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1835B1 - 색차신호의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비디오 디코더 - Google Patents

색차신호의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비디오 디코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1835B1
KR100761835B1 KR1020060010583A KR20060010583A KR100761835B1 KR 100761835 B1 KR100761835 B1 KR 100761835B1 KR 1020060010583 A KR1020060010583 A KR 1020060010583A KR 20060010583 A KR20060010583 A KR 20060010583A KR 100761835 B1 KR100761835 B1 KR 100761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alue
color difference
output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0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9722A (ko
Inventor
권의진
임형준
나운
박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0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835B1/ko
Priority to US11/657,954 priority patent/US8013939B2/en
Publication of KR20070079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9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image enhancement, e.g. vertical detail restoration, cross-colour elimination, contour correction, chrominance trapping fil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복합 영상신호(CVBS)로부터 색차신호를 분리함에 있어서 휘도신호 성분에 따른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비디오 디코더가 개시된다. 상기 비디오 디코더는, 상기 복합 영상신호에 대해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코사인(cosine) 성분을 승산하고 로우 패스 필터를 통과하여 제1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신호 생성부와, 상기 복합 영상신호에 대해 상기 주파수를 갖는 사인(sine) 성분을 승산하고 로우 패스 필터를 통과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신호 생성부와,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신호 각각에 대하여 미분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미분된 신호에 대해 소정의 연산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색차신호가 존재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 제3 신호를 생성하는 제3 신호 생성부와, 상기 제3 신호를 입력받아 이로부터 상기 색차신호를 연산하여 출력하는 연산부와,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연산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색차신호의 진폭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 제4 신호를 생성하는 제4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색차신호, 제3 신호 및 제4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색차신호에 포함된 휘도성분에 의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제3 신호 및 제4 신호의 값에 따라 상기 색차신호의 값을 보정하여 출력하는 노이즈 제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색차신호의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비디오 디코더{Video decoder decreasing noises included in a chrominance signal}
도 1은 종래의 비디오 디코더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SECAM 방식에 따른 CVBS 신호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디코더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노이즈 제거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제1 신호 생성부 120: 제2 신호 생성부
130: 제3 신호 생성부 140: 연산부
150: 제4 신호 생성부 160: 노이즈 제거부
본 발명은 비디오 디코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복합 영상신호(CVBS)로부터 색차신호를 분리함에 있어 색차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비디오 디코더에 관한 것이다.
복합 영상신호의 표준인 SECAM(Sequenticel Couleur a Memoire) 방식 등에 의한 비디오 디코더는, 복합 영상신호(CVBS, Composite Video Baseband Signal)를 입력받아 이를 휘도신호(Y 신호) 및 칼라신호(C 신호)로 분리한다. 상기 칼라신호를 복조처리 함에 따라 색차신호(Cb,Cr)가 생성되며, 상기 Y 신호 및 색차신호를 이용하여 원색신호(R,G,B)를 생성하여 소정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비디오 디코더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디오 디코더(10)는,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승산기(11,21), 로우 패스 필터(12,22), 클로슈 필터(Cloche Filter, 13,23), 부호 체크부(Sign Check, 14,24), 미분기(15,25), 부호 결정부(Sign Decision, 16,26), 부호 체크부(Sign Check, 17, 27) 및 승산기(18,28)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합산부(31), 루트 연산부(Square Root, 41) 및 연산부(5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비디오 디코더(10)의 비디오 디코딩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비디오 디코더(10)는 주파수 변조된 복합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신호에 대하여 승산기(11)를 통해 cos2πft를 승산하며, 승산기(21)를 통해 sin2πft를 승산하여 출력한다. 상기 승산기(11,21)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각각 로우 패스 필터(12,22) 및 Cloche Filter(13,23)를 거쳐 출력된다. 상기 과정을 통해 복합 영상신호 주파수 변조시의 캐리어 주파수를 제거한다.
Cloche Filter(13,23)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각각 Sign Check(14,24) 및 미분기(15,25)로 전달되어, 입력되는 신호의 부호를 체크하거나 입력된 신호에 대해 미분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Sign Check(17, 27)는 미분기(15,25)에 의해 미분된 신호에 대하여 부호 체크동작을 수행하며, Sign Decision(16,26)는 Sign Check(14,24, 17,27)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부호를 결정하여 출력한다. 또한 미분기(15,25)에 의해 미분된 신호는 승산기(18,28)에 의해 각각 제곱값으로 출력된다.
