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8003B1 - 구이기 - Google Patents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8003B1
KR100768003B1 KR1020060063823A KR20060063823A KR100768003B1 KR 100768003 B1 KR100768003 B1 KR 100768003B1 KR 1020060063823 A KR1020060063823 A KR 1020060063823A KR 20060063823 A KR20060063823 A KR 20060063823A KR 100768003 B1 KR100768003 B1 KR 100768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ylinder
oil
burner
heat
rot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3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웅
서근석
Original Assignee
서정웅
서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웅, 서근석 filed Critical 서정웅
Priority to KR1020060063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8003B1/ko
Priority to PCT/KR2007/003263 priority patent/WO200800482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6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horizontal turn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9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constructed from refractory blo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육류 또는 어류를 불에 조리할 때 직화(直火)가 아닌 간접적인 열복사에 의해 조리하는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재료를 굽는 공간이 형성되는 내통과, 상기 내통의 외측에 내통을 둘러싸며 내통과의 사이가 소정간격 이격되는 외통과, 연소공기를 발생시키는 버너와, 상기 버너에 의해 발생된 연소공기의 열이 상기 내통 내부의 재료로 전달되도록 상기 내통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버너에서 발생된 연소공기가 유동하는 열유동통로와, 상기 내통의 하부에 설치되어 재료가 구워질 때 떨어지는 기름을 받아 한곳으로 모으는 기름받이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내통의 내부에 상기 가열되는 재료가 거치되는 회전식 거치대가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며; 상기 회전식 거치대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축과, 상기 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회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이기, 황토판, 맥반석판, 수증기 공급관,

Description

구이기{Roaster}
도1은 본 발명의 구이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종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2는 도1에 따른 구이기의 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한 부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외통 12 : 철판
14 : 단열재 16 : 황토판
18 : 연통 20 : 내통
22 : 황토판 24 : 맥반석판
26 : 구이공간 28 : 도어
29 : 공기배출구 30 : 버너
40 : 열유동통로 50 : 기름받이통
52 : 기름배출공 54 : 보충수파이프
56 : 드레인공 58 : 에어핀
60 : 회전식 거치대 62 : 구동장치
63 : 축 64 : 제1회전판
66 : 제2회전판 67 : 외륜기어
68 : 내륜기어 70 : 수증기공급관
80 : 온도계 90 : 온도조절기
본 발명은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육류 또는 어류를 불에 조리할 때 직화(直火)가 아닌 간접적인 열복사에 의해 조리하는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나 어류 등은 불에 구워 조리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경우 가스 또는 숫불에 직접적으로 굽거나 불판 등의 판재위에 올려 가열된 불판의 열로서 조리하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조리할 경우 육류 또는 어류등의 재료에서 흘러나오는 기름등이 불꽃에 바로 떨어져 그을음 등의 원인을 제공하며, 불판을 사용하더라도 열조절이 쉽지 않아 불판이 과열되면서 타거나 초기연소시의 불연소 및 떨어지는 기름에 의한 그을음 등으로 인한 유해물질이 발생하여 재료에 침착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재료에서 발생된 기름으로 인한 그을음 등이 발생하지 않으며, 재료가 타지 않아 유해물질이 침착되지 않는 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재료를 굽는 공간이 형성되는 내통과, 상기 내통의 외측에 내통을 둘러싸며 내통과의 사이가 소정간격 이격되는 외통과, 연소공기를 발생시키는 버너와, 상기 버너에 의해 발생된 연소공기의 열이 상기 내통 내부의 재료로 전달되도록 상기 내통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버너에서 발생된 연소공기가 유동하는 열유동통로와, 상기 내통의 하부에 설치되어 재료가 구워질 때 떨어지는 기름을 받아 한곳으로 모으는 기름받이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내통의 내부에 상기 가열되는 재료가 거치되는 회전식 거치대가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며; 상기 회전식 거치대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축과, 상기 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회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통 내부에서 가열되는 재료에서 손실되는 수분을 보충하기 위하여 수증기 공급관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내통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름받이통은 떨어진 기름을 한곳으로 모아 배출하도록 기름을 받는 부분이 대략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깔대기 