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3627B1 - 트랙터의 미션 구조 - Google Patents

트랙터의 미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3627B1
KR100773627B1 KR1020060016519A KR20060016519A KR100773627B1 KR 100773627 B1 KR100773627 B1 KR 100773627B1 KR 1020060016519 A KR1020060016519 A KR 1020060016519A KR 20060016519 A KR20060016519 A KR 20060016519A KR 100773627 B1 KR100773627 B1 KR 100773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ing
speed
transmission
creep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6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3655A (ko
Inventor
겐이찌로 쯔지
도시미쯔 야자끼
도시노부 오오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60093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3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2063/005Preassembled gear shift units for mounting on gear c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23Disconnectable counter shaf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33Plurality of counter shaf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42Combined gear and clutch
    • Y10T74/19247Presel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51Control mechanism
    • Y10T74/19256Automatic
    • Y10T74/1926Speed respon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84Meshing assis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93Longitudinally slidable
    • Y10T74/19298Multiple spur gears
    • Y10T74/19307Selective
    • Y10T74/19312Direct clutch and dr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358Laterally slidable gea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372Single forward and reverse spe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377Slidable keys or clutches
    • Y10T74/19414Single clutch shaft
    • Y10T74/19419Progressive
    • Y10T74/19442Single key
    • Y10T74/19451Spur gears
    • Y10T74/19465Sliding clutch oper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1Elements
    • Y10T74/2186Gear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Arrangement Of Transmission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트랙터의 변속 장치의 주변속 장치를 변속 절환 조작을 하는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와, 상기 변속 장치의 부변속 장치를 변속 절환 조작을 하는 부변속용 시프트 포크를 변속 장치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트랙터의 미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복수단으로 변속하는 주변속 장치(41)와, 이 주변속 장치(41)를 거친 동력을 또한 변속하는 부변속 장치(42)를 트랙터의 차체를 구성하는 전동 케이스(5)에 수용하고, 이 전동 케이스(5)에 형성된 개구부(59)를 폐색하도록 상기 전동 케이스(5)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커버(60)를 구비하고, 이 커버(60)에 주변속 장치(41)를 변속 절환 조작하는 주변속용 시프터(55b, 56b, 57b)에 결합하여 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61 내지 63)와, 부변속 장치(42)를 변속 절환 조작하는 부변속용 시프터(104)에 결합하여 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부변속용 시프트 포크(122)를 조립 부착한다.
주변속 장치, 전동 케이스, 부변속 장치, 커버, 개구부, 시프트 포크

Description

트랙터의 미션 구조 {TRANSMISSION FOR TRACTOR}
도1은 부변속 장치 및 크립 변속 장치의 바닥면 단면도.
도2는 부변속 장치 및 크립 변속 장치의 시프트 부분의 단면 확대도.
도3은 트랙터 차체 전방부의 우측으로부터 본 측면 단면도.
도4는 트랙터 차체 후방부의 우측으로부터 본 측면 단면도.
도5는 전후진 절환 장치 및 변속 장치의 측면 단면도.
도6은 클러치 하우징 및 커버 등의 배면 단면도.
도7은 커버의 측면도.
도8은 주변속 장치, 부변속 장치 및 크립 변속 장치의 시프트 기구의 측면도.
도9는 주변속 장치, 부변속 장치 및 크립 변속 장치의 시프트 기구의 평면도.
도10은 주변속 장치의 조작 기구의 평면 단면도.
도11은 도7의 A-A선 화살표도.
도12는 도7의 B-B선 화살표도.
도13은 도7의 C-C선 화살표도.
도14a는 주변속 장치의 변속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 도14b는 부변속 장치 및 크립 변속 장치의 변속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
도15는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
도16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크립 변속 장치의 평면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전동 케이스
11 : 변속 장치
41 : 주변속 장치
42 : 부변속 장치
43 : 크립 변속 장치
55b : 제1 주변속용 시프터
56b : 제2 주변속용 시프터
57b : 제3 주변속용 시프터
59 : 개구부
60 : 커버
61 : 제1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
62 : 제2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
63 : 제3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
104 : 부변속용 시프터
119 : 크립 변속용 시프터
122 : 부변속용 시프트 포크
123 : 크립 변속용 시프트 포크
125 : 부변속 레버(조작 레버)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0781호 공보
본 발명은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하여 구동륜으로 전달하는 변속 장치를, 트랙터의 차체를 구성하는 전동 케이스에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트랙터의 미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트랙터에 있어서는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하여 구동륜으로 전달하는 변속 장치를, 트랙터의 차체를 구성하는 전동 케이스에 수용하고 있고, 이 변속 장치는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복수단으로 변속하는 주변속 장치와, 이 주변속 장치를 거친 동력을 더 변속하는 부변속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주변속 장치 및 부변속 장치는 시프터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 변속 절환이 이루어지고, 상기 시프터는 시프트 포크에 의해 미끄럼 이동 조작되고, 상기 시프트 포크는 조작 레버에 의해 조작된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0781호 공보
