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613B1 - 소화 기관의 촬영 영상의 프로세싱 방법 - Google Patents

소화 기관의 촬영 영상의 프로세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613B1
KR101064613B1 KR1020100037226A KR20100037226A KR101064613B1 KR 101064613 B1 KR101064613 B1 KR 101064613B1 KR 1020100037226 A KR1020100037226 A KR 1020100037226A KR 20100037226 A KR20100037226 A KR 20100037226A KR 101064613 B1 KR101064613 B1 KR 101064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rrected
medical
wavelength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Priority to KR1020100037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6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07Image acqui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04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 A61B1/0000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of image signals during a use of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7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upper alimentary canal, e.g. oesophagoscopes, gastrosc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 기관의 촬영 영상의 프로세싱 방법에 관한 것으로, 피검체의 소화 기관을 촬영한 의료 영상의 프로세싱 방법으로서, 상기 소화 기관의 촬영된 의료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의료 영상의 색 민감도(color sensitivity)를 정규화하여 보정하는 색민감도 보정단계와; 수신된 의료 영상의 광 반사도를 보정하는 광반사도 보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병변 부위의 촬영 영상에 대하여 미세 혈관 등이 뚜렷하게 식별되고 동시에 알아보기 쉬운 광 분포로 보정된 보정 영상을 생성하여 이를 기초로 진단하도록 함으로써, 발견하기 어려운 미세하고 불명확한 병변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소화 기관의 촬영 영상의 프로세싱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소화 기관의 촬영 영상의 프로세싱 방법{METHOD OF PROCESSING IMAGES OF DIGESTING ORGANS BY AUGMENTED LIVE-BODY IMAGE COLOR-SPECTRUM ENHANCEMENT}
본 발명은 소화 기관의 촬영 영상의 프로세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캡슐 내시경이나 일반 내시경에 의하여 피검사자의 소화 기관을 촬영한 이미지들을 관찰하면서 병증 여부를 진단하는 데 있어서, 장기의 색깔과 혈관이나 혈액의 색깔이 유사하더라도 혈흔의 분포 등을 정확히 감지하여 병증 유무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소화 기관의 촬영 영상의 프로세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소화 기관은 식도, 위장, 소장 (다시 말하면, 십이지장, 공장, 회장) 및 결장을 포함하는 몇가지 다른 기관으로 구성된다. 지금까지, 위경 검사법이나 푸쉬 엔테로스코피 콜로노스코피(push enteroscopy colonoscopy)와 같은 다양한 내시경 방법이 인체의 소화 기관을 시각적으로 보는 진단 도구로 지금까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내시경 방법은 인체의 소화 기관을 직접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진단하는 장점이 있지만, 소화 기관의 부위에 따른 고유의 색과 대비되는 병변 부위의 점막 색은 눈에 잘 띄지 않아, 내시경 장치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소화 기관을 관찰하면서도 미세 혈관이나 병변을 놓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소화 기관의 색깔을 고려하여 특정 색 파장 대역(예컨대, 390nm 내지 700nm)을 필터링하는 색필터(color filter)가 장착된 내시경 장치가 사용되기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계적인 색필터는 광원에 대한 렌즈 특성에 따라 그 작용이 달라지는 데, 렌즈를 제조하는 데 매우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어 내시경 장치의 가격이 매우 높아지는 경제성 측면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기계적 색필터를 장착한 내시경 장치는 필터를 장착될 때에 약간의 각도만 틀어져도 필터링 오류를 안게 되어 의도한 대역의 파장에서 소화 기관 내의 촬영 영상을 필터링하지 못하여 병변을 놓치는 문제가 여전히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장기간 동안 필터를 사용하면 장착된 필터가 노후화되어 점점 필터링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도 야기되었다.
이와 같은 기계적 필터를 장착한 내시경 장치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가지면서, 저렴한 방법으로 소화 기관의 병변을 놓치지 않도록 색처리를 할 수 있는 방안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캡슐 내시경이나 일반 내시경에 의하여 피검사자의 소화 기관을 촬영한 이미지들을 관찰하면서 병증 여부를 진단하는 데 있어서, 장기의 색깔과 혈관이나 혈액의 색깔이 유사하더라도 혈흔의 분포나 특히 미세 혈관을 명확히 관찰하여 병증 유무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소화 기관의 촬영 영상의 프로세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내시경 장치의 수명이나 가격에 영향을 주지 않고서, 저렴하고 장기간에 걸쳐 신뢰성있게 의료 영상에 대한 색처리를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의료 진단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로세싱 방법에 의해 생성된 소화 기관의 보정 영상을 촬영 당시의 고유의 촬영 영상과 함께 저장해둠으로써, 진단자가 촬영 영상들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원래의 촬영 영상(original image)과 프로세싱 방법에 의해 보정된 보정 영상(processed image)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진단자의 편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을 달성하기 위하여, 피검체의 소화 기관을 촬영한 의료 영상의 디스플레이 프로세싱 방법으로서, 피검체의 소화 기관을 촬영한 의료 영상의 디스플레이 프로세싱 방법으로서, 상기 소화 기관의 촬영된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 영상의 적색(Red), 청색(Blue), 녹색(Green)의 색분포에 대한 색 민감도 보정을 행하되, 다수의 파장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파장 간격으로 스펙트럼 보정 영상을 생성하는 보정영상 생성단계와; 상기 스펙트럼 보정영상들 중 하나 이상의 보정 영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 수단을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선택수단 