형상의 정점에는 기름의 배출을 위한 배출공이 형성되며, 떨어진 기름이 열기에 의해 타지 않도록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통과 내통의 적어도 일부는 황토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내통의 일부는 원적외선 및 미네랄을 방출하는 맥반석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식 거치대는 상기 내통의 내주부에 형성되는 내륜기어와, 상기 제1회전판의 둘레에 착탈가능하며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2회전판과, 상기 내륜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제1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제2회전판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회전판의 외주를 따라 설치되는 외륜기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육류나 어류 등의 재료가 화염에 직접 닿지 않고 열유동통로를 통해 전해진 열기에 의해 조리되므로 직접적인 화염이 닿지 않아 재료가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이기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구이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종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2는 도1에 따른 구이기의 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이기는 크게 외관을 이루는 외통(10)과, 상기 외통(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통(20), 연소공기를 발생시키는 버너(30)와 상기 버너(30)에서 발생된 연소공기가 유동되면서 내통(20)내부에 열을 전달시키는 열유동통로(40) 및 연소공기가 배출되는 연통(18)과, 내통 하부에 구비되는 기름받이통(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외통(10)은 외관을 형성하며, 적어도 일부는 황토(16)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최외측은 철판(12)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외통(10)의 황토(16)와 철판(12)의 사이에는 단열을 위한 단열재(1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통(20)은 상기 외통(10)의 내부에 상기 외통(10)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내통(20)은 내부에 육류나 어류 등이 위치되는 공간(26)이 형성되며, 하측은 조리시 발생하는 기름의 배출을 위하여 개방되고, 상측에는 가열된 공기 및 재료에서 발생되는 냄새와 연기 등이 배출되는 공기배출구(29)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구(29)가 형성되는 상측은 공기의 원할한 배출을 위하여 대략 삿갓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내통(20)은 적어도 일부가 황토판(22)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내통(20)의 일부는 맥판석판(24)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외통(10) 및 내통(20)을 황토(12,22) 및 맥반석판(22)등으로 제작함으로써 조리시 원적외선 및 미네랄등이 방출되도록 하여 음식의 맛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외통(10) 및 내통(2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본골격을 형성하는 금속제 프레임과, 상기 금속제 프레임에 조립되는 황토판 및 맥반석판, 그리고, 상기 황토판 및 맥반석판을 고정하기 위한 밴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내통(20)의 외주면 일부에는 상기 내통(20)을 개폐하는 도어(28)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28)는 외부에서 내통(20) 내부를 볼 수 있도록 내열유리 등으로 투시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내통의 도어(28)에 대응하는 부위의 외통(10)의 외주면에도 상기 내통(20)의 도어(28)와 연통될 수 있도록 개구부 또는 도어(19)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통(20)와 외통(10)이 이격된 공간에는 연소공기의 발생을 위한 버너(30)가 구비된다. 상기 버너(30)로는 유지비가 저렴하며 화력조절이 용이한 가스버너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른 방식의 버너가 쓰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버너(30)에서 발생된 연소공기가 유동되는 열유동통로(40)가 상기 내통(20)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된다.
상기 열유동통로(40)는 상기 버너(30)에서 발생된 연소가스가 유동되면서 그 열기가 내통(20)의 내부로 전해지도록 열전도율이 우수하며 열에 의한 변형 및 내식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유동통로(40)가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드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열유동통로(40)의 끝단에는 연소가스의 배출을 위한 연통(18)이 설치된다.
여기서, 열전달 효율의 극대화를 위해 상기 열유동통로(40)는 상기 내통(20) 외주면의 일측 하단부부터 상기 내통(20)의 반대편쪽 외주면의 하단부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는 도시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열유동통로(40)가 상기 내통(20)의 외주면을 따라 수직으로 상승하여 내통(20)의 외측 상부를 가로질러 수직으로 하강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내통(20)의 외주면을 나선형으로 감도록 형성되거나 수차례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내통(20)내부의 조리공간(26)에 조리될 육류나 어류 등의 재료가 위치되고, 상기 열유동통로(40)로부터 열이 복사되어 내통(20) 내부의 재료들이 간접적으로 조리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개방된 내통(20)의 하부에는 조리되는 재료에서 발생되어 낙하하는 기름을 받는 기름받이통(50)이 구비된다.
