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897B1 - 신선도 유지구 - Google Patents

신선도 유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897B1
KR100732897B1 KR1020027009055A KR20027009055A KR100732897B1 KR 100732897 B1 KR100732897 B1 KR 100732897B1 KR 1020027009055 A KR1020027009055 A KR 1020027009055A KR 20027009055 A KR20027009055 A KR 20027009055A KR 100732897 B1 KR100732897 B1 KR 100732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bent
freshness
film
skirt
film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9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7931A (ko
Inventor
우라나까우시오
니시자끼고지
아끼바요수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프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853549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3289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프레텍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프레텍
Publication of KR20020067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7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69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in a special atmosphe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09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09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23L3/34095Details of apparatus for generating or regenerating ga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481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23L3/349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with singly-bound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481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23L3/3508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carboxyl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Package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2장의 필름체 (4) 를 사용하여 흡착체 (2) 를 상, 하방향으로부터 샌드위치형으로 끼우고, 2장의 필름체 (4) 를 흡착체 (2) 의 상, 하면에 접착한다. 또, 각 필름체 (4) 의 외부 가장자리측에는 흡착체 (2) 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부 (4A) 를 형성하고, 각 스커트부 (4A) 사이에는 휘산용 개구 (8) 를 형성한다. 그리고, 흡착체 (2) 내에 함침시킨 신선도 유지액을 흡착체 (2) 의 각 측면부 (2A) 로부터 휘산용 개구 (8) 를 통해 외부로 서서히 휘산시킨다. 이에 의해, 신선도 유지구 (1) 의 흡착체 (2) 가 식품 등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식품 등의 신선도를 장기에 걸쳐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선도 유지구 {FRESHNESS PRESERVING GADGET}
본 발명은, 예컨대 생선식료품, 과자 등의 식품류를 장기간 보존하고, 그 신선도를 유지하는데 적합하게 사용되는 신선도 유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선도 유지구는 식품 또는 그 외의 피보존물 (예컨대, 조릿대 잎, 감 잎 등의 식품장식품, 피혁제품, 나무ㆍ대나무 제품, 풀ㆍ짚 제품 등) 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신선도 유지구는, 예컨대 미국특허 제 4,802,574 호 명세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40363 호 등에 의해 알려져 있다.
이런 종류의 종래기술에 의한 신선도 유지구는, 예컨대 에틸알콜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휘발성의 신선도 유지액을 흡착체에 함침시킴으로써 구성되며, 이 흡착체는 천연 펄프재 등을 사용하여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 또는 둥근 봉 형상의 소편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예컨대, 길이 50 ㎜, 폭 30 ㎜ 이고, 두께 2 ㎜ 의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평판으로 형성되는 흡착체는 그의 상, 하면이 기체에 대해 높은 불투과성을 갖는 수지제 필름층으로 덮이며, 전, 후방향과 좌, 우방향의 측면부로부터만 내부의 신선도 유지액이 서서히 외부로 휘산된다.
또, 예컨대 직경 10 ㎜, 길이 70 ㎜ 의 둥근 봉 형상을 이루는 흡착체는 그 외주면측이 전체길이에 걸쳐 기체에 대해 높은 불투과성을 갖는 수지제 필름층으로 덮이며, 길이방향 양끝단측의 끝단면부로부터 내부의 신선도 유지액이 서서히 외부로 휘산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수지제 필름층을 다공질 구조로 하여 흡착체의 외주면측으로부터도 신선도 유지액을 서서히 휘산시키는 처리가 실시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신선도 유지구는, 예컨대 생선식료품, 과자류 등의 식품포장체내에 삽입되어 사용되며, 상기 흡착체내의 신선도 유지액은 식품포장체내에 서서히 휘산된다. 이에 의해, 신선도 유지구는 식품포장체내의 공간 (헤드스페이스) 을, 신선도를 유지하는 가스화 분위기로 채움과 동시에, 식품에 대해서는 표층측에 흡착되어 예컨대 곰팡이 등의 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이다.
또, 다른 종래기술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32743 호) 에는 에탄올 증기 발생 시트와 그 제조방법 및 식품의 처리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그 외의 종래기술에 의한 에탄올 증기 발생 시트는 적어도 일측이 에탄올 증기 투과성을 갖는 2장의 외포 시트 사이에 에탄올 또는 그 수용액을 흡액한 N-비닐카르복실산 아미드계 흡액제를 균일하게 끼우고, 이 상태에서 상기 2장의 외포 시트의 4변을 열용착에 의해 봉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전술한 종래기술에서는 신선도 유지구를 식품포장체내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경우, 흡착체의 측면 등이 포장체내의 식품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흡착체내의 신선도 유지액이 식품쪽으로 조기에 흡수되는 경우가 있고, 이에 의해 신선도 유지구로서의 수명이 저하됨과 동시에, 식품이 변색되어 상품가치를 떨어뜨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 양과자류 등과 같이 유지 (油脂) 를 많이 포함한 식품에 있어서는, 식품중의 유지분이 신선도 유지구의 흡착체에 측면 등으로부터 흡수되는 경우가 있고, 이에 의해 신선도 유지구는 흡착체가 흡수한 식품중의 유지분 등에 의해 변색되어 외관품질의 저하를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전술한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에탄올 증기 발생 시트에 있어서도, 에탄올 증기 투과성을 갖는 외포 시트에 식품 등이 직접적으로 접촉한 경우, 또는 외포 시트의 측면 가장자리부 등에 식품이 접촉한 경우, 흡액제중의 에탄올 또는 그 수용액이 식품쪽으로 조기에 흡수되거나, 식품중의 유지분이 흡액제에 흡수되는 등의 문제가 생기기 쉽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착체가 식품 등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식품 등의 신선도를 장기간에 걸쳐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신선도 유지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착체가 식품 등의 유지분을 흡수함으로써 흡착체가 변색되어 외관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고,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신선도 유지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채택하는 구성은 식품 또는 그 외의 피보존물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신선도 유지구로서, 휘발성의 신 선도 유지액을 흡착한 흡착체와, 상기 신선도 유지액의 기체에 대해 불투과성이 높은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흡착체보다 큰 치수를 가지고 상기 흡착체를 외측으로부터 덮는 필름형 커버로 이루어지고, 이 커버는 상기 흡착체의 측방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부를 가지며, 이 스커트부에는 상기 신선도 유지액이 흡착체로부터 서서히 외부로 휘산되는 것을 허용하는 휘산용 개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미리 흡착체내에 흡착된 휘발성의 신선도 유지액은 필름형 커버의 스커트부에 형성한 휘산용 개구로부터 외부로 서서히 휘산되고, 그 휘산속도를 개구면적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필름형 커버는 신선도 유지액으로부터 휘발되는 기체에 대해 높은 불투과성을 갖고 있으므로, 흡착체내의 신선도 유지액이 커버의 상기 휘산용 개구 이외의 부분으로부터 외부로 휘산되는 일은 없다. 