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1160B1 -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1160B1
KR100751160B1 KR1020057018612A KR20057018612A KR100751160B1 KR 100751160 B1 KR100751160 B1 KR 100751160B1 KR 1020057018612 A KR1020057018612 A KR 1020057018612A KR 20057018612 A KR20057018612 A KR 20057018612A KR 100751160 B1 KR100751160 B1 KR 100751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acquiring
information acquisition
acquisi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8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6398A (ko
Inventor
히데유끼 쇼지
무쯔미 오시마
요시따까 미요시
도모히꼬 오다
노부야스 이또
다다오 에또
도시로 이지찌
가쯔요시 이시바시
마사시 긱까와
가즈따까 나까쯔찌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16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6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a proximal camera, e.g. a CCD camer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Endoscope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검사를 함과 동시에, 검사 시에 사용한 기기 등의 정보를 의식하지 않고, 혹은 용이하게 취득하며, 또한 검사 시에 취득한 화상 정보와 기기 등의 정보를 1 대 1로 관련시켜 기록하는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의료를 위한 검사 시의 관찰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영상 처리부(4)와, 상기 검사 시에 사용한 기기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기기 정보 취득 유닛(3)과, 상기 화상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한 화상 정보(11)와, 상기 기기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한 기기 정보(10)를 관련된 하나의 정보로서 기록하는 기록 유닛을 적어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을 실현한다.
관찰 화상, 기기 정보, 기기 정보 취득 유닛, 영상 처리부, 메시지 판별 수단

Description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MEDICAL IMAGE RECORDING SYSTEM}
본 발명은,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전자 내시경 등에 의해 검사하여 촬영된 화상 정보를 기록해두고, 검사 후의 진단이나 전자 챠트의 기입, 치료 효과의 경과 관찰, 복수의 닥터에 의한 검사 결과나 진단의 회의 등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개평07-141498호 공보 참조). 또한, 검사 시에 사용한 기기의 사용 상황 등의 파악을 위해, 검사에 사용한 기기의 정보를 취득하여 기록하는 기구를 갖는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개2001-46326호 공보 참조).
이들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에서는, 전자 내시경 등, 의료 기기의 관찰 화상을 환자 데이터(ID NO나 이름 등)와 함께 기록하거나, 검사 종료 후에 전자 챠트로 검사의 리포트 작성하는 경우에, 촬영한 의료 화상을 전자 챠트 상의 리포트 화면에 접착함과 함께, 검사의 실시 내용을 기록하고, 검사에 사용한 기기의 형(型)명, S/N(시리얼 넘버)이나 사용한 약제 등을 입력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에서는, 검사의 실시 내용을 기록함에 있어서, 검사에 사용한 기기의 형명이나, S/N 등의 정보를 수기로 입력하거나, 혹은, 사전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완료한 리스트로부터 선택하는 등의 방법을 취하고 있다.
큰 병원의 경우에는, 연간 약 1만명에 미치는 방대한 환자의 검사를 실시하게 되며, 또한, 1개의 검사에 사용되는 기기만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다. 예를 들면, 전자 내시경만 해도, 십이지장용 내시경, 식도용 내시경, 전기 메스 치료용 내시경등과 같이 여러가지 종류의 내시경이 존재한다. 또한, 동일한 종류의 내시경이라도, 제품 간에 세대가 존재하여, 예를 들면 10년 전에 도입된 내시경과 1년 전에 도입된 내시경이 혼재되어 사용되어 있는 등의 경우도 많다.
따라서, 검사 종료 후에, 검사에 사용한 기기의 정보(예를 들면, 형명이나 S/N 등)를 전자 챠트 등에 기록하는 것은, 입력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작업으로 된다. 또한, 사용자의 기억이나 메모 등에 의지하기 때문에, 입력 실패를 일으킬 가능성도 높으며, 만일 입력 실패를 일으켰다고 하여도 알아차리기 어려워서 잘못을 그대로 방치할 가능성도 있다. 또한, 검사한 사람과 검사 후에 진단하는 사람이 상이한 경우에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패를 알아차리는 것은 매우 어려워진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1년 동안에 방대한 검사를 실시하기 때문에, 취급하는 화상 정보도 방대해져서, 검사 시에 촬영한 조건이나 사용 기기 등의 정보와 화상 정보를, 검사 후에 일치시키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촬영 시에 강조(enhancement) 등의 화상 처리를 실시하고 있는 경우, 후의 화상 정보 재생 시에 화상 처리의 방해로 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의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의 문제점은, 검사 시에 취 득한 화상 정보 취득 유닛과, 화상 취득 시(검사 시)에 사용한 의료용 기기 등의 기기 등의 정보 취득 유닛이 전적으로 독립적이기 때문에, 검사 시에 취득한 화상 정보와, 화상 취득 시(검사 시)에 사용한 의료 기기 등의 정보가 1 대 1로 되는 보증이 없다(인위적 실패에 의해 화상 정보와 기기 등의 정보가 상이하게 됨)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구성이 갖고 있었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며, 검사를 함과 동시에(화상 정보를 취득함과 동시에), 화상 취득 시(검사 시)에 사용한 기기 등의 정보를 의식하지 않고, 혹은 용이하게 취득하며, 또한 검사 시에 취득한 화상 정보와, 검사 시에 사용한 기기 등의 정보를 1 대 1로 관련시켜 기록하는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발명은, 의료를 위한 검사 시의 관찰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화상 정보 취득 유닛과, 상기 검사 시에 사용한 기기가 갖는 고유 정보인 기기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기기 정보 취득 유닛과, 상기 화상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한 화상 정보와, 상기 기기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한 기기 정보를 관련된 하나의 정보로서 기록하는 기록 유닛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이다.
상기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화상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검사 시에 취득한 화상 정보와, 기기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한 검사 시에 사용한 기기 정보가, 기록 유닛에 의해 관련된 하나의 정보로서 기록되는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발명은, 상기 기기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하는 기기 정보는, 기기의 형명, 시리얼 넘버, 사용 시간, 사용 횟수, 설정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이다.
상기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화상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검사 시에 취득한 화상 정보와, 기기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한 검사 시에 사용한 기기의 형명, 시리얼 넘버, 사용 시간, 사용 횟수, 설정값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가, 기록 유닛에 의해 관련된 하나의 정보로서 기록되는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른 발명은, 의료를 위한 검사 시의 관찰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화상 정보 취득 유닛과, 상기 검사 시에 사용한 약제, 또는 기기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약제 또는 기기 정보 취득 유닛과, 상기 화상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한 화상 정보와, 상기 약제 또는 기기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한 약제 또는 기기 정보를 관련된 하나의 정보로서 기록하는 기록 유닛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이다.
상기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화상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검사 시에 취득한 화상 정보와, 약제 또는 기기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검사 시에 사용한 약제 또는 기기 정보가, 기록 유닛에 의해 관련된 하나의 정보로서 기록되는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른 발명은, 약제 또는 기기 정보 취득 유닛은, 약제 또는 기기에 기재되어 있는 식별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식별 정보 판독 유닛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른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이다.
