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588B1 -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전송 및 저장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전송 및 저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588B1
KR100770588B1 KR20050116165A KR20050116165A KR100770588B1 KR 100770588 B1 KR100770588 B1 KR 100770588B1 KR 20050116165 A KR20050116165 A KR 20050116165A KR 20050116165 A KR20050116165 A KR 20050116165A KR 100770588 B1 KR100770588 B1 KR 100770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phone number
user
input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116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7324A (ko
Inventor
이은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50116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588B1/ko
Publication of KR20070057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58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전화번호 전송 및 저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폰북에 저장된 전화번호들 중 특정 전화번호를 전송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번호 전송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사용자에 의해 상기 생성된 메시지에 추가 메시지가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추가 메시지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다른 전화번호로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일일이 외우지 않아도 되고, 상기 전화번호를 잘못 외워 잘못 알려주거나 잘못 저장할 위험성이 줄어든다.
전화번호, 전화번호 전송, 전화번호 저장, 이동통신단말기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전송 및 저장 방법{METHOD FOR SEND AND SAVE PHONE NUMB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를 전송하기 위한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인식하여 메시지 전송, 통화, 및 저장하기 위한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전화번호 전송과,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인식하여 메시지 전송, 통화, 및 저장을 수행하기 위한 화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전화번호 전송 및 저장 방법 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폰북에 등록된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수신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메시지 전송, 통화, 및 저장에 이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데이터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고속의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게 되고, 다양한 부가 서비스 기능들이 제공됨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이 급격히 확산 되어, 대다수의 사람들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하게 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대다수의 사람들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하게 되면서, 특정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 3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알려주기를 요청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상기 특정 사용자에게 제 3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요청받은 사용자는 상기 특정 사용자에게 제 3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알려주기 위하여 자신의 휴대 단말기 폰북에서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그 전화번호를 외우거나 다른 곳에 적어둔 후, 메시지에 상기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여 전송하고 있다.
또한, 다른 사용자에게 메시지로 제 3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수신한 상기 특정 사용자는 상기 제 3 사용자에게 통화 시도 또는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상기 제 3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저장하고자 할 때,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서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외우거나 다른 곳에 적어둔 후, 원하는 부가 서비스 메뉴로 이동하여 직접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화번호가 포함된 메시지의 송수신시, 상기 메시지에 전화번호를 입력시키거나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기 전화번호를 직접 외우거나 따로 적어둬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전송 및 저장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폰북에 등록된 특정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신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사용자가 외울 필요 없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자동으로 인식하여 통화, 메시지 전송 및 저장을 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전화번호 전송 방법은, 폰북에 저장된 전화번호들 중 특정 전화번호를 전송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번호 전송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사용자에 의해 상기 생성된 메시지에 추가 메시지가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추가 메시지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다른 전화번호로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신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은, 메시지의 본문에 특정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상기 메시지에서 상기 전화번호와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전화번호를 관리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번호 관리 메뉴로 전화번호 저장 메뉴가 선택될 경우, 폰북 저장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 의해 추가 정보가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추가 정보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확인된 전화번호와 사용자 정보를 상기 폰북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전화번호를 포함한 메시지를 자동 생성하여 전송하고, 수신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통화, 메시지 전송 및 저장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 메시지는 단문메시지(Short Message), 멀티미디어 메시지(Multimedia Message), 이메일(E-mail), EMS(Enhanced Messaging Service)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셀룰라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communication-2000) 단말기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MPU : Micro-Processor Unit)(10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폰북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기능과 수신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인식하기 위한 기능을 처리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롬(ROM : Read Only Memory)(102)은 상기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폰북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프로그램과, 수신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인식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램(RAM : Random Access Memory)(104)은 상기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수신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인식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플래쉬롬(flash ROM)(106)은 폰북(phone book), 발신메시지 및 수신메시지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키패드(key pad)(108)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접속 버튼, 네비게이션 키(또는 방향키) 버튼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표시부(11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110)는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전화번호가 포함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된 코덱(CODEC : Coder-Decoder)(112)과, 상기 코덱(112)에 접속된 스피커(116) 및 마이크(114)는 전화 통화 및 음성 녹음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상기 코덱(112)은 상기 제어부(100)에서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116)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114)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또한, RF부(Radio Frequency unit)(120)는 안테나(118)를 통해 수신되는 