종래에 있어서는, 주변속용 또는 부변속용의 시프트 포크는 전동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된 지지벽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시프트 로드에 부착되어 있고, 전동 케이스에 조립 부착되는 것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보아 트랙터의 변속 장치의 주변속 장치를 변속 절환 조작을 하는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와, 상기 변속 장치의 부변속 장치를 변속 절환 조작을 하는 부변속용 시프트 포크를 변속 장치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트랙터의 미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하여 구동륜으로 전달하는 변속 장치를 트랙터의 전동 케이스에 수용하고, 이 변속 장치는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복수단으로 변속하는 주변속 장치와, 이 주변속 장치를 거친 동력을 더 변속하는 부변속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동 케이스로 형성된 개구부를 폐색하도록 상기 전동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커버를 구비하고,
이 커버에 주변속 장치를 변속 절환 조작하는 주변속용 시프터에 결합하여 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와, 부변속 장치를 변속 절환 조작하는 부변속용 시프터에 결합하여 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부변속용 시프트 포크를 조립 부착하고, 상기 커버는 초저속으로 변속 가능한 크립 변속 장치를 부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 케이스로 형성된 개구부를 폐색하는 커버에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와 부변속용 시프트 포크를 조립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전동 케이 스의 외측에서 상기 커버에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와 부변속용 시프트 포크를 조립 부착한 후에, 커버를 개구부를 막도록 전동 케이스에 부착함으로써,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와 부변속용 시프트 포크를 전동 케이스 내의 변속 장치에 조립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와 부변속용 시프트 포크를 변속 장치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커버에는, 필요하면 초저속으로 변속 가능한 크립 변속 장치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적절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크립 변속 장치가 상기 커버에 부착되었을 때에 상기 크립 변속 장치를 온 오프하는 크립 변속용 시프터에 결합하여 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크립 변속용 시프트 포크가 조립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절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상기 크립 변속 장치가 더 마련되고, 상기 크립 변속 장치를 부변속 장치와 구동륜 사이의 동력 전달 계통에 상기 개구부를 통해 계지 이탈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적절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크립 변속용 시프트 포크를 부변속용 시프트 포크에 마련하고 이들 시프트 포크를 1개의 조작 레버로 조작 가능하게 하고, 상기 조작 레버에 의해 부변속용 시프터와 크립 변속용 시프터를 동일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킴으로써, 부변속 장치의 고속 상태와, 부변속 장치의 저속 상태와, 초저속 상태로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3에 있어서, 부 호 1은 클러치 하우징이며, 이 클러치 하우징(1)은 엔진의 후단부측에 연결된 플라이휠 하우징(2)의 후단부측에 연결되어 있고, 도4에 있어서 부호 3은 클러치 하우징(1)의 후단부측에 연결된 미션 케이스이며, 이 미션 케이스(3)의 후단부측 개구는 후방부 커버(4)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하우징(전방부 케이스)(1)과 미션 케이스(후방부 케이스)(3)이고, 트랙터의 차체의 일부를 구성하는 전동 케이스(5)가 구성되고, 상기 전동 케이스(5)와, 엔진과, 플라이휠 하우징(2) 등으로 트랙터의 차체가 주요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동 케이스(5) 내에는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구동륜에 전달하는 주행계 동력 전달 계통과 PTO축(6)에 전달하는 PTO계 동력 전달 계통을 갖는 동력 전달 장치(7)가 수용되어 있다. 이 동력 전달 장치(7)의 주행계는 엔진의 크랭크축(8)으로부터 플라이휠(9) 등을 통해 동력이 전달되는 추진축(10)과, 이 추진축(10)으로부터의 동력을 토크를 변환하여 후륜 등으로 전달하는 변속 장치(11)와, 추진축(10)으로부터 변속 장치(11)로 전달되는 동력의 회전 방향을 바꿔 트랙터의 전ㆍ후진을 절환하는 상기 전후진 절환 장치(셔틀)(12)와, 변속 장치(11)로부터의 동력을 좌우의 후륜에 전달하는 후륜 차동 장치(13)와, 변속 장치(11)를 거친 후의 동력을 전륜으로 전달하는 전륜 추진축(14)을 구비하고 있다.
추진축(10) 및 전륜 추진축(14)은 전후 방향의 축심을 갖는다. 또한, 동력 전달 장치(7)의 PTO계는 상기 추진축(10)의 후방부에 동일 축심 형상으로서 직결된 PTO 구동축(16)과, 이 PTO 구동축(16)의 후방에 동일 축심 형상으로 마련된 PTO 전동축(17)과, PTO 구동축(16)으로부터 PTO 전동축(17)에 동력을 단속 가능하게 전달 하는 PTO 클러치(18)와, PTO 전동축(17)으로부터의 동력을 감속하여 PTO축(6)에 전달하는 감속 장치(19)를 구비하고 있다. 추진축(10)은, 그 전방부측이 플라이휠(9)이 마련된 클러치 하우징(1)의 제1실(20)과 전후진 절환 장치(12)가 마련된 클러치 하우징(1)의 제2실(21)을 구획하는 격벽(22)에 축받이를 통해 지지되어 있고, 후방부측이 상기 제2실(21)과, 변속 장치(11)가 마련된 클러치 하우징(1)의 제3실(24)을 구획하는 칸막이 벽(25)에 축받이를 통해 지지되어 있다.
도5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진 절환 장치(12)는 추진축(10) 상에 마련된 유압 클러치(26)와, 이 유압 클러치(26)의 후방측에 있어서 추진축(10) 상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전진 출력 기어(27)와, 유압 클러치(26)의 전방측에 있어서 추진축(10) 상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후진 출력 기어(28)와, 추진축(10)의 하방측에 상기 추진축(10)과 평행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격벽(22)ㆍ칸막이 벽(25)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후진 전동축(29)과, 이 후진 전동축(29)의 전방부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후진 제1 전동 기어(30)와, 후진 전동축(29)의 후방부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후진 제2 전동 기어(31)를 구비하고 있다.
전진 출력 기어(27)와 후진 제2 전동 기어(31)는 변속 장치(11)에 동력을 입력하는 입력 기어(32)에 맞물리고 있고, 후진 제1 전동 기어(30)는 후진 출력 기어(28)에 맞물리고 있다. 유압 클러치(26)는 추진축(10) 상에 동일 축심 형상으로서 고정된 클러치 몸체(33)와, 추진축(10) 상에 동일 축심 형상으로 또한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후방측의 전진용 내측 통체(34) 및 전방측의 후진용 내측 통체(35)와, 이들 클러치 몸체(33)와 각 내측 통체(34, 35) 사이에 개재 장착된 전진용 클러치 부재(36) 및 후진용 클러치 부재(37)와, 클러치 몸체(33)의 내부에 축심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전진용 피스톤(38) 및 후진용 피스톤(39)을 구비하고 있다.
