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656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6656B1
KR100746656B1 KR1020010044769A KR20010044769A KR100746656B1 KR 100746656 B1 KR100746656 B1 KR 100746656B1 KR 1020010044769 A KR1020010044769 A KR 1020010044769A KR 20010044769 A KR20010044769 A KR 20010044769A KR 100746656 B1 KR100746656 B1 KR 100746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wirings
display device
pixels
parall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4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9498A (ko
Inventor
야마자키순페이
고야마준
오사메미츠아키
이누카이카즈타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ublication of KR20020009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9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4Drivers integrated on the active matrix substr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표시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화소 기판에서 밀봉재로 덮인 부분에 배선을 형성한다. 각 배선의 폭은 배선을 통해 밀봉재에 자외선을 조사할 때 배선 상의 밀봉재가 자외선에 충분히 노광되도록 하는 폭으로 한다. 폭이 넓은 배선을 사용하는 대신, 폭이 좁은 배선을 다수 병렬로 접속한 형상의 배서을 사용한다. 그리하여, 표시장치에서 화소부와 구동회로 주변의 배선이 차지하는 면적과 밀봉재가 차지하는 면적이 감소되어, 표시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표시장치, 밀봉재, 자외선 조사, 서로 병렬로 접속된 배선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EL 표시장치의 상면도 및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EL 표시장치의 상면도 및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배선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종래의 EL 표시장치의 상면도 및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전원 공급선의 배선을 나타내는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상면도 및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상면도 및 단면도.
도 8(A)∼도 8(E)는 본 발명의 표시장치를 사용한 전자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EL 표시장치의 화소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액정 표시장치의 화소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01: 기판 702: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
703: 소스 신호선 구동회로 704: 밀봉재
705: 커버재 706: FPC 기판
707: 외부 입력 단자 708, 709, 710: 배선
711: 화소부 712: TFT
713: EL 구동용 TFT 714: 화소 전극
715: EL 층 716: 층간절연막
717: 절연막 718: 대향 전극
719: 충전재 720: 게이트 절연막
721: EL 소자
본 발명은 표시장치의 봉지(封止) 구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반도체 박막으로 형성된 소자)를 사용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장치 및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장치를 표시부로서 사용하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EL 소자를 가진 EL 표시장치와 같은 전기광학 장치가 플랫형 디스플레이로서 주목 받고 있다.
EL 소자는 한 쌍의 전극(양극 및 음극) 사이에 EL 층이 끼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EL 층은 통상 적층 구조로 되어 있다. 적층 구조의 대표적인 예는 이스트만 코닥 컴파니의 탕(Tang) 등에 의해 제한된 것이고, 정공 수송층, 발광층 및 전자 수송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구조는 발광 효율이 높기 때문에, 현재 개발 중에 있는 거의 모든 EL 표시장치에 채용되고 있다.
EL 층의 적층 구조의 다른 예로는, 양극 상에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및 전자 수송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구조와, 양극 상에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구조가 있다. 발광층에는 형광성 색소 등이 도핑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음극과 양극 사이에 제공된 모든 층을 총칭하여 EL 층이라 부른다. 따라서,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등은 모두 EL 층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EL 층에 한 쌍의 전극으로부터 소정의 압력이 인가되고, 이것에 의해, 발광층에서 캐리어 재조합이 일어나 발광한다. 본 명세서에서 EL 소자가 발광하는 것을 EL 소자가 구동된다라고 부른다. 본 명세서에서는, 양극, EL 층 및 음극으로 구성된 발광 소자를 EL 소자라 부른다.
본 명세서에서의 EL 소자는 일중항 여기자로부터의 발광(형광)을 이용하는 발광 소자와, 삼중항 여기자로부터의 발광(인광)을 이용하는 발광 소자 모두를 가리킨다.
EL 표시장치의 구조들 중 하나로서 액티브 매트릭스 구조를 예로 든다.
도 9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EL 표시장치의 화소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다. 액티브 매트릭스형 EL 표시장치에서는, 각 화소가 박막트랜지스터(이하, TFT라 함)를 가지고 있다. 각 화소는,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로부터 선택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선(G1-Gy)들 중 하나에 게이트 전극이 접속되어 있는 스위칭용 TFT(901)를 가지고 있다. 각 화소의 스위칭용 TFT(901)는 소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을 가지고 있고, 이들 영역 중 하나는 소스 신호선 구동회로로부터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소스 신호선(S1∼Sx)들 중 하나에 접속되고, 다른 하나는 EL 구동용 TFT(902)의 게이트 전극과, 각 화소에 제공된 커패시터(903)의 전극들 중 하나에 접속되어 있다. 커패시터(903)의 다른 전극은 전원 공급선(V1∼Vx)들 중 하나에 접속되어 있다. 각 화소에 제공된 EL 구동용 TFT(902)는 소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을 가지고 있고, 이들 영역 중 하나는 전원 공급선(V1∼Vx)들 중 하나에 접속되고, 다른 하나는 각 화소에 제공된 EL 소자(904)에 접속되어 있다.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에 의해 게이트 신호선(G1)이 선택되어 신호가 입력되면, 게이트 신호선(G1)에 접속된 스위칭용 TFT(901)가 온(ON)으로 된다. 이때, 소스 신호선 구동회로에 의해 소스 신호선(Si∼Sx)에 신호가 입력되면, 신호가 입력된 모든 화소의 EL 구동용 TFT(902)가 온으로 된다. 그리하여, 전원 공급선(V1∼Vx 중 하나)으로부터 EL 소자(904)로 전류가 흘러, EL 소자(904)가 발광하게 된다. 이 동작이 모든 게이트 신호선(G1∼Gy))에 대해 반복되어, 화상을 표시한다.
EL 소자(904)는 양극, 음극, 및 이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제공된 EL 층을 가지고 있다. EL 소자(904)의 양극이 EL 구동용 TFT(902)의 소스 영역 또는 드레인 영역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EL 소자(904)의 양극이 화소 전극으로 작용하고, 음극이 대향 전극으로 작용한다. 반대로, EL 소자(904)의 음극이 EL 구동용 TFT(902)의 소스 영역 또는 드레인 영역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EL 소자(904)의 음극이 화소 전극으로 작용하고, 양극이 대향 전극으로 작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대향 전극의 전위를 대향 전위라 한다. 대향 전극에 대향 전위를 인가하는 전원을 대향 전원이라 부른다. 화소 전극의 전위와 대향 전극의 전위 사이의 전위차가 EL 구동 전압이고, 이 EL 구동 전압이 EL 층에 인가된다.
유기 EL 층은 습기 또는 산소에 의해 열화(劣化)되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EL 층을 형성한 후, 대기에의 노출 없이 질소 분위기에서 UV 경화성 수지에 의해 장치를 봉지(封止)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4(A) 및 도 4(B)는 EL 표시장치의 봉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A)는 EL 표시장치의 상면도이다. EL 소자를 가진 화소부(402),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403), 및 소스 신호선 구동회로(404)가 절연 기판(41)상에 형성되고, 화소부(402),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403), 및 소스 신호선 구동회로(404)를 둘러싸도록 절연 기판(41)상에 밀봉재(401)가 형성된다. 이 때, 후에 충전재(43)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로서 개구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그 다음, 스페이서(도시되지 않음)를 산포하여 커버재(42)를 접합한다.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밀봉재(401)를 경화시킨 후, 커버재(42)와 밀봉재(401)로 둘러싸인 영역에 충전재(43)를 충전한다. 그 다음, 충전재(43)를 위한 주입구를 단부 밀봉재(도시되지 않음)로 봉지한다.
