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094B1 - 통신단말장치 및 통신처리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통신단말장치 및 통신처리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094B1
KR100770094B1 KR1020050039952A KR20050039952A KR100770094B1 KR 100770094 B1 KR100770094 B1 KR 100770094B1 KR 1020050039952 A KR1020050039952 A KR 1020050039952A KR 20050039952 A KR20050039952 A KR 20050039952A KR 100770094 B1 KR100770094 B1 KR 100770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data
switch
communication
incoming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7850A (ko
Inventor
요시히로 고토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7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대가를 무선신호에 의해서 전자적으로 지불처리를 실시하는 기능을 갖는 통신단말장치 및 통신처리제어에 관한 것으로,
휴대전화에의 전화나 메일의 착신에 의해서 그 휴대전화 내에 수용한 비접촉IC(10)와 레지스터부(11)의 무선통신에 의한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대가의 지불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이를 위해 휴대전화의 RF블록(4)은 통신회선을 통하여 외부로부터의 전화나 메일의 착신을 검지하며, 비접촉IC(10)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대가를 무선신호에 의해서 전자적으로 지불처리를 실시하고, 휴대전화의 CPU(1)는 비접촉IC(10)에 의한 지불처리 중이 아닌 경우에는 외부로부터의 착신을 RF블록(4)에 의해서 검지했을 때는 착신에 따른 오프훅조작에 의해 통화처리로 천이하며, 비접촉IC(10)에 의한 지불처리 중에 있어서는 외부로부터의 착신에 대하여 자동착신을 실시하여 보류음을 발생하여 상대에게 송신하여 외부로부터의 착신에 대하여 통화처리로의 천이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전화, CPU, RF블록, 비접촉IC, GPS부, 지불처리

Description

통신단말장치 및 통신처리제어방법{COMMUNICATIONS TERMINAL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전화를 적용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전화의 메인루틴의 흐름도.
도 3은 도 2에 계속되는 휴대전화의 메인루틴의 흐름도.
도 4는 도 3에 계속되는 휴대전화의 메인루틴의 흐름도.
도 5는 도 4에 계속되는 휴대전화의 메인루틴의 흐름도.
도 6은 도 4에 계속되는 휴대전화의 메인루틴의 흐름도.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5의 리셋처리의 흐름도.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5의 일괄삭제처리의 흐름도.
도 9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5의 누계표시처리의 흐름도.
도 10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3의 영수증데이터스토어처리의 흐름도.
도 11은 도 1의 RAM에 있어서의 영수증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타이머인터럽트의 흐름도.
도 13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착신검지처리의 흐름도.
도 14는 도 1의 시스템에 있어서의 비접촉IC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5는 도 1의 시스템에 있어서의 레지스터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6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전화의 메인루틴의 일부의 흐름도.
도 17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착신검지처리의 흐름도.
도 18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메인루틴의 통화처리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CPU 2: ROM
3: RAM 4: RF블록
5: 스위치부 6: 표시드라이버
7: GPS부 8: 마이크
9: 스피커 10: 비접촉IC
11: 레지스터부 12:표시부
본 발명은 통신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대가를 무선신호에 의해서 전자적으로 지불처리를 실시하는 기능을 갖는 통신단말장치 및 통신처리제어에 관한 것이다.
비접촉방식으로 정보의 주고받음을 실시하는 비접촉IC 또는 IC태그가 새로운 전자디바이스로서 주목되고 있다. 비접촉IC는 IC카드 보다도 더욱 소형이기 때문에 휴대전화, PHS,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등의 소형의 통신단말장치 내에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통신단말장치에 수용된 비접촉IC와 점포 등의 정산기를 ISM(Industry Science Medical)대역(帶域)의 무선통신에 의해서 접속하고,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대가의 지불을 실시하는 정산시스템의 제안이나 그 외의 제안이 종래되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개 2003-187334호 공보에는 상품구입의 정산에 걸리는 시간, 특히 신용카드지불에 있어서의 정산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정산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구성에 있어서는 미리 고객에게 배포된 비접촉형IC태그 또는 고객이 소유하는 휴대전화에 고객의 한사람 한사람을 특정하는 고객정보를 기억해 두고, 고객이 상품을 구입할 때에 상품을 유일하게 특정하는 상품식별자를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휴대전화 또는 비접촉IC태그에 기억하며, 구입의 종료 후에 고객정보와 기억한 상품정보를 정산기에 송신한다.
또 예를 들면 특개 2004-110577호 공보에는 법인 등의 조직에 대한 여비·교통비의 일괄청구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구성에 있어서는 교통기관, 숙박설비 등의 준비를 실시하는 여행회사시스템과, 교통기관, 숙박설비 등을 제공하는 제공기관시스템을 포함하고, 예약을 실시할 때에 개인으로 특정하기 위한 개인ID는 자기카드, IC카드, 비접촉식IC태그, 휴대전화에 기억되어 있다.
또 예를 들면 특개 2003-242229호 공보에 개시된 빌딩이용자 지원장치가 있다. 이 장치에 있어서는 빌딩 내에서 소정 서비스를 받는 서비스수익체와, 이 서 비스수익체에게 소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체를 갖는 구성에 있어서, 서비스수익체를 특정하는 식별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ISM대역의 근거리무선장치, 휴대전화대역의 무선장치, PHS대역의 무선장치, 무선주파수대역의 비접촉IC태그 등을 이용하고 있다.
휴대전화 등과 같이 통화가 가능한 통신단말장치 내에 수용한 비접촉IC에 의해서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대가의 지불을 무선통신에 의해서 실시하는 경우에 있어서, 지불 중에 전화나 메일의 착신을 받았을 때는 당황하여 지불의 조작을 잘못할 우려가 있고, 전화의 착신에 대한 오프훅이나 메일의 자동착신에 의해서 비접촉IC와 정산기의 무선통신이 방해될 우려도 있다. 한편, 전화를 건 상대측에 있어서는 착신음이 들림에도 불구하고 상대가 전화에 나오지 않는 경우에는 불안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통신단말장치에의 전화나 메일의 착신에 의해서 그 통신단말장치 내에 수용한 비접촉IC와 정산기의 무선통신에 의한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대가의 지불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소정의 통신회선을 통하여 외부로부터의 착신을 검지하여 통신처리를 실시하는 기능과, 상품 또는 서비스의 제공에 대하여 해당 제공측으로부터의 지불요구에 따라서 무선신호에 의하여 전자적으로 지불처리를 실시하는 기능을 갖는 통신단말장치에 있어서 지불처리 중이 아닌 경우에 외부로부터의 착신을 검지했을 때는 해당 착신에 대한 통신처리로 천이하고, 지불처리 중에 외부로부터의 착신을 검지했을 경우는 해당 통신처리로의 천이를 금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갖음으로써 통신단말장치에의 전화나 메일의 착신에 의해서 그 통신단말장치 내에 수용한 비접촉IC와 정산기의 무선통신에 의한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대가의 지불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통신단말장치의 제 1 실시형태 내지 제 3 실시형태에 대해서 휴대전화를 예를 들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전화를 적용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CPU(1)는 베이스밴드신호처리의 DSP(디지털·시그널·프로세서)를 내장한 원칩IC로 구성되어 있다. CPU(1)의 시스템버스에는 ROM(2), RAM(3), RF블록(4), 스위치부(5), 표시드라이버(6) 및 GPS부(7)가 접속되어 있다. CPU(1)는 이들 각부와의 사이에서 커맨드 및 데이터의 주고받음을 실시하여 이 휴대전화를 제어한다. 또 CPU(1)의 입출력포트에는 마이크(8), 스피커(9)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CPU(1)는 비접촉IC(10)와 전용의 통신버스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비접촉IC(10)는 상품의 판매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점포의 레지스터부(11) 즉 정산기와의 사이에서 ISM대역 등의 무선통신에 의해서 전자적으로 지불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비접촉IC(10)는 이 휴대전화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고, 도면에는 나타내고 있지 않은데, 비접촉IC(10) 내에는 CPU, 프로그램ROM, 불휘발성의 메모리로 이루어지는 데이터RAM이 설치되어 있다. 이 데이터RAM에는 사용자가 전자지불을 하는 금융기관의 구좌에 있는 예금금액의 데이터가 스토어되어 있고, 예금금액의 설정이나 갱신에 대해서는 그 금융기관만에 의해서 실시되며, 사용자에 의한 데이터조작은 금지되어 있다.