전진 출력 기어(27)는 전진용 내측 통체(34)에 일체로 형성되고, 후진 출력 기어(28)는 후진용 내측 통체(35)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전진용 및 후진용의 각 클러치 부재(36, 37)는, 다수의 마찰판을 서로 근접시켜 이루어지는 유압 다판식인 것이고, 도시를 생략한 절환 밸브로부터의 작동유로 작동하는 전진용 및 후진용의 각 피스톤(38, 39)에 의해 압접ㆍ이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전후진 절환 장치(12)에 있어서는 전진용 피스톤(38)을 작동시켜 전진용 클러치 부재(36)를 압접하면, 전진용 내측 통체(34)가 클러치 몸체(33)에 직결하여 추진축(10)의 동력이 전진 출력 기어(27)에 전달되고, 이 전진 출력 기어(27)로부터 상기 입력 기어(32)에 전진 동력이 전달되고, 또한 후진용 피스톤(39)을 작동시켜 후진용 클러치 부재(37)를 압접하면, 후진용 내측 통체(35)가 클러치 몸체(33)에 직결하여 추진축(10)의 동력이 후진 출력 기어(28) → 후진 제1 전동 기어(30) → 후진 전동축(29)을 경유하여 후진 제2 전동 기어(31)에 전달되고, 이 제2 전동 기어(31)로부터 상기 입력 기어(32)에 후진 동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변속 장치(11)는 전후진 절환 장치(12)를 거친 동력을 제1속 내지 제6속의 6단으로 변속 가능한 주변속 장치(41)와, 이 주변속 장치(41)를 거친 동력을 또한 고저 2단으로 변속 가능한 부변속 장치(42)와, 주변속 장치(41)를 거친 후의 동력을 부변속 장치(42)의 저속보다도 느린 초저속으로 변속 가능한 크립 변속 장치 (43)와, 전후진 절환 장치(12)로부터 동력이 입력되는 입력축(44)과, 이 입력축(44)으로부터 주변속 장치(41)를 통해 동력이 전달되는 카운터축(45)과, 변속 장치(11)에 의해 변속된 동력을 출력하는 출력축(46)을 구비하고 있다. 입력축(44)은 전후진 절환 장치(12)의 후방측으로 또한 PTO 구동축(16)의 우측에 상기 PTO 구동축(16)과 평행 형상으로서 배치되어 있고, 이 입력축(44)의 전방부는 칸막이 벽(25)에 축받이를 통해 지지되고, 후방부는 클러치 하우징(1)의 후단벽(47)에 축받이를 통해 지지되어 있고, 입력축(44)의 전단부는 칸막이 벽(25)으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제2실(21)로 돌출한 부분에 상기 입력 기어(32)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입력축(44)의 전단부를 전후진 절환 장치(12)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돌출 부분에 입력 기어(32)를 마련하고, 입력축(44)을 추진축(10) 및 후진 전동축(29)의 측방에 배치함으로써, 입력 기어(32)를 전진 출력 기어(27)와 후진 제2 전동 기어(31)에 동시에 맞물리게 하고 있다. 카운터축(45)은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PTO 구동축(16)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 되어 있다. 출력축(46)은 전후 방향의 축심을 갖고, 상기 후진 전동축(29)의 후방의 카운터축(45)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고, 이 출력축(46)은 칸막이 벽(25) 및 후단부 벽(47)에 축받이를 통해 축심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미션 케이스(3) 내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출력축(46)의 후단부측은 후륜 차동 장치(13)에 동력을 전달하는 차동 구동축(48)에 커플링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주변속 장치(41)는 입력축(44)으로부터 카운터축(45)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1 내지 제6속의 기어열(49 내지 54)과, 이 제1 내지 제6속의 기어열(49 내지 54) 중 어느 하나의 기어열(49 내지 54)을 통해 동력을 전달하도록 동력 전달 경로를 절환하는 제1 내지 제3 주변속 절환 기구(55 내지 5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6속의 기어열(49 내지 54)은, 후방을 향해 제4속 기어열(52), 제3속 기어열(51), 제6속 기어열(54), 제5속 기어열(53), 제2속 기어열(50), 제1속 기어열(49)의 차례로 배치되어 있고, 이들 제1 내지 제6속의 기어열(49 내지 54)의 입력측 기어(49a 내지 54a)는 입력축(44)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 되고, 출력측 기어(49b 내지 54b)는 카운터축(45)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 되어 있다.
제1 주변속 절환 기구(55)는 제1속 기어열(49)과 제2속 기어열(50)과의 입력측 기어(49a, 50a)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 1속 또는 2속의 절환을 행하고, 제2 주변속 절환 기구(56)는 제3속 기어열(51)과 제4속 기어열(52)과의 입력측 기어(51a, 52a)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 3속 또는 4속의 절환을 행하고, 제3 주변속 절환 기구(57)는 제5속 기어열(53)과 제6속 기어열(54)과의 입력측 기어(53a, 54a)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 5속 또는 6속의 절환을 행한다. 이 제1 내지 제3 주변속 절환 기구(55 내지 57)는 동력 전동측[입력축(44)]과 피동력 전동측[주변속 장치(41)의 기어열의 입력측 기어]과의 회전수를 동기시켜 기어열(49 내지 54)을 절환하는(기어 체인지함) 싱크로 메쉬 기구가 채용되어 있고, 각 주변속 절환 기구(55 내지 57)는 입력축(44)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 된 커플링(55a 내지 57a)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심 방향(전후 방향) 이동 가능하게 외부 끼움 된 주변속용 시프터(클러치 기어)(55b 내지 57b)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주변속 절환 기구(55)의 주변속용 시프터(55b)를 제1 주변속용 시프터 (55b)라고 하고, 제2 주변속 절환 기구(56)의 주변속용 시프터(56b)를 제2 주변속용 시프터(56b)라고 하고, 제3 주변속 절환 기구(57)의 주변속용 시프터(57b)를 제3 주변속용 시프터(57b)라고 한다. 제1 내지 제6속의 기어열(49 내지 54)의 입력측 기어(49a 내지 54a)에는, 각각 제1 내지 제3 주변속용 시프터(55b 내지 57b)가 맞물리는 맞물림부(49c 내지 54c)가 마련되고, 이 맞물림부(49c 내지 54c)에 제1 내지 제3 주변속용 시프터(55b 내지 57b)가 맞물려 있지 않은 상태가 제1 내지 제6속의 기어열(49 내지 54)을 통해 입력축(44)으로부터 카운터축(45)에 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비동력 전동 상태이며 중립 위치가 되고, 제1 내지 제3 주변속용 시프터(55b 내지 57b) 중 어느 하나를, 중립 위치로부터 축심 방향(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제1 내지 제6속의 기어열(49 내지 54)의 입력측 기어(49a 내지 54a)의 맞물림부(49c 내지 54c) 중 어느 하나와 커플링(55a 내지 57a)에 걸쳐 맞물리게 함으로써, 입력축(44) → 커플링(55a 내지 57a) → 주변속용 시프터(55b 내지 57b) → 맞물림부(49c 내지 54c) → 입력측 기어(49a 내지 54a) → 출력측 기어(49b 내지 54b)를 지나서 카운터축(45)에 동력이 전달되고, 입력축(44)에 입력된 동력이 주변속 장치(41)의 제1속 내지 제6속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변속되어 카운터축(45)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3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하우징(1)의 우측의 측벽에는 개구부(59)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59)는 클러치 하우징(1)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커버(60)에 의해 폐색된다. 도7 내지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커버(60)에는 상기 제1 내지 제3 주변속용 시프터(55b 내지 57b)에 결합하여 이를 축심 방향으로 이동 조작함으로써 동력 전달 경로를 절환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61 내지 63)가 마련되어 있고, 제1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61)는 제1 주변속용 시프터(55b)에 결합하고, 제2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62)는 제2 주변속용 시프터(56b)에 결합하고, 제3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63)는 제3 주변속용 시프터(57b)에 결합한다.
