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361B1 - 공기 조화기 등의 실외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등의 실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361B1
KR100753361B1 KR1020060095218A KR20060095218A KR100753361B1 KR 100753361 B1 KR100753361 B1 KR 100753361B1 KR 1020060095218 A KR1020060095218 A KR 1020060095218A KR 20060095218 A KR20060095218 A KR 20060095218A KR 100753361 B1 KR100753361 B1 KR 100753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unit
handle
box
box body
dim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5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3606A (ko
Inventor
마사히꼬 와따나베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3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3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첫째로, 운반용 손잡이를 상자체 상면판의 좌우로 거의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실외기의 외형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또한 상자체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 둘째로, 운반용 손잡이를 상자체 상면판의 좌우로 거의 돌출시키지 않고 잡기 쉬운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자체가 상자 본체와, 이 상자 본체의 상면의 개구를 막는 상면 부재로 구성하고, 상기 상면 부재는 짧은 변측 단부에 일체 형성된 운반용 손잡이부를 갖고, 상기 상자 본체의 측면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대응한 위치에 일체로 상자체 내측으로 오목해지는 오목부와, 이 오목부에 인접하는 평탄 부분을 갖고, 상기 오목부는 그 상단부면이 상기 오목부에 인접하는 평탄 부분의 상단부면과 일체로 연속하도록 상자체 내측으로 오목해지고, 이 오목부의 상단부면이 상기 상면 부재의 하면과 접촉 혹은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고, 이 오목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손가락 삽입용 공간을 갖고 손잡이를 구성한다.
상자체, 보강부, 송풍기, 열교환기, 압축기

Description

공기 조화기 등의 실외기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SO ON}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손잡이 부분의 단면도.
도2는 제1 실시 형태의 실외기의 손잡이부의 치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손잡이 부분의 단면도.
도3은 도2의 손잡이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자 본체의 오목부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
도4는 제1 실시 형태의 실외기의 상면 부재의 부분 단면도.
도5는 도2의 손잡이부를 도시하는 측면 부분도.
도6은 제1 실시 형태의 실외기의 상면 부재를 개방하여 우측 경사 상방으로부터 본 전체 사시도.
도7은 제1 실시 형태의 실외기의 상면 부재를 개방하여 좌측 경사 상방으로부터 본 전체 사시도.
도8은 제1 실시 형태의 실외기의 정면도.
도9는 제1 실시 형태의 실외기의 우측면도.
도10은 제1 실시 형태의 실외기의 상면 부재를 우측 경사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11은 도10의 상면 부재를 이면측으로부터 본 손잡이부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손잡이 부분의 단면도.
도13은 제2 실시 형태의 실외기의 상면 부재를 우측 경사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자 본체
1a : 보강부
1b : 오목부
1d : 측면의 상단부
1e : 오목부 상단부면
1f : 절결부
2 : 상면 부재
2a : 운반용 손잡이
2b : 상면 부재(2)의 단부
3 : 손가락 삽입 공간
4 : 나사
5 : 송풍기 커버
6 : 송풍기
7 : 열교환기
8 : 압축기
H1 : 상면 부재의 단부의 수직 방향 치수
H2 : 운반용 손잡이(2a)의 수직 방향 치수
H3 : 오목부의 수직 방향 높이 치수
H4 : 운반용 손잡이(2a')의 수직 방향 치수
W1 : 오목부의 깊이부 폭 치수
W2 : 오목부의 개구부 폭 치수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10-227487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2-81696호 공보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90878호 공보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11102호 공보
본 발명은, 운반용 손잡이를 상자체의 일부에 일체 성형에 의해 설치한 공기 조화기 등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 조화기 등의 실외기에는 운반용 손잡이를 상자체 상면판의 일부에 일체로 형성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특허문헌 3, 특 허문헌 4 참조).
특허문헌 1은, 다른 부품의 운반용 손잡이를 실외기의 측판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자체 내부로 돌출시켜 설치하므로 상자체 내부에 배치된 부품과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 손잡이의 깊이 치수를 크게 확보할 수 없어 손으로 잡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을 해소하기 위해, 수지제의 상자체 상면판(보강용 금속제 커버 부착)의 일부를 좌우로 돌출시키도록 일체로 형성한 문헌이다.
특허문헌 2는, 상부판의 평면의 일부를 측방으로 연장시켜 측판보다도 돌출시키고, 주위를 하방을 향해 절곡된 플랜지부와 상기 측판에 의해 둘러싸인 하향 개구부를 손잡이로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측판의 상단부의 손잡이 대응부 이외에 마련한 단차부에 플랜지부를 끼워 맞추고, 손잡이 대응부에서는 단차부를 마련하지 않고 측판의 최상단에 있는 수평 플랜지에 적재하여 상부판을 지지하는 상자체 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열교환기와 측판과의 거리를 확보하여 열교환기와 측판과의 접촉에 의한 이상음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는 문헌이다.
특허문헌 3은, 실외기를 외부 상자의 측판과 상부판으로 구성하고, 이 측판은 상단부에 상자체 내측으로 움푹 들어가는 단차부를 갖고, 상부판은 이 측판의 단차부에 끼워 맞추는 하향의 주위 플랜지부를 갖고 또한 측판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를 구비하고, 돌출부의 근원의 플랜지 선단부를 내측 천정면을 향해 절첩한 구조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안전하고, 강도가 우수하고, 강도가 우수함으로써 휨 및 변형이 적은 것이 되고, 나아가서는 의장에도 우수하고, 얇은 재료로 제작할 수 있는 실외 유닛을 제공하는 문헌이다.
