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073B1 - 발광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발광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073B1
KR100735073B1 KR1020060022532A KR20060022532A KR100735073B1 KR 100735073 B1 KR100735073 B1 KR 100735073B1 KR 1020060022532 A KR1020060022532 A KR 1020060022532A KR 20060022532 A KR20060022532 A KR 20060022532A KR 100735073 B1 KR100735073 B1 KR 100735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integrated circuit
circuit chip
substrat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2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0932A (ko
Inventor
다케히코 구보타
신스케 후지카와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0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6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EDs comprising organic material, e.g. for operat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2Kitchen sif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 B41J2/4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using light-emitting diode [LED] or laser array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6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inters Or Record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And Radiation Mean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Facsimile Hea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을 좁게 해서 기판 면적을 축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헤드부(10)는 복수의 OLED 소자(4)가 배열된 발광 영역(40)을 구비한 기판(1)과, 집적 회로 칩(2A, 2B)을 구비한다. 기판(1)의 다른쪽 면에서 보았을 때 집적 회로 칩(2A, 2B)과 발광 영역(40)의 일부 또는 전부가 중첩하도록 집적 회로 칩(2A, 2B)과 기판(1)이 접속된다. 따라서, 양자가 겹치는 면적만큼 기판(1)의 면적을 삭감할 수 있다. OLED 소자(4)는 집적 회로 칩(2A, 2B)으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전류에 의해 발광한다.
헤드부, 화소회로, 유지 트랜지스터, 구동 트랜지스터, 접속 배선, OLED 소자, 감광체

Description

발광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및 전자 기기{LIGHT-EMITT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발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발광 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레이아웃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계된 발광 장치의 레이아웃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레이아웃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은 제 3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레이아웃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7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레이아웃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8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음극을, 비교예를 사용하여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9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레이아웃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 식도.
도 10은 제 6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레이아웃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11은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화상 형성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헤드부(발광 장치)
61…유지 트랜지스터
62…구동 트랜지스터
63…접속 배선
64…OLED 소자(발광 소자)
103…데이터선
110Y, 110M, 110C, 110K…감광체
641…양극(제 2 전극)
645…음극(제 1 전극)
P…화소 회로
본 발명은 발광 소자를 이용한 발광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소자를 대신하는 차세대의 발광 디바이스로서,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나 발광 폴리머 소자 등으로 불리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하 「OLED 소자」로 약칭한다) 소자가 주목받고 있다. 이 OLED 소자를 사용한 패널은 OLED 소자가 자기 발광형(self-emission type)이기 때문에 시야각 의존성이 적고, 또한, 백라이트나 반사광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저소비전력화나 박형화에 적합하다.
OLED 소자를 사용한 발광 장치는 복수의 OLED 소자, 복수의 주사선, 및 복수의 데이터선이 형성된 기판과, 이 기판에 주사 신호나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반도체칩(이하 「IC」로 칭한다)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기판에 OLED 소자를 배치하는 화소 영역과 IC를 배치하는 IC 영역을 별개로 설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IC의 실장 방법으로서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하, 「FPC」로 칭한다)에 IC를 실장하고, FPC를 통해서 기판에 신호나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 제 2003-271069호 공보 (도 1 참조)
그러나, 종래의 발광 장치와 같이 기판에 IC를 배치하면, 화소 영역 이외의 프레임 부분에 있어서, IC 영역 이외에 IC를 실장하기 위한 공차(公差)를 고려할 필요가 있어, 프레임 부분의 면적이 증대한다. 한편, FPC를 사용한 IC의 실장 방법에서는, IC를 FPC 위에 배치함으로써 IC와 기판을 접속하는 배선 수가 증가하므 로, FPC 자체의 비용이 증가하고, FPC를 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실장폭이 증가한다. 그리고, 고정밀화를 위해서는 FPC의 배선 간격을 좁게 할 필요가 있지만, 이것은 IC의 실장 단자의 간격을 좁게 하는 것보다도 기술적으로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IC를 기판에 배치하는 구성에 있어서, 기판 면적의 축소 및 고정밀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발광 장치 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는, 복수의 발광 소자가 배열되고, 그 한쪽 면으로부터 발광하는 발광 영역을 구비한 기판과,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집적 회로 칩을 구비하고, 상기 기판의 다른쪽 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집적 회로 칩과 상기 발광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가 중첩하도록 상기 집적 회로 칩을 상기 기판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광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에 집적 회로 칩이 중첩하도록 배치할 수 있으므로, 양자가 중첩한 면적만큼 기판의 면적을 축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 장치의 비용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발광 소자는 어떤 것이라도 좋지만, 예를 들면 OLED 소자나 무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발광 영역은 상기 기판의 다른쪽 면에 형성되고, 상기 집적 회로 칩은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에 의해 상기 기판의 다른쪽 면에 고착되어, 상기 단자의 길이는 상기 집적 회로 칩의 저면이 상기 발광 영역에 접촉 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집적 회로 칩의 단자의 길이를 설정함으로써, 기판 위에 발광 소자 등을 형성해도, 이것이 집적 회로 칩의 저면과 접촉해서 발광 소자 등에 손상을 줄 일도 없다. 또한 집적 회로 칩은 발광 영역이 발광하는 면과는 반대 면에 배치되므로, 집적 회로 칩에 의해 발광이 방해받지 않는다. 