ROM(2)에는 다른 휴대전화와 통화나 메일을 송수신하는 기능, 시스템버스에 접속된 각부를 제어하는 기능, 비접촉IC(10)와의 사이에서 커맨드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통신제어처리의 프로그램 등이 격납되어 있다. RAM(3)은 CPU(1)에 의해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스토어하는 워크영역이고, 통신제어처리의 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요한 각종의 레지스터나 플래그의 영역, 수신한 메일 및 송신한 메일을 기록하는 수신BOX 및 송신BOX, 비접촉IC(10)에 의해서 지불한 지불금액의 영수증을 보존하는 영수증데이터베이스(DB)의 영역 등이 설치되어 있다. RF블록(4)은 도면에는 나타내고 있지 않은데, 전화통신망과의 사이에서 통화나 메일을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송수신부, 무선신호처리부 등을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부(5)는 전원스위치, 오프훅스위치, 온훅스위치, 메일스위치, 발신스위치, OK스위치, 커서스위치, 숫자/문자입력스위치, 지불스위치, 영수증스위치, 스케줄/캘린더스위치, 보류스위치, 누계스위치, 그 외의 스위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시드라이버(6)에는 LCD(액정디스플레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12)가 접속되어 있고, 스위치부(5)의 조작에 따른 메뉴화면 등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각 스위치 중에는 그 때의 상태에 따라서 동일한 스위치로 복수의 기능을 겸용하는 것도 포함되어 있는 동시에, 표시부(12)에 표시된 아이콘스위치와 연동하여 스위치기능을 완수하는 것도 있다. 각 스위치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스피커(9)는 발신시의 호출통지나 착신시의 착신통지를 실시하는 외, 마이크(8)와 함께 통화처리에 있어서의 음성의 입출력을 실시한다.
전원부(13)는 이 휴대전화 내의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전원경로가 POW1, POW2, POW3의 3계통으로 구성되어 있다. POW2의 전원경로는 비접촉IC(10)만으로 접속되고, POW(3)의 전원경로는 RF블록(4)만으로 접속되며, POW1의 전원경로는 CPU(1)를 포함하는 외의 각부에 접속되어 있다. 전원스위치의 온 조작에 의해서 POW1 및 POW3의 전원경로는 온이 되는데, POW1의 전원경로의 온에 의해서 CPU(1)가 동작상태로 된 후는 POW2 및 POW3의 전원경로는 CPU(1)에 의해서 온/오프가 제어된다. 즉 비접촉IC(10) 및 RF블록(4)은 CPU(1)의 제어에 의해서 온/오프가 제어된다.
다음으로 도 1의 구성에 의한 제 1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CPU(1)의 메인루틴의 흐름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소정의 이니셜라이즈(스텝SA1) 후, 표시부(12)에 대기화면을 표시한다(스텝SA2). 다음으로 오프훅스위치가 온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A3). 이 스위치가 온되었을 때는 번호입력의 화면을 표시하여(스텝SA4) 입력된 번호를 RAM(3)에 스토어하고, 표시부(12)에 표시하는 번호입력처리를 실시한다(스텝SA5). 다음으로 발신스위치의 온 조작에 따라서 발신처리를 실시하고(스텝SA6), 스피커(9)에 의해서 호출통지를 실시한다(스텝SA7). 그리고 회선접속이 확립했는 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A8). 회선접속이 확립했을 때는 통화처리로 천이하고(스텝SA9), 상대편의 사용자와의 통화가 실시된다. 그 후는 온훅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A10), 이 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회선절단 등의 통화종료처리를 실시하여(스텝SA11) 스텝SA2로 이행하여 다시 대기화면을 표시한다.
스텝SA3에 있어서, 오프훅스위치가 온 되지 않은 경우에는 도 3의 흐름도에 있어서, 지불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A12). 이 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POW2를 온으로 하여 접촉측IC(10)의 동작을 시작시키고(스텝SA13), POW3을 오프로 하여 RF블록(4)을 오프로 한다(스텝SA14).
다음으로 비접촉IC(10)로부터 지불금액을 수신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A15). 지불금액을 수신했을 때는 RAM(3)의 레지스터PAY에 지불금액을 스토어한다(스텝SA16). 또한 레지스터TPAY에 PAY의 지불금액을 누산하여 지불금액의 누계값을 갱신한다(스텝SA17). 다음으로 비접촉IC(10)로부터 영수증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A18). 영수증데이터를 수신했을 때는 영수증데이터스토어처리를 실시하고(스텝SA19), 영수증데이터의 내용을 표시한다(스텝SA20).
스텝SA15에 있어서, 비접촉IC(10)로부터 지불금액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지불불가신호를 수신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A21). 이 신호를 수신했을 때는 잔고부족의 경고를 표시한다(스텝SA22).
스텝SA20에 있어서 영수증데이터의 내용을 표시한 후, 또는 스텝SA22에 있어서 잔고부족의 경고를 표시한 후는 OK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A23), 이 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비접촉IC(10)의 동작을 정지하며(스텝SA24), RF블록(4)을 온으로 하여(스텝SA25), 도 2의 스텝SA2로 이행하여 대기화면을 표시한다.
도 3의 스텝SA12에 있어서 지불스위치가 온이 아닌 경우에는 도 4의 흐름도에 있어서, 영수증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A26). 이 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영수증리스트화면을 표시한다(스텝SA27). 영수증리스트화면에는 RAM(3)의 영수증데이터베이스에 보존되어 있는 영수증리스트의 복수의 항목과 함께 OK스위치, 클리어스위치, 서브메뉴스위치의 아이콘스위치가 표시된다. 영수증리스트가 1개의 화면에 잘 들어가지 않는 경우에는 커서스위치의 조작에 의해서 스크롤표시된다. 표시된 영수증리스트의 복수의 항목에 있어서, 하나의 항목에 포커스를 맞힌다(스텝SA28). 예를 들면 그 항목의 표시를 반전시켜서 다른 항목과 구별한다.
다음으로 커서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A29), 이 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포커스 위치를 이동한다(스텝SA30). 그리고 화면에 표시된 OK 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 판별하고(스텝SA31), 이 스위치가 온 되지 않은 경우에는 클리어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A32). 이 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영수증리스트화면을 소거하고, 도 2의 스텝SA2로 이행하여 대기화면을 표시한다.
도 4의 스텝SA31에 있어서, OK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그 때의 포커스 위치에 있어서의 영수증의 내용을 표시한다(스텝SA33). 이 표시화면에는 OK스위치, 클리어스위치, 삭제스위치의 아이콘도 표시된다. 다음으로 클리어스위치가 온 되었 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A34), 이 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영수증의 내용의 화면을 소거하며, 스텝SA27로 이행하여 영수증리스트화면을 표시한다. 클리어스위치가 온이 아닌 경우에는 삭제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A35), 이 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표시되어 있는 영수증데이터를 삭제하며(스텝SA36), 삭제완료의 표시를 실시한다(스텝SA37). 그리고 OK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A38), 이 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스텝SA27로 이행하여 영수증리스트화면을 표시한다.
