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724B1 - 광 확산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광 확산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724B1
KR100732724B1 KR20060001289A KR20060001289A KR100732724B1 KR 100732724 B1 KR100732724 B1 KR 100732724B1 KR 20060001289 A KR20060001289 A KR 20060001289A KR 20060001289 A KR20060001289 A KR 20060001289A KR 100732724 B1 KR100732724 B1 KR 100732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eads
binder
layer
diffus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01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0888A (ko
Inventor
미노루 요시다
Original Assignee
미노루 요시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0190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107553A/ja
Application filed by 미노루 요시다 filed Critical 미노루 요시다
Publication of KR20060080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24Refl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incorporation in or application to road surface mark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having particles on the surfac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Viewing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02B5/126Reflex reflectors including curved refracting surface
    • G02B5/128Reflex reflectors including curved refracting surface transparent spheres being embedded in matri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5/00Optical waveguides
    • Y10S385/901Illuminating or display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364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with transparent or protective 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372Particulate mat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양호한 방향성 광 확산 기능, 광선 투과성, 경제성 및 박막성을 갖는 광 확산 시트 및 휘도 등의 성능 및 박형화가 촉진되는 백라이트 유닛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 확산 시트는 투명한 기재층 및 이 기재층의 표면 측에 적층되는 광 확산층을 구비하고, 이 광 확산층이 수지제의 비즈와 수지제의 바인더를 갖는 광 확산 시트로서, 상기 비즈로서 평균 입자 직경이 1.5μm 이상 5μm 이하인 단분산 비즈가 사용되고, 바인더에 대한 비즈의 질량비가 2.5 이상 3 이하이며, 광 확산층의 적층량이 3g/m2 이상 10g/m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즈 및 바인더의 기재 폴리머로서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하면 좋다. 상기 단분산 비즈의 입자 직경 분포의 변동 계수로는 0.2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광 확산층의 형성 수단으로는 그라비아 코팅법이 바람직하다.
광 확산, 시트, 백라이트, 비즈, 바인더, 단분산, 입자 직경, 아크릴계, 스티킹

Description

광 확산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LIGHT DIFFUSION SHEET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광 확산 시트를 보인 모식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광 확산 시트와 다른 형태에 따른 광 확산 시트를 보인 모식적인 단면도이고,
도 3(a)는 일반적인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을 보인 모식적인 사시도이고,
도 3(b)는 일반적인 광 확산 시트를 보인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투과 광선을 법선 방향 측으로 집광시키면서 확산시키는 방향성 광 확산 기능을 가지며, 특히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에 적합한 광 확산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층을 후면에서 비추어 발광시키는 백라이트 방식이 보급되어, 액정층의 하면 측에 에지 라이트형, 직하형 등의 백라이트 유닛이 장착되 어 있다. 이러한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50)은, 기본적으로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인 선형 램프(51)와, 램프(51)를 단부가 따르도록 배치되는 사각형의 판상 도광판(52)과, 도광판(52)의 표면 측에 배열 설치되는 광 확산 시트(53) 및 광 확산 시트(53)의 표면 측에 배열 설치되는 프리즘 시트(54)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백라이트 유닛(50)의 기능을 설명하면, 먼저 램프(51)에서 도광판(52)으로 입사된 광선은 도광판(52) 이면의 반사 도트 또는 반사 시트(도시하지 않음)에서 반사되고, 도광판(52)의 표면으로부터 출사된다. 도광판(52)으로부터 출사된 광선은 광 확산 시트(53)로 입사되고, 광 확산 시트(53)에서 확산되고, 광 확산 시트(53) 표면으로부터 출사된다. 그런 다음, 광 확산 시트(53)로부터 출사된 광선은 프리즘 시트(54)로 입사되고, 프리즘 시트(54) 표면에 형성된 프리즘부(54a)에 의해 대략 법선 방향으로 피크를 나타내는 분포의 광선으로서 출사된다.
이와 같이 램프(51)로부터 출사된 광선이 광 확산 시트(53)에 의해 확산되고, 또 프리즘 시트(54)에 의해 대략 법선 방향으로 피크를 나타내도록 굴절되며, 나아가 표면 측의 액정층(도시하지 않음)의 전면(全面)을 조명하는 것이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술한 프리즘 시트(54)의 집광 특성의 완화나 프리즘부(54a)의 보호 또는 편광판 등의 액정 패널과 프리즘 시트(54)의 스티킹의 방지를 목적으로 프리즘 시트(54)의 표면 측에 광 확산 시트가 더 배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50)에 구비하는 광 확산 시트(53)는, 일반적으로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 수지제의 투명한 기재층(56)과 이 기재층(56)의 표 면에 적층된 광 확산층(57)을 구비하고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 7-530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0-89007호 공보 등 참조). 이 광 확산층(57)은 일반적으로는 투명한 수지제의 바인더(58) 내에 수지제의 비즈(59)를 함유하여 비즈(59)에 의해 광 확산 기능이 이루어진다.
상기 종래의 광 확산 시트(53)에서 광 확산성을 향상시키는 수단으로는 통상 비즈(59)의 배합량 및 광 확산층(57)의 적층량을 높이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비즈(59)의 배합량 및 광 확산층(57)의 적층량의 증가는 코팅의 곤란성 및 광선 투과율의 저하를 초래한다. 즉, 광 확산 시트(53)에 관한 기술자의 종래의 사고 방식에 따르면, 광 확산성과 코팅 용이성 및 광선 투과성과 상반되는 성질인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상기 사고 방식에 입각한 종래 일반적인 광 확산 시트(53)는 광 확산성, 광선 투과성 및 코팅 용이성의 균형을 고려하여, 비즈(59)로서 20μm 전후의 비교적 큰 평균 입자 직경을 가지면서 또한 비교적 넓은 입자 직경 분포를 갖는 다분산 비즈가 사용되며, 바인더에 대한 비즈(59)의 질량비가 1 전후이고, 광 확산층(57)의 적층량이 15∼20g/m2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들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양호한 방향성 광 확산 기능, 광선 투과성, 경제성 및 박막성을 갖는 광 확산 시트 및 휘도 등의 성능 및 박형화가 촉진되는 백라이트 유닛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광 확산 시트에서의 비즈의 종류나 평균 입자 직경, 바인더에 대한 비즈의 질량비, 광 확산층의 적층량 등을 변경한 방대한 실험을 실시하고 예의 검토한 결과, 비교적 소직경의 단분산 비즈를 사용하여 바인더에 대한 비즈의 질량비를 크게 하고, 또한 광 확산층의 적층량을 비교적 작게 함으로써 양호한 방향성 광 확산 기능, 광선 투과성 등이 발현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 결과,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발명은, 투명한 기재층과 이 기재층의 표면 측에 적층되는 광 확산층을 구비하고, 이 광 확산층이 수지제의 비즈와 수지제의 바인더를 가지며, 상기 비즈로서 평균 입자 직경이 1.5μm 이상 5μm 이하인 단분산 비즈가 사용되고, 바인더에 대한 비즈의 질량비(바인더의 기재 폴리머에 대한 비즈의 고형분 환산에 따른 질량비를 의미함)가 2.5 이상 3 이하이고, 광 확산층의 적층량이 3g/m2 이상 10g/m2 이하인 광 확산 시트이다.