상기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약제 또는 기기 정보 취득 유닛에 식별 정보 판독 유닛을 사용하여, 약제 또는 기기에 기재되어 있는 식별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른 발명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따른 발명은, 의료를 위한 검사 시에 관찰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화상 정보 취득 유닛과, 상기 검사 시에 사용한 기기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기기 정보 취득 유닛과, 상기 화상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관찰 화상을 취득함과 동시에, 상기 관찰 화상에 관련되는 설정 정보를 취득하는 화상 설정 정보 취득 유닛과, 상기 화상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한 화상 정보와, 상기 기기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한 기기 정보와, 상기 화상 설정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한 화상 설정 정보를 관련된 하나의 정보로서 기록하는 기록 유닛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검사 시에 화상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관찰 화상을 기록함과 동시에, 화상 설정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한 화상 설정 정보(화상의 강조 정도 등), 및 기기 정보 취득 정보 유닛에 의해 취득한 기기 정보를 관찰 화상과 관련시켜 기록함으로써, 검사 후의 관찰 화상 재생 시에, 검색이나 대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검사 후에 관찰 화상을 볼 때에, 관찰 화상을 취득할 때에 사용한 기기의 정보나 설정 조건 등의 정보를 확실하며 또한 용이하게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화상 설정 정보(강조, 콘트라스트 등 혹은 기기 정보(예를 들면, 관찰 화상 취득 시의 광원 장치에서의 램프의 밝기의 정도 등)에 기초하여, 관찰 화상에 실시되어 있는 처리를 해제하는 등의 변경이나, 관찰자의 기호에 따른 시각 효과를 얻기 위한 화상 처리를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보다 정밀한 진단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6 양태에 따른 발명은, 의료를 위한 검사 시에, 상기 검사에 사용한 기기가 갖는 고유 정보인 기기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기기 정보 취득 유닛과, 상기 기기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한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메시지의 내용을 결정하는 메시지 판별 유닛과, 상기 메시지 판별 유닛에 의해 결정된 메시지 내용을 표시하는 메시지 표시 유닛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제6 양태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기기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한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메시지 판별 유닛에 의해 메시지의 내용이 결정되어 표시가 행해지기 때문에, 상기 기기에 따른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제7 양태에 따른 발명은, 의료를 위한 검사 시에, 상기 검사에 사용한 기기가 갖는 고유 정보인 기기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기기 정보 취득 유닛과, 상기 기기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한 기기 정보 중, 기기의 형명에 기초하여 메시지의 내용을 결정하는 메시지 판별 유닛과, 상기 기기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한 기기 정보 중, 기기의 형명에 기초하여 표시 화면 레이아웃을 결정하는 표시 화면 레이아웃 판별 유닛과, 상기 메시지 판별 유닛에 의해 결정된 메시지 내용을, 상기 표시 화면 레이아웃 판별 유닛에 의해 결정된 화면 표시 레이아웃에 따라 표시하는 메시지 표시 유닛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제7 양태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기기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서· 취득한 기기 정보의 형명에 기초하여 메시지 판별 유닛에 의해 메시지의 내용이 결정되어 표시가 행해지기 때문에, 상기 기기에 따른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상기 기기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한 기기 정보의 형명에 기초하여 표시 화면 레이아웃 판별 유닛에 의해 표시 화면 레이아웃이 결정되어 상기 메시지의 표시가 행해지기 때문에, 상기 기기에 따른 표시 화면 레이아웃에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제8 양태에 따른 발명은, 상기 약제 또는 기기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기록된 데이터는, 전자 챠트에 반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른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제8 양태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약제 또는 기기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기록된 데이터를 전자 챠트에 자동적으로 반영함으로써, 상기 검사 시에 사용한 상기 약제 또는 상기 기기 정보를 용이하게 전자 챠트에 기록할 수 있어서, 인위적인 입력 실패를 없애고 상기 데이터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을, 하기의 첨부 도면과 함께 참조하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기능 구성도.
도 2는, 기기 데이터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의 제1 실시 형태의 처리 개요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기능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기능 구성도.
도 6은,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의 제3 실시 형태의 처리 개요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기능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기능 구성도.
도 9는, 하이비전 사양의 내시경 관찰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표준 사양의 내시경 관찰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메시지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회로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 실시예를 도 1∼도 1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자 내시경 장치(1)는, 환자 ID 번호, 연령, 성별, 성명 등의 환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환자 데이터 입력 유닛(2)인, 예를 들면 키보드나 마우스와, 전 자 내시경 장치(1) 및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접속되는 내시경 본체(5)(내시경 본체(5)를 식별하기 위한 스코프 ID(6)을 포함함)나 내시경 본체(5)에 광을 공급하기 위한 광원 장치(도시 생략)의 형명, S/N 등의 기기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유닛인 기기 정보 취득 유닛(3)과, 내시경 본체(5)로부터의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4)를 갖고 있다. 또한, 전자 내시경 장치(1)는, 내시경 본체(5)를 통해 피검체를 조명하기 위한 조명광을 출사하는 도시하지 않은 광원 장치와, 이 광원 장치로부터의 조명광에 조명됨으로써 얻은 피검체의 관찰 상을 영상 신호로서 여러가지 신호 처리를 실시하는 도시하지 않은 영상 처리부(4)와, 이 영상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관찰용 모니터를 갖고 있다.
전자 내시경 장치(1), 내시경 본체(5), 화상 기록 장치(7), 광원 장치(도시 생략)의 각각의 기기 정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형명이나 S/N 등의 정보이며, 각각의 장치 내부의 불휘발성 메모리인 예를 들면 EEPROM 등에 저장되어 있다. 또한, 전자 내시경 장치(1)와 화상 기록 장치(7)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며, 환자 데이터, 기기 정보, 및 릴리즈 지시 등의 통신 신호와, 화상 정보 등의 영상 신호를 전자 내시경 장치(1)로부터 화상 기록 장치(7)에 전송 가능하게 되어 있다. 화상 기록 장치(7)에는, 전자 내시경 장치(1)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보내져 오는, 환자 데이터 입력 유닛(2)에 의해 입력된 환자 데이터(9)와, 기기 정보 취득 유닛(3)에 의해 취득된 기기 데이터(10)와, 화상 데이터(11)를 1 검사 단위로 관련시켜 관리하고, 불휘발성 메모리(12)에 저장한 후,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는 서버(13)에 기록 데이터(8)를 전송하여 보존한다. 또한, 화상 데이터(11)는, 내시경 본체(5)로부터 전자 내시경 장치(1)로 보내진 영상을 영상 처리부(4)로써, 외부 출력 가능한 형태의 영상 신호에 처리를 실시하고, 이 영상 신호가, 사용자에 의한 릴리즈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 화상 기록 장치(7) 내에 설치되어 있는 메모리(도시 생략)에 캡쳐됨으로써 생성된다. 또한, 릴리즈 조작 자체는 전자 내시경 장치(1)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화상 기록 장치(7)에 통신 신호에 의해 지시하여도 되며, 화상 기록 장치(7)에 직접 지시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처리 개요를, 도 3에 나타내는 흐름도로 설명한다. 검사를 개시할 때에, 단계 S30의 환자 데이터 취득 처리가 행해진다. 즉, 환자 데이터 입력 유닛, 예를 들면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접속되어 있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으로부터 환자 데이터(환자 고유의 ID 번호, 성명, 성별 등)가 입력되면, 전자 내시경 장치(1) 내의 CPU의 제어에 의해, 전자 내시경 장치(1)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화상 기록 장치(7)에 송신된다. 전자 내시경 장치(1)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는, 환자 데이터(9)로서 화상 기록 장치(7)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단계 S30에 의해, 전자 내시경 장치(1)의 환자 데이터 입력 유닛(2)으로부터 환자 데이터의 입력이 완료되면, 단계 S31에서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있는 CPU의 제어에 의해,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의 정보의 취득 처리를 실행한다. 전자 내시경 장치(1)는, CPU의 제어에 의해, 전자 내시경 장치(1) 및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접속되는 광원 장치(도시 생략), 내시경 본체(5), 화상 기록 장치(7)와 데이터 통신을 행하고, 각각의 장치에 대하여,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명, S/N(시리얼 넘버), 사용 시간, 사용 횟수 등의 정보를 취득한다. 취득한 정보는, 전자 내시경 장치(1) 내의 CPU의 제어에 의해, 전자 내시경 장치(1)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단계 S30과 같이 화상 기록 장치(7)에 전송된다. 전송된 데이터는, 화상 기록 장치(7) 내의 메모리에 기기 데이터(10)로서 기록된다.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접속되어 있는 각 장치의 기기 데이터(10)의 취득이 완료되면, 단계 S32의 내시경에 의한 촬영이 개시된다. 즉, 검사가 개시되고, 예를 들면 내시경 본체(5)의 체강 내 삽입부를 체강 내에 삽입하여 촬영을 하고, 전자 내시경 장치(1) 또는 화상 기록 장치(7)에 접속되어 있는 관찰 모니터(도시 생략)에 의해 관찰하여, 검사가 행해진다.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의 사용자는, 관찰 모니터를 보면서 검사를 진행하고, 필요한 화상에 대해서는, 단계 S33의 환부 영상(화상 데이터)을 취득하는 처리를 행한다. 즉, 내시경 본체(5)의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화상 정보를 보존하는 릴리즈 조작을 행한다. 내시경 본체(5)로부터 전자 내시경 장치(1)로 보내져 있는 영상 중, 상기 조작을 행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화상 정보가, 전자 내시경 장치(1) 내의 CPU의 제어에 의해, 화상 기록 장치(7)에 캡쳐 지시가 행해지며, 네트워크를 통해 보내져 있는 영상 신호는 화상 기록 장치(7) 내에 설치한 메모리(도시 생략)에 화상 데이터(11)로서 캡쳐된다. 단계 S34에서 검사(촬영)가 종료인지가 판단된다. 즉, 검사(촬영)가 종료가 아닌 경우에는, 단계 33의 처리를 반복하게 된다.