도 4(B)는 도 4(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도 4(B)에 도시되는 구성요소들을,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403)를 구성하는 TFT(413), 화소부(402)를 구성하는 EL 구동용 TFT(414) 및 EL 소자(417)만으로 제한한다. 절연 기판(41)을 화소 기판이라 부르기로 한다. EL 소자(417)는 화소 전극(407), EL 층(416) 및 대향 전극(408)으로 이루어져 있다. 커버재(42)는 밀봉재(401)에 의해 제 자리에 부착된다. 충전재(43)는 화소 기판(41)과 커버재(42) 사이의 공간에 봉입된다. 충전재(43)에는 흡습성 물질(도시되지 않음)이 첨가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습기에 의한 EL 소자(417)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부호 406은 TFT(413) 및 EL 구동용 TFT(414)의 게이트 절연막을 나타내고, 415는 층간절연막을 나타낸다.
화소부(402),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403) 및 소스 신호선 구동회로(404)에 입력되는 신호는 FPC(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10)으로부터 배선(412(412a∼412c))을 통해 입력된다(도 4(A) 참조). 배선(412)은 화소 기판(41)과 밀봉재(401) 사이에서 연장하여 FPC 기판(410)과 구동회로을 접속한다. FPC 기판(410)은 외부 입력 단자(409)에서 이방 도전성 막(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배선(412)에 접속된다.
모든 EL 표시장치는 EL 소자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밀봉재를 사용하여 화소 기판과 커버재를 접합하여 EL 소자를 봉지할 필요가 있다.
화소부와는 달리, 밀봉재 및 구동회로가 형성된 부분은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부분이다. 종래의 표시장치에서는, 화상을 표시하는데 사용되지 않는 이들 부분이 차지하는 비율이 커서, 표시장치의 소형화를 방해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장치에서 화소부 이외의 부분의 면적을 작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화소 기판에서 밀봉재로 덮인 부분에 배선을 형성한다. 각 배선의 폭은, 이 배선을 통해 밀봉재에 자외선이 조사될 때 배선 상부의 밀봉재가 자외선에 충분히 노광되도록 하는 폭으로 설정된다.
그리하여, 표시장치에서 화소부와 구동회로 주변의 배선이 차지하는 면적과 밀봉재가 차지하는 면적이 감소되어, 표시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 커버재 및 밀봉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로서, 상기 기판에 다수의 화소 및 구동회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회로는 다수의 화소에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다수의 화소 각각이 EL 소자를 가지고 있고, 상기 커버재는 차광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밀봉재는 UV 경화성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재는 상기 기판 상의 상기 다수의 화소 및 상기 구동회로를 둘러싸고, 상기 기판은 상기 밀봉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커버재에 접합되어 EL 소자를 밀봉하고, 제1 배선들이 상기 밀봉재와 상기 기판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제1 배선들 각각이 서로 병렬로 접속된 다수의 제2 배선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이 표시장치는 기판의 밀봉재와 접하는 부분을 무기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기판, 제2 기판 및 밀봉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로서, 상기 제1 기판에는 다수의 화소 및 구동회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회로는 다수의 화소에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제2 기판은 차광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밀봉재는 UV 경화성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재는 상기 제1 기판 상의 상기 다수의 화소 및 상기 구동회로를 둘러싸고, 상기 제1 기판이 상기 밀봉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기판에 접합되어, 상기 제1 기판, 상기 제2 기판 및 상기 밀봉재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액정이 주입되고 밀봉되며, 상기 밀봉재와 상기 기판 사이에 제1 배선들이 형성되고, 제1 배선들 각각은 서로 병렬로 접속된 다수의 제2 배선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이 표시장치는 제1 기판의 밀봉재와 접하는 부분을 무기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일 수 있다.
이 표시장치는 서로 병렬로 접속된 다수의 제2 배선 각각의 폭(L)과, 서로 병렬로 접속된 다수의 제2 배선에서의 인접한 배선들 사이의 간격(S)의 비(L/S)가 0.7∼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일 수 있다.
이 표시장치는 서로 병렬로 접속된 다수의 제2 배선 각각의 폭(L)이 100 ㎛∼200 ㎛이고, 서로 병렬로 접속된 다수의 제2 배선에서의 인접한 배선들 사이의 간격(S)이 50 ㎛∼1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일 수 있다.
이 표시장치는 상기 배선이 다수의 화소 및 구동 회로의 TFT들의 소스 배선 및 드레인 배선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것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 상에 형성된 다수의 화소 및 다수의 외부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로서, 상기 다수의 화소는 EL 소자를 가지고 있고, 상기 EL 소자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양극선이 상기 다수의 외부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 상에 형성된 다수의 화소 및 다수의 외부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로서, 상기 다수의 화소는 EL 소자를 가지고 있고, 상기 EL 소자으로부터 전류를 인출하기 위한 음극선이 상기 다수의 외부 외부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이 표시장치는 다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가 기판의 긴 변의 일 단부 근방에 있고, 다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 중 나머지는 기판의 긴 변의 다른 단부 근방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일 수 있다.
이 표시장치는 다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FPC 기판에 접속되고, 다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 중 나머지는 제2 FPC 기판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일 수 있다.
이 표시장치는 다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이 상기 기판의 긴 변의 길이의 1/2과 같거나 그 보다 긴 거리만큼 서로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 이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배선들 및 다수의 화소; 차광성을 가진 커버재; 및 밀봉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다수의 화소가 상기 밀봉재 및 상기 커버재에 의해 밀봉되고, 상기 제1 배선들이 상기 밀봉재에 의해 덮여 있고, 상기 밀봉재는 UV 경화성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선들 각각이 서로 병렬로 접속된 다수의 제2 배선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 이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배선들 및 다수의 화소; 차광성을 가진 커버재; 및 밀봉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상기 다수의 화소가 상기 밀봉재 및 상기 커버재에 의해 밀봉되고, 상기 다수의 화소 각각이 EL 소자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배선들이 상기 밀봉재에 의해 덮여 있고, 상기 밀봉재는 UV 경화성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선들 각각이 서로 병렬로 접속된 다수의 제2 배선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 이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배선들 및 다수의 화소; 차광성을 가진 커버재; 밀봉재; 및 액정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상기 다수의 화소 및 상기 액정이 상기 밀봉재 및 상기 커버재에 의해 밀봉되고, 상기 제1 배선들이 상기 밀봉재에 의해 덮여 있고, 상기 밀봉재는 UV 경화성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선들 각각이 서로 병렬로 접속된 다수의 제2 배선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상기 표시장치가 사용된 비디오 카메라, 화상 재생 장치, 헤드 장착형 표시장치, 휴대 전화기 또는 휴대형 정보 단말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화소 기판의 밀봉재로 덮인 부분에 배선들을 형성한 EL 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화소 기판의 밀봉재로 덮인 부분을 봉지(封止) 영역이라 부른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EL 표시장치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화소 기판(701)상에는, 화소부(711),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702) 및 소스 신호선 구동회로(703)가 형성되어 있다. 화소부와 구동회로를 둘러싸도록 밀봉재(704)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밀봉재에 의해 커버재(705)가 접합되어 있다. FPC 기판(706)이 외부 입력 단자(707)에 의해 화소 기판(701)의 상면에 접속되어 있다. 배선(708)들은, 외부 입력 단자(707)를 통해 FPC 기판(706)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그 신호를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702)에 전달하는, 신호선 및 전원 공급선과 같은 다수의 배선이다. 배선(709)들은, 외부 입력 단자(707)를 통해 FPC 기판(706)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그 신호를 소스 신호선 구동회로(703)에 전달하는, 신호선 및 전원 공급선과 같은 다수의 배선이다. 배선(710(710a, 710b))은, 외부 입력 단자(707)을 통해 FPC 기판(706)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그 신호를 화소부(711)에 전달하는, 신호선 및 전원 공급선과 같은 다수의 배선이다. 배선(708∼710)은 봉지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도 1(B)는 도 1(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도 1(B)에 도시되는 구성요소들을,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702)를 구성하는 소자로서의 TFT(712) 및 화소부(711)를 구성하는 소자로서의 EL 구동용 TFT(713) 및 EL 소자(721)만으로 제한한다. EL 구동용 TFT(713)의 소스 영역 또는 드레인 영역은 EL 소자(721)로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EL 소자(721)의 화소 전극(714)에 접속되어 있다. 도 1(B)에서 부호 716은 층간절연막을 나타내고, 715는 EL 층을 나타내고, 717은 절연막을 나타내고, 718은 대향 전극을 나타내고, 719는 충전재를 나타내고, 720은 게이트 절연막을 나타낸다. 여기서는 층간절연막(716)이 무기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배선(708) 및 배선(710a, 710b)은 TFT(712)와 EL 구동용 TFT(713)의 소스 배선 및 드레인 배선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것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배선(708∼710)들 중, 배선(709)은 배선(708) 및 배선(710a, 710b)과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 배선(709)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밀봉재(704)는 UV 경화성 재료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커버재(705)에 많이 사용되는 재료는 차광성을 가진 재료이다. 따라서, 커버재(705)측으로부터 자외선을 밀봉재(704)에 조사할 때는 밀봉재(704)가 노광 및 경화될 수 없다. 그리하여, 화소 기판(701)측으로부터 배선(708) 및 배선(710a, 710b)를 통해 자외선을 조사하여 밀봉재(704)를 노광시킬 필요가 있다.