표시단계와;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보정 영상을 상기 화면에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보정영상 확대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의 디스플레이 프로세싱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정상적이지 않은 병변 부위의 촬영된 영상에 대하여 미세 혈관 등이 뚜렷하게 식별되고 동시에 알아보기 쉬운 광 분포로 보정된 보정 영상을 생성할 수 있어서, 식도, 위, 십이지장, 소장, 대장 등의 조기 암 등 발견하기 어려운 미세하고 불명확한 병변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유리한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선택 수단 표시단계는, 하나의 촬영 영상에 대하여 다수의 파장에 대하여 생성된 스펙트럼 보정 영상들을 상기 촬영 영상보다 작은 크기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보정영상 확대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된 작은 크기의 보정 영상들 중 선택된 보정 영상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파장값을 달리하는 다수의 보정 영상을 한눈에 보면서, 진단자는 보정 영상의 색상 패턴들을 작은 크기의 썸네일 보정 영상을 통해 한눈에 확인하면서 색 민감도 보정을 행한 파장값이 어느정도가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지식이 없더라도 원하는 (색 민감도 보정 파장 값에 따라 달라지는) 색상 패턴 별로 확대할 수 있게 되어, 촬영 영상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미세 혈관의 영상을 쉽게 선택하여 또렷하게 살펴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선택 수단 표시단계는, 하나의 촬영 영상에 대하여 다수의 파장에 대하여 생성된 스펙트럼 보정 영상들을 스크롤할 수 있는 슬라이드 바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보정영상 확대단계에서는 상기 슬라이드 바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다수의 스펙트럼 보정 영상들이 예정된 순서대로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이는, 진단자가 미리 예정된 차례대로 보정 영상들을 확대하여 ??어보는 것에 의하여, 원하는 패턴의 보정 영상이 발견되면 곧바로 정지시켜 살펴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택 수단 표시단계는, 하나의 촬영 영상에 대하여 다수의 파장에 대하여 생성된 스펙트럼 보정 영상들의 파장 대역의 입력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보정영상 확대단계에서는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파장 값에 따라 해당 파장으로 보정된 보정 영상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이는, 그 동안의 경험에 의하여 장기의 영역별로 보정 영상의 보정 파장에 관한 정보를 습득하고 있는 진단자가 원하는 파장 대역으로 입력부에 셋팅하여, 원하는 보정 패턴의 보정 영상을 다른 보정 영상과 대비하지 않고서 곧바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밀한 파장 값을 기초로 보정 영상을 다수 생성한 스펙트럼 보정 영상들을 선택하는 데 있어서, 상기와 같이 선택 수단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진단자가 필요로 하는 보정 영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단자의 경험에 따라 또렷하고 정확한 병증 진단에 필요한 보정 영상을 짧은 시간 내에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적색, 청색, 녹색의 색분포에 대하여 모두 동일한 파장에 대하여 보정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지만, 각각 서로 다른 파장에 대하여 보정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영상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3가지의 색분포에 대하여 각각 적절한 파장을 적용하여, 병변 부위의 촬영 영상을 뚜렷하게 식별되도록 프로세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파장 영역은 혈액의 적외선 파장 영역에서 선택함으로써, 예를 들어 용종(polyp)이 발생되면 열이 많이 발생되므로, 적외선 파장 영역에서 색 민감도 보정을 행하여, 두꺼운 표피를 관통하여 확인하지 못하더라도, 용종 주변의 열분포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얻어진다.
이와 같이 촬영 영상에 대하여 보정 영상을 다양한 파장에 대하여 보정 영상을 만들어둔 상태에서, 진단자의 선택에 따라 기준 파장값을 달리하면서 보정 영상을 살펴보는 것에 의하여, 육안으로는 알아보기 어려운 혈흔이나 미세 혈관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살펴보면서 진단할 수 있다.
이 때, 촬영 영상과 보정 영상 중 어느 하나만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지만, 촬영 영상과 보정 영상이 화면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원래 촬영 영상을 기초로 보정 영상을 함께 살펴보는 것에 의하여 촬영 영상을 토대로 식별이 어려운 부분을 보정 영상으로 보완하는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색민감도 보정단계는 예를 들어 청색광(B)의 파장 400nm 내지 450nm 사이의 파장에 대하여 필터링하고, 녹색광(G)의 파장 500nm 내지 550nm 사이의 파장에 대하여 필터링 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통해 보다 높은 식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보정 영상을 상기 촬영 영상과 함께 전자 파일의 진단자 영역에 의료 데이터 파일로 저장하는 매체를 제공함으로써, 진단자가 촬영 영상과 보정 영상을 택일하거나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정확하고 편리한 진단을 보조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 매체는 하드 디스크, 메모리 칩, USB 메모리, CD-ROM, DVD 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형태의 모든 매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 매체는 상기 프로세싱 방법에 의해 얻어진 보정 영상을 프로세싱하는 프로세싱 장치에 장착된 매체도 포함되지만, 이 프로세싱 장치로부터 유무선으로 네트워크 연결되어 상기 의료 데이터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한 매체나, 그 밖의 다른 방법으로 송수신 되어 저장하고 있는 매체도 포함한다.
이와 함께, 상기 저장되는 의료 데이터 파일에는 진단 과정에서 뷰어에 표시되는 촬영 영상과 진단자가 입력한 주석이 함께 포함되는 진단자 영역을 갖는 의료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는 의료 데이터 파일 생성부가 추가적으로 진단자 영역에 구비된다. 이를 통해, 상기 의료 데이터 파일은 촬영 영상에 대하여 진단자 필드에 기억하고자 선별된 의료 영상들과 이 의료 영상들의 각각에 대한 의사의 진단 소견이 반영되는 주석(comment)과, 피검사자의 의료 기록만을 포함하게 되어,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이나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 환경을 구축하는 경우에 의사의 진단 소견과 피검사자의 의료 기록을 확보할 수 있게 되므로 2차 진단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잇점이 얻어진다.