스텝SA32에 있어서 클리어스위치가 온이 아닌 경우에는 도 5의 흐름도에 있어서, 영수증리스트화면의 서브메뉴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A39). 이 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서브메뉴화면을 표시한다(스텝SA40). 이 서브메뉴화면에는 복수의 항목으로서 일괄삭제, 누계표시, 리셋, 그 외의 서브메뉴가 표시되고, OK스위치 및 클리어스위치의 아이콘스위치가 표시된다. 그리고 하나의 항목에 포커스한다(스텝SA41).
다음으로 커서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A42), 이 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포커스 위치를 이동한다(스텝SA43). 그리고 OK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A44), 이 스위치가 온 되지 않은 경우에는 클리어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A45). 이 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서브메뉴화면을 소거하고, 도 4의 스텝SA27로 이행하여 영수증리스트화면을 표시한다.
도 5의 스텝SA44에 있어서, OK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그 때의 포커스 위치 가 일괄삭제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A46), 일괄삭제의 위치인 경우에는 일괄삭제처리를 실시한다(스텝SA47). 일괄삭제의 위치가 아닌 경우에는 포커스 위치가 누계표시인지 아닌지 판별하고(스텝SA48), 누계표시의 위치인 경우에는 누계표시처리를 실시한다(스텝SA49). 누계표시의 위치가 아닌 경우에는 포커스 위치가 리셋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A50), 리셋의 위치인 경우에는 리셋처리를 실시한다(스텝SA51). 리셋의 위치가 아닌 경우에는 포커스 위치에 따른 그 외의 서브메뉴처리를 실시한다(스텝SA52). 포커스 위치에 따른 처리를 실시한 후는 도 4의 스텝SA27로 이행하여 영수증리스트화면을 표시한다. 도 5의 스텝SA39에 있어서, 서브메뉴스위치가 온이 아닌 경우에는 도 4의 스텝SA29로 이행하여 커서스위치의 온을 판별한다.
도 4의 스텝SA26에 있어서 영수증스위치가 온이 아닌 경우에는 도 6의 흐름도에 있어서, 스케줄/캘린더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A53). 이 스위치가 온이 아닌 경우, 즉 스위치부(5)의 어느 쪽의 스위치도 온이 아닌 경우에는 도 2의 스텝SA3으로 이행하여 오프스위치의 온을 판별한다.
스케줄/캘린더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현재의 월 일을 취득하여(스텝SA54) 취득한 월 일에 의거하여 캘린더데이터를 검색하여 표시한다(스텝SA55). 또한 취득한 날에 의거하여 캘린더상의 날짜를 포커스한다(스텝SA56). 이 캘린더의 화면에는 클리어스위치 및 스케줄설정스위치도 표시된다.
다음으로 포커스한 월 일에 스케줄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별한다(스텝SA57). 스케줄이 있는 경우에는 그 스케줄 내용을 표시한다(스텝SA58). 한편 포커스한 월 일에 스케줄이 없는 경우, 또는 포커스한 월 일의 스케줄을 표시한 후는 커서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A59), 이 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포커스할 월 일을 이동하여(스텝SA60) 스텝SA57로 이행한다. 커서스위치가 온이 아닌 경우에는 클리어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A61). 이 스위치가 온이 아닌 경우에는 스케줄설정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A62), 이 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스케줄설정처리를 실시한다(스텝SA63). 스케줄설정처리 후는 스텝SA55로 이행하여 취득한 월 일에 의거하여 다시 캘린더데이터를 검색하여 표시한다.
스텝SA61에 있어서, 클리어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도 2의 스텝SA2로 이행하여 대기화면을 표시한다.
도 7은 도 5의 메인루틴에 있어서의 스텝SA51의 리셋처리의 흐름도이다. 이 처리에서는 레지스터TPAY에 스토어되어 있는 지불금액 누계를 리셋하여(스텝SB1) 리셋완료화면을 표시한다(스텝SB2). 그리고 OK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B3), 이 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메인루틴으로 되돌아가서 도 4의 스텝SA27에 있어서 영수증리스트화면을 표시한다.
스텝SB3에 있어서, OK스위치가 온이 아닌 경우에는 누계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B4), 이 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변수n을 「1」로 세트하여(스텝SB5) 영수증데이터베이스에 있어서의 각 영수증데이터를 변수n에 의해서 지정하여 n의 값을 증가하면서 스텝SB6 내지 스텝SB8의 루프처리를 반복한다.
즉 영수증데이터(n)의 지불금액을 레지스터TPAY에 누계하고(스텝SB6), n의 값을「1」만큼 증가한다(스텝SB7). 그리고 증가한 n의 값을 최대값 보다 커졌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B8), n의 값이 최대값 이하인 경우에는 스텝SB6으로 이행하여 상기 루프처리를 반복한다. 스텝SB8에 있어서, n의 값이 최대값보다 커졌을 때, 즉 모든 영수증데이터에 있어서의 지불금액이 누계값으로서 TPAY에 스토어되었을 때는 메인루틴으로 되돌아가서 도 4의 스텝SA27에 있어서 영수증리스트화면을 표시한다.
도 8은 도 5에 있어서의 스텝SA47의 일괄삭제처리의 흐름도이다. 우선, 일괄삭제 선택화면을 표시한다(스텝SC1). 이 화면에는 2개의 항목인 카테고리별 및 기간지정을 선택하는 메뉴와 함께, OK스위치 및 클리어스위치의 아이콘이 표시된다. 그리고 하나의 항목에 포커스한다(스텝SC2). 다음으로 커서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C3), 이 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포커스 위치를 이동한다(스텝SC4). 그리고 OK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C5), 이 스위치가 온 되지 않은 경우에는 클리어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C6). 클리어스위치가 온이 아닌 경우에는 스텝SC3에 있어서 커서스위치의 온을 판별하는데, 클리어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메인루틴으로 되돌아가서 도 4의 스텝SA27에 있어서 영수증리스트화면을 표시한다.
도 8의 스텝SC5에 있어서, OK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그 때의 포커스 위치에 따른 처리를 실시한다. 즉 포커스 위치가 카테고리별인지 또는 기간지정인지를 판별한다(스텝SC7). 카테고리별인 경우에는 카테고리 선택화면을 표시한다(스텝SC8). 이 화면에는 영수증이 발행된 카테고리인 점포, 예를 들면 편의점, 패스트 푸드, 비디오가게, 주유소, 호텔 등을 선택하는 메뉴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삭제하고 싶은 점포를 커서스위치 및 OK스위치로 선택한다. 카테고리가 선택되었을 때는 선택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영수증데이터를 삭제한다(스텝SC9).
한편, 포커스 위치가 기간지정인 경우에는 기간지정의 화면을 표시한다(스텝SC10). 이 화면에는 삭제할 기간의 년 월 일을 입력하기 위한 영역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삭제하는 기간을 숫자/문자입력스위치에 의해서 입력하고, OK스위치에 의해서 기간지정을 결정한다. 삭제기간이 지정되었을 때는 지정된 기간에 포함되는 영수증데이터를 삭제한다(스텝SC11).
스텝SC9 또는 스텝SC11에 있어서 영수증데이터를 삭제한 후는 삭제완료화면을 표시하고(스텝SC12), OK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C13). 이 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메인루틴으로 되돌아가서 도 4의 스텝SA27에 있어서 영수증리스트화면을 표시한다.