하나의 검사(촬영)가 종료되면, 단계 S35의 데이터 보존 처리가 행해진다. 즉, 화상 기록 장치(7)는, 화상 기록 장치(7) 내에 있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환자 데이터(9), 기기 데이터(10), 화상 데이터(11)를 1개의 검사의 기록 데이터(8)로서 불휘발성 메모리(12)에 보존한다. 또한, 불휘발성 메모리(12)에 보존된 기록 데이터(8)는, LAN(근거리 통신망(LAN))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의 서비스를 갖는 서버(13)에 송신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검사 종료 후에 화상을 모아 서버(13)에 송신하는 구성을 도시하였는데, 예를 들면, 화상 자체는 릴리즈 조작마다 서버(13)에 송신하고, 검사 종료 후에 송신하도록 하여도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구성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의 주요부에 대해서는 도 1과 마찬가지인데, 전자 내시경 장치(1)와 화상 기록 장치(7)의 접속 형태에 대하여 상이하다. 즉, 전자 내시경 장치(1)는, 환자 ID 번호, 연령, 성별, 성명 등의 환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환자 데이터 입력 유닛(2)인, 예를 들면 키보드나 마우스와, 전자 내시경 장치(1) 및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접속되는 내시경 본체(5)나 내시경 본체(5)에 광을 공급하기 위한 광원 장치(도시 생략)의 형명, S/N 등의 기기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유닛인 기기 정보 취득 유닛(3)과, 내시경 본체(5)로부터의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4)를 갖고 있다. 전자 내시경 장치(1), 내시경 본체(5), 화상 기록 장치(7), 광원 장치(도시 생략)의 각각의 기기 정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형명이나 S/N 등의 정보이며, 각각의 장치 내부의 불휘발성 메모리인 예를 들면 EEPROM 등에 저장되어 있다. 또한, 전자 내시경 장치(1)와 화상 기록 장치(7) 간에는, 환자 데이터나 기기 정보의 통신, 릴리즈 지시를 위한 예를 들면 RS232C 케 이블과, 화상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영상 송신용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다.
화상 기록 장치(7)에는, 전자 내시경 장치(1)로부터 보내져 오는, 환자 데이터 입력 유닛(2)에 의해 입력된 환자 데이터(9)와, 기기 정보 취득 유닛(3)에 의해 취득된 기기 데이터(10)와, 화상 데이터(11)를 1 검사 단위로 관련시켜 관리하여, 불휘발성 메모리(12)에 저장한 후,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는 서버(13)에 기록 데이터(8)를 전송하여 보존한다. 또한, 화상 데이터(11)는, 내시경 본체(5)로부터 전자 내시경 장치(1)로 보내진 영상을 영상 처리부(4)에 의해, 외부 출력 가능한 형태의 영상 신호로 처리를 실시하고, 이 영상 신호가, 사용자에 의한 릴리즈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 화상 기록 장치(7) 내에 설치되어 있는 메모리(도시 생략)에 캡쳐됨으로써 생성된다. 또한, 릴리즈 조작 자체는 전자 내시경 장치(1)로부터 화상 기록 장치(7)에 통신 신호에 의해 지시하여도 되고, 화상 기록 장치(7)에 직접 지시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처리 개요를, 도 3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의해 설명한다.
검사를 개시할 때에, 단계 S30의 환자 데이터 취득 처리가 행해진다. 즉, 환자 데이터 입력 유닛, 예를 들면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접속되어 있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으로부터 환자 데이터(환자 고유의 ID 번호, 성명, 성별 등)가 입력되면, 전자 내시경 장치(1) 내의 CPU의 제어에 의해, 전자 내시경 장치(1)와 화상 기록 장치(7)에 접속되어 있는 통신 케이블(예를 들면, RS232C 등)을 통해, 화상 기록 장치(7)에 송신된다. 전자 내시경 장치(1)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는, 환자 데이터 (9)로서 화상 기록 장치(7)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단계 S30에 의해, 전자 내시경 장치(1)의 환자 데이터 입력 유닛(2)으로부터 환자 데이터의 입력이 완료되면, 단계 S31에서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있는 CPU의 제어에 의해,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의 정보의 취득 처리를 실행한다. 전자 내시경 장치(1)는, CPU의 제어에 의해, 전자 내시경 장치(1) 및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접속되는 광원 장치(도시 생략), 내시경 본체(5), 화상 기록 장치(7)와 데이터 통신을 행하여, 각각의 장치에 대하여,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명, S/N(시리얼 넘버), 사용 시간, 사용 횟수 등의 정보를 취득한다. 취득한 정보는, 전자 내시경 장치(1) 내의 CPU의 제어에 의해, 전자 내시경 장치(1)와 화상 기록 장치(7)에 접속되어 있는 통신 케이블을 통해, 단계 S30과 마찬가지로 화상 기록 장치(7)에 전송된다. 전송된 데이터는, 화상 기록 장치(7) 내의 메모리에 기기 데이터(10)로서 기록된다.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접속되어 있는 각 장치의 기기 데이터(10)의 취득이 완료되면, 단계 S32의 내시경에 의한 촬영이 개시된다. 즉, 검사가 개시되고, 예를 들면 내시경 본체(5)의 체강 내 삽입부를 체강 내에 삽입하여 촬영을 하고, 전자 내시경 장치(1) 또는 화상 기록 장치(7)에 접속되어 있는 관찰 모니터(도시 생략)에 의해 관찰하여, 검사가 행해진다.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의 사용자는, 관찰 모니터를 보면서 검사를 진행시키며, 필요한 화상에 대해서는, 단계 S33의 환부 영상(화상 데이터)을 취득하는 처리를 행한다. 즉, 내시경 본체(5)의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화상 정보를 보존하는 릴리즈 조작을 행한다. 내시경 본체(5)로부터 전자 내시경 장치(1)에 보내지고 있는 영상 중, 상기 조작을 행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화상 정보가, 전자 내시경 장치(1) 내의 CPU의 제어에 의해, 화상 기록 장치(7)에 캡쳐 지시가 행해지며, 이 때에 영상 신호용 케이블로부터 보내지고 있는 영상 신호가 화상 기록 장치(7) 내에 설치한 메모리(도시 생략)에 화상 데이터(11)로서 캡쳐된다.
단계 S34에서 검사(촬영)가 종료되었는지가 판단된다. 즉, 검사(촬영)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33의 처리를 반복하게 된다.