또, 기판과 집적 회로 칩과의 고착에는 이방성 도전막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발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적 회로 칩의 복수의 단자의 일부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에 공급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 단자이며,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각각은 음극과 양극을 가지며, 상기 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집적 회로 칩의 상기 복수의 출력 단자와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 단자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음극과 공통으로 접속되는 공통 음극 배선과,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양극과 상기 복수의 접속 단자를 각각 접속하는 제 1 배선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단자는 대응하는 발광 소자에서 보았을 때 상기 공통 음극 배선과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광 소자를 끼고 공통 음극 배선과 접속 단자를 배치했으므로, 접속 단자와 발광 소자를 접속하는 제 1 배선을 공통 음극 배선과 교차시키지 않아도 된다. 이 결과, 입력 단자와 발광 소자를 접속하는 배선과 공통 음극선을 동일 재료로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배선의 교차가 없기 때문에, 배선의 쇼트에 의한 수율(收率)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발광 소자에 부수되는 부유 용량을 저감할 수 있어, 구동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발광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통 음극 배선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배열에 대하여 한쪽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접속 단자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배열에 대하여 다른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이아웃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접속 단자와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각각 접속하는 제 1 배선의 길이를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구동 특성을 균일하게 할 수 있어, 휘도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발광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출력 단자 및 상기 복수의 접속 단자를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배열에 대하여 교대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집적 회로 칩의 출력 단자의 간격을 넓게 할 수 있어, 단자 사이의 단락을 방지하는 동시에 탑재 마진을 확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발광 장치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발광 소자의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공통 음극 배선을 지그재그로 배치하고, 상기 집적 회로 칩의 한쪽 긴 변으로부터 다른쪽 긴 변으로 향하여 상기 공통 음극 배선, 상기 발광 소자, 상기 제 1 배선 및 상기 접속 단자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공통 음극 배선과 제 1 배선이 교차하지 않으므로, 양자를 동일한 재료로 동일한 공정에서 기판 위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공통 음극 배선과 제 1 배선이 단락(短絡)하는 일이 없어져 수율이 향상한다. 또한, 제 1 배선과 공통 음극 배선의 사이에서 부유 용량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발광 소자의 구동 부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를 들면 집적 회로 칩이 종(縱)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집적 회로 칩의 한쪽 긴 변은 좌단부 또는 우단부가 해당한다. 따라서, 좌단부에서 우단부에 걸쳐서 공통 음극 배선, 발광 소자, 제 1 배선 및 접속 단자가 배치되어 있을 경우와, 우단부에서 좌단부에 걸쳐서 공통 음극 배선, 발광 소자, 제 1 배선 및 접속 단자가 배치되어 있을 경우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발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적 회로 칩을 복수 구비하고, 각 집적 회로 칩은 짧은 변과 긴 변을 갖고, 상기 집적 회로 칩의 짧은 변에 근접해서 상기 복수의 출력 단자 중 일부가 배치되고, 상기 기판에는 상기 짧은 변에 배치되는 출력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접속 단자가 배치되며, 상기 짧은 변에 근접해서 배치된 접속 단자와, 어떤 집적 회로 칩과 다음 집적 회로 칩과의 사이에 배치된 상기 발광 소자를 접속하는 제 2 배선을 상기 짧은 변과 교차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집적 회로 칩의 짧은 변에 인접하고, 발광 소자가 배치되는 영역에 제 2 배선을 배치할 수 있으므로, 기판의 면적을 축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발광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집적 회로 칩에 신호를 공급하는 복수의 배선이 형성된 플렉시블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플렉시블 기판이 상기 기판을 덮는 부분은 제 1 영역이며 상기 기판을 덮지 않는 부분은 제 2 영역이고, 긴 변과 짧은 변을 갖는 상기 집적 회로 칩을 복수 구비하고, 상기 집적 회로 칩의 긴 변에 근접해서 상기 복수의 출력 단자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배치되며, 상기 기판에는 상기 긴 변에 배치되는 출력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접속 단자가 배치되고, 상기 긴 변에 근접해서 배치된 접속 단자와, 어떤 집적 회로 칩과 다음 집적 회로 칩과의 사이에 배치된 상기 발광 소자를 접속하는 제 3 배선을 상 기 긴 변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제 2 영역에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통 음극배선, 상기 어떤 집적 회로 칩과 상기 다른 집적 회로 칩의 사이에 배치된 상기 발광 소자 및 상기 제 3 배선의 순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공통 음극 배선과 제 3 배선이 교차하지 않으므로, 양자를 동일한 재료로 동일한 공정에서 기판 위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공통 음극배선과 제 3 배선이 단락하는 일이 없어져 수율이 향상한다. 또한, 제 3 배선과 공통 음극 배선의 사이에서 부유 용량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발광 소자의 구동 부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발광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집적 회로 칩에 신호를 공급하는 복수의 배선이 형성된 플렉시블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플렉시블 기판이 상기 기판을 덮는 부분은 제 1 영역이며 상기 기판을 덮지 않는 부분은 제 2 영역이고, 긴 변과 짧은 변을 갖는 상기 집적 회로 칩을 복수 구비하고, 상기 집적 회로 칩의 긴 변에 근접해서 상기 복수의 출력 단자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배치되고, 상기 기판에는 상기 긴 변에 배치되는 출력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접속 단자가 배치되고, 상기 긴 변에 근접해서 배치된 접속 단자와, 어떤 집적 회로 칩과 다음 집적 회로 칩의 사이에 배치된 상기 발광 소자를 접속하는 제 3 배선을 상기 긴 변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플렉시블 기판과 기판이 중첩하는 제 1 영역에도 제 3 배선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을 좁게 해서 기판의 면적을 축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광선의 조사에 의해 화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광선을 조사해서 상기 화상을 형성하는 헤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 장치를 상기 헤드부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부의 구성을 간이화할 수 있으므로,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간이화해서 소형화·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는 상술한 발광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자 기기로서는, 휴대 전화기, 퍼스널 컴퓨터, 정보 단말 장치, 전자 카메라 등이 포함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발광 장치>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 발광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프린터의 헤드부(10)로서 이용된다. 헤드부(10)는 라인(Line)형의 광헤드이다. 헤드부(10)는 기판(1), 집적 회로 칩(2A, 2B), 플렉시블 기판(3A, 3B, 및 3C)을 구비한다. 플렉시블 기판(3A, 3B)은 집적 회로 칩(2A, 2B)에 각종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것이다. 집적 회로 칩(2A, 2B)은 COG(Chip On Glass) 기술을 이용해서 기판(1)에 실장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일점쇄선의 내측의 영역(제 1 영역)에 플렉시블 기판(3A, 3B, 및 3C)이 배치되고, 그 이외의 영역(제 2 영역)에는 플렉시블 기판(3A, 3B, 및 3C)이 배치되지 않는다.
