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5727B1 -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727B1
KR100775727B1 KR1020010028376A KR20010028376A KR100775727B1 KR 100775727 B1 KR100775727 B1 KR 100775727B1 KR 1020010028376 A KR1020010028376 A KR 1020010028376A KR 20010028376 A KR20010028376 A KR 20010028376A KR 100775727 B1 KR100775727 B1 KR 100775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sive film
display
adhesive
refractive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8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9103A (ko
Inventor
무라타치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Publication of KR20010109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6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having an anti-static effect, e.g. electrically conducting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339Specific part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being colored or tint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우수한 반사방지성, 대전방지성, 또는 적외선 컷오프성을 나타내면서, 우수한 화상 콘트라스트 및 색재현성을 발휘하는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을 제공한다. 투명 기체, 광학적 기능층 및 점착층의 적어도 3층을 갖는 적층 구성의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에 있어서, 적어도 2층 이상을 유색으로 하여, 이들 색이 혼합되었을 때에 무채색이 되는 관계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An adhesive film for a display}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의 일실시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의 일실시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의 일실시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의 일실시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CRT, EL 등의 화상표시체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특히 우수한 화상 콘트라스트 및 색재현성을 발휘하는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LCD, PDP, CRT, EL 등으로 대표되는 화상표시장치(이하, 이것을「디스플레이」로 칭한다)는 텔레비젼이나 컴퓨터를 비롯하여 여러가지 분야에서 범용 되고 있으며, 놀라운 발전을 이루고 있다. 특히, LCD는 얇고, 경량이며, 또한 범용성이 풍부한 디스플레이로서, 휴대형 퍼스널 컴퓨터나 워드 프로세서, 휴대전화, PHS, 기타 각종 휴대 단말용으로서의 보급이 현저하다.
종래의 텔레비젼 브라운관 등의 표시장치화면은 카본 블랙 등의 착색제를 함유한 글래스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착색제를 함유한 글래스체는 통상 그레이로 착색되어, 광원으로부터의 투과광량을 조정함으로써, 적, 녹, 청의 3색 혼색에의한 백으로부터 비발색 부분의 흑까지 양호하게 표시할 수 있고, 우수한 화상 콘트라스트을 발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최근 브라운관 등의 광원측은 곡면이지만, 시청자측, 즉 외측은 평면으로 한 평면 디스플레이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 평면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글래스체의 두께는 화면 중앙부에서 얇고, 거기에서 측단부에 이름에 따라 두텁게 되어 있다. 이러한 두께가 다른 글래스체에 있어서는, 광투과율 또는 광산란률을 화면 전체에서 균일하게 하기 위해, 글래스체의 두께에 반비례하게 중앙부의 착색을 짙게, 거기에서 측단부로 향하여 점차로 착색을 엷게 하는 필요가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착색 농도를 순차적으로 바꾼 글래스체는 제조공정을 번잡화하여, 생산 비용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광원의 종류 또는 표시재료의 종류에 의해, 착색 정도를 적절히 변경할 필요가 생기기 때문에 실용적이지는 않았다.
또한, 상기에 나타낸 여러가지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반사방지성, 방현성(防 眩性), 대전방지성, 적외선 컷오프성 등의 여러가지 특성을 부가하는 층구성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어 왔다. 그렇지만, 이 층구성을 형성한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상기 반사방지성, 대전방지성 및 적외선 컷오프성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되는 재료에 기인하여, 층구성이 착색되어, 화상의 색재현성이 악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우수한 반사방지성, 대전방지성, 또는 적외선 컷오프성을 나타내면서, 우수한 화상 콘트라스트 및 색재현성을 발휘하는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특성 부가를 위한 첨가 재료에 기인하는 필름의 착색에 관해서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이 재료를 함유하는 유색층의 색(예컨대 반사방지층과 적외선 컷오프층과 같이 2종류 이상의 기능을 다른 층으로서 적층할 때는, 다수의 유색층의 각각의 색을 혼합한 색)에 대하여, 보색 관계가 되는 유색층을 형성함으로써, 필름의 종합적인 혼합색을 무채색, 예컨대, 흑 또는 뉴트럴 그레이로 할 수 있고, 이 접착 필름을 디스플레이에 사용한 경우에 우수한 화상 콘트라스트 및 색재현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은 투명 기체, 광학적 기능층 및 점착층 중 적어도 3층을 갖는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에 있어서, 이 접착 필름의 적층 구성에서 적어도 2층 이상이 유색이고, 이들 색은 혼합하였을 때에 무채색으 로 되는 관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의 바람직한 형태로는 투명 기체의 한 면에 광학적 기능층, 다른 면에 점착층이 형성된 적층 구성을 갖고, 또한 이 광학적 기능층이 반사방지기능, 대전방지기능 및 적외선 컷오프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로는 투명 기체의 한 면에 광학적 기능층 및 점착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적층 구성을 갖고, 이 광학적 기능층이 적외선 컷오프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적층 구성에 있어서의 광학적 기능층은 결착제로서 하드 코트제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에 있어서는 반사방지성, 대전방지성, 적외선 컷오프성 등의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하는 재료, 예컨대, 수지, 안료, 염료 등에 기인하여 착색된 층을 적어도 1층 포함하는 구성이고, 또한, 이 유색층의 색 또는 다수의 유색층의 각각의 색을 혼합한 색에 대하여, 보색 관계가 되는 유색층을 형성한 구성이다. 즉,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의 층 구성 중 적어도 2층 이상이 유색이고, 이들 색은 혼합하였을 때에 무채색으로 되는 관계이다. 또한, 이들 유색층은 어느 적층 구성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채색이란 Lab에 의한 색상표시에 있어서, a값과 b값이 거의 제로에 가까운 색상인 것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a값과 b값이 각각 ±5 이내, 바람직하게는 a값이 ±3 이내, b값이 ±4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a값이 +1∼-2.5, b값이 ±3.5 이내인 색상을 의미한다. a값 또는 b값의 어느 것이 상기 범위를 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의 표시색에 영향을 주어 화상 콘트라스트 및 색재현성이 악화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은 상기 Lab에 의한 색상표시에 있어서의 a값과 b값을 특정한 값으로 하기 위해, 광학적 기능층 이외의 투명 기체, 점착층 또는 필요에 따라 형성되는 하드 코트층이나 방현층 등의 그 밖의 층에, 안료 또는 염료를 혼합함으로써, 최종 제품의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의 종합적인 혼합색을 무채색으로 하는 것이다.