또한, 커버(60)에는 제1 내지 제3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61 내지 63)를 지지하는 시프트 포크(64 내지 66)가 상기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61 내지 63)에 대응하여 3개 설치되어 있다. 커버(60)의 내면 상부측에는 전후 한 쌍의 지지벽(67, 68)과, 이 전후 지지벽(67, 68)의 상부 사이에 마련된 중간 지지벽(6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시프트 로드(64 내지 66)는 전후 방향의 축심을 갖고, 제1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61)를 지지하는 제1 시프트 로드(64)는, 후방 지지벽(68)과 중간 지지벽(69)과의 상부 사이에 걸쳐 전후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3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63)를 지지하는 제3 시프트 로드(66)는, 상기 제1 시프트 로드(64)의 좌우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어 후방 지지벽(68)과 중간 지지벽(69)에 걸쳐 전후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2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62)를 지지하는 제2 시프트 로드(65)는, 제1 시프트 로드(64)와 제3 시프트 로드(66) 사이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있어 전방 지지벽(67)과 중간 지지벽(69)에 걸쳐 전후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61)의 기초부는 제1 시프트 로드(64)에 고정 형상으로 부착되고, 제2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62)의 기초부는 제2 시프트 로드(65)에 고정 형상으로 부착되고, 제3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63)의 기초부는 제3 시프트 로드(66)에 고정 형상으로 부착되어 있어, 제1 내지 제3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61 내지 63)가 제1 내지 제3 시프트 로드(64 내지 66)를 통해, 커버(60)에 전후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제3 시프트 로드(64, 66) 및 제2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62)의 기초부에는, 각각 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부(70A 내지 70C)가 마련되고, 이 결합부(70A 내지 70C)는 좌우 방향으로 나열하도록 마련되고, 제2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62)의 기초부에 마련된 결합부(제1 결합부)(70A)는 제1 시프트 로드(64)에 형성된 결합부(제2 결합부)(70B)와 제3 시프트 로드(66)에 형성된 결합부(제3 결합부)(70C)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커버(60)에는 트랙터의 차체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주변속 레버(조작 레버)(71)에 연동 연결되어 있어 제1 내지 제3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61 내지 63)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기구(7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 기구(72)는 제1 내지 제3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61 내지 6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조작하는 조작축(73)과, 이 조작축(73)에 결합하여 상기 조작축(73)을 축심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내지 제3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61 내지 63) 중 어느 하나를 선택시키기 위한 선택 부재(74)와, 조작축(73)에 축심 방향 상대 이동 가능하게 또한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조작축(73)을 회전시킴으로써 선택한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61 내지 63)를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 부재(75)와, 조작축(73)을 기준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되감기 스프링(76)을 갖는다.
한편, 커버(60)에는 좌우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상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 (77)가 마련되고, 이 지지부(77)에는 좌우 방향의 축심을 갖는 지지 구멍(78)이 관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 구멍(78)에 조작축(73)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 조작축(73)은 좌우 방향 내단부측의 대직경부(73a)와, 이 대직경부(73a)보다도 소직경으로 형성된 좌우 방향 중도부의 중직경부(73b)와, 이 중직경부(73b)보다도 소직경으로 형성된 좌우 방향 외단부측의 소직경부(73c)를 갖는다. 상기 대직경부(73a)는 상기 지지 구멍(78)에 축심 방향(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대직경부(73a)의 좌우 방향 내단부측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또한 상방측으로 돌출하는 아암 부재(79)가 마련되고, 상기 대직경부(73a)의 좌우 방향 외단부측에는 결합 홈(80)이 주위 방향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아암 부재(79)의 선단부측(상단부측, 피결합부)(79a)은 조작축(73)의 기준 위치에 있어서 제2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62)의 결합부(70A)에 결합하고 있고,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조작축(73)을 좌우 방향 외측(제1 이동 위치)으로 이동함으로써, 아암 부재(79)의 선단부측(79a)이 제1 시프트 로드(64)의 결합부(70B)에 결합하고, 기준 위치로부터 조작축(73)을 좌우 방향 내측(제2 이동 위치)으로 이동함으로써, 아암 부재(79)의 선단부측(79a)이 제3 시프트 로드(66)의 결합부(70C)에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조작축(73)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내지 제3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61 내지 63)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축(73)을 기준 위치, 제1 이동 위치 또는 제2 이동 위치로 축심 주위에(좌우축 주위에) 회전함으로써, 아암 부재(79)가 좌우축 주위에 전후로 요동하고, 선택된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61 내지 63)가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 다. 상기 지지부(77)의 전방부의 상기 결합 홈(80)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선택 부재(74)를 수납하는 수납부(8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수납부(82)에는, 상기 수납부(82) 형성 부분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의 전방측을 폐색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어 지지부(77)의 지지 구멍(78)에 연통하는 수납실(83)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수납실(83)을 상하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있어 상하 방향의 축심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8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납실(83)에는 선택 부재(74)가 수납되고, 상기 선택 부재(74)는 상기 회전축(84)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또한 후방측으로 돌출 형상으로 하여 그 기단부측이 대응 회전축(84)에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선택 부재(74)의 선단부측(74a)은 지지 구멍(78)에 삽입되어 결합 홈(80)에 결합하고 있고, 회전축(84)을 축심 주위에 회전함으로써, 선택 부재(74)가 좌우에 요동하여 조작축(73)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84)의 하단부측은 수납부(82)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고, 이 하방으로 돌출한 부분에 제1 커버 부재(85)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또한 좌우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상으로 하여 고정되고, 이 제1 커버 부재(85)에 와이어 연결용의 핀(8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 부재(75)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좌우 방향 내측이 지지 구멍(78)의 좌우 방향 외단부측에 좌우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회전 부재(75)의 내주부의 좌우 방향 내측이 조작축(73)의 중직경부(73b)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스플라인 끼워 맞춤) 되어 있다. 이 회전 부재(75)는 지지부(77)의 외면에 볼트에 의해 고정된 플레이트(87)에 의해, 좌 우 방향의 축심 주위에 회전 가능으로 하여 빠짐 방지되어 있다. 또한, 회전 부재(75)의 내주부의 좌우 방향 외측은 내측의 스플라인부보다도 대직경으로 형성된 수용 구멍(88)으로 되어 있어 회전 부재(75)의 내주부가 단차식 형상의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고, 조작축(73)의 소직경부(73c)가 상기 수용 구멍(88) 내로 돌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조작축(73)의 소직경부(73c)에는 좌우 방향에 대향 배치된 좌우 한 쌍의 링 형상의 스프링 받침 부재(89, 90)가 좌우 방향[조작축(73)의 축심 방향]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외부 끼움 되어 있는 동시에, 이들 스프링 받침 부재(89, 90) 사이에, 압축 형상으로 개재 장착된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되감기 스프링(76)이 외부 끼움 되어 있다. 좌우 방향 외측의 스프링 받침 부재(이를 외측 스프링 받침 부재라 함)(89)는 소직경부(73c)의 좌우 방향 외단부측에 끼워 넣어진 고정 링으로 이루어지는 접촉부(이를 외측 접촉부라 함)(91)에 의해, 소직경부(73c)로부터의 빠짐 방지가 도모되어 있다.