도 9는 도 5의 메인루틴에 있어서의 스텝SA49의 누계표시처리의 흐름도이다. 우선 누계선택화면을 표시한다(스텝SD1). 이 화면에는 2개의 항목인 영수증데이터의 누계 및 지불금액의 누계를 선택하는 메뉴와 함께, OK스위치 및 클리어스위치의 아이콘스위치가 표시된다. 그리고 하나의 항목에 포커스한다(스텝SD2).
다음으로 커서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D3), 이 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포커스 위치를 이동한다(스텝SD4). 그리고 OK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D5), 이 스위치가 온이 아닌 경우에는 클리어스위치가 온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D6). 클리어스위치가 온이 아닌 경우에는 스텝SD3에 있어서 커서스위치의 온을 판별하는데, 클리어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메인루틴으로 되돌아가서 도 4의 스텝SA27에 있어서 영수증리스트화면을 표시한다.
도 9의 스텝SD5에 있어서, OK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포커스 위치가 영수증의 누계인지 또는 지불금액의 누계인지를 판별한다(스텝SD7). 포커스 위치가 영수증의 누계인 경우에는 RAM(3)의 영수증누계의 레지스터에 스토어되어 있는 영수증데이터의 누계값을 표시한다(스텝SD8). 한편 포커스 위치가 지불금액의 누계인 경우에는 RAM(3)의 레지스터TPAY에 스토어되어 있는 지불금액의 누계값 및 예금의 잔액을 표시한다(스텝SD9). 영수증데이터 또는 지불금액의 누계를 표시한 후는 OK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D10). 이 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스텝SD1에 있어서 다시 누계선택화면을 표시한다.
스텝SD10에 있어서 OK스위치가 온이 아닌 경우에는 커서스위치 및 OK스위치의 조작에 의해서 특정의 카테고리가 선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D11). 특정의 카테고리가 선택되었을 때는 누계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D12), 이 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선택되어 있는 카테고리의 영수증데이터에 있어서의 지불금액의 누계값을 연산에 의해서 산출하고, 표시부(12)에 표시한다(스텝SD13).
선택카테고리의 지불금액의 누계값을 표시한 후, 또는 스텝SD11에 있어서 카테고리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또는 스텝SD12에 있어서 누계스위치가 온 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SD10에 있어서, OK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즉 스텝SD11 내지 스텝SD13의 처리에 의해서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누계스위 치를 온으로 하면 선택된 카테고리의 점포, 예를 들면 편의점, 패스트푸드, 비디오 가게, 주유소, 호텔마다의 지불금액의 누계값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도 3의 메인루틴에 있어서의 스텝SA19의 영수증데이터스토어처리의 흐름도이다. 우선 영수증데이터를 RAM(3)의 영수증데이터베이스에 스토어한다(스텝SE1). 도 11은 영수증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영수증데이터베이스에는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영수증데이터(1)∼(N)이 스토어되어 있고, 각 영수증데이터에는 영수증번호, 날짜, 카테고리 즉 점포의 명칭, 상품명이나 서비스명, 지불금액의 데이터가 스토어되는 동시에, 그 점포에 캠페인이 있을 경우에는 그 캠페인정보의 데이터가 스토어된다. 캠페인정보에는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포의 주소, 점포의 위도·경도 정보인 GPS정보, 캠페인 내용 및 캠페인 기간의 데이터가 스토어되어 있다. 캠페인기간으로서는 예를 들면 「○월 △일까지」와 같이 절대적인 기간 또는 「당월말까지」 또는 「오늘부터 ○○일간 또는 XX주간」과 같이 상대적인 기간이 있다.
따라서 도 10의 스텝SE1에 있어서 영수증데이터를 영수증데이터베이스에 스토어한 후에 캠페인정보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별한다(스텝SE2). 캠페인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메인루틴으로 되돌아가는데, 캠페인정보가 있는 경우에 있어서 그 캠페인기간이 상대적인 데이터이면 영수증의 날짜 및 그 상대적인 캠페인기간에 의거하여 날짜를 확정할 수 있는 절대적인 캠페인기간을 검출하여(스텝SE3) 스케줄/캘린더데이터베이스의 대응하는 날짜영역에 캠페인 내용, 점포의 명칭, 주소, GPS정보를 스토어한다(스텝SE4). 그리고 도 3의 메인루틴으로 되돌아간다.
도 12는 일정시간마다의 타이머인터럽트의 흐름도이다. 일정시간마다 현재 월 일을 취득하여(스텝SF1) 그 취득한 현재 월 일에 캠페인정보의 스케줄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별한다(스텝SF2). 캠페인정보의 스케줄이 있는 경우에는 그 스케줄에 GPS정보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별한다(스텝SF3). GPS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GPS부(7)에 의해 위치정보를 취득한다(스텝SF4). 그리고 스케줄 내의 GPS정보와 GPS부로부터 취득한 GPS정보에 있어서의 위치끼리가 가까운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F5). 위치끼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캠페인 내용을 표시부(12)에 표시하여(스텝SF6) 스피커(9) 등에 의해서 일정시간 통지한다(스텝SF7). 그 후는 OK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F8), 이 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메인루틴으로 되돌아간다.
도 13은 착신검지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의 전원경로POW3가 온으로 RF블록(4)이 동작중인 경우에 전화의 착신이 있다고 스피커(9)에 의해서 그 착신을 통지한다(스텝SG1). 그리고 오프훅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G2), 이 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통화처리로 천이하여 마이크(8) 및 스피커(9)에 의해서 통화가 이루어진다(스텝SG3). 통화처리에 있어서는 온훅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G4), 이 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회선절단 등의 통화종료처리를 실시하여(스텝SG5) 도 2의 메인루틴으로 되돌아가서 대기화면을 표시한다.
도 14는 비접촉IC(10)의 흐름도이다. 비접촉IC(10)의 CPU는 도 3에 있어서의 휴대전화의 메인루틴에 있어서, 스텝SA12의 지불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프로그램ROM에 격납되어 있는 통신제어처리의 프로그램에 따라서 이 흐름도를 실행한 다. 우선 점포의 레지스터부(11)와 무선통신을 실시하고, 레지스터부로부터 지불준비가 OK인지의 문의신호를 수신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H1), 이 문의신호를 수신했을 때는 레지스터부(11)에 대하여 OK신호를 송신한다(스텝SH2). 그리고 지불액요구신호를 레지스터부(11)로부터 수신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H3), 이 신호를 수신했을 때는 데이터RAM에 기억되어 있는 축적금액 즉 금융기관의 예금잔고의 금액이 지불금액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H4).
축적금액이 지불금액 이상인 경우에는 축적금액으로부터 지불금액을 감산한다(스텝SH5). 다음으로 레지스터부(11)에 대하여 지불OK신호를 송신하고(스텝SH6), 지불금액의 데이터를 송신한다(스텝SH7). 그리고 레지스터부(11)로부터 영수증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H8), 수신했을 때는 그 영수증데이터를 휴대전화기의 CPU(1)에 송신한다(스텝SH9).
한편 스텝SH4에 있어서 축적금액이 지불금액 미만인 경우에는 지불불가신호를 휴대전화기의 CPU(1)에 송신한다(스텝SH10).
스텝SH9에 있어서 영수증데이터를 송신한 후, 또는 스텝SH10에 있어서 지불불가신호를 송신한 후는 도 3에 있어서의 휴대전화의 메인루틴에 있어서 스텝SA24의 동작정지에 의해서 동작을 종료한다.
