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229B1 - 구동 장치 및 광량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구동 장치 및 광량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229B1
KR100760229B1 KR1020060070102A KR20060070102A KR100760229B1 KR 100760229 B1 KR100760229 B1 KR 100760229B1 KR 1020060070102 A KR1020060070102 A KR 1020060070102A KR 20060070102 A KR20060070102 A KR 20060070102A KR 100760229 B1 KR100760229 B1 KR 100760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magnet
rotor yoke
coil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4059A (ko
Inventor
히로무 야스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14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4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7/0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 H02K37/1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 H02K37/12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37/14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6/00Machines adapted to function as torque motors, i.e. to exert a torque when stalle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14Two separate members moving in opposite direc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18More than two members
    • G03B9/22More than two members each moving in one direction to open and then in opposite direction to close, e.g. iris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4Pivoting arm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hutters For Camera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 Electromagnets (AREA)
  • Diaphragms For Cameras (AREA)
  • Permanent Field Magnets Of Synchronous Machinery (AREA)

Abstract

로터의 관성 모멘트를 감소시켜, 토크를 증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장치. 마그넷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원주방향으로 다른 극으로 교대로 자화되는 자화부를 갖는다. 코일은, 마그넷과 같은 축에 감겨 있고, 마그넷과 축방향으로 나란히 서서 배치된다. 스테이터 요크는, 연자성 재료로 형성되며, 마그넷과 코일을 고정한다. 로터 요크는, 연자성 재료로 형성되며, 자화부에 대향해 형성되고 코일에 의해 자화되는 자극부를 갖고, 스테이터 요크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 규제부는, 로터 요크의 회전 범위를 소정의 각도 이내로 규제한다.
구동장치, 스테이터 요크, 로터, 마그넷

Description

구동 장치 및 광량 조절 장치{DRIVING DEVICE AND LIGHT AMOUNT CONTROLL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량 조절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조립 완료 상태의 도 1의 광량 조절 장치의 축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셔터 블레이드를 닫은 상태의 도 2의 광량 조절 장치를 정면도이다.
도 3b는 셔터 블레이드를 연 상태의 도 2의 광량 조정 장치를 정면도이다.
도 4는 광량 조절 장치가 2위치 전환 방식을 이용한 경우에 광량 조정 장치의 로터 요크에 작용하는 토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광량 조절 장치가 3위치 전환 방식을 이용한 경우에 광량 조정 장치의 로터 요크에 작용하는 토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구동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조립 완료된 상태의 도 6의 구동장치의 축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구동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조립 완료 상태의 도 8의 구동장치의 축방향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로터 요크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구동장치, 및 상기 구동장치를 구동원으로서 내장한 광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소형의 박형 구동장치가 각종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Kokai) 특개 2002-272082호 공보 및 특개 2002-049076호 공보 참조). 도 8 및 도 9는 일본국 공개특허(Kokai) 특개 2002-272082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의 구동장치를 나타낸다.
도 8은 종래의 구동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조립 완료된 상태의 구동장치의 축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장치는, 마그넷(101), 코일(102), 스테이터(104), 베이스 판(105), 마그넷 압착기(106), 셔터 블레이드(107), 및 커버(109)로 구성되어 있다.
마그넷(101)은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고,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며, 서로 다른 극을 교대로 갖도록 자화되는 n개의 부분으로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외주면을 갖는다. 이 마그넷(101)은 회전 규제 핀(angular reciprocation restricting pin; 101a) 및 출력 핀(101b)으로 구성되어 있다. 코일(102)은, 마그넷(101)과 같은 축에 배치된다. 스테이터(104)는 연자성 재료로 형성되며, 코일(102)에 의해 자화되고, 빗살 형상의 외측 자극부(104a)와, 중공의 원통형 내측 자극부(104b)를 포함하고 있다. 스테이터(104)의 외측 자극부(104a)는 마그넷(101)의 외주면에 대향하고, 스테이터(104)의 내측 자극부(104b)는 마그넷(101)의 내주면에 대향한다.
상기 구동장치에 있어서, 코일(102)의 통전 방향을 변경해서 외측 자극부(104a)의 극성과 내측 자극부(104b)의 극성을 전환함으로써, 마그넷(101)을 규제된 범위 내에서 각지게 왕복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구동장치에 있어서, 코일(102)의 통전에 의해 발생한 자속이, 외측 자극부(104a)의 각각으로부터 대향한 내측 자극부(104b)로 흐르거나, 또는 그 반대로 내측 자극부(104b)로부터 외측 자극부(104a)의 각각으로 흘러, 외측 자극부(104a)와 내측 자극부(104b) 사이에 위치된 마그넷(101)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외측 자극부(104a)와 내측 자극부(104b) 사이의 거리를, 마그넷(101)의 두께, 마그넷(101)과 각 외측 자극부(104a) 사이의 간극, 및 마그넷(101)과 내측 자극부(104b) 사이의 간극의 합계분으로 설정할 수 있어, 각 외측 자극부(104a)와 내측 자극부(104b)로 구성된 자기회로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작은 양의 전류로 많은 양의 자속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구동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종래의 구동장치를, 카메라의 셔터 기구 또는 조리개 기구 등의 광량 조절 장치의 구동원으로서 사용하여, 셔터 기구 또는 조리개 기구의 구동을 고속화하려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구동장치는 로터로서 중공의 원통형 마그넷을 이용하기 때문에, 관성 모멘트(moment of ineria)를 감소시키는 것에는 한계가 있어, 상술한 기구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어렵다.