안료로는 이소인드리논계, 안트라퀴논계, 디옥사진계, 아조계, 나프톨계, 퀴노프탈론계, 아조메틴계, 벤즈이미다졸론계, 페리논계, 피란트론계, 퀴나크리돈계, 페릴렌계, 프탈로시아닌계, 스렌계 등의 안료를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디옥사진계, 아조계, 나프톨계, 퀴나크리돈계의 적색계 안료, 프탈로시아닌계의 청색계 안료가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한 안료로는 퀴나크리돈계, 디옥사진계, 구리프탈로시아닌계 안료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안료는 평균입경이 0.01∼5㎛, 더욱 바람직하게는 O.O1∼1㎛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염료로는 각종 염료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지만, 염료는 내후성이 열악하고, 장시간 사용하였을 때의 광투과율의 변화가 크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을 구성하는 적층 구성 및 그 재료 에 관해 설명한다.
A. 투명 기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에 사용하는 투명 기체로는 공지의 투명한 필름, 글래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구체예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트리아세틸셀룰로스(TAC),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셀로판,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알콜 등의 각종 수지 필름 및 석영 글래스, 소다 글래스 등의 글래스 기재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PDP, LCD에 사용하는 경우는 PET, TAC가 바람직하다.
이들 투명 기체의 투명성은 높을수록 양호하지만, 광선투과율(JISC-6714)로는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 좋다. 또한, 그 투명 기체를 소형 경량의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투명 기체는 필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투명 기체의 두께는 경량화의 관점에서 얇은 쪽이 바람직하지만, 그 생산성을 고려하면, 10∼700㎛의 범위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 기체에 알칼리 처리,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플루오르 처리, 스퍼터 처리 등의 표면처리나, 계면활성제, 실란 커플링제 등의 도포, 또는 Si 증착 등의 표면개질처리를 행함으로써, 광학적 기능층과 투명 기체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B. 광학적 기능층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학적 기능층이란, 반사방지성, 대전방지성 및 적외선 컷오프성 등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갖는 것이다. 즉, 광학적 기능층은 이들 기능을 적어도 1종류 이상 갖는 일층이어도, 반사방지층, 대전방지층, 적외선 컷오프층과 같이 각 기능을 갖는 층이 2층 이상 적층한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 반사방지기능 및 대전방지기능은 투명 기체의 점착층이 형성되는 면과는 반대 표면측에 부여되어 있는 것이 보다 우수한 특성을 얻기 위해 바람직하다. 또한, 적외선 컷오프층은 투명 기체의 표면측이어도, 투명 기체와 점착층 사이이어도 좋다.
이하에 각 광학적 기능층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① 반사방지층
반사방지층은 투명 기체상에 이 기체의 굴절률 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저굴절률층을 1층 형성하거나, 또는 고굴절률층과, 이 고굴절률층보다도 낮은 굴절률의 저굴절률층을 고굴절률층상에 형성하는 2층 구성 또는 이 2층 구성을 2조 이상 적층하여 형성함으로써, 반사방지효과를 얻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고굴절률 및 저굴절률이란 서로 인접하는 층과의 상대적인 굴절률의 고저를 말한다.
고굴절률층은 통상 결착제로서 사용되는 예컨대 아크릴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초산비닐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등의 수지,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하드 코트층을 구성하는 수지, 또는 이것에 고굴절률 재료를 첨가한 것이 사용된다. 고굴절률 재료로는 폴리스티렌 등의 스티렌 수지, PET, 비스페놀A의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글리시딜에테르 등의 방향환이나 Br, I, Cl 등의 할로겐화 원소를 포함하는 수지나, 폴리비닐피리딘, 폴리비스페놀 S 글리시딜에테르 등의 S, N, P 등을 포함하는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다른 고굴절 재료로는 TiO2(굴절률: n=2.3∼2.7), CeO2(n=1.95), ZnO(n=1.9), Sb2O5(n=1.71), SnO2(n=1.95), ITO(n=1.95), Y2O3(n=1.87), La2O3(n=1.95), ZrO2(n=2.05), Al 2O3(n=1.63), HfO2(n=2.00), Ta2O5 등의 무기 화합물 미립자를 들 수 있고,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저굴절률층은 예컨대 SiO2(굴절률 n=1.35∼1.45), LiF(n=1.4), MgF2(n=1.4), 3NaFㆍAlF3(n=1.4), AlF3(n=1.4), Na3AlF6 (n=1.33) 등의 무기재료를 미립자화하여, 아크릴계 수지나 에폭시계 수지 등에 함유시킨 무기계 저굴절률 재료, 플루오르계, 실리콘계 유기 화합물,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형 수지, 방사선 경화형 수지 등의 유기 저굴절률 재료로 이루어지고, 굴절률이 1.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들 재료 중에서, 특히 플루오르계 플루오르 함유 재료가 오염 방지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저굴절률층은 임계표면장력이 20 dyne/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임계표면장력이 20 dyne/cm보다 큰 경우는 저굴절률층에 부착한 오염물이 떨어지기 어렵게 된다.
상기 플루오르 함유 재료로는 유기용제에 용해하고, 그 취급이 용이한 플루오르화비닐리덴계 공중합체나, 플루오로올레핀/탄화수소 공중합체, 플루오르 함유 에폭시 수지, 플루오르 함유 에폭시아크릴레이트, 플루오로 함유 실리콘, 플루오르 함유 알콕시실란, 또한 TEFRON AF1600(듀퐁사제, n=1.30), CYTOP(아사히가라스( 주)사제, n=1.34), 17FM(미쓰비시 레이욘(주)사제, 굴절률 n=1.35), 오프스타 JN-7212(일본합성고무(주)사제, n=1.40), LR201(일산화학공업(주)사제, n=1.38)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도 다수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플루오르 함유 재료로는 2-(퍼플루오로데실)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퍼플루오로-7-메틸옥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3-(퍼플루오로-7-메틸옥틸)-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퍼플루오로-9-메틸데실)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3-(퍼플루오로-8-메틸데실)-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플루오르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3-퍼플루오로옥틸-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퍼플루오로데실)에틸아크릴레이트, 2-(퍼플루오로-9-메틸데실)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의 플루오르 함유 아크릴레이트, 3-퍼플루오로데실-1,2-에폭시프로판, 3-(퍼플루오로-9-메틸데실)-1,2-에폭시프로판 등의 에폭사이드, 에폭시아크릴레이트 등의 방사선 경화형 플루오르 함유 모노머, 올리고머, 프레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다수 종류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5∼30㎚의 실리카 초미립자를 물 또는 유기용제에 분산한 졸과 플루오르계 피막형성제를 혼합한 저굴절률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5∼30㎚의 실리카 초미립자를 물 또는 유기용제에 분산한 졸은 규산알칼리염 중의 알칼리 금속 이온을 이온교환 등으로 탈알칼리하는 방법이나, 규산알칼리염을 무기산으로 중화하는 방법 등으로 알려진 활성 규산을 축합하여 얻어지는 공지의 실리카 졸, 알콕시실란을 유기용매 중에서 염기성 촉매의 존재하에 가수분해와 축합함으로써 얻어지는 공지의 실리카 졸, 또한 상기 수성 실리카 졸 중의 물을 증류법 등에 의해 유기용제 로 치환함으로써 얻어지는 유기용제계 실리카 졸(오르가노실리카 졸)이 사용된다. 이들 실리카 졸은 수계 및 유기용제계의 어느 쪽이나 사용할 수 있다. 유기용제계 실리카 졸의 제조에 있어서, 완전히 물을 유기용제로 치환할 필요는 없다. 상기 실리카 졸은 SiO2로서 O.5∼5O중량% 농도의 고형분을 함유한다. 실리카 졸 중의 실리카 초미립자의 구조는 구상, 침상, 판상 등 여러가지 것이 사용가능하다.