미분된 신호의 제곱값으로 결정된 값(b,c)는 합산부(31)에 의해 합산되고 Square Root(41)에 의해 루트값을 취한 뒤 연산부(51)로 제공된다. 또한 Sign Decision(16,26)에서 출력된 값(a,d)이 연산부(51)로 제공된다. 연산부(51)는 입력된 값을 이용하여 소정의 연산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연산에 따른 결과를 색차신호 (Db 또는 Dr)로서 출력한다.
도 2는 SECAM 방식에 따른 복합 영상신호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영상신호는, 넓은 대역에 분포하는 Y 신호 성분과 특정 대역에 분포하는 C 신호 성분을 구비한다. 또한 색차신호 성분간의 혼선(crosstalk)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 색차신호(Cr,Cb)를 우수 라인(even line) 및 기수 라인(odd line)들을 통해 교대로 전송한다. 즉, Y 신호 및 Dr 성분을 기수 라인이나 우수 라인들 중 한 라인으로 전송하고 Y 신호 및 Db 성분을 다음 라인을 통해 전송한다.
SECAM 방식에 따른 복합 영상신호를 디코딩하는 과정은 Y 신호에 대한 휘도 처리과정과 C 신호에 대한 칼라 처리과정으로 나누어진다. 이 경우 복합 영상신호로부터 분리된 C 신호에는 넓은 대역에 분포하는 Y 신호 성분이 포함되어질 수 있다. 상기 분리된 C 신호에 Y 신호 성분이 포함됨에 따라 복조되는 색차신호(Cr,Cb)에 칼라 노이즈(color noise)가 발생하게 되어 디스플레이 상에 원하는 색상을 구현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에는 C 신호에 포함될 수 있는 Y 신호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으므로 칼라 노이즈에 의한 색상 구현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합 영상신호로부터 색차신호를 복조하는 경우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칼라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비디오 디코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영상신호(CVBS)로부터 색차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비디오 디코더는, 상기 복합 영상신호에 대해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코사인(cosine) 성분을 승산하고 로우 패스 필터를 통과하여 제1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신호 생성부와, 상기 복합 영상신호에 대해 상기 주파수를 갖는 사인(sine) 성분을 승산하고 로우 패스 필터를 통과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신호 생성부와,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신호 각각에 대하여 미분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미분된 신호에 대해 소정의 연산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색차신호가 존재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 제3 신호를 생성하는 제3 신호 생성부와, 상기 제3 신호를 입력받아 이로부터 상기 색차신호를 연산하여 출력하는 연산부와,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연산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색차신호의 진폭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 제4 신호를 생성하는 제4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색차신호, 제3 신호 및 제4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색차신호에 포함된 휘도성분에 의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제3 신호 및 제4 신호의 값을 이용하여 상기 색차신호의 값을 보정하고, 이에 따라 노이즈 제거된 색차신호를 출력하는 노이즈 제거부를 구비하는 노이즈 제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미분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1 미분기 및 상기 제2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미분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2 미분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미분기의 출력값을 제곱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1 승산부와, 상기 제2 미분기의 출력값을 제곱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2 승산부와, 상기 제1 승산부의 출력값과 상기 제2 승산부의 출력값을 합산하는 합산부 및 상기 합산부의 출력값을 루트 연산하는 루트 연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4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제곱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1 승산부와, 상기 제2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제곱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2 승산부와, 상기 제1 승산부의 출력값과 상기 제2 승산부의 출력값을 합산하는 합산부 및 상기 합산부의 출력값을 루트 연산하는 루트 연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노이즈 제거부는, 상기 제3 신호와 소정의 제1 기준신호의 값을 연산하여, 상기 색차신호의 값을 보정하기 위한 제1 제어값을 출력하는 제1 제어값 발생부 및 상기 제4 신호와 소정의 제2 기준신호의 값을 연산하여, 상기 색차신호의 값을 보정하기 위한 제2 제어값을 출력하는 제2 제어값 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이즈 제거부는, 상기 제1 제어값 및 제2 제어값 중 어느 하나 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색차신호와 승산하여 출력하는 제1 승산부 및 상기 제1 제어값 및 제2 제어값 중 다른 하나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제1 승산부의 출력값과 승산하여 출력하는 제2 승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영상신호(CVBS)로부터 색차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비디오 디코더는, 상기 복합 영상신호에 대해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코사인(cosine) 성분을 승산하고 로우 패스 필터를 통과하여 제1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신호 생성부와, 상기 복합 영상신호에 대해 상기 주파수를 갖는 사인(sine) 성분을 승산하고 로우 패스 필터를 통과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신호 생성부와,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신호 각각에 대하여 미분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미분된 신호에 대해 소정의 연산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색차신호가 