특허문헌 4는, 하우징의 상면 개구를 막는 천정판의 배면측 일부에 압축기나 열교환기 등 냉동 사이클 기기에 접속되는 배관이 삽입 관통하는 배관 삽입 관통부와, 천정판의 좌우 양측부에 실외기의 운반시에 이용되는 손잡이부가 상자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 특징으로 하는 것은, 운반용 한 쌍의 손잡이를 연결하는 중간점에 실외기 본체의 무게 중심이 위치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 종래의 별도의 부품인 손잡이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떨어지기 쉽고, 빈 공간을 사용하여 손잡이를 끼워 넣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실외기 전체의 무게 중심과의 관계가 고려되어 있지 않아 중량 밸런스가 나쁘고, 운반성이 악화되는 문제를 해소하는 문헌이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10-22748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2-81696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90878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11102호 공보
이상에 서술한 특허문헌 1 내지 4의 종래의 실외기는, 상자체 상면판의 손잡이부 형상과 상자 본체의 측면부 형상의 조합에 의해 강도를 확보하여, 실외기를 들어 올린 경우의 상자체 상면판의 손잡이부 주위 및 상자 본체의 측면부의 변형 방지와, 차량에 적재하여 운반할 때나 창고에서의 보관할 때의 실외기를 중첩하였을 때의 상자체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고려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상자체 상면판 및 상자 본체의 측면부의 판 두께 치수를 크게 하거나, 내 부 구조체에 의해 보강하는 구조로 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 내지 3의 종래의 실외기는 운반용 손잡이를 상자체 상면판의 일부에 좌우로 돌출시키도록 형성한 것이므로, 실외기의 외형 치수가 커지게 되는 문제를 갖고 있다. 그로 인해, 재료를 많이 필요로 하는 것은 물론, 운반용 차량으로의 적재 대수 혹은 창고에 보관할 때의 대수가 그 만큼 적어지는 문제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 첫 번째 과제는, 운반용 손잡이를 상자체 상면판의 좌우로 거의 돌출시키지 않도록 하여, 실외기의 외형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상자체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실외기를 제공하는 데 있고, 두 번째 과제는, 운반용 손잡이를 상자체 상면판의 좌우로 거의 돌출시키지 않고 잡기 쉬운 손잡이를 구비한 실외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제1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자체의 내부에 압축기와 열교환기 및 송풍기를 구비하고, 이 상자체는 바닥면부와 측면부를 갖고 상면이 개방되는 상자 본체와, 이 상자 본체의 상면의 개구를 막도록 설치된 상면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상면 부재는 짧은 변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운반용 손잡이부를 갖고, 상기 상자 본체의 측면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대응한 위치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자체 내측으로 오목해진 오목부와, 이 오목부에 인접하는 평탄 부분을 갖고, 상기 오목부는 그 상단부면이 상기 오목부에 인접하는 평탄 부분의 상단부면과 일체로 연속하여 상자체 내측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고, 이 오목부의 상단부면에 상기 상면 부재가 적재되고, 이 오목부와 상기 상면 부재의 손잡이부 사이에는 손가락 삽입용 공간이 형성되어 손잡이를 구성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로 하였다.
청구항 2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오목부의 상단부면이 이 오목부에 인접하는 평탄 부분의 상단부면과 일체로 연속하도록 오목하게 되어 있고, 이 오목부의 상단부면은 오목부의 수직 부분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하였다.
청구항 3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압축기는 상기 상자 본체의 좌우 방향의 일단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오목부의 폭 치수의 중심 위치가 실외기의 깊이 방향의 중심 위치보다도 송풍기 커버측으로부터 먼 위치 혹은 압축기의 깊이 방향의 중심 위치보다도 송풍기 커버측으로부터 먼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오목부의 하단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부 사이는 15 ㎜ 이상이고 상자 본체의 측면부의 높이 치수의 절반 이내이다.
상기 제2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자체의 내부에 압축기와 열교환기 및 송풍기를 구비하고, 이 상자체는 바닥면부와 측면부를 갖고 상면이 개방되는 상자 본체와, 이 상자 본체의 상면의 개구를 막도록 설치된 상면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상면 부재는 짧은 변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운반용 손잡이부를 갖고, 상기 상자 본체의 측면부는 상기 손잡이에 대응한 위치에 상자체 내측으로 오목해 진 오목부를 갖고, 이 오목부의 수직 방향 높이 치수(H3)가 상기 손잡이의 수직 방향 치수(H2, H4)보다도 15 ㎜ 이상 크게 상자 본체의 측면부의 높이 치수의 절반 이내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로 하였다.
청구항 7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청구항 6에 기재된 오목부의 깊이 방향의 중심 위치가 송풍기 커버측으로부터 실외기의 깊이 방향의 중심 위치 혹은 압축기의 깊이 방향의 중심 위치보다도 먼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청구항 6에 기재된 손잡이는 그 수직 방향 치수가 상기 상면 부재의 단부의 수직 방향 치수(H1)와 동등한 수직 방향 치수(H2)이다.
청구항 9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청구항 6에 기재된 손잡이는 그 수직 방향 치수가 상기 상면 부재의 단부의 수직 방향 치수(H1)보다도 작고, 또한 1/2 이상의 수직 방향 치수(H4)이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청구항 6에 기재된 손잡이는 상면 부재의 짧은 변측 단부의 일부에 형성되고, 또한 상면 부재의 짧은 변측 단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청구항 6에 기재된 상면 부재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의 수직 방향의 치수(H2, H4)가 20 ㎜ 내지 40 ㎜의 범위이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청구항 6에 기재된 상자체 내측으로 오목해진 오목부의 수직 방향의 치수(H3)가 40 ㎜ 이상 내지 상기 상자체의 수직 높이 치수의 절반 이하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1 내지 도11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손잡이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2는 제1 실시 형태의 실외기의 손잡이부의 치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손잡이 부분의 단면도, 도3은 도2의 손잡이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자 본체의 오목부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 도4는 제1 실시 형태의 실외기의 상면 부재의 부분 단면도, 도5는 도2의 손잡이부를 도시하는 측면 부분도, 도6은 제1 실시 형태의 실외기의 상면 부재를 개방하여 우측 경사 상방으로부터 본 전체 사시도, 도7은 제1 실시 형태의 실외기의 상면 부재를 개방하여 좌측 경사 상방으로부터 본 전체 사시도, 도8은 제1 실시 형태의 실외기의 정면도, 도9는 제1 실시 형태의 실외기의 우측면도, 도10은 제1 실시 형태의 실외기의 상면 부재를 우측 경사 상방으부터 본 사시도, 도11은 도10의 상면 부재를 이면측으로부터 본 손잡이부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실외기는 도6 내지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부와 네면의 측면부로 상자 본체(1)를 구성하고, 이 상자 본체(1)의 상면의 개구를 상면 부재(2)로 막음으로써 상자체의 전체를 구성하고 있다. 이 상자체의 내부에는 송풍기(6)와 열교환기(7)와 압축기(8) 등이 내장되어 있다. 송풍기(6)의 전방면에는 송풍기 커버(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외기는 운반시에 사용하는 손잡이를 상 기 상면 부재(2)의 손잡이부(2a 및 2d)와, 이 손잡이부(2a 및 2d)에 대향하는 위치에 손가락 삽입 공간(3)을 형성하도록 상자체 내측에 오목해지도록 형성한 오목부(1b 및 1g)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 손잡이부(2a) 및 손잡이부(2d)는 상면 부재(2)의 짧은 변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손잡이부(2a) 및 손잡이부(2d)는 손을 걸기 위한 부분으로서, 도4와 도10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 부재(2)의 단부(2b)의 판을 내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것이고, 손잡이부(2a) 및 손잡이부(2d)의 단부(2b)의 측면과, 인접하는 단부(2b)의 측면과 동일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자 본체(1)에 상면 부재(2)를 결합시키면, 나사 구멍(1c)과 나사 구멍(2c)이 포개어져 양 구멍이 연통된다. 이 포개진 구멍에 나사[도5에 도시하는 나사(4)]를 돌려 넣어 일체로 고정한다. 이 일체로 고정한 상태에서의 손잡이의 구조는 부분 단면도인 도1 및 도2와, 부분 측면도인 도5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상면 부재(2)의 짧은 변측 단부에는 상기 손잡이부(2a) 및 손잡이부(2d)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자 본체(1)의 측면의 짧은 변측 상단부에는 손잡이부(2a) 및 손잡이부(2d)에 대응한 위치에 오목부(1b) 및 오목부(1g)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b) 및 오목부(1g)는 프레스 기계 등에 의한 소성 성형 가공에서 상자체 내측으로 오목해지도록 형성된 것이다.