배선(708) 및 배선(710a, 710b) 중, 좁은 폭을 가진 배선이 비디오 신호선 및 펄스선으로서 사용된다. 한편, 화소부용 전원 공급선과 소스 신호선 구동회로 및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용 전원 공급선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은 비디오 신호선 및 펄스선보다 큰 폭을 가진 배선이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이들 전원 공급선에 입력되는 전압이 비디오 신호선 및 펄스선에 입력되는 전압보다 크기 때문이다.
그러나, 폭이 넓은 배선은 이 배선을 통해 밀봉재에 자외선을 조사할 경우에 장해가 되는데, 이는 배선 그림자 아래의 밀봉재에는 충분한 양의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밀봉재가 만족스럽게 경화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형상을 가진 배선을 제공한다. 그 형상의 개략도기 도 3(A)에 도시되어 있다. 도 3(A)는 도 1(A) 및 도 1(B)에서의 봉지 영역의 일부(666)의 확대도이다.
도 3(A)는 배선(제1 배선)(710b)들 중에서 하나의 전원 공급선(777)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전원 공급선(777)은 서로 병렬로 접속된 배선(제2 배선)(A1∼A6)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그러한 형상의 배선(777)을 통해 밀봉재(704)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여기서의 하나의 전원 공급선(777)은 서로 병렬로 접속된 6개의 배선(A1∼A6)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배선은 서로 병렬로 접속된 n개(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배선(제2 배선)(A1∼An)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B)는 도 3(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 부분을 나타낸다.
도 3(B)에서, 화소 기판 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면, 배선(A1∼A6)상의 밀봉재 부분(660)이 그늘지게 된다. 그러나, 각 배선의 폭(L)이 충분히 작고, 두 배선 사이의 간격(S)이 충분히 크면, 조사된 자외선이 그늘진 부분(660)에도 도달한다. 배선 바로 위의 부분(600)이 자외선에 노광되지 않지만, 배선의 폭이 큰 경우에 비하여 이 부분(600)은 충분히 작고, 전체로 보아 밀봉재가 충분히 노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배선(A1∼A6) 각각의 폭(L)은 100 ㎛∼200 ㎛이고, 배선(A1∼A6)에서의 인접한 배선들 사이의 간격(S)은 50 ㎛∼150 ㎛이고, L/S는 0.7∼1.5이다. 상기와 같은 형상의 배선을 사용하면, 이들 배선 상의 밀봉재는 배선을 통해 자외선에 충분히 노광되어, 밀봉재가 만족스럽게 경화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배선(A1∼A6) 각각의 폭(L)이 150 ㎛ 이하이고, 배선(A1∼A6)에서의 인접한 배선들 사이의 간격(S)이 100 ㎛ 이상이고, L/S는 1.5 이하이다. 이 경우, 배선 상의 밀봉재가 충분히 경화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서는 배선(710b)들 중 하나의 전원 공급선(777)에 주목하였지만, 폭이 부적절하게 설정될 경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봉지 영역에 형성된 다른 배선에도 마찬가지의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그리하여, 봉지 영역에 배선을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화소부 이외의 영역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표시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것과 다른 구성을 가진 액티브 매트릭스형 EL 표시장치에 대하여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에서의 것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EL 표시장치의 상면도이다. 화소 기판(701)상에 화소부(711),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702) 및 소스 신호선 구동회로(703)가 형성되어 있다. 화소부 및 구동회로를 둘러싸도록 밀봉재(704)가 형성되고, 이 밀봉재에 의해 커버재(705)가 접합되어 있다. 화소 기판(701)의 상면에는 외부 입력 단자(707)에 의해 FPC 기판(706)이 접속되어 있다. 배선(708)은, 외부 입력 단자(707)을 통해 FPC 기판(706)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그 신호를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702)에 전달하는, 신호선 및 전원 공급선과 같은 다수의 배선이고, 배선(709)은, 외부 입력 단자(707)를 통해 FPC 기판(706)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그 신호를 소스 신호선 구동회로(703)에 전달하는, 신호선 및 전원 공급선과 같은 다수의 배선이고, 배선(710a, 710b)은, 외부 입력 단자(707)를 통해 FPC 기판(706)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그 신호를 화소부(711)에 전달하는, 신호선 및 전원 공급선과 같은 다수의 배선이다. 배선(708∼710)은 봉지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도 2(B)는 도 2(A)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도 2(B)에 도시되는 구성요소들을,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702)를 구성하는 소자로서의 TFT(712)와, 화소부(711)를 구성하는 소자로서의 EL 구동용 TFT(713) 및 EL 소자(721)로 제한한다. EL 구동용 TFT(713)의 소스 영역 또는 드레인 영역은 EL 소자(721)로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EL 소자(721)의 화소 전극(714)에 접속되어 있다. 도 2(B)에서, 부호 716은 층간절연막을 나타내고, 715는 EL 층을 나타내고, 717은 절연막을 나타내고, 718은 대향 전극을 나타내고, 719는 충전재를 나타내고, 720은 게이트 절연막을 나타낸다. 여기서는 층간절연막(716)이 유기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배선(708) 및 배선(710a, 710b)은 TFT(712)와 EL 구동용 TFT(713)의 소스 배선 및 드레인 배선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것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배선(708∼710) 중, 배선(709)은 배선(708) 및 배선(710a, 710b)과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그 배선(709)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층간절연막(716)은 유기 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유기 재료 상에 직접 배선(708) 및 배선(710a, 710b)을 형성하면 이들 배선과 유기 재료 사이의 밀착성이 불량하다. 배선들을 유기 재료 상에 직접 형성하는 것은, 배선(708) 및 배선(710a, 710b)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재료에 유기 재료로부터 불순물이 도입되기 때문에 배선(708) 및 배선(710a, 710b)을 열화(劣化)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배선(708) 및 배선(710a, 710b)은 유기 재료로 형성된 층간절연막(716)을 제거한 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배선(708) 및 배선(710a, 710b)이 형성되는 부분의 층간절연막(716)을 제거하는 공정은, TFT(712) 및 화소 TFT(713)의 소스 배선 및 드레인 배선을 형성하고 TFT(712, 713)의 소스 영역에 도달하는 콘택트 홀을 형성할 때 동시에 행해질 수 있다.