또한, 피막형성제로는 알콕시실란, 금속 알콕시드나 금속염의 가수분해물이나, 폴리실록산을 플루오르 변성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피막형성제 중에서도 특히 플루오르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저굴절률층의 임계표면장력이 저하하여 유분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저굴절률층은 상기에서 말한 재료를 예컨대 용제로 희석하여, 스핀 코터, 롤 코터, 인쇄 등의 방법으로 고굴절률층상에 형성하여 건조후, 열이나 방사선(자외선의 경우는 상술한 광중합개시제를 사용한다) 등에 의해 경화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방사선 경화형 플루오르 함유 모노머, 올리고머, 프레폴리머는 내오염성은 우수하지만, 습윤성이 양호하지 않기 때문에, 조성에 따라서는 고굴절률층상에서 저굴절률층을 겉돌게 하는 문제나, 저굴절률층이 고굴절률층으로부터 박리되는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기 때문에, 하드 코트층에 사용하는 상술한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서 설명한 아크릴로일계, 메타아크릴로일계,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 등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모노머, 올리고머, 프레폴리머를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에 의한 손상을 받기 쉬운 PET, TAC 등의 플라스틱 필름을 투명 기체에 사용하는 경우는 이들 저굴절률층의 재료로는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굴절률층이 양호한 반사방지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두께에 관해서는, 공지의 계산식으로 산출할 수 있다. 공지 문헌(사이언스 라이브러리, 물리학 9「광학」 70∼72면)에 의하면, 입사광이 저굴절률층에 수직으로 입사하는 경우에, 저굴절률층이 빛을 반사하지 않고, 또한 100% 투과하기 위한 조건은 다음 관계식을 충족시키면 된다고 되어 있다. 또한, 식 중 N0 는 저굴절률층의 굴절률, Ns는 고굴절률층의 굴절률, h는 저굴절률층의 두께, λ0는 광파장을 나타낸다.
N0 = Ns 1/2 (1)
N0h = λ0 / 4 (2)
상기 식(1)에 의하면, 광반사를 100% 방지하기 위해서는, 저굴절률층의 굴절률이 하층(고굴절률층)의 굴절률의 평방근이 되는 재료를 선택하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단, 실제는 이 수식을 완전히 충족시키는 재료는 알아내기 어려워, 한없이 가까운 재료를 선택하는 것으로 된다. 상기 식(2)에서는 식(1)에서 선택한 저굴절률층의 굴절률과, 광파장으로부터 저굴절률층의 반사방지막으로서의 최적 두께가 계산된다. 예를 들면, 고굴절률층, 저굴절률층의 굴절률을 각각 1.50, 1.38, 광파장을 550㎚(시감도 기준)로 하여, 이들 값을 상기 식(2)에 대입하면, 저굴절률층의 두께는 0.1㎛ 전후의 광학막두께, 바람직하게는 O.1 ±O.O1㎛의 범위가 최적인 것으로 계산된다.
② 대전방지층
대전방지층은 디스플레이 표면에 정전적으로 부착하는 먼지 등의 오염물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대전방지층은 알루미늄, 주석 등의 금속, ITO 등의 금속 산화막을 증착, 스퍼터 등으로 매우 얇게 형성하는 방법, 알루미늄, 주석 등의 금속 미립자나 휘스커, 산화주석 등의 금속 산화물에 안티몬 등을 도프한 미립자나 휘스커, 7,7,8,8-테트라시아노퀴논디메탄과 금속 이온이나 유기 양이온 등의 전자공여체(도너)와의 사이에서 할 수 있는 전하이동착체를 필러화한 것 등의 무기 및 유기 대전방지제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의 결착제 분산하여, 솔벤트 코팅 등에 의해 형성하는 방법,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등에 캄파술폰산 등을 도프한 것을 솔벤트 코팅 등에 의해 형성하는 방법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대전방지층의 투과율은 광학용도의 경우, 80% 이상이 바람직하다.
③ 적외선 컷오프층
디스플레이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은 휴대전화나 각종 리모컨 장치의 오작동 등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이러한 적외선, 특히 파장 800∼1000㎚의 근적외선을 흡수 또는 반사하여 컷오프하기 위해 적외선 컷오프층이 형성된다. 적외선 컷오프층은 통상 결착제로서 사용되는 수지,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하드 코트층을 구성하는 수지에 적외선 컷오프제인 염료 또는 안료를 혼합ㆍ분산한 것을 적층하여 형성된다. 적외선 컷오프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염료계 적외선흡 수제로는 미쓰이석유화학사제의 SIR159나 SIR128, 일본촉매화학사제의 이엑스 컬러 803K나 901B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안료계 적외선 흡수제로는 투명성 및 분산성의 관점에서, 그 평균입경이 1OO㎚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35㎚가 바람직하고, 구체예로는 ITO 분말이 바람직하다.