기판(1)에는 광을 투과하는 투명한 재료가 사용되어, 예를 들면 글라스가 사용된다. 기판(1)의 한쪽 면에는 발광 영역(40)이 설치되어 있고, 발광 영역(40)에는 복수의 OLED 소자(4)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OLED 소자(4)는 종 방 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지만, 종 방향으로 2열로 배열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 예에서는 집적 회로 칩(2A)과 집적 회로 칩(2B)과의 간격이 OLED 소자(4)의 간격보다 좁다. 또한, OLED 소자(4)는 등(等)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OLED 소자(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음극과 양극을 갖는다. 각 음극은 공통 음극 배선(5)과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집적 회로 칩(2A, 2B)은 긴 변과 짧은 변을 갖고, 그 긴 변을 따라 복수의 범프(bump)(20)(접속 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집적 회로 칩(2A, 2B)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각종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복수의 OLED 소자(4)를 구동하는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문에, 집적 회로 칩(2A, 2B)에 설치된 복수의 범프(20)는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 단자(21)와 신호를 입력하는 복수의 입력단자(22)를 구비한다.
기판(1)에는 상술한 복수의 출력 단자(21)에 각각 대응하는 제 1 접속 단자(11)가 설치되고, 복수의 입력 단자(22)에 각각 대응하는 제 2 접속 단자(12)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 1 접속 단자(11)와 OLED 소자(4)와는 배선(13)(제 1 배선)으로 접속된다. 여기에서, 복수의 OLED 소자(4)의 구동 특성을 균일하게 하는 관점보다, 각 배선(13)의 거리를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 1 접속 단자(11)와 OLED 소자(4) 사이의 거리를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선(13)은 그 거리에 따른 배선 저항과 부유 용량을 가지므로, 거리가 서로 다르면 OLED 소자(4)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의 파형이 서로 다르고, 거리가 길어짐에 따라서 파형이 둔해진다. 이 결과, 발광 특성에 편차가 발생한다. 각 배선의 거리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같은 조건에서 복수의 OLED 소자(4)를 구동할 수 있어, 균일한 발 광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기판(1)의 주변부분에는 복수의 제 3 접속 단자(30)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 3 접속 단자(30)의 각각은 배선(31)을 통해서 제 2 접속 단자(12)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 3 접속 단자(30)는 플렉시블 기판(3A, 3B)에 설치된 단자와 접속된다. 이에 따라, 외부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는 플렉시블 기판(3A, 3B) → 제 3 접속 단자(30) → 배선(31) → 제 2 접속 단자(12) → 입력 단자(22) → 집적 회로 칩(2A, 2B) → 출력 단자(21) → 제 1 접속 단자(11) → 배선(13) → OLED 소자(4)라는 경로로 OLED 소자(4)를 구동한다. 이 경우, 외부기기로부터 집적 회로 칩(2A, 2B)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 전원 등이 공급된다. 집적 회로 칩(2A, 2B)에서는 데이터 신호를 적절한 전류 신호로 변환하여 OLED 소자(4)에 출력한다. 이 전류 신호에 의해 OLED 소자(4)가 발광한다. 각 배선(31)의 거리를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헤드부(10)를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1)에는 OLED 소자(4)가 형성되어 있다. OLED 소자(4)는 양극(41)과, 기능층(42)과, 음극(43)을 구비한다. 기능층(42)은 정공(正孔)을 수송 가능한 정공 수송층(421)과, 발광 능력을 갖는 유기 EL 물질을 포함하는 발광층(422)과, 발광층(422)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 수송층(423)을 구비한다. 양극(41)은 배선(13)을 통해서 제 2 입력 단자(11)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절연층(16)의 표면 중 OLED 소자(4)가 설치되어 있는 이외의 부분과 음극(43)의 사이에는, 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격벽(15)이 설치되어 있다. 양극(41)은 정공 수 송층(421)에 대하여 정공을 공급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ITO(인듐 주석 산화물)이나 산화인듐·산화아연계 아모퍼스(Amorphous) 투명 도전막(Indium Zinc Oxide:IZO(등록상표)) 등의 투명 도전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양극(41)은 상술한 각 재료의 합금이나 적층한 것일 수도 있다. 음극(43)은 전자 주입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낮은 일함수의 금속 원소(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 마그네슘, 희토류 원소(Pm을 제외), 알루미늄)로 구성된다. 또한, 음극(43)은 광반사성 또는 불투명한 도전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층(422)으로부터의 광을 양극(41)측으로부터 발광하는 구성(보텀 에미션(Bottom emission)형)이다. 각 음극(43)은 공통 음극 배선(5)에 접속되어 있다. 공통 음극 배선(5)은 음극(43)보다 단위 면적당 저항값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OLED 소자(4)를 낮은 임피던스 하에 구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음극(43)의 전류 밀도가 낮으면 공통 음극 배선(5)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또한 프레임의 협소화를 도모할 수 있어, 기판(1)의 면적을 축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극(43)의 상면에는 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밀봉재(17)가 설치된다. 밀봉재(17)에 의해, OLED 소자(4)를 외기(外氣)에 포함되는 산소나 수분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밀봉재(17), 제 1 접속 단자(11), 및 제 2 접속 단자(12)를 덮도록 이방성 도전 필름(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18)이 설치되어 있다. 이방성 도전 필름(18)은 주로 열 또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의 접착제와 도전성 입자 등으로 구성된다. 이방성 도전 필름(18)은 접착시에 가열 및 가압된다. 이에 따라, 집적 회로 칩(2A)의 범프(20)와 제 1 접속 단자 (11) 및 제 2 접속 단자(12)로서 형성된 랜드(land) 사이에, 이방성 도전 필름(18)에 포함되는 도전 입자가 개재(介在)함으로써, 서로 접합되어서 양호한 도통(導通)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범프(20)의 높이(H)는 이방성 도전 필름(18)이 집적 회로 칩(2A)의 저면(Q)에 접촉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밀봉재(17)의 막 두께(h)가 범프(20)의 높이(H)보다 작게 선택되어 있다. 이 점은 집적 회로 칩(2B)에 관해서도 동일하다. 