또, 상기 커버는 흡착체보다 큰 치수를 가지고 흡착체를 외측으로부터 덮고, 상기 흡착체의 측방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부를 갖고 있으므로, 내부의 흡착체가 식품 등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커버의 스커트부에 의해 방지할 수 있으며, 휘산용 개구에 의해 신선도 유지액의 휘산속도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는 흡착체의 측방으로 연장된 스커트부의 연장치수 (L) 를 상기 흡착체의 두께 (T) 보다 큰 치수 (L > T) 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는 불투과성이 높은 재료로 흡착체보다 큰 치수를 가지고 형성되며, 상기 흡착체를 끼운 상태에서 외부 가장자리측이 상기 흡착체 의 측방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부로 이루어진 1장 또는 2장의 필름체로 구성하고, 이 필름체는 상기 흡착체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흡착체의 상, 하면에 접착함으로써 고정하고, 상기 스커트부는 상기 접착부의 외측에서 서로 상, 하로 이간되어 상기 흡착체의 외측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휘산용 개구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1장 또는 2장의 필름체는 흡착체를 샌드위치형으로 끼운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각 스커트부는 흡착체의 상, 하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서로 이간되어 연장됨으로써, 그 사이에 휘산용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신선도 유지액은 1장 또는 2장의 필름체 사이에 끼운 흡착체의 측면부측으로부터 스커트부간의 휘산용 개구를 통해 외부로 서서히 휘산할 수 있음과 동시에, 흡착체가 식품 등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스커트부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커버가 불투과성이 높은 재료로 흡착체보다 큰 치수를 가지고 형성되며, 상기 흡착체를 끼운 상태에서 외부 가장자리측이 상기 흡착체의 측방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부로 이루어진 1장 또는 2장의 필름체와, 이 필름체의 스커트부측에 형성되며, 이 각 스커트부를 서로 접합함으로써 상기 흡착체를 필름체 사이에 구속하는 복수의 접합부로 구성하고, 휘산용 개구는 상기 각 접합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필름체의 스커트부 사이에 형성되는 비접합부분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1장 또는 2장의 필름체는 외부 가장자리측의 스커트부에 형성한 복수의 접합부에서 서로 접합됨과 동시에, 상기 각 접합부에 의해 흡착체를 필름체 사이에 끼운 상태로 구속할 수 있고, 필름체의 스커트부보다 내측이 되는 위치에 흡착체를 유지해 둘 수 있다. 그리고, 필름체의 스커트부에는 복수의 접합부 사이에 위치하는 비접합부분에 의해 휘산용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흡착체내의 신선도 유지액을 휘산용 개구로부터 서서히 외부로 휘산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흡착체는 다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하고, 필름체는 상기 흡착체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어 스커트부측에 복수의 모서리부를 가지며, 접합부는 상기 필름체의 각 모서리부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모서리부측에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예컨대 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필름체의 모서리부에 접합부를 형성할 수 있고, 필름체의 스커트부에는 각 접합부 사이에 위치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휘산용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필름체는 좌, 우 양측이 서로 평행으로 된 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접합부는 상기 필름체의 좌, 우 양측에 각각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필름체의 좌, 우 양측 위치에 접합부를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름체는 띠 형상으로 연장되는 긴 수지필름을 사용하여 형성하고, 이 긴 수지필름의 내측에는 각 흡착체를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필름체를 긴 수지필름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이 수지필름을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여 이루어지는 각각의 필름체에는 흡착체를 개별적으로 수납해 둘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긴 수지필름에는 각 흡착체 사이에 위치하여 각 필 름체를 구획하는 복수의 절취선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필름체를, 절취선의 위치에서 서로 분리 가능하게 접속한 긴 수지필름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이 수지필름의 각 절취선 사이에서 구획되는 각각의 필름체에는 흡착체를 개별적으로 수납해 둘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신선도 유지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 는 신선도 유지구를 도 1 중의 화살표로 나타낸 Ⅱ-Ⅱ 방향으로부터 본 확대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의 신선도 유지구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는 신선도 유지구를 식품포장체내에 삽입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신선도 유지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제 3 실시 형태에 의한 신선도 유지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 은 신선도 유지구를 도 6 중의 화살표로 나타낸 Ⅶ-Ⅶ 방향으로부터 본 확대단면도이다.
도 8 은 신선도 유지구를 도 6 중의 화살표로 나타낸 Ⅷ-Ⅷ 방향으로부터 본 확대단면도이다.
도 9 는 도 6의 신선도 유지구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 은 제 1 변형예에 의한 신선도 유지구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11 은 제 2 변형예에 의한 신선도 유지구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12 는 제 4 실시 형태에 의한 연속포장구조의 신선도 유지구를 연속포장상태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 은 도 12 중의 신선도 유지구를 단일체로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 는 제 5 실시 형태에 의한 신선도 유지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 는 제 3 변형예에 의한 신선도 유지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 은 제 4 변형예에 의한 신선도 유지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 은 제 5 변형예에 의한 신선도 유지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신선도 유지구를, 식품보존을 위해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1 내지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 도면부호 1 은 본 실시 형태에서 채택한 신선도 유지구를 나타내고, 이 신선도 유지구 (1) 는 후술하는 흡착체 (2) 및 커버 (3)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 커버 (3) 는 흡착체 (2) 를 상, 하 양측으로부터 덮는 후술하는 필름체 (4, 4) 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2 는 각 필름체 (4) 사이에 배치된 흡착체로, 이 흡착체 (2) 는, 예컨대 천연의 버진펄프재, 또는 흡착, 흡수가공을 실시한 폴리올레핀 등으로 이루어지는 직포층, 부직포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길이는 30 ∼ 90㎜ 정도이고, 폭치수가 15 ∼ 55㎜ 정도가 되고,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께 (T) 는, 예컨대 1 ∼ 2㎜ 정도로 되어 있다.
그리고, 흡착체 (2) 내에는, 예컨대 에틸알콜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휘발성의 신선도 유지액이 함침되며, 이 신선도 유지액은 흡착체 (2) 의 측면부 (2A) 측으로부터 후술하는 휘산용 개구 (8) 를 통해 외부로 서서히 휘산된다.
이 신선도 유지액은 하기 표 1 에 나타낸 변성 에틸알콜, 젖산, 정제수 등으로 이루어지는 신선도 유지액 (A) 과, 시트러스계 향료로 이루어지는 신선도 유지액 (B) 을 혼합한 것이다.
신선도 유지액 A 재료 변성 에틸알콜 젖산 정제수
중량비 56 ∼ 58% 0.02 ∼ 0.03% 나머지
신선도 유지액 B 재료 시트러스계 향료

그리고, 신선도 유지액은 신선도 유지액 (A) 에 대하여 신선도 유지액 (B) 을, B/A = (0.3/100) ∼ (0.5/100) 의 체적비로 혼합한 것이 일례로서 사용된다.
또한, 신선도 유지액 (A) 중의 젖산의 대용 또는 병용으로 항균효과가 있는 지방산 등도 사용 가능하다.