존재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 제3 신호를 생성하는 제3 신호 생성부와, 상기 제3 신호를 입력받아 이로부터 상기 색차신호를 연산하여 출력하는 연산부 및 상기 칼라신호 및 제3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색차신호에 포함된 휘도성분에 의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제3 신호의 값에 따라 상기 색차신호의 값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노이즈 제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디코더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영상신호(CVBS)로부터 색차신호(Db,Dr)를 분리하기 위한 상기 비디오 디코더는, 제1 신호 생성부(110) 내지 제4 신호 생성부(150), 연산부(140) 및 노이즈 제거부(1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 생성부(110)는 복합 영상신호(CVBS)와 cos2πft를 승산하는 승산기(111), 승산기(11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로우 패스 필터(112) 및 Cloche Filter(11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신호 생성부(120)는 복합 영상신호(CVBS)와 sin2πft를 승산하는 승산기(121), 승산기(12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로우 패스 필터(122) 및 Cloche Filter(12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색차신호를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비디오 디코더는, 제3 신호 생성부(130) 및 연산부(1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 신호 생성부(130)는 제1 신호(S1)를 입력받아 이를 미분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1 미분기(131)와, 제2 신호(S2)를 입력받아 이를 미분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2 미분기(13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3 신호 생성부(130)는 제1 미분기(131)의 출력값을 제곱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1 승산부(133)와, 제2 미분기(132)의 출력값을 제곱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2 승산부(13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승산부(133)의 출력값과 상기 제2 승산부(134)의 출력값을 합산하는 합산부(135) 및 상기 합산부(135)의 출력값을 루트 연산하는 루트 연산부(13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루트 연산부(136)에 의 해 연산된 신호는 제3 신호(A)로서 노이즈 제거부(160)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비디오 디코더는 연산부(140)를 더 구비하며, 상기 연산부(140)는 제3 신호(A)를 입력받아 이에 대해 소정의 연산과정을 통해 색차신호(C)를 생성하여 노이즈 제거부(160)로 출력한다. 연산부(140)로부터 출력되는 색차신호(C)는 Db 또는 Dr의 색차신호로서 상수값을 갖는 신호이며, 색차신호에 휘도신호(Y 신호)에 의한 노이즈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상수값은 그 값이 커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디코더는 제4 신호 생성부(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4 신호 생성부(150)는 제1 신호(S1) 및 제2 신호(S2)에 대하여 소정의 연산 과정을 수행하여 제4 신호(B)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4 신호(B)는 일예로서 캐리어 주파수가 제거된 주파수 변조된 C 신호의 진폭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다.
상기 제4 신호 생성부(150)는 제1 신호(S1)를 입력받아 이를 제곱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1 승산부(151) 및 제2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제곱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2 승산부(15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승산부(151)의 출력값과 제2 승산부(152)의 출력값을 합산하는 합산부(153) 및 상기 합산부(153)의 출력값을 루트 연산하는 루트 연산부(15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루트 연산부(154)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제4 신호(B)로서 노이즈 제거부(160)로 제공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신호(S1) 및 제2 신호(S2)로부터 생성되는 제4 신호(B)는, 주파수 변조된 C 신호의 진폭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 신호로서, 분리된 C 신호에 Y 신호 성분이 포함된 경우 제4 신호(B)의 값은 커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3 신호(A)는, 제1 신호(S1) 및 제2 신호(S2)에 대해 미분 연산 및 소정의 승산, 합산 등의 연산을 거친 신호로서, 색차신호가 존재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다. 순수 색차신호에 의한 경우 제3 신호(A)의 값은 소정의 범위 내에 존재하여야 하나, 분리된 C 신호에 Y 신호 성분이 포함된 경우에는 제3 신호(A)의 값은 상기 소정의 범위 이외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디코더에 구비되는 노이즈 제거부(160)는 제3 신호(A) 및 제4 신호(B)를 입력받으며, 입력된 색차신호(C)에 대해 상기 제3 신호(A) 및 제4 신호(B)의 값을 이용하여 노이즈 성분을 제거한 색차신호(C')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노이즈 제거부(160)의 자세한 동작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노이즈 제거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이즈 제거부(160)는, 입력 신호에 대해 승산 동작을 수행하는 제1 승산부(161) 및 제2 승산부(162)를 구비한다. 또한, 제3 신호 생성부(130)로부터 제3 신호(A)를 입력받아, 상기 제3 신호(A)와 소정의 제1 기준신호(refA)를 이용하여 제1 제어값을 출력하는 제1 제어값 발생부(163)를 구비한다. 또한, 제4 신호 생성부(150)로부터 제4 신호(B)를 입력받아, 상기 제4 신호(B)와 소정의 제2 기준신호(refB)를 이용하여 제2 제어값을 출력하는 제2 제어값 발생부(164)를 구비한다. 상기 제1 기준신호(refA)는, 분리된 C 신호에 Y 신호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이상적인 경우에서 산출되는 제3 신호(A)에 해당하는 값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2 기준신호(refB)는, 분리된 C 신호에 Y 신호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이상적인 경우에서 산출 되는 제4 신호(B)에 해당하는 값을 가진다.