이렇게 범프(20)의 높이(H)를 설정함으로써, 기판(1)의 평면과 수직 방향에서 보았을 때, OLED 소자(4)에 손상을 주지 않고 집적 회로 칩(2A, 2B)과 발광 영역(40)을 중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발광 영역(40) 이외에 집적 회로 칩(2A, 2B)을 배치하는 면적을 삭감하여, 기판(1)의 면적을 축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집적 회로 칩(2A, 2B)에 있어서 복수의 출력 단자(21)를 한쪽 긴 변에 배치했으므로, 복수의 출력 단자(21)가 공통 음극 배선(5)에 대하여 한쪽에 집중해서 배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OLED 소자(4)는 제 1 접속 단자(11)와 공통 음극 배선(5)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공통 음극 배선(5)은 제 2 접속 단자(12)와 OLED 소자(4)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OLED 소자(4)의 양극(421)과 출력 단자(21)를 접속하는 배선(13)을 공통 음극 배선(5)과 교차하는 일 없이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선(13)과 공통 음극 배선(5)를 동일한 층에서 형성할 수 있어, 프로세스를 간이화할 수 있다. 또한, 배선(13)과 공통 음극 배선(5)이 교차하지 않으므로, 양자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일이 없어, 수율이 향상한다. 또한, 교차에 의해 부유 용량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전류 신호 파형을 급격히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기판(1)의 레이아웃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OLED 소자(4)의 피치(pitch)와 동일한 피치로 복수의 제 1 접속 단자(11) 및 제 2 접속 단자(12)를 배치하는 동시에 제 3 접속 단자(30)를 등 간격의 피치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인접하는 제 3 접속 단자(30)의 사이에서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고, 또, 플렉시블 기판(3A, 3B)의 배선 간격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3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레이아웃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또, 도면 중에 나타내는 점선 Y1은 집적 회로 칩(2A, 2B)의 우단부를 나타내고, 점선 Y2는 집적 회로 칩(2A, 2B)의 좌단부를 나타낸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는 집적 회로 칩(2A, 2B)의 출력 단자(21)의 배치 및 제 1 접속 단자(11)의 배치가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이 예에서는, 집적 회로 칩(2A, 2B)의 복수의 출력 단자(21)가 우단부 Y1과 좌단부 Y2에 교대로 배치되고 있어, 이것에 따라, 기판(1)에 배치되는 제 1 접속 단자(11)가 우단부 Y1과 좌단부 Y2에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출력 단자(21) 및 제 1 접속 단자(11)를 배치함으로써, 집적 회로 칩(2A, 2B)의 범프(20)의 피치를 크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인접하는 설치 단자 간의 단락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고, 또, 집적 회로 칩(2A, 2B)을 탑재하는 마진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입력단자(22)는 도시하지 않는 스페이스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공통 음극 배선(5)은 OLED 소자의 한쪽에 배치되어 있지만, OLED 소자의 양측에 배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공통 음극 배선(5)과 배선(13) 사이의 부유 용량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레이아웃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OLED 소자(4)의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공통 음극 배선(5)을 지그재그로 배치함으로써, 공통 음극 배선(5)이 OLED 소자(4)를 봉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에는, OLED 소자(4)와 제 1 접속 단자(11)를 접속하는 배선(13)이 교차하지 않으므로, 배선(13)과 공통 음극 배선(5)를 동일한 층에서 형성할 수 있어, 프로세스를 간이화할 수 있다. 또한, 배선(13)과 공통 음극 배선(5)이 교차하지 않으므로, 양자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일이 없어, 수율이 향상한다. 또한, 교차에 의해 부유 용량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홀수 번째의 OLED 소자(4)와 짝수 번째의 OLED 소자(4)를 동일한 조건에서 구동할 수 있고, 전류 신호 파형의 상승 시간 및 하강 시간을 맞출 수 있다. 또한, 공통 음극 배선(5)은 차광성을 갖고 있어, 인접하는 OLED 소자(4)의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공통 음극 배선(5)을 지그재그로 배치함으로써, OLED 소자(4)로부터의 미광(迷光)을 차광할 수 있다. 공통 음극 배선(5)을 구성하는 차광성을 갖는 재료로서는 Ti, Mo, Cr 등의 금속 및 이들 금속의 산화물, 및 이들 금속과 금속산화물의 적층 구조를 예시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레이아웃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또, 도면 중에 나타내는 점선 X는 집적 회로 칩(2A, 2B)의 짧은 변 단부를 나타낸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는 집적 회로 칩(2A, 2B)의 사이에도 OLED 소자(4a, 4b)가 설치되어 있는 점, 집적 회로 칩(2A, 2B)의 짧은 변 단부(21)에서의 출력 단자(21a, 2lb) 및 제 1 접속 단자(11a, 1lb)의 배치를 제외하고,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집적 회로 칩(4a)과 집적 회로 칩(4b)과의 간격이 OLED 소자의 간격보다 넓고, 집적 회로 칩(4a)과 집적 회로 칩(4b)의 사이에 OLED 소자(4a, 4b)가 배치되어 있다. OLED 소자(4, 4a, 및 4b)의 간격은 동일 간격이다. 여기에서, 집적 회로 칩(2A)의 짧은 변 단부 X에 배치된 출력 단자(21a)는 제 1 접속 단자(11a)와 접속된다. 한편, 집적 회로 칩(2B)의 짧은 변 단부 X에 배치된 출력 단자(2lb)는 제 1 접속 단자(1lb)와 접속된다. 그리고, 배선(13a, 13b)(제2배선)에 의해, OLED 소자(4a, 4b)가 제 1 접속 단자(11a, 1lb)와 접속된다. 가령, 긴 변 Y1측으로부터 배선(13a, 13b)을 연장하면, 프레임 면적이 증가하여 기판(1)으로서 사이즈가 큰 것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짧은 변 단부 X로부터 배선(13a, 13b)을 연장시킴으로써 기판(1)의 면적을 축소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는 집적 회로 칩(2A, 2B)의 하부에 OLED 소자(4)를 배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집적 회로 칩(2A, 2B)의 사이즈가 커져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집적 회로 칩(2A, 2B)의 사이에 OLED 소자(4a, 4b)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집적 회로 칩(2A, 2B)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집적 회로 칩 (2A, 2B)의 사이즈를 작게 함으로써 얼라인먼트(alignment) 정밀도, 그 중에서도 특히 회전 방향의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다.