도면부호 3 은 흡착체 (2) 를 외측으로부터 덮는 필름형 커버로, 이 커버 (3) 는 도 2,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체 (2) 를 상, 하로부터 샌드위치형으로 끼우는 2장의 필름체 (4, 4) 로 구성되며, 이 각 필름체 (4) 는 흡착체 (2) 의 상, 하면에 후술하는 각 접착부 (7) 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필름체 (4) 는 흡착체 (2) 보다 큰 치수를 가지고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얇은 시트로 형성되며, 그 외부 가장자리부측은 스커트부 (4A) 가 되어 흡착체 (2) 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스커트부 (4A) 의 연장치수 (L) 는, 예컨대 4 ∼ 6㎜ 정도이며, 흡착체 (2) 의 두께 (T) 보다 큰 치수 (L > T) 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스커트부 (4A) 의 연장치수 (L) 는 흡착체 (2) 의 두께 (T) 와 동일한 치수 (L = T) 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연장치수 (L) 를 흡착체 (2) 의 두께 (T) 보다 작은 치수 (L < T) 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스커트부 (4A) 의 연장치수 (L) 를 흡착체 (2) 의 두께 (T) 와 동일한 치수 (L = T) 또는 작은 치수 (L < T) 로 하면, 흡착체 (2) 의 측면부 (2A) 가 외부의 식품 등에 직접적으로 접촉할 우려가 생기기 쉬워지는 것이다.
여기에서, 필름체 (4) 는, 예컨대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OPP 필름) 등을 사용하여 형성되며, 기체에 대해 높은 불투과성을 갖는 높은 가스배리어성의 필름층 (5) 과, 특수 레진을 사용한 코팅층 (6) 과, 이 코팅층 (6) 과 필름층 (5) 사이에 형성된 필름인쇄층 (도시하지 않음) 으로 3층 구조를 이루며, 상기 코팅층 (6) 은 필름인쇄층에 대한 잉크보호층을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또, 상기 필름인쇄층은 가식 (可食) 잉크, 비독성 잉크를 사용하여, 예컨대 상품명, 구성물질의 성분비, 사용상의 주의사항 등을 인쇄 표시한 것으로, 이 때문에 상기 필름층 (5) 은 투명성을 갖는 수지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코팅층 (6) 은 흡착체 (2) 의 펄프재에 밀착하여, 흡착체 (2) 를 잘못 오인하여 먹거나 했을 때, 씹어서 분해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 코팅층 (6) 에는 식품향료 등이 함침되어 이 향료를 서서히 외부로 방산시키는 기능도 갖고 있다.
그리고, 필름체 (4) 는 전체 두께 (t) 가, 예컨대 30 ∼ 70㎛ 정도의 비교적 두꺼운 치수를 가지고 형성되고, 외부 가장자리측의 스커트부 (4A) 에 어느 정도의 탄력을 부여하며, 예컨대 상, 하의 스커트부 (4A, 4A) 가 물방울 또는 수분 등의 영향으로 서로 밀착하는 것을 억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필름체 (4) 를 구성하는 필름층 (5) , 코팅층 (6) 의 재료로서는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이외의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연신 나일론 등의 수지필름을 사용해도 되는 것이다.
도면부호 7, 7 은 각 필름체 (4) 를 흡착체 (2) 의 상, 하면에 고정한 접착부로, 이 각 접착부 (7) 는 흡착체 (2) 의 상, 하면에 거의 전면에 걸쳐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그 접착수단으로서는, 예컨대 식품에 대해 안전한 풀, 열압착 등의 수단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도면부호 8 은 각 필름체 (4) 의 스커트부 (4A) 사이에 형성된 휘산용 개구로, 이 휘산용 개구 (8) 는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체 (2) 의 전, 후, 좌, 우의 측면부 (2A, 2A, …) 를 외기와 연통시키도록, 흡착체 (2) 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서로 상, 하로 이간된 스커트부 (4A)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휘산용 개구 (8) 는 흡착체 (2) 내에 함침된 상기 신선도 유지액을 각 측면부 (2A) 로부터 외부로 휘산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신선도 유지구 (1) 는 전술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다음으로 그 신선도 유지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컨대 샌드위치 등의 식품 (10) 을 수지제 투명봉지로 이루어지는 식품포장체 (11) 내에 밀봉하여 보존할 때 등에, 이 식품포장체 (11) 내에 신선도 유지구 (1) 를 미리 삽입해 둔다.
그리고, 신선도 유지구 (1) 의 흡착체 (2) 내에 함침시킨 신선도 유지액은 식품포장체 (11) 내에 서서히 휘산됨으로써, 식품포장체 (11) 내 공간 (헤드스페이스) 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가스화 분위기로 채운다. 또, 휘산가스의 일부는 식품 (10) 의 표층측에 흡착된다. 이에 의해, 식품포장체 (11) 내에서는 식품 (10) 의 신선도를 장기에 걸쳐 유지할 수 있고, 예컨대 곰팡이 등의 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신선도 유지구 (1) 를 식품포장체 (11) 내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경우, 흡착체 (2) 의 측면부 (2A) 가 포장체 (11) 내의 식품 (10) 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면, 흡착체 (2) 내의 신선도 유지액이 식품 (10) 쪽으로 조기에 흡수될 가능성이 있고, 이에 의해 신선도 유지구 (1) 의 수명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2장의 필름체 (4, 4) 를 사용하여 흡착체 (2) 를 상, 하방향으로부터 끼우고, 상기 필름체 (4, 4) 를 흡착체 (2) 의 상, 하면에 접착함과 동시에, 각 필름체 (4) 의 외부 가장자리측에는 흡착체 (2) 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부 (4A) 를 형성하고, 이 각 스커트부 (4A) 사이에는 신선도 유지액이 흡착체 (2) 의 각 측면부 (2A) 로부터 휘산되는 것을 허용하는 휘산 용 개구 (8) 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신선도 유지액은 필름체 (4, 4) 사이에 끼운 흡착체 (2) 의 측면부 (2A) 측으로부터 스커트부 (4A) 사이의 휘산용 개구 (8) 를 통해 식품포장체 (11) 내의 헤드스페이스로 서서히 휘산시킬 수 있고, 식품포장체 (11) 내를 신선도를 유지하는 가스화 분위기로 채울 수 있다.