밀봉재(704)는 UV 경화성 재료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커버재(705)에 차광성을 가진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커버재 측으로부터 밀봉재(704)에 자외선을 조사하여도 밀봉재(704)가 경화되지 않을 수 있다. 그래서, 자외선 조사를 화소 기판(701) 측로부터 배선(708) 및 배선(710a, 710b)을 통해 행하여 밀봉재(704)를 경화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배선(708) 및 배선(710a, 710b)에 폭이 넓은 배선을 사용하면, 이들 배선에 의해 그늘지는 밀봉재(704)의 부분이 충분한 양의 자외선 조사를 받을 수 없고, 밀봉재(704)가 만족스럽게 경화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배선(708) 및 배선(710a, 710b)에 단일의 넓은 배선을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병렬로 접속된 다수의 배선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배선 각각의 폭(L)이 100 ㎛∼200 ㎛이고, 다수의 배선에서의 인접한 배선 사이의 간격(S)이 50 ㎛∼150 ㎛이고, 다수의 배선 각각의 폭(L)과 다수의 배선에서의 인접한 배선 사이의 간격(S)의 비(L/S)가 0.7∼1.5가 되도록 하는 배선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형상의 배선을 사용하면, 이들 배선 상의 밀봉재가 배선을 통해 자외선에 충분히 노광되어, 밀봉재가 만족스럽게 경화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배선 각각의 폭(L)이 150 ㎛ 이하이고, 다수의 배선에서의 인접한 배선 사이의 간격(S)이 100 ㎛ 이상이고, L/S가 1.5 이하이다. 이 경우, 배선 상의 밀봉재가 충분히 경화될 수 있다.
그리하여, 배선이 봉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화소부 이외의 영역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고, 표시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EL 표시장치의 화소부의 전원 공급선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의 배선 예를 설명한다.
도 1(A)를 다시 참조한다. EL 소자(721)를 구동시키는 전류는 배선(710a, 710b) 중의 전원 공급선을 통해 흘러 화소부(711)의 전원 공급선에 입력된다. 화소부의 전원 공급선에는, 2개의 공급원, 즉, 배선(710a)의 전원 공급선 및 배선(710b)의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전류가 공급된다.
한편,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종래의 EL 표시장치에서는, 화소부(402)의 전원 공급선에 하나의 공급원, 즉, 배선(412a)의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전류가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매트릭스형 EL 표시장치의 화소부에, 화소부의 두 지점에서 전류가 공급되는 이유를 아래에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전원 공급선의 배선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A)에는, 하나의 FPC 기판에 접속된 하나의 외부 입력 단자가 제공되어 화소부의 한 지점에서 화소부에 전류를 공급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 5(B)는 외부 입력 단자가 각각 FPC 기판(제1 FPC 기판 및 제2 FPC 기판)에 접속되고 서로 다른 위치에 제공되어 화소부의 두 지점에서 화소부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2개로 나누어진 경우를 나타낸다. EL 소자의 양극에 접속되는 양극선 및 EL 소자의 음극에 접속되는 음극선이 전원 공급선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5(A)에는, 하나의 외부 입력 단자(707)가 제공되어 있고, 도 5(B)에는 외부 입력 단자(707)가 2개로 나누어져 2개 부분이 서로 다른 위치(기판의 긴 변의 일 단부 근방과 기판의 긴 변의 나머지 단부 근방)에 제공되고, 한 셋트의 양극선과 음극선이 한쪽 부분을 화소부와 접속시키고, 한 셋트의 다른 양극선 및 음극선은 다른 부분을 화소부와 접속시킨다.
도 5(A)에서는, 양극선과 음극선의 입력 포트로부터 먼쪽에 있는 전원 공급선은 거리 R1에 따라 증가하는 배선 저항을 가진다. 배선 저항이 증가하면, 전위가 감소하고, 그에 따라, 전원 공급선에 의해 EL 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낮아져, 화질의 저하를 초래한다.
한편, 도 5(B)에서는, 양극선 및 음극선의 입력 포트 1과 이 입력 포트 1로부터 떨어져 제공된 입력 포트 2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하여, 전원 공급선이 입력 포트 1과 입력 포트 2 모두로부터 전류를 받는다. 이것에 의해, 배선 저항의 증가로 인한 전압 저하를 방지하고, 화질의 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도 5(B)에서와 같이 외부 입력 단자가 나뉘어져 두 지점에 제공될 때, 2개의 외부 입력 단자부들 사이의 거리는 화소부가 형성되는 기판의 긴 변의 길이의 1/2 이상으로 설정된다. 이것은, 배선 저항의 증가로 인한 전압 감소에 의해 야기되는 화질의 저하를 경감시키는 효과를 증진시킨다.
외부 입력 단자는 배선 저항의 증가가 무시할 정도이거나 문제가 되지 않는 경우라면, 나누지 않고 1 위치에 제공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실시형태 또는 실시예 1과 조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는, 봉지 영역에 배선을 형성하는 방법을 채택하는 액정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액정 표시장치는, 예를 들어, 액티브 매트릭스 방법에 의해 구동한다.
먼저, 도 10에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장치의 화소부의 구성을 나타낸다.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장치에서는, 각 화소가 TFT를 가지고 있다. 각 화소는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로부터의 선택 신호를 받는 게이트 신호선(G1∼Gy)들 중 하나에 게이트 전극이 접속된 화소 TFT(1002)를 가지고 있다. 각 화소 내의 화소 TFT(1002)는 소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을 가지고, 이들 영역 중 하나는 소스 신호선 구동회로로부터의 신호를 받는 소스 신호선(S1∼Sx)들 중 하나에 접속되고, 다른 하나 영역은 보유 용량(1001)의 전극들 중 하나와, 액정(1003)을 끼우고 있는 2개의 전극 중 하나에 접속되어 있다.
게이트 신호선(G1)에 신호가 입력되면, 이 신호는 게이트 신호선(G1)에 접속된 모든 화소 TFT(1002)의 게이트 전극에 입력되어, 이들 화소 TFT를 온(ON)으로 한다. 화소 TFT(1002)가 온으로 화소에 소스 신호선(S1∼Sx)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보유 용량(1001)에 전하가 보유된다. 보유 용량에 전하가 보유되면, 액정(1003)을 끼우고 있는 전극들에 전압이 인가된다. 이 인가 전압을 사용하여 액정 분자의 배향을 제어함으로써, 투과 광량을 제어한다. 이 동작이 모든 게이트 신호선(G1∼Gy))에 대해 반복되어 화상 표시를 행한다.
다음에,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장치에서의 액정의 봉지(封止)에 대하여 설명한다.
액정 표시장치는 액정을 끼우고 있는 2개의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 액정의 배향을 제어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전극들 사이에 액정을 끼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각각에 전극이 형성된 2개의 절연 기판을, 전극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식으로 밀봉재에 의해 서로 접착하고, 그들 절연 기판 사이의 공간에 액정이 봉지될 필요가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액정이 봉입된 액정 표시장치의 두 기판을 개략도로 나타낸다.