또한, 외측 스프링 받침 부재(89)의 좌우 방향 외측에는 외측 스프링 받침 부재(89)의 반대 방향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통체로 이루어지는 규제부(이를 외측 규제부라 함)(92)가 내장되고, 이 외측 규제부(92)는 빠짐 방지 부재(93)에 의해 수용 구멍(88)으로부터 좌우 방향 외측으로의 빠짐 방지가 도모되어 있다. 또, 외측 규제부(92)의 내주 직경은 조작축(73)의 소직경부(73c)에 마련된 외측 접촉부(91)보다도 대직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소직경부(73c) 및 외측 접촉부(91)는 외측 규제부(92) 내를 좌우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조작축(73)은 기준 위치에 있어서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스프링 받침 부재(89)는 되감기 스프링(76)의 압박력에 의해 압박되어 외측 규제부(92) 및 외측 접촉부(91)에 접촉하고 있고, 좌우 방향 내측의 스프링 받침 부재(이를 내측 스프링 받침 부재라 함)(90)는 되감기 스프링(76)의 압박력에 의해 압박되어 중직경부(73b)의 좌우 방향 외단부면[이 부분이 내측 스프링 받침 부재(90)에 접촉하는 접촉부(94)가 되고, 이를 내측 접촉부라 함] 및 회전 부재(75)의 내주부의 단부[이 부분이 내측 스프링 받침 부재(90)의 반대 방향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95)가 되고, 이를 내측 규제부라 함]에 접촉하고 있고, 되감기 스프링(76)의 압박력에 의해 조작축(73)이 기준 위치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아암 부재(79)의 선단부(79a)를 제2 결합부(70B)에 결합시키도록 조작축(73)을 기준 위치로부터 좌우축 방향 외측으로 이동시키면, 내측 스프링 받침 부재(90)가 내측 접촉부(94)에 의해 압박되어 되감기 스프링(76)을 압축시키면서 좌우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조작축(73)의 좌우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이 허용되고, 이 상태로부터 조작축(73)에 대한 좌우 방향 외측으로의 조작력을 해제하면, 내측 스프링 받침 부재(90)가 되감기 스프링(76)의 압박력에 의해 압박되어 좌우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고, 조작축(73)이 기준 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아암 부재(79)의 선단부(79a)를 제3 결합부(70C)에 결합시키도록 조작축(73)을 기준 위치로부터 좌우축 방향 내측으로 이동시키면, 외측 스프링 받침 부재(89)가 외측 접촉부(91)에 의해 압박되어 되감기 스프링(76)을 압축시키면서 좌우축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조작축(73)의 좌우 방향 내측으로의 이동이 허용되고, 이 상태 로부터 조작축(73)에 대한 좌우 방향 내측으로의 조작력을 해제하면, 외측 스프링 받침 부재(89)가 되감기 스프링(76)의 압박력에 의해 압박되어 좌우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고, 조작축(73)이 기준 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좌우축 방향 3 위치에 위치 변경 가능한 조작축(73)을, 하나의 되감기 스프링(76)에 의해 상기 3 위치의 중간의 기준 위치로 복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전 부재(75)의 지지부(77)로부터 돌출한 부분에는 제2 레버 부재(96)가 직경 외측으로 또한 후방측으로 돌출 형상으로 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 수용 구멍(88)의 좌우 방향 외단부측은 덮개(97)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상기 제1 커버 부재(85)는 푸시풀 와이어 등에 의해 구성된 선택 와이어에 의해 주변속 레버(71)에 연동 연결되고, 제2 레버 부재(96)는 링크 기구 등을 통해 주변속 레버(71)에 연동 연결되어 있고, 주변속 레버(71)는 한 방향(a)과, 이 한 방향(a)으로 직교하는 다른 방향(b)으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되고, 한 방향(a)의 요동 조작에 의해, 제1 커버 부재(85), 회전축(84), 선택 부재(74)를 통해 조작축(73)이 좌우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다른 방향의 조작에 의해 제2 레버 부재(96), 회전 부재(75)를 통해 조작축(73)이 좌우축 주위에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14a 참조].
또, 커버(60)의 외면에는, 상기 선택 와이어의 외측 와이어를 부착하는 부착 부재(98)가 고정되어 있다. 이 주변속 레버(71)의 조작 패턴은, 도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어 있고, 주변속 레버(71)를 피봇부(99)를 지점으로서 한 방향(a)으로 요동 조작함으로써, 아암 부재(79)의 선단부(79a)가 제1 결합부(70A)에 결합하는 제1 선택 위치(d)와, 아암 부재(79)의 선단부(79a)가 제2 결합부(70B)에 결합하는 제2 선택 위치(e)와, 아암 부재(79)가 제3 결합부(70C)에 결합하는 제3 선택 위치(f)와 조작 가능하게 되고, 제2 선택 위치(e) 또는 제3 선택 위치(f)로부터 되감기 스프링(76)의 압박력에 의해 제1 선택 위치(d)로 복귀되고, 제1, 제2 또는 제3 선택 위치(d, e, f) 중 어느 위치에 있어서 주변속 레버(71)를 다른 방향(b)으로 요동 조작함으로써, 주변속 장치(41)가 제1속 내지 제6속 중 어느 하나에 변속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조작 기구(72)에 있어서는, 선택 부재(74)를 수납실(83) 내에 수납함으로써 조작축(73)의 선택 부재(74)와의 결합 부분이 지지 구멍(78) 내에 수납할 수 있어 시일성이 양호해져 오일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변속 장치(42)는 고속 기어열(101)과, 이 고속 기어열(101)의 후방에 위치하는 저속 기어열(102)과, 출력축(46)의 고속 기어열(101)과 저속 기어열(102) 사이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스플라인 끼움 맞춤) 된 스플라인 보스(103)와, 이 스플라인 보스(103)에 축심 방향 이동 가능하게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스플라인 끼움 맞춤) 된 부변속용 시프터(104)를 갖는다.
고속 기어열(101)의 입력측 기어는 주변속 장치(41)의 제4속 기어열(52)의 출력측 기어(52b)에 의해 구성되고, 출력측 기어(101b)는 출력축(46)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 되어 있다. 또한, 저속 기어열(102)의 입력측 기어(102a)는 카운터축(45) 상의 제5속 기어열(53)과 제6속 기어열(54)과의 출력측 기어(53b, 54b)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고, 출력측 기어(102b)는 출력축(46)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 되어 있다. 또한, 고속 기어열(101)의 출력측 기어(101b)의 후방 부측 및 저속 기어열(102)의 출력측 기어(102b)의 전방부측에는 부변속용 시프터(104)에 맞물리는 맞물림부(105, 106)가 마련되고, 이 맞물림부(105, 106)에 부변속용 시프터(104)가 맞물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 비동력 전동 상태가 되고, 이 위치로부터 부변속용 시프터(104)를 축심 방향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상기 부변속용 시프터(104)를 스플라인 보스(103)와 고속 기어열(101)의 출력측 기어(101b)의 맞물림부(105)에 걸쳐 맞물림시킴으로써, 고속 기어열(101), 부변속용 시프터(104), 스플라인 보스(103)를 통해 카운터축(45)으로부터 출력축(46)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부변속 장치(42)의 고속 상태가 되고, 상기 비동력 전동 위치로부터 부변속용 시프터(104)를 축심 방향 후방에 슬라이드시켜, 상기 부변속용 시프터(104)를 스플라인 보스(103)와 저속 기어열(102)의 출력측 기어(102b)의 맞물림부(106)에 걸쳐 맞물림시킴으로써, 저속 기어열(102), 부변속용 시프터(104), 스플라인 보스(103)를 통해 카운터축(45)으로부터 출력축(46)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부변속 장치(42)의 저속 상태가 된다.