또, 각 필름체 (4) 의 스커트부 (4A) 는 흡착체 (2) 의 상, 하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예컨대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품포장체 (11) 내에서 신선도 유지구 (1) 가 식품 (10) 과 접촉해도, 이 식품 (10) 에 대해서는 필름체 (4) 의 스커트부 (4A) 가 접촉할 뿐, 흡착체 (2) 의 측면부 (2A) 측이 식품 (10) 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스커트부 (4A) 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커트부 (4A) 의 연장치수 (L) 를 흡착체 (2) 의 두께 (T) 보다 큰 치수 (L > T) 로 형성함으로써, 스커트부 (4A) 의 선단이 식품 (10) 에 맞닿아 절곡되었다고 해도, 흡착체 (2) 의 측면부 (2A) 를 스커트부 (4A) 로 덮을 수 있어 흡착체 (2) 의 측면부 (2A) 측이 식품 (10) 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흡착체 (2) 내의 신선도 유지액이 식품 (10) 쪽으로 흡수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흡착체 (2) 내에 신선도 유지액을 계속 양호하게 흡착하여 신선도 유지액이 흡착체 (2) 로부터 서서히 휘산되는 서방성 (徐放性) 을 확보할 수 있고, 또 식품 (10) 의 변색에 의한 상품가치의 저하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후술하는 표 2 에 나타낸 실시예 1 과 같은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또, 식품 (10) 이 양과자류와 같이 유지를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도, 식품 (10) 의 일부가 신선도 유지구 (1) 의 흡착체 (2) 에 직접 접촉하는 일은 없으므로, 식품 (10) 중의 유지분이 흡착체 (2) 의 측면부 (2A) 로부터 흡수되는 문제점도 해소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신선도 유지구 (1) 의 흡착체 (2) 는 식품 (10) 중의 유지분 등에 의해 변색되지 않아 외관품질을 장기에 걸쳐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신선도 유지구 (1) 의 흡착체 (2) 가 식품 (10) 등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신선도 유지구 (1) 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식품 (10) 등의 신선도를, 상품가치를 저하시키지 않고 장기에 걸쳐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신선도 유지구 (1) 는 그 흡착체 (2) 의 변색 등을 억제할 수 있어 상기 신선도 유지구 (1) 의 외관품질을 유지하여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다음으로,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를 나타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특징은 흡착체 (2) 와 필름체 (4) 사이를 접착하는 접착부 (21) 를, 흡착체 (2) 의 주변부를 따라 대략 사각형의 틀형으로 연장되어 형성한 것에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접착부 (21) 는 상기 제 1 실시 형태와 거의 동일하게 식품에 대해 안전한 풀, 열압착 등의 수단을 사용하여 2장의 필름체 (4, 4) 를 흡착체 (2) 의 상, 하면에 각각 접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5 중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직사각형의 틀선 (22) 에 대해 그 외측부분이 접착부 (21) 로 되어 있고, 틀선 (22) 의 내측부분은 비접착부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 1 실시 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착체 (2) 에 대한 필름체 (4) 의 접착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9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를 나타내며, 본 실시 형태의 특징은 흡착체를 외측으로부터 덮는 커버를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2장의 필름체 등으로 구성하고, 이 각 필름체의 모서리부에는 필름체를 서로 접합하는 접합부를 형성하고, 이들 각 접합부에 의해 필름체 사이에 흡착체를 빠짐방지상태로 유지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도면 중, 도면부호 31 은 본 실시 형태에서 채택한 신선도 유지구로, 이 신선도 유지구 (31) 는 후술하는 흡착체 (32) 와, 흡착체 (32) 를 외측으로부터 덮는 후술하는 커버 (34) 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32 는 커버 (34) 내에 배치된 흡착체로, 이 흡착체 (32) 는 상기 제 1 실시 형태에서 서술한 흡착체 (2) 와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며, 그 내부에는 휘발성의 신선도 유지액이 함침되어 있다. 그러나, 흡착체 (32) 의 상, 하면에는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층 (33, 33) 이 형성되며, 이 각 피복층 (33) 은 제 1 실시 형태에서 서술한 필름체 (4) 와 동일하게 3층 구조의 수지필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피복층 (33, 33) 은 흡착체 (32) 에 대응한 치수를 가지고 이 흡착체 (32) 의 상, 하면을 덮음으로써, 기체에 대해 높은 불투과성 (높은 가스배리어성) 을 흡착체 (32) 의 상, 하면에 부여하고 있다. 또, 흡착체 (32) 내에 함침시킨 신선도 유지액은 흡착체 (32) 의 전, 후, 좌, 우의 측면부 (32A, 32A, …) 로부터 후술하는 휘산용 개구 (37) 를 통해 외부로 서서히 휘산되는 것이다.
도면부호 34 는 흡착체 (32) 를 외측으로부터 덮는 필름형 커버로, 이 커버 (34) 는 흡착체 (32) 를 상, 하 양측으로부터 덮는 2장의 필름체 (35, 35) 와, 후술하는 접합부 (36) 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필름체 (35) 는, 예컨대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OPP 필름) 등의 높은 가스배리어성을 갖는 수지필름을 사용하여 흡착체 (32) 보다 큰 치수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의 얇은 시트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필름체 (35) 의 외부 가장자리부측은 스커트부 (35A) 가 되어 흡착체 (32) 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고, 이 스커트부 (35A) 는 4개의 모서리부 (35B, 35B, …) 를 갖고 있다.
이 경우에도, 스커트부 (35A) 의 연장치수 (L) 는, 예컨대 4 ∼ 6㎜ 정도가 되고,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체 (32) 의 두께 (T) 보다 큰 치수 (L > T) 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커트부 (35A) 의 선단이 식품 등에 맞닿아 절곡되었다고 해도, 흡착체 (32) 의 측면부 (32A) 를 스커트부 (35A) 로 덮을 수 있어 흡착체 (32) 의 측면부 (32A) 측이 식품 등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필름체 (35) 는, 예컨대 30 ∼ 70㎛ 정도의 비교적 두꺼운 치수를 가지 고 형성되며, 외부 가장자리측의 스커트부 (35A) 에 어느 정도의 탄력을 부여하여 휘산용 개구 (37) 의 위치에서 상, 하의 스커트부 (35A, 35A) 가 물방울 또는 수분 등의 영향으로 서로 밀착하는 것을 억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면부호 36, 36, …은 필름체 (35) 의 각 모서리부 (35B) 에 형성된 열밀봉부로서의 접합부로, 이 각 접합부 (36) 는, 예컨대 열압착 등의 수단을 사용하여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L자형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 하의 모서리부 (35B, 35B) 를 서로 접합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 접합부 (36) 는 상, 하의 필름체 (35, 35) 사이에 흡착체 (32) 를 구속하고, 이 흡착체 (32) 를 빠짐방지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휘산용 개구 (37) 에 미리 개구치수 (S) 를 부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전체로서 L자형을 이루는 접합부 (36) 는, 예컨대 4 ∼ 6㎜ 정도 치수 (L1) 의 빠짐방지부분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또, 흡착체 (32) 와 접합부 (36) 사이에는, 예컨대 1 ∼ 3㎜ 정도의 틈 (δ) 이 형성되는 것이다.
