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9815B1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체문자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체문자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9815B1
KR100689815B1 KR1020050130314A KR20050130314A KR100689815B1 KR 100689815 B1 KR100689815 B1 KR 100689815B1 KR 1020050130314 A KR1020050130314 A KR 1020050130314A KR 20050130314 A KR20050130314 A KR 20050130314A KR 100689815 B1 KR100689815 B1 KR 100689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itute
short message
character
converted
substitute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0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0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98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체문자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체문자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전송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작성한 단문메시지 또는 기 저장한 단문메시지를 로딩(loading)하는 과정과, 상기 로딩과정 후, 대체문자 표시모드인 경우, 상기 로딩한 단문메시지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 후, 상기 단문메시지의 대체문자를 대체번호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변환과정 후, 상기 변환한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단문메시지 전송시 표시부에 표시되는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개인정보를 대체문자로 변환하여 표시하므로 개인정보 보안을 강화한 이점이 있다. 또한, 긴 숫자열대신 대체문자가 표시부에 표시되므로 식별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단문메시지, 대체문자, 단축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체문자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전송방법{METHOD FOR SHORT MESSAGE TRANSMISSION USING SUBSTITUE CHARACT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기존의 단축키 입력방식을 이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체문자 및 대체번호 및 단축키 저장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축키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입력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체문자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전송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체문자 및 대체번호 및 단축키 저장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체문자를 이용한 단문메시지의 출력화면 1을 도시한 도면,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체문자를 이용한 단문메시지의 출력화면 2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메시지 전송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체문자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휴대의 편리성 때문에 사용이 급격히 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이 급격히 늘면서 서비스 제공자(단말기 제조자)들은 많은 사용자들을 확보하기 위해 보다 편리한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폰북(phone book), 게임(game), 단문메시지(short message), 인터넷(internet), 이메일(e-mail), 모닝콜(morning call), 메신저 기능, 단축키기능 등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단축키 기능은 특정 상대방의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번호들을 미리 등록하고, 특정 키를 누르면 상기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전체를 누르지 않더라도 상기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가 입력되는 기능이다.
상기 단축키 기능을 좀더 발전시킨 것으로, ARS(Automatic Response System)기능 사용시 안내멘트에 따라 입력하는 번호들의 순서, 시간을 조절하기 위해서, 특정문자(예를 들어 "P")를 상기 단축번호와 함께 저장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는 상기 특정문자를 인식하여, 단축번호 입력시 상기 특정문자 앞의 단축번호만 입력되고 나중에 상기 단축문자 뒤의 단축번호가 입력되는 기능도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도 1과 같이 일반적인 방식으로 상기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를 상기 단축키기능을 이용하여 입력할 경우, 표시부에 상기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가 바로 표시되고 번호열이 길기 때문에 식별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표시부에 상기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같은 개인정보가 바로 표시되기 때문에 보안성이 약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축키기능을 이용하여 ARS시스템에 접속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개인정보가 직접적으로 표시되지 않고 대체문자가 표시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시부에는 대체문자가 표시되더라도 실제 단문메시지 전송시에는 상기 대체문자에 해당하는 대체번호가 전송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대체문자와 대체번호를 매칭시키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체문자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전송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작성한 단문메시지 또는 기 저장한 단문메시지를 로딩(loading)하는 과정과, 상기 로딩과정 후, 대체문자 표시 모드인 경우, 상기 로딩한 단문메시지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 후, 상기 단문메시지의 대체문자를 대체번호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변환과정 후, 상기 변환한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 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체문자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전송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셀롤라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
상기 도 2을 참조하면, 제어부(MPU : Micro-Processer Unit)(200)는 상기 이 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특히,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대체문자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전송기능을 처리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제어부(200)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롬(ROM : Read Only Memory)(202)은 상기 제어부(2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특히, 대체문자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전송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램(RAM : Random Access Memory)(204)은 상기 제어부(2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플래쉬롬(flash ROM)(206)은 전화번호부(phone book), 발신메시지 및 수신메시지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대체문자와 상기 대체문자와 연관된 대체번호 및 단축키를 저장한다.