중량이 큰 압축기(8)는 도6 내지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자 본체(1)의 우측 단부에 설치하고 있다. 상기 오목부(1b)는 중량이 큰 압축기(8)가 설치된 측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오목부(1g)는 압축기(8)를 설치한 반대측 측면 부에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오목부(1b)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의 깊이부의 폭 치수(W1)ㆍ오목부의 개구부의 폭 치수(W2)를 크게 소성 성형하여 상자체의 측면 강도를 크게 하였다. 실시예에서는, 오목부(1b)의 깊이부의 폭 치수(W1)는 65 ㎜, 개구부의 폭 치수(W2)를 85 ㎜로 하였다. 이에 의해, 엄지 손가락 이외의 4개의 손가락 끝을 무리없이 안쪽까지 삽입할 수 있다.
이 폭 치수(W1ㆍW2)를 크게 형성하고 있으므로, 상자체의 측면 강도를 크게 할 뿐만 아니라,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을 손가락 삽입 공간(3)에 충분히 안쪽까지 삽입하여 손잡이부(2a)를 확실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압축기(8)가 설치된 반대측은 중량이 가볍기 때문에, 손잡이부(2d)에 손을 걸고 실외기를 들어 올려도 손에 큰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다. 이로 인해, 손잡이부(2d)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하는 오목부(1g)는 오목부(1b)에 비교하면 손가락을 많이 삽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오목부(1g)의 소성 성형의 크기를 오목부(1b)보다도 작게 하였다. 상기 압축기(8)가 설치된 반대측 오목부(1g)는 오목부(1b)보다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7)의 절곡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측에 오목해지도록 하여 실외기를 크게 하지 않도록 고안하였다.
또한, 실외기의 압축기(8)측 측면에는 도1, 도2, 도6,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스 기계 성형에 의한 보강부(1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외력 혹은 실외기를 쌓아 올려 그 중량이 실외기에 치우쳐 가해진 경우 등에 휨이 생기는 것을 억제한다.
상자 본체(1)의 측면의 상단부(1d)는 그 상단부면을 곡면으로 구부리고 있다. 이에 의해, 상자체의 측면 강도를 높여 상자체 측면을 왜곡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 또한, 직각으로 구부린 경우에도 동일 정도의 강도 확보의 효과는 얻을 수 있다. 상기 오목부(1b)의 상단부면(1e)은 상기 측면부의 평탄 부분의 상단부면과 일체로 연속하도록 상자체 내측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자 본체(1)는 측면부를 직각으로 구부려 만들고 있지만, 직각으로 구부린 경우에는 그 상단부(1d)가 곡면으로 구부려져 있으므로, 이 곡면이 크게 줄어들게 되고 큰 주름이 생기게 된다. 나아가서는, 상자 본체 전체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각으로 구부리는 부분의 상단부의 곡면부(1d)를 절결하여 절결부(1f)를 형성하였다.
상기 실외기는 이하의 실시예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첫 번째 과제에 대응한 실시예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면 부재(2)는 짧은 변측 단부(2b)에 일체로 형성된 운반용 손잡이부(2a)를 갖고, 상기 상자 본체(1)의 측면부는 상기 손잡이부(2a)에 대응한 위치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자체 내측에 오목해진 오목부(1b)와, 이 오목부(1b)에 인접하는 평탄 부분을 갖고, 상기 오목부(1b)는 그 상단부면(1e)이 상기 오목부(1b)에 인접하는 평탄 부분의 상단부면과 일체로 연속하도록 상자체 내측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고, 이 오목부(1b)의 상단부면(1e)에 상기 상면 부재(2)가 적재되고, 이 오목부(1b)와 상기 상면 부재(2)의 손잡이부(2a) 사이에는 손가락 삽입용 공간(3)이 형성되어 손잡이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 오목부(1b)의 상단부면(1e)에 상기 상면 부재(2)를 적재하는 경우에, 그 사이에 개재물을 개재함으로써 간극을 작게 하여 심한 풍우에 대해서도 비가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상면 부재(2) 상에 설치 작업자가 탄 경우에도, 상기 오목부(1b)의 상단부면(1e)에 직접 압박되지 않으므로 상단부면(1e)의 형상에 변형된 흔적이 상면 부재(2)에 보기 흉하게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자 본체(1)의 측면의 상단부(1d)는 그 상단부면이 곡면으로 구부려져 있고, 이에 의해 강도가 향상되어 수평 방향의 힘에 대한 왜곡 및 변형이 생기기 어려워져, 상면 부재(2)와의 끼워 맞춤부의 형상을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곡면이 아닌 직각으로 구부린 경우에도, 곡면으로 구부린 경우와 동일 정도의 강도 확보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자 본체(1)의 측면부에 일체로 프레스 기계 등에 의해 소성 성형된 오목부(1b)는 그 상단부면(1e)이 상기 측면부의 평탄 부분의 상단부면과 일체로 연속하도록 상자체 내측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이 오목부(1b)가 설치된 측면부는 수직 방향의 하중에 대한 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이 오목부(1b)를 마련함으로써, 실외기를 복수 적층해도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중량이 큰 압축기(8)측만이라도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측면부의 평탄 부분의 상단부면과, 오목부(1b)의 상단부면을 일체로 연속하도록 형성하였다. 이에 의해 상자체 강도가 높아지므로, 냉매 배관 및 전기 배선 등의 작업시에 실외기의 상면 부재(2) 상에 타고 냉매 배관이나 전기 배선 등 의 설치 작업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오목부(1b)의 상단부면을 측면부의 평탄 부분의 상단부면과 일체로 연속하도록 형성하였으므로, 손잡이에 간극이 없어지거나 혹은 간극이 작아진다. 이에 의해, 풍우가 내부에 침입하지 않게 되어, 전기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오목부(1b) 및 이 오목부(1b)에 인접하는 평탄 부분의 각각의 상단부면(1e)과, 이들 상단부면(1e)이 일체로 연속하는 부분은 수직 부분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오목부(1b) 및 이 오목부(1b)에 인접하는 평탄 부분의 각각의 상단부면(1e)과, 이들 상단부면(1e)이 일체로 연속하는 부분이 수직 부분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하고 있음으로써, 실외기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 특히 수평 방향에 대한 하중, 경사 방향에 대한 하중에 대해 강도가 커져 상자체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상단부면(1e)은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실외기를 포갠 경우 혹은 실외기 위에 사람이 타서 공기 조화기의 배관 작업 등의 작업을 하여 상면 부재(2)가 상자 본체의 상단부면(1e)에 강하게 압박되어도, 상면 부재(2)와 면 접촉하므로 상면 부재(2)에 압박 변형된 흔적이 남기 어려워진다.