도 6(A)는 액정 표시장치의 상면도이다. 밀봉재(301)에는 에폭시 수지를 사용한다. 배향막(도시되지 않음)이 기판(31)상에 형성되고, 러빙 처리가 행해진다. 기판(31)상에, 화소부(302),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303) 및 소스 신호선 구동회로(304)를 둘러싸도록 밀봉재(301)가 형성된다. 이 때, 후에 액정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로서 개구부(도시되지 않음)가 밀봉재(301)의 일부에 형성된다. 그 다음, 스페이서(도시되지 않음)가 산포되고, 기판(31)이 다른 기판(32)에 접합된다.
스페이서의 직경이 기판(31)과 기판(32) 사이의 간격을 결정한다. 이 간격이 고정된 후, 기판(31) 또는 기판(32)를 통한 자외선 조사 또는 가열에 의해 밀봉재(301)를 경화시킴으로써 기판(31)이 기판(32)에 접착된다.
기판(31)을 기판(32)에 접합하기 위해 가열에 의해 밀봉재(301)를 경화시킬 때, 가압하면서 열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다. 이 방법은 기판(31) 및 기판(32)을 열팽창시키고, 기판들을 접합하는데 있어서의 변위가 심각한 문제가 된다. 또한, 열경화는 장시간이 걸리므로, 열경화보다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밀봉재를 경화시키는 공정이 많이 사용된다.
그후, 액정 주입구로부터 액정(33)을 주입하고, 이 주입구를 단부 밀봉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폐쇄하여 액정(33)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한다. 단부 밀봉재는 열 경화성 재료가 아니고 UV 경화성 재료이다. 이것은 액정(33)이 주입된 후 장치를 가열할 경우 액정(33)이 열화되기 때문이다.
밀봉재(301) 및 단부 밀봉재는 이온을 함유한 수분과 같은, 액정을 오염시키는 재료의 통과를 차단하는 작용도 한다.
다음에, 소스 신호선 구동회로와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 각각에 입력되는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에 대해 설명한다.
비디오 신호 또는 외부로부터의 다른 신호가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303) 및 소스 신호선 구동회로(304)에 입력되어, 화소부(302)에 입력될 신호를 구성한다. 외부로부터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303)과 소스 신호선 구동회로(304)에 입력되는 신호는 화소 기판(31)상에 배치된 외부 입력 단자(309)에 접합된 FPC 기판(310)에 의해 입력된다. FPC 기판(310)은 이방 도전성 막(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외부 입력 단자(309)에서 화소 기판 상에 형성된 배선(312)에 접속된다. 배선(312(312a, 312b, 312c))은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303) 및 소스 신호선 구동회로(304)에 접속되도록 밀봉재(301)를 지난다.
배선(312a)은 외부 입력 단자(309)를 통해 FPC 기판(310)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이 신호를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303)에 전달하는 배선이다. 배선(312b)은 외부 입력 단자(309)를 통해 FPC 기판(310)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이 신호를 소스 신호선 구동회로(304)에 전달하는 배선이다. 배선(312a, 312b)은 밀봉재(301)에 의해 덮인 화소 기판(31)의 일부(봉지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도 6(B)는 도 6(A)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다.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도 6(B)에 도시되는 구성요소들을,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303)를 구성하는 TFT(114), 및 화소부(302)를 구성하는 화소 TFT(314)로 제한한다. 화소부와 구동회로를 구성하는 TFT가 형성되어 있는 기판(31)을 화소 기판이라 부른다. 화소 기판 상에 형성된 전극(307)을 화소 전극이라 부른다. 다른 기판(32)을 대향 기판이라 부른다. 대향 기판 측에 형성된 전극(308)을 대향 전극으로 부른다. 화소 전극(307)과 대향 전극(308)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도 6(B)에서, 부호 306은 TFT(114)와 화소 TFT(314) 각각의 게이트 절연막을 나타낸다. 부호 315는 층간절연막을 나타내고, 112는 차광층을 나타낸다. 도 6(B)에는 배향막이 도시되어 있지 않다.
화소 TFT(314)는 소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을 가지고 있고, 이들 영역 중 하나가 화소 전극(307)에 접속되어, 화소 전극(307)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여기서는, 층간절연막(315)이 무기 재료로 형성된다.
배선(312)은 TFT(114) 및 화소 TFT(314)의 소스 배선 및 드레인 배선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다.
또한, 밀봉재(301)를 UV 경화성 재료로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 대향 기판(32)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도, 차광층(112) 때문에 밀봉재(301)가 경화될 수 없다. 그리하여, 배선(312a)을 통해 화소 기판(31)측으로부터 자외선 조사하여 밀봉재(301)를 경화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배선(312a)에 폭이 넓은 배선을 사용하면, 배선에 의해 그늘지는 밀봉재(301)의 부분은 충분한 양의 자외선을 받을 수 없으므로, 밀봉재(301)가 만족스럽게 경화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배선(312a)에 단일의 폭이 넓은 배선을 사용하지 않고, 그 대신,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병렬로 접속된 다수의 배선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배선 각각의 폭(L)이 100 ㎛∼200 ㎛이고, 다수의 배선에서의 인접한 배선들 사이의 간격(S)이 50 ㎛∼150 ㎛이고, 다수의 배선 각각의 폭(L)과 다수의 배선에서의 인접한 배선들 사이의 간격(S)의 비(L/S)가 0.7∼1.5가 되도록 하는 형상의 배선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된 배선을 사용하면, 이들 배선 상의 밀봉재가 배선을 통해 자외선에 충분히 노광되어, 밀봉재가 만족스럽게 경화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배선 각각의 폭(L)이 150 ㎛ 이하이고, 다수의 배선에서의 인접한 배선들 사이의 간격(S)이 100 ㎛ 이상이고, L/S는 1.5 이하이다. 이 경우, 배선 상의 밀봉재가 충분히 경화될 수 있다.
화소 기판(31) 측에 차광층(112)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대향 기판(32) 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밀봉재(301)를 경화시킬 필요가 있0다. 이 경우, 배선(312a)이 조사하는 자외선을 차단하지 않으므로, 배선(312a)으로서 폭이 넓은 배선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하여, 봉지 영역에 배선이 형성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화소부 이외의 영역의 면적이 감소되어, 표시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3에서 설명된 것과 다른 구조를 가진 표시장치에 대하여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에서, 도 6(A) 및 도 6(B)와 동일한 부분을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상면도이다. 화소 기판(31)상에, 화소부(302),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303) 및 소스 신호선 구동회로(304)가 형성되어 있다. 화소부와 구동회로를 둘러싸도록 밀봉재(301)가 형성되어, 대향 기판(32)이 기판(31)에 접합되고, 이들 사이에 액정(33)이 봉입되어 있다. FPC 기판(310)이 외부 입력 단자(309)에 의해 화소 기판(31)상에 접속되어 있다. 배선(312a)은 외부 입력 단자(309)를 통해 FPC 기판(310)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그 신호를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303)에 전달하는 배선이다. 배선(312b)은 외부 입력 단자(309)를 통해 FPC 기판(310)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그 신호를 소스 신호선 구동회로(304)에 전달하는 배선이다. 배선(312a∼312b)은 봉지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도 7(B)는 도 7(A)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에서 동일한 부분이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어져 있다.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도 7(B)에 도시되는 구성요소들을, 게이트 신호선 구동회로(303)를 구성하는 소자로서의 TFT(712)와 화소부(302)를 구성하는 소자로서의 화소 TFT(314)로 제한한다. 화소 TFT(314)는 소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을 가지고 있고, 이들 영역 중 하나가 화소 전극(307)에 접속되어, 화소 전극(307)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배선(312)은 TFT(114) 및 화소 TFT(314)의 소스 배선 및 드레인 배선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층간절연막(315)이 유기 재료로 형성된 것으로 한다.