1개의 검사(촬영)가 종료되면, 단계 S35의 데이터 보존 처리가 행해진다. 즉, 화상 기록 장치(7)는, 화상 기록 장치(7) 내에 있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환자 데이터(9), 기기 데이터(10), 화상 데이터(11)를 1개의 검사의 기록 데이터(8)로 하여 불휘발성 메모리(12)에 보존한다. 또한, 불휘발성 메모리(12)에 보존된 기록 데이터(8)는, LAN(근거리 통신망(LAN))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의 서비스를 갖는 서버(13)에 송신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검사 종료 후에 화상을 모아 서버(13)에 송신하는 구성을 도시하였는데, 예를 들면, 화상 자체는 릴리즈 조작마다 서버(13)에 송신하고, 검사 종료 후에 송신하도록 하여도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구성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자 내시경 장치(1), 내시경 본체(5), 및 화상 기록 장치(7)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마찬가지이며, 전자 내시경 장치(1)는, 환자 ID, 연령, 성별, 성명 등의 환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환자 데이터 입력 유닛(2)인, 예를 들면 키보드나 마우스와, 전자 내시경 장치(1)와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접속되는 내시경 본체(5)나 광원 장치(도시 생략)의 S/N 등의 기기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유닛인 기기 정보 취득 유닛(3)과, 내시경 본체(5)로부터의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4)를 갖고 있다. 전자 내시경 장치(1), 내시경 본체(5), 화상 기록 장치(7), 광원 장치(도시 생략)의 각각의 기기 정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형명이나 S/N 등의 정보이며, 각각의 장치 내부의 불휘발성 메모리인 예를 들면 EEPROM 등에 저장되어 있다. 또한, 전자 내시경 장치(1)와 화상 기록 장치(7) 간에는, 환자 데이터나 기기 정보의 통신, 릴리즈 지시를 위해 RS232C 케이블과, 화상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영상 송신용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다. 화상 기록 장치(7)에는, 전자 내시경 장치(1)로부터 보내져 오는, 환자 데이터 입력 유닛(2)에 의해 입력된 환자 데이터(9)나, 기기 정보 취득 유닛(3)에 의해 취득된 기기 데이터(10), 화상 데이터(11)를 1 검사 단위로 관련시켜 관리하고, 불휘발성 메모리(12)에 저장한 후,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는 서버(13)에 기록 데이터(8)를 전송하여 보존한다. 또한, 화상 데이터(11)는, 내시경 본체(5)로부터 전자 내시경 장치(1)로 보내진 영상을 영상 처리부(4)에 의해, 외부 출력 가능한 형태의 영상 신호에 처리를 실시하고, 이 영상 신호가, 사용자에 의한 릴리즈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 화상 기록 장치(7) 내에 설치되어 있는 메모리(도시 생략)에 캡쳐됨으로써 생성된다. 또한, 릴리즈 조작 자체는 전자 내시경 장치(1)로부터 화상 기록 장치(7)에 통신 신호로써 지시하여도 되고, 화상 기록 장치(7)에 직접 지시하여도 된다.
제3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상기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 외에 추가로, 식별 정보 판독 유닛(14)이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접속되어 있다. 식별 정보 판독 유닛(14)을 사용하여, 검사 시에 검사에 사용한, 약제나 기기, 혹은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기기에 기록되어 있는 식별 정보 기억 유닛을 판독함으로써, 검사에 사용한 약제의 정보나 기기 정보, 및 검사에 사용한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기기의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식별 정보 기억 유닛은, 고유의 정보를 기록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이며, 식별 정보 판독 유닛(14)은, 이 식별 정보 기억 유닛에 접촉하거나, 혹은 비접촉에 의해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처리 개요를, 도 6에 나타내는 흐름도로 설명한다. 제1 실시예의 처리 개요와 마찬가지로, 검사를 개시할 때에, 우선 단계 S50의 환자 데이터 취득 처리가 행해진다. 즉, 환자 데이터 입력 유닛, 예를 들면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접속되어 있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으로부터 환자 데이터(환자 고유의 ID 번호, 성명, 성별 등)가 입력되면, 전자 내시경 장치(1) 내의 CPU의 제어에 의해, 통신 케이블을 통해, 화상 기록 장치(7)에 송신되어, 환자 데이터(9)로서 화상 기록 장치(7)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전자 내시경 장치(1)의 환자 데이터 입력 유닛(2)으로부터 환자 데이터의 입력이 완료되면, 단계 S51에서 기기 정보를 취득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즉,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있는 CPU의 제어에 의해,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의 정보 취득 처리가 실행되어, 전자 내시경 장치(1)는, CPU의 제어에 의해, 전자 내시경 장치(1) 및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접속되는 광원 장치(도시 생략), 내시경 본체(5), 화상 기록 장치(7)와 데이터 통신을 행하여, 각각의 장치에 대하여,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명, S/N(시리얼 넘버), 사용 시간, 사용 횟수 등의 정보를 취득한다. 취득한 정보는, 전자 내시경 장치(1) 내의 CPU의 제어에 의해, 통신 케이블을 통해, 단계 S50과 마찬가지로 화상 기록 장치(7)에 전송된다. 전송된 데이터는, 화상 기록 장치(7) 내의 메모리에 기기 데이터(10)로서 기록된다. 또한, 검사 시에 사용한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기기의 정보에 대해서도,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접속되어 있는 식별 정보 판독 유닛(14)을 이용하여, 기기에 기재되어 있는 식별 정보 기억 유닛을 판독함으로써 취득하고,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을 통해 화상 기록 장치(7)에 송신하고, 기기 데이터(10)로서 화상 기록 장치(7) 내의 메모리에 기록한다.
또한, 단계 S52에서 약제 정보의 취득 처리가 행해진다. 즉, 검사 시에 사용한 약제의 정보에 대해서도, 식별 정보 판독 유닛(14)을 사용하여, 약제에 기재되어 있는 식별 정보 기억 유닛으로부터 취득한다. 취득한 정보는, 전자 내시경 장치(1) 내의 CPU의 제어에 의해, 통신 케이블을 통해, 화상 기록 장치(7)에 전송되며, 화상 기록 장치(7) 내의 메모리에 기기 데이터(10)로서 기록된다.
여기서, 기기 정보 취득 유닛(3)에 의해 취득되는 기기의 정보에서도, 식별 정보 판독 유닛(14)에 의해, 기기에 기재되어 있는 식별 정보 기억 유닛으로부터 취득하여도 되며,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접속되어 있는 식별 정보 판독 유닛(14) 에 의해, 검사 시에, 검사에 사용한 기기의 정보를 용이하게, 더구나 입력 실패 등의 인위적 실패를 일으키지 않고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접속되어 있는 각 장치의 기기 데이터(10)의 취득 완료 후에, 단계 S53에서 내시경에 의한 검사(촬영)가 개시되며, 예를 들면 내시경 본체(5)의 체강 내 삽입부를 체강 내에 삽입하여 촬영을 하고, 전자 내시경 장치(1) 또는 화상 기록 장치(7)에 접속되어 있는 관찰 모니터(도시 생략)에 의해 관찰하여, 검사가 행해진다.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의 사용자는, 관찰 모니터를 보면서 검사를 진행시켜, 필요한 화상에 대해서는, 단계 S54의 환부 영상(화상 데이터)을 취득하는 처리를 행한다. 즉, 내시경 본체(5)의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화상 정보를 보존하는 릴리즈 조작을 행한다.
내시경 본체(5)로부터 전자 내시경 장치(1)로 보내져 있는 영상으로 취득하고자 하는 화상 정보를, 내시경 본체(5)의 조작부로부터 조작함으로써, 전자 내시경 장치(1) 내의 CPU의 제어에 의해, 화상 기록 장치(7)에 캡쳐 지시가 행해지며, 이 때에 영상 신호용 케이블로부터 보내져 있는 영상 신호를 화상 기록 장치(7) 내에 설치한 메모리(도시 생략)에 화상 데이터(11)로서 캡쳐한다.
단계 S55에서 촬영이 종료되었는지가 판단되며, 1개의 검사(촬영)가 종료되면, 단계 S56의 데이터 보존 처리가 행해진다. 즉, 화상 기록 장치(7)는, 화상 기록 장치(7) 내에 있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환자 데이터(9), 기기 데이터(10), 화상 데이터(11)를 1개의 검사의 기록 데이터(8)로 하여 불휘발성 메모리(12)에 보 존한다. 또한, 불휘발성 메모리(12)에 보존된 기록 데이터(8)는, LAN(근거리 통신망(LAN))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의 서비스를 갖는 서버에 송신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촬영 개시 전에 기기 정보 취득 S51, 약제 정보 취득 S52를 행하는 구성을 도시하였는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촬영 개시 후에 약제를 추가하는 것도 있기 때문에, 데이터를 보존 S56 전까지이면, S51, S62를 수시로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구성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자 내시경 장치(1)는, 환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환자 데이터 입력 유닛(2)인, 예를 들면 키보드나 마우스와, 전자 내시경 장치(1)와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접속되는 내시경 본체(5)나 광원 장치(도시 생략)의 S/N 등의 기기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유닛인 기기 정보 취득 유닛(3)과, 내시경 본체(5)로부터의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4)를 갖고 있다. 또한,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접속되어 있는 내시경 본체(5)로부터, 전자 내시경 장치(1)에 보내진 영상을, CPU의 제어에 의해 캡쳐할 때에, 캡쳐한 화상 정보에 실시되어 있는 화상 처리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화상 설정 정보 취득 유닛(15)을 갖고 있다.