또한, 마그넷의 두께를 증가시켜 더 강한 자력을 취득함으로써 구동장치의 토크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마그넷의 두께 증가로 의해 로터의 관성 모멘 트도 증가하여, 상술한 기구의 구동의 고속화를 달성할 수 없다고 하는 또 다른 문제가 있다.
또, 종래의 구동장치에서는, 마그넷(101)의 회전 규제 핀(101a)과 출력 핀(101b)을 플라스틱 마그넷재로 형성함으로써 부품 점수를 줄이지만, 플라스틱 마그넷재는 금속 또는 수지보다 더 깨지기 쉽기 때문에, 물리적 충격에 의해 상기 핀들이 파괴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플라스틱 마그넷재 이외의 물질을 이용한 핀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다른 물질을 이용한 경우에는, 부품 점수의 삭감과 출력 핀의 강성의 향상을 양립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로터의 관성 모멘트를 감소시키고, 토크를 증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장치 및 그 구동장치를 구동원으로서 내장한 광량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국면에 의하면,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다른 극을 갖도록 자화되는 자화부를 갖는 마그넷과, 상기 마그넷과 같은 축에 감겨 있고, 상기 마그넷과 축방향으로 나란히 서 있는 관계로 배치되는 코일과, 연자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마그넷과 상기 코일을 고정하는 스테이터와, 연자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자화부에 대향해 형성되며 상기 코일에 의해 자화되는 자극부를 갖고,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회전 범위를 소정의 각도 이내로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를 구비하는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 국면에 따른 구동장치의 구성에 의하면, 마그넷을 로터로서 이용하는 종래의 경우와 달리, 로터를 회전 부재로서 이용하기 때문에, 관성 모멘트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구동장치의 토크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마그넷의 두께를 증가시켜도, 로터의 관성 모멘트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아, 높은 토크와 관성 모멘트의 감소를 양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정의 각도는, 상기 마그넷의 상기 자화부의 자극의 수로 360도를 제산하여 얻은 각도보다 크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터의 상기 자극부는, 각각 상기 로터의 측부를 컷아웃함으로써 형성된 빗살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그넷은, 상기 자화부를 그 내주면에 구비하고, 상기 로터의 외주 측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그넷은, 상기 자화부를 그 외주면에 구비하고, 상기 로터의 내주 측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터의 회전 구동 방식은, 상기 로터의 각도 위치를, 상기 소정의 각도 이내로 설정된 상기 로터의 회전 범위의 양단의 각 위치로 전환하는 방식과, 상기 로터의 각도 위치를, 상기 로터의 회전 범위의 양단의 각 위치 및 상기 양단 간의 위치로 전환하는 방식과, 상기 로터의 회전 범위 내에서 상기 로터의 각도 위치를 연속해서 전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2 국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 구면에 따른 구동장치와, 개구부를 갖고, 상기 구동장치의 상기 스테이터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와, 상기 구동장치의 상기 로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기 고정 부재의 상기 개구부의 개구량을 조절하는 광량 조절 부재를 구비하는 광량 조절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국면에 따른 광량 조절 장치의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 국면에 다른 구동장치를 구동원으로서 사용하기 때문에, 광량 조절 장치의 구동의 고속화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얻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을 참조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량 조절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조립 완료 상태에 있는 도 1의 광량 조절 장치의 축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셔터 블레이드를 닫은 상태의 광량 조절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b는 셔터 블레이드를 연 상태의 광량 조절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량 조절 장치는, 베이스판(4) 및 셔터 블레이드(7)를 포함하는 광량 조절 기구와, 마그넷(1), 코일(2), 스테이터 요크(3), 및 로터 요크(5)를 포함하는 구동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마그넷(1)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다른 S극 및 N극을 교대로 갖도록 자화되는 n개의 부분으로 원주방향으로 분할(본 실시 예에서는 16개의 부분)된 내주면을 자화부로서 갖는다(내주 자화 방식). 마그넷(1)은, 광량 조절 장치의 조립 시에 로터 요크(5)의 외주 측에 배치된다(도 2 참조).
코일(2)은, 통상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감겨 있는 다수의 도선(lead wire)으로 형성되며, 광량 조절 장치의 조립 시에 마그넷(1)과 같은 축에 축방향으로 나란히 서 있는 관계로 배치된다. 코일(2)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그넷(1)의 외경과 대략 같은 외경과, 마그넷(1)의 내경과 대략 같은 내경을 갖는다.
스테이터 요크(3)는, 통상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도록 연자성 재료로 형성되며, 중공의 원통부(31)와 이 원통부(31)의 내주를 따라 안쪽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상판부(32)로 구성되어 있다. 중공의 원통부(31)는, 마그넷(1)의 외경과 대략 같은 내경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판부(32)는, 마그넷(1)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내경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테이터 요크(3)의 내측에는, 마그넷(1)과 코일(2)이 단단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
 베이스판(4)은, 통상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41)와, 이 개구부(41)의 외측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되어 이 개구부(41)를 정의하는 로터 베어링부(42)와, 이 로터 베어링부(42)의 외측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스테이터 요크 고정부(43)로 구성되어 있다. 스테이터 요크 고정부(43)는, 스테이터 요크(3)를 고정하는 것이다. 또, 스테이터 요크 고정부(43)가,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부를 컷아웃(cutout)함으로써 형성되는 회전 규제부(angular reciprocation restricting part; 44)를 구비함으로써, 스테이터 요크 고정부(43)는 회전 규제부의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회전 규제부(44)(컷아웃 부분)를 정의하는 스테이터 요크 고정부(43)의 대향하는 2개의 단면에 의해, 로터 요크(5)의 회전 정지 핀(54)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또, 스테이터 요크 고정부(43)과는 반대측(셔터 블레이드 장착 측)에 있는 베이스판(4)의 면에는, 예를 들면 3개의 도웰(작은 돌기)(45)이 그 면으로부터 돌출하게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로터 요크(5)는, 연자성 재료로 형성되며, 통상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는다. 이 로터 요크(5)는 각 자극부가 빗살 형상을 갖도록 그 측부를 축방향으로 컷아웃함으로써 형성된 복수의 자극부(51)를 포함한다. 자극부(51)의 각각의 축방향의 길이는, 마그넷(1)의 축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자극부(51)의 호의 길이(치(tooth)폭)는, 마그넷(1)의 각 자화부의 호의 길이보다 짧다. 자극부(51)의 개수는, 1개 내지 n/2개(n은 마그넷(1)의 자극 수)로 설정될 수 있지만, 본 실시 예에서는 8개로 설정되어 있다.