분리된 C 신호에 Y 신호 성분이 포함되는 경우, 연산부(140)를 통해 출력되는 색차신호(C)는 이상적인 경우에 비해 큰 값을 갖는 신호이며, 이에 따라 상기 색차신호(C)에서 노이즈 성분에 의한 증가값을 제거함으로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노이즈 성분을 제거함에 있어서, 제1 신호(A) 및 제2 신호(B)를 각각 제1 기준신호(refA) 및 제2 기준신호(refB)와 비교하여 상기 색차신호(C)에서 노이즈 성분에 의한 증가값을 제거할 수 있다.
제1 제어값 발생부(163)는 제3 신호(A)와 제1 기준신호(refA)를 입력받아 이에 대해 소정의 연산과정을 거쳐 상기 색차신호(C)의 값을 보정하기 위한 제1 제어값(C1)을 출력한다. 색차신호에 노이즈 성분이 포함되는 경우 제3 신호(A)는 제1 기준신호(refA)보다 큰 값을 가지며, 상기 제3 신호(A)와 제1 기준신호(refA)를 연산하여 1 미만의 값을 갖는 제1 제어값(C1)을 출력한다.
또한, 제2 제어값 발생부(164)는 제4 신호(B)와 제2 기준신호(refB)를 입력받아 이에 대해 소정의 연산과정을 거쳐 상기 색차신호(C)의 값을 보정하기 위한 제2 제어값(C2)을 출력한다. 제4 신호(B)가 제2 기준신호(refB)보다 큰 경우 제2 제어값 발생부(164)는 상기 제4 신호(B)와 제2 기준신호(refB)를 연산하여 1 미만의 값을 갖는 제2 제어값(C2)을 출력한다.
제1 제어값 발생부(163) 및 제2 제어값 발생부(164)가 소정의 연산과정을 함에 있어서 상기 연산과정은 어느 하나로 특정될 필요는 없다. 일예로서 제1 제어값 발생부(163)는, 제3 신호(A) 및 제1 기준신호(refA)를 입력받아 이에 대응하는 제1 제어값(C1)을 출력하며, 제3 신호(A)가 제1 기준신호(refA)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제어값(C1)은 1 미만의 값을 갖는다. 또한 노이즈 성분의 증가로 인해 제3 신호(A)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생성되는 제1 제어값(C1)이 감소되도록 하는 연산과정을 구비하도록 한다.