또한, 저속 기어열(102)의 출력측 기어(102b)의 맞물림부(106)는 부변속용 시프터(104)의 축 방향 길이보다도 길게(또는 거의 같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부변속용 시프터(104)를 스플라인 보스(103)로부터 빠진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부변속용 시프터(104)가 스플라인 보스(103)로부터 빠진 위치가 부변속 장치(42)를 고속 상태 또는 저속 상태 중 어느 쪽에도 하지 않는 위치이며 크립 변속 장치(43)를 온 상태로 하기 위한 크립 변속 절환 위치(C)가 되고, 부변속용 시프터(104)를, 그 이동 영역의 전단부측 위치로부터 후방을 향해(축심 방향 한 쪽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부변속 장치(42)를 고속 상태로 하는 고속 위치(H)와, 부변속 장치(42)를 저속 상태로 하는 저속 위치(L)와, 부변속 장치(42)를 고속 상태 또는 저속 상태 중 어느 쪽에도 하지 않는 크립 변속 절환 위치(C)와 부변속용 시프터(104)가 위치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부변속용 시프터(104)는 디텐트 기구에 의해, 고속 위치(H), 저속 위치(L), 크립 변속 절환 위치(C)로 보유 지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고속 위치(H)와 저속 위치(L) 사이의 중립 위치(C)에도 보유 지지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저속 기어열(102)의 후방부에는 크립 변속 장치(43)로 동력을 출력하는 출력 기어(107)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출력 기어(107)의 후방에는 크립 변속 장치(43)를 거친 후의 동력을 입력하는 입력 기어(108)가 배치되고, 상기 입력 기어(108)는 출력축(46)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 되어 있다.
또, 상기 입력 기어(108)의 후방부측에는 전륜 동력 취출 기어열(109)의 입력측 기어(109a)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전륜 동력 취출 기어(109)의 출력측 기어(109b)는 상기 전륜 추진축(14)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 되어 있고, 이 전진 추친축(14) 상에 전후 방향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클러치(110)의 미끄럼 이동 조작에 의해, 변속 장치(11)를 거친 후의 동력이 전륜에 단속 가능하게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 크립 변속 장치(43)는, 상기 커버(60)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커버(60)를 클러치 하우징(1)에 부착함으로써, 크립 변속 장치(43)가 부변속 장치(42)와 후륜 차동 장치(13) 사이의 동력 전달 계통에 계지 이탈 가능하게 개재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크립 변속 장치(43)를 커버(60)에 조립 부착한 상태 의 크립 유변속 수단과, 크립 변속 장치(43)를 커버(60)에 부착하지 않은 상태의 크립 무변속 수단과 변속 장치(11)를 간단히 수단 변경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크립 변속 장치(43)는 커버(60)에 대해, 볼트와 너트나, 스플라인, 변위 가능한 핀과, 이 핀을 받는 보스부 등의 주지의 방법으로 제거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이 크립 변속 장치(43)는 도1, 도2, 도7, 도8, 도11 및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60)의 내면에 마련된 전후 지지벽(67, 68)의 하부 사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어 전후 방향의 축심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좌우 한 쌍의 전동축(111, 112)을 구비하고, 한 쪽의(좌우 방향 외측의) 전동축(111)은 입력측 전동축으로 되고, 다른 쪽의(좌우 방향 내측의) 전동축(112)은 출력측 전동축으로 되어 있다. 또한, 크립 변속 장치(43)는 출력측 전동축(112)의 중도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 되어 또한 상기 출력 기어(107)에 맞물리는 제1 크립 변속 기어(113)와, 이 제1 크립 변속 기어(113)의 후방부측에 일체로 형성된 제2 크립 변속 기어(114)와, 이 제2 크립 변속 기어(114)에 맞물리는 동시에 입력측 전동축(111)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 된 제3 크립 변속 기어(115)와, 이 제3 크립 변속 기어(115)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어 입력측 전동축(111)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 된 제4 크립 변속 기어(116)와, 이 제4 크립 변속 기어(116)와 맞물리는 제5 크립 변속 기어(117)와, 출력측 전동축(112)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 되고 또한 제5 크립 변속 기어(117)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 된 전동통(118)과, 이 전동통(118)에 축심 방향 이동 가능하게 또한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 된 크립 변속용 시프터(119)와, 상기 제2 크립 변속 기어(114)의 후방측에 배 치되어 있어 상기 입력 기어(108)에 맞물리는 동시에 출력측 전동축(112)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 된 제6 크립 변속 기어(12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크립 변속용 시프터(119)의 전후 방향의 이동 영역의 후단부측에는 크립 변속용 시프터(119)에 맞물리는 맞물림부(121)가 출력측 전동축(112)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크립 변속 장치(43)에 있어서는, 크립 변속용 시프터(119)를 맞물림부(121)에 맞물리게 하면, 카운터축(45)으로부터 저속 기어열(1020) 출력 기어(107) → 제1 크립 변속 기어(113) → 제2 크립 변속 기어(114) → 제3 크립 변속 기어(115) → 입력측 전동축(111) → 제4 크립 변속 기어(116) → 제5 크립 변속 기어(117) → 전동통(118) → 크립 변속용 시프터(119) → 맞물림부(121) → 출력측 전동축(112) → 제6 크립 변속 기어(120) → 입력 기어(108)를 지나서 출력축(46)으로 동력이 초저속으로 감속되어 전달되는 크립 변속 장치(43)의 온 상태(크립 변속 상태)가 되고, 크립 변속용 시프터(119)와 맞물림부(121)와의 맞물리기를 빼면, 입력측 전동축(111)으로부터 출력측 전동축(112)으로는 동력이 전달하지 않는 크립 변속 장치(43)의 한정 상태가 된다.
부변속용 시프터(104)를 전후로 이동 조작하기 위한 부변속용 시프트 포크(122)와, 크립 변속용 시프터(119)를 전후로 이동 조작하기 위한 크립 변속용 시프트 포크(123)와는, 상기 커버(60)에 부착되어 있고, 크립 변속용 시프트 포크(123)는 부변속용 시프트 포크(12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부변속용 시프트 포크(122)와 크립 변속용 시프트 포크(123)와는 1개의 부변속 레버(조작 레버)로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커버(60)에 설치된 전후 지지벽 (68)에 걸쳐 제4 시프트 로드가 전후 방향의 축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이 제4 시프트 로드(124)에 부변속용 시프트 포크(122) 및 크립 변속용 시프트 포크(123)의 기초부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시프트 로드(124)를 축심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부변속용 시프트 포크(122) 및 크립 변속용 시프트 포크(123)가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어 부변속용 시프터(104)와 크립 변속용 시프터(119)가 동시에 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부변속용 시프터(104)와 크립 변속용 시프터(119)를 별개의 부재로 형성하여 동일한 시프트 로드에 부착함으로써, 부변속용 시프터(104)와 크립 변속용 시프터(119)를 일체적으로 이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크립 변속용 시프터(119)는 부변속용 시프터(104)가 고속 위치(H) 및 저속 위치(L)에 위치할 때에는, 맞물림부(121)와의 맞물림이 빠진 상태가 되고, 부변속용 시프터(104)가 크립 변속 절환 위치(C)에 위치하였을 때에 맞물림부(121)에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14b에 도시하는 조작 패턴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부변속 레버(125)를 한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피봇부(126)를 지점으로서 요동 조작하여, 상기 부변속 레버(125)를 고속 위치(H), 저속 위치(L), 크립 위치(C)로 절환함으로써, 부변속 장치(42)의 고속 상태 → 부변속의 저속 상태 → 크립 변속 상태에 차례로 절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커버(60)의 후방측 하부에는 좌우 방향의 축심을 갖는 동시에 축심 방향 양단부측이 개방 형상으로 된 삽입 관통 구멍(128)을 갖는 지지부(129)가 마련되고, 이 지지부(129)의 삽통 구멍(128)에 회전축(130)이 삽입 관통되어 상기 회전축(130)이 좌우 방향의 축심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 지되어 있다.