그 ITO 분말은 일반 주지의 제법, 즉, In과 소량의 Sn의 수용염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알칼리와 반응시켜 In과 Sn의 수산화물을 공침시켜, 이 공침물을 원료로서 얻은 후, 이 원료를 CO, NH3, H2 등의 환원성 분위기 중에서 가열소성하여 산화물로 변환시킨 것이 사용된다. 이 경우의 ITO 분말은 원료를 환원성 분위기 중에서 가열소성되며, 그 성분 몰 비로는 In/Sn/O2가 10O/5∼10/O.5∼10, 바람직하게는 100/5∼10/O.5∼2이다. 이와 같이 환원처리된 ITO 분말을 사용하여 작성한 막은 분광광도계(시마즈제작소사제: UV3100)를 사용하여 측정한「JIS K8701」에 의한 색좌표가 X=0.31 ±0.1, y=0.32 ±0.1, z=0.37 ±0.1이고, 청색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ITO 분말은 최단 적외선 컷오프 파장이 800㎚로, 적외선 컷오프 기능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이러한 ITO 분말이 분산된 본 발명의 적외선 컷오프층의 색은 ITO 분말의 색이 반영된 것, 즉 색좌표가 상기와 같이 투명감이 있는 청색을 나타내는 것으로 된다.
적외선 컷오프층용 도료를 구성하는 적외선 컷오프제의 분말과 수지와의 배합비는 분말/수지가 중량비로 90/10∼60/40, 바람직하게는 85/15∼65/35, 더욱 바람직하게는 80/20∼70/30의 경우에 1㎛ 정도의 박층이어도 양호한 적외선 컷오프성 능이 얻어지고, 높은 투명성을 가지며, 또한 흐림이 적은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분말의 혼합비가 9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말에 의해 착색되거나 흐림 정도가 높아짐과 동시에 금속광택이 증가하고, 적외선 컷오프층의 박리나 응집파괴를 초래하며, 또한 베이스 필름과의 밀착성이 열화된다. 또한, 분말의 혼합비가 6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목적으로 하는 적외선 컷오프가 달성되지 않는다.
④ 적층방법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 기체의 한 면에 직접 또는 다른 층을 통해 광학적 기능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상술한 수지 중에 적절히 필요한 재료를 혼합하여, 이것을 페인트 세이커, 샌드 밀, 펄 밀, 볼 밀, 아토라이터, 롤 밀, 고속 임펠러 분산기, 제트 밀, 고속 충격 밀, 초음파 분산기 등으로 분산하여 도료 또는 잉크로 하고, 이것을 에어 닥터 코팅, 블레이드 코팅, 나이프 코팅, 리버스 코팅, 트랜스퍼 롤 코팅, 그라비아 롤 코팅, 키스 코팅, 캐스트 코팅, 스프레이 코팅, 슬롯 오리피스 코팅, 캘린더 코팅, 전착 코팅, 딥 코팅, 다이 코팅 등의 코팅이나 플렉소인쇄 등의 볼록판 인쇄, 다이렉트 그라비아 인쇄, 오프셋 그라비아 인쇄 등의 오목판 인쇄, 오프셋 인쇄 등의 평판 인쇄, 스크린 인쇄 등의 공판 인쇄 등의 인쇄 방법에 의해 투명 기체의 한 면상에 단층 또는 다층으로 나눠 형성하며, 용매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는, 열건조 공정을 거쳐, 방사선(자외선인 경우, 광중합개시제가 필요) 조사 등에 의해 도공층 또는 인쇄층을 경화시킴으로써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방사선이 전자선에 의한 경우는 코크로프트 왈톤(Cockroft-Waltons)형, 반데그라프(van de Graaff)형, 공진변압형, 절연코어변압기형, 직선형, 다이나미트 론형, 고주파형 등의 각종 전자선 가속기로부터 방출되는 50∼1000KeV의 에너지를 갖는 전자선 등이 사용되며, 자외선의 경우는, 초고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카본 아크, 크세논 아크,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의 광선으로부터 발하는 자외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광학적 기능층의 도료의 도공 적성 또는 인쇄 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에 따라, 실리콘 오일 등의 레벨링제, 폴리에틸렌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고급 알콜, 비스아마이드, 고급 지방산 등의 유지, 이소시아네이트 등의 경화제, 탄산칼슘이나 실리카 졸, 합성운모 등 0.05㎛ 이하의 초미립자 등의 첨가제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C. 점착층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점착층에 사용되는 점착제로는 JIS Z 0237에 규정되는 점착력(180°박리력)이 1500g/25㎜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0g/25㎜ 이하인 점착제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로는 고온, 고습하에서의 강제 노화시험에서 박리되거나 거품의 발생이 없는 것이 요구되고, 또한 재박리성이 있으며, 박리시에 페이스트 잔여물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점착제로는 아크릴계, 고무계, 폴리비닐에테르계, 실리콘계 등의 점착제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가장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알킬(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와 중합성 불포화 카복실산 또는 수산기 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를, 또는 알킬(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와 공중합성 비닐계 모노머를, 유기 용제 중 또는 수 매체 중에서 공중합시켜 얻어진 다. 중합방법으로는 라디칼 중합법, 용액 중합법, 현탁 중합법, 유화 중합법 등이 사용된다. 이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수평균분자량이 10000∼1000000, 바람직하게는 50000∼5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O∼400000인 것이 좋다. 수평균분자량이 10000 미만이면 수지 조성물층의 균일형성이 곤란해지고, 또한 1000000을 넘으면 탄성이 높아져서, 도공량의 조정이 곤란해지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알킬(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로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메틸, (메타)아크릴산부틸, (메타)아크릴산옥틸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성분으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아크릴레이트 성분으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n-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관능기로서 카복시기 및/또는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상기 알킬(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에 병용함으로써, 카본의 분산성이 향상한다. 특히, 산성 카본을 사용한 경우에는 분산성이 더욱 향상한다. 이러한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로는 카복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말레인산, 이타콘산, 크로톤 산 등, 히드록시기를 갖는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에스테르, 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에스테르, 2-히드록시비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상기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성분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점착제에는 가교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가교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알루미킬레이트, 아지리디닐계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 가교제의 배합량은 아크릴계 점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01∼1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층은 상기와 같은 점착제를 유기용제에 용해하여, 롤 코터, 리버스 코터, 콤마 코터, 립 코터, 다이 코터 등의 도공기에 의해 이 용액을 투명기재에 도포하여 형성된다. 이 때, 점착층의 투명 기재와는 반대측에, 박리처리를 실시한 필름 또는 종이 등을 적층함으로써, 취급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D. 그 밖의 층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투명 기체, 광학적 기능층 및 점착층을 기본 구성으로 하는 것으로, 또한 필요에 따라 하드 코트층, 방현층 등을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은 상기 광학적 기능층의 결착제로서 하드 코트제(수지)가 사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하드 코트층 및 방현층은 상기 광학적 기능층의 적층방법과 동일하게 행하여, 투명 기체와 광학적 기능층 사이 또는 광학적 기능층 표면에 형성된다. 이하, 이들에 관해 설명한다.
