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3422B1 - 찰쌀보리쌀 분말을 포함하는 냉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냉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찰쌀보리쌀 분말을 포함하는 냉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냉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3422B1
KR100763422B1 KR1020040107406A KR20040107406A KR100763422B1 KR 100763422 B1 KR100763422 B1 KR 100763422B1 KR 1020040107406 A KR1020040107406 A KR 1020040107406A KR 20040107406 A KR20040107406 A KR 20040107406A KR 100763422 B1 KR100763422 B1 KR 100763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weight
composition
noodles
noo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7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8669A (ko
Inventor
김창근
Original Assignee
김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근 filed Critical 김창근
Priority to KR1020040107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3422B1/ko
Publication of KR20060068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8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4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찰쌀보리쌀 분말을 포함하는 냉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냉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면 특유의 맛과 쫄깃 쫄깃한 면발을 살릴 수 있는 동시에, 각종 영양소를 다량 함유하여 성인병 등의 예방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 냉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냉면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냉면 조성물은 찰쌀보리쌀 분말의 2 내지 25 중량%을 포함한다.
찰쌀보리쌀 분말, 냉면, 성인병, 조성물

Description

찰쌀보리쌀 분말을 포함하는 냉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냉면의 제조 방법 {COLD NOODLE COMPOSITION COMPRISING GLUTINOUS-BARLEY POWDER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COLD NOODL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찰쌀보리쌀 분말을 포함하는 냉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냉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면 특유의 맛과 쫄깃 쫄깃한 면발을 살릴 수 있는 동시에, 각종 영양소를 다량 함유하여 성인병 등의 예방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 냉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냉면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면은 사계절에 걸쳐 각광받는 기호 식품으로써, 일반적으로 밀가루나 메밀 가루를 주원료로 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냉면의 제조 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피면, 우선, 밀가루 및 메밀 가루 등의 주원료에, 고구마, 감자 또는 옥수수 등에서 추출한 전분, 글루텐 및 소다 등의 첨가물들을 넣고, 물과 소금을 첨가하여 탄력있게 반죽한다. 이후, 이와 같이 반죽된 냉면 조성물에 대해 2 차례의 압착 공정을 진행하고 이를 소정 크기의 구멍을 통해 뽑아내면 최종적인 냉면이 제조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 냉면의 주원료로 사용되던 상기 밀가루 또는 메밀 가루 등은 거의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밀 또는 메밀 등을 분쇄하여 만드는 것으로, 외화의 지출이 심하고, 더구나, 밀 또는 메밀 등은 수입에 따른 장기간의 운반 기간 동안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다량의 방부제 등을 사용하므로, 밀가루 또는 메밀 가루 등을 주원료로 하는 냉면 섭취시에는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 때문에, 밀가루 또는 메밀 가루를 최소한으로 사용하고, 대신 국내에서 재배되는 작물을 주원료로 하여 냉면을 제조하고자 하는 시도가 여러 차례 있어 왔으나, 이들은 냉면 특유의 맛이나 쫄깃 쫄깃한 면발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여, 아직까지는 실효성 있는 결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한편, 최근 들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대됨에 따라, 냉면 자체에 각종 영양소를 포함시켜 냉면에 기능성을 부여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 왔다. 예를 들어, 연근, 연엽 또는 홍삼 등을 냉면 조성물에 첨가하고, 이러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냉면을 제조함으로써, 상기 연근, 연엽 또는 홍삼 등에 함유된 각종 영양 성분을 냉면에 포함시켜 기능성 냉면을 제조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진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연근, 연엽 또는 홍삼 등은, 냉면 특유의 맛이나 쫄깃 쫄깃한 면발에는 전혀 기여하지 못하는 첨가물로 냉면 조성물에 추가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연근, 연엽 또는 홍삼을 일정 함량 이상으로 냉면 조성물에 포함시킬 경우, 본래의 냉면의 주원료로 사용되는 밀가루 또는 메밀 가루 등의 함량이 줄어들 수 밖에 없어서, 냉면 자체의 맛이 변화하거나 냉면의 쫄깃 쫄깃한 면발을 제대로 얻 을 수 없었다.