도 6은 제 3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레이아웃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통 음극 배선(5)이 OLED 소자(4a, 4b)를 봉하도록 지그재그로 통과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OLED 소자(4b)와 제 1 접속 단자(1lb)를 접속하는 배선(13b)이 교차하지 않으므로, 배선(13b)과 공통 음극 배선(5)를 동일한 층에서 형성할 수 있어, 프로세스를 간이화할 수 있다. 또한, 배선(13b)과 공통 음극 배선(5)이 교차하지 않으므로, 양자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일이 없어, 수율이 향상한다. 또한, 교차에 의해 부유 용량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전류 신호 파형을 급격히 변화시킬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7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레이아웃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는 배선(13a, 13b)의 배열을 제외하고, 제 3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복수의 제 1 접속 단자(21)가 긴 변 Y1측에 배치되어 있어(도시 생략), 배선(13a, 13b)(제 3 배선)을 긴 변 Y1의 외측의 영역을 이용해서 배열한다. 따라서, 도 5에 나타내는 제 3 실시예의 레이아웃과 같이 배선(13b)과 공통 음극 배선(5)이 교차하지 않는다. 이 결과, 배선(13b)과 공통 음극 배선(5)를 동일한 층에서 형성할 수 있어, 프로세스를 간이화할 수 있다. 또한, 배선(13b)과 공통 음극 배선(5)이 교차하지 않으므로, 양자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일이 없 어, 수율이 향상한다. 또한, 교차에 의해 부유 용량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전류 신호 파형을 급격히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음극(43)의 폭을 넓혀서 전원 임피던스(impedance)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 점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짧은 변 단부 X에 제 1 접속 단자(11a)를 배치할 경우에는 출력 단자(21a)와의 접속을 취하기 위해, 제 1 접속 단자(11a)의 상부에 음극(43)을 배치할 수는 없다. 이에 대하여, 짧은 변 단부 X에 제 1 접속 단자(11a)가 없을 경우에는,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극(43)의 폭 W2를 넓게 할 수 있다.
<제 5 실시예>
도 9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레이아웃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제 5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는 배선(13a, 13b)의 설치를 제외하고, 제 3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배선(13a, 13b)(제 3 배선)의 일부를 플렉시블 기판(3A, 3B)과 긴 변 Y2와의 사이의 스페이스를 이용해서 배열한다. 즉, 배선(13a, 13b)(제 3 배선)은 플렉시블 기판(3A 내지 3C) 이외의 제 2 영역에 형성된다. 이에 의해, 프레임 면적을 작게 하여 기판(1)의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다.
<제 6 실시예>
도 10은 제 6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레이아웃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제 6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는 배선(13a, 13b)의 배열을 제외하고, 제 5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배선(13a, 13b)(제 3 배선)의 일부를 플렉시블 기판(3A, 3B)의 하부의 스페이스를 이용해서 배열한다. 배선(13a 및 13b)(제3배선)은 플렉시블 기판(3A 내지 3C)의 제 1 영역과 그를 제외한 제 2 영역의 쌍방에 형성된다. 제 2 영역을 설치에 활용함으로써, 프레임 면적을 작게 하여 기판(1)의 사이즈를 한층 더 축소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
도 11은 상기 헤드부(10)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이 화상 형성 장치는 동일한 구성의 4개의 유기 EL 어레이 노광(露光) 헤드(10K, 10C, 10M, 10Y)를 대응하는 동일한 구성인 4개의 감광체 드럼(상 담지체(像擔持體))(110K, 110C, 110M, 110Y)의 노광 위치에 각각 배치한 것이며, 직렬식(tandem type) 화상 형성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다. 유기 EL 어레이 노광 헤드(10K, 10C, 10M, 10Y)는 상기 헤드부(10)로 구성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화상 형성 장치는 구동 롤러(121)와 종동(縱動) 롤러(122)가 설치되어 있고, 나타낸 화살표 방향으로 순환 구동되는 중간 전사 벨트(1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간 전사 벨트(120)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상담지체로서의 외주면에 감광층을 갖는 감광체(110K, 110C, 110M, 110Y)가 배치된다. 상기 부호의 뒤에 부가된 K, C, M, Y는 각각 흑색(Black), 시안(Cyan), 마젠타(Magenta), 황색(Yellow)을 의미하고, 각각 흑색, 시안, 마젠타, 황색용의 감광체임을 나타낸다. 다른 부재에 관해서도 동일하다. 감광체(110K, 110C, 110M, 110Y)는 중간 전사 벨트(120)의 구동과 동기해서 회전 구동된다.
각 감광체(110K, 110C, 110M, 110Y)의 주위에는, 각각 감광체(110K, 110C, 110M, 110Y)의 외주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대전 수단(코로나 대전기)(111K, 111C, 111M, 111Y))과, 이 대전 수단(111K, 111C, 111M, 111Y)에 의해 한결같이 대전된 외주면을 감광체(110K, 110C, 110M, 110Y)의 회전에 동기해서 순차적으로 라인 주사하는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유기 EL 어레이 노광 헤드(10K, 10C, 10M, 10Y)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유기 EL 어레이 노광 헤드(10K, 10C, 10M, 10Y)에서 형성된 정전 잠상(靜電潛像)에 현상제인 토너를 부여해서 가시상(토너상)으로 하는 현상 장치(114K, 114C, 114M, 114Y)를 갖고 있다.
