지스택으로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연료전지스택이 얼어버린 후에는, 운전개시 전에 연료전지스택을 정상작동온도보다 높은 온도까지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연료전지의 작동상태와 관계없이 수소배출밸브의 이상을 검출하기 위한 이상검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시스템의 이상검출장치는, 연료전지로부터 배출되는 수소 오프-가스를 다시 상기 연료전지의 애노드로 유동시키는 수소 오프-가스 순환통로; 상기 수소 오프-가스 순환통로로부터, 상기 수소 오프-가스 순환통로를 통해 순환되는 상기 수소 오프-가스의 일부를 배출시키는 배출통로; 상기 배출통로 내에 제공되는 수소배출밸브; 상기 수소배출밸브의 개폐 시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이상판정수단; 및 상기 수소 오프-가스의 가스상태량을 검출하기 위한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은 상기 수소배출밸브의 하류에 위치하는 배출통로 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상판정수단은 상기 수소배출밸브의 개폐 시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상기 수소 오프-가스의 가스상태량을 토대로 판정한다. 수소배출밸브의 개폐 시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는 수소 오프-가스의 가스상태량을 토대로 판정되는데, 상기 가스상태량은 수소배출밸브의 하류에 제공되는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다. 따라서, 연료전지의 작동상태와 상관없이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시스템의 이상검출장치에서는, 상술한 구조 이외에도, 상기 배출통로로부터 배출되는 수소 오프-가스를 외부가스와 혼합하기 위한 혼합챔버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은 상기 혼합챔버에서 상기 외부가스와 혼합되는 수소-오프-가스의 가스상태량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수소가스가 외부가스와 혼합되기 전과 후 사이의 가스상태량의 변화값을 검출함으로써, 가스상태량의 검출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시스템의 이상검출장치에 있어서, 외부가스는 연료전지의 캐소드에 공급될 산화가스의 일부일 수도 있다. 따라서, 시스템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시스템의 이상검출장치에 있어서, 수소배출밸브는 전자기밸브일 수도 있고, 이상판정수단은 전자기밸브에 대한 개폐제어신호의 입력 시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하여, 수소배출밸브의 개폐 시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가스상태량을 토대로 판정할 수도 있다. 상기 수소배출밸브에 대한 개폐제어신호의 입력 시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하여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가스상태량을 검출함으로써, 수소배출밸브의 개폐 시의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시스템의 이상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상판정수단은 전자기밸브에 대한 개폐제어신호의 입력 시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기밸브의 개폐 시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가스상태량의 시간에 따른 변화값을 토대로 판정할 수도 있다. 상기 수소배출밸브에 대한 개폐제어신호의 입력 시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하여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가스상태량의 시간에 따른 변화값을 검출함으로써, 수소배출밸브의 개폐 시의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시스템의 이상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상태량은 수소 오프-가스의 수소농도, 유속, 압력, 각각의 성분비, 온도 및 유전상수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물리량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시스템의 이상검출장치에 있어서, 수소 오프-가스의 가스상태량을 검출하기 위한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이 상기 수소배출밸브의 상류에 위치하는 배출통로 내에 추가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이상판정수단은 상기 수소배출밸브의 개폐 시의 이상을, 상기 수소배출밸브의 상류측과 하류측 각각에 제공되는 상기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가스상태량을 토대로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수소배출밸브로부터 상류에 제공되는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가스상태량 및 수소배출밸브로부터 하류에 제공되는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가스상태량을 토대로 상기 수소배출밸브의 개폐 시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판정함으로써, 이상이 발생하였는지에 대한 판정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시스템의 이상검출장치에 있어서, 수소 오프-가스를 가스와 액체로 분리하기 위한 가스-액체분리수단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은 상기 가스-액체분리수단에 의하여 가스와 액체로 분리된 수소 오프-가스의 가스상태량을 검출할 수도 있다. 수소 오프-가스를 가스와 액체로 분리시킴으로써,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은 잘못된 검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시스템의 이상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소 오프-가스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가 상기 수소배출밸브로부터 하류 위치에 있는 배출통로 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수소 오프-가스의 압력을 검출함으로써, 수소배출밸브의 개폐 시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가 판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시스템의 이상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소 오프-가스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가 상기 수소배출밸브로부터 하류 위치에 있는 배출통로 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수소 오프-가스의 온도를 검출함으로써, 수소배출밸브의 개폐 시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가 판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시스템의 