라디오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기저대역처리부(122)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22)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상승시켜 상기 안테나(118)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22)는 상기 RF부(120)와 상기 제어부(100) 사이에 송수신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를 전송하기 위한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제어부(100)는 201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폰북이 선택되면, 2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폰북에 저장된 전화번호 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된 전화번호 목록 중 특정 전화번호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특정 전화번호가 선택된 후, 상기 제어부(100)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플래쉬롬(106)에 저장된 폰북에서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정보(예:이름, 전화번호, 메일주소 등)를 상기 표시부(11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 후, 상기 제어부(100)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를 전송하기 위해 메시지를 이용한 전화번호 전송 메뉴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폰북에 등록된 특정 사용자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후, 사용자에 의해 전화번호 관리 메뉴에서 '3: 문자로 전화번호 전송'메뉴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메시지를 이용한 전화번호 전송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와 상기 해당 전화번호의 사용자 이름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110)에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와 사용자 이름이 포함된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11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2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시지에 추가적인 메시지가 입력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상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와 사용자 이름이 포함된 메시지에 "이 번호로 연락하시면 됩니다"와 같은 추가적인 메시지가 입력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메시지에 추가 메시지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2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와 사용자 이름이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할 다른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입력받은 후, 상기 입력받은 전화번호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한다.
한편, 상기 메시지에 추가 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2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추가 메시지를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와 사용자 이름이 포함된 메시지에 추가시킨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2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전송할 상기 다른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입력받은 후, 상기 입력받은 전화번호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시지에 특정 사용자의 이름과 전화번호만을 포함시켜 전송하였지만, 폰북에 등록된 다른 정보(예: 메일주소, 생일 등)들도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인식하여 메시지 전송, 통화, 및 저장하기 위한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제어부(100)는 301단계에서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있는 메시지인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상기 특정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메시지이면, 상기 제어부(100)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특정 사용자의 전화번호, 이름 등과 같은 정보를 확인한다. 이후, 상기 확인된 특정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램(104)에 임시 저장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제어부(100)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 관리 메뉴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 관리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3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관리하기 위한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문자 번호에 메시지 전송',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의 사용자와 통화를 하기 위한 '문자 번호와 통화', 및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문자 번호 저장' 등과 같은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 관리 메뉴가 디스플레이된 후, 상기 제어부(100)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홍길동으로부터 이순 신의 이름과 전화번호가 포함된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이순신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뉴 중에서, '문자 번호에 메시지 전송' 메뉴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313단계로 진행하여 메시지 작성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어부(100)는 3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메시지가 작성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사용자에 의해 메시지가 작성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3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램(104)에 임시저장된 상기 특정 사용자의 전화번호로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수신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3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의 사용자와 통화를 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홍길동으로부터 이순신의 이름과 전화번호가 포함된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순신과 통화를 하기 위해 상기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뉴 중에서, '문자 번호에 통화' 메뉴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수신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의 사용자와 통화를 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3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램(104)에 임시 저장된 상기 특정 사용자의 전화번호에 통화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수신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의 사용자와 통화를 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32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홍길동으로부터 이순신의 이름과 전화번호가 포함된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이순신의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뉴 중에서, '문자 번호 저장' 메뉴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수신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311단계로 되돌아간다.
한편, 상기 수신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32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램(104)에 임시 저장된 특정 사용자의 정보(예: 이름, 전화번호)를 포함한 폰북 저장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327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해 추가 정보 입력이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추가 정보 입력이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33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램(104)에 임시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예: 이름, 전화번호 등)를 상기 플래쉬롬(106)에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100)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에 의해 추가 정보 입력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32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의 정보 이외에 이메일 주소 또는 생일 등과 같은 추가 정보가 입력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추가 정보가 입력된 후,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33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램(104)에 임시 저장된 사용자의 이름과 전화번호 및 추가 입력된 정보들을 상기 플래쉬롬(106)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이용하여 특정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송수신할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메시지에 자동으로 포함시켜 전송하고, 상기 전화번호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통화, 메시지 전송, 저장에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전화번호를 일일이 외우지 않아도 되고, 상기 전화번호를 잘못 알려주거나 잘못 저장할 위험성이 줄어든다.