예를 들어, 의사가 해당 의료 영상에 대해 입력한 주석도 함께 의료 데이터 파일에 포함되므로, 이 의료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여 추후에 진단을 재차 확인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고, 다른 의사에게 전송하여 다른 의사의 소견을 반영할 수도 있으며, 반대로 다른 의사의 의료 영상에 대한 진단 소견을 의료 데이터 파일로 호출하여 의학적 소견을 수정하거나 추가로 반영하여 상호 공유할 수도 있다. 즉, 피검사자의 내시경 검사 결과를 많은 의사들이 상호 공유하는 것이 용이해지므로, 생성된 의료 데이터 파일을 이용하여 원격으로도 진단 결과를 상호 교류할 수 있게 되어, 진단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함께 얻을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이와 같이 생성된 의료 데이터 파일은 질병을 진단하는 데 필요한 주요 의료 영상을 기초로 이루어지므로, 캡슐 내시경으로부터 수신된 다수의 촬영 영상과 진단 소견을 분리되지 않은 하나의 의료 데이터 파일로 생성할 수 있게 되므로, 생성된 의료 데이터 파일을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진단 데이터 베이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도 얻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의료 데이터 파일은, 이미지 파일의 시작을 나타내는 제1필드, 이미지 파일의 끝을 나타내는 제2필드, 상기 촬영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촬영 영상을 하나 이상의 파장을 기준으로 보정하여 생성한 보정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가 함께 기록되는 진단자 영역을 포함하도록 하나의 의료 데이터 파일로 생성한다. 상기 의료 데이터 파일은 영상 데이터 필드와 텍스트 데이터 필드를 함께 포함할 수 있는 jpg, tif, png, wmf 등 범용 파일 형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의료 데이터 파일 생성부는 이미 생성된 의료 데이터 파일을 수정하여 다시 재생성하거나 업데이트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는, 1차 진단자가 생성한 의료 데이터 파일을 공유하는 2차 진단자가 새로운 의견을 상기 의료 데이터 파일에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진단 정확도가 높은 의료 데이터 파일을 업데이트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프로세싱 방법에 하여 생성된 의료 데이터 파일을 저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검체의 소화 기관을 촬영한 의료 영상의 프로세싱 방법으로서, 피검체의 소화 기관을 촬영한 의료 영상의 디스플레이 프로세싱 방법으로서, 상기 소화 기관의 촬영된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 영상의 적색(Red), 청색(Blue), 녹색(Green)의 색분포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다수의 파장에 대하여 색 민감도 보정, 광반사도 보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행하여 다수의 파장에 대한 다수의 보정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 영상과 상기 보정 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병변 부위의 촬영 영상에 대하여 미세 혈관 등이 뚜렷하게 식별되고 동시에 알아보기 쉬운 광 분포로 보정된 보정 영상을 생성하여 이를 기초로 진단하도록 함으로써, 발견하기 어려운 미세하고 불명확한 병변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소화 기관의 촬영 영상의 프로세싱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로세싱 방법에 의해 미약한 병변이라도 식별을 보다 용이하게 뚜렷하게 할 수 있도록 보정된 보정 영상들을 진단 의사에 의해 입력된 진단 소견 등과 함께 기록되는 매체를 제공함으로써, 클라이언트 서버 환경이나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 환경을 구축하는 경우에 의사가 입력한 진단 소견과 식별 가능한 보정 영상을 함께 획득할 수 있게 되므로, 캡슐 내시경에 의해 촬영된 의료 영상의 진단 행위의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캡슐 내시경에 의해 촬영된 의료 영상의 이미지 파일과 기본적인 의료 기록 및 진단 소견을 포함하는 진단자 필드를 갖는 교환 가능한 포맷의 의료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여 클라이언트-서버 환경 및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 환경에서 상호 의료 데이터 파일을 교환하여 진단을 보충하거나 원격으로 진단 소견을 용이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피검사자의 내시경 검사 결과를 하나의 의료 데이터 파일에 모두 저장하고, 이를 호출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함에 따라, 피검사자의 검사 결과를 일목 요연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하므로, 담당 의사가 별도의 진단서를 작성하지 않더라도 병변이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영상을 캡쳐하면서 병증 소견을 주석란에 입력하는 것만으로도 간편하게 내시경 진단서를 작성하게 되므로, 진단의 편의를 크게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도1은 캡슐 내시경에 의해 소화 기관의 촬영 영상을 획득하는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 기관의 촬영 영상의 프로세싱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3은 촬영 영상의 적색, 녹색, 청색의 색분포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4은 촬영된 의료 영상의 청색, 녹색, 적색의 색분포 함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5는 광 반사도 보정을 위한 광반사 함수(Ref(λ))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6은 촬영 영상과 보정 영상의 관계를 도시한 관계도
도7a는 일례의 촬영 영상의 사진
도7b 및 도7c는 도7a의 촬영 영상의 파장 대역을 달리한 보정 영상의 사진
도8a 내지 도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9는 도2의 파일 저장 단계에서 캡쳐된 보정 영상, 의료 영상 및 병증 소견을 저장한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10은 도2의 서머리 형태의 진단서를 디스플레이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 기관의 촬영 영상의 프로세싱 방법(S100)을 상술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검체의 소화 기관을 촬영한 이미지들의 프로세싱 방법(S100)은 상기 소화 기관의 촬영된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S110)와, 촬영 영상의 색 민감도(color sensitivity)를 보정하는 1차보정단계(S120)와, 1차 보정된 영상의 광 반사도를 보정하는 2차보정단계(S130)와, 1차보정단계(S120)와 2차보정단계(S130)를 거치면서 식별하기 용이하게 보정된 보정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S140)와, 촬영 영상이나 S120단계 및 S130단계에서 보정된 보정 영상 중 선택된 하나의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면서 진단자에 의해 병변 의심 영상을 캡쳐하는 캡쳐 단계(S150)와, 캡쳐 단계(S160)가 종료되면 캡쳐된 영상을 서머리형태의 진단서 양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진단서 디스플레이 단계(S170)와, 보정 영상과 촬영 영상 및 진단 소견을 하나의 의료 데이터 파일에 모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단계(S180)로 구성된다.
단계 1: 먼저 일반적인 유선(有線)형 내시경 장치에 의해 촬영된 촬영 영상이나, 도1에 도시된 캡슐 내시경(50)에 의해 촬영된 피검사자(40)의 장기(41) 내부의 의료 영상을 수신기(60)를 거쳐 유무선 방식에 의해 프로세싱 장치(1)에 수신한다(S110).
필요에 따라, 촬영된 의료 영상 데이터는 오버랩되거나 소정의 연산 처리에 의해 원하는 병증에 근접한 이미지만을 추출하여 의료 영상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촬영된 의료 영상은 수신기(60)로부터 직접 수신될 수도 있고, 의료 영상을 저장해둔 영상 데이터베이스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단계 2: 그 다음, 의료 영상의 수신단계(S110)에서 수신한 촬영 영상에 대하여 청색(B), 녹색(G), 적색(R)에 대하여 각각 장기 고유의 색에 대비하여 병변이 잘 보이는 파장 대역을 중심으로 다수의 파장에 대하여 색 민감도 보정을 행한다(S120).