도면부호 37, 37, …은 각 필름체 (35) 의 스커트부 (35A) 사이에 형성된 휘산용 개구로, 이 각 휘산용 개구 (37) 는 흡착체 (32) 의 전, 후, 좌, 우의 측면부 (32A, 32A, …) 를 외기와 연통시키도록, 흡착체 (32) 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서로 상, 하로 이간된 스커트부 (35A)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즉, 각 휘산용 개구 (37) 는 도 6 에 나타낸 각 접합부 (36) 사이에 위치하며, 상, 하의 필름체 (35, 35) 의 스커트부 (35A) 사이에 형성되는 비접합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휘산용 개구 (37) 는 도 7,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치수 (S)(예컨대, 1.5 ∼ 2.5㎜, 바람직하게는 1.8㎜ 이상) 를 가지고 형성되며, 흡착체 (32) 내에 함침된 상기 신선도 유지액을 각 측면부 (32A) 로부터 외부로 휘산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 1 실시 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데,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름체 (35) 의 각 모서리부 (35B) 에 형성한 접합부 (36) 에 의해 상, 하의 필름체 (35, 35) 사이에 흡착체 (32) 를 수용한 상태로 구속할 수 있고, 외부의 식품 등에 대해 흡착체 (32) 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각 필름체 (35) 의 스커트부 (35A) 사이에는 합계 4개의 휘산용 개구 (37) 를 형성할 수 있고, 이들 휘산용 개구 (37) 를 통해 흡착체 (32) 내의 신선도 유지액을 외부로 서방성을 가지고 휘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후술하는 표 2 에 나타낸 실시예 2 와 같은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또, 휘산용 개구 (37) 의 개구면적을 접합부 (36) 의 형상, 크기에 따라 적당히 바꿀 수 있고, 이에 의해 신선도 유지액의 휘산속도를 적정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스커트부 (35A) 의 연장치수 (L) 를 흡착체 (32) 의 두께 (T) 보다 큰 치수 (L > T) 로 형성하는 것으로서 서술했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도 10 에 나타낸 제 1 변형예와 같이, 스커트부 (35A') 의 연장치수 (La) 를 흡착체 (32) 의 두께 (T) 와 동일한 치수 (La = T) 로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후술하는 표 2 에 나타낸 실시예 3 과 같은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또한, 예컨대 도 11 에 나타낸 제 2 변형예와 같이, 스커트부 (35A'') 의 연장치수 (Lb) 를, 흡착체 (32) 의 두께 (T) 보다 작은 치수 (Lb < T) 로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후술하는 표 2 에 나타낸 실시예 4 와 같은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12 및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를 나타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 3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특징은 각 신선도 유지구 (41) 의 흡착체 (32) 를, 좌, 우 양측이 서로 평행이 되어 띠 형상으로 연장되는 긴 수지필름 (42)(이하, 긴 필름 (42) 이라고 함) 을 사용하여 연속포장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여기에서, 각 신선도 유지구 (41) 는 제 3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흡착체 (32) 를 2장의 필름체 (43)(한쪽만 도시) 로 이루어지는 커버 (44) 내에 수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필름체 (43) 는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며, 스커트부 (43A) 및 각 모서리부 (43B) 를 갖고 있다. 그러나, 각 필름체 (43) 는 도 1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장의 긴 필름 (42)(한쪽만 도시) 을 서로 겹친 상태에서 좌, 우 양측에 접합부 (45, 45, …) 를 연속적으로 형성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필름체 (43) 를 개별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긴 필름 (42) 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재봉선 또는 절단면 등으로 이루어지는 절취선 (42A, 42A, …) 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긴 필름 (42) 의 각 절취선 (42A) 사이에서 구획되는 상, 하의 필름체 (43)(한쪽만 도시) 사이에는 도 1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체 (32) 가 개별적으로 수납되어 있다. 또, 긴 필름 (42) 은 제 3 실시 형태에서 서술한 필름체 (35) 와 동일한 수지필름재료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각 접합부 (45) 도 제 3 실시 형태에서 서술한 접합부 (36) 와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상기 각 접합부 (45) 는 긴 필름 (42) 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점에서 다르다. 그리고, 각 접합부 (45) 에는 긴 필름 (42) 의 절취선 (42A) 과 교차하는 위치에 대략 삼각형 형상의 빠짐방지부 (45A, 45A, …) 가 형성되며, 이 각 빠짐방지부 (45A) 는 후술하는 휘산용 개구 (46) 의 위치로부터 흡착체 (32) 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것이다.
또, 긴 필름 (42) 으로부터 필름체 (43) 를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리했을 때에는 절취선 (42A) 과 대응하는 위치에 휘산용 개구 (46) 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휘산용 개구 (46) 는 좌, 우의 접합부 (45)(빠짐방지부 (45A)) 사이에서 필름체 (43) 내를 외부로 개구시키고, 흡착체 (32) 내의 신선도 유지액을 외부로 서방성을 가지고 휘산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 1 실시 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긴 필름 (42) 을 사용하여 각 신선도 유지구 (41) 를 연속포장구조로 형성할 수 있어 제조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연속포장상태의 신선도 유지구 (41) 를 개별적으로 사용하거나 할 때에는 각 신선도 유지구 (41) 의 필름체 (43) 를 긴 필름 (42) 으로부터 절취선 (42A) 의 위치에서 분리함으로써, 신선도 유지구 (41) 의 휘산용 개구 (46) 를 외부에 개방시켜 소위 버진실링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 이 상태에서는 필름체 (43) 의 좌, 우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각 접합부 (45) 의 빠짐방지부 (45A) 에 의해 상, 하의 필름체 (43) 간에 흡착체 (32) 를 수용한 상태로 구속할 수 있어 외부의 식품 등에 대해 흡착체 (32) 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빠짐방지부 (45A) 의 형상, 크기를 적당히 변경함으로써 휘산용 개구 (46) 의 개구면적을 바꿀 수 있고, 이에 의해 신선도 유지액의 휘산속도를 적정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 도 1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속포장구조의 신선도 유지구 (41) 는 식품포장내로의 자동투입에 있어서, 기존의 연속포장형 신선도 유지제의 투입기를 그대로 전용할 수 있다는 편리성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긴 필름 (42) 에는 재봉선 등으로 이루어지는 각 절취선 (42A) 을 반드시 형성할 필요는 없으며, 커터 등을 사용하여 긴 필름 (42) 을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는 것이다.
이 경우, 긴 필름 (42) 에는 각 절취선 (42A) 대신에, 예컨대 절단용 마킹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각 절단용 마킹 위치를 판독장치 등으로 판독하고, 자동커터 등을 사용하여 긴 필름을 각 절단용 마킹 위치에서 정확하게 절단, 분리할 수 있고, 식품포장내로의 자동투입을 계속 반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형태를 나타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 3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이고, 그 설 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특징은 신선도 유지구 (51) 에 합계 6개의 접합부 (52, 52, …) 를 형성한 것에 있다.
여기에서, 신선도 유지구 (51) 는 제 3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흡착체 (32) 및 필름체 (35) 등으로 구성되며, 필름체 (35) 의 각 모서리부 (35B) 에는 접합부 (52, 52, …) 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신선도 유지구 (51) 에는 필름체 (35) 의 길이방향 중간부에도 접합부 (52) 가 형성되어 흡착체 (32) 의 빠짐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각 접합부 (52) 는, 예컨대 열압착 등의 수단을 사용하여 원형의 압착부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신선도 유지구 (51) 는 각 접합부 (52) 사이에 위치하여 합계 6개의 휘산용 개구 (53, 53, …) 를 가지며, 흡착체 (32) 내의 신선도 유지액은 각 휘산용 개구 (53) 를 통해 외부로 휘산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 1 실시 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름체 (35) 의 각 모서리부 (35B) 에 더해 필름체 (35) 의 길이방향 중간부에도 각각 접합부 (52) 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상, 하의 필름체 (35) 사이에 흡착체 (32) 를 수납한 상태에서 각 접합부 (52) 에 의해 흡착체 (32) 가 빠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실시 형태를 구체화한 실시예에 대하여 하기 표 2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식품의 습윤성 평가 장기보존성 평가 변색 평가
신선도 유지구 비교예 식품의 자체중량으로 습기가 참 곰팡이 발생 있음 전면 황변
실시예 1 외력을 가하면 습기가 참 곰팡이 발생 없음 약간 황변
실시예 2 외력을 가해도 습기가 차지 않음 곰팡이 발생 없음 황변 없음
실시예 3 외력을 가하면 습기가 참 곰팡이 발생 없음 약간 황변
실시예 4 외력을 가하면 습기가 참 곰팡이 발생 없음 약간 황변

먼저, 도 4 에 예시한 식품포장체 (11) 내에, 보존식품으로서의 카스테라 (중량 200gㆍ수분활성 0.864) 를 신선도 유지구와 함께 밀봉하여 이하의 테스트를 실시했다. 이 경우의 식품포장체 (11) 로서는 30㎛ 의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OP) 과, 30㎛ 의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CP) 을 적층화한 포장체를 사용하고 있다.