상기 광 확산 시트는 평균 입자 직경이 비교적 작은 단분산 비즈를 이용하여 바인더에 대한 비즈의 질량비를 비교적 크게 하고, 광 확산층의 적층량을 비교적 작게 함으로써 입자 직경이 고른 소직경 비즈를 기재층 표면에 비교적 치밀하고 균일하게 부설할 수 있고, 그 결과 표면에 미세한 볼록부가 비교적 치밀하고 균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 광 확산 시트는 양호한 방향성 광 확산 기능, 광선 투과성 등을 가지며, 경제성 및 박막성이 촉진된다. 또한 상기 광 확산 시트는 비즈를 소직경의 단분산 비즈로 하고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비즈의 질량비가 크고 적층량이 작은 광 확산층의 형성이 도공 등의 수단으로 가능해진다.
상기 광 확산 시트에서는 상기 단분산 비즈의 평균 입자 직경이 3μm, 바인더에 대한 비즈의 질량비가 2.7, 광 확산층의 적층량이 6g/m2 인 경우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단분산 비즈의 평균 입자 직경, 비즈의 질량비 및 광 확산층의 적층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전술한 방향성 광 확산 기능, 광선 투과성, 경제성 및 박막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비즈 및 바인더의 기재 폴리머로는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하면 좋다. 이와 같이 비즈 및 바인더의 주재료를 아크릴계 수지로 함으로써 전술한 방향성 광 확산 기능 및 광선 투과성을 더욱 촉진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아크릴폴리올과 경화제를 포함하는 폴리머 조성물로 형성하면 좋다. 이와 같이 바인더의 형성 재료로서 아크릴폴리올을 기재 폴리머로 하는 폴리머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비즈의 질량비가 크고 적층량이 작은 광 확산층의 형성 용이성이 촉진되어, 광 확산층의 코팅 결함 등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단분산 비즈의 입자 직경 분포의 변동 계수로는 0.2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입자 직경 분포의 변동 계수가 0.2 이하인 단분산 비즈를 사용함으로써 전술한 방향성 광 확산 기능 및 광선 투과성을 효과적으로 촉진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비즈의 질량비가 크고 적층량이 작은 광 확산층의 형성 용이성을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다.
상기 광 확산층의 형성 수단으로는 그라비아 코팅법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그라비아 코팅법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비즈의 질량비가 크고 적층량이 작은 광 확산층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광 확산층의 바인더 내에 미소 무기 충전제를 분산 함유하면 좋다. 이와 같이 광 확산층의 바인더 내에 미소 무기 충전제를 분산 함유함으로써 광 확산층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광 확산 시트의 열 등에 의한 휨이나 황변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광 확산층 바인더 내에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면 좋다. 이와 같이 광 확산층 바인더 내에 대전 방지제를 함유함으로써 상기 광 확산 시트는 뛰어난 대전 방지 작용을 이루고, 먼지를 끌어당기거나 프리즘 시트 등의 다른 시트와의 중첩이 곤란해지는 등 대전에 따른 문제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의 이면 측에 적층되는 스티킹 방지층을 더 구비하며, 이 스티킹 방지층이 바인더 내에 분산되는 비즈를 가지면 좋다. 이와 같이 이면에 스티킹 방지층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광 확산 시트와 그 이면 측에 배열 설치되는 도광판, 프리즘 시트 등과의 스티킹에 의한 간섭 무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램프로부터 발생하는 광선을 분산시켜 표면 측으로 유도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 시트를 구비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광 확산 시트가 뛰어난 방향성 확산 기능 및 광선 투과성을 가지므로 휘도 불균일을 줄이고 정면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광 확산 시트가 뛰어난 경제성 및 박막성을 가지므로, 오늘 날 사회적으로 요청되고 있는 저비용화 및 박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비즈의 평균 입자 직경" 및 "입자 직경 분포의 변동 계수"는 부피를 기준으로 한 수치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 확산 시트는, 비즈의 종류, 바인더에 대한 비즈의 질량비, 광 확산층의 적층량 등에 관한 당업자의 종래의 사고 방식과 다른 설계 사상에 의거하여 양호한 방향성 광 확산 기능, 광선 투과성, 경제성 및 박막성이 발현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은 휘도, 휘도의 균일성 등의 성능이 향상되고, 또한 저비용화 및 박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적당히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의 광 확산 시트(1)는 기재층(2)과 이 기재층(2)의 표면에 적층된 광 확산층(3)을 구비하고 있다.
기재층(2)은 광선을 투과시켜야 하므로 투명한, 특히 무색 투명한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재층(2)으로 사용되는 합성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 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올레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내후성염화 비닐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투명성이 뛰어나고 강도가 높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며, 휨 성능이 개선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기재층(2)의 두께(평균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10μ m 이상 250μ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0μm 이상 188μm 이하이다. 기재층(2)의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광 확산층(3)을 형성하기 위한 폴리머 조성물을 도공하였을 때 컬이 발생하기 쉽고 취급이 곤란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반대로, 기재층(2)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액정 표시 장치의 휘도가 저하될 수 있고, 또 백라이트 유닛의 두께가 두꺼워져 액정 표시 장치의 박형화의 요구에 반하게 된다.