도 15는 비접촉IC(10)와 무선통신을 실시하는 레지스터부(11)의 흐름도이다.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의해서 지불데이터가 입력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J1), 지불데이터가 입력되었을 때는 지불준비가 좋은지 아닌지를 문의하는 지불준비OK신호를 비접촉IC(10)에 송신한다(스텝SJ2). 그 후 비접촉IC(10)로부터 지불준 비가 좋다는 취지의 OK신호를 수신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J3), OK신호를 수신했을 때는 지불금액의 요구신호를 비접촉IC(10)에 송신한다(스텝SJ4). 그리고 비접촉IC(10)로부터 지불이 가능하다는 취지의 지불OK신호를 수신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J5). 이 신호를 수신했을 때는 계속해서 비접촉IC(10)로부터 지불금액의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J6). 예를 들면 금융기관의 구좌번호, 지불금액, 어카운트ID 등에 의해서 그 금융기관에 지불을 의뢰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지는 지불금액의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이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는 영수증데이터를 작성하여(스텝SJ7) 작성한 영수증데이터를 송신한다(스텝SJ8).
스텝SJ5에 있어서 지불OK신호를 수신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지불불가신호를 수신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J9). 이 신호를 수신했을 때는 현금 등에 의한 다른 지불방법에 의한 처리를 실시한다(스텝SJ10).
스텝SJ8에 있어서 영수증데이터를 송신한 후, 또는 스텝SJ10에 있어서 다른 지불방법에 의한 처리를 실시한 후는 스텝SJ1에 있어서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의해서 다른 고객에 대한 지불데이터의 입력을 갖는다.
이상과 같이 이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비접촉IC(10)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제공에 대하여 제공측인 점포의 레지스터부(11)로부터의 지불요구에 따라서 무선신호에 의하여 전자적으로 지불처리를 실시한다. 휴대전화의 CPU(1)는 비접촉IC(10)에 의한 지불처리 중이 아닌 경우에는 외부로부터의 착신을 RF블록(4)에 의해서 검지했을 때는 착신에 따른 오프훅조작에 의해 통화처리로 천이하고, 비접촉 IC(10)에 의한 지불처리 중에 있어서는 전원경로POW3를 오프로하여 RF블록(4)의 기능을 정지시키고, 외부로부터의 착신에 대한 통화처리로의 천이를 금지한다.
따라서 휴대전화에의 전화나 메일의 착신에 의해서 그 휴대전화 내에 수용한 비접촉IC(10)와 레지스터부(11)의 무선통신에 의한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대가의 지불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외부로부터의 전화의 착신에 대한 통화처리를 제어하게 했는데, 외부로부터의 메일의 착신에 대한 제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비접촉IC(10)에 의한 지불처리 중이 아닌 경우에는 외부로부터의 착신을 검지했을 때는 해당 착신에 대한 통신처리로 천이하고, 비접촉IC(10)에 의한 지불처리 중에 있어서는 외부로부터의 착신에 대한 통신처리로의 천이를 금지한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10 및 도 12의 흐름도 및 도 11의 영수증데이터베이스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1)는 비접촉IC(10)에 의한 지불처리에 따라서 레지스터부(11)로부터 수신한 영수증데이터에 캠페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점포의 소재위치의 정보와 함께, 그 캠페인정보를 RAM(3)의 영수증데이터베이스에 기억하고, GPS부(7)에 의해서 검출된 현재위치의 데이터에 대하여 영수증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되어 있는 영수증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점포의 소재위치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GPS부(7)에서 검출된 현재위치와 점포의 소재위치와의 거리가 소정범위 내인지 아닌지를 연산하고, 현재위치와 점포의 소재위치의 거리가 소정범위 내인 경우에는 그 영수증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점포의 캠페인정보를 표시부(12)에 표시한다.
따라서 상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측인 점포의 가까이에 왔을 때는 자동적으로 그 점포의 캠페인정보를 앎으로써 캠페인정보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점포측은 고객에 대한 서비스를 향상시킴으로써 비즈니스의 확대를 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CPU(1)는 캠페인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캠페인기간 내에 현재의 날짜가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검색하여 캠페인기간 내에 현재의 날짜가 포함되는 경우에 캠페인정보를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무심코 캠페인기간을 놓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캠페인의 특전을 받아서 누리는 기회를 놓칠 우려가 없어진다.
또한 CPU(1)는 레지스터부(11)로부터 수신한 영수증데이터의 캠페인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캠페인기간을 캘린더데이터와 연동한 스케줄데이터를 RAM(3)에 기억하고, 그 스케줄데이터에 의해서 캠페인기간 내에 현재의 날짜가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검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케줄데이터로 확인하면서 계획적으로 점포의 캠페인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변형 예로서 지도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메모리를 휴대전화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는 RF블록(4)을 통하여 액세스한 외부의 서버로부터 GPS부(7)에 의해서 검출된 현재위치 및 점포의 소재위치를 나타내는 지도데이터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어떤 구성에 있어서도 CPU(1)는 현재위치 및 점포의 소재위치를 나타내는 지도데이터를 캠페인정 보와 함께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캠페인을 실시하고 있는 점포를 헤매지 않고 갈 수 있다.
또 다른 변형 예로서 점포의 레지스터부(11)에 고객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서버를 접속하여 고객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고객의 메일주소에 의거하여 캠페인정보를 메일로 송신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 서버가 휴대전화의 기지국에 액세스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면 고객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고객의 전화번호에 의거하여 고객이 점포의 가까이에 있는 것이 기지국에 의해서 판명된 경우에는 서버로부터 그 고객의 휴대전화에 대하여 캠페인정보 및 지도데이터를 메일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고객에 대한 서비스를 보다 한층 향상시킴으로써 비즈니스의 확대를 꾀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8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1)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제공에 대하여 레지스터부(11)로부터의 지불요구에 따라서 비접촉IC(10)가 무선신호에 의해서 전자적으로 지불처리를 실시했을 때는 지불처리에 따라서 비접촉IC(10)가 레지스터부(11)로부터 수신한 지불처리에 대한 영수증데이터를 RAM(3)의 영수증데이터베이스에 기억하는 동시에, 영수증데이터를 기억할 때마다 그 영수증데이터에 있어서의 지불금액의 데이터를 RAM(3)의 레지스터TPAY에 누계하여 누계금액데이터로서 기억한다. 그리고 커서스위치 및 OK스위치 등의 스위치조작에 의해서 입력되는 영수증삭제의 지령에 따라서 RAM(3)의 영수증데이터베이스의 영수증데이터를 삭제하고, 커서스위치 및 OK스위치 등의 다른 스위치조작에 의해 입력된 누계삭제의 지령에 따라서 RAM(3)의 레지스터TPAY의 누계금 액데이터를 삭제한다. 즉 영수증데이터의 삭제와 누계금액데이터의 삭제가 별개의 스위치조작에 의해서 실시된다.
따라서 영수증데이터의 누적에 의해서 RAM(3)의 영역이 적어지고, 내용을 확인완료하여 보존의 필요가 없어진 영수증데이터를 삭제한 경우라도 지불금액의 누계값은 보존할 수 있기 때문에 지불처리의 증가에 동반하여 증가하는 영수증데이터를 삭제하여 지불처리가 증가해도 데이터가 갱신되는 만큼의 지불금액의 누계값을 보존하는 것이고, RAM(3)의 영역을 절약할 수 있는 동시에, 필요한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다.
또 도 8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1)는 커서스위치 및 OK스위치의 조작에 따라서 기간이 지정되었을 때는 그 지정기간 내의 영수증데이터 또는 누계금액데이터를 삭제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있어서 보존의 필요가 없는 기간의 영수증데이터를 선택하여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월 초에 가계부를 쓰는 경우에는 전월의 지불금액의 누계값을 가계부에 옮겨 적은 후는 전월의 기간을 지정하여 삭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있어서 보존의 필요가 없는 데이터에 의해서 RAM(3)의 영역이 헛되이 점유되는 일이 없어진다.