층간절연막(315)은 유기 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선(312)을 유기 재료 상에 직접 형성하면 유기 재료과 배선(312) 사이의 밀착성이 나쁘다. 또한, 배선을 유기 재료 상에 직접 형성하는 것은, 유기 재료로부터 배선(312)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재료로 불순물이 도입되기 때문에 배선(312)을 열화시키는 문제가 있다. 그 이유로, 배선(312)은 유기 재료로 형성되는 층간절연막(315)을 제거한 후 형성될 필요가 있다.
배선(312)이 형성되는 부분의 층간절연막(315)을 제거하는 공정은 TFT(114) 및 화소 TFT(314)의 소스 배선 및 드레인 배선이 형성되고 TFT(114, 314)의 소스 영역 또는 드레인 영역에 도달하는 콘택트 홀을 형성할 때 동시에 행해질 수 있다.
밀봉재(301)를 UV 경화성 재료로 형성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자외선을 대향 기판(32)측으로부터 밀봉재(301)에 조사하는 경우 차광층(112) 때문에 밀봉재(301)가 경화될 수 없다. 그리하여, 화소 기판(31)측으로부터 배선(312a)을 통해 자외선을 조사하여 밀봉재(301)를 경화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배선(312a)에 폭이 넓은 배선을 사용하면, 배선에 의해 그늘지는 밀봉재(301)의 부분이 충분한 양의 자외선 조사를 받을 수 없다. 그래서, 밀봉재(301)가 만족스럽게 경화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배선(312a)에 단일의 폭이 넓은 배선을 사용하지 않고, 그 대신,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병렬로 접속된 다수의 배선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배선 각각의 폭(L)이 100 ㎛∼200 ㎛이고, 다수의 배선에서의 인접한 배선들 사이의 간격(S)이 50 ㎛∼150 ㎛이고, 다수의 배선 각각의 폭(L)과 다수의 배선에서의 인접한 배선들 사이의 간격(S)의 비(L/S)가 0.7∼1.5가 되는 형상의 배선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된 배선을 사용하면, 이들 배선 상의 밀봉재가 배선을 통해 조사된 자외선에 충분히 노광되어, 밀봉재가 만족스럽게 경화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배선 각각의 폭(L)이 150 ㎛ 이하이고, 다수의 배선에서의 인접한 배선들 사이의 간격(S)이 100 ㎛ 이상이고, L/S는 1.5 이하이다. 이 경우, 배선 상의 밀봉재가 충분히 경화될 수 있다.
화소 기판(31) 측에 차광층(112)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대향 기판(32) 측으로부터 자외선 조사를 행하여 밀봉재(301)를 경화시켜야 한다. 이 경우, 배선(312a)이 조사되는 자외선을 차단하지 않으므로, 배선(312a)으로서 폭이 넓은 배선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하여, 봉지 영역에 배선이 형성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화소부 이외의 영역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고, 표시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실시예 5]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적용하여 제조한 표시장치를 표시 매체로서 구비한 전자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한 전자장치로서는,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헤드 장착형 표시장치(고글형 표시장치), 게임기, 자동차 내비게이션 시스템, 퍼스널 컴퓨터, 휴대형정보 단말기(모바일 컴퓨터, 휴대 전화기, 전자책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예를 도 8에 나타낸다.
도 8(A)는 본체(2001), 케이싱(2002), 표시부(2003), 및 키보드(2004) 등을 포함하는 퍼스널 컴퓨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퍼스널 컴퓨터의 표시부(2003)에 사용될 수 있다.
도 8(B)는 본체(2101), 표시부(2102), 음향 입력부(2103), 조작 스위치(2104), 배터리(2105) 및 수상부(2106) 등을 포함하는 비디오 카메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비디오 카메라의 표시부(2102)에 사용될 수 있다.
도 8(C)는 본체(2301), 신호 케이블(2302), 헤드 장착 밴드 (2303), 스크린 모니터(2304), 광학계(2305), 표시부(2306) 등을 포함하는 헤드 장착형 표시장치의 일부(우측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헤드 장착형 표시장치의 표시부(2306)에 사용될 수 있다.
도 8(D)는 기록 매체를 구비한 화상 재생 장치(구체적으로는, DVD 재생 장치)를 나타내고, 이 화상 재생 장치는 본체(2401), 기록매체(CD, LD, DVD 등)(2402), 조작 스위치(2403), 표시부(a)(2404) 및 표시부(b)(2405)를 포함한다. 표시부(a)(2404)는 주로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표시부(b)(2405)는 주로 문자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기록 매체를 구비한 화상 재생 장치의 표시부(a) 및 표시부(b)에 사용딜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록 매체를 구비한 화상 재생 장치로서 CD 재생 장치 및 게임기와 같은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8(E)는 본체(2501), 카메라부(2502), 수상부(2503), 조작 스위치(2504), 표시부(2505) 등을 포함하는 모바일 컴퓨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모바일 컴퓨터의 표시부(2505)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매우 넓고, 모든 분야의 전자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전자장치는 실시예 1∼4를 자유롭게 조합한 구성을 사용하여 실현될 수도 있다.
EL 표시장치 및 액정 표시장치와 같은 표시장치에서, 배선이 형성된 구동회로의 주변부와 밀봉재가 형성되는 부분을 포함한,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부분이 넓은 면적을 차지하여 표시장치의 소형화에 장해가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의해, 구동회로의 주변부 대신에 밀봉재가 형성되는 부분에 배선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소형의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0)

  1. 기판 위에 형성되고, 각각 EL 소자를 가지고 있는 다수의 화소;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고, 상기 화소들에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구동회로;
    차광성을 가진 커버재; 및
    UV 경화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화소들 및 상기 구동회로를 둘러싸는 밀봉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EL 소자를 밀봉하도록 상기 밀봉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커버재에 접합되어 있고,
    상기 밀봉재와 상기 기판 사이에, 상기 구동회로에 외부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1 배선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배선들 각각이 서로 병렬로 접속된 제2 배선들을 가지고 있고,
    서로 병렬로 접속된 상기 제2 배선들 각각의 폭(L)이 100 ㎛∼200 ㎛이고,
    서로 병렬로 접속된 상기 제2 배선들에서의 인접한 배선들 사이의 간격(S)이 50 ㎛∼1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가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무기층과 접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다수의 화소가 형성되어 있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위에 형성되고, 상기 화소들에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구동회로;
    차광성을 가진 제2 기판; 및
    UV 경화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화소들 및 상기 구동회로를 둘러싸는 밀봉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제1 기판, 상기 제2 기판 및 상기 밀봉재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 내에 액정이 봉입되도록 상기 밀봉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기판에 접합되어 있고,
    상기 밀봉재와 상기 제1 기판 사이에, 상기 구동회로에 외부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1 배선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배선들 각각이 서로 병렬로 접속된 제2 배선들을 가지고 있고,
    서로 병렬로 접속된 상기 제2 배선들 각각의 폭(L)이 100 ㎛∼200 ㎛이고,
    서로 병렬로 접속된 상기 제2 배선들에서의 인접한 배선들 사이의 간격(S)이 50 ㎛∼1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가 상기 제1 기판 위에 형성된 무기층과 접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서로 병렬로 접속된 상기 제2 배선들 각각의 폭(L)과 서로 병렬로 접속된 상기 제2 배선들에서의 인접한 배선들 사이의 간격(S)의 비(L/S)가 0.7∼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삭제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들이, 상기 화소들 및 상기 구동회로의 TFT들의 소스 배선 및 드레인 배선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것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기판 위에 형성된 다수의 화소 및 다수의 외부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화소가 EL 소자를 가지고 있고,