이 때문에, 냉면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연근, 연엽 및 홍삼 등의 함량은 극히 제한될 수 밖에 없었는데, 이 때문에, 냉면에 부여된 기능성이 유명 무실해지는 경우가 많았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냉면 특유의 맛 또는 쫄깃 쫄깃한 면발을 그대로 살리면서도, 냉면에 각종 영양 성분을 충분히 포함시킬 수 있어서, 냉면에 건강 기능성을 실질적으로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냉면 조성물 및 냉면의 제조 방법 등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냉면 특유의 맛과 쫄깃 쫄깃한 면발을 살릴 수 있는 동시에, 냉면에 다량의 영양소를 포함시켜 성인병 예방의 기능성을 충분하고 실질적으로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냉면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찰쌀보리쌀 분말의 2 내지 25 중량%을 포함하는 냉면 조성물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냉면 조성물은 찰쌀보리쌀 분말을 주원료로 포함함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는 바, 찰쌀보리쌀은 우리 나라의 논산 등에서 다량 재배되는 작물로써 다른 보리쌀이 점도 및 끈기를 거의 가지지 못하는 것과는 달리, 찰쌀보리쌀은 비교적 큰 점도 및 끈기를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찰쌀보리쌀 분말이 냉면 조성물에 포함되면, 밀가루 또는 메밀 가루와 마찬가지로 작용하여 냉면 특유의 맛과 쫄깃 쫄깃한 면발에 기여할 수 있으므로, 냉면 조성물에 포함되는 밀가루 또는 메밀 가루의 함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찰쌀보리쌀 분말의 소정량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냉면 조성물은, 국내 작물의 소비, 밀가루 등의 수입에 의한 외화 지출 감소 및 방부제 등으로 인한 건강상의 피해 해결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또한, 찰쌀보리쌀은 하기에서 기재하는 바와 같은 건강상의 잇점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성인병 예방 등의 기능성을 냉면에 부여할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찰쌀보리쌀은 소량의 첨가물로써 냉면 조성물에 추가되는 것이 아니라, 냉면의 주원료로써 비교적 큰 함량으로 첨가될 수 있으므로, 냉면에 부여된 성인병 예방의 기능성을 충분하고도 실질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찰쌀보리쌀이 가진 건강상의 잇점은 다음과 같다 :
- 영양분 : 각종 비타민과 무기 성분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다.
- 식이 섬유소 함유 : 일반 보리쌀보다 약 8배 이상의 많은 식이 섬유소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장의 운동과 소화를 도와 변비를 막아주며 대장암의 발생을 억제한다.
- 베타글루칸(β-glucan) 함유 :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심장 질환을 예방하며, 지방의 축적을 억제하고, 비만을 방지한다.
- 기타 : 혈당과 당뇨의 증가를 방지하여 당뇨병 예방과 성인병 예방에 좋으 며, 염분의 섭취를 줄여 혈압 상승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냉면 조성물은 밀가루 또는 메밀 가루의 함량을 최소화하면서도 냉면 특유의 맛과 쫄깃 쫄깃한 면발을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냉면에 성인병 등을 예방하는 기능성을 충분하고도 실질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냉면 조성물에 있어서, 찰쌀보리쌀 분말은 2 내지 25 중량 %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바, 만일, 2 중량% 미만의 함량으로 포함되면 찰쌀보리쌀 분말의 첨가에 의한 효과, 즉, 성인병 예방의 기능성 부여와 밀가루 또는 메밀 가루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거의 발휘할 수 없게 된다. 반면에, 냉면 조성물 중에 25 중량% 보다 많은 함량의 찰쌀보리쌀 분말이 포함되면, 최종 제조된 냉면 면발의 점도 및 찰기가 지나치게 되어 냉면 면발 끼리 붙어 버리게 되므로, 냉면이 제대로 형성될 수 없다.
