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2843B1 - 표시 부착 스위치 및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부착 스위치 및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2843B1
KR100752843B1 KR1020050126338A KR20050126338A KR100752843B1 KR 100752843 B1 KR100752843 B1 KR 100752843B1 KR 1020050126338 A KR1020050126338 A KR 1020050126338A KR 20050126338 A KR20050126338 A KR 20050126338A KR 100752843 B1 KR100752843 B1 KR 100752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witch
display
emitting sourc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6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0475A (ko
Inventor
마사미 하야푸네
히로히사 오쿠노
도시유키 다키
칙쾅 시아오
유쉥 첸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70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0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9/182Illumination of the symbols or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18Indication of switch 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56Diffuser; Uneven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Reflector

Landscapes

  • Tumbler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조작 핸들(60)의 후방 단부에 있어서, 조작 핸들(60)의 회전축에 대하여 상기 단부 측에 마련되어 있는 한쪽의 차광부(27)에 차광체(84)의 단부가 오버랩되어 위치 표시등(71)과 프리즘(90)의 집광부(92)와의 사이의 광로를 차광한다. 또한 전방으로 이동한 단부에 있어서, 조작 핸들(60)의 요동 회전축에 대하여 상기 단부 측에 마련되어 있는 다른 쪽의 차광부(27)에 차광체(84)의 단부가 오버랩하지 않고, 위치 표시등(71)과 프리즘(90)의 집광부(92)와의 사이의 광로를 차광하지 않는다. 따라서, 다음에 조작되는 측의 조작 핸들(60)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표시부(91)의 표시면 만으로부터 위치 표시등(71)의 빛이 출사되기 때문에, 조작 핸들(60)의 표시 위치와 조작 방향을 완전히 일치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부착 스위치 및 스위치 장치 {SWITCH WITH DISPLAY AND SWITCH DEVICE}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를 나타내고, 도 2a는 정면도, 도 2b는 좌측면도, 도 2c는 우측면도, 도 2d는 하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의 스위치 본체를 나타내고, 도 4a는 정면도, 도 4b는 하면도, 도 4c는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의 스위치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e은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의 램프 커버를 나타내고, 도 6a는 정면도, 도 6b는 하면도, 도 6c는 배면도, 도 6d는 오른쪽 단면도, 도 6e는 아래쪽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f는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의 조작 핸들을 나타내고, 도 7a는 정면도, 도 7b는 상면도, 도 7c는 좌측면도, 도 7d는 아래쪽 단면도, 도 7e는 우측면도, 도 7f는 배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f는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의 프리즘을 나타내 고, 도 8a는 정면도, 도 8b는 도 8a에 있어서의 X-X선 단면 사시도, 도 8c는 도 8a에 있어서의 Y-Y선 단면 사시도, 도 8d는 배면도, 도 8e는 하면도, 도 8f는 도 8a에 있어서의 Z-Z선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은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를 플레이트에 2개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a는 정면도, 도 10b는 우측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은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를 플레이트에 1개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a는 정면도, 도 11b는 우측면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2의 단면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d은 실시예 2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의 램프 커버를 나타내고, 도 13a는 정면도, 도 13b는 하면도, 도 13c는 우측면도, 도 13d는 배면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2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의 차광체의 사시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실시예 2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의 차광체를 나타내고, 도 15a는 정면도, 도 15b는 우측면도, 도 15c는 하면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2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의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실시예 2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의 반전 핸들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실시예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실시예 3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실시예 3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의 핸들 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실시예 3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의 핸들 블록의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2는 종래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스위치 본체 2 핸들 블록
27 차광부 30A, 30B, 30C 단자 장치
40 접점 장치 41a, 41b 고정 접점
42a, 42b 가동 접점 43 개폐 소자
50 반전 핸들 60 조작 핸들
70 회로 기판 71 위치 표시등
80 램프 커버 84 차광체
90 프리즘 91 표시부
92 집광부 93 연결부
본 발명은 조작 부분의 위치를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 표시 부착 스위치 및 표시 부착 스위치와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기 회로의 전압으로 점등하는 것에 의해 조작 부분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스위치(표시 부착 스위치)가 제공되어 있다. 도 22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표시 부착 스위치(200)의 정면도이다. 이 표시 부착 스위치(200)는 접점 장치 및 발광원(예컨대, 네온 램프)이 수납된 기기(201)와, 기기(201)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형태로 장착되어 접점 장치를 개폐하는 반전 핸들과, 반전 핸들의 전면을 덮어 반전 핸들에 결합되는 평면에서 보아 사각 형상의 조작 핸들(202)을 구비하고, 조작 핸들(202)을 상반되는 두 방향으로 조작하여 반전 핸들을 거쳐 접점 장치를 개폐하는 스위치(텀블러 스위치)로서, 조작 핸들(202)을 기기(201) 전면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조작성을 향상시킨 스위치(이러한 종류의 스위치는 일반적으로「와이드 핸들 형태 스위치」라고 불린다.)로서 구성되어 있다. 조작 핸들(202) 전면에 있어서의 좌우 양단부의 한쪽(도시된 예에서는 우측 단부)에는 발광원이 발하는 빛을 전방으로 조사함으로써 조작 핸들(202)의 조작 부위를 표시하는 표시부(203)가 마련되고 있고, 전원으로부터 부하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을 때에 기기(201)에 수납되어 있는 발광원이 발광하고 표시부(203)에 의한 표시가 이루어진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03-151402호
그런데, 상기 종래의 예에 있어서 접점 장치가 단극단투(SPST: single pole single throw)혹은 2극단투(DPST : double pole single throw)의 접점 구성을 가지는 단극 스위치 또는 2극 스위치로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부하의 동작 상태와 조 작 핸들(202)의 조작 상태가 하나의 동작으로 결정되므로 표시부(203)에 의한 표시가 있는 측에서 조작 핸들(202)의 단부를 누르면 부하의 동작 상태를 전환할 수 있어 표시부(203)에 의한 표시와 조작 핸들(202)의 조작 방향을 항상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접점 장치가 쌍투형(double throw)(단극 쌍투형 혹은 2극 쌍투형) 접점 구성을 가지는 3로 스위치 또는 4로 스위치로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부하의 동작 상태와 조작 핸들(202)의 조작 상태가 하나의 동작에 의해서 결정되지 않으므로 표시부(203)에 의한 표시와 조작 핸들(202)의 조작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특히, 와이드 핸들 형태 스위치의 경우, 조작 핸들(202)이 대형화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부(203)가 설치되어 있는 측의 단부와 표시부(203)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측의 단부의 거리도 커지고, 따라서, 표시부(203)에 의한 표시와 조작 핸들(202)의 조작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것에 의해 조작성을 잃기 쉽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그 목적은 형 접점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조작 핸들의 표시 위치와 조작 방향을 일치시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 부착 스위치 및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쌍투형 