또, 로터 요크(5)는, 축방향으로 자극부(51)와는 반대 측에서 그 외주로부터 외측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예를 들면, 3개의 베이스부(53)와, 자극부(51)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각각의 베이스부(53)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한 예를 들면, 3개의 셔터 구동 핀(52)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3개의 베이스부(53) 중 하나는, 그곳에서부터 외측으로 반경방향으로 돌출한 상태로, 1개의 회전 정지 핀(54)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셔터 구동 핀(52) 및 회전 정지 핀(54)은, 연자성 재료로서의 순수 철 또는 규소 강철 등의 철을 함 유하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셔터 블레이드(7)는, 차광성이 있는 경량의 재료로 형성되며, 예를 들면, 3개의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셔터 블레이드(7)는, 베이스판(4)의 개구부(41)의 개구의 양, 즉 개구부(41)를 통과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광량 조절 부재로서 기능을 한다. 셔터 블레이드(7)의 각각은 베이스판(4)의 도웰(45) 중 대응하는 하나가 끼워 맞춰져 있는 구형의 구멍(71)과, 로터 요크(5)의 셔터 구동 핀(52) 중 대응하는 하나가 끼워 맞춰져 있는 슬롯(72)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광량 조절 부재가 3개의 셔터 블레이드(7)로 형성되었지만, 셔터 블레이드(7)의 수는 3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셔터 블레이드(7)는, 구형의 구멍(71)의 각각에 베이스판(4)의 도웰(45)을 끼워 맞춤으로써 베이스판(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로터 요크(5)의 셔터 구동 핀(52)이 각각의 슬롯(72)에 미끄러질 수 있게 끼워 맞춰짐으로써, 셔터 블레이드(7)의 각각은 로터 요크(5)의 회전에 따라 관련된 구형의 구멍(7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가 있다. 각 셔터 블레이드(7)의 회전에 의해, 개구부(41)를 통과하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가 있다. 셔터 블레이드(7)의 각각의 축방향의 위치는, 도시하지 않은 뒤 덮개를 베이스판(4)에 장착함으로써 규제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광량 조절 장치에서는, 베이스판(4)에 스테이터 요크(3)을 단단히 끼워 맞추고, 스테이터 요크(3)의 내주를 따라 코일(2)과 마그넷(1)을 단단히 끼워 맞춤으로써, 구동장치의 스테이터를 형성한다. 다른 한편으로, 로터 요크(5)를 스테이터, 즉 스테이터 요크(3)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춤으로써, 구동 장치의 로터 또는 회전 부재를 형성한다. 이 경우, 로터 요크(5)의 자극부(51)는 마그넷(1)의 자화부에 대향하여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로터 요크(5)의 내주를 베이스판(4)의 로터 베어링부(42)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지지하고, 로터 요크(5)의 베이스부(53)를 베이스판(4)과 스테이터 요크(3)의 상판부(32) 사이에 둠으로써, 축방향의 위치 결정을 달성한다(도 2 참조).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로터 요크(5)를 스테이터 요크(3)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으면 어떠한 방법이든지 사용할 수 있다.
구동장치의 로터(로터 요크(5))는, 스테이터(스테이터 요크(3))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을 수행할 수 있다. 소정의 각도 범위는 360/n도보다 크지 않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 요크(5)의 회전 정지 핀(54)이 베이스판(4)의 회전 규제부(44)의 단면과 접촉하게 됨으로써, 로터(로터 요크(5))의 가동 범위(회전 범위)를 규제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광량 조절 장치에 있어서, 구동장치의 코일(2)의 통전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로터(로터 요크(5))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코일(2)의 통전에 의해 발생한 자속은, 스테이터 요크(3)의 중공의 원통부(31), 상판부(32), 로터 요크(5)의 각 자극부(51), 및 마그넷(1)을 통해서 둥글게 연장되어 루프를 형성한다. 이 결과, 로터 요크(5)의 자극부(51)가 자화되기 때문에, 로터 요크(5)는 자극부(51)와 마그넷(1) 간의 자기적인 작용에 의해 토크를 받는다. 마그넷(1)의 자화부와 로터 요크(5)의 자극부(51)는, 약간의 간극을 두고 서로 대향하고 있기 때문에, 그 사이에서 작용하는 자력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
도 4는, 광량 조절 장치가 2위치 전환 방식을 이용한 경우에 광량 조정 장치의 로터 요크(5)에 작용하는 토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로터 요크(5)에 작용하는 토크는, 마그넷(1)과 로터 요크(5)의 자극부(51) 사이에 발생한 자력에 의해 생긴다. 도 4의 종 좌표는 로터 요크(5)에 작용하는 토크를 나타내고, 횡 좌표는 로터 요크(5)의 각도 위치를 나타낸다. 2점 쇄선으로 표시된 특성 곡선은 코일(2)이 정방향으로 통전된 경우에 로터 요크(5)에 작용하는 토크를 나타내고, 점선으로 표시된 특성 곡선은 코일(2)이 역방향으로 통전된 경우에, 로터 요크(5)에 작용하는 토크를 나타낸다. 또, 실선으로 표시된 특성 곡선은 코일(2)이 통전되지 않은 상태의 토크를 나타낸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베이스판(4)의 회전 규제부(44)에 의해 규제된 로터 가동 범위 외에서 작용하는 토크도 도시되어 있다.