상기 본 발명의 냉면 조성물은, 찰쌀보리쌀 분말 이외에, 밀가루 또는 메밀 가루 등의 주원료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면 조성물에서는, 찰쌀보리쌀 분말이 주원료로 사용되어 밀가루 또는 메밀가루와 마찬가지의 작용, 즉, 냉면 특유의 맛과 쫄깃 쫄깃한 맛을 살리는 작용을 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냉면 조성물은 종래의 냉면 조성물에 비해 최소화된 함량의 밀가루 또는 메밀 가루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밀가루 및 메밀 가루는 본 발명의 냉면 조성물에 각각 15 내지 45 중량% 및 5 내지 1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찰쌀보리쌀 분말의 함량을 함께 고려하여, 냉면 특유의 맛 및 쫄깃 쫄깃한 면발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동시에, 냉면의 형성을 쉽게 할 수 있는 밀가루 및 메밀 가루의 함량을 특정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냉면 조성물은 상기 찰쌀보리쌀 분말, 밀가루 또는 메밀 가루 등의 주원료 이외에, 통상의 냉면 조성물과 마찬가지로, 고구마, 감자 또는 옥수수 등에서 추출한 전분, 글루텐 및 소다 등의 첨가물과, 물과 소금 등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냉면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이들 각 성분들을 통상의 함량비에 따라 배합하고 나서, 통상의 방법에 따라 반죽한다.
이러한 냉면 조성물의 배합 및 반죽 방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피면, 우선, 찰쌀보리쌀 분말의 2 내지 25 중량%, 밀가루의 15 내지 45 중량% 및 메밀 가루의 5 내지 15 중량%를 가하고, 이에 다시, 고구마, 감자 또는 옥수수 등에서 추출한 전분의 25 내지 35 중량%, 글루텐 5 내지 15 중량% 및 소다의 1 내지 3 중량%를 가하여 이들을 서로 혼합한다. 이후, 이러한 혼합물에 소금(식염)의 1 내지 3 중량%와 물을 넣어 탄력있게 반죽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반죽이 완료된 냉면 조성물에 대하여, 통상의 냉면 제조 방법에 따라, 2 차례의 압착 공정을 진행하고 이를 소정 크기의 구멍을 통해 뽑아내면 최종적인 냉면 면발이 제조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냉면 조성물 및 냉면 제조 방법에 관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하나의 바람직한 예로 제시된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정해지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냉면 조성물의 구성
하기 표 1에 나타난 배합 기준에 따라, 냉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
소 계 중량(g) 배합율(%) 비고
찰쌀보리쌀 분말 140 24.9
밀가루 112.4 20
글루텐 56.2 10
메밀가루 56.2 10
전분 28.7 5.1
옥수수 전분 140 24.9
소다 14 2.5
소금(식염) 14.6 2.6
합계 562.1 100
상기 각 구성 성분을 위 표에 나타난 함량 비율대로 혼합하고, 물 180cc를 가하여 탄력있게 반죽을 행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냉면 제조용 반죽, 즉, 반죽된 냉면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2 : 냉면의 제조
실시예 1의 반죽된 냉면 조성물에 대해 2 단계의 압착 공정을 진행한 후, 0.6mm의 구멍을 통과시켜 냉면 면발을 뽑아내었다. 이를 식혀 최종적인 냉면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냉면을 제조한 결과, 밀가루 또는 메밀 가루의 함량이 30 중량%로 비교적 낮으면서도(종래에는 약 70-75 중량% 함유;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공개 공보 02-53959 호 참조), 냉면 특유의 맛 및 쫄깃 쫄깃한 맛이 살아있는 냉면 면발이 제조되었으며, 냉면 제조 과정에서의 면발 성형성 역시 우수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냉면에 함유된 밀가루 또는 메밀 가루의 함량을 최소화하면서도 냉면 특유의 맛과 쫄깃 쫄깃한 면발이 살아 있는 냉면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밀가루의 방부제 등에 의한 문제점 및 밀가루의 수입에 의한 외화 지출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영양소를 포함하고 성인병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찰쌀보리쌀 분말을 다량 포함하고 있으므로, 냉면 자체에 성인병 예방의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냉면의 주원료 자체가 건강 기능성을 부여하므로, 냉면에 실질적이고 충분한 건강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국민 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Claims (3)

  1. 찰쌀보리쌀 분말의 2 내지 25 중량%;
    밀가루의 15 내지 45 중량%;
    메밀 가루의 5 내지 15 중량%;
    고구마, 감자 또는 옥수수에서 추출한 전분의 25 내지 35 중량%;
    글루텐 5 내지 15 중량%;
    소다의 1 내지 3 중량%; 및
    소금(식염)의 1 내지 3 중량%를 포함하는 냉면 조성물.