즉, 캡슐 내시경(50)에 의해 촬영된 촬영 영상의 하나하나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 분포(50R)와 녹색 분포(50G)와 청색 분포(50B)를 투영하여 표시되는 색으로 각 픽셀(n)의 색깔이 표시된다. 이 때, 촬영 영상의 픽셀은 예를들어 256x256일 수도 있고, 1024x768 등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영 영상의 각각의 색 분포(50R, 50G, 50B)의 각 픽셀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색 민감보 보정함수(예를 들어, 도4에 도시된 색민감도 보정함수)의 특정 파장 값에서 연산을 통해 각 픽셀의 색깔을 필터링 보정을 한다. 예를 들어, 적색 분포(50G)의 두 번째 픽셀(Ra2)을 도4에 도시된 색 민감도 보정함수를 이용하여 λ1의 파장으로의 색보정을 하는 경우에는, 이 픽셀(Ra2)의 색지수값(예를 들어, 10)과 도4의 색민감도 보정함수 중 적색보정함수(R(λ))의 λ1에서의 값(R(λ1))을 곱하여 보정 영상의 적색 분포의 2번째 픽셀의 값으로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촬영 영상(original image)의 적색 분포(50G)의 모든 픽셀에 대하여 적색보정함수(R(λ))의 λ1에서의 값(R(λ1))을 곱하여 보정 영상의 적색 분포값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녹색 분포(50G)와 청색 분포(50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색 민감도 보정함수를 이용하여 λ1의 파장으로의 색보정된 분포값을 얻을 수 있다.
즉, 다음식에 의해 촬영 영상의 각각의 픽셀에 대하여 특정 파장(λ1)에서의 색보정을 도4의 색민감도 보정함수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Ra'(x,y) = R(λ1)*Ra(x,y)
Ga'(x,y) = G(λ1)*Ga(x,y)
Ba'(x,y) = B(λ1)*Ba(x,y)
여기서, Ra(x)는 촬영 영상의 색지수값이고, Ra'(x)는 색민감도가 보정된 제1차 보정 영상의 색지수값이며, x, y는 각 픽셀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4에 도시된 색민감도 보정함수는 국제조명위원회(CIE)에서 제시하고 있는 육안으로 알아보기 쉬운 백색광에 관한 파장별 색민감도 보정함수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해 생성되는 보정 영상은 도4의 색민감도 보정함수에 의해 행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태의 색민감도 보정함수에 대하여 행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색민감도 보정 단계(S120)는 미리 정해진 하나의 파장값에 대해서만 행해질 수도 있지만, 미리 정해진 간격의 다수의 파장 값에 대하여 행함으로써, 촬영 영상에 대하여 다양한 파장값에 대하여 보정 영상을 생성한 후, 진단 과정에서 이를 선택하여 살펴보는 것이 육안으로 식별이 어려운 영상을 식별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데 보다 효과적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촬영 영상의 적색 분포(50R), 녹색 분포(50G) 및 청색 분포(50B)의 각각에 대하여 보정 분포를 생성하는 데 있어서, 모두 동일한 파장(λ1)에 대하여 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청색(B)은 400nm파장의 값, 녹색(G)은 500nm파장의 값, 적색(R)은 660nm 파장의 값으로 필터링될 수 있다. 이러한 빛의 파장 중에 특히 짧은 청색광(중심 파장 대역 400nm 내지 450nm)은 점막층의 아주 얕은 부분까지만 침투하여 신체 조직의 점막에 대한 굴곡 등의 표면 구조와 표층의 모세 혈관망 등 미세 혈관도 선명한 영상으로 볼수 있게 하므로, 청색광의 색분포 함수(B)에 대해서는 파장대역 400nm 내지 450nm의 파장에 대한 필터링을 행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빛의 파장 중 비교적 짧은 녹색광(중심 파장 대역 500nm 내지 550nm)은 소화기의 표피 점막층 밑의 혈관망에 침투하여 점막층 내부 혈관을 관찰하는 데 용이하므로, 녹색광의 색분포 함수(G(λ))에 대해서는 파장대역 500nm 내지 550nm의 파장에 대한 필터링을 행하는 것이 좋다.
이를 통해, 적색, 녹색, 청색 의 각 색깔별로 육안으로의 부족한 식별력을 보완하는 특정 파장값으로 미리 보정 영상을 생성하여, 하나의 보정 영상이 적색, 녹색, 청색의 색깔별로 취약한 시력을 보완하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단계 3: 그리고 나서, 1차 보정된 영상에 대하여 보기 좋은 반사도를 갖도록 광반사도 보정을 행한다(S130). 이는 대체로 렌즈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D6500의 백색광이 사람의 시야에 가장 편안한 반사도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백색광의 반사도 함수로 보정함으로써, 낮은 등급의 렌즈를 사용하여 소화 기관을 촬영하더라도, 진단자가 알아보기 쉬운 광 반사도를 갖는 보정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3의 두 번째 픽셀(Ra2, Ga2, Ba2)에 대하여 파장 λ1에서 색민감도 보정을 행한 이후에는 각각의 색지수값이 Ra'2, Ga'2, Ba'2의 값을 갖는다. 이 값에 대하여 다음ㅭ2,나타난 바와 같이 특정 파장(λ1)에 대한 광반사도값 Ref(λ1)을 곱하면, 광반사도 보정이 된 값으로 각 픽셀의 색지수값은 보정된다.