또한, 오목부(1b)의 상단부면(1e)에는 상기 상면 부재(2)의 하면을 접촉 혹은 개재물을 개재하여 상기 상면 부재(2)를 적재함으로써, 양 부재의 일체감을 높이는 것 및 양 부재 사이의 간극을 작게 하여 풍우가 내부에 침입하여 전기품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1b)의 상단부면(1e)과 상기 상 면 부재(2)의 하면 사이에 개재물을 개재함으로써, 실외기를 포갠 경우 혹은 실외기 위에 사람이 타고 공기 조화기의 배관 작업 등의 작업을 하여 상면 부재(2)가 상자 본체의 상단부에 강하게 압박되어도, 직접 압박되지 않으므로 압박 변형된 흔적이 남기 어려워진다.
다음에, 이하와 같은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제2 과제에 대응한 실시예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2a) 및 손잡이부(2d)의 내측에 절곡된 부분의 두께 치수(D2)는 3 ㎜로 하였다. 특히, 손잡이부(2a)는 중량이 큰 압축기(8)가 설치된 측이므로, 절곡 두께 치수(D2)를 크게 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이 절곡 두께 치수(D2)를 크게 하면, 상기 손가락 삽입 공간(3)을 형성하는 오목부(1b)의 치수(D1)도 크게 해야만 하게 된다. 따라서, 절곡 두께 치수(D2)는 운반시의 손가락에의 하중을 확실하게 받아낼 수 있는 필요 최소한의 크기로서 3 ㎜로 하였다. 상기 오목부(1b)의 치수(D1)는, 실시예에서는 16 ㎜이므로, 실질적인 손가락의 삽입 폭 치수는, D1 - D2 = 13 ㎜이다.
상기 손잡이부(2a) 및 손잡이부(2d)의 절곡 부분은 반드시 상면 부재(2)의 단부가 인접하는 다른 부분과 완전히 동일면에 형성할 필요는 없다. 몇 미리 정도, 예를 들어 상기 절곡 두께 치수(D2)가 3 ㎜ 정도의 작은 치수이면, 상자체 측면으로부터 돌출해도 작은 치수이면서 또한 부분적이므로, 외형 치수에 있어서 거의 문제가 되지 않는다. 즉, 포장재의 두께로 거의 흡수되므로, 포장재 전체의 외형 치수의 크기를 크게 할 필요성은 없고, 나아가서는 운반 차량에의 적재 대수가 적어지는 악영향을 거의 없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1 및 도2에 도시한 손잡이부(2a)의 손가락 삽입 공간(3)측으로 절곡된 부분을 부분적으로 절곡 두께 치수(D2)의 3 ㎜ 정도만큼 상자체의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성형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오목부(1b)의 치수(D1)는 16 ㎜로 할 필요는 없고, 13 ㎜로 할 수 있으므로, 상자체의 크기를 한쪽측에서 3 ㎜ 작게 할 수 있고, 양측, 즉 상자체 전체에서는 6 ㎜ 작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이와 같이 절곡된 부분을 상자체의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경우에는, 손잡이부(2a)의 수직 높이 치수(H2)를 2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손잡이부(2a)의 수직 높이 치수(H2)가 20 ㎜ 미만인 경우에는, 실외기를 들어 올렸을 때에, 손가락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손가락이 수직 방향(45도 이상의 경사를 포함시켜)이 되지 않는 확립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손잡이부(2a)의 수직 높이 치수(H2)가 20 ㎜ 미만인 경우에는, 손가락 삽입 공간(3)측으로 절곡된 부분을 손가락 삽입 공간(3)측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하여, 손가락에 걸기 쉽게 하고 미끄러져 떨어지기 어렵게 함으로써,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예의 상면 부재(2)의 단부의 수직 방향 치수(H1)는 17 ㎜이고, 손잡이부(2a)의 수직 높이 치수(H2)는 16 ㎜이며, 판 두께 치수를 제외하면 거의 동일한 치수이다. 오목부(1b)의 수직 방향 높이 치수(H3)는 65 ㎜이다. 이 실시예의 오목부(1b)에 의한 측면판의 보강 효과에 의해, 종래의 0.8 ㎜의 판 두께 치수와 동일 정도의 상자체 강도로 하는 경우에는 0.6 ㎜의 판 두께 치수로 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오목부(1b)는 중량이 큰 압축기(8)가 설치된 측에 설치하고 있 다. 따라서, 오목부(1b)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의 깊이부의 폭 치수(W1)ㆍ오목부의 개구부의 폭 치수(W2)를 크게 소성 성형하여 상자체의 측면 강도를 크게 하였다. 실시예에서는, 오목부(1b)의 깊이부의 폭 치수(W1)는 65 ㎜, 개구부의 폭 치수(W2)를 85 ㎜로 하였다. 이에 의해, 엄지 손가락 이외의 4개의 손가락 끝을 무리없이 안쪽까지 삽입할 수 있다.