상기 기름받이통(50)은 떨어진 기름들이 한데 모이도록 깔때기 모양으로 형성되며, 그 중앙부에는 기름의 배출을 위한 기름배출공(5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름받이통(50)에 떨어진 기름이 열에 의해 증발하거나 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기름받이통(50)의 내부에는 물이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기름받이통(50)에 떨어진 기름은 경사에 의해 중앙부로 흘러 상기 기름배출공(52)으로 배출되며, 내부에 채워진 물에 의해 상기 기름받이통(50)이 냉각되어 표면에 떨어진 기름이 증발하거나 타지 않고 흘러내려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기름받이통(50) 내부에 채워진 물또한 열에 의해 수증기가 되어 증발할 수도 있으므로, 상기 기름받이통(50)의 상측부에는 수증기 배출을 위한 에어핀(58)이 형성되며, 증발된 물의 보충을 위한 보충수 파이프(54)가 상기 기름받이통(5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충수 파이프(54)는 사용자가 손수 물보충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외통(10)의 외부로 연장되거나, 자동을 물보충이 이루어지도록 수도등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름받이통(50)의 하측에는 청소시 배수를 위한 드레인공(56)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내통(20)의 내부에는 조리되는 재료가 보다 빠르면서 골고루 익을 수 있도록, 재료가 거치되는 회전식 거치대(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식 거치대(6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장치(62)와, 상기 내통(20)의 중앙부에 수직하게 구비되어 상기 구동장치(62)에 의해 회전되는 축(63), 그리고, 상기 축(63)에 결합되는 제1회전판(6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회전판(64)은 필요에 따라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회전판(64)에 외측 둘레에 착탈 가능하며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제2회전판(66)이 복수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회전판(66)을 회전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2회전판(66)의 외주면에 외륜기어(67)가 형성되고, 상기 제2회전판(66)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상기 내통(20)의 내주면에 상기 외륜기어(67)와 치합하는 내륜기어(68)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구동장치(62)에 의해 축(63)이 회전함에 따라 제1회전판(64)이 회전하며, 상기 제1회전판(64)의 회전에 따라 상기 내통(20) 내부에 고정된 내륜기어(68)에 치합된 제2회전판(66)이 회전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회전판(64) 및 제2회전판(66)은 육류나 어류등 조리가 필요한 재료 또는 재료를 담은 용기등이 올려지기 쉽도록 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열유동통로(40)로부터 복사되는 열에너지가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되며 조리되는 재료로부터 떨어지는 기름 등이 보다 쉽게 낙하할 수 있도록 구멍이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크기가 큰 육류 또는 어류를 조리할 때에는 상기 제2회전판(66)을 탈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크기는 크지 않은 대신에 양이 많다거나 할 때에는 상기 제2회전판(66)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제1회전판(64) 또는 제2회전판(66) 중 하측의 회전판에는 향을 발생시키는 것을 놓고 상측에 재료를 위치시켜 조리할 경우 훈연방식의 조리도 가능하다.
또한, 조리시 가열되는 재료가 지나치게 건조되어 재료가 탄력을 잃고 딱딱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육질을 부드럽게 유지하기 위하여 내통 내부에 수증기를 공급하는 수증기 공급관(7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증기 공급관(70)은 상기 외통(10)과 내통(20)의 일측을 관통하는 파이프의 형상으로 설치되며, 수증기 공급관(70)의 내통(20) 쪽에는 입자가 굵은 모래 또는 옥돌 도는 맥반석등이 채워지고 수증기 공급관(70)의 외통(10) 외측에는 입자가 작은 모래나 옥돌 또는 맥반석등이 채워져, 사용자가 수증기 공급관(70)에 물을 부으면 내통(20) 내부로 흘러들어가면서 상기 수증기 공급관(70) 내부에 채워진 모래 또는 맥반석의 가열로 인해 물이 증발되어 내통(20) 내부에 수증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구이기의 외통(10)에는 내통(20) 내부의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계(80) 및 상기 내통(20) 내부의 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버너(30)와 연동되는 온도조절기(9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구이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조리되는 육류나 어류등의 재료는 상기 내통(20)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열유동통로(40)를 통해 전달되는 열에 의해 직화가 아닌 간접적인 열로써 조리가 이루어지고, 상기 재료에서 떨어지는 기름은 상기 기름받이통(50)에 의해 식혀지면서 외부로 배출되어 타거나 증발하지 않으며, 상기 재료는 수증기 공급관(70)에 의해 수분이 보충되어 부드러운 육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내통(20)의 일부를 이루고 있는 황토판(22)과 맥판석판(24)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 및 미네랄 등에 의해 풍미가 보다 향상된다.