  2. 삭제
  3. 찰쌀보리쌀 분말의 2 내지 25 중량%, 밀가루의 15 내지 45 중량%, 메밀 가루의 5 내지 15 중량%, 고구마, 감자 또는 옥수수에서 추출한 전분의 25 내지 35 중량%, 글루텐 5 내지 15 중량% 및 소다의 1 내지 3 중량%를 가하여 이들을 서로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소금(식염)의 1 내지 3 중량%와 물을 넣어 혼합하고 반죽하는 단계;
    상기 반죽된 결과물에 대해 2 차례의 압착 공정을 진행하고 소정 크기의 구멍을 통해 뽑아내어 냉면 면발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면의 제조 방법.
KR1020040107406A 2004-12-16 2004-12-16 찰쌀보리쌀 분말을 포함하는 냉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냉면의 제조 방법 KR100763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406A KR100763422B1 (ko) 2004-12-16 2004-12-16 찰쌀보리쌀 분말을 포함하는 냉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냉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406A KR100763422B1 (ko) 2004-12-16 2004-12-16 찰쌀보리쌀 분말을 포함하는 냉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냉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669A KR20060068669A (ko) 2006-06-21
KR100763422B1 true KR100763422B1 (ko) 2007-10-04

Family

ID=37162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7406A KR100763422B1 (ko) 2004-12-16 2004-12-16 찰쌀보리쌀 분말을 포함하는 냉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냉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34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5386A (ko) 2014-04-30 2015-11-09 윤권섭 몰로키아가 첨가된 냉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냉면
CN106993752A (zh) * 2017-04-14 2017-08-01 湖州南浔浔味堂食品有限公司 一种面筋皮和面筋的生产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4004A (ko) * 1988-03-17 1989-10-21 이인순 면 제조방법
KR950002607A (ko) * 1993-07-07 1995-02-16 추우록 보리 가공면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4004A (ko) * 1988-03-17 1989-10-21 이인순 면 제조방법
KR950002607A (ko) * 1993-07-07 1995-02-16 추우록 보리 가공면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5386A (ko) 2014-04-30 2015-11-09 윤권섭 몰로키아가 첨가된 냉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냉면
CN106993752A (zh) * 2017-04-14 2017-08-01 湖州南浔浔味堂食品有限公司 一种面筋皮和面筋的生产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669A (ko) 200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0902B1 (ko) 쌀빵의 제조방법
CN103190565B (zh) 一种米制馒头的制作方法
CN100466919C (zh) 一种糜子米粉及其制备方法
CN108887321A (zh) 一种无麸质低过敏原饼干及其加工方法
KR20110033341A (ko) 쌀가루를 함유한 호두과자 제조방법
CN106857752A (zh) 一种辅助降糖饼干及其制备方法
CN107712619B (zh) 一种大麦青汁粉面条及其制备方法
KR101558212B1 (ko) 천년초 분말을 이용한 쿠키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쿠키
KR101813446B1 (ko) 매실 추출액을 이용한 국수제조방법
KR102060886B1 (ko) 키토산 누룽지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키토산 누룽지
KR100763422B1 (ko) 찰쌀보리쌀 분말을 포함하는 냉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냉면의 제조 방법
CN1324987C (zh) 枸杞青稞系列保健食品
KR20170035573A (ko) 흑마늘을 함유하는 찰보리빵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11746B1 (ko) 엉겅퀴 추출액을 이용한 국수제조방법
US20080292769A1 (en) Method and Composition of Making Pasta with Konjac Flour as a Main Ingredient
KR100716611B1 (ko) 곡물라면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03157A (ko) 누에가루를 이용한 건강기능성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22996A (ko) 쌀국수 및 그 제조방법
KR20070103886A (ko) 국수면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98408A (ko) 도토리 꽃가루를 함유하는 빵 및 그 제조방법
CN104068323A (zh) 一种薏仁米苦荞保健面条及其加工方法
KR20080043896A (ko) 기능성 빵의 제조방법
KR20180033924A (ko) 핑거루트 추출액을 이용한 국수제조방법
KR101341966B1 (ko) 갈색 가바쌀 분말을 함유하는 기호성이 증대된 한과 및 그 제조방법
KR101392405B1 (ko) 보리순을 이용한 국수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