토크가 정의 값인 경우에는, 로터 요크(5)는 도 3a 및 도 3b에서 보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토크가 부의 값인 경우에는, 로터 요크(5)는 도 3a 및 도 3b에서 보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마그넷(1)의 각 자화부의 극의 중심과 로터 요크(5)의 각 자극부(51)의 중심이 서로 대향하고 있는 점(도 4에 점 ○으로서 표시됨)에서는, 코일(2)이 정방향으로 통전된 경우에, 코일(2)이 역방향으로 통전된 경우에, 또 코일(2)이 통전되지 않은 경우에, 로터 요크(5)에 작용하는 토크의 값은 0이 된다.
상술한 중심이 서로 대향하고 있는 점(위치)이 로터의 가동 범위 내에 있으 면, 로터 요크(5)가 이 위치에 와서 정지했을 경우에, 로터 요크(5)의 동작을 수행할 수가 없게 된다. 마그넷(1)의 내주면이 원주방향으로 n개의 부분으로 분할되고, 각 분할된 부분이 자화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중심이 서로 대향하고 있는 점은 360/n도(n는 자극의 수, 본 실시 예에서는 22.5°)의 각도 간격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상기 중심이 대향하고 있는 점에서 로터 요크(5)가 정지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로터의 가동 범위를 360/n°이내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로터의 가동 범위를 도 4에 나타낸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코일(2)의 정방향의 통전 시에는, 정회전 방향으로 작용하는 토크를, 항상 로터 요크(5)에 인가할 수 있고, 코일(2)의 역방향의 통전 시에는 역회전 방향으로 작용하는 토크를, 항상 로터 요크(5)에 인가할 수가 있다.
코일(2)이 정방향으로 통전되면, 로터 요크(5)는 시계 방향으로 작용하는 토크를 받아, 로터 요크의 회전 정지 핀(54)이 베이스판(4)의 회전 규제부(44)의 한편(도 3a 및 도 3b에서 보면 우측)의 단면에 접촉하게 될 때까지 회전한다. 이 상태가 도 3b에 나타나 있으며, 이때의 로터 요크(5)의 각도 위치는 도 4의 부호(b)로 표시되어 있다. 이 각도 위치에서 코일(2)이 통전되지 않은 경우에도, 도 4로부터 알 수 있듯이 로터 요크(5)에는 정의 토크가 여전히 작용한다. 그 결과, 로터 요크(5)가 베이스판(4)의 회전 규제부(44)에 눌러짐으로써, 무통전 상태에서도 위치를 유지할 수가 있다. 상술한 처리에 따르면, 셔터 블레이드(7)는, 개구부(41)로부터 퇴피한 상태(즉 열린 상태)로 로터 요크(5)의 각각의 관련 셔터 구동 핀(52)에 의해 구동된다.
다음에, 코일(2)이 역방향으로 통전되면, 로터 요크(5)는 반시계방향으로 작용하는 토크를 받아, 회전 정지 핀(54)이 베이스판(4)의 회전 규제부(44)의 다른 단면(도 3a 및 도 3b에서 봤을 때 좌측)과 접촉하게 될 때까지 회전한다. 이 상태가 도 3a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때의 로터 요크(5)의 각도 위치는 도 4의 부호(a)로 표시되어 있다. 이 각도 위치에서 코일(2)이 통전되지 않아도, 상기 경우와 마찬가지로, 로터 요크(5)는 베이스판(4)의 회전 규제부(44)에 눌러짐으로써, 무통전 상태에서도 위치를 유지할 수가 있다. 상술한 처리에 따르면, 셔터 블레이드(7)는, 개구부(41)를 덮는 상태(즉, 닫힌 상태)로 로터 요크(5)의 각각의 관련된 셔터 구동 핀(52)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에서는, 코일(2)을 정방향으로 통전시킴으로써 로터 요크(5)를 도 4의 부호(b)로 표시된 위치로 구동시키고, 코일(2)을 역방향으로 통전시킴으로써 로터 요크(5)를 도 4의 부호(a)로 표시된 위치로 구동시키며, 이 양쪽 경우에 있어서, 코일(2)의 무통전 후에도, 부호 (a) 또는 (b)로 표시된 위치를 유지하는, 2위치 전환 방식에 따른 동작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로터 요크(5)가 수행할 수 있는 동작은, 2위치 전환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로터 요크(5)의 자극부(51)의 각각의 치(tooth)폭 또는 형상을 적절하게 구성하고, 코일(2)에 공급되는 전압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로터 요크(5)에 작용하는 토크의 파형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경할 수가 있다(3위치 전환 방식).