또한, 상기 외통(10) 및 내통(20)을 이루고 있는 황토판(22)에 의해 상기 가스버너가 불완전 연소시에 발생하는 유해성분 등이 흡수되어 유해성분이 재료에 흡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구이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직화가 아닌 간접적인 방식으로 조리가 이루어지므로 재료가 탈 염려가 없어 보다 맛이 좋고 안전한 조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간접적인 열전달방식으로 조리함으로써, 조리시 발생하는 기름이 화염이나 열에 의해 타지 않으므로 인체에 해로운 유해성분이나 그을음 등의 발생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외통과 내통을 이루고 있는 황토 및 맥반석으로부터 원적외선 및 미네랄이 방출되므로 육류의 풍미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수증기 공급관에 의해 수증기가 항상 적절하게 공급되므로, 재료가 지나치게 건조되어 딱딱해지는것이 방지되어 항상 부드러운 육질을 갖도록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내통 내부에 거치되는 재료가 회전하게 되므로 보다 신속하면서 골고루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온도 조절기에 의해 내통의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재료과 과열되거나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9)

  1. 내부에 재료를 굽는 공간(26)이 형성되는 내통(20)과, 상기 내통(20)의 외측에 내통(20)을 둘러싸며 내통(20)과의 사이가 소정간격 이격되는 외통(10)과, 연소공기를 발생시키는 버너(30)와, 상기 버너(30)에 의해 발생된 연소공기의 열이 상기 내통(20) 내부의 재료로 전달되도록 상기 내통(2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버너(30)에서 발생된 연소공기가 유동하는 열유동통로(40)와, 상기 내통(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재료가 구워질 때 떨어지는 기름을 받아 한곳으로 모으는 기름받이통(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내통(20)의 내부에 상기 가열되는 재료가 거치되는 회전식 거치대(60)가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며;
    상기 회전식 거치대(6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장치(62)와, 상기 구동장치(6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축(63)과, 상기 축(63)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회전판(6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20) 내부에서 가열되는 재료에서 손실되는 수분을 보충하기 위하여 수증기 공급관(7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2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기(9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받이통(50)은 떨어진 기름을 한곳으로 모아 배출하도록 기름을 받는 부분이 대략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깔대기 형상의 정점에는 기름의 배출을 위한 배출공(52)이 형성되며, 떨어진 기름이 열기에 의해 타지 않도록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10)과 내통(20)의 적어도 일부는 황토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7. 제1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20)의 일부는 원적외선 및 미네랄을 방출하는 맥반석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거치대(60)는,
    상기 내통(20)의 내주부에 형성되는 내륜기어(68)와,
    상기 제1회전판(64)의 둘레에 착탈가능하며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2회전판(66)과,
    상기 내륜기어(68)에 치합되어 상기 제1회전판(64)의 회전에 따라 제2회전판(66)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회전판(66)의 외주를 따라 설치되는 외륜기어(67)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KR1020060063823A 2006-07-07 2006-07-07 구이기 KR100768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823A KR100768003B1 (ko) 2006-07-07 2006-07-07 구이기
PCT/KR2007/003263 WO2008004821A1 (en) 2006-07-07 2007-07-05 Roas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823A KR100768003B1 (ko) 2006-07-07 2006-07-07 구이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456U Division KR200427377Y1 (ko) 2006-07-07 2006-07-07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8003B1 true KR100768003B1 (ko) 2007-10-19

Family

ID=38815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3823A KR100768003B1 (ko) 2006-07-07 2006-07-07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80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568Y1 (ko) 1999-12-30 2000-06-15 정근오 원적외선 방사 구이기
KR200220152Y1 (ko) 2000-11-23 2001-04-16 박종찬 바베큐 겸용 황토구이장치
KR200403697Y1 (ko) 2005-09-02 2005-12-12 안화일 원적외선 구이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568Y1 (ko) 1999-12-30 2000-06-15 정근오 원적외선 방사 구이기
KR200220152Y1 (ko) 2000-11-23 2001-04-16 박종찬 바베큐 겸용 황토구이장치
KR200403697Y1 (ko) 2005-09-02 2005-12-12 안화일 원적외선 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600242U (zh) 无烟健康节能烘烤炉
KR100601783B1 (ko) 상부회전식 구이장치
KR200427377Y1 (ko) 구이기
KR20050099807A (ko) 원두커피 배전방법 및 원두커피 배전기
KR100645031B1 (ko) 하향식 직화 구이 장치
KR101738814B1 (ko) 하향식 숯불구이기구
KR101497606B1 (ko) 비어 치킨 구이기
KR100809851B1 (ko) 구이기
KR102206126B1 (ko) 화로 회전식 원심 탈지 직화구이장치
KR100768003B1 (ko) 구이기
KR20120028172A (ko) 세라콜이 설치된 구이용 로스터
KR101298093B1 (ko) 바베큐장치
KR0140408Y1 (ko) 훈연기를 가진 바베큐기
KR20040107460A (ko) 숯불구이장치
KR20090060097A (ko) 오리 통구이기
KR200437645Y1 (ko) 바베큐 구이기
KR200443519Y1 (ko) 훈열 및 직화구이 겸용 조리장치
KR200259785Y1 (ko) 훈연기를 가진 바베큐기
KR101513272B1 (ko)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갖춘 고기구이장치
WO2008004821A1 (en) Roaster
KR20080003993U (ko) 회전가열식 숯불구이기
KR200272473Y1 (ko) 원통구이기
KR102128192B1 (ko) 원심 탈지 직화구이장치
KR101030379B1 (ko) 숯불구이장치
KR102353435B1 (ko)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의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