    상기 EL 소자의 양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원 공급선이 상기 다수의 외부 입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판의 긴 변의 일 단부 근방에 있고, 상기 다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 중 나머지는 상기 기판의 긴 변의 다른 단부 근방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기판 위에 형성된 다수의 화소 및 다수의 외부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화소가 EL 소자를 가지고 있고,
    상기 EL 소자의 움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원 공급선이 상기 다수의 외부 입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판의 긴 변의 일 단부 근방에 있고, 상기 다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 중 나머지는 상기 기판의 긴 변의 다른 단부 근방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삭제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FPC 기판에 접속되고, 상기 다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 중 나머지는 제2 FPC 기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2.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이 상기 기판의 긴 변의 길이의 1/2 이상의 거리만큼 서로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3.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다수의 화소;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고, 상기 화소들에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구동회로;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상기 구동회로에 외부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1 배선들;
    차광성을 가진 커버재; 및
    밀봉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상기 다수의 화소는 상기 밀봉재 및 상기 커버재에 의해 밀봉되어 있고,
    상기 제1 배선들이 상기 밀봉재에 의해 덮여 있고,
    상기 밀봉재는 UV 경화성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선들 각각이 서로 병렬로 접속된 다수의 제2 배선을 가지고 있고,
    서로 병렬로 접속된 상기 제2 배선들 각각의 폭(L)이 100 ㎛∼200 ㎛이고,
    서로 병렬로 접속된 상기 제2 배선들에서의 인접한 배선들 사이의 간격(S)이 50 ㎛∼1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4.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다수의 화소;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고, 상기 화소들에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구동회로;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상기 구동회로에 외부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1 배선들;
    차광성을 가진 커버재; 및
    밀봉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상기 다수의 화소가 상기 밀봉재 및 상기 커버재에 의해 밀봉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화소 각각이 EL 소자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배선들이 상기 밀봉재에 의해 덮여 있고,
    상기 밀봉재는 UV 경화성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선들 각각이 서로 병렬로 접속된 다수의 제2 배선을 가지고 있고,
    서로 병렬로 접속된 상기 제2 배선들 각각의 폭(L)이 100 ㎛∼200 ㎛이고,
    서로 병렬로 접속된 상기 제2 배선들에서의 인접한 배선들 사이의 간격(S)이 50 ㎛∼1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5.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다수의 화소;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고, 상기 화소들에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구동회로;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상기 구동회로에 외부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1 배선들;
    차광성을 가진 커버재;
    밀봉재; 및
    액정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상기 다수의 화소 및 상기 액정이 상기 밀봉재 및 상기 커버재에 의해 밀봉되어 있고,
    상기 제1 배선들이 상기 밀봉재에 의해 덮여 있고,
    상기 밀봉재는 UV 경화성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선들 각각이 서로 병렬로 접속된 다수의 제2 배선을 가지고 있고,
    서로 병렬로 접속된 상기 제2 배선들 각각의 폭(L)이 100 ㎛∼200 ㎛이고,
    서로 병렬로 접속된 상기 제2 배선들에서의 인접한 배선들 사이의 간격(S)이 50 ㎛∼1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6. 제 1 항, 제 3 항, 제 8 항, 제 9 항,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
  17. 제 1 항, 제 3 항, 제 8 항, 제 9 항,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장치.
  18. 제 1 항, 제 3 항, 제 8 항, 제 9 항,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장착형 표시장치.
  19. 제 1 항, 제 3 항, 제 8 항, 제 9 항,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20. 제 1 항, 제 3 항, 제 8 항, 제 9 항,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정보 단말기.
  21. 기판 위에 형성되고, EL 소자를 각각 가지고 있는 다수의 화소;
    차광성을 가진 커버재; 및
    UV 경화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화소들을 둘러싸는 밀봉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EL 소자를 밀봉하도록 상기 밀봉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커버재에 접합되어 있고,
    상기 밀봉재와 상기 기판 사이에 제1 배선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배선들 각각이 서로 병렬로 접속된 제2 배선들을 가지고 있고,
    서로 병렬로 접속된 상기 제2 배선들 각각의 폭(L)이 100 ㎛∼200 ㎛이고,
    서로 병렬로 접속된 상기 제2 배선들에서의 인접한 배선들 사이의 간격(S)이 50 ㎛∼1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가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무기층과 접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서로 병렬로 접속된 상기 제2 배선들 각각의 폭(L)과 서로 병렬로 접속된 상기 제2 배선들에서의 인접한 배선들 사이의 간격(S)의 비(L/S)가 0.7∼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들이, 상기 화소들의 TFT들의 소스 배선 및 드레인 배선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것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5.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다수의 화소;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제1 배선들;
    차광성을 가진 커버재; 및
    밀봉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상기 다수의 화소가 상기 밀봉재 및 상기 커버재에 의해 밀봉되어 있고,
    상기 제1 배선들이 상기 밀봉재에 의해 덮여 있고,
    상기 밀봉재는 UV 경화성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선들 각각이 서로 병렬로 접속된 다수의 제2 배선을 가지고 있고,
    서로 병렬로 접속된 상기 제2 배선들 각각의 폭(L)이 100 ㎛∼200 ㎛이고,
    서로 병렬로 접속된 상기 제2 배선들에서의 인접한 배선들 사이의 간격(S)이 50 ㎛∼1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6. 제 21 항 또는 제 25 항에 따른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
  27. 제 21 항 또는 제 25 항에 따른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장치.
  28. 제 21 항 또는 제 25 항에 따른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장착형 표시장치.
  29. 제 21 항 또는 제 25 항에 따른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30. 제 21 항 또는 제 25 항에 따른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정보 단말기.