전자 내시경 장치(1)와 화상 기록 장치(7) 간에는, 환자 데이터나 기기 정보, 화상 정보의 통신, 릴리즈 지시를 위한 예를 들면 RS232C 케이블과, 화상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영상 송신용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다. 화상 기록 장치(7)에는, 전자 내시경 장치(1)로부터 보내져 오는, 환자 데이터 입력 유닛(2)에 의해 입력된 환자 데이터(9)나, 기기 정보 취득 유닛(3)에 의해 취득된 기기 데이터(10), 내시경 본체(5)로부터 전자 내시경 장치(1)로 보내진 영상을 영상 처리부(4)에 의해 캡쳐한 화상 데이터(11), 및 화상 정보 취득 시의 화상 설정(16)을 1 검사 단위로 관련시켜 관리하고, 불휘발성 메모리(12)에 저장한 후,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는 서버(13)에 전송하여 보존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처리 개요를, 도 3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따라 설명한다.
검사를 개시할 때에, 단계 S30의 환자 데이터 취득 처리가 행해진다. 즉, 환자 데이터 입력 유닛, 예를 들면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접속되어 있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으로부터 환자 데이터가 입력되면, 전자 내시경 장치(1) 내의 CPU의 제어에 의해, 전자 내시경 장치(1)와 화상 기록 장치(7)에 접속되어 있는 통신 케이블을 통해, 화상 기록 장치(7)에 송신되며, 전송된 데이터는, 환자 데이터(9)로서 화상 기록 장치(7)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단계 S31에서 환자 데이터(9)의 입력이 완료되면,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있는 CPU의 제어에 의해,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의 정보의 취득 처리를 실행한다. 전자 내시경 장치(1)는, CPU의 제어에 의해, 전자 내시경 장치(1) 및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접속되는 광원 장치(도시 생략), 내시경 본체(5), 화상 기록 장치(7)와 데이터 통신을 행하여, 접속되어 있는 각각의 장치에 대하여,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형명, S/N(시리얼 넘버), 사용 시간, 사용 횟수 등의 정보를 취득한다. 취득한 정보는, 전자 내시경 장치(1) 내의 CPU의 제어에 의해, 전자 내시경 장치(1)와 화상 기록 장치(7)에 접속되어 있는 통신 케이블을 통해, 단계 S30과 마찬가지로 화상 기록 장치(7)에 전송되며, 화상 기록 장치(7) 내의 메모리에 기기 데이터(10)로서 기록된다.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접속되어 있는 각 장치의 기기 데이터(10)의 취득이 완료되면, 단계 S32의 내시경에 의한 촬영이 개시된다. 즉, 검사가 개시되며, 예를 들면 내시경 본체(5)의 체강 내 삽입부를 체강 내에 삽입하여 촬영을 하고, 전자 내시경 장치(1) 또는 화상 기록 장치(7)에 접속되어 있는 관찰 모니터(도시 생략)에 의해 관찰하여, 검사가 행해진다.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의 사용자는, 관찰 모니터를 보면서 검사를 진행시키며, 필요한 화상에 대해서는, 단계 33의 환부 영상(화상 데이터)을 취득하는 처리를 행한다. 즉, 내시경 본체(5)의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화상 정보를 보존하는 릴리즈 조작을 행한다. 내시경 본체(5)로부터 전자 내시경 장치(1)에 보내지고 있는 영상 중, 상기 조작을 행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화상 정보는, 전자 내시경 장치(1)내의 CPU의 제어에 의해, 화상 기록 장치(7)에 캡쳐 지시가 행해지며, 이 때에 영상 신호용 케이블로부터 보내지고 있는 영상 신호를 화상 기록 장치(7) 내에 설치한 메모리(도시 생략)에 화상 데이터(11)로서 캡쳐한다.
제4 실시예에서는, 화상 정보의 캡쳐와 동시에, 촬영 시(화상 정보 취득 시)의 화상 처리의 설정 조건을 화상 설정 정보로서 취득한다. 전자 내시경 장치(1) 내의 CPU는, 화상의 캡쳐 처리와 동시에, 화상 처리의 화상 설정 정보를 취득하고, 통신용 케이블을 통해, 화상 기록 장치(7)에 송신한다. 전자 내시경 장치(1)로부터 보내진 화상 설정 정보는, 화상 기록 장치(7) 내의 메모리에 화상 설정(16)으로 서 저장된다.
단계 S34에서 검사(촬영)가 종료되었는지가 판단된다. 즉, 검사(촬영)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33의 처리를 반복하게 된다.
1개의 검사(촬영)가 종료되면, 단계 S35의 데이터 보존 처리가 행해진다. 즉, 화상 기록 장치(7)는, 화상 기록 장치(7) 내에 있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환자 데이터(9), 기기 데이터(10), 화상 데이터(11), 화상 설정(16)을 1개의 검사의 기록 데이터(8)로서 불휘발성 메모리(12)에 보존한다. 또한, 불휘발성 메모리(12)에 보존된 기록 데이터(8)는, LAN(근거리 통신망(LAN))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의 서비스를 갖는 서버(13)에 송신된다.
그런데, 종래의 화상 기록 시스템에서는, 화상 기록 장치(7)와 화상 기록 장치(7)에 접속되는 기기가, 예를 들면 화상 기록 장치(7)와 전자 내시경 장치(1)인 경우에 1 대 1의 관계에 있었다. 이와 같이, 화상 기록 장치(7)에 접속되는 기기가 특정되어 있기 때문에, 에러 메시지를 관찰 모니터 등의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미리 결정된 화면 표시 레이아웃에 따라 표시를 행할 수 있어서, 검사 시의 촬영 영상을 숨겨져 있지 않은 장소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초음파 장치 등, 복수의 장치를 화상 기록 장치(7)에 접속하는 경우(화상 기록 장치(7)와 화상 기록 장치(7)에 접속하는 기기가 1:n의 관계인 경우), 종래와 같이, 미리 결정된 표시 화면 레이아웃에 따라, 결정된 화면 위치에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면, 검사 시의 촬영 화상이 메시지의 표시에 의해 숨게 되는 문제나, 의료 기기마다 에러의 내용이나 에러에 대한 대책 내용이 상이하여도, 획일적 인 메시지밖에 표시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로서는 이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기 정보 취득 유닛(3)에 의해 취득한 기기 데이터(10)에 기초하여, 메시지의 표시 위치(표시 레이아웃), 메시지 내용을 결정하여, 관찰 모니터의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에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환자 데이터 입력 유닛, 예를 들면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접속되어 있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으로부터 환자 데이터가 입력되면, 전자 내시경 장치(1) 내의 CPU의 제어에 의해, 전자 내시경 장치(1)와 화상 기록 장치(7)와 접속되어 있는 통신 케이블을 통해, 화상 기록 장치(7)에 송신되며, 환자 데이터(9)로서 화상 기록 장치(7)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환자 데이터(9)의 입력이 완료되면,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있는 CPU의 제어에 의해,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의 정보의 취득 처리가 실행되고, 전자 내시경 장치(1) 내의 CPU의 제어에 의해, 전자 내시경 장치(1) 및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접속되는 광원 장치(도시 생략), 내시경 본체(5), 화상 기록 장치(7)와 데이터 통신을 행하여, 각각의 장치에 대하여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기기 정보를 취득한다. 취득한 정보는, 전자 내시경 장치(1)내의 CPU의 제어에 의해, 전자 내시경 장치(1)와 화상 기록 장치(7)에 접속되어 있는 통신 케이블을 통해, 화상 기록 장치(7)에 전송되고, 화상 기록 장치(7) 내의 메모리에 기기 데이터(10)로서 기록된다.