키패드(key pad)(208)는 0 ~ 9의 숫자키들과, 메뉴키(menu), 취소키(지움), 확인키, 통화키(TALK), 종료키(END), 인터넷접속키, 네비게이션 키(또는 방향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00)로 제공한다.
표시부(21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 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210)는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에 연결된 코덱(CODEC : Coder-Decoder)(212)과, 상기 코덱(212)에 접속된 스피커(216) 및 마이크(214)는 전화 통화 및 음성 녹음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상기 코덱(212)은 상기 제어부(200)에서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216)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214)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제공한다.
또한, RF모듈(Radio Frequency unit)(220)는 안테나(218)를 통해 수신되는 라디오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기저대역처리부(222)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222)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상승시켜 상기 안테나(218)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222)는 상기 RF부(220)와 상기 제어부(200) 사이에 송수신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체문자 및 대체번호 및 단축키 저장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00)는 31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대체문자입력 메뉴의 선택여부를 검사한다.
만약, 상기 310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대체문자입력 메뉴를 선택한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320단계에서 대체문자와 상기 대체문자에 상응하는 대체번호를 입력받는다.
이후, 상기 제어부(200)는 330단계에서 상기 대체문자를 호출할 수 있는 단축키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입력할 대체문자 내용이 "주민등록번호", 대체번호가 "0512253412335", 단축키가 "1"일 경우, 입력시에는 상기 "주민등록번호"가 대체문자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 "주민등록번호"에 괄호를 덧붙인다. 즉 "(주민등록번호)"와 같이 입력한다.
또한, 상기 대체번호인 "0512253412335"는 상기 "(주민등록번호)"가 전송될 시 변환될 대체번호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단축키 1은, 눌려졌을 경우에 상기 "(주민등록번호)"가 입력된 경우와 동일한 효력을 가진다.
상기 대체문자입력이 완료될 시, 표시부(210)에는 도 6과 같이 표시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200)는 340단계에서 상기 입력받은 대체문자, 대체번호, 그리고 단축키를 플래쉬롬(206)에 저장하고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듬을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축키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입력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00)는 410단계에서 사용자가 단문메시지 입력모드를 선택했는지 검사한다.
만약, 상기 410단계에서 사용자의 선택이 있는 경우, 42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단문메시지를 입력받고 430단계에서 상기 단문메시지 입력 중 단축키로 입력받은 부분을 해당 대체문자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대체문자가 "(주민등록번호)", 대체번호가 "0512253412335", 단축키가 "1"일 경우, 상기 단축키 1이 입력된 경우, "(주민등록번호)"라는 대체문자가 입력된다.
이후, 440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단문메시지 입력을 완료한 경우, 45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받은 단문메시지를 저장한다.
만약, 상기 440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단문메시지 입력을 완료하지 않은 경우, 42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단문메시지를 저장하는 장소는 구현상황에 따라 램(204) 또는 플래쉬롬(206)이 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듬을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체문자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전송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00)는 510단계에서 사용 자가 단문메시지 전송모드 선택한 경우, 520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단문메시지를 로딩(Loading)한다. 구현상황에 따라, 단문메시지는 램(204) 또는 플래쉬롬(206)에서 로딩될 수 있다.
이후, 530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210)로의 출력모드가 대체문자 표시모드인지 검사한다.
상기 대체문자 표시모드는 상기 입력된 대체문자가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 예로 괄호("( )")로 둘러싼 문자를 대체문자로 구분하고 표시부(210)에 표시할 경우에는 특정문자, 상기 괄호("( )")를 제외한 상기 단문메시지를 상기 표시부(210)에 표시한다.
상기 530단계에서 상기 출력모드가 대체문자 표시모드인 경우, 53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로딩한 단문메시지를 도 7과 같이 상기 표시부(210)에 표시한다.
상기 대체문자 표시모드 설정여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될 수 있다.
이후, 545단계에서 상기 단문메시지에서 대체문자로 표시된 부분을 대체번호로 변환하고, 560단계에서 상기 변환한 단문메시지를 전송한다.