이상검출장치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고 있는 쌍으로 이루어진 전극들이 상기 혼합챔버 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수소 오프-가스의 유전상수를 검출함으로써, 수소배출밸브의 개폐 시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가 판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시스템의 이상검출장치에 있어서, 전원에 연결되는 열선저항이 혼합챔버 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열선저항은 줄열(Joule heat)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켜 상기 수소 오프-가스의 열전도도를 검출하고 저항값을 측정함으로써, 수소배출밸브의 개폐 시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가 판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시스템의 이상검출장치에 있어서, 이상판정수단이 수소배출밸브의 개폐 시에 이상을 검출하는 경우, 고장에 대처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연료전지시스템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소배출밸브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가 수소 오프-가스의 가스상태량을 토대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가스상태량은 상기 수소배출밸브로부터 하류에 제공된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다. 이에 따라, 연료전지의 작동상태와 상관없이 수소배출밸브의 개폐 시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수소배출값에 제공되는 개폐제어신호 및 수소농도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상기 그래프들이 서로 상응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제2실시예의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을 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3실시예의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을 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4실시예의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을 주로 도시한 도면;
도 6는 제5실시예의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을 주로 도시한 도면; 및
도 7는 제6실시예의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을 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시스템(10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연료전지시스템(10)은 연료전지구동 전기자동차에 장착될 전력발생시스템이다. 상기 연료전지시스템(10)은 반응가스(연료가스, 산화가스)를 공급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는 연료전지(전지스택)(20)를 포함한다. 상기 연료전지(20)는, 스크린 인쇄 등에 의해 중합체 전해질 멤브레인(21)의 한 쪽에는 애노드(22)를, 상기 중합체 전해질 멤브레인(21)의 다른 쪽에는 캐소드(23)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멤브레인-전극조립체(MEA)(24)를 포함한다. 상기 중합체 전해질 멤브레인(21)은 플루오르화 탄소수지 등으로 형성된 양성자-도전성 이온-교환 멤브레인(proton-conductive ion-exchange membrane)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멤브레인-전극조립체(MEA)(24)는 리브 세퍼레이터(ribbed separators; 도시안됨)들 사이에 끼워져 있다. 그루브형 애노드 가스채널(25)은 상기 세퍼레이터 중 하나와 애노드(22) 사이에 형성되고, 그루브형 캐소드 가스채널(26)은 상기 세퍼레이터 중 나머지 다른 하나와 캐소드(23) 사이에 형성된다. 여기서는, 멤브레인-전극조립체(24), 애노드 가스채널(25) 및 캐소드 가스채널(26)로 구성된 전지의 구조를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실제로는 복수의 전지들이 일렬로 쌓여 있고 리브 세퍼레이터가 인접한 전지들 사이에 개재되는 스택 구조로 제공된다.
연료전지시스템(10)의 연료가스공급시스템에는, 연료가스를 애노드 가스채널(25)에 공급하기 위한 연료가스통로(31) 및 상기 애노드 가스채널(25)로부터 배출 되는 수소 오프-가스를 다시 상기 연료가스통로(31)로 유동시키기 위한 수소 오프-가스 순환통로(32)가 형성되어 있다. 연료가스통로(31)에는, 수소공급장치(71)로부터의 연료가스의 공급/공급중단을 제어하는 차단밸브(A1) 및 상기 연료가스의 압력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A2)가 제공된다. 수소 오프-가스통로(32)에는, 수소 오프-가스를 연료가스통로(31)로 다시 유동시키기 위하여 애노드 가스채널(25)을 통과시켜 압력이 떨어진 수소 오프-가스를 가압시키기 위한 수소펌프(P1)가 제공된다. 또한, 수소 오프-가스 내에 포함된 수소 이외의 성분들의 농도가 높아질 경우, 수소 오프-가스의 일부를 상기 시스템의 외부로 배출시키는데 사용되는 배출통로(33)가 상기 수소 오프-가스 순환통로(32)에 연통되어 있다. 배출될 수소 오프-가스량을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통로(33) 내에는 수소배출밸브(A3)가 제공된다. 수소배출밸브(A3)로는, 전자기밸브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선형밸브 또는 ON/OFF 밸브가 사용될 수도 있다. 배출통로(33)의 하단은 혼합챔버(50)에 연통되고, 배출통로(33)를 통과하는 수소 오프-가스는 상기 혼합챔버(50)로 도입된다. 혼합챔버(50)로 도입된 수소 오프-가스는 배출통로(51)를 통해 산소 오프-가스통로(42)에 도입되어 그 소음이 머플러(52)에 의해 감소된 후에 상기 시스템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연료전지시스템(10)의 산화가스공급시스템에는, 산화가스를 캐소드 가스채널(26)에 공급하기 위한 산화가스통로(41) 및 상기 캐소드 가스채널(26)로부터 배출되는 산소 오프-가스(캐소드 오프-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산소 오프-가스통로(42)가 형성되어 있다. 산화가스통로(41)에는, 차량의 외부로부터 도입되는 공기에 함유된 먼지를 필터링하기 위한 에어필터(72); 모터(M1)에 의해 구동되는 에어컴프레서(73); 상기 에어컴프레서(73)에 의해 가압되는 공기를 적절하게 습도조절하기 위한 가습장치(74); 및 상기 캐소드 가스채널(26)에 공급될 산화가스량을 조정하는 제어밸브(A4)가 제공된다. 산소 오프-가스통로(42)에는, 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밸브(A5) 및 가습장치(74)가 제공된다. 가습장치(74)에는, 연료전지(20)의 전지반응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물로 매우 습도가 높은 산소 오프-가스와, 습도가 낮은, 즉 차량의 외부로부터 흡기되는 산화가스 사이에서 물 교환이 이루어진다. 산소 오프-가스통로(42)를 통과하는 산소 오프-가스는 그 소음이 머플러(52)에 의해 감소된 후에 상기 시스템의 외부로 배출된다.