접점 장치가 기기에 수납된 스위치 본체와, 스위치 본체에 마련되어 접점 장치의 전환 접점 사이에 발생하는 전압으로 발광하는 발광원과, 적어도 짧은 폭 방향의 치수가 스위치 본체의 전면과 대략 동일하거 나 혹은 대형이고 대략 중앙을 지점으로 스위치 본체의 전면 측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 조작 핸들과, 조작 핸들의 요동하는 양단부에 마련되어 발광원의 빛을 표시면을 통해서 외부로 출사하는 2개의 표시부 및 스위치 본체와 조작 핸들 사이에서 발광원의 빛을 2개의 표시부의 표시면으로 각각 안내하는 집광부를 가지는 프리즘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으로부터 부하로의 전력 공급이 정지하고 있을 때에 발광원이 발광하고 그 빛은 집광부로 안내되어 2개의 표시부의 표시면으로부터 외부로 조사되므로, 조작 핸들의 요동하는 양단부에 마련된 2개의 표시부에서 동시에 표시가 이루어지게 되어, 쌍투형 접점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조작 핸들의 표시 위치와 조작 방향을 일치시킴으로써 조작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표시부의 길이가 조작 핸들의 회전축 단부와 대략 동일 치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부가 눈으로 확인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표시부가 빛을 확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빛의 출사 범위가 넓어져 표시부가 눈으로 확인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는 광택을 가진 금속제로 차광체 및 발광원의 주위를 둘러싸고 발광원을 보호하는 보호부가 마련된 램프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램프 커버가 광택을 가진 금속제이기 때문에 발광원의 빛 을 차광체나 보호부의 내면에서 반사하여 효율적으로 집광부로 모을 수 있어 표시부의 밝기가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는 절연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지고, 차광체 및 발광원의 주위를 둘러싸 발광원을 보호하는 보호부가 마련된 램프 커버와, 발광원과 대향하는 차광체 및 보호부의 내면에 부착되어 발광원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 시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사 시트에 의해 발광원의 빛을 반사하여 효율적으로 집광부로 모을 수 있어 표시부의 밝기가 향상된다. 더구나, 램프 커버를 금속제로 한 경우에는 발광원과의 사이를 절연할 필요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절연이 불필요하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는 절연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져 차광체 및 발광원의 주위를 둘러싸고 발광원을 보호하는 보호부가 마련된 램프 커버와, 발광원과 대향하는 차광체 및 보호부의 내면에 반사율이 높은 코팅 재료를 코팅하여 형성되는 반사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사층에 의해 발광원의 빛을 반사하여 효율적으로 집광부에 모을 수 있고 표시부의 밝기가 향상된다. 더구나, 램프 커버를 금속제로 한 경우에는 발광원과의 사이를 절연할 필요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절연이 불필요하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는 쌍투형 접점 장치가 기기에 수납된 스위치 본체와, 스위치 본체에 마련되어 접점 장치의 전환 접점 사이에 발생하는 전압으로 발광하 는 발광원과, 적어도 짧은 폭 방향의 치수가 스위치 본체의 전면과 대략 동일하거나 혹은 대형이고, 대략 중앙을 지점으로 하여 스위치 본체의 전면 측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 조작 핸들과, 조작 핸들이 요동하는 한쪽 단부에 마련되어 발광원의 빛을 표시면을 통해서 외부로 출사하는 제 1 표시부 및 스위치 본체와 조작 핸들 사이에서 발광원의 빛을 제 1 표시부의 표시면으로 안내하는 제 1 집광부를 가지는 제 1 프리즘과, 조작 핸들이 요동하는 다른 쪽 단부에 마련되어 발광원의 빛을 표시면을 통해서 외부로 출사하는 제 2 표시부 및 스위치 본체와 조작 핸들의 사이에서 발광원의 빛을 제 2 표시부의 표시면으로 안내하는 제 2 집광부를 가지는 제 2 프리즘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으로부터 부하로의 전력 공급이 정지하고 있을 때에 발광원이 발광하고 그 빛은 제 1 및 제 2 집광부에 안내되어 제 1 및 제 2 표시부의 표시면으로부터 각각 외부로 출사되므로, 조작 핸들이 요동하는 양단부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표시부에서 동시에 표시가 이루어지게 되어, 전환형 접점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조작 핸들의 표시 위치와 조작 방향을 일치시켜 조작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의 제 8 양태는 기기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조작 핸들의 조작에 따라 접점 장치를 전환하는 반전 핸들과, 발광원과 제 1 프리즘의 제 1 집광부 및 제 2 프리즘의 제 2 집광부 사이의 광로 상에 있어서 조작 핸들의 요동 지점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된 2개의 차광부와, 반전 핸들과 일체로 요동하여 2개의 차광부에 대하여 스위치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대향 배치됨과 동시에 조작 핸들의 조작 위치에 따라 어느 한쪽의 차광부와 택일적으로 접촉 또는 오버랩되어 발광원과 제 1 프리즘의 제 1 집광부 및 제 2 프리즘의 제 2 집광부 사이의 광로를 차광하는 차광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핸들의 양단부가 조작에 따라 전방으로부터 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각각 이동하고, 후방으로 이동한 단부에 있어서 조작 핸들의 요동 지점에 대하여 해당 단부 측에 마련되어 있는 한쪽의 차광부에 차광체가 접촉 또는 오버랩되어 발광원과 프리즘의 집광부(혹은 제 1 및 제 2 집광부의 한쪽) 사이의 광로를 차광하고, 전방으로 이동한 단부에 있어서는 조작 핸들의 요동 지점에 대하여 해당 단부 측에 마련되어 있는 다른 쪽 차광부에 차광체가 접촉 또는 오버랩되지 않고 발광원과 프리즘의 집광부(혹은 제 1 및 제 2 집광부의 다른 쪽)의 사이의 광로를 차광하지 않으므로, 2개의 표시부 중에 전방으로 이동한 단부, 즉, 다음에 조작되는 측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표시부의 표시면 만으로부터 발광원의 빛이 조사되어, 조작 핸들의 표시 위치와 조작 방향을 완전히 일치시켜 조작성이 한층 향상한다.
본 발명의 제 9 양태는 제 1 및 제 2 프리즘에는 전면 측에 조작 핸들을 부착하는 부착부가 마련됨과 동시에 배면 측에 반전 핸들과 결합하는 결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프리즘에 조작 핸들을 부착한 후에 제 1 및 제 2 프리즘을 반전 핸들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조립 작업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제 10 양태는 스위치 본체가 시공면의 표면 측에 고정되는 플레이 트 테두리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부착 수단을 구비하고 플레이트 테두리에 부착된 상태로 시공면에 마련된 매입 구멍에 후단부를 매입하는 형태로 매설되고, 또한 플레이트 테두리에 대하여 짧은 폭 방향으로 최대 3개 나란히 부착할 수 있는 치수로 형성되어 있고, 조작 핸들은 플레이트 테두리에 대한 스위치 본체의 나열 방향에 있어서 스위치 본체의 짧은 폭 방향의 폭 치수보다도 큰 치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핸들의 조작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의 제 11 양태는 반전 핸들의 전면 측에 발광원이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차광체는 발광원을 전방으로부터 덮는 우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광원을 제 1 및 제 2 프리즘의 근방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발광원의 빛을 효율적으로 집광부로 모을 수 있고 제 1 및 제 2 표시부의 밝기가 향상한다.
본 발명의 제 12 양태는 차광체가 반전 핸들의 요동 방향에 따라 회전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광체가 반전 핸들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차광체와 차광부가 오버랩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양자 사이의 간극(광로)이 커지기 때문에 표시부의 밝기가 증대될 수 있고, 또한, 차광체와 차광부의 오버랩 양이 커지기 때문에 표시부로 빛이 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3 양태는 스위치 본체를 장착 및 분리 자재로 부착하는 부착 수단을 가지고 시공면에 마련된 매입 구멍에 스위치 본체의 후단부를 매입하는 형태로 시공면의 표면 측에 고정되는 플레이트 테두리와, 조작 핸들을 노출시킨 상태로 플레이트 테두리의 전면을 덮는 덮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스위치 본체는 플레이트 테두리에 대하여 짧은 폭 방향으로 최대 3개 나란히 부착할 수 있는 치수로 형성되고, 조작 핸들은 플레이트 테두리에 대한 스위치 본체의 나열 방향에 있어서 스위치 본체의 짧은 폭 방향의 폭 치수보다도 큰 치수로 형성되고, 조작 핸들 또는 제 1 및 제 2 프리즘은 반전 핸들과 택일적으로 결합하는 3개의 결합부가 스위치 본체의 짧은 폭 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설치되고, 3개의 결합부 중에 반전 핸들에 결합하고 있지 않은 결합부와 대향하는 플레이트 테두리 표면의 부위에 해당 결합부를 받아주는 받아주기 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레이트 테두리에 대한 스위치 본체의 장치 위치에 관계없이 공통의 조작 핸들을 이용할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의 제 14 양태는 플레이트 테두리와의 사이에서 고정 수단을 끼워두는 금속 부품이 마련되고, 금속 부품을 부착하기 위해서 플레이트 테두리에 마련된 구멍을 상기 받아주기 수단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끼움 금속 부품용 구멍을 받아주기 수단에 겸용함으로써 플레이트 테두리의 제조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와이드 핸들 형태 스위치이며 또한 접점 장치가 단극 쌍투형 접점 구성을 가지는 3로 스위치(텀블러 스위치)에 적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및 도 8a 내지 도 8f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표시 부착 스위치는 스위치 본체(1)와 핸들 블록(2)으로 구성되어 시공면에 마련되는 매입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스위치 본체(1)의 후단부를 매입하는 형태로 플레이트(100)에 의해 매설된다. 또, 표시 부착 스위치와 플레이트(100)로 본 실시예의 스위치 장치가 구성된다.