광 확산층(3)은 기재층(2) 표면에 대략 균일하고 치밀하게 부설되는 비즈(4)와 그 비즈(4)를 고정하는 바인더(5)를 구비하고 있다. 비즈(4)는 바인더(5)로 피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광 확산층(3) 내에 함유하는 비즈(4)에 의해 광 확산층(3)을 뒷쪽에서 앞쪽으로 투과하는 광선을 균일하게 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비즈(4)에 의해 광 확산층(3)의 표면에 미세한 볼록부가 대략 균일하고 치밀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광 확산 시트(1) 표면에 형성되는 미세한 요철의 렌즈적인 굴절 작용에 의해 광선을 보다 양호하게 확산시킬 수 있다.
비즈(4)는 광선을 확산시키는 성질을 갖는 대략 구형의 투명 수지제 입자이다. 이 비즈(4)의 형성 재료로서는, 예컨대 아크릴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우레탄계 수지, 염화 비닐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폴리아미드, 실리콘계 수지, 불소계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투명성이 높은 아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하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수지에는 아크릴-스티렌계 공중합 수지, 아크릴-우레탄계 공중합 수지, 아크릴―불소계 공중합 수지, 아크릴-실리콘계 공중합 수지 등이 포함된다.
비즈(4)로는 비교적 입자 직경이 작은 단분산 비즈가 사용되고 있다. 이 단분산 비즈란 입자 직경의 균일도가 높은 비즈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입자 직경이 작은 단분산 비즈를 사용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인더(5)에 대한 비즈(4)의 질량비가 크고 적층량이 작은 광 확산층(3)의 형성이 도공 등의 수단으로 가능해지고, 또한 상기 광 확산 시트(1)의 박형화가 촉진된다.
비즈(4)의 평균 입자 직경의 하한으로는 1.5μm가 바람직하며, 1.8μm가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비즈(4)의 평균 입자 직경의 상한으로는 5μm가 바람직하며, 4μm가 특히 바람직하다. 비즈(4)의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비즈(4)에 의해 형성되는 광 확산층(3) 표면의 요철이 작아져, 광 확산 시트로서 필요한 광 확산성을 만족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비즈(4)의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바인더(5)에 대한 비즈(4)의 질량비가 크고 적층량이 작은 광 확산층(3)의 형성이 곤란해져 코팅 결함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비즈(4)(단분산 비즈)의 입자 직경 분포의 변동 계수로는, 0.2 이하가 바람직하며, 0.1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비즈(4)의 입자 직경 분포의 변동 계수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바인더(5)에 대한 비즈(4)의 질량비가 크고 적층량이 작은 광 확산층(3)의 형성 용이성이 촉진되고, 상기 광 확산 시트(1)의 방향성 광 확산 기능이 촉진된다.
비즈(4)의 바인더(5)에 대한 질량비(바인더(5)의 기재 폴리머에 대한 비즈(4)의 고형분 환산에 따른 질량비)로는 2.5 이상 3 이하가 바람직하다. 바인더(5)에 대한 비즈(4)의 질량비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 확산층 (3)의 적층량이 작으므로 광 확산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한편, 바인더(5)에 대한 비즈(4)의 질량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비즈(4)를 고정하는 효과가 저하되어 코팅 결함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바인더(5)는 기재 폴리머를 포함하는 폴리머 조성물을 가교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 바인더(5)에 의해 기재층(2) 표면에 비즈(4)가 대략 동일한 밀도로 배치 고정된다. 또한 이 바인더(5)를 형성하기 위한 폴리머 조성물은, 기재 폴리머 이외에 예를 들어 미소 무기 충전제, 경화제, 가소제, 분산제, 각종 레벨링제, 자외선 흡수제, 항산화제, 점성 개질제, 윤활제, 광 안정화제 등이 적당히 배합되어도 좋다.
상기 기재 폴리머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불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에폭시계 수지, 자외선 경화형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폴리머를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기재 폴리머로서는, 가공성이 높고 도공 등의 수단으로 용이하게 광 확산층(3)을 형성할 수 있는 폴리올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인더(5)에 사용되는 기재 폴리머 자체는 광선의 투과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며, 무색 투명한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로는, 예를 들어 수산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올이나 수산기 과잉의 조건에서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산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로서는, (a) 예컨대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릴알코올, 호모아릴알코올, 계피알코올, 크로토닐알코올 등의 수산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 (b)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옥사이드, 부틸렌글리콜, 부틸렌옥사이드, 1,4-비스(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산, 페닐글리시딜에테르, 글리시딜데카노에이트, 프락셀 FM-1(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제조) 등의 2가 알코올 또는 에폭시 화합물과, 예컨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반응으로 얻어지는 수산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산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중합하여 폴리올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은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n-프로필, 아크릴산 이소프로필, 아크릴산 n-부틸, 아크릴산 tert-부틸, 아크릴산 에틸헥실,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n-프로필, 메타크릴산 이소프로필, 메타크릴산 n-부틸, 메타크릴산 tert-부틸, 메타크릴산 에틸헥실, 메타크릴산 글리시딜, 메타크릴산 사이클로헥실, 스티렌, 비닐톨루엔, 1-메틸스티렌,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로니트릴, 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스테아르산 비닐, 아세트산 아릴, 아디프산 디아릴, 이타콘산 디아릴, 말레산 디에틸, 염화 비닐, 염화 비닐리덴, 아크릴아미드,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프렌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 체와 상기 (a) 및 (b)로부터 선택되는 수산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를 중합함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수산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올의 수평균 분자량은 1000 이상 50000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5000 이상 100000 이하이다. 또한 그 수산기가는 5 이상 3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2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150 이하이다.
수산기 과잉 조건에서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은, (c)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데카메틸렌글리콜,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헥산트리올, 글리세린, 펜타에리스리톨, 사이클로헥산디올, 수첨 비스페놀 A, 비스(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산, 하이드로퀴논비스(하이드록시에틸에테르),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크실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과, (d) 예컨대 말레산, 푸마르산, 숙신산, 아디프산, 세바틴산, 아젤라산, 트리메트산, 테레프탈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등의 다염기산을 프로판디올, 헥산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다가 알코올 내의 수산기 수가 상기 다염기산의 카르복실산기 수보다 많은 조건으로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수산기 과잉 조건에서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의 수평균 분자량은 500 이상 30000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2000 이상 100000 이하이다. 또한 그 수산기가는 5 이상 3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2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150 이하이다.