또, 비교예에 의한 신선도 유지구로서는,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40363 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거의 동일한 종래기술에 의한 것을 사용했다. 즉, 비교예에 의한 신선도 유지구는 신선도 유지구에 커버 등을 사용하지 않고 흡착체만으로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실시예 1 에 의한 신선도 유지구는 도 1 내지 도 3 에 나타낸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신선도 유지구 (1) 를 사용하고, 흡착체 (2) 는 중량이 2.0g (길이가 50㎜, 폭치수가 30㎜, 두께는 2㎜) 의 것이며, 신선도 유지액으로서는 상기 표 1 에 나타낸 것을 2g 함침시키고 있다. 또, 스커트부 (4A) 의 연장치수 (L) 는 5㎜ 이고, 흡착체 (2) 의 두께 (T) 보다 큰 치수 (L > T) 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실시예 2 에 의한 신선도 유지구는 도 6 내지 도 9 에 나타낸 제 3 실시 형태에 의한 신선도 유지구 (31) 를 사용하고, 흡착체 (32) 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중량이 2.0g 의 것이며, 신선도 유지액도 동일하게 2g 함침시키고 있다. 또, 스커트부 (35A) 의 연장치수 (L) 는 5㎜ 이고, 흡착체 (32) 의 두께 (T) 보다 큰 치수 (L > T) 로 되어 있다.
한편, 실시예 3 에 의한 신선도 유지구는 도 10 에 나타낸 제 1 변형예에 의한 신선도 유지구 (31') 를 사용하고, 이것은 스커트부 (35A') 의 연장치수 (La) 가 흡착체 (32) 의 두께 (T) 와 동일한 치수 (La = T) 인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2 의 것과 동일한 것이다.
또한, 실시예 4 에 의한 신선도 유지구는 도 11 에 나타낸 제 2 변형예에 의한 신선도 유지구 (31'') 를 사용하고, 이것은 스커트부 (35A'') 의 연장치수 (Lb) 가 흡착체 (32) 의 두께 (T) 보다 작은 치수 (Lb < T) 인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2 와 동일한 것이다.
그리고, 식품의 습기 평가로서는, 식품포장체 (11) 내에 1개월 보존한 상태에서 조사한 결과, 비교예에 의한 것은 식품의 자체중량으로 습기가 차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1 에 의한 것은 500g 의 하중을 외력으로서 가한 경우에 습기는 관찰되지만, 식품의 자체중량으로는 습기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았다.
또, 실시예 2 에 의한 것은 500g 의 하중을 외력으로서 가한 경우에도 식품에 습기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았다. 한편, 실시예 3, 4 에 의한 것은 500g 의 하중을 외력으로서 가한 경우에 습기는 관찰되지만, 식품의 자체중량으로는 습기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았다.
다음으로, 3개월의 장기보존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비교예의 경우에는 곰팡이의 발생이 관찰되었지만, 실시예 1∼4 의 경우에는 곰팡이 등의 발생은 전혀 관찰되지 않는 것을 알았다.
또, 변색 평가는 1개월의 보존상태에서 식품중의 유분에 의해 흡착체에 황변이 발생하는지를 평가한 결과, 비교예의 경우에는 전면에 황변이 발생했다. 이에 대해, 실시예 1 의 경우에는 약간 황변이 발생했지만, 황변의 정도는 작은 것을 알았다.
또한, 실시예 2 의 경우에는 황변이 전혀 발생하지 않은 것을 알았다. 그리고, 실시예 3, 4 의 경우에는 약간 황변이 발생했지만, 황변의 정도는 작은 것을 알았다.
그리고, 상기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필름체 (35) 의 각 모서리부 (35B) 에 각각 접합부 (36) 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서술했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도 15 에 나타낸 제 3 변형예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필름체 (35) 의 각 모서리부 (35B) 중, 대각선 위치가 되는 2개의 모서리부 (35B, 35B) 에만 접합부 (61, 61) 를 형성하고, 이 각 접합부 (61) 사이에는 합계 2개의 휘산용 개구 (62, 62) 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도 16 에 나타낸 제 4 변형예와 같이, 합계 8개의 접합부 (71, 71, …) 를 형성하고, 이 각 접합부 (71) 사이에 위치하는 비접합부분에 의해 휘산용 개구 (72, 72, …) 를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접합부 (71) 의 개수는 8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흡착체 (2) 를 외측으로부터 덮는 커버 (3) 를 2장의 필름체 (4, 4) 로 구성하는 것으로서 서술했는데, 이 대신에, 예컨대 도 17 에 나타낸 제 5 변형예와 같이, 1장의 필름체 (81) 를 사용하여 커버 (3) 를 구성하고, 필름체 (81) 를 U자형으로 절곡한 상태에서 흡착체 (2) 를 끼움과 동시에, 이 필름체 (81) 의 외부 가장자리측에는 상, 하로 이간된 스커트부 (81A, 81A) 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점은 제 2 실시 형태 ∼ 제 5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상기 제 3 실시 형태 ∼ 제 5 실시 형태에서는 필름체 (35)(긴 필름 (42)) 를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는데, 이 대신에, 예컨대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연신 나일론 등의 기체에 대한 높은 불투과성을 갖는 수지필름을 사용해도 되는 것이다.
또, 필름체 (35)(긴 필름 (42)) 는 제 1 실시 형태에서 서술한 도 2 에 나타낸 필름체 (4) 와 동일하게, 높은 가스배리어성 필름층 (5) 과, 특수 레진을 사용한 코팅층 (6) 과, 이 코팅층 (6) 과 필름층 (5) 사이에 형성된 필름인쇄층의 3층 구조로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흡착체 (32) 의 상, 하면을 덮는 피복층 (33, 33) 을 높은 불투과성을 갖는 단층의 수지필름을 사용하여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 4 실시 형태에서는 긴 필름 (42) 을 사용하여 각 필름체 (43) 를 분리 가능하게 형성하는 것으로서 서술했는데, 이것과 동일하게 제 1 실시 형태, 제 2 실시 형태, 제 3 실시 형태, 제 5 실시 형태에서 서술한 필름체 (4 (35)) 에 대해서도 긴 수지필름을 사용하여 분리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되는 것이다.