노이즈 제거부(160)에 구비되는 제1 승산부(161)는, 제1 제어값(C1) 및 제2 제어값(C2)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아 이를 색차신호(C)와 승산하여 출력한다. 일예로서 도 4에서는 제1 승산부(161)가 제1 제어값(C1)과 색차신호(C)에 대해 승산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또한 제2 승산부(162)는 제1 승산부(161)의 출력값과 제2 제어값(C2)을 입력받아 이를 승산하여 출력하며, 제2 승산부(162)의 출력값은 노이즈 성분이 제거된 색차신호(C')가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복합 영상신호로부터 Y 신호 및 C 신호를 분리하여 색차신호를 복조하는 경우에 있어서, 색차신호에 포함된 Y 신호 성분을 제거하여 칼라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주파수 변조된 복합 영상신호(CVBS)로부터 색차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비디오 디코더에 있어서,
    상기 복합 영상신호에 대해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코사인(cosine) 성분을 승산하고 로우 패스 필터를 통과하여 제1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신호 생성부;
    상기 복합 영상신호에 대해 상기 주파수를 갖는 사인(sine) 성분을 승산하고 로우 패스 필터를 통과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신호 생성부;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신호 각각에 대하여 미분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미분된 신호에 대해 소정의 연산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색차신호가 존재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 제3 신호를 생성하는 제3 신호 생성부;
    상기 제3 신호를 입력받아 이로부터 상기 색차신호를 연산하여 출력하는 연산부;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연산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색차신호의 진폭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 제4 신호를 생성하는 제4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색차신호, 제3 신호 및 제4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색차신호에 포함된 휘도성분에 의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제3 신호 및 제4 신호의 값을 이용하여 상기 색차신호의 값을 보정하고, 이에 따라 노이즈 제거된 색차신호를 출력하는 노이즈 제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디코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미분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1 미분기; 및
    상기 제2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미분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2 미분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디코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미분기의 출력값을 제곱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1 승산부;
    상기 제2 미분기의 출력값을 제곱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2 승산부;
    상기 제1 승산부의 출력값과 상기 제2 승산부의 출력값을 합산하는 합산부; 및
    상기 합산부의 출력값을 루트 연산하는 루트 연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디코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제곱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1 승산부;
    상기 제2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제곱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2 승산부;
    상기 제1 승산부의 출력값과 상기 제2 승산부의 출력값을 합산하는 합산부; 및
    상기 합산부의 출력값을 루트 연산하는 루트 연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디코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제거부는,
    상기 제3 신호와 소정의 제1 기준신호의 값을 연산하여, 상기 색차신호의 값을 보정하기 위한 제1 제어값을 출력하는 제1 제어값 발생부; 및
    상기 제4 신호와 소정의 제2 기준신호의 값을 연산하여, 상기 색차신호의 값을 보정하기 위한 제2 제어값을 출력하는 제2 제어값 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디코더.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제거부는,
    상기 제1 제어값 및 제2 제어값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색차신호와 승산하여 출력하는 제1 승산부; 및
    상기 제1 제어값 및 제2 제어값 중 다른 하나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제1 승산부의 출력값과 승산하여 출력하는 제2 승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디코더.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신호는, 상기 색차신호에 노이즈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서의 상기 제3 신호에 해당하는 값을 가지며,
    상기 제2 기준신호는, 상기 색차신호에 노이즈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서의 상기 제4 신호에 해당하는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디코더.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값 발생부는, 상기 제3 신호가 상기 제1 기준신호보다 큰 경우 1 미만의 값을 갖는 제1 제어값을 출력하며,
    상기 제2 제어값 발생부는, 상기 제4 신호가 상기 제2 기준신호보다 큰 경우 1 미만의 값을 갖는 제2 제어값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디코더.
  9. 복합 영상신호(CVBS)로부터 색차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비디오 디코더에 있어서,
    상기 복합 영상신호에 대해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코사인(cosine) 성분을 승산하고 로우 패스 필터를 통과하여 제1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신호 생성부;
    상기 복합 영상신호에 대해 상기 주파수를 갖는 사인(sine) 성분을 승산하고 로우 패스 필터를 통과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신호 생성부;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신호 각각에 대하여 미분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미분된 신호에 대해 소정의 연산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색차신호가 존재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 제3 신호를 생성하는 제3 신호 생성부;
    상기 제3 신호를 입력받아 이로부터 상기 색차신호를 연산하여 출력하는 연산부; 및
    상기 칼라신호 및 제3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색차신호에 포함된 휘도성분에 의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제3 신호의 값에 따라 상기 색차신호의 값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노이즈 제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디코더.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미분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1 미분기; 및
    상기 제2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미분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2 미분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디코더.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미분기의 출력값을 제곱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1 승산부;
    상기 제2 미분기의 출력값을 제곱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2 승산부;
    상기 제1 승산부의 출력값과 상기 제2 승산부의 출력값을 합산하는 합산부; 및
    상기 합산부의 출력값을 루트 연산하는 루트 연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디코더.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제거부는,
    상기 제3 신호와 소정의 기준신호의 값을 연산하여, 상기 색차신호의 값을 보정하기 위한 제어값을 출력하는 제어값 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디코더.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제거부는,
    상기 제어값 및 상기 색차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승산하여 출력하는 승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디코더.