이 회전축(130)은 지지부(129)의 외면에 볼트에 의해 고정된 빠짐 방지 플레이트(131)에 의해 좌우 방향 외측에 빠짐 방지되어 있다. 이 회전축(130)의 내단부측은 커버(60)로부터 클러치 하우징(1) 내로 돌출하여 있고, 이 회전축(130)의 내단부측에 아암 부재(132)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또한 상측으로 돌출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고, 이 아암 부재(132)의 선단부측(상단부측)(132a)이 부변속용 시프트 포크(122) 및 크립 변속용 시프트 포크(123)의 기초부(133)에 마련된 결합 홈(136)에 결합하고 있다.
또한, 이 회전축(130)의 좌우 방향 외단부측은 지지부(129)로부터 돌출하고 있고, 이 돌출 부분에 통 부재(134)가 외부 끼움 되어 핀으로 고정되어 있고, 이 통 부재(134)에 레버 부재(135)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또한 후방측으로 돌출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레버 부재(135)의 후단부측은 부변속 레버(125)에 연동 기구를 통해 연동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부변속 레버(125)를 요동 조작함으로써, 레버 부재(135)가 상하로 요동하여 회전축(130)이 회전하는 동시에 아암 부재(132)가 전후로 요동하고, 제4 시프트 로드(124)를 통해 부변속용 시프트 포크(122) 및 크립 변속용 시프트 포크(123)가 전후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15 및 도16은,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고, 주변속 장치(41)가 제1속 내지 제4속의 4단 변속 수단으로 된 동력 전달 장치(7)의 변속 장치(11)를 도시하고 있고, 이 변속 장치(11)의 주변속 장치(41)에 있어서는 제2속 기어열(137)이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3속 기어열(51)의 변속비에 상당하고, 제3속 기어열 (138)이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4속 기어열(52)의 변속비에 상당하고, 제4속 기어열(139)이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6속 기어열(54)의 변속비에 상당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주변속 장치(41)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속 기어열(50) 및 제5속 기어열(53)을 제거하는 동시에 기어열의 배치를 변경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3속 기어열(138)과 제4속 기어열(139)과의 입력측 기어(138a, 139a) 사이에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5속 기어열(53), 제6속 기어열(54) 및 제3 주변속 절환 기구(57)를 배치할 수 있는 스페이스(140)가 마련되고, 상기 스페이스(140)에 스페이서(141)가 배치되어 입력축(44)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3속 기어열(138)이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4속 기어열(52)에 상당하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부변속 장치(42)의 고속 기어열(101)의 출력측 기어(101b)는, 제3속 기어열(138)의 출력측 기어(138b)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고, 고속 기어열(101)의 출력측 기어(101b)의 전방측이 빈 스페이스에는, 스페이서(142)가 배치되어 출력축(46)에 외부 끼움 되어 있다.
또한, 제5 크립 변속 기어(117)는 크립 변속용 시프터(119)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전동통(118) 상을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에 관해서는, 상기 도1 내지 도14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와 대략 같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도15 및 도16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기어의 재조립 등에 의해, 상기 실시 형태의 주변속 6단 변속 수단의 미션 구조로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랙터의 변속 장치의 주변속 장치를 변속 절환 조작을 하는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와, 상기 변속 장치의 부변속 장치를 변속 절환 조작을 하는 부변속용 시프트 포크를 변속 장치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트랙터의 미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하여 구동륜으로 전달하는 변속 장치(11)를 트랙터의 전동 케이스(5)에 수용하고, 이 변속 장치(11)는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복수단으로 변속하는 주변속 장치(41)와, 이 주변속 장치(41)를 거친 동력을 더 변속하는 부변속 장치(42)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주변속 장치에 의해 변속된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동 케이스(5)에 형성된 개구부(59)를 폐색하도록 상기 전동 케이스(5)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커버(60)를 구비하고,
    이 커버(60)에 주변속 장치(41)를 변속 절환 조작하는 주변속용 시프터(55b, 56b, 57b)에 결합하여 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주변속용 시프트 포크(61 내지 63)와, 부변속 장치(42)를 변속 절환 조작하는 부변속용 시프터(104)에 결합하여 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부변속용 시프트 포크(122)를 조립 부착하고, 상기 커버(60)는 초저속으로 변속 가능한 크립 변속 장치(43)를 설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크립 변속 장치(43)는 상기 기어에 대해 맞물림 가능하고, 상기 기어로부터의 동력을 받아들이고, 이 동력을 감속하여 상기 변속 장치(11)에 전달하기 위한 감속 기어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미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60)에는 상기 크립 변속 장치(43)가 상기 커버(60)에 부착되었을 때에 상기 크립 변속 장치(43)를 온 오프하는 크립 변속용 시프터(119)에 결합하여 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크립 변속용 시프트 포크(123)가 조립 부착되어 있는 트랙터의 미션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6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상기 크 립 변속 장치(43)가 더 마련되고, 상기 크립 변속 장치(43)를 부변속 장치(42)와 구동륜 사이의 동력 전달 계통에 상기 개구부(59)를 통해 계지 이탈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미션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크립 변속용 시프트 포크(123)를 부변속용 시프트 포크(122)에 마련하여 이들 시프트 포크(122, 123)를 1개의 조작 레버(125)로 조작 가능하게 하고, 상기 조작 레버(125)에 의해 부변속용 시프터(104)와 크립 변속용 시프터(119)를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킴으로써, 부변속 장치(42)의 고속 상태와, 부변속 장치(42)의 저속 상태와, 초저속 상태로 선택적으로 절환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미션 구조.