또 동 도 8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1)는 커서스위치 및 OK스위치의 조작에 따라서 점포의 카테고리가 지정되었을 때는 그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영수증데이터를 삭제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있어서 보존의 필요가 없는 카테고리의 영수증데이터를 선택하여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무처의 일로 호텔 등을 이용하여 지불을 실시한 경우에는 영수증을 근무처에 제출할 필요가 있기 때문 에 그 영수증데이터는 보존하고, 개인적으로 이용한 편의점 등의 영수증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즉 카테고리마다 영수증데이터를 취사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1)는 RAM(3)의 영수증데이터베이스에 있어서의 일부의 영수증데이터 및 레지스터TPAY의 누계금액데이터를 삭제한 후에 누계스위치가 조작된 경우에는 영수증데이터베이스에 있어서의 남은 영수증데이터에 있어서의 지불금액을 누계하여 새로운 누계금액데이터로서 레지스터TPAY에 기억한다. 따라서 영수증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되어 있는 영수증데이터 중에서 필요한 것을 남기고 삭제하여 남은 영수증데이터에 있어서의 지불금액의 누계값을 다시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적인 영수증데이터와 사적인 영수증데이터가 영수증데이터베이스에 혼재하여 보존되어 있는 경우에, 어느 쪽인가 한쪽의 영수증데이터를 삭제하여 다른쪽의 영수증데이터에 있어서의 지불금액의 누계값만을 보존할 수 있다.
또는 도 9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1)는 영수증데이터베이스에 보존되어 있는 영수증데이터 중에서 커서스위치 및 OK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특정의 카테고리의 점포를 선택하여 누계스위치의 조작에 따라서 그 선택된 점포에 대응하는 영수증데이터에 있어서의 지불금액의 누계값을 표시부(12)에 표시한다. 따라서 카테고리별의 지불금액의 누계값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의 구성에 의한 제 2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하여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CPU(1)의 메인루틴의 일부 및 전화 또는 메일의 착신검지처리만이 제 1 실시형태와 다르고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제 1 실시형태의 도면을 원용하여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6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메인루틴의 도 3에 대응하는 처리이다. 도 2의 스텝SA3에 있어서 오프훅스위치가 온이 아닌 경우에는 도 16의 흐름도에 있어서 지불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A71). 이 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POW2를 온으로 하여 비접촉IC(10)의 동작을 시작시키고(스텝SA72), 보류플래그를 「1」로 세트 한다(스텝SA73).
다음으로 비접촉IC(10)로부터 지불금액을 수신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A74). 지불금액을 수신했을 때는 RAM(3)의 레지스터PAY에 지불금액을 스토어한다(스텝SA75). 또한 레지스터TPAY에 PAY의 지불금액을 누산하여 누산값을 갱신한다(스텝SA76). 다음으로 비접촉IC(10)로부터 영수증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A77). 영수증데이터를 수신했을 때는 영수증데이터스토어처리를 실시하고(스텝SA78), 영수증데이터의 내용을 표시한다(스텝SA79).
스텝SA74에 있어서 비접촉IC(10)로부터 지불금액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지불불가신호를 수신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A80). 이 신호를 수신했을 때는 잔고부족의 경고를 표시한다(스텝SA81).
스텝SA79에 있어서 영수증데이터의 내용을 표시한 후, 또는 스텝SA81에 있어서 잔고부족의 경고를 표시한 후는 OK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A82), 이 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비접촉IC(10)의 동작을 정지하며(스텝SA83), 보류플래그를 「0」으로 리셋하여(스텝SA84) 도 2의 스텝SA2로 이행하여 대기화면을 표시한다.
도 17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화의 착신검지처리의 흐름도이다. RF블록(4)에 의해서 전화의 착신을 검지했을 때는 이 흐름도를 실행한다. 우선 보류플래그가 「1」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K1), 이 플래그가 「1」인 경우에는 오프훅하여 자동착신을 실시한다(스텝SK2). 그리고 보류음을 발생하여 상대에게 송신한다(스텝SK3). 예를 들면 「지금 전화를 받을 수 없습니다. 잠시 기다리시거나 다시 걸어주십시오」등의 메세지를 상대에게 송신한다. 그 후 상대의 온훅에 의해서 회선이 절단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K4). 회선이 절단되었을 때는 메인루틴으로 되돌아간다.
회선이 절단되지 않은 경우는 즉 전화의 상대가 온훅하지 않고 통화할 수 있는 것을 기다리고 있는 경우에는 보류플래그가 「0」으로 리셋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K5). 보류플래그가「0」으로 리셋되었을 때는 즉 비접촉IC(10)에 의한 전자지불처리가 종료되어 도 16의 스텝SA84에 있어서 보류플래그가 「0」으로 리셋되었을 때는 스피커(9)에 의해서 소정 시간만 착신통지를 실시한다(스텝SK6). 즉 상대가 통화할 수 있는 것을 기다리고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스텝SK1에 있어서, 보류플래그가 「0」인 경우, 즉 비접촉IC(10)에 의한 전자지불처리가 실시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피커(9)에 의해서 착신통지를 실시한다(스텝SK7). 그리고 오프훅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K8). 오프훅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 또는 스텝SK6에 있어서 상대가 통화할 수 있는 것을 기다리고 있다는 취지의 착신통지를 실시한 후는 통화처리로 천이한다(스텝SK9). 통화처리에 있어서는 온훅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K10), 이 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회선절단 등의 통화종료처리를 실시하여(스텝SK11) 메인루틴으로 되돌아간다.
이상과 같이 이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휴대전화의 RF블록(4)은 통신회선을 통하여 외부로부터의 전화나 메일의 착신을 검지한다. 비접촉IC(10)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대가를 무선신호에 의해서 전자적으로 지불처리를 실시한다. 휴대전화의 CPU(1)는 비접촉IC(10)에 의한 지불처리 중이 아닌 경우에는 외부로부터의 착신을 RF블록(4)에 의해서 검지했을 때는 착신에 따른 오프훅조작에 의해 통화처리로 천이하고, 비접촉IC(10)에 의한 지불처리 중에 있어서는 외부로부터의 착신에 대하여 자동착신을 실시하여 보류음을 발생하여 상대에게 송신하여 외부로부터의 착신에 대하여 통화처리로의 천이를 중단한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휴대전화에의 전화나 메일의 착신에 의해서 그 휴대전화 내에 수용한 비접촉IC(10)와 레지스터부(11)의 무선통신에 의한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대가의 지불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의 구성에 의한 제 3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하여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CPU(1)의 메인루틴에 있어서의 도 2의 스텝SA9의 통화처리가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와 다르고 있다. 제 3 실시형태는 전화로 상대와 통화를 하고 있는 도중에 비접촉IC(10)에 의한 전자지불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의 동작의 설명이다. 예를 들면 점포 내에서 지불대기를 하고 있을 때에 전화의 착신을 받아서 상대와의 통화 중에 레지스터부(11)로부터 지불준비 가 OK인지 아닌지를 문의하는 신호를 수신했을 때는 그대로 통화를 계속할 수 없다.
도 18은 이와 같은 경우의 통화처리의 흐름도이다. 보류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L1), 이 스위치가 온 되었을 때는 마이크(8) 및 스피커(9)를 오프 또는 뮤트로 하여(스텝SL2) 음성메세지 또는 멜로디음을 상대에게 송신한다(스텝SL3). 음성메세지 등을 송신 중에 있어서는 다시 보류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L4), 이 스위치가 다시 온 되었을 때는 마이크(8) 및 스피커(9)를 온 또는 뮤트해제로 하여 다시 통상의 통화처리로 천이한다.