KR1020010044769A 2000-07-25 2001-07-25 표시장치 KR1007466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23488 2000-07-25
JP2000223488 2000-07-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498A KR20020009498A (ko) 2002-02-01
KR100746656B1 true KR100746656B1 (ko) 2007-08-06

Family

ID=18717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4769A KR100746656B1 (ko) 2000-07-25 2001-07-25 표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19718B2 (ko)
EP (2) EP2275860B1 (ko)
JP (3) JP4672085B2 (ko)
KR (1) KR100746656B1 (ko)
CN (2) CN1265340C (ko)
TW (1) TW5196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9369B2 (ja) * 2001-08-08 2011-10-1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7038377B2 (en) * 2002-01-16 2006-05-02 Seiko Epson Corporation Display device with a narrow frame
JP4720069B2 (ja) * 2002-04-18 2011-07-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3778176B2 (ja) * 2002-05-28 2006-05-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3901127B2 (ja) * 2002-06-07 2007-04-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CN100418221C (zh) * 2002-06-07 2008-09-10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电光装置和电子仪器
SG142140A1 (en) 2003-06-27 2008-05-28 Semiconductor Energy Lab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CN1816836B (zh) * 2003-07-08 2011-09-07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100544123B1 (ko) 2003-07-29 2006-0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JP4741177B2 (ja) * 2003-08-29 2011-08-0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の作製方法
US7928654B2 (en) * 2003-08-29 2011-04-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538488B2 (en) * 2004-02-14 2009-05-26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Flat panel display
KR100615212B1 (ko) * 2004-03-08 2006-08-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KR100581903B1 (ko) 2004-03-09 2006-05-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US7619258B2 (en) * 2004-03-16 2009-11-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JP2005301161A (ja) * 2004-04-15 2005-10-27 Nec Corp 表示装置
KR100681022B1 (ko) * 2004-06-16 2007-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819300B (zh) * 2004-09-17 2010-06-16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发光器件
KR20060104093A (ko) * 2005-03-29 2006-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149936B1 (ko) * 2005-04-26 2012-05-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패널
US7710739B2 (en) 2005-04-28 2010-05-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display device
KR100671638B1 (ko) 2006-01-26 2007-01-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1366980B1 (ko) * 2007-06-01 2014-0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080114263A (ko) * 2007-06-27 2008-12-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0839430B1 (ko) * 2007-09-14 2008-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9175198A (ja) 2008-01-21 2009-08-06 Sony Corp El表示パネル及び電子機器
US8325311B2 (en) * 2008-07-07 2012-12-04 L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995071B1 (ko) 2008-09-12 2010-11-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1907795B (zh) * 2009-06-02 2013-08-07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图像显示系统及其制造方法
JP5409315B2 (ja) * 2009-12-11 2014-02-05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1789493B (zh) * 2009-12-25 2012-11-07 昆山维信诺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
KR101174882B1 (ko) 2010-06-15 2012-08-17 주식회사 엔씰텍 평판 표시 장치,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 기판, 평판 표시 장치 제조 방법 및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 기판 제조 방법
KR20120032250A (ko) * 2010-09-28 2012-04-0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810052B1 (ko) * 2010-10-27 2017-1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및 평판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120044021A (ko) * 2010-10-27 2012-05-0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및 평판 표시 장치 제조 방법
ES2575544T3 (es) 2010-12-24 2016-06-29 Medichem, S.A. Procedimientos para la preparación de 5-cloro-2-metil-2,3,3a,12b-tetrahidro-1H-dibenzo[2,3:6,7]oxepino[4,5-c]pirrol
KR101957998B1 (ko) 2012-06-20 2019-07-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4059246A (ja) * 2012-09-19 2014-04-03 Toshiba Corp 放射線検出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96377B1 (ko) * 2012-10-12 2018-09-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베젤이 최소화된 액정표시소자
KR102160829B1 (ko) * 2012-11-02 2020-09-2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밀봉체 및 밀봉체의 제작 방법
KR101993331B1 (ko) * 2013-01-03 2019-06-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33942A (ko) 2013-03-07 2018-12-1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CN103217845B (zh) * 2013-04-22 2015-07-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下基板及其制造方法、液晶显示面板和液晶显示器
KR102079253B1 (ko) * 2013-06-26 2020-02-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이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 장치,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제조방법 및 유기 발광 장치 제조방법
KR102118676B1 (ko) 2014-02-05 2020-06-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CN103777385A (zh) * 2014-02-12 2014-05-07 苏州众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fpc与lcd基板连接结构
WO2015174013A1 (ja) * 2014-05-12 2015-11-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有機el素子及び照明装置
CN104297957B (zh) * 2014-10-16 2017-02-15 昆山龙腾光电有限公司 Tft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4465704B (zh) * 2014-12-03 2019-08-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封装方法、显示装置
KR102399574B1 (ko) 2015-04-03 2022-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4900677A (zh) * 2015-05-14 2015-09-09 信利半导体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器件、显示装置及照明装置
KR102439308B1 (ko) * 2015-10-06 2022-09-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207303104U (zh) * 2017-10-31 2018-05-01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
CN116669498A (zh) * 2018-04-20 2023-08-29 堺显示器制品株式会社 有机el装置及其制造方法
CN109243305B (zh) * 2018-09-17 2021-10-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和显示面板的制造方法
KR20200077250A (ko) * 2018-12-20 2020-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장치
CN109856865A (zh) * 2019-04-03 2019-06-07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阵列基板及显示面板
CN116664566B (zh) * 2023-07-28 2023-09-26 成都数智创新精益科技有限公司 一种oled面板丝印质量控制方法及系统及装置及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0369A (ja) * 1992-11-10 1993-08-20 Casio Comput Co Ltd 液晶表示装置
JPH0990419A (ja) * 1995-09-27 1997-04-04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H11271804A (ja) * 1998-03-20 1999-10-08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H11271803A (ja) * 1998-03-18 1999-10-08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A (en) * 1841-03-12 Tor and planter for plowing
US2001A (en) * 1841-03-12 Sawmill
US5076667A (en) * 1990-01-29 1991-12-31 David Sarnoff Research Center, Inc. High speed signal and power supply bussing for liquid crystal displays
US5148301A (en) * 1990-02-27 1992-09-15 Casio Computer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driving circuit inside the seal boundary
JP2901028B2 (ja) * 1991-12-03 1999-06-02 シャープ株式会社 誘電性表示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249478A (ja) * 1991-12-25 1993-09-28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US5684555A (en) * 1994-12-19 1997-11-04 Kabushiki Kaisha Toshib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6011607A (en) 1995-02-15 2000-01-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Active matrix display with sealing material
JP3299869B2 (ja) * 1995-09-27 2002-07-08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3336900B2 (ja) * 1997-03-12 2002-10-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投写型表示装置
KR100516533B1 (ko) * 1997-03-26 2005-12-16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액정장치,전기광학장치및그것을사용한투사형표시장치
JP3856901B2 (ja) * 1997-04-15 2006-12-1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
JPH1124588A (ja) 1997-06-30 1999-01-29 Kyocera Corp 表示装置
JP3541625B2 (ja) * 1997-07-02 2004-07-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
JPH1152394A (ja) 1997-07-29 1999-02-26 Nec Kagoshima Ltd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907804B2 (ja) * 1997-10-06 2007-04-1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液晶表示装置
EP0950917B1 (en) 1997-10-31 2003-12-03 Seiko Epson Corporatio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H11279558A (ja) * 1998-01-27 1999-10-12 Hitachi Maxell Ltd ポリマー分散型液晶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有する液晶表示素子
US6111357A (en) * 1998-07-09 2000-08-29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having a cover with radiation-cured perimeter seal
JP2000173766A (ja) * 1998-09-30 2000-06-23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
KR101634970B1 (ko) * 2007-05-18 2016-06-30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JP5446982B2 (ja) * 2009-05-01 2014-03-1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表示パネル及び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0369A (ja) * 1992-11-10 1993-08-20 Casio Comput Co Ltd 液晶表示装置
JPH0990419A (ja) * 1995-09-27 1997-04-04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H11271803A (ja) * 1998-03-18 1999-10-08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H11271804A (ja) * 1998-03-20 1999-10-08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38712A (zh) 2002-03-06
CN100530750C (zh) 2009-08-19
US7019718B2 (en) 2006-03-28
KR20020009498A (ko) 2002-02-01
JP4969697B2 (ja) 2012-07-04
JP2012043803A (ja) 2012-03-01
EP1176457A3 (en) 2005-03-30
CN1265340C (zh) 2006-07-19
JP4672085B2 (ja) 2011-04-20
US20020011975A1 (en) 2002-01-31
EP1176457B1 (en) 2012-03-28
EP1176457A2 (en) 2002-01-30
EP2275860A2 (en) 2011-01-19
TW519606B (en) 2003-02-01
EP2275860A3 (en) 2011-05-11
JP2011054570A (ja) 2011-03-17
JP4897079B2 (ja) 2012-03-14
JP2010250337A (ja) 2010-11-04
CN1642369A (zh) 2005-07-20
EP2275860B1 (en) 201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6656B1 (ko) 표시장치
JP4671551B2 (ja) 表示装置
US9972670B2 (en) Display device
JP4701858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832531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1742358B2 (en) Display panel and large format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1203076A (ja) 発光装置及びその作製方法
JP4272447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