Ra"(x,y) = Ref(λ1)*Ra'(x,y)
Ga"(x,y) = Ref(λ1)*Ga'(x,y)
Ba"(x,y) = Ref(λ1)*Ba'(x,y)
여기서, Ra"(x)는 광 반사도값이 보정된 2차 보정영상의 색지수값이고, x, y는 각 픽셀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며, Ref(λ)(예를 들어, 도5에 도시된 파장별 광반사도 분포도)는 원하는 반사도를 갖는 광특성 분포를 갖는 파장 대역에 대한 분포 함수이다. 이 때, 광반사도를 보정하는 파장은 색민감도 보정시 사용한 파장(λ1)와 동일하지 않은 파장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색민감도 보정(S120)과 광 반사도 보정(S130)을 행하면, 신체 조직에 침투하는 빛의 깊이가 파장에 따라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협소한 파장 대역의 빛에 신체 조직을 노출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어, 나안에 의해서는 소화 기관의 얇은 혈관이 잘 보이지 않던 도7a의 의료 영상이 도7b 또는 도7c의 보정 영상과 같이 선명하게 보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도7b의 보정 영상은 도7a의 촬영 영상에 대하여 청색 분포에 대해서는 420nm 파장에서, 녹색 분포에 대해서는 480nm 파장에서, 적색 분포에 대해서는 500nm 파장에서 색민감도 보정을 한 후에 505nm파장에서 광반사도 보정을 행한 영상이며, 도7c의 보정 영상은 도7a의 촬영 영상에 대하여 청색 분포에 대해서는 400nm 파장에서, 녹색 분포에 대해서는 450nm 파장에서, 적색 분포에 대해서는 520nm 파장에서 색민감도 보정을 한 후에 495nm파장에서 광반사도 보정을 행한 영상이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파장 대역에서 색민감도 보정 및 광반사도 보정을 하는 것에 의하여, 적색 계열의 원래의 촬영 영상(original image)이 다양한 색깔 패턴의 보정 영상(processed image)을 생성할 수 있으며, 잘 보이지 않는 미세 혈관을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 2와 단계 3에서의 색민감도 보정과 광반사도 보정을 행하는 것은 하나의 파장 값에 대하여 행할 수도 있지만,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민감도 보정함수와 광반사도 보정함수에 대하여 많은 파장 값에서 보정을 행한다. 즉, 하나의 촬영 이미지(original image)는 적색 분포(50R), 녹색 분포(50G) 및 청색 분포(50B)에 대하여 다양하게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파장값(x1, x2, x3, x4...; y1, y2, y3, y4...; z1, z2, z3, z4...)에 대한 보정 영상이 생성 하나 그리고, 파장 값은 자외선 영역이나 가시 광선 영역에 한정되지 않고, 750nm 이상의 적외선 영역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또한, 보정 영상을 생성하는 파장 간격을 조밀하게 (예를 들어, 5nm간격) 함으로써, 생성된 보정 영상을 나열하면 파장별로 보정된 이미지들이 나열된 스펙트럼 보정 영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4: 그리고, 촬영 영상들에 대하여 색민감도 보정(S120)과 광 반사도 보정(S130)을 행하여 얻어진 보정 영상들을 프로세싱 장치(1)의 메모리(미도시) 또는 서버의 메모리에 저장한다(S140).
단계 5: 이와 같이 저장된 보정 영상들은 진단자에 의해 직접 프로세싱 장치(1)에서 진단에 활용될 수도 있고, 별도의 서버에 저장되어 진단자가 진단하고자 할 때에 서버로부터 불러들이거나 다운받아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보정 영상을 살펴보면서 진단할 수 있다.
즉,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자가 프로세싱 장치의 디스플레이(110)를 사용하여 진단하는 경우에는, 진단 의사는 먼저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영상이나 S120단계 및 S130단계에서 생성된 특정 파장의 보정 영상 중 어느 하나로 화면(110)의 메인 윈도우(111)에 재생하면서, 병변으로 의심되는 영상이 있는지를 살펴본다. 화면(110)에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화면이 촬영 영상인지 보정 영상인지를 표시하는 안내 문구(111a)가 표시된다.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영상이 메인 윈도우(111)에 재생되고 있는 경우에는 '보정영상표시'라는 버튼(116)을 클릭하여 도8b 내지 도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영상과 보정 영상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진단자가 촬영 영상 만으로는 육안으로 식별이 어려운 경우에는 다양한 파장 값에 대하여 색 민감도 보정을 행한 파장 대역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수단이 화면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메인 윈도우(111)에 촬영 영상이 재생되고 있는 경우에,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촬영 영상에 대하여 다수의 파장에 대하여 생성된 보정 영상들을 상기 촬영 영상보다 작은 크기의 썸네일 이미지(119)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며, 진단자가 재생되고 있는 촬영 영상의 파장 보정된 보정 영상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어키(112) 중 '멈춤'버튼을 누른 후, 작은 크기의 썸네일 이미지로 디스플레이되는 보정 영상들(119) 중 어느 하나(119a)를 선택하면, 상기 보정 영상(119)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썸네일 이미지(119)들이 선택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 때, 하나의 촬영 영상에 대하여 조밀한 파장 대역으로 보정 영상이 생성되므로, 썸네일 이미지(119)로 디스플레이되는 보정 영상들은 스펙트럼 보정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정 영상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스크롤 바를 이용하여 화면에 썸네일 형태의 보정 영상의 일부만 표시되도록 하고 진단자의 선택에 의하여 모든 썸네일 형태의 보정 영상을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썸네일 이미지로 표시되는 보정 영상들(119)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확대하는 구성은 별도의 이미지 왼도우가 팝업창 형태로 표시되면서 확대할 수도 있고, 도8c 및 도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영상과 한 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촬영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메인 윈도우(111)와 나란히 위치한 제2메인 윈도우(111')에 선택된 보정 영상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보정 영상(119a)을 제2메인 윈도우(111')에 확대되어 디스플레이하면서도, 보정 영상의 스펙트럼 이미지들은 썸네일 형태로 하부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를 통해, 이미 제2메인윈도우(111')에 표시되고 있는 보정 영상을 또 다른 파장에 대한 보정 이미지로 변환하여 교체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특정 촬영 영상에 대한 다수의 스펙트럼 보정 영상들을 제2메인 윈도우(111')에 재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8c에 도시된 제2윈도우(111')의 보정 영상의 파장 대역을 고정한 상태로, 제1메인 윈도우(111)에는 촬영 영상이 표시되고 제2메인 윈도우(111')에는 보정 영상이 표시되면서 함께 재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촬영 영상은 다수의 파장별로 다양한 보정 영상이 생성되어 있으므로, 도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메인윈도우(111')에 표시되는 보정 영상은 적색, 녹색, 청색 분포의 색 민감도 보정함수의 파장 대역을 조절키(118a)로 클릭하여, 원하는 파장 값(118)을 입력하는 입력부가 선택 수단으로 구비되어, 입력부에 입력된 파장값에 대한 보정 영상이 촬영 영상과 함께 곧바로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나의 촬영 영상이 제1 메인윈도우(111)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보정 영상의 선택 수단으로서 타임바(113)와 유사한 모양의 스크롤 바가 화면에 표시되어, 촬영 영상으로 또렷하게 식별되지 않는 하나의 촬영 영상에 대하여, 스크롤 바의 바를 드래그하여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다수의 파장값에서 색민감도 보정된 스펙트럼 보정 영상들을 미리 정해진 차례대로 보정 영상을 확대하여 제2메인 윈도우(111')에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촬영 영상은 캡슐 내시경 등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자체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캡슐 내시경 등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파장에 대하여 색 민감도 보정을 행한 것 이외의 다른 보정 처리를 한 이미지들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파장 값에서의 보정 영상을 진단자가 선택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촬영 영상과 보정 영상을 한눈에 대비하여 촬영 영상에는 잘 나타나지 않는 미세 혈관이나 병변을 놓치지 않고 찾아낼 수 있게 되므로, 보다 정확한 진단을 가능하게 한다.