여기에서, 각 유기 EL 어레이 노광 헤드(10K, 10C, 10M, 10Y)는, 유기 EL 어레이 노광 헤드(10K, 10C, 10M, 10Y)의 어레이 방향이 감광체 드럼(110K, 110C, 110M, 110Y)의 모선(母線)을 따르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각 유기 EL 어레이 노광 헤드(10K, 10C, 10M, 10Y)의 발광 에너지 피크 파장과, 감광체(110K, 110C, 110M, 110Y)의 감도 피크 파장은 대략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현상 장치(114K, 114C, 114M, 114Y)는, 예를 들면 현상제로서 비자성 일성분 토너를 이용하는 것으로, 그 일성분 현상제를 예를 들면 공급 롤러에서 현상 롤러로 반송하고, 현상 롤러 표면에 부착된 현상제의 막 두께를 규제 블레이드에서 규제하고, 그 현상 롤러를 감광체(110K, 110C, 110M, 110Y)에 접촉 혹은 가압시킴으로써, 감광체(110K, 110C, 110M, 110Y)의 전위 레벨에 따라 현상제를 부착시킴으로써 토너상으로서 현상하는 것이다.
이러한 4색의 단색 토너상 형성 스테이션에 의해 형성된 흑색, 시안, 마젠타, 황색의 각 토너상은 중간 전사 벨트(120) 위에 순차적으로 1차 전사되고, 중간 전사 벨트(120) 위에서 순차적으로 중첩되어서 풀 컬러가 된다. 픽업 롤러(103)에 의해 급지 카세트(101)로부터 1매씩 급송된 기록 매체(102)는 2차 전사 롤러(126)로 보내진다. 중간 전사 벨트(120) 위의 토너상은 2차 전사 롤러(126)에서 용지 등의 기록 매체(102)에 2차 전사되고, 정착부인 정착 롤러대(127)를 지남으로써 기록 매체(102)위에 정착된다. 이 다음, 기록 매체(102)는 배지 롤러대(128)에 의해 장치 상부에 형성된 배지 트레이 위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도 11의 화상 형성 장치는 기입 수단으로서 유기 EL 어레이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레이저 주사 광학계를 이용한 경우보다도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화상 형성 장치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12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에는 주요 구성 부재로서, 로터리 구성의 현상 장치(161), 상담지체로서 기능하는 감광체 드럼(165), 유기 EL 어레이가 설치되어 있는 노광 헤드(167), 중간 전사 벨트(169), 용지 반송로(174), 정착기의 가열 롤러(172), 급지 트레이(178)가 설치되어 있다. 노광 헤드(167)는 상술한 헤드부(10)로 구성되어 있다.
현상 장치(161)는, 현상 로터리(161a)가 축(16lb)을 중심으로 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현상 로터리(161a)의 내부는 4분할 되어 있고, 각각 황색(Y), 시안(C), 마젠타(M), 흑색(K)의 4색의 상 형성 유닛이 설치되어 있다. 현상 롤러 (162a 내지 162d) 및 토너 공급 롤러(163a 내지 163d)는, 상기 4색의 각 상 형성 유닛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규제 블레이드(164a 내지 164d)에 의해, 토너는 소정의 두께로 규제된다.
감광체 드럼(165)은 대전기(168)에 의해 대전되어, 구동 모터(도시 생략), 예를 들면 스텝 모터에 의해 현상 롤러(162a)와는 역방향으로 구동된다. 중간 전사 벨트(169)는 종동(縱動) 롤러(170b)와 구동 롤러(170a) 사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어, 구동 롤러(170a)가 상기 감광체 드럼(165)의 구동 모터에 연결되어서, 중간 전사 벨트에 동력을 전달하고 있다. 해당 구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169)의 구동 롤러(170a)는 감광체 드럼(165)과는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용지 반송로(174)에는 복수의 반송 롤러와 배지 롤러대(176) 등이 설치되어 있어 용지를 반송한다. 중간 전사 벨트(169)에 담지(擔持)되어 있는 한 면의 화상(토너상)이 2차 전사 롤러(171)의 위치에서 용지의 한 면에 전사된다. 2차 전사 롤러(171)는 클러치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169)에 접촉하거나 떨어져서, 클러치 온으로 중간 전사 벨트(169)에 접촉되어서 용지에 화상이 전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화상이 전사된 용지는, 이어서, 정착 히터를 갖는 정착기에서 정착 처리가 된다. 정착기에는 가열 롤러(172), 가압 롤러(173)가 설치되어 있다. 정착 처리 후의 용지는 배지 롤러대(176)에 삽입되어서 화살표 F 방향으로 진행한다. 이 상태로부터 배지 롤러대(176)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용지는 방향을 반전해서 양면 프린트용 반송로(175)를 화살표 G 방향으로 진행한다. 용지는 급지 트레이(178)로부터 픽업 롤러(179)에 의해 1매씩 꺼내지게 되어 있다.
용지 반송로에 있어서, 반송 롤러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는 예를 들면 저속의 브러시레스 모터(brushless motor)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169)는 색상 어긋남 보정 등이 필요하게 되므로 스텝 모터가 이용되어 있다. 이들 각 모터는 제어 수단(도시 생략)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도 11의 상태에서, 황색(Y)의 정전잠상이 감광체 드럼(165)에 형성되고, 현상 롤러(128a)에 고전압이 인가됨으로써, 감광체 드럼(165)에는 황색의 화상이 형성된다. 황색의 뒤측 및 앞측의 화상이 전부 중간 전사 벨트(169)에 담지되면, 현상 로터리(161a)가 90도 회전한다.
중간 전사 벨트(169)는 1회전해서 감광체 드럼(165)의 위치에 되돌아간다. 다음에 시안(C)의 2면의 화상이 감광체 드럼(165)에 형성되고, 이 화상이 중간 전사 벨트(169)에 담지되어 있는 황색의 화상에 중첩하여 담지된다. 이하, 같은 방법으로 현상 로터리(161)의 90도 회전, 중간 전사 벨트(169)로의 화상 담지 후의 1회전 처리가 반복된다.