① 하드 코트층
하드 코트층을 구성하는 수지로는 하드 코트용 수지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 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하드 코트란 후술하는 연필경도가 H 이상인 것을 말한다. 이러한 수지로는 방사선, 열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시킴으로써 경화하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는 아크릴로일기, 메타아크릴로일기,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 등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모노머, 올리고머, 프레폴리머를 적절히 혼합한 조성물이 사용된다. 모노머의 예로는 스티렌, 메틸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아크릴레이트 등의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드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드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드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아크릴산벤조산에스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벤조산에스테르 등의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 유도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 유도체, 글리세린디메타아크릴레이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 네트, 펜타에리드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올리고머, 프레폴리머로는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 알키드아크릴레이트, 멜라민아크릴레이트,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레이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에폭시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다수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모노머는 경화막의 가요성이 요구되는 경우는 약간 적게 하고, 또한 가교밀도를 낮게 하기 위해서는, 1관능, 2관능의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대로 경화막에 내열성, 내마모성, 내용제성 등 가혹한 내구성을 요구되는 경우는, 모노머의 양을 늘리고 3관능 이상의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경화하는 데에는, 예컨대 자외선, 전자선, X선 등의 방사선을 조사하면 좋지만, 필요에 따라 적절히 중합개시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에 의해 경화시키는 경우는, 광중합개시제를 첨가해야 한다. 광중합개시제로는 디에톡시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벤질디메틸케탈, 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2-모르폴리노(4-티오메틸페닐)프로판-1-온 등의 아세토페논류,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등의 벤조인에테르류, 벤조페논, o-벤조일벤조산메틸, 4-페닐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술파이드, 4-벤조일-N,N-디메틸-N-[2-(1-옥소-2-프로페닐옥시)에틸]벤젠메탄알루미늄브로마이드, (4-벤조일벤질)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의 벤조페논류, 2,4-디에틸티옥산톤, 1-클로로-4-디 클로티옥산톤 등의 티옥산톤류,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벤조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다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촉진제(증감제) 로서, N,N-디메틸파라톨루이딘,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등 아민계 화합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광중합개시제의 함유량으로는 방사선 경화형 수지에 대하여, 0.1∼10중량%의 범위가 좋다. 이 범위보다 많아도 적어도 효과가 나빠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서 자외선에 의해 경화하는 에폭시계 화합물을 사용하고, 또한 광중합개시제로서 양이온 중합개시제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특히 투명 기체로서 TAC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양호한 밀착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로는 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A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의 글리시딜에테르,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디에폭시-아크릴산 부가물 등의 에폭시 에스테르나, 이하의 화학식으로 이루어지는 지환식 에폭시 등의 모노머 및 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1011974197-pat00001
광 양이온 중합개시제로는 이하의 화학식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하기 화학식에 있어서, R1 및 R2는 탄소수 1∼6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또한, 하기 화학식에 있어서의 벤젠환은 어느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고, 치환기로는 탄소수 1∼6의 알킬기, 할로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화합물은 각 단체로 사용해도 되고, 다수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화학식 2)
Figure 112001011974197-pat00002
상기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사용한 하드 코트층의 경화에 따르는 체적수축률(하기 방법으로 산출)은 20% 이하가 바람직하다. 체적수축률이 20%보다 커지면, 투명 기체가 필름인 경우는 컬이 현저해지고, 또한 기재가 글래스 등 견고한 재료계인 경우는 하드 코트층의 밀착성이 저하된다.
체적수축률: D=(S-S') / S ×100
S: 경화전의 비중
S': 경화후의 비중
(비중은 JIS K-7112의 B법 비중병법에 의해 측정)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에는 방사선 경화형 수지에 대하여, 하이드로퀴논, p-벤조퀴논, t-부틸하이드로퀴논 등의 안정화제(열중합금지제)를 첨가해도 된다. 첨가량은 방사선 경화형 수지에 대하여, 0.1∼5.0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에 사용할 수 있는 열경화형 수지로는 페놀 수지, 푸란 수지, 크실렌ㆍ포름알데히드 수지, 케톤ㆍ포름알데히드 수지,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아닐린 수지, 알키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다수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투명 기체가 플라스틱 필름인 경우는, 열경화 온도를 높게 설정할 수 없다. 특히, PET, TAC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하는 열경화 수지는 100℃ 이하에서 경화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에 사용되는 경화형 수지의 투명성은 높을수록 좋고, 광선투과율(JIS C-6714)로는 투명 기체와 마찬가지로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전방지필름의 반사방지성은 이 경화형 수지의 굴절률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굴절률은 1.45∼1.70의 범위, 특히 1.5∼1.65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이 범위를 넘으면 반사방지효과가 손상된다.
하드 코트층의 두께는 0.5∼1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5㎛의 범위가 좋다. 하드 코트층이 0.5㎛보다 얇은 경우는, 하드 코트층의 내마모성이 열화하거나,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사용한 경우 등에, 산소 저해에 의한 경화 불량을 일으키기도 한다. 1O㎛보다 두꺼운 경우는 수지의 경화수축에 의해 컬이 발생하거나, 하드 코트층에 마이크로 크랙이 발생하거나, 또한 투명 기체와의 밀착성이 저하하기도 한다.
② 방현층
본 발명의 다른 형태로는 기본 구성에 방현층을 또한 형성해도 좋다. 방현층은 통상 결착제로서 사용되는 수지,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드 코트층을 구성하는 수지에 필러를 함유시켜 형성되는 것으로, 층 표면을 조면화함으로써, 빛을 산란 또는 확산시켜 방현성을 부여한 것이다. 필러로는 실리카, 탄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클레이, 탤크, 이산화티탄 등의 무기계 백색 안료, 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등 유기계 투명 또는 백색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구상으로 흡유성을 나타내지 않는 유기 필러가 바람직하고, 구상 필러를 사용함에 따라, 방현층의 표면에서 돌출하는 부분이 완만하게 되어, 유분 등의 오염물이 부착하기 어렵게 됨과 동시에 부착한 오염물을 닦기가 용이해진다.