이러한 폴리머 조성물의 기재 폴리머로서 사용되는 폴리올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및 상기 수산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지며, (메타)아크릴 단위 등을 갖는 아크릴폴리올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또는 아크릴폴리올을 기재 폴리머로 하는 바인더(5)는 투명성 및 내후성이 높아 광 확산층(3)의 황변 등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기재 폴리머로서 아크릴폴리머를 사용하고, 아크릴계 수지제의 비즈(4)를 사용함으로써 비즈(4)의 계면에서의 불필요한 굴절, 반사 등이 줄어들고, 상기 광 확산 시트(1)의 방향성 광 확산 기능, 광선 투과성 등의 광학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폴리에스테르폴리올과 아크릴폴리올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도 좋고, 둘 다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및 아크릴폴리올 내의 수산기의 개수는 하나의 분자당 2개 이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고형분 내의 수산기가가 10 이하이면 가교점수가 감소하고, 내용제성, 내수성, 내열성, 표면 경도 등의 피막 물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광 확산층(3)의 적층량의 하한으로는 3g/m2가 바람직하며, 5g/m2가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광 확산층(3)의 적층량의 상한으로는 10g/m2가 바람직하며, 8g/m2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광 확산층(3)의 적층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비즈(4)로서 비교적 입자 직경이 작은 단분산 비즈를 사용하여, 바인더(5)에 대한 비즈(4)의 질량비를 비교적 크게 하고 있는 것과 서로 어울려서 비즈(4)를 기재층(2)의 표면에 비교적 치밀하고 균일하게 부설하고, 광 확산층(3)의 표면에 미세한 볼록부를 비교적 치밀하고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광 확산 시트(1)의 방향성 광 확산 기능, 광선 투과성 등의 광학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광 확산 시트(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비즈(4)로서 평균 입자 직경이 작은 단분산 비즈를 사용하고, 바인더(5)에 대한 비즈(4)의 질량비를 비교적 크게 하고, 광 확산층(3)의 적층량을 비교적 작게 함으로써 입자 직경이 고른 소직경 비즈(4)를 기재층(2) 표면에 비교적 치밀하고 균일하게 부설하고, 표면에 미세하면서도 높이가 고른 볼록부를 비교적 치밀하고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광 확산층(3) 표면의 미세 요철에서의 굴절 작용 등에 의해 상기 광 확산 시트(1)는 양호한 방향성 광 확산 기능, 광선 투과성 등을 가지며, 경제성 및 박막성을 촉진할 수 있다.
상기 광 확산 시트(1)에서, 상기 비즈(4) 및 바인더(5)의 기재 폴리머로서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하고, 단분산 비즈인 비즈(4)의 평균 입자 직경이 3μm, 바인더(5)에 대한 비즈(4)의 질량비가 2.7, 광 확산층(3)의 적층량이 6g/m2인 경우가 가장 적합하며, 상기 광 확산 시트(1)의 방향성 광 확산 기능, 광선 투과성, 경제성, 박막성 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바인더(5)를 형성하는 폴리머 조성물 내에 미소 무기 충전제를 함유하면 좋 다. 이와 같이 바인더(5) 내에 미소 무기 충전제를 함유함으로써 광 확산층(3), 나아가서는 광 확산 시트(1)의 내열성이 향상된다. 이 미소 무기 충전제를 구성하는 무기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무기 산화물이 바람직하다. 이 무기 산화물은 금속 원소가 주로 산소 원자와의 결합을 통하여 3차원의 네트워크를 구성한 다양한 산소 함유 금속 화합물로 정의된다. 무기 산화물을 구성하는 금속 원소로는, 예를 들어 원소 주기율표 제2족∼ 제6족으로부터 선택되는 원소가 바람직하며, 원소 주기율표 제3족∼제5족으로부터 선택되는 원소가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Si, Al, Ti 및 Zr로부터 선택되는 원소가 바람직하며, 금속 원소가 Si인 콜로이달 실리카가 내열성 향상 효과 및 균일 분산성이라는 면에서 미소 무기 충전제로서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미소 무기 충전제의 형상은, 구형, 침상, 판상, 비늘 조각상, 파쇄상 등의 임의의 입자 형상이면 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미소 무기 충전제의 평균 입자 직경의 하한으로는 5nm가 바람직하며, 10nm가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미소 무기 충전제의 평균 입자 직경의 상한으로는 50nm가 바람직하며, 25nm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는 미소 무기 충전제의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범위 미만에서는 미소 무기 충전제의 표면 에너지가 높아지고 응집 등이 일어나기 쉬워지기 때문이며, 반대로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단파장의 영향으로 백탁이 일어나 광 확산 시트(1)의 투명성을 완전히 유지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미소 무기 충전제의 질량비(바인더(5)의 기재 폴리머 100부에 대한 무기물 성분만의 질량비)의 하한으로는 고형분 환산으로 5부가 바람직하며, 50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미소 무기 충전제의 상기 질량비의 상한으로는 500부가 바람직하고, 200부가 보다 바람직하며, 100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는 미소 무기 충전제의 질량비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광 확산 시트(1)의 내열성을 충분히 발현시킬 수 없게 될 우려가 있고, 반대로 질량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폴리머 조성물 내에 대한 배합이 곤란해져 광 확산층(3)의 광선 투과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미소 무기 충전제로는 그 표면에 유기 폴리머가 고정된 것을 사용하면 좋다. 이와 같이 유기 폴리머 고정 미소 무기 충전제를 사용함으로써 바인더(5) 내에서의 분산성이나 바인더(5)와의 친화성 향상이 도모된다. 이러한 유기 폴리머에 대해서는 그 분자량, 형상, 조성, 관능기의 유무 등에 관하여 특별히 한정이 없으며, 임의의 유기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기 폴리머의 형상에 대해서는 직쇄상, 분지상, 가교 구조 등의 임의의 형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폴리머를 구성하는 구체적인 수지로는, 예를 들어 (메타)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 폴리 아세트산 비닐,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 염화 비닐, 폴리 염화 비닐리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및 이들의 공중합체나 아미노기, 에폭시기, 하이드록실기, 카르복실기 등의 관능기로 일부 변성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메타)아크릴계 수지, (메타)아크릴-스티렌계 수지, (메타)아크릴-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의 (메타)아크릴 단위를 포함하는 유기 폴리머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것이 피막 형성 능력을 가지므로 적합하다. 한편, 상기 폴리머 조성물의 기재 폴리머와 상용성을 갖는 수지가 바람직하며, 따라서 폴리머 조성물에 포함되는 기재 폴리머와 동일한 조성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미소 무기 충전제는 미립자 내에 유기 폴리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미소 무기 충전제의 핵심인 무기물에 적당한 연도 및 인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유기 폴리머에는 알콕시기를 함유하는 것을 사용하면 좋으며, 그 함유량으로는 유기 폴리머를 고정한 미소 무기 충전제 1g당 0.01 mmol 이상 50 mmol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알콕시기에 의해 바인더(5)를 구성하는 매트릭스 수지와의 친화성이나 바인더(5) 내에서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알콕시기는 미립자 골격을 형성하는 금속 원소에 결합한 RO기를 나타낸다. 이 R은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킬기이며, 미립자 내의 RO기는 동일하여도 좋고 서로 달라도 좋다. R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등을 들 수 있다. 미소 무기 충전제를 구성하는 금속과 동일한 금속 알콕시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미소 무기 충전제가 콜로이달 실리카인 경우에는 실리콘을 금속으로 하는 알콕시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폴리머를 고정한 미소 무기 충전제 내의 유기 폴리머의 함유율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미소 무기 충전제를 기준으로 하여 0.5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미소 무기 충전제에 고정하는 상기 유기 폴리머로서 수산기를 갖는 것을 사용하고, 바인더(5)를 구성하는 폴리머 조성물 내에 수산기와 반응하는 관능기를 2 개 이상 갖는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멜라민 화합물 및 아미노플라스트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함유하면 좋다. 이에 따라, 미소 무기 충전제와 바인더(5)의 매트릭스 수지가 가교 구조로 결합되어 보존 안정성, 내오염성, 가요성, 내후성 등이 양호해지고, 나아가 얻어지는 피막이 광택을 갖게 된다.