4색의 컬러 화상 담지에는 중간 전사 벨트(169)는 4회전하고, 그 후에 또 회전 위치가 제어되어서 2차 전사 롤러(171)의 위치에서 용지에 화상을 전사한다. 급지 트레이(178)로부터 급지된 용지를 반송로(174)로 반송하고, 2차 전사 롤러(171)의 위치에서 용지의 한 면에 상기 컬러 화상을 전사한다. 한 면에 화상이 전사된 용지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배지 롤러대(176)로 반전되어서, 반송 경로에서 대기하고 있다. 그 후에 용지는 적당한 타이밍에서 2차 전사 롤러(171)의 위치에 반송되어서, 다른 면에 상기 컬러 화상이 전사된다. 하우징(180)에는 배기 팬(181) 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발광 장치의 일례로서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할 수 있는 헤드부(10)를 거론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OLED 소자(4) 등의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집적 회로 칩(2A, 2B)을 발광 영역(40)과 중첩하도록 배치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에 적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복수의 OLED 소자를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한 표시장치도 발광 장치에 포함된다. 이 경우, 기판(1)에는 복수의 데이터선과 복수의 주사선이 교차하도록 형성되고, 그들의 교차에 대응해서 복수의 화소 회로가 형성된다. 화소 회로는 OLED 소자와 이것을 구동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발광 영역은 복수의 화소 회로가 배치되는 영역이 된다. 집적 회로 칩에는 주사선을 구동하는 주사선 구동 회로, 혹은 데이터선을 구동하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를 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와 집적 회로 칩이 중첩되도록 배치함으로써, 기판의 면적을 축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한 표시 장치를 이용한 전자 기기로서는 휴대전화기, PC, 휴대 정보단말, 디지털 스틸 카메라, 텔레비전 모니터, 뷰 파인더형, 모니터 직시형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카 네비게이션 장치, 호출기(Pager), 전자 수첩, 전자 계산기, 워드프로세서, 워크스테이션, TV폰, POS 단말, 터치 패널을 구비한 기기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의 각종 전자 기기의 표시부로서, 상술한 표시 장치가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IC를 기판에 배치하는 구성에 있어서, 기판 면적의 축소 및 고정밀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부의 구성을 간이화할 수 있으므로,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간이화해서 소형화·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2)

  1. 복수의 발광 소자가 배열되고, 그 한쪽 면으로부터 발광하는 발광 영역을 구비한 기판과,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집적회로 칩을 구비하고,
    상기 기판의 다른쪽 면에서 보아서 상기 집적 회로 칩과 상기 발광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가 중첩되도록 상기 집적 회로 칩을 상기 기판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영역은 상기 기판의 다른쪽의 면에 형성되고,
    상기 집적 회로 칩은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에 의해 상기 기판의 다른쪽의 면에 고착되고,
    상기 단자의 길이는 상기 집적 회로 칩의 저면이 상기 발광 영역에 접촉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 회로 칩의 복수의 단자의 일부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에 공급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 단자이며,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각각은 음극과 양극을 가지며,
    상기 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집적 회로 칩의 상기 복수의 출력 단자와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 단자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음극과 공통으로 접속되는 공통 음극 배선과,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양극과 상기 복수의 접속 단자를 각각 접속하는 제 1 배선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단자는 대응하는 발광 소자에서 보아서 상기 공통 음극 배선과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음극 배선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배열에 대하여 한쪽 측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접속 단자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배열에 대하여 다른쪽 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출력 단자 및 상기 복수의 접속 단자를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배열에 대하여 교대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발광 소자의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공통 음극 배선을 지그재그로 배치하고,
    상기 집적 회로 칩의 한쪽의 긴 변으로부터 다른쪽의 긴 변으로 향해서 상기 공통 음극 배선, 상기 발광 소자, 상기 제 1 배선 및 상기 접속 단자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 회로 칩을 복수 구비하고, 각 집적 회로 칩은 짧은 변과 긴 변을 가지며,
    상기 집적 회로 칩의 짧은 변에 근접해서 상기 복수의 출력 단자 중 일부가 배치되고,
    상기 기판에는 상기 짧은 변에 배치되는 출력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접속 단자가 배치되고,
    상기 짧은 변에 근접해서 배치된 접속 단자와, 어떤 집적 회로 칩과 다음 집적 회로 칩의 사이에 배치된 상기 발광 소자를 접속하는 제 2 배선을 상기 짧은 변과 교차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집적 회로 칩에 신호를 공급하는 복수의 배선이 형성된 플렉시블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플렉시블 기판이 상기 기판을 덮는 부분은 제 1 영역이며 상기 기판을 덮지 않는 부분은 제 2 영역이고,
    긴 변과 짧은 변을 가지는 상기 집적 회로 칩을 복수 구비하고,
    상기 집적 회로 칩의 긴 변에 근접해서 상기 복수의 출력 단자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배치되고,
    상기 기판에는 상기 긴 변에 배치되는 출력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접속 단자가 배치되고,
    상기 긴 변에 근접해서 배치된 접속 단자와, 어떤 집적 회로 칩과 다음 집적 회로 칩의 사이에 배치된 상기 발광 소자를 접속하는 제 3 배선을 상기 긴 변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제 2 영역에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음극 배선, 상기 어떤 집적 회로 칩과 상기 다음 집적 회로 칩의 사이에 배치된 상기 발광 소자 및 상기 제 3 배선의 순으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집적 회로 칩에 신호를 공급하는 복수의 배선이 형성된 플 렉시블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플렉시블 기판이 상기 기판을 덮는 부분은 제 1 영역이며 상기 기판을 덮지 않는 부분은 제 2 영역이고,
    긴 변과 짧은 변을 가지는 상기 집적 회로 칩을 복수 구비하고,
    상기 집적 회로 칩의 긴 변에 근접해서 상기 복수의 출력 단자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배치되고,
    상기 기판에는 상기 긴 변에 배치되는 출력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접속 단자가 배치되고,
    상기 긴 변에 근접해서 배치된 접속 단자와, 어떤 집적 회로 칩과 다음 집적 회로 칩의 사이에 배치된 상기 발광 소자를 접속하는 제 3 배선을 상기 긴 변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11. 광선의 조사에 의해 화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광선을 조사해서 상기 화상을 형성하는 헤드부를 구비하고,
    제 1 항에 기재된 발광 장치를 상기 헤드부에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 1 항에 기재된 발광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020060022532A 2005-03-14 2006-03-10 발광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07350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70504A JP4581759B2 (ja) 2005-03-14 2005-03-14 発光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JP-P-2005-00070504 2005-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932A KR20060100932A (ko) 2006-09-21
KR100735073B1 true KR100735073B1 (ko) 2007-07-06

Family

ID=36970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532A KR100735073B1 (ko) 2005-03-14 2006-03-10 발광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23720B2 (ko)
JP (1) JP4581759B2 (ko)
KR (1) KR100735073B1 (ko)
CN (1) CN100470609C (ko)