이 경우, 긴 수지필름에는 재봉선 등으로 이루어지는 각 절취선을 반드시 형성할 필요는 없고, 예컨대 신선도 유지구의 사용시 등에 커터 등의 수단을 사용하여 긴 수지필름을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흡착체 (2 (32)) 와 필름체 (4 (35, 43)) 를 직사각형 형상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는데, 이들은 반드시 직사각형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흡착체는 삼각형, 정사각형, 사다리꼴, 오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을 이루는 평판체 또는 원주체 등으로 형성해도 되고, 필름체는 흡착체보다 큰 치수를 가지고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식품용 신선도 유지구를 예로 들어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식품 이외의 피보존물, 예컨대 조릿대 잎, 감 잎 등의 식품장식품, 피혁제품, 나무ㆍ대나무 제품, 풀ㆍ짚 제품 등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해도 되는 것이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식품 또는 그 외의 피보존물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신선도 유지구를, 휘발성 신선도 유지액을 흡착한 흡착체와, 상기 신선도 유지액의 기체에 대해 불투과성이 높은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흡착체보다 큰 치수를 가지고 이 흡착체를 외측으로부터 덮는 필름형 커버로 구성하고, 이 커버에는 흡착체의 측방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스커트부에는 신선도 유지액이 흡착체로부터 서서히 외부로 휘산하는 것을 허용하는 휘산용 개구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신선도 유지액으로부터 휘발되는 기체에 대해 높은 불투과성을 갖는 필름형 커버에 의해, 신선도 유지액이 상기 휘산용 개구 이외의 부분으로부터 외부로 휘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내부의 흡착체가 식품 등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스커트부에 의해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신선도 유지액의 휘산속도를 휘산용 개구의 크기에 따라 조정할 수 있어 그 휘산속도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식품 등의 신선도를, 상품가치를 저하시키지 않고 장기에 걸쳐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고, 흡착체의 변색 등에 의한 외관품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흡착체의 측방으로 연장된 스커트부의 연장치수 (L) 를 흡착체의 두께 (T) 보다 큰 치수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당해 신선도 유지구를 식품포장체내에 봉입했을 때, 필름형 커버는 스커트부의 선단이 식품 등에 맞닿아 절곡되었다고 해도, 흡착체의 측면 등을 스커트부로 덮을 수 있어 흡착체가 식품 등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를 구성하는 1장 또는 2장의 필름체에 의해 흡착체를 샌드위치형으로 끼운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각 필름체의 스커트부를 흡착체의 상, 하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서로 이간하여 연장시킴으로써 그 사이에 휘산용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신선도 유지액은 1장 또는 2장의 필름체 사이에 끼운 흡착체의 측면부측으로부터 스커트부간의 휘산용 개구를 통해 외부로 서서히 휘산시킬 수 있어 흡착체가 식품 등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스커트부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커버를 1장 또는 2장의 필름체와, 이 각 필름체의 스커트부를 서로 접합한 복수의 접합부로 구성하고, 휘산용 개구는 이 각 접합부 사이에 위치하여 각 필름체의 스커트부 사이에 형성되는 비접합부분으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각 접합부에 의해 흡착체를 필름체 사이에 끼운 상태로 구속할 수 있고, 각 필름체의 스커트부보다 내측이 되는 위치에 흡착체를 유지해 둘 수 있다. 그리고, 흡착체내의 신선도 유지액은 각 필름체 사이의 휘산용 개구로부터 서서히 외부로 휘산시킬 수 있고, 흡착체가 식품 등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다각형 형상을 이루는 필름체의 모서리부에 접합부를 형성할 수 있고, 필름체의 스커트부에는 각 접합부 사이에 위치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휘산용 개구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신선도 유지액을 흡착체의 측면부측으로부터 휘산용 개구를 통해 외부로 서서히 휘산시킬 수 있고, 흡착체가 식품 등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스커트부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필름체의 좌, 우 양측 위치에 접합부를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접합부의 형성작업을 용이하게 행하여 제조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필름체를 띠 형상으로 연장되는 긴 수지필름을 사용하여 형성하고, 이 수지필름의 내측에는 각 흡착체를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복수의 필름체를 긴 수지필름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이 긴 수지필름을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여 이루어지는 각각의 필름체에, 흡착체를 개별적으로 수납해 둘 수 있음과 동시에, 연속포장구조의 신선도 유지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신선도 유지구의 커버가 되는 필름체를 긴 수지필름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이 수지필름의 각 절취선 사이에서 구획되는 각각의 필름체에는 흡착체를 개별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그리고, 긴 필름의 절취선 위치에서 각 필름체를 분리함으로써, 신선도 유지구를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제조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식품 또는 그 외의 피보존물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신선도 유지구로서,
    휘발성의 신선도 유지액을 흡착한 흡착체와, 상기 신선도 유지액의 기체에 대해 불투과성이 높은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흡착체보다 큰 치수를 가지고 상기 흡착체를 외측으로부터 덮는 필름형 커버로 이루어지고,
    이 커버는 상기 흡착체의 측방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부를 가지며, 이 스커트부에는 상기 신선도 유지액이 흡착체로부터 서서히 외부로 휘산되는 것을 허용하는 휘산용 개구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도 유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흡착체의 측방으로 연장된 상기 스커트부의 연장치수 (L) 를 상기 흡착체의 두께 (T) 보다 큰 치수 (L > T) 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도 유지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불투과성이 높은 재료로 상기 흡착체보다 큰 치수를 가지고 형성되며, 상기 흡착체를 끼운 상태에서 외부 가장자리측이 상기 흡착체의 측방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부로 이루어진 1장 또는 2장의 필름체로 구성하고, 이 필름체는 상기 흡착체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흡착체의 상, 하면에 접착함으로써 고정하고, 상기 스커트부는 상기 흡착체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연장됨으 로써 서로 상, 하로 이간되어 상기 휘산용 개구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도 유지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불투과성이 높은 재료로 상기 흡착체보다 큰 치수를 가지고 형성되며, 상기 흡착체를 끼운 상태에서 외부 가장자리측이 상기 흡착체의 측방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부로 이루어진 1장 또는 2장의 필름체와, 이 필름체의 스커트부측에 형성되며, 이 각 스커트부를 서로 접합함으로써 상기 흡착체를 필름체 사이에 구속하는 복수의 접합부로 구성하고, 상기 휘산용 개구는 상기 각 접합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필름체의 스커트부 사이에 형성되는 비접합부분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도 유지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체는 다각형 평판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필름체는 상기 흡착체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어 상기 스커트부측에 복수의 모서리부를 가지며, 상기 접합부는 상기 필름체의 각 모서리부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모서리부측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도 유지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체는 좌, 우 양측이 서로 평행으로 된 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접합부는 상기 필름체의 좌, 우 양측에 각각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도 유지구.
  7.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체는 띠 형상으로 연장되는 긴 수지필름을 사용하여 형성하고, 이 긴 수지필름의 내측에는 상기 각 흡착체를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도 유지구.
  8.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체는 띠 형상으로 연장되는 긴 수지필름을 사용하여 형성하고, 이 긴 수지필름의 내측에는 상기 각 흡착체를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상기 긴 수지필름에는 상기 각 흡착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각 필름체를 구획하는 복수의 절취선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도 유지구.