도 5는, 광량 조절 장치가 3위치 전환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 광량 조절 장치의 로터 요크(5)에 작용하는 토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코일(2)이 정방향으로 통전되면, 로터 요크(5)에는 정의 토크가 작용함으로써, 로터 요크(5)는 도 5의 부호(b)로 표시된 위치로 회전한다. 코일(2)이 역방향으로 통전되면, 로터 요크(5)에는 부의 토크가 작용함으로써, 로터 요크(5)는 도 5의 부호(a)로 표시된 위치로 회전한다. 더 나아가서, 코일(2)이 통전되지 않으면, 로터 요크(5)는 코일(2)이 무통전 상태에 있을 때 로터 요크(5)가 위치되는 안정 위치인 도 5의 부호(c)로 표시된 위치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로터 요크(5)가 3위치 전환 방식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 로터, 즉 로터 요크(5)를 용수철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가압하고, 코일(2)에 인가된 전압을 증감함으로써, 로터 요크(5)의 회전 각도를 연속해서 전환하는(연속 전환 방식), 상기의 2위치 전환 방식과 3위치 전환 방식과는 다른 방식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속 전환 방식의 경우에는, 코일(2)에 최대 전압을 인가했을 때에, 로터 요크(5)는 도 5의 부호(b)로 표시된 위치로 회전하고, 그 후에 전압을 서서히 낮추면 용수철의 가압력과 마그넷(1)의 전자력이 서로 균형을 이룬 위치가 점차 바뀌어, 로터 요크(5)는 도 5의 부호(a)로 표시된 위치를 향해 이동해 간다. 그리고, 코일(2)이 통전되지 않은 경우에, 로터 요크(5)는 도 5의 부호(a)로 표시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동작한다. 이 동작에 의해, 베이스판(4)의 개구부(41)를 통과하는 광량을 연속해서 조절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 예에 따른 구동장치를 내장한 광량 조절 장치의 유리한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광량 조절 장치에 내장된 구동장치에 있어서는, 중공의 원통 부를 축방향으로 컷아웃함으로써 형성된 자극부(51)를 갖는 로터 요크(5)로 로터 또는 로터 부재를 구현한다. 이 구조에 의해, 상기 일본국 공개특허(Kokai) 특개 2002-272082호 공보에 기재된 구동장치보다, 관성 모멘트가 작은 로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그 이유를 설명한다.
얇은 중공의 원통형 물체의 중심축에 대하여 작용하는 얇은 중공의 원통형 물체의 관성 모멘트는, (수 π)×(밀도)×(두께)×(높이)×(평균 반경)^3으로 나타낼 수가 있다. 중공의 원통형 마그넷(1)의 관성 모멘트와 자극부(51)를 갖는 로터 요크(5)의 관성 모멘트를, 2개의 중공의 원통 간의 밀도, 두께, 높이 및 형상을 비교함으로써 서로 비교한다.
우선, 밀도에 대해서는, 마그넷(1)에 이용되는 재료는, 네오디뮴 소결 마그넷의 경우에 7.4g/cm3의 밀도를 갖고, 사마리움 코발트 마그넷의 경우에는 8.3g/cm3의 밀도를 가지며, 네오디뮴 본드 마그넷의 경우에는 6.0g/cm3의 밀도를 갖는다. 반대로, 로터 요크(5)에 이용되는 순수 철은 7.0g/cm3의 밀도를 갖고, 마그넷(1)의 비중의 80~120%와 대략 동일하다.
 다음에, 두께에 대해서는, 마그넷(1)의 최소 두께는 대략 0.3~0.6 mm정도이다. 마그넷(1)의 두께가 이것보다 작으면, 마그넷(1)의 강도가 감소하고, 마그넷(1)이 충분히 자화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반대로, 로터 요크(5)의 최소 두께가 0.15~0.3 mm이며, 마그넷(1)의 최소 두께의 약 절반이다.
높이에 대해서는, 로터 요크(5)는 마그넷(1)의 높이와 코일(2)의 높이의 합 과 대략 같은 높이를 갖는다. 따라서, 로터 요크(5)의 높이는 마그넷(1)의 높이의 약 2배이다.
형상에 대해서는, 마그넷(1)은 완전한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는 것에 반해, 로터 요크(5)는 중공의 원통부를 축방향으로 컷아웃함으로써 형성된 자극부(51)를 갖는다. 자극부(51)의 각각의 치폭은, 마그넷(1)의 각 자화부의 호의 길이보다 짧고, 자극부(51)의 개수는 최대로 마그넷(1)의 자화부의 개수의 절반이다. 따라서, 로터 요크(5)는 로터 요크(5)의 원주의 50% 이상의 총 호의 길이를 컷아웃함으로써 형성된다.
이상의 점을 정리하면, 본 실시 예와 같이, 마그넷(1)의 평균 반경이 로터 요크(5)의 평균 반경과 같은 경우, 컷아웃에 의해 형성된 로터 요크(5)를 로터로서 이용함으로써, 관성 모멘트를 50%이상 감소시킬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구동장치가 셔터 블레이드(7)를 고속으로 개폐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셔터의 고속 구동을 달성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 예에 따른 구동장치와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 2002-272082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의 중공의 원통형 구동장치가 같은 사이즈를 갖는 경우, 로터로서의 마그넷을 구동장치의 반경방향 중앙부에 가깝게 배치하는 종래의 구동장치보다도, 로터 요크(5)를 구동장치의 최내주에 배치한 본 발명의 구동장치가, 관성 모멘트가 훨씬 더 작다.