이상과 같이 이 제 3 실시형태에 따르면 CPU(1)는 외부와의 사이에서 통화가 가능한 통화상태에 있어서 보류스위치의 온조작에 따라 통화상태로부터 보류상태로 이행하여 음성메세지를 통화상대에게 송신하고, 보류상태에 있어서 보류스위치의 온조작에 따라서 보류상태로부터 통화상태로 되돌린다. 즉 통화상태에 있어서 상대와의 통화 중에 레지스터부(11)로부터 지불준비가 OK인지 아닌지를 문의하는 신호를 수신했을 때는 보류스위치를 온으로 함으로써 보류상태로 이행하여 음성메세지를 송신하고, 비접촉IC(10)에 의해서 전자적으로 지불처리를 실시하여 지불이 종료되었을 때는 보류스위치를 온으로 하여 통화를 재개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휴대전화에의 전화나 메일의 착신에 의해서 그 휴대전화 내에 수용한 비접촉IC(10)와 레지스터부(11)의 무선통신에 의한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대가의 지불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휴대전화를 예로 들어서 본 발명의 통신단말장치를 설명했는데, 본 발명의 적용할 수 있는 범위는 상기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휴대전화 이외의 단말장치인 PHS나 PDA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비접촉IC를 수용함으로써 전자식 탁상 계산기 등의 가지고 다닐 수 있는 소형의 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요컨대 장치 내에 수용한 비접촉IC에 의해서 상품 또는 서비스의 제공에 대하여 무선신호에 의해서 전자적으로 지불처리를 실시할 수 있는 모든 소형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또 무선통신에 의해서 전자적으로 지불처리를 실시하는 전자지불수단은 실시 형태의 비접촉IC(1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C카드 또는 자기카드 또는 그 외의 디바이스와 같이 비접촉이고 전자적으로 지불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면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ROM(2)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통신제어처리의 프로그램을 CPU(1)가 실행하는 장치의 발명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RF블록(4)에 의해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서버 등으로부터 다운로드된 통신제어처리의 프로그램 또는 USB인터페이스 등과 같이 휴대전화기의 접속단자로부터 외부의 기억매체에 기억된 통신제어처리의 프로그램을 기입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 등에 인스톨하고, 그 통신제어처리의 프로그램을 CPU(1)가 실행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프로그램의 발명을 실현한다.
즉 그 프로그램은
소정의 통신회선을 통하여 외부로부터의 착신을 검지하는 제 1 스텝과 상품 또는 서비스의 제공에 대하여 해당 제공측으로부터의 지불요구에 따라서 무선신호에 의하여 전자적으로 지불처리를 실시하는 제 2 스텝과, 상기 제 2 스텝에 의한 지불처리 중이 아닌 경우에는 외부로부터의 착신을 상기 제 1 스텝에 의해서 검지했을 때는 해당 착신에 대한 통신처리로 천이하고, 상기 제 2 스텝에 의한 지불처리 중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착신에 대한 통신처리로의 천이를 금지하는 제 3 스텝을 실행한다.

Claims (15)

  1. 소정의 통신회선을 통하여 외부로부터의 착신을 검지하는 착신검지수단과,
    상품 또는 서비스의 제공에 대하여 해당 제공측으로부터의 지불요구에 따라서 무선신호에 의하여 전자적으로 지불처리를 실시하는 전자지불수단과,
    상기 전자지불수단에 의한 지불처리 중이 아닌 경우에, 외부로부터의 착신을 상기 착신검지수단에 의해서 검지했을 때는 해당 착신에 대한 통신처리로 천이하고, 상기 전자지불수단에 의한 지불처리 중에 있어서는 외부로부터의 착신에 대한 통신처리로의 천이를 금지하는 통신제어수단과,
    상기 전자지불수단에 의한 지불처리에 따라서 상기 제공측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지불처리에 대응하는 영수증데이터를 소정의 기억수단에 있어서의 제 1 영역에 기억하는 동시에, 해당 제 1 영역에 영수증데이터를 기억할 때마다 해당 영수증데이터에 있어서의 지불금액의 데이터를 상기 기억수단의 제 2 기억영역에 누계하여 누계금액의 데이터로서 기억하는 데이터기억수단과, 및
    스위치조작에 의해서 입력된 제 1 삭제지령에 따라서 상기 제 1 영역에 있어서의 영수증데이터를 삭제하고, 다른 스위치조작에 의해서 입력된 제 2 삭제지령에 따라서 상기 제 2 영역에 있어서의 누계금액데이터를 삭제하는 데이터삭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제어수단은 상기 전자지불수단에 의한 지불처리 중에 있어서는 상기 착신검지수단의 착신검지기능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제어수단은 상기 전자지불수단에 의한 지불처리 중에 있어서는 상기 착신검지수단에 의해서 착신이 검지되었을 때는 해당 착신의 발신측에 대하여 자동응답처리를 실시하여 특정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제어수단은 상기 자동응답처리에 의해서 회선접속된 발신측이 회선절단을 실시하기 전에 상기 전자지불수단에 의한 지불처리가 종료되었을 때는 상기 발신측과의 통신처리로 천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삭제수단은 조작에 따라서 기간이 지정되었을 때는 해당 지정기간 내의 영수증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삭제수단은 조작에 따라서 제공측의 카테고리가 지정되었을 때는 해당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영수증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기억수단은 상기 데이터삭제수단에 의해서 상기 제 1 영역에 있어서의 일부의 영수증데이터 및 상기 제 2 영역에 있어서의 누계금액의 데이터가 삭제된 후에 조작에 따른 누계지령에 따라서 제 1 영역의 영수증데이터에 있어서의 지불금액을 누계하여 새로운 누계금액데이터로서 제 2 영역에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의 영수증데이터 중에서 선택조작에 따라 특정의 카테고리의 제공측을 선택하는 카테고리선택수단과, 표시조작에 따라서 해당 선택된 카테고리의 제공측에 대응하는 영수증데이터에 있어서의 지불금액의 누계값을 소정의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표시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장치는 상기 전자지불수단에 의한 지불처리에 따라서 상기 제공측으로부터 수신한 캠페인정보 및 상기 제공측의 소재위치의 정보를 소정의 기억수단에 기억하는 기억제어수단과, 현재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수단과, 상기 위치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현재위치와 현재 기억수단에 기억된 캠페인정보를 제공하는 임의의 제공측의 소재위치의 거리가 소정범위 내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상기 판정수단에 의해서 상기 현재위치와 상기 소재위치의 거리가 상기 소정범위 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공측의 캠페인정보를 소정의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표시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현재일시가 상기 기억수단에 있어서의 임의의 캠페인정보에 있어서의 캠페인기간 내인지를 대조하는 대조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대조수단에 의해서 상기 현재일시가 적어도 1개의 캠페인정보에 있어서의 캠페인기간 내라고 대조되었을 때에 해당 캠페인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측의 소재위치와 상기 위치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현재위치의 거리가 소정범위 내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제어수단은 상기 제공측으로부터 수신한 캠페인정보에 있어서의 캠페인기간과 캘린더를 연동한 스케줄을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대조수단은 상기에 기억된 스케줄에 의해서 상기 현재날짜가 상기 캠페인기간 내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위치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현재위치에 의거하여 해당 현재위치를 나타내는 지도정보를 소정의 지도정보기억수단으로부터 취득하여 상기 캠페인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소정의 통신망을 통하여 임의의 제공측과 통신을 실시하는 통신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기억제어수단은 해당 통신수단에 의해서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된 상기 제공측으로부터의 캠페인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5. 소정의 통신회선을 통하여 외부로부터의 착신을 검지하는 스텝과,
    상품 또는 서비스의 제공에 대하여 해당 제공측으로부터의 지불요구에 따라서 무선신호에 의하여 전자적으로 지불처리를 실시하는 전자지불스텝과,
    상기 전자지불스텝에 의한 지불처리 중이 아닌 경우에, 상기 착신을 검지하는 스텝에 의해서 외부로부터의 착신을 검지했을 때는 해당 착신에 대한 통신처리로 천이하고, 상기 전자지불스텝에 의한 지불처리 중에 있어서는 외부로부터의 착신에 대한 통신처리로의 천이를 금지하는 통신제어스텝과,
    상기 전자지불스텝에 의한 지불처리에 따라서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지불처리에 대응하는 영수증데이터를 소정의 기억수단에 있어서의 제 1 영역에 기억하는 동시에, 해당 제 1 영역에 영수증데이터를 기억할 때마다 해당 영수증데이터에 있어서의 지불금액의 데이터를 상기 기억수단의 제 2 기억영역에 누계하여 누계금액의 데이터로서 기억하는 데이터기억스텝과, 및
    스위치조작에 의해서 입력된 제 1 삭제지령에 따라서 상기 제 1 영역에 있어서의 영수증데이터를 삭제하고, 다른 스위치조작에 의해서 입력된 제 2 삭제지령에 따라서 상기 제 2 영역에 있어서의 누계금액데이터를 삭제하는 데이터삭제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처리제어방법.