이러한 필러의 입경(D; JIS B9921)은 0.5㎛ ≤D ≤6.0㎛ 범위인 것이 60중량% 이상, 6.0㎛ < D ≤10.0㎛ 범위인 것이 20중량% 미만, 10㎛ < D ≤15.0㎛ 범위인 것이 5중량% 이하, 15.0㎛보다 큰 것이 1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5.0㎛보다 큰 입자는 될 수 있으면 함유되지 않은(0%)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5㎛ ≤D ≤6.0㎛ 범위인 것이 80중량% 이상, 6.0㎛ < D ≤10.0㎛ 범위인 것이 10중량% 미만, 10㎛ < D ≤15.O㎛ 범위인 것은 전혀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0.5㎛ ≤D ≤6.0㎛ 범위에 있는 필러의 중량%와, 6.0㎛ < D ≤10.0㎛의 범위 에 있는 필러의 중량%, 또한 10㎛ < D ≤15.0㎛ 범위에 있는 필러의 중량%가 각각 60% 미만, 20% 미만, 5% 미만인 경우는 디스플레이의 반사방지효과가 나빠지고, 6.0㎛ < D ≤10.0㎛ 범위에 있는 필러가 20중량% 이상 또는, 10㎛< D ≤15.0㎛ 범위에 있는 필러가 5중량% 이상인 경우는 디스플레이의 화상에 번쩍임이 발생한다.
필러의 배합량에 관해서는 방현층의 전체 고형분 비로, 0.5∼30%의 범위가 좋다. 특히, 1∼15%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0.5% 이하에서는, 반사방지효과가 불충분하고, 30% 이상에서는 투명성,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열화할 뿐만 아니라, 내마모성이나 내환경성 등의 내구성이 악화된다. 또한, 필러의 굴절률(JIS K-7142에 의한 B법)은 경화형 수지와 동등한 것이 바람직하다. 필러의 굴절률이 경화형 수지의 굴절률과 다른 경우는 필러와 수지 계면에서 빛이 확산하여, 투명성이 손상된다. 경화형 수지와 동등한 굴절률을 갖는 필러의 예로는 유기계 필러, 특히 가교 아크릴 비드가 바람직하다.
가교 아크릴 비드로는 아크릴산 및 그 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 및 그 에스테르, 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아크릴계 모노머와 과황산 등의 중합개시제,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가교제를 사용하여, 현탁 중합법 등에 의해 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 및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가교 아크릴계 비드가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아크릴계 모노머로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한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가교 아크릴 비드는 구상으로 흡유성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방현층에 사용한 경우, 우수한 내오염성을 발현할 수 있다. 또한, 가교 아크릴 비드에는 도료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지류, 실란 커플링제, 금속 산화물 등의 유기ㆍ무기 재료에 의한 표면 개질을 행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적층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접착 필름은 JIS K7105에의한 헤이즈값이 3∼30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5∼l5 범위인 것이 좋다. 이 경우, 이 값이 3 미만에서는 광확산효과가 작아 그 만큼 큰 반사방지효과를 얻을 수 없다. 한편, 헤이즈갓이 30를 초과하면, 화상 콘트라스트가 나쁘고 시인성이 불량해져, 디스플레이로서의 기능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헤이즈 값이란 담가(曇價)를 의미하는 것으로, 적분구식 광선투과율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확산투과율(Td%)과 전체 광선투과율(Tt%)을 측정하여, 하기식으로 산출한다.
헤이즈 값 = Td / Tt ×100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접착 필름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착 필름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단면도로, 접착 필름(10)은 투명 기체(11)의 한 면상에 광학적 기능층(12; 유색)이 형성되고, 다른 쪽 면에 점착층(13; 유색)이 형성되며, 또한 이 점착층(13)의 표면에 세퍼레이트 필름(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광학적 기능층(12)은 반사방지층, 대전방지층 및 적외선 컷오프층 중 적어도 1층으로 이루어지는 것, 또는 이들의 기능을 2종류이상 갖도록 형성된 층이다. 또한, 적외선 컷오프층은 투명 기체(11)와 점착층(13) 사이에 형성해도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접착 필름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로, 접착 필름(20)은 투명 기체(21) 상에 하드 코트층(22) 및 그 위에 광학적 기능층으로서 반사방지 하드 코트층(23; 유색)이 형성되고, 다른 쪽 면에 점착층(24; 유색)이 형 성되며, 또한 이 점착층(24)의 표면에 세퍼레이트 필름(25)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접착 필름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로, 접착 필름(30)은 투명 기체(31) 상에 제 1 광학적 기능층으로서 반사방지 하드 코트층(32; 유색) 및 그 위에 제 2 광학적 기능층으로서 대전방지층(33; 유색)이 형성되고, 다른 쪽 면에 제 3 광학적 기능층으로서 적외선 컷오프층(34; 유색) 및 그 위에 점착층(35; 유색)이 형성되며, 또한 이 점착층(35)의 표면에 세퍼레이트 필름(36)이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접착 필름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로, 접착 필름(40)은 투명 기체(41) 상에 제 1 광학적 기능층으로서 반사방지ㆍ대전방지 하드 코트층(42; 유색)이 형성되고, 다른 쪽 면에 제 2 광학적 기능층으로서 적외선 컷오프층(43; 유색) 및 그 위에 점착층(44; 유색)이 형성되며, 또한 이 점착층(44)의 표면에 세퍼레이트 필름(4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1에서는 광학적 기능층(12) 및 점착층(13), 도 2에서는 반사방지 하드 코트층(23) 및 점착층(24), 도 3에서는 반사방지 하드 코트층(32), 대전방지층(33), 적외선 컷오프층(34) 및 점착층(35), 도 4에서는 반사방지ㆍ대전방지 하드 코트층(42), 적외선 컷오프층(43) 및 점착층(44)이 유색이고, 이들 색은 최종적인 접착 필름의 층구성에 있어서 혼합하였을 때에 무채색이 되도록 설정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이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은 우수한 화상 콘트라스트 및 색재현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도 2∼4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들 적층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아크릴 폴리머 a의 중합>
온도계, 교반기, 환류냉각관, 질소도입관을 구비한 플라스크 중에 n-부틸아크릴레이트 94중량부, 아크릴산 6중량부, 과산화벤조일 0.3중량부, 초산에틸 40중량부, 톨루엔 60중량부를 가하고, 이어서 질소도입관으로부터 질소를 도입하여 플라스크내를 질소분위기로 한 후, 65℃로 가온하여 10시간 중합반응을 행하여, 중량평균분자량 약 120만(수평균분자량 약 30만), Tg 약 -49℃의 아크릴 폴리머 용액을 얻었다. 이 아크릴 폴리머 용액에 초산에틸을 가하여, 아크릴 폴리머 용액 a(고형분 20중량%)를 얻었다.