진단자가 촬영 영상과 보정 영상을 동시에 화면(110)에 표시하면서 수많은 의료 영상을 살펴보는 것은 시각적으로 쉽게 피로해질 수 있으므로, 이 중 어느 하나만을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고,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영상만을 화면(11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 상태에서 약간의 의심이 되는 촬영 영상에 대하여, 다양한 파장 값에 대하여 색민감도와 광반사도가 보정된 보정 영상을 함께 디스플레이시켜 병변의 검색을 보조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진단 의사는 메인 윈도우(111)에서 재생되는 보정 영상을 살펴보는 데 있어서, 조작키(112)를 이용하여 반복 재생, 빨리 보기, 뒤로 재생, 일시 정지 등의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키(112)의 하부에는 타임바(113)가 위치하여 전체 재생 시간에서 현재 메인 윈도우(111)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이 어느 위치인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타임바(113)의 하부에는 메인 윈도우(111)에서 재생중인 영상(111a)의 이전 이미지들(111a'...) 및 이후 이미지들(111a"....)이 썸네일 형태로 함께 표시되어, 인접한 부위와 특이한 외양이 있는지를 한눈에 알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소화 기관의 영상을 메인 윈도우(111) 및 그 아래의 썸네일 형태(111a', 111a, 111a")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110)을 살펴보면서, 병증이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영상은 추후에 다시 살펴보도록 캡쳐한다(S150).
한편, 진단 의사는 소화 기관의 보정 영상을 살펴보면서, 실제 촬영된 촬영 영상과 1:1로 대비하면서 병변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를 위하여, 메인 윈도우(111)의 상측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영상이 '보정 영상'인지 '촬영 영상'인지를 텍스트 형태(111a, 111b)로 표시하며, 도8b에 도시된 복귀 버튼(116')을 클릭하여 촬영 영상과 보정 영상 중 어느 하나만 표시되는 그 이전 단계로 회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캡쳐된 영상에 대해서는 주석 기재란(117)에 텍스트 형태로 소견을 입력하거나, 마이크 모양의 아이콘(117a)을 눌러 음성으로 입력해 둘 수 있다. 이를 통해, 캡쳐된 영상만을 따로 정리하여 살펴볼 때에 처음 진단시에 진단하였던 병증을 다시한번 확인하여 보다 정확한 진단을 가능하게 한다.
단계 6: 그 다음, S150단계에서 캡쳐한 영상들을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머리 형태(70)로 디스플레이한다(S160). 이 때, 피검사자의 이전의 진단 결과나 병력, 가족력 등이 현재의 진단에 참고가 되므로, 병력등 데이터를 별도의 서버로부터 불러들여 상측의 이전 진단 결과란(71)에 표시하고, 캡쳐된 영상의 주석(72)과 보정 영상(73) 및 촬영 영상(74)을 함께 나열하여 표시한다. 이 때, 보정 영상(73)에 대해서는 스펙트럼 정보(즉, 파장 변환 조건)이 함께 표시된다. 그리고, 맨 하단에는 캡쳐된 영상 및 진단 소견을 참고로 최종적인 진단 소견(75)을 표시한다.
도6에 도시되는 서머리 형태의 진단 보고서는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일부 영상을 제외시키거나 다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며, 각 영상별 증상/주석 및 최종 진단 소견 등을 수정할 수도 있도록 표시된다. 그리고, 도6에는 보정 영상과 촬영 영상이 동시에 표시되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진단자의 선택에 의해 병변이 보다 선명하게 드러나는 영상을 선택하여 하나의 영상만을 표시할 수도 있다.
단계 7: 상기와 같이 진단 보고서가 완료된 상태에서는 사실상 진단이 완료되지만, 병변 영상으로 의심되는 보정 영상과 촬영 영상 및 진단 소견을 함께 의료 데이터 파일(200)로 저장한다(S170).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의료 데이터 파일(200)는 캡쳐된 촬영 영상, 보정 영상의 데이터 뿐만 아니라, 이들 의료 영상에 대해 입력된 주석과 피검사자의 의료 기록이 진단자 필드에 함께 포함되도록 의료 데이터 파일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JPEG 범용 파일을 이용하여 의료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는 경우에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 데이터 파일(200)은 이미지 파일의 시작을 나타내는 제1필드(SOI, Start of Image, 210)와, 이미지 파일의 끝을 나타내는 제2필드(EOI, End of Image, 240)를 포함하며, 제1필드(210)와 제2필드(240)의 사이에 영상 기억부(115)에 기억된 촬영 영상들과 보정 영상들 및 영상들에 대해 진단 의사가 입력한 주석 및 의료 기록 등의 의료 정보를 삽입하는 진단자 필드(220)와, 의료 데이터 파일의 대표 이미지를 저장하는 대표 이미지 필드(230)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대표 이미지는 jpeg파일을 일반 PC에서 불러들일 경우에 외부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의미하며 반드시 의학적으로 병증 대표 이미지로 국한되지 않는다. 그 밖에 다른 필드들(COM, DQT, SOF, DHT, SOS)들도 포함된다.