플레이트(100)는 스위치 본체(1)를 포함하고 매입 구멍의 내부에 배치되는 매입 박스(도시하지 않음)에 부착되는 플레이트 테두리(101)와, 전방으로부터 플레이트 테두리(101)를 덮는 덮개 플레이트(110)로 구성된다. 플레이트 테두리(101)는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사각형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의 개구(103)에 전단부를 삽입하는 형태로 스위치 본체(1)를 유지한다. 또한 덮개 플레이트(110)는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사각형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의 개구(111)를 통해서 스위치 본체(1)의 전면을 노출하고 있다(도 2a 내지 도 2d 참조). 덮개 플레이트(110)의 배면에는 4개의 걸림편(도시하지 않음)이 후방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들 4개의 걸림편을 플레이트 테두리(101)의 네 구석에 마련된 걸림 구멍 (104)에 연결함으로써 플레이트 테두리(101)의 전면에 덮개 플레이트(110)가 장착 및 분리 자재로 부착된다. 또한, 플레이트 테두리(101)의 개구(103)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길이 방향 양단 중앙부에는 매입 박스에 부착하기 위한 박스 나사를 삽입 통과하는 나사 삽입 통과 구멍(105)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나사 삽입 통과 구멍(105)의 양측에 금속 부품(도시하지 않음)이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한 쌍의 구멍(106)이 각각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금속 부품은 종래 알려진 바와 같이, 일부가 구멍(106)에 걸린 상태로 나사 삽입 통과 구멍(105)에 삽입 통과된 나사가 결합되는데 이때, 플레이트 테두리(101)와의 사이에 고정 수단을 끼우고 나사를 조임으로써 플레이트 테두리(101)를 고정 수단에 고정하는 것이다.
스위치 본체(1)는 전면(도 1에 있어서의 상면)이 열린 직육면체 형상의 합성 수지 성형물의 보디(10)와, 사각형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보디(10)의 전면 측에 결합되는 합성 수지 성형물의 커버(20)에 의해 구성되는 기기를 구비한다. 보디(10)의 길이 방향에 따른 양 외측면에는 보디(10)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각 한 쌍의 조립 돌기(11)가 돌출 설치되고, 커버(20)의 후단 가장자리로부터는 조립 편(21)이 후방(도 1에 있어서의 하방)으로 연장 설치되어, 조립 편(21)에 마련한 조립 구멍(21a)에 조립 돌기(11)를 걸어 맞추는 것에 의해 보디(10)와 커버(20)가 결합된다.
보디(10)에는 보디(10)의 뒷벽에 마련한 전선 삽입 구멍(12)을 통해서 기기에 삽입되는 전선(도시하지 않음)을 접속하는 3개의 단자 장치(30A, 30B, 30C)와, 단자 장치(30A)와 단자 장치(30B, 30C)의 사이의 전기 회로를 개폐하는 접점 장치(40)가 수납된다(도 3참조). 한편, 커버(20)의 중앙부의 개구(22)에는 합성 수지 성형물의 반전 핸들(50)이 커버(20)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형태로 장착되어, 이 반전 핸들(50)의 요동에 따라 접점 장치(40)가 개폐된다. 반전 핸들(50)의 전면 측에는 커버(20)의 전면에 중복하는 합성 수지 성형물의 조작 핸들(60)(핸들 블록(2))이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조작 핸들(60)을 조작부로 하여 요동시키는 것에 의해 반전 핸들(50)이 요동하여 접점 장치(40)가 개폐되도록 하고 있다.
보디(10)의 내측면에는 단자 장치(30A, 30B, 30C) 및 접점 장치(40)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유지 리브(13) 및 유지 홈(14)이 각각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단자 장치(30A)는 보디(10)의 길이 방향의 한쪽 단부 내에 배치되고, 단자 장치(30B, 30C)는 보디(10)의 길이 방향의 다른 쪽 단부 내에 배치되고, 접점 장치(40)는 보디(10)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 내에 배치된다.
단자 장치(30A)는 도전성 금속판으로 형성된 단자판(32)과, 2개의 잠금 용수철(33)과 2개의 잠금 용수철(33)에 맞닿은 합성 수지 성형물의 해제 버튼(34)을 구비한다. 단자판(32)은 주편(32a) 및 주편(32a)에 대향하는 연직편(32b)의 전단 둘레를 연결편(32c)으로 연속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대략 한쪽이 개방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편(32c)이 보디(10)의 개구면에 따라 보디(10) 내에 수납된다. 또한 잠금 용수철(33)은 주편(32a)과 연직편(32b)의 사이에 수납된다. 단자판(32)에는 연직편(32b)의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보디(10)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를 향하여 보디 (10)의 안쪽 바닥면에 따라 지지편(32d)이 연장 설치되고, 지지편(32d)의 선단부에는 역 V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전방으로 돌출하는 지점 돌기부(32e)가 형성되어 있다(도 3참조).
단자 장치(30B, 30C)는 각각 단자판(45, 46)을 구비하고 각 단자판(45, 46)에는 기기에 마련한 전선 삽입 구멍(12)을 통해서 기기에 도입된 전선이 접촉하는 주편(45a, 46a)과, 각각 보디(10)에 마련한 유지 리브(13)에 맞닿은 연직편(45b, 46b)과, 주편(45a, 46a)과 연직편(45b, 46b)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편(45c, 46c)과, 연결편(45c, 46c)에서 연속 일체로 연장되어 선단부에 각각 고정 접점(41a, 41b)을 마련한 접점 유지편(45d, 46d)이 마련된다. 양 단자 장치(30B, 30C)의 접점 유지편(45d, 46d)의 선단부가 기기의 중앙부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고정 접점(41a, 41b) 끼리 기기의 중앙부에서 서로 대향한다.
단자 장치(30B, 30C)는 보디(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같은 측(도 3에 있어서의 좌측)에 배치되고, 각 단자판(45, 46)의 주편(45a, 46a)과 연직편(45b, 46b)의 사이에는 각각 1 개씩의 잠금 용수철(33)이 수납된다. 또한, 양 단자판(45, 46)의 잠금 용수철(33) 사이에 하나의 해제 버튼(34)이 배치된다.
잠금 용수철(33)은 띠 형상의 판 용수철의 한쪽 단부가 S자 형상으로 접촉편(33a)을 형성하고 다른 쪽 단부가 J자 형상으로 잠금편(33b)을 형성하여, 접촉편(33a)과 잠금편(33b) 사이를 접속편(33c)에 의해 연속하여 일체로 연결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접촉편(33a) 및 잠금편(33b)은 접속편(33c)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한다. 잠금 용수철(33)을 단자판(32, 45, 46)의 주편(32a, 45a, 46a)과 연직편(32b, 45b, 46b)의 사이에 장착할 때는, 접속편(33c)을 연직편(32b, 45b, 46b)에 맞닿는 형태로 접촉편(33a) 및 잠금편(33b)을 주편(32a, 45a, 46a)에 대향시킨다. 여기에, 접촉편(33a) 및 잠금편(33b)의 선단부는 선단 측으로 갈수록 접속편(33c)으로부터 멀어짐과 동시에, 또한 서로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접촉편(33a) 및 잠금편(33b)의 선단부는 선단 측으로 갈수록 연결편(32c, 45c, 46c)과 거리를 작게 하도록 상향으로 기울어져 배치된다.