상기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지방족, 지환족, 방향족 및 기타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나 이들의 변성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예를 들어 트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리진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사이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비우렛체, 이소시아누레이트체 등의 3량체 등; 이들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류와 프로판디올, 헥산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다가 알코올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잔존하는 화합물; 이들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에탄올, 헥산올 등의 알코올류, 페놀, 크레졸 등의 페놀성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 아세트옥심, 메틸에틸케톡심 등의 옥심류, ε-카프로락탐, γ-카프로락탐 등의 락탐류 등의 블록제로 봉쇄한 블록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피막의 황변색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향 고리에 직접 결합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지 않는 무황변성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멜라민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디메틸올멜라민, 트리메틸올멜라민, 테트라메틸올멜라민, 펜타메틸올멜라민, 헥사메틸올멜라민, 이소부틸에테르형 멜라민, n-부틸에테르형 멜라민, 부틸화 벤조구아나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미노플래스트 수지로는, 예를 들어 알킬에테르화 멜라민 수지, 요소 수지, 벤조구아나민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아미노플래스트 수지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또는 공축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알킬에테르화 멜라민 수지란 아미노트리아딘을 메틸올화하고, 사이클로헥산올 또는 탄소 수 1∼6의 알칸올로 알킬에테르화하여 얻어지는 것으로서, 부틸에테르화 멜라민 수지, 메틸에테르화 멜라민 수지, 메틸부틸 혼합 멜라민 수지가 대표적인 것이다. 또 경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술폰산계 촉매, 예를 들어 파라톨루엔 술폰산 및 그 아민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5)의 기재 폴리머로는 사이클로알킬기를 갖는 폴리올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바인더(5)를 구성하는 기재 폴리머인 폴리올 내에 사이클로알킬기를 도입함으로써 바인더(5)의 발수성, 내수성 등의 소수성이 높아지고, 고온 고습도 조건 하에서의 상기 광 확산 시트(1)의 내휨성, 치수 안정성 등이 개선된다. 또한 광 확산층(3)의 내후성, 경도, 볼륨감, 내용제성 등의 도막 기본 성능이 향상된다. 나아가, 표면에 유기 폴리머가 고정된 미소 무기 충전제와의 친화성 및 미소 무기 충전제의 균일 분산성이 더욱 양호해진다.
상기 사이클로알킬기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사이클로부틸기, 사이클로펜틸기, 사이클로헥실기, 사이클로헵틸기, 사이클로옥틸기, 사이클로 노닐기, 사이클로데실기, 사이클로운데실기, 사이클로도데실기, 사이클로트리데실기, 사이클로테트라데실기, 사이클로펜타데실기, 사이클로헥사데실기, 사이클로헵타데실기, 사이클로옥타데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로알킬기를 갖는 폴리올은 사이클로알킬기를 갖는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를 공중합함으로써 얻어진다. 이 사이클로알킬기를 갖는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란 사이클로알킬기를 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 갖는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이다. 이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tert-부틸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머 조성물 내에는 경화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를 함유하면 좋다. 이와 같이 폴리머 조성물 내에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함유함으로써 훨씬 견고한 가교 구조가 되고, 광 확산층(3)의 피막 물성이 더욱 향상된다. 이 이소시아네이트로는 상기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동일한 물질이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특히 피막의 황변을 방지하는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
특히, 기재 폴리머로서 폴리올을 사용하는 경우, 폴리머 조성물 내에 배합하는 경화제로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면 좋다. 이들 경화제를 사용하면 폴리머 조성물의 경화 반응 속도가 커지므로, 대전 방지제로서 미소 무기 충전제의 분산 안정성에 기여하는 양 이온계인 것을 사용하여도, 양 이온계 대전 방지제에 의한 경화 반응 속도의 저하를 충분히 보충할 수 있다. 또한 이 러한 폴리머 조성물의 경화 반응 속도의 향상은 바인더 내에 대한 미소 무기 충전제의 균일 분산성에 기여한다. 그 결과, 상기 광 확산 시트(1)는 열, 자외선 등에 의한 휨이나 황변을 특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머 조성물 내에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면 좋다. 이와 같이 대전 방지제가 혼련된 폴리머 조성물로 바인더(5)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광 확산 시트(1)에 대전 방지 효과가 발현되어, 먼지를 끌어당기거나 프리즘 시트 등과의 중첩이 곤란해지는 등 정전기의 대전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전 방지제를 표면에 코팅하면 표면의 끈적임이나 오염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폴리머 조성물 내에 혼련함으로써 이러한 폐해는 줄어든다. 이 대전 방지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알킬 황산염, 알킬 인산염 등의 음이온계 대전 방지제, 제4 암모늄염, 이미다졸린 화합물 등의 양 이온계 대전 방지제, 폴리에틸렌글리콜계,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스테아르산 에스테르, 에탄올아미드류 등의 비 이온계 대전 방지제, 폴리아크릴산 등의 고분자계 대전 방지제, 이온 전도계 대전 방지제 등이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특히 대전 방지 효과가 비교적 큰 양 이온계 대전 방지제가 바람직하며, 소량의 첨가로 대전 방지 효과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폴리머 조성물 내에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면 좋다. 