수소 오프-가스의 가스상태량을 검출하기 위한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으로서, 수소센서(S1)가 혼합챔버(50) 내에 제공된다. 상기 수소센서(S1)는 수소배출밸브(A3)로부터 하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소농도, 유속, 압력, 각각의 성분비, 온도와 같은 수소배출밸브(A3)의 상류측에서 유동하는 수소 오프-가스의 가스상태량은 연료전지(20)의 작동상태에 따라 계속해서 변한다. 특히, 상기 시스템이 액셀레이터페달 등의 급가속으로 야기된 부하변동으로 인한 전이상태를 가져오면, 수소 오프-가스의 가스상태량이 크게 변한다. 이에 따라, 수소센서(S1)와 같은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은 수소배출밸브(A3)로부터 상류에 제공되어 가스상태량이 검출되면, 전이상태에서 수소배출밸브(A3)의 개폐 시의 이상을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어렵다. 하지만,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이 수소배출밸브(A3)로부터 하류에 제공되면, 시스템의 작동상태와 관계없이 수소배출밸브(A3)의 개폐 시에 이상이 발생하 였는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혼합챔버(50)는 수소배출밸브(A3)의 하류측에서 유동하는 수소가스를 외부가스와 혼합시켜 수소가스의 가스상태량을 정확하게 검출하는 가스챔버이다. 본 실시예에서, 수소배출밸브(A3)의 개폐 시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는, 혼합챔버(50) 내에 수소센서(S1)를 제공하고 상기 혼합챔버(50)에서의 수소농도의 변화를 검출하여 판정된다. 수소 오프-가스만이 혼합챔버(50)에 도입되는 구조에 의하면, 수소배출밸브(A3)로부터 가스 누설 등으로 인한 수소농도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외부가스를 혼합챔버(50)에 도입하여 외부가스를 수소 오프-가스와 혼합함으로써, 수소 오프-가스가 외부가스와 혼합되는 경우와 수소 오프-가스가 외부가스와 혼합되지 않는 경우간의 수소농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수소농도의 변화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소 오프-가스와 혼합될 외부가스의 타입은, 상기 가스가 수소농도의 변화의 검출 시에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연료전지(20)의 산화가스공급시스템을 통과하는 가압된 공기를 이용하면 시스템 구조가 단순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산화가스통로(41)로부터 분기하여 혼합챔버(50)에 연통되는 가스공급통로(43)가 형성되어 있고, 에어컴프레서(73)로부터 출력되는 가압된 공기의 소정의 유량이 상기 혼합챔버(50)에 도입된다. 도 1은 가스공급통로(43)가 산화가스통로(41)로부터 분기하여 혼합챔버(50)에 연통되어 있는 구조를 보여준다. 한편, 가스공급통로(43)는 산소 오프-가스통로(42)로부터 분기할 수도 있고, 혼합챔버(50)에 연통될 수도 있다. 혼합챔버(50)에 도입될 외부가스로는, 습도가 가능한 한 낮은 건식공기가 사용되어 수 소농도의 검출 시에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가습장치(74)에 의해 습도조절되지 않은 산화가스통로(41)를 통과하는 가압된 공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CU(Power Control Unit)(80)는 인버터 및 DC/DC 컨버터를 포함하는 전력제어장치이다. 연료전지(20)에 의해 발생되는 전력은 PCU(80)에 의해 교류전원(3상전류)으로 변환되어 차량의 주행을 위해 모터(3상동기모터)(82)에 공급된다. 연료전지(20)에 의해 발생되는 전력의 나머지는 PCU(80)에 의한 저전압을 갖는 전력으로 다운-변환되어 2차전지(81)로 공급된다. 2차전지(81)는 브레이크의 재생 시간에 재생에너지저장소 및 차량의 가속이나 감속으로 인한 부하변동의 시간에 에너지버퍼로서의 역할을 한다. 2차전지(81)로는, 니켈-카드뮴축전지, 니켈-수소축전지, 리튬2차전지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90)는 수소센서(S1)로부터 출력되는 센서신호를 입력하고 수소 오프-가스의 수소농도를 검출할 뿐만 아니라, 연료전지시스템(10)의 작동상태에 따라 차단밸브(A1), 레귤레이터(A2), 수소배출밸브(A3), 제어밸브(A4), 제어밸브(A5), 수소펌프(P1), 모터(M1) 및 PCU(80)를 제어한다. 수소 오프-가스가 배출되면, 제어부(90)는 개폐제어신호(개폐명령)를 수소배출밸브(A3)로 출력함으로써 수소배출밸브(A3)의 개폐제어를 수행하고, 또한 수소배출밸브(A3)의 개폐 시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수소센서(S1)로부터 출력된 센서신호를 토대로 판정하기 위한 이상판정수단으로서의 역할도 한다.