이 폭 치수(W1ㆍW2)를 크게 형성하고 있으므로, 상자체의 측면 강도를 크게 할 뿐만 아니라,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을 손가락 삽입 공간(3)에 충분히 안쪽까지 삽입하여 손잡이부(2a)를 확실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중량의 큰 압축기(8)측이라도 손잡이부(2a)를 손가락으로 확실히 보유 지지하여 들어 올릴 수 있으므로, 손가락은 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어 운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부(2a)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부분보다도 손바닥측 손가락의 관절에 큰 하중에 의해 수직 방향 하방으로 밀어 내리는 힘이 작용한다. 그러나, 도1과 같이 절곡된 관절은 손가락의 선단부가 대략 수직 방향 상방을 향해 절곡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직 방향 하방으로 밀어 내리는 힘(하중)에 대항하기 쉽고, 절곡된 관절은 절곡 각도가 커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압축기(8)는 상기 상자 본체(1)의 좌우 방향의 일단부측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1b)의 깊이 방향의 중심 위치가 송풍기 커버(5)측으로부터 실외기의 깊이 방향의 중심 위치 혹은 압축기(8)의 깊이 방향의 중심 위치보다도 먼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상기 오목부(1b)의 하단부와 상기 손잡이부(2a)의 하단부 사이는 15 ㎜ 이상이고 상자 본체(1)의 높이 치수의 절반 이내가 바람직하다. 이는, 상자체의 변형 방지의 효과를 얻게 되는 범위이며, 상자 본체(1)의 높이 치수의 절반 이상이 되면, 실외기를 경사진 상태에서 들어 올린 경우에 무게가 큰 압축기(8)의 하중에 의해 상자체가 변형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거의 없어지기 때문이다. 즉, 오목부(1b)의 하단부와 오목부 상단부면(1e)에서 경사 방향의 하중에 대한 강도, 혹은 비틀림 방향의 하중에 대한 강도를 높게 하고 있지만, 상자 본체(1)의 높이 치수의 절반 이상이 되면, 경사 방향 혹은 비틀림 방향의 하중에 대한 강도 향상의 효과가 작아지게 된다.
상면 부재(2)는 짧은 변측 단부(2b)에 일체로 형성한 운반용 손잡이부(2a)를 갖고, 상기 상자 본체(1)의 측면부는 상기 손잡이부(2a)에 대응한 위치에 상자체 내측으로 오목해진 오목부(1b)를 갖고, 이 오목부(1b)의 수직 방향 높이 치수(H3)가 상기 손잡이부(2a)의 수직 방향 치수(H2)보다도 15 ㎜ 이상 크게 또한 상자 본체(1)의 높이 치수의 절반 이하로 하였다.
상기 오목부(1b)의 수직 방향 높이 치수(H3)를 상기 손잡이부(2a)의 수직 방향 치수(H2)보다도 15 ㎜ 이상 크게 하였으므로, 오목부(1b)의 면과 상기 손잡이부(2a)의 내측면 사이에 손가락 끝을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첫 번째 관절이 수직 방향으로 삽입 가능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첫 번째 관절이 수직 방향으로 삽입됨으로써, 손가락 끝 선단부가 상면 부재(2)의 상면 이면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손가락 끝의 도중이 손잡이부(2a)의 하단부를 지지하게 되어, 이 하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것보다도 손바닥측의 손가락의 관절을 하방으로 밀어 내리는 방향의 하중, 즉 절곡된 관절의 절곡 각도를 크게 하는 방향의 큰 하중에 대해서도 이에 대항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큰 하중이라도 손가락 끝이 수평 방향에 가까운, 즉 수평 방향에 대해 45도 미만의 각도로 손잡이부(2a)를 지지하는 실외기에 비해 무리없이 운반할 수 있어, 예를 들어 고객의 집의 계단 등을 올라가 이층으로 운반하는 것도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손가락 끝이 수평 방향에 가까운 상태에서 지지해도 무리없이 운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손가락 끝을 수평 방향으로 크게 삽입할 수 있는 깊이 치수가 필요하다. 표준적인 중량 35 ㎏의 실외기의 경우의 예에서는, 최저라도 손가락 끝의 선단부로부터 첫 번째 관절을 넘어 삽입할 수 있는 깊이 치수가 필요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에서는, 최저라도 25 ㎜ 이상 필요하고,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이었다. 이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큰 깊이 치수로 하려고 하면, 상자체의 측면의 상단부 부분을 내측으로 오목해지도록 오목부(1b)를 소성 성형 가공에서 형성하는 것은 불가능해지고, 다른 부품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손잡이부(2a)의 수직 방향의 치수(H2)가 작기 때문에 손잡이부(2a)의 강도가 충분하지 않고, 손잡이부(2a)로부터 30 ㎜ 이상 떨어진 부분에 손가락 끝의 힘이 가해져 상면 부재(2)가 변형될 가능성이 있다. 이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판 두께를 크게 하거나, 혹은 손잡이부(2a)를 종래 문헌과 같이 부분적으로 외측으로 돌출시켜 강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부품비가 그만큼 높아지는 것은 물론, 상기한 종래 기술과 같은 문제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인, 실외기의 적층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를 확보하는 것도 곤란하다.
상기 상자체 내측으로 오목해진 오목부(1b)의 수직 방향 높이 치수(H3)를 상기 손잡이부(2a)의 수직 방향 치수(H2)보다도 15 ㎜ 이상 크게 함으로써, 깊이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손가락 끝을 삽입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손잡이를 돌출시킬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외형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골판 상자 등의 포장용 상자도 작게 할 수 있어 자원 절약으로 이어진다. 또한, 외형 치수가 작기 때문에, 운반 차량에의 적재 대수 및 보관 창고의 수용 대수를 많게 할 수 있다.
상기 오목부(1b)의 깊이 방향의 중심 위치가 송풍기 커버측으로부터 실외기의 깊이 방향의 중심 위치 혹은 압축기(8)의 깊이 방향의 중심 위치보다도 먼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작업자가 들어 올려 운반할 때에 무게 중심이 손잡이에 건 손과 송풍기 커버측에 접촉시킨 배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손에만 하중이 가해지는 일 없어 들기 쉽고, 또한 배에 접촉시키는 경우에 실외기가 경사져도 판 두께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강도가 확보되어 있으므로 실외기의 중량에 의한 상자체의 왜곡이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그 수직 방향 치수가 상기 상면 부재(2)의 단부(2b)의 수직 방향 치수(H1)와 동등한 수직 방향 치수(H2)인 것에 의해, 이 오목부의 면과 상기 손잡이의 내측면 사이에 손가락 끝을 수직 방향으로 삽입 가능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손잡이에의 손가락 끝의 걸림이 매우 양호하게 안정되어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그 수직 방향 치수가 상기 상면 부재(2)의 단부(2b)의 수직 방향 치수(H1)보다도 작고, 또한 1/2 이상의 수직 방향 치수(H4)인 것에 의해, 이 오목부의 면과 상기 손잡이의 내측면 사이에 손가락 끝을 수직 방향으로 삽입 가능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손잡이부에의 손가락 끝의 걸림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 오목부(1b)의 면과 상기 손잡이의 내측면 사이에 손가락 끝을 삽입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손잡이는 상면 부재(2)의 짧은 변측 단부(2b)의 일부에 형성되고, 또한 상면 부재(2)의 짧은 변측 단부(2b)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함으로써 외형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었다.