TW (1) TWI3409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29648A1 (en) * 2006-03-31 2007-10-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xposur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5056265B2 (ja) 2007-08-15 2012-10-2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315747B2 (ja) * 2008-03-27 2013-10-16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DE102009001930B4 (de) * 2009-03-27 2018-01-04 Robert Bosch Gmbh Sensorbaustein
JP5471774B2 (ja) * 2010-04-27 2014-04-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US9253892B2 (en) * 2012-04-13 2016-02-02 Wistron Corporation Peripheral circuit of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3186737A1 (en) * 2012-06-14 2013-12-19 Koninklijke Philips N.V. Lighting fixture with touch-sensitive light emitting surface
JP6260167B2 (ja) * 2013-09-25 2018-01-1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光電融合モジュール
US9276050B2 (en) 2014-02-25 2016-03-01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672091B1 (ko) * 2014-02-25 2016-11-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복합형 박막 트랜지스터를 갖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TWI608757B (zh) * 2014-07-22 2017-12-11 瑞軒科技股份有限公司 發光元件電路
JP6753482B2 (ja) * 2019-02-26 2020-09-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7360272B2 (ja) * 2019-08-19 2023-10-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14005376A (zh) * 2020-07-27 2022-02-01 北京芯海视界三维科技有限公司 发光模组及显示器件
JP2023002410A (ja) * 2021-06-22 2023-01-10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プリントヘッド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6171A (ja) * 1996-02-27 1997-09-02 Oki Electric Ind Co Ltd 有機elアレイプリントヘッド
JP2004142099A (ja) 2002-08-29 2004-05-20 Kyocera Corp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及びそ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0772A (ja) * 1984-09-14 1986-04-11 Hitachi Ltd 発光ダイオ−ドアレイヘツド
JPS6359561A (ja) * 1986-08-29 1988-03-15 Sanyo Electric Co Ltd 光プリンタヘツド
JPS63262259A (ja) * 1987-04-20 1988-10-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プリンタ用書き込みヘツド
JPH0224165A (ja) * 1988-07-13 1990-01-26 Hitachi Cable Ltd ドライバic
JP3039778B2 (ja) * 1998-01-05 2000-05-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1130048A (ja) * 1999-11-08 2001-05-15 Canon Inc 発光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露光装置、記録装置
EP1990832A3 (en) * 2000-02-25 2010-09-29 Ibiden Co., Ltd.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and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ing method
US6780661B1 (en) * 2000-04-12 2004-08-24 Finisar Corporation Integration of top-emitting and top-illuminated optoelectronic devices with micro-optic and electronic integrated circuits
JP4865165B2 (ja) * 2001-08-29 2012-02-0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の作製方法
US7098069B2 (en) * 2002-01-24 2006-08-2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device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03271069A (ja) 2002-03-13 2003-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624444B1 (en) * 2002-03-28 2003-09-23 Intel Corporation Electrical-optical package with capacitor DC shunts and associated methods
JP2004095251A (ja) * 2002-08-30 2004-03-25 Seiko Instruments Inc El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882738B2 (ja) * 2002-10-24 2007-02-21 ソニー株式会社 複合チップ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複合チップ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3941713B2 (ja) * 2003-03-11 2007-07-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面発光レーザを備えた半導体集積回路、半導体集積回路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US6828606B2 (en) * 2003-04-15 2004-12-07 Fujitsu Limited Substrate with embedded free space optical interconnects
JP4823478B2 (ja) * 2003-09-19 2011-11-24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の作製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6171A (ja) * 1996-02-27 1997-09-02 Oki Electric Ind Co Ltd 有機elアレイプリントヘッド
JP2004142099A (ja) 2002-08-29 2004-05-20 Kyocera Corp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及びそ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40951B (en) 2011-04-21
CN100470609C (zh) 2009-03-18
JP2006253538A (ja) 2006-09-21
TW200639786A (en) 2006-11-16
KR20060100932A (ko) 2006-09-21
US7323720B2 (en) 2008-01-29
US20060202638A1 (en) 2006-09-14
CN1835050A (zh) 2006-09-20
JP4581759B2 (ja)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5073B1 (ko) 발광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0692469B1 (ko) 전기 광학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판독 장치
KR100636262B1 (ko) 발광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및 표시 장치
US7397491B2 (en) Light-emit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90310566A1 (en) Optical wri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JP5163430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090076790A (ko)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JP5167611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8122836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画素回路、表示装置、および露光装置
JP4581692B2 (ja) 有機発光ダイオード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読み取り装置
JP2006202650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画像印刷装置
JP2006100071A (ja) 電気光学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読み取り装置
JP4552656B2 (ja) ラインヘッド、及び画像形成装置
US7942547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4424142B2 (ja) 有機発光ダイオード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読み取り装置
JP5315714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6107755A (ja) 電気光学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読み取り装置
JP2006221901A (ja) 発光装置、ラインヘッド、発光装置の製造方法、ラインヘッドの製造方法、電子機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107754A (ja) 電気光学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読み取り装置
JP2008288123A (ja) 発光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2007210266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7223095A (ja) 光ヘッド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9137274A (ja) 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8080643A (ja) 露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露光装置の動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