도 2는 개폐제어신호가 수소배출밸브(A3)에 입력되는 경우, 수소센서(S1)에 의해 검출되는 수소농도의 변화를 보여준다. 여기서, 수소배출밸브(A3)의 개폐 시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는, 개폐제어신호를 수소배출밸브(A3)에 입력하고 상기 개폐제어신호가 입력되기 전과 후 사이의 혼합챔버(50)에서의 수소농도의 변화를 체크함으로써 판정된다. 개폐제어신호로서 다양한 파형 패턴들을 갖는 신호들을 입력함으로써 수소농도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t1 ~ t2 주기 및 시간 t3 ~ t4 주기로 밸브를 개방하기 위한 개폐제어신호 C1 및 C2 가 각각 입력된다. 그 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소센서(S1)의 응답 파형들이 시간 t1 및 시간 t3 에서 상승하기 시작하는 응답 파형 R1 및 R2 로서 각각 검출된다. 이 경우, 응답 파형 R1 및 R2 가 각각 시간 t1 및 시간 t3 의 소정의 시간 TA 이내에서 임계 농도 A 보다 높거나 같게 되면, 수소배출밸브(A3)가 "개방상태(정상작동)" 에 있다고 판정한다. 응답 파형 R1 및 R2 가 임계 농도 B 보다 높거나 같고 임계 농도 A 보다 낮으면, 수소배출밸브(A3)는 "절반개방상태(절반개방고장)" 에 있다고 판정한다. 응답 파형 R1 및 R2 가 임계 농도 B 보다 낮거나 같으면, 수소배출밸브(A3)는 "폐쇄상태(폐쇄고장)" 에 있다고 판정한다. 또한, 응답 파형 R1 및 R2 가 각각 시간 t2 및 시간 t4 의 소정의 시간 TB 이내에서 임계 농도 B 보다 낮거나 같게 되면, 수소배출밸브(A3)가 "폐쇄상태(정상작동)" 에 있다고 판정한다. 응답 파형 R1 및 R2 가 임계 농도 B 보다 높거나 같고 임계 농도 A 보다 낮으면, 수소배출밸브(A3)는 "절반개방상태(절반개방고장)" 에 있다고 판정한다. 응답 파형 R1 및 R2 가 임계 농도 A 보다 높거나 같으면, 수소배출밸브(A3)는 "개방상태(개방고장)" 에 있다고 판정한다. 예컨대, ON/OFF 밸브가 수소배출밸브(A3)로서 채택되는 경우에는, 수소배출밸브(A3)가 "완전개방상태", "절반개방상태" 및 "완전폐쇄상태" 가운데 어떤 상태에 있는 지가 판정될 수 있다.
임계 농도 A 는 "개방고장" 이 발생하였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농도이다. 임계 농도 B 는 "폐쇄고장" 이 발생하였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농도이다. 농도 A 는 농도 B 보다 높다. "개방고장" 은 수소배출밸브(A3)가 개방상태로 유지되고 폐쇄될 수 없는 고장상태를 나타낸다. "폐쇄고장" 은 수소배출밸브(A3)가 폐쇄상태로 유지되고 개방될 수 없는 고장상태를 나타낸다.
개폐제어신호 C1 및 C2 는 ON/OFF 밸브 및 선형밸브 가운데 어떤 밸브가 수소배출밸브(A3)로 사용되는 지에 상관없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수소배출밸브(A3)가 선형밸브인 경우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밸브를 개방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개폐제어신호 C3, 상승/하강 에지가 일정한 기울기로 적당하게 감소하는 개폐제어신호 C4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밸브에서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판정할 때에 수소배출밸브(A3)에 입력되는 개폐제어신호에 관해서는, 일정한 파형 패턴을 갖는 신호(예컨대, 단지 개폐제어신호 C1 및 C2)들을 연속해서 입력하는 것보다는 오히려 소정의 간격으로 랜덤하게 또는 회전에 의해 파형 패턴들이 상이한 개폐제어신호(예컨대, 개폐제어신호 C1, C3 및 C4)들을 입력함으로써 입력신호의 변동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장이 발생하였는지에 관한 판정이 더욱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형밸브가 수소배출밸브(A3)로서 채택되는 경우, 수소배출밸브(A3)의 개폐 시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상기 수소배출밸브(A3)에 입력되는 개폐제어신호가 30%의 개방을 달성하기 위 한 개폐제어신호로부터 80%의 개방을 달성하기 위한 개폐제어신호로 전환될 때에 수소배출밸브(A3)로부터 하류 위치에서의 가스상태량(농도, 유속, 압력, 각각의 성분비, 온도, 유전상수 등)과 상기 가스상태량의 시간에 따른 변화값을 토대로 판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이상이 발생하는 수소배출밸브(A3)의 개방도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상이 발생하였는지에 관한 판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소배출밸브(A3)의 개폐 시에 이상이 검출되면, 제어부(90)는 고장에 대처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작업들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90)는 (1) 연료 효율성의 저하를 억제하기 위하여 연료가스공급원인 차단밸브(A1)를 폐쇄시켜 수소가 시스템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2) 연료전지(20)에 의한 전력발생을 억제하며, (3) 2차전지(81)에 저장된 전력을 이용하여 모터(82)를 구동하기 위하여 PCU(80)를 제어하고, (4) 디스플레이 또는 알람 소리를 이용하여 수소배출밸브(A3)에 고장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운전자에게 알려준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어부(90)는 고장에 대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역할도 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수소배출밸브(A3)의 개폐 시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는 상기 수소배출밸브(A3)로부터 하류에 제공되는 수소센서(S1)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토대로 판정된다. 그러므로, 연료전지(20)의 작동이 중단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연료전지(20)가 전이상태로 작동되고 있는 경우에도 수소배출밸브(A3)의 개폐 시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판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소 오프-가스 및 외부가스는 혼합챔버(50)로 도입된다. 