상기 상면 부재(2)의 단부(2b)에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부(2a)의 수직 방향의 치수(H2, H4)를 20 ㎜ 내지 40 ㎜의 범위로 하였다. 손잡이의 수직 방향의 치수(H1)가 20 ㎜ 내지 40 ㎜의 범위이므로, 손가락 끝이 손잡이를 충분히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O ㎜의 경우에는, 손가락 삽입 공간에 손가락 끝으로부터 첫 번째 관절 근방까지 삽입하여 손잡이를 확실히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40 ㎜의 경우에는, 손가락 삽입 공간에 손가락 끝으로부터 두 번째 관절 근방까지 삽입하여 손잡이에 큰 면적으로 접촉하여 확실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게다가 큰 면적으로 접촉하므로, 손가락에의 가중이 손가락의 접촉면에 널리 분산되어, 20 ㎜의 경우에 비해 하중 부담이 더 작아져 보다 확실히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상자체 내측에 오목해진 오목부(1b)의 수직 방향의 치수(H3)가 40 ㎜ 이상 내지 상기 상자체의 수직 높이 치수의 절반 이하로 하였다. 4O ㎜ 이상으로 함으로써, 손가락을 무리없는 형태로 구부려 손가락 삽입 공간에 대략 수직 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으므로, 손잡이를 무리없이 보유 지지하여 실외기를 들어 올릴 수 있다. 이에 의해, 실외기를 들어 올린 상태에서의 보행이나 계단의 승강이 용이해진다. 또한, 소형의 실외기이면, 혼자서 운반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제2 실시예]
도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손잡이 부분의 단면도, 도13은 제2 실시 형태의 실외기의 상면 부재(2')를 우측 경사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상면 부재(2')는 짧은 변측 단부(2b')에 일체로 형성한 운반용 손잡이부(2a')를 갖고, 상기 상자 본체(1)의 측면부는 상기 손잡이부(2a')에 대응한 위치에 상자체 내측으로 오목해진 오목부(1b)를 갖고, 이 오목부(1b)의 수직 방향 높이 치수(H3)가 상기 손잡이부(2a')의 수직 방향 치수(H4)보다도 15 ㎜ 이상 크게 또한 상자 본체(1)의 높이 치수의 절반 이하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면 부재(2')의 단부(2b')의 수직 방향 치수(H1)는 20 ㎜이고, 손잡이부(2a')의 수직 높이 치수(H4)는 11 ㎜이고, 수직 방향 치수(H1)의 절반 이상의 치수로 하였다. 상기 손잡이부(2a')의 수직 높이 치수(H4)를 11 ㎜로 할 수 있었던 것은,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2a') 선단부를 손가락 삽입 공간(3')측으로 절곡하여 손가락과의 걸림을 좋게 하고 있는 것과, 손가락 삽입 공간(3')의 깊이 치수를 15 ㎜ 전후로 하고, 상기 오목부(1b)의 수직 방향 높이 치수(H3)를 상기 손잡이부(2a')의 수 직 방향 치수(H4)보다도 15 ㎜ 이상 크게 형성하고, 이에 의해 손가락 끝이 손가락 삽입 공간(3')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했기 때문이다.
본 제2 실시예의 오목부(1b)의 수직 방향 높이 치수(H3)는 제1 실시예와 동일 치수인 65 ㎜이지만, 시험 제작품의 26 ㎜, 30 ㎜라도 충분히 지지하기 용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 소성 가공에 의해 오목해진 오목부(1b)에 의한 측면판의 보강 효과에 있어서는, 65 ㎜의 경우와 비교하면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고, 상면 부재(2')의 오목부(1b) 바로 위의 위치에 사람이 탄 경우에는, 측면판의 오목부(1b) 주위가 약간 왜곡되었다. 이것으로도 설치 작업시에 타는 것뿐이면 충분한 강도라 할 수 있지만, 적층하여 차량으로 운반하였을 때에, 만일 큰 충격이 가해지는 것도 상정하여 매우 큰 보강 효과를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4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의해, 오목부(1b)의 면과 상기 손잡이부(2a')의 내측면 사이에 손가락 끝을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첫 번째 관절이 수직 방향으로 삽입 가능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첫 번째 관절이 수직 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음으로써, 손가락 끝 선단부가 상면 부재(2')의 상면 이면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손가락 끝의 도중이 손잡이부(2a')의 하단부를 미끄러지기 어려운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큰 하중이라도 손가락 끝이 수평 방향에 가까운, 즉 수평 방향에 대해 45도 미만의 각도로 손잡이부(2a)를 지지하는 종래의 손잡이의 돌출되지 않은 실외기에 비해 무리없이 운반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고객의 집의 계단 등을 올라가 이층으로 운반하는 것도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자 본체의 측면부에 일체로 성형된 오목부는 그 상단부면이 상기 오목부에 인접하는 평탄 부분의 상단부면과 일체로 연속하여 상자체 내측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음으로써, 이 오목부 및 오목부가 설치된 측면부는 하중에 대한 강도를 크게 할 수 있고, 이 오목부와 상면 부재의 손잡이부 사이에 손가락 삽입용 공간을 형성하여 손잡이를 구성하였으므로, 운반용 손잡이는 상자체 상면판의 좌우로 거의 돌출되지 않고, 그 손잡이부의 형상과 상기 상자 본체의 측면부의 오목부 형상을 조합함으로써, 실외기의 외형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또한 상자체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실외기를 제공할 수 있는 첫 번째 과제에 대응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2에 따르면, 오목부의 상단부면이 이 오목부에 인접하는 평탄 부분의 상단부면과 일체로 연속하도록 오목하게 되어 있고, 이 오목부의 상단부면은 오목부의 수직 부분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함으로써, 실외기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 특히 수평 방향에 대한 하중, 경사 방향에 대한 하중에 대해 강도가 커져 상자체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따르면, 압축기가 상자 본체의 좌우 방향의 일단부측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하중이 큰 압축기측만을 청구항 1의 구성으로 한 경우에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상자 본체의 좌우 방향의 일단부측에 오목부를 마련한 경우에는, 상자 본체의 측면부의 좌우 어느 한 면과, 이 면에 인접하는 송풍기 커버가 설치된 측의 측면부, 열교환기측의 측면부, 상면 부재, 압축기를 적재하는 바닥면 부 재의 조합 강도의 상승 효과에 의한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실외기는, 복수대 적층하는 경우에는 압축기측 상에 다른 실외기의 압축기측을 포개지도록 적층하면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한 실외기는 배관 작업시에 실외기의 압축기측 상에 작업자가 타고 냉매 배관이나 전기 배선 등의 설치 작업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청구항 4에 따르면, 오목부의 폭 치수의 중심 위치가 실외기의 깊이 방향의 중심 위치보다도 송풍기 커버측으로부터 먼 위치 혹은 압축기의 깊이 방향의 중심 위치보다도 먼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작업자가 들어 올려 운반할 때에, 실외기의 무게 중심이 손잡이를 든 손과 송풍기 커버측에 접촉시킨 배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손에만 하중이 가해지지 않아 들기 쉽고, 또한 배에 접촉시키는 경우에 실외기가 