상술한 전선 삽입 구멍(12)은 단자판(32, 45, 46)의 주편(32a, 45a, 46a)과 접촉편(33a) 및 잠금편(33b)의 사이에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된다. 따라서, 전선 삽입 구멍(12)을 통해서 스위치 본체(1)의 기기 내에 전선을 삽입하면 전선의 선단부가 주편(32a, 45a, 46a)과 접촉편(33a) 및 잠금편(33b)의 사이에 끼워져, 전선이 주편(32a, 45a, 46a)에 접촉하고, 단자 장치(30A, 30B, 30C)와 전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잠금편(33b)의 선단 둘레가 전선을 누르는 것에 의해 전선이 기기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기계적으로 유지된다. 또, 보디(10)의 뒷벽에는 해제 버튼(34)에 대응하는 부위에 조작 구멍(15)이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단자 장치(30A, 30B, 30C)에 전선을 접속한 상태로 조작 구멍(15)에 공구를 삽입하여 해제 버튼(34)을 누르면, 해제 버튼(34)에 마련한 누름 편(도시하지 않음)이 잠금편(33b)을 눌러 전선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휘게 함으로써, 전선의 기계적 유지가 해제되어 전선을 기기로부터 뽑을 수 있게 된다.
접점 장치(40)는 전방이 개방된 직사각형 또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점 돌기부(32e)의 선단에 후단부가 맞닿도록 배치된 개폐 소자(43)를 구비하고 있다. 개폐 소자(43)는 양다리편 선단 부근에 각각 가동 접점(42a, 42b)이 외부를 향하여 마련되고, 지점 돌기부(32e)의 선단 부근을 요동 지점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각 고정 접점(41a, 41b)에 각 가동 접점(42a, 42b)이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하고 있다. 즉, 고정 접점(41a)에 가동 접점(42a)이 접촉하고 있는 동안에는, 가동 접점(42b)은 고정 접점(41b)으로부터 떨어지고, 고정 접점(41b)에 가동 접점(42b)이 접촉하고 있는 동안에는 가동 접점(42a)은 고정 접점(41a)으로부터 떨어진다. 개폐 소자(43)의 양다리편 사이에는 코일 용수철로 이루어지는 반전 용수철(44)의 한쪽 단부가 삽입되고, 반전 용수철(44)의 다른 쪽 단부가 반전 핸들(50)의 배면 측에 마련한 통부(54)의 유지 구멍(54a)에 삽입됨으로써 개폐 소자(43)와 반전 핸들(50)의 사이에 반전 용수철(44)이 압축 상태로 유지된다.
반전 핸들(50)은 전체가 사각형 상자 형태의 합성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져, 길이 방향에 따른 양측면에는 전단부가 좁아지는 형상의 지점 돌기(51)가 각각 옆쪽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커버(20)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이며 폭 방향(짧은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는 개구(22)의 주변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축받이 돌기편(23)이 돌출 설치되어, 양 축받이 돌기편(23)의 대향면에는 반전 핸들(50)의 지점 돌기(51)가 삽입되는 축받이 오목 부분(24)이 형성된다(도 1). 축받이 오목 부분(24)은 적어도 전단부에 있어서 지점 돌기(51)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반전 핸들(50)의 전면에는 후술하는 위치 표시등(71)을 설치한 회로 기판(70)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오목 부분(52)이 마련되고, 또한 반전 핸들(50)의 길이 방향의 양단면에는 핸들 블록(2)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 고리(53)가 각각 돌출 설치된다.
또, 커버(20)의 길이 방향의 대향하는 양측면에 각 한 쌍의 부착 고리(26)가 돌출 설치된다. 부착 고리(26)는 플레이트 테두리(101)에 마련한 장치 구멍(102)에 걸어 맞추는 것에 의해 스위치 본체(1)를 플레이트 테두리(101)에 유지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단, 커버(20)의 한쪽 측면에 있어서는 한 쌍의 홈(20a)에 의해 장치 고리(26)가 돌출 설치된 부위를 탄성적으로 휠 수 있게 하고 있고(도 4a), 이 부위를 휘게 함으로써 부착 고리(26)와 부착 구멍(102)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여 스위치 본체(1)를 플레이트 테두리(101)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반전 핸들(50) 전면의 수납 오목 부분(52)에 수납되는 회로 기판(70)은 중앙에 원형의 압입 구멍(70a)이 관통한 사각의 평판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전류를 제한하는 저항 소자(72)가 각각 설치되어, 네온 램프로 이루어지는 위치 표시등(71)이 전방으로부터 압입 구멍(70a)과 대향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회로 기판(70)에는 도전 패턴이 인쇄되어 있고, 도전 패턴을 거쳐서 직렬 접속된 위치 표시등(71) 및 저항 소자(72)가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접촉자(47)에 의해 단자 장치(30B, 30C)의 단자판(45, 46) 사이에 접속된다. 접촉자(47)는 폭이 좁은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한쪽 단부가 회로 기판(70)의 도전 패턴에 납땜됨과 동시에 회로 기판(70)에 마련한 고정 홈(70b)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수납 오목 부분(52)의 저면 중앙에는 전방을 향하여 통부(54)가 돌출하고 있고, 이 통부(54)를 압입 구멍(70a)에 압입함으로써 수납 오목 부분(52) 내에 회로 기판(70)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통부(54)의 선단에는 원통형의 위치 표시등(71)을 지지하는 지지 오목부(54b)가 형성되어 지지 오목부(54b)에 지지됨으로써 반전 핸들(50)에 대하여 위치 표시등(71)이 위치 결정된다. 또한, 수납 오목 부분(52) 저면에는 회로 기판(70)에 한쪽 단부가 고정된 접촉자(47)를 삽입 통과하는 삽입 통과 구멍(55)이 마련되어 있고, 이 삽입 통과 구멍(55)에 삽입 통과한 접촉자(47)의 선단부가 단자판(45, 46)의 연결편(45c, 46c)에 전방으로부터 탄력 접촉하게 되어 있다(도 5b 참조). 이러한 종류의 3로 스위치는 조명 부하를 2개의 장소에서 점등·소등하는 것과 같은 용도로 이용되는 것이 많고, 각 개소에 각각 3로 스위치를 배치하여 조명 부하의 점등·소등을 어느 쪽의 개소에 있어서도 조작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양 고정 접점(41a, 41b)의 사이에 위치 표시등(71)과 저항 소자(72)의 직렬 회로를 삽입해 놓으면, 조명 부하의 소등 시에만 위치 표시등(71)을 점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회로의 접속 관계는 이미 알려져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그런데, 반전 핸들(50)의 수납 오목 부분(52)은 합성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지는 램프 커버(80)에 의해서 전방으로부터 덮는다. 