이와 같이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폴리머 조성물로 바인더(5)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광 확산 시트(1)에 자외선 차단 기능이 부여되고 백라이트 유닛의 램프로부터 발생하는 미량의 자외선을 차단하여, 자외선에 의한 액정층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자외선 흡수제로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효율적으로 열 에너지로 변환 할 수 있는 것으로서, 또한 빛에 대하여 안정적인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자외선 흡수 기능이 높고, 상기 기재 폴리머와의 상용성이 양호하며, 기재 폴리머 내에 안정적으로 존재하는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및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흡수제가 바람직하고, 이들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을 사용하면 좋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로는 분자쇄에 자외선 흡수기를 갖는 폴리머(예를 들어 NIPPON SHOKUBAI CO.,LTD.의 "유 더블 UV" 시리즈 등)도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분자쇄에 자외선 흡수기를 갖는 폴리머를 사용함으로써 바인더(5)의 메인 폴리머와의 상용성이 높고, 자외선 흡수제의 블리드 아웃 등에 의한 자외선 흡수 기능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자쇄에 자외선 흡수기를 갖는 폴리머를 바인더(5)의 기재 폴리머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자외선 흡수기가 결합된 폴리머를 바인더(5)의 기재 폴리머로 하고, 이 기재 폴리머 내에 자외선 흡수제를 더 함유하는 것도 가능하며, 자외선 흡수 기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바인더(5)의 기재 폴리머에 대한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의 하한으로는 0.1 질량%, 특히 1 질량%, 나아가 3 질량%가 바람직하며, 자외선 흡수제의 상기 함유량의 상한으로는 10 질량%, 특히 8 질량%, 나아가 5 질량%가 바람직하다. 이는 기재 폴리머에 대하여 자외선 흡수제의 질량비가 상기 하한보다 작으면 광 확산 시트(1)의 자외선 흡수 기능을 효과적으로 이룰 수 없기 때문이고, 반대로 자외선 흡수제의 질량비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기재 폴리머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되 고, 바인더(5)의 강도, 내구성 등의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 대신, 또는 자외선 흡수제와 함께 자외선 안정제(분자쇄에 자외선 안정기가 결합한 기재 폴리머를 포함함)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자외선 안정제에 의해 자외선에서 발생하는 라디칼, 활성 산소 등이 비활성화되어 자외선 안정성, 내후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자외선 안정제로는 자외선에 대한 안정성이 높은 힌더드 아민계 자외선 안정제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와 자외선 안정제를 병용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한 열화 방지 및 내후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다음, 상기 광 확산 시트(1)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광 확산 시트(1)의 제조 방법으로는, (a) 바인더(5)를 구성하는 폴리머 조성물에 비즈(4)를 혼합함으로써 광 확산층용 폴리머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과, (b) 이 광 확산층용 폴리머 조성물을 기재층(2)의 표면에 적층하고 경화시킴으로써 광 확산층(3)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다.
이 광 확산층용 폴리머 조성물의 적층 수단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공지의 방법이 채용된다. 구체적인 적층 수단으로는, 예를 들어 그라비아 코팅법, 롤 코팅법, 바 코팅법, 블레이드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등을 이용한 코팅 등이 채용된다. 그 중에서도 특히 바인더(5)에 대한 비즈(4)의 질량비가 큰 폴리머 조성물을 얇고 균일하게 코팅할 수 있는 그라비아 코팅법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그라비아 코팅법에서 광 확산층(3)의 형성 특성 등을 고려하면, 그라비아선 수로는 70 이상 100 이하, 회전 수로는 80 이상 120 이하가 바람직하다.
도 2의 광 확산 시트(11)는 기재층(2)과, 이 기재층(2)의 표면에 적층된 광 확산층(3) 및 기재층(2)의 이면에 적층되는 스티킹 방지층(12)을 구비하고 있다. 이 기재층(2) 및 광 확산층(3)은 상기 도 1의 광 확산 시트(1)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스티킹 방지층(12)은 기재층(2)의 이면에 배열 설치되는 비즈(13)와 이 비즈(13)를 고정하는 바인더(14)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바인더(14)도 상기 광 확산층(3)의 바인더(5)와 동일한 폴리머 조성물을 가교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비즈(13)의 재료로는 광 확산층(3)의 비즈(4)와 동일한 것이 사용된다. 또한, 이 스티킹 방지층(12)의 두께(비즈(13)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서 바인더(14) 부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1μm 이상 10μm 이하 정도로 되어 있다.
이 비즈(13)의 질량비는 비교적 소량이며, 비즈(13)는 서로 이간되어 바인더(14) 내에 분산되어 있다. 또한 비즈(13)의 대부분은 그 하단이 바인더(14)의 평균 계면으로부터 아주 약간 돌출되어 스티킹 방지층(12)의 이면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 광 확산 시트(11)를 도광판과 적층하면, 비즈(13)에 의한 볼록부가 도광판 등의 표면에 산재적으로 맞닿게 되어, 광 확산 시트(11)의 이면 전면이 도광판 등과 맞닿는 일은 없다. 이에 따라, 광 확산 시트(11)와 도광판 등의 스티킹이 방지되고, 액정 표시 장치의 화면의 휘도 불균일이 억제된다.
다음, 광 확산 시트(11)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광 확산 시트(11)의 제조 방법은, (a) 바인더(5)를 구성하는 폴리머 조성물에 비즈(4)를 혼합함으로써 광 확산층용 폴리머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과, (b) 이 광 확산층용 폴리머 조성물을 기재층(2)의 표면에 적층하고 경화시킴으로써 광 확산층(3)을 형성하는 공정과, (c) 바인더(14)를 구성하는 폴리머 조성물에 비즈(13)를 혼합함으로써 스티킹 방지층용 폴리머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 및 (d) 이 스티킹 방지층용 폴리머 조성물을 기재층(2)의 이면에 적층하고 경화시킴으로써 스티킹 방지층(12)을 적층하는 공정을 갖는다. 상기 광 확산층용 폴리머 조성물 및 스티킹 방지층용 폴리머 조성물을 기재층(2)에 적층하는 수단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바 코터, 블레이드 코터, 스핀 코터, 롤 코터, 그라비아 코터, 플로 코터, 스프레이 등을 이용한 코팅 등이 채용된다.