KR1020050039952A 2004-05-14 2005-05-13 통신단말장치 및 통신처리제어방법 KR1007700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44364A JP2005328321A (ja) 2004-05-14 2004-05-14 通信端末装置および通信制御処理のプログラム
JPJP-P-2004-00144364 2004-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850A KR20060047850A (ko) 2006-05-18
KR100770094B1 true KR100770094B1 (ko) 2007-10-24

Family

ID=34936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952A KR100770094B1 (ko) 2004-05-14 2005-05-13 통신단말장치 및 통신처리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28002B2 (ko)
EP (1) EP1596563B1 (ko)
JP (1) JP2005328321A (ko)
KR (1) KR100770094B1 (ko)
CN (1) CN1696950B (ko)
DE (1) DE602005024338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52323B2 (en) * 2007-11-30 2013-01-08 Blaze Mobile, Inc. Conducting an online payment transaction using an NFC enabl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070298791A1 (en) * 2006-06-23 2007-12-27 Sierra Wireless Inc., A Canad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vent confirmation using personal area network
JP2008011054A (ja) * 2006-06-28 2008-01-17 Kyocera Corp 携帯端末装置及び音声通信方法
JP2008124588A (ja) * 2006-11-09 2008-05-29 Sanyo Electric Co Ltd 電話装置
IL180952A0 (en) * 2007-01-25 2007-07-04 Cellapp Inc Location based services portal for wireless terminal devices
JP2009253705A (ja) 2008-04-07 2009-10-29 Canon Inc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433280B2 (ja) * 2009-04-07 2014-03-05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携帯型端末、および機能制御プログラム
WO2010122907A1 (ja) * 2009-04-22 2010-10-28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ータ転送機能を有する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の動作制御方法
JP6252468B2 (ja) * 2012-10-10 2017-12-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レシート発行装置、レシート発行装置の制御方法
JP2014194731A (ja) * 2012-12-11 2014-10-09 Toshiba Tec Corp 電子レシートシステム、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電子レシート管理サーバ、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AU2013370264A1 (en) * 2012-12-27 2015-08-13 George DIMOKAS Generating and reporting digital QR receipts
WO2017039168A1 (en) 2015-08-28 2017-03-0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7547737B (zh) * 2017-08-21 2020-07-10 北京华大智宝电子系统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及其客户识别模块sim盾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0160A (ko) * 2000-07-27 2002-02-04 김윤석 무선 전자 상거래 지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353214B1 (ko) 2001-01-16 2002-09-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 기능 서비스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9404A (ja) * 1998-04-01 1999-10-19 Sony Corp 携帯型通信装置
JP3763443B2 (ja) * 1998-09-11 2006-04-05 キヤノン株式会社 複合情報装置、着信処理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2000184085A (ja) 1998-12-18 2000-06-30 Fujitsu Ltd 携帯機器、携帯端末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携帯機器を用いたシステム
KR100314174B1 (ko) * 1999-12-28 2001-11-16 이종일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 화폐 운용 방법 및 시스템
WO2001071627A2 (en) 2000-03-22 2001-09-27 Qualcomm Incorporated A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electronic commerce using a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unique identifying information
JP4542687B2 (ja) * 2000-09-18 2010-09-15 株式会社東芝 携帯電話機
WO2002063911A1 (en) * 2001-02-08 2002-08-1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sition profiles in mobile value-added services
US6819756B2 (en) * 2001-05-04 2004-11-16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all pullback by an automatic call distribution (acd) system from an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 and for allowing an acd caller to complete a critical transaction while connected to the ivr
JP4961642B2 (ja) * 2001-07-09 2012-06-27 ソニー株式会社 商品販売決済システム、商品販売決済方法、携帯端末および店舗端末
JP2003085466A (ja) * 2001-09-06 2003-03-20 Sony Corp 携帯型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3187334A (ja) 2001-12-17 2003-07-04 Dainippon Printing Co Ltd 精算システム
JP2003242229A (ja) 2002-02-15 2003-08-29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ビル利用者支援装置
JP2003256520A (ja) 2002-03-06 2003-09-12 Canon Finetech Inc 販売管理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買い物カートおよびサーバ
KR100531075B1 (ko) 2002-04-29 2005-11-28 스마텍(주) 대금결재 시스템
US8611919B2 (en) * 2002-05-23 2013-12-17 Wounder Gmbh., Ll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s and mobile e-commerce
JP4021718B2 (ja) * 2002-07-10 2007-12-12 株式会社東芝 携帯端末装置
JP2004110577A (ja) 2002-09-19 2004-04-08 Jtb Corp 法人等の組織に対する旅費・交通費の一括請求システム
KR100690758B1 (ko) * 2005-04-28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선불 통신요금 결재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0160A (ko) * 2000-07-27 2002-02-04 김윤석 무선 전자 상거래 지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353214B1 (ko) 2001-01-16 2002-09-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 기능 서비스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96950A (zh) 2005-11-16
US7328002B2 (en) 2008-02-05
EP1596563A1 (en) 2005-11-16
KR20060047850A (ko) 2006-05-18
JP2005328321A (ja) 2005-11-24
US20050255835A1 (en) 2005-11-17
DE602005024338D1 (de) 2010-12-09
CN1696950B (zh) 2011-01-19
EP1596563B1 (en) 201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094B1 (ko) 통신단말장치 및 통신처리제어방법
US6885877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using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attachment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P2074718B1 (en) Device and method for reserving a resource via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070119011A (ko) 가치 정보 출력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 장치
JP5158583B2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携帯端末処理プログラム
CN101022617B (zh) 通信终端装置及其处理程序
JP2007259169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349192B2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通信制御処理のプログラム
JP5170070B2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392381B2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通信制御処理のプログラム
WO2018120221A1 (zh) 利用条码进行数据传输的方法及移动设备
JP4462201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7312053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5326927A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通信制御処理のプログラム
JP2002190863A (ja) 携帯電話
JP2005326993A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通信制御処理のプログラム
JP2007052798A (ja) 自動販売機による情報配信方法
KR20090042338A (ko) 이동단말을 이용한 컨텐츠 구매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이동단말
KR100626946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KR10094723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세계시간 지도 표시방법
JP2005339193A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通信制御処理の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管理処理のプログラム
KR20060026497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가계부 관리 방법 및 이를 구현한가계부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0922534B1 (ko) 다기능 무선 포스 주문 단말기
JP4918372B2 (ja) 情報提示方法及び移動通信端末装置
KR20070060177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부재중 호 착신 메일 통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