이 램프 커버(80)는 도 6a 내지 도 6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이 개방된 사각형 상자형상의 주부(81)와, 주부(81)의 양단부보다 전방으로 돌출하여 내부에 저항 소자(72)를 수납할 수 있는 한 쌍의 돌기부(82)와, 각진 통 형상으로 주부(81)의 중앙부보다 전방으로 돌출하여 내부에 위치 표시등(71)이 수납되는 보호부(83)와, 단면 형상이 위치 표시등(71)의 관벽에 따른 곡면으로 보호부(83)의 전단에 마련되는 차광체(84)를 구비하여, 주부(81)의 길이 방향 양측면에 돌출 설치된 걸림 고리(85)를 반전 핸들(50)의 양측면에 마련된 걸림부(56)에 연결함으로써 반전 핸들(50)에 고정된다(도 5b 참조). 또한, 양 돌기부(82)와 대향하는 보호부(83)의 측면에는 사각형의 투광 창(86)이 각각 열려 있어, 보호부(83) 내에 수납된 위치 표시등(71)이 발하는 빛이 투광 창(86)을 통해서 외부에 조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투광 창(86)의 전단 둘레(차광체(84)의 끝둘레)로부터는 외부를 향해 돌출하는 덮개편(87)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커버(20)에 마련된 한 쌍의 축받이 돌기편(23)에는 램프 커버(80)의 보호부(83)의 양측면에 열린 투광 창(86)에 대향하는 형태로 띠판 형상의 한 쌍의 차광부(2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한 쌍의 차광부(27)의 사이에 보호부(83)의 차광체(84)를 포함하는 전단부가 삽입 통과된 상태로 반전 핸들(50)이 커버(20)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핸들 블록(2)은 스위치 본체(1)의 전면보다도 대형의 사각형으로 형성된 조작 핸들(60)과, 조작 핸들(60)의 배면 측에 결합되는 프리즘(90)으로 구성된다. 조작 핸들(60)은 전면이 전방으로 볼록한 부드러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주부(61)와, 주부(61)의 길이 방향에 따른 양측 둘레보다 후방으로 수직 하강된 한 쌍의 측벽(62)과, 주부(61)의 네 구석보다 후방으로 돌출 설치된 4개의 결합 다리(63)를 구비한다. 주부(61) 전면의 길이 방향에 따른 양단부 중앙에는 조작 핸들(60)의 조작 위치를 나타내는 원통형의 돌기(61a)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도 8a 내지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즘(90)은 투명 합성 수지의 성형물로서, 조작 핸들(60)의 길이 방향에 대향하는 양측면을 막듯이 배치되어 위치 표 시등(71)의 빛을 표시면을 통해서 외부로 출사하는 2개의 표시부(91)와, 한쪽 단부 측에서 표시부(91)와 연결되고 다른 쪽 단부 측에 위치 표시등(71)의 빛을 입사하는 입사면(92a)을 가진 2개의 집광부(92)와, 2개의 집광부(92)의 입사면(92a) 끼리를 연결하는 활 형상의 연결부(93)와, 반전 핸들(50)에 마련한 결합 고리(53)에 걸어 맞추는 걸어 맞춤 고리(94a)가 선단에 마련되어 각 집광부(92)보다 후방으로 돌출 설치되는 합계 6개의 걸어 맞춤 돌기편(94)과, 표시부(91)의 내측면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마련되어 조작 핸들(60)의 결합 다리(63)의 선단에 돌출 설치된 고리(63a)가 걸리는 걸림편(95)을 구비한다. 그리고, 집광부(92) 및 연결부(93)를 전방으로부터 덮듯이 2개의 표시부(91) 사이에 조작 핸들(60)이 배치되어, 조작 핸들(60)의 4개의 결합 다리(63)의 선단에 돌출 설치된 고리(63a)가 각 표시부(91)의 양단의 걸림편(95)에 걸어 맞춤으로써 조작 핸들(60)의 배면 측에 프리즘(90)이 결합되어 핸들 블록(2)이 구성된다.
상술 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핸들 블록(2)은 프리즘(90)의 2개의 집광부(92)보다 각각 후방으로 돌출 설치된 각 3개의 걸어 맞춤 돌기(94)의 어느 하나의 선단에 마련된 걸어 맞춤 고리(94a)를 반전 핸들(50)의 결합 고리(53)에 걸어 맞춤으로써 반전 핸들(50)의 전면 측에 결합된다. 즉, 플레이트 테두리(101)에는 3조의 장치 구멍(102)이 마련되어 있고, 최대로 3개의 스위치 본체(1)를 짧은 폭 방향으로 나란히 부착할 수 있으므로(도 2a 내지 도 2d참조), 중앙의 장치 구멍(102)에 부착되는 스위치 본체(1)에 대해서는 중앙의 걸어 맞춤 돌기편(94)의 걸어 맞춤 고리(94a)를 이용하고, 양단의 장치 구멍(102)에 부착되는 스위치 본체(1)에 대해서는 어느 한쪽 끝의 걸어 맞춤 돌기편(94)의 걸어 맞춤 고리(94a)를 이용함으로써 스위치 본체(1)의 짧은 폭 방향에서 핸들 블록(2)의 장치 위치를 비켜나가게 하고 있다(도 1참조).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플레이트 테두리(101)에 대한 스위치 본체(1)의 장치 위치에 따라 3종류의 핸들 블록(2)을 준비할 필요가 없고, 스위치 본체(1)의 장치 위치에 관계없이 공통의 핸들 블록(2)을 이용할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한다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 테두리(101)의 양단에 위치하는 스위치 본체(1)에 부착된 핸들 블록(2)에 있어서는 한쪽 단부 측의 걸어 맞춤 고리(94a)(걸어 맞춤 돌기편(94))만이 반전 핸들(50)과의 결합에 사용되어, 다른 쪽 단부 측의 걸어 맞춤 고리(94a)(걸어 맞춤 돌기편(94))가 플레이트 테두리(101)의 개구(103)의 바깥으로 밀려나오게 되므로, 밀려나온 걸어 맞춤 고리(94a)(걸어 맞춤 돌기(94))를 받아주기 위한 받아주기 수단을 플레이트 테두리(101)에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 부품을 부착하기 위해서 플레이트 테두리(101)에 마련된 한 쌍의 구멍(106)을 받아주기 수단에 겸용하여, 플레이트 테두리(101)의 개구(103)로부터 밀려나온 걸어 맞춤 고리(94a)(걸어 맞춤 돌기(94))를 각각 구멍(106)에 삽입하여 받아줄 수 있다. 또한, 받아주기 수단을 별도 마련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플레이트 테두리(101)의 제조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상술 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하면, 도 3과 같이 조작 핸들(60)(핸들 블록(2))의 오른쪽 단부가 왼쪽 단부보다도 후방(도의 하방)에 위치할 때에는 가동 접점(42b)이 고정 접점(41b)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반전 용수철(44)은 중간부가 양단부에 대하여 좌측으로 굴곡된 상태 가 되어 반전 용수철(44)에 의해서 가동 접점(42b)이 고정 접점(41b)에 눌려 접점 압력이 부여된다. 한편, 이 상태로부터 조작 핸들(60)의 왼쪽 단부를 후방으로 누르면 반전 핸들(50)이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기 때문에, 반전 용수철(44)은 중간부가 양단부에 대하여 우측으로 굴곡된 상태로 되고, 이 때 개폐 소자(43)를 도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가동 접점(42b)을 고정 접점(41b)으로부터 분리함과 동시에 가동 접점(42a)을 고정 접점(41a)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가동 접점(42a)이 고정 접점(41a)에 접촉한 상태에서는 조작 핸들(60)의 왼쪽 단부가 오른쪽 단부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즉, 조작 핸들(60)의 양단부 중에 전방에 위치하는 단부가 후방으로 누름 조작될 때마다 접점 장치(40)에서는 고정 접점(41a)과 가동 접점(42a) 및 고정 접점(41b)과 가동 접점(42b)의 접촉 및 일분리가 택일적으로 전환되게 된다.