여기서,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는 경우에, 기기 정보 취득 유닛(3)에 의해 취득한 기기 데이터(10)에 기초하여, 메시지 판별 유닛(17)에 의해, 관찰 모니터(19)의 화면에 표시하는 메시지를 작성하고, 또한 표시 화면의 레이아웃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화상 기록 장치(7) 내의 CPU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 내에 저장되어 있는 기기 데이터를 참조하여, 관찰 모니터(19)가 하이비전(Hi-Vision) 사양인지, 표준 사양인지를 판별한다. 도 9는, 하이비전 사양의 내시경 관찰 모니터의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에러 등의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인 메시지 윈도우 에리어(20), 메시지 윈도우 에리어(21)를 갖고 있다. 관찰 화상은, 관찰 화상 표시부(22)에 표시된다. 또한, 도 10은, 표준 사양의 내시경 관찰 모니터의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에러 등의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에, 메시지 윈도우 에리어(23)로부터 메시지 윈도우 에리어(26)까지 4개의 영역을 갖고 있다. 관찰 화상은, 관찰 화상 표시부(27)에 표시된다. 관찰 모니터(19)가, 하이비전 사양인 경우에는, 표시 화면 레이아웃을 도 9에 도시하는 화면으로 결정하고, 표준 사양인 경우에는, 표시 화면 레이아웃을 도 10에 도시하는 화면으로 결정한다. 또는, 기기 정보 취득 유닛(3)에 의해 취득한 기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내시경 본체(5)의 예를 들면 제품 세대 등을, CPU의 제어에 의해 자동 판별하여, 각 제품 세대에 맞는 표시 화면 레이아웃을 결정한다. 표시 화면의 레이아웃을 결정한 후, 레이아웃에 맞는 메시지 패턴을 CPU의 제어에 의해 생성한다. 생성된 메시지는, 메시지 합성 유닛(18)에 의해 촬영 화상으로 조립되고, 관찰 모니터(19)에 표시된다.
또한, 종래의 기기의 설정 등의 조작에서는, 임의의 일련의 설정 조작 후에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표시된 에러 메시지로부터 다음에 어떤 조작을 하여 대처하면 좋을지의 판단이 어려운 것이거나, 기기를 사용하는 사람의 스킬에 따라, 스킬이 높은 사용자에게는, 상세한 에러 메시지는 불필요하며, 스킬이 낮은 사용자에게는, 간단한 에러 메시지에 대해서도 그 에러 메시지에 대하여, 어떻게 대처할지 이해할 수 없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시지 판별 유닛(17)에서, 통상의 설정 조작 시에서는, 하나의 설정 항목을 설정하면, 다음에 어떤 설정 조작을 행하면 좋을지를 지시하는 메시지를 작성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설정 조작 시에 에러를 검출한 경우에는, 검출한 에러에 대한 대처를 메시지에 표시하는 것이거나(도 11의 메시지 표시부(28)), 미리 스킬의 정도를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스킬에 맞는 메시지를 작성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회로 구성이다.
전자 내시경 장치(1)에서는, CPU(29), 메모리(30)(불휘발성 메모리에서는 ROM이나 EEPROM 등, 휘발성 메모리에서는 RAM 등), 입력 장치(31)(키보드나 마우스 등), 출력 장치(32)(관찰 모니터, 화상 신호용 I/F, 전기 통신용 I/F 등), 외부 기록 장치(33)(하드디스크나 광 디스크 장치 등), 매체 구동 장치(34)(CDROM 드라이브 장치), 네트워크 접속 장치(36), 화상 처리부(도시 생략)가 설치되며, 이들 각 구성 부품은 버스(38)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CPU(29)는, 불휘발 메모리인 예를 들면 ROM, 혹은, 외부 기록 장치(33)인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로부터 전자 내시경 장치(1)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판독 하여, 프로그램을 따라 제어를 실시한다. 또한, RAM에의 데이터의 기입 처리 및 판독 처리를 행한다. 또한, 불휘발 메모리인 예를 들면 EEPROM에는, 도 2에 일례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형명이나 S/N 등의 기기 정보가 저장되며, 필요에 따라, CPU(29)가 EEPROM으로부터 기기 정보를 판독하고, 일시적으로 RAM에 기입을 실시한다.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기기 정보가 판독된 후, 통신용 케이블(예를 들면, RS232C)을 통해 화상 기록 장치(7)에 송신된다.
내시경 본체(5)로부터 보내진 화상 정보는, 화상 신호용 I/F를 통해 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에 일시 저장된 후, 화상 처리부(도시 생략)로 보내지며, 조작자의 설정에 따라 화상 정보가 가공된다. 가공된 화상 정보는, D/A 변환 등의 처리가 실시되어, 예를 들면 RGB의 영상 신호를 출력 장치(32)인 관찰 모니터에 출력하여, 표시한다.
내시경 본체(5)에서는, CPU(29), 메모리(30)(불휘발성 메모리에서는 ROM이나 EEPROM 등, 휘발성 메모리에서는 RAM 등), 입력 장치(31)(내시경 본체(5)의 조작부나 체강 내 삽입부 등), 출력 장치(32)(화상 신호용 I/F, 전기 통신용 I/F 등)가 설치되며, 이들 각 구성 부품은 버스(38)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CPU(29)는, 불휘발 메모리인 예를 들면 ROM 또는 EEPROM으로부터 내시경 본체(5)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프로그램을 따라 제어를 실시한다. 또한, RAM에의 데이터의 기입 처리 및 판독 처리를 행한다. 불휘발 메모리인 예를 들면 EEPROM에는, 도 2에 일례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형명이나 S/N, 사용 횟수 등의 기기 정보가 저장되며, 전자 내시경 장치(1)로부터, 전기 통신용 I/F를 통해 기 기 정보의 판독 지시가 있었던 경우에는, CPU(29)의 제어에 의해 EEPROM으로부터 기기 정보가 판독되며, 전기 통신용 I/F를 통해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송신된다.
화상 기록 장치(7)에서는, CPU(29), 메모리(30)(불휘발성 메모리에서는 ROM이나 EEPROM 등, 휘발성 메모리에서는 RAM 등), 입력 장치(31)(키보드나 마우스 등, 출력 장치(32)(관찰 모니터, 화상 신호용 I/F, 전기 통신용 I/F 등), 외부 기록 장치(33)(하드디스크나 광 디스크 장치 등), 휴대 가능 기억 매체(35)에 판독을 하기 위한 매체 구동 장치(34)(예를 들면, CDROM 드라이브 장치), 네트워크 접속 장치(36)가 설치되며, 이들 각 구성 부품은 버스(38)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CPU(29)는, 불휘발 메모리인 예를 들면 ROM, 혹은, 외부 기록 장치(33)인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로부터 화상 기록 장치(7)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프로그램을 따라 제어를 실시한다. 또한, RAM에의 데이터의 기입 처리 및 판독 처리를 행한다. 또한, 불휘발 메모리인 예를 들면 EEPROM에는, 도 2에 일례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형명이나 S/N 등의 기기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전자 내시경 장치(1)로부터, 전기 통신용 I/F(예를 들면, RS232C)를 통해 기기 정보의 판독 지시가 있었던 경우에는, CPU(29)의 제어에 의해 EEPROM으로부터 기기 정보가 판독되고, 전기 통신용 I/F를 통해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송신된다.
전자 내시경 장치(1)로부터 보내진 화상 정보는, 화상 신호용 I/F를 통해 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에 일시 저장된 후, 불휘발성 메모리인 예를 들면 EEPROM 등에 저장된다. 혹은, 화상 신호용 I/F를 통해 직접, EEPROM 등에 저장된다. 마찬가지로, 전자 내시경 장치(1)로부터 전기 통신용 I/F를 통해 보내진 환자 데이 터, 기기 정보도 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에 일시 저장된 후, 혹은 전자 내시경 장치(1)로부터 전기 통신용 I/F를 통해 직접, EEPROM 등에 저장된다. EEPROM 등에 저장된 데이터는, 화상 기록 장치(7) 내에 있는 외부 기억 장치(33)인 하드디스크 등에 저장되거나, 혹은, 네트워크 접속 장치(36), 네트워크(37)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데이터가 송신되어 보존된다.
또한, 불휘발성 메모리는, EEPROM에 매체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래시 메모리 등을 이용하여도 된다.