경사져도 판 두께 치수를 크게 하는 일 없이 강도가 확보되어 있으므로 실외기의 중량에 의한 상자체의 왜곡이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따르면, 오목부의 하단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부 사이는 15 ㎜ 이상이고 상자 본체의 측면부의 높이 치수의 절반 이내인 것에 의해, 오목부에 의한 강도 향상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고, 실외기를 경사진 상태에서 들어 올린 경우라도 실외기의 중량에 의해 상자체에 비틀림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따르면, 운반용 손잡이를 상자체 상면판의 좌우로 거의 돌출시키지 않고 잡기 쉬운 실외기를 제공할 수 있는, 첫 번째 과제에 대응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오목부의 수직 방향 높이 치수(H3)가 상기 손잡이부의 수직 방향 치수(H2, H4)보다도 15 ㎜ 이상 크기 때문에, 오목부의 면과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면 사이에 손가락 끝을 수직 방향(적어도 첫 번째 관절이 수직 방향)으로 삽입 가능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첫 번째 관절이 수직 방향으로 삽입됨으로써, 손가락 끝 선단부가 상면 부재의 상면 이면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손가락 끝의 도중이 손잡이부의 하단부를 지지하게 되어, 이 하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것보다도 손바닥측의 손가락의 관절을 하방으로 밀어 내려 관절의 절곡 각도를 커지게 하는 큰 하중에 대해서도 이것에 대항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자체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부를 가지므로, 손가락 끝을 삽입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손잡이를 크게 돌출시킬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외형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고, 운반 차량에의 적재 대수 및 보관 창고의 수용 대수를 많게 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따르면, 오목부의 깊이 방향의 중심 위치가 송풍기 커버측으로부터 실외기의 깊이 방향의 중심 위치 혹은 압축기의 깊이 방향의 중심 위치보다도 먼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작업자가 들어 올려 운반할 때에, 무게 중심이 손잡이를 든 손과 송풍기 커버측에 접촉시킨 배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손에만 하중이 가해지지 않아 들기 쉽고, 또한 배에 접촉시키는 경우에 실외기가 경사져도 판 두께 치수를 크게 하는 일 없이 강도가 확보되어 있으므로 실외기의 중량에 의한 상자체의 왜곡이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따르면, 손잡이부의 수직 방향 치수가 상기 상면 부재의 단부의 수직 방향 치수(H1)와 동등한 수직 방향 치수(H2)인 것에 의해, 이 오목부의 면과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면 사이에 손가락 끝을 수직 방향으로 삽입 가능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손잡이에의 손가락 끝의 걸림이 매우 양호하게 안정되어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따르면, 손잡이의 수직 방향 치수가 상기 상면 부재의 단부의 수직 방향 치수(H1)보다도 작고, 또한 1/2 이상의 수직 방향 치수(H4)인 것에 의해 이 오목부의 면과 상기 손잡이의 내측면 사이에 손가락 끝을 수직 방향으로 삽입 가능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손잡이부에의 손가락 끝의 걸림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따르면, 손잡이를 상면 부재의 짧은 변측 단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하였으므로, 외형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따르면, 손잡이부의 수직 방향의 치수(H2)가 20 ㎜ 내지 40 ㎜이므로, 손가락 끝 선단부가 상면 부재의 상면 이면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손가락 끝의 도중이 손잡이부의 하단부를 지지하게 되어 손잡이를 충분히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 ㎜의 경우에는, 손가락 삽입 공간에 손가락 끝으로부터 첫 번째 관절 근방까지 삽입하여 손잡이를 확실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4O ㎜의 경우에는, 손가락 삽입 공간에 손가락 끝으로부터 두 번째 관절 근방까지 삽입하여 손잡이에 큰 면적으로 접촉하여 확실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게다가 큰 면적으로 접촉하므로, 손가락에의 가중이 손가락의 접촉면에 널리 분산되어, 20 ㎜의 경우에 비해 하중 부담이 더욱 작아져 보다 확실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따르면, 상자체 내측으로 오목해진 오목부의 수직 방향의 치 수(H3)가 40 ㎜ 이상 내지 상기 상자체의 수직 높이 치수의 절반 이하이므로, 손가락을 무리없는 형태로 구부려 손잡이를 보유 지지하여 실외기를 들어 올릴 수 있으므로, 들어 올린 상태에서의 보행이나 계단의 승강이 용이해진다. 또한, 소형의 실외기이면 혼자서 운반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Claims (12)

  1. 상자체의 내부에 압축기와 열교환기 및 송풍기를 구비하고, 이 상자체는 바닥면부와 측면부를 갖고 상면이 개방되는 상자 본체와, 이 상자 본체의 상면의 개구를 막도록 설치된 상면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상면 부재는 짧은 변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운반용 손잡이부를 갖고, 상기 상자 본체의 측면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대응한 위치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자체 내측으로 오목해진 오목부와, 이 오목부에 인접하는 평탄 부분을 갖고, 상기 오목부는 그 상단부면이 상기 오목부에 인접하는 평탄 부분의 상단부면과 일체로 연속하여 상자체 내측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고, 이 오목부의 상단부면에 상기 상면 부재가 적재되고, 이 오목부와 상기 상면 부재의 손잡이부 사이에는 손가락 삽입용 공간이 형성되어 손잡이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등의 실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상단부면이 이 오목부에 인접하는 평탄 부분의 상단부면과 일체로 연속하도록 오목하게 되어 있고, 이 오목부의 상단부면은 오목부의 수직 부분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등의 실외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상기 상자 본체의 좌우 방향의 일단부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등의 실외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가 마련된 위치는 오목부의 폭 치수의 중심 위치가 실외기의 깊이 방향의 중심 위치보다도 송풍기 커버측으로부터 먼 위치 혹은 압축기의 깊이 방향의 중심 위치보다도 송풍기 커버측으로부터 먼 위치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등의 실외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하단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부와의 사이는 15 ㎜ 이상이고 상자 본체의 측면부의 높이 치수의 절반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등의 실외기.