상술한 것처럼, 종래의 구동장치는 마그넷을 로터로서 이용하기 때문에, 마그넷의 두께를 증가시켜 자력을 증가시킴으로써 토크를 향상시키는 경우, 관성 모 멘트도 증가하여, 셔터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에 대조적으로, 본 실시 예의 구동장치에 따르면, 로터 요크(5)로 로터를 형성하기 때문에, 마그넷(1)의 두께를 증가시켜도, 관성 모멘트는 증가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두께를 증가시켜 자력을 증가시키는 마그넷(1)을 이용할 수가 있다. 즉, 마그넷(1)을 형성하는 마그넷 재료의 두께를 바꿈으로써, 로터 요크(5)의 관성 모멘트를 증대시키는 일없이 로터 요크(5)에 작용하는 자력을 증대할 수가 있다. 그 결과, 토크가 높고 관성 모멘트가 감소한 구동장치를 실현할 수가 있다. 즉, 셔터의 고속 구동을 실현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 예의 구동장치에 있어서는, 연자성 재료로서의 순수 철 또는 규소 강철 등의 철을 함유하는 재료를 이용해서 로터 요크(5)의 셔터 구동 핀(52) 및 회전 정지 핀(54)을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종래의 플라스틱 마그넷의 핀보다 강도가 높은 핀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핀의 사이즈를 용이하게 줄일 수도 있다. 더 구체적으로, 부품 점수를 증가시키는 일없이. 충분한 강도를 갖는 셔터 구동 핀(52) 및 회전 정지 핀(54)을 구비한 로터 요크(5)를 실현할 수가 있다.
본 실시 예의 구동장치에서는, 코일(2)의 통전에 의해 발생한 자속은, 스테이터 요크(3)의 중공의 원통부(31)로부터 로터 요크(5)의 자극부(51)로 흐르거나,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흘러, 로터 요크(5)의 자극부(51)와 스테이터 요크(3)의 중공의 원통부(31) 사이에 위치된 마그넷(1)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이 경우, 스테이터 요크(3)의 중공의 원통부(31)와 로터 요크(5)의 자극부(51) 사이의 거리를, 마그넷(1)의 두께와, 마그넷(1)과 로터 요크(5)의 각 자극 부(51)의 사이의 간극의 합계분으로 설정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일본국 공개특허(Kokai) 특개 2002-272082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의 구동장치보다, 스테이터와 로터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할 수가 있어, 자기저항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보다 적은 전류로 더 많은 자속을 발생시킬 수가 있어, 구동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본 실시 예의 구동장치의 로터는, 얇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큰 직경의 마그넷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 구동장치의 토크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구동장치의 개구부를 광로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구동장치를 내장한 광량 조절 장치의 사이즈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로터로서 이용된 로터 요크(5)를 컷아웃에 의해 형성하기 때문에, 로터 요크(5)의 관성 모멘트가 감소한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로터 요크(5)로 로터를 구현하기 때문에, 마그넷(1)을 형성하는 마그넷 재료의 두께를 증가시켜도, 로터 요크(5)의 관성 모멘트에 악영향을 미칠 수가 없어, 토크의 증가와 관성 모멘트의 감소를 양립한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부품 점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소형이면서 충분한 강도를 갖는 로터 요크(5)를 구비한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구동장치를 구동원으로서 사용하는 광량 조절 기구의 구동 속도의 고속화를 달성할 수 있는 광량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구동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조립 완료 상태의 도 6의 구동장치의 축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장치는, 마그넷(11), 코일(12), 스테이터 요크(13), 로터 요크(15), 및 로터 핀(16)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그넷(11)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다른 S극 및 N극을 교대로 갖도록 자화되는 n개의 부분으로 원주방향으로 분할(본 실시 예에서는 n개의 부분)된 외주면을 갖는다(외주 자화 방식). 마그넷(11)은, 구동장치의 조립 시에 로터 요크(15)의 내주 측에 배치된다.
코일(12)은, 다수의 도선이 통상 중공의 원통형에 감김으로써 형성되고, 구동장치의 조립시에 마그넷(11)과 같은 축에 축방향으로 나란히 서 있는 관계로 배치된다. 이 코일(12)은, 마그넷(11)의 외경과 대략 같은 외경과, 마그넷(11)의 내경과 대략 같은 내경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테이터 요크(13)는, 연자성 재료로 형성되며, 마그넷(11)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통상 원통 형상의 샤프트부(131)과, 이 샤프트부(131)를 지지하는 원반 형상의 자속 전달부(132)로 구성되어 있다. 샤프트부(131)는 마그넷(11)의 내경과 대략 같은 외경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자속 전달부(132)는, 마그넷(11)의 외경보다 약간 큰 외경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로터 요크(15)는, 연자성 재료로 형성되며, 그 로터 요크(15)의 측부를 축방향으로 컷아웃함으로써 빗살 형상으로 각각 형성된 자극부(151)를 갖는다. 자극 부(151)는, 마그넷(11)의 축방향의 길이보다 긴 축방향의 길이와, 마그넷(11)의 각 자화부의 호의 길이보다 짧은 호의 길이(치폭)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자극부(151)의 개수는, 1개 내지 n/2개(n은 마그넷(11)의 자극의 수를 나타냄)로 설정될 수 있지만, 본 실시 예에서는 2개로 설정되어 있다.