KR1020060010583A 2006-02-03 2006-02-03 색차신호의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비디오 디코더 KR100761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583A KR100761835B1 (ko) 2006-02-03 2006-02-03 색차신호의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비디오 디코더
US11/657,954 US8013939B2 (en) 2006-02-03 2007-01-25 Video decoder for decreasing noise included in chrominance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583A KR100761835B1 (ko) 2006-02-03 2006-02-03 색차신호의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비디오 디코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722A KR20070079722A (ko) 2007-08-08
KR100761835B1 true KR100761835B1 (ko) 2007-09-28

Family

ID=38333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0583A KR100761835B1 (ko) 2006-02-03 2006-02-03 색차신호의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비디오 디코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13939B2 (ko)
KR (1) KR1007618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0639A (ja) * 1991-10-31 1993-05-25 Nec Ic Microcomput Syst Ltd クロマ信号抽出回路
JPH10294951A (ja) 1997-04-18 1998-11-04 Sony Corp 雑音低減回路
KR20000043172A (ko) * 1998-12-28 2000-07-15 전주범 두 개의 기준 주파수를 이용한 단일 secam 색신호 복조기
KR20010084015A (ko) * 2000-02-23 2001-09-06 구자홍 화질 개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5224B2 (ja) 1988-11-02 1999-06-14 株式会社東芝 陰極線管
US5093715A (en) 1989-08-10 1992-03-03 Sony Corporation Adaptive comb filter for separating at least one component of a video signal
JP2761353B2 (ja) 1994-02-21 1998-06-04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輝度信号色信号分離回路
JP2000078608A (ja) 1998-09-02 2000-03-14 Motorola Japan Ltd Y/c分離回路
US6377313B1 (en) * 1999-09-02 2002-04-23 Techwell, Inc. Sharpness enhancement circuit for video signals
WO2002060188A1 (fr) * 2001-01-24 2002-08-01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Procede et circuit de separations de signaux y-c
US7227585B1 (en) * 2003-12-30 2007-06-05 Conexant Systems, Inc. Luminance and chrominance separation system
CN100544455C (zh) * 2004-10-29 2009-09-23 华亚微电子(上海)有限公司 视频信号中的色串检测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0639A (ja) * 1991-10-31 1993-05-25 Nec Ic Microcomput Syst Ltd クロマ信号抽出回路
JPH10294951A (ja) 1997-04-18 1998-11-04 Sony Corp 雑音低減回路
KR20000043172A (ko) * 1998-12-28 2000-07-15 전주범 두 개의 기준 주파수를 이용한 단일 secam 색신호 복조기
KR20010084015A (ko) * 2000-02-23 2001-09-06 구자홍 화질 개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82858A1 (en) 2007-08-09
US8013939B2 (en) 2011-09-06
KR20070079722A (ko) 200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329581A1 (en) Image sharpening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software
US4626894A (en) Signal filtering system having adaptively cascaded filter stages for developing a variable bandwidth frequency characteristic
EP0169035B1 (en) Color difference signal processing system
JP3761220B2 (ja) 複素フィルター装置
US8139155B2 (en) Self-adaptive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KR940003514B1 (ko) 비디오 신호 처리장치
KR100761835B1 (ko) 색차신호의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비디오 디코더
US5150203A (en) Variable chrominance filtering for encoding television signals
JPH0530526A (ja) 色エツジ補正回路
JP3214667B2 (ja) 輪郭補正装置
JP2007110303A (ja) 輪郭補正装置
KR940021410A (ko) 파형등화기
JP3632987B2 (ja) 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3934737B2 (ja) 複素フィルタ
JPS59186489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US7139326B2 (en) Image-canceling quadrature modulator and method
WO2013047284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録媒体
KR0171031B1 (ko) 위상추정에 의한 단일측파대 bpsk 변/복조방식 및 그 장치
KR940008203Y1 (ko) 색신호 보상 장치(An apparatus for compensation a color signal)
JP2833550B2 (ja) 映像混合増幅装置
JPH0767129A (ja) 撮像装置
JPH01236890A (ja) Y/c分離回路
JPH0683464B2 (ja) 画質改善回路及びクロマ差分抽出回路
JPH08214266A (ja) テレビジョン回路および周波数変換回路
JPH01226291A (ja) 複合信号分離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