KR1020060016519A 2005-02-22 2006-02-21 트랙터의 미션 구조 KR1007736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46016A JP4437447B2 (ja) 2005-02-22 2005-02-22 トラクタのミッション構造
JPJP-P-2005-00046016 2005-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655A KR20060093655A (ko) 2006-08-25
KR100773627B1 true KR100773627B1 (ko) 2007-11-05

Family

ID=36809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6519A KR100773627B1 (ko) 2005-02-22 2006-02-21 트랙터의 미션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34488B2 (ko)
JP (1) JP4437447B2 (ko)
KR (1) KR100773627B1 (ko)
CN (1) CN100480556C (ko)
ES (1) ES2303757B2 (ko)
FR (1) FR28823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24703A (zh) * 2017-08-30 2019-03-05 南京锦冠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变速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7447B2 (ja) 2005-02-22 2010-03-24 株式会社クボタ トラクタのミッション構造
US10227555B2 (en) 2006-08-02 2019-03-12 Finesse Solutions, Inc. Composite sensor assemblies for single use bioreactors
US11827875B2 (en) 2006-08-02 2023-11-28 Finesse Solutions,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sensor
KR100787100B1 (ko) * 2007-01-30 2007-12-21 세일공업 주식회사 변속기의 설치구조
JP4616321B2 (ja) * 2007-10-18 2011-01-19 株式会社クボタ 走行車両の変速装置
JP5006778B2 (ja) * 2007-12-28 2012-08-22 株式会社クボタ トラクタの動力伝達装置
BRPI1012172B1 (pt) * 2009-05-12 2020-10-06 Volvo Lastvagnar Ab Um dispositivo de intertravamento em uma transmissão de veículo
KR101023481B1 (ko) * 2009-07-21 2011-03-21 대동공업주식회사 트랙터의 변속장치
EP2623355B1 (en) * 2010-09-28 2019-07-10 Kubota Corporation Power transmission device of tractor
MX2017002991A (es) 2014-09-29 2017-05-30 Aichi Machine Ind Transmision y metodo para el montaje de la misma.
CN114233848A (zh) * 2021-12-07 2022-03-25 江苏沃得农业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拖拉机爬行档传动机构
US11713808B1 (en) 2022-03-08 2023-08-01 Dana Heavy Vehicle Systems Group, Llc Systems for transmissio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8867A (en) 1982-09-13 1985-07-16 Iseki & Co., Ltd. Transmission case for tractors
JPH04171347A (ja) * 1990-10-30 1992-06-18 Iseki & Co Ltd トラクタの伝動装置
KR19980027196A (ko) * 1996-10-15 1998-07-15 박병재 수동변속기용 변속 조작 기구의 시프트 포크의 구조
KR20010054776A (ko) * 1999-12-08 2001-07-02 이계안 수동 변속기의 윤활구조
KR100425878B1 (ko) 2000-05-25 2004-04-03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트랙터의 트랜스미션
JP2006234010A (ja) 2005-02-22 2006-09-07 Kubota Corp トラクタのミッション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16891A (en) * 1931-12-23 1933-07-04 Spicer Mfg Corp Transmission gearing with rear clutch
US2316503A (en) * 1941-10-13 1943-04-13 Timken Roller Bearing Co Change speed transmission gearing
JPS59226761A (ja) * 1983-06-07 1984-12-19 Yanmar Diesel Engine Co Ltd 農用トラクタ−の変速装置
JPS6136538A (ja) * 1984-07-25 1986-02-21 Iseki & Co Ltd 作業用車両のミツシヨン機構
GB2179413B (en) 1985-08-20 1990-04-04 Kubota Ltd Tractor transmission
US4719812A (en) 1985-08-29 1988-01-19 Kubota, Ltd. Transmission casing including a hydraulic clutch
DE3827571A1 (de) * 1988-08-13 1990-03-08 Porsche Ag Schaltvorrichtung fuer ein zahnraeder-wechselgetriebe eines kraftfahrzeugs
US5465630A (en) * 1993-09-14 1995-11-14 Kubota Corporation Drive transmitting apparatus for a working vehicle
JP3472965B2 (ja) 1994-08-08 2003-12-02 ヤンマー株式会社 トラクタの変速機構
US5570605A (en) * 1994-09-13 1996-11-05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Transmission assembly for tractors
US5901606A (en) * 1996-06-18 1999-05-11 Kubota Corporation Transmission for a tractor
US6119552A (en) * 1997-09-01 2000-09-19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Transmission for a working vehicle
ITTO990127U1 (it) * 1999-07-01 2001-01-01 Fiat Auto Spa Coperchio porta comandi per un cambio meccanico di autoveicolo.
US6397693B1 (en) * 1999-07-15 2002-06-04 Kubota Corporation Change speed apparatus for a tractor
JP2001030781A (ja) 1999-07-15 2001-02-06 Kubota Corp トラクターの変速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8867A (en) 1982-09-13 1985-07-16 Iseki & Co., Ltd. Transmission case for tractors
JPH04171347A (ja) * 1990-10-30 1992-06-18 Iseki & Co Ltd トラクタの伝動装置
KR19980027196A (ko) * 1996-10-15 1998-07-15 박병재 수동변속기용 변속 조작 기구의 시프트 포크의 구조
KR20010054776A (ko) * 1999-12-08 2001-07-02 이계안 수동 변속기의 윤활구조
KR100425878B1 (ko) 2000-05-25 2004-04-03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트랙터의 트랜스미션
JP2006234010A (ja) 2005-02-22 2006-09-07 Kubota Corp トラクタのミッション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24703A (zh) * 2017-08-30 2019-03-05 南京锦冠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变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03757A1 (es) 2008-08-16
CN1831387A (zh) 2006-09-13
US20060243076A1 (en) 2006-11-02
CN100480556C (zh) 2009-04-22
FR2882304A1 (fr) 2006-08-25
ES2303757B2 (es) 2009-09-11
JP4437447B2 (ja) 2010-03-24
KR20060093655A (ko) 2006-08-25
JP2006234010A (ja) 2006-09-07
US7434488B2 (en) 2008-10-14
FR2882304B1 (fr) 2015-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3627B1 (ko) 트랙터의 미션 구조
KR101088277B1 (ko) 변속 제어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변속기
JP5869459B2 (ja) ドラム式変速機のシフトドラム構造
JP5427293B2 (ja) エンジン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自動二輪車
KR100774039B1 (ko) 트랙터의 동력 전달 장치
JP3921075B2 (ja) 作業車の動力取出し装置
JP4390744B2 (ja) トラクタの動力伝達装置
JP4885349B2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4437446B2 (ja) トラクタの動力伝達装置
JP5006778B2 (ja) トラクタの動力伝達装置
JP4606197B2 (ja) シフトフォークの操作装置
JP2006335248A (ja) トラクタの動力伝達装置
JP2008044541A (ja) 車両用パワーユニット
JP2014070649A (ja) 車両用動力伝達装置
JP3483707B2 (ja) トラクタのミッション
JP5291064B2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4672852B2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5090634B2 (ja) トラクタ
JP5016161B2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3873014B2 (ja) 変速機
JP4666743B2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H1016587A (ja) 作業車両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3474705B2 (ja) トラクタのミッション
JP3997000B2 (ja) 作業車両の逆転pto装置
JPS63505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