<실시예 1>
하기 배합의 도전재료, 저굴절 졸등의 혼합물을 펄 밀로 30분간 분산하여 얻어진 분산액과, 하기 베이스 도료를 디스퍼로 15분간 교반, 혼합한 도료를 투명 기체로서의 막두께 188㎛, 광선투과율 91%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상품명: 메리넥스 535, 帝人 듀퐁사제)의 한 면상에 리버스 코팅 방식으로 도포하여, 100℃에서 30초간 건조시켰다. 이어서, 출력 120W/cm의 집광형 고압수은등 1등을 사용하여, 조사거리(램프 중심에서 도공면까지의 거리) 1Ocm, 처리속도(도공 기체측의 수은등에 대한 속도) 1Om/분으로 자외선 조사를 행하여, 도공막을 경화시켜, 두께 7.1㎛의 반사방지ㆍ대전방지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였다.
분산액의 배합:
ㆍ도전재료
산화주석(상품명: SN100, 이시하라산업사제, 입경: 100㎚) 200부
ㆍ저굴절률 재료
실리카 졸(상품명: OSCAL 특수품, 촉매화성공업사제, 고형분 20% 메틸에틸케톤(MEK) 희석용제, 입경: 7nm) 65부
ㆍ티타네이트계 분산제(상품명: T-50, 日本曹達社製) 7부
ㆍMEK 540부
ㆍ이소부탄올 410부
ㆍ디아세톤알콜 130부
베이스 도료의 배합:
ㆍUV 수지(상품명: 유니디크 17-806, 대일본잉크화학공업사제,
고형분 80%) 250부
ㆍ광중합개시제(상품명: 일가큐아 907, 티바스페샤리틱케미칼사제) 10부
ㆍMEK 145부
다음에, 상기 아크릴 폴리머 용액 a 500중량부에,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렌디아민 O.1중량부를 가하여, 점착제 도공액 a'를 얻었다. 또한, 별도 아크릴 폴리머 용액 a 500중량부에, 착색 안료(카본 블랙/디옥산바이올렛/모노클로로시아닌블루=75/l2.5/12.5)를 6중량부 첨가한 후 교반하여, 착색 안료를 충분히 분산시킨 착색 안료 용액 A를 제작하였다.
점착제 도공액 a' 100중량부(점착제 고형분 농도 20중량%)에 착색 안료 용액 A 0.2중량부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되도록 교반한 후, 두께 38㎛의 박리처리를 실시한 PET 필름에, 건조후의 착색 점착층의 두께가 20㎛가 되도록 도공하여 건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투명 기체의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지 않은 면에, 이 착색 점착층면을 접착하여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
하기 배합의 도료를 디스퍼로 15분간 교반, 혼합한 도료를 사용하여, 투명 기체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도포ㆍ건조ㆍ경화하여 적외선 컷오프 기능을 갖는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고,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여 착색 점착층을 형성하여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을 얻었다.
도료의 배합:
ㆍ적외선 컷오프제
ITO 분말(일차 입경: 약 50㎚, 성분 몰 비: In/Sn/O2= 100/5/0.9) 52부
ㆍUV 경화형 수지(상품명: 유니디크 17-806, 대일본잉크화학공업사제,
고형분 80%) 24부
ㆍ광중합개시제(상품명: 일가큐아 907, 티바스페샤리틱케미칼사제) 1부
ㆍ메틸이소부틸케톤 24부
< 비교예 >
실시예 1에 있어서 착색 안료 용액 A의 첨가를 행하지 않고 착색하지 않은 점착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여, 비교예의 접착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접착 필름을 사용하여, 하기 방법에 따라 a값과 b값의 측정, 및 화상 콘트라스트의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1. Lab에 의한 색상표시
상기에서 얻어진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접착 필름으로부터 박리처리를 실시한 PET 필름을 박리하여, 글래스판(마이크로슬라이드글래스, 마츠나미 글래스사제)에 접합시켜, 분광광도계(가시자외분광광도계 UVDEC-670형, 일본분광공업사제)를 사용하여 a값과 b값을 측정하였다.
2. 화상 콘트라스트의 평가
상기에서 얻어진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접착 필름으로부터 박리처리를 실시한 PET 필름을 박리하여, 각 접착 필름을 퍼스널용 컬러 그래픽 전자 디스플레이(DELL 사제, "D1726T-HS")의 화면 좌반분에 접착하여, 화면 좌우(필름 접착면과 필름 비접착면)의 흑백 콘트라스트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여기서는 콘트라스트의 개선이 보여진 것을
Figure 112001011974197-pat00003
, 변화가 없던 것을 △, 악화한 것을 ×로 하였다. 또한, 이 때의 디스플레이의 휘도는 가장 밝게 한 상태로 하였다.
Figure 112001011974197-pat00004
표 1의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접착 필름은 a값 및 b값이 동시에 작은 값으로, 무채색의 범위내인데 대하여, 비교예의 접착 필름은 a값 및 b값이 크게 화상의 표시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었다. 또한, 접착 필름을 접착 한 디스플레이 표면에서의 흑백의 콘트라스트의 평가에 있어서는, 비교예에서는 거의 변화가 보이지 않지 않는데 대하여, 실시예에서는 필름 비접착면에 비하여 흑백의 구별이 분명해져, 흑백의 콘트라스트를 양호하게 개선할 수 있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반사방지성, 대전방지성, 또는 적외선 컷오프성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에 있어서, 이들 층구성 중 적어도 2층 이상을 유색으로 하여, 이들 색은 혼합하였을 때에 무채색이 되는 관계로 함으로써, 우수한 화상 콘트라스트 및 색재현성을 발휘할 수 있다.