KR1020027009055A 2000-01-14 2001-01-10 신선도 유지구 KR1007328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007065 2000-01-14
JP2000007065A JP3159691B1 (ja) 2000-01-14 2000-01-14 鮮度保持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7931A KR20020067931A (ko) 2002-08-24
KR100732897B1 true KR100732897B1 (ko) 2007-06-27

Family

ID=18535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9055A KR100732897B1 (ko) 2000-01-14 2001-01-10 신선도 유지구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823774B2 (ko)
EP (1) EP1247459B1 (ko)
JP (1) JP3159691B1 (ko)
KR (1) KR100732897B1 (ko)
CN (1) CN1188056C (ko)
AT (1) ATE291857T1 (ko)
AU (1) AU2547601A (ko)
BR (1) BR0107627A (ko)
CA (1) CA2396135C (ko)
DE (1) DE60109734T2 (ko)
EA (1) EA003600B1 (ko)
MX (1) MXPA02006865A (ko)
MY (1) MY126155A (ko)
PL (1) PL356408A1 (ko)
WO (1) WO20010508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0640A (ja) * 2003-09-08 2005-03-31 Fretek:Kk 鮮度保持具
US20060219184A1 (en) * 2005-04-01 2006-10-05 Wilson Charles L Compartmentalized Plastic Bags That Deliver Stress-Reducing Chemicals to Fish During Transport or Treatment
US9198444B2 (en) * 2005-07-08 2015-12-01 Chiquita Brands, Inc. Device for controlling the gas medium inside a container
US20070059414A1 (en) * 2005-09-13 2007-03-15 Novak John S Method and Process of Using Controlled Gas Environments to Inhibit Microbial Growth
US7387205B1 (en) * 2005-11-10 2008-06-1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Packaging system for preserving perishable items
US7863350B2 (en) * 2007-01-22 2011-01-04 Maxwell Chase Technologies, Llc Food preserv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080199577A1 (en) * 2007-02-21 2008-08-21 Paper-Pak Industries Consumer food storage package with absorbent food pad
US9364119B2 (en) * 2007-02-21 2016-06-14 Paper-Pak Industries Absorbent pad to preserve freshness for consumer food storage
US9198457B2 (en) * 2008-03-07 2015-12-01 Paper-Pak Industries Absorbent pads for food packaging
US20140272021A1 (en) * 2013-03-14 2014-09-18 Multisorb Technologies, Inc. Ethyl alcohol emitting package for baked goods
CN104495080A (zh) * 2014-11-11 2015-04-08 句容市茂源织造厂 一种水果包装
US20180079544A1 (en) * 2016-09-16 2018-03-22 Blue Sky Innovation Group, Inc. Liquid capture apparatus for use with a vacuum sealer
CN106586286B (zh) * 2016-12-09 2018-10-16 重庆鼎盛印务股份有限公司 食品包装袋及其加工方法
US10882295B2 (en) 2018-03-09 2021-01-05 Novipax Llc Absorbent fluff and tissue laminate pads for food packaging
CN109894011B (zh) * 2019-04-03 2022-03-11 贵州亚港气体有限公司 一种豆腐干保鲜气体的配制方法与配制装置
US20210346549A1 (en) * 2020-03-25 2021-11-11 Segan Industries, Inc. Non-Contact Sanitizing Products and Elemen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2840A (ja) * 1990-12-06 1992-08-04 Toyo Alum Kk 芳香剤用包装材
JPH0639971A (ja) * 1992-04-15 1994-02-15 Shinano Pori:Kk 生鮮食品の包装材料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2574A (en) 1987-12-01 1989-02-07 Yosuke Akiba Absorbent for a gas preservative atomosphere
JPH01231880A (ja) * 1988-03-12 1989-09-18 Nippon Petrochem Co Ltd 鮮度保持材およびそれを用いる鮮度保持方法
JPH0717576A (ja) 1993-06-30 1995-01-20 Dainippon Printing Co Ltd 鮮度保持用連続袋体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保存用容器
JP3529487B2 (ja) 1995-04-27 2004-05-24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鮮度保持シート
JP3469971B2 (ja) 1995-09-21 2003-11-25 新メーテル株式会社 収納袋
JPH1132743A (ja) 1997-07-24 1999-02-09 Showa Denko Kk エタノール蒸気発生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食品の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2840A (ja) * 1990-12-06 1992-08-04 Toyo Alum Kk 芳香剤用包装材
JPH0639971A (ja) * 1992-04-15 1994-02-15 Shinano Pori:Kk 生鮮食品の包装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96135A1 (en) 2001-07-19
US20020175218A1 (en) 2002-11-28
EA200200760A1 (ru) 2003-02-27
MXPA02006865A (es) 2004-04-05
JP2001190258A (ja) 2001-07-17
EP1247459A4 (en) 2003-04-02
US6823774B2 (en) 2004-11-30
CN1188056C (zh) 2005-02-09
DE60109734T2 (de) 2005-08-25
ATE291857T1 (de) 2005-04-15
AU2547601A (en) 2001-07-24
BR0107627A (pt) 2002-10-15
MY126155A (en) 2006-09-29
JP3159691B1 (ja) 2001-04-23
CA2396135C (en) 2009-07-28
WO2001050890A1 (fr) 2001-07-19
EP1247459A1 (en) 2002-10-09
EA003600B1 (ru) 2003-06-26
KR20020067931A (ko) 2002-08-24
CN1395471A (zh) 2003-02-05
PL356408A1 (en) 2004-06-28
DE60109734D1 (de) 2005-05-04
EP1247459B1 (en) 2005-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897B1 (ko) 신선도 유지구
US5126109A (en) Preserving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4802574A (en) Absorbent for a gas preservative atomosphere
US20150093478A1 (en) Absorbent pad to reduce confinement odor in food packages
JP2508617B2 (ja) 脱酸素剤二重包装体
JP3246538B2 (ja) 蓋用パッキング
JP2011000082A (ja) 食品鮮度保持具
JP5420367B2 (ja) アルコール揮散剤
JPH0852841A (ja) 吸湿性包装材及びそれを用いた鮮度保持用包装袋
JP5492514B2 (ja) アルコール揮散剤
JPH08214848A (ja) ストレッチ包装食品の保存方法
JP2021073880A (ja) アルコール蒸散型食品品質保持剤の個包装体
JPH044225B2 (ko)
JP2010173684A (ja) 食品鮮度保持具
KR20060085618A (ko) 신선도 유지구
JPH03305B2 (ko)
JPH092528A (ja) 包装袋
JPH07125762A (ja) 保存輸送用シート
CN114619744A (zh) 保鲜与清洁双功能联用装置及其用途
JP2024040221A (ja) 柑橘類鮮度保持コンテナ用カバーおよび柑橘類鮮度保持方法
JP2012062102A (ja) 食品鮮度保持具
JPH0717580A (ja) 鮮度保持用シート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保存用容器
JPH02255069A (ja) 鮮度保持剤の製造方法
JPH0717579A (ja) 鮮度保持用シート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保存用容器
JPH0717581A (ja) 鮮度保持用シート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保存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