그러므로, 수소 오프-가스가 외부가스와 혼합 되는 경우와 상기 수소 오프-가스가 외부가스와 혼합되지 않는 경우간의 수소농도의 차이를 토대로 수소농도의 변화값을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소센서(S1)를 이용함으로써, 압력센서가 검출하기 어려운 이물질의 침입으로 인한 미세 누설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소농도가 수소가스의 가스상태량으로서 검출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수소 오프-가스의 가스상태량으로는, 수소 오프-가스의 유속, 압력, 각각의 성분비, 온도, 유전상수 등과 같은 물리량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제2실시예에 따른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소 오프-가스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S2)가 수소배출밸브(A3)로부터 하류 위치에 있는 배출통로(33)에 제공된다. 맵 데이터(90a)에는, 가스누설이 수소배출밸브(A3)에서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검출되는 압력 P 가 기준압력으로 사용되고, 상기 기준압력에 대한 압력 증가에 상응하는 가스누설량이 기록되어 있다. 제어부(이상판정수단)(90)는 개폐제어신호를 수소배출밸브(A3)에 제공하고, 상기 개폐제어신호가 제공되기 전과 후 사이의 압력의 변화를 검출하며, 상기 맵 데이터(90a)를 참조하여 수소배출밸브(A3)의 개폐 시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판정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제3실시예에 따른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소 오프-가스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S3)가 수소배출밸브(A3)로부터 상류 위치에 있는 배출통로 (33)에 제공되고, 온도센서(S4)는 상기 수소배출밸브(A3)로부터 하류 위치에 있는 배출통로(33)에 제공된다. 온도센서(S3)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TX로 도시되고, 온도센서(S4)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TY로 도시되면, TX는 수소배출밸브(A3)가 개방된 상태에서 TY와 같다(TX = TY). 반면, 수소배출밸브(A3)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수소 오프-가스의 온도가 전지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열로 인하여 증가하기 때문에, TX가 TY보다 높다(TX > TY). 온도 TX 와 온도 TY 간의 차이를 검출함으로써, 수소배출밸브(A3)로부터의 가스누설이 검출될 수 있다. 온도차(TX - TY)에 상응하는 가스누설량은 맵 데이터(90b)에 기록된다. 온도차(TX - TY)가 더욱 작아지면, 가스누설량은 더욱 커진다. 반대로, 온도차(TX - TY)가 더욱 커지면, 가스누설량은 더욱 작아진다.
제어부(이상판정수단)(90)는 개폐제어신호를 수소배출밸브(A3)에 제공하고, 온도센서 S3 및 S4 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에 따라 온도차(TX - TY)를 획득하며, 맵 데이터(90b)를 참조하여 수소배출밸브(A3)의 개폐 시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판정한다. 소정의 임계값이 온도차(TX - TY)에 대해 설정되면, 상기 온도차(TX - TY)를 토대로, 수소배출밸브(A3)가 "완전개방상태", "절반개방상태" 및 "완전폐쇄상태" 가운데 어떤 상태에 있는 지가 판정될 수 있다.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을 수소배출밸브(A3)의 하류측 뿐만 아니라 상류측에도 제공함으로써, 수소배출밸브(A3)가 "완전개방상태", "절반개방상태" 및 "완전폐쇄상태" 가운데 어떤 상태에 있는지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온도센서(S3)가 반드시 제공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온도센서(S3)는 생략될 수도 있고, 단지 온도센서(S4)만을 이용하여 수소배출밸브(A3)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에 관한 판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제4실시예에 따른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서로 마주하고 있는 쌍을 이룬 전극 S5 및 S6 은 혼합챔버(50) 내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가스의 유전상수는, 외부가스만이 혼합챔버(50)에 도입된 상태와 수소 오프-가스가 외부가스와 혼합된 상태간에 변한다. 그러므로, 전극 S5 와 S6 사이에 제공되는 캐패시터의 용량의 변화값을 판독하여, 수소배출밸브(A3)에서 이상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제어부(이상판정수단)(90)는 개폐제어신호를 수소배출밸브(A3)에 제공하고, 상기 개폐제어신호가 제공되기 전과 후 사이의 캐패시터의 용량의 변화값을 검출하며, 상기 수소배출밸브(A3)의 개폐 시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은 제5실시예에 따른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전원(V)에 연결된 열선저항(RX)이 혼합챔버(50)에 제공되고, 상기 열선저항(RX)은 줄열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수소 오프-가스가 외부가스와 혼합된 상태에서, 열선저항(RX)의 열전도도는 단지 외부가스만이 혼합챔버(50)에 도입된 경우에 비해 높다. 이에 따라, 열선저항(RX)의 저항값(R)이 감소한다. 수소배출밸브(A3)의 개폐 시에 고장이 발생하고 수소 오프-가스가 누설되면, 열선저항(RX)의 저항값(R)이 감소한다. 그러므로, 저항값(R)을 검출함으로써, 수소배출밸브(A3)의 개폐 시에 고장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저항값(R)은 전원(V)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전류 센서(S7)에 의해 판독된 전류값으로 나눔으로써 얻을 수 있다. 열저항(RX)의 저항값(R)에 상응하는 가스누설량은 맵 데이터(90c)에 기록된다. 제어부(이상판정수단)(90)는 개폐제어신호를 수소배출밸브(A3)에 제공하고, 개폐제어가 제공되기 전과 후 사이의 저항값(R)의 변화량을 획득하며, 상기 맵 데이터(90c)를 참조하여 수소배출밸브(A3)의 개폐 시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판정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제6실시예에 따른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스-액체분리장치(60)가 수소배출밸브(A3)로부터 하류 위치에 있고 수소센서(S1)로부터 상류 위치에 있는 배출통로(33) 내에 제공되고, 상기 수소 오프-가스 내에 함유된 물이 가스와 액체로 분리된다. 만일 물방울 등이 수소센서(S1)에 달라 붙는다면, 수소농도의 검출 시에 문제가 발생한다. 하지만, 수소 오프-가스를 사전에 미리 가스와 액체로 분리시키면, 수소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가스-액체분리장치(60)로는, 수소 오프-가스를 고속으로 휘저어 물을 원심방향으로 배수시킴으로써 물을 가스와 액체로 분리시키는 사이클론분리장치, 공기 냉각 또는 물 냉각에 의한 열교환가스-액체분리장치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가스-액체분리수단으로는, 가스-액체분리장치(60) 이외에, 예컨대 가스-투과커버(61)가 수소센서(S1)로부터 상류 위치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수소센서(S1)는 백형상의 가스-투과커버(62)로 커버될 수도 있다. 가스-투과커버(61, 62)는 수소-투과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하지만, 가스-투과커버(61, 62)는 단지 물만을 제거할 수 있는 가스-투과재료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재료로는, 예컨 대 Gore-TexTM 가 적합하다.