만약, 상기 530단계에서 상기 출력모드가 대체문자 표시모드가 아닌 경우, 540단계에서 상기 로딩한 단문메시지의 대체문자에, 일부만을 표시하고 나머지 부분은 특정문자("*")로 표시한 대체번호를 추가하여 550단계에서 도 8과 같이 상기 표시부(210)에 표시한다.
이후, 555단계에서 상기 일부변환된 대체번호를 전부 대체번호로 변환하고 상기 대체문자를 삭제한 후, 560단계에서 상기 변환한 단문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듬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문메시지 전송시 표시부에 표시되는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개인정보를 대체문자로 변환하여 표시하므로 개인정보 보안을 강화한 이점이 있다. 또한, 긴 숫자열 대신 대체문자가 표시부에 표시되므로 식별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체문자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전송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작성한 단문메시지 또는 기 저장한 단문메시지를 로딩(loading)하는 과정과,
    상기 로딩과정 후, 대체문자 표시모드인 경우, 상기 로딩한 단문메시지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 후, 상기 단문메시지의 대체문자를 대체번호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변환과정 후, 상기 변환한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로딩과정 후, 상기 대체문자 표시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로딩한 단문메시지내의 대체문자에 일부만을 대체번호로 변환한 상기 대체문자에 해당하는 대체번호를 추가하는 과정과,
    상기 추가과정 후, 상기 일부 대체번호를 가진 단문메시지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과정 후, 상기 일부 변환한 대체번호를 전부 대체번호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전부 변환과정 후, 상기 변환한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문자는 대체문자임을 나타내기 위해 입력할 상기 대체문자 앞뒤에 특정문자를 추가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체문자 및 대체번호 및 단축키의 연관 목록 작성방법에 있어서,
    대체문자와 상기 대체문자와 연결할 대체번호를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대체문자와 대체번호 입력 후, 상기 대체문자를 한 번의 키 조작으로 입력하기 위한 단축키를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 키 입력 후, 상기 대체번호 및 대체문자 및 단축키를 하나의 목록으로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문자는 대체문자임을 나타내기 위해 입력할 상기 대체문자 앞뒤에 특정문자를 추가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0130314A 2005-12-27 2005-12-27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체문자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KR100689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314A KR100689815B1 (ko) 2005-12-27 2005-12-27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체문자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314A KR100689815B1 (ko) 2005-12-27 2005-12-27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체문자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9815B1 true KR100689815B1 (ko) 2007-03-08

Family

ID=38102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0314A KR100689815B1 (ko) 2005-12-27 2005-12-27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체문자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981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8426A (ko) * 2004-01-29 2005-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개선된 문자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8426A (ko) * 2004-01-29 2005-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개선된 문자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500784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8691A (ko)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7123903B2 (en) Wireless telephone and wireless telephone system
KR100762642B1 (ko) 단말기에서 sms 메시지 배경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및 그 단말기
KR1006790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의 발신 취소 방법
KR10068981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체문자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EP19250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call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4101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증을 위한 화자음성정보갱신방법
KR10068119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KR20040022286A (ko) 단문메시지를 통하여 분실한 휴대전화기의 위치를 찾는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전화기
KR100675124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방법
KR100839838B1 (ko)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10107599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메시지를 특정 메시지수신함에저장하는 방법
KR100647546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에 컨텐츠를 추가하기 위한 방법
KR100626215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예약 발신하기 위한 방법
KR10066455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포즈기능을 이용한 번호 다중선택방법
KR20050055798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중 메모 방법
KR101013819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 관리 방법
KR20070047515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설정에 의한 자동응답 방법
KR100772933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발신 번호에 특정 번호를 추가하기위한 방법
KR20030037329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전송 방법
KR100663468B1 (ko) 휴대용 전화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이메일 주소 입력방법
KR100675158B1 (ko) 인터넷 뱅킹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52505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인식기능을 이용한 배경을자동설정하기 위한 방법
KR10077058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전송 및 저장 방법
KR20080093241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신저를 이용한 단말기 제어 장치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