이상의 제1 실시예, 제3 실시예, 제4 실시예의 설명에서, 1 검사 단위로 각각 관련시킨 기록 데이터(8)는, LAN을 통한 네트워크 상의 서버에 기록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화상 기록 장치(7)에 직접 접속되는 하드디스크(자기 디스크) 등의 외부 기록 장치에 기록되어도 된다.
또한, 기록 데이터는 외부 기억 장치에의 보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상 기록 장치(7) 내부에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 메모리를 이용하여 보존하여도 된다.
또한, 1 검사 단위로 관련시키는 처치에서는, 화상 기록 장치(7)에 의해 처리되어도 되며, 데이터베이스의 기능을 이용하여 처리되어도 된다.
환자 데이터 입력 유닛(2)에 의한 환자 데이터의 취득 처리, 기기 정보 취득 유닛(3)에 의한 기기 정보의 취득 처리, 영상 처리부(4)에 의한 화상 정보의 취득 처리는, 도 3에 도시하는 순서대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1 검사를 실시하는 데 대응하여, 영상 처리부(4)에 의해 화상 정보를 취득한 후, 환자 데이터의 취 득 처리 및 기기 정보의 취득 처리가 실시되어도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도 6에서도, 환자 데이터 입력 유닛(2)에 의한 환자 데이터의 취득 처리, 기기 정보 취득 유닛(3)에 의한 기기 정보의 취득 처리, 영상 처리부(4)에 의한 화상 정보의 취득 처리, 및 식별 정보 판독 유닛(14)에 의해 취득하는 약제 정보 취득 처리, 혹은 전자 내시경 장치(1)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기기 정보의 취득 처리에 대해서도, 도 6에 도시하는 순서대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약제 정보 취득 처리나 기기 정보 취득 처리를 거쳐 기록한 데이터는, 예를 들면 검사 종료 후에 작성하는 전자 챠트에 반영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1개의 검사가 계속되어 있는 경우에, 환자 데이터 입력 유닛(2)에 의해 취득한 환자 데이터(9), 기기 정보 취득 유닛(3)에 의해 취득한 기기 데이터(10), 영상 처리부(4)에 의해 취득한 화상 데이터(11)는, 화상 기록 장치(7) 내의 메모리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므로, 직접 화상 기록 장치(7) 내의 불휘발성 메모리인 예를 들면 EEPROM 등에 저장하여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의 범위 제1항 및 청구의 범위 제2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화상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검사 시에 취득한 화상 정보와, 기기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한 검사 시에 사용한 기기 정보가, 기록 유닛에 의해 관련된 하나의 정보로서 기록되므로, 검사 후에 화상 정보를 재생할 때에, 검사 시에 사용한 기기 정보의 검색이나 조회가 용이해진다. 또한, 전자 챠트 등에 의해 검사의 실시 내용을 기록함에 있어서, 검사에 사용한 기기의 정보를, 수기 메모나 기억 등에 의지하지 않고, 검사와 동시에 자동적으로 기록함으로써, 입력 작 업을 대폭 경감함과 동시에, 인위적인 입력 실패 등에 의한 기기 정보의 기록 실패를 없애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청구의 범위 제3항 및 청구의 범위 제4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화상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검사 시에 취득한 화상 정보와, 약제 또는 기기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검사 시에 사용한 약제 또는 기기 정보가, 기록 유닛에 의해 관련된 하나의 정보로서 기록되므로, 검사 후에 화상 정보를 재생할 때에, 검사 시에 사용한 기기 정보의 검색이나 조회가 용이해진다. 또한, 전자 챠트 등에 의해 검사의 실시 내용을 기록함에 있어서, 검사에 사용한 기기의 정보, 및 검사에 사용한 약제의 정보를, 수기 메모나 기억 등에 의지하지 않고, 검사와 동시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입력 작업을 대폭 경감함과 동시에, 인위적인 입력 실패 등에 의한 기기 정보 및 약제의 정보의 기록 실패를 없애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3)

  1. 의료를 위한 검사 시에 관찰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화상 정보 취득 유닛과,
    상기 검사 시에 사용한 기기가 갖는 고유 정보인 기기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기기 정보 취득 유닛과,
    상기 화상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한 화상 정보와, 상기 기기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한 기기 정보를 관련된 하나의 정보로서 기록하는 기록 유닛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하는 기기 정보는, 검사 시에 사용한 기기의 형명, 시리얼 넘버, 사용 시간, 사용 횟수, 설정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
  3. 의료를 위한 검사 시에 관찰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화상 정보 취득 유닛과,
    상기 검사 시에 사용한 약제, 또는 기기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약제 또는 기기 정보 취득 유닛과,
    상기 화상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한 화상 정보와, 상기 약제 또는 기기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한 약제 또는 기기의 정보를 관련된 하나의 정보로서 기록하는 기록 유닛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
  4. 삭제
  5. 의료를 위한 검사 시에 관찰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화상 정보 취득 유닛과,
    상기 검사 시에 사용한 기기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기기 정보 취득 유닛과,
    상기 화상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관찰 화상을 취득함과 동시에, 상기 관찰 화상에 관련되는 설정 정보를 취득하는 화상 설정 정보 취득 유닛과,
    상기 화상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한 화상 정보와, 상기 기기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한 기기 정보와, 상기 화상 설정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한 화상 설정 정보를 관련된 하나의 정보로서 기록하는 기록 유닛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
  6. 의료를 위한 검사 시에, 상기 검사에 사용한 기기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기기 정보 취득 유닛과,
    상기 기기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한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메시지의 내 용을 결정하는 메시지 판별 유닛과,
    상기 메시지 판별 유닛에 의해 결정된 메시지 내용을 표시하는 메시지 표시 유닛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
  7. 의료를 위한 검사 시에, 상기 검사에 사용한 기기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기기 정보 취득 유닛과,
    상기 기기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한 기기 정보 중, 기기의 형명에 기초하여 메시지의 내용을 결정하는 메시지 판별 유닛과,
    상기 기기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한 기기 정보 중, 기기의 형명에 기초하여 표시 화면 레이아웃을 결정하는 표시 화면 레이아웃 판별 유닛과,
    상기 메시지 판별 유닛에 의해 결정된 메시지 내용을, 상기 표시 화면 레이아웃 판별 유닛에 의해 결정된 화면 표시 레이아웃에 따라 표시하는 메시지 표시 유닛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또는 기기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기록된 데이터는, 전자 챠트에 반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
  9. 의료를 위한 검사 시에 관찰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화상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검사 시에 사용한 기기가 갖는 고유 정보인 기기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기기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화상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한 화상 정보와, 상기 기기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한 기기 정보를 관련된 하나의 정보로서 기록하는 기록 수단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
  10. 의료를 위한 검사 시에 관찰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화상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검사 시에 사용한 약제, 또는 기기가 갖는 고유 정보인 기기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약제 또는 기기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화상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한 화상 정보와, 상기 약제 또는 기기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한 약제 또는 기기 정보를 관련된 하나의 정보로서 기록하는 기록 수단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
  11. 의료를 위한 검사 시에 관찰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화상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검사 시에 사용한 기기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기기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화상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관찰 화상을 취득함과 동시에, 상기 관찰 화상에 관련되는 설정 정보를 취득하는 화상 설정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화상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한 화상 정보와, 상기 기기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한 기기 정보와, 상기 화상 설정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한 화상 설정 정보를 관련된 하나의 정보로서 기록하는 기록 수단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
  12. 의료를 위한 검사 시에, 상기 검사에 사용한 기기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기기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기기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한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메시지의 내용을 결정하는 메시지 판별 수단과,
    상기 메시지 판별 수단에 의해 결정된 메시지 내용을 표시하는 메시지 표시 수단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
  13. 의료를 위한 검사 시에, 상기 검사에 사용한 기기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기기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기기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한 기기 정보 중, 기기의 형명에 기초하여 메시지의 내용을 결정하는 메시지 판별 수단과,
    상기 기기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한 기기 정보 중, 기기의 형명에 기초하여 표시 화면 레이아웃을 결정하는 표시 화면 레이아웃 판별 수단과,