그런데, 스위치 본체(1)와 핸들 블록(2)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위치 표시등(71)과 프리즘(90)의 집광부(92)의 사이의 광로 상에 있어, 커버(20)의 축받이 돌기편(23) 사이에 가설되어 있는 한 쌍의 차광부(27)가 조작 핸들(60)(핸들 블록(2))의 요동 지점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됨과 동시에, 램프 커버(80)에 마련된 차광체(84)가 이들 한 쌍의 차광부(27)와 스위치 본체(1)의 전후 방향(도 3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조작 핸들(60)의 양단부가 누름 조작에 따라 전방으로부터 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각각 이동하여, 후방으로 이동한 단부에 있어서는 조작 핸들(60)의 요동 지점(반전 핸들(50)의 지점 돌기(51))에 대하여 해당 단부 측에 설치되어 있는 한 쪽의 차광부(27)에 차광체(84)의 단부(덮개편(87))가 오버랩(혹은 맞닿음, 이하 같음)하여 위치 표시등(71)과 프리즘(90)의 집광부(92) 사이의 광로를 차광한다. 또한, 전방으로 이동한 단부에 있어서는, 조작 핸들(60)의 요동 지점에 대하여 해당 단부 측에 마련되어 있는 다른 쪽의 차광부(27)에 차광체(84)의 단부가 오버랩하지 않아, 위치 표시등(71)과 프리즘(90)의 집광부(92) 사이의 광로를 차광하지 않는다. 예컨대, 도 3과 같이 조작 핸들(60)의 좌측 단부가 전방에 있고 또한 우측 단부가 후방에 있는 상태에서는 우측 차광부(27)에 차광체(84)의 우측 단부(덮개편(87))가 오버랩하여 투광 창(86)이 거의 막혀 있기 때문에, 우측 집광부(92)와 위치 표시등(71) 사이의 광로가 차광부(27)와 차광체(84)로 차광되어 우측 표시부(91)의 표시면으로부터 위치 표시등(71)의 빛이 외부로 출사되는 일은 없다. 그러나, 좌측 차광부(27)에는 차광체(84)의 좌측 단부가 오버랩하지 않고 투광 창(86)이 막히지 않기 때문에, 좌측 집광부(92)와 위치 표시등(71) 사이의 광로는 차광부(27) 및 차광체(84)에 의해 차광되지 않고, 좌측의 표시부(91)의 표시면으로부터 위치 표시등(71)의 빛이 외부로 출사된다. 또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도 3에서 위의 설명과는 반대로 조작 핸들(60)의 우측 단부가 전방에 있고 또한 좌측 단부가 후방에 있는 상태에서도 전방에 있는 우측 표시부(91) 만으로부터 위치 표시등(71)의 빛이 출사되고 후방에 있는 좌측 표시부(91)로부터는 위치 표시등(71)의 빛이 출사되지 않는 것은 자명하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음에 조작되는 부분의 조작 핸들(60)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표시부(91)의 표시면 만으로부터 위치 표시등(71) 의 빛이 출사되기 때문에, 조작 핸들(60)의 표시 위치와 조작 방향을 완전히 일치시킬 수 있어 종래 예에 비교하여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20)의 축받이 돌기편(23) 사이에 차광부(27)를 가설하지 않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도 위치 표시등(71)의 빛이 2개의 표시부(91)의 표시면으로부터 외부로 출사되어, 조작 핸들(60)의 양단부에 마련된 2개의 표시부(91)에서 동시에 표시가 이루어지게 되어 종래의 예에 비교하여 조작 핸들(60)의 표시 위치와 조작 방향을 일치시켜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 측에 조작 핸들(60)을 부착하는 부착부(걸림편(95))가 마련됨과 동시에 배면 측에 반전 핸들(50)과 결합하는 결합부(걸어 맞춤 고리(94a))가 마련되어 있고, 프리즘(90)에 조작 핸들(60)을 부착한 후에 프리즘(90)을 반전 핸들(50)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조립 작업이 쉬워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반전 핸들(50)의 전면 측에 위치 표시등(71)이 노출되어 설치되고 램프 커버(80)의 차광체(84)가 위치 표시등(71)을 전방으로부터 덮는 우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위치 표시등(71)을 프리즘(90)의 근방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위치 표시등(71)의 빛을 효율적으로 집광부(92)에 모을 수 있고 표시부(91)의 밝기가 향상한다는 이점도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표시부(91)가 조작 핸들(60)의 단부와 대략 동일 치수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부(91)가 확인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투명 합성 수지 재료에 확산재를 혼합하여 표시부(91) 혹은 표시부(91)를 포함하는 프리즘(90) 전체에 확산성을 가지게 하면, 빛의 출사 범위가 넓어져 표시부(91)를 확인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램프 커버(80)를 합성 수지 성형물로 하고 있지만 램프 커버(80) 전체 혹은 보호부(83)나 차광체(84)를 광택을 가진 금속 재료로 형성하면, 위치 표시등(71)의 빛을 차광체(84)나 보호부(83)의 내면에서 반사하여 효율적으로 집광부(92)로 모을 수 있어 표시부(91)의 밝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단지, 램프 커버(80) 전체 혹은 일부를 금속제로 했을 때에는 위치 표시등(71)이나 저항 소자(72) 등과의 절연을 할 필요가 발생하기 때문에, 절연성을 가진 합성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지는 램프 커버(80)의 차광체(84)나 보호부(83)의 내면에 위치 표시등(71)의 빛을 반사하는 시트재를 점착하여 이루어지는 반사 시트를 마련하거나 혹은 반사율이 높은 코팅 재료(담색계의 윤기 있고 염료나 금속계의 재료)를 코팅하여 이루어지는 반사층을 마련하면, 위치 표시등(71) 등과의 절연을 하는 일 없이 표시부(91)의 밝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 테두리(101)에 3개의 스위치 본체(1)를 부착하는 경우에 대하여 예시했지만,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 테두리(101)의 양단에 2개의 스위치 본체(1)를 부착하는 경우나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 테두리(101)의 중앙에 1개의 스위치 본체(1)를 부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스위치 본체(1)의 짧은 폭 방향에 따른 폭 치수를 각각 1.5배 및 3배로 확대한 조작 핸들(60) 및 프리즘(90)으로 이루어지는 핸들 블록(2)과 조합하면 좋다.
(실시예 2)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기본 구성은 실시예 1과 공통이며, 공통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적절히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형상이 다소 다르더라도 기능이 공통이면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실시예 1에서는 램프 커버(80)와 차광체(8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램프 커버(80)와 차광체(84)가 별개로 형성되어, 차광체(84)가 커버(20)의 요동 방향에 따라 회전이 자재로 마련되어 있다.
램프 커버(80)는 도 13a 내지 도 13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이 개방된 사각형 상자 형상으로 통부(54)를 삽입 통과하는 삽입 통과 구멍(81a)이 중앙에 개구된 주부(81)와, 주부(81)의 양단부보다 전방으로 돌출하여 내부에 저항 소자(72)가 수납되는 한 쌍의 돌기부(82)를 구비하고, 통부(54)를 주부(81)의 삽입 통과 구멍(81a)에 삽입 통과한 상태로 주부(81)의 길이 방향 양측면보다 돌출 설치된 걸림 고리(85)를 반전 핸들(50)의 양측면에 마련된 걸림부(56)에 연결함으로써 반전 핸들(50)에 고정된다(도 12참조).
차광체(84)는 도 14 및 도 15a 내지 도 1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위치 표시등(71)의 관벽에 따른 곡면이 되는 반원통 형태의 차광부(84a)와, 차광부(84a)의 축 방향 양단부에서 축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하는 삼각 형상의 지지부(84b)가 합성 수지 성형물로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차광부(84a)의 축 방향에 따른 양단 둘레에는 사각형의 오목부(84c)와 오목부(84c)의 주위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하는 덮개편(84d)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84b)에는 차광 부(84a)의 축 방향에 중심축이 일치한 원통형으로 축 방향을 따라 일부가 열린 축받이 구멍(84e)과,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으로 전후 방향(도 14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 연결 구멍(84f)이 각각 설치된다.
한편,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20)의 한 쌍의 축받이 돌기편(23)에는 서로의 대향면에 있어서의 축받이 오목부(24)보다도 선단 측의 부위에 원통형의 축 돌기(23a)가 각각 돌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축받이 돌기(23)의 2개의 축 돌기(23a)를 각각 축받이 구멍(84e)에 채우는 것에 의해, 차광체(84)가 축 돌기(23a)를 지점으로 하여 커버(20)에 대하여 반전 핸들(50)의 요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반전 핸들(50)은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점 돌기(51) 근방의 전단 둘레보다 전방(도 17에 있어서의 위쪽)으로 돌출하는 고정 리브(57)가 각각 돌출 설치되어 있다. 즉, 차광체(84)의 지지부(84b)에 마련된 연결 구멍(84f)에 고정 리브(57)의 선단부를 삽입 통과함으로써 차광체(84)가 반전 핸들(50)과 연결되는 것이다.