상기 광 확산 시트(11)는 상기 광 확산 시트(1)와 마찬가지로, 표면에 미세하면서 높이가 고른 볼록부를 비교적 치밀하고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고, 그 결과 양호한 방향성 광 확산 기능, 광선 투과성 등을 가지며, 경제성 및 박막성을 촉진할 수 있다.
따라서, 램프, 도광판, 광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등을 구비하며, 램프로부터 발생하는 광선을 분산시켜 표면 측으로 유도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 이 광 확산 시트로서 상기 광 확산 시트(1, 11)를 사용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높은 방향성 광 확산 기능, 광선 투과성, 박막성, 경제성 등을 갖는 상기 광 확산 시트(1, 11)에 의해, 정면 휘도, 휘도의 균일성 등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오늘날 사회적으로 요청되고 있는 저비용화 및 박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 확산 시트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층, 탑 코팅층 등 다른 층이 적층되어도 좋다. 자외선 흡수제에 관해서는, 전술한 광 확산층(3)의 바인더(5) 내에 함유하는 수단 대신 또는 상기 수단과 함께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자외선 흡수층을 적층하는 것도 가능해며, 스티킹 방지층(12)의 바인더(14) 또는 기재층(2) 내에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 수단에 의해서도 마찬가지로 백라이트 유닛의 램프로부터 발생하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자외선에 의한 액정층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대전 방지제에 관해서는, 전술한 광 확산층(3)의 바인더(5) 내에 함유하는 수단 대신 또는 상기 수단과 함께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대전 방지층을 적층하는 것도 가능하며, 스티킹 방지층(12)의 바인더(14) 또는 기재층(2) 내에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 수단에 의해서도 상기 광 확산 시트에 대전 방지 효과가 발현되어, 먼지를 끌어당기거나 프리즘 시트 등과의 중첩 등이 곤란해지는 등 정전기의 대전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나, 이 실시예의 기재에 의거하여 본 발명이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기재층으로는 두께 100μm의 투명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필름을 사용하였다. 광 확산층용 폴리머 조성물로는 아크릴폴리올(기재 폴리머) 32부, 평균 입자 직경 3μm; 변동 계수 0.1의 아크릴계 수지제 단분산 비즈 86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6부, 대전 방지제 3부 및 용제로 이루어지는 폴리머 조성물을 사용 하였다. 각 조성의 배합량을 나타내는 부 수는 고형분 환산 질량비이다. 이 기재층 표면에 광 확산층용 폴리머 조성물을 그라비아 코팅법에 의해 3.6g/m2(고형분 환산) 적층함으로써 실시예 1의 광 확산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2>
광 확산층의 적층량을 4g/m2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2의 광 확산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3>
광 확산층의 적층량을 8.7g/m2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3의 광 확산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4>
비즈의 배합량을 80부로 하고 광 확산층의 적층량을 4.8g/m2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4의 광 확산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5>
광 확산층의 적층량을 8.5g/m2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5의 광 확산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6>
확산층의 적층량을 9.2g/m2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 법으로 실시예 6의 광 확산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7>
평균 입자 직경 1.8μm; 변동 계수 0.1의 아크릴계 수지제의 단분산 비즈를 사용하고, 광 확산층의 적층량을 4.5g/m2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7의 광 확산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8>
광 확산층의 적층량을 5.6g/m2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8의 광 확산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9>
광 확산층의 적층량을 7.6g/m2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9의 광 확산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10>
기재 폴리머로서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을 사용하고, 광 확산층의 적층량을 4.5g/m2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10의 광 확산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1>
비즈로서 평균 입자 직경 2.7μm의 아크릴수지제의 다분산 비즈를 사용하고, 광 확산층의 적층량을 6.4g/m2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 으로 비교예 1의 광 확산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2>
비즈의 배합량을 80부로 하고 광 확산층의 적층량을 6g/m2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2의 광 확산 시트를 얻었다.
<특성 평가>
상기 실시예 1∼10의 광 확산 시트 및 비교예 1∼2의 광 확산 시트를 이용하여 이들 광 확산 시트의 헤이즈 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이들 광 확산 시트를 실제로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에 장착하고, 도광판 표면에 두 장의 광 확산 시트를 적층한 경우와 도광판 표면에 광 확산 시트 및 프리즘 시트를 적층한 경우의 정면 휘도 상대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06000751711-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10의 광 확산 시트는 다분산 비즈를 사용한 비교예 1 및 2의 광 확산 시트에 비하여 높은 헤이즈값 및 보정 계면 상대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뛰어난 방향성 광 확산 기능, 광 투과성 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호한 방향성 광 확산 기능, 광선 투과성, 경제성 및 박막성을 갖는 광 확산 시트 및 휘도 등의 성능 및 박형화가 촉진되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투명한 기재층 및 이 기재층의 표면 측에 적층되는 광 확산층을 구비하고,
    이 광 확산층이 수지제의 비즈와 수지제의 바인더를 가지며,
    상기 비즈로서 평균 입자 직경이 1.5μm 이상 5μm 이하인 단분산 비즈가 사용되고,
    바인더에 대한 비즈의 질량비가 2.5 이상 3 이하이며,
    광 확산층의 적층량이 3g/m2 이상 10g/m2 이하이고,
    상기 단분산 비즈의 입자 직경 분포의 변동 계수가 0.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확산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분산 비즈의 평균 입자 직경이 3μm이고, 바인더에 대한 비즈의 질량비가 2.7이며, 광 확산층의 적층량이 6g/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확산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즈 및 바인더의 기재 폴리머로서 아크릴계 수지가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확산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가 아크릴폴리올과 경화제를 포함하는 폴리머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확산 시트.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층이 그라비아 코팅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확산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층의 바인더 내에 미소 무기 충전제를 분산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확산 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층의 바인더 내에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확산 시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이면 측에 적층되는 스티킹 방지층을 더 구비하며,
    이 스티킹 방지층이 바인더 내에 분산되는 비즈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확산 시트.