    상기 메시지 판별 수단에 의해 결정된 메시지 내용을, 상기 표시 화면 레이 아웃 판별 수단에 의해 결정된 화면 표시 레이아웃에 따라 표시하는 메시지 표시 수단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
KR1020057018612A 2003-05-28 2004-02-27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 KR1007511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50106 2003-05-28
JP2003150106 2003-05-28
JP2003412424A JP4009583B2 (ja) 2003-05-28 2003-12-10 医療用画像記録システム
JPJP-P-2003-00412424 2003-12-10
PCT/JP2004/002439 WO2004105592A1 (ja) 2003-05-28 2004-02-27 医療用画像記録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6398A KR20050116398A (ko) 2005-12-12
KR100751160B1 true KR100751160B1 (ko) 2007-08-22

Family

ID=33455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8612A KR100751160B1 (ko) 2003-05-28 2004-02-27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38940B2 (ko)
EP (1) EP1627594B1 (ko)
JP (1) JP4009583B2 (ko)
KR (1) KR100751160B1 (ko)
CN (1) CN100563548C (ko)
AU (1) AU2004243199B2 (ko)
WO (1) WO20041055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06645A1 (en) * 2004-11-17 2006-05-18 Adhd Systems, Llc System and methods for tracking medical encounters
JP4381340B2 (ja) * 2005-04-11 2009-12-09 ジーイー・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グローバル・テクノロジー・カンパニー・エルエルシー 超音波診断装置
US20070094052A1 (en) * 2005-05-13 2007-04-26 Robert Blas Medical imaging and report management
US8310529B2 (en) * 2006-05-15 2012-11-13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processing of endoscopic images
US20080016120A1 (en) * 2006-06-29 2008-01-17 Yosi Markovich System and method for case management
US8156439B2 (en) * 2007-04-24 2012-04-10 The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imicking the display layout when interfacing to multiple data monitors
JP5026886B2 (ja) * 2007-08-10 2012-09-19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医療装置及びこの医療装置を備えた医療システム
CN103080971B (zh) * 2011-04-14 2016-09-21 东芝医疗系统株式会社 医疗信息系统及医疗信息显示装置
JP6069826B2 (ja) * 2011-11-25 2017-02-01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画像処理方法及び端末装置
DE102014109888B4 (de) 2014-07-15 2022-12-01 Karl Storz Se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Prüfen der Licht- und/oder Bildübertragungseigenschaften eines endoskopischen oder exoskopischen Systems
US9786051B2 (en) 2015-04-23 2017-10-10 Derrick K. Harper System combining automated searches of cloud-based radiologic images, accession number assignment, and interfacility peer review
US11931010B2 (en) 2017-03-24 2024-03-19 Covidien Lp Endoscopes and methods of treatment
JP2019213627A (ja) * 2018-06-11 2019-12-1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装置、機能制限方法、及び機能制限プログラム
CN109657089A (zh) * 2018-11-07 2019-04-19 重庆海特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检测记录关联数据的处理方法及检测终端
JPWO2021075306A1 (ko) * 2019-10-17 2021-04-22
US11759110B2 (en) * 2019-11-18 2023-09-19 Koninklijke Philips N.V. Camera view and screen scraping for information extraction from imaging scanner consol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0733A (ja) * 2001-08-31 2003-03-11 Olympus Optical Co Ltd 医療情報処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23945A5 (ko) * 1977-10-12 1981-06-30 Contraves Ag
US5209220A (en) * 1989-10-05 1993-05-11 Olympus Optical Co., Ltd. Endoscope image data compressing apparatus
JP3532581B2 (ja) 1992-06-04 2004-05-3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ファイル装置
JPH07141498A (ja) 1993-09-24 1995-06-02 Olympus Optical Co Ltd 医療用画像ファイル装置
US5830121A (en) * 1993-10-27 1998-11-03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Endoscopic apparatus having an endoscope and a peripheral device wherein total usage of the endoscope is quantified and recorded
JP4040698B2 (ja) * 1994-05-13 2008-01-3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医療用制御システム
JP3732865B2 (ja) * 1995-01-18 2006-01-11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内視鏡装置
US5865745A (en) * 1996-11-27 1999-02-02 Eastman Kodak Company Remote health care information input apparatus
US6331181B1 (en) * 1998-12-08 2001-12-18 Intuitive Surgical, Inc. Surgical robotic tools, data architecture, and use
JPH10290778A (ja) 1997-04-17 1998-11-04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内視鏡装置
US6059719A (en) * 1997-08-06 2000-05-09 Olympus Optical Co., Ltd. Endoscope system
US6322496B1 (en) * 1998-11-06 2001-11-27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Electronic endoscope system
JP3394742B2 (ja) * 1999-05-31 2003-04-07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内視鏡用データファイリングシステム
US6638212B1 (en) * 1999-07-27 2003-10-28 Olympus Optical Endoscope system having storage part of endoscope-related-data provided in endoscope
JP3791894B2 (ja) * 2000-05-12 2006-06-2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画像ファイリングシステム
JP4937481B2 (ja) * 2000-05-18 2012-05-23 ケアフュージョン 303、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分散遠隔アセットと薬物管理薬品投与システム
JP3864035B2 (ja) * 2000-05-19 2006-12-2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システム
JP2001345961A (ja) * 2000-05-31 2001-12-14 Kowa Co 医用画像蓄積配信装置及び該配信装置を用いた医用画像蓄積配信システム
US6976954B2 (en) * 2001-06-29 2005-12-20 Pentax Corporation Endoscope system
JP4578735B2 (ja) * 2001-08-28 2010-11-1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画像ファイリングシステム
US20030046109A1 (en) * 2001-08-30 2003-03-06 Olympus Optical Co., Ltd. Medical information system for improving efficiency of clinical record creating operations
JP4794783B2 (ja) * 2001-09-19 2011-10-1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医療用観察装置のリース管理システム
US6977670B2 (en) * 2001-09-28 2005-12-20 Penta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registration of endoscopes with databa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0733A (ja) * 2001-08-31 2003-03-11 Olympus Optical Co Ltd 医療情報処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09583B2 (ja) 2007-11-14
EP1627594A1 (en) 2006-02-22
EP1627594B1 (en) 2016-02-24
KR20050116398A (ko) 2005-12-12
AU2004243199B2 (en) 2008-08-07
US7738940B2 (en) 2010-06-15
WO2004105592A1 (ja) 2004-12-09
US20040243448A1 (en) 2004-12-02
CN1784169A (zh) 2006-06-07
CN100563548C (zh) 2009-12-02
AU2004243199A1 (en) 2004-12-09
JP2005011309A (ja) 2005-01-13
EP1627594A4 (en)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2465B2 (en) Endoscopy video feature enhancement platform
KR100751160B1 (ko)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
JP5401986B2 (ja) 診断システム
US20060106284A1 (en) Communication method of storage device, image storage system and image storage device
JP2005013573A (ja) 電子内視鏡システム
US20220361739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endoscope apparatus
JP2005143782A (ja) 医療用画像ファイリングシステム
JP6335412B1 (ja) 内視鏡画像観察支援システム
JP5872976B2 (ja) 医療画像管理装置
JP3923601B2 (ja) 内視鏡システム
JP2016220946A (ja) 内視鏡装置及び内視鏡装置の設定方法
CN112969402B (zh) 内窥镜系统以及用于内窥镜系统的图像处理装置和图像处理方法
US20200185111A1 (en)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4027842B2 (ja) 医療用画像記録装置
JP4350294B2 (ja) 医療データファイル装置
KR101064613B1 (ko) 소화 기관의 촬영 영상의 프로세싱 방법
JP2004065822A (ja) 遠隔診断システム
JP6591267B2 (ja) 内視鏡画像管理装置
JP2021133083A (ja) 医用画像録画装置およびx線撮像装置
US20230420115A1 (en) Medical care assistance system and input assistance method for medical care information
WO2023135816A1 (ja) 医療支援システムおよび医療支援方法
JPH0624504B2 (ja) 内視鏡用画像再生装置
WO2023089716A1 (ja)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2099894A (ja) 医療用画像ファイルシステム
WO2023089719A1 (ja) 映像編集装置、映像編集方法、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