Claims (14)

  1. 연료전지시스템의 이상검출장치(10)에 있어서,
    연료전지로(20)부터 배출되는 수소 오프-가스를 상기 연료전지의 애노드(22)로 다시 유동시키는 수소 오프-가스 순환통로(32);
    상기 수소 오프-가스 순환통로(32)를 통해 순환되는 상기 수소 오프-가스의 일부를 상기 수소 오프-가스 순환통로로부터 배출시키는 배출통로(33);
    상기 배출통로 내에 제공되는 수소배출밸브(A3); 및
    상기 수소배출밸브의 개폐 시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판정하는 이상판정수단(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소 오프-가스의 가스상태량을 검출하는 가스상태량 검출수단(S1)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은 상기 수소배출밸브의 하류에 위치하는 상기 배출통로 내에 제공되고, 상기 이상판정수단(90)은 상기 수소 오프-가스의 가스상태량을 토대로 상기 수소배출밸브의 개폐 시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시스템의 이상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통로로부터 배출되는 수소 오프-가스를 외부가스와 혼합시키는 혼합챔버(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은 상기 혼합챔버에서 상기 외부가스와 혼합되는 수소-오프-가스의 가스상태량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시스템의 이상검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가스는, 상기 연료전지의 캐소드에 공급될 산화가스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시스템의 이상검출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배출밸브는 전자기밸브이고, 상기 이상판정수단은 상기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가스상태량을 토대로 상기 수소배출밸브의 개폐 시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판정하여, 상기 전자기밸브에 대한 개폐제어신호의 입력 시의 변화에 대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시스템의 이상검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판정수단은, 상기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가스상태량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토대로 상기 전자기밸브의 개폐 시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판정하여, 상기 전자기밸브에 대한 상기 개폐제어신호의 입력 시의 변화에 대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시스템의 이상검출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상태량은, 수소 오프-가스의 수소농도, 유속, 압력, 각각의 성분비, 온도 및 유전상수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물리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시스템의 이상검출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오프-가스의 가스상태량을 검출하는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은 상기 수소배출밸브의 상류에 위치하는 상기 배출통로 내에 제공되며, 상기 이상판정수단은 상기 수소배출밸브의 상류측과 하류측 각각에 제공된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가스상태량을 토대로 상기 수소배출밸브의 개폐 시의 이상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시스템의 이상검출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오프-가스를 가스와 액체로 분리하기 위한 가스-액체분리수단(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은 상기 가스-액체분리수단에 의하여 가스와 액체로 분리된 수소 오프-가스의 가스상태량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시스템의 이상검출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배출밸브의 하류에 위치하는 상기 배출통로 내에 제공되고 상기 수소 오프-가스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S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시스템의 이상검출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배출밸브의 하류에 위치하는 상기 배출통로 내에 제공되고 상기 수소 오프-가스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S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시스템의 이상검출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챔버 내에 제공되고 상기 수소 오프-가스의 유전상수를 검출하기 위해 서로 대향하고 있는 쌍 전극(S5, S6)들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시스템의 이상검출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챔버 내에 제공되고 상기 수소 오프-가스의 열전도도를 검출하는 열선저항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시스템의 이상검출장치.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판정수단이 상기 수소배출밸브의 개폐 시의 이상을 검출하는 경우의 고장에 대처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시스템의 이상검출장치.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상태량 검출수단은, 상기 수소 오프-가스 순환통로의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배출통로 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시스템의 이상검출장치.