Claims (10)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이용한 전화번호 전송 방법에 있어서,
    폰북에 저장된 전화번호들 중 특정 전화번호를 전송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번호 전송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사용자에 의해 상기 생성된 메시지에 추가 메시지가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추가 메시지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다른 전화번호로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생성된 메시지에 입력되는 추가 내용을 포함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되는 메시지는, 상기 전화번호 이외에도 상기 폰북에 등록된 상기 특정 사용자의 다른 정보들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정보들은, 이름, 메일주소, 생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이메일, EMS(Enhanced Messaging Service)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신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메시지의 본문에 특정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상기 메시지에서 상기 전화번호와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전화번호를 관리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전화번호 관리 메뉴로 전화번호 저장 메뉴가 선택될 경우, 폰북 저장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 의해 추가 정보가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추가 정보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확인된 전화번호와 사용자 정보를 상기 폰북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추가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추가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추가 정보와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 및 사용자 정보를 상기 폰북에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와 추가 정보는, 이름, 메일주소, 생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관리 메뉴로 통화 메뉴가 선택될 경우, 상기 확인된 전화번호에 통화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관리 메뉴로 메시지 전송 메뉴가 선택되면, 메시지 작성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메시지가 작성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가 작성되면, 상기 확인된 전화번호에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20050116165A 2005-12-01 2005-12-01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전송 및 저장 방법 KR100770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16165A KR100770588B1 (ko) 2005-12-01 2005-12-01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전송 및 저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16165A KR100770588B1 (ko) 2005-12-01 2005-12-01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전송 및 저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324A KR20070057324A (ko) 2007-06-07
KR100770588B1 true KR100770588B1 (ko) 2007-10-26

Family

ID=38354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116165A KR100770588B1 (ko) 2005-12-01 2005-12-01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전송 및 저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05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284A (ko) * 2002-08-02 2004-02-1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통화 중전화부 관리 방법
KR20040033925A (ko) * 2002-10-16 2004-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화중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40089232A (ko) * 2003-04-11 2004-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화 중 검색전화번호 전송방법
KR20050099894A (ko) * 2004-04-12 2005-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텍스트에 포함된 전화번호 등록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284A (ko) * 2002-08-02 2004-02-1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통화 중전화부 관리 방법
KR20040033925A (ko) * 2002-10-16 2004-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화중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40089232A (ko) * 2003-04-11 2004-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화 중 검색전화번호 전송방법
KR20050099894A (ko) * 2004-04-12 2005-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텍스트에 포함된 전화번호 등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324A (ko) 200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5487B2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providing memo function and method thereof
US8731525B2 (en) Single button contact request and response
KR20100108691A (ko)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3731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처리 방법
KR1006790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의 발신 취소 방법
KR10077058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전송 및 저장 방법
KR19990041640A (ko) 전화기의 문자 메시지 단축처리 방법
KR20070050197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한방법
KR100648473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KR10068119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JP5162821B2 (ja) 情報処理装置
US20020078156A1 (en) Display data transmitt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100454953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KR100647546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에 컨텐츠를 추가하기 위한 방법
KR100413625B1 (ko) 착신 제한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제한방법과, 착신 제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착신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75018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 입력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방법
KR20070050314A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메시지 표시방법
JP2006180171A (ja) 情報消去方法、移動通信端末装置、サーバシステム、情報消去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07599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메시지를 특정 메시지수신함에저장하는 방법
KR20050055798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중 메모 방법
KR100506282B1 (ko)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전화번호 편집방법
KR100396274B1 (ko)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단문문자서비스문자의 개수를 나타내는 장치
KR10068981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체문자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KR10068101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보호방법
KR20070052036A (ko) 휴대용 단말기의 북마크 전송 및 저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