그렇게 하여, 상술 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예컨대, 도 12와 같이 조작 핸들(60)의 좌측의 단부가 전방(도 12에 있어서의 위쪽)에 있고 또한 우측 단부가 후방(도 12에 있어서의 아래쪽)에 있는 상태에서는, 우측 차광부(27)에 차광체(84)의 우측 단부(덮개편(84d))가 오버랩되기 때문에, 우측의 집광부(92)와 위치 표시등(71)의 사이의 광로가 차광부(27)와 차광체(84)로 차광되어 우측의 표시부(91)의 표시면으로부터 위치 표시등(71)의 빛이 외부로 출사되는 일은 없다. 그러나, 좌측 차광부(27)에는 차광체(84)의 좌측 단부 가 오버랩하지 않기 때문에 좌측의 집광부(92)와 위치 표시등(71)의 사이의 광로는 차광부(27) 및 차광체(84)로 차광되지 않고 좌측 표시부(91)의 표시면으로부터 위치 표시등(71)의 빛이 외부로 출사된다. 마찬가지로, 도 12는 반대로 조작 핸들(60)의 우측 단부가 전방에 있고 또한 좌측 단부가 후방에 있는 상태라도 전방에 있는 우측의 표시부(91) 만으로부터 위치 표시등(71)의 빛이 출사되어, 후방에 있는 좌측의 표시부(91)로부터는 위치 표시등(71)의 빛이 출사되지 않는다.
여기서, 실시예 1에서는 차광체(84)가 램프 커버(8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차광체(84)의 회전 지점은 조작 핸들(60)의 요동 지점(반전 핸들(50)의 지점 돌기(51))과 일치하고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차광체(84)의 회전 지점이 커버(20)의 축받이 돌기편(23)에 마련된 축 돌기(23a)가 되고, 더구나, 반전 핸들(50)의 고정 리브(57)가 연결 구멍(84f)의 내경보다도 약간 가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광체(84)의 회전 각도가 반전 핸들(50)의 요동 각도보다도 커진다. 그 결과, 실시예 1과 같이 차광체(84)가 반전 핸들(50)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 비교하여 차광체(84)와 차광부(27)가 오버랩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의 이들 사이의 틈(광로)이 커지기 때문에 표시부(91)의 밝기가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차광체(84)와 차광부(27)의 오버랩 양이 커지기 때문에 표시부(91)로 빛이 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핸들 블록(2)에 특징이 있고,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2와 공통이다. 따라서, 실시예 2와 공통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적절히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형상이 다소 다르더라도 기능이 공통이면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핸들 블록(2)은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으로 후방(도 18에 있어서의 아래쪽)에 열린 평평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 조작 핸들(60)과, 표시부(91) 및 집광부(92)를 가지는 2개의 프리즘(90, 90)으로 구성된다. 2개의 프리즘(90)은 동일한 것으로,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명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서 표시부(91)와 집광부(9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집광부(92)는 평평한 사각형 형상으로 한쪽의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고정편(92c)에 의해서 조작 핸들(60)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된다. 즉, 고정편(92c)에는 한 쌍의 구멍이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조작 핸들(60)의 내부 바닥면에 돌출 설치된 돌기(64)를 각각 구멍에 삽입 통과하여 선단부를 코킹(calkng)함으로써 고정편(92c)이 조작 핸들(60)에 고정된다(도 21참조). 이 때, 집광부(92)의 내측 단면(입사면)이 차광체(84)와 차광부(27) 사이의 틈(광로)에 대향한다(도 19참조). 또한 집광부(92)의 고정편(92c)이 돌출하는 측의 단부에 있어서는 배면 측에 경사면(92b)이 형성되어, 이 경사면(92b)과 대향하는 전면 측에 표시부(91)가 마련되어 있다. 표시부(91)는 평면에서 보아 타원형으로 돌출된 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선단부의 단면 형상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 핸들(60)의 양단부에는 타원형의 긴 구멍(67)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고정편(92a)을 조작 핸들(60)에 고정할 때에 표시부(91)가 긴 구멍(67)에 삽입 통과되어, 표시부(91)의 선단 부분이 조작 핸들(60)의 전면보다 돌출하게 된다(도 19참조).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핸들(60)의 내부 바닥면에는 반전 핸들(50)의 결합 고리(53)에 걸어 맞추는 걸어 맞춤 고리(68a)가 선단에 마련된 4개의 걸어 맞춤 돌기편(68)이 후방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짧은 폭 방향으로 이웃이 되는 2개의 걸어 맞춤 돌기편(68)의 사이에 각각 프리즘(90)이 배치되어 있다.
그렇게 하여, 실시예 2와 같이 차광체(84)와 차광부(27)와의 사이의 틈으로부터 나온 위치 표시등(71)의 빛이 프리즘(90)의 집광부(92)에 입사면으로부터 입사하여 경사면(92b)에서 굴절한 빛이 표시부(91)를 통해서 조작 핸들(60)의 전방으로만 출사되게 되므로, 전방뿐만 아니라 옆쪽으로도 출사되는 실시예 1, 2와 비교하여 전방으로부터 본 표시부(91)의 밝기가 향상한다는 이점이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핸들 블록(2)을 반전 핸들(50)에 결합하기 위한 걸어 맞춤 돌기편(68)을 조작 핸들(60)에 마련하고 있지만, 실시예 1이나 실시예 2와 같이 프리즘(90, 90)에 걸어 맞춤 돌기편을 마련하면, 조작 핸들(60)에 마련된 걸어 맞춤 돌기(68)를 피하기 위한 공간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프리즘(90)의 형상의 자유도가 향상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돌기편(94)가 프리즘(90)에 마련되어 있지만, 돌기편(94)는 조작핸들(60)에 마련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으로부터 부하로의 전력 공급이 정지하고 있을 때에 발광원이 발광하고 그 빛은 집광부로 안내되어 2개의 표시부(혹은 제 1 및 제 2 표 시부)의 표시면으로부터 외부로 출사되므로, 조작 핸들이 요동하는 양단부에 마련된 2개의 표시부(혹은 제 1 및 제 2 표시부)에서 동시에 표시가 이루어지게 되어 쌍투형 접점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조작 핸들의 표시 위치와 조작 방향을 일치시켜 조작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전환형 접점 장치가 기기에 수납된 스위치 본체와, 스위치 본체에 마련되어 접점 장치의 전환 접점 사이에 발생하는 전압으로 발광하는 발광원과, 적어도 짧은 폭 방향의 치수가 스위치 본체의 전면의 치수와 같거나 크게 형성되어, 중앙을 회전축으로 하여 스위치 본체의 전면 측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 조작 핸들과, 조작 핸들이 요동하는 양단부에 마련되어 발광원의 빛을 표시면을 통해서 외부로 출사하는 2개의 표시부 및 스위치 본체와 조작 핸들의 사이에서 발광원의 빛을 2개의 표시부의 표시면으로 각각 안내하는 집광부를 가지는 프리즘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부착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길이는 조작 핸들의 회전축 단부와 동일한 치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부착 스위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빛을 확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부착 스위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광택을 가진 금속제로 차광체 및 발광원의 주위를 둘러싸고 발광원을 보호하는 보호부를 가지는 램프 커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부착 스위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절연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지고, 차광체 및 발광원의 주위를 둘러싸고 발광원을 보호하는 보호부를 가지는 램프 커버와, 발광원과 대향하는 차광체 및 보호부의 내면에 점착되어 발광원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 시트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부착 스위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절연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지고, 차광체 및 발광원의 주위를 둘러싸 발광원을 보호하는 보호부를 가지는 램프 커버와, 발광원과 대향하는 차광체 및 보호부의 내면에 반사율이 높은 코팅 재료를 코팅하여 형성되는 반사층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부착 스위치.