KR1020067007729A 2003-10-24 2004-10-14 연료전지시스템의 이상검출장치 KR1007763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64524A JP4692869B2 (ja) 2003-10-24 2003-10-24 燃料電池システムの異常検出装置
JPJP-P-2003-00364524 2003-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737A KR20060058737A (ko) 2006-05-30
KR100776317B1 true KR100776317B1 (ko) 2007-11-13

Family

ID=34510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729A KR100776317B1 (ko) 2003-10-24 2004-10-14 연료전지시스템의 이상검출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18286B2 (ko)
EP (1) EP1668728B1 (ko)
JP (1) JP4692869B2 (ko)
KR (1) KR100776317B1 (ko)
CN (1) CN100452505C (ko)
DE (1) DE602004006884T2 (ko)
WO (1) WO20050413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159A (ko) 2020-11-27 2022-06-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시스템, 이의 진단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6425B2 (ja) * 2004-04-02 2011-02-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4442429B2 (ja) * 2004-05-14 2010-03-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6134647A (ja) * 2004-11-04 2006-05-25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システム
JP4784080B2 (ja) * 2004-12-01 2011-09-2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装置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4877450B2 (ja) * 2004-12-27 2012-02-15 株式会社エクォス・リサーチ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6216310A (ja) * 2005-02-02 2006-08-17 Toyota Motor Corp ガス漏れ検出装置
JP4912615B2 (ja) * 2005-05-13 2012-04-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5024721B2 (ja) * 2006-05-10 2012-09-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その循環比算出方法
JP5157126B2 (ja) * 2006-10-31 2013-03-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5066358B2 (ja) * 2006-12-21 2012-11-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その掃気方法
JP5092418B2 (ja) * 2007-01-22 2012-12-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5233126B2 (ja) 2007-02-05 2013-07-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5223242B2 (ja) * 2007-05-25 2013-06-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4277925B2 (ja) * 2007-10-10 2009-06-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ガス検出システム、車両、およびガス検出システムの点検方法
US8062804B2 (en) * 2007-10-31 2011-11-22 Fuelcell Energy, Inc. Flow control assembly for use with fuel cell systems operating on fuels with varying fuel composition
JP5310294B2 (ja) * 2009-06-19 2013-10-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KR101509788B1 (ko) * 2009-10-01 2015-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솔레노이드 밸브 고장 진단 방법
RU2013125753A (ru) * 2010-12-13 2015-01-20 Панасоник Корпорэйшн Система генерирования энергии и способ работы
WO2012132259A1 (ja) * 2011-03-31 2012-10-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KR101358132B1 (ko) 2012-02-02 2014-02-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연료배출시스템
US9346032B2 (en) 2012-12-11 2016-05-2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ydrogen fuel cartridge with spring loaded valve
CA2940150C (en) * 2014-02-19 2021-06-08 Farid Golnaraghi Use of neural network and eis signal analysis to quantify h2 crossover in-situ in operating pem cells
KR20150138762A (ko) * 2014-06-02 2015-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전지 차량의 안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6168032B2 (ja) 2014-11-14 2017-07-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KR101942908B1 (ko) 2015-09-14 2019-04-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스웰링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745212B1 (ko) 2015-12-17 2017-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연료전지 시스템의 퍼지 제어 방법
KR101788201B1 (ko) * 2016-04-08 2017-10-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27156B1 (ko) * 2016-10-18 2018-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시스템의 열화예측방법
JP6597979B2 (ja) * 2016-12-21 2019-10-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6830199B2 (ja) * 2018-02-26 2021-02-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CN110384395B (zh) * 2018-04-18 2021-11-1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压力烹饪器具及其排气阀的异常检测方法和检测装置
AU2019330769B2 (en) * 2018-08-30 2023-01-05 Watt Fuel Cell Corp. Safety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fuel-consuming apparatus
CN110212218B (zh) * 2019-06-28 2021-01-19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三通阀的检测方法和系统
JP7445553B2 (ja) 2020-07-22 2024-03-07 上田日本無線株式会社 気体センサ用気液分離器
JP7359105B2 (ja) * 2020-08-12 2023-10-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送風システムの異常診断装置
CN114256490A (zh) * 2021-11-12 2022-03-29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储氢系统及其储氢阀卡滞的检测方法以及燃料电池车
US11814027B2 (en) * 2022-02-04 2023-11-1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Fuel reactant leak detection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fuel reactant leaks
DE102022206863A1 (de) 2022-07-05 2024-01-11 Mahle International Gmbh Brennstoffzellensystem und Betriebsverfahren
DE102022206868A1 (de) 2022-07-05 2024-01-11 Mahle International Gmbh Brennstoffzellensystem und Betriebsverfahr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8180A (en) 1972-03-30 1973-07-24 Us Navy Fuel cell system for underwater vehicle
US5441821A (en) 1994-12-23 1995-08-15 Ballard Power Systems Inc. Electrochemical fuel cell system with a regulated vacuum ejector for recirculation of the fluid fuel stream