여기서, 의료 데이터 파일(200)의 진단자 필드(220)는 각각의 병증과 의료 영상이 1:1로 대응하도록 n개의 의료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영역(221)이 구비된다. 여기서, 'Finding'이라고 표시된 것은 '병증'이나 '질병'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캡쳐 당시에 입력해둔 소견(117) 또는 분류 명칭에 대응한다. 따라서, 'Finding'은 반드시 하나의 병증이나 질병에 국한될 필요가 없다.
즉, 하나의 의료 데이터 파일(200)에는 다양하게 분류된 촬영 영상 데이터(original image data #n)와, 이 촬영 영상을 다양한 파장별로 보정한 보정 영상 데이터(processed image data #n-1, processed image data #n-2, processed image data #n-3...)이 함께 포함되고, 이들 촬영 영상의 각각에 대하여 의사가 문자나 음성으로 입력한 주석(finding #n)이 하나의 군(221a)을 이루어 다양한 촬영 영상에 대한 의료 정보 데이터가 제1영역(221)에 포함됨으로써, 캡쳐된 촬영 영상들의 각각의 속성을 유지한 상태로 이들 각각에 대한 보정 영상 데이터 및 음성이나 문자로 입력된 주석과 연계되어 촬영 영상과 및 다수의 보정 영상을 하나의 전자 파일로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 보정 영상 데이터(processed image data #n-1...)에는 적색, 녹색, 청색의 각각의 보정된 파장이 함께 표시되어, 보정 조건을 진단자가 추후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의료 데이터 파일(200)의 진단자 영역(220)에는 파일의 대표 이미지로 표시되는 메인 이미지 데이터(230)에 대해 입력된 주석 등이 있다면 이를 포함하는 제2영역(222)이 구비되며, 환자관리 시스템 서버로부터 수신되어 뷰어(110)를 통해 의료 영상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진단에 필요하여 뷰어(110)에 표시되었거나 진단자에 의해 선택된 의료 기록 데이터가 포함되는 제2영역(223)이 구비된다. 이 때, 피검사자의 의료 기록 중 특정한 의료 영상에 참작할 사항이 있다면, 뷰어(110)에 표시되고 있는 의료 기록의 일부 또는 전부를 주석에 반영하여 기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영역(221)의 '의료 정보'에는 피검사자의 의료 기록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제1영역(221)의 '의료 정보 데이터'는 진단 소견으로 입력된 주석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진단자에 의해 입력되는 주석을 포함하여 진단에 필요하거나 진단 소견을 나타내는 다양한 의료 정보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 파일(200)(이때, 일반적인 이미지 뷰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외부에 보여지는 이미지는 대표 이미지 필드(230)에 포함된다)에 진단자가 임의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진단자 필드(220)를 구비하고, 이 진단자 필드(220)에 다수의 의료 영상과 이들 각각에 대한 의료 정보 데이터가 연계되고 병증별로 분류되어 제1영역(221)에 포함하며, 환자관리 시스템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필요한 의료 기록도 제3영역(223)에 데이터화하여 포함함으로써, 피검사자의 진단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하나의 파일에 넣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파일로 생성된 의료 데이터 파일을 이용하여, 진단 의사들 간에 진단 데이터를 상호 공유하는 것이 간편해지고 의견 교환(도9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진단자 필드(220)에 의견 교환을 위한 제5영역이 구비될 수 있으며, 최종 진단 정보의 영역을 이용하거나 각 의료 영상에 대한 주석에 의견을 반영하여 의견 교환을 할 수도 있다.)도 보다 간편해지며, 피검사자의 진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도 훨씬 용이해지는 장점이 얻어진다.
상기 의료 데이터 파일은 이미지 파일에 진단자 필드를 함께 포함할 수 있는 jpg, tif, png, wmf 등 범용 파일 형식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의료 데이터 파일(200)은 하나의 의료 영상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의료 영상들이 포함하도록 생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 기관의 촬영 영상의 프로세싱 방법은 촬영 영상에 비하여 병변 부위의 미세 혈관 등을 보다 선명하고 또렷하게 관찰할 수 있는 보정 영상을 생성하여, 이에 기초하여 수많은 촬영 영상으로부터 병변 여부를 진단하므로, 보다 신속히 영상을 진행시키면서도 보다 정확한 진단을 가능하게 하는 유리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촬영 영상이 포함되는 이미지 필드(230)와, 촬영 영상에 대한 주석 및 의료 기록이 함께 포함되는 데이터 필드(220)를 갖는 의료 데이터 파일을 생성함에 따라, 의료 데이터 파일은 촬영 영상 및 보정 영상과 함께 이에 대한 진단자 필드에 피검사자의 의료 기록 및 의사의 진단 소견이 반영되는 주석이 포함되어,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이나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 환경을 구축하는 경우에 의사의 진단 소견과 피검사자의 의료 기록을 확보할 수 있게 되므로 2차 진단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얻어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 프로세싱 장치 40: 피검사자
41: 장기 50: 캡슐 내시경
200: 이미지 파일 220: 진단자 저장영역
221: 조작영상 저장부 222: 최종진단정보 저장부

Claims (11)

  1. 피검체의 소화 기관을 촬영한 의료 영상의 디스플레이 프로세싱 방법으로서,
    상기 소화 기관의 촬영된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 영상의 적색(Red), 청색(Blue), 녹색(Green)의 색분포에 대한 색 민감도 보정을 행하되, 다수의 파장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파장 간격으로 색 민감도 보정을 행하여 다수의 스펙트럼 보정 영상들을 생성하는 보정영상 생성단계와;
    상기 스펙트럼 보정영상들 중 하나 이상의 보정 영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 수단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선택수단 표시단계와;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보정 영상을 상기 화면에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보정영상 확대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의 디스플레이 프로세싱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 표시단계는,
    하나의 촬영 영상에 대하여 다수의 파장에 대하여 생성된 스펙트럼 보정 영상들을 상기 촬영 영상보다 작은 크기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보정영상 확대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된 작은 크기의 보정 영상들 중 선택된 보정 영상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의 디스플레이 프로세싱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 표시단계는,
    하나의 촬영 영상에 대하여 다수의 파장에 대하여 생성된 스펙트럼 보정 영상들을 스크롤할 수 있는 슬라이드 바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보정영상 확대단계에서는 상기 슬라이드 바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다수의 스펙트럼 보정 영상들이 예정된 순서대로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의 디스플레이 프로세싱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 표시단계는,
    하나의 촬영 영상에 대하여 다수의 파장에 대하여 생성된 스펙트럼 보정 영상들의 파장 대역의 입력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보정영상 확대단계에서는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파장 값에 따라 해당 파장으로 보정된 보정 영상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의 디스플레이 프로세싱 방법.