로터 핀(16)은, 비중이 작고 미끄러짐성이 좋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며, 통상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로터 핀(16)은, 축방향으로 돌출하게 형성되는 예를 들면, 1개의 셔터 구동 핀(161)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스테이터 요크(13)의 샤프트부(131)에 마그넷(11) 및 코일(12)을 단단히 끼워 맞춤으로써 스테이터를 형성한다. 다른 한편으로, 로터 핀(16)과 로터 요크(15)를 같은 축에 고정함으로써 로터를 형성한다. 로터는, 회전 규제 기구(미도시)에 의해 규제되는 방식으로 360/n도 이하의 범위 내에서 스테이터에 대하여 회전을 수행할 수가 있다. 이 경우, 로터 요크(15)의 자극부(151)는 마그넷(11)의 자화부에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코일(12)의 통전에 의해 발생한 자속은, 스테이터 요크(13)의 샤프트부(131), 자속 전달부(132), 로터 요크(15)의 자극부(151), 및 마그넷(11)을 통해서 둥글게 연장되어 루프를 형성한다. 이 결과, 로터 요크(15)의 자극부(151)가 자화되기 때문에, 로터 요크(15)는 자극부(151)와 마그넷(11) 사이의 자기적인 작용에 의해 토크를 받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구동장치에서도, 상술한 제1 실시 예와 같이, 코일(12)의 통전의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로터 요크(15)가 상술한 회전 규제 기구에 의해 규제된 범위 내에서 회전을 수행할 수가 있다. 제1 실시 예에 따른 구동장치와 마찬가지로, 본 구동장치는 광량 조절 장치에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렌즈 구동장치 및 각종 스위치 등에도 이용할 수가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구동장치는, 고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장치의 직경을 감소시키는 것을 실현할 수가 있다. 구동장치와 광량 조절 기구(셔터 블레이드 및 베이스판)로 광량 조절 장치를 형성한 경우, 직경이 감소한 본 구동장치는 상술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중공의 원통형 구동장치보다, 다른 부품(렌즈 지지 바, 포커스 모터 등 )과의 간섭을 일으키는 것이 더 어렵고, 또 사이즈가 다른 또 다른 광량 조절 기구에 구동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구동장치는, 마그넷의 외주면을 자화하는 외주 자화 방식이다. 로터의 관성 모멘트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 예와 같이, 마그넷의 내주면을 자화하는 내주 자화 방식을 이용해, 로터 요크를 구동장치의 최내주를 따라 배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마그넷의 직경을 더 감소시키면, 마그넷의 내주면을 자화하는 것이 더 어려워져, 충분하게 자화할 수가 없다. 그 결과, 대책으로서 마그넷을 2개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증가시킨다.
대조적으로, 본 실시 예와 같이 외주 자화 방식의 마그넷을 이용한 경우에는, 구동장치의 사이즈가 감소해도, 강력한 마그넷을 이용할 수가 있어, 마그넷에 필요한 비용을 줄일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로터로서 이용한 로터 요크(15)는 컷아웃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로터 요크(15)의 관성 모멘트를 감소시킨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로터 요크(15)로 로터를 구현하기 때문에, 마그넷(11)을 형성하는 마그넷 재료의 두께가 증가하더라도, 로터 요크(15)의 관성 모멘트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아, 토크의 증가와 관성 모멘트의 감소를 양립한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부품 점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소형이면서 충분한 강도를 갖는 로터 요크(15)를 구비한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상기 제 1의 실시 예에서는 구동장치를 중공의 형상으로 하고, 상기 제 2의 실시 예에서는 구동장치를 고체 형상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특정의 형상의 구동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고체 형상 또는 중공의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상기 제1 실시 예에서는 마그넷의 내주면에 자화부를 배치하고(내주 자화 방식), 상기 제2 실시 예에서는 마그넷의 외주면에 자화부를 배치했지만(외주 자화 방식), 본 발명은, 특정의 자화 방식의 마그넷을 이용하는 구동장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내주 자화 방식 또는 외주 자화 방식이어도 상관없다.
상기 제 1의 실시 예에서는, 로터 요크(5)에 자극부(51)를 8개 형성한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1~n/2개(n은 마그넷의 자화부의 수)의 범위 내에서 설정되면 된다.
상기 제 2의 실시 예에서는, 로터 요크(15)에 자극부(151)를 2개 형성한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1~n/2개(n은 마그 넷의 자화부의 수)의 범위 내에서 설정되면 된다.
본 출원은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고로 통합되어 있는 2005년 7월 26일에 제출된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 2005-216060호 공보로부터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로터의 관성 모멘트를 감소시키고, 토크를 증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장치 및 그 구동장치를 구동원으로서 내장한 광량 조절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7)

  1.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다른 극을 갖도록 자화되는 자화부를 갖는 마그넷과,
    상기 마그넷과 같은 축에 감겨 있고, 상기 마그넷과 축방향으로 나란히 서 있는 관계로 배치되는 코일과,
    연자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마그넷과 상기 코일을 고정하는 스테이터와,
    연자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자화부에 대향해 형성되며 상기 코일에 의해 자화되는 자극부를 갖고,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회전 범위를 소정의 각도 이내로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상기 마그넷의 상기 자화부의 자극의 수로 360도를 제산하여 얻은 각도보다 크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의 상기 자극부는, 각각 상기 로터의 측부를 컷아웃함으로써 형성 된 빗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자화부를 그 내주면에 구비하고, 상기 로터의 외주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자화부를 그 외주면에 구비하고, 상기 로터의 내주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의 회전 구동 방식은, 상기 로터의 각도 위치를, 상기 소정의 각도 이내로 설정된 상기 로터의 회전 범위의 양단의 각 위치로 전환하는 방식과, 상기 로터의 각도 위치를, 상기 로터의 회전 범위의 양단의 각 위치 및 상기 양단 간의 위치로 전환하는 방식과, 상기 로터의 회전 범위 내에서 상기 로터의 각도 위치를 연속해서 전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7. 상기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동장치와,
    개구부를 갖고, 상기 구동장치의 상기 스테이터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와,
    상기 구동장치의 상기 로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개구부의 개구량을 조절하는 광량 조절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량 조절 장치.