  7. 전환형 접점 장치가 기기에 수납된 스위치 본체와, 스위치 본체에 마련되어 접점 장치의 전환 접점 사이에 발생하는 전압으로 발광하는 발광원과, 적어도 짧은 폭 방향의 치수가 스위치 본체의 전면의 치수와 같거나 또는 크게 형성되어 중앙을 회전축으로 하여 스위치 본체의 전면 측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 조작 핸들과, 조작 핸들이 요동하는 한쪽 단부에 마련되어 발광원의 빛을 표시면을 통해서 외부로 출사하는 제 1 표시부 및 스위치 본체와 조작 핸들의 사이에서 발광원의 빛을 제 1 표시부의 표시면으로 안내하는 제 1 집광부를 가지는 제 1 프리즘과, 조작 핸들이 요동하는 다른 쪽 단부에 마련되어 발광원의 빛을 표시면을 통해서 외부로 출사하는 제 2 표시부 및 스위치 본체와 조작 핸들의 사이에서 발광원의 빛을 제 2 표시부의 표시면으로 안내하는 제 2 집광부를 가지는 제 2 프리즘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부착 스위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조작 핸들의 조작에 연동하여 접점 장치를 전환하는 반전 핸들과, 발광원과 제 1 프리즘의 제 1 집광부 및 제 2 프리즘의 제 2 집광부의 사이의 광로 상에 있어 조작 핸들의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된 2개의 차광부와, 반전 핸들과 일체로 요동하여 2개의 차광부에 대하여 스위치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대향 배치됨과 동시에 조작 핸들의 조작 위치에 따라 어느 한쪽의 차광부와 택일적으로 맞닿음 또는 오버랩하여 발광 원과 제 1 프리즘의 제 1 집광부 및 제 2 프리즘의 제 2 집광부의 사이의 광로를 차광하는 차광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부착 스위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프리즘은 전면 측에 조작 핸들을 부착하는 부착부가 마련됨과 동시에 배면 측에 반전 핸들과 결합하는 결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부착 스위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본체는 시공면의 표면 측에 고정되는 플레이트 테두리에 장착 및 분리가 자유롭게 부착하기 위한 부착 수단을 가지고 플레이트 테두리에 부착된 상태로 시공면에 마련된 매입 구멍에 후단부를 매입하는 형태로 매설됨과 동시에, 플레이트 테두리에 대하여 짧은 폭 방향으로 최대 3개 나란히 부착할 수 있는 치수로 형성되어 있고, 조작 핸들은 플레이트 테두리에 대한 스위치 본체의 나열 방향에 있어서 스위치 본체의 짧은 폭 방향의 폭 치수보다도 큰 치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부착 스위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 핸들의 전면 측에 발광원이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차광체는 발광원을 전방으로부터 덮는 우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부착 스위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체는 반전 핸들의 요동 방향에 따라 회전 자유롭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부착 스위치.
  13. 청구항 8 또는 9의 표시 부착 스위치와, 스위치 본체를 장착 및 분리가 자유롭게 부착하는 부착 수단을 가지고 시공면에 마련된 매입 구멍에 스위치 본체의 후단부를 매입하는 형태로 시공면의 표면 측에 고정되는 플레이트 테두리와, 조작 핸들을 노출시킨 상태로 플레이트 테두리의 전면을 덮는 덮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스위치 본체는 플레이트 테두리에 대하여 짧은 폭 방향으로 최대 3개 나란히 부착할 수 있는 치수로 형성되고, 조작 핸들은 플레이트 테두리에 대한 스위치 본체의 나열 방향에 있어서 스위치 본체의 짧은 폭 방향의 폭 치수보다도 큰 치수로 형성되고, 조작 핸들 또는 제 1 및 제 2 프리즘은 반전 핸들과 택일적으로 결합하는 3개의 결합부가 스위치 본체의 짧은 폭 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설치되고, 3개의 결합부 중에 반전 핸들에 결합하고 있지 않는 결합부와 대향하는 플레이트 테두리 표면의 부위에 해당 결합부를 받아주는 받아주기 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테두리의 사이에서 고정수단을 끼워두는 끼움 금속 부품을 구비하고, 끼움 금속 부품을 부착하기 위해서 플레이트 테두리에 마련된 구멍을 상기 받아주기 수단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KR1020050126338A 2004-12-20 2005-12-20 표시 부착 스위치 및 스위치 장치 KR1007528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67882 2004-12-20
JP2004367882 2004-12-20
JP2005117411A JP4258487B2 (ja) 2004-12-20 2005-04-14 表示付きスイッチ並びにスイッチ装置
JPJP-P-2005-00117411 2005-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475A KR20060070475A (ko) 2006-06-23
KR100752843B1 true KR100752843B1 (ko) 2007-08-29

Family

ID=36960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6338A KR100752843B1 (ko) 2004-12-20 2005-12-20 표시 부착 스위치 및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258487B2 (ko)
KR (1) KR100752843B1 (ko)
CN (1) CN100499001C (ko)
TW (1) TWI2834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K1131511A2 (en) * 2008-12-04 2010-01-22 Clipsal Australia Pty Ltd Electrical wall plate switch
HK1131512A2 (en) * 2008-12-04 2010-01-22 Clipsal Australia Pty Ltd Electrical wall plate switch
JP6089358B2 (ja) * 2012-09-14 2017-03-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イッチ
CN103943399B (zh) * 2014-04-29 2017-02-01 浙江正泰建筑电器有限公司 开关结构
CN108615293A (zh) * 2018-04-28 2018-10-02 浙江弥谷网络科技有限公司 出码按钮及带该出码按钮的结算系统
CN109659186A (zh) * 2019-01-28 2019-04-19 中兴文物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双刀单掷电源开关
JP7442090B2 (ja) 2020-03-31 2024-03-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0264A (ja) * 1999-10-08 2001-04-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スイッチ装置
KR100357914B1 (ko) * 1998-11-25 2002-10-25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스위치장치
JP2005038796A (ja) * 2003-07-18 2005-02-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ワイヤレス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914B1 (ko) * 1998-11-25 2002-10-25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스위치장치
JP2001110264A (ja) * 1999-10-08 2001-04-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スイッチ装置
JP2005038796A (ja) * 2003-07-18 2005-02-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ワイヤレス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99001C (zh) 2009-06-10
JP4258487B2 (ja) 2009-04-30
KR20060070475A (ko) 2006-06-23
JP2006202716A (ja) 2006-08-03
TWI283422B (en) 2007-07-01
CN1808655A (zh) 2006-07-26
TW200627495A (en) 200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2843B1 (ko) 표시 부착 스위치 및 스위치 장치
US7180021B2 (en) LED illuminated door chime push button with adjustable task light
RU2413130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прибор, содержащий средства подвески, установленные на кронштейне прибора
KR100796901B1 (ko) 표시 부착 스위치
WO2011118769A1 (ja) スイッチ付き照明ユニット
JP3890957B2 (ja) スイッチ
KR100399173B1 (ko) 피아노핸들식 스위치
JP3823687B2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3788151B2 (ja) ピアノハンドル式片切スイッチ装置
JP3020252B2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2003086050A (ja) 押釦スイッチ
JP4655097B2 (ja) スイッチ装置
JP3567571B2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2001210186A (ja) 照光傾動スイッチ
JP3106003B2 (ja) 接点切換表示機能付ピアノスイッチ
JP3091428B2 (ja) スイッチ
JP3045596B2 (ja) スイッチ装置のスイッチ切換機構
JP3328495B2 (ja) 回路遮断器収納装置
JP2001006470A (ja) スイッチ
JP2588419Y2 (ja) 照光式押釦スイッチ
JPH0896650A (ja) スイッチ
JP2001210166A (ja) スイッチ
TW201727686A (zh) 開關用把手及開關
JP2001216870A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H09180574A (ja) 照光型スイッ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