  5.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청색, 녹색의 색분포에 대하여 각각 서로 다른 파장에 대하여 보정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의 디스플레이 프로세싱 방법.
  6.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 영역은 적외선, 가시영역 파장 영역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의 디스플레이 프로세싱 방법.
  7.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영상은 광반사도 보정도 함께 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의 디스플레이 프로세싱 방법.
  8.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영상과 상기 보정 영상이 상기 화면에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영상의 디스플레이 프로세싱 방법.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영상과 상기 촬영 영상을 함께 하나의 의료 데이터 파일에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기관의 촬영 영상의 프로 세싱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데이터 파일은, 이미지 파일의 시작을 나타내는 제1필드, 이미지 파일의 끝을 나타내는 제2필드, 상기 촬영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촬영 영상을 하나 이상의 파장을 기준으로 보정하여 생성한 보정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가 함께 기록되는 진단자 영역을 포함하도록 하나의 의료 데이터 파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기관의 촬영 영상의 프로세싱 방법.
  11. 제 10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프로세싱 방법에 하여 생성된 이미지 파일의 저장 매체.
KR1020100037226A 2010-04-22 2010-04-22 소화 기관의 촬영 영상의 프로세싱 방법 KR101064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226A KR101064613B1 (ko) 2010-04-22 2010-04-22 소화 기관의 촬영 영상의 프로세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226A KR101064613B1 (ko) 2010-04-22 2010-04-22 소화 기관의 촬영 영상의 프로세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4613B1 true KR101064613B1 (ko) 2011-09-15

Family

ID=44957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226A KR101064613B1 (ko) 2010-04-22 2010-04-22 소화 기관의 촬영 영상의 프로세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6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7505A (ko) * 2013-04-25 2014-11-04 한국화학연구원 피하 혈관 탐지 영상 보정 방법
WO2021041980A1 (en) * 2019-08-28 2021-03-04 Trustees Of Tufts College Systems and methods for high-throughput screening and analysis of drug delivery systems in vitr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948A (ko) * 2005-05-12 2008-01-04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생체 관측 장치
JP2008043604A (ja) * 2006-08-18 2008-02-28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内視鏡装置
KR100921655B1 (ko) * 2009-05-19 2009-10-14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촬영 이미지에 대한 병증 소견 입력이 편리한 소화 기관의 이미지 프로세싱 시스템
JP2010045615A (ja) * 2008-08-13 2010-02-25 Olympus Corp 撮像装置および内視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948A (ko) * 2005-05-12 2008-01-04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생체 관측 장치
JP2008043604A (ja) * 2006-08-18 2008-02-28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内視鏡装置
JP2010045615A (ja) * 2008-08-13 2010-02-25 Olympus Corp 撮像装置および内視鏡システム
KR100921655B1 (ko) * 2009-05-19 2009-10-14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촬영 이미지에 대한 병증 소견 입력이 편리한 소화 기관의 이미지 프로세싱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7505A (ko) * 2013-04-25 2014-11-04 한국화학연구원 피하 혈관 탐지 영상 보정 방법
KR101606560B1 (ko) 2013-04-25 2016-03-28 한국화학연구원 피하 혈관 탐지 영상 보정 방법
WO2021041980A1 (en) * 2019-08-28 2021-03-04 Trustees Of Tufts College Systems and methods for high-throughput screening and analysis of drug delivery systems in vitr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79443C (zh) 电子内窥镜装置
US75676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ontent in-vivo
US75772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ontent in-vivo
JP4741264B2 (ja) 内視鏡分光画像システム装置
EP2520214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electronic apparatus, progra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20090131746A1 (en) Capsule endoscope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image data thereof
JP5492729B2 (ja) 内視鏡画像記録装置、及び内視鏡画像記録装置の作動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044066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カプセル型内視鏡システム
JP2009039449A (ja) 画像処理装置
KR100969510B1 (ko) 클라이언트 단말의 의료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및 그 방법
JP2005131130A (ja) 画像処理装置
KR100751160B1 (ko) 의료용 화상 기록 시스템
JP2009022446A (ja) 医療における統合表示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6999045A (zh) 器官图像拍摄装置以及程序
CN110770842B (zh) 医疗信息处理系统和医疗信息处理方法
WO2020054543A1 (ja) 医療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内視鏡システム、プロセッサ装置、診断支援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CN107072546A (zh) 健康度输出装置、健康度输出系统以及程序
KR101064613B1 (ko) 소화 기관의 촬영 영상의 프로세싱 방법
JP5341257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作動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内視鏡システム
JP2021027867A (ja) ファイリング装置、ファイリング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20361739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endoscope apparatus
CN112912014A (zh) 诊断辅助装置、诊断辅助方法以及程序
KR100931947B1 (ko) 캡슐 내시경에 의하여 촬영된 소화 기관 이미지들의 디스플레이 프로세싱 방법
JP2016209313A (ja) 舌画像取得方法及び舌画像取得装置
KR100942997B1 (ko) 캡슐 내시경 영상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