Claims (6)

  1. 투명 기체, 광학적 기능층 및 카본 블랙을 함유하는 점착층의 적어도 3층을 갖는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에 있어서, 이 접착 필름의 적층 구성에서 적어도 2층 이상이 유색이고, 이들 색은 혼합하였을 때에 무채색이 되는 관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투명 기체의 한 면에 광학적 기능층, 다른 쪽 면에 점착층이 형성된 적층 구성을 갖고, 또한 이 광학적 기능층이 반사방지 기능, 대전방지 기능 및 적외선 컷오프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투명 기체의 한 면에 광학적 기능층 및 점착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적층 구성을 갖고, 이 광학적 기능층이 적외선 컷오프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적 기능층이 하드 코트제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적 기능층이 하드 코트제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체의 다른 쪽 면에 하드 코트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
KR1020010028376A 2000-05-31 2001-05-23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 KR1007757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62346 2000-05-31
JP2000162346A JP3679976B2 (ja) 2000-05-31 2000-05-31 ディスプレイ用貼着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103A KR20010109103A (ko) 2001-12-08
KR100775727B1 true KR100775727B1 (ko) 2007-11-09

Family

ID=18666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8376A KR100775727B1 (ko) 2000-05-31 2001-05-23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20039651A1 (ko)
JP (1) JP3679976B2 (ko)
KR (1) KR100775727B1 (ko)
TW (1) TW5657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6102A (ja) * 2000-06-19 2002-01-09 Nof Corp 近赤外線遮蔽性減反射材およびその用途
JP2003025510A (ja) * 2001-07-16 2003-01-29 Shin Etsu Chem Co Ltd 反射防止性及び耐擦傷性を有する多層積層体
DE10160356A1 (de) * 2001-12-08 2003-06-26 Nanogate Technologies Gmbh IR-Schutz
DE50310933D1 (de) * 2002-06-24 2009-01-29 Air Prod & Chem Beschichtungsmaterial
JP2004264327A (ja) * 2003-01-22 2004-09-24 Fuji Photo Film Co Ltd 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US20060204676A1 (en) * 2005-03-11 2006-09-14 Jones Clinton L Polymerizable composition comprising low molecular weight organic component
US20090250568A1 (en) * 2005-04-05 2009-10-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Glass plate and television stand
TWI317751B (en) * 2005-12-30 2009-12-01 Ind Tech Res Inst Infrared cut-off hard coating, method of forming the same and multi-functional optical film thereof
JP5064684B2 (ja) * 2006-01-09 2012-10-31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983046B2 (ja) * 2006-02-28 2012-07-25 東洋紡績株式会社 近赤外線吸収フィルムロ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5008059B2 (ja) * 2006-04-26 2012-08-22 日東電工株式会社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偏光板、画像表示装置および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220286B2 (ja) * 2006-06-15 2013-06-26 日東電工株式会社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8032763A (ja) * 2006-07-26 2008-02-14 Nitto Denko Corp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8063462A (ja) * 2006-09-07 2008-03-21 Tokyo Ohka Kogyo Co Ltd 接着剤組成物、接着フィルム及び当該接着剤組成物の製造方法
EP2090594B1 (en) * 2006-11-09 2010-11-24 DIC Corporation Active-energy-ray-curable water-based resin composition, active-energy-ray-curable coating material, method of forming cured coating film, and article
KR101325884B1 (ko) * 2006-11-29 2013-11-0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블랙매트릭스
JP5151234B2 (ja) * 2007-04-26 2013-02-27 凸版印刷株式会社 加飾成形品
US7799504B2 (en) * 2007-06-05 2010-09-21 Eastman Kodak Company Mask film to form relief images and method of use
KR20090076753A (ko) * 2008-01-08 2009-07-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투명한 수지 조성물
KR20090076754A (ko) * 2008-01-08 2009-07-13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위상차 필름, 보호 필름 및 이들을 포함하는액정 표시 장치
US8613986B2 (en) 2008-04-30 2013-12-24 Lg Chem, Ltd. Optical film and information technolog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1091534B1 (ko) * 2008-04-30 2011-1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정보전자 장치
KR101105424B1 (ko) * 2008-04-30 2012-0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 필름
JP2010266473A (ja) * 2009-05-12 2010-11-25 Nissha Printing Co Ltd 色味を持つ保護パネルを備えた発光表示装置
JP2013178469A (ja) * 2012-02-03 2013-09-09 Nlt Technologies Ltd 光学素子
US10717260B2 (en) * 2012-07-05 2020-07-21 Sony Corporation Manufacturing method of laminated structure, laminated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KR101628435B1 (ko) * 2013-01-21 2016-06-08 제일모직주식회사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KR20160095315A (ko) * 2015-02-02 2016-08-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6728561B2 (ja) * 2015-09-15 2020-07-22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偏光子保護フィルム、これを含む偏光板、および前記偏光板を含む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987265B1 (ko) 2015-09-15 2019-06-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자 보호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22843B1 (ko) * 2016-02-15 2024-01-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것의 하드 코팅 고분자 제조방법
US11204454B2 (en) 2016-12-27 2021-12-21 Riken Technos Corporation Layered film having antireflection function and infrared-shielding function
CN107515434A (zh) * 2017-10-11 2017-12-26 苏州世轩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防眩光防反光阻蓝光屏幕及其使用的膜
CN107521416A (zh) * 2017-10-11 2017-12-29 苏州世轩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防眩光防反光后视镜
JP6937338B2 (ja) * 2019-05-27 2021-09-2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表示体および粘着シー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7244A (ja) * 1998-11-12 2000-05-26 Mitsui Chemicals Inc 光学フィルタ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9643A (en) * 1987-01-16 1998-06-02 Seiko Epson Corporation Polarizing plate and method of production
JPH10223159A (ja) * 1997-02-06 1998-08-21 Hitachi Ltd カラー陰極線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7244A (ja) * 1998-11-12 2000-05-26 Mitsui Chemicals Inc 光学フィル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39651A1 (en) 2002-04-04
KR20010109103A (ko) 2001-12-08
JP2001343519A (ja) 2001-12-14
JP3679976B2 (ja) 2005-08-03
TW565704B (en) 200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5727B1 (ko)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
JP3560532B2 (ja) ディスプレイ用帯電防止フィルム
KR100598642B1 (ko) 반사방지재료 및 그것을 사용한 편광 필름
KR100309891B1 (ko) 방현 재료 및 이를 사용한 편광 필름
KR101487039B1 (ko) 광학 적층 필름
KR100511576B1 (ko) 반사방지재료,그제조방법및편광필름
US20080057262A1 (en) Low-Reflection Material
JP3515447B2 (ja) 反射防止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フィルム
JP2001287308A (ja) プラスチック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保護フイルム
JP2007148383A (ja) 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3092782A (ja) 光学積層体
JPH11287902A (ja) 反射防止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フィルム
JP2009048092A (ja) 光学積層体
JP5490487B2 (ja) 光学積層体
JP5753285B2 (ja) 光学積層体
JP2002006109A (ja) 反射防止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偏光フィルム
JP2000147208A (ja) 反射防止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フィルム
JP4926002B2 (ja) 光学積層体
JP3352921B2 (ja) 反射防止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フィルム
JP5426329B2 (ja) 光学積層体
JPH11305007A (ja) 反射防止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フィルム
JP2011098445A (ja) 光学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表示装置
JP2008197414A (ja) 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H11183711A (ja) 反射防止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フィルム
JP3370578B2 (ja) 反射防止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偏光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