JPH09209810A (ja) * 1996-01-30 1997-08-12 Fuji Heavy Ind Ltd エンジンの吸気制御弁機構の故障検知装置
EP1223631A2 (en) * 2001-01-08 2002-07-17 General Motors Corporation Arrangement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electroconductivity of a coolant in a fuel cell stack by differential voltage measurements
US20030077487A1 (en) * 1996-06-07 2003-04-24 Roberts Joy A. Methods for improving the cold starting capability of an electrochemical fuel cell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0312A (ja) * 1992-06-08 1993-12-21 Unisia Jecs Corp 排気ガス還流装置の故障診断装置
DE19620501C1 (de) 1996-05-22 1997-06-19 Mtu Friedrichshafen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stoffzellenanordnung
US5763113A (en) 1996-08-26 1998-06-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PEM fuel cell monitoring system
JP3555438B2 (ja) 1998-04-02 2004-08-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燃料電池システムの圧縮機制御装置
JP2000255499A (ja) * 1999-03-08 2000-09-19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ラスタの故障検出装置
JP3832802B2 (ja) * 2000-07-25 2006-10-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7413823B2 (en) 2000-09-22 2008-08-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monitoring the discharge of media out of fuel cell, and a fuel cell system
JP4470346B2 (ja) * 2001-01-18 2010-06-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用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水素オフガス排出方法
JP5128032B2 (ja) 2001-07-04 2013-01-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の運転方法
JP4130319B2 (ja) * 2001-07-10 2008-08-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制御装置
US6979504B2 (en) * 2001-07-25 2005-12-27 Ballard Power Systems Inc. Fuel cell system automatic power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JP3904191B2 (ja) * 2001-10-23 2007-04-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排出燃料希釈器および排出燃料希釈式燃料電池システム
JP3893945B2 (ja) 2001-11-08 2007-03-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3880898B2 (ja) * 2002-07-18 2007-02-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水素パージ制御装置
JP3952456B2 (ja) * 2002-10-03 2007-08-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の排出ガス処理装置
JP4384401B2 (ja) * 2002-11-25 2009-12-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8180A (en) 1972-03-30 1973-07-24 Us Navy Fuel cell system for underwater vehicle
US5441821A (en) 1994-12-23 1995-08-15 Ballard Power Systems Inc. Electrochemical fuel cell system with a regulated vacuum ejector for recirculation of the fluid fuel stream
JPH09209810A (ja) * 1996-01-30 1997-08-12 Fuji Heavy Ind Ltd エンジンの吸気制御弁機構の故障検知装置
US20030077487A1 (en) * 1996-06-07 2003-04-24 Roberts Joy A. Methods for improving the cold starting capability of an electrochemical fuel cell
EP1223631A2 (en) * 2001-01-08 2002-07-17 General Motors Corporation Arrangement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electroconductivity of a coolant in a fuel cell stack by differential voltage measuremen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159A (ko) 2020-11-27 2022-06-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시스템, 이의 진단 장치 및 방법
US11888192B2 (en) 2020-11-27 2024-01-30 Hyundai Motor Company Fuel cell system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68728A1 (en) 2006-06-14
DE602004006884T2 (de) 2008-01-31
EP1668728B1 (en) 2007-06-06
WO2005041333A1 (en) 2005-05-06
KR20060058737A (ko) 2006-05-30
CN100452505C (zh) 2009-01-14
DE602004006884D1 (de) 2007-07-19
CN1871733A (zh) 2006-11-29
JP4692869B2 (ja) 2011-06-01
US7718286B2 (en) 2010-05-18
JP2005129392A (ja) 2005-05-19
US20070082240A1 (en) 200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6317B1 (ko) 연료전지시스템의 이상검출장치
US8247121B2 (en) Fuel cell system with purging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7687168B2 (en) Fuel cell system for setting predetermined operation state when substitutional value control is impossible
US20070193340A1 (en) Gas leak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same
US9614235B2 (en) Fuel cel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ystem
CA2691063C (en) Fuel cell with forced fluid drive
WO2009057534A1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の起動制御方法
JP2005011703A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ガス漏洩検知方法
JP6376184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車両
US11139494B2 (en) Fuel cel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00151294A1 (en) Cathode filter replacement algorithm in a fuel cell system
KR102506848B1 (ko) 연료전지용 공기공급계의 고장 진단장치 및 그 방법
JP7415981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US11588162B2 (en) Method of detecting degradation of membrane electrode assembly of fuel cell
JP2007134063A (ja)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そのガス漏れ検知方法並びに移動体
CN113937324B (zh) 一种燃料电池车辆空气泄露诊断方法及装置
JP2005063909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10135098A (ja) 燃料電池システム、車両
JP2004111266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9289715A (ja)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遮断弁の開閉状態判定方法
JP2006107998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3867503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10257859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22553685A (ja) 燃料電池システムを作動させる方法、制御器
WO2006070917A1 (ja) 燃料電池の異常検知装置、運転装置及び運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