  6. 상자체의 내부에 압축기와 열교환기 및 송풍기를 구비하고, 이 상자체는 바닥면부와 측면부를 갖고 상면이 개방되는 상자 본체와, 이 상자 본체의 상면의 개구를 막도록 설치된 상면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상면 부재는 짧은 변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운반용 손잡이부를 갖고, 상기 상자 본체의 측면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대응한 위치에 상자체 내측으로 오목해진 오목부를 갖고, 이 오목부의 수직 방향 높이 치수(H3)가 상기 손잡이부의 수직 방향 치수(H2, H4)보다도 15 ㎜ 이상 크게 상자 본체의 측면부의 높이 치수의 절반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등의 실외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깊이 방향의 중심 위치가 송풍기 커버측으로 부터 실외기의 깊이 방향의 중심 위치 혹은 압축기의 깊이 방향의 중심 위치보다도 먼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등의 실외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그 수직 방향 치수가 상기 상면 부재의 단부의 수직 방향 치수(H1)와 동등한 수직 방향 치수(H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등의 실외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그 수직 방향 치수가 상기 상면 부재의 단부의 수직 방향 치수(H1)보다도 작고, 또한 1/2 이상의 수직 방향 치수(H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등의 실외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면 부재의 짧은 변측 단부의 일부에 형성되고, 또한 상면 부재의 짧은 변측 단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등의 실외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부재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의 수직 방향의 치수(H2, H4)가 20 ㎜ 내지 40 ㎜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등의 실외기.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체 내측으로 오목해진 오목부의 수직 방향의 치 수(H3)가 40 ㎜ 이상 내지 상기 상자체의 수직 높이 치수의 절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등의 실외기.
KR1020060095218A 2005-10-21 2006-09-29 공기 조화기 등의 실외기 KR1007533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06529A JP2007113861A (ja) 2005-10-21 2005-10-21 空気調和機等の室外機
JPJP-P-2005-00306529 2005-10-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606A KR20070043606A (ko) 2007-04-25
KR100753361B1 true KR100753361B1 (ko) 2007-08-30

Family

ID=38058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218A KR100753361B1 (ko) 2005-10-21 2006-09-29 공기 조화기 등의 실외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7113861A (ko)
KR (1) KR100753361B1 (ko)
CN (1) CN10046796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31207B2 (ja) * 2009-01-14 2013-01-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2012087996A (ja) * 2010-10-20 2012-05-10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5312433B2 (ja) * 2010-11-22 2013-10-09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
CN102252495A (zh) * 2011-06-28 2011-11-23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用于冰箱的抽屉及冰箱
JP5642053B2 (ja) * 2011-12-15 2014-12-17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5729294B2 (ja) * 2011-12-28 2015-06-0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CN103375855B (zh) * 2012-04-11 2015-07-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室外机
JP6135071B2 (ja) * 2012-08-24 2017-05-3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の室外機
JP5766171B2 (ja) * 2012-11-12 2015-08-19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JP6064626B2 (ja) * 2013-01-28 2017-01-25 新日鐵住金株式会社 段差付き冷間圧延板及び室外機器用前面板とその製造方法
JP6066863B2 (ja) 2013-08-06 2017-01-25 三菱電機株式会社 室外機及び空気調和装置
JP6663564B2 (ja) * 2016-03-23 2020-03-13 株式会社ノーリツ ヒートポンプユニットの外装構造
MY191955A (en) * 2016-07-25 2022-07-20 Daikin Res & Development Malaysia Sdn Bhd An air conditioner unit
JP6531795B2 (ja) * 2017-07-31 2019-06-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7050524B2 (ja) * 2018-02-23 2022-04-08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室外機、及び空気調和機
CN112400083B (zh) * 2018-07-19 2022-05-03 三菱电机株式会社 空调装置的室外机
CN109959146B (zh) * 2019-04-22 2024-06-21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的把手组件
JP7421303B2 (ja) * 2019-10-08 2024-01-24 株式会社コロナ 空気調和機の室外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259A (ko) * 2000-01-03 2001-07-23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724A (ja) * 1986-06-27 1988-01-13 井関農機株式会社 育苗マツトの製造装置
JPH07301434A (ja) * 1994-05-06 1995-11-14 Matsushita Seiko Co Ltd 空調機の室外機
JP4538925B2 (ja) * 2000-09-01 2010-09-08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2003120959A (ja) * 2001-10-10 2003-04-23 Hitachi Ltd 空気調和機
JP2004190878A (ja) * 2002-12-09 2004-07-08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空気調和機等の室外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259A (ko) * 2000-01-03 2001-07-23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52501A (zh) 2007-04-25
CN100467961C (zh) 2009-03-11
KR20070043606A (ko) 2007-04-25
JP2007113861A (ja) 200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3361B1 (ko) 공기 조화기 등의 실외기
JP6609329B2 (ja) 容器
US11306520B2 (en) Handle device
AU2008325729B2 (en) Cushioning device
US7892051B2 (en) Compressor terminal cover
US20180175601A1 (en) Floor box assembly with retainer
JP5131207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US20080005980A1 (en) Foldable sauna cabinet
TW201536145A (zh) 組合殼體及其適用之電源供應器
CN109564016B (zh) 空调单元
JP5939883B2 (ja) プロテクタ
TWM506802U (zh) 防護角套
JP6837500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4306571B2 (ja) 電子機器、カバー及びケース
CN212311991U (zh) 运输安全箱
WO2013118164A1 (ja) 携帯端末装置
JP5277016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US10857954B1 (en) Clip assemblies
JP5665698B2 (ja) 冷蔵庫
JP3840866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07185032A (ja) 電気接続箱
US7287664B2 (en) Storage box handle
JP7283337B2 (ja) 梱包体
KR102476769B1 (ko) 파손위험이 높은 제품의 패키징 구조
JP2023071219A (ja) 蓋体及び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