KR1020060070102A 2005-07-26 2006-07-26 구동 장치 및 광량 조절 장치 KR1007602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16060A JP4378326B2 (ja) 2005-07-26 2005-07-26 駆動装置及び光量調節装置
JPJP-P-2005-00216060 2005-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4059A KR20070014059A (ko) 2007-01-31
KR100760229B1 true KR100760229B1 (ko) 2007-09-20

Family

ID=37700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102A KR100760229B1 (ko) 2005-07-26 2006-07-26 구동 장치 및 광량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79231B2 (ko)
JP (1) JP4378326B2 (ko)
KR (1) KR100760229B1 (ko)
CN (1) CN1909343B (ko)
TW (1) TWI3384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73445B2 (en) * 2007-08-30 2011-07-05 Woodward Controls Inc. Laminated rotary actuator with three-dimensional flux path
CN101493631B (zh) * 2008-01-24 2012-01-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机械快门及使用该机械快门的相机模组
JP4877261B2 (ja) * 2008-03-31 2012-02-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制御方法
DE102010023167B4 (de) * 2010-06-07 2014-06-26 Dräger Safety AG & Co. KGaA Wärmebildkamera mit einer schnellen elektromechanischen Verschlussvorrichtung
JP5847438B2 (ja) * 2011-05-27 2016-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量調節装置
JP6289159B2 (ja) * 2014-02-24 2018-03-0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光調節装置
JP2022539384A (ja) * 2019-06-26 2022-09-08 エスゼット ディージェイアイ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シャッター構造および撮影機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5225A (ja) 2001-05-11 2002-11-29 Canon Inc 駆動装置及び光量制御装置
JP2003204666A (ja) 2002-01-10 2003-07-18 Canon Inc モータ
JP2005151637A (ja) 2003-11-12 2005-06-09 Canon Inc ステッピングモータ及び光量調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110722Y1 (ko) 1965-06-28 1966-05-20
IT1075280B (it) * 1977-02-11 1985-04-22 Isf Spa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derivati pirrolidinici
GB1603969A (en) 1977-05-26 1981-1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otary electrical machine
US4438362A (en) 1982-08-19 1984-03-20 Rotron, Incorporated Self-starting, direct current motor with permanent magnets of varied magnetic strength
JPS6260453A (ja) 1985-09-06 1987-03-17 Yaskawa Electric Mfg Co Ltd 小形単相誘導子形モ−タ
US4713569A (en) * 1986-06-20 1987-12-15 501 Aeroflex Laboratories, Incorporated Low cogging motor
JP3087476B2 (ja) 1992-11-20 2000-09-11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ステッピングモータ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2001243849A (ja) * 2000-03-01 2001-09-07 Alps Electric Co Ltd 回転型電気部品のクリック構造
JP4636658B2 (ja) 2000-08-02 2011-02-23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量調整装置
US6710563B2 (en) * 2001-03-12 2004-03-23 Canon Kabushiki Kaisha Driving device, light amount controller and shutter
JP3684164B2 (ja) 2001-03-12 2005-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駆動装置及び光量制御装置
JP3854142B2 (ja) 2001-12-14 2006-12-06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電磁アクチュエータ
JP2004320932A (ja) * 2003-04-18 2004-11-11 Alps Electric Co Ltd 電磁式アクチュ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露光量調節部材
JP4012170B2 (ja) * 2004-01-06 2007-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及び光量調節装置
JP2006023363A (ja) * 2004-07-06 2006-01-26 Nisca Corp 光量調整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撮像装置
JP4378248B2 (ja) * 2004-09-01 2009-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ステッピングモー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5225A (ja) 2001-05-11 2002-11-29 Canon Inc 駆動装置及び光量制御装置
JP2003204666A (ja) 2002-01-10 2003-07-18 Canon Inc モータ
JP2005151637A (ja) 2003-11-12 2005-06-09 Canon Inc ステッピングモータ及び光量調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4059A (ko) 2007-01-31
JP4378326B2 (ja) 2009-12-02
TWI338430B (en) 2011-03-01
US20070063591A1 (en) 2007-03-22
TW200721642A (en) 2007-06-01
CN1909343B (zh) 2010-12-22
US7679231B2 (en) 2010-03-16
CN1909343A (zh) 2007-02-07
JP2007037269A (ja) 200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7583B1 (en) Exposure adjusting device and driving device for it
US7242123B2 (en) Actuator, light quantity adjusting apparatus, and stepping motor
KR100760229B1 (ko) 구동 장치 및 광량 조절 장치
US7122920B2 (en) Motor and optical apparatus
JP4455407B2 (ja) 駆動装置
KR100552557B1 (ko) 구동장치, 광량조정장치 및 렌즈구동장치
US20030007799A1 (en) Motor and photographing apparatus
JP4636658B2 (ja) 光量調整装置
JP2004045682A5 (ko)
US7317273B2 (en) Electromagnetic actuator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JP4065531B2 (ja) 駆動装置
JP2004064876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及び光学装置
JP4006234B2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
JP2004029175A (ja) 光量調節装置及びカメラのレンズ装置
JP3870195B2 (ja) 駆動装置および光量調節装置
JPH11136922A (ja) 揺動アクチュエータ
JP3684165B2 (ja) 駆動装置及び光量制御装置
JP2005328641A (ja) 駆動装置及び光量調節装置
JP2005328633A (ja) 駆動装置及び光量調節装置
JPH0993903A (ja) ステップモータ及びシャッタ装置
JP2006171490A (ja) 電磁駆動装置、光量調節装置および光学機器
JP2006174628A (ja) 電磁駆動装置、光量調節装置および光学機器
JP2004064847A (ja) モータおよび光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