  10. 광 확산 시트를 구비하고, 램프로부터 발생하는 광선을 분산시켜 표면 측으로 유도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
    이 광 확산 시트가, 투명한 기재층과 이 기재층의 표면 측에 적층되는 광 확산층을 구비하고,
    이 광 확산층이 수지제의 비즈와 수지제의 바인더를 가지며,
    상기 비즈로서 평균 입자 직경이 1.5μm 이상 5μm 이하인 단분산 비즈가 사용되고,
    바인더에 대한 비즈의 질량비가 2.5 이상 3 이하이며,
    광 확산층의 적층량이 3g/m2 이상 10g/m2 이하이고,
    상기 단분산 비즈의 입자 직경 분포의 변동 계수가 0.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KR20060001289A 2005-01-06 2006-01-05 광 확산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KR1007327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01906A JP2005107553A (ja) 2005-01-06 2005-01-06 光拡散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JP-P-2005-00001906 2005-01-06
JPJP-P-2005-00325538 2005-11-10
JP2005325538A JP5102955B2 (ja) 2005-01-06 2005-11-10 光拡散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888A KR20060080888A (ko) 2006-07-11
KR100732724B1 true KR100732724B1 (ko) 2007-06-27

Family

ID=36640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01289A KR100732724B1 (ko) 2005-01-06 2006-01-05 광 확산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17793B2 (ko)
JP (1) JP5102955B2 (ko)
KR (1) KR100732724B1 (ko)
TW (1) TW20062702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0357A (ko) * 2007-01-26 2008-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100840572B1 (ko) * 2007-03-14 2008-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렌즈 시트,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US7719636B2 (en) 2007-03-14 2010-05-18 Lg Electronics Inc. Optical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WO2008117720A1 (ja) * 2007-03-26 2008-10-02 Kimoto Co., Ltd. バックライト装置
US20100265739A1 (en) * 2008-01-24 2010-10-21 Yohei Funabashi Light-diffusing sheet and backlight device using same
JP5214284B2 (ja) * 2008-03-10 2013-06-19 株式会社東芝 発光装置用光取り出し層、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EP2128661A1 (en) * 2008-05-27 2009-12-02 LG Electronics Inc. Optical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100962442B1 (ko) * 2008-05-28 2010-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학 시트,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US7956954B2 (en) * 2008-05-28 2011-06-07 Lg Electronics Inc. Optical shee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20090296022A1 (en) * 2008-05-28 2009-12-03 Junghoon Lee Optical shee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TWI384285B (zh) * 2008-10-28 2013-02-01 Efun Technology Co Ltd Diffusion interlayer optical film
US10048407B2 (en) * 2010-10-22 2018-08-14 Dai Nippon Printing Co., Ltd. Antiglare film,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JP6046367B2 (ja) * 2011-04-12 2016-12-14 恵和株式会社 光学ユニッ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JP6207117B2 (ja) * 2011-07-19 2017-10-04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面光源装置
JP5959821B2 (ja) * 2011-09-30 2016-08-02 恵和株式会社 プリズム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13195814A (ja) * 2012-03-21 2013-09-30 Nitto Denko Corp 光拡散素子
KR102202518B1 (ko) * 2020-10-27 2021-01-13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용 스마트 가니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469A (ko) * 2002-03-26 2003-10-01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광확산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백라이트 유닛
KR20040051597A (ko) * 2001-10-11 2004-06-18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투명 기판 및 확산층을 포함하는 확산막
KR20040088900A (ko) * 2003-04-14 2004-10-20 주식회사 상보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305A (ja) 1993-04-19 1995-01-10 Keiwa Shoko Kk 光拡散シート材
JP3119846B2 (ja) 1998-09-17 2000-12-25 恵和株式会社 光拡散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4652527B2 (ja) * 2000-05-16 2011-03-16 株式会社きもと 光拡散性シート
KR100758157B1 (ko) 2000-06-15 2007-09-12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광 확산판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광 확산판
JP3681978B2 (ja) * 2000-12-19 2005-08-10 株式会社巴川製紙所 光反射板および反射型液晶表示装置
WO2003005072A1 (en) * 2001-06-30 2003-01-16 Skc Co., Ltd. Light diffusing film
US6906761B2 (en) * 2001-09-19 2005-06-14 Keiwa Inc. Reflection sheet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JP2003335956A (ja) * 2002-05-21 2003-11-28 Kuraray Co Ltd 光拡散性樹脂組成物
JP2004252353A (ja) * 2003-02-21 2004-09-09 Keiwa Inc 光拡散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4333716A (ja) * 2003-05-06 2004-11-25 Tomoegawa Paper Co Ltd 光拡散層、光拡散フィルムおよび光拡散粘着シート
JP2004341294A (ja) * 2003-05-16 2004-12-02 Keiwa Inc 光学シート並びに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
JP4578091B2 (ja) * 2003-12-16 2010-11-10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反射型液晶表示装置を構成する光硬化型光散乱膜用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散乱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1597A (ko) * 2001-10-11 2004-06-18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투명 기판 및 확산층을 포함하는 확산막
KR20030077469A (ko) * 2002-03-26 2003-10-01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광확산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백라이트 유닛
KR20040088900A (ko) * 2003-04-14 2004-10-20 주식회사 상보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15016B (ko) 2009-09-21
JP2006215527A (ja) 2006-08-17
US20060147676A1 (en) 2006-07-06
JP5102955B2 (ja) 2012-12-19
TW200627025A (en) 2006-08-01
KR20060080888A (ko) 2006-07-11
US9017793B2 (en) 201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724B1 (ko) 광 확산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KR100851338B1 (ko) 광 확산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KR101100151B1 (ko) 도광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백라이트 유닛
KR100794666B1 (ko) 광학 시트용 기재 필름, 광학 시트 및 백라이트 유닛
JP2005107553A (ja) 光拡散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100524231B1 (ko) 광확산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백라이트 유닛
KR101079123B1 (ko) 광학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백라이트 유닛
JP4526237B2 (ja) 光学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20030025192A (ko) 반사시트 및 이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KR100523407B1 (ko) 광확산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백라이트 유닛
KR101156007B1 (ko) 광학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백라이트 유닛
KR100487936B1 (ko) 광확산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백라이트 유닛
JP4681791B2 (ja) 反射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4800549B2 (ja) 光学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5077448A (ja) 光拡散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4227436B2 (ja) 光拡散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4451619B2 (ja) 光拡散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4252353A (ja) 光拡散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4085626A (ja) 光学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4309802A (ja) 光学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4374237B2 (ja) 光拡散シート
JP2004198722A (ja) 光学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4198707A (ja) 光学